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9171B1 - 화장품 테스트용 뷰티 미러 - Google Patents

화장품 테스트용 뷰티 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9171B1
KR102479171B1 KR1020200175938A KR20200175938A KR102479171B1 KR 102479171 B1 KR102479171 B1 KR 102479171B1 KR 1020200175938 A KR1020200175938 A KR 1020200175938A KR 20200175938 A KR20200175938 A KR 20200175938A KR 102479171 B1 KR102479171 B1 KR 102479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user
carbon atoms
unit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5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5940A (ko
Inventor
이현섭
박상민
손병수
김명식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75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9171B1/ko
Publication of KR20220085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5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5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for selecting or displaying personal cosmetic colours or hairsty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2Mirrors used as equip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72Means for inserting a foreground image in a background image, i.e. inlay, outla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2044/007Devices for determining the condition of hair or skin or for selecting the appropriate cosmetic or hair treat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being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72Means for inserting a foreground image in a background image, i.e. inlay, outlay
    • H04N2005/2726Means for inserting a foreground image in a background image, i.e. inlay, outlay for simulating a person's appearance, e.g. hair style, glasses, clot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 테스트용 뷰티 미러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얼굴 부위를 인식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를 적용한 예상 모습을 나타냄으로써 화장품을 테스트할 수 있다. 또한, 거울 표면에 코팅층을 포함하여 정전기 발생 및 먼지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장품 테스트용 뷰티 미러{BEAUTY-MIRROR FOR COSMETIC TESTING}
본 발명은 뷰티 미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거울에 표출되는 화면을 통해 화장품을 테스트할 수 있으며, 거울 표면의 정전기 발생 및 먼지부착을 방지할 수 있는 뷰티 미러에 관한 것이다.
근래, 현대인들의 외모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으로 인하여 화장품 시장 또한 지속적으로 판매가 증가하고 있다.
다수의 보고서에서 국내 화장품 시장은 계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이는 현대인들의 지속적인 외모의 관심과 더불어 온라인 채널이라는 접근성 좋은 채널의 고 성장으로 인한 소비량 증가가 더해져 국내 화장품 시장이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가게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러한 화장품 시장이 더욱 성장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소비 형태와 시대의 변화에 맞춰 대응해야 하는데 그 중에 하나가 화장품 소비 트렌드의 '옴니채널'이다.
이는 IT의 무궁한 발전에 따라 온라인과 오프라인 시장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상생 형태로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오프라인을 방문해 제품을 체험한 뒤 온라인에서 구매하거나 온라인에서 구매한 뒤 오프라인에서 확정하는 등의 방식을 뜻한다.
이는 오프라인 점포만이 존재하던 과거와 달리 현재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상생관계를 유지하며 고객중심의 유기적 채널을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정보화 시대에 맞게 소비자들은 온라인에서 다양한 방식을 통해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굳이 오프라인 매장을 갈 필요가 없으며 온라인에서 쉽고 편하게 화장품을 구매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이는 온/오프라인에서 다양하고 질 좋은 정보를 얼만큼 쉽게 제공하느냐가 소비자의 구매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음을 뜻한다.
현재 많은 화장품 오프라인 매장들이 화장품을 개봉해 놓은 상태로 소비자들에게 시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테스트 상품은 여러 사람의 손을 거치므로 오염될 가능성이 매우 크고, 새롭게 테스트 제품을 교체하여야 하는 관리의 어려움과 실제 판매되는 화장품을 테스트 제품으로 진열해야 하므로 매장 측에서는 손해가 될 수 있다.
또한, 2020년은 코로나 펜데믹 사태로 인해 세계적으로 많은 변화를 겪었으며 현재에도 수많은 사망자가 발생하는 등 여전히 큰 영향을 끼치고 있음에 따라, 비대면/비접촉으로 화장품 테스트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감염병 전파를 예방하고 나아가 샘플로 인한 낭비, 쓰레기 발생 및 매장의 지출부담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최근 급격히 증가하는 부동산가격으로 인해 부담이 큰 오프라인 매장에서 탈피하여, 온라인 시장으로의 확장을 통해 원하는 제품을 언제 어디서든 테스트할 수 있는 화장품 테스트가 가능한 제품 개발이 요구되어진다.
KR 10-2016-0008119 A KR 10-2017-0090057 A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고, 사용자가 테스트하려는 얼굴 부위, 화장품 품목 및 색상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정보를 인식된 얼굴에 적용하여 예상 모습을 제공함에 따라 화장품 테스트가 가능한 뷰티 미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장품 테스트용 뷰티 미러 표면에 코팅층을 포함하여 정전기 발생 및 먼지부착을 방지할 수 있는 뷰티 미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테스트용 뷰티 미러는 사용자의 얼굴을 실시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로 촬영된 사용자의 실시간 얼굴이 화면으로 출력되는 제1 본체부; 상기 사용자가 테스트하려는 얼굴 부위, 화장품 품목 및 색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선택 화면을 제공하는 제2 본체부; 및 화장품 사이트로부터 화장품 품목 정보 및 색상 정보를 수득하여 제2 본체부로 제공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부로 실시간 촬영된 사용자의 얼굴 부위에 상기 제2 본체부에서 선택된 정보에 따라 화장품이 적용되고, 상기 화장품의 적용에 따른 예상 모습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본체부는 거울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실시간 얼굴 또는 화장품 적용에 따른 예상 모습이 출력되는 화면부; 및 전원부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면부는 강화 유리; 상기 강화유리 후면에 장착되는 하프 미러 필름; 상기 하프 미러 필름 후면에 장착되는 액정표시장치; 상기 액정표시장치 후면에 장착되는 아크릴판; 및 외곽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외곽프레임은 상기 강화유리; 하프 미러 필름; 액정 표시 장치 및 아크릴판을 상, 하, 좌, 우에서 고정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본체부는 화면 터치가 가능한 터치부; 및 전원부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본체부의 화면부 및 제2 본체부의 터치부 표면에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본체부는 전면 하단에 통신부로부터 제공받는 광고 사진 또는 광고 영상을 게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뷰티 미러의 화장품 테스트 방법은 카메라로 촬영된 사용자의 얼굴이 제1 본체부에 출력되고, 상기 촬영된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여 얼굴 부위 정보를 습득하는 단계; 제2 본체부를 통해 사용자가 테스트하려는 얼굴 부위, 상기 선택된 얼굴 부위에 따른 화장품 품목 및 색상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정보를 상기 제1 본체부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정보를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얼굴 부위에 적용한 예상 모습을 제1 본체부 화면에 도출 및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식물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통상의 실시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테스트용 뷰티 미러는 사용자의 얼굴을 실시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로 촬영된 사용자의 실시간 얼굴이 화면으로 출력되는 제1 본체부; 상기 사용자가 테스트하려는 얼굴 부위, 화장품 품목 및 색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선택 화면을 제공하는 제2 본체부; 및 화장품 사이트로부터 화장품 품목 정보 및 색상 정보를 수득하여 제2 본체부로 제공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부로 실시간 촬영된 사용자의 얼굴 부위에 상기 제2 본체부에서 선택된 정보에 따라 화장품이 적용되고, 상기 화장품의 적용에 따른 예상 모습이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도 1은 본 발명의 화장품 테스트용 뷰티 미러 시스템(100)의 상세 구성도이다.
하기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화장품 테스트용 뷰티 미러 시스템(100)의 상세 구성은 제1 본체부(110), 제2 본체부(120), 통신부(130), 카메라부(140), 제1 전원부(111) 및 제2 전원부(121)로 구성된다.
보다 자세하게, 제1 본체부(110)는 일반적으로 거울로도 사용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화장품 테스트를 진행하고자 할 때에는 사용자가 제2 본체부(120)에서 선택한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얼굴 부위에 화장품을 적용하여, 예상되는 모습을 제1 본체부(110) 전면에 나타낼 수 있다.
제2 본체부(120)는 사용자가 테스트하려는 얼굴 부위를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선택된 얼굴 부위에 적용하고자 하는 화장품 품목 및 색상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선택 화면을 나타낼 수 있는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본체부(120)는 제1 본체부(110)와 별도로 구성되며,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통신부(130)는 화장품 품목 정보 및 색상 정보를 제공하는 화장품 사이트(200)에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광고 사진 또는 광고 영상 등 각종 광고와 관련한 정보를 수득하여 제1 본체부(11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30)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Wi-Fi) 통신부, 지그비 (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Wide 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신부(130)는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카메라부(140)는 일반적인 카메라가 적용될 수 있으며, 제1 본체부(110) 상단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이외에도 제1 본체부(110) 상단에 결합되어 일체형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카메라의 위치는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카메라부(140)는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할 수 있으며, 촬영된 사용자의 얼굴을 제1 본체부(110)에 실시간 제공한다.
상기 제1 본체부는 거울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실시간 얼굴 또는 화장품 적용에 따른 예상 모습이 출력되는 화면부; 및 전원부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제1 본체부(110)는 평상시에는 거울로 사용이 가능하고, 화장품 테스트를 진행하고자 할 때에는 실시간 얼굴 또는 화장품 적용에 따른 예상 모습을 출력하여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제1 본체부(110)는 제2 본체부(120)과 분리된 구성으로, 각 본체부 마다 별개의 전원부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본체부의 전원부는 제1 전원부(111)로, 제1 본체부 상, 하, 좌, 우를 포함하여 통상의 기술자가 구성하고자 하는 위치에 전원부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화면부는 강화 유리; 상기 강화유리 후면에 장착되는 하프 미러 필름; 상기 하프 미러 필름 후면에 장착되는 액정표시장치; 상기 액정표시장치 후면에 장착되는 아크릴판; 및 외곽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외곽프레임은 상기 강화유리; 하프 미러 필름; 액정 표시 장치 및 아크릴판을 상, 하, 좌, 우에서 고정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면부는 제1 본체부 전면을 보호하기 위한 강화유리, 상기 강화유리 후면에 장착되어 적어도 일부가 투과될 수 있는 하프 미러 필름, 상기 하프 미러 필름 후면에 장착되어 하프 미러 필름 전방으로 화면을 투사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 후면에 장착되어 제1 본체부 후면을 보호하기 위한 아크릴판 및 외곽프레임을 포함하는 구성이며, 상기 외곽프레임은 상기 강화유리, 하프 미러 필름, 디스플레이 및 아크릴 판을 상, 하, 좌, 우에서 고정시키는 외곽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원발명에서 제1 본체부 전면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는 강화유리는 모양에 따라 평면강화유리 및 곡면강화유리로 나뉘고, 상기 평면 강화유리는 재료 판유리 종류에 따라 무늬강화유리, 플로트 강화유리 및 열선 반사 강화유리로 세분화 되어 구분된다.
본원발명에 사용되는 강화유리로는 상기 기재된 종류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사용할 수 있는 모든 크기, 형태 및 재료를 포함한다.
상기 하프 미러 필름은 사용자의 모습을 반사하여 비춰주며, 투과기능을 가질 수 있어, 후방에 위치한 디스플레이로 출력되는 화면을 하프 미러 필름 전면에 나타날 수 있으며, 비전도 PET 적층방식 하프미러 필름, 전도성 알루미늄 롤투롤 증착방식 하프미러 필름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제1 본체부(110)의 상부에 위치한 카메라부(14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받아 전면에 실시간 촬영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화면 표시 장치로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LED(Light emitting diode),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LCD로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기재된 화면 표시 장치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원발명에서 제1 본체부의 화면부 후면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는 아크릴 판은 캐스팅 신재 아크릴, 캐스팅 재생 아크릴, 케미글라스, 압출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사용할 수 있는 모든 크기, 형태 및 재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외곽 프레임은 본원발명에서 제1 본체부 화면부의 구성인 강화유리, 하프 미러 필름, 디스플레이 및 아크릴판을 상, 하, 좌, 우에서 고정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외곽프레임의 재료로 원목, 알루미늄, 수지, 메탈, 세라믹, 대리석, 유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 본체부는 화면 터치가 가능한 터치부; 및 전원부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본체부(120)는 사용자가 화장품을 테스트 하고자 하는 얼굴 부위, 화장품 품목 및 색상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 화면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상기의 얼굴 부위, 화장품 품목 및 색상을 선택 할 수 있는 화면 터치가 가능한 터치부가 구성되며, 제2 본체부(120)는 제1 본체부(110)과 분리된 구성임에 따라 별도의 제2 전원부(121)가 구성되고, 상기 제2 전원부(121)가 구성되는 그 위치는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2 본체부는 사용자가 화장품을 테스트하려는 얼굴 부위 중 눈썹, 눈, 코, 볼 및 입을 포함하는 군에서 적어도 하나를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기재된 얼굴 부위 이외에도 얼굴 내 화장이 가능한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본체부의 화면부 및 제2 본체부의 터치부 표면에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은 대전방지층으로,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여, 먼지 및 이물질 부착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접착력이 우수해 코팅층의 부착력이 우수하다.
상기 대전방지층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실록산; 그라파이트; 및 전도성필러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20136445458-pat00001
여기서,
m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며,
p는 3 내지 10의 정수이며,
R1 내지 R3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히드록시기, 치환 또는 비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 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치환된 알킬렌기, 치환된 아릴렌기, 치환된 알킬기 및 치환된 아릴기는 수소, 중수소, 시아노기, 니트로기, 할로겐기, 히드록시기,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20개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2 내지 30의 알케닐기, 탄소수 2 내지 24의 알키닐기, 탄소수 7 내지 30의 아르알킬기,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 핵원자수 5 내지 60의 헤테로아릴기, 탄소수 6 내지 30의 헤테로아릴알킬기, 탄소수 1 내지 30의 알콕시기,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아미노기,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아미노기,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르알킬아미노기, 탄소수 2 내지 24의 헤테로 아릴아미노기,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실릴기,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실릴기 및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옥시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복수 개의 치환기로 치환되는 경우 이들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보다 바림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20136445458-pat00002
여기서, m 및 p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상기 그라파이트는 소량 포함되어, 대전방지층 내의 대전 방지 효과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그라파이트는 고가의 전도성 필러인 점을 고려할 때, 본 발명 내의 대전방지층에는 소량 포함되어, 지속적인 대전방지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필러는 실리카, 알루미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나이지만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전도성 필러의 입자 직경은 30 내지 50㎛이지만,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전도성 필러는 전기 전도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대전방지층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실록산; 그라파이트 및 전도성 필러를 포함하여, 대전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폴리실록산은 친수성 부분과 소수성 부분으로 구별된다. 친수성 부분은 비공유 전자쌍을 포함하는 산소 원자에 의해, 물 분자와 수소 결합이 가능하다.
반면, 알킬기는 소수성기로 작용한다. 따라서, 친수성 부분이 대전방지층의 표면으로 위치하게 되고, 소수성 부분이 그 반대로 위치하게 되어, 반영구적인 대전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대전방지층을 형성하기 위한 대전방지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실록산; 그라파이트; 전도성 필러 및 유기용매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는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헥세인, 프로페인, 톨루엔, 페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대전방지 조성물은 유기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실록산 40 내지 80 중량부, 그라파이트 5 내지 10 중량부, 전도성 필러 30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 중량부를 포함하여 대전방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 상기 조성물을 이루는 성분의 상호 작용으로 단순 조합 이상의 대전 방지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대전방지층을 형성하기 위한 대전방지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실록산; 그라파이트; 전도성 필러; 유기용매에 천연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천연추출물은 개별꽃 추출물, 개감채 추출물, 자주개자리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개별꽃(Krascheninikovia coreana Nakai)은 쌍떡잎식물 중심자목 석죽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미치광이풀 및 섬개별꽃으로도 불리며, 신갈나무 숲 또는 그 자장자리에 자라고, 잎은 마주나기하며 윗부분의 잎이 특히 커지지 않고 거꿀피침모양이며 길이 10~40mm, 폭 2~4mm로서 예두이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처럼 된다. 꽃은 5월에 피며 꽃자루는 길이 2~3cm로서 한쪽에 털이 줄지어 돋고 1개의 백색 꽃이 위를 향해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5개이며 꽃잎도 5개로서 거꿀달걀모양이고 길이 6mm이며 원두 또는 둔한 절두이다. 수술은 10개이고 꽃밥은 황색이며 씨방에 3개로 갈라진 암술대가 있고 지면 가까이에 닫힌꽃이 몇 개씩 달리며 대가 있다. 삭과는 난상 원형이고 3개로 갈라져서 세립 종자를 산출한다. 원줄기는 1~2개씩 나오고 높이 8~12cm로서 줄로 돋은 털이 있으며 가늘고 길며 곧게 선다. 방추형의 덩이뿌리가 1~2개씩 달린다. 뿌리를 태자삼이라 한다.
상기 개감채(Lloydia serotina (L.) Rchb.)는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와판화, 두메무릇 및 산무릇으로도 불리며, 높은 산의 암석지에 자라고, 근생엽은 보통 2개씩 달리며 길이 7~20cm, 폭 1mm 정도로서 선형이다. 줄기잎은 2~4장이 달리고 선형이며 길이 4~35mm로서 끝이 둔하고 가장자리가 위로 말리며 위쪽의 것일수록 작다. 화경은 길이 7~15cm로서 2~4개의 잎이 달린다. 꽃은 7월에 피고 넓은 종 같으며 길이 10~13mm, 지름 1.5cm 정도이고, 화피열편은 6개로서 거의 비슷하며 긴 타원형이고 백색이지만 뒷면의 맥이 때로 자줏빛이 돈다. 수술은 6개로서 화피 길이의 1/2정도이며 꽃밥은 타원형이고 아래쪽으로 수술대에 붙는다. 씨방은 타원형이며 암술대는 길이 2~2.5mm로서 씨방보다 짧고 암술머리는 희미하게 3개로 갈라진다. 삭과로 갈색이고 길이 6~7mm로서 넓은 거꿀달걀모양이다. 비늘줄기는 원주형이고 외피는 연한 황갈색이다.
상기 자주개자리(Medicago sativa L.)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알팔파로도 불리며, 한반도 북부 및 중부에 분포하고 잎은 어긋나기하며 우상 3출엽이고 소엽은 거꿀피침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며 주맥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예저이고 길이 2-3cm, 넓이 6-10mm로서 윗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으며 윗면에 털이 거의 없고 뒷면에 털이 복생한다. 탁엽은 피침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총상꽃차례는 액생하며 화경이 있고 꽃은 7-8월에 피며 접형화는 길이 7-8mm로서 연한 자주색이고 포는 침형이다. 꽃받침은 길이 5-6mm이며 열편은 종형으로서 판통보다 길다. 협과는 나선상으로 2-3회로 말리며 털이 있고 여러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종자는 신형으로서 작고 황갈색이다. 줄기는 곧추서거나 비스듬히 자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털이 거의 없고 속이 비어있다. 원뿌리는 원주형이며 땅속에 깊이 자란다.
바람직하게 상기 대전방지 조성물은 유기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실록산 40 내지 80 중량부, 그라파이트 5 내지 10 중량부, 전도성 필러 30 내지 50 중량부, 개별꽃 추출물 5 내지 10 중량부, 개감채 추출물 5 내지 10 중량부 및 자주개자리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구성 성분의 상호 작용에 의한 대전 방지 상승효과가 소폭 더 향상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대전 방지 효과가 미미하거나 향상되지 않을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대전방지 조성물의 점도는 1,200 내지 1,500cP이며, 상기 점도가 1,200cP 미만인 경우에는 일면에 코팅 시 흘러내려 대전방지층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고, 1,500cP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균일한 대전방지층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상기 제1 본체부의 화면부 전면 하단에 통신부로부터 제공 받는 광고 사진 또는 광고 영상을 게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본체부(110)의 화면부는 사용자의 실시간 얼굴이 화면으로 출력되는 동시에, 화면부 전면 하단에 광고를 게시할 수 있다.
상기 광고는 통신부(130)로부터 제공되는 것으로, 통신부(130)는 네트워크(인터넷 혹은 로컬 영역 네트워크)에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광고 데이터를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수득된 광고 데이터는 광고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광고 데이터 베이스는 통신부(130) 내부에 포함되어 구축되거나, 별도의 외부 데이터 베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고는 광고주에 의해 등록된 광고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뷰티 미러의 화장품 테스트 방법은 카메라로 촬영된 사용자의 얼굴이 제1 본체부에 출력되고, 상기 촬영된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여 얼굴 부위 정보를 습득하는 단계; 제2 본체부를 통해 사용자가 테스트하려는 얼굴 부위, 상기 선택된 얼굴 부위에 따른 화장품 품목 및 색상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정보를 상기 제1 본체부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정보를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얼굴 부위에 적용한 예상 모습을 제1 본체부 화면에 도출 및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하기 도 2는 상기 뷰티 미러 화장품 테스트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기 도 2와 같이 사용자가 화장품 테스트를 시작하면, 제1 본체부(110) 전면 상단에 위치한 카메라부(140)로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제1 본체부에 출력되며, 상기 촬영된 얼굴을 인식하여 얼굴 부분에 관한 정보를 습득(S10)한다. 이후, 제2 본체부(120)를 통해 사용자는 화장품을 테스트하려는 얼굴 부위를 선택(S20)하고, 통신부(130)로부터 제공된 화장품 품목을 선택(S30)한 후, 품목 내에서 원하는 색상을 선택(S40)한다. 이후, 제2 본체부(120)에서 선택된 정보를 인식된 얼굴에 적용한 예상 모습을 도출한 화면이 제1 본체부 전면으로부터 제공(S50)되어 테스트하려는 얼굴 부위에 선택한 화장품을 정확하게 테스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 테스트용 뷰티 미러에 의하면 사용자의 얼굴 부위를 인식하고, 사용자가 테스트하려는 얼굴 부위, 화장품 품목 및 색상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정보를 인식된 얼굴에 적용하여 예상 모습을 제공할 수 있으며, 화장품 테스트용 뷰티 미러 표면에 코팅층을 도포하여 정전기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먼지 등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장품 테스트용 뷰티 미러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테스트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1: 대전 방지 코팅층의 제조]
1. 코팅 조성물의 제조
톨루엔 및 페놀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유기 용매에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폴리실록산, 전도성 필러 및 그라파이트를 혼합하여, 대전방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2]
Figure 112020136445458-pat00003
여기서, m은 10 내지 30의 정수이며, p는 3 내지 5의 정수이다.
상기 대전방지 조성물의 보다 구체적인 조성은 하기 표 1와 같다.
SC1 SC2 SC3 SC4 SC5 SC6
유기용매 100 100 100 100 100 100
폴리실록산 20 30 40 60 80 100
알루미나 10 20 30 40 50 60
그라파이트 1 3 5 7 10 15
(단위 중량부)
상기 알루미나는 입자 직경이 30 내지 50㎛이다.
2. 코팅층의 제조
제1 본체부 강화유리 일면에 상기 SC1 내지 SC6의 대전방지 조성물을 도포한 후, 열 경화 시켜 대전방지층(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실험예 1: 코팅층에 의한 대전방지 효과 실험]
1. 점도 측정
제1 본체부의 강화유리 일면에 대한 대전방지층을 형성하기 전, 대전방지 조성물의 점도를 측정하였다. 점도 측정은 레오미터(Rheometer, Compac-100, Sun Sci. Co., Japan)를 이용하였다. 점도 측정 결과는 하기 표 2과 같다.
SC1 SC2 SC3 SC4 SC5 SC6
점도(cP) 620 800 1250 1350 1500 2000
(단위 : cP)
2. 표면 전기 저항 측정
제1 본체부의 강화유리 일면에 SC1 내지 SC6의 대전방지층이 형성된 코팅층에 대해, Resistance Meter SIMCO 저항기 ST-4(25℃, 상대습도 50%)를 이용하여 표면전기저항을 측정하였다.
비교예로, 대전방지층이 형성되지 않은 제1 본체부의 강화유리 일면(비교예 1)에 표면전기저항도 함께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비교예1 SC1 SC2 SC3 SC4 SC5 SC6
표면전기저항
(Ω/cm2)
7.4Х1010 내지
1.6×1012
6.4Х109 내지
1.4×1010
1.4Х109 내지
1.6×1010
7.2Х108 내지
6.1×109
4.4Х107 내지
2.1×108
6.5Х107 내지
4.5×108
5.8Х108 내지
7.8×108
(단위 : Ω/cm2)
대전방지층이 형성되지 않은 비교예에 비해, SC1 내지 SC6의 표면전기저항이 낮으므로, 전기전도도가 우수하여, 우수한 대전방지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3. 표면 외관에 대한 평가
대전방지 조성물의 점도 차이로 인해, 코팅층을 제조한 이후, 균일한 표면이 형성되었는지 여부에 대해 관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균일한 코팅층을 형성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고, 하기와 같은 기준에 의해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 균일한 코팅층 형성
×: 불균일한 코팅층의 형성
SC1 SC2 SC3 SC4 SC5 DY6
관능 평가 Х Х Х
결과적으로, 코팅층을 형성할 때, 일정 점도 미만인 경우에는 거울의 표면에서 흐름이 발생하여,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어려운 경우가 다수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생산수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점도가 너무 높은 경우에도, 조성물의 균일 도포가 어려워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불가하였다.
또한, 상기 대전방지 조성물은 유기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폴리실록산 40 내지 80 중량부, 전도성 필러 30 내지 50 중량부 및 그라파이트 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경우 각 구성 성분의 상호 작용에 의한 대전 방지 상승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다.
[제조예 2: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전 방지 코팅층의 제조]
상기 대전 방지 조성물에 대해 천연추출물을 포함하여 대전 방지 효과 증감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천연 추출물을 제조 후, 실험예 1에서 대전방지효과가 가장 우수했던 SC4 조성물에 천연추출물을 추가하여 대전 방지 조성물로 제조하였다.
1. 개별꽃 추출물의 제조
개별꽃 잎을 세척 및 건조한 후, 믹서기로 분쇄하여 분말로 제조하였다. 분말 시료를 추출 용매인 30% 에탄올에 침지하여 24시간 동안 상온에 방치한 후 추출액을 수득하는 과정을 2회 반복하였다. 수득한 추출액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감압 여과하고, 여과된 추출액을 진공 회전 농축기로 농축하여 용매 성분을 제거한 개별꽃 추출물(PE)을 수득하였다.
2. 기타 천연 추출물의 제조
상기 개별꽃 추출물(PE)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개감채 추출물(LE) 및 자주개자리 추출물(ME)을 제조하였다.
3. 코팅 조성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되며, 천연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여 하기 표 5과 같은 조성으로 대전 방지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SC7 SC8 SC9 SC10 SC11
유기용매 100 100 100 100 100
폴리실록산 60 60 60 60 60
알루미나 40 40 40 40 40
그라파이트 7 7 7 7 7
개별꽃 추출물(PE) 1 3 5 7 10
개감채 추출물(LE) 1 3 5 7 10
자주개자리 추출물(ME) 0.1 0.5 1 3 5
(단위 중량부)
4. 코팅층의 제조
제1 본체부의 강화 유리 일면에 대전방지 조성물(SC7 내지 SC11)을 도포한 후, 열경화 시켜 대전방지층(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실험예 2: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코팅층에 의한 대전방지 효과 실험]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코팅 조성물에 대하여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점도 측정 평가, 표면 전기 저항 측정 평가 및 표면 외관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6 내지 표 8에 나타내었다.
점도 측정
점도 측정 결과는 하기 표 6과 같다.
SC7 SC8 SC9 SC10 SC11
점도(cP) 1250 1300 1370 1450 1490
(단위 : cP)
표면 전기 저항 측정
제1 본체부의 강화유리 일면에 SC7 내지 SC11의 대전방지층이 형성된 코팅층에 대해, Resistance Meter SIMCO 저항기 ST-4(25℃, 상대습도 50%)를 이용하여 표면전기저항을 측정하고, 비교예로 상기 실험예1의 SC4의 대한 표면전기저항 값을 지수 5로 하여 SC7 내지 SC11의 표면전기저항 정도를 지수 1 내지 10으로 나타내었다. 상기 지수 값은 숫자가 클수록 표면전기저항 값이 높은 것을 나타낸다.
SC4 SC7 SC8 SC9 SC10 SC11
표면전기저항
(Ω/cm2)
5 4 3 2 2 4
(단위 : Ω/cm2)
상기 표 7에 따르면, SC4의 표면전기저항 값보다 SC7 내지 SC11의 표면전기저항 측정값이 낮아, 전기전도도가 높아 우수한 대전방지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특히, 바람직한 중량부의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SC8 내지 SC10의 경우, 표면전기저항 값이 더욱 낮아 전기전도도가 보다 더 우수하여 대정방지효과가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표면 외관 평가
대전방지 조성물의 점도 차이로 인해, 코팅층을 제조한 이후, 균일한 표면이 형성되었는지 여부에 대해 관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균일한 코팅층을 형성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고, 하기와 같은 기준에 의해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 균일한 코팅층 형성
×: 불균일한 코팅층의 형성
SC7 SC8 SC9 SC10 SC11
관능 평가
상기 표 8에 의하면, 바람직한 점도 즉, 1200cP 내지 1500cP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강화유리 일면에서 균일한 코팅층이 형성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제2 본체부의 디스플레이 일면에 상기와 같은 실험을 동일하게 진행한 결과, 상기 강화유리 일면에 코팅 조성물을 도포하여 진행한 실험 결과와 유사한 정도의 대전 방지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코팅층 형성 시 일정 점도 미만이거나 초과하는 경우, 불균일한 코팅층이 형성됨을 확인하였으며,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전 방지 코팅 조성물인 SC7 내지 SC11의 경우, 점도, 표면 전기 저항 및 표면 외관에 대한 평가 모두 우수하였고, 바람직한 중량부의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경우 코팅 조성물의 대전방지효과가 더욱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즉, 상기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전방지 조성물은 유기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폴리실록산 40 내지 80 중량부, 전도성 필러 30 내지 50 중량부, 그라파이트 5 내지 10 중량부, 개별꽃 추출물 5 내지 10 중량부, 개감채 추출물 5 내지 10 중량부 및 자주개자리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SC8 내지 SC10의 경우 각 구성 성분의 상호 작용에 의한 대전 방지 상승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화장품 테스트용 뷰티 미러 시스템
110 : 제1 본체부
111 : 제1 전원부
120 : 제2 본체부
121 : 제2 전원부
130 : 통신부
131 : 데이터 베이스 부
140 : 카메라부
200 : 화장품 사이트

Claims (7)

  1. 사용자의 얼굴을 실시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로 촬영된 사용자의 실시간 얼굴이 화면으로 출력되는 제1 본체부;
    상기 사용자가 테스트하려는 얼굴 부위, 화장품 품목 및 색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선택 화면을 제공하는 제2 본체부; 및
    화장품 사이트로부터 화장품 품목 정보 및 색상 정보를 수득하여 제2 본체부로 제공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제1 본체부 및 제2 본체부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코팅층은 대전방지층이며,
    상기 대전방지층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실록산, 그라파이트, 전도성 필러, 유기용매,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천연 추출물은 개별꽃 추출물, 개감채 추출물 및 자주개자리 추출물이며,
    상기 카메라부로 실시간 촬영된 사용자의 얼굴 부위에 상기 제2 본체부에서 선택된 정보에 따라 화장품이 적용되고, 상기 화장품의 적용에 따른 예상 모습이 제공되는
    화장품 테스트용 뷰티 미러 :
    Figure 112022082447283-pat00006

    여기서,
    m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며,
    p는 3 내지 10의 정수이며,
    R1 내지 R3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히드록시기, 치환 또는 비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치환된 알킬렌기, 치환된 아릴렌기, 치환된 알킬기 및 치환된 아릴기는 수소, 중수소, 시아노기, 니트로기, 할로겐기, 히드록시기,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20개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2 내지 30의 알케닐기, 탄소수 2 내지 24의 알키닐기, 탄소수 7 내지 30의 아르알킬기,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 핵원자수 5 내지 60의 헤테로아릴기, 탄소수 6 내지 30의 헤테로아릴알킬기, 탄소수 1 내지 30의 알콕시기,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아미노기,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아미노기,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르알킬아미노기, 탄소수 2 내지 24의 헤테로 아릴아미노기,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실릴기,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실릴기 및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옥시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복수 개의 치환기로 치환되는 경우 이들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부는
    사용자의 실시간 얼굴 또는 화장품 적용에 따른 예상 모습이 출력되는 화면부; 및
    전원부로 구성되며,
    상기 화면부는
    강화 유리;
    상기 강화유리 후면에 장착되는 하프 미러 필름;
    상기 하프 미러 필름 후면에 장착되는 액정표시장치;
    상기 액정표시장치 후면에 장착되는 아크릴판; 및
    외곽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외곽프레임은 상기 강화유리; 하프 미러 필름; 액정 표시 장치 및 아크릴판을 상, 하, 좌, 우에서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기 하프 미러 필름은 사용자의 모습을 반사하여 비추어 줄 수 있어, 제 1 본체부가 거울로도 사용이 가능한 것인
    화장품 테스트용 뷰티 미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본체부는
    화면 터치가 가능한 터치부; 및
    전원부로 구성되는
    화장품 테스트용 뷰티 미러.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부는 전면 하단에 통신부로부터 제공받는 광고 사진 또는 광고 영상을 게시할 수 있는
    화장품 테스트용 뷰티 미러.
  7. 카메라로 촬영된 사용자의 얼굴이 제1 본체부에 출력되고,
    상기 촬영된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여 얼굴 부위 정보를 습득하는 단계;
    제2 본체부를 통해 사용자가 테스트하려는 얼굴 부위, 선택된 얼굴 부위에 따른 화장품 품목 및 색상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정보를 상기 제1 본체부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된 정보를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얼굴 부위에 적용한 예상 모습을 제1 본체부 화면에 도출 및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뷰티 미러의 화장품 테스트 방법.
KR1020200175938A 2020-12-16 2020-12-16 화장품 테스트용 뷰티 미러 KR102479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938A KR102479171B1 (ko) 2020-12-16 2020-12-16 화장품 테스트용 뷰티 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938A KR102479171B1 (ko) 2020-12-16 2020-12-16 화장품 테스트용 뷰티 미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940A KR20220085940A (ko) 2022-06-23
KR102479171B1 true KR102479171B1 (ko) 2022-12-19

Family

ID=82221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938A KR102479171B1 (ko) 2020-12-16 2020-12-16 화장품 테스트용 뷰티 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917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89818A (ja) * 2017-05-08 2018-11-29 フクビ化学工業株式会社 画像表示パネル用前面ミラー及びミラーディスプレ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348B1 (ko) * 2014-06-27 2016-10-2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피부 분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661588B1 (ko) 2015-10-26 2016-10-0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피부 분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70090057A (ko) 2016-01-28 2017-08-07 라경진 화장품 테스트 시스템 및 방법
JP2020500611A (ja) * 2016-12-01 2020-01-16 エルジー ハウスホールド アンド ヘルスケア リミテッド カスタマイズ化粧品提供システム及びその動作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89818A (ja) * 2017-05-08 2018-11-29 フクビ化学工業株式会社 画像表示パネル用前面ミラー及びミラーディスプレ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940A (ko) 2022-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amzad A new species of the genus Satureja (Labiatae) from Iran
Luer et al. Miscellaneous new species in the Pleurothallidinae (Orchidaceae)
KR102479171B1 (ko) 화장품 테스트용 뷰티 미러
Nopporncharoenkul et al. Two new species of Kaempferia subgenus Protanthium (Zingiberaceae) from northern Thailand
Jenjittikul et al. Kaempferia albiflora (Zingiberaceae), a new species from Thailand
CN105338954B (zh) 含单甘油酯、单甘油酯的酒石酸酯和包覆填料的稳定的化妆品组合物
BRäUCHLER et al. Aspidistra renatae (Ruscaceae), a new species from central Vietnam
Stauffer et al. Comparative floral structure and systematics of Pelagodoxa and Sommieria (Arecaceae)
De et al. Morphological characterization in Vanda spp
Akinde et al. Yoruba contemporary Gele: A stylistic appraisal
Truong et al. A new record of Bulbophyllum section Aeschynanthoides from Vietnam
Luer et al. Miscellaneous new species in the Pleurothallidinae (Orchidaceae) from Brazil
FENG et al. Taxonomic studies on the genus Reevesia (Malvaceae: Helicteroideae) II: on the identity of R. orbicularifolia and a new species from southwestern Guangxi, China
Das et al. Nomenclatural notes on some Indian species of Memecylon
Raghuvar et al. A new species of Aconitum (Ranunculaceae) from Eastern Himalaya.
Lin et al. Newly discovered native orchids of Taiwan (VI)
Choi et al. A taxonomic revision of Astragalus L.(Fabaceae) in Korea
CN117298010A (zh) 一种珠光弹性眼影及其制备方法
Fichadiya et al. Detailed cyto-anatomy and cytometry of Cassia mimosoides L. leaf-An unexplored plant
Wong et al. A new endemic species of Schismatoglottis (Araceae) from the Philippines
CN103215151A (zh) 矢车菊低刺激护肤香皂
JP2016104731A (ja) 睫毛装飾用化粧料
Lee et al. Rosa laevigata Michx.(Rosaceae): A Newly Alien Plant in Korea
Hyun et al. A new species of Potentilla (Rosaceae): P. baekdusanensis M. Kim
Maji et al. On the occurrence of Carex (Cyperaceae) in the Darjeeling-Sikkim-Himalayan reg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