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8037B1 - 대대급 전술 비행 훈련을 지원하는 탁상형 비행 전술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대대급 전술 비행 훈련을 지원하는 탁상형 비행 전술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8037B1
KR102528037B1 KR1020220145033A KR20220145033A KR102528037B1 KR 102528037 B1 KR102528037 B1 KR 102528037B1 KR 1020220145033 A KR1020220145033 A KR 1020220145033A KR 20220145033 A KR20220145033 A KR 20220145033A KR 102528037 B1 KR102528037 B1 KR 102528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ight
tactical
simulation
tabletop
sim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5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승철
Original Assignee
㈜녹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녹스코리아 filed Critical ㈜녹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220145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80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08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aircraft, e.g. Link trainer
    • G09B9/085Special purpose teaching, e.g. alighting on water, aerial photograph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6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19/165Control of aircraf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03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military purposes and tactic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04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land vehicles
    • G09B9/05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land vehicl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for recording or measuring trainee's performan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08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aircraft, e.g. Link trainer
    • G09B9/30Simulation of view from aircraft
    • G09B9/301Simulation of view from aircraft by computer-processed or -generated image
    • G09B9/302Simulation of view from aircraft by computer-processed or -generated image the image being transformed by computer processing, e.g. updating the image to correspond to the changing point of vie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탁상형 비행 전술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간 및 공간에 제약 없이 대대급의 비행 전술 교리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술 비행 교리에 대한 훈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전술 비행 교리 훈련에 참여한 아군과 대항군 각각에 대한 평가와 훈련군 및 대항군의 각 조종사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확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대대급 전술 비행 훈련을 지원하는 탁상형 비행 전술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대대급 전술 비행 훈련을 지원하는 탁상형 비행 전술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Table type flight tactical simulation system supporting battalion-level tactical flight training}
본 발명은 탁상형 비행 전술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간 및 공간에 제약 없이 대대급의 비행 전술 교리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술 비행 교리에 대한 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대대급 전술 비행 훈련을 지원하는 탁상형 비행 전술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투기, 일반 항공기 등을 조종하기 위한 조종사는 실제 비행기를 조종하기 전에 조종할 비행기의 기능 및 조작을 익히기 위해 다양한 이론 학습과 비행 시뮬레이터를 통한 훈련을 수행한다.
또한, 조종사는 실제 비행기를 운용하고 있더라도 부족한 실제 비행시간을 보충하고, 기능 및 전술의 숙지를 위해 비행 시뮬레이터를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비행 시뮬레이터의 종류는 소프트웨어 및 조종 기기에 기반한 소프트웨어형 시뮬레이터와, 거의 훈련하고자 하는 특정 비행기와 동일한 구조의 하드웨어 콕핏이 구성된 조종석을 구비하는 하드웨어형 시뮬레이터 등이 있다.
소프트웨어 및 조종 기기에 기반한 소프트웨어형 시뮬레이터는 컴퓨터 등에 설치된 비행 조종 시스템에 의한 조작에 따른 비행 자세 등의 훈련을 수행하는 것으로, 실제 비행기의 콕핏에 존재하는 다수의 패널에 위치하는 스위치를 키보드 등으로 대체하여 구성하거나 없는 경우가 많아 패널 위치 인지 및 패널 스위치의 조작 훈련 등을 수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하드웨어형 시뮬레이터는 콕핏이 실제 비행기의 콕핏 구조와 거의 동일하게 구성되어 실제 비행기에 탑승하여 조종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하나, 한 대당 가격이 고가여서 많은 수의 하드웨어형 시뮬레이터를 구성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다른 기종에 대해서는 그 기종에 대응하는 하드웨어형 시뮬레이터를 새롭게 개발하여야 하므로 개발 비용 및 생산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다수의 하드웨어 시뮬레이터를 구비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종래 하드웨어형 시뮬레이터로는 대대급의 비행 전술훈련을 하는 것이 어려웠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419716호 [모듈형 콕핏을 구비하는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 이를 이용한 비행 전술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은 탁상형 형태로 구성되면서도 조종하고자 하는 비행기 종류에 대응하는 콕핏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다수의 시뮬레이터가 인터넷망을 통해 연결되어 다수의 비행기가 연합한 전술 훈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상기 선행기술은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콕핏의 다양한 패널의 스위치 조작 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고, 비행 전술을 훈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다수의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를 통해 다수의 비행기가 동시에 비행 훈련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으나, 조종사들이 비행 전술 교리를 숙지 후 비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를 비행 전술 교리에 맞게 조종해야 할 뿐 비행 전술 교리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훈련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비행 전술, 특히 전투 비행 전술은 군대에 속한 비행기를 조종하는 조종사에 의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으나, 군 조종사는 본연의 임무 이외의 시간을 투자해야 하므로 비행 전술을 개발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전술 교리에 따른 훈련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군에서 지정한 민간(전역 조종사 등)에서 비행 전술 교리를 개발할 수 있는 비행 전술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419176호(2022.07.12.공고)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간 및 공간에 제약 없이 대대급의 비행 전술 교리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술 비행 교리에 대한 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대대급 전술 비행 훈련을 지원하는 탁상형 비행 전술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대대급 전술 비행 훈련을 지원하는 탁상형 비행 전술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착탈 가능하고 조작 가능한 다수의 스위치 및 비행 디스플레이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해당 스위치 조작정보를 출력하는 다수의 패널모듈을 포함하는 콘솔 모듈부 및 훈련자의 비행기 속도, 좌우 회전, 상하 회전 및 축 회전에 대한 조종기기 조작정보를 출력하는 조종 모듈부를 포함하되, 훈련할 비행기 기종에 대응하도록 상기 패널모듈 및 조종기기를 연결하여 상기 비행기 기종에 대응하는 스위치 조작정보 및 조종기기 조작정보를 포함하는 비행 시뮬레이션 정보를 전송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행 전술 교리를 저장하고, 임의 비행 전술 교리의 선택 시 선택된 비행 전술 교리에 대응하는 비행기 기종 및 비행기 수에 대응하는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비행 시뮬레이션 정보에 따른 각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에 대응하는 시뮬레이터 시뮬레이션을 생성하고, 상기 시뮬레이터 시뮬레이션을 통합한 각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 관점에서의 시뮬레이터 통합 시뮬레이션 영상을 생성하여 해당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 전송하고, 각 시뮬레이터 시뮬레이션에 의해 각 시뮬레이터에 대응하는 비행기가 상기 비행 전술 교리에 따라 비행하도록 유도하고 평가하는 전술 훈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술 훈련부는, 상기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를 조종할 수 있는 조종사를 민간 조종사와 군 조종사로 구분하고, 접속 암호를 포함하는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회원 DB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행 전술 교리를 저장하는 전술 DB를 포함하는 전술 저장부; 유무선 데이터통신망을 통해 다수의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들과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전술 통신부; 및 상기 유무선 데이터통신망 및 상기 전술 통신부를 통해 접속한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에 의해 임의 비행 전술 교리의 선택 시 선택된 비행 전술 교리에 따른 상기 민간 조종사와 군 조종사에 의해 구성되는 훈련군 및 대항군에 대응하고 비행기 기종 및 비행기 수에 대응하는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부터 수신되는 조작정보에 따른 각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에 대응하는 시뮬레이터 시뮬레이션을 생성하고, 각 시뮬레이터 시뮬레이션에 의해 각 시뮬레이터에 대응하는 비행기가 상기 비행 전술 교리에 따라 비행하도록 유도하고 평가하는 전술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술 제어부는, 상기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 회원 등록 수단을 제공하고, 상기 회원 등록 수단을 통해 민간 조종사인지 군 조종사인지를 포함하는 회원정보를 입력받아 접속 암호와 함께 상기 회원 DB에 저장하여 회원으로 등록하는 회원 등록부; 상기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의 접속 시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부터 입력되는 접속 암호와 상기 회원 DB에 등록된 접속 암호를 비교하여 회원 검증을 수행하는 회원 검증부; 상기 검증된 회원에 의한 시뮬레이션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시뮬레이션 이벤트 모니터링부; 시뮬레이션 이벤트가 발생되면 전술 DB에 저장된 비행 전술 교리 중 하나를 선택받아 적용하고, 상기 비행 전술 교리 훈련에 참여하는 비행기 기종, 조종사,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 및 무장을 설정하는 전술 설정부; 상기 비행 전술 교리의 적용 후 시뮬레이션 개시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시뮬레이션 개시 모니터링부; 시뮬레이션이 개시되면 상기 전술 설정부를 통해 설정된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부터 비행 시뮬레이션 정보를 수집하는 시뮬레이션 데이터 수집부; 상기 수집되는 비행 시뮬레이션 정보에 의해 각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에 대한 시뮬레이터 통합 시뮬레이션 영상을 생성하는 시뮬레이션 영상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시뮬레이터 통합 시뮬레이션 영상을 해당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 전송하는 전술 시뮬레이션 영상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술 제어부는, 상기 시뮬레이션 개시 모니터링부를 통한 시뮬레이션 개시 이벤트의 발생 시 설정된 상기 비행 전술 교리를 수행하기 위한 전술 시행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검증하는 전술 시행 조건 검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시뮬레이션 데이터 수집부는, 상기 전술 시행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해당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들로부터 비행 시뮬레이션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술 시행 조건 검증부는, 공격 및 방어 중 수행하고자 하는 어느 하나에 대해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부터 수신되는 비행 시뮬레이션 정보에 포함된 비행기 기종 정보에 의해 비행 전술 교리의 비행기 기종 및 편대 구성을 만족하고, 전술 설정부에서 설정된 무장이 비행 전술 교리에 대응하는 무장인지를 판단하여 전술 시행 조건을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술 제어부는, 상기 전술 통신부를 통해 접속한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 전술 생성 수단을 제공하고, 상기 전술 생성 수단을 통해 입력 및 선택되는 정보들에 대응하는 비행 전술 교리를 생성하여 상기 전술 DB에 저장하는 전술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장부는, 전술을 수행할 지역의 지도데이터를 저장하는 지도 DB; 및 비행 전술 교리에 적용될 수 있는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인 비행기 이외의 공격 무기 및 방어 무기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전술 기기 DB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술 생성부는, 상기 전술 생성 수단을 통해 비행 전술 교리의 공격 및 방어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공수 설정부; 상기 공수 설정부를 통해 설정된 공격 목표 설정 수단 및 방어 목표 설정 수단 중 선택되는 순서대로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 제공하여 공격 목표 및 방어 목표를 설정하는 전술 목표 설정부; 목표 설정 후 비행기 기종 선택 수단을 상기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 제공하여 공격 및 방어 비행기 기종을 선택받아 설정하는 기종 선택부; 상기 기종 선택부에서 선택된 비행기 기종의 편대 전투기 수를 상기 비행기 기종 선택 수단을 통해 입력받아 기종별 편대 전투기 수를 결정하는 편대 전투기 수 결정부; 상기 편대 전투기 수 결정 후 전술지형 선택 수단을 상기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 제공하여 상기 지도 DB의 지도데이터에서 상기 전술지형 선택 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지역에 대응하는 지형을 상기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 제공하고, 비행 전술 교리의 임무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를 포함하는 상기 비행 전술 교리를 수행할 전술지형을 선택받아 설정하는 전술지형 선택부; 상기 전술지형이 설정되면 비행 경로 설정 수단을 상기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 제공하여 상기 비행 전술 교리에 따라 선택된 비행기 기종의 편대가 진행할 비행 경로를 설정하는 전술 비행 경로 설정부; 상기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 무상 선택 수단을 제공하여 상기 선택된 비행기별로 장착할 무장을 선택받아 설정하는 무장 선택부; 및 상기 설정된 정보들을 포함하는 비행 전술 교리를 생성하여 상기 전술 DB에 저장하는 전술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술 생성부는, 상기 비행 전술 교리를 수행하기 위한 상기 비행 전술 교리의 비행기, 즉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가 수행하여야 할 동작들에 대한 최적 시뮬레이션을 생성하여 상기 전술 DB의 해당 비행 전율 교리에 맵핑하여 저장하는 최적 시뮬레이션 생성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술 제어부는, 시뮬레이션 개시에 따른 각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의 비행 시뮬레이션 정보에 의한 시뮬레이션과 상기 최적 시뮬레이션을 비교하여 해당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의 비행 전술 교리에 대한 수행 평가를 수행하여 각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에 대한 평가정보를 생성하여 평가 DB에 저장하는 전술 평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대대급 전술 비행 훈련을 지원하는 탁상형 비행 전술 시뮬레이션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행 전술 교리를 저장하는 전술 훈련부가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부터 임의 비행 전술 교리를 선택받고, 선택된 비행 전술 교리에 대응하는 둘 이상의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를 연결하여 시뮬레이션 설정을 수행하는 시뮬레이션 설정 과정; 착탈 가능하고 조작 가능한 다수의 스위치 및 비행 디스플레이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해당 스위치 조작정보를 출력하는 다수의 패널모듈을 포함하는 콘솔 모듈부 및 훈련자의 비행기 속도, 좌우 회전, 상하 회전 및 축 회전에 대한 조종기기 조작 정보를 출력하는 조종 모듈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가 훈련할 비행기 기종에 대응하도록 상기 패널모듈 및 조종기기를 연결하여 상기 비행기 기종에 대응하는 스위치 조작정보 및 조종기기 조작정보를 포함하는 비행 시뮬레이션 정보를 전송하는 다수의 비행 시뮬레이션 정보 제공 과정; 및 상기 전술 훈련부가 선택된 상기 비행 전술 교리에 대응하는 비행기 기종 및 비행기 수에 대응하는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비행 시뮬레이션 정보에 따른 각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에 대응하는 시뮬레이터 시뮬레이션을 생성하고, 상기 시뮬레이터 시뮬레이션을 통합한 각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 관점에서의 시뮬레이터 통합 시뮬레이션 영상을 생성하여 해당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 전송하고, 각 시뮬레이터 시뮬레이션에 의해 각 시뮬레이터에 대응하는 비행기가 상기 비행 전술 교리에 따라 비행하도록 유도하고 평가하는 전술 훈련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전술 훈련부가 대대급 전술 비행 훈련에 참여할 수 있는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들에 대한 시뮬레이터 식별정보 및 소유자 정보를 포함하는 시뮬레이터 정보를 회원 DB에 저장하여 상기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를 등록하는 시뮬레이터 등록 과정; 상기 전술 훈련부가 상기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 회원 등록 수단을 제공하고, 상기 회원 등록 수단을 통해 민간 조종사인지 군 조종사인지를 포함하는 회원정보를 입력받아 접속 암호와 함께 상기 회원 DB에 저장하여 회원으로 등록하는 회원 등록 과정; 및 상기 전술 훈련부가 상기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의 접속 시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부터 입력되는 접속 암호와 상기 회원 DB에 등록된 접속 암호를 비교하여 회원 검증을 수행하는 회원 검증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뮬레이션 설정 과정은, 상기 전술 훈련부의 전술 제어부가 시뮬레이션 이벤트 모니터링부를 통해 상기 검증된 회원에 의한 시뮬레이션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시뮬레이션 이벤트 모니터링 단계; 및 시뮬레이션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전술 제어부가 전술 설정부를 통해 전술 DB에 설정된 비행 전술 교리 중 하나를 선택받고, 선택된 비행 전술 교리를 적용하고, 상기 비행 전술 교리 훈련에 참여하는 비행기 기종, 조종사,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 및 무장을 설정하는 전술 설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술 훈련 과정은, 상기 전술 제어부가 시뮬레이션 개시 모니터링부를 통해 상기 비행 전술 교리의 적용 후 시뮬레이션 개시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시뮬레이션 개시 모니터링 단계; 시뮬레이션이 개시되면 상기 전술 제어부가 시뮬레이션 데이터 수집부를 통해 상기 전술 설정부에서 설정된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부터 비행 시뮬레이션 정보를 수집하는 시뮬레이션 데이터 수집 단계; 상기 전술 제어부가 시뮬레이션 영상 생성부를 통해 상기 수집되는 비행 시뮬레이션 정보에 의해 각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에 대한 시뮬레이터 통합 시뮬레이션 영상을 생성하는 시뮬레이션 영상 생성 단계; 및 상기 전술 제어부가 전술 시뮬레이션 영상 전송부를 통해 상기 생성된 시뮬레이터 통합 시뮬레이션 영상을 해당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 전송하는 전술 시뮬레이션 영상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전술 제어부가 전술 생성부를 통해 전술 통신부를 통해 접속한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 전술 생성 수단을 제공하고, 상기 전술 생성 수단을 통해 입력 및 선택되는 정보들에 대응하는 비행 전술 교리를 생성하여 전술 DB에 저장하는 전술 생성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술 생성 과정은, 상기 전술 훈련부의 전술 제어부가 공수 설정부를 통해 상기 전술 생성 수단을 통해 비행 전술 교리의 공격 및 방어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공수 설정 단계; 상기 전술 제어부가 전술 목표 설정부를 통해 상기 공수 설정부에서 설정된 공격 목표 설정 수단 및 방어 목표 설정 수단 중 선택되는 순서대로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 제공하여 공격 목표 및 방어 목표를 설정하는 전술 목표 설정 단계; 상기 전술 제어부가 기종 선택부를 통해 목표 설정 후 비행기 기종 선택 수단을 상기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 제공하여 공격 및 방어 비행기 기종을 선택받아 설정하는 기종 선택 단계; 상기 전술 제어부가 편대 전투기 수 결정부를 통해 상기 기종 선택부에서 선택된 비행기 기종의 편대 전투기 수를 상기 비행기 기종 선택 수단을 통해 입력받아 기종별 편대 전투기 수를 결정하는 편대 전투기 수 결정 단계; 상기 전술 제어부가 상기 편대 전투기 수 결정 후 전술지형 선택부를 통해 전술지형 선택 수단을 상기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 제공하여 지도 DB의 지도데이터에서 상기 전술지형 선택 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지역에 대응하는 지형을 상기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 제공하고, 비행 전술 교리의 임무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를 포함하는 상기 비행 전술 교리를 수행할 전술지형을 선택받아 설정하는 전술지형 선택 단계; 상기 전술 제어부가 상기 전술지형이 설정되면 전술 비행 경로 설정부를 통해 비행 경로 설정 수단을 상기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 제공하여 상기 비행 전술 교리에 따라 선택된 비행기 기종의 편대가 진행할 비행 경로를 설정하는 전술 비행 경로 설정 단계; 상기 전술 제어부가 무상 선택부를 통해 상기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 무상 선택 수단을 제공하여 상기 선택된 비행기별로 장착할 무장을 선택받아 설정하는 무장 선택 단계; 및 상기 전술 제어부가 전술 데이터 생성부를 통해 상기 설정된 정보들을 포함하는 비행 전술 교리를 생성하여 상기 전술 DB에 저장하는 전술 교리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군에서 지정한 민간 사업자에 의해 비행 전술 교리를 생성 및 검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행 전술 교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개발할 수 있으며, 전투기 조종사의 업무집중도 및 전력향상을 제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데이터통신망을 통해 전술을 수행할 다수의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들을 연결하므로 공간 및 인원수(비행기 수)에 제한받지 않고 전술 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규모 비행 전술 교리 훈련이 가능하고 고난도 교육 훈련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 훈련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되 비행 전술 교리의 구성 조종사별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제한의 무장 운용 및 고위험 기동을 안전하고 통제된 환경에서 수행함으로써 실장비 운용방법의 반복 숙달 및 고난이도의 전투 기동 역량을 배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된 환경에서 고난이도 훈련을 제공하므로, 훈련 중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을 현격히 줄이고, 비행 장비 및 각종 훈련 무장의 내구도를 손상시키지 않으므로 전투기의 높은 상시 가동률을 확보할 수 있어 전력강화에 이바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군 뿐만 아니라 민간 주도하에 비행 전술 교리를 만들고, 비행 전술 교리에 따른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므로 다양한 비행 전술 교리를 훈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속한 시뮬레이터들에 구성된 콕핏 모듈 정보를 수집하여 해당 시뮬레이터가 해당 비행 전술 교리에 대응하는 전투기인지를 검증하므로, 비행 전술 교리에 따라 보다 정확하게 훈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대급 전술 비행 훈련을 지원하는 탁상형 비행 전술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탁상형 비행 전술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다수의 비행 시뮬레이터에 의한 편대 구성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탁상형 비행 전술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탁상형 비행 전술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의 외형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탁상형 비행 전술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전술 훈련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대대급 전술 비행 훈련을 지원하는 탁상형 비행 전술 시뮬레이션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대대급 전술 비행 훈련을 지원하는 탁상형 비행 전술 시뮬레이션 방법 중 전술 교리 생성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대대급 전술 비행 훈련을 지원하는 탁상형 비행 전술 시뮬레이션 방법 중 전술 시뮬레이션 수행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대급 전술 비행 훈련을 지원하는 탁상형 비행 전술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고, 상기 시스템에서의 비행 전술 시뮬레이션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대급 전술 비행 훈련을 지원하는 탁상형 비행 전술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탁상형 비행 전술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다수의 비행 시뮬레이터에 의한 편대 구성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대대급 전술 비행 훈련을 지원하는 탁상형 비행 전술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다수의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100) 및 전술 훈련부(1000)를 포함한다.
상기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100)들과 전술 훈련부(100)는 유무선 데이터통신망(1)을 통해 상호 데이터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유무선 데이터통신망(1)은 와이파이(WiFi)망, 로컬망(Local Area Network: LAN) 및 광대역망(Wide Area Network: WAN)을 포함하는 인터넷망, 전용망, 3세대(3 Generation: 3G), 4G, 5G 등의 이동통신망 등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결합되어 있는 데이터통신망일 수 있을 것이다.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4기의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100)가 레드(RED) 팀 2기, 블루(BLUE)팀 2기로 구성되어 비행 전술 교리를 시뮬레이션할 수도 있고, 레드팀과 블루팀 각각이 4기 이상, 즉 대대급 이상으로 구성되어 비행 전술 교리를 시뮬레이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100)는 도 1 및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콘솔 모듈부(200), 조종 모듈부(300) 및 메인 제어 모듈(400)를 포함하고,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500)를 포함한다.
콘솔 모듈부(200)는 콕핏의 정면 콘솔인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은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오른쪽 콘솔, 왼쪽 콘솔 등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콘솔 모듈부(200)는 본 발명에 따른 콕핏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오른쪽 콘솔, 왼쪽 콘솔에 구성되는 다양한 다수의 패널(ICP Panel, IFF Panel, MISC Panel, Eyebrow Indicator, Master Caution Panel 등)이 모듈 형태로 구성되어(이하 "패널모듈"이라 함)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100)는 비행기 종류(기종)에 따른 콕핏의 콘솔 및 패널 구조정보를 포함하는 조종설정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조종사 또는 관리자가 비행기 종류의 선택 시 선택된 비행기에 대응하는 조종설정정보를 표시하고, 그에 대응하도록 인스트루먼트 패널을 포함하는 해당 콘솔의 패널모듈이 해당 콘솔의 해당 위치에 구성되는지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조종설정정보 대로 패널모듈이 구성되면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100)는 조종사 또는 전술 관리자에 의해 단독 모드 및 전술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고, 설정된 모드에 대응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상기 단독 모드에서는 조종사가 설정한 개인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그에 따른 훈련자의 콘솔 및 패널의 스위치 조작정보 및 조종기기 조작정보에 따른 개인 시뮬레이션을 처리하여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을 표시한다.
반면, 전술 모드에서 상기 비행 시뮬레이터(100)는 단독 모드와 동일하게 획득된 비행 시뮬레이션 정보를 유무선 데이터통신망(1)을 통해 전술 훈련부(1000)로 전송하고, 전술 훈련부(1000)로부터 전술에 따라 구성된 둘 이상의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100)들로부터 수신된 비행 시뮬레이션 정보에 의해 통합하여 생성되되 각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100) 관점(시점)의 통합 시뮬레이션 영상인 시뮬레이터 통합 시뮬레이션 영상을 수신받아 표시한다.
상기 전술모드에서 상기 비행 시뮬레이터(100)는 현재 선택한 비행기에 대한 비행기 종류(기종)정보 및 조종설정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과 시뮬레이터 식별정보를 상기 비행 시뮬레이션 정보에 더 포함하여 전송할 것이다. 상기 시뮬레이터 식별정보는 상기 비행 시뮬레이터(100)에 대해 고유하게 할당되는 식별정보이다. 상기 비행기 종류 정보 및 조종설정정보는 초기에 한 번만 전술 훈련부(1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비행 시뮬레이션정보는 콘솔 모듈부(200)의 패널모듈의 스위치 조작에 따른 스위치 조작정보 및 조종 모듈부(300)에 의해 생성되는 조종기기 조작정보가 포함될 것이다.
상기 비행 시뮬레이터(100)의 상세 구성 및 동작은 다음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술 훈련부(10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행 전술 교리를 가지고 있으며,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100)에 대한 시뮬레이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비행 시뮬레이터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비행 시뮬레이터(100)를 조종할 수 있는 다수의 조종사를 회원으로 등록하고 있다.
전술 훈련부(1000)는 임의 비행 전술 교리의 선택 시 선택된 비행 전술 교리에 대응하는 비행기 기종 및 비행기 수에 대응하는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10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비행 시뮬레이션 정보에 따른 각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100)에 대응하는 시뮬레이터 시뮬레이션을 생성하고, 상기 시뮬레이터 시뮬레이션을 통합한 각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100) 관점에서의 시뮬레이터 통합 시뮬레이션 영상을 생성하여 해당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100)로 전송하고, 각 시뮬레이터 시뮬레이션에 의해 각 비행 시뮬레이터(100)에 대응하는 비행기가 상기 비행 전술 교리에 따라 비행하도록 유도하고 평가한다.
상기 전술 훈련부(100)의 상세 구성 및 동작은 다음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탁상형 비행 전술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탁상형 비행 전술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의 외형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행 시뮬레이터(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콘솔 모듈부(200), 조종 모듈부(300) 및 메인 제어 모듈(400)을 포함하고, 실시예에 따라 탈착형 디스플레이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콘솔 모듈부(200)는 본 발명에 따라 콕핏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로, 정면 콘솔인 인스트루먼트 패널(210)을 포함하고, 실시예에 따라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좌측 및 우측 콘솔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인스트루먼트 패널(210)은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비행기 기종에 따라 다수의 패널모듈(211 내지 217)들을 포함한다.
도 3은 F-16 기종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을 나타낸 것으로, F-16 기종의 인스트루먼트 패널(210)은 통합 제어 패널(Integrated Control Panel: ICT)(211), 좌측 다기능 디스플레이(Multi Function Display: MFD-LMF)(212-1), 우측 다기능 디스플레이(MDF-RMF)(212-2), 레이더 경보 수신기(Radar Warning Receiver: RWR)(213), 게이지 패널(Gauge Panel)(214), 마스터 코션 패널(Master Caution Panel)(215), 아이브로우 지시기(Eyebrow Indicator)(216), 허드(Head Up Display: HUD)(217) 등을 포함한다.
상술한 패널모듈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또는 버튼) 및 비행 디스플레이부(MFD(212-1, 212-2), RWR(213), HUD(217) 등)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스위치를 포함하는 경우 스위치 조작에 따른 스위치 조작정보를 메인 제어 모듈(400)로 출력하고, 비행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경우 메인 제어 모듈(400)로부터 수신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비행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도 3에서는 비행기 기종 F-16에 대응하여 다수의 패널모듈을 구성하였으나, 선택되는 비행기 기종에 따라 패널모듈을 탈착하여 대응하는 비행기 기종에 대응하도록 인스트루먼트 패널(210)을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인스트루먼트 패널(210)은 패널모듈이 배치될 수 있는 다수의 영역을 포함하는 베이스 판 위에 상기 영역별로 패널모듈들이 기구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고, 패널모듈의 연결 시 패널모듈이 연결된 영역정보, 즉 위치정보를 메인 제어 모듈(400)로 출력하고, 연결된 패널모듈은 자신의 패널 식별정보를 연결된 전기적 수단을 통해 메인 제어 모듈(400)로 출력한다. 상기 메인 제어 모듈(400)은 상기 전기적 수단이 어느 영역에 구성된 것인지를 알고 있어야 할 것이다.
콘솔 모듈부(200)가 좌측 및 우측 콘솔을 포함하는 경우 각 콘솔 또한 다수의 패널모듈이 연결될 수 있는 영역이 구성되어 있으며, 패널모듈의 연결 시 패널모듈이 연결된 위치정보를 메인 제어 모듈(400)로 출력하고, 연결된 패널모듈은 자신의 패널 식별정보를 연결된 전기적 수단을 통해 메인 제어 모듈(400)로 출력할 것이다.
즉, 콘솔 모듈부(200)는 패널모듈의 연결 시 콘솔정보, 패널 식별정보 및 연결된 패널모듈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패널정보를 메인 제어 모듈(400)로 출력한다.
조종 모듈부(300)는 메인 제어 모듈(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훈련자의 조작에 따른 비행 시뮬레이터의 비행 속도, 좌우 회전, 상하 회전, 축 회전 등을 제어하기 위한 조종기기 조작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조종 모듈부(300)의 연결된 조종기기는 자신의 조종기기 식별정보를 메인 제어 모듈(400)로 전송한다.
상기 조종 모듈부(300)는 조종간(Side Stick)(310), 쓰로틀(Throtle) 모듈(320) 및 러더(Rudder) 모듈(330)을 포함하고, 실시예에 따라 헤드 트래커 모듈(340), 키보드 모듈(350), 헤드셋 모듈(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조종간(310)은 훈련자의 조작에 따른 시뮬레이터의 축 회전(Roll) 및 상하 회전(Pitch)을 제어하기 위한 축 회전 각 및 상하 회전 각 정보를 조종기기 조작정보로서 출력한다.
쓰로틀 모듈(320)은 훈련자의 조작에 따른 시뮬레이터의 비행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속도정보를 조종기기 조작정보로서 출력한다.
러더 모듈(330)은 훈련자의 조작에 따른 시뮬레이터의 좌우 회전(Yaw)을 제어하기 위한 좌우 회전 각 정보를 조종기기 조작정보로서 출력한다.
헤드 트래커 모듈(340)은 훈련자의 헤드, 즉 머리의 움직임을 추적하여, 머리 움직임 방향 및 회전 각도를 포함하는 헤드 추적 정보를 조종기기 조작정보로서 출력한다.
키보드 모듈(350)은 본 발명에 따른 시뮬레이션 설정 및 비행 전술 설정을 위한 다양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며, 좌측 및 우측 콘솔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좌측 및 우측 콘솔 등의 각 패널의 스위치 조작에 대응하는 패널 스위치 조작정보를 조종기기 조작정보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메인 제어 모듈(400)은 모듈 저장부(410), 모듈 통신부(420), 인터페이스부(430), 디스플레이부(440) 및 모듈 제어부(450)를 포함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행 시뮬레이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모듈 저장부(410)는 본 발명에 따른 비행 시뮬레이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영역,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임시영역,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 및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반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영역에는 본 발명에 따른 비행기 기종별 패널모듈 위치정보 및 패널모듈 종류(ICP 패널, MDF-RMF 패널, Eyebrow Indicator 패널, 게이지 패널 등등)를 포함하는 구조정보가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패널모듈 종류는 패널 식별정보에 의해 구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데이터영역에는 시뮬레이션 정보 및 시뮬레이션 영상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데이터영역에는 비행 전술 교리가 더 저장될 수도 있을 것이다.
모듈 통신부(420)는 유무선 데이터통신망(1)에 접속하여 유무선 데이터통신망(1)에 접속한 다른 비행 시뮬레이터(100) 및 전술 훈련부(1000)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모듈 유선통신부(421) 및 상기 유무선 데이터통신망(1)에 무선으로 접속하여 상기 유무선 데이터통신망(1)에 접속한 다른 장치들과 데이터통신을 수행하거나 조종 모듈부(300)와 다이렉트로 무선연결되어 상기 조종 모듈부(300)와 무선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모듈 무선통신부(422)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440)는 상기 모듈 제어부(450)의 제어를 받아 비행 시뮬레이터(100)의 비행 시뮬레이션 및 비행 전술 시뮬레이션 설정을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 및 동작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고, 비행 시뮬레이션의 개시 시 비행 시뮬레이션 영상을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40)는 훈련자의 눈으로 직접 콘솔 모듈부(200) 및 조종 모듈부(300)를 직접 보는 현실 세계에 상기 시뮬레이션 영상을 결합한 증강현실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See-through 타입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일 수도 있고, 돔 형태로 구성되어 전후좌우를 모두 볼 수 있도록 구성된 돔 스크린과 상기 돔 스크린에 상기 시뮬레이션 영상을 조사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빔프로젝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440)와 같이 모듈 제어부(450)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인터페이스부(430)를 통해 연결되는 디스플레이부(500)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인터페이스부(430)는 모듈 제어부(450)와, 콘솔 모듈부(200) 및 조종 모듈부(300) 사이에 구성되어 콘솔 모듈부(200)의 인스트루먼트 패널(210) 및 좌우측 콘솔의 패널모듈, 조종 모듈부(300)의 각 조종모듈과 연결되고, 상기 조종 모듈부(300)로부터 입력되는 조종기기 조작정보를 모듈 제어부(450)로 출력하고, 콘솔 모듈부(200)로부터 입력되는 스위치 조작정보를 모듈 제어부(450)로 출력하며, 상기 모듈 제어부(450)로부터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비행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해당 패널모듈로 출력한다.
모듈 제어부(450)는 GUI 처리부(451), 콘솔 설정부(452), 비행 시뮬레이션부(453), 전술 설정부(454), 비행 시뮬레이션 정보 전송부(455) 및 전술 비행 디스플레이 데이터 수신부(456)를 포함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메인 제어 모듈(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GUI 처리부(451)는 훈련자가 키보드(350), 조종간(310) 등을 통해 입력 및 설정되는 기능에 대응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수단을 디스플레이부(440 및 50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표시한다. 상기 GUI 수단은 콘솔 설정 수단, 전술 설정 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콘솔 설정부(452)는 상기 GUI 처리부(451)에 의한 콘솔 설정 수단이 디스플레이부(440)에 표시되는 경우 활성화되며, 상기 콘솔 설정 수단을 통해 비행기 기종이 입력되면 입력된 비행기 기종에 따른 패널모듈들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구조정보인 조종설정정보를 모듈 저장부(410)로부터 로드하여 디스플레이부(440 및 50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표시하고, 콘솔 모듈부(200)로부터 해당 위치에서 해당 패널모듈에 대응하는 패널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패널정보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하여 표시된 구조정보에 대응하는 패널모듈이 인스트루먼트 패널(210) 및 좌우측 콘솔의 해당 위치에 연결되는지를 모니터링한다.
상기 위치정보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해 인스트루먼트 패널(210) 및 콘솔은 다수의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및 패널모듈을 연결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포트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모듈 제어부(450)의 콘솔 설정부(452)는 상기 영역의 센서를 통해 패널모듈의 접착을 감지하고, 상기 센서가 구성된 영역의 인터페이스 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패널 식별정보에 의해 패널모듈의 종류를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패널모듈은 자석식, 너트/볼트 방식, 끼움결합 방식 등으로 인스트루먼트 패널(210) 및 콘솔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자석식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비행 시뮬레이션부(453)는 단독 모드 및 전술 모드로 동작할 수 있으며, 각 모드에서 콘솔 모듈부(200)로부터 입력되는 스위치 조작정보 및 조종 모듈부(300)로부터 입력되는 조종기기 조작정보에 따른 비행 시뮬레이터(100)에 대한 비행 시뮬레이션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비행 시뮬레이션부(453)는 단독 모드에서 상기 시뮬레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시뮬레이션 영상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440 및 50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표시하고, 전술 모드에서 비행 시뮬레이션 정보 전송부(455)로 시뮬레이션 정보를 출력한다.
상기 비행 시뮬레이션부(453)는 상기 시뮬레이션 정보에 따른 비행 시 콘솔 모듈부(200)의 비행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각 패널모듈에 표시할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해당 패널모듈로 전송한다.
전술 설정부(454)는 상기 GUI 처리부(451)에 의해 전술 설정 수단의 표시 시 활성화되어 모듈 통신부(420)를 통해 전술 훈련부(10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전술 훈련부(100)를 통해 설정된 비행 전술 교리 및 비행 전술 교리에 따른 비행기 종류, 무장 등을 포함하는 훈련자가 설정한 전술훈련 정보를 상기 전술 훈련부(1000)에 저장하여 등록하고, 비행 전술 시뮬레이션의 개시 시 전술 모드에서의 상기 비행 시뮬레이션부(453)를 활성화한다. 상기 비행 전술 시뮬레이션의 개시는 전술 훈련부(1000)의 관리자에 의해 발생될 수도 있고, 각 조종사에 의해 발생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전술 설정부(454)는 전술 모드에서 비행 전술 시뮬레이션의 개시 시 조종사로부터 접속 암호를 입력받아 전술 훈련부(1000)로 전송하고, 상기 접속 암호에 의한 접속 승인 시 상기 비행 시뮬레이션부(453)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조종사 인증을 수행하여 성공한 조종사에 의한 접속만을 허락하기 위한 것이다.
비행 시뮬레이션 정보 전송부(455)는 상기 비행 시뮬레이션부(453)로부터 입력되는 비행 시뮬레이션 정보를 모듈 유선통신부(421)를 통해 전술 훈련부(1000)로 전송한다.
전술 비행 디스플레이 데이터 수신부(456)는 상기 비행 시뮬레이션 정보 전송부(455)에 의해 전송되는 비행 시뮬레이션 정보에 응답하여 수신되는 시뮬레이터 통합 시뮬레이션 영상을 모듈 유선통신부(421)를 통해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440)에 표시한다.
전술 비행 디스플레이 데이터 수신부(456)는 상기 시뮬레이터 통합 시뮬레이션 영상과 함께 최적 시뮬레이션 영상을 상기 전술 훈련부(1000)로부터 수신받아 모듈 저장부(410)에 저장하고 조종 모듈부(300)를 통한 조종사인 훈련자의 최적 시뮬레이션 영상 요청 시 모듈 저장부(410)에 저장된 최적 시뮬레이션 영상 또는 실시간 수신되는 최적 시뮬레이션 영상을 디스플레이부(440, 500)에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탁상형 비행 전술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전술 훈련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 훈련부(1000)는 전술 저장부(1100), 전술 통신부(1200), 전술 제어부(1300) 및 관제 디스플레이부(1400)를 포함한다.
상기 전술 저장부(1100)는 전술 훈련부(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영역,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임시영역,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 및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 발생된 데이터를 반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영역에는 본 발명에 따라 회원 DB(1110), 전술 DB(1120), 지도 DB(1130), 전술기기 DB(1140) 및 평가 DB(1150)가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회원 DB(1110)는 본 발명에 따라 전술 훈련부(1000)에 접속할 수 있는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100)의 시뮬레이터 식별정보 및 소유자를 포함하는 시뮬레이터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100)를 조정할 수 있는 다수의 조종사 각각에 대한 조종사 정보를 및 조종사별로 고유하게 할당된 접속 암호 등을 포함하는 회원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회원은 민간 조종사, 군 조종사 등으로 구분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 DB(1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행 전술 교리를 저장한다. 상기 비행 전술 교리는 공격군 목표정보, 수비군 목표정보, 공격 및 수비 각각에 대한 편대 정보, 수비 시 방어 전술 기기 정보 전술 지형 정보, 전술 비행 경로 정보, 전술 성공 조건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편대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편대 전투기 기종 정보, 편대 전투기 수, 무장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전술 DB(1120)는 해당 비행 전술 교리에 대한 최적 비행 시뮬레이션 및 최적 비행 시뮬레이션 영상이 더 저장될 수도 있을 것이다.
지도 DB(1130)는 전술을 수행할 다양한(전세계, 특정지역 등) 영역의 지도 데이터를 저장한다.
전술 기기 DB(1140)는 전술에 적용할 수 있는 비행기 기종 및 성능 정보, 각 비행기 기종에 적용할 수 있는 무장, 실제 적용되고 있는 방공 무기 및 성능 정보 등을 포함한다. 상기 방공 무기는 대공포, 방공포, 지대공 미사일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평가 DB(1150)는 편대별로 실행한 비행 전술 시뮬레이션에 대한 편대별 평가정보, 편대의 각 조종사별 평가정보를 저장한다.
전술 통신부(1200)는 유무선 데이터통신망(1)에 유선 및 무선 중 어느 하나로 연결되어 전술 제어부가(1300)가 상기 유무선 데이터통신망(1)에 접속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100)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관제 디스플레이부(1400)는 전술 훈련부(1000)의 동작상태 정보 및 동작상태에 대응하는 다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전술 시뮬레이션 영상 및 평가정보 등을 표시한다.
전술 제어부(1300)는 시뮬레이터 등록부(1301), 회원 등록부(1302), 회원 검증부(1303), 전술 생성부(1310), 시뮬레이션 이벤트 모니터링부(1320), 전술 설정부(1330), 시뮬레이션 개시 모니터링부(1340), 전술 시행 조건 검출부(1350), 시뮬레이션 데이터 수집부(1360), 시뮬레이션 영상 생성부(1370), 전술 시뮬레이션 영상 전송부(1380) 및 전술 평가부(1390)를 포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술 훈련부(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시뮬레이터 등록부(1301)는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100)들에 대한 시뮬레이터 식별정보 및 소유자를 포함하는 시뮬레이터 정보를 회원 DB(1110)에 저장하여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100)를 등록한다. 상기 시뮬레이터 정보는 별도의 시뮬레이터 DB를 구성하여 저장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시뮬레이터의 소유자는 군일 수도 있고, 민간일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민간은 민간인 또는 민간 기관/민간 업체일 수 있으며, 상기 민간인은 공군 예비역 및 전투기 조종 가능한 조종사일 수 있고, 상기 민간 기관은 공군 예비역 및 전투기 조종 가능한 조종사들을 보유한 기관/업체일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시뮬레이터 정보에는 소유자가 민간인지 군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것이다.
회원 등록부(1302)는 조종할 수 있는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100)에 대한 시뮬레이터 식별정보, 조종 가능한 비행기 기종, 비행 소티 등을 포함하는 조종사 정보, 민간 조종사인지 군 조종사인지를 설정하는 조종사 소속 정보 등을 포함하는 회원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회원 등록 수단을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100) 또는 별도의 조종사 단말부(미도시)로 제공하고, 상기 회원 등록 수단을 통한 회원정보를 입력받아 회원 DB(1110)에 저장하여 회원으로 등록한다.
상기 회원 등록부(1302)는 상기 회원 등록 수단을 통해 조종사로부터 접속 암호를 입력받아 해당 회원정보에 포함하여 저장할 수도 있고, 시스템 또는 군 관계자에 의해 지정된 접속 암호를 해당 회원정보에 포함하여 저장할 수도 있을 것이다. 후자의 경우 지정된 접속 암호는 해당 조종사에게 보안을 유지하여 통지될 것이다. 상기 접속 암호는 아이디 및 패스워드로 구성될 수도 있고, 홍채, 지문, 음성 등의 생체정보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회원 검증부(1303)는 접속하는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100)의 접속 시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100)로부터 제공되는 시뮬레이터 식별정보와 회원 DB(1110)에 저장된 시뮬레이터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100)가 등록된 기기인지를 판단하고, 등록된 기기이면 상기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100)로부터 조종사의 접속 암호를 입력받아 상기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100)를 조종할 수 있고, 비행 전술 교리 훈련에 참여할 수 있는 조종사인지를 검증한다.
전술 생성부(1310)는 공수 설정부(1311), 전술 목표 설정부(1312), 기종 선택부(1313), 편대 전투기 수 결정부(1314), 전술지형 선택부(1315), 전술 비행 경로 설정부(1316), 무장 선택부(1317) 및 전술 데이터 생성부(1318)를 포함하고, 실시 예에 따라 최적 시뮬레이션 생성부(1319)를 더 포함하여, 접속한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100)에 의한 비행 전술 교리를 생성하여 전술 DB(1120)에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공수 설정부(1311)는 공격 및 방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공수 선택 수단을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100)로 제공하여 공격 및 방어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아 비행 전술 교리의 공격 모드 생성 모드 및 수비 모드 생성 모드를 설정한다.
전술 목표 설정부(1312)는 상기 공수 설정부(1311)를 통해 설정된 공격 또는 방어에 대한 공격 목표 설정 수단 및 방어 목표 설정 수단 중 선택되는 순서대로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100)로 제공하여 공격 목표 및 방어 목표를 설정한다. 즉, 전술 목표 설정부는 공격 및 방어 둘 모두에 대한 목표를 설정한다.
기종 선택부(1313)는 목표 설정 후 비행기 기종 선택 수단을 상기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100)로 제공하여 공격 및 방어 비행기 기종을 선택받아 설정한다.
편대 전투기 수 결정부(1314)는 상기 기종 선택부(1313)에서 선택된 비행기 기종의 편대 전투기 수를 상기 비행기 기종 선택 수단을 통해 입력받아 기종별 편대 전투기 수를 결정한다.
상기 기종 선택부(1313)는 하나 이상의 비행기 기종을 선택할 수 있고, 상기 편대 전투기 수 결정부(1314)는 상기 선택된 비행기 기종별 비행기 수를 결정한다.
전술지형 선택부(1315)는 상기 편대 전투기 수 결정 후 전술지형 선택 수단을 상기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100)로 제공하여 상기 지도 DB(1130)의 지도데이터에서 상기 전술지형 선택 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키워드(지역명)에 대응하는 지형, 즉 지도데이터를 상기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100)로 제공하고, 비행 전술 교리의 임무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를 포함하는 상기 비행 전술 교리를 수행할 전술지형을 선택받아 설정한다.
전술 비행 경로 설정부(1316)는 상기 전술지형이 설정되면 비행 경로 설정 수단을 상기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100)로 제공하여 상기 비행 전술 교리에 따라 선택된 비행기 기종의 편대가 진행할 비행 경로를 설정한다. 그러나 상기 비행 전술 교리는 비행 경로는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무장 선택부(1317)는 상기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100)로 무장 선택 수단을 제공하여 상기 선택된 비행기별로 장착할 무장을 선택받아 설정한다.
전술 데이터 생성부(1318)는 상기 설정된 정보들을 포함하는 비행 전술 교리를 생성하여 상기 전술 DB(1120)에 저장한다.
최적 시뮬레이션 생성부(1319)는 상기 비행 전술 교리를 수행하기 위한 상기 비행 전술 교리의 비행기, 즉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100)가 수행하여야 할 동작들에 대한 최적 시뮬레이션을 생성하여 상기 전술 DB(1120)의 해당 비행 전율 교리에 맵핑하여 저장한다. 상기 동작은 비행 시점부터의 각 패널모듈들의 스위치 조작정보, 조종기기 조작정보, 비행경로, 무기 사용 등의 동작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시뮬레이션 이벤트 모니터링부(1320)는 상기 회원 검증부(1303)에 의해 검증된 회원에 의한 시뮬레이션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시뮬레이션 이벤트는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100)로부터 조종사에 의한 시뮬레이션 설정 요청 시 발생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 설정부(1330)는 상기 시뮬레이션 이벤트 모니터링부(1320)를 통해 시뮬레이션 이벤트가 발생되면 전술 DB(1120)에 저장된 비행 전술 교리에 대한 정보를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100)로 제공하여, 상기 다수의 비행 전술 교리 중 하나를 선택받아 설정하고, 상기 비행 전술 교리 훈련에 참여하는 비행기 기종, 조종사,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100) 및 무장 등을 설정한다.
시뮬레이션 개시 모니터링부(1340)는 상기 비행 전술 교리의 적용 후 시뮬레이션 개시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한다.
전술 시행 조건 검증부(1350)는 상기 시뮬레이션 개시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전술 설정부(1330)에서 설정된 전술 설정 정보가 비행 전술 교리에서 요구하는 전술 시행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검증한다. 예를 들면, 전술 시행 조건 검증부(1350)는 비행 전술 교리의 비행기 기종, 기종별 비행기 수, 무장 등이 일치하는지를 검사하여 전술 시행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비행기 기종의 일치 여부는 각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100)들로부터 수신되는 비행 시뮬레이션 정보에 포함된 비행기 기종 정보와 비행 전술 교리의 비행기 기종 정보를 비교하여 판단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다른 실시 예로 상기 기종의 일치 여부는 상기 비행 시뮬레이션 정보의 패널 식별정보에 의해 해당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100)의 비행기 기종을 판단한 후, 판단된 비행기 기종과 비행 전술 교리의 비행기 기종 정보를 비교하여 판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시뮬레이션 데이터 수집부(1360)는 상기 시뮬레이션 개시 모니터링부(1340)에서 시뮬레이션 개시 이벤트가 발생하거나 전술 시행 조건 검증부(1350)에서 전술 시행 조건 검증 성공 시 상기 전술 설정부(1330)에서 설정된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100)들로부터 비행 시뮬레이션 정보를 수집하여 시뮬레이션 영상 생성부(1370)로 출력한다.
시뮬레이션 영상 생성부(137)는 상기 시뮬레이션 데이터 수집부(1360)을 통해 수집되는 비행 시뮬레이션 정보로부터 각 비행기의 속도, 이동 거리, 비행 방향, 동작, 무기 기동 등의 동작을 시뮬레이션하고, 시뮬레이션에 따른 각 비행기 관점에서의 시뮬레이터 통합 시뮬레이션 영상을 생성한다.
전술 시뮬레이션 영상 전송부(1380)는 상기 시뮬레이션 영상 생성부(1370)에서 생성된 비행기별 시뮬레이터 통합 시뮬레이션 영상을 해당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100)로 전송한다.
상기 전술 시뮬레이션 영상 전송부(1380)는 상기 시뮬레이터 통합 시뮬레이션 영상 전체 또는 선택된 일부를 관제 디스플레이부(1400)에 표시할 것이다.
전술 평가부(1390)는 훈련 관리자로부터 관제 디스플레이부(1400)에 표시되는 각 비행기의 기동과 비행 전술 교리의 비교에 따른 평가정보를 입력받아 평가 DB(1150)에 저장할 수도 있고, 상기 전술 DB(1120)에 저장된 상기 비행 전술 교리의 비행기별 최적 시뮬레이션과 상기 운용되고 있는 해당 비행기의 시뮬레이션을 비교하여 일치도 및 목표 달성 여부에 따른 평가를 수행하여 평가 DB(1150)에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대대급 전술 비행 훈련을 지원하는 탁상형 비행 전술 시뮬레이션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술 훈련부(1000)의 전술 제어부(1300)는 전술 통신부(1200)를 통해 접속한 민간 조종사의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100) 또는 민간 조종사의 컴퓨터 단말기(미도시)로 전술 생성 수단을 제공하고, 상기 전술 생성 수단을 통해 특정 목표에 대한 공격 및 방어 둘 모두에 대한 공격 비행 전술 교리 및 방어 비행 전술 교리 둘 모두를 포함하는 비행 전술 교리를 생성하여 전술 DB(1120)에 저장한다(100).
전술 제어부(1300)는 상기 전술 DB(1120)에 저장된 비행 전술 교리 중 하나가 선택되고, 선택된 비행 전술 교리에 대응하는 전술 설정 후, 비행 전술 교리에 참가한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100)들로부터 비행 시뮬레이션 정보를 수집하여 전술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S200). 이때, 비행 전술 교리 훈련에 참가하는 팀은 공격팀과 방어팀으로 구성되며, 공격팀 및 방어팀 둘 다 조종사들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고, 어느 한 측은 조종사들로 다른 한 측은 인공지능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공격팀 및 방어팀 둘 다 조종사들로 구성되는 경우 공격팀은 군 조종사가 될 수 있고, 방어팀은 민간 조종사가 될 수 있으며, 그 반대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공격팀 및 방어팀 둘 다 민간 조종사들로 구성되어 비행 전술 교리에 대한 훈련을 수행하고, 그에 따른 문제점을 수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비행 전술 교리에 대한 시뮬레이션이 수행되면 전술 제어부(1300)는 수행되는 시뮬레이션에 따른 시뮬레이션 평가를 수행한다(S300).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대대급 전술 비행 훈련을 지원하는 탁상형 비행 전술 시뮬레이션 방법 중 전술 교리 생성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술 제어부(1300)의 전술 생성부(1310)는 전술 생성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한다(S111).
전술 생성 이벤트가 발생되면 전술 생성부(1310)는 아군(공격팀 또는 방어팀)의 전술 목표, 전투기 기종 선택, 편대 설정, 전술지형 설정, 무장 설정 등을 수행한다(S113 내지 S121). 이때, 공격 지원 기기(항공모함, 순양함 등에 의한 미사일, 포 등의 지원)에 대한 설정이 더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아군에 대한 설정이 완료되면 전술 생성부(1310)는 대항군(방어팀 또는 공격팀)에 대한 전술 목표, 방공 무기, 전투기 기종, 편대 설정, 전술지형 설정, 무장 설정 등을 수행한다(S123).
아군과 대항군에 대한 전술 설정이 완료되면 전술 생성부(1310)는 전투기기(비행기, 항공모함, 순양함, 전투함, 대공포, 반공포, 지대공 미사일 등)의 성능정보를 로딩하여 비행 전술 교리에 적용하여(S125), 전술 데이터인 비행 전술 교리를 생성하여 전술 DB(1120)에 저장한다(S127).
비행 전술 교리가 생성되면 전술 생성부(1310)는 상기 비행 전술 교리에 적용된 전투기기들의 성능정보에 기반한 공격 목표, 방어 목표, 각 비행기(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100)별 최적 (전술) 시뮬레이션을 생성하여 전술 DB(1120)의 상기 비행 전술 교리에 맵핑하여 저장한다(S129).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대대급 전술 비행 훈련을 지원하는 탁상형 비행 전술 시뮬레이션 방법 중 전술 시뮬레이션 수행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술 제어부(1300)는 시뮬레이션 이벤트 모니터링부(1320)를 통해 시뮬레이션 이벤트인 전술 설정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한다(S211).
전술 설정 이벤트가 발생되면 전술 제어부(1300)는 전술 설정부(1330)를 통해 전술 설정 수단을 전술 설정을 요청한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100)로 전송한다(S213). 상기 전술 설정 수단은 비행 전술 교리에서 요구하는 비행기 기종, 비행기 기종별 비행기 수를 포함하는 편대정보, 무장정보, 비행 경로, 공격 또는 방어 목표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전술 설정 수단은 관리자에 대해 비행 전술 교리 훈련에 참가할 비행기 수에 대응하는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100)에 대한 정보(시뮬레이터 식별정보 등), 조종사 정보를 포함하는 편대 구성 수단을 포함하고, 자신이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100)를 운용하는 경우 접속 암호 입력 수단, 무장, 비행기 기종 등을 선택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것이다. 편대에 편입된 각 조종사는 해당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100)를 통해 접속 후, 해당 접속 암호를 입력하고, 무장 및 기종을 선택하여야 할 것이다.
전술 설정 수단의 제공 후 전술 제어부(1300)는 비행 전술 교리 훈련에 참가하는 모든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100)에 대한 전술 설정이 완료되는지를 모니터링한다(S215). 상기 전술 제어부(1300)는 전술 설정 시 전술 수행 지역에 대한 호 날씨, 시간(저녁, 낮 등) 등에 대한 환경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술 설정이 완료되면 전술 제어부(1300)는 전술 수행 조건 정보를 수집한다(S217). 상기 전술 수행 조건 정보는 비행 전술 교리 훈련에 참가하는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100)가 설정하고 있는 비행기 기종, 무장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전술 수행 조건 정보가 수집되면 전술 제어부(300)는 수집된 전술 수행 조건 정보가 비행 전술 교리의 정보(비행기 기종, 무장 등)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 전술 수행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한다(S219).
전술 수행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전술 제어부(1300)는 저술 수행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항목들에 대한 전술 수행 조건 충족 요청 정보를 해당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100)로 전송하고, 전술 수행 조건을 만족하면 설정된 전술에 대응하는 기능 및 환경 조건을 적용한다.
전술 설정이 완료되면 전술 제어부(1300)는 시뮬레이션 개시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S225), 시뮬레이션 개시 이벤트의 발생 시 비행 전술 교리 훈련에 참여한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100)들로부터 비행 시뮬레이션 정보를 수집한다(S227).
비행 시뮬레이션 정보가 수집되면 전술 제어부(1300)는 비행 시뮬레이션 정보의 조작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에 따른 시뮬레이션(데이터) 및 시뮬레이터 통합 시뮬레이션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시뮬레이터 통합 시뮬레이션 영상을 해당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100)로 전송한다(S229).
시뮬레이션(데이터) 및 시뮬레이션 영상이 전송되기 시작하면, 전술 제어부(1300)는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생성된 비행 전술 교리의 비행기들 각각에 대한 최적 전술 시뮬레이션과 수신되는 각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100)에 의해 동작하는 비행기의 시뮬레이션을 비교하여 각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100) 및 편대의 전술 수행 평가를 개시하고(S231) 생성된 평가 데이터를 평가 DB(1150)에 저장한다(S233).
상기 전술 제어부(1300)는 상기 시뮬레이터 통합 시뮬레이션 영상이 생성되고 평가 데이터가 생성되기 시작하면 상기 시뮬레이터 통합 시뮬레이션 영상을 해당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100)로 전송한다(S235). 이때, 상기 전술 제어부(1300)는 상기 실시간별로 평가되는 평가 데이터에 대한 평가정보를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100)로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전술 제어부(1300)는 시뮬레이션 종료 이벤트가 발생될 때까지 상술한 S227 내지 S235의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S237).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 200: 콘솔 모듈부
210: 인스트루먼트 패널 300: 조종 모듈부
310: 조종간모듈 320: 쓰로틀모듈
330: 러더모듈 340: 헤드 트래커모듈
350: 키보드 400: 메인 제어 모듈
410: 모듈 저장부 420: 모듈 통신부
421: 모듈 유선통신부 422: 모듈 무선통신부
430: 인터페이스부 440, 500: 디스플레이부
450: 모듈 제어부 451: GUI 처리부
452: 콘솔 설정부 453: 비행 시뮬레이션부
454: 전술 설정부
455: 비행 시뮬레이션 정보 전송부
456: 전술 비행 디스플레이 데이터 수신부
1000: 전술 훈련부 1100: 전술 저장부
1110: 회원 DB 1120: 전술 DB
1130: 지도 DB 1140: 전술 기기 DB
1150: 평가 DB 1200: 전술 통신부
1300: 전술 제어부 1301: 시뮬레이터 등록부
1302: 회원 등록부 1303: 회원 검증부
1310: 전술 생성부
1320: 시뮬레이션 이벤트 모니터링부 1330: 전술 설정부
1340: 시뮬레이션 개시 모니터링부 1350: 전술 시행 조건 검증부
1360: 시뮬레이션 데이터 수집부 1370: 시뮬레이션 영상 생성부
1380: 전술 시뮬레이션 영상 전송부 1390: 전술 평가부

Claims (14)

  1. 착탈 가능하고 조작 가능한 다수의 스위치 및 비행 디스플레이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해당 스위치 조작정보를 출력하는 다수의 패널모듈을 포함하는 콘솔 모듈부 및 훈련자의 비행기 속도, 좌우 회전, 상하 회전 및 축 회전에 대한 조종기기 조작정보를 출력하는 조종 모듈부를 포함하되, 훈련할 비행기 기종에 대응하도록 상기 패널모듈 및 조종기기를 연결하여 상기 비행기 기종에 대응하는 스위치 조작정보 및 조종기기 조작정보를 포함하는 비행 시뮬레이션 정보를 전송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행 전술 교리를 저장하고, 임의 비행 전술 교리의 선택 시 선택된 비행 전술 교리에 대응하는 비행기 기종 및 비행기 수에 대응하는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비행 시뮬레이션 정보에 따른 각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에 대응하는 시뮬레이터 시뮬레이션을 생성하고, 상기 시뮬레이터 시뮬레이션을 통합한 각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 관점에서의 시뮬레이터 통합 시뮬레이션 영상을 생성하여 해당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 전송하고, 각 시뮬레이터 시뮬레이션에 의해 각 시뮬레이터에 대응하는 비행기가 상기 비행 전술 교리에 따라 비행하도록 유도하고 평가하는 전술 훈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술 훈련부는,
    상기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를 조종할 수 있는 조종사를 민간 조종사와 군 조종사로 구분하고, 접속 암호를 포함하는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회원 DB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행 전술 교리를 저장하는 전술 DB를 포함하는 전술 저장부;
    유무선 데이터통신망을 통해 다수의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들과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전술 통신부; 및
    상기 유무선 데이터통신망 및 상기 전술 통신부를 통해 접속한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에 의해 임의 비행 전술 교리의 선택 시 선택된 비행 전술 교리에 따른 상기 민간 조종사와 군 조종사에 의해 구성되는 훈련군 및 대항군에 대응하고 비행기 기종 및 비행기 수에 대응하는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부터 수신되는 조작정보에 따른 각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에 대응하는 시뮬레이터 시뮬레이션을 생성하고, 각 시뮬레이터 시뮬레이션에 의해 각 시뮬레이터에 대응하는 비행기가 상기 비행 전술 교리에 따라 비행하도록 유도하고 평가하는 전술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술 제어부는,
    상기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 회원 등록 수단을 제공하고, 상기 회원 등록 수단을 통해 민간 조종사인지 군 조종사인지를 포함하는 회원정보를 입력받아 접속 암호와 함께 상기 회원 DB에 저장하여 회원으로 등록하는 회원 등록부;
    상기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의 접속 시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부터 입력되는 접속 암호와 상기 회원 DB에 등록된 접속 암호를 비교하여 회원 검증을 수행하는 회원 검증부;
    상기 검증된 회원에 의한 시뮬레이션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시뮬레이션 이벤트 모니터링부;
    시뮬레이션 이벤트가 발생되면 전술 DB에 저장된 비행 전술 교리 중 하나를 선택받아 적용하고, 상기 비행 전술 교리 훈련에 참여하는 비행기 기종, 조종사,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 및 무장을 설정하는 전술 설정부;
    상기 비행 전술 교리의 적용 후 시뮬레이션 개시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시뮬레이션 개시 모니터링부;
    시뮬레이션이 개시되면 상기 전술 설정부를 통해 설정된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부터 비행 시뮬레이션 정보를 수집하는 시뮬레이션 데이터 수집부;
    상기 수집되는 비행 시뮬레이션 정보에 의해 각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에 대한 시뮬레이터 통합 시뮬레이션 영상을 생성하는 시뮬레이션 영상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시뮬레이터 통합 시뮬레이션 영상을 해당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 전송하는 전술 시뮬레이션 영상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대급 전술 비행 훈련을 지원하는 탁상형 비행 전술 시뮬레이션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술 제어부는,
    상기 시뮬레이션 개시 모니터링부를 통한 시뮬레이션 개시 이벤트의 발생 시 설정된 상기 비행 전술 교리를 수행하기 위한 전술 시행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검증하는 전술 시행 조건 검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시뮬레이션 데이터 수집부는,
    상기 전술 시행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해당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들로부터 비행 시뮬레이션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대급 전술 비행 훈련을 지원하는 탁상형 비행 전술 시뮬레이션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술 시행 조건 검증부는,
    공격 및 방어 중 수행하고자 하는 어느 하나에 대해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부터 수신되는 비행 시뮬레이션 정보에 포함된 비행기 기종 정보에 의해 비행 전술 교리의 비행기 기종 및 편대 구성을 만족하고, 전술 설정부에서 설정된 무장이 비행 전술 교리에 대응하는 무장인지를 판단하여 전술 시행 조건을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대급 전술 비행 훈련을 지원하는 탁상형 비행 전술 시뮬레이션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술 제어부는,
    상기 전술 통신부를 통해 접속한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 전술 생성 수단을 제공하고, 상기 전술 생성 수단을 통해 입력 및 선택되는 정보들에 대응하는 비행 전술 교리를 생성하여 상기 전술 DB에 저장하는 전술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대급 전술 비행 훈련을 지원하는 탁상형 비행 전술 시뮬레이션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전술을 수행할 지역의 지도데이터를 저장하는 지도 DB; 및
    비행 전술 교리에 적용될 수 있는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인 비행기 이외의 공격 무기 및 방어 무기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전술 기기 DB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술 생성부는,
    상기 전술 생성 수단을 통해 비행 전술 교리의 공격 및 방어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공수 설정부;
    상기 공수 설정부를 통해 설정된 공격 목표 설정 수단 및 방어 목표 설정 수단 중 선택되는 순서대로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 제공하여 공격 목표 및 방어 목표를 설정하는 전술 목표 설정부;
    목표 설정 후 비행기 기종 선택 수단을 상기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 제공하여 공격 및 방어 비행기 기종을 선택받아 설정하는 기종 선택부;
    상기 기종 선택부에서 선택된 비행기 기종의 편대 전투기 수를 상기 비행기 기종 선택 수단을 통해 입력받아 기종별 편대 전투기 수를 결정하는 편대 전투기 수 결정부;
    상기 편대 전투기 수 결정 후 전술지형 선택 수단을 상기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 제공하여 상기 지도 DB의 지도데이터에서 상기 전술지형 선택 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지역에 대응하는 지형을 상기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 제공하고, 비행 전술 교리의 임무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를 포함하는 상기 비행 전술 교리를 수행할 전술지형을 선택받아 설정하는 전술지형 선택부;
    상기 전술지형이 설정되면 비행 경로 설정 수단을 상기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 제공하여 상기 비행 전술 교리에 따라 선택된 비행기 기종의 편대가 진행할 비행 경로를 설정하는 전술 비행 경로 설정부;
    상기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 무상 선택 수단을 제공하여 상기 선택된 비행기별로 장착할 무장을 선택받아 설정하는 무장 선택부; 및
    상기 설정된 정보들을 포함하는 비행 전술 교리를 생성하여 상기 전술 DB에 저장하는 전술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대급 전술 비행 훈련을 지원하는 탁상형 비행 전술 시뮬레이션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술 생성부는,
    상기 비행 전술 교리를 수행하기 위한 상기 비행 전술 교리의 비행기, 즉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가 수행하여야 할 동작들에 대한 최적 시뮬레이션을 생성하여 상기 전술 DB의 해당 비행 전율 교리에 맵핑하여 저장하는 최적 시뮬레이션 생성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술 제어부는,
    시뮬레이션 개시에 따른 각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의 비행 시뮬레이션 정보에 의한 시뮬레이션과 상기 최적 시뮬레이션을 비교하여 해당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의 비행 전술 교리에 대한 수행 평가를 수행하여 각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에 대한 평가정보를 생성하여 평가 DB에 저장하는 전술 평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대급 전술 비행 훈련을 지원하는 탁상형 비행 전술 시뮬레이션 시스템.
  9.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행 전술 교리를 저장하는 전술 훈련부가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부터 임의 비행 전술 교리를 선택받고, 선택된 비행 전술 교리에 대응하는 둘 이상의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를 연결하여 시뮬레이션 설정을 수행하는 시뮬레이션 설정 과정;
    착탈 가능하고 조작 가능한 다수의 스위치 및 비행 디스플레이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해당 스위치 조작정보를 출력하는 다수의 패널모듈을 포함하는 콘솔 모듈부 및 훈련자의 비행기 속도, 좌우 회전, 상하 회전 및 축 회전에 대한 조종기기 조작 정보를 출력하는 조종 모듈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가 훈련할 비행기 기종에 대응하도록 상기 패널모듈 및 조종기기를 연결하여 상기 비행기 기종에 대응하는 스위치 조작정보 및 조종기기 조작정보를 포함하는 비행 시뮬레이션 정보를 전송하는 다수의 비행 시뮬레이션 정보 제공 과정;
    상기 전술 훈련부가 선택된 상기 비행 전술 교리에 대응하는 비행기 기종 및 비행기 수에 대응하는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비행 시뮬레이션 정보에 따른 각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에 대응하는 시뮬레이터 시뮬레이션을 생성하고, 상기 시뮬레이터 시뮬레이션을 통합한 각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 관점에서의 시뮬레이터 통합 시뮬레이션 영상을 생성하여 해당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 전송하고, 각 시뮬레이터 시뮬레이션에 의해 각 시뮬레이터에 대응하는 비행기가 상기 비행 전술 교리에 따라 비행하도록 유도하고 평가하는 전술 훈련 과정;
    상기 전술 훈련부가 대대급 전술 비행 훈련에 참여할 수 있는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들에 대한 시뮬레이터 식별정보 및 소유자 정보를 포함하는 시뮬레이터 정보를 회원 DB에 저장하여 상기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를 등록하는 시뮬레이터 등록 과정;
    상기 전술 훈련부가 상기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 회원 등록 수단을 제공하고, 상기 회원 등록 수단을 통해 민간 조종사인지 군 조종사인지를 포함하는 회원정보를 입력받아 접속 암호와 함께 상기 회원 DB에 저장하여 회원으로 등록하는 회원 등록 과정; 및
    상기 전술 훈련부가 상기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의 접속 시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부터 입력되는 접속 암호와 상기 회원 DB에 등록된 접속 암호를 비교하여 회원 검증을 수행하는 회원 검증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시뮬레이션 설정 과정은,
    상기 전술 훈련부의 전술 제어부가 시뮬레이션 이벤트 모니터링부를 통해 상기 검증된 회원에 의한 시뮬레이션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시뮬레이션 이벤트 모니터링 단계; 및
    시뮬레이션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전술 제어부가 전술 설정부를 통해 전술 DB에 설정된 비행 전술 교리 중 하나를 선택받고, 선택된 비행 전술 교리를 적용하고, 상기 비행 전술 교리 훈련에 참여하는 비행기 기종, 조종사,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 및 무장을 설정하는 전술 설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대급 전술 비행 훈련을 지원하는 탁상형 비행 전술 시뮬레이션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술 훈련 과정은,
    상기 전술 제어부가 시뮬레이션 개시 모니터링부를 통해 상기 비행 전술 교리의 적용 후 시뮬레이션 개시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시뮬레이션 개시 모니터링 단계;
    시뮬레이션이 개시되면 상기 전술 제어부가 시뮬레이션 데이터 수집부를 통해 상기 전술 설정부에서 설정된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부터 비행 시뮬레이션 정보를 수집하는 시뮬레이션 데이터 수집 단계;
    상기 전술 제어부가 시뮬레이션 영상 생성부를 통해 상기 수집되는 비행 시뮬레이션 정보에 의해 각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에 대한 시뮬레이터 통합 시뮬레이션 영상을 생성하는 시뮬레이션 영상 생성 단계; 및
    상기 전술 제어부가 전술 시뮬레이션 영상 전송부를 통해 상기 생성된 시뮬레이터 통합 시뮬레이션 영상을 해당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 전송하는 전술 시뮬레이션 영상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대급 전술 비행 훈련을 지원하는 탁상형 비행 전술 시뮬레이션 방법.
  13.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행 전술 교리를 저장하는 전술 훈련부가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부터 임의 비행 전술 교리를 선택받고, 선택된 비행 전술 교리에 대응하는 둘 이상의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를 연결하여 시뮬레이션 설정을 수행하는 시뮬레이션 설정 과정;
    착탈 가능하고 조작 가능한 다수의 스위치 및 비행 디스플레이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해당 스위치 조작정보를 출력하는 다수의 패널모듈을 포함하는 콘솔 모듈부 및 훈련자의 비행기 속도, 좌우 회전, 상하 회전 및 축 회전에 대한 조종기기 조작 정보를 출력하는 조종 모듈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가 훈련할 비행기 기종에 대응하도록 상기 패널모듈 및 조종기기를 연결하여 상기 비행기 기종에 대응하는 스위치 조작정보 및 조종기기 조작정보를 포함하는 비행 시뮬레이션 정보를 전송하는 다수의 비행 시뮬레이션 정보 제공 과정;
    상기 전술 훈련부가 선택된 상기 비행 전술 교리에 대응하는 비행기 기종 및 비행기 수에 대응하는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비행 시뮬레이션 정보에 따른 각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에 대응하는 시뮬레이터 시뮬레이션을 생성하고, 상기 시뮬레이터 시뮬레이션을 통합한 각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 관점에서의 시뮬레이터 통합 시뮬레이션 영상을 생성하여 해당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 전송하고, 각 시뮬레이터 시뮬레이션에 의해 각 시뮬레이터에 대응하는 비행기가 상기 비행 전술 교리에 따라 비행하도록 유도하고 평가하는 전술 훈련 과정;
    상기 전술 훈련부가 대대급 전술 비행 훈련에 참여할 수 있는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들에 대한 시뮬레이터 식별정보 및 소유자 정보를 포함하는 시뮬레이터 정보를 회원 DB에 저장하여 상기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를 등록하는 시뮬레이터 등록 과정;
    상기 전술 훈련부가 상기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 회원 등록 수단을 제공하고, 상기 회원 등록 수단을 통해 민간 조종사인지 군 조종사인지를 포함하는 회원정보를 입력받아 접속 암호와 함께 상기 회원 DB에 저장하여 회원으로 등록하는 회원 등록 과정; 및
    상기 전술 훈련부가 상기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의 접속 시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부터 입력되는 접속 암호와 상기 회원 DB에 등록된 접속 암호를 비교하여 회원 검증을 수행하는 회원 검증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전술 훈련부의 전술 제어부가 전술 생성부를 통해 전술 통신부를 통해 접속한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 전술 생성 수단을 제공하고, 상기 전술 생성 수단을 통해 입력 및 선택되는 정보들에 대응하는 비행 전술 교리를 생성하여 전술 DB에 저장하는 전술 생성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대급 전술 비행 훈련을 지원하는 탁상형 비행 전술 시뮬레이션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술 생성 과정은,
    상기 전술 제어부가 공수 설정부를 통해 상기 전술 생성 수단을 통해 비행 전술 교리의 공격 및 방어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공수 설정 단계;
    상기 전술 제어부가 전술 목표 설정부를 통해 상기 공수 설정부에서 설정된 공격 목표 설정 수단 및 방어 목표 설정 수단 중 선택되는 순서대로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 제공하여 공격 목표 및 방어 목표를 설정하는 전술 목표 설정 단계;
    상기 전술 제어부가 기종 선택부를 통해 목표 설정 후 비행기 기종 선택 수단을 상기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 제공하여 공격 및 방어 비행기 기종을 선택받아 설정하는 기종 선택 단계;
    상기 전술 제어부가 편대 전투기 수 결정부를 통해 상기 기종 선택부에서 선택된 비행기 기종의 편대 전투기 수를 상기 비행기 기종 선택 수단을 통해 입력받아 기종별 편대 전투기 수를 결정하는 편대 전투기 수 결정 단계;
    상기 전술 제어부가 상기 편대 전투기 수 결정 후 전술지형 선택부를 통해 전술지형 선택 수단을 상기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 제공하여 지도 DB의 지도데이터에서 상기 전술지형 선택 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지역에 대응하는 지형을 상기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 제공하고, 비행 전술 교리의 임무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를 포함하는 상기 비행 전술 교리를 수행할 전술지형을 선택받아 설정하는 전술지형 선택 단계;
    상기 전술 제어부가 상기 전술지형이 설정되면 전술 비행 경로 설정부를 통해 비행 경로 설정 수단을 상기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 제공하여 상기 비행 전술 교리에 따라 선택된 비행기 기종의 편대가 진행할 비행 경로를 설정하는 전술 비행 경로 설정 단계;
    상기 전술 제어부가 무상 선택부를 통해 상기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로 무상 선택 수단을 제공하여 상기 선택된 비행기별로 장착할 무장을 선택받아 설정하는 무장 선택 단계; 및
    상기 전술 제어부가 전술 데이터 생성부를 통해 상기 설정된 정보들을 포함하는 비행 전술 교리를 생성하여 상기 전술 DB에 저장하는 전술 교리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대급 전술 비행 훈련을 지원하는 탁상형 비행 전술 시뮬레이션 방법.
KR1020220145033A 2022-11-03 2022-11-03 대대급 전술 비행 훈련을 지원하는 탁상형 비행 전술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102528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5033A KR102528037B1 (ko) 2022-11-03 2022-11-03 대대급 전술 비행 훈련을 지원하는 탁상형 비행 전술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5033A KR102528037B1 (ko) 2022-11-03 2022-11-03 대대급 전술 비행 훈련을 지원하는 탁상형 비행 전술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8037B1 true KR102528037B1 (ko) 2023-05-03

Family

ID=86380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5033A KR102528037B1 (ko) 2022-11-03 2022-11-03 대대급 전술 비행 훈련을 지원하는 탁상형 비행 전술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803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6756A (ko) * 2016-08-08 2018-02-20 박준현 실시간 3차원 해양공간정보를 이용한 전술 지원 시스템
KR20220030028A (ko) * 2020-09-02 2022-03-10 ㈜녹스코리아 모듈형 콕핏을 구비하는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 이를 이용한 비행 전술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CN114239305A (zh) * 2021-12-23 2022-03-25 南京雷电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战场态势场景仿真激励系统
KR102419176B1 (ko) 2021-04-07 2022-07-11 주식회사 이넷 기능성 낚싯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6756A (ko) * 2016-08-08 2018-02-20 박준현 실시간 3차원 해양공간정보를 이용한 전술 지원 시스템
KR20220030028A (ko) * 2020-09-02 2022-03-10 ㈜녹스코리아 모듈형 콕핏을 구비하는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 이를 이용한 비행 전술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102419176B1 (ko) 2021-04-07 2022-07-11 주식회사 이넷 기능성 낚싯대
CN114239305A (zh) * 2021-12-23 2022-03-25 南京雷电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战场态势场景仿真激励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4910B2 (en) Vehicle crew training system for ground and air vehicles
US8770977B2 (en) Instructor-lead training environment and interfaces therewith
US7599765B2 (en) Dynamic guidance for close-in maneuvering air combat
US8864496B2 (en) Vehicle crew training system
KR101333147B1 (ko) 융합 현실을 이용한 실내 집단훈련 지원시스템
CN110559662B (zh) 虚拟环境中的视角切换方法、装置、终端及介质
KR102419716B1 (ko) 모듈형 콕핏을 구비하는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 이를 이용한 비행 전술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54645A (ko) L-v-c 및 증강현실을 통한 라이브 임무 훈련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nerr Immersive simulation training for the dismounted soldier
KR102528037B1 (ko) 대대급 전술 비행 훈련을 지원하는 탁상형 비행 전술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RU2367026C1 (ru) Тренажер для обучения летчиков пилотированию ударного вертолета и применению авиационных средств поражения
Dutta Simulation in military training: Recent developments
RU84959U1 (ru) Тренажер для обучения операторов переносных зенитных ракетных комплексов
RU156488U1 (ru) Тренажер для обучения и подготовки расчета боевой машины зенитно-ракетного комплекса
KR102279384B1 (ko) 다중접속 멀티협업 군사용 교육 훈련 시스템
Rogers et al. How can the center for navy security forces leverage immersive technologies to enhance its current training delivery?
Kott et al. Approaches to validation of information fusion systems
Schaffer et al. Mixed and augmented reality for Marine Corps training
Livingston et al. Augmented Reality for Naval Domains
RU2297674C2 (ru) Тренажер воздушного боя
CN112434399A (zh) 一种多人作战的仿真指挥训练方法及系统
Kott et al. Validation of Information Fusion
Fischetti et al. Simulatingthe right stuff'[military simulators]
Salcedo et al. Training Effectiveness Evaluation: Call for Fire Trainer–Augmented Virtuality
Haas et al. Developing virtual interfaces for use in future fighter aircraft cockpi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