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746Y1 - Strap apparatus for portable device - Google Patents

Strap apparatus for portab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746Y1
KR200492746Y1 KR2020200000981U KR20200000981U KR200492746Y1 KR 200492746 Y1 KR200492746 Y1 KR 200492746Y1 KR 2020200000981 U KR2020200000981 U KR 2020200000981U KR 20200000981 U KR20200000981 U KR 20200000981U KR 200492746 Y1 KR200492746 Y1 KR 2004927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member
strap
ornament
body portion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98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여신
Original Assignee
윤여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여신 filed Critical 윤여신
Priority to KR20202000009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746Y1/en
Priority to KR2020200004301U priority patent/KR20210002169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7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746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6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휴대 기기 스트랩 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휴대 기기에 탈착 가능한 케이스에 루프를 형성하도록 설치되어 손의 삽입이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스트랩 부재, 및 스트랩 부재에 스트랩 부재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장식물을 장착 가능한 장착대를 포함하는 휴대 기기 스트랩 장치가 제공된다.A portable device strap device is disclose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rap member is installed to form a loop in a case that is detachable to a mobile device to form a space in which a hand can be inserted, and a strap member is installed to be slidably moved along the strap member to the strap member. A portable device strap device including a mountable mount is provided.

Description

휴대 기기 스트랩 장치{STRAP APPARATUS FOR PORTABLE DEVICE}Portable device strap device {STRAP APPARATUS FOR PORTABLE DEVICE}

본 고안은 휴대 기기 스트랩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device strap device.

최근 스마트폰 등과 같은 개인용 휴대 기기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휴대 기기들은 일반적으로 전후면이 플랫한 바(Bar)형상을 가지고 있어 사용자가 이러한 휴대 기기를 파지하여 사용 시 낙하 등의 위험성이 존재하여 왔다.Recently, personal portable devices such as smartphones have been widely used and widely used, but these portable devices generally have a flat bar shape, so there is a risk of falling when a user grasps and uses these portable devices. Has existed.

이에 따라 휴대 기기에 대한 파지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보조 장치들이 개발되어 왔으며, 일반적으로 이러한 보조 장치들은 휴대 기기의 후면에 부착되어 추가적인 그립부 또는 지지부를 제공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Accordingly, various auxiliary devices have been developed in order to increase the gripping stability of the portable device, and these auxiliary devices are generally attached to the rear side of the portable device to provide an additional grip or support.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490314호 (2019.11.26. 공고)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90314 (announced on November 26, 2019)

본 고안은 휴대 기기의 안정적 파지가 가능하고, 외부 장식 기능을 가지는 휴대 기기 스트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device strap device capable of stably holding a portable device and having an external decoration function.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휴대 기기에 탈착 가능한 케이스에 루프를 형성하도록 설치되어 손의 삽입이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스트랩 부재, 및 스트랩 부재에 스트랩 부재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장식물을 장착 가능한 장착대를 포함하는 휴대 기기 스트랩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rap member is installed to form a loop in a case that is detachable to a mobile device to form a space in which a hand can be inserted, and a strap member is installed to be slidably moved along the strap member to the strap member. A portable device strap device including a mountable mount is provided.

스트랩 부재는 투광성 재질로 형성되고, 스트랩 부재의 표면을 형성하는 원단층, 및 인쇄된 디자인이 스트랩 부재의 표면을 통하여 외부에 표시되도록 원단층의 일면에 인쇄되고, 스트랩 부재의 배면을 형성하는 프린팅층을 포함하고, 원단층의 일면 및 타면은 상이한 광택도(GU)를 가질 수 있다.The strap member is formed of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and the fabric layer forming the surface of the strap member and the printed design are printed on one surface of the fabric layer so that the printed design is displayed on the outside through the surface of the strap member, and printing to form the back surface of the strap member A layer is included, and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original layer may have different glossiness (GU).

휴대 기기 스트랩 장치는 장착대에 결합 가능한 장식물을 더 포함하고, 장착대는 일면에 장식물이 결합 가능한 바디부, 및 바디부의 타면에 형성되어 스트랩 부재가 통과 가능한 관통홀을 형성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rtable device strap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ornament that can be coupled to the mounting table, and the mount may include a body portion to which the ornament can be coupled to one surface, and a fastening portion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to form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strap member can pass. .

장식물은 바디부와 본드 결합되고, 바디부 일면에는 장식물과 결합 시 본드의 유출을 방지 가능하도록 본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The ornament may be bonded to the body portion, and a bond groove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to prevent leakage of the bond when coupled to the ornament.

장식물에는 바디부를 수용 가능한 제1 수용홈이 형성되고, 바디부의 외주면에는 제1 끼움 돌기가 형성되며, 제1 수용홈의 내주면에는 제1 끼움 돌기와 맞물리는 제1 끼움홈이 형성될 수 있다.A first receiving groov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body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decoration, a first fitting protrusion may b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a first fitting groove engaged with the first fitting protrusion may be formed on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receiving groove.

바디부에는 장식물이 삽입 가능한 제2 수용홈이 형성되고, 장식물의 외주면에는 제2 끼움 돌기가 형성되며, 제2 수용홈의 내주면에는 제2 끼움 돌기와 맞물리는 제2 끼움홈이 형성될 수 있다.A second receiving groove into which a decoration can be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body portion, a second fitting protrusion may b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ecoration, and a second fitting groove engaged with the second fitting protrusion may be formed on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receiving groove.

체결부는 스트랩 부재가 케이스에 설치된 상태에서 장착대를 스트랩 부재에 탈착 가능하도록, 스트랩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분리된 한 쌍의 단위 체결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astening part may be formed of a pair of unit fastening parts separat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trap member so that the mounting base can be detached from the strap member while the strap member is installed in the case.

한 쌍의 단위 체결부는 체결부를 절개함에 의해 형성되는 절개선을 따라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A pair of unit fastening portions may be formed to engage with each other along a cut line formed by cutting the fastening portion.

관통홀은 스트랩 부재 삽입 후 체결부를 절개함에 의해 형성되는 절개선을 통한 스트랩 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바디부 측에서 체결부 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through hole may be formed such that a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from the body portion to the fastening portion so as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strap member through a cut line formed by cutting the fastening portion after insertion of the strap member.

스트랩 부재의 배면에는 장착대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논슬립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A non-slip member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trap member to prevent slipping of the mount.

본 고안에 따르면, 휴대 기기의 안정적 파지 및 외부 장식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tably grip and decorate the mobile devic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스트랩 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스트랩 장치의 일단부 배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스트랩 장치의 원단층 및 프린팅층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스트랩 장치의 장착대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스트랩 장치의 체결부를 나타낸 배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스트랩 장치의 본드홈을 나타낸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device strap device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back of one end of the mobile device stra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istal layer and a printing layer of a strap device for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unting table of the mobile device stra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rear view showing a fastening part of a strap device for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bond groove of a mobile device stra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transformations may be applied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provided,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onvers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휴대 기기 스트랩 장치(100)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ortable device strap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bers. A redundant description of this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기기(10)에 탈착 가능한 케이스(20)에 루프(Loop)를 형성하도록 설치되어 손의 삽입이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스트랩 부재(110), 및 스트랩 부재(110)에 스트랩 부재(11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장식물(130)을 장착 가능한 장착대(120)를 포함하는 휴대 기기 스트랩 장치(100)가 제시된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1, the strap member 110 is installed to form a loop in the case 20 detachable to the portable device 10 to form a space in which a hand can be inserted. , And the strap member 110 is provided to be slidably movable along the strap member 110, and a portable device strap device 100 including a mount 120 capable of mounting the ornament 130 is provided.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스트랩 부재(110)가 케이스(20)에 설치되어 형성하는 루프의 내부 공간에 손을 삽입함으로써 휴대 기기(10)를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트랩 부재(110)에 설치되는 장착대(120)에 장식물(130)을 결합함으로써 휴대 기기(10)의 외부 장식을 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user can stably grip the portable device 10 by inserting a han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loop formed by installing the strap member 110 on the case 20, and External decoration of the portable device 10 may be performed by combining the decoration 130 with the mounting 120 installed on the member 110.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스트랩 장치(1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device strap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스트랩 부재(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기기(10)에 탈착 가능한 케이스(20)에 루프를 형성하도록 설치되어 손의 삽입이 가능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휴대 기기(10)를 손에서 놓치게 되더라도, 스트랩 부재(110)에 의하여 휴대 기기(10)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strap member 110 may be installed to form a loop in the case 20 detachable from the portable device 10 to form a space in which a hand can be inserted. In this case, even if the user misses the portable device 10 from the h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ortable device 10 from falling by the strap member 110.

보다 구체적으로 스트랩 부재(110)는 케이스(20)에 마련된, 휴대 기기(10) 입출력부의 외부 노출을 위한 개구부(21)를 2개소 이상 관통하여 케이스(20)의 외면으로 루프를 형성함으로써 손의 삽입이 가능한 공간을 생성할 수도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strap member 110 penetrates at least two openings 21 for external exposure of the input/output of the portable device 10 provided in the case 20 to form a loop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20 to You can also create a space for insertion.

이외에도 사용자는 케이스(20)의 형상 또는 사이즈에 따라 스트랩 부재(110)를 이용해 손 또는 손가락의 삽입이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다양한 설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may implement various installation methods for forming a space in which a hand or finger can be inserted using the strap member 110 according to the shape or size of the case 20.

또한 스트랩 부재(110)는 다양한 사이즈나 형상의 휴대 기기(10) 및 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케이스(20)에 맞춰 다양한 폭과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rap member 110 may be formed in various widths and lengths according to the portable device 10 of various sizes or shapes and the case 20 formed to correspond thereto.

스트랩 부재(110)의 단부 측 배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 부재(110)가 케이스(20)로부터 탈락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케이스(20) 또는 스트랩 부재(110)에 결합 가능한 본딩 부재(112)가 형성될 수 있다.A bonding member that can be coupled to the case 20 or the strap member 110 on the rear surface of the end side of the strap member 110 so as to prevent the strap member 110 from falling out of the case 20, as shown in FIG. 112 may be formed.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본딩 부재(112)를 케이스(20) 또는 스트랩 부재(110)의 일면에 결합하여 스트랩 부재(110)를 케이스(20)에 견고하게 지지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효과적으로 휴대 기기(10)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securely support the strap member 110 to the case 20 by bonding the bonding member 112 to the case 20 or the one surface of the strap member 110, so that the portable device 10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본딩 부재(112)는 스트랩 부재(110)의 일단부측 배면 또는 양단부측 배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해당 본딩 부재(112)를 이용하여, 스트랩 부재(110)가 케이스(20)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설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The bonding member 112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trap member 110 at one end side or at both ends. In this case, the user may implement various types of installation methods in which the strap member 110 can be firmly supported on the case 20 by using the bonding member 112.

또한 본딩 부재(112)는 접착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본딩 부재(112)가 사용 전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오(防汚) 부재가 본딩 부재(112)의 접착 가능한 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bonding member 112 may be formed of an adhesive material. In this case, in order to prevent the bonding member 112 from being contaminated before use, an antifouling member is attached to the adhesive surface of the bonding member 112. It may be combined to be detachable.

스트랩 부재(110)의 배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대(120)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논슬립 부재(114)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착대(120)가 스트랩 부재(110) 상에서 미끄러져 임의적으로 스트랩 부재(110)를 따라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고, 사용자는 장착대(12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스트랩 부재(110)를 해당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2, a non-slip member 114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trap member 110 to prevent the mounting 120 from slipping. Accordingly, the mounting base 120 is prevented from sliding on the strap member 110 and arbitrarily moving along the strap member 110, and the user moves the mounting base 120 to a desired position to move the strap member 110 You can place it at that location.

보다 구체적으로 논슬립 부재(114)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 부재(110)의 너비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고, 또한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non-slip member 114 may be form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rap member 110 as shown in FIG. 2(a), and may be formed in plural.

이에 따라 장착대(120)가 논슬립 부재(114) 상부를 통과하는 경우 스트랩 부재(110)의 너비만큼의 마찰을 지속적으로 받으므로 장착대(120)의 미끄러짐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고, 또한 논슬립 부재(114)가 복수 개로 형성됨에 따라 상술한 장착대(120)의 미끄러짐 방지 기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mounting base 120 passes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non-slip member 114, since it continuously receives friction equal to the width of the strap member 110, the sliding of the mounting base 120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and the non-slip member As a plurality of 114 are formed, the anti-slip function of the mounting table 120 may be further improved.

또한 복수의 논슬립 부재(11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랩 부재(11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착대(120)의 미끄러짐이 스트랩 부재(110)의 길이 전구간에 걸쳐 균일하게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the plurality of non-slip members 114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trap member 110, and more specifically may be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Accordingly, slipping of the mounting table 120 can be uniformly prevented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strap member 110.

논슬립 부재(114)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형성되고 스트랩 부재(110)의 너비 및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트랩 부재(110) 배면 전반에 논슬립 요철(凹凸)이 형성되므로, 장착대(120)가 미끄러지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2(b), the non-slip member 114 may be formed in plural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and length directions of the strap member 110. More specifically, it may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this case, since non-slip irregularities are formed on the entire rear surface of the strap member 110,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revent the mounting table 120 from slipping.

논슬립 부재(114)의 형성 재료는 실리콘(Silicone)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실크 스크린(Silk screen) 방식으로 프린팅될 수도 있다.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non-slip member 114 may include silicon, and in this case, it may be printed using a silk screen method.

이에 따라 논슬립 부재(114)가 실리콘으로 형성됨에 따라 스트랩 부재(110)를 경량화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는 실리콘을 실크 스크린 방식으로 인쇄함을 통해 제조 단계에서 제작성을 높이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Accordingly, as the non-slip member 114 is formed of silicon, the strap member 110 can be lightened, and the user can increase the manufacturability in the manufacturing stage and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by printing the silicon in a silk screen method. I can.

스트랩 부재(110)는 연성(軟性)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스트랩 부재(110)가 유연하게 케이스(20)의 개구부(21) 등을 통과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스트랩 부재(110)를 이용하여 보다 용이하게 손의 삽입이 가능한 공간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The strap member 110 may be formed of a soft material, and accordingly, the strap member 110 can flexibly pass through the opening 21 of the case 20, so that the user By using it, a space in which a hand can be inserted can be realized more easily.

보다 구체적으로 스트랩 부재(110)의 형성 재료는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트랩 부재(110)는 높은 인장강도 및 인영강도, 내마모성, 고탄성 등의 물성을 가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술할 스트랩 부재(110)를 구성하는 원단층(116)은 높은 투명도와 광택도 등의 물성을 가질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strap member 110 may include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Accordingly, the strap member 110 may not only have physical properties such as high tensile strength and tear strength, abrasion resistance, and high elasticity, but also the distal layer 116 constituting the strap member 110 to be described later has high transparency and gloss. It can have the properties of.

스트랩 부재(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광성 재질로 형성되고, 스트랩 부재(110)의 표면을 형성하는 원단층(116), 및 인쇄된 디자인이 스트랩 부재(110)의 표면을 통하여 외부에 표시되도록 원단층(116)의 일면에 인쇄되고, 스트랩 부재(110)의 배면을 형성하는 프린팅층(118)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strap member 110 is formed of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and a distal layer 116 forming the surface of the strap member 110, and a printed design are transmitted through the surface of the strap member 110. It may include a printing layer 118 that is printed on one side of the far-end layer 116 so as to be displayed on the outside, and forms the back side of the strap member 110.

이 경우 원단층(116)은 프린팅층(118)의 인쇄된 디자인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프린팅층(118)의 인쇄된 디자인이 외부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업 홍보 등을 위한 디자인을 인쇄하여 프린팅층(118)을 형성함으로써 스트랩 부재(110)를 판촉 등의 용도로 활용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far-end layer 116 may protect the printed design of the printing layer 118 from the outside, and allow the printed design of the printing layer 118 to be displayed on the outside. Accordingly, by forming the printing layer 118 by printing a design for corporate promotion or the like, the strap member 110 may be used for purposes such as promotion.

또한 원단층(116)의 일면 및 타면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이한 광택도(Gloss Unit: GU)를 가질 수 있다. 즉 원단층(116)의 일면 및 타면은 상이한 거칠기를 가지도록 가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광택도가 상이해지고, 소위 유광 또는 무광을 띌 수도 있다.In additi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fabric layer 116 may have different gloss units (GU) as shown in FIG. 3. That is,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fabric layer 116 may be processed to have different roughness, and accordingly, the glossiness may be different, and may be so-called glossy or matte.

또한 하나의 원단층(116)이 일면 및 타면에 상이한 광택도를 갖게 되므로, 일면 및 타면 중 어느 하나에 프린팅층(118)이 인쇄되는 경우 일면 및 타면 중 다른 하나의 마감면이 스트랩 부재(110)의 표면을 형성하므로, 사용자는 하나의 원단층(116)을 이용하여 두 가지의 스트랩 부재(110) 표면 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since one fabric layer 116 has different glossiness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when the printing layer 118 is printed on any one of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the other finished side of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s the strap member 110 ), so that the user can obtain two types of surface finish effects of the strap member 110 using one fabric layer 116.

도 3(a)는 원단층(116)의 일면과 타면이 상이한 거칠기로 마감이 된 모습이 도시된 것이며, 도 3(b)는 원단층(116)의 매끄러운 마감면에 프린팅층(118)이 인쇄됨에 따라 원단층(116)의 거친 마감면이 스트랩 부재(110)의 표면을 형성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3(c)는 원단층(116)의 거친 마감면에 프린팅층(118)이 인쇄됨에 따라 원단층(116)의 매끄러운 마감면이 스트랩 부재(110)의 표면을 형성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Figure 3(a) shows a state in which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fabric layer 116 are finished with different roughness, and Figure 3(b) is a printing layer 118 on the smooth finished surface of the fabric layer 116 As it is printed, it is shown that the rough finished surface of the original layer 116 forms the surface of the strap member 110, and FIG. 3(c) shows the printing layer 118 on the rough finished surface of the original layer 116. It is shown that the smooth finished surface of the original layer 116 forms the surface of the strap member 110 as it is printed.

장착대(12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 부재(110)에 스트랩 부재(11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장식물(130)을 장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 and 4, the mounting plate 120 may be installed to be slidably movable along the strap member 110 on the strap member 110, and may be formed to mount the ornament 130.

이 경우 장착대(120)에 의해 스트랩 부재(110)와 케이스(20) 사이에 갭(Gap)이 형성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상기 갭을 이용해 손을 보다 용이하게 스트랩 부재(110)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로 삽입할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a gap can be formed between the strap member 110 and the case 20 by the mounting table 120, the user can use the gap to make the space formed by the strap member 110 easier to use. Can be inserted into.

또한 장착대(120)는 스트랩 부재(11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휴대 기기(10)를 무선 충전하는 경우 사용자는 장착대(120)를 이동시켜 휴대 기기(10)가 충전기와 접촉 또는 무선 충전에 필요한 거리로 접근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더해 사용자는 장식물(130)을 장착대(120)에 결합시켜 본 장치를 휴대 기기(10)용 액세서리로 활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ount 120 can slide along the strap member 110, when the user wirelessly charges the portable device 10, the user moves the mount 120 so that the portable device 10 is connected to the charger. It can be reached at the required distance for contact or wireless charging. In addition, the user may use the device as an accessory for the portable device 10 by combining the ornament 130 with the mounting table 120.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장착대(120)에 결합 가능한 장식물(130)을 더 포함하고, 장착대(120)는 일면에 장식물(130)이 결합 가능한 바디부(121), 및 바디부(121)의 타면에 형성되어 스트랩 부재(110)가 통과 가능한 관통홀(127)을 형성하는 체결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4, further comprising a decoration 130 that can be coupled to the mounting table 120, and the mounting plate 120 is a body portion 121 to which the decoration 130 can be coupled to one surface, and It may include a fastening portion 126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21 to form a through hole 127 through which the strap member 110 can pass.

즉 사용자는 장식물(130)을 바디부(121)에 결합시켜 본 장치를 장식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체결부(126)가 스트랩 부재(110)가 통과 가능한 관통홀(127)을 형성하므로 사용자는 장착대(120)를 원하는 위치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That is, the user can use the device for decoration by combining the ornament 130 with the body portion 121, and the fastening portion 126 forms a through hole 127 through which the strap member 110 can pass. It is possible to slide the mounting table 120 to a desired position.

도 6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장식물(130)은 바디부(121)와 본드 결합되고, 바디부(121) 일면에는 장식물(130)과 결합 시 본드의 유출을 방지 가능하도록 본드홈(125)이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ornament 130 is bonded to the body portion 121, and a bond groove 125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21 to prevent the outflow of the bond when it is combined with the ornament 130. Can be formed.

이 경우 바디부(121)와 장식물(130) 사이에 본드를 수용 가능한 본드홈(125)이 개재되어, 바디부(121) 일면에 본드를 도포하고 장식물(130)을 결합시키더라도 본드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case, a bond groove 125 capable of accommodating a bond is interposed between the body portion 121 and the ornament 130, so that even if the bond is applied to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121 and the ornament 130 is coupled, the bond is external. It can prevent spillage.

또한 본드홈(125)은 장식물(130)의 바디부(121)와 결합되는 면에 형성될 수 있고, 바디부(121)와 장식물(130) 각각의 결합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bond groove 125 may be formed on a surface that is coupled to the body portion 121 of the ornament 130, or may be formed on a coupling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21 and the ornament 130.

도 4(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장식물(130)에는 바디부(121)를 수용 가능한 제1 수용홈(132)이 형성되고, 바디부(121)의 외주면에는 제1 끼움 돌기(123)가 형성되며, 제1 수용홈(132)의 내주면에는 제1 끼움 돌기(123)와 맞물리는 제1 끼움홈(133)이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a), a first receiving groove 132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body portion 121 is formed in the decoration 130, and a first fitting protrusion 123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21 Is formed, and a first fitting groove 133 engaged with the first fitting protrusion 123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eceiving groove 132.

즉 장식물(130)에 마련된 제1 수용홈(132)에 바디부(121)가 삽입되어 바디부(121)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끼움 돌기(123)가 제1 수용홈(132)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1 끼움홈(133)에 끼워짐으로써, 장식물(130)과 바디부(121)가 끼움 결합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body portion 121 is inserted into the first receiving groove 132 provided in the decoration 130 so that the first fitting protrusion 123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21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receiving groove 132. By being fitted into the formed first fitting groove 133, the ornament 130 and the body portion 121 can be fitted.

이 경우 바디부(121)로부터 장식물(130)을 탈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다양한 디자인으로 마련되는 장식물(130)을 바디부(121)에 교체 결합시킴으로써 다양한 휴대 기기(10) 장식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it is possible to detach the ornament 130 from the body portion 121, the user obtains various decorative effects of the portable device 10 by replacing and coupling the ornament 130 provided in various designs to the body portion 121. I can.

이 경우 바디부(121) 및 장식물(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게 장식물(130)을 바디부(121)에 탈착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at least one of the body portion 121 and the ornament 130 may be formed of a soft material, so that the user can more easily detach the ornament 130 from the body portion 121.

또한 제1 끼움 돌기(123)와 제2 끼움홈(124)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끼움 돌기(123)는 바디부(121)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고, 제1 끼움홈(133)는 제1 수용홈(132)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fitting protrusion 123 and the second fitting groove 124 may be formed in plural, and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a), the first fitting protrusion 123 is the body part 121 ) Extend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first fitting groove 133 may be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eceiving groove 132.

이에 따라 바디부(121)와 장식물(130) 간 끼움 결합력이 향상되므로, 바디부(121)에 결합된 장식물(130)이 임의적으로 탈락되는 것이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fitting coupling force between the body portion 121 and the ornament 130 is improved, the ornament 130 coupled to the body portion 121 may be more effectively prevented from dropping arbitrarily.

제1 끼움 돌기(123)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경우 바디부(121)의 부피감 또는 두께감이 보다 적게/작게 보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first fitting protrusion 123 may be formed such that a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toward the outside, as shown in FIG. 4A. In this cas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volume or thickness of the body portion 121 can be seen to be smaller/smaller.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끼움 돌기(123)의 전면 및 배면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를 향하여 기울어지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단부에서 만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irst fitting protrusion 123 may form inclined surfaces that are inclined toward each other as shown in FIG. 4, and may be formed to meet at the ends.

도 4(b)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바디부(121)에는 장식물(130)이 삽입 가능한 제2 수용홈(122)이 형성되고, 장식물(130)의 외주면에는 제2 끼움 돌기(134)가 형성되며, 제2 수용홈(122)의 내주면에는 제2 끼움 돌기(134)와 맞물리는 제2 끼움홈(124)이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b), a second receiving groove 122 into which the ornament 130 can be inserted is formed in the body portion 121, and a second fitting protrusion 134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rnament 130 It is formed, and a second fitting groove 124 that meshes with the second fitting protrusion 134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receiving groove 122.

즉 바디부(121)에 마련된 제2 수용홈(122)에 장식물(130)이 삽입되어 장식물(130)의 제2 끼움 돌기(134)가 제2 수용홈(122)에 배치되는 제2 끼움홈(124)에 끼워짐으로써, 장식물(130)과 바디부(121)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That is, a second fitting groove in which the ornament 13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receiving groove 122 provided in the body portion 121 so that the second fitting protrusion 134 of the ornament 130 is disposed in the second receiving groove 122 By being fitted in 124, the ornament 130 and the body portion 121 may be fitted.

이 경우 바디부(121)에서 장식물(130)을 탈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다양한 디자인의 장식물(130)을 바디부(121)에 교체 결합시킴으로써 다양한 휴대 기기(10) 장식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it is possible to detach the ornament 130 from the body portion 121, the user can obtain various decorative effects of the portable device 10 by replacing and coupling the ornaments 130 of various designs to the body portion 121. .

이 경우 바디부(121) 및 장식물(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장식물(130)을 바디부(121)에 보다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at least one of the body portion 121 and the ornament 130 may be formed of a soft material, so that the user can more easily detach the ornament 130 from the body portion 121.

또한 제2 끼움 돌기(134)와 제2 끼움홈(124)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끼움 돌기(134)는 바디부(121)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고, 제2 끼움홈(124)는 제2 수용홈(122)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끼움 결합력이 향상되므로, 바디부(121)로부터 장식물(130)이 임의적으로 탈락되는 것이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fitting protrusion 134 and the second fitting groove 124 may be formed in plural, and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b), the second fitting protrusion 134 is the body part 121 ) Extend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second fitting groove 124 may be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receiving groove 122. Accordingly, since the fitting coupling force is improved, it can be more effectively prevented that the ornament 130 is arbitrarily removed from the body portion 121.

체결부(126)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 부재(110)가 케이스(20)에 설치된 상태에서 장착대(120)를 스트랩 부재(110)에 탈착 가능하도록, 스트랩 부재(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분리된 한 쌍의 단위 체결부(129)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fastening portion 126 is a strap member () so that the mounting base 120 can be detached from the strap member 110 while the strap member 110 is installed on the case 20. It may be made of a pair of unit fastening parts 129 separat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110).

즉 체결부(126)는 한 쌍의 단위 체결부(129)로 분리되고 양 단위 체결부(129) 사이를 통하여 스트랩 부재(110)를 관통홀(127)로 삽입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스트랩 부재(110)가 케이스(20)에 설치된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장착대(120)를 스트랩 부재(110)에 탈착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fastening part 126 is separated into a pair of unit fastening parts 129 and the strap member 110 can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27 through the both unit fastening parts 129, so that the user can Even in a state where 110 is installed on the case 20, the mounting table 120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strap member 110.

한 쌍의 단위 체결부(129)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126)를 절개함에 의해 형성되는 절개선(128)을 따라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A pair of unit fastening parts 129 may be formed to engage with each other along a cut line 128 formed by cutting the fastening part 126 as shown in FIG. 5.

즉 절개선(128)을 따라 한 쌍의 단위 체결부(129)가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장착대(120)가 한 쌍의 단위 체결부(129) 사이를 용이하게 통과하는 것이 저지되므로, 장치 사용 중 장착대(120)가 스트랩 부재(110)로부터 임의적으로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at is, the pair of unit fastening parts 129 are formed to engage with each other along the cut line 128 so that the mounting 120 is prevented from easily passing between the pair of unit fastening parts 129, so the device is use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middle mounting 120 from being arbitrarily separated from the strap member 110.

보다 구체적으로 절개선(128)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126)의 배면에 지그소(Jigsaw) 형태 또는 물결 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태들은 비정형이 아니므로, 사용자는 제조 과정에서 저비용, 가공 용이성 등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incision line 128 may be formed in a jigsaw shape or a wave shape on the rear surface of the fastening part 126, as shown in FIG. 5, and these shapes are not irregular, so the user Can obtain advantages such as low cost and ease of processing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관통홀(127)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 부재(110) 삽입 후 체결부(126)를 절개함에 의해 형성되는 절개선(128)을 통한 스트랩 부재(11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바디부(121) 측에서 체결부(126) 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through hole 127 is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strap member 110 through the cut line 128 formed by cutting the fastening part 126 after inserting the strap member 110, The cross-sectional area may be formed to decrease from the body portion 121 side toward the fastening portion 126 side.

즉 관통홀(127)이 체결부(126)의 배면 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되게 형성됨으로써, 관통홀(127)에 삽입된 스트랩 부재(110)가 절개선(128)이 형성되는 배면 측으로 이동해 절개선(128)을 통하여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at is, the through-hole 127 is formed to decrease in cross-sectional area toward the rear side of the fastening part 126, so that the strap member 110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127 moves to the rear side where the incision line 128 is formed, and Through (128),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deviation.

이상,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u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add, change, delete or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It will be possible to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by, etc., it will also be sai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휴대 기기
20: 케이스
21: 개구부
100: 휴대 기기 스트랩 장치
110: 스트랩 부재
112: 본딩 부재
114: 논슬립 부재
116: 원단층
118: 프린팅층
120: 장착대
121: 바디부
122: 제2 수용홈
123: 제1 끼움 돌기
124: 제2 끼움홈
125: 본드홈
126: 체결부
127: 관통홀
128: 절개선
129: 단위 체결부
130: 장식물
132: 제1 수용홈
133: 제1 끼움홈
134: 제2 끼움 돌기
10: mobile devices
20: case
21: opening
100: mobile device strap device
110: strap member
112: bonding member
114: non-slip member
116: fabric layer
118: printing layer
120: mount
121: body part
122: second receiving groove
123: first fitting protrusion
124: second fitting groove
125: bond groove
126: fastening part
127: through hole
128: incision line
129: unit fastening part
130: ornament
132: first receiving groove
133: first fitting groove
134: second fitting projection

Claims (10)

휴대 기기에 탈착 가능한 케이스에 루프를 형성하도록 설치되어 손의 삽입이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스트랩 부재;
상기 스트랩 부재에 상기 스트랩 부재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장식물을 장착 가능한 장착대; 및
상기 장착대에 결합 가능한 상기 장식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장착대는,
일면에 상기 장식물이 결합 가능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타면에 형성되어 상기 스트랩 부재가 통과 가능한 관통홀을 형성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장식물이 삽입 가능한 제2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장식물의 외주면에는 제2 끼움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수용홈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2 끼움 돌기와 맞물리는 제2 끼움홈이 형성되는, 휴대 기기 스트랩 장치.
A strap member installed to form a loop in a case detachable from the mobile device to form a space in which a hand can be inserted;
A mounting base installed to be slidably movable along the strap member on the strap member and capable of mounting a decoration; And
Further comprising the ornament that can be coupled to the mounting,
The mounting base,
A body portion to which the ornaments can be coupled to one side; And
It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includes a fastening portion form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strap member can pass,
A second receiving groove into which the ornament can be inserted is formed in the body part,
A second fitt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rnament,
A portable device strap device having a second fitting groove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receiving groove to mesh with the second fitting protrus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부재는,
투광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스트랩 부재의 표면을 형성하는 원단층; 및
인쇄된 디자인이 상기 스트랩 부재의 표면을 통하여 외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원단층의 일면에 인쇄되고, 상기 스트랩 부재의 배면을 형성하는 프린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원단층의 일면 및 타면은 상이한 광택도(GU)를 갖는, 휴대 기기 스트랩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trap member,
A fabric layer formed of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and forming a surface of the strap member; And
Includes a printing layer that is printed on one side of the fabric layer so that the printed design is displayed on the outside through the surface of the strap member, and forms a rear surface of the strap member,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fabric layer have different glossiness (GU), portable device strap devi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물은 상기 바디부와 본드 결합되고,
상기 바디부 일면에는 상기 장식물과 결합 시 본드의 유출을 방지 가능하도록 본드홈이 형성되는, 휴대 기기 스트랩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ornament is bonded to the body part,
A mobile device strap device having a bond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to prevent leakage of the bond when combined with the ornamen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스트랩 부재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대를 상기 스트랩 부재에 탈착 가능하도록, 상기 스트랩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분리된 한 쌍의 단위 체결부로 이루어지는, 휴대 기기 스트랩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astening part comprises a pair of unit fastening parts separat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trap member so that the mounting base can be detached from the strap member while the strap member is installed in the cas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단위 체결부는 상기 체결부를 절개함에 의해 형성되는 절개선을 따라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휴대 기기 스트랩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pair of unit fastening portions are formed to engage with each other along a cut line formed by cutting the fastening portion.
휴대 기기에 탈착 가능한 케이스에 루프를 형성하도록 설치되어 손의 삽입이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스트랩 부재;
상기 스트랩 부재에 상기 스트랩 부재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장식물을 장착 가능한 장착대; 및
상기 장착대에 결합 가능한 상기 장식물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대는,
일면에 상기 장식물이 결합 가능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타면에 형성되어 상기 스트랩 부재가 통과 가능한 관통홀을 형성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스트랩 부재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대를 상기 스트랩 부재에 탈착 가능하도록, 상기 스트랩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분리된 한 쌍의 단위 체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스트랩 부재 삽입 후 상기 체결부를 절개함에 의해 형성되는 절개선을 통한 상기 스트랩 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바디부 측에서 상기 체결부 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되도록 형성되는, 휴대 기기 스트랩 장치.
A strap member installed to form a loop in a case detachable from the mobile device to form a space in which a hand can be inserted;
A mounting base installed to be slidably movable along the strap member on the strap member and capable of mounting a decoration; And
Including the ornament can be coupled to the mounting,
The mounting base,
A body portion to which the ornaments can be coupled to one side; And
It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includes a fastening portion form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strap member can pass,
The fastening part is formed of a pair of unit fastening parts separat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trap member so that the mounting base can be detached from the strap member while the strap member is installed in the case,
The through hole is formed such that a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from the body part side to the fastening part side so as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strap member through a cut line formed by cutting the fastening part after insertion of the strap member.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부재의 배면에는 상기 장착대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논슬립 부재가 형성되는, 휴대 기기 스트랩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portable device strap device, wherein a non-slip member is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strap member to prevent slipping of the mount.
KR2020200000981U 2020-03-20 2020-03-20 Strap apparatus for portable device KR200492746Y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981U KR200492746Y1 (en) 2020-03-20 2020-03-20 Strap apparatus for portable device
KR2020200004301U KR20210002169U (en) 2020-03-20 2020-11-26 Strap apparatus for portab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981U KR200492746Y1 (en) 2020-03-20 2020-03-20 Strap apparatus for portable devic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4301U Division KR20210002169U (en) 2020-03-20 2020-11-26 Strap apparatus for portable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746Y1 true KR200492746Y1 (en) 2020-12-03

Family

ID=7378763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981U KR200492746Y1 (en) 2020-03-20 2020-03-20 Strap apparatus for portable device
KR2020200004301U KR20210002169U (en) 2020-03-20 2020-11-26 Strap apparatus for portable devic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4301U KR20210002169U (en) 2020-03-20 2020-11-26 Strap apparatus for portab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492746Y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8091B1 (en) * 2020-12-04 2022-03-24 주식회사 프로펠 Apparatus for holding smart phone
WO2022119373A1 (en) * 2020-12-04 2022-06-09 주식회사 프로펠 Grip assistant tool for mobile device
KR20230075871A (en) * 2021-11-23 2023-05-31 주식회사 프로펠 Grip assistant apparatus for mobile device
KR102664244B1 (en) * 2022-10-13 2024-05-08 주식회사 윌비 Hand holder for mobile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399B1 (en) * 2013-02-26 2013-08-26 오현초 Formica decoration buck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hich has a natural design effect
KR20150069149A (en) * 2013-12-13 2015-06-23 주식회사 고이노 Accessories connecting structure and clip for accessories
KR200490314Y1 (en) 2018-05-23 2019-11-26 주식회사이딸꼬레 Multi purpose strap device wearable on upper bod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399B1 (en) * 2013-02-26 2013-08-26 오현초 Formica decoration buck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hich has a natural design effect
KR20150069149A (en) * 2013-12-13 2015-06-23 주식회사 고이노 Accessories connecting structure and clip for accessories
KR200490314Y1 (en) 2018-05-23 2019-11-26 주식회사이딸꼬레 Multi purpose strap device wearable on upper body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s://blog.naver.com/sharp2327/221828845338 (2020.02.28.) 1부.* *
https://blog.naver.com/skcsy59/221775145756 (2020.01.17.) 1부.* *
https://www.wadiz.kr/web/campaign/detail/52432 (2019.12.18.) 1부.* *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8091B1 (en) * 2020-12-04 2022-03-24 주식회사 프로펠 Apparatus for holding smart phone
WO2022119373A1 (en) * 2020-12-04 2022-06-09 주식회사 프로펠 Grip assistant tool for mobile device
KR20220079423A (en) * 2020-12-04 2022-06-13 주식회사 프로펠 Apparatus for holding smart phone
KR102526259B1 (en) * 2020-12-04 2023-04-27 주식회사 프로펠 Apparatus for holding smart phone
KR20230075871A (en) * 2021-11-23 2023-05-31 주식회사 프로펠 Grip assistant apparatus for mobile device
KR102577883B1 (en) * 2021-11-23 2023-09-13 주식회사 프로펠 Grip assistant apparatus for mobile device
KR102664244B1 (en) * 2022-10-13 2024-05-08 주식회사 윌비 Hand holder for mobi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169U (en) 2021-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2746Y1 (en) Strap apparatus for portable device
US10601458B2 (en) Apparatus to assist a user with holding a mobile device
KR200495364Y1 (en) Grip apparatus for portable device
RU2696394C1 (en) Device which helps a user to keep a mobile device
WO2007035809A3 (en) Flocked elastomeric articles
WO2006033870A3 (en) Adjustable seat belt guide assembly
KR200464283Y1 (en) finger hanger for mobile phone case
KR101344639B1 (en) Apparatus for supporting smartphone
KR102133643B1 (en) A mobile phone case with a clip-type holder with silicone grip and wireribbon
CN1256053C (en) Locking piece
KR102643989B1 (en) Protective cover for mobile phone with decorative glass sheet
JP2007054347A (en) Belt length adjuster
JP2010100978A (en) Belt for attaching waist bag
GB2435401A (en) Clothes grip
JP3206468U (en) Japanese clothing accessories
US20030185389A1 (en) Telephone handset shoulder rest
JP2015171137A (en) Auxiliary tool for smart phone
US20090084013A1 (en) Snap-in frame for an organizer component system
AU300539S (en) Hand ba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