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6259B1 - Apparatus for holding smart phon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holding smart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6259B1
KR102526259B1 KR1020210124031A KR20210124031A KR102526259B1 KR 102526259 B1 KR102526259 B1 KR 102526259B1 KR 1020210124031 A KR1020210124031 A KR 1020210124031A KR 20210124031 A KR20210124031 A KR 20210124031A KR 102526259 B1 KR102526259 B1 KR 102526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smartphone
support plate
holding devic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40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79423A (en
Inventor
김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로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로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로펠
Priority to KR1020210124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6259B1/en
Publication of KR20220079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94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6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62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편리하면서 안정적으로 홀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폰의 후면에 배치되고 신축성을 가지는 스트랩과, 상부와 하부가 서로 접힘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스트랩의 길이방향으로 설정된 간격을 가지는 두 개 이상의 관통홀에서 스트랩이 삽입 결합되며, 상부와 하부가 서로 평면을 이루는 방향으로 복귀하는 복원력이 작용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스마트폰의 홀딩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conveniently and stably holding a smartphone, and relates to a strap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martphone and having elasticity, an upper part and a lower part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be foldable, and se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ap. Straps are inserted and coupled in two or more spaced through holes, and a holding device for a smartphone including a support plate on which a restoring force acts to return the top and bottom in a direction forming a plane to each other is provided.

Description

스마트폰의 홀딩장치{Apparatus for holding smart phone}Smartphone holding device {Apparatus for holding smart 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홀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을 편리하면서 안정적으로 홀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holding a smart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for conveniently and stably holding a smartphone.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은 전자 및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기능이 부가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각종 어플리케이션의 설치에 따른 다양한 기능의 구현, 동영상을 비롯한 다양한 컨텐츠의 재생, 장착된 카메라를 통한 사진 촬영, 인터넷을 통한 검색, 메일 송수신 등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In general, with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various types of functions have been added to smartphones, and for this reason, implementation of various functions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of various applications, playback of various contents including videos, and a built-in camera It is used for taking pictures, searching through the Internet, and sending and receiving mail.

이러한 스마트폰은 필수품으로서,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언제 어디서나 휴대 및 이용이 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기능의 구현으로 인해 고가 제품에 해당하는 스마트폰을 안정적이면서 편리하게 홀딩하기 위하여, 스트랩, 스마트링, 팝소켓 등과 같은 스마트폰 홀딩장치가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 Such a smart phone is a necessity, and is increasingly being carried and used anytime, anywhere, regardless of gender or age. Therefore, in order to stably and conveniently hold a smartphone corresponding to an expensive product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these functions, smartphone holding devices such as straps, smart rings, and pop sockets have been developed and sold.

그러나, 종래의 스트랩, 스마트링 또는 팝소켓 등과 같은 스마트폰 홀딩을 위한 제품은 부피가 크거나, 손가락에서 슬립이 발생하는 등 스마트폰의 홀딩에 여전히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종래의 스트랩 제품은 손을 끼웠을 때, 스마트폰이 아래로 미끄러지는 것을 막는 기능이 없어, 사용시 과도한 힘을 요구함으로써, 불편을 초래하고, 스마트링이나 팝소켓의 제품은 위치가 고정되어 있고, 스마트폰 후면에 손가락을 밀착시켜 사용하기 때문에 오랜 시간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However, conventional products for holding smartphones, such as straps, smart rings, or pop sockets, have problems that still cause inconvenience in holding the smartphone, such as being bulky or slipping on the fingers. In particular, the conventional strap product does not have a function to prevent the smartphone from sliding down when the hand is inserted, requiring excessive force during use, causing inconvenience, and the smart ring or pop socket product has a fixed position However, it had a problem that it was difficult to use for a long time because it was used by keeping the finger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smartphone.

또한, 스마트폰의 홀딩을 위한 장치에 대한 다른 종래 기술로서, 미국등록특허 제09793941호의 "Apparatus to assist a user with holding a mobile device"가 개시된 바 있다. In addition, as another prior art for a device for holding a smartphone, US Patent Registration No. 09793941 "Apparatus to assist a user with holding a mobile device" has been disclosed.

그러나, 이러한 다른 종래 기술은, 핑거 브레이스(finger brace)와 제 1 내지 제 4 탄력적 길이부재(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flexible lengths) 간의 결합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제 1 내지 제 4 탄력적 길이부재(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flexible lengths)의 양갈래 설치 구조로 인해 사용에 불편을 초래하고, 안정적인 파지를 어렵게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However, in this other prior art, not only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finger brace and the first to fourth flexible length members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flexible lengths) is complicated, but also the first to fourth flexible lengths Due to the bifurcated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length member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flexible lengths), it has a problem of causing inconvenience in use and making stable gripping difficult.

상기한 종래 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트랩 중간에 손가락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부착시켜 스마트폰이 아래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지지판이 스트랩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목적에 따라 지지판의 위치를 변경하여 사용하도록 하며, 신축성이 좋은 스트랩의 사용으로 인해 제품을 사용하면서도 손의 위치를 비교적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smartphone from sliding down by attaching a support plate for supporting the finger in the middle of the strap, and allows the support plate to move along the strap, according to the purpose It is used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support plate, and the purpose is to allow the hand to move relatively freely while using the product due to the use of a strap with good elasticity.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 따라 스마트폰의 후면에 배치되고 신축성을 가지는 스트랩과, 상부와 하부가 서로 접힘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스트랩이 관통홀에서 삽입 결합되며, 상부와 하부가 서로 평면을 이루는 방향으로 복귀하는 복원력이 작용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되, 상기 스트랩과 지지판의 상부 및 하부는 손가락이 밀착된 상태에서 스트랩의 복원력에 의하여 마찰력이 증가되어 스마트폰을 홀딩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의 홀딩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rap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a smartphone and having elasticity, an upper part and a lower par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be foldable, and the strap is inserted and coupled in a through hole. , Including a support plate on which a restoring force that return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form a plane is applied, but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strap and the support plate have increased fric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trap in a state in which the fingers are in close contact to hold the smartphone It provides a holding device for a smartphone that allows you to do this.

상기 지지판은, 외력이 작용되지 않은 상태에서 스트랩에 결합된 위치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upport plate is preferably maintained in a position coupled to the strap in a state in which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상기 지지판은, 상부와 하부가 서로 다른 손가락에 의하여 지지되고, 스트랩의 복원력이 손가락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upport plate are supported by different fingers, and the restoring force of the strap may increase frictional force acting on the fingers.

한편, 상기 지지판이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힌지축과, 상기 상부와 하부의 접힘시 복원력을 제공하는 힌지복원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upport plate may further include a hinge shaft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a hinge restoring portion providing restoring force whe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folded.

상기 지지판은, 손가락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상부 또는 하부와 스트랩과의 사이에서 마찰력을 제공받도록 기능한다. The support plate serves to receiv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top or bottom of one or more of the fingers and the strap.

또한, 상기 스트랩의 양단이 결합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 case to which both ends of the strap are coupled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에 의하면, 신축성을 가진 스트랩의 사용으로 인해, 자연스러운 아치형 손모양으로 스마트폰를 파지할 수 있고, 스마트폰를 파지하는 손의 형태가 고정되지 않아 손의 각도 변화 등에 따라 지지판을 비롯한 스마트폰의 다양한 자세를 구현할 수 있으며, 지지판을 어느 방향으로도 자유롭게 이동시켜서 사용이 가능하고,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어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무선 충전시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사용전 및 사용후 또는 각도 조절 등과 같은 별도의 동작이 필요없이 즉시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According to the smartphone hol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ue to the use of an elastic strap, the smartphone can be held in a natural arched hand shape, and the shape of the hand holding the smartphone is not fixed, so that the angle of the hand change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hand. Various postures of the smartphone, including the support plate, can be implemented, the support plate can be freely moved in any direction and used, and the thickness can be minimized, so it is easy to carry and store, and interference can be minimized during wireless charging. It has an effect that can be used immediately without the need for separate operations such as before and after use or angle adjustm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에서 스트랩 부착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에서 스트랩 부착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에서 스트랩 부착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 13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제 14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20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에서 지지판을 밑으로 내리고, 가로로 사진 촬영시 사용례를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에서 지지판을 밑으로 내리고, 키보드 타이핑시 사용례를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에서 지지판을 옆으로 당기고 한손으로 조작시 사용례를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25 및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에서 지지판을 위로 올리고, 동영상 시청시 사용례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lding device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a holding device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ttaching a strap in a holding device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ttaching a strap in a holding device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ttaching a strap in a holding device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lding device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use state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holding device of the smartphon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lding device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olding device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olding device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olding device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olding device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olding device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olding device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olding device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a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olding device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l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olding device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a twel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olding device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a thir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olding device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a four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martphone hol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n image showing a use case when taking a picture horizontally by lowering the support plate in the holding device of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n image showing a use case when typing on a keyboard by lowering the support plate in the holding device of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3 and 24 are images showing a use case when the support plate is pulled sideways and operated with one hand in the holding device of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5 and 26 are images showing a use case when watching a video while raising the support plate in the holding device of the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에 의하여 여러 가지의 실시례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례를 예로서 도면에 나타내어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 실시례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embodiments by various changes, it will be described by showing specific embodiments in the drawings as examples.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xamples, and includes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 내지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are omitted. do it with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lding device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holding device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100)는 스트랩(110)과 지지판(12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 a holding device 100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trap 110 and a support plate 120 .

스트랩(110)은 스마트폰의 후면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한다.Strap 110 is to be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back of the smart phone.

스트랩(110)은 복원이 가능한 신축성을 가지는 재질, 예컨대 고무나 실리콘 또는 스판 함유 섬유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스트랩(110)은 복원력에 의해 지지판(120)과의 마찰력이나 손가락의 마찰력 증가에 기여하고, 이로 인해 스마트폰의 안정적인 홀딩을 가능하도록 한다.The strap 110 may be made of a variety of elastic materials, including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that can be restored, for example, rubber, silicon, or a spandex-containing fiber. Therefore, the strap 110 contributes to an increase in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support plate 120 or the frictional force of the finger by the restoring force, thereby enabling stable holding of the smartphone.

지지판(120)은 스트랩(110)의 하단이 관통홀(121)을 통과함으로써, 전방으로 인출되어 스마트폰의 하부로 향하고, 상기 지지판의 하부의 지지면(122)이 스트랩(110)과의 사이에 끼워지는 어느 한 손가락, 예컨대 중지에 의해 지지되며, 상부가 다른 손가락, 예컨대 검지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스트랩(110)에 고정되어 스트랩(110)을 매개로 스마트폰을 지지하도록 한다. 즉, 지지판(120)은 관통홀(121)의 하측에 스트랩(110)과 마주보도록 마련되는 지지면(122)이 스트랩(110)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어느 한 손가락, 예컨대 중지에 의해 지지되며, 상부가 다른 손가락, 예컨대 검지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스트랩(110)을 매개로 스마트폰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The support plate 120 is drawn forward by passing the lower end of the strap 110 through the through hole 121 and is dir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smartphone, and the support surface 122 of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plate is between the strap 110 and the strap 110. It is supported by any one finger inserted into, for example, the middle finger, and the upper part is supported by another finger, for example, the index finger, so that it is fixed to the strap 110 to support the smartphone through the strap 110. That is, the support plate 120 has a support surface 122 provided to face the strap 110 at the lower side of the through hole 121 and supported by at least one finger, for example, the middle finger positioned between the strap 110 and the support plate 120 . And, as the upper part is supported by another finger, for example, the index finger, the smartphone can be supported via the strap 110.

지지판(120)은 관통홀(121)을 통해서 스트랩(110)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되, 외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수직인 스트랩(110)을 따라 하강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고, 손으로 이동시킬 경우 무리한 힘을 요구하지 않아야 한다. 이때, 지지판(120)과 스트랩(110) 사이의 마찰력은 관통홀(121)의 크기, 개수, 규격, 다른 관통홀(121) 간의 거리, 스트랩(110)의 굴곡부분 등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The support plate 120 can be moved along the strap 110 through the through hole 121, but must remain in a state in which it does not descend along the vertical strap 110 in a state in which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is moved by hand. If you do, you must not use excessive force. At this time,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support plate 120 and the strap 110 may be determined by the size, number, and standard of the through holes 121, the distance between the other through holes 121, the curved portion of the strap 110, and the like.

지지판(120)의 하부와 스트랩(110) 사이에 손가락을 끼우는 형태로 사용하게 되는데, 이렇게 사용할 때 역시 지지판(120)이 움직이지 않고 스트랩(110)에서 고정된다. 이러한 지지판(120)의 고정 이유는 지지판(120)과 스트랩(110)의 기본적인 마찰력, 스트랩(110)이 손가락을 지지하면서 생기는 각도의 변화, 손가락이 지지판(120)을 밖으로 밀면서 생기는 마찰력의 증가, 스트랩(110)이 늘어나면서 생기는 마찰력의 증가, 손가락과 스트랩(110)이 접촉하면서 생기는 마찰력 등에 기인한다. It is used in the form of putting a finger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120 and the strap 110, and when used in this way, the support plate 120 is also fixed in the strap 110 without moving. The reason for fixing the support plate 120 is the basic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support plate 120 and the strap 110, the change in angle caused by the strap 110 supporting the finger, the increase in frictional force caused by the finger pushing the support plate 120 out, This is due to the increase in frictional force generated while the strap 110 is stretched, the frictional force generated while the finger and the strap 110 are in contact, and the like.

한편, 지지판(120)에 스트랩(110)이 관통하는 관통홀(121) 간의 간격이 스트랩(110)의 길이방향으로 존재하다면, 지지판(120)이 사용중 뒤집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a gap between the through holes 121 through which the strap 110 passes through the support plate 1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ap 110, the support plate 12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overturned during use.

지지판(120)은 지지면(122)과 상부가 중지와 검지에 의해 지지 시, 관통홀(121) 내에서 스트랩(110)과의 마찰력에 의해 스트랩(110)으로부터 이동이 제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중지가 지지면(122)에 밀착되도록 힘을 가하고, 검지가 지지판(120)의 상부를 직접 또는 스트랩(110)을 매개로 지지하면, 스트랩(110)에 대한 인장력 등에 의한 관통홀(121) 내에서 스트랩(110)과의 마찰력 증가로 인해, 스트랩(110) 상에서 지지판(120)의 이동이 제한 내지 억제될 수 있다.When the support surface 122 and the upper portion are supported by the middle finger and the index finger, the support plate 120 may restrict movement from the strap 110 by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strap 110 and the through hole 121 . That is, when the middle finger applies forc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122 and the index finger supports the top of the support plate 120 directly or through the strap 110, the through hole 121 due to the tensile force of the strap 110 ) Due to the increase in frictional force with the strap 110 in the strap 110, the movement of the support plate 120 on the strap 110 can be limited or suppressed.

도 3에서와 같이, 스트랩(110)은, 일례로, 양단이 상기 스마트폰의 후면 상단과 하단에 각각 부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3, the strap 110, for example, both ends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rear surfaces of the smart phone, respectively.

도 4에서와 같이, 스트랩(110)은, 다른 예로서, 양단이 스마트폰(10)의 케이스(20) 상단과 하단에 각각 부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4, the strap 110, as another example, both ends may be attached to the top and bottom of the case 20 of the smart phone 10, respectively.

도 5에서와 같이, 스트랩(110')은, 또 다른 예로서, 양단이 스마트폰(10)의 후면에 부착되는 부착판(13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부착될 수 있다. As in FIG. 5 , as another example, the strap 110 ′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attachment plate 130 to which both ends are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smartphone 10, respectively.

이때, 스트랩(110')의 부착 고정을 위한 접착물질은 일례로 부착판(130)에 마련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스트랩(110')의 양단에 마련될 수 있으며, 부착판(130)과 스트랩(110')의 양단에 모두 마련되거나, 이 밖에도 다양한 부착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dhesive material for attaching and fixing the strap 110' may be provided on the attachment plate 130 as an example, and may be provided on both ends of the strap 110' as another example, and may be provided on the attachment plate 130 and Both ends of the strap 110' may be provided, or other various attachment methods may be used.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lding device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state of use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holding device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200)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100)와 마찬가지로, 스트랩(210)과 지지판(220)을 포함하되, 지지판(220)에 상측과 하측의 접힘을 가능하도록 하는 접힘부에 해당하는 힌지복원부(230)가 마련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6, the smartphone holdin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the smartphone hold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ap 210 and the support plate 220, except for the fact that the support plate 220 is provided with a hinge restoring portion 230 corresponding to a folding portion that enables upper and lower folding, so duplicate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

힌지복원부(230)는 지지판(220)이 수평의 힌지축(233)을 중심으로 상측과 하측이 접힘이 가능하되, 접힘에 대한 복원력을 가지도록 한다. 이러한 힌지복원부(230)는 지지판(220)을 지지하는 모든 손가락이 압력의 가중으로 불편이나 통증을 유발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고, 지지판(220)과 스트랩(210) 사이에서 손가락이 과도하게 눌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후술하게 될 접힘가이드부에서도 마찬가지로 작용하게 된다.The hinge restoring unit 230 enables the support plate 220 to be folded at the upper and lower sides around the horizontal hinge axis 233, but has restoring force against folding. This hinge restoration unit 230 can reduce all fingers supporting the support plate 220 from causing discomfort or pain due to increased pressure, and the fingers are excessively pressed between the support plate 220 and the strap 210. can prevent This also acts in the same way in the folding guide portion to be described later.

힌지복원부(230)는 지지판(220)의 상측과 하측이 서로 분할되어 접하는 측에 힌지축(233)에 의해 힌지결합되기 위한 힌지결합부(231,232)가 각각 마련되고, 힌지축(233)에 끼워지거나, 힌지축(233) 또는 그 부근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 또는 판스프링 등의 스프링(234) 양단이 지지판(22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고정됨으로써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한다. 여기서, 스프링(234)은 힌지축(233)으로부터 쉽게 이탈하지 못하도록, 본 실시례에서처럼 힌지결합부(231,232)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양단이 각각 지지판(220)의 분할된 상측과 하측에 각각 고정되도록 하며, 지지판(220)의 분할된 상측과 하측이 동일한 평면을 이루는 방향으로 복귀하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hinge restoration part 230 is provided with hinge coupling parts 231 and 232 for being hinged by the hinge shaft 233 on the side where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upport plate 220 are divided and contacted, respectively, and to the hinge shaft 233 Both ends of a spring 234 such as a coil spring or a leaf spring installed on or near the hinge shaft 233 are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upport plate 220, respectively, so as to provide restoring force. Here, the spring 234 is installed so as to be located inside the hinge coupling parts 231 and 232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so as not to easily escape from the hinge shaft 233, and both ends are respectively di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upport plate 220 Each is fixed, and an elastic force for returning to a direction in which the divided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upport plate 220 form the same plane may be provided.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200)를 참고로 스마트폰(10)의 홀딩을 설명하기로 하는데, 이는 이전의 실시례 뿐만 아니라, 이후의 모든 실시례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여기서, 검지가 지지판(220)의 상부를 밖으로 밀면서(c 방향), 검지와의 접촉 범위(a)에서 마찰력을 증가시키고, 중지가 지지판(220)과 스트랩(210) 사이에서 밀착 방향(d)으로 지지판(220)과 스트랩(210)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중지와의 접촉 영역(b)에서 마찰력을 증가시키고, 이러한 작용들로 인해, 지지판(220)이 스트랩(210)에서 고정되면서 스마트폰(10)의 홀딩을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스트랩(210)이 늘어나면서 신축력에 의한 복원력(e)에 의해 지지판(220)과 손가락 간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7, the holding of the smartphone 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smartphone holdin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not only the previous embodiment, but also all subsequent embodiments. The same applies to the examples. Here, the index finger pushes the top of the support plate 220 outward (direction c), increasing the frictional force in the contact range (a) with the index finger, and the middle finger between the support plate 220 and the strap 210 in the direction of close contact (d). By allowing the support plate 220 and the strap 210 to be supported, the frictional force is increased in the contact area (b) with the middle finger, and due to these actions, the support plate 220 is fixed on the strap 210 while the smartphone ( 10) to enable holding. In addition, while the strap 210 is stretched,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support plate 220 and the finger is increased by the restoring force (e) caused by the stretching force.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lding device for a smart phon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300)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100)와 마찬가지로, 스트랩(310)과 지지판(320)을 포함하되, 지지판(320)에 상측과 하측의 접힘을 가능하도록 하는 접힘부에 해당하는 접힘가이드부(330)가 마련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8, the smartphone holding device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the smartphone hold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ap 310 and the support plate 320, except for the fact that the folding guide portion 330 corresponding to the folding portion that enables the upper and lower folding of the support plate 320 is provided, so duplicate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

접힘가이드부(330)는 지지판(320)의 상측과 하측 경계에 수평방향으로 두께가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지지판(320)의 상측과 하측이 서로 접힘이 가능하되, 접힘에 대한 복원력을 가지도록 한다. 여기서 복원력은 지지판(320)이 복원력을 가지는 합성수지 등의 재질적인 특성을 이용할 수 있고, 지지판(320)의 분할된 상측과 하측이 동일한 평면을 이루는 방향으로 복귀하기 위한 힘을 의미할 수 있다. The folding guide part 330 is formed to decrease in thicknes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upper and lower boundaries of the support plate 320 so that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upport plate 320 can be folded to each other, but have restoring force against folding. Here, the restoring force may refer to a force for returning the support plate 320 in a direction in which material properties such as synthetic resin having restoring force may be used, and the divided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upport plate 320 form the same plan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는 관통홀을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하의 본 발명의 제 4 내지 제 13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에서 관통홀의 여러 가지 실시례들을 설명하기로 하는데, 본 발명의 제 4 내지 제 13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는 제 1 내지 제 3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와 마찬가지로 스트랩과 지지판으로 구성되고, 관통홀의 개수, 형태 내지 구조를 제외하고는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에서 도면을 참고로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내지 제 13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는 앞서 설명한 힌지복원부(230) 또는 접힘가이드부(330)가 부가될 수 있는데, 이러한 힌지복원부(230) 또는 접힘가이드부(330)는 관통홀의 형성을 방해하지 않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지지판에서 상부와 하부의 손가락 지지 부위와 관통홀을 회피하는 범위 내에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martphone hol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through-holes in various shapes. In the smartphone holding devices according to the fourth to thirteen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embodiments of through-holes The smartphone holding devices according to the fourth to thirteen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posed of a strap and a support plate like the smartphone holding devices according to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and the number of through holes , Since they are the same except for the shape or structure, overlapping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and hereinafter, the differences will be main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addition, the smartphone holding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to thirteen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ded with the hinge restoration unit 230 or the folding guide unit 330 described above, such a hinge restoration unit 230 or folding The guide portion 330 may be formed in an area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formation of through holes, and specifically, may be formed within a range of avoiding upper and lower finger support areas and through holes in the support plate.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olding device for a smart phon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400)는 지지판(420)에 관통홀(421)이 단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스트랩(410)의 단면보다 작은 사이즈의 관통홀(421)을 사용하여 마찰력이 증가하도록 하여, 지지판(420)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 9, in the smartphone holding device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rough hole 421 may be formed singly in the support plate 420, which is smaller than the cross section of the strap 410. The through hole 421 of the size is used to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so that the support plate 420 can be fixed.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10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olding device for a smart phon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500)는 지지판(520)에 관통홀(521)이 다수, 예컨대 3개가 형성될 수 있고, 스트랩(510)이 관통홀(521) 각각을 지그재그로 관통하도록 한다. 관통홀(521)이 많을수록 지지판(520)의 고정력이 뛰어난 반면, 지지판(520)의 자유로운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in the smartphone holding device 5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521, for example, three may be formed in a support plate 520, and a strap 510 may be formed. Pass through each of the through holes 521 in a zigzag pattern. As the number of through holes 521 increases, fixing power of the support plate 520 is excellent, but free movement of the support plate 520 may be restricted.

도 11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1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olding device for a smart phon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6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600)는 지지판(620)에 관통홀(621)이 다수, 예컨대 4개가 형성될 수 있고, 스트랩(610)이 관통홀(621) 각각을 지그재그로 관통하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 11, in the smartphone holding device 600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621, for example, four may be formed in a support plate 620, and a strap 610 may be formed. Pass through each of the through holes 621 in a zigzag pattern.

도 12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1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olding device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7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700)에서 지지판(720)은 관통홀(721)이 단부로부터 내측을 따라 중심부의 일측면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트랩(710)은 지지판(720)의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삽입되어 지지판(720)의 중심부에서 일측면으로 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12, in the smartphone holding device 700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late 720 may be formed so that the through hole 721 extends from the end to one side of the center along the inside. there is. Accordingly, the strap 710 may be inserted inward from an end of the support plate 720 and drawn out from the center of the support plate 720 to one side.

도 13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1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olding device for a smart phone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8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800)에서 지지판(820)은 관통홀(821)이 일측의 일측면으로부터 내측을 따라 중심부의 타측면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트랩(810)은 지지판(820)의 일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삽입되어 그 반대측면의 중심부로부터 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in the smartphone holding device 800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late 820 has a through hole 821 extending from one side of one side to the other side of the center along the inside. can be formed Accordingly, the strap 810 may be inserted inward from one side of the support plate 820 and drawn out from the center of the opposite side.

도 14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1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olding device for a smart phone 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9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900)에서 지지판(920)은 관통홀(921)이 일측의 일측면으로부터 내측을 따라 중심부의 상기 일측면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트랩(910)은 지지판(920)에서 삽입과 인출이 동일면에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14, in the smartphone holding device 900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late 920 has a through hole 921 extending from one side of one side to the one side of the center along the inner side. can be formed so that Thus, the strap 910 can be inserted and withdrawn from the support plate 920 on the same plane.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1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olding device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a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0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1000)에서, 지지판(1020)은 관통홀(1021)이 단부로부터 내측을 따라 중심부까지 연장되어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트랩(1010)은 지지판(1020)의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삽입되어 중심부 관통홀을 통해서 양측 어느 쪽으로도 인출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in the smartphone holding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late 1020 is formed so that the through hole 1021 extends from the end to the center along the inside to pass through the center. It can be. Accordingly, the strap 1010 may be inserted inwardly from the end of the support plate 1020 and drawn out from both sides through the center through-hole.

도 16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1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olding device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l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1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1100)에서, 지지판(1120)은 일측면에서 단부로부터 중심부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1122)에 관통홀(1121)이 내측을 단부로부터 중심부까지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트랩(1110)이 지지판(1120)의 돌출부(1122)를 따라 단부에서 중심부까지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in the smartphone holding device 1100 according to the el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late 1120 has a through hole 1121 in the protrusion 1122 formed to extend from the end to the center on one side. )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inner side from the end to the center. Accordingly, the strap 1110 may be installed along the protruding portion 1122 of the support plate 1120 to penetrate from the end to the center.

도 17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1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olding device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a twel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2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1200)에서, 지지판(1220)은 일측면에서 단부과 중심부에 각각 형성되는 돌기부(1222)에 관통홀(1221)이 각각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트랩(1210)이 돌기부(1222) 각각의 관통홀(1221)을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 in the smartphone holding device 1200 according to the twel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late 1220 has a through hole 1221 in the protrusion 1222 formed at the end and the center, respectively, on one side. It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each of them. Accordingly, the strap 1210 may be installed to pass through each of the through holes 1221 of the protrusions 1222 .

도 18은 본 발명의 제 13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1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olding device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a thir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3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1300)에서, 지지판(1320)은 일측면에서 중심부에 형성되는 돌기부(1322)에 관통홀(1321)이 형성될 수 있고, 돌기부(1322)의 상측과 하측에 스트랩(1310)을 지지하는 지지돌기(1323)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스트랩(1310)은 돌기부(1322)의 관통홀(1321)을 관통하여 지지돌기(1323) 각각에 의해 관통홀(1321) 양측에서 지지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18, in the smartphone holding device 1300 according to the thir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rough hole 1321 is formed in the protrusion 1322 formed in the center on one side of the support plate 1320. Support protrusions 1323 supporting the strap 1310 may be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protrusion 1322 . Accordingly, the strap 131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1321 of the protrusion 1322 and is supported on both sides of the through hole 1321 by each of the support protrusions 1323 .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4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에서 관통홀(1421)은 내측에 스트랩(1410)을 누르는 탄성체(1422)가 설치될 수 있다. 탄성체(1422)는 코일스프링, 판스프링을 비롯하여 다양한 탄성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의 탄성체(1422)에 대한 구성은 이전의 모든 실시례에 적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9 , in the smartphone holding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astic body 1422 pressing the strap 141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through hole 1421 . As the elastic body 1422, various elastic members including coil springs and plate springs may be used. The configuration of the elastic body 1422 in this embodiment can be applied to all previous embodiments.

도 20을 참조하면, 스트랩과 지지판과의 마찰력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지판이 스트랩에 고정되지 않고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상태에서의 최대 마찰력(A) 이하의 마찰력이 지지판과 스트랩 사이에 작용할 경우, 지지판이 외력없이도 경사 또는 수직 상태의 스트랩으로부터 자유롭게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위의 최대 마찰력(A)을 초과하는 마찰력이 스트랩과 지지판 사이에 작용하면, 지지판은 외력의 인가에 의해서 스트랩을 따라 움직이게 되는데, 지지판이 스마트폰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는 상태의 최소 마찰력(B) 부근에서 지지판과 스트랩 사이의 최적의 마찰력 구간(C)이 존재하게 된다. 이를 기준으로 스마트폰의 지지에 대한 안정감과 지지판의 이동 용이성은 마찰력의 크기에 따라 서로 반비례하게 된다. 즉, 스마트폰의 지지에 대한 안정감은 마찰력 크기에 비례하나, 지지판의 이동 용이성은 마찰력 크기에 반비례한다. 이와 같이, 스트랩과 지지판 사이의 기본적인 마찰력이 스마트폰의 무게를 버티되, 손으로 힘들이지 않게 이동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설정하는 과정을 시뮬레이션이나 실험적으로 획득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ure 20, for explaining the action of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strap and the support plate, the frictional force less than the maximum frictional force (A)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plate is not fixed to the strap and can move is acting between the support plate and the strap. In this case, the support plate moves freely from the inclined or vertical strap without external force. And, if a frictional force exceeding the maximum frictional force (A) above acts between the strap and the support plate, the support plate moves along the strap by the application of an external force, and the minimum frictional force in a state where the support plate can support the weight of the smartphone In the vicinity of (B), an optimal frictional force section (C) between the support plate and the strap exists. Based on this, the stability of the smartphone support and the ease of movement of the support plate are in inverse proportion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frictional force. That is, the stability of the support of the smartphone is proportional to the magnitude of the frictional force, but the ease of movement of the support plate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magnitude of the frictional force. In this way, the process of setting the basic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strap and the support plate within a range that can withstand the weight of the smartphone and move without effort by hand may be obtained through simulation or experimentation.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관통홀의 개수가 1개이든 다수이든, 무관하게 스트랩과 지지판 사이의 기본적인 마찰력이 스마트폰의 무게를 버티도록 할 수 있고, 손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정상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실제로 스마트폰의 무게를 버티기 위해 필요한 마찰력은 크게 요구하지 않는데, 예를 들면, 아래 표 1과 같이, 현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애플과 삼성의 주요 스마트폰 무게를 보면, 대부분 100g대 중반부터 200g대 초반 사이에 분포되어 있다. 여기에 케이스의 무게 약 10~40g 정도를 더해도 대략 250g 이하의 무게이므로, 스트랩과 지지판 사이의 마찰력으로 이를 버틸 수 있으면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regardless of whether the number of through holes is one or multiple, the basic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strap and the support plate can withstand the weight of the smartphone and can be moved by hand, so that normal use is possible do. In fact, the friction force required to withstand the weight of the smartphone is not very high. For example, as shown in Table 1 below, if you look at the weight of major smartphones from Apple and Samsung currently on the market, most of them are in the mid-100g to 200g range. distributed between the beginnings. Even if the weight of the case is about 10 to 40 g, the weight is approximately 250 g or less, so it is enough to withstand it with the friction between the strap and the support plate.

애플Apple 무게(g)weight (g) 삼성samsung 무게(g)weight (g) 아이폰xiphone x 174174 갤럭시s10galaxy s10 157157 아이폰xriphone xr 194194 갤럭시s20galaxy s20 163163 아이폰xsiphone xs 177177 갤럭시a51galaxy a51 187187 아이폰xs maxiphone xs max 208208 갤럭시a31galaxy a31 186186 아이폰seiphone se 148148 갤럭시노트9Galaxy Note 9 201201 아이폰11iPhone 11 194194 갤럭시노트10Galaxy Note 10 168168 아이폰11 proiphone 11 pro 188188 갤럭시노트20Galaxy Note 20 192192 아이폰11 pro maxiPhone 11 pro max 226226 갤럭시노트20 ultraGalaxy Note 20 ultra 208208 아이폰12 miniiPhone 12 mini 135135 갤럭시z 플립galaxy z flip 183183 아이폰12iPhone 12 164164 갤럭시z 폴드2Galaxy z fold 2 282282 아이폰12 proiPhone 12 pro 189189 아이폰12 pro maxiPhone 12 pro max 228228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홀딩장치에 따라, 다양한 사용례를 도 21 내지 도 26에 나타내었으며, 이에 따르면, 스트랩에서의 지지판 위치에 따른 다양한 파지법을 통해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폰의 최적 사용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례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특허청구범위, 그리고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ccording to the holding device of the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use cases are shown in FIGS.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fined,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of these claims.

10 : 스마트폰
20 : 케이스
110,110',210,310,410,510,610,710,810,910,1010,1110,1210,1310,1410 : 스트랩
120,220,320,420,520,620,720,820,920,1020,1120,1220,1320 : 지지판
121,421,521,621,721,821,921,1021,1121,1221,1321,1421 : 관통홀
122 : 지지면
130 : 부착판
230 : 힌지복원부
231,232 : 힌지결합부
233 : 힌지축
234 : 스프링
330 : 접힘가이드부
1122 : 돌출부
1222 : 돌기부
1322 : 돌기부
1323 : 지지돌기
1422 : 탄성체
10: Smartphone
20: case
110,110',210,310,410,510,610,710,810,910,1010,1110,1210,1310,1410 : Strap
120,220,320,420,520,620,720,820,920,1020,1120,1220,1320: support plate
121,421,521,621,721,821,921,1021,1121,1221,1321,1421: through hole
122: support surface
130: attachment plate
230: hinge restoration unit
231,232: hinge coupling part
233: hinge axis
234: spring
330: folding guide part
1122: protrusion
1222: protrusion
1322: protrusion
1323: support protrusion
1422: elastic body

Claims (6)

길이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고 스마트폰의 후면에 배치되는 스트랩; 및
상부와 하부가 서로 접힘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스트랩이 관통홀에서 삽입 결합되며, 상부와 하부가 서로 평면을 이루는 방향으로 복귀하는 복원력이 작용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스트랩과 지지판의 상부 및 하부는,
손가락이 밀착된 상태에서 스트랩의 복원력에 의하여 마찰력이 증가되어 스마트폰을 홀딩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의 홀딩장치.
A strap having elasticit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disposed on the back of the smartphone; and
A support plate on which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be foldable, the strap is inserted and coupled through a through hole, and a restoring force acting on whic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return to each other in a direction forming a plane;
The top and bottom of the strap and the support plate,
A holding device for a smartphone that allows the user to hold the smartphone by increasing the frictional force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trap in a state in which the finger is in close conta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외력이 작용되지 않은 상태에서 스트랩에 결합된 위치를 유지하는 스마트폰의 홀딩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plate,
A holding device for a smartphone that maintains a position coupled to a strap in a state where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부와 하부가 서로 다른 손가락에 의하여 지지되고, 스트랩의 복원력이 손가락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스마트폰의 홀딩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plate,
A holding device for a smartphon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parts are supported by different fingers and the restoring force of the strap increases the frictional force acting on the finger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힌지축과, 상기 상부와 하부의 접힘시 복원력을 제공하는 힌지복원부를 더 구비하는 스마트폰의 홀딩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support plate,
A holding device for a smartphone further comprising a hinge axis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a hinge restoring portion providing a restoring force whe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fold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손가락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상부 또는 하부와 스트랩과의 사이에서 마찰력을 제공받도록 하는 스마트폰의 홀딩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support plate,
A holding device for a smartphone that allows one or more of the fingers to receiv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top or bottom and the strap.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의 양단이 결합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폰의 홀딩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 holding device for a smartphone further comprising a; case to which both ends of the strap are coupled.
KR1020210124031A 2020-12-04 2021-09-16 Apparatus for holding smart phone KR1025262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4031A KR102526259B1 (en) 2020-12-04 2021-09-16 Apparatus for holding smart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681A KR102378091B1 (en) 2020-12-04 2020-12-04 Apparatus for holding smart phone
KR1020210124031A KR102526259B1 (en) 2020-12-04 2021-09-16 Apparatus for holding smart phon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8681A Division KR102378091B1 (en) 2020-12-04 2020-12-04 Apparatus for holding smart 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9423A KR20220079423A (en) 2022-06-13
KR102526259B1 true KR102526259B1 (en) 2023-04-27

Family

ID=8093590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8681A KR102378091B1 (en) 2020-12-04 2020-12-04 Apparatus for holding smart phone
KR1020210124031A KR102526259B1 (en) 2020-12-04 2021-09-16 Apparatus for holding smart phon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8681A KR102378091B1 (en) 2020-12-04 2020-12-04 Apparatus for holding smart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78091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064B1 (en) * 2016-08-03 2017-08-14 (주)서주글로벌 Finger ring for smart phone
KR101825404B1 (en) * 2016-10-12 2018-02-06 주식회사 더메이크 Support ring for handy terminal
KR200492746Y1 (en) * 2020-03-20 2020-12-03 윤여신 Strap apparatus for portabl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9892A (en) * 2013-01-08 2014-07-16 오상용 big size smartphone handle
KR20190097834A (en) * 2018-02-13 2019-08-21 이구호 Holder combined grip apparatus using frictional force of strap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064B1 (en) * 2016-08-03 2017-08-14 (주)서주글로벌 Finger ring for smart phone
KR101825404B1 (en) * 2016-10-12 2018-02-06 주식회사 더메이크 Support ring for handy terminal
KR200492746Y1 (en) * 2020-03-20 2020-12-03 윤여신 Strap apparatus for portab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8091B1 (en) 2022-03-24
KR20220079423A (en) 202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8619B1 (en) Display apparatus
US10852774B2 (en) Foldable mobile terminal with flexible screen
KR20180071900A (en) Hinge Device for Flexible Display in both Infolding and Outfolding Way
US20240275875A1 (en) Foldable-display type portable terminal
JPH11331332A (en) Freely extensible contractible telephone set
KR200470332Y1 (en) Mobile apparatus case
KR20120048853A (en) Cover device of a folder type terminal
KR102244886B1 (en) Bookholder with bottom plate
CN110784573A (en) Display device
KR102526259B1 (en) Apparatus for holding smart phone
KR101244983B1 (en) Forearm handheld information devide holder
KR102284322B1 (en) Multi functional book holder with height adjustment
CN207112294U (en) Support
US12095938B2 (en) Apparatus for holding a smart phone
US20140049893A1 (en) Bag Computer Display Panel Prop Improvements
KR200461325Y1 (en) iPad PUT ON TYPE WALLET STRUCTURE
CN207070131U (en) Support, mobile phone protective cover and mobile phone
KR200493400Y1 (en) Notebook bag
KR100654704B1 (en) Support device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phone
KR101328501B1 (en) Case for portable device
KR102135207B1 (en) Transformable handle for mobile
KR102306904B1 (en) Multipurpose holder for mobile terminal
KR20160107940A (en) One side folding apparatus
CN116530074A (en) Grip aid for a mobile device
KR200496744Y1 (en) rollable phone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