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6182B1 -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장치 및 추출방법 - Google Patents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장치 및 추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6182B1
KR102526182B1 KR1020210042292A KR20210042292A KR102526182B1 KR 102526182 B1 KR102526182 B1 KR 102526182B1 KR 1020210042292 A KR1020210042292 A KR 1020210042292A KR 20210042292 A KR20210042292 A KR 20210042292A KR 102526182 B1 KR102526182 B1 KR 102526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diaphragm
tube rack
power transmission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2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5937A (ko
Inventor
신희종
김민이
김기옥
이용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놀루션
주식회사라이브셀인스트루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놀루션, 주식회사라이브셀인스트루먼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놀루션
Priority to KR1020210042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6182B1/ko
Publication of KR20220135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5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6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6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98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involving analyte bound to insoluble magnetic carrier, e.g. using magnetic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80After-treatment of the mixture
    • B01F23/807Extracting components from the mixture, e.g. by adsorption, absorption or distil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1/00Mixers with shak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echanisms
    • B01F31/20Mixing the contents of independent containers, e.g. test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90Heating or coo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7/00Heating or cooling apparatus; Heat insulat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0Processes for the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of DNA or RNA
    • C12N15/1003Extracting or separating nucleic acids from biological samples, e.g. pure separation or isolation methods; Conditions, buffers or apparatuse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584Control arrangements for automatic analy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47Handling flowable solids, e.g. microscopic beads, cells, particles
    • B01L2200/0663Stretching or orienting elongated molecules or part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2035/00346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 G01N2035/00356Holding samples at elevated temperature (incubation)
    • G01N2035/00376Conductive heating, e.g. heated pla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2035/00465Separating and mixing arrangements
    • G01N2035/00534Mixing by a special element, e.g. stirr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부(200); 상기 구동부(200)에 결합되고 구동부(200)에 의해 소정의 방향으로 진동하는 진동판(400); 상기 진동판(400)에 결합되어 진동판(400)과 함께 진동하고 열을 전달하거나 발열하는 가열체(500); 상기 진동판(400) 또는 가열체(500)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튜브랙(600, tube rack); 상기 튜브랙(600)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고 자기력을 제공하는 자기체(700); 및 상기 구동부(200) 및 상기 가열체(500)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800)를 포함하는,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튜브랙(600)에는 시료를 수용하는 한 개 이상의 튜브가 결합되고, 상기 튜브랙(600)에 결합된 튜브는 상기 가열체(500)와 접하거나 가열체(500)에 가까이 위치할 수 있다.
이에,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장치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유지관리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 추출 시에 편의성 및 효율성이 향상되고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Description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장치 및 추출방법{EXTRACTION DEVICE AND METHOD FOR NUCLEIC ACID OR BIOLOGICAL MATERIAL}
본 발명은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장치 및 추출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편의성 및 효율성이 향상되며 조작이 간편한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장치 및 추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마그네틱 비드(magnetic bead)를 이용하여 생물, 바이러스 등에서 채취된 시료로부터 핵산이나 생물학적 물질(단백질 등)을 추출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마그네틱 비드를 이용하여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라이시스(Lysis)&바인딩(Binding), 워싱(Washing), 일루션(Elutinon) 등 여러 단계를 수행해야 하므로 추출과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이에, 상기 여러 단계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추출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은 한국공개특허 제10-2021-0003584호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장치는 상기 여러 단계를 모두 자동으로 수행하므로 구성이 복잡하고 고가이며 유지관리가 어렵다.
이에, 구성이 간단하고 저가이고 유지관리가 용이한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장치가 요구된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와 같은 전염병이 전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는 상황에서 빈곤국가에서도 저비용으로 구입할 수 있고 간편하게 조작하고 용이하게 유지관리하여 전염병을 빠르게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는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장치가 요구된다.
KR 10-2021-0003584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편의성 및 효율성이 향상되고 비용이 절감되며 유지관리비용이 절감되는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을 신속하고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장치 및 추출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구성이 간단하고 조작이 간편하고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며 안정적으로 진동할 수 있는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소음이 감소하고 내구성이 향상되며 부드럽게 진동할 수 있는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튜브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가열할 수 있는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을 추출하기 위한 복수 개의 단계가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되고, 단계 별 튜브의 진동시간, 가열시간 또는 가열온도에 맞추어 정확하게 수행되는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구동부(200); 상기 구동부(200)에 결합되고 구동부(200)에 의해 소정의 방향으로 진동하는 진동판(400); 상기 진동판(400)에 결합되어 진동판(400)과 함께 진동하고 열을 전달하거나 발열하는 가열체(500); 상기 진동판(400) 또는 가열체(500)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튜브랙(600, tube rack); 상기 튜브랙(600)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고 자기력을 제공하는 자기체(700); 및 상기 구동부(200) 및 상기 가열체(500)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800)를 포함하는,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튜브랙(600)에는 시료를 수용하는 한 개 이상의 튜브가 결합된다.
상기 튜브랙(600)에 결합된 튜브는 상기 가열체(500)와 접하거나 가열체(500)에 가까이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장치는, 바닥에 고정되는 베이스(100); 상기 베이스(100)에 결합되는 지지판(300); 상기 지지판(300) 또는 상기 진동판(400)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GR); 및 상기 진동판(400) 또는 상기 지지판(300)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GR)이 삽입되는 가이드홈(GG);을 더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200)는, 모터(210); 상기 모터(210)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체(220); 및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서 상기 회전체(220)와 연결되되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동력전달체(230);를 포함한다.
상기 진동판(400)에는 상기 가이드레일(GR)이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력전달홈 또는 동력전달관통공(410)이 형성되고, 상기 동력전달체(230)는 상기 동력전달홈 또는 동력전달관통공(410)에 삽입된다.
상기 회전체(220)가 회전하여 상기 동력전달체(230)가 상기 동력전달홈 또는 동력전달관통공(410)의 내측면에 힘을 가하면 상기 진동판(300)이 상기 가이드레일(GR)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진동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동력전달체(230)는 상기 회전체(2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동력전달홈 또는 동력전달관통공(410)의 내측면에 접하는 롤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동력전달홈 또는 동력전달관통공(410)은 상기 진동판(400)의 중앙부에 형성된다.
상기 진동판(400)의 진동에 따라 상기 동력전달홈 또는 동력전달관통공(410)이 상기 회전축 상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에, 상기 진동판(400) 및 지지판(300)은 상기 회전축 상의 일지점(CP)으로서 상기 동력전달홈 또는 동력전달관통공(410)의 내부의 일지점(CP)을 지나고 동력전달홈 또는 동력전달관통공(410)의 연장방향 및 진동판(400)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면(S)에 의해 양쪽으로 나누어진다.
상기 가이드레일(GR)은 상기 지지판(300) 또는 진동판(400)의 상기 양쪽에 모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GG)은 상기 진동판(400) 또는 지지판(300)의 상기 양쪽에 모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판(300) 또는 진동판(400)의 상기 양쪽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GR)은 상기 일지점(CP)을 지나는 일직선(L) 상에 위치하고 상기 일직선(L)을 따라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판(300) 및 진동판(400)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레일(GR)은 상기 지지판(300)의 상면에 형성되거나 상기 진동판(400)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GG)은 상기 진동판(400)의 하면에 형성되거나 상기 지지판(300)의 상면에 형성된다.
상기 동력전달홈은 상기 진동판(400)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동력전달체(230)는 상방으로 돌출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부(200)에 의해 상기 진동판(400)에 힘이 가해지면 상기 진동판(300)은 상기 가이드레일(GR)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진동한다.
상기 진동판(400)은 제1방향 및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 연장되되 제1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레일(GR)은 제1방향으로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열체(500)는 상기 튜브의 적어도 일부분을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부(52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튜브랙(600)은,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초부(612) 및 상기 기초부(612)로부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돌출되어 기초부(612)의 양쪽에 각각 형성되고 한 개 이상의 상기 튜브와 결합되는 결합부(61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튜브결합부(610); 및 상기 튜브결합부(610)와 상기 자기체(700)를 지지하는 지지부(620)를 포함한다.
상기 자기체(700)는 상기 기초부(612) 양쪽의 상기 결합부(614a, 614b)에 결합되는 상기 튜브 사이에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부(614)는 한 개 이상의 튜브고정클립(CL)을 포함하고, 상기 튜브고정클립(CL)은 링 형태를 가지되 상기 기초부(612)로부터 먼 부분이 단절되고, 이에 따라 상기 튜브고정클립(CL)은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단부(E)를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단부(E)는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고 상기 튜브고정클립(CL)의 내측으로 돌출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자기체(700)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튜브랙(600)에 삽입되는 막대모양의 몸체(71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710)는 내부에 제1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되 자극이 상기 결합부(614)에 결합되는 상기 튜브를 향하여 배치되는 한 개 이상의 단위자석(712)을 포함한다.
복수 개의 상기 단위자석(712)은 N극과 S극이 교번하여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자기체(700)가 상기 튜브랙(60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단위자석(712)과 단위자석(712)이 향하는 상기 튜브 사이에는 상기 지지부(620)가 구비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자기체(700)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튜브랙(600)에 삽입되는 몸체(710) 및 상기 몸체(710)의 제1방향의 일단에 결합되는 손잡이(720)를 포함한다.
상기 자기체(700)는 상기 튜브랙(600)에 제1방향으로 삽입되고, 상기 손잡이(720)의 일부분(724, 726)은 상기 자기체(700)가 상기 튜브랙(600)에 완전히 삽입된 경우에만 상기 지지부(620)와 접한다.
상기 손잡이(720)의 상기 일부분(724, 726) 또는 상기 일부분(724, 726)의 근처에는 자석(728)이 설치된다.
상기 지지부(620) 중에서 상기 손잡이(720)의 상기 일부분(724, 726)과 접하는 부분 또는 상기 손잡이(720)의 상기 일부분(724, 726)과 접하는 부분의 근처에는 상기 자석(728)이 붙는 금속(623)이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800)는 순서가 정해진 복수 개의 단계 별로 상기 구동부(200)의 제어정보 또는 상기 가열체(500)의 온도의 제어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장치는, 각각의 상기 단계를 개시하기 전에 사용자로부터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신호를 기초로 상기 복수 개의 단계 중에서 다음 단계를 개시하는 스타트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입력부(10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800)가 상기 스타트신호를 전달받으면, 제어부(800)는 상기 복수 개의 단계 중에서 다음 단계에 대한 상기 제어정보를 기초로 상기 구동부(200)를 제어하거나 상기 가열체(500)의 온도를 제어한다.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라이시스&바인딩단계(S2100), 세정단계(S2200), 건조단계(S2300) 및 일루션단계(S2400)를 포함하는,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라이시스&바인딩단계(S2100)에서는, 상기 튜브랙(600)에 결합되는 상기 튜브에 라이시스 버퍼(lysis buffer)와 마그네틱 비드(magnetic bead) 및 시료(sample)를 포함하는 물질을 넣고 튜브랙(600)이 상기 진동판(400) 또는 가열체(500)에 설치되고 상기 자기체(700)가 튜브랙(60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200)를 이용하여 튜브랙(600)에 결합된 상기 튜브를 진동시켜서 상기 시료를 용해하고 상기 마그네틱 비드에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을 부착시킨 후에, 상기 자기체(700)를 튜브랙(600)에 설치하여 상기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이 부착된 마그네틱 비드를 튜브에 모으고 나머지를 제거한다.
상기 세정단계(S2200)에서는, 상기 튜브에 세정버퍼(wash buffer)를 포함하는 물질을 넣고 상기 튜브랙(600)이 상기 진동판(400) 또는 가열체(500)에 설치되고 상기 자기체(700)가 튜브랙(60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200)를 이용하여 튜브랙(600)에 결합된 상기 튜브를 진동시켜서 이물질을 분리한 후에, 상기 자기체(700)를 상기 튜브랙(600)에 설치하여 상기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이 부착된 마그네틱 비드를 튜브에 모으고 나머지를 제거한다.
상기 건조단계(S2300)에서는, 상기 튜브랙(600)이 상기 진동판(400) 또는 가열체(50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열체(500)의 온도를 제어하여 튜브랙(600)에 결합된 튜브를 건조시킨다.
상기 일루션단계(S2400)에서는, 상기 튜브에 일루션버퍼(elution buffer)를 포함하는 물질을 넣고 상기 튜브랙(600)이 상기 진동판(400) 또는 가열체(500)에 설치되고 상기 자기체(700)가 튜브랙(60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200)를 이용하여 튜브랙(600)에 결합된 상기 튜브를 진동시켜서 상기 마그네틱 비드에서 상기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을 분리한 후에, 상기 자기체(700)를 상기 튜브랙(600)에 설치하여 마그네틱 비드를 튜브에 모으고 상기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을 획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장치(10)가 구동부(200); 상기 구동부(200)에 결합되고 구동부(200)에 의해 소정의 방향으로 진동하는 진동판(400); 상기 진동판(400)에 결합되어 진동판(400)과 함께 진동하고 열을 전달하거나 발열하는 가열체(500); 상기 진동판(400) 또는 가열체(500)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튜브랙(600, tube rack); 상기 튜브랙(600)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고 자기력을 제공하는 자기체(700); 및 상기 구동부(200) 및 상기 가열체(500)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튜브랙(600)에는 시료를 수용하는 한 개 이상의 튜브가 결합되고, 상기 튜브랙(600)에 결합된 튜브는 상기 가열체(500)와 접하거나 가열체(500)에 가까이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일한 장치에서 튜브를 흔들거나 가열하는 작업이 모두 수행되므로 편의성 및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고 별도의 다른 장치가 불필요하므로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튜브랙(600)이 탈착가능하므로 튜브랙(600)에 결합된 복수 개의 튜브를 개별적으로 이동시키지 않고 튜브랙(600)을 이동시켜서 튜브랙(600)에 결합된 복수 개의 튜브에 필요한 작업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튜브랙(600)에 결합된 복수 개의 튜브가 함께 진동하거나 가열되므로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을 신속하고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자기체(700)가 튜브랙(600)에 탈착가능하므로 필요에 따라 튜브랙(600)에 결합된 복수 개의 튜브 전체에 자기력이 동시에 제공될 수 있어서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을 신속하고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핵산 자동추출장치와 달리 구성이 간단하므로 조작이 간편하고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유지관리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와 같은 전염병이 전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는 상황에서 빈곤국가에서도 저비용으로 구입할 수 있고 간편하게 조작하여 전염병을 빠르게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장치는, 바닥에 고정되는 베이스(100); 상기 베이스(100)에 결합되는 지지판(300); 상기 지지판(300) 또는 상기 진동판(400)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GR); 및 상기 진동판(400) 또는 상기 지지판(300)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GR)이 삽입되는 가이드홈(GG);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200)는, 모터(210); 상기 모터(210)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체(220); 및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서 상기 회전체(220)와 연결되되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동력전달체(230);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판(400)에는 상기 가이드레일(GR)이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력전달홈 또는 동력전달관통공(410)이 형성되고, 상기 동력전달체(230)는 상기 동력전달홈 또는 동력전달관통공(410)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220)가 회전하여 상기 동력전달체(230)가 상기 동력전달홈 또는 동력전달관통공(410)의 내측면에 힘을 가하면 상기 진동판(300)이 상기 가이드레일(GR)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진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모터(210)의 회전운동이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고 진동판(400)이 안정적으로 진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동력전달체(230)는 상기 회전체(2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동력전달홈 또는 동력전달관통공(410)의 내측면에 접하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력전달홈 또는 동력전달관통공(410)의 내측면과 동력전달체(230) 사이에 마찰이 감소할 수 있다. 이에, 소음이 감소할 수 있고, 구동부(200) 및 진동판(400)의 마모 및 손상을 줄이거나 방지할 수 있으므로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동력전달체(230)가 진동판(400)을 부드럽게 진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동력전달홈 또는 동력전달관통공(410)은 상기 진동판(400)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진동판(400)의 진동에 따라 상기 동력전달홈 또는 동력전달관통공(410)이 상기 회전축 상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에, 상기 진동판(400) 및 지지판(300)은 상기 회전축 상의 일지점(CP)으로서 상기 동력전달홈 또는 동력전달관통공(410)의 내부의 일지점(CP)을 지나고 동력전달홈 또는 동력전달관통공(410)의 연장방향 및 진동판(400)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면(S)에 의해 양쪽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GR)은 상기 지지판(300) 또는 진동판(400)의 상기 양쪽에 모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GG)은 상기 진동판(400) 또는 지지판(300)의 상기 양쪽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부(200)의 동력전달체(230)가 진동판(400)의 무게중심 근처에서 진동판(400)에 힘을 가하므로 진동판(400)이 안정적으로 진동할 수 있다. 또한, 한 개의 모터(210)를 이용하여 진동판(400)을 저비용으로 안정적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 또한, 진동판(400)이 지지판(300)에 의해 동력전달홈 또는 동력전달관통공(410)의 양쪽에서 지지되고 가이드되어 이동하므로 진동판(400)이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진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판(300) 또는 진동판(400)의 상기 양쪽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GR)은 상기 일지점(CP)을 지나는 일직선(L) 상에 위치하고 상기 일직선(L)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동판(400)이 비스듬하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가이드레일(GR)이 가이드홈(GG)에 끼여서 진동판(400)의 진동을 방해하거나 가이드레일(GR) 또는 가이드홈(GG)이 마모,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줄일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며 안정적으로 진동판(400)이 진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판(300) 및 진동판(400)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레일(GR)은 상기 지지판(300)의 상면에 형성되거나 상기 진동판(400)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GG)은 상기 진동판(400)의 하면에 형성되거나 상기 지지판(30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홈은 상기 진동판(400)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동력전달체(230)는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동판(400)의 하중이 가이드레일(GR) 및 가이드홈(GG)을 통해 진동판(400)에 비교적 고르게 분산될 수 있으므로 진동판(400)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 진동할 수 있다. 또한, 진동판(400)을 지지하는 별도의 다른 구성이 없어도 진동판(400)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 진동할 수 있으므로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장치(10)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진동판(400)은 제1방향 및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 연장되되 제1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레일(GR)은 제1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레일(GR)을 적절하게 배치하기만 하면 짧은 길이 또는 적은 개수의 가이드레일(GR)만으로 진동판(400)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동시에 안정적으로 진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열체(500)는 상기 튜브의 적어도 일부분을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튜브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튜브랙(600)은,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초부(612) 및 상기 기초부(612)로부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돌출되어 기초부(612)의 양쪽에 각각 형성되고 한 개 이상의 상기 튜브와 결합되는 결합부(61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튜브결합부(610); 및 상기 튜브결합부(610)와 상기 자기체(700)를 지지하는 지지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기체(700)는 상기 기초부(612) 양쪽의 상기 결합부(614a, 614b)에 결합되는 상기 튜브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개의 자기체(700)가 2열로 배치된 복수 개의 튜브에 동시에 자기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을 신속하고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614)는 한 개 이상의 튜브고정클립(CL)을 포함하고, 상기 튜브고정클립(CL)은 링 형태를 가지되 상기 기초부(612)로부터 먼 부분이 단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튜브고정클립(CL)은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단부(E)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단부(E)는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고 상기 튜브고정클립(CL)의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튜브고정클립(CL)의 내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튜브를 강하게 가압하여 튜브가 튜브고정클립(CL)에 강하게 결속되므로, 진동판(400)에 설치된 튜브랙(600)이 진동하더라도 튜브고정클립(CL)에 결합된 튜브가 움직이지 않을 수 있고 튜브가 튜브고정클립(CL)에서 이탈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을 신속하고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기체(700)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튜브랙(600)에 삽입되는 막대모양의 몸체(7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710)는 내부에 제1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되 자극이 상기 결합부(614)에 결합되는 상기 튜브를 향하여 배치되는 한 개 이상의 단위자석(7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튜브가 자력이 센 자극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고 각각의 튜브가 서로 다른 단위자석(712) 또는 동일한 단위자석(712)의 서로 다른 자극의 전방에 가까이 배치될 수 있으므로 튜브에 강한 자기력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상기 단위자석(712)은 N극과 S극이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웃하는 두 개의 단위자석(712)의 전방에 작용하는 자기력 사이에 척력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자기력이 각 단위자석(712)의 전방의 좁은 영역에 집중되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단위자석(712)의 전방에 배치된 튜브 전체에 자기력이 제공될 수 있으므로,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기체(700)가 상기 튜브랙(60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단위자석(712)과 단위자석(712)이 향하는 상기 튜브 사이에는 상기 지지부(620)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부(620)가 단위자석(712)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을 가로막거나 방해하지 않고 단위자석(712)과 튜브 사이의 거리가 감소할 수 있으므로 튜브에 강한 자기력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기체(700)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튜브랙(600)에 삽입되는 몸체(710) 및 상기 몸체(710)의 제1방향의 일단에 결합되는 손잡이(7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기체(700)는 상기 튜브랙(600)에 제1방향으로 삽입되고, 상기 손잡이(720)의 일부분(724, 726)은 상기 자기체(700)가 상기 튜브랙(600)에 완전히 삽입된 경우에만 상기 지지부(620)와 접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720)의 상기 일부분(724, 726) 또는 상기 일부분(724, 726)의 근처에는 자석(728)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620) 중에서 상기 손잡이(720)의 상기 일부분(724, 726)과 접하는 부분 또는 상기 손잡이(720)의 상기 일부분(724, 726)과 접하는 부분의 근처에는 상기 자석(728)이 붙는 금속(623)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기체(700)가 튜브랙(600)에 완전히 삽입된 후에는 자기체(700)가 튜브랙(600)에 부착되므로 자기체(700)가 튜브랙(600) 내에서 이동하거나 튜브랙(600)으로부터 빠져나오지 않을 수 있다. 이에, 튜브랙(600)에 자기체(700)를 설치하면 튜브랙(600)에 결합된 모든 튜브에 자기력이 안정적으로 제공될 수 있으므로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을 신속하고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800)는 순서가 정해진 복수 개의 단계 별로 상기 구동부(200)의 제어정보 또는 상기 가열체(500)의 온도의 제어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장치는, 각각의 상기 단계를 개시하기 전에 사용자로부터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신호를 기초로 상기 복수 개의 단계 중에서 다음 단계를 개시하는 스타트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입력부(1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0)가 상기 스타트신호를 전달받으면, 제어부(800)는 상기 복수 개의 단계 중에서 다음 단계에 대한 상기 제어정보를 기초로 상기 구동부(200)를 제어하거나 상기 가열체(500)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튜브의 진동시간, 가열시간 또는 가열온도가 다르더라도 각 단계가 단계 별 튜브의 진동시간, 가열시간 또는 가열온도에 맞추어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 단계를 개시하기 전에 사용자가 다음 단계를 개시하는 신호를 입력하기만 하면 되므로 복수 개의 단계가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에, 핵산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방법(2000)이 라이시스&바인딩단계(S2100), 세정단계(S2200), 건조단계(S2300) 및 일루션단계(S2400)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시스&바인딩단계(S2100)에서는, 튜브랙(600)에 결합되는 튜브에 라이시스 버퍼(lysis buffer), 마그네틱 비드(magnetic bead) 및 시료(sample)를 포함하는 물질을 넣고 튜브랙(600)이 진동판(400) 또는 가열체(500)에 설치되고 자기체(700)가 튜브랙(60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구동부(200)를 이용하여 튜브랙(600)에 결합된 튜브를 진동시켜서 시료를 용해하고 마그네틱 비드에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을 부착시킨 후에, 자기체(700)를 튜브랙(600)에 설치하여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이 부착된 마그네틱 비드를 튜브에 모으고 나머지를 제거할 수 있다. 세정단계(S2200)에서는, 튜브에 세정버퍼(wash buffer)를 포함하는 물질을 넣고 튜브랙(600)이 진동판(400) 또는 가열체(500)에 설치되고 자기체(700)가 튜브랙(60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구동부(200)를 이용하여 튜브랙(600)에 결합된 튜브를 진동시켜서 이물질을 분리한 후에, 자기체(700)를 튜브랙(600)에 설치하여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이 부착된 마그네틱 비드를 튜브에 모으고 나머지를 제거할 수 있다. 건조단계(S2300)에서는, 튜브랙(600)이 진동판(400) 또는 가열체(500)에 설치된 상태에서 가열체(500)의 온도를 제어하여 튜브랙(600)에 결합된 튜브를 건조시킬 수 있다. 일루션단계(S2400)에서는, 튜브에 일루션버퍼(elution buffer)를 포함하는 물질을 넣고 튜브랙(600)이 진동판(400) 또는 가열체(500)에 설치되고 자기체(700)가 튜브랙(60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구동부(200)를 이용하여 튜브랙(600)에 결합된 튜브를 진동시켜서 마그네틱 비드에서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을 분리한 후에, 자기체(700)를 튜브랙(600)에 설치하여 마그네틱 비드를 튜브에 모으고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을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단계에서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장치(10)를 사용하여 튜브를 진동시키거나 가열하므로,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을 신속하고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2는 도 1의 내부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2의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장치에서 튜브랙 및 자기체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가열체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진동판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 및 도 6의 진동판의 저면도이다.
도 9는 도 2의 튜브랙 및 자기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서 자기체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9 내지 도 11의 튜브결합부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도 9의 자기체의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2와 도 15를 중첩시킨 도면이다.
도 17은 도 9의 튜브랙 및 자기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개시되는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장치에 대해 각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2는 도 1의 내부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장치(10)는 베이스(100), 구동부(200), 지지판(300), 진동판(400), 가열체(500), 튜브랙(600), 자기체(700), 제어부(800), 통신부(900), 입력부(1000), 하우징(1100), 커버(1200) 및 디스플레이부(1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장치에서 튜브랙 및 자기체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서 가열체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서 진동판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도 3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 및 도 6의 진동판의 저면도이다.
도 9는 도 2의 튜브랙 및 자기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서 자기체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9 내지 도 11의 튜브결합부의 평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도 9의 자기체의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2와 도 15를 중첩시킨 도면이고 도 17은 도 9의 튜브랙 및 자기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베이스]
베이스(100)는 판 형상일 수 있고 바닥에 고정될 수 있다(도 2 내지 도 7).
베이스(100)의 하면에는 고무발(rubber foot)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미끄럼을 방지하고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구동부]
구동부(200)는 모터(210), 회전체(220) 및 동력전달체(230)를 포함할 수 있다(도 4 내지 도 7).
모터(210)는 베이스(100)에 고정될 수 있다.
회전체(220)는 모터(210)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다.
동력전달체(230)는 회전축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서 회전체(220)와 연결되되 회전축의 축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동력전달체(230)는 회전체(220)와 결합되되 회전체(220)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는 지점에서 모터(210)가 위치하는 쪽과 반대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동력전달체(230)는 진동판(400)에 형성되는 동력전달홈 또는 동력전달관통공(410)에 삽입될 수 있다. 동력전달체(230)는 회전체(220)의 회전에 따라 위치가 변하더라도 동력전달홈 또는 동력전달관통공(410)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회전체(220)가 회전하면 동력전달체(230)가 동력전달홈 또는 동력전달관통공(410)의 내측면에 힘을 가하여 진동판(4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동력전달체(230)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회전체(2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동력전달홈 또는 동력전달관통공(410)의 내측면에 접하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력전달홈 또는 동력전달관통공(410)의 내측면과 동력전달체(230) 사이에 마찰이 감소할 수 있다. 이에, 소음이 감소할 수 있고, 구동부(200) 및 진동판(400)의 마모 및 손상을 줄이거나 방지할 수 있으므로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동력전달체(230)가 진동판(400)을 부드럽게 진동시킬 수 있다.
[지지판]
지지판(300)은 베이스(10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판(300)은 도 2 내지 도 7과 같이 베이스(100)에 결합되는 수직판(VP)과 결합됨으로써 베이스(100)에 간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지지판(300)은 판 형상일 수 있다.
지지판(300)은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평평한 판 형상의 평판부(310) 및 평판부(310)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320)에는 가이드홈(GG)이 형성될 수 있다(도 6).
이에 따라, 지지판(300) 중에서 가이드홈(GG)이 형성되는 부분(돌출부)의 두께만 두껍게 하고 나머지 부분(평판부)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으므로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장치(10)를 경량화,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320)는 평판부(310)에 결합될 수 있다(도 6).
이에 따라, 가이드홈(GG)의 내측면이 마모 또는 손상된 경우에 지지판(300) 전체를 교체할 필요가 없고 돌출부(320)만을 평판부(310)로부터 분리하여 교체하면 되므로 유지관리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가이드홈(GG)에는 진동판(400)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GR)이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지지판(300)에는 가이드홈(GG) 대신에 후술하는 가이드레일(GR)이 형성될 수도 있다.
[진동판]
진동판(400)은 지지판(3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진동판(400)에는 가이드레일(GR)이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레일(GR)은 지지판(300)에 형성된 가이드홈(GG)에 삽입될 수 있다(도 5 내지 도 8).
이에, 진동판(400)은, 지지판(300)에 의해서 지지되는 동시에 지지판(300)에 대해서 가이드레일(GR)이 연장되는 방향(예컨대, 제1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진동판(400)은 구동부(20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진동판(400)에는 도면과 달리 동력전달홈이 형성되거나 도면과 같이 동력전달관통공(410)이 형성될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동력전달홈 또는 동력전달관통공(410)에는 동력전달체(230)가 삽입될 수 있다.
동력전달홈 또는 동력전달관통공(410)은 가이드레일(GR)이 연장되는 방향(예컨대, 제1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예컨대, 제2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때에, 동력전달홈 또는 동력전달관통공(410)은 회전체(220)의 회전에 따라 동력전달체(230)의 위치가 변하더라도 동력전달체(230)가 동력전달홈 또는 동력전달관통공(410)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상기 교차하는 방향(예컨대, 제2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회전체(220)가 회전하면 동력전달체(230)가 동력전달홈 또는 동력전달관통공(410)의 내측면에 힘을 가하여 진동판(4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에, 진동판(400)은 가이드레일(GR)이 연장되는 방향(예컨대, 제1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 이에, 회전체(220)의 회전축과 수직한 평면 상에서 회전체(220)의 회전중심을 지나고 가이드레일(GR)이 연장되는 방향(예컨대, 제1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수직선(예컨대, 회전체의 회전중심을 지나고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을 기준으로, 회전체(220)의 회전에 따라 동력전달체(230)가 제1방향의 일측 즉, 예컨대 상기 수직선의 왼쪽에 위치하는 동안에는 진동판(400)이 제1방향의 일방(예컨대, 왼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선을 기준으로, 회전체(220)의 회전에 따라 동력전달체(230)가 제1방향의 타측 즉, 예컨대 상기 수직선의 오른쪽에 위치하는 동안에는 진동판(400)이 제1방향의 타방(예컨대, 오른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200)에 의해 진동판(400)에 힘이 가해지면 진동판(300)은 가이드레일(GR)이 연장되는 방향(예컨대, 제1방향)으로 진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모터(210)의 회전운동이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고 진동판(400)이 안정적으로 진동할 수 있다.
한편, 진동판(400)에는 가이드레일(GR) 대신에 가이드홈(GG)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도면과 달리 지지판(300)에 가이드레일(GR)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진동판(400)에 가이드홈(GG)이 형성될 수 있다.
동력전달홈 또는 동력전달관통공(410)은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진동판(400)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부(200)의 동력전달체(230)가 진동판(400)의 무게중심 근처에서 진동판(400)에 힘을 가하므로 진동판(400)이 안정적으로 진동할 수 있다. 또한, 한 개의 모터(210)를 이용하여 진동판(400)을 저비용으로 안정적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
[지지판 및 진동판]
진동판(400)의 진동에 따라 동력전달홈 또는 동력전달관통공(410)이 회전축 상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에, 진동판(400) 및 지지판(300)은 회전축 상의 일지점(CP, 도 8)으로서 동력전달홈 또는 동력전달관통공(410)의 내부의 일지점(CP, 도 8)을 지나고 동력전달홈 또는 동력전달관통공(410)의 연장방향(예컨대, 제2방향) 및 진동판(400)과 수직한 방향(예컨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면(S, 도 7 및 도 8)에 의해 양쪽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가이드레일(GR)은 지지판(300) 또는 진동판(400)의 상기 양쪽에 모두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홈(GG)은 진동판(400) 또는 지지판(300)의 상기 양쪽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도 7 및 도 8).
이에 따라, 동력전달홈 또는 동력전달관통공(410)이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진동판(40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경우에, 진동판(400)이 지지판(300)에 의해 동력전달홈 또는 동력전달관통공(410)의 양쪽에서 지지되고 가이드되어 이동하므로 진동판(400)이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진동할 수 있다.
지지판(300) 또는 진동판(400)의 상기 양쪽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GR)은 상기 일지점(CP)을 지나는 일직선(L) 상에 위치하고 상기 일직선(L)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도 8).
이에 따라, 진동판(400)이 비스듬하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가이드레일(GR)이 가이드홈(GG)에 끼여서 진동판(400)의 진동을 방해하거나 가이드레일(GR) 또는 가이드홈(GG)이 마모,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줄일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며 안정적으로 진동판(400)이 진동할 수 있다.
지지판(300) 및 진동판(400)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GR)은 지지판(300)의 상면에 형성되거나 진동판(40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홈(GG)은 진동판(400)의 하면에 형성되거나 지지판(30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면과 달리 진동판(400)에 동력전달관통공(410) 대신 동력전달홈이 형성된 경우에는 동력전달홈은 진동판(40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동력전달체(230)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동력전달홈 또는 동력전달관통공(410)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동판(400)의 하중이 가이드레일(GR) 및 가이드홈(GG)을 통해 진동판(400)에 비교적 고르게 분산될 수 있으므로 진동판(400)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 진동할 수 있다. 또한, 진동판(400)을 지지하는 별도의 다른 구성이 없어도 진동판(400)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 진동할 수 있으므로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장치(10)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진동판(400)은 제1방향 및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 연장되되 제1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되고, 가이드레일(GR)은 제1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레일(GR)을 적절하게 배치하기만 하면 짧은 길이 또는 적은 개수의 가이드레일(GR)만으로 진동판(400)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동시에 안정적으로 진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면과 같이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레일(GR)을 진동판(400)의 중심부로부터 제1방향으로 이격되는 두 지점에 배치하거나 도면과 달리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레일(GR)을 진동판(400)의 중심을 지나게 길게 배치하기만 하면 짧은 길이 또는 적은 개수의 가이드레일(GR)만으로 진동판(400)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 진동할 수 있다.
반면에, 진동판(400)이 제1방향 및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 연장되되 제1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되고 가이드레일(GR)이 도면과 달리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에,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레일(GR)을 진동판(400)의 중심부에 길게 배치하더라도 진동판(400)의 제1방향의 양쪽 단부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레일(GR)을 진동판(400)의 중심부로부터 제1방향으로 이격되는 두 지점에 배치하면 진동판(400)이 제2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진동판이(400)이 비스듬하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가이드레일(GR)이 가이드홈(GG)에 끼여서 진동판(400)이 진동하지 못하거나 가이드레일(GR) 또는 가이드홈(GG)이 마모, 손상될 수 있다.
[가열체]
가열체(500)는 진동판(400)에 결합되어 진동판(400)과 함께 진동하고 열을 전달하거나 발열할 수 있다. 튜브랙(600)에 결합된 튜브(도 18)는 가열체(500)와 접하거나 가열체(500)에 가까이 위치할 수 있다.
가열체(500)는 도 3 및 도 6과 같이, 열이 전달되거나 발열하는 판부(510) 및 튜브랙(600)에 결합되는 튜브의 적어도 일부분을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520)는 판부(510)와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처럼, 가열체(500)가 수용부(520)를 포함하므로 튜브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가열체(500)는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 튜브랙(600)이 진동판(400) 또는 가열체(500)에 설치되어 튜브가 수용부(520)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자기체(700)가 튜브랙(600)에 설치되면 튜브에 자기력이 제공되야 할 수 있다. 이 때에는 자기체(700)에 의해서 수용부(520) 내부에 수용된 튜브에 자기력이 제공되도록 수용부(520)의 두께를 얇게 하거나 수용부(520)를 상자성 금속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용부(520)를 상자성 금속인 알루미뉴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수용부(520)가 상자성 금속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되면, 수용부(520)의 열전도율이 높아져서 튜브가 효과적으로 가열될 수 있는 동시에 자기체(700)에 의해서 수용부(520) 내부에 수용된 튜브에 자기력이 제공될 수 있다.
[튜브랙]
튜브랙(600, tube rack)은 진동판(400) 또는 가열체(500)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도 2, 도 3). 예를 들면, 튜브랙(600, tube rack)은 진동판(400) 또는 가열체(500)에 상하방향으로 탈착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도 2, 도 3).
튜브랙(600)에는 자기력을 제공하는 자기체(700)가 탈착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도 9, 도 10).
또한, 튜브랙(600)에는 시료를 수용하는 한 개 이상의 튜브(도 18)가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튜브랙(600)에 튜브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지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도면과 달리 튜브랙(600)에 튜브가 일체로 결합될 수도 있다.
튜브랙(600)은 튜브결합부(610) 및 지지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도 9 내지 도 11).
튜브결합부(610)는 기초부(612) 및 결합부(6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도 9 내지 도 12).
기초부(612)는 제1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결합부(614)는 기초부(612)로부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돌출되어 기초부(612)의 양쪽에 각각 형성되고 한 개 이상의 튜브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면과 같이, 기초부(612)의 제2방향의 일방에 형성된 결합부(614a)와 기초부(612)의 제2방향의 타방에 형성된 결합부(614b)에는 각각 12개의 튜브가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614)는 한 개 이상의 튜브고정클립(CL)을 포함할 수 있다(도 12 및 도 13).
튜브고정클립(CL)은 링 형태를 가지되 기초부(612)로부터 먼 부분이 단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튜브고정클립(CL) 중에서 기초부(612)로부터 멀리 떨어진 튜브고정클립(CL)의 제2방향의 일측부 또는 타측부가 단절될 수 있다. 이에, 튜브고정클립(CL)은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단부(E)를 구비할 수 있다(도 13). 한 쌍의 단부(E)는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고 튜브고정클립(CL)의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한 쌍의 단부(E1, E2)는 튜브고정클립(CL)의 내주면이 이루는 원 또는 타원 형태(R)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PT1, PT2)를 포함할 수 있다(도 13).
이에 따라, 튜브고정클립(CL)의 내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튜브를 강하게 가압하여 튜브가 튜브고정클립(CL)에 강하게 결속되므로, 진동판(400)에 설치된 튜브랙(600)이 진동하더라도 튜브고정클립(CL)에 결합된 튜브가 움직이지 않을 수 있고 튜브가 튜브고정클립(CL)에서 이탈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을 신속하고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지지부(620)는 튜브결합부(610)와 후술하는 자기체(700)를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지지부(620)는 제1지지부(622), 제2지지부(624), 제3지지부(626) 및 제4지지부(628)을 포함할 수 있다(도 9 내지 도 11).
제1지지부(622)는 제2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상일 수 있고 한 쌍(622a, 622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지지부(622)의 상면은 튜브결합부(610)의 제1방향의 양쪽 단부와 결합될 수 있다. 제1지지부(622)에는 관통홈(H)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지지부(622)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튜브결합부(610) 및 자기체(700)의 제1방향의 양쪽 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1지지부(622)는 제1지지부(622)의 상면에 결합되는 튜브결합부(610)의 제1방향의 양쪽 단부를 지지할 수 있고 제1지지부(622)의 관통홈(H)에 삽입되는 자기체(700)의 제1방향의 양쪽 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지지부(622)는 진동판(400) 또는 가열체(500)에 형성되는 단턱에 걸릴 수 있다. 예를 들면, 한 쌍의 제1지지부(622a, 622b)는 가열체(500)의 판부(510)의 제1방향의 양쪽 측면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형성되는 단턱(도 3)에 걸릴 수 있다. 이에, 진동판(400)이 진동할 때에 튜브랙(600)이 진동판(400)으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진동판(400)과 함께 진동할 수 있다.
제1지지부(622)에는 금속(623)이 설치될 수 있다(도 10, 도 11). 이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제2지지부(624)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상일 수 있고 한 쌍(624a, 624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지지부(624)의 제1방향의 양쪽 단부는 한 쌍의 제1지지부(622a, 622b)의 관통홈(H)의 상단 및 하단에 삽입되어 제1지지부(622)와 결합될 수 있다.
제2지지부(624)는 제1지지부(622)를 지지할 수 있고 관통홈(H)에 삽입되는 자기체(700)를 제1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가이드하고 지지할 수 있다.
제3지지부(626)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형상일 수 있고 한 개 이상의 쌍(626a1, 626a2, 626b1, 626b2, 626c1, 626c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3지지부(626)는 한 쌍의 제2지지부(624a, 624b)의 제2방향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3지지부(626)의 상단은 튜브결합부(610)와 결합될 수 있다.
제3지지부(626)는 제2지지부(624) 및 튜브결합부(610)를 지지할 수 있고 관통홈(H)에 삽입되는 자기체(700)를 제2방향으로 가이드하고 지지할 수 있다.
제4지지부(628)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상일 수 있고 한 쌍(628a, 628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지지부(628)의 제1방향의 양쪽 단부는 한 쌍의 제1지지부(622a, 622b)의 제2방향의 측면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4지지부(628)는 제1지지부(622)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4지지부(628)는 진동판(400) 또는 가열체(500)에 형성되는 단턱에 걸릴 수 있다. 예를 들면, 한 쌍의 제4지지부(628a, 628b)는 가열체(500)의 판부(510)의 제2방향의 양쪽 측면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형성되는 단턱(도 3)에 걸릴 수 있다. 이에, 진동판(400)이 진동할 때에 튜브랙(600)이 진동판(400)으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진동판(400)과 함께 진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부(620)가 제1지지부(622), 제2지지부(624), 제3지지부(626) 및 제4지지부(628)을 포함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i) 튜브결합부(610)에 결합되는 튜브 및 튜브랙(600)에 설치되는 자기체(70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고 ii) 자기체(700)가 튜브랙(600)에 가이드되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iii) 진동판(400)의 진동에도 불구하고 튜브랙(600)이 진동판(400) 또는 가열체(5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자기체]
자기체(700)는 튜브랙(600)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자기력을 제공할 수 있다(도 9, 도 10). 예를들면, 자기체(700)는 튜브랙(600)의 측면으로부터 측방(예컨대, 제1방향)으로 탈착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자기력을 제공할 수 있다(도 9 내지 도 11, 도 16). 자기체(700)는, 튜브랙(600)이 진동판(400) 또는 가열체(500)에 탈착되는지 여부와 관계 없이 튜브랙(600)에 탈착가능할 수 있다(도 2, 도 9 내지 도 11, 도 16).
예를 들면, 자기체(700)는 튜브랙(600)의 기초부(612) 양쪽의 결합부(614a, 614b)에 결합되는 튜브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도 9).
이에 따라, 한 개의 자기체(700)가 2열로 배치된 복수 개의 튜브에 동시에 자기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을 신속하고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자기체(700)는 몸체(710) 및 손잡이(720)를 포함할 수 있다(도 9, 도 14, 도 15).
몸체(710)는 제1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몸체(710)는 막대모양일 수 있다.
몸체(710)는 튜브랙(600)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몸체(710)는 튜브랙(600)에 제1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자기체(700)의 몸체(710)는 튜브랙(600)의 제1지지부(622)의 관통홈(H)에 삽입될 수 있다(도 9 내지 도 11).
몸체(710)는 내부에 제1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되 자극이 결합부(614)에 결합되는 튜브(도 18)를 향하여 배치되는 한 개 이상의 단위자석(712)을 포함할 수 있다(도 14, 도 16).
이에 따라, 튜브가 자력이 센 자극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고 각각의 튜브가 서로 다른 단위자석(712) 또는 동일한 단위자석(712)의 서로 다른 자극의 전방에 가까이 배치될 수 있으므로 튜브에 강한 자기력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단위자석(712)은 N극과 S극이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도 15, 도 16).
이에 따라, 이웃하는 두 개의 단위자석(712)의 전방에 작용하는 자기력 사이에 척력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자기력이 각 단위자석(712)의 전방의 좁은 영역에 집중되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단위자석(712)의 전방에 배치된 튜브 전체에 자기력이 제공될 수 있으므로,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자기체(700)가 튜브랙(600)에 설치된 상태에서 단위자석(712)과 단위자석(712)이 향하는 튜브 사이에는 지지부(620)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7과 같이 단위자석(712)과, 결합부(614)에 결합되는 튜브로서 단위자석(712)이 향하는 튜브 사이에는 지지부(620)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지지부(624), 제3지지부(626) 및 제4지지부(628)가 모두 단위자석(712)과 단위자석(712)이 향하는 튜브 사이에 구비되지 않는다. 특히, 제3지지부(626)는 이웃하는 두 개의 단위자석(712)의 전방 사이에 배치되므로 단위자석(712)과 단위자석(712)이 향하는 튜브 사이에 구비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지지부(620)가 단위자석(712)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을 가로막거나 방해하지 않고 단위자석(712)과 튜브 사이의 거리가 감소할 수 있으므로 튜브에 강한 자기력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튜브랙(600)이 진동판(400) 또는 가열체(500)에 설치되어 튜브가 수용부(520)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자기체(700)가 튜브랙(600)에 설치되면 튜브에 자기력이 제공되야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와 같이 튜브랙(600)이 진동판(400) 또는 가열체(500)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튜브랙(600)에 결합되는 튜브가 가열체(500)의 수용부(52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도 2와 같이 자기체(700)가 튜브랙(600)에 설치되면, 단위자석(712)과 단위자석(712)이 향하는 튜브 사이에는 수용부(52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수용부(520)가 단위자석(712)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을 가로막거나 방해하여 튜브에 자기력이 약하게 제공되거나 자기력이 전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튜브에 강한 자기력이 제공되도록 수용부(520)의 두께를 감소시키거나 튜브에 자기력이 제공되도록 수용부(520)가 상자성 금속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720)는 몸체(710)의 제1방향의 일단에 결합될 수 있다(도 9, 도 14, 도 15). 손잡이(720)를 잡고 자기체(700)를 튜브랙(600)에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다.
손잡이(720)의 일부분(724, 726)은 자기체(700)가 튜브랙(600)에 완전히 삽입된 경우에만 지지부(620)와 접할 수 있다(도 9, 도 14). 손잡이(720)의 상기 일부분(724, 726) 또는 상기 일부분(724, 726)의 근처에는 자석(728)이 설치될 수 있다(도 9, 도 14, 도 15). 구체적으로, 손잡이(720)의 상기 일부분(724, 726)에 자석(728)이 설치되거나(도 9, 도 14, 도 15), 손잡이(720)의, 상기 일부분(724, 726)과 인접하는 부분에 자석(728)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지지부(620) 중에서 손잡이(720)의 상기 일부분(724, 726)과 접하는 부분 또는 손잡이(720)의 상기 일부분(724, 726)과 접하는 부분의 근처에는 상기 자석(728)이 붙는 금속(623)이 설치될 수 있다(도 10, 도 11). 구체적으로, 지지부(620) 중에서, 손잡이(720)의 상기 일부분(724, 726)과 접하는 부분에 상기 자석(728)이 붙는 금속(623)이 설치되거나(도 10, 도 11), 손잡이(720)의 상기 일부분(724, 726)과 접하는 부분과 인접하는 부분에 상기 자석(728)이 붙는 금속(623)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기체(700)가 튜브랙(600)에 완전히 삽입된 후에는 자기체(700)가 튜브랙(600)에 부착되므로 자기체(700)가 튜브랙(600) 내에서 이동하거나 튜브랙(600)으로부터 빠져나오지 않을 수 있다. 이에, 튜브랙(600)에 자기체(700)를 설치하면 튜브랙(600)에 결합된 모든 튜브에 자기력이 안정적으로 제공될 수 있으므로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을 신속하고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
제어부(800)는 구동부(200)를 제어할 수 있고 가열체(500)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장치(10)가 구동부(200), 진동판(400), 가열체(500), 튜브랙(600), 자기체(700) 및 제어부(800)를 포함함으로써, 단일한 장치에서 튜브를 흔들거나 가열하는 작업이 모두 수행되므로 편의성 및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고 별도의 다른 장치가 불필요하므로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튜브랙(600)이 탈착가능하므로 튜브랙(600)에 결합된 복수 개의 튜브를 개별적으로 이동시키지 않고 튜브랙(600)을 이동시켜서 튜브랙(600)에 결합된 복수 개의 튜브에 필요한 작업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튜브랙(600)에 결합된 복수 개의 튜브가 함께 진동하거나 가열되므로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을 신속하고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자기체(700)가 튜브랙(600)에 탈착가능하므로 필요에 따라 튜브랙(600)에 결합된 복수 개의 튜브 전체에 자기력이 동시에 제공될 수 있으므로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을 신속하고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핵산 자동추출장치와 달리 구성이 간단하므로 조작이 간편하고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유지관리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와 같은 전염병이 전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는 상황에서 빈곤국가에서도 저비용으로 구입할 수 있고 간편하게 조작하여 전염병을 빠르게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어부(800)는 순서가 정해진 복수 개의 단계(예컨대, 라이시스&바인딩단계, 세정단계, 건조단계, 일루션단계) 별로 구동부(200)의 제어정보 또는 가열체(500)의 온도의 제어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800)가 후술하는 입력부(1000)로부터 스타트신호를 전달받으면, 제어부(800)는 상기 복수 개의 단계 중에서 다음 단계에 대한 상기 제어정보를 기초로 구동부(200)를 제어하거나 가열체(500)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에, 제어부(800)는 다음 단계가 상기 복수 개의 단계 중에서 어떤 단계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기 위해서 미리 현재 단계를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튜브의 진동시간, 가열시간 또는 가열온도가 다르더라도 각 단계가 단계 별 튜브의 진동시간, 가열시간 또는 가열온도에 맞추어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 단계를 개시하기 전에 사용자가 다음 단계를 개시하는 신호를 입력하기만 하면 되므로 복수 개의 단계가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에,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을 신속하고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800)가 가열체(500)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서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장치(10)에는 온도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통신부]
통신부(900, 도 1)는 사용자에게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부(900)는 시리얼 통신(예컨대, RS-232)을 위한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900)를 통해 사용자는 순서가 정해진 복수 개의 단계(예컨대, 라이시스&바인딩단계, 세정단계, 건조단계, 일루션단계) 별로 구동부(200)의 제어정보 또는 가열체(500)의 온도의 제어정보를 제어부(800)에 저장할 수 있다.
[입력부]
입력부(1000)는 시작 버튼(1000a), 중지/재시작 버튼(1000b) 등을 포함할 수 있다(도 1). 입력부(1000)를 통해 사용자는 상기 단계를 시작, 중지, 재시작 등을 할 것을 명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각각의 상기 단계를 개시하기 전에 사용자는 시작 버튼(1000a)을 누를 수 있다. 사용자가 시작 버튼(1000a)을 누르면, 입력부(1000)는 사용자로부터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신호를 기초로 상기 복수 개의 단계 중에서 다음 단계를 개시하는 스타트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하우징]
하우징(1100)은 구동부(200) 등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고 구동부(200) 등을 보호할 수 있다.
[커버]
커버(1200)는 하우징(1100)의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커버(1200)는 진동판(400), 가열체(500), 튜브랙(600) 등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고 이들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커버(1200)를 설치함으로써 진동판(400)이 진동할 때에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
디스플레이부(1300)는 상기 복수 개의 단계 중에서 현재 수행되는 단계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300)는 진동을 완료하기까지 남은 시간 또는 가열체(500)의 현재 온도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튜브]
튜브는 도 18과 같이 시료 등을 수용하는 몸체 및 뚜껑을 포함할 수 있다.
튜브는 튜브랙(600)에 결합될 수 있다. 튜브랙(600)을 진동시키기 전에 튜브랙(600)에 결합된 튜브의 뚜껑을 닫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방법]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방법(2000)은 라이시스&바인딩단계(S2100), 세정단계(S2200), 건조단계(S2300) 및 일루션단계(S2400)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시스&바인딩단계(S2100)에서는, 튜브랙(600)에 결합되는 튜브에 라이시스 버퍼(lysis buffer), 마그네틱 비드(magnetic bead) 및 시료(sample)를 포함하는 물질을 넣고 튜브랙(600)이 진동판(400) 또는 가열체(500)에 설치되고 자기체(700)가 튜브랙(60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구동부(200)를 이용하여 튜브랙(600)에 결합된 튜브를 진동시켜서 시료를 용해하고 마그네틱 비드에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을 부착시킨 후에, 자기체(700)를 튜브랙(600)에 설치하여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이 부착된 마그네틱 비드를 튜브에 모으고 나머지를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튜브에 라이시스 버퍼(lysis buffer)와 마그네틱 비드(magnetic bead) 및 시료(sample)를 포함하는 물질을 넣을 수 있다. 이후에 튜브가 결합된 튜브랙(600)을 진동판(400) 또는 가열체(500)에 설치할 수 있다. 이 때에, 자기체(700)가 튜브랙(600)에서 분리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튜브의 뚜껑은 닫힌 상태일 수 있다. 이후에 커버(1200)를 하우징(1100)의 상부에 설치할 수 있다.
사용자가 시작 버튼(1000a)을 누르면 초기 단계인 라이시스&바인딩단계(S2100)에 대한 구동부(200)의 제어정보(예컨대, 구동시간/진동시간)를 기초로 구동부(200)가 구동될 수 있다. 구동부(200)가 구동하여 튜브를 진동시키면 시료가 용해되고 마그네틱 비드에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이 부착될 수 있다. 이 때에, 디스플레이부(1300)에는 현재 단계가 표시될 수 있고 진동을 완료하기까지 남은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이후에, 진동판(400) 및 가열체(500)에서 튜브랙(600)을 떼어낼 수 있다. 튜브랙(600)에 자기체(700)가 설치(삽입)된 상태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이 부착된 마그네틱 비드가 튜브의 일측에 모일 수 있다. 이후에 튜브의 뚜껑을 열고 튜브랙(600)에 자기체(700)가 설치(삽입)된 상태에서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이 부착된 마그네틱 비드를 제외한 나머지를 제거할 수 있다.
세정단계(S2200)에서는, 튜브에 세정버퍼(wash buffer)를 포함하는 물질을 넣고 튜브랙(600)이 진동판(400) 또는 가열체(500)에 설치되고 자기체(700)가 튜브랙(60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구동부(200)를 이용하여 튜브랙(600)에 결합된 튜브를 진동시켜서 이물질을 분리한 후에, 자기체(700)를 튜브랙(600)에 설치하여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이 부착된 마그네틱 비드를 튜브에 모으고 나머지를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튜브에 세정버퍼(wash buffer)를 포함하는 물질을 넣을 수 있다. 이후에 튜브가 결합된 튜브랙(600)을 진동판(400) 또는 가열체(500)에 설치할 수 있다. 이 때에, 자기체(700)가 튜브랙(600)에서 분리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튜브의 뚜껑은 닫힌 상태일 수 있다. 이후에 커버(1200)를 하우징(1100)의 상부에 설치할 수 있다.
사용자가 시작 버튼(1000a)을 누르면 라이시스&바인딩단계(S2100)의 다음 단계인 세정단계(S2200)에 대한 구동부(200)의 제어정보(예컨대, 구동시간/진동시간)를 기초로 구동부(200)가 구동될 수 있다. 구동부(200)가 구동하여 튜브를 진동시키면 이물질이 분리될 수 있다. 이 때에, 디스플레이부(1300)에는 현재 단계가 표시될 수 있고 진동을 완료하기까지 남은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이후에, 진동판(400) 및 가열체(500)에서 튜브랙(600)을 떼어낼 수 있다. 튜브랙(600)에 자기체(700)가 설치(삽입)된 상태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이 부착된 마그네틱 비드가 튜브의 일측에 모일 수 있다. 이후에 튜브의 뚜껑을 열고 튜브랙(600)에 자기체(700)가 설치(삽입)된 상태에서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이 부착된 마그네틱 비드를 제외한 나머지를 제거할 수 있다.
마그네틱 비드를 제외한 나머지를 제거할 때에, 파이펫을 이용할 수 있다.
세정단계(S2200)는 1회 이상 수행될 수 있다.
건조단계(S2300)에서는, 튜브랙(600)이 진동판(400) 또는 가열체(500)에 설치된 상태에서 가열체(500)의 온도를 제어하여 튜브랙(600)에 결합된 튜브를 건조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튜브가 결합된 튜브랙(600)이 진동판(400) 또는 가열체(500)에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시작 버튼(1000a)을 누르면 세정단계(S2200)의 다음 단계인 건조단계(S2300)에 대한 가열체(500)의 제어정보(예컨대, 가열/건조시간 및 가열온도)를 기초로 가열체(500)의 온도가 제어될 수 있다. 가열체(500)에 의해서 튜브가 가열되면 튜브 내부가 건조될 수 있다. 이 때에, 튜브의 뚜껑은 열린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자기체(700)가 튜브랙(600)에 설치되지 않거나 설치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이 때에, 디스플레이부(1300)에는 현재 단계가 표시될 수 있고 가열 또는 건조를 완료하기까지 남은 시간과 가열체 또는 튜브의 현재온도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자기체(700)가 튜브랙(600)에 설치된 상태에서 튜브를 가열하면 마그네틱 비드 전부가 중력에 의해서 튜브의 바닥에 모여있지 않고 마그네틱 비드의 적어도 일부가 자기체(700)의 자기력에 의해서 튜브의 일측면에 붙게 되므로 마그네틱 비드가 넓게 펼쳐질 수 있다. 이에, 건조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처럼, 튜브랙(600)이 진동판(400) 또는 가열체(500)에 설치된 상태에서 튜브에 자기력을 제공하기 위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수용부(520)의 두께를 얇게 하거나 수용부(520)를 상자성 금속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자기체(700)의 자기력에 의해서 마그네틱 비드가 튜브의 일측면에 붙으면 튜브의 일측면 및 마그네틱 비드의 부착면이 건조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시간이 경과하면 튜브를 돌려서 가열할 수 있다. 튜브를 돌려서 가열하면 튜브의 일측에 붙어 있었던 마그네틱 비드가 튜브의 일측에서 떼어지므로 튜브 및 마그네틱 비드가 모두 효과적으로 건조될 수 있다.
일루션단계(S2400)에서는, 튜브에 일루션버퍼(elution buffer)를 포함하는 물질을 넣고 튜브랙(600)이 진동판(400) 또는 가열체(500)에 설치되고 자기체(700)가 튜브랙(60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구동부(200)를 이용하여 튜브랙(600)에 결합된 튜브를 진동시켜서 마그네틱 비드에서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을 분리한 후에, 자기체(700)를 튜브랙(600)에 설치하여 마그네틱 비드를 튜브에 모으고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을 획득할 수 있다.
튜브를 진동시킬 때에 가열체(500)로 튜브를 가열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튜브에 일루션버퍼(elution buffer)를 포함하는 물질을 넣을 수 있다. 이후에 튜브가 결합된 튜브랙(600)을 진동판(400) 또는 가열체(500)에 설치할 수 있다. 이 때에, 자기체(700)가 튜브랙(600)에서 분리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튜브의 뚜껑은 닫힌 상태일 수 있다. 이후에 커버(1200)를 하우징(1100)의 상부에 설치할 수 있다.
사용자가 시작 버튼(1000a)을 누르면 건조단계(S2300)의 다음 단계인 일루션단계(S2400)에 대한 구동부(200)의 제어정보(예컨대, 구동시간/진동시간)를 기초로 구동부(200)가 구동될 수 있다. 이 때에, 일루션단계(S2400)에 대한 가열체(500)의 제어정보(예컨대, 가열/건조시간 및 가열온도)를 기초로 가열체(500)의 온도가 제어될 수도 있다. 구동부(200)가 구동하여 튜브를 진동시키면 마그네틱 비드에서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이 분리될 수 있다. 또한, 가열체(500)에 의해서 튜브가 가열되면 마그네틱 비드에서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이 더 효과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 때에, 디스플레이부(1300)에는 현재 단계가 표시될 수 있고 진동을 완료하기까지 남은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300)에는 가열 또는 건조를 완료하기까지 남은 시간과 가열체 또는 튜브의 현재온도가 표시될 수 있다.
이후에, 진동판(400) 및 가열체(500)에서 튜브랙(600)을 떼어낼 수 있다. 튜브랙(600)에 자기체(700)가 설치(삽입)된 상태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마그네틱 비드가 튜브의 일측에 모일 수 있다. 이후에 튜브의 뚜껑을 열고 자기체(700)가 설치(삽입)된 튜브랙(600)에서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을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방법(2000)이 라이시스&바인딩단계(S2100), 세정단계(S2200), 건조단계(S2300) 및 일루션단계(S2400)를 포함하고 각 단계에서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장치(10)를 사용하여 튜브를 진동시키거나 가열하므로,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을 신속하고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장치
100: 베이스 200: 구동부
210: 모터 220: 회전체
230: 동력전달체 300: 지지판
310: 평판부 320: 돌출부
400: 진동판 410: 동력전달관통공
500: 가열체 510: 판부
520: 수용부 600: 튜브랙
610: 튜브결합부 612: 기초부
614: 결합부 620: 지지부
622: 제1지지부 623: 금속
624: 제2지지부 626: 제3지지부
628: 제4지지부 700: 자기체
710: 몸체 712: 단위자석
720: 손잡이 728: 자석
800: 제어부 900: 통신부
1000: 입력부 1100: 하우징
1200: 커버 1300: 디스플레이부
2000: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방법

Claims (15)

  1. 구동부(200);
    상기 구동부(200)에 결합되고 구동부(200)에 의해 소정의 방향으로 진동하는 진동판(400);
    상기 진동판(400)에 결합되어 진동판(400)과 함께 진동하고 열을 전달하거나 발열하는 가열체(500);
    상기 진동판(400) 또는 가열체(500)에 상하방향으로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튜브랙(600, tube rack);
    상기 튜브랙(600)의 측면으로부터 측방으로 탈착가능하게 설치되고 자기력을 제공하는 자기체(700); 및
    상기 구동부(200) 및 상기 가열체(500)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800)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랙(600)에는 시료를 수용하는 한 개 이상의 튜브가 결합되고,
    상기 튜브랙(600)에 결합된 튜브는 상기 가열체(500)와 접하거나 가열체(500)에 가까이 위치하고,
    상기 자기체(700)는, 상기 튜브랙(600)이 상기 진동판(400) 또는 가열체(500)에 탈착되는지 여부와 관계 없이 튜브랙(600)에 탈착가능한,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장치는,
    바닥에 고정되는 베이스(100);
    상기 베이스(100)에 결합되는 지지판(300);
    상기 지지판(300) 또는 상기 진동판(400)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GR); 및
    상기 진동판(400) 또는 상기 지지판(300)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GR)이 삽입되는 가이드홈(GG);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200)는,
    모터(210);
    상기 모터(210)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체(220); 및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서 상기 회전체(220)와 연결되되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동력전달체(230);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판(400)에는 상기 가이드레일(GR)이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력전달홈 또는 동력전달관통공(410)이 형성되고,
    상기 동력전달체(230)는 상기 동력전달홈 또는 동력전달관통공(410)에 삽입되고,
    상기 회전체(220)가 회전하여 상기 동력전달체(230)가 상기 동력전달홈 또는 동력전달관통공(410)의 내측면에 힘을 가하면 상기 진동판(400)이 상기 가이드레일(GR)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진동하는,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체(230)는 상기 회전체(2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동력전달홈 또는 동력전달관통공(410)의 내측면에 접하는 롤러를 포함하는,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홈 또는 동력전달관통공(410)은 상기 진동판(400)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진동판(400)의 진동에 따라 상기 동력전달홈 또는 동력전달관통공(410)이 상기 회전축 상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에, 상기 진동판(400) 및 지지판(300)은 상기 회전축 상의 일지점(CP)으로서 상기 동력전달홈 또는 동력전달관통공(410)의 내부의 일지점(CP)을 지나고 동력전달홈 또는 동력전달관통공(410)의 연장방향 및 진동판(400)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면(S)에 의해 양쪽으로 나누어지고,
    상기 가이드레일(GR)은 상기 지지판(300) 또는 진동판(400)의 상기 양쪽에 모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GG)은 상기 진동판(400) 또는 지지판(300)의 상기 양쪽에 모두 형성되는,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300) 또는 진동판(400)의 상기 양쪽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GR)은 상기 일지점(CP)을 지나는 일직선(L) 상에 위치하고 상기 일직선(L)을 따라 연장되는,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300) 및 진동판(400)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레일(GR)은 상기 지지판(300)의 상면에 형성되거나 상기 진동판(400)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GG)은 상기 진동판(400)의 하면에 형성되거나 상기 지지판(300)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동력전달홈은 상기 진동판(400)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동력전달체(230)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장치는,
    바닥에 고정되는 베이스(100);
    상기 베이스(100)에 결합되는 지지판(300);
    상기 지지판(300) 또는 상기 진동판(400)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GR); 및
    상기 진동판(400) 또는 상기 지지판(300)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GR)이 삽입되는 가이드홈(GG);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200)에 의해 상기 진동판(400)에 힘이 가해지면 상기 진동판(400)은 상기 가이드레일(GR)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진동하고,
    상기 진동판(400)은 제1방향 및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 연장되되 제1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레일(GR)은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열체(500)는 상기 튜브의 적어도 일부분을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부(520)를 포함하는,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튜브랙(600)은,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초부(612) 및 상기 기초부(612)로부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돌출되어 기초부(612)의 양쪽에 각각 형성되고 한 개 이상의 상기 튜브와 결합되는 결합부(61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튜브결합부(610); 및
    상기 튜브결합부(610)와 상기 자기체(700)를 지지하는 지지부(620)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체(700)는 상기 기초부(612) 양쪽의 상기 결합부(614)에 결합되는 상기 튜브 사이에 설치되는,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614)는 한 개 이상의 튜브고정클립(CL)을 포함하고,
    상기 튜브고정클립(CL)은 링 형태를 가지되 상기 기초부(612)로부터 멀리 떨어진 제2방향의 일측부 또는 타측부가 단절되고,
    이에 따라 상기 튜브고정클립(CL)은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단부(E)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단부(E)는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고 상기 튜브고정클립(CL)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자기체(700)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튜브랙(600)에 삽입되는 막대모양의 몸체(710)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710)는 내부에 제1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되 자극이 상기 결합부(614)에 결합되는 상기 튜브를 향하여 배치되는 한 개 이상의 단위자석(712)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단위자석(712)은 N극과 S극이 교번하여 배치되는,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자기체(700)가 상기 튜브랙(60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단위자석(712)과 단위자석(712)이 향하는 상기 튜브 사이에는 상기 지지부(620)가 구비되지 않는,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장치.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자기체(700)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튜브랙(600)에 삽입되는 몸체(710) 및 상기 몸체(710)의 제1방향의 일단에 결합되는 손잡이(720)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체(700)는 상기 튜브랙(600)에 제1방향으로 삽입되고,
    상기 손잡이(720)의 일부분(724, 726)은 상기 자기체(700)가 상기 튜브랙(600)에 완전히 삽입된 경우에만 상기 지지부(620)와 접하고,
    상기 손잡이(720)의 상기 일부분(724, 726)에 자석(728)이 설치되거나, 상기 손잡이(720)의, 상기 일부분(724, 726)과 인접하는 부분에 자석(728)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620) 중에서, 상기 손잡이(720)의 상기 일부분(724, 726)과 접하는 부분에 상기 자석(728)이 붙는 금속(623)이 설치되거나 상기 손잡이(720)의 상기 일부분(724, 726)과 접하는 부분과 인접하는 부분에 상기 자석(728)이 붙는 금속(623)이 설치되는,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800)는 순서가 정해진 복수 개의 단계 별로 상기 구동부(200)의 제어정보 또는 상기 가열체(500)의 온도의 제어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장치는,
    각각의 상기 단계를 개시하기 전에 사용자로부터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신호를 기초로 상기 복수 개의 단계 중에서 다음 단계를 개시하는 스타트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입력부(10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800)가 상기 스타트신호를 전달받으면, 제어부(800)는 상기 복수 개의 단계 중에서 다음 단계에 대한 상기 제어정보를 기초로 상기 구동부(200)를 제어하거나 상기 가열체(500)의 온도를 제어하는,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장치.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4 중에서 어느 한 항의 추출장치를 이용한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방법으로서,
    상기 튜브랙(600)에 결합되는 상기 튜브에 라이시스 버퍼(lysis buffer), 마그네틱 비드(magnetic bead) 및 시료(sample)를 포함하는 물질을 넣고 튜브랙(600)이 상기 진동판(400) 또는 가열체(500)에 설치되고 상기 자기체(700)가 튜브랙(60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200)를 이용하여 튜브랙(600)에 결합된 상기 튜브를 진동시켜서 상기 시료를 용해하고 상기 마그네틱 비드에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을 부착시킨 후에, 상기 자기체(700)를 튜브랙(600)에 설치하여 상기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이 부착된 마그네틱 비드를 튜브에 모으고 나머지를 제거하는 라이시스&바인딩단계(S2100);
    상기 튜브에 세정버퍼(wash buffer)를 포함하는 물질을 넣고 상기 튜브랙(600)이 상기 진동판(400) 또는 가열체(500)에 설치되고 상기 자기체(700)가 튜브랙(60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200)를 이용하여 튜브랙(600)에 결합된 상기 튜브를 진동시켜서 이물질을 분리한 후에, 상기 자기체(700)를 상기 튜브랙(600)에 설치하여 상기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이 부착된 마그네틱 비드를 튜브에 모으고 나머지를 제거하는 세정단계(S2200);
    상기 튜브랙(600)이 상기 진동판(400) 또는 가열체(50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열체(500)의 온도를 제어하여 튜브랙(600)에 결합된 튜브를 건조시키는 건조단계(S2300); 및
    상기 튜브에 일루션버퍼(elution buffer)를 포함하는 물질을 넣고 상기 튜브랙(600)이 상기 진동판(400) 또는 가열체(500)에 설치되고 상기 자기체(700)가 튜브랙(60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200)를 이용하여 튜브랙(600)에 결합된 상기 튜브를 진동시켜서 상기 마그네틱 비드에서 상기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을 분리한 후에, 상기 자기체(700)를 상기 튜브랙(600)에 설치하여 마그네틱 비드를 튜브에 모으고 상기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을 획득하는 일루션단계(S2400);를 포함하는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방법.
KR1020210042292A 2021-03-31 2021-03-31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장치 및 추출방법 KR102526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292A KR102526182B1 (ko) 2021-03-31 2021-03-31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장치 및 추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292A KR102526182B1 (ko) 2021-03-31 2021-03-31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장치 및 추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937A KR20220135937A (ko) 2022-10-07
KR102526182B1 true KR102526182B1 (ko) 2023-04-27

Family

ID=83595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2292A KR102526182B1 (ko) 2021-03-31 2021-03-31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장치 및 추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618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841B1 (ko) * 2011-12-30 2013-07-05 (주)어핀텍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797A (ko) * 2017-06-28 2019-01-07 (주)오상헬스케어 자동화된 핵산 분리 장치
BR112020001252B1 (pt) * 2017-07-21 2023-03-21 Seegene, Inc Módulos para transferir beads magnéticas, sistema automatizado compreendendo as mesmas e método para extração de ácidos nucleicos usando as mesmas
KR102260912B1 (ko) * 2018-09-17 2021-06-07 주식회사 유진셀 자동화된 핵산 추출 시스템
KR102258937B1 (ko) 2019-07-02 2021-06-01 주식회사 제놀루션 핵산 추출 장치 및 핵산 추출 장치의 구동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841B1 (ko) * 2011-12-30 2013-07-05 (주)어핀텍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937A (ko) 2022-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95971C2 (ru) Сушильная машина для белья с вибрирующим ворсовым фильтром
US9677217B2 (en)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526182B1 (ko)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장치 및 추출방법
KR101282841B1 (ko) 핵산 또는 생물학적 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20129873A (ko) 샘플을 수용한 테스트 튜브를 진동시키기 위한 장치
TWM352346U (en) Dehydrating structure
CN107760561B (zh) 核酸提取装置及核酸提取方法
CN113371868A (zh) 一种纺织用废水处理装置
KR102052970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99322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258937B1 (ko) 핵산 추출 장치 및 핵산 추출 장치의 구동 제어 방법
JP3577043B2 (ja) パワーブラシを備えた真空清掃機の吸入ヘッド
EP1479812A1 (en) Damper for washing machine
KR102089598B1 (ko) 휴대식 세탁 유닛
CN208717331U (zh) 磁吸移液器
KR102159583B1 (ko) 핵산 추출 단일 카트리지 및 핵산 추출 장치
JP2002300750A (ja) 通風冷却式回転電機の鉄粉除去装置
CN208172413U (zh) 一种眼镜清洗设备
CN109812995B (zh) 一种用于清理太阳能热水器的清洁装置
JP2007319172A (ja) 洗濯機
CN106579658B (zh) 一种鞋子加工用清渣除湿设备
CN210144615U (zh) 适用于扫帚的挤水结构及清扫用具
KR101705188B1 (ko) 전처리 기능을 갖는 세탁장치
JP2009066476A (ja) 液体中の磁性粒子の集合/分散方法及び装置
KR102491471B1 (ko) 세탁물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