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0057A - 화장품 테스트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화장품 테스트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0057A
KR20170090057A KR1020160010427A KR20160010427A KR20170090057A KR 20170090057 A KR20170090057 A KR 20170090057A KR 1020160010427 A KR1020160010427 A KR 1020160010427A KR 20160010427 A KR20160010427 A KR 20160010427A KR 20170090057 A KR20170090057 A KR 20170090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ser
cosmetic
module
mirror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0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경진
Original Assignee
라경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경진 filed Critical 라경진
Priority to KR1020160010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0057A/ko
Publication of KR20170090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00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04N5/2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mage Analysi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실시예는 사용자의 실시간 영상을 미러 이미지로 표시하는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 상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실시간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사용자가 화장품을 선택하고 적용하는 모션을 감지하는 감지 모듈, 그리고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의 영상에 대한 상기 미러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감지 모듈로부터의 감지 정보에 따라 상기 미러 이미지를 가공하여 상기 표시 모듈에 제공하는 영상 처리부를 포함하는 화장품 테스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따라서, 현재 사용자의 이미지를 미러 영상처리를 이용하여 제공하고, 정확한 사용자의 민낯 영상을 생성하고, 이에 화장품을 테스트하여 정확한 화장품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립 모션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실제 사용자의 손으로 화장품을 테스트하는 것과 같은 증강현실을 제공하여 현실감을 증대시켜 화장하는 즐거움과 동시에 객관적인 시각자료를 제공하므로 신뢰감 있는 가상 시뮬레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장품 테스트 시스템 및 방법{The cosmetics test system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화장품 테스트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립 모션 컨트롤러 및 미러 이미지 처리를 이용하여 화장품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테스트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이다.
근래, 여성들의 외모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으로 인하여 화장품 시장 또한 지속적으로 판매가 증가하고 있다.
다수의 보고서에서 국내 화장품 시장은 계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이는 여성들의 지속적인 외모의 관심과 더불어 온라인 채널이라는 접근성 좋은 채널의 고 성장으로 인한 소비량 증가가 더해져 국내 화장품 시장이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가게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러한 화장품 시장이 더욱 성장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소비 형태와 시대의 변화에 맞춰 대응해야 하는데 그 중에 하나가 화장품 소비트렌드의 '옴니채널'이다.
이는 IT의 무궁한 발전에 따라 온라인과 오프라인 시장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상생 형태로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오프라인을 방문해 제품을 체험한 뒤 온라인에서 구매하거나 온라인에서 구매한 뒤 오프라인에서 확정하는 등의 방식을 뜻한다.
이는 오프라인 점포만이 존재하던 과거와 달리 현재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상생관계를 유지하며 고객중심의 유기적 채널을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정보화 시대에 맞게 소비자들은 온라인에서 다양한 방식을 통해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굳이 오프라인 매장을 갈 필요가 없으며 온라인에서 쉽고 편하게 화장품을 구매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이는 온/오프라인에서 다양하고 질 좋은 정보를 얼만큼 쉽게 제공하느냐가 소비자의 구매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음을 뜻한다.
현재 많은 화장품 오프라인 매장들이 화장품을 개봉해 놓은 상태로 소비자들에게 시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테스트 상품은 여러 사람의 손을 거치므로 오염될 가능성이 매우 크고, 새롭게 테스트 제품을 교체하여야 하는 관리의 어려움과 실제 판매되는 화장품을 테스트 제품으로 진열해야 하므로 매장 측에서는 손해가 될 수 있다.
온라인 매장 또한, 실제 각각 다른 소비자의 피부색, 얼굴형에 맞춘 아이템을 설명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인터넷 상의 많은 아이템의 정보가 오히려 소비자에게 혼란을 주기도 한다.
본 발명은 미러 영상 처리 및 립 모션 컨트롤러를 통한 화장품 테스트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제공한다.
실시예는 사용자의 실시간 영상을 미러 이미지로 표시하는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 상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실시간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사용자가 화장품을 선택하고 적용하는 모션을 감지하는 감지 모듈, 그리고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의 영상에 대한 상기 미러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감지 모듈로부터의 감지 정보에 따라 상기 미러 이미지를 가공하여 상기 표시 모듈에 제공하는 영상 처리부를 포함하는 화장품 테스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미러 이미지는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영상에서 색조 화장을 제거한 영상일 수 있다.
상기 영상 처리부는 HIS, YCbCr, Haar-like feature 기법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화장품 테스트 시스템은 복수의 화장품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화장품 정보 및 색상 정보를 수득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 모듈은 립 모션 컨트롤러(leap motion controller)일 수 있다.
상기 감지 모듈은 사용자의 원, 넘기기, 키탭 또는 스크린탭을 모션으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감지 정보에 따라 상기 미러 이미지에 선택된 상기 화장품을 적용하여 증강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는 카메라 모듈을 통해 사용자 얼굴의 실시간 영상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의 영상에 대한 미러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여 테스트할 화장품 및 색상의 선택정보를 수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여 선택된 상기 화장품의 적용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적용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미러 이미지를 가공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품 테스트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미러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영상에서 색조 화장을 제거한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단계는 립 모션 컨트롤러(leap motion controller)를 이용하여 상기 모션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립 모션 컨트롤러는 상기 사용자의 원, 넘기기, 키탭 또는 스크린탭을 모션으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미러 이미지를 가공하는 단계는 상기 적용 정보에 따라 상기 미러 이미지에 선택된 상기 화장품을 적용하여 증강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 테스트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현재 사용자의 이미지를 미러 영상처리를 이용하여 제공하고, 정확한 사용자의 민낯 영상을 생성하고, 이에 화장품을 테스트하여 정확한 화장품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립 모션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실제 사용자의 손으로 화장품을 테스트하는 것과 같은 증강현실을 제공하여 현실감을 증대시켜 화장하는 즐거움과 동시에 객관적인 시각자료를 제공하므로 신뢰감 있는 가상 시뮬레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도안을 통해 화장 연습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화장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온/오프라인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소비자에게 효율적인 구매를 도울 수 있어 화장품 시장의 더 큰 성장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장품 테스트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체 네트워크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화장품 테스트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구성도가 화채되어 있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테스트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장품 테스트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체 네트워크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화장품 테스트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의 구성도가 화채되어 있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화장품 테스트 시스템(100)의 네크워크 구성은 화장품 테스트 시스템(100)이 복수의 화장품 서버(20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화장품 테스트 시스템(100)은 복수의 화장품 서버(200)로부터 다양한 화장품에 대한 색상 정보, 가격 정보 등을 제공받고, 화장품 테스트를 수행한다.
즉, 화장품 테스트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특정 화장품을 선택하면, 사용자의 실시간 영상을 수득하고, 이를 미러 이미지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면서, 선택된 화장품을 미러 이미지에 적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화장품 테스트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미러 이미지에서 화장품의 특성에 따라 사용자가 화장을 한 상태인 경우, 화장을 지우고 사용자의 본래의 피부 상태에 화장품을 적용할 수 있는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화장품 테스트 시스템(100)은 립 모션 컨트롤러를 감지 모듈(110)로 적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화장품을 바르는 것과 같은 동작을 취함에 따라 미러 이미지에 화장품이 적용하도록 한다.
더욱 상세하게, 화장품 테스트 시스템(100)은 도 2와 같이 표시 모듈(120), 카메라 모듈(130), 감지모듈(110), 영상처리부(140), 제어부(150) 및 통신 모듈(160)을 포함한다.
표시 모듈(120)은 영상 표시 모듈(120)로서, 사용자의 현재 영상 정보, 화장품 테스트가 적용되어 있는 영상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하는 LED 또는 LCD 등의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표시 모듈(120)은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광고영상 또는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군과 실시예 영상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30)은 일반적인 카메라 모듈(130)이 적용될 수 있으며, 도 3과 같이 표시 모듈(120) 상에 부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30)은 현재 사용자의 실시간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처리부(140)에 제공한다.
영상 처리부(140)는 카메라 모듈(13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실시간 영상을 가공하여 표시 모듈(120)에 미러 이미지로 표시되도록 전달한다.
이때, 영상 처리부(140)는 HIS, YCbCr, Haar-like feature 기법 등의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피부색 검출, 얼굴요소, 눈, 코, 입을 색출하여 색조 화장된 부분의 색조 제거를 수행한다.
따라서, 영상 처리부(140)를 통과하여 표시 모듈(120)에서 표시되는 영상은 사용자의 색조 화장 없는 실시간 영상이다.
이와 같은 영상 처리를 통하여 새로운 화장품을 테스트 할 때 정확한 발색이 가능하다.
통신 모듈(160)은 복수의 화장품 서버(200)와 연동하여 화장품 서버(200)로부터 제품 정보 및 발색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피드백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MCU등과 같은 프로세서로서, 각 기능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고, 감지 모듈(110)로부터의 감지 정보를 판독하여 영상 처리부(140)가 테스트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감지 모듈(110)은 립 모션 컨트롤러(Leap motion controller)로서, 사용자가 감지 모듈(110) 상에서 실제 화장을 하는듯한 모션을 취할 때마다 화장품이 적용된 영상을 표시하여 증강 현실을 제공함으로써 실제 화장을 하는 것과 같은 시각 자극을 준다.
이때, 감지 모듈(110)의 대응 모션은 다음의 표 1과 같을 수 있다.

이름

원(circle)

넘기기(swipe)

키탭(key tab)

스크린탭(screen tab)

내용

원을 손가락으로 그림

손가락을 길게
직선으로 움직임

키보드의 키를 누르듯이 손가락으로 탭핑

수직으로 컴퓨터 화면을 터치하는 것처럼 손가락으로 움직임

적용

볼터치

눈화장/입술화장

화장품/도구 선택

화장품 색상 선택
본 화장품 테스트 시스템(100)은 화장품 판매업장에서 하나의 하드웨어로 구현되어 사용자의 손가락 모션을 읽어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으나, 영상처리 프로그램 및 화장품 테스트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 일반적인 pc, 노트북 또는 태블랫 pc 등에서도 구현 가능하다.
이때, 상기 감지 모듈(110)은 도 3과 같이 본체에 별도로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컨트롤러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테스트 시스템(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테스트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먼저, 도 5a와 같이, 사용자가 화장품 테스트 시스템(100)을 시작하면, 카메라 모듈(130)로부터 사용자의 실시간 영상을 수득한다(s120). 이때, 사용자에게 위치, 얼굴 각도 등을 안내하는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수득된 실시간 영상을 영상 처리부(140)에서 판독하여 가공한다(s130). 즉, 사용자의 영상을 판독하여 사용자가 색조화장을 한 상태인 경우, 사용자의 피부색으로 보정을 수행하여 색조화장 없는 실시간 영상을 미러 이미지로 표시 모듈(120)을 통해 제공한다.
이때, 영상 처리부(140)가 수행하는 영상 처리는 HIS, YCbCr, Haar-like feature 기법 등을 실행하여 피부색 검출, 얼굴요소, 눈, 코, 입을 색출하여 색조 화장된 부분의 색조 제거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도 5b와 같이 복수의 화장품을 제공하여 테스트할 화장품을 선택한다(s140). 이때, 키탭 모션을 유도하여 특정 화장품을 선택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화장품을 선택하면, 해당 화장품에 복수의 색상이 존재하는 경우, 도 5c와 같이 화장품의 색상을 선택하도록 한다(s150). 이때, 감지 모듈(110) 상에서 스크린 탭 모션을 수행하여 색상을 선택하도록 유도한다.
색상이 선택되면, 화장품 적용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한다(s160). 즉, 도 5d와 같이 상기 화장품이 아이라이너인 경우, 사용자가 넘기기 모션을 수행하면 적용한 것으로 인식하고, 도 5e와 같이 화장품이 볼터치인 경우, 사용자가 원 모션을 수행하면 화장품을 적용한 것으로 인식한다.
상기와 같이 화장품 적용이 인식되면, 사용자의 미러 영상에 해당 화장품이 적용된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한다(s170).
따라서, 사용자는 본인의 실시간 영상에서 색조 화장이 지워진 상태의 영상을 제공 받고 상기 영상에 직접 화장을 수행하는 것과 같은 증강 현실을 체험함으로써 제품을 정확하게 테스트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화장품 테스트 시스템(100)은 도 3과 같이 개인 pc 등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본인의 얼굴에 화장을 연습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화장 연습 프로그램으로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최신 트랜드의 화장법을 안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안내는 증강 현실을 나타내는 도안을 첨부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화장품 테스트 시스템(100)은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객관적으로 얻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구매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화장품 테스트 시스템 및 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이다.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사용자의 실시간 영상을 미러 이미지로 표시하는 표시 모듈,
    복수의 화장품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화장품 정보 및 색상 정보를 수득하는통신 모듈,
    상기 표시 모듈 상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실시간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사용자가 화장품을 선택하고 적용하는 모션을 감지하는 감지 모듈,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영상에서 색조 화장을 제거한 상기 미러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감지 모듈로부터의 감지 정보에 따라 상기 미러 이미지를 가공하여 상기 미러 이미지에 선택된 상기 화장품을 적용하여 증강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표시 모듈에 제공하는 영상 처리부
    를 포함하는 화장품 테스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모듈은
    립 모션 컨트롤러(leap motion controller)로서,
    사용자의 원, 넘기기, 키탭 또는 스크린탭을 모션으로 인식하는 화장품 테스트 시스템.
  3. 카메라 모듈을 통해 사용자 얼굴의 실시간 영상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영상에서 색조 화장을 제거한 영상을 미러 이미지로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여 테스트할 화장품 및 색상의 선택정보를 수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여 선택된 상기 화장품의 적용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적용 정보에 따라 상기 미러 이미지에 선택된 상기 화장품을 적용하여 증강 이미지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장품 테스트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단계는 립 모션 컨트롤러(leap motion controller)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원, 넘기기, 키탭 또는 스크린탭을 모션으로 인식하는 화장품 테스트 방법.

KR1020160010427A 2016-01-28 2016-01-28 화장품 테스트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900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427A KR20170090057A (ko) 2016-01-28 2016-01-28 화장품 테스트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427A KR20170090057A (ko) 2016-01-28 2016-01-28 화장품 테스트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0057A true KR20170090057A (ko) 2017-08-07

Family

ID=59653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0427A KR20170090057A (ko) 2016-01-28 2016-01-28 화장품 테스트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005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72791A1 (ko) * 2020-02-25 2021-09-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각적 효과 제공 방법
WO2021203119A1 (en) * 2020-03-31 2021-10-07 Snap Inc. Augmented reality experiences for physical products in a messaging system
US11335088B2 (en) 2020-03-30 2022-05-17 Snap Inc. Augmented reality item collections
KR20220085940A (ko) 2020-12-16 2022-06-23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장품 테스트용 뷰티 미러
KR20230017440A (ko) * 2021-07-28 2023-02-06 주식회사 알리아스 디지털 코스메틱 제조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72791A1 (ko) * 2020-02-25 2021-09-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각적 효과 제공 방법
US11335088B2 (en) 2020-03-30 2022-05-17 Snap Inc. Augmented reality item collections
US11893790B2 (en) 2020-03-30 2024-02-06 Snap Inc. Augmented reality item collections
WO2021203119A1 (en) * 2020-03-31 2021-10-07 Snap Inc. Augmented reality experiences for physical products in a messaging system
US11900504B2 (en) 2020-03-31 2024-02-13 Snap Inc. Augmented reality experiences for physical products in a messaging system
KR20220085940A (ko) 2020-12-16 2022-06-23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장품 테스트용 뷰티 미러
KR20230017440A (ko) * 2021-07-28 2023-02-06 주식회사 알리아스 디지털 코스메틱 제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5022B2 (en) Augmented reality display system for overlaying apparel and fitness information
US10417825B2 (en) Interactive cubicle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body shape
Jung et al. Over my hand: Using a personalized hand in vr to improve object size estimation, body ownership, and presence
US1094551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RU2668408C2 (ru) Устройства,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виртуализации зеркала
Trepkowski et al. The effect of narrow field of view and information density on visual search performance in augmented reality
CN110363867B (zh) 虚拟装扮系统、方法、设备及介质
KR20170090057A (ko) 화장품 테스트 시스템 및 방법
CN115016638A (zh) 提供虚拟指导的方法、计算机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130111337A1 (en) One-click makeover
US10692113B2 (en)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information through advertising in simulation environment, and associated simulation system
US20190018486A1 (en) Augmented mirror
EP3394709B1 (en) Augmented mirror
Bernardos et al. A comparison of head pose and deictic pointing interaction methods for smart environments
WO2017108703A1 (en) Augmented mirror
Wang et al. Multi-sensor eye-tracking systems and tools for capturing Student attention and understanding engagement in learning: A review
De Silva et al. Human factors evaluation of a vision-based facial gesture interface
Benda et al. The effects of virtual avatar visibility on pointing interpretation by observers in 3d environments
Min et al. Tiger: Wearable glasses for the 20-20-20 rule to alleviate computer vision syndrome
WO2017108702A1 (en) Augmented mirror
CN112912925A (zh) 程序、信息处理装置、定量化方法以及信息处理系统
Giovannelli et al. Exploring the impact of visual information on intermittent typing in virtual reality
JP2018185784A (ja) 頬紅案内装置及びその方法
Sawicki et al. Head movement based interaction in mobility
US20240112491A1 (en) Crowdsourcing systems, device, and methods for curly hair character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