KR102528652B1 - 패션 트렌드 및 광고 피드백에 따른 패션 상품 디자인 및 광고 생성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패션 트렌드 및 광고 피드백에 따른 패션 상품 디자인 및 광고 생성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8652B1
KR102528652B1 KR1020200173548A KR20200173548A KR102528652B1 KR 102528652 B1 KR102528652 B1 KR 102528652B1 KR 1020200173548 A KR1020200173548 A KR 1020200173548A KR 20200173548 A KR20200173548 A KR 20200173548A KR 102528652 B1 KR102528652 B1 KR 102528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hion
design
product
fashion product
advertis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3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3373A (ko
Inventor
김성희
전경향
김인혜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73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8652B1/ko
Publication of KR20220083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3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6Advertisement cre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6Physical properties antistatic; conductiv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패션 트렌드 및 광고 피드백에 따른 패션 상품 디자인 및 광고 생성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내용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종류별 패션 상품에 대한 SNS 언급 빈도를 저장하는 제1 DB, 상기 종류별 패션 상품에 대한 판매량 정보를 저장하는 제2 DB, 상기 종류별 패션 상품의 디자인 특징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3 DB, 상기 종류별 패션 상품에 대한 광고 피드백 정보를 저장하는 제4 DB, 상기 제1 DB 내지 상기 제4 DB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종류별 패션 상품에 대한 매출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제시하는 상관관계 분석부, 상기 매출 상관관계를 기초로, 상기 매출이 일정 수준을 넘는 패션 상품에 대응되는 상기 디자인 특징점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디자인 특징점을 기초로 패션 상품 디자인을 생성하는 디자인 생성부, 상기 패션 상품 디자인을 기초로 광고 데이터를 획득하는 광고 생성부 및 상기 패션 상품 디자인 및 상기 광고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패션 트렌드 및 광고 피드백에 따른 패션 상품 디자인 및 광고 생성 시스템 및 방법{FASHION GOODS DESIGN AND ADVERTISEMENT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FASHION TRENDS AND ADVERTISEMENT FEEDBACK}
본 발명은 패션 트렌드 및 광고 피드백에 따른 패션 상품 디자인 및 광고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광고 피드백 정보 및 매출 상관관계에 따른 디자인 특징점을 추출하여 이를 기초로 패션 상품 디자인을 생성하고 생성된 패션 상품 디자인에 따라 광고를 생성하여 이에 대한 피드백을 수신하며, 수신된 피드백을 상기 광고 피드백 정보로 하는 패션 트렌드 및 광고 피드백에 따른 패션 상품 디자인 및 광고 생성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패션 산업에서의 현재 유행하는 패션에 대한 정보는 주로 신문, 정기간행물, 영상매체 등을 통하여 제공되었다. 그러나 국내 패션 정보산업의 취약으로 인하여 제공되는 정보의 질이 높다고 볼 수 없고, 또한 그 수입원천이 정보제공에서 직접 발생된 것보다는 광고수입 등의 다른 측면에서 발생되는 부분이 커서 정보의 내용과 질이 광고주 등 외부 환경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고 결정되었다. 이러한 패션 정보 산업의 후진성은 유행에 대한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데 어려움이 많았으며, 이로 인하여 패션 산업계는 고객이 요구하는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렴하지 못해, 주관적인 자신의 경험이나 정보만으로 변화하는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키려고 노력하였다. 그러나, 디자인의 유행의 변화 속도는 매우 빠르다. 특히, 글로벌 스파 브랜드가 생기고, SNS가 더욱 활발해지면서 유행의 변화 속도는 더욱 빨라지고, 유행 아이템은 세계적으로 동일한 디자인으로 수렴하는 경향이 생겼다.
이에 따라, 빠른 유행 변화 속도와 글로벌한 디자인에 따른 공급을 맞추기 위하여, 디자이너는 반복적 자료 수집, 빠른 디자인 작업 보조가 필요하고, 패션 MD는 별도의 최신 트렌드, 신흥 브랜드 정보 수집과 분석이 필요했다. 또한, 디자이너들은 빠르게 변화하는 유행 트렌드를 빠지지 않고 조사하여, 그에 맞는 디자인을 해야한다. 그러나, 급한 경우에는 7일 내에 디자인 3개를 만들어야 하기도 하는데, 실제로 200-300벌을 그려야 비로소 새로운 디자인 하나를 완성할 수 있었다.
또한, 패션 MD의 경우에도 트렌트 및 브랜드를 조사하기 위하여 컬렉션을 탐방하고 뉴욕/파리 등 주요 패션 도시들을 가서 오더 리스트와 룩북을 만들어야 하는 등 패션 트렌드를 업데이트하고 새로운 디자인을 생성하는 데에 많은 비용, 노력 시간이 들어 비효율적이였다. 또한, 새로운 디자인은 생성하고 화면을 생성하는 데에 현재는 컴퓨터 등의 도구를 이용하기는 하지만 일일이 사람의 수작업이 들어갈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빅데이터를 형성하는 다수의 상품 정보를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유행을 파악하고, 파악된 유행에 따른 디자인을 자동으로 생성하고자 하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5608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패션 트렌드 및 광고 피드백에 따른 패션 상품 디자인 및 광고 생성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획일적인 기준으로 패션 상품 디자인을 신속하게 생성함으로써 빠른 패션 트렌드의 변화를 따라가기 위한 패션 트렌드 및 광고 피드백에 따른 패션 상품 디자인 및 광고 생성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광고 피드백 정보를 함께 고려함으로써 사용자들의 선호사항을 보다 적극적이고 구체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패션 트렌드 및 광고 피드백에 따른 패션 상품 디자인 및 광고 생성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여름용 패션 상품, 겨울용 패션 상품 및 사계절용 패션 상품에 조성물을 이용한 층을 형성함으로써 각각의 계절에 적합한 패션 상품을 제공할 수 있는 패션 트렌드 및 광고 피드백에 따른 패션 상품 디자인 및 광고 생성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종류별 패션 상품에 대한 SNS 언급 빈도를 저장하는 제1 DB, 상기 종류별 패션 상품에 대한 판매량 정보를 저장하는 제2 DB, 상기 종류별 패션 상품의 디자인 특징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3 DB, 상기 종류별 패션 상품에 대한 광고 피드백 정보를 저장하는 제4 DB, 상기 제1 DB 내지 상기 제4 DB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종류별 패션 상품에 대한 매출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제시하는 상관관계 분석부, 상기 매출 상관관계를 기초로, 상기 매출이 일정 수준을 넘는 패션 상품에 대응되는 상기 디자인 특징점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디자인 특징점을 기초로 패션 상품 디자인을 생성하는 디자인 생성부, 상기 패션 상품 디자인을 기초로 광고 데이터를 획득하는 광고 생성부 및 상기 패션 상품 디자인 및 상기 광고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고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피드백을 수신하는 피드백 수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광고 피드백 정보는, 상기 사용자 피드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자인 특징점은, 상기 패션 상품의 종류, 상기 패션 상품의 색상, 상기 패션 상품의 무늬, 상기 패션 상품의 몸통부의 가로세로 길이 비율 및 상기 패션 상품의 암부와 몸통부의 세로 길이 비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자인 생성부는, 상기 추출된 디자인 특징점 및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키워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패션 상품 디자인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종류별 패션 상품은 여름용 패션 상품, 겨울용 패션 상품 및 사계절용 패션 상품을 포함하고, 상기 여름용 패션 상품은 향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원단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종류별 패션 상품은 여름용 패션 상품, 겨울용 패션 상품 및 사계절용 패션 상품을 포함하고, 상기 겨울용 패션 상품은 정전기 방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원단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종류별 패션 상품은 여름용 패션 상품, 겨울용 패션 상품 및 사계절용 패션 상품을 포함하고, 상기 사계절용 패션 상품은 향균 조성물 및 정전기 방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원단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종류별 패션 상품에 대한 SNS 언급 빈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종류별 패션 상품에 대한 판매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종류별 패션 상품의 디자인 특징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종류별 패션 상품에 대한 광고 피드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정보들을 토대로 상기 종류별 패션 상품에 대한 매출 상관관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매출 상관관계를 기초로 상기 매출이 일정 수준을 넘는 패션 상품에 대응되는 상기 디자인 특징점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매출이 일정 수준을 넘는 패션 상품에 대응되는 상기 디자인 특징점을 기초로 패션 상품 디자인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패션 상품 디자인을 기초로 광고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패션 상품 디자인 및 상기 광고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고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피드백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광고 피드백 정보는 상기 광고에 대한 상기 사용자 피드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술한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자인 특징점을 기본 패션 상품 디자인과 조합하는 방식을 통하여 보다 신속하게 패션 상품 디자인을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자인 특징점을 기본 패션 상품 디자인과 조합하는 방식을 통하여 기존의 패션 상품 생산 라인을 그대로 활용하면서도 패션 디자인 트렌드를 따라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고 피드백 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디자인을 생성함으로써, 보다 사용자들의 적극적인 피드백을 반영하면서도 패션 디자인 트렌드를 따라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계절별 패션 상품에 따라 원단에 추가 층을 더 제안함으로써 패션 디자인 트랜드를 재빨리 따라가면서도 소비자들이 보다 편하게 착용할 수 있는 패션 상품 디자인을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패션 트렌드 및 광고 피드백에 따른 패션 상품 디자인 및 광고 생성 시스템에 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여름용 의류에 대한 패션 상품 디자인을 생성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겨울용 의류에 대한 패션 상품 디자인을 생성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패션 트렌드 및 광고 피드백에 따른 패션 상품 디자인 및 광고 생성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패션 상품(fashion goods)은 소비자의 패션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구체적인 물품 대상을 말하며, 의류, 신발, 선글라스, 밸드, 넥타이, 장갑 기타 패션잡화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상술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패션 트렌드 및 광고 피드백에 따른 패션 상품 디자인 및 광고 생성 시스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의류를 중심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이는 패션 상품 중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고, 이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패션 트렌드 및 광고 피드백에 따른 패션 상품 디자인 및 광고 생성 시스템에 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은 DB(110), 서버(120), 사용자 입력부(130) 및 디스플레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DB(110)는 제1 DB(111), 제2 DB(112), 제3 DB(113) 및 제4 DB(11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과 같이 DB(110)는 서버와 별도로 설치된 구성일 수도 있지만, 도 1과 달리 DB는 서버에 포함되는 구성일 수 있다.
제1 DB(111)는 종류별 의류에 대한 SNS 언급 빈도를 저장할 수 있다. SNS(Social Network Service) 언급 빈도는 웹 크롤링(Web Crawling)을 통하여 획득될 수 있다. SNS 언급 빈도는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특정 SNS 상에서 해당 제품에 대한 언급 횟수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제품 명칭이 해쉬테그 등을 통하여 특정 SNS 상에서 언급되거나, 해당 제품의 이미지가 특정 SNS 상에서 게시된 횟수가 상숭한 SNS 언급 빈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명 SNS인 인스타그램(Instagram) 상에서 웹 크롤링 시점부터 3개월 이전 만큼의 기간 동안, 서버는 제품 명칭 또는 해당 제품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서버는 수집된 정보들의 횟수를 카운팅하여 SNS 언급 빈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2 DB(112)는 종류별 의류에 대한 판매량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판매량 정보는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각각의 종류별 의류의 판매량을 의미할 수 있다. 판매량 정보는 매출 정보에 대응될 수 있다.
제3 DB(113)는 종류별 의류에 대한 디자인 특징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디자인 특징점은 사람들이 의류에 대하여 심미감을 느낄 수 있는 디자인적 특징을 의미할 수 있다. 디자인 특징점은 의류의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의류의 종류에 따라 미리 정해질 수 있다. 디자인 특징점은 의류의 종류, 의류의 색상, 의류의 무늬, 의류의 몸통부의 가로세로 길이 비율, 의류의 암부와 몸통부의 세로 길이 비율 및 의류에 표현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DB(114)는 종류별 의류에 대한 광고 피드백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종류별 의류에 따라 랜덤하게 광고 화면이 사용자에게 노출되면, 사용자는 광고 화면을 터치 또는 클릭하여 광고에 따른 웹 페이지로 접속할 수 있다. 이때, 광고 피드백 정보는 "사용자에게 광고가 노출된 빈도"를 분모로 두고, "사용자가 광고를 통하여 웹 페이지로 접속한 횟수"를 분자로 하여 100을 곱한 백분율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따르면, 서버는 상관관계 분석부(121), 디자인 생성부(122), 광고 생성부(123) 및 피드백 수신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관관계 분석부(121)는 제1 DB(111) 내지 제4 DB(114)의 정보를 토대로 종류별 의류에 대한 매출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제시할 수 있다. 매출 상관관계는 판매량 또는 매출이 높은 상품들의 공통점을 기초로 획득될 수 있다. 매출 상관관계는 SNS 언급 빈도, 디자인 특징점 및 광고 피드백 정보를 기초로 판매량 정보를 대비하여 산출될 수 있다.
디자인 생성부(122)는 매출 상관관계를 기초로 매출이 일정 수준을 넘는 의류에 대응되는 디자인 특징점을 추출하고, 추출된 디자인 특징점을 기초로 패션 상품 디자인을 생성할 수 있다. 디자인 분석부는 미리 저장된 패션 상품 디자인에 추출된 디자인 특징점을 조합하는 방식으로 패션 상품 디자인을 생성할 수 있다.
광고 생성부(123)는 생성된 패션 상품 디자인을 기초로 광고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광고 데이터는 생성된 패션 상품 디자인에 해당하는 종류의 의류와 관련된 광고를 포함할 수 있다. 광고 데이터는 디스플레이부(140)에 전송되어 광고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즉, 광고 생성부(123)는 생성된 패션 상품 디자인에 해당하는 종류의 의류에 대한 광고를 생성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부(140)에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생성된 패션 상품 디자인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40)는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여 광고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40)는 생성된 패션 상품 디자인 및 광고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피드백 수신부(124)는 광고 데이터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다. 피드백 수신부(124)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피드백은 사용자가 광고 화면을 터치하거나 클릭하여 광고에 대한 웹 페이지에 접속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사용자 피드백은 사용자의 광고에 대한 반응 또는 피드백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광고 피드백 정보는 생성된 광고에 대한 사용자 피드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자인 생성부(122)는 패션 상품 디자인 생성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키워드 정보를 더 고려할 수 있다. 이때, 키워드 정보는 추출된 디자인 특징점과 중복되는 특징점에 대한 키워드일 수 있다. 반대로, 키워드 정보는 추출된 디자인 특징점과 중복되지 않는 특징점에 대한 키워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출된 디자인 특징점이 의류에 나타나는 무늬(또는 패턴)일 때, 키워드 정보는 의류에 대한 색상에 대한 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자인 생성부(122)는 추출된 디자인 특징점인 무늬(또는 패턴)과 함께 키워드 정보에 포함된 색상을 미리 저장된 패션 상품 디자인에 조합하여 새로운 패션 상품 디자인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출된 디자인 특징점이 의류의 색상(흰색)일 때, 키워드 정보는 의류의 색상(빨간색)에 대한 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자인 생성부(122)는 추출된 디자인 특징점과 키워드 정보가 중복되는 경우, 키워드 정보에 따라 패션 상품 디자인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디자인 생성부(122)는 흰색 또는 빨간색 중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 정보에 포함되는 빨간색을 이용하여 패션 상품 디자인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디자인 생성부(122)는 미리 저장된 패션 상품 디자인에 빨간색을 조합하여 새로운 패션 상품 디자인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종류별 의류는 여름용 의류, 겨울용 의류 및 사계절용 의류를 포함할 수 있다. 여름용 의류는 미리 정해진 품목에 따른 의류일 수 있으며, 여름용 의류는 향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원단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여름용 의류는 아래의 향균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여름용 의류는 얇으며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닿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천연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항균 조성물은, 타임(thyme) 추출물, 진피 추출물, 함초 추출물, 바나나 껍질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임(thyme) 추출물, 진피 추출물, 함초 추출물 및 바나나 껍질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나무(Diospyros kaki Thunb)는 우리나라 중부 이남 지방에 주로 분포되어 있으며 생식하는 시자 이외에도 시엽, 시화, 시체 등은 예로부터 민간요법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 중에서도 특히 타임(thyme)은 주로 차로 이용되어 동의 보감에 혈관질환의 예방, 치료와 함께 자반증(혈관염증)에도 효과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타임(thyme)에는 비타민 C, 아미노산, 핵산, 페놀성 화합물, 유리당 등 여러 물질들이 다양하게 함유되어 있다. 타임(thyme)의 flavonoid로는 kaempferol의 배당체인 astragalin, myricetin의 배당체인 myricetin의 배당체인 myricitrin, isoquercitrin 등의 배당체 형태가 존재한다. 타임(thyme)은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이 0.1 내지 5.8%로 다른 식물에 비하여 높으며, 우수한 항산화능과 항균성이 확인되었고, Superoxide dismutase(SOD)활성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피부 탄력유지와 감기 및 성인병 예방에는 약리작용 효과가 검증되었고 다양한 물질이 인간의 생리기작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가능성을 강력하게 시사하고 있다. 페놀성 화합물은 항산화의 기능뿐만 아니라 항균, 항알레르기, 충치예방, 심장질환 및 당뇨병 예방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플라보노이드, phenolic acid, phenyl propanoid, quinone 류 등을 포함하고 있다.
진피(Citri Pericarpium)는 운향과에 속한 상록 소교목인 귤(Citrus unshiu Markovich)의 성숙한 과실에 과피를 건조시킨 것으로 진피 또는 귤피(橘皮)라고 한다. 대한약전에서는 주요 플라보노이드 성분인 헤스페리딘 (hesperidin)의 함유량이 4% 이상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외에도 나린진(naringin), 네오헤스페리딘 (neohesperid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방향성 건위약으로 위염, 소화불량 등에 쓰이며, 진토, 진해, 거담제로서 사용된다.
함초는 우리나라 서해안이나 남해안, 제주도, 울릉도, 백령도 같은 섬지방의 바닷물이 닿는 해안이나 개펄, 염전 주위에 무리지어 자란다. 우리말로는 퉁퉁하고 마디마디 튀어나온 풀이라 하여 퉁퉁마디라고 부른다. 중국의 옛 의학책인 신농초본경에는 맛이 몹시 짜다고 하여 함초(鹹草), 염초(鹽草)라고 하였고, 몹시 희귀하고 신령스러운 풀로 여겨 신초(神草)라고도 적혔다. 함초가 건강식품으로서 효능이 뛰어나다는 것은 3천년 전인 중국 주나라 때부터 알려졌다. 주나라 임금이 함초를 하늘에 바쳐 제사를 지냈다는 기록이 주례(周禮)에 나온다. 일본의 의성(醫聖)이라고 부르는 가이바라의<대화본초(大和本草)>에는 함초가 불로장수하게 하는 귀한 풀이라고 적혀 있으며 함초 말고도 염초, 복초, 삼지 등의 여러 이름이 적혀 있다. 함초의 일반성분은 주로 탄수화물, 회분, 조단백질, 조지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회분중 중량% 기준으로 소금이 13.5%를 차지한다. 또한, 함초에는 각종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는데 함초 100g에는 칼슘 670㎎, 요오드70㎎, 그리고 나트륨이 6.5%, 소금기가 16%, 식물성 섬유질이 50%쯤 들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바나나는 열대 및 아열대 아시아에서 유래한 다년생 초본이다. 대만에서는, 주로 카오슝, 타이난, 핑동, 타이퉁에 바나나가 심어져 있다. 일반적으로, 바나나의 식용 부분은 살점 부분(flesh part)이며 껍질은 버려진다.
상기의 천연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은 천연물를 분쇄하는 단계; 용매를 사용하여 상기 분쇄물을 침출시키는 단계; 시료를 침출 후 건조시키는 단계; 건조된 시료를 용매를 사용하여 재 침출시키는 단계; 시료를 침출 후 건조시키는 단계; 물을 이용하여 침출시키는 단계; 및 침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천연 추출물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천연 추출물을 용매를 사용하여 분획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초음파 추출법, 침출법 및 환류 추출법 등 당업계의 통상적인 추출 방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척 및 건조로 이물질이 제거된 천연물을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으며, 상기 용매들을 순차적으로 시료에 적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일 수도 있다.
상기 추출 용매는 시료의 중량 기준으로 2 내지 50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2 내지 20배이다. 추출을 위해 시료는 추출 용매에서 침출을 위해 1 내지 72 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24 내지 48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다.
추출 후, 추출물은 새로운 분획 용매를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분획할 수 있다. 분획시 사용하는 분획 용매는 상기 용매는 물, 헥산, 부탄올, 에틸아세트산,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얻은 후에는 농축 또는 동결건조 등의 방법을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타임(thyme) 추출물, 진피 추출물, 함초 추출물 및 바나나 껍질 추출물은 타임(thyme) 열수 추출물, 진피 열수 추출물, 함초 열수 추출물 및 바나나 껍질 열수 추출물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천연 추출물의 제조 시 사용되는 알코올과 같은 유기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물을 추출 용매로 사용하여, 유기 용매를 사용한 천연 추출물로 인해, 피부 자극의 발생 가능성을 방지하고자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항균 조성물은, 타임(thyme)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해, 진피 추출물 50 내지 100 중량부, 함초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부 및 바나나 껍질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 범위 내에서 사용 시에, 항균 효과와 더불어, 땀 냄새, 체취 등에 대한 우수한 냄새 제거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항균 조성물은, 분말 형태의 타임 추출물, 진피 추출물, 함초 추출물 및 바나나 껍질 추출물을 용매인 물에 혼합하고, 이를 스프레이 분사 방식으로, 항균 패드에 뿌리고, 건조시켜 항균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항균층의 형성 방식은 스프레이 분사 방식에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의 기술자가 항균 조성물을 이용하여 항균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선택하여,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제조예 1]
항균 조성물의 제조
(1) 천연 추출물의 제조
타임을 깨끗하게 세척하고 건조한 후,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였다. 이후, 타임 분쇄물 50g을 90 내지 100
Figure 112020134862303-pat00001
의 물 500ml에 넣고 3시간 동안 교반 추출하였다. 추출물은 여과한 후 회전식 감압농축기(rotary vaccum evaporator, Eyela N-1N)로 감압농축한 후에 동결건조기(FD SFDSM12, Samwon, 한국)를 이용하여 동결건조된 타임 분말(EX1)을 제조하였다
진피, 함초 및 바나나 껍질에 대해 상기 타임 추출물과 동일한 방식을 이용하여 추출물로 제조하였다.
(2) 항균 조성물의 제조
상기 타임 추출물(EX1), 진피 추출물(EX2), 함초 추출물(EX3) 및 바나나 껍질 추출물(EX4)을 하기 표 1과 같은 범위로 혼합하여 혼합 추출물로 제조하고, 상기 혼합 추출물을 10배의 물에 넣고 희석시켜 항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AR1 AR2 AR3 AR4 AR5
EX1 100 100 100 100 100
EX2 30 50 70 100 200
EX3 5 10 15 20 30
EX4 5 10 15 20 30
(단위 중량부)
(3) 항균층의 제조
30 내지 40g/m2의 밀도를 가지는 펄프 소재에 상기 AR1 내지 AR4의 항균 조성물을 원단에 스프레이 분사하고, 건조시켜 항균층으로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항균 효과 실험
항균성 평가를 위해, 항균 조성물만 달리하고 다른 조건은 모두 동일하게 제조하여 원단에 스프레이 분사한 향균층에 진균을 접종하고 24시간 경과 후 균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상기 진균은 킨디다 질염의 감염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해당 진균의 항균 효과 실험을 진행하였다.
초기 농도(CFU/mL) 6시간 후의 log(CFU/mL) 세균 감소율(%)
비교예 1.00 × 105 8.00 × 105 -
AR1 1.00 × 105 4.00 × 104 60
AR2 1.00 × 105 0 100
AR3 1.00 × 105 0 100
AR4 1.00 × 105 0 100
AR5 1.00 × 105 6.00 × 104 40
(CFU는 균의 수를 개념적으로 표시한 것이다)
상기 표 2에 따르면, 원단을 항균 조성물로 스프레이 분사하여 향균층을 형성하지 않거나, 본 발명의 범위 미만으로 혼합된 항균 조성물으로 향균층을 형성한 경우에는 진균의 농도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반면,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진균 농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우수한 항균 효과를 확인하였다. 특히 AR2 내지 AR4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조성물의 상호 작용에 의한 상승효과로 매우 높은 수준의 향균효과를 달성하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관능 평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름용 의류에 대해 무작위로 선별된 일반인 참가자 15명을 대상으로 3명씩 1군으로 설정하여 5개 군에 대해 관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일반인 참가자들은 여름용 의류를 2일간 착용한 후, 여름용 의류에 대하여 착용감, 땀 흡수 정도 및 냄새 발생 여부에 대해 확인을 요청하였다. 점수는 1 내지 5점으로 평가를 요청하였으며, 평가 점수가 높을수록 우수한 평가를 나타낸다.
제공된 여름용 의류는 각각 항균 조성물을 AR1 내지 AR4 및 비교예로 제조한 것을 제공하였으며, 항균 조성물 이외에는 다른 조건은 모두 동일하게 하였다.
AR1 AR2 AR3 AR4 AR5 비교예
착용감 5 4.5 4.5 5 5 4.5
땀 흡수 정도 4.5 5 4.5 5 4.5 4.5
냄새 3 5 4.5 4 2.5 1
상기 평가 결과에 따르면, 착용감 및 땀 흡수정도 모두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제 제품으로 판매 시 구입 여부에 대한 희망을 문의한 결과에서도 AR2 내지 AR4군에서는 가격에서 크게 비싸지 않을 경우, 구매 의사가 높다고 평가받았다. 다만, AR1, AR5 및 비교예군의 경우, 땀 냄새가 쉽게 느껴져서 냄새에서 매우 낮은 평가를 받았으며, 구매 의사에서도 낮은 평가를 받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술한 종류별 의류는 겨울용 의류를 포함할 수 있다. 겨울용 의류는 미리 정해진 품목에 따른 의류일 수 있으며, 겨울용 의류는 정전기 방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원단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겨울용 의류는 아래의 정전기 방지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겨울은 건조한 기후를 가지므로 쉽게 정전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피부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사용자가 사용하는 전자기기에도 영향을 줄 수 있어 문제될 수 있다.
상기 정전기 방지 조성물은, 스프레이 분사를 통하여 원단에 정전기방지층을 형성하며, 이를 통하여 겨울철 정전기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전기 방지층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실록산; 전도성 필러 및 그라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20134862303-pat00002
여기서,
m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며,
p는 3 내지 10의 정수이며,
R1 내지 R3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히드록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치한된 알킬렌기, 치환된 아릴렌기, 치환된 알킬기 및 치환된 아릴기는 수소, 중수소, 시아노기, 니트로기, 할로겐기, 히드록시기,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20개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2 내지 30의 알케닐기, 탄소수 2 내지 24의 알키닐기, 탄소수 7 내지 30의 아르알킬기,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 핵원자수 5 내지 60의 헤테로아릴기, 탄소수 6 내지 30의 헤테로아릴알킬기, 탄소수 1 내지 30의 알콕시기,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아미노기,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아미노기,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르알킬아미노기, 탄소수 2 내지 24의 헤테로 아릴아미노기,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실릴기,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실릴기 및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옥시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복수 개의 치환기로 치환되는 경우 이들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보다 바림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20134862303-pat00003
여기서, m 및 p는 상기 화학식 2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도성 필러는 실리카, 알루미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나지만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전도성 필러의 입자 직경은 30 내지 50㎛이지만,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전도성 필러는 전기 전도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그라파이트는 소량 포함되어, 정전기방지층 내의 정전기 방지 효과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그라파이트는 고가의 전도성 필러인 점을 고려할 때, 본 발명 내의 정전기방지층에는 소량 포함되어, 지속적인 정전기방지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정전기방지층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실록산; 전도성 필러 및 그라파이트를 포함하여, 정전기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폴리실록산은 친수성 부분과 소수성 부분으로 구별된다. 친수성 부분은 비공유 전자쌍을 포함하는 산소 원자에 의해, 물 분자와 수소 결합이 가능하다. 반면, 알킬기는 소수성기로 작용한다. 따라서, 친수성 부분이 정전기방지층의 표면으로 위치하게 되고, 소수성 부분이 그 반대로 위치하게 되어, 반영구적인 정전기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정전기 방지층을 형성하기 위한, 정전기 방지 조성물은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실록산; 전도성 필러, 그라파이트 및 유기용매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는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헥세인, 프로페인, 톨루엔, 페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전기 방지 조성물은 유기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실록산 40 내지 80 중량부, 전도성 필러 30 내지 50 중량부 및 그라파이트 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구성 성분의 상호 작용에 의한 정전기 방지 상승효과로 임계적 의의가 있는 정도의 상승효과가 발현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승효과가 급격히 저하되거나 거의 없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전기 방지 조성물의 점도는 1,200 내지 1,500cP이며, 상기 점도가 1,200cP 미만인 경우에는 원단에 스프레이 분사하여 정전기 방지층을 형성 시 흘러내리는 문제가 있고, 1,500cP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균일한 정전기방지층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제조예: 정전기 방지층의 제조]
1. 정전기 방지 조성물의 제조
톨루엔 및 페놀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유기 용매에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폴리실록산, 전도성 필러 및 그라파이트를 혼합하여, 정전기방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3]
Figure 112020134862303-pat00004
여기서, m은 10 내지 30의 정수이며, p는 3 내지 5의 정수이다.
상기 정전기방지 조성물의 보다 구체적인 조성은 하기 표 4와 같다.
DY1 DY2 DY3 DY4 DY5 DY6
유기용매 100 100 100 100 100 100
폴리실록산 20 30 40 60 80 100
알루미나 10 20 30 40 50 60
그라파이트 1 3 5 7 10 15
(단위 중량부)
상기 알루미나는 입자 직경이 30 내지 50㎛이다.
2. 정전기 방지층의 제조
겨울용 의류의 원단 일면에 상기 HS 1 내지 HS 6의 정전기방지 조성물을 스프레이 분사한 후, 열 경화시켜 정전기방지층을 형성하였다.
[실험예: 정전기방지 효과 실험]
1. 점도 측정
폴리아미드 기재층의 일면에 정전기방지층을 형성하기 전에, 정전기방지 조성물의 점도를 측정하였다. 점도 측정은 레오미터(Rheometer, Compac-100, Sun Sci. Co., Japan)를 이용하였다. 점도 측정 결과는 하기 표 5와 같다.
DY1 DY2 DY3 DY4 DY5 DY6
점도(cP) 620 800 1010 1400 1950 2400
2. 표면 전기 저항 측정
폴리아미드 기재층의 일면에 DY 1 내지 DY 6의 정전기방지층이 형성된 보호층에 대해, Resistance Meter SIMCO 저항기 ST-4(25℃, 상대습도 50%)를 이용하여 표면전기저항을 측정하였다. 비교예로, 정전기방지층이 형성되지 않은 폴리아미드 기재층에 대한 표면전기저항도 함께 측정하였다.
비교예 DY1 DY2 DY3 DY4 DY5 DY6
표면전기저항(Ω/cm2) 7.4Х1011
내지
1.6Х1012
6.4Х109
내지
1.4Х1010
1.4Х109
내지 1.6Х1010
7.2Х108
내지
6.1Х109
4.4Х107
내지
2.1Х108
6.5Х107
내지
4.5Х108
5.8Х108
내지
7.8Х108
상기 표 6에 따르면, 정전기방지층이 형성되지 않은 비교예에 비해, DY 1 내지 DY 6의 표면전기저항이 낮으므로, 전기전도도가 우수하여, 우수한 정전기방지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계절용 의류는 상술한 향균 조성물 및 정전기 방지 조성물을 모두 포함하는 의류일 수 있다. 이때, 향균 조성물 및 정전기 방지 조성물은 모두 스프레이 분사를 통하여 원단 위에서 복수의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원단 위에 정전기 방지층이 먼저 형성되고, 정전기 방지층 상에 향균층이 형성되도록 의류를 제조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여름용 의류에 대한 패션 상품 디자인을 생성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여름용 의류는 분류코드가 반팔티인 것을 예시로 들 수 있다. 여름용 의류에 대한 디자인 특징점은 의류의 색상, 의류의 무늬, 의류의 몸통부(body part or body portion) 가로 및 세로 길이 비율 및 의류의 암부(arm part or arm portion) 및 몸통부 세로 길이의 비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따르면, 몸통부 가로길이는 의류의 몸통부의 횡방향(좌우방향)으로 측정된 길이로서 통상적인 방법으로 측정된 길이일 수 있다. 몸통부 세로 길이는 의류의 몸통부의 종방향(위아래방향)으로 측정된 길이로서 통상적인 방법으로 측정된 길이일 수 있다. 암부의 세로길이는 의류의 어깨선에서부터 암부의 끝지점까지의 길이로서 통상적인 방법으로 측정된 길이일 수 있다. 의류의 수치는 측정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측정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따르면, 여름용 의류에 대한 매출 상관관계가 나타나 있다. 복수의 반팔티 중에서 판매량/매출을 기준으로 상위 20% 및 하위 20%가 도출될 수 있다.
도 3에 따르면, 판매량/매출 하위 20%에 해당하는 여름용 의류는 반팔티 A, 반팔티 B, 반팔티 C 및 반팔티 D일 수 있다. 각각의 반팔티에 대한 디자인 특징점은 의류의 색상, 의류의 무늬, 의류의 몸통부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 비율, 의류의 암부 및 몸통부 세로 길이 비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매출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각각의 반팔티에 대한 SNS 언급 빈도 및 광고 피드백 비율이 추가로 도출될 수 있다.
도 3에 따르면, 반팔티 A 및 반팔티 B는 판매량/매출 하위 20%에 해당하는 여름용 의류이고, 반팔티 C 및 반팔티 D는 판매량/매출 상위 20%에 해당하는 여름용 의류일 수 있다. 각각의 정보들과 매출의 상관관계를 분석해보면 아래와 같을 수 있다.
도 3에 따르면, 반팔티 A 및 반팔티 B의 공통적인 디자인 특징점은 흰색, 1:2 이상인 몸통부의 가로세로 비율이고, 반팔티 A 및 반팔티 B는 상대적으로 적은 SNS 언급 빈도 및 광고 피드백 비율을 가질 수 있다. 반대로, 반팔티 C 및 반팔티 D는 빨간색 또는 주황색 색상으로서 레드 계열의 색상을 가지며, 몸통부의 가로세로 비율이 1:2 이하이고, 상대적으로 SNS 언급 빈도 및 광고 피드백 비율이 높다는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무늬와 판매량/매출에 대한 경향성은 찾아낼 수 없었으며, 마찬가지로 암부 및 몸통부 세로 길이 비율과 판매량/매출에 대한 경향성은 찾아낼 수 없다.
도 4에 따르면, 도 3에서부터 도출된 매출 상관관계에 따른 디자인 특징점을 기초로 생성된 패션 상품 디자인이 나타나 있다. 매출 상관관계 분석 결과, 의류의 색상에 따른 상관관계가 존재하고, 의류의 몸통부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 비율에 따른 상관관계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패션 상품 디자인은 해당 색상(빨간색 또는 주황색)을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패션 상품 디자인은 반팔티 C 및 반팔티 D의 몸통부 가로세로 비율의 평균값을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이처럼, 패션 상품 디자인은 디자인 기본값에 상관관계가 도출된 디자인 특징점을 추가 또는 조합하는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겨울용 의류에 대한 패션 상품 디자인을 생성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따르면, 겨울용 의류는 분류코드가 패딩인 것을 예시로 들 수 있다. 겨울용 의류에 대한 디자인 특징점은 의류의 색상, 의류의 무늬, 의류의 몸통부 가로세로 길이 비율, 의류의 암부와 몸통부의 세로 길이의 비율 및 의류의 모자 유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따르면, 겨울용 의류에 대한 매출 상관관계가 나타나 있다. 복수의 패딩 중에서 판매량/매출을 기준으로 상위 20% 및 하위 20%가 도출될 수 있다.
도 6에 따르면, 판매량/매출 하위 20%에 해당하는 겨울용 의류는 패딩 A, 패딩 B, 패딩 C 및 패딩 D일 수 있다. 각각의 패딩에 대한 디자인 특징점은 의류의 색상, 의류의 무늬, 의류의 몸통부 가로세로 길이 비율, 의류의 암부와 몸통부 세로 길이 비율 및 모자 유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매출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각각의 패딩에 대한 SNS 언급 빈도 및 광고 피드백 비율이 추가로 도출될 수 있다.
도 6에 따르면, 패딩 A 및 패딩 B는 판매량/매출 하위 20%에 해당하는 겨울용 의류이고, 패딩 C 및 패딩 D는 판매량/매출 상위 20%에 해당하는 겨울용 의류일 수 있다. 각각의 정보들과 매출의 상관관계를 분석해보면 아래와 같을 수 있다.
도 6에 따르면, 패딩 A 및 패딩 B의 공통적인 디자인 특징점은 1:2 이상인 몸통부 가로세로 길이 비율일 수 있다. 상기 비율을 고려하면, 패딩 A 및 패딩 B는 롱 패딩으로 분석될 수 있다. 또한, 패딩 A 및 패딩 B는 상대적으로 적은 SNS 언급 빈도 및 광고 피드백 비율을 가질 수 있다. 반대로, 패딩 C 및 패딩 D는 파란색을 포함하며, 몸통부의 가로세로 비율이 1:2 이하이고, 상대적으로 SNS 언급 빈도 및 광고 피드백 비율이 높다는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암부 및 몸통부의 세로길이 비율을 살펴보면, 패딩 A 및 패딩 B는 1:1.5 이상의 비율을 가지며 패딩 C 및 패딩 D는 1:1 이하의 비율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의류의 무늬와 판매량/매출에 대한 경향성은 찾아낼 수 없었다.
도 7에 따르면, 도 6에서부터 도출된 매출 상관관계에 따른 디자인 특징점을 기초로 생성된 패션 상품 디자인이 나타나 있다. 매출 상관관계 분석 결과, 의류의 색상, 몸통부 가로세로 길이 비율, 암부와 몸통부의 세로길이 비율 및 모자 유무에 따른 상관관계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패션 상품 디자인은 해당 색상(파란색)을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패션 상품 디자인은 패딩 C 및 패딩 D의 몸통부 가로세로 비율의 평균값을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패션 상품 디자인은 패딩 C 및 패딩 D의 암부 및 몸통부 세로길이 비율의 평균값을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패션 상품 디자인은 모자를 포함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이처럼, 패션 상품 디자인은 디자인 기본값에 상관관계가 도출된 디자인 특징점을 추가 또는 조합하는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패션 트렌드 및 광고 피드백에 따른 패션 상품 디자인 및 광고 생성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후술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주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또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대한 설명 중 상술한 내용과 동일하거나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패션 트렌드 및 광고 피드백에 따른 패션 상품 디자인 및 광고 생성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종류별 의류에 대한 SNS 언급 빈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100), 종류별 의류에 대한 판매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200), 종류별 의류의 디자인 특징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300), 종류별 의류에 대한 광고 피드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400), 정보들을 토대로 종류별 의류에 대한 매출 상관관계를 획득하는 단계(S1500), 매출 상관관계를 기초로 매출이 일정 수준을 넘는 의류에 대응되는 디자인 특징점을 추출하는 단계(S1600), 매출이 일정 수준을 넘는 의류에 대응되는 디자인 특징점을 기초로 패션 상품 디자인을 생성하는 단계(S1700), 패션 상품 디자인을 기초로 광고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1800), 패션 상품 디자인 및 상기 광고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40)에 전송하는 단계(S1900)를 포함할 수 있다.
종류별 의류에 대한 SNS 언급 빈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100)는 웹 크롤링을 통하여 SNS 언급 빈도 정보를 회득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다. SNS 언급 빈도 정보는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해당 제품이 해당 SNS 상에서 언급되거나, 해당 제품의 사진이 게시되는 횟수일 수 있다.
종류별 의류에 대한 판매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200)는 미리 저장된 판매량 정보를 로드할 수도 있다. 판매량 정보를 기초로 의류별 매출액이 도출될 수 있다.
종류별 의류의 디자인 특징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300)는 미리 저장된 의류 종류별 디자인 특징점에 대한 정보를 로딩하여 획득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의류의 종류에 따라 중요한 특징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의류의 종류에 따라 디자인 특징점들은 미리 선택되어 저장될 수 있다.
종류별 의류에 대한 광고 피드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400)는 미리 저장된 광고 피드백 정보를 로딩하여 획득하는 단계일 수 있다. 광고 피드백 정보는 사용자 피드백 정보로부터 생성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 피드백 정보는 광고 화면을 통하여 미리 정해진 웹 사이트로 사용자가 접속한 횟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들을 토대로 종류별 의류에 대한 매출 상관관계를 획득하는 단계(S1500)는 의류 종류별로 하위 20%의 제품들의 디자인 특징점과 상위 20% 제품들의 공통된 디자인 특징점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디자인 특징점들과 매출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 또는 도출할 수 있다.
매출 상관관계를 기초로 매출이 일정 수준을 넘는 의류에 대응되는 디자인 특징점을 추출하는 단계(S1600)는 매출과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디자인 특징점을 추출하는 단계일 수 있다. 즉, 판매량/매출 상위 20%의 의류에서 매출과 상관관계가 있는 디자인 특징점이 추출될 수 있다.
매출이 일정 수준을 넘는 의류에 대응되는 디자인 특징점을 기초로 패션 상품 디자인을 생성하는 단계(S1700)는 추출된 디자인 특징점들과 미리 정해진 패션 상품 디자인(기본 디자인)을 조합하여 새로운 패션 상품 디자인을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패션 상품 디자인을 기초로 광고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1800)는 생성된 새로운 패션 상품 디자인에 대응되는 제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810) 및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품에 대한 광고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18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품에 대한 정보는 새로운 패션 상품 디자인에 대응되고, 대응되는 값들은 미리 설정된 값들일 수 있다.
패션 상품 디자인 및 상기 광고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40)에 전송하는 단계(S1900)는 사용자가 시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패션 상품 디자인 및 광고를 포함하는 화면에 대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40)에 전송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종류별 의류는 여름용 의류, 겨울용 의류 및 사계절용 의류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한 특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광고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피드백을 수신하는 단계(S2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광고 피드백 정보는 광고에 대한 사용자 피드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광고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피드백 정보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으며, 광고 피드백 정보는 저장된 사용자 피드백 정보를 기초로 생성되거나, 광고 피드백 정보는 저장된 사용자 피드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모델링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100)에 의하여 읽힐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 예들 또는 다른 실시 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 예들 또는 다른 실시 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시스템
110: DB
120: 서버
130: 사용자 입력부
140: 디스플레이부

Claims (10)

  1. 종류별 패션 상품에 대한 SNS 언급 빈도를 저장하는 제1 DB;
    상기 종류별 패션 상품에 대한 판매량 정보를 저장하는 제2 DB;
    상기 종류별 패션 상품의 디자인 특징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3 DB;
    상기 종류별 패션 상품에 대한 광고 피드백 정보를 저장하는 제4 DB;
    상기 제1 DB 내지 상기 제4 DB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종류별 패션 상품에 대한 매출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제시하는 상관관계 분석부;
    상기 매출 상관관계를 기초로, 상기 매출이 일정 수준을 넘는 패션 상품에 대응되는 상기 디자인 특징점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디자인 특징점을 기초로 패션 상품 디자인을 생성하는 디자인 생성부;
    상기 패션 상품 디자인을 기초로 광고 데이터를 획득하는 광고 생성부; 및
    상기 패션 상품 디자인 및 상기 광고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웹 크롤링(Web Crawling)을 통하여 종류별 패션 상품에 대한 SNS 언급 빈도 정보가 제1 DB에 저장되고, 상기 저장된 정보로부터 상관관계 분석부가 종류별 패션 상품의 SNS 언급 빈도를 획득하는 단계(S1100);
    상관관계 분석부가 획득된 SNS 언급 빈도가 획득된 종류별 패션상품에 대한 판매량 정보를 제2 DB로부터 획득하는 판매량 정보 획득단계(S1200);
    상관관계 분석부가 제3 DB로부터 종류별 패션상품에 대한 디자인 특징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300);
    상관관계 분석부에서 제4 DB로부터 종류별 패션 상품에 대한 광고 피드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400);
    상관관계 분석부가 상기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종류별 패션 상품의 매출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매출 상관관계 분석단계(S1500);
    디자인 생성부가 상기 매출 상관관계 분석단계의 결과를 기초로 상기 매출이 일정 수준을 넘는 패션 상품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패션상품에 대응되는 디자인의 특징점을 추출하는 디자인 추출단계(S1600);
    디자인 생성부에서 상기 디자인 추출단계에서 추출된 특징점을 기초로 패션상품 디자인을 생성하는 단계(S1700); 및
    상기 패션 상품 디자인을 디스플레이로 전송하는 단계(S1900)를 포함하고,
    상기 디자인 특징점은 의류의 종류, 의류의 색상, 의류의 무늬, 의류의 몸통부의 가로세로 길이 비율, 의류의 암부와 몸통부의 세로 길이 비율 및 의류에 표현된 이미지를 포함하고
    디자인 추출단계에서 상기 디자인 생성부는, 상기 추출된 디자인 특징점 및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키워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패션 상품 디자인을 생성하는 것이며
    상기 광고 피드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에서 제4 DB에 저장된 피드백 정보는 종류별 패션상품에 따라 랜덤하게 광고 화면이 사용자에게 노출되면, 사용자가 광고 화면을 터치 또는 클릭하여 광고에 따른 웹 페이지로 접속하면 "사용자에게 광고가 노출된 빈도"를 분모, "사용자가 광고를 통하여 웹 페이지로 접속한 횟수"를 분자로 하여 100을 곱한 백분율 값을 광고 피드백 정보로 저장되는 것이고,
    상기 판매량 정보 획득단계에서 판매량 및 매출 기준으로 상위 20% 상품, 하위 20% 상품을 특정하고, 특정된 패션상품이 의류인 경우 의류의 색상, 몸통부 가로세로 길이 비율, 암부와 몸통부의 세로길이 비율 및 모자 유무에 대한 평균 값을 생성하고, 상기 평균 값과 상기 상위 20%의 상품 및 하위 20%의 상품에 대한 디자인 특징점을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특징점과 상기 판매량 및 매출 값과 평균 값과 비교 분석하는 것이고,
    상기 패션 상품 디자인을 생성하는 단계는 추출된 디자인 특징점들과 미리 정해진 패션 상품 디자인에 대한 각 기본 디자인을 조합하여 새로운 패션 상품 디자인을 생성하고,
    상기 새로운 패션 상품 디자인 생성에서, 디자인 생성부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입력된 키워드가 상기 추출된 디자인의 특징점과 중복되는 속성의 특징점을 가지는 경우, 미리 저장된 패션 상품 디자인에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 정보에 포함되는 특징점을 조합하여 새로운 패션 상품 디자인을 생성하고, 상기 입력된 키워드가 상기 추출된 디자인의 특징점과 중복되지 않는 속성의 특징점을 가지는 경우, 추출된 디자인 특징점과 함께 입력된 키워드 정보를 미리 저장된 패션 상품 디자인에 조합하여 새로운 패션 상품 디자인을 생성하는 것인
    패션 트렌드 및 광고 피드백에 따른 패션 상품 디자인 생성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류별 패션 상품은 여름용 패션 상품, 겨울용 패션 상품 및 사계절용 패션 상품을 포함하고,
    상기 여름용 패션 상품은 향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원단으로 제작된 것인,
    패션 트렌드 및 광고 피드백에 따른 패션 상품 디자인 생성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류별 패션 상품은 여름용 패션 상품, 겨울용 패션 상품 및 사계절용 패션 상품을 포함하고,
    상기 겨울용 패션 상품은 정전기 방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원단으로 제작된 것인,
    패션 트렌드 및 광고 피드백에 따른 패션 상품 디자인 생성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류별 패션 상품은 여름용 패션 상품, 겨울용 패션 상품 및 사계절용 패션 상품을 포함하고,
    상기 사계절용 패션 상품은 향균 조성물 및 정전기 방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원단으로 제작된 것인,
    패션 트렌드 및 광고 피드백에 따른 패션 상품 디자인 생성 방법.
  8. 삭제
  9. 삭제
  10.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1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0200173548A 2020-12-11 2020-12-11 패션 트렌드 및 광고 피드백에 따른 패션 상품 디자인 및 광고 생성 시스템 및 방법 KR102528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548A KR102528652B1 (ko) 2020-12-11 2020-12-11 패션 트렌드 및 광고 피드백에 따른 패션 상품 디자인 및 광고 생성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548A KR102528652B1 (ko) 2020-12-11 2020-12-11 패션 트렌드 및 광고 피드백에 따른 패션 상품 디자인 및 광고 생성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3373A KR20220083373A (ko) 2022-06-20
KR102528652B1 true KR102528652B1 (ko) 2023-05-03

Family

ID=82257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3548A KR102528652B1 (ko) 2020-12-11 2020-12-11 패션 트렌드 및 광고 피드백에 따른 패션 상품 디자인 및 광고 생성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865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168B1 (ko) * 2011-09-08 2012-12-31 한종희 물세탁 가능한 실크 원단 제조 방법 및 그 원단을 이용한 넥타이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4189B1 (ko) 2012-10-30 2015-06-01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류디자인 개발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의류디자인 개발 방법
KR20190097615A (ko) * 2018-02-12 2019-08-21 신기영 디자인 관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조 수량을 결정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90131268A (ko) * 2018-05-16 2019-11-26 재단법인 한국패션유통정보연구원 디자인 크리에이터와 프로슈머가 참여하는 패션 디자인 커스터마이징 시스템
KR20200084425A (ko) * 2018-12-24 2020-07-13 주식회사 포티스 신경망을 이용한 패션 디자인 지원을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228923B1 (ko) * 2019-05-23 2021-03-18 주식회사 어바옷 의류 제작 의뢰용 작업 의뢰 장치
KR102211400B1 (ko) * 2019-11-08 2021-02-03 송우상 이미지/텍스트 기반 디자인 생성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168B1 (ko) * 2011-09-08 2012-12-31 한종희 물세탁 가능한 실크 원단 제조 방법 및 그 원단을 이용한 넥타이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3373A (ko) 202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zabri et al. Traditional and modern uses of saffron (Crocus sativus)
Bajaj et al. Effect of incorporation of mint on texture, colour and sensory parameters of biscuits
Gurung et al. Power and provocativeness: The effects of subtle changes in clothing on perceptions of working women
Arenas et al. Ethnobotanical, micrographic and pharmacological features of plant-based weight-loss products sold in naturist stores in Mexico City: the need for better quality control
KR102528652B1 (ko) 패션 트렌드 및 광고 피드백에 따른 패션 상품 디자인 및 광고 생성 시스템 및 방법
CN105255589A (zh) 添加牡丹腈的洗涤剂香精
Dupare et al. Origin, domestication, introduction and success of soybean in India
CN108451864A (zh) 一种具有抑菌止痒和护发修复功能的黄精氨基酸洗发水
Somner et al. A new species of Cupania sect. Trigonocarpus (Sapindaceae) from Brazil
CN108175126A (zh) 一种用于雪茄风格加热不燃烧卷烟产香段的香原料及其制备方法
Hassan et al. Contact dermatitis in saffron workers: clinical profile and identification of contact sensitizers in a saffron-cultivating area of Kashmir Valley of North India
KR101495056B1 (ko) 천연 레몬그라스의 향취를 재현한 피부 자극이 없는 인공향료조성물
CN102697018A (zh) 一种调配型鸡肉水状香精及其制备方法
CN108078794A (zh) 一种含精油粒子的护肤组合物、其制备方法及一种面膜贴
Ameh et al. Herbal drug regulation illustrated with Niprifan® antifungal phytomedicine
Vallepu et al. Kalanchoe dineshii (Crassulaceae), an addition to the flora of Andhra Pradesh, India
Trisha et al. Regulatory Framework for Flavors and Fragrances: Comprehensive Suggestive Guidelines
KR102479171B1 (ko) 화장품 테스트용 뷰티 미러
Mineiro et al. Phytoseiid mites (Acari: Phytoseiidae) found in soil and litter from Atibaia, State of São Paulo, Brazil, with description of two new species
Lim et al. Solanum mammosum
Liu Scented Protection: Saffron's Transcultural Premodern History
Sera et al. Peatland Coffee: Potential Export Commodity from Dayak’s Land
Petek et al. WINE TOURISM AS A TYPE OF WELL-BEING TOURISM–
Llamera Enhancing processing capability of indigenous people in Albay [Philippines] using sweet potato plus food products
Yudina et al. Application of natural flavors in specialized food products: selection criter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