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4704B1 - Support device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phone - Google Patents

Support device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4704B1
KR100654704B1 KR1020060013490A KR20060013490A KR100654704B1 KR 100654704 B1 KR100654704 B1 KR 100654704B1 KR 1020060013490 A KR1020060013490 A KR 1020060013490A KR 20060013490 A KR20060013490 A KR 20060013490A KR 100654704 B1 KR100654704 B1 KR 100654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 devic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34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기석
Original Assignee
송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기석 filed Critical 송기석
Priority to KR1020060013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4704B1/en
Priority to JP2007520244A priority patent/JP2008505584A/en
Priority to PCT/KR2006/000857 priority patent/WO2006096031A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4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47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1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 H04M1/12Adjustable supports, e.g. extensi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7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Abstract

A supporting apparatus of a mobile terminal is provided to allow a person who is handicapped with fingers to easily perform call communication or watch video through a mobile terminal. Both end portions of a necklace(8) are fixed at portions of a main body(2) or a cover(4) of a mobile terminal. A platy body(10) is fixedly combined with a portion of the terminal. One end portion of a support(20) is fixed at the body(10), the length of the support(20) can be varied in length, and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support(20) is bifurcated to have a plurality of support points. A wall portion is formed at the body(10) so as to protrud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support(20) from a corner so that it ca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terminal to maintain a stable coupling state.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용 지지장치 {Support Device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Phone}Support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 Device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Pho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지지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support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지지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2 is a rear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supporting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지지장치의 제1실시예 및 목걸이를 이용하여 단말기를 지지한 상태로 화상통화나 영상시청을 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support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tate in which a video call or video viewing is performed while the terminal is supported by a necklac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지지장치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몸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ody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upporting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지지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5 is a rear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supporting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지지장치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6 is a rear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supporting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지지장치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7 is a rear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supporting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지지장치의 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8 is a rear view showing a fifth embodiment of a support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중 또는 정지상태에서 자유롭게 손을 사용하면서 통화나 영상시청이 가능하도록 이동통신 단말기를 흔들림이 최소화된 상태로 지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suppor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minimal shaking to enable a call or video viewing while freely using hands while moving or at rest. It relates to a support device.

일반적으로 개인휴대단말기(PDA), 셀룰러폰, PCS폰, GSM폰, IMT-2000폰, DMB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휴대용 통신기기)의 보급이 많이 이루어져, 대부분의 사람이 이들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고 있다.In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cellular phones, PCS phones, GSM phones, IMT-2000 phones, and DMB phones are widely used, and most people use thes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 use it.

최근에는 카메라폰의 보급 및 무선인터넷, DMB방송 등의 실시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신이나 TV나 영화 등의 영상시청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In recent years, the spread of camera phones, wireless Internet, DMB broadcasting, etc. make it possible to easily perform video communicatio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o watch a video such as a TV or a movie.

그런데 이동통신 단말기를 손으로 잡은 상태로 화상통신이나 영상시청을 장시간(예를 들면 3분 이상) 행하게 되면, 이동통신 단말기를 잡고 있는 손의 떨림이나 움직임에 의하여 화상통신시에 송신자의 모습이 수신자의 화면에서 흔들려 보이거나 영상시청시에 화면이 흔들려 영상을 정확하게 인식하는 것이 어려울 경우가 많다.However, if video communication or video viewing is performed for a long time (for example, 3 minutes or longer) whi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held by hand, the sender's appearance at the time of video communication is caused by the shaking or movement of the hand hold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often difficult to recognize the image correctly because it is shaken on the screen or when the image is viewed.

즉 영상서비스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눈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통화나 영상시청을 행하게 되므로, 한손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든 상태로 장시간 유지하게 되면, 팔에 피로가 크게 가해지게 된다. 음성통화를 행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한손으로 잡고 귀부분에 접촉한 상태로 통화를 행하므로 사용자의 귀부분이 지지대 역할을 하여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에도 피로도가 적지만, 화상통화의 경우에는 손을 허공에서 펴거나 구부린 상태를 유지하므로 피로도가 크게 증가된다.In other word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video service, a user can make a call or watch a video while keeping a certain distance from the eyes. Therefore, if the user hold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one hand for a long time, the arm becomes fatigued. do. In the case of making a voice call, the user holds the mobile terminal with one hand and makes a call while touching the ear, so that the user's ear acts as a support and has a low fatigue even when used for a long time. Fatigue is greatly increased by keeping your hands straight or bent in the air.

나아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잡은 손이 허공중에 위치하므로 이동시에는 흔들림이 더 심화되고, 화상통화의 상대방은 통화자의 얼굴을 제대로 보는 것이 불가능하며, 실제 화상통화가 거의 불가능하다.Furthermore, since the hand hold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in the air, the shaking becomes more severe during movement, and the other party of the video call cannot see the caller's face properly, and the actual video call is almost impossible.

그리고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는 한손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잡고 있어야 하므로, 통화를 하면서 다른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하다.In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ust be held by one hand, and thus it is impossible to perform other tasks while making a call.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10971호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거치구조를 부착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In order to improve this point,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4-0010971 discloses a technology in which a mounting structure is attach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그러나 종래의 거치구조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고정된 장소에 올려놓기 위한 구조로, 이동중에는 사용이 불가능하며, 올려놓고 통신을 하거나 화면을 시청하기 어려운 지역에서는 사용이 불가하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mounting structure is a structure for plac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fixed place, it is impossible to use during the movement,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used in the area where it is difficult to place the communication or watch the screen.

본 발명은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가슴이나 배에 지지되는 복수의 지지점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일정 각도로 세운 상태에서 장시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손으로 잡지 않은 상태에서도 장시간 화상통화나 영상시청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지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by using a plurality of support points supported on the user's chest or stomach,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 a predetermined angle for a long time, so as not to hold the hand Also to provide a support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a long time video call or video viewing.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지지장치는 단말기의 일부에 결합 고정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한쪽 끝부분이 고정되고 길이를 가변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다른쪽 끝부분은 복수의 지지점을 갖도록 갈라져 형성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support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fixedly coupled to a part of the terminal, and one end is fixed to the body and the variable length, and the other end has a plurality of support points. It includes a support formed by splitting.

상기 지지대는 다단으로 설치되고 인출하거나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길이가 가변되도록 형성한다.The support is formed to be variable in length by being installed in multiple stages and withdrawn or inserted.

상기 지지대는 갈라져 형성되는 끝부분을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서로의 간격이 더 넓어지도록 소정의 각도로 설치하는 것이 안정적으로 단말기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The support is preferably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end portion formed by splitting at a predetermined angle becomes wider as the length becomes longer, so that the support can be stably supported.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지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a preferred embodiment of a support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지지장치의 제1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기(1)의 일부에 결합 고정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에 한쪽 끝부분이 고정되고 길이를 가변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다른쪽 끝부분은 복수의 지지점을 갖도록 갈라져 형성되는 지지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First,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upport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body 10 is coupled to a fixed portion of the terminal 1, one side to the body 10 The end portion is configured to be fixed and variable in length, and the other end portion includes a support 20 formed to be divided to have a plurality of support points.

상기 단말기(1)는 내부에 통신모듈 및 제어부가 내장되고 다수의 입력버튼(3)이 설치되는 본체(2)와, 한쪽에는 표시부(5)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2)에 회전 또는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4)와, 상기 본체(2) 또는 덮개(4)의 일부분에 양쪽 끝부분이 각각 고정되는 목걸이(8) 등으로 구성된다.The terminal 1 includes a main body 2 in which a communication module and a control unit are built-in and a plurality of input buttons 3 are installed, and a display part 5 is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the main body 2 is rotated or slid. It consists of a cover (4) that is possibly coupled, and a necklace (8), each of which is fixed at both ends to a portion of the body (2) or the cover (4).

상기 단말기(1)의 구체적인 구성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개인휴대단말기(PDA), 셀룰러폰, PCS폰, GSM폰, IMT-2000폰, DMB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휴대용 통신기기) 구성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1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cellular phone, a PCS phone, a GSM phone, an IMT-2000 phone, a DMB phone, and the like, which are generally used. Sinc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in a configuration,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목걸이(8)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의 목에 걸고 상기 지지대(20)의 길이를 가변시킨 경우에 상기 본체(2)가 사용자의 가슴 또는 배 부위에 위치하는 길이로 형성하는 것이 사용자의 눈으로부터 상기 표시부(3)까지의 거리가 화면을 시청하기에 적정(대략 30∼50cm 정도가 눈이 쉽게 피로하지 않는 적당한 시청거리임)하게 유지되므로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3, the necklace 8 is formed to have a length that is positioned on the user's chest or belly when the length of the support 20 is changed on the user's neck.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tance from the user's eyes to the display unit 3 is maintained to be suitable for viewing the screen (approximately 30 to 50 cm is a suitable viewing distance where the eyes are not easily tired).

상기 목걸이(8)는 대략 30∼150cm 정도의 길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necklace 8 is preferably formed to a length of about 30 ~ 150cm.

상기에서 목걸이(8)의 길이가 30cm 미만인 경우에는 어린이가 목에 건 경우에도 표시부(3)와 눈 사이의 거리가 지나치게 가까와 눈이 쉽게 피로하게 된다.When the length of the necklace 8 is less than 30cm in the above, even when the child is hanging on the neck, the distance between the display unit 3 and the eyes is too close and the eyes are easily tired.

그리고 목걸이(8)의 길이가 150c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목이 굵은 어른이 착용한 경우에도 표시부(3)와 눈 사이의 거리가 지나치게 멀어 작은 화면의 화상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없으며, 눈이 쉽게 피로해진다.When the length of the necklace 8 exceeds 150 cm, even when a thick-necked adult is worn, the distance between the display unit 3 and the eyes is too far to easily recognize a small screen image, and the eyes are easily fatigued. Become.

상기 목걸이(8)의 양쪽 끝부분은 상기 본체(2)의 상단부 중앙의 한점에 함께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본체(2)의 양쪽 끝부분에 각각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Both ends of the necklace 8 may be fixed together at one point in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2, or may be fixed to both ends of the main body 2, respectively.

상기 목걸이(8)의 양쪽 끝부분은 상기 본체(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 설치하는 것이 사용자가 목에 걸때에 자유롭게 변형이 가능하므로 바람직하다.Both ends of the necklace (8) is preferably rotatably fixed to the main body (2) because it can be freely deformed when the user hangs on the neck.

그리고 상기 목걸이(8)의 양쪽 끝부분은 상기 본체(2)의 중간부분에 고정하거나 상반부쪽에 고정하는 것이 상기 본체(2) 및 덮개(4)의 중량을 효과적으로 지탱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본체(2) 및 덮개(4)가 사용중에 편심된 중량에 의하여 사용자쪽 또는 반대쪽으로 회전하지 않게 되므로 바람직하다.And fixing both ends of the necklace (8)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main body (2) or to the upper half,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upport the weight of the main body (2) and the cover (4) and the main body (2) And the lid 4 are preferably not rotated toward the user or the opposite side by the eccentric weight during use.

상기 몸체(1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body 10 has a plate shape, as shown in FIG.

상기 몸체(10)에는 상기 단말기(1)의 본체(2) 측면에 접하여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모서리로부터 지지대(20) 반대쪽으로 돌출하는 벽부(12)가 형성된다.The body 10 is formed with a wall portion 12 protruding from the edge to the opposite side of the support 20 to maintain a stable coupling state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main body 2 of the terminal (1).

상기 벽부(12)에는 상기 단말기(1)의 본체(2) 측면에 형성되는 홈(7)에 삽입 결합되는 고정돌기(14)가 돌출 형성된다.The wall portion 12 is provided with a fixing protrusion 14 is inserted into the groove 7 form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2 of the terminal 1 protruding.

상기 단말기(1)의 본체(2) 측면에는 일반적으로 충전용 거치대나 핸즈프리용 거치대 등에 단말기(1)를 거치하는 경우 거치대와의 결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거치대에 형성되는 돌기에 대응하여 홈(7)이 형성된다.The main body (2) side of the terminal (1) is generally a groove (7) corresponding to the projection formed in the holder to maintain the coupling with the holder when mounting the terminal (1), such as charging cradle or hands-free cradle Is formed.

따라서 상기 고정돌기(14)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거치대에 형성되는 돌기에 대응하는 형상 및 상기 홈(7)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Therefore, the fixing protrusion 14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cradle is generally used and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groove (7).

상기 고정돌기(14)의 수 및 형상은 상기 단말기(1) 본체(2)의 측면에 형성되 는 홈(7)의 수 및 형상에 대응하여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고정돌기(14)의 수는 필요에 따라 상기 단말기(1) 본체(2) 측면에 형성되는 홈(7)의 수보다 적게 설정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number and shape of the fixing protrusions 14 can be set corresponding to the number and shape of the grooves 7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2 of the terminal 1. In addition, the number of the fixing protrusions 14 may be set to be smaller than the number of the grooves 7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2 of the terminal 1 as necessary.

그리고 상기 벽부(12)는 상기 몸체(10)의 모서리 전체에 형성하지 않고 여러개의 부분으로 나누어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모서리 일부에 연속하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wall portion 12 may be formed by dividing into a plurality of portions without forming the entire corner of the body 10, or may be formed in a shape continuous to a portion of the corner.

상기 벽부(12)는 전체적으로 동일한 높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부분적으로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wall portion 12 may be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a whole, or may be partially formed at different heights.

상기 벽부(12)의 끝부분 전부 또는 일부에는 상기 단말기(1) 본체(2)의 모서리 위쪽에 약간 걸쳐져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결합돌기(15)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coupling protrusion 15 on all or a part of the end of the wall portion 12 so as to be slightly over the edge of the main body 2 of the terminal 1 to maintain the coupling state.

상기와 같이 결합돌기(15)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돌기(14)를 형성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case of forming the coupling protrusion 15 as described above, it is also possible not to form the fixing protrusion 14.

또 상기 고정돌기(14)와 결합돌기(15)를 모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form both the fixing protrusion 14 and the coupling protrusion 15.

그리고 상기 몸체(10)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벽부(12)를 상기 단말기(1) 본체(2)의 하부쪽에만 형성하고, 상기 벽부(12)에는 상기 단말기(1) 본체(2)에 형성되는 충전용 또는 데이터 입출력용 포트(6)에 삽입되는 고정돌기(16)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As shown in FIG. 4, the body 10 has a wall portion 12 formed only at a lower side of the main body 2 of the terminal 1, and the main body 2 of the terminal 1 has a wall portion 12.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fixing projection 16 to be inserted into the charging or data input / output port 6 formed in the.

상기와 같이 고정돌기(16)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결합돌기(15) 및/또는 고정돌기(14)를 형성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When the fixing protrusion 16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coupling protrusion 15 and / or the fixing protrusion 14 may not be formed.

또 상기 고정돌기(16)와 고정돌기(14), 결합돌기(15)를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조합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fixing protrusion 16, the fixing protrusion 14, and the coupling protrusion 15 may be formed in various combinations as necessary.

상기 지지대(2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단 인출식으로 설치되고 인출하거나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길이가 가변되도록 형성한다.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support 20 is formed to be variable in length by being installed in a multi-stage withdrawal and withdrawal or insertion.

상기 지지대(20)의 다단 인출 방식의 구체적인 구조는 일반적으로 안테나나 지시봉 등에 사용하는 다양한 구성을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specific structure of the multi-stage extraction method of the support 20 can be generally applied to various configurations used for antennas, indicator rods, etc.,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지지대(20)는 인출된 상태에서 쉽게 삽입되지 않도록 각 단이 완전하게 인출된 경우에는 내부에서 걸리는 구조를 추가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support 20 may be configured by adding a structure that is caught inside when each end is completely drawn so that it is not easily inserted in the drawn state.

또 상기 지지대(20)는 각 단을 인출후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고정과 분리가 이루어지는 구조를 추가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support 20 may be configured by adding a structure that is fixed and separated by rotating th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after each end withdrawal.

상기 지지대(20)는 상기 단말기(1) 본체(2)에 내장된 통신모듈과 연결되어 안테나로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support 20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module embedded in the main body 2 of the terminal 1 to perform a function as an antenna.

상기 지지대(20)는 인출(도 2에서 이점쇄선으로 나타냄)하는 경우 상기 몸체(10)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대략 2∼50cm 정도로 되도록 다단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support 20 is pulled out (indicated by the double-dotted line in FIG. 2), the support 20 is preferably configured in multiple stages such that the length protruding from the body 10 is about 2 to 50 cm.

상기에서 지지대(20)를 인출한 경우 상기 몸체(10)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2cm 미만으로 되면, 몸체(10)가 옷 등에 접촉하게 되어 몸체(10)의 지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When the support 20 is drawn out in the above, when the length protruding from the body 10 is less than 2 cm, the body 10 comes into contact with clothes and the like, so that the support of the body 10 is not stably made.

그리고 상기 지지대(20)를 인출한 경우 상기 몸체(10)로부터 돌출되는 길이 가 50cm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 표시부(5)와 눈 사이의 거리가 적정한 시청거리를 벗어날뿐만 아니라, 지지되는 길이가 너무 길어 흔들림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When the support 20 is pulled out, when the length protruding from the body 10 exceeds 50 cm, the distance between the display unit 5 and the eyes does not exceed the proper viewing distance, and the supported length is too long. The problem of long shaking is high and stable support is not achieved.

상기 목걸이(8)의 길이와 지지대(20)의 총 인출길이는 적정한 시청거리를 감안하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set the length of the necklace 8 and the total draw length of the support 20 in consideration of an appropriate viewing distance.

상기 지지대(20)의 끝부분에는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찰력이 우수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접지패드(22)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At the end of the support 20,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a grounding pad 22 made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friction to improve the bearing capacity and prevent slipping.

상기 접지패드(22)는 고무, 연질 합성수지, 실리콘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천이나 펄프 등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ground pad 22 may be formed using a material such as rubber, soft synthetic resin, silicon, or the like, or may be formed using cloth, pulp, or the like.

상기 접지패드(22)는 사용자가 얇은 옷을 입었을 경우에도 접촉시에 통증을 느끼지 않도록 탄성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끝면을 곡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round pad 22 is preferably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so as not to feel pain at the time of contact even when the user wears thin clothes, and preferably the end surface is formed in a curved surface.

상기 지지대(2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 끝부분은 상기 몸체(10)의 한점에 고정점으로 고정하고, 다른쪽 끝부분은 인출되면서 서로 각도가 벌어지도록 대략 "V"형상으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As shown in FIG. 2, one end of the support 20 is fixed to a fixed point at one point of the body 10,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20 is installed in an approximately "V" shape so that angles are extended to each other while being drawn out. It is also possible.

상기 몸체(10)에는 상기 지지대(20)의 한쪽 끝부분이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18)가 형성된다.The body 10 is formed with a fixing portion 18 is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support 20 is fixed.

또 상기 몸체(10)에는 상기 지지대(20)의 고정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흔들림을 최소화하도록 지지대(20)의 다른 부분이 결합되는 보조고정부(19)를 더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body 10 may further form an auxiliary fixing unit 19 to which other parts of the support 20 are coupled to maintain the fixed position of the support 20 stably and minimize shaking.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지지장치의 제2실시예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20)를 한쪽 끝부분이 절첩가능하게 상기 몸체(10)에 설치한다.And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support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5, one end portion of the support 20 is installed on the body 10 to be foldable.

예를 들면, 상기 지지대(20)의 한쪽 끝부분을 상기 몸체(10)의 한쪽에 경첩부재(30)를 이용하여 회전가능(절첩가능)하게 설치한다.For example, one end of the support 20 is installed rotatably (foldable) by using the hinge member 30 on one side of the body 10.

또 상기 경첩부재(30)의 접혀지거나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돌기(32)와 구멍(34)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돌기(32)가 구멍(34)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경첩부재(30)의 접혀지거나 펼쳐진 상태가 유지된다.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projection 32 and the hole 34 so that the folded or unfolded state of the hinge member 30 is maintained. The protrusion 32 is inserted into the hole 34 to be coupled to maintain the folded or unfolded state of the hinge member 30.

상기 경첩부재(30)의 접철되는 면에는 구멍(34)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10)쪽에는 상기 구멍(34)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기(32)가 형성된다.A hole 34 is formed on the foldable surface of the hinge member 30, and a protrusion 32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ole 34 on the body 10.

상기 몸체(10)에는 상기 경첩부재(30)가 펼쳐진 상태(지지대(20)를 사용하기 위한 상태)에서 경첩부재(30)가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고정홈(33)을 더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body 10 may further form a fixing groove 33 in which the hinge member 30 is inserted and stably supported in a state where the hinge member 30 is deployed (a state for using the support 20). Do.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지지장치의 제3실시예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에 중앙으로부터 모서리쪽으로 길게 레일홈(40)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대(20)의 끝부분에는 상기 레일홈(40)에 결합되어 미끄럼이동하는 이동블럭(42)을 설치한다.And a third embodiment of the support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6, to form a rail groove 40 from the center to the edge from the center of the body 10, The end portion is coupled to the rail groove 40 is installed a sliding block 42 for sliding.

상기와 같이 이동블럭(42)이 레일홈(40)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지지대(20)를 몸체(10)에 결합 고정하게 되면, 상기 몸체(10)를 단말기(1) 본체(2)에 결합한 상태에서 본체(2)를 가로방향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도 효과적으 로 지지대(20)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support block 20 is fixed to the body 10 so that the moving block 42 moves along the rail groove 40, the body 1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2 of the terminal 1. Even when the main body 2 is used in a horizontal position in a stat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use the support 20.

상기 레일홈(40)의 한쪽 끝부분에는 이동블럭(42)이 90°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이동블럭(42)의 회전궤적을 따라 회전홈(41)이 형성된다.At one end of the rail groove 40, the rotary groove 41 is formed along the rotational trajectory of the movable block 42 so that the movable block 42 can be rotated by 90 degrees.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지지장치의 제4실시예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레일홈(40)을 몸체(10)의 중앙부 한쪽 모서리로부터 다른쪽 모서리까지 길게 형성하고, 상기 지지대(20)에 상기 레일홈(40)에 결합되는 이동블럭(42)을 설치한다.And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support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7, the rail groove 40 is formed long from one corner of the center portion of the body 10 to the other corner, the support The moving block 42 is installed to the rail groove 40 in the 20.

상기와 같이 레일홈(40)을 몸체(10)의 중앙에 길게 형성하게 되면, 지지대(20)의 길이를 레일홈(40)의 길이만큼 단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When the rail groove 40 is formed long in the center of the body 10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length of the support 20 by the length of the rail groove 40.

따라서 지지대(20)의 단수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지지대(20)의 크기를 소형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stages of the support 20 and to reduce the size of the support 20.

상기에서 지지대(20)의 보관상태나 사용상태에서의 지지력을 확보하고 안정적인 고정을 위하여 레일홈(40)의 양쪽 끝부분에는 이동블럭(42)이 90°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이동블럭(42)의 회전궤적을 따라 회전홈(41)을 형성한다.In order to secure the holding force in the storage state or the use state of the support 20 in the above and to securely secure the movable block 42 at both ends of the rail groove 40, it is possible to rotate 90 °, the movable block 42 A rotary groove 41 is formed along the rotational trajectory of ().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지지장치의 제5실시예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20)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에 고정되는 부분을 1개로 구성하고 인출되는 끝부분을 2개로 구성한다.And the fifth embodiment of the support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8, constitutes one end fixed to the body 10 in the support 20 and the end portion to be drawn out It consists of two.

상기에서 1개로 구성되는 지지대(20)의 끝부분에 한쪽 끝부분이 힌지핀(2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2개의 각도부재(24)를 결합 설치한다.One end portion is rotatably installed by the hinge pin 25 at one end portion of the support 20, which consists of one in the above, and installs two angle members 24 in a rotatable manner.

상기 각도부재(24)의 경우에도 2단 이상으로 인출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 하다.The angle member 24 may also be configured to be drawn out in two or more stages.

또 상기 몸체(10)에 고정되는 부분을 2개로 구성하는 경우에도 각 끝부분에 2개의 각도부재(24)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even when two parts fixed to the body 10 are configured,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two angle members 24 at each end.

그리고 상기 지지대(20)를 다단 접이식으로 형성하고 길이가 가변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And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support 20 in a multi-stage fold and form a variable length.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지지장치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 method of using the support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단말기(1)의 본체(2)에 상기 몸체(10)를 결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장착을 행한다.First, mounting is performed by coupling the body 10 to the main body 2 of the terminal 1.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단말기(1)를 이용하여 통화(음성통화나 화상통화) 또는 영상시청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입력버튼(3)을 통하여 통신을 시도하고, 통화가 가능한 상태 및 영상시청이 가능한 상태가 되면, 상기 목걸이(8)를 목에 걸고, 상기 지지대(20)를 길게 인출하여 사용자의 가슴 또는 배에 인출된 지지대(20)의 끝부분이 접하도록 본체(2) 및 덮개(4)를 세우고, 상기 목걸이(8)의 위치를 조절하여 본체(2) 및 덮개(4)가 중앙에서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도록 한다(도 3 참조).In the above state, when the user wants to make a call (voice call or video call) or watch a video using the terminal 1, a communication is attempted through the input button 3, a call is possible, and a view is possible. When the necklace 8 is put on the neck, the support 20 is pulled out for a long time and the main body 2 and the cover 4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nds of the support 20 drawn out on the user's chest or stomach. Upright, and adjust the position of the necklace 8 so that the main body 2 and the cover 4 maintain a stable posture in the center (see FIG. 3).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목걸이(8)의 길이 및/또는 지지대(20)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눈으로부터 표시부(5)가 적정한 시청거리(대략 30∼50cm 정도)를 유지하도록 조정하고, 통화나 영상시청을 행한다.In such a state, the length of the necklace 8 and / or the length of the support 20 are adjusted to adjust the display unit 5 to maintain an appropriate viewing distance (about 30 to 50 cm) from the user's eyes, Video viewing is performed.

상기와 같이 통화나 영상시청을 행하게 되면, 본체(2) 및/또는 덮개(4)를 손으로 잡을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는 컴퓨터 작업이나 필기작업 등 양손을 사용하 는 다양한 작업을 동시에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When making a call or watching a video as described above, it is not necessary to hold the main body 2 and / or the cover 4 by hand, so that the user can simultaneously perform various operations using both hands such as computer work or writing work. Do.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지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upport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laim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possible and this also belongs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지지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목걸이를 목에 걸고 지지대의 길이를 길게 변경하여 사용자의 가슴이나 배 부위에 끝부분이 지지되도록 위치시키는 것에 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가 3점지지 또는 4점지지로 안정적으로 세워진 상태가 유지되므로, 손으로 잡지 않은 상태에서도 통화(음성통화 및 화상통화)나 영상시청을 장시간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흔들림 등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support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the user by changing the length of the support on the neck and the neck is placed so that the end is supported on the user's chest or belly region. Since it is maintained stably as a three-point or four-point support, it is possible to carry out a call (voice call and video call) or watch a video for a long time without holding by hand, and to minimize shaking and the like.

그리고 자유롭게 손가락 등을 사용하지 못하는 장애인의 경우에도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화(음성통화 및 화상통화)나 영상시청이 가능하다.In addition, even a disabled person who cannot freely use a finger or the like can us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voice call and video call) or view a video.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지지장치에 의하면, 통화(음성통화 및 화상통화)나 영상시청을 하면서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support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reely use both hands while making a call (voice call and video call) or watching a video, and thus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perform various tasks.

Claims (18)

삭제delete 본체 또는 덮개의 일부분에 목걸이의 양쪽 끝부분이 각각 고정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fixed to both ends of the necklace to a portion of the main body or cover, 단말기의 일부에 결합 고정되는 판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에 한쪽 끝부분이 고정되고 길이를 가변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다른쪽 끝부분은 복수의 지지점을 갖도록 갈라져 형성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A plate-shaped body coupled to and fixed to a portion of the terminal, and one end is fixed to the body and configured to be able to vary in length, and the other end includes a support formed to be divided to have a plurality of support points, 상기 몸체에는 상기 단말기 본체의 측면에 접하여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모서리로부터 지지대 반대쪽으로 돌출하는 벽부가 형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지지장치.The body support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formed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protruding from the edge to the opposite side of the support to maintain a stable coupling state.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벽부에는 상기 단말기의 본체 측면에 형성되는 홈에 삽입 결합되는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지지장치.The wall portion is a support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truding from the fixing projections are inserted into the groove form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terminal.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벽부의 끝부분 전부 또는 일부에는 상기 단말기 본체의 모서리 위쪽에 걸쳐져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결합돌기를 형성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지지장치.All or part of the end portion of the wall portion is a support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form a coupling protrusion over the corner of the main body main body to maintain a coupled state.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몸체의 하부쪽에 형성되는 벽부에는 상기 단말기 본체에 형성되는 충전용 또는 데이터 입출력용 포트에 삽입되는 고정돌기를 형성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지지장치.The wall portion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support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form a fixing projection inserted into the charging or data input / output port formed in the terminal body.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5, 상기 지지대는 다단으로 설치되고 인출하거나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성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지지장치.The support is a support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figured to be variable in length by being installed in multiple stages withdrawal or insertion. 청구항 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지지대는 갈라져 형성되는 끝부분을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서로의 간격이 더 넓어지도록 소정의 각도로 설치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지지장치.The support is a support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each other is wider as the end is formed longer split. 청구항 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지지대는 인출하는 경우 상기 몸체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2∼50cm로 되도록 다단으로 구성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지지장치.When the support is drawn out, the support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figured in multiple stages so that the length protruding from the body is 2 to 50cm. 청구항 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지지대의 끝부분에는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찰력이 우수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접지패드를 설치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지지장치.At the end of the support is a support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with a grounding pad made of a material of excellent friction to improve the bearing capacity and to prevent slipping. 청구항 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지지대는 한쪽 끝부분은 상기 몸체의 한점에 고정점으로 고정하고, 다른쪽 끝부분은 인출되면서 서로 각도가 벌어지도록 "V"형상으로 설치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지지장치.The support is fixed to one end of the body fixed to one point of the body, the other end is a support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stalled in the "V" shape so that the angles are extended to each other. 청구항 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지지대는 한쪽 끝부분이 절첩가능하게 경첩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몸체에 설치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지지장치.The support is a support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stalled on the body using a hinge member so that one end is foldable. 청구항 1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상기 경첩부재의 접철되는 면에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쪽에는 상기 구멍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기가 형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지지장치.A hole is formed in the folding surface of the hinge member, a support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formed in the body side projections corresponding to the hole. 청구항 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몸체에는 중앙으로부터 모서리쪽으로 길게 레일홈을 형성하고,The body has a rail groove formed from the center toward the edge, 상기 지지대의 끝부분에는 상기 레일홈에 결합되어 미끄럼이동하는 이동블럭을 설치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지지장치.A support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installing a sliding block coupled to the rail groove at the end of the support. 청구항 1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상기 레일홈의 한쪽 끝부분에는 이동블럭이 90°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이동블럭의 회전궤적을 따라 회전홈이 형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지지장치.One end of the rail groove support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formed with a rotary groove along the rotational trajectory of the mobile block to enable the mobile block to rotate 90 °. 청구항 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몸체에는 한쪽 모서리로부터 다른쪽 모서리까지 길게 레일홈을 형성하고,The body forms a rail groove long from one corner to the other corner, 상기 지지대의 끝부분에는 상기 레일홈에 결합되어 미끄럼이동하는 이동블럭을 설치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지지장치.A support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installing a sliding block coupled to the rail groove at the end of the support. 청구항 15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5, 상기 레일홈의 양쪽 끝부분에는 이동블럭이 90°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이동블럭의 회전궤적을 따라 회전홈이 형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지지장치.Supporting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rail groove to rotate the groove along the rotational trajectory of the mobile block so that the mobile block can rotate 90 °. 청구항 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지지대는 상기 몸체에 고정되는 부분을 1개로 구성하고,The support consists of one portion fixed to the body, 상기 1개로 구성되는 지지대의 끝부분에 한쪽 끝부분이 힌지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2개의 각도부재를 결합 설치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지지장치.A support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one end portion is coupled to two angle members rotatably by a hinge pin at an end portion of the support structure consisting of one piece. 청구항 17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7, 상기 각도부재는 2단 이상으로 인출되도록 구성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지지장치.The angle member is a support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figured to be drawn out more than two stages.
KR1020060013490A 2005-03-11 2006-02-13 Support device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phone KR1006547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3490A KR100654704B1 (en) 2006-02-13 2006-02-13 Support device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phone
JP2007520244A JP2008505584A (en) 2005-03-11 2006-03-10 Support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CT/KR2006/000857 WO2006096031A2 (en) 2005-03-11 2006-03-10 Support device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3490A KR100654704B1 (en) 2006-02-13 2006-02-13 Support device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4704B1 true KR100654704B1 (en) 2006-12-06

Family

ID=37732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3490A KR100654704B1 (en) 2005-03-11 2006-02-13 Support device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470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150B1 (en) * 2009-11-19 2012-05-23 팅크웨어(주) Portable Stand for Mobile Equipment
KR200469643Y1 (en) 2012-04-13 2013-10-25 오세민 Smart Phone with Easily Standing and Removing of Battery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7472A (en) 1995-03-09 1996-07-16 At&T Corp. Portable telephone with flip stand or hinged doors and having speaker therein
KR20020045963A (en) * 2000-12-12 2002-06-20 이형도 A device for supporting wireless phone
KR20040052918A (en) * 2004-05-17 2004-06-23 이승철 Coupling device of cellular phone and tripod
KR20050072850A (en) * 2004-01-06 2005-07-1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Shooting system using a mobile handse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060009102A (en) * 2004-07-20 2006-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ripo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7472A (en) 1995-03-09 1996-07-16 At&T Corp. Portable telephone with flip stand or hinged doors and having speaker therein
KR20020045963A (en) * 2000-12-12 2002-06-20 이형도 A device for supporting wireless phone
KR20050072850A (en) * 2004-01-06 2005-07-1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Shooting system using a mobile handse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040052918A (en) * 2004-05-17 2004-06-23 이승철 Coupling device of cellular phone and tripod
KR20060009102A (en) * 2004-07-20 2006-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ripo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150B1 (en) * 2009-11-19 2012-05-23 팅크웨어(주) Portable Stand for Mobile Equipment
KR200469643Y1 (en) 2012-04-13 2013-10-25 오세민 Smart Phone with Easily Standing and Removing of Batter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0858B1 (en) Portable folding type cradle
KR100754586B1 (en) Portable folding type cradle
KR100713495B1 (en) Portable cradle
US6278779B1 (en) Telephone shoulder rest and stand
KR100703323B1 (en) Headset
US20090219788A1 (en) Combination watch and cell phone foldable onto each other for use around a wrist of a user
US20120111755A1 (en) Folder type terminal cover device
EP1748629A2 (en) Foldable cradle for portable terminals
EP1594293A2 (en) Sliding/swing-type portable apparatus having self-retaining function
KR20160063599A (en) Finger support ring for portable terminal
KR20160018306A (en) Cov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7450664B (en) Cover body assembly
US9763505B2 (en) Holder and method for holding a personal computing device
KR100654704B1 (en) Support device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phone
JP2008505584A (en) Support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563152B1 (en) Support structure of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20130084128A (en) Bag having holding apparatus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KR200457661Y1 (en) Supporting tool for wide type portable mobile phone
KR102272058B1 (en) Case for handy terminal
KR20130006934U (en) Protecting cover with drawing type supporter for mobile phone
KR200488289Y1 (en) Stand of portable terminal
KR20140008849A (en) Case assembly having supporting means
KR102199563B1 (en) Strap for mobile terminal with mounting function
KR20050036208A (en) Support apparatus of mobile phone
KR20190106122A (en) Holder with supporter for portab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