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8538B1 - 에어노즐을 이용한 폐슬러지의 저온 건조방법 - Google Patents

에어노즐을 이용한 폐슬러지의 저온 건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8538B1
KR102528538B1 KR1020220062529A KR20220062529A KR102528538B1 KR 102528538 B1 KR102528538 B1 KR 102528538B1 KR 1020220062529 A KR1020220062529 A KR 1020220062529A KR 20220062529 A KR20220062529 A KR 20220062529A KR 102528538 B1 KR102528538 B1 KR 102528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sludge
air
time
air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2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원알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원알앤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원알앤에이
Priority to KR1020220062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85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 F26B15/1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 F26B15/1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26B15/14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the objects or batches of materials being carried by trays or racks or receptacles, which may be connected to endless chains or belts
    • F26B15/14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the objects or batches of materials being carried by trays or racks or receptacles, which may be connected to endless chains or belts applying multiple superimposed tray conveyors, the materials to be dried being dropped onto subsequent conveyor stretches, e.g. by allowing the trays to tilt at one poi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8Sludges, e.g. sewage, waste, industrial processes, cooling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동기(35)의 냉동 사이클 및 송풍기(38)가 각각 가동되는 제 1단계, 슬러지가 투입구(15a)를 통해 건조실(15)로 투입되는 제 2단계, 통기성 컨베이어(20) 및 에어노즐(30)이 각각 가동되어, 상기 통기성 컨베이어(20)에 의해 이동하는 슬러지가 상기 에어노즐(30) 및 냉동기(35)에 의해 각각 건조 처리되는 제 3단계 및 상기 통기성 컨베이어(20)에 의해 이동한 슬러지가 배출구(15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제 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어노즐을 이용한 폐슬러지의 저온 건조방법{Method for drying waste water sludge at low temperature using air-nozzle}
본 발명은 폐슬러지의 저온 건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냉동기의 응축열 및 증발열에 의해 제습되어, 송풍기에 의해 중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고온저습의 공기 및 2단 에어노즐에 의해 중력의 방향으로 분사되는 건조공기가 3단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슬러지의 건조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에어노즐을 이용한 폐슬러지의 저온 건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슬러지는 공장폐수 또는 하수에 함유된 부유물질이 침전되어 생긴 오니 상태의 물질을 의미한다. 공단 또는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슬러지는 다량의 유기물을 함유하고 있어, 열량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수분 함량이 높아 에너지원으로 활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슬러지는 슬러지 건조장치로 탈수시킨 후, 수분의 함량이 적은 슬러지 케이크로 제작된다. 상기 슬러지 케이크는 매립 혹은 소각되며, 태운 뒤에 응고시켜 토목, 건축재로 재활용하기도 한다.
상기 슬러지 건조방법에는 고온의 열풍을 이용하여, 슬러지를 건조시키는 방법, 냉동사이클에 의해 생성된 고온저습의 공기를 이용하여, 슬러지를 건조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기존의 고온의 열풍을 이용한 건조방법은 슬러지의 건조 과정에서 악취, 소음 및 분진 등을 다량으로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슬러지 건조 시, 많은 에너지가 소비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냉동사이클을 이용한 건조방법은 컨베이어가 2단으로 구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냉동기에서 배출되는 고온저습의 공기만을 이용하여, 슬러지를 건조하므로, 슬러지의 건조효율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냉동사이클을 이용한 건조방법에서는 냉동기의 냉동 사이클, 송풍기 및 컨베이어를 각각 별도로 제어할 수 밖에 없어, 슬러지 건조 시, 에너지의 소모량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냉동사이클을 이용한 건조방법에서는 냉동기의 냉동 사이클, 송풍기 및 컨베이어를 각각 별도로 제어할 수 밖에 없어, 슬러지 건조 시, 에너지의 소모량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냉동사이클을 이용한 건조방법에서는 컨베이어에 투입된 슬러지의 실제함수율에 따라 컨베이어어의 이송속도를 제어하기 어려워, 슬러지의 건조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0884254 B1
본 발명의 목적은 냉동기에 의해 생성되어, 냉동기에 의해 생성되어, 송풍기에 의해 중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고온저습의 공기 및 2단 에어노즐에 의해 중력의 방향으로 분사되는 건조공기가 3단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슬러지의 건조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슬러지의 건조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에어노즐을 이용한 폐슬러지의 저온 건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컨트롤러가 냉동기의 냉동 사이클, 송풍기, 3단 컨베이어 및 2단 에어노즐이 최초 투입된 슬러지의 변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가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어, 건조 작업에 소모되는 에너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에어노즐을 이용한 폐슬러지의 저온 건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컨트롤러가 제1 컨베이어에 투입된 슬러지의 실제함수율에 따라, 제1 에어노즐에서 분사되는 건조공기의 유량 및 제1 컨베이어의 이송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슬러지의 건조속도를 제어할 수 있어, 슬러지의 건조효율이 기존의 슬러지 건조방법보다 획기적으로 향상된 에어노즐을 이용한 폐슬러지의 저온 건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에어노즐을 이용한 폐슬러지의 저온 건조방법은 냉동기(35)의 냉동 사이클 및 송풍기(38)가 각각 가동되는 제 1단계, 슬러지가 투입구(15a)를 통해 건조실(15)로 투입되는 제 2단계, 통기성 컨베이어(20) 및 에어노즐(30)이 각각 가동되어, 상기 통기성 컨베이어(20)에 의해 이동하는 슬러지가 상기 에어노즐(30) 및 냉동기(35)에 의해 각각 건조 처리되는 제 3단계 및 상기 통기성 컨베이어(20)에 의해 이동한 슬러지가 배출구(15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제 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단계는 컨트롤러(50)가 상기 냉동기(35)의 냉동 사이클이 가동되도록 제어하는 제 1-1단계, 상기 냉동기(35)의 냉동 사이클이 가동되는 제 1-2단계, 상기 컨트롤러(50)가 상기 냉동기(35)의 냉동 사이클이 가동된 시점부터 사전에 설정된 제1 세팅시간이 경과한 이후, 상기 송풍기(38)가 가동되도록 제어하는 제 1-3단계 및 상기 송풍기(38)가 상기 냉동기(35)의 냉동 사이클에 의해 생성된 고온저습의 공기를 상기 통기성 컨베이어(20)의 하부로 배출하는 제 1-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세팅시간은 상기 냉동기(35)의 냉동 사이클이 가동된 시점부터 상기 냉동기(35)의 냉동 사이클이 고온저습의 공기를 최초로 생성시키는 시점까지의 시간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3단계는 컨트롤러(50)가 상기 송풍기(38)가 가동된 시점부터 사전에 설정된 제2 세팅시간이 경과한 이후, 제1 컨베이어(21) 및 제1 에어노즐(31)이 각각 가동되도록 제어하는 제 3-1단계, 상기 제1 컨베이어(21) 및 제1 에어노즐(31)이 각각 가동되는 제 3-2단계, 상기 제1 에어노즐(31)에 의해 중력 방향으로 분사되는 건조공기 및 상기 제1 컨베이어(21)를 중력의 반대 방향으로 통과하는 고온저습의 공기가 상기 제1 컨베이어(21)에 의해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러지의 내부 및 표면을 각각 건조시키는 제 3-3단계, 상기 컨트롤러(50)가 상기 제1 컨베이어(21)가 가동된 시점부터 사전에 설정된 제1 기준시간이 경과한 이후, 제2 컨베이어(22) 및 제2 에어노즐(32)이 각각 가동되도록 제어하는 제 3-4단계, 상기 제2 컨베이어(22) 및 제2 에어노즐(32)이 각각 가동되는 제 3-5단계, 상기 제2 에어노즐(32)에 의해 중력 방향으로 분사되는 건조공기 및 상기 제2 컨베이어(22)를 중력의 반대 방향으로 통과하는 고온저습의 공기가 상기 제2 컨베이어(22)에 의해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러지의 내부 및 표면을 각각 건조시키는 제 3-6단계, 상기 컨트롤러(50)가 상기 제2 컨베이어(22)가 가동된 시점부터 사전에 설정된 제2 기준시간이 경과한 이후, 제3 컨베이어(23)가 가동되도록 제어하는 제 3-7단계, 상기 제3 컨베이어(23)가 가동되는 제 3-8단계 및 상기 제3 컨베이어(23)를 중력의 반대 방향으로 통과하는 고온저습의 공기가 상기 제3 컨베이어(23)에 의해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러지의 내부 및 표면을 각각 건조시키는 제 3-9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기준시간은 사전에 설정된 제1 이동시간 및 제1 낙하시간을 가산한 값으로 설정되고, 상기 제1 이동시간은 상기 제1 컨베이어(21)의 상면의 길이를 상기 제1 컨베이어(21)의 이송속도로 나눈 값이고, 상기 제1 낙하시간은 슬러지가 상기 제1 컨베이어(21)의 상면에서 상기 제2 컨베이어(22)의 상면까지의 거리를 자유 낙하한 시간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기준시간은 사전에 설정된 제2 이동시간 및 제2 낙하시간을 가산한 값으로 설정되고, 상기 제2 이동시간은 상기 제2 컨베이어(22)의 상면의 길이를 상기 제2 컨베이어(22)의 이송속도로 나눈 값이고, 상기 제2 낙하시간은 슬러지가 상기 제2 컨베이어(22)의 상면에서 상기 제3 컨베이어(23)의 상면까지의 거리를 자유 낙하한 시간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의한 에어노즐을 이용한 폐슬러지의 저온 건조방법에서는 냉동기에 의해 생성되어, 송풍기에 의해 중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고온저습의 공기 및 2단 에어노즐에 의해 중력의 방향으로 분사되는 건조공기가 3단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슬러지의 건조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슬러지의 건조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에어노즐을 이용한 폐슬러지의 저온 건조방법에서는 컨트롤러가 냉동기의 냉동 사이클, 송풍기, 3단 컨베이어 및 2단 에어노즐이 최초 투입된 슬러지의 변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가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어, 슬러지의 건조 작업에 소모되는 에너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폐슬러지 저온 건조방법에서는 컨트롤러가 제1 컨베이어에 투입된 슬러지의 실제함수율에 따라, 제1 에어노즐에서 분사되는 건조공기의 유량 및 제1 컨베이어의 이송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슬러지의 건조속도를 제어할 수 있어, 슬러지의 건조효율이 기존의 슬러지 건조방법보다 획기적으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에어노즐을 이용한 폐슬러지 저온 건조장치의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에어노즐을 이용한 폐슬러지 저온 건조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에어노즐을 이용한 폐슬러지 저온 건조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 에어노즐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분사부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에어분사부가 다수 장착된 제1 에어노즐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에어노즐을 이용한 폐슬러지 저온 건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은 냉동 사이클, 송풍기, 통기성 컨베이어 및 에어노즐의 작동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냉동 사이클 및 송풍기가 각각 가동되는 S100단계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통기성 컨베이어 및 에어노즐이 각각 가동되어, 슬러지가 에어노즐 및 냉동기에 의해 건조 처리되는 S300단계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1는 제1 컨베이어에 투입된 슬러지의 실제함수율에 따라, 제1 에어노즐 및 제1 컨베이어가 제어되는 S500단계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축소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에어노즐을 이용한 폐슬러지 저온 건조장치(10)의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에어노즐을 이용한 폐슬러지 저온 건조장치(10)의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에어노즐을 이용한 폐슬러지 저온 건조장치(10)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포함하면, 본 발명에 의한 에어노즐을 이용한 폐슬러지 저온 건조장치(10)는 건조실(15), 통기성 컨베이어(20), 교반기(25), 에어노즐(30) 및 냉동기(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건조실(15)에서는 슬러지가 투입되어, 건조 처리된 후, 외부로 배출된다.
구체적으로, 건조실(15)의 상면 일측에는 건조 처리되지 않은 슬러지가 투입되는 투입구(15a)가 형성된다.
그리고, 건조실(15)의 하부 일측에는 건조실(15)의 내부에서 건조 처리된 슬러지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15b)가 형성된다.
그리고, 통기성 컨베이어(20)는 건조실(15)의 내부에 구비되어, 슬러지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교반기(25)는 통기성 컨베이어(20)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고,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통기성 컨베이어(20)에 의해 이동하는 슬러지를 교반시킨다.
구체적으로, 교반기(25)는 슬러지 전체가 건조실(15)의 내부를 순환하는 건조공기에 노출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많이 건조된 슬러지의 표면과 상대적으로 적게 건조된 슬러지의 내부를 교반시킨다.
그리고, 에어노즐(30)은 건조실(15)의 내부에 구비되어, 통기성 컨베이어(20)에 의해 이동하는 슬러지에 건조공기를 중력의 방향으로 분사한다.
그리고, 냉동기(35)는 건조실(15)의 하부에 구비되어, 건조실(15)에 고온저습의 공기를 공급한다. 여기서, 냉동기(35)에서 건조실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는 45℃ 이상 50℃ 이하, 상대습도는 20% 이상 25% 이하로 유지될 때, 슬러지의 건조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동기(35)의 전방 하부에는 건조실(15)로부터 고온고습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35a)가 구비된다. 그리고, 냉동기(35)의 후방 하부에는 건조실(15)로 고온저습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35b)가 구비된다.
냉동기(35)는 제습코일부(36), 가열코일부(37) 및 송풍기(3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제습코일부(36)는 건조실(15)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어, 건조실(15)에서 유입되는 고온고습의 공기를 저온저습의 공기로 냉각시킨다.
그리고, 가열코일부(37)는 제습코일부(36)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습코일부(36)로부터 유입된 저온저습의 공기를 고온저습의 공기로 가열시킨다.
그리고, 송풍기(38)는 가열코일부(37)의 일측에 구비되어, 가열코일부(37)에서 가열된 고온저습의 공기를 통기성 컨베이어(20)의 하부로 이동시킨다.
냉동기(35)는 압축기(39) 및 팽창밸브(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압축기(39)는 가열코일부(37)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저온저압의 기체냉매를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로 압축시킨다.
그리고, 가열코일부(37)는 압축기(39)와 연결되어, 압축기(39)로부터 토출되는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를 저온저습의 공기와 열교환시켜, 중온고압의 액체냉매로 응축시킨다.
이로 인해, 가열코일부(37)로 공급되는 저온저습의 공기는 가열코일부(37)에서 고온고압의 기체냉매와 열교환되어, 고온저습의 공기로 변환된다.
그리고, 팽창밸브(40)는 가열코일부(37)와 연결되어, 가열코일부(37)로부터 토출되는 중온고압의 액체냉매를 저온저압의 액체냉매로 팽창시킨다.
그리고, 제습코일부(36)는 팽창밸브(40) 및 압축기(39)와 각각 연결되어, 팽창밸브(40)로부터 분사되는 저온저압의 액체냉매를 저온저압의 기체냉매로 증발시킨다.
이로 인해, 제습코일부(36)로 공급되는 고온고습의 공기는 제습코일부(36)에서 저온저압의 액체냉매와 열교환되어, 저온저습의 공기로 냉각된다.
한편, 통기성 컨베이어(20)는 제1 컨베이어(21), 제2 컨베이어(22) 및 제3 컨베이어(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제1 컨베이어(21)는 통기성 컨베이어(20)의 상부에 구비되어, 건조실(15)의 투입구(15a)를 통해 투입된 슬러지를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제2 컨베이어(22)는 제1 컨베이어(21)의 하부에 구비되어, 제1 컨베이어(21)로부터 자유 낙하한 슬러지를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제3 컨베이어(23)는 제2 컨베이어(22)의 하부에 구비되어, 제2 컨베이어(22)로부터 자유 낙하한 슬러지를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3 컨베이어(23)에 의해 좌측 방향으로 이동한 슬러지는 자유 낙하한 후, 건조실(15)의 배출구(15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제1 컨베이어(21), 제2 컨베이어(22) 및 제3 컨베이어(23)는 각각 벨트부(21a) 및 구동부(21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벨트부(21a)의 상면에는 슬러지가 적재된다. 그리고, 벨트부(21a)의 상면에는 건조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통공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벨트부(21a)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평판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구동부(21b)는 벨트부(21a)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벨트부(21a)를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에어노즐(30)은 제1 에어노즐(31) 및 제2 에어노즐(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제1 에어노즐(31)은 제1 컨베이어(21)의 상부에 구비되어, 제1 컨베이어(21)에 의해 이동하는 슬러지의 내부에 건조공기를 중력의 방향으로 분사한다.
이때, 제1 에어노즐(31)의 하부는 제1 컨베이어(21)에 의해 이동하는 슬러지의 내부에 함유된 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제1 컨베이어(21)에 의해 이동하는 슬러지에 완전히 묻혀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에어노즐(32)은 제2 컨베이어(22)의 상부에 구비되어, 제2 컨베이어(22)에 의해 이동하는 슬러지의 내부에 건조공기를 중력의 방향으로 분사한다.
이때, 제2 에어노즐(32)의 하부는 제2 컨베이어(21)에 의해 이동하는 슬러지의 내부에 함유된 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제2 컨베이어(22)에 의해 이동하는 슬러지에 완전히 묻혀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에어노즐(31)의 최하단 및 제1 컨베이어(21)의 상면 간의 거리는 제2 에어노즐(32)의 최하단 및 제2 컨베이어(21)의 상면 간의 거리보다 짧게 설정된다.
제1 컨베이어(21)에 의해 이동하는 슬러지는 제2 컨베이어(22)에 의해 이동하는 슬러지보다 많은 습기를 함유하고 있다. 따라서, 제1 에어노즐(31)은 제2 에어노즐(32)보다 많은 습기를 제거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1 에어노즐(31) 및 제1 컨베이어(21) 간의 거리는 제1 에어노즐(31)의 건조효율이 제2 에어노즐(32)의 건조효율보다 높을 수 있도록 제2 에어노즐(32) 및 제2 컨베이어(22) 간의 거리보다 짧게 설정된다.
제1 컨베이어(21), 제2 컨베이어(22) 및 제3 컨베이어(23)에 의해 각각 이동하는 슬러지는 냉동기(35)로부터 배출되어, 중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고온저습의 공기에 의해 각각 1차로 건조 처리된다.
그리고, 제1 컨베이어(21) 및 제2 컨베이어(22)에 의해 각각 이동하는 슬러지는 제1 에어노즐(31) 및 제2 에어노즐(32)에서 분사되어, 중력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건조공기에 의해 각각 2차로 건조 처리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 에어노즐(31)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에어노즐(31) 및 제2 에어노즐(32)은 에어공급부(31a), 수직이동부(31b), 수평이동부(31c) 및 에어분사부(31d)를 각각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에어공급부(31a)는 제1 에어노즐(31)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에어공급부(31a)를 통해 건조공기가 공급된다. 이때, 에어공급부(31a)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형 파이프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수직이동부(31b)는 에어공급부(31a)를 따라 이격되게 다수 구비되고,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에어공급부(31a)를 통해 공급된 건조공기가 중력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통로가 된다. 이때, 수직이동부(31b)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형 파이프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수직이동부(31b)의 내경은 에어공급부(31a)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수평이동부(31c)는 수직이동부(31b)와 연통되고,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수직이동부(31b)를 통과한 건조공기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통로가 된다. 이때, 수평이동부(31c)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형 파이프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수평이동부(31c)의 내경은 수직이동부(31b)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에어분사부(31d)는 수평이동부(31c)를 따라 이격되게 다수 구비되어, 수평이동부(31c)를 통과한 건조공기가 중력의 방향으로 분사되는 통로가 된다. 이때, 에어분사부(31d)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형 파이프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에어분사부(31d)의 내경은 수평이동부(31c)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컨베이어(21)의 상부 양측에는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어, 건조공기가 공급되는 에어공급부(31a)가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에어 공급부의 하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건조공기가 중력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총 10개의 수직이동부(31b)가 구비된다.
그리고, 수직이동부(31b)의 사이에는 수직이동부(31b)와 연통되고,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어, 건조공기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총 5개의 수평이동부(31c)가 구비된다. 그리고, 수평이동부(31c)의 하부에는 건조공기가 분사되는 총 30개의 에어분사부(31d)가 구비된다.
이로 인해, 격자의 형태로 구비된 다수의 에어분사부(31d)는 제1 컨베이어(21)에 의해 이동하는 슬러지에 건조공기를 골고루 분사할 수 있어, 슬러지의 건조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분사부(31d)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에어분사부(31d)가 다수 장착된 제1 에어노즐(31)의 정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에어분사부(31d)는 하부유로(31d1), 곡선유로(31d2) 및 토출유로(31d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하부유로(31d1)는 수평이동부(31c)와 연통되어, 수평이동부(31c)를 통과한 건조공기가 이동하는 통로가 된다.
그리고, 곡선유로(31d2)는 하부유로(31d1)의 하부에 다수 굴곡지게 구비되고, 하부유로(31d1)와 연통되어, 하부유로(31d1)를 통과한 건조공기가 이동하는 통로가 된다. 이때, 곡선유로(31d2)의 직경은 하부유로(31d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토출유로(31d3)는 곡선유로(31d2)의 하부에 구비되고, 곡선유로(31d2)와 연통되어, 곡선유로(31d2)를 통과한 건조공기가 분사되는 통로가 된다. 이때, 토출유로(31d3)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원추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건조공기는 토출유로(31d3)를 통해 하향 경사지게 분사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에어분사부(31d) 1개당 토출유로(31d3)는 4개씩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에어분사부(31d)가 30개인 경우, 토출유로(31d3)는 120개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다수의 토출유로(31d3)는 기존보다 넓은 면적에 건조공기를 골고루 분사하여 분사 면적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어, 슬러지의 건조효율이 기존보다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에어노즐을 이용한 폐슬러지 저온 건조장치(10)는 함수율센서(H) 및 컨트롤러(50)(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함수율센서(H)는 제1 컨베이어(21)에 투입된 슬러지의 실제함수율을 측정한다.
그리고, 컨트롤러(50)는 냉동기(35)의 냉동 사이클, 송풍기(38), 통기성 컨베이어(20) 및 에어노즐(30)의 가동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50)는 냉동기(35)의 냉동 사이클, 송풍기(38), 통기성 컨베이어(20) 및 에어노즐(30)의 온/오프, 통기성 컨베이어(20)의 이송속도 및 에어노즐(30)에서 분사되는 건조공기의 유량을 제어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에어노즐을 이용한 폐슬러지의 저온 건조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에어노즐을 이용한 폐슬러지 저온 건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냉동기(35)의 냉동 사이클 및 송풍기(38)가 각각 가동된다.(S100)
그 이후, 슬러지는 투입구(15a)를 통해 건조실(15)의 내부로 투입된다.(S200)
그 이후, 통기성 컨베이어(20) 및 에어노즐(30)이 각각 가동되어, 통기성 컨베이어(20)에 의해 이동하는 슬러지는 에어노즐(30) 및 냉동기(35)에 의해 각각 건조 처리된다.(S300)
그 이후, 통기성 컨베이어(20)에 의해 이동한 슬러지는 건조실(15)의 배출구(15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S400)
다음으로, 냉동기(35)의 냉동 사이클 및 송풍기(38)가 각각 가동되는 S100단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냉동 사이클, 송풍기(38), 통기성 컨베이어(20) 및 에어노즐(30)의 작동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냉동 사이클 및 송풍기(38)가 각각 가동되는 S100단계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컨트롤러(50)는 냉동기(35)가 고온저습의 공기를 생성할 수 있도록 냉동기(35)의 냉동 사이클이 가동되도록 제어한다.(S101)
그 이후, 냉동기(35)의 냉동 사이클이 가동된다.(S102)
그 이후, 컨트롤러(50)는 냉동기(35)의 냉동 사이클이 가동된 시점부터 사전에 설정된 제1 세팅시간이 경과한 이후, 송풍기(38)가 가동되도록 제어한다.(S103)
이때, 제1 세팅시간은 냉동기(35)의 냉동 사이클이 가동된 시점부터 냉동기(35)의 냉동 사이클이 고온저습의 공기를 최초로 생성시키는 시점까지의 시간 간격을 의미한다.
그 이후, 송풍기(38)는 냉동기(35)의 냉동 사이클에 의해 생성된 고온저습의 공기를 통기성 컨베이어(20)의 하부로 배출한다.(S104)
다음으로, 통기성 컨베이어(20) 및 에어노즐(30)이 각각 가동되어, 통기성 컨베이어(20)에 의해 이동하는 슬러지가 에어노즐(30) 및 냉동기(35)에 의해 건조 처리되는 S300단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통기성 컨베이어(20) 및 에어노즐(30)이 각각 가동되어, 슬러지가 에어노즐(20) 및 냉동기(35)에 의해 건조 처리되는 S300단계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컨트롤러(50)는 송풍기(38)가 가동된 시점부터 사전에 설정된 제2 세팅시간이 경과한 이후, 제1 컨베이어(21) 및 제1 에어노즐(31)이 각각 가동되도록 제어한다.(S301)
이때, 제2 세팅시간은 송풍기(38)가 가동된 시점부터 슬러지가 투입구(15a)를 통해 투입되는 시점까지의 시간 간격과 일치한다.
그 이후, 제1 컨베이어(21) 및 제1 에어노즐(31)이 각각 가동된다.(S302)
그 이후, 제1 에어노즐(31)에 의해 중력 방향으로 분사되는 건조공기 및 제1 컨베이어(21)를 중력의 반대 방향으로 통과하는 고온저습의 공기는 제1 컨베이어(21)에 의해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러지의 내부 및 표면을 각각 건조시킨다.(S303)
제1 컨베이어(21)에 의해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며, 내부 및 표면이 각각 건조된 슬러지는 자유 낙하하여, 제2 컨베이어(22)로 투입된다.
그 이후, 컨트롤러(50)는 제1 컨베이어(21)가 가동된 시점부터 사전에 설정된 제1 기준시간이 경과한 이후, 제2 컨베이어(22) 및 제2 에어노즐(32)이 각각 가동되도록 제어한다.(S304)
이때, 제1 기준시간은 사전에 설정된 제1 이동시간 및 제1 낙하시간을 가산한 값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제1 이동시간은 제1 컨베이어(21)의 상면의 길이를 제1 컨베이어(21)의 이송속도로 나눈 값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제1 낙하시간은 슬러지가 제1 컨베이어(21)의 상면에서 제2 컨베이어(22)의 상면까지의 거리를 자유 낙하한 시간 간격을 의미한다.
이때, 제1 낙하시간은 수학식 (t_1)=(2×(h_1)/g)^0.5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여기서, t_1은 제1 낙하시간이고, h_1은 제1 컨베이어(21)의 상면에서 제2 컨베이어(22)의 상면까지의 거리이고, g는 중력 가속도를 의미한다.
그 이후, 제2 컨베이어(22) 및 제2 에어노즐(32)이 각각 가동된다.(S305)
그 이후, 제2 에어노즐(32)에 의해 중력 방향으로 분사되는 건조공기 및 제2 컨베이어(22)를 중력의 반대 방향으로 통과하는 고온저습의 공기는 제2 컨베이어(22)에 의해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러지의 내부 및 표면을 각각 건조시킨다.(S306)
제2 컨베이어(22)에 의해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며, 내부 및 표면이 각각 건조된 슬러지는 자유 낙하하여, 제3 컨베이어(23)로 투입된다.
그 이후, 컨트롤러(50)는 제2 컨베이어(22)가 가동된 시점부터 사전에 설정된 제2 기준시간이 경과한 이후, 제3 컨베이어(23)가 가동되도록 제어한다.(S307)
이때, 제2 기준시간은 사전에 설정된 제2 이동시간 및 제2 낙하시간을 가산한 값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제2 이동시간은 제2 컨베이어(22)의 상면의 길이를 제2 컨베이어(22)의 이송속도로 나눈 값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제2 낙하시간은 슬러지가 제2 컨베이어(22)의 상면에서 제3 컨베이어(23)의 상면까지의 거리를 자유 낙하한 시간 간격을 의미한다.
이때, 제2 낙하시간은 수학식 (t_2)=(2×(h_2)/g)^0.5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여기서, t_2는 제2 낙하시간이고, h_2는 제2 컨베이어(22)의 상면에서 제3 컨베이어(23)의 상면까지의 거리이고, g는 중력 가속도를 의미한다.
그 이후, 제3 컨베이어(23)가 가동된다.(S308)
그 이후, 제3 컨베이어(23)를 중력의 반대 방향으로 통과하는 고온저습의 공기는 제3 컨베이어(23)에 의해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러지의 내부 및 표면을 각각 건조시킨다.(S309)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에어노즐을 이용한 폐슬러지의 저온 건조방법은 제1 컨베이어(21)에 투입된 슬러지의 실제함수율에 따라, 제1 에어노즐(31)에서 분사되는 건조공기의 유량 및 제1 컨베이어(21)의 이송속도를 제어하는 S500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1은 제1 컨베이어(21)에 투입된 슬러지의 실제함수율에 따라, 제1 에어노즐(31) 및 제1 컨베이어(21)가 제어되는 S500단계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함수율센서(H)는 제1 컨베이어(21)에 투입된 슬러지의 실제함수율을 측정한다.(S501)
그 이후, 컨트롤러(50)는 제1 컨베이어(21)에 투입된 슬러지의 실제함수율에 따라, 제1 에어노즐(31)로부터 분사되는 건조공기의 유량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50)는 제1 에어노즐(31)에서 분사되는 건조공기의 유량이 함수율 증가분에 비례하여 증가하도록 제어한다.(S502)
이때, 함수율 증가분은 함수율센서(H)에 의해 측정된 슬러지의 실제함수율에서 사전에 설정된 기준함수율을 차감한 값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제1 컨베이어(21)에 투입된 슬러지의 실제함수율이 증가할수록, 제1 에어노즐(31)에서 분사되는 건조공기의 유량은 증가한다. 그리고, 제1 컨베이어(21)에 투입된 슬러지의 실제함수율이 감소할수록, 제1 에어노즐(31)에서 분사되는 건조공기의 유량은 감소한다.
그 이후, 컨트롤러(50)는 제1 컨베이어(21)에 투입된 슬러지의 실제함수율에 따라, 컨트롤러(50)가 제1 컨베이어(21)의 이송속도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50)는 제1 컨베이어(21)의 이송속도가 함수율 감소분에 비례하여 증가하도록 제어한다.(S503)
이때, 함수율 감소분은 기준함수율에서 함수율센서(H)에 의해 측정된 슬러지의 실제함수율을 차감한 값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제1 컨베이어(21)에 투입된 슬러지의 실제함수율이 감소할수록, 제1 컨베이어(21)의 이송속도는 증가한다. 그리고, 제1 컨베이어(21)에 투입된 슬러지의 실제함수율이 증가할수록, 제1 컨베이어(21)의 이송속도는 감소한다.
제1 컨베이어(21)에 투입된 슬러지의 실제함수율이 기준함수율과 일치하는 경우, 제1 에어노즐(31)에서 분사되는 건조공기의 유량 및 제1 컨베이어(21)의 이송속도는 각각 기준유량 및 기준 이송속도로 설정되어, 제1 컨베이어(21)에 투입된 슬러지는 기준 건조속도로 건조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컨베이어(21)에 투입된 슬러지의 실제함수율이 기준함수율보다 높은 경우, 제1 에어노즐(31)의 건조공기의 유량은 기준유량보다 증가하고, 제1 컨베이어(21)의 이송속도는 기준속도보다 감소한다. 따라서, 제1 컨베이어(21)에 투입된 슬러지의 건조속도는 기준 건조속도보다 증가하므로, 슬러지는 보다 빨리 건조될 수 있다.
한편, 제1 컨베이어(21)에 투입된 슬러지의 실제함수율이 기준함수율보다 낮은 경우, 제1 에어노즐(31)의 건조공기의 유량은 기준유량보다 감소하고, 제1 컨베이어(21)의 이송속도는 기준속도보다 증가한다. 따라서, 제1 컨베이어(21)에 투입된 슬러지의 건조속도는 기준 건조속도보다 감소하므로, 슬러지는 보다 느리게 건조될 수 있다.
컨트롤러(50)는 제1 컨베이어(21)에 투입된 슬러지의 실제함수율에 따라, 슬러지의 건조속도를 제어할 수 있어, 슬러지의 건조효율은 기존의 슬러지 건조장치(10)보다 획기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제1 에어노즐(31)에 분사되는 건조공기가 제1 컨베이어(21)에 의해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러지의 내부 및 표면을 각각 건조시키는 S303단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에어공급부(31a)를 통해 건조공기가 공급된다.(S303-1)
그 이후, 에어공급부(31a)를 통해 공급된 건조공기는 다수의 수직이동부(31b)를 따라 중력의 방향으로 이동한다.(S303-2)
그 이후, 다수의 수직이동부(31b)를 통과한 건조공기는 다수의 수평이동부(31c)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한다.(S303-3)
그 이후, 다수의 수평이동부(31c)를 통과한 건조공기는 다수의 에어분사부(31d)를 통해 슬러지의 표면 및 내부로 분사된다.(S303-4)
다음으로, 다수의 수평이동부(31c)를 통과한 건조공기가 다수의 에어분사부(31d)를 통해 슬러지의 표면 및 내부로 분사되는 S303-4단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다수의 수평이동부(31c)를 통과한 건조공기는 다수의 하부유로(31d1)를 따라 중력의 방향으로 이동한다.(S303-4a)
그 이후, 다수의 하부유로(31d1)를 통과한 건조공기는 다수의 곡선유로(31d2)를 따라 굴곡지게 이동한다.(S303-4b)
그 이후, 다수의 곡선유로(31d2)를 통과한 건조공기는 다수의 토출유로(31d3)를 통해 슬러지의 표면 및 내부로 하향 경사지게 분사된다.(S303-4c)
본 발명에 의한 에어노즐을 이용한 폐슬러지의 저온 건조방법에서는 냉동기(35)에 의해 생성되어, 송풍기(38)에 의해 중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고온저습의 공기 및 2단 에어노즐(30)에 의해 중력의 방향으로 분사되는 건조공기가 슬러지의 건조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슬러지의 건조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에어노즐을 이용한 폐슬러지의 저온 건조방법에서는 컨트롤러(50)가 냉동기(35)의 냉동 사이클, 송풍기(38), 3단 컨베이어(20) 및 2단 에어노즐(30)이 최초 투입된 슬러지의 변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가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어, 슬러지의 건조 작업에 소모되는 에너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폐슬러지 저온 건조방법에서는 컨트롤러(50)가 제1 컨베이어(21)에 투입된 슬러지의 실제함수율에 따라, 제1 에어노즐(31)에서 분사되는 건조공기의 유량 및 제1 컨베이어(21)의 이송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슬러지의 건조속도를 제어할 수 있어, 슬러지의 건조효율이 기존의 슬러지 건조방법보다 획기적으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에어노즐을 이용한 폐슬러지의 저온 건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주요한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으며, 도면을 참고하여 상술한 실시예는 단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 범위는 특허 청구범위를 기준으로 하되,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는 균등한 실시예에도 미친다 할 것이다.
10: 에어노즐을 이용한 폐슬러지 저온 건조장치
15: 건조실 15a: 투입구
15b: 배출구 20: 통기성 컨베이어
21: 제1 컨베이어 22: 제2 컨베이어
23: 제3 컨베이어 21a: 벨트부
21b: 구동부 25: 교반기
30: 에어노즐 31: 제1 에어노즐
31a: 에어공급부 31b: 수직이동부
31c: 수평이동부 31d: 에어분사부
31d1: 하부유로 31d2: 곡선유로
31d3: 토출유로 32: 제2 에어노즐
35: 냉동기 35a: 유입부
35b: 배출부 36: 제습코일부
37: 가열코일부 38: 송풍기
39: 압축기 40: 팽창밸브
H: 함수율센서 50: 컨트롤러

Claims (6)

  1. 냉동기(35)의 냉동 사이클 및 송풍기(38)가 각각 가동되는 제 1단계;
    슬러지가 투입구(15a)를 통해 건조실(15)로 투입되는 제 2단계;
    통기성 컨베이어(20) 및 에어노즐(30)이 각각 가동되어, 상기 통기성 컨베이어(20)에 의해 이동하는 슬러지가 상기 에어노즐(30) 및 냉동기(35)에 의해 각각 건조 처리되는 제 3단계; 및
    상기 통기성 컨베이어(20)에 의해 이동한 슬러지가 배출구(15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제 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단계는
    컨트롤러(50)가 상기 냉동기(35)의 냉동 사이클이 가동되도록 제어하는 제 1-1단계;
    상기 냉동기(35)의 냉동 사이클이 가동되는 제 1-2단계;
    상기 컨트롤러(50)가 상기 냉동기(35)의 냉동 사이클이 가동된 시점부터 사전에 설정된 제1 세팅시간이 경과한 이후, 상기 송풍기(38)가 가동되도록 제어하는 제 1-3단계; 및
    상기 송풍기(38)가 상기 냉동기(35)의 냉동 사이클에 의해 생성된 고온저습의 공기를 상기 통기성 컨베이어(20)의 하부로 배출하는 제 1-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세팅시간은
    상기 냉동기(35)의 냉동 사이클이 가동된 시점부터 상기 냉동기(35)의 냉동 사이클이 고온저습의 공기를 최초로 생성시키는 시점까지의 시간 간격이고,
    상기 제 3단계는
    상기 컨트롤러(50)가 상기 송풍기(38)가 가동된 시점부터 사전에 설정된 제2 세팅시간이 경과한 이후, 제1 컨베이어(21) 및 제1 에어노즐(31)이 각각 가동되도록 제어하는 제 3-1단계;
    상기 제1 컨베이어(21) 및 제1 에어노즐(31)이 각각 가동되는 제 3-2단계;
    상기 제1 에어노즐(31)에 의해 중력 방향으로 분사되는 건조공기 및 상기 제1 컨베이어(21)를 중력의 반대 방향으로 통과하는 고온저습의 공기가 상기 제1 컨베이어(21)에 의해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러지의 내부 및 표면을 각각 건조시키는 제 3-3단계;
    상기 컨트롤러(50)가 상기 제1 컨베이어(21)가 가동된 시점부터 사전에 설정된 제1 기준시간이 경과한 이후, 제2 컨베이어(22) 및 제2 에어노즐(32)이 각각 가동되도록 제어하는 제 3-4단계;
    상기 제2 컨베이어(22) 및 제2 에어노즐(32)이 각각 가동되는 제 3-5단계;
    상기 제2 에어노즐(32)에 의해 중력 방향으로 분사되는 건조공기 및 상기 제2 컨베이어(22)를 중력의 반대 방향으로 통과하는 고온저습의 공기가 상기 제2 컨베이어(22)에 의해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러지의 내부 및 표면을 각각 건조시키는 제 3-6단계;
    상기 컨트롤러(50)가 상기 제2 컨베이어(22)가 가동된 시점부터 사전에 설정된 제2 기준시간이 경과한 이후, 제3 컨베이어(23)가 가동되도록 제어하는 제 3-7단계;
    상기 제3 컨베이어(23)가 가동되는 제 3-8단계; 및
    상기 제3 컨베이어(23)를 중력의 반대 방향으로 통과하는 고온저습의 공기가 상기 제3 컨베이어(23)에 의해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러지의 내부 및 표면을 각각 건조시키는 제 3-9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노즐을 이용한 폐슬러지의 저온 건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시간은
    사전에 설정된 제1 이동시간 및 제1 낙하시간을 가산한 값으로 설정되고,
    상기 제1 이동시간은
    상기 제1 컨베이어(21)의 상면의 길이를 상기 제1 컨베이어(21)의 이송속도로 나눈 값이고,
    상기 제1 낙하시간은
    슬러지가 상기 제1 컨베이어(21)의 상면에서 상기 제2 컨베이어(22)의 상면까지의 거리를 자유 낙하한 시간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노즐을 이용한 폐슬러지의 저온 건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준시간은
    사전에 설정된 제2 이동시간 및 제2 낙하시간을 가산한 값으로 설정되고,
    상기 제2 이동시간은
    상기 제2 컨베이어(22)의 상면의 길이를 상기 제2 컨베이어(22)의 이송속도로 나눈 값이고,
    상기 제2 낙하시간은
    슬러지가 상기 제2 컨베이어(22)의 상면에서 상기 제3 컨베이어(23)의 상면까지의 거리를 자유 낙하한 시간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노즐을 이용한 폐슬러지의 저온 건조방법.
  6. 삭제
KR1020220062529A 2022-05-23 2022-05-23 에어노즐을 이용한 폐슬러지의 저온 건조방법 KR102528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2529A KR102528538B1 (ko) 2022-05-23 2022-05-23 에어노즐을 이용한 폐슬러지의 저온 건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2529A KR102528538B1 (ko) 2022-05-23 2022-05-23 에어노즐을 이용한 폐슬러지의 저온 건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8538B1 true KR102528538B1 (ko) 2023-05-04

Family

ID=86379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2529A KR102528538B1 (ko) 2022-05-23 2022-05-23 에어노즐을 이용한 폐슬러지의 저온 건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853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2514A (ko) * 2004-04-22 2005-10-26 주식회사 일산 슬러지 건조시스템
KR100884254B1 (ko) 2007-06-07 2009-02-17 장동현 슬러지 건조장치
KR20160048604A (ko) * 2014-10-25 2016-05-04 (주) 지엔티 슬러지 건조용 3단 이송 컨베이어 시스템 및 슬러지 건조방법
KR102212103B1 (ko) * 2020-05-22 2021-02-04 주식회사 한하산업 냉동사이클을 활용하여 슬러지를 건조시킬 수 있는 밀폐형 저온 건조 시스템의 운전제어방법
KR102390201B1 (ko) * 2021-12-30 2022-04-25 주식회사 한하산업 최적기류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송풍기를 갖는 슬러지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2514A (ko) * 2004-04-22 2005-10-26 주식회사 일산 슬러지 건조시스템
KR100884254B1 (ko) 2007-06-07 2009-02-17 장동현 슬러지 건조장치
KR20160048604A (ko) * 2014-10-25 2016-05-04 (주) 지엔티 슬러지 건조용 3단 이송 컨베이어 시스템 및 슬러지 건조방법
KR102212103B1 (ko) * 2020-05-22 2021-02-04 주식회사 한하산업 냉동사이클을 활용하여 슬러지를 건조시킬 수 있는 밀폐형 저온 건조 시스템의 운전제어방법
KR102390201B1 (ko) * 2021-12-30 2022-04-25 주식회사 한하산업 최적기류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송풍기를 갖는 슬러지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39555T3 (es) Dispositivo de secado de productos tales como particularmente lodos de estaciones depuradoras.
KR101171850B1 (ko) 건조 장치
KR200437458Y1 (ko) 슬러지 건조장치
CN108558165B (zh) 一种自动化全封闭多能互补污泥干化设备
KR101229156B1 (ko) 복합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70105660A (ko) 건조기 내의 노점온도 조절에 의한 직렬연결식 응축기의 스위치기능을 갖는 공기열원 히트펌프 건조기의 제어방법
KR102528538B1 (ko) 에어노즐을 이용한 폐슬러지의 저온 건조방법
KR20010048256A (ko) 전열식 농산물 건조기
WO2015137748A1 (ko) 식품 건조기
CN110895096B (zh) 空气流量精准均匀调节的装置及烟叶高效除湿烘干装置
JP4858239B2 (ja) 多段式植物栽培装置における空調方法
KR101129910B1 (ko) 수영장제습공조기
CN107462048A (zh) 一种基于分区控制的热泵带式干燥设备及其干燥方法
KR102528535B1 (ko) 에어노즐을 이용한 폐슬러지 저온 건조장치
CN208154958U (zh) 一种热泵干燥设备
KR100808013B1 (ko) 이원화된 냉동사이클을 구비한 냉동제습 장치 및 이를이용한 건조기
RU2606522C1 (ru) Устройство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управления термовлажностной обработкой лицевых бетонных изделий
KR102180289B1 (ko) 하이브리드 벨트식 다단건조기를 갖춘 유기성 폐기물 건조장치
JP4129772B2 (ja) 骨材等の水分除去装置
CN113028742B (zh) 一种流化床物料沸腾控制方式
CN107478039A (zh) 一种基于分区控制的热泵带式干燥系统及其干燥方法
CN108955224A (zh) 一种闭式地源热泵干燥系统
JPS58183998A (ja) 汚泥乾燥方法
KR102320450B1 (ko) 제습식 농산물 건조기
KR101589806B1 (ko) 핫가스 바이패스 타입 항온항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