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5439B1 - 인공호흡기 회로와 기관내관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인공호흡기 회로와 기관내관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5439B1
KR102525439B1 KR1020220155575A KR20220155575A KR102525439B1 KR 102525439 B1 KR102525439 B1 KR 102525439B1 KR 1020220155575 A KR1020220155575 A KR 1020220155575A KR 20220155575 A KR20220155575 A KR 20220155575A KR 102525439 B1 KR102525439 B1 KR 102525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groove
inner tube
respirator
respiratory
connection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5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덕
Original Assignee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filed Critical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Priority to KR1020220155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54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5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5439B1/ko
Priority to PCT/KR2023/018524 priority patent/WO202410699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8Bellows; Connecting tubes ; Water traps; Patient circuits
    • A61M16/0816Joints or conn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51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with alarm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63Tracheal tubes combined with suction tubes, catheters or the like; Outside conn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65Tracheostomy tubes; Devices for performing a tracheostomy; Accessories therefor, e.g. masks,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39/1011Locking means for securing connection; Additional tamper safe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2039/1044Verifying the connection, e.g. audible feedback, tactile feedback, visual feedback, using external light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2039/1077Adapters, e.g. couplings adapting a connector to one or several other conn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호흡기 회로와 기관내관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인공호흡기 회로에 구비되고, 일측 끝단에서 안쪽을 향해 일직선으로 형성되다가 수직으로 절곡된 제1가이드홈이 형성된 호흡기측 연결캡과; 기관내관에 구비되고, 일측 끝단에서 안쪽을 향해 일직선으로 형성되다가 수직으로 절곡된 제1가이드홈이 형성된 내관측 연결캡과; 상기 호흡기측 연결캡의 제1가이드홈과 상기 내관측 연결캡의 제1가이드홈에 각각 삽입되어 이동하는 호흡기측 돌기와 내관측 돌기가 양단에 구비된 커넥터;로 구성되어, 커넥터를 중심으로 호흡기측 연결캡과 내관측 연결캡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면서 그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공호흡기 회로와 기관내관의 결합구조{Combination structure of ventilator circuit and endotracheal tube}
본 발명은 인공호흡기 회로와 기관내관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공호흡기 회로와 기관내관을 용이하게 연결시키고, 연결된 상태가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인공호흡기 회로와 기관내관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인공호흡기(ventilator)는 호흡에 필요한 공기나 기체를 폐에 들어오고 나가도록 하여 인공적인 호흡조절(기계환기)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기계이다. 자발적으로 호흡을 할 수 없거나, 호흡이 불충분한 환자에게 인공호흡기를 적용할 수 있다. 인공호흡기는 주로 중환자 치료, 가정간호, 응급 치료, 마취 과정에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기관내관(Endotracheal tube)은 무의식 환자의 호흡 통로를 유지시키고, 환자에게 산소 등을 직접 전달하기 위해 인공호흡기와 연결하여 환자의 호흡기 내에 삽입하는데, 의도치 않게 인공호흡기 회로와 기관내관의 연결상태가 해제되어 환자에게 산소공급이 중지됨으로써 환자의 생명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그러나, 현재는 인공호흡기와 기관내관의 연결이 단순 삽입방식이어서 인공호흡기와 기관내관의 분리를 완벽하게 막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등록특허 10-2421146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인공호흡기 회로와 기관내관 사이를 커넥터로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 상태가 쉽게 해제되지 않는 인공호흡기 회로와 기관내관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커넥터의 양쪽에 결합된 인공호흡기 회로와 기관내관이 분리되려는 움직임을 보일 때 이를 신속하게 감지하여 후속조치를 할 수 있는 인공호흡기 회로와 기관내관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인공호흡기 회로와 기관내관의 결합구조는 인공호흡기 회로에 구비되고, 일측 끝단에서 안쪽을 향해 일직선으로 형성되다가 수직으로 절곡된 제1가이드홈이 형성된 호흡기측 연결캡과; 기관내관에 구비되고, 일측 끝단에서 안쪽을 향해 일직선으로 형성되다가 수직으로 절곡된 제1가이드홈이 형성된 내관측 연결캡과; 상기 호흡기측 연결캡의 제1가이드홈과 상기 내관측 연결캡의 제1가이드홈에 각각 삽입되어 이동하는 호흡기측 돌기와 내관측 돌기가 양단에 구비된 커넥터;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커넥터는 호흡기측 돌출링과 내관측 돌출링이 외주면에서 일정높이로 돌출되게 형성된 센터바와; 상기 호흡기측 돌출링을 둘러싸고, 상기 센터바를 향해 절곡된 호흡기측 절곡링이 일측 끝단에 구비되며, 상기 호흡기측 돌기가 타측 끝단에 구비된 호흡기측 어댑터와; 상기 내관측 돌출링을 둘러싸고, 상기 센터바를 향해 절곡된 내관측 절곡링이 일측 끝단에 구비되며, 상기 내관측 돌기가 타측 끝단에 구비된 내관측 어댑터와; 상기 호흡기측 돌출링과 호흡기측 절곡링 사이에 설치되는 호흡기측 스프링과; 상기 내관측 돌출링과 내관측 절곡링 사이에 설치되는 내관측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호흡기측 연결캡에는 상기 제1가이드홈의 끝단에서 안쪽을 향해 일직선으로 형성되다가 수직으로 절곡된 제2가이드홈이 더 형성되어 상기 호흡기측 돌기가 제2가이드홈 내에서 이동하고, 상기 내관측 연결캡에는 상기 제1가이드홈의 끝단에서 안쪽을 향해 일직선으로 형성되다가 수직으로 절곡된 제2가이드홈이 더 형성되어 상기 내관측 돌기가 제2가이드홈 내에서 이동한다.
또한, 상기 호흡기측 연결캡의 제1가이드홈과 제2가이드홈의 연결부위 및 상기 내관측 연결캡의 제1가이드홈과 제2가이드홈의 연결부위에는 접촉센서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접촉센서에 호흡기측 돌기 또는 내관측 돌기가 접촉될 때 알람부를 ??해 외부에 알람이 발신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인공호흡기 회로와 기관내관의 결합구조는 중간부분이 90도 절곡된 형상의 제1가이드홈 내에 돌기를 밀어 넣음으로써, 커넥터를 중심으로 호흡기측 연결캡과 내관측 연결캡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면서 그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외력이 작용하면 센터바를 중심으로 양쪽에 설치된 호흡기측 어댑터와 내관측 어댑터가 센터바를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뿐만 아니라 호흡기측 스프링과 내관측 스프링이 외력을 일정부분 흡수함으로써 호흡기측 연결캡과 내관측 연결캡이 커넥터에서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접촉센서에 돌기가 접촉되면 알람신호를 발신하므로 커넥터를 중심으로 결합된 호흡기측 연결캡과 내관측 연결캡이 분리되기 전에 이를 파악하여 신속하게 후속조치를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인공호흡기 회로와 기관내관 사이에 커넥터가 설치된 모습을 보인 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인공호흡기 회로와 기관내관의 결합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인공호흡기 회로와 기관내관의 결합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인공호흡기 회로와 기관내관의 결합구조의 센서와 알람부의 모습을 보인 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인공호흡기 회로와 기관내관의 결합구조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인공호흡기 회로와 기관내관 사이에 커넥터가 설치된 모습을 보인 도이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인공호흡기 회로와 기관내관의 결합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인공호흡기 회로와 기관내관의 결합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인공호흡기 회로와 기관내관의 결합구조의 센서와 알람부의 모습을 보인 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인공호흡기 회로와 기관내관의 결합구조는 인공호흡기 회로(A)에 구비되는 호흡기측 연결캡(10)과, 기관내관(B)에 구비되는 내관측 연결캡(20)과, 상기 호흡기측 연결캡(10)과 내관측 연결캡(20)을 연결하는 커넥터(30)로 구성된다.
상기 호흡기측 연결캡(10)은 내측면에 제1가이드홈(11)과 제2가이드홈(12)이 형성된다.
상기 제1가이드홈(11)은 커넥터(30)와 접하는 호흡기측 연결캡(10)의 일측 끝단에서 안쪽을 향해 일직선으로 형성되다가 수직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즉 제1가이드홈(11)은 한글의 'ㄴ'자와 같은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2가이드홈(12)은 제1가이드홈(11)과 연결되는 것으로서, 제1가이드홈(11)의 끝단에서 안쪽을 향해 일직선으로 형성되다가 수직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즉 제2가이드홈(12)도 제1가이드홈(11)과 마찬가지로 한글의 'ㄴ'자와 같은 형상을 갖는다.
상기 내관측 연결캡(20)은 내측면에 제1가이드홈(21)과 제2가이드홈(22)이 형성된다.
상기 제1가이드홈(21)은 커넥터(30)와 접하는 내관측 연결캡(20)의 일측 끝단에서 안쪽을 향해 일직선으로 형성되다가 수직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즉, 내관측 연결캡(20)의 제1가이드홈(21)은 호흡기측 연결캡(10)의 제1가이드홈(11)과 같은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2가이드홈(22)은 제1가이드홈(21)과 연결되는 것으로서, 제1가이드홈(21)의 끝단에서 안쪽을 향해 일직선으로 형성되다가 수직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즉 내관측 연결캡(20)의 제2가이드홈(22)은 호흡기측 연결캡(10)의 제2가이드홈(12)과 같은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30)는 호흡기측 연결캡(10)과 내관측 연결캡(2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호흡기측 연결캡(10)의 제1가이드홈(11)과 내관측 연결캡(20)의 제1가이드홈(21)에 각각 삽입되어 이동하는 호흡기측 돌기(32b)와 내관측 돌기(33b)가 양단에 구비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커넥터(30)는 센터바(31)와, 상기 센터바(31)의 절반정도를 둘러싸고 호흡기측 연결캡(10)에 결합되는 호흡기측 어댑터(32)와, 상기 센터바(31)의 나머지 절반정도를 둘러싸고 내관측 연결캡(20)에 결합되는 내관측 어댑터(33)와, 상기 센터바(31)을 둘러싸게 설치되는 호흡기측 스프링(34)과, 상기 센터바(31)를 둘러싸게 설치되는 내관측 스프링(35)으로 구성된다.
상기 센터바(31)는 커넥터(30)의 중간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그 형태는 원기둥 형태를 취하고 외주면에 일정높이로 돌출된 호흡기측 돌출링(31a)과 내관측 돌출링(31b)이 형성된다.
상기 호흡기측 돌출링(31a)은 센터바(31)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환형(環形)의 링 형태로 형성되되 호흡기측 연결캡(10)에 가까운 곳에 형성된다.
상기 내관측 돌출링(31b)은 호흡기측 돌출링(31a)과 일정거리 이격되는 센터바(31)의 외주면에 환형(環形)의 링 형태로 형성되되 내관측 연결캡(20)에 가까운 곳에 형성된다.
상기 호흡기측 어댑터(32)는 호흡기측 돌출링(31a)을 둘러싸는 것으로서, 내경이 호흡기측 돌출링(31a)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호흡기측 돌출링(31a)의 외주면이 내주면에 접한다.
이러한 호흡기측 어댑터(32)의 일측 끝단에는 호흡기측 절곡링(32a)이 구비된다. 상기 호흡기측 절곡링(32a)은 호흡기측 어댑터(32)의 일측 끝단에서 센터바(31)를 향해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호흡기측 어댑터(32)의 타측 끝단 외주면에는 호흡기측 돌기(32b)가 구비된다. 상기 호흡기측 돌기(32b)는 호흡기측 연결캡(10)의 제1가이드홈(11)과 제2가이드홈(12)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한다.
상기 내관측 어댑터(33)는 내관측 돌출링(31b)을 둘러싸는 것으로서, 내경이 내관측 돌출링(31b)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내관측 돌출링(31b)의 외주면이 내주면에 접한다.
이러한 내관측 어댑터(33)의 일측 끝단에는 내관측 절곡링(33a)이 구비된다. 상기 내관측 절곡링(33a)은 내관측 어댑터(33)의 일측 끝단에서 센터바(31)를 향해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내관측 어댑터(33)의 타측 끝단 외주면에는 내관측 돌기(33b)가 구비된다. 상기 내관측 돌기(33b)는 내관측 연결캡(20)의 제1가이드홈(21)과 제2가이드홈(22)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한다.
여기서, 상기 호흡기측 돌기(32b)와 내관측 돌기(33b)는 각각 한 쌍을 구비하고, 이에 대응하는 호흡기측 연결캡(10)의 제1,2가이드홈(11,12)과 내관측 연결캡(20)의 제1,2가이드홈(21,22)도 각각 한 쌍을 구비하면 커넥터(30)와 호흡기측 연결캡(10) 및 내관측 연결캡(20)의 결합력을 더 높일 수 있다.
상기 호흡기측 스프링(34)은 호흡기측 어댑터(32) 내부에서 센터바(31)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호흡기측 돌출링(31a)과 호흡기측 절곡링(32a) 사이에 설치된다. 이러한 호흡기측 스프링(34)은 인장된 상태로 설치되어 호흡기측 돌출링(31a)과 호흡기측 절곡링(32a)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내관측 스프링(35)은 내관측 어댑터(33) 내부에서 센터바(31)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관측 돌출링(31b)과 내관측 절곡링(33a) 사이에 설치된다. 이러한 내관측 스프링(35)은 인장된 상태로 설치되어 내관측 돌출링(31b)과 내관측 절곡링(33a)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위에서 기재한 것처럼 호흡기측 스프링(34)과 내관측 스프링(35)이 설치되므로, 기관내관(B) 방향으로 당기는 힘이 작용한다면 내관측 어댑터(33)가 기관내관(B)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내관측 절곡링(33a)에 의해 내관측 스프링(35) 압축된다. 이후 외력이 제거되면 내관측 스프링(35)이 복원되면서 내관측 어댑터(33)는 처음 위치로 복귀한다.
그리고, 인공호흡기 회로(A) 쪽을 향해 미는 방향으로 내관측 어댑터(33)에 힘이 작용한다면 내관측 어댑터(33)가 인공호흡기 회로(A) 쪽으로 이동하면서 호흡기측 어댑터(32)를 밀게 되고 호흡기측 절곡링(32a)에 의해 호흡기측 스프링(34)이 압축된다.
한편, 호흡기측 연결캡(10)의 제1가이드홈(11)과 제2가이드홈(12)의 연결부위에는 접촉센서(S)가 설치된다. 따라서 호흡기측 어댑터(32)와 호흡기측 연결캡(10)을 결합하여 호흡기측 돌기(32b)가 호흡기측 연결캡(10)의 제2가이드홈(12) 가장 안쪽까지 삽입된 상태에서, 환자의 움직임이나 그 밖의 외력이 작용하여 호흡기측 어댑터(32)와 호흡기측 연결캡(10)이 분리되려고 하면, 제2가이드홈(12) 가장 안쪽에 있는 호흡기측 돌기(32b)가 제2가이드홈(12)을 따라 이동한 후 제1가이드홈(11) 내부로 삽입되는데, 이때 접촉센서(S)에 호흡기측 돌기(32b)가 접촉되어 이를 감지한다.
이렇게 접촉센서(S)가 호흡기측 돌기(32b)를 감지하면 알람부(40)를 통해 외부에 소리를 발신하거나 불빛을 점멸시키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알람을 발신하여 환자 주위의 보호자들이 알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알람부(40)는 환자가 입원한 병실의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고, 인공호흡장치에 구비될 수도 있는데, 이 알람부(40)는 통신망을 통해 보호자나 의료진의 휴대 단말기에 알람신호를 보낼 수도 있다.
더불어, 내관측 연결캡(20)의 제1가이드홈(21)과 제2가이드홈(22)의 연결부위에도 접촉센서(S)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내관측 어댑터(33)와 내관측 연결캡(20)을 결합하여 내관측 돌기(33b)가 내관측 연결캡(20)의 제2가이드홈(22) 가장 안쪽까지 삽입된 상태에서, 환자의 움직임이나 그 밖의 외력이 작용하여 내관측 어댑터(33)와 내관측 연결캡(20)이 분리되려고 하면, 제2가이드홈(22) 가장 안쪽에 있는 내관측 돌기(33b)가 제2가이드홈(22)을 따라 이동한 후 제1가이드홈(21) 내부로 삽입되는데, 이때 접촉센서(S)에 내관측 돌기(33b)가 접촉되어 이를 감지한다.
이렇게 접촉센서(S)가 내관측 돌기(33b)를 감지하면 알람부(40)를 통해 외부에 소리를 발신하거나 불빛을 점멸시키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알람을 발신하여 환자 주위의 보호자들이 알 수 있도록 한다.
10: 호흡기측 연결캡 11: 제1가이드홈
12: 제2가이드홈 20: 내관측 연결캡
21: 제1가이드홈 22: 제2가이드홈
30: 커넥터 31: 센터바
31a: 호흡기측 돌출링 31b: 내관측 돌출링
32: 호흡기측 어댑터 32a: 호흡기측 절곡링
32b: 호흡기측 돌기 33: 내관측 어댑터
33a: 내관측 절곡링 33b: 내관측 돌기
34: 호흡기측 스프링 35: 내관측 스프링
A: 인공호흡기 회로 B: 기관내관

Claims (4)

  1. 인공호흡기 회로(A)에 구비되고, 일측 끝단에서 안쪽을 향해 일직선으로 형성되다가 수직으로 절곡된 제1가이드홈(11)이 형성된 호흡기측 연결캡(10)과; 기관내관(B)에 구비되고, 일측 끝단에서 안쪽을 향해 일직선으로 형성되다가 수직으로 절곡된 제1가이드홈(21)이 형성된 내관측 연결캡(20)과; 상기 호흡기측 연결캡(10)의 제1가이드홈(11)과 상기 내관측 연결캡(20)의 제1가이드홈(21)에 각각 삽입되어 이동하는 호흡기측 돌기(32b)와 내관측 돌기(33b)가 양단에 구비된 커넥터(30);로 구성되되,
    상기 커넥터(30)는 호흡기측 돌출링(31a)과 내관측 돌출링(31b)이 외주면에서 일정높이로 돌출되게 형성된 센터바(31)와;
    상기 호흡기측 돌출링(31a)을 둘러싸고, 상기 센터바(31)를 향해 절곡된 호흡기측 절곡링(32a)이 일측 끝단에 구비되며, 상기 호흡기측 돌기(32b)가 타측 끝단에 구비된 호흡기측 어댑터(32)와;
    상기 내관측 돌출링(31b)을 둘러싸고, 상기 센터바(31)를 향해 절곡된 내관측 절곡링(33a)이 일측 끝단에 구비되며, 상기 내관측 돌기(33b)가 타측 끝단에 구비된 내관측 어댑터(33)와;
    상기 호흡기측 돌출링(31a)과 호흡기측 절곡링(32a) 사이에 설치되는 호흡기측 스프링(34)과;
    상기 내관측 돌출링(31b)과 내관측 절곡링(33a) 사이에 설치되는 내관측 스프링(3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호흡기 회로와 기관내관의 결합구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흡기측 연결캡(10)에는 상기 제1가이드홈(11)의 끝단에서 안쪽을 향해 일직선으로 형성되다가 수직으로 절곡된 제2가이드홈(12)이 더 형성되어 상기 호흡기측 돌기(32b)가 제2가이드홈(12) 내에서 이동하고,
    상기 내관측 연결캡(20)에는 상기 제1가이드홈(21)의 끝단에서 안쪽을 향해 일직선으로 형성되다가 수직으로 절곡된 제2가이드홈(22)이 더 형성되어 상기 내관측 돌기(33b)가 제2가이드홈(22) 내에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호흡기 회로와 기관내관의 결합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호흡기측 연결캡(10)의 제1가이드홈(11)과 제2가이드홈(12)의 연결부위 및 상기 내관측 연결캡(20)의 제1가이드홈(21)과 제2가이드홈(22)의 연결부위에는 접촉센서(S)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접촉센서(S)에 호흡기측 돌기(32b) 또는 내관측 돌기(33b)가 접촉될 때 알람부(40)를 통해 외부에 알람이 발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호흡기 회로와 기관내관의 결합구조.
KR1020220155575A 2022-11-18 2022-11-18 인공호흡기 회로와 기관내관의 결합구조 KR102525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5575A KR102525439B1 (ko) 2022-11-18 2022-11-18 인공호흡기 회로와 기관내관의 결합구조
PCT/KR2023/018524 WO2024106994A1 (ko) 2022-11-18 2023-11-17 인공호흡기 회로와 기관내관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5575A KR102525439B1 (ko) 2022-11-18 2022-11-18 인공호흡기 회로와 기관내관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5439B1 true KR102525439B1 (ko) 2023-04-24

Family

ID=86141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5575A KR102525439B1 (ko) 2022-11-18 2022-11-18 인공호흡기 회로와 기관내관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25439B1 (ko)
WO (1) WO202410699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06994A1 (ko) * 2022-11-18 2024-05-23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인공호흡기 회로와 기관내관의 결합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43603B1 (en) * 1998-10-09 2002-02-05 Fisher & Paykel Limited Connector
CN201603229U (zh) * 2010-02-05 2010-10-13 赖连枪 一种便拆卸呼吸球囊
CN209092467U (zh) * 2018-04-04 2019-07-12 西安交通大学医学院第一附属医院 用于呼吸机管路的防脱落固定套
KR20220022000A (ko) * 2020-08-14 2022-02-23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호흡기용 어댑터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036B1 (ko) * 2008-05-07 2014-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튜브 연결용 커넥터
KR102525439B1 (ko) * 2022-11-18 2023-04-24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인공호흡기 회로와 기관내관의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43603B1 (en) * 1998-10-09 2002-02-05 Fisher & Paykel Limited Connector
CN201603229U (zh) * 2010-02-05 2010-10-13 赖连枪 一种便拆卸呼吸球囊
CN209092467U (zh) * 2018-04-04 2019-07-12 西安交通大学医学院第一附属医院 用于呼吸机管路的防脱落固定套
KR20220022000A (ko) * 2020-08-14 2022-02-23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호흡기용 어댑터 시스템
KR102421146B1 (ko) 2020-08-14 2022-07-15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호흡기용 어댑터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06994A1 (ko) * 2022-11-18 2024-05-23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인공호흡기 회로와 기관내관의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106994A1 (ko) 2024-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5439B1 (ko) 인공호흡기 회로와 기관내관의 결합구조
AU2001278321B2 (en) Universal respiratory device coupler
US8210173B2 (en) Breathing assistance system having integrated electrical conductors communicating data
JP5875940B2 (ja) ガス調整弁を備えた呼吸補助装置と呼吸補助方法
AU2013378605B2 (en) Resuscitation assembly with peep valve
US5620004A (en) Airway indicator device
US9833588B2 (en) Tracheal tube apparatus and methods
US20080078388A1 (en) Patient interface having an integrated system for communicating data to a ventilator
US6527011B1 (en) Flexible retainer ring for duck bill valve
US6206003B1 (en) Mask with integral valve
JP2008539841A (ja) ガス調整弁を備えた呼吸補助装置と呼吸補助方法
JP3209757U (ja) 喉頭鏡
US20210085902A1 (en) Rescue breathing apparatus
WO2016154067A1 (en) Breathing detection apparatus
JP2017513624A (ja) 継手、気管切開チューブ及び気道システム
US20190290876A1 (en) Tracheal tube apparatus and methods
CN104271188A (zh) 具有断开报警的用于呼吸回路的多连接器装置
WO2013142915A1 (en) Endotracheal tube introducer
EP2153859A1 (en) Medical ventilation system
US20170354793A1 (en) Respiratory device to tracheostomy tube connector
RU2734464C1 (ru) Клапан пациента для искусственной вентиляции легких пациента с помощью аппарата искусственной вентиляции легких
JP2000102615A (ja) 呼吸装置
JP6779439B2 (ja) ガス流インジケータ装置
EP0700687A1 (en) Dual one-way valved respiratory "T" with threaded locking female luer connector
Mosley Anesthesia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