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5862B1 - 콧물 흡수용 코마개 - Google Patents

콧물 흡수용 코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5862B1
KR102525862B1 KR1020150160783A KR20150160783A KR102525862B1 KR 102525862 B1 KR102525862 B1 KR 102525862B1 KR 1020150160783 A KR1020150160783 A KR 1020150160783A KR 20150160783 A KR20150160783 A KR 20150160783A KR 102525862 B1 KR102525862 B1 KR 102525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se
mucus
nasal
absorbent member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0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7538A (ko
Inventor
이정우
Original Assignee
이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우 filed Critical 이정우
Priority to KR1020150160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5862B1/ko
Publication of KR20170057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7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5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5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1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with absorben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의 하부에 위치되어 코의 내부에서 흘러나오는 콧물 등의 액상물질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되, 비강 내에 삽입하지 않고도 코에서 흘러나오는 액상물질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하게 호흡할 수 있도록 한 콧물 흡수용 코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코어를 형성하며 콧물을 포함하는 분비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강화솜으로 이루어지는 원기둥 형상의 내측 흡수부재(11)와; 콧물을 포함하는 분비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일반 솜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측 흡수부재(11)를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진 원통 형상의 외측 흡수부재(12)와, 거즈로 이루어져 상기 외측 흡수부재를 감싸고 있는 보호층(13)으로 이루어진 흡수부(10)와; 상기 내측 흡수부재(11)의 길이 방향 양측에 각각 고정되고 귀에 걸려 상기 흡수부(10)가 코의 하부에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한 쌍의 고리부재(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콧물 흡수용 코마개{Nose Mask for Snivel Absorption}
본 발명은 코의 하부에 위치되어 코의 내부에서 흘러나오는 콧물 등의 액상물질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 콧물 흡수용 코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비강 내에 삽입하지 않고도 코에서 흘러나오는 분비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하게 호흡할 수 있도록 한 콧물 흡수용 코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에서는 다양한 분비물이 생성되어 분비되고 있고, 이 분비물은 대부분 자연적으로 증발하지만, 비염이나 코의 수술 등으로 인해 정상적인 생리활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분비액이 대량으로 분비되어 코의 외부로 흘러내리게 된다. 이와 같이 코의 외부로 흘러내리는 분비물을 콧물이라 한다.
코의 안쪽에 적당한 습기를 유지하는 것은 정상적인 코의 생리작용에 반드시 필요하다. 만약, 코 안이 건조할 때는 코 안의 섬모운동이 정지되고 이로 인해 쉽게 염증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코 안의 습기는 체액에서 빠져나온 액체가 주가 되고, 코의 점액선 및 분비세포에서 나오는 액체, 눈물샘에서 나오는 눈물 등이 코로 연결된 관을 통해 콧속으로 공급됨으로써 만들어지고 있다.
한편, 콧속에서 정상적으로 분비되는 분비액은 24시간당 1,000cc이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코에서 정상적인 생리활동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대부분 증발하여 외부로 흘러내리지 않지만, 각종 비염 환자나 코 수술이 끝난 환자의 경우에는 코가 정상적인 생리 활동을 하지 못하게 되어 분비물이 코의 외부로 흘러내리게 되어 미관상 좋지 않음은 물론 호흡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콧물이 많이 흐르는 환자는 코를 자주 풀거나 콧속에 삽입되어 콧물을 흡수하는 기구를 이용하여 콧물을 흡수함으로써 호흡을 편하게 하고 있으나, 코를 자주 풀 경우 코 하부의 피부가 약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기구로 콧물을 흡수하는 경우에도 주기적인 콧물 흡수 작업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십입과정에서 코 내부의 조직이 손상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 마스크로 코의 주변을 가리거나, 코 내부에 삽입되는 흡수체가 포함된 콧물 흡수장치를 이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마스크의 경우에는 단지 콧물이 흐르는 것을 가려주기만 할 뿐이어서 콧물을 자주 닦아 주어야만 하고, 콧물 흡수장치의 경우에는 콧구멍으로 인해 크기가 제한되어 흡수할 수 있는 분비물의 양이 많지 않은 단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한 선행기술을 조사한 결과 다수의 특허문헌이 검색되었으며, 그 중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수납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배터리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동력 전달수단과; 상기 동력 전달수단에 연결되어 외기를 흡입하거나 배출하여 진공을 발생시키는 진공 발생수단과; 상기 진공발생수단과 관로로 연결되며 케이스 외부에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콧물 저장통과; 상기 콧물 저장통의 내측에 결합되어 흡입되는 콧물을 저장통으로 안내하는 콧물 안내 부재와; 상기 콧물 저장통의 외측에 결합되어 콧물의 흡입이 최초로 이루어지는 흡입구와; 상기 진공발생수단에서 진공압이 발생하도록 하거나 진공압을 해제하여 콧물의 흡입 또는 흡입 정지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작동수단을 포함함으로써, 일정한 고압의 흡입력을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완벽하게 콧물을 제거할 수 있으며, 진동을 억제하고 콤팩트한 구조를 갖춘 휴대용 콧물 흡입기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콧물 흡입체, 공기구멍, 흡입체 돌기 등으로 구성되며, 흡입체의 외벽에 나있는 골을 따라 콧물이 흡입체 전체에 빨리 퍼져 흡수되게 하고, 흡입체의 중심에 나 있는 공기구멍을 통하여 숨을 쉴 수 있도록 하며, 흡입체 끝 부위에 달려 있는 흡입체 돌기로 인해 흡입체가 콧구멍 안으로 과도하게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흡입체 돌기를 잡고 위생적이고 쉽게 콧구멍 안으로 투입하거나 빼낼 수 있도록 한, 숨구멍이 있는 콧물 흡수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은 적어도 하나의 섬유질층과; 상기 섬유질층과 연결되어 파지 가능한 그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섬유질층은 압축된 실린더 형태이며, 액체의 흡수에 의해 압축 전의 크기로 팽창하도록 구성됨으로서, 비강에 간편하게 삽입 가능하고 쉽게 이탈되지 않으며, 흡수율을 최대화하여 액체의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콧물흡수용 코마개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KR 10-2001-0077778 A KR 20-2011-0004100 U KR 10-2014-0143621 A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비강 내에 삽입하지 않고 코의 하부에 흘러내리지 않도록 배치되어 코 감기로 인해 지속적으로 흐르는 콧물이나 코 수술로 인해 코의 내부에서 흘러나오는 콧물 등의 분비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얼굴의 미관을 해치지 않고 콧물로 인한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콧물 흡수용 코마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콧물 등의 분비물을 다량으로 흡수하더라도 처지지 않고 필요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콧물 흡수용 코마개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코어를 형성하며 콧물을 포함하는 분비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일반 솜보다 밀도가 높게 압축한 강화솜으로 이루어지는 원기둥 형상의 내측 흡수부재와; 콧물을 포함하는 분비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강화솜보다 밀도가 낮은 일반 솜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측 흡수부재를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진 원통 형상의 외측 흡수부재와, 거즈로 이루어져 상기 외측 흡수부재를 감싸고 있는 보호층으로 이루어진 흡수부와; 상기 내측 흡수부재의 길이 방향 양측에 각각 고정되고 귀에 걸려 상기 흡수부가 코의 하부에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한 쌍의 고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콧물 흡수용 코마개는 코어를 형성하며 콧물을 포함하는 분비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일반 솜보다 밀도가 높게 압축한 강화솜으로 이루어지고 반원형 단면을 갖는 기둥 형상의 내측 흡수부재와, 콧물을 포함하는 분비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강화솜보다 밀도가 낮은 일반 솜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측 흡수부재의 상측을 감싸는 반원기둥 형상의 외측 흡수부재와, 거즈로 이루어져 상기 외측 흡수부재의 상측을 감싸고 있는 보호층으로 이루어진 흡수부와; 코의 하부에 상기 흡수부가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귀에 걸려지는 한 쌍의 고리부재와; 상기 흡수부를 하측에서 지지하며 상기 고리부재가 양단에 고정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콧물 흡수용 코마개에 따르면, 상기 흡수부의 저면에 양면 테이프가 부착되고, 상기 양면 테이프에 의해 흡수부가 상기 받침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콧물 흡수용 코마개는 내측 흡수부재와 외측 흡수부재로 이루어진 흡수부가 코의 하부에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분비물을 흡수하게 되므로, 코에서 나오는 분비물을 다량 흡수할 수 있음은 물론 콧속에 삽입되지 않아 사용자의 호흡이 용이함은 물론 코의 조직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콧물 흡수용 코마개에 따르면, 받침부재를 이용하여 흡수부를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분비물이 다량 흡수된 흡수부가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착탈 가능한 흡수부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콧물 흡수용 코마개가 도시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인 흡수부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콧물 흡수용 코마개의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콧물 흡수용 코마개의 다른 예가 도시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예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콧물 흡수용 코마개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콧물 흡수용 코마개는 도 1과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를 형성하며 콧물을 포함하는 분비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일반 솜보다 밀도가 높게 압축한 강화솜으로 이루어지는 원기둥 형상의 내측 흡수부재(11)와, 콧물을 포함하는 분비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강화솜보다 밀도가 낮은 일반 솜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측 흡수부재(11)를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진 원통 형상의 외측 흡수부재(12)와, 거즈로 이루어져 상기 외측 흡수부재를 감싸고 있는 보호층(13)으로 이루어진 흡수부(10)와; 상기 내측 흡수부재(11)의 길이 방향 양측에 각각 고정되고 귀에 걸려 상기 흡수부(10)가 코의 하부에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한 쌍의 고리부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콧물 흡수용 코마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부(10)가 코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한 후 고리부재(20)를 귀에 걸어주는 방식으로 사용하며, 내측 흡수부재(11)와 외측 흡수부재(12)로 이루어진 흡수부(10)가 코에서 흘러나오는 분비물을 흡수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콧물 흡수용 코마개는 도 4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를 형성하며 콧물을 포함하는 분비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일반 솜보다 밀도가 높게 압축한 강화솜으로 이루어지고 반원형 단면을 갖는 기둥 형상의 내측 흡수부재(11')와, 콧물을 포함하는 분비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강화솜보다 밀도가 낮은 일반 솜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측 흡수부재(11')의 상측을 감싸는 반원기둥 형상의 외측 흡수부재(12')와, 거즈로 이루어져 상기 외측 흡수부재(12')의 상측을 감싸고 있는 보호층(13')으로 이루어진 흡수부(10')와; 코의 하부에 상기 흡수부(10')가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귀에 걸려지는 한 쌍의 고리부재(20)와; 상기 흡수부(10')를 하측에서 지지하며 상기 고리부재(20)가 양단에 고정되는 받침부재(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흡수부(10')의 저면에 양면 테이프(14)가 부착되고, 상기 양면 테이프(14)에 의해 흡수부(10')가 상기 받침부재(25)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콧물 흡수용 코마개의 다른 예에서도 흡수부(10')가 코에서 분비되는 분비물을 흡수하며, 받침부재가 흡수부(10')를 지지하고 있어 흡수부(10')에서 많은 양의 분비물을 흡수하더라도 아래로 처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 상기 흡수부(10')가 많은 양의 분비물을 흡수하여 더 이상의 분비물을 흡수할 수 없게 되면, 상기 흡수부(10')를 받침부재(25)로부터 분리하여 폐기하고 새로운 흡수부(10')를 상기 받침부재(25)에 부착하여 사용하면 된다. 따라서, 하나의 받침부재(25)와 복수의 흡수부(10')를 함께 포장하여 판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몇 가지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10'...흡수부
11, 11'...내측 흡수부재
12, 12'...외측 흡수부대
13, 13'...보호층
14...양면 테이프
20...고리부재
25...받침부재

Claims (3)

  1. 코어를 형성하며 콧물을 포함하는 분비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일반 솜보다 밀도가 높게 압축한 강화솜으로 이루어지고 반원형 단면을 갖는 기둥 형상의 내측 흡수부재(11')와, 콧물을 포함하는 분비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강화솜보다 밀도가 낮은 일반 솜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측 흡수부재(11')의 상측을 감싸는 반원기둥 형상의 외측 흡수부재(12')와, 거즈로 이루어져 상기 외측 흡수부재(12')의 상측을 감싸고 있는 보호층(13')으로 이루어진 흡수부(10')와;
    코의 하부에 상기 흡수부(10')가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귀에 걸려지는 한 쌍의 고리부재(20)와;
    상기 흡수부(10')를 하측에서 지지하며 상기 고리부재(20)가 양단에 고정되는 받침부재(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콧물 흡수용 코마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수부(10')의 저면에 양면테이프(14)가 부착되고, 상기 양면테이프(14)에 의해 흡수부(10')가 상기 받침부재(25)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콧물 흡수용 코마개.
  3. 삭제
KR1020150160783A 2015-11-17 2015-11-17 콧물 흡수용 코마개 KR102525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783A KR102525862B1 (ko) 2015-11-17 2015-11-17 콧물 흡수용 코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783A KR102525862B1 (ko) 2015-11-17 2015-11-17 콧물 흡수용 코마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7538A KR20170057538A (ko) 2017-05-25
KR102525862B1 true KR102525862B1 (ko) 2023-04-26

Family

ID=59051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0783A KR102525862B1 (ko) 2015-11-17 2015-11-17 콧물 흡수용 코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586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7615A (ja) 2000-05-22 2001-11-27 Shizuko Miura 「涙の吸収蓄積・マスク内の衛生保持」用インナーナプキン
JP2009201953A (ja) * 2008-02-26 2009-09-10 Takako Tomura 鼻たれ小僧
JP2011235049A (ja) 2010-04-30 2011-11-24 Tomoko Hirata 湾曲した両面テープ付きソフト圧縮綿鼻水吸い取り
JP2012139449A (ja) * 2011-01-05 2012-07-26 Kinoshita Sewing:Kk 鼻水吸収パッド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2324A (en) * 1992-09-15 1994-05-17 Walthour Charles D Nasal dressing system
KR200188585Y1 (ko) 2000-02-08 2000-07-15 주식회사지인텍 휴대용 콧물 흡입기
KR20090012172U (ko) * 2008-05-26 2009-12-01 송성호 건조압축된 위생 코마개
KR20110004100U (ko) 2009-10-19 2011-04-27 박우민 숨구멍이 있는 콧물 흡수방법 및 장치
KR20140143621A (ko) 2013-06-07 2014-12-17 최환 콧물감기에 사용되는 콧물흡수용 코마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7615A (ja) 2000-05-22 2001-11-27 Shizuko Miura 「涙の吸収蓄積・マスク内の衛生保持」用インナーナプキン
JP2009201953A (ja) * 2008-02-26 2009-09-10 Takako Tomura 鼻たれ小僧
JP2011235049A (ja) 2010-04-30 2011-11-24 Tomoko Hirata 湾曲した両面テープ付きソフト圧縮綿鼻水吸い取り
JP2012139449A (ja) * 2011-01-05 2012-07-26 Kinoshita Sewing:Kk 鼻水吸収パッ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7538A (ko) 2017-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7007B1 (ko) 무음 삼출물 제거
US8439894B1 (en) Negative pressure bandage with internal storage chamber
US10568785B2 (en) Protective cover
CN104905924A (zh) 患者清洗按摩装置
CN108741290A (zh) 一种解决防护服内部温湿度过高的装置与方法
KR102525862B1 (ko) 콧물 흡수용 코마개
CN206924188U (zh) 一种头戴式艾灸装置
CN116271272A (zh) 一种呼吸用气道通畅器
CN212369247U (zh) 一种口腔飞沫防护仪
CN212235432U (zh) 一种儿科医生用吸痰器
CN213432080U (zh) 一种应用于防止飞沫传播的防喷溅吸痰装置
CN204468937U (zh) 一种传染病人用的面罩
CN204521872U (zh) 一种呼吸机鼻塞
CN208372261U (zh) 一种新型经口湿化装置
CN209004960U (zh) 一种变径式气管插管固定器
CN215024416U (zh) 一种内科临床用医疗输氧管
CN209611909U (zh) 可调节鼻塞管长度的吸氧管
CN206473599U (zh) 一种肿瘤科用的积液排放装置
CN209074553U (zh) 一种妇科肿瘤患者检查用阴道扩阴器
CN204428607U (zh) 脑棉片
CN220459443U (zh) 一种口腔种植废液吸取器
CN210811373U (zh) 一种弧刃针刀
CN208464273U (zh) 一种自制切口保护装置
CN211884881U (zh) 一种一次性使用加湿输氧面罩
CN216824416U (zh) 一种改良防压疮面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