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4824B1 - 차양 장치 - Google Patents

차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4824B1
KR102524824B1 KR1020200120818A KR20200120818A KR102524824B1 KR 102524824 B1 KR102524824 B1 KR 102524824B1 KR 1020200120818 A KR1020200120818 A KR 1020200120818A KR 20200120818 A KR20200120818 A KR 20200120818A KR 102524824 B1 KR102524824 B1 KR 102524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sunshade
block
front cov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0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7856A (ko
Inventor
허영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한올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한올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한올산업
Priority to KR1020200120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4824B1/ko
Publication of KR20220037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7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4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4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차양 기능 이외의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차양 장치를 제공한다.
차양 장치는 차양막과 차양막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1 차양모듈 및 제1 차양모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차양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양 장치{Sunshade apparatus}
본 발명은 차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양 장치(Sunshade apparatus)는 건물의 벽면 또는 입구, 창문 등에 설치되어 태양의 직사광선이나 비를 차단하는 장치로서, 까페, 식당, 꽃집, 세탁소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태양의 직사광선이나 비를 차단하는 차양 장치의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 간판의 기능이나 디자인적인 기능을 일부 가지는 차양 장치도 생산되고 있으나, 차양 장치의 형태, 차양 장치를 구성하는 차양막의 면적, 차양 장치가 설치되는 위치 등에 의해 그 기능이 극히 제한적으로만 사용될 수 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양 기능 이외의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차양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 장치는 차양막과 차양막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1 차양모듈 및 제1 차양모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차양모듈을 포함한다.
제2 차양모듈은, 차양막 또는 프레임의 일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바와, 체결바로부터 연장되는 전방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커버는, 체결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은, 체결바를 수용하는 체결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차양모듈은, 체결바를 프레임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차양모듈은, 전방커버의 일단에 결합되는 엔드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엔드바는, 일부분에 배치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엔드바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는, 스토퍼를 착탈 가능하게 수용하는 제1 고정부재와, 전방커버와 차양막이 마주보도록 스토퍼를 착탈 가능하게 수용하는 제2 고정부재 및 엔드바를 착탈 가능하게 수용하는 제3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차양모듈은, 전방커버에 결합되며, 전방커버를 차양막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양 장치는 전방커버 및 전방커버의 일단에 마련되어 차양 장치의 차양막에 탈부착 가능한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전방커버는 길이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는, 차양막의 일측과 타측에 결합되는 제1 블록과, 전방커버의 일측과 타측에 결합되는 제2 블록과, 제1 블록 및 제2 블록을 연결시키는 결합블록 및 제1 블록 및 제2 블록이 결합블록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이탈 방지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이탈 방지 블록은, 결합블록의 상면과 하면, 제1 블록의 일부분 및 제2 블록의 일부분을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차양 장치가 제1 차양 모듈과, 제1 차양 모듈에 착탈 가능한 제2 차양 모듈을 포함하며, 제2 차양 모듈을 통해 간판, 광고, 디자인 기능 등, 차양 기능 이외의 다양한 기능들이 효과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기존에 설치된 차양 장치에 간편하게 설치 가능한 보조 차양 장치를 통해, 저렴한 비용으로 기존의 차양 장치에 간판, 광고, 디자인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 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 장치가 벽체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제1 차양모듈이 접힌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제2 프레임 내부에 결합부재가 삽입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전방커버와 엔드바에 조절블록들이 부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4의 A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9는 스토퍼가 제2 고정부재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단면도이다.
도 10은 스토퍼가 제3 고정부재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b는 제2 프레임의 변형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결합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양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양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차양모듈과 제2 차양모듈이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제2 차양모듈과 체결부재가 제1 차양모듈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a는 도 15의 체결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b는 도 17a의 체결부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8a는 도 15의 체결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b는 도 18a의 체결부재가 전방커버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양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차양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1은 제2 체결프레임의 제3 바디에 엔드바가 접촉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체결프레임에 부착된 체결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a 내지 도 23b는 도 22의 체결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도 22의 체결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도 24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6a 내지 도 26d는 제2 체결프레임이 제1 체결프레임에 결합되는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차양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 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 장치가 벽체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제1 차양모듈이 접힌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 장치(1000)는, 제1 차양모듈(100) 및 제2 차양모듈(200)을 포함한다.
제1 차양모듈(100)은 집, 상가 등의 출입문, 창문의 상부 벽체(W)에 설치되며, 벽체(W)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펼쳐지도록 구성된다.
제1 차양모듈(100)은 제1 프레임(110), 제2 프레임(120), 권취롤(130), 차양막(140), 전동 모터(150), 지지바(160), 보조구(170), 굴절암(180) 및 고정바(190)를 포함한다.
제1 프레임(110)은 벽체(W)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제1 프레임(110)은 제1 바디(112)와, 제1 바디(112)의 일단과 타단으로부터 각각 벤딩된 제2 바디(114) 및 제3 바디(116)를 포함한다.
제1 바디(112)는 벽체(W)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제1 바디(112)는 차양막(140)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진다.
제2 바디(114)는 제1 바디(112)의 일단으로부터 벤딩되며 차양막(140)의 일측을 커버하도록 구성된다. 제2 바디(114)는 지지 기둥(114a) 및 제1 지지바 수용홀(114b)을 포함한다.
지지 기둥(114a)은 제2 바디(114)의 상부에 배치된다. 지지 기둥(114a)은 제2 바디(114)의 내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지지 기둥(114a)은 권취롤(130)의 일단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지지 기둥(114a)은 권취롤(130)의 내주면의 지름과 대응되는 지름을 가진다.
제1 지지바 수용홀(114b)은 제2 바디(114)의 하부에 배치된다. 제1 지지바 수용홀(114b)은 지지바(160)의 둘레와 대응되는 둘레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지지바 수용홀(114b)의 형상을 사각형상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지지바 수용홀(114b)의 형상은 지지바(160)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제3 바디(116)는 제1 바디(112)의 타단으로부터 벤딩되며, 차양막(140)의 타측을 커버하도록 구성된다. 제3 바디(116)는 전동 모터 수용홀(116a) 및 제2 지지바 수용홀(116a)을 포함한다.
전동 모터 수용홀(116a)은 제3 바디(116)의 상부에 배치된다. 전동 모터 수용홀(116a)에는 전동 모터(150)가 관통되며, 전동 모터(150)의 일단을 수용한다.
제2 지지바 수용홀(116b)은 제3 바디(116)의 하부에 배치된다. 제2 지지바 수용홀(116b)은 지지바(160)의 둘레와 대응되는 둘레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지지바 수용홀(116b)의 형상을 사각형상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지지바 수용홀(116b)의 형상은 지지바(160)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제2 프레임(120)은 차양막(140)을 지지하고, 제2 보조구(174)와 결합되며, 제2 차양모듈(200)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제2 프레임(120)은 제2 보조구(174)와 결합된 굴절암(180)의 움직임에 따라 전진되거나 후진될 수 있다.
제2 프레임(120)은 차양막(140)의 폭과 대응되는 폭으로 마련된다. 제2 프레임(120)은 내부가 중공된 원기둥 형상으로 구성된다.
제2 프레임(120)은 제1 체결홈(122), 제2 체결홈(124) 및 결합부재 수용부(126)를 포함한다.
제1 체결홈(122)은 차양막(140)의 타단과 결합되는 고정바(190)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제2 체결홈(124)은 제2 차양모듈(200)의 전방커버(240)와 결합되는 체결바(220)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결합부재 수용부(126)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체결홈(124)의 상부에 배치된다. 결합부재 수용부(126)에는 결합부재(300)의 제2 결합부재(340)가 삽입된다.
제2 프레임(120)은 일측과 타측에 결합되는 사이드캡(128)을 더 포함한다.
사이드캡(128)은 제2 프레임(120)의 내부를 밀폐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2 프레임(120)의 내부에 삽입된 고정바(190), 체결바(220), 제1 결합부재(320) 및 제2 결합부재(340)가 제2 프레임(120)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권취롤(130)은 차양막(140)이 권취되도록 구성된다. 권취롤(130)은 내부가 중공된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된다.
권취롤(130)의 일단은 제1 프레임(110)의 제2 바디(114)의 지지 기둥(114a)에 의해 지지된다. 권취롤(130)의 타단은 전동 모터(150)에 의해 지지된다.
차양막(140)은 전동 모터(150)의 동작에 의해 제1 방향(D1) 및 제1 방향(D1)과 반대되는 제3 방향(D3)으로 접이되면서 제1 차양영역(A1)를 차양하도록 구성된다. 차양막(140)의 일단은 권취롤(130)에 권취되며 차양막(140)의 타단은 고정바(190)에 지지된다.
차양막(140)은 스토퍼(262)가 제2 고정부재(540)에 결합되므로 제2 위치(P2)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차양막(140)은 엔드바(260)가 제3 고정부재(560)에 결합되므로 제2 위치(P2)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전동 모터(150)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차양막(140)이 권취된 권취롤(13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전동 모터(150)는 일부분이 권취롤(130)의 타단에 삽입된다. 권취롤(130)의 타단에 삽입되지 않은 전동 모터(150)의 일부분과 반대되는 타부분은 제1 프레임(110)의 제3 바디(116)의 전동 모터 수용홀(116a)에 지지된다.
전동 모터(150)는 드라이브 휠(152)을 더 포함한다. 드라이브 휠(152)은 전동 모터(150)의 일단에 배치된다.
드라이브 휠(152)은 권취롤(130)의 내주면의 둘레에 대응되는 둘레를 가진다. 드라이브 휠(152)은 전동 모터(150)가 동작되어 발생되는 동력을 전달받아 권취롤(130)을 회전 동작 시키는 구동축의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볼 수 있다.
지지바(160)는 일단과 타단이 제1 프레임(110)에 지지되며, 제1 보조구(172)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지지바(160)는 사각의 바(Bar) 형상으로 마련된다. 지지바(160)는 제1 프레임(110)의 폭보다 긴 폭으로 마련된다.
지지바(160)는 하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돌출부(162)를 더 포함한다. 돌출부(162)에는 고정부재(500)의 제2 고정부재(540)가 부착된다. 돌출부(162)는 제2 고정부재(440)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바(160)를 사각의 바(Bar) 형상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지지바(16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조구(170)는 지지바(160)와 결합되고, 굴절암(180)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보조구(170)는 제1 보조구(172) 및 제2 보조구(174)를 포함한다.
제1 보조구(172)는 지지바(160)와 결합되며, 굴절암(180)의 제1 암(182)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제1 보조구(172)는 관통홀(172a) 및 제1 암 지지부(172b)를 포함한다.
관통홀(172a)은 제1 보조구(172)가 지지바(160)와 결합될 수 있도록 지지바(16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제1 암 지지부(172b)는 제1 보조구(172)의 일측으로부터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제1 암 지지부(172b)는 굴절암(180)의 제1 암(182)의 일부분을 수용한다. 제1 암 지지부(172b)는 제1 암(182)이 회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일면과 타면이 개구된다.
제2 보조구(174)는 제2 프레임(120)에 결합되며, 굴절암(180)의 제2 암(184)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제2 보조구(174)는 제2 암 지지부(174a)를 포함한다.
제2 암 지지부(174a)는 제2 보조구(174)의 일측으로부터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제2 암 지지부(174a)는 굴절암(180)의 제2 암(184)의 일부분을 수용한다. 제2 암 지지부(174a)는 제2 암(184)이 회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일면과 타면이 개구된다.
굴절암(180)은 차양막(140)이 전동 모터(150)에 의해 권취될 때, 제2 프레임(120)이 전동 모터(150)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전진되거나 후진되도록 구성된다.
굴절암(180)은 제1 암(182) 및 제2 암(184)을 포함한다.
제1 암(182)은 제2 암(184)과 결합되며, 차양막(140)과 결합된 제2 프레임(120)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도록 구성된다. 제1 암(182)의 일측은 제1 보조구(172)의 제1 암 지지부(172b)에 지지되고, 타측은 회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2 암(184)과 힌지 결합된다.
제2 암(184)은 제1 암(182)과 결합되며, 차양막(140)과 결합된 제2 프레임(120)을 전동 모터(150)의 움직임에 따라 전진되거나 후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2 암(184)의 일측은 제2 보조구(174)의 제2 암 지지부(174a)에 지지되고, 타측은 회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1 암(182)과 힌지 결합된다.
고정바(190)는 차양막(140)의 타단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고정바(190)는 차양막(140)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마련된다. 고정바(190)는 차양막(140)의 타단을 지지하는 상태로 제2 프레임(120)의 제1 체결홈(122)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제2 차양모듈(200)은 제1 차양모듈(100)과 결합되며, 제1 차양모듈(100)이 설치된 집, 상가 등의 출입문 또는 창문의 전방을 차양하도록 구성된다. 제2 차양모듈(200)은 제1 차양모듈(1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출입문 또는 창문의 전방을 차양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2 차양모듈(200)은 보조 차양 장치의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볼 수 있다. 제2 차양모듈(200)은 제2 방향(D2)으로 펼쳐지도록 구성된다.
제2 차양모듈(200)은 체결바(220), 전방커버(240) 및 엔드바(260)를 포함한다.
체결바(220)는 전방커버(240)의 일단에 결합된다. 체결바(220)는 전방커버(240)의 폭과 대응되는 폭으로 마련된다. 체결바(220)는 전방커버(240)의 일단을 지지한 상태로 제1 차양모듈(100)의 제2 프레임(120)의 제2 체결홈(124)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바(220)의 형상을 원형의 바(bar) 형상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체결바(220)는 타원형, 다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전방커버(240)는 체결바(220)로부터 연장된다. 전방 커버(240)는 제2 방향(D2) 또는 제2 방향(D2)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접이되면서 제1 차양모듈(100)의 전방을 차양하는 제2 차양영역(A2)를 차양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전방커버(240)는 제1 고정부재(520)와 스토퍼(262)가 결합되어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전방커버(240)의 일단은 체결바(220)와 결합되며, 타단은 엔드바(260)와 결합된다.
엔드바(260)는 전방커버(240)의 타단에 결합된다. 엔드바(260)는 전방커버(240)의 폭보다 긴 폭으로 마련된다. 엔드바(260)는 바람 등의 영향에도 전방커버(240)의 움직임이 감소될 수 있도록 무게추의 역할을 가질 수 있다.
엔드바(260)는 스토퍼(262)를 더 포함한다. 스토퍼(26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500)의 제1 고정부재(520)와 결합되어 전방커버(240)를 제1 고정부재(520)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스토퍼(262)는 고정부재(500)의 제1 고정부재(5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일단이 굽어진 후크(262a)를 더 포함한다. 후크(262a)는 제1 고정부재(520)의 접촉부(522a)에 접촉된다. 따라서 스토퍼(262)가 제1 고정부재(52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스토퍼(262)는 고정부재(500)의 제1 고정부재(520) 및 제2 고정부재(540) 중 어느 하나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2 차양모듈(2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스토퍼(262)가 제1 고정부재(520)에 결합되면, 전방커버(240)는 차양막(140)과 90도 이상의 각도를 형성하는 제1 위치(P1)에 배치될 수 있다.
전방커버(24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되면, 바람이나 외력등에 의해 흔들리더라도 제2 차양모듈(200)이 보행자 또는 사물 등에 충돌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스토퍼(262)가 제2 고정부재(540)에 결합되면, 전방커버(240)는 차양막(140)과 대향되는 제2 위치(P2)에 배치될 수 있다.
전방커버(240)가 제2 위치(P2)에 배치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커버(240)와 차양막(140)이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차양 장치(1000)가 설치된 건물의 내부 및 외부로 진입하기 위해 출입문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차양모듈(100)은 제2 차양모듈(200)과 결합된 상태로 제1 방향(D1)과 반대되는 제3 방향(D3)으로 접힐 수 있다. 따라서, 제2 차양모듈(200)은 상가의 영업 시간, 메뉴 등을 게시할 수 있는 광고판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제2 차양모듈(200)은 제1 차양모듈(100)이 설치된 벽체(W)의 하부에 있는 출입문 또는 창문으로 유입되는 비 또는 바람을 차단할 수 있는 블라인드와 같은 보호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제2 차양모듈(200)은 제1 차양모듈(100)이 접힌상태에서 집, 상가 등의 창문의 내부로 들어오는 직사광선이 차단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결합부재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제2 프레임 내부에 결합부재가 삽입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차양 장치(1000)는 제2 차양모듈(200)을 제1 차양모듈(100)의 제2 프레임(120)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결합부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결합부재(300)는 제1 결합부재(320) 및 제2 결합부재(340)를 포함한다.
제1 결합부재(320)는 제1 차양모듈(100)의 제2 프레임(120)의 일단과 타단에 마련된 결합부재 수용부(126)에 삽입된다. 제1 결합부재(320)는 영구 자석으로 마련된다. 제1 결합부재(320)는 제2 결합부재(340)와 서로 반대되는 극이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제2 결합부재(340)는 체결바(220)와 결합된다. 제2 결합부재(340)는 영구 자석으로 마련된다. 제2 결합부재(340)는 제1 결합부재(320)와 서로 반대되는 극이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제2 결합부재(340)는 자력에 의해 제1 결합부재(320)를 향해 근접하게된다. 따라서, 제1 결합부재(320)와 제2 결합부재(340)는 자력에 의해 결합된다. 제2 체결바(340)는 자력에 의해 결합된 제1 결합부재(320) 및 제2 결합부재(340)에 의해 제2 프레임(12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방커버와 엔드바에 부착되는 조절블록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전방커버와 엔드바에 조절블록들이 부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차양모듈(200)은 전방커버(240)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조절블록들(2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절 블록들(280)은 제1 조절블록(282) 및 제2 조절블록(284)을 포함한다.
제1 조절블록(282)은 제2 차양모듈(200)의 엔드바(260)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조절블록(282)은 엔드바(26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제2 조절블록(284)은 제2 차양모듈(200)의 전방커버(240)의 내면에 배치된다. 제2 조절블록(284)은 제1 조절블록(282)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2 조절블록(284)는 제2 방향(D2)으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조절블록(282)은 엔드바(260)의 일측과 타측에 배치된 복수의 제2 조절블록(284)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조절블록(282)이 복수의 제2 조절블록(284)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면, 전방커버(240)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고정부재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도 4의 A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9는 스토퍼가 제2 고정부재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사시도이다. 도 10은 스토퍼가 제3 고정부재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차양 장치(1000)는 고정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500)는 제1 고정부재(520), 제2 고정부재(540) 및 제3 고정부재(560)를 포함한다.
제1 고정부재(5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부착되며, 엔드바(260)의 스토퍼(262)와 결합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제1 고정부재(520)는 제1 스토퍼 수용홈(522)을 포함한다.
제1 스토퍼 수용홈(522)은 엔드바(260)의 스토퍼(262)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일면에서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제1 스토퍼 수용홈(522)은 일면에 돌출 형성된 접촉부(522a)를 포함한다. 접촉부(522a)는 스토퍼(262)의 후크(262a)의 내면의 곡률과 대응되는 곡률로 형성된다. 전방커버(240)는 스토퍼(262)의 후크(262a)가 접촉부(522a)에 접촉되어 제1 고정부재(520)에 고정된다. 따라서, 전방커버(240)의 흔들림이 감소될 수 있다.
제2 고정부재(540)는 제2 차양모듈(200)의 전방커버(240)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제2 고정부재(540)는 제1 고정부재(520)와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고정부재(540)는 지지바(160)의 돌출부(162)에 결합된다.
제2 고정부재(540)는 제2 스토퍼 수용홈(542)을 포함한다.
제2 스토퍼 수용홈(542)은 스토퍼(262)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일면에서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제2 스토퍼 수용홈(542)은 일면에 돌출 형성된 접촉부(542a)를 포함한다. 접촉부(542a)는 스토퍼(262)의 후크(262a)의 내면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로 형성된다.
엔드바(260)의 스토퍼(26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고정부재(540)에 결합된다. 스토퍼(262)가 제2 고정부재(540)에 결합되면, 전방커버(240)는 차양막(140)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방커버(240)가 차양막(140)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면, 차양 장치(1000)가 설치된 건물의 내부 및 외부로 진입하기 위해 출입문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고정부재(56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바(160)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결합된다. 제3 고정부재(560)는 엔드바(260)의 양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일단이 굽어진 형상으로 마련된다. 엔드바(260)가 제3 고정부재(560)에 결합되면, 전방커버(240)가 차양막(140)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방커버(240)가 차양막(140)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면, 차양 장치(1000)가 설치된 건물의 내부 및 외부로 진입하기 위해 출입문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 프레임의 변형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a 내지 도 11b는 제2 프레임의 변형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제2 프레임(600)은 제1 바디(620) 및 제2 바디(6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620)는 제3 체결홈(622) 및 제1 결합홈(6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체결홈(622)은 고정바(190)을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제3 체결홈(622)은 고정바(19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제1 결합홈(624)은 제2 바디(640)가 제1 바디(620)에 결합될 수 있도록 내부로 들어간 홈 형태로 마련된다.
제1 결합홈(624)은 수평면으로부터 제1 각(θ1)을 형성하는 제1 경사부(624a)와, 수평면으로부터 제2 각(θ2)을 형성하는 제2 경사부(624b)를 가진다. 제1 결합홈(624)은 제1 경사부(624a) 및 제2 경사부(624b)를 가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마련된다.
제2 바디(640)는 제1 결합돌기(642) 및 제4 체결홈(644)을 포함한다.
제1 결합돌기(642)는 제1 결합홈(624)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제1 결합돌기(642)는 수평면으로부터 제3 각(θ3)을 형성하는 제3 경사부(642a)와, 수평면으로부터 제4 각(θ4)을 형성하는 제4 경사부(642b)를 가진다.
제1 결합돌기(642)는 제1 바디(620)의 제1 결합홈(624)의 형상에 대응되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마련된다.
제1 결합홈(624)은 사다리꼴 형상에 의해 하부가 상부보다 좁아지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제1 결합돌기(642)가 제1 결합홈(624)에 결합되더라도 제1 결합돌기(642)는 제1 결합홈(624)의 하부로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2 바디(640)는 제1 바디(62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4 체결홈(644)은 제1 결합돌기(642)와 반대되는 제2 바디(640)의 타단에 형성된다. 제4 체결홈(644)은 제2 프레임(120)의 제2 체결홈(124)과 동일한 구조로 마련된다.
도 11b를 참조하면, 제2 프레임(700)은 제3 바디(720) 및 제4 바디(7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바디(720)는 제5 체결홈(722) 및 제2 결합홈(724)을 포함한다.
제5 체결홈(722) 및 제2 결합홈(724)는 도 11a의 제1 바디(620)의 제3 체결홈(622) 및 제1 결합홈(624)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4 바디(740)는 제2 결합돌기(742) 및 복수의 제6 체결홈(744)을 포함한다.
제2 결합돌기(742)는 제3 바디(720)의 제2 결합홈(724)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제2 결합돌기(742)는 수평면으로부터 제7 각(θ7)을 형성하는 제7 경사부(742a)와, 수평면으로부터 제8 각(θ8)을 형성하는 제8 경사부(742b)를 가진다.
제2 결합돌기(742)는 제3 바디(720)의 제2 결합홈(724)의 형상에 대응되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마련된다.
제2 결합홈(724)은 사다리꼴 형상에 의해 하부가 상부보다 좁아지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제2 결합돌기(742)가 제2 결합홈(724)에 결합되더라도 제2 결합돌기(742)는 제2 결합홈(724)의 하부로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4 바디(740)는 제3 바디(72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제6 체결홈(744)은 제2 결합돌기(742)와 반대되는 제4 바디(740)의 타단에 형성된다.
각각의 제6 체결홈(744)이 복수의 개수로 형성되면, 복수의 제6 체결홈(744) 중 어느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외력 등에 의해 복수의 제6 체결홈(744) 중 어느하나가 손상되어도 손상되지 않은 복수의 제6 체결홈(744) 중 다른 하나에 체결바(220)가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결합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2는 결합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결합부재(800)는 체결바(220)에 결합된 상태로 제2 프레임(120)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재(800)는 홀딩부(820)와 파지부(840)를 포함할 수 있다.
홀딩부(820)는 체결바(220)를 홀딩하며 제2 프레임(120)의 제2 체결홈(124)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파지부(840)는 홀딩부(820)의 일단과 타단으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된다.
파지부(840)의 일단은 사용자가 체결바(220)를 제2 프레임(12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밴딩 형성된다. 파지부(840)를 통해 체결바(220)와 전방커버(240)를 제2 프레임(120)으로부터 편리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도 12에 따른 결합부재(800)는 사이드캡(128)을 분리하지 않고 체결바(220)를 제2 프레임(12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방커버(240)를 교체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양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 장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양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양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차양 장치(2000)는 제1 차양모듈(2100) 및 제1 차양모듈에 결합되는 제2 차양모듈(2200)을 포함한다.
도 13 내지 도 14에 개시된 제1 차양모듈(2100)은, 도 1 내지 도 5에 개시된 차양 장치(1000)의 제2 차양모듈(200)에서 체결바(220)와 보조차양막(240)이 추가된 실시예이다.
제1 차양모듈(2100)은 제1 프레임(2110), 제2 프레임(2120), 권취롤(2130), 차양막(2142), 보조차양막(2144), 전동 모터(2150), 지지바(2160), 보조구(2170), 굴절암(2180), 제1 체결바(2192) 및 제2 체결바(2194)를 포함한다.
제1 차양모듈(21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 장치(1000)의 제1 차양모듈(100)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구성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보조차양막(2144)은 제2 체결바(2194)로부터 연장되며, 제1 차양모듈(2100)의 전방을 차양하도록 구성된다. 보조차양막(2144)은 제2 방향(D2)으로 펼쳐진다.
제2 체결바(2194)는 제2 프레임(2120)의 제2 체결홈(2124)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된다. 제2 체결바(2194)는 보조차양막(2144)의 일단에 결합된다.
제2 차양모듈(2200)은 제1 차양모듈(2100)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차양모듈(2100)이 설치된 집, 상가 등의 출입문 또는 창문의 전방을 차양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2 차양모듈(2200)은 보조 차양 장치의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볼 수 있다.
제2 차양모듈(2200)은 제1 차양모듈(2100)에 결합되어 제1 차양모듈(2100)의 전방을 차양하도록 구성된다.
제2 차양모듈(2200)은 전방커버(2210) 및 엔드바(2220)를 포함한다.
전방커버(2210)는 제1 차양모듈(2100)로부터 연장되며, 제1 차양모듈(2100)의 전방을 차양하도록 구성된다. 전방 커버(2210)는 제2 방향(D2)으로 펼쳐진다.
전방커버(2210)의 일단은 보조차양막(2144)과 결합되며, 타단은 엔드바(2220)와 결합된다.
엔드바(2220)는 전방커버(2210)의 타단에 결합된다. 엔드바(2220)는 전방커버(2210)의 폭보다 긴 폭으로 마련된다. 엔드바(2220)는 바람 등의 영향에도 전방커버(2210)의 흔들림이 적어질 수 있도록 무게추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엔드바(2220)는 스토퍼(2222)를 더 포함한다. 스토퍼(2222)는 후술할 고정부재(2400)의 제1 고정부재(2420)에 결합되어 전방커버(2210)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스토퍼(2222)는 제1 고정부재(24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일단이 굽어진 후크(2222a)를 더 포함한다. 후크(2222a)는 제1 고정부재(2420)의 접촉부(2422a)에 접촉된다. 따라서 스토퍼(2222)는 제1 고정부재(242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스토퍼(2222)는 제1 고정부재(2420)와 제2 고정부재(2440) 중 어느 하나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2 차양모듈(22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스토퍼(2222)가 제1 고정부재(2420)에 결합되면, 바람이나 외력등에 의해 제2 차양모듈(2200)이 흔들리더라도 보행자 또는 사물 등과 충돌하여 손상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스토퍼(2222)가 제2 고정부재(2440)에 결합되면, 전방커버(2210)가 차양막(2142)을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차양 장치(2000)가 설치된 건물의 내부 및 외부로 진입하기 위해 출입문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차양모듈과 제2 차양모듈이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제2 차양모듈과 체결부재가 제1 차양모듈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제2 차양모듈(2200)은 전방커버(2210)를 보조차양막(2144)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체결부재(2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재(2230)는 제2 차양모듈(2200)을 제1 차양모듈(2100)에 연결시키며, 제2 차양모듈(2200)이 제1 차양모듈(21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체결부재(2230)는 양면에 접착력을 가지는 양면테이프로 구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2230)는 제2 차양모듈(2200)의 전방커버(2210)의 일단에 부착된다. 체결부재(2230)는 전방커버(2210)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마련된다.
체결부재(2230)를 통해 전방커버(2210)가 보조차양막(2144)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전방커버(2210)가 보조차양막(2144)에 탈부착되는 과정에서 체결부재(2230)의 접착력이 약화되면, 체결부재(2230)를 전방커버(2210)로부터 분리시켜 체결부재(2230)를 교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체결부재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a는 도 15의 체결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7b는 체결부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7a 내지 도 17b를 참조하면, 체결부재(2400)는 보조차양막(2144)과 전방커버(2210)의 일측과 타측에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재(2400)는 제1 블록(2410), 제2 블록(2420), 결합 블록(2430) 및 이탈 방지 블록(2440)을 포함한다.
제1 블록(2410)은 보조차양막(2144)의 일측과 타측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제1 블록(2410)은 제1 바이트(2412) 및 제1 돌기(2414)를 포함한다.
제1 바이트(2412)는 보조차양막(2144)의 일면과 타면을 물기 위한 티스(teeth)로 구성된다. 제1 블록(2410)은 제1 바이트(2412)를 통해 보조차양막(2144)에 강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제1 돌기(2414)는 제1 블록(2410)을 결합 블록(2430)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 제1 돌기(2414)는 결합 블록(2430)의 제1 돌기수용홈(2432)에 슬라이드 결합된다.
제2 블록(2420)은 전방커버(2210)의 일측과 타측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제2 블록(2420)은 제2 바이트(2422) 및 제2 돌기(2424)를 포함한다.
제2 바이트(2422)는 전방커버(2210)의 일면과 타면을 물기 위한 티스(teeth)로 구성된다. 제2 블록(2420)은 제2 바이트(2422)를 통해 전방커버(2210)에 강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제2 돌기(2424)는 제2 블록(2420)을 결합 블록(2430)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 제2 돌기(2424)는 결합 블록(2430)의 제1 돌기수용홈(2432)에 슬라이드 결합된다.
결합 블록(2430)은 제1 블록(2410) 및 제2 블록(2420)을 연결시켜 보조차양막(2144)과 전방커버(2210)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결합 블록(2430)은 제1 돌기수용홈(2432) 및 제2 돌기수용홈(2434)을 포함한다. 제1 돌기수용홈(2432)은 제1 돌기(2414)와 제2 돌기(2424)가 결합 블록(2430)에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 블록(2430)의 일면에서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결합 블록(2430)은 제1 돌기(2414) 및 제2 돌기(2424)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제2 돌기수용홈(2434)은 이탈 방지 블록(2440)의 결합 돌기(2442a)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제2 돌기수용홈(2434)는 결합 블록(2430)의 일면으로부터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탈 방지 블록(2440)은 결합 블록(2430)과 결합된다. 이탈 방지 블록(2440)은 결합 블록(2430)에 슬라이드 결합된 제1 블록(2410) 및 제2 블록(2420)이 결합 블록(243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탈 방지 블록(2440)은 제1 바디(2442) 및 제2 바디(2444)를 포함한다.
제1 바디(2442)는 결합 블록(2430)의 일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제1 바디(2442)는 결합 돌기(2442a)를 포함한다. 결합 돌기(2442a)는 제1 바디(2442)의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결합 돌기(2442a)는 결합 블록(2430)의 제2 돌기수용홈(2434)에 수용된다. 따라서, 이탈 방지 블록(2440)이 결합 블록(243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바디(2444)는 제1 바디(2442)의 일단과 타단으로부터 각각 밴딩 형성된다. 제2 바디(2444)는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블록(2430)의 상면과 하면, 제1 블록(2410)의 상면의 일부 및 제2 블록(2420)의 하면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1 블록(2410) 및 제2 블록(2420)은 결합 블록(243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8a는 도 15의 체결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8b는 도 18a의 체결부재가 전방커버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a 내지 도 18b를 참조하면, 체결부재(2500)는 보조차양막(2144)과 전방커버(2210)에 각각 결합되며, 보조차양막(2144)과 전방커버(2210)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체결부재(2500)는 본체(2520), 제1 홀딩부(2540) 및 제2 홀딩부(25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520)는 제1 홀딩부(2540)와 제2 홀딩부(2560)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제1 홀딩부(2540)는 보조차양막(2144)의 일부분을 홀딩하도록 구성된다. 제1 홀딩부(2540)는 본체(252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제1 홀딩부(2540)는 제1 밴딩부(2542), 제2 밴딩부(2544) 및 제1 홈(2546)을 포함한다.
제1 밴딩부(2542)는 보조차양막(2144)의 일면과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제1 밴딩부(2542)는 제2 밴딩부(2544)와 함께 제1 홈(2546)이 확장될 수 있도록 가압될 수 있다.
제2 밴딩부(2544)는 보조차양막(2144)의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과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제2 밴딩부(2544)는 제1 밴딩부(2542)와 함께 제1 홈(2546)이 확장될 수 있도록 가압될 수 있다.
제1 홈(2546)은 제1 밴딩부(2542)와 제2 밴딩부(2544)의 사이에 형성된다. 제1 홈(2546)에는 보조차양막(2144)의 일부분이 수용될 수 있다.
제2 홀딩부(2560)는 전방커버(2210)의 일부분을 홀딩하도록 구성된다. 제1 홀딩부(2560)는 본체(2560)의 타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제2 홀딩부(2560)는 제3 밴딩부(2562), 제4 밴딩부(2564) 및 제2 홈(2566)을 포함한다.
제3 밴딩부(2562)는 전방커버(2210)의 일면과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제3 밴딩부(2562)는 제4 밴딩부(2564)와 함께 제2 홈(2546)이 확장될 수 있도록 가압될 수 있다.
제4 밴딩부(2564)는 전방커버(2210)의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과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제4 밴딩부(2564)는 제3 밴딩부(2562)와 함께 제2 홈(2566)이 확장될 수 있도록 가압될 수 있다.
제2 홈(2566)은 제3 밴딩부(2562)와 제4 밴딩부(2564)의 사이에 형성된다. 제2 홈(2566)에는 전방커버(2210)의 일부분이 수용될 수 있다.
제1 홀딩부(2540)와 제2 홀딩부(2560)는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되므로, 제1 홀딩부(2540)와 제2 홀딩부(2560)가 반전되도록 회전되어 사용될 수 있다. 체결부재(2500)가 반전되도록 회전되면, 제1 홀딩부(2540)가 전방커버(2210)를 홀딩하고, 제2 홀딩부(2560)가 보조차양막(2144)를 홀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양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양 장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양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차양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1은 제2 체결프레임의 제3 바디에 엔드바가 접촉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차양 장치(3000)는 제1 차양모듈(3100), 제2 차양모듈(3200)을 포함한다.
제1 차양모듈(3100)은 제1 프레임(3110), 제2 프레임(3120), 권취롤(3130), 차양막(3142), 보조차양막(3144), 전동 모터(3150), 지지바(3160), 보조구(3170), 굴절암(3180), 제1 체결바(3192) 및 제2 체결바(3194)를 포함한다.
제1 차양모듈(310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양 장치(2000)의 제1 차양모듈(2100)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구성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차양모듈(3200)은 제1 차양모듈(3100)과 결합되며, 제1 차양모듈(3100)이 설치된 집, 상가 등의 출입문 또는 창문의 전방을 차양하도록 구성된다.
제2 차양모듈(3200)은 제1 체결프레임(3220), 제2 체결프레임(3240), 전방커버(3260) 및 엔드바(3280)를 포함한다.
제1 체결프레임(3220)은 보조차양막(3144)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제1 체결프레임(3220)은 연결부(3222) 및 제1 체결부(3224)를 포함한다.
연결부(3222)는 보조차양막(3144)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연결부(3222)는 보조차양막(3144)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진다.
제1 체결부(3224)는 연결부(3222)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제1 체결부(3224)는 제2 체결프레임(3220)을 지지하며 제2 체결프레임(3240)의 제2 체결부(3242)와 분리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제2 체결프레임(3240)은 제1 체결프레임(3220)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전방커버(326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제2 체결프레임(3240)은 제2 체결부(3242), 전방커버 수용부(3244), 사이드커버(3246) 및 핸들(3248)을 포함한다.
제2 체결부(3242)는 제1 체결부(3224)에 지지되며, 제1 체결부(3224)와 분리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제2 체결부(3242)는 전방커버 수용부(3244)와 함께 전방커버(3260)가 인출될 수 있는 인출구(3240a)를 형성한다.
전방커버 수용부(3244)는 제2 체결부(3242)로부터 연장되는 제1 바디(3244a)와 제1 바디(3244a)의 일단에서 밴딩된 제2 바디(3244b) 및 제2 바디(3244b)의 일단으로부터 밴딩된 제3 바디(3244c)를 포함한다.
제1 바디(3244a)는 제2 체결부(3242)로부터 연장된다. 제1 바디(3244a)는 제2 체결부(3242)와 함께 제1 체결프레임(3220)의 연결부(3222)에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제2 바디(3244b)는 제1 바디(3244a)의 일단으로부터 밴딩 형성된다. 제2 바디(3244b)는, 전방커버(3260)가 전방커버 수용부(3244)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전방커버(3260)의 상부를 폐쇄한다.
제3 바디(3244c)는 제2 바디(3244b)의 일단으로부터 밴딩 형성된다. 제3 바디(3244c)는 제2 체결부(3242)와 함께 인출구(3240a)를 형성한다.
제3 바디(3244c)의 단부는 제2 체결부(3242)의 상면보다 낮아지도록 형성된다. 이는, 제3 바디(3244c)의 단부가 제2 체결부(3242)의 상면보다 높아지도록 형성되었을 때 보다 제3 바디(3244c)의 단부와 제2 체결부(3242)의 사이의 공간이 좁아지게 되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따라서, 전방커버(3260)가 가이드되는 공간이 협소하여지므로, 전방커버(3260)가 인출구를 통해 인출될 때, 큰 폭으로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인출될 수 있다.
사이드커버(3246)는 제2 체결프레임(322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된다.
사이드커버(3246)는 제2 체결프레임(3220)에 수용된 전방커버(3260)를 지지하며, 전방커버(3260)가 제2 체결프레임(322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사이드커버(3246)는 제1 사이드커버(3246a) 및 제2 사이드커버(3246b)를 포함한다.
제1 사이드커버(3246a)는 제2 체결프레임(3240)의 일측을 커버하며, 전방커버(3260)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제1 사이드커버(3246a)는 지지부(3246a1)를 더 포함한다.
지지부(3246a1)는 제1 사이드커버(3246a)의 내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마련된다. 지지부(3246a1)는 전방커버(3260)의 권취롤(3262)의 일측과 타측에 삽입되어 전방커버(326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제2 사이드커버(3246b)는 제2 체결프레임(3240)의 타측을 커버하도록 구성된다.
제2 사이드커버(3246b)는 전방커버(3260)의 권취롤(3260a)과 연통되는 관통홀(3246b1)을 포함한다. 관통홀(3246b1)에는 핸들(3248)의 회전축(3248b)이 통과된다.
핸들(3248)은 권취롤(3260a)을 회전시켜 전방커버(3260)가 인입되거나 인출되도록 구성된다.
핸들(3248)은 파지부(3248a) 및 회전축(3248b)을 포함한다.
파지부(3248a)는 사용자가 핸들(3248)을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회전축(3248b)은 제2 사이드커버(3246b)의 관통홀(3246b1)을 통과하며, 권취롤(3260a)의 타단에 삽입된다. 회전축(3248b)은 파지부(3248a)의 회전 동작에 연동되어 권취롤(3260a)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전방커버(3260)는 제2 체결프레임(3240)에 결합되며 핸들(3248)을 통해 길이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전방커버(3260)의 일단은 권취롤(3260a)에 권취되며 타단은 엔드바(3280)에 결합된다.
전방커버(3260)는 권취롤(3260a)을 포함한다.
권취롤(3260a)에는 전방커버(3260)의 일단이 권취되며, 핸들(3248)을 통해 전방커버(3260)가 인출되거나 인입되도록 구성된다. 권취롤(3260a)은 내부가 중공된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된다.
권취롤(3260a)의 일단은 제1 사이드커버(3246a)의 지지부(3246a1)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은 제2 사이드커버(3246b)의 관통홀(3246b1)을 통과한 핸들(3248)의 회전축(3248b)에 의해 지지된다.
엔드바(3280)는 전방커버(3260)의 타단에 결합된다. 엔드바(3280)는 전방커버(3260)의 폭보다 긴 폭으로 마련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드바(3280)는 인출되어 있는 전방커버(3260)가 다시 인입될 때, 제2 체결프레임(3240)의 제3 바디(3244c)에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전방커버 수용부(3244)의 내부로 인입된 전방커버(3260)를 다시 제2 체결프레임(3240)의 외부로 인출시키기 위해 사이드커버(3246)를 개방하는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체결프레임에 부착된 체결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제2 차양모듈(3200)은 제1 체결프레임(3220)을 보조차양막(3144)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체결부재(32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재(3290)는 제2 차양모듈(3200)을 제1 차양모듈(3100)에 연결시키며, 제2 차양모듈(3200)이 제1 차양모듈(31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체결부재(3290)는 양면에 접착력을 가지는 양면테이프로 구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3290)는 제2 차양모듈(3200)의 제1 체결프레임(3220)의 연결부(3222)의 일면에 부착된다. 체결부재(3290)는 제1 체결프레임(3220)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마련된다.
체결부재(3290)를 통해 제1 체결프레임(3220)이 보조차양막(3144)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체결프레임(3220)이 보조차양막(3144)에 탈부착되는 과정에서 체결부재(3290)의 접착력이 약화되면, 체결부재(3290)를 제1 체결프레임(3290)로부터 분리시켜 체결부재(3290)를 교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체결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3a 내지 도 23b는 도 22의 체결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a를 참조하면, 제2 차양모듈(3200)은 밸크로테이프로 구성되는 체결부재(3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재(3400)는 제1 밸크로(3420) 및 제2 밸크로(34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밸크로(3420)는 제2 밸크로(344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제1 밸크로(3420)는 제2 차양모듈(3200)의 제1 체결프레임(3220)의 연결부(3222)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2 밸크로(3440)는 제1 차양모듈(3100)의 보조차양막(3144)의 일단에 부착될 수 있다.
도 23a에 따른 체결부재(3400)는 제2 차양모듈(3200)의 제1 체결프레임(3220)을 보조차양막(3144)으로부터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다.
도 23b를 참조하면, 제2 차양모듈(3200)은 블록들로 구성되는 체결부재(3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재(3500)는 제1 결합블록(3520) 및 제2 결합블록(35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블록(3520)은 제2 차양모듈(3200)의 제1 체결프레임(3220)의 연결부(3222)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결합블록(3520)은 복수의 돌기(3522)를 포함한다. 복수의 돌기(3522)는 제1 결합블록(3520)의 일면에 이격 배치된다.
제2 결합블록(3540)은 제1 결합블록(3520)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제2 결합블록(3540)은 제1 차양모듈(3100)의 보조차양막(3144)의 일단에 부착될 수 있다.
제2 결합블록(3540)은 복수의 돌기홈(3542)을 포함한다. 복수의 돌기홈(3542)은 제2 결합블록(3540)의 일면에 이격 배치된다.
제1 결합블록(3520)의 각각의 돌기(3522)는 제1 결합블록(3520)의 일면으로부터 둔각으로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제1 결합블록(3520)의 일면과 반대되는 각각의 돌기(3522)의 끝부분은 각각의 돌기(3522)가 돌출되는 지점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된다.
제2 결합블록(3540)의 복수의 돌기홈(3542)는 각각의 돌기(3522)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따라서, 복수의 돌기홈(3542) 또한 제2 결블록(3540)의 일면으로부터 둔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복수의 돌기(3522)가 복수의 돌기홈(3542)에 결합되면, 복수의 돌기(3522)의 끝부분이 제2 결합블록(3540)의 일면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홈(3542)의 시작부분보다 넓은 지름을 가지므로, 복수의 돌기(3522)가 복수의 돌기홈(3542)으로부터 쉽게 빠져나올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제1 결합블록(3520)은 제2 결합블록(354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체결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4는 도 22의 체결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도 24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4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제2 차양모듈(3200)은 제1 체결프레임(3220)을 가압하여 보조차양막(3144)과 제2 차양모듈(3200)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체결부재(3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재(3600)는 체결블록(3620) 및 조정나사(3640)를 포함한다.
체결블록(3620)은 바이트(3622), 프레임 수용부(3624) 및 조정나사 수용부(3626)를 포함한다.
바이트(3622)는 보조차양막(3144)의 일면과 접촉된다. 바이트(3622)는 조정나사(3626)가 제1 체결프레임(3220)을 가압하면, 제1 체결프레임(3220)과 함께 보조차양막(3144)을 체결블록(3620)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프레임 수용부(3624)는 제1 체결프레임(3220)의 일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조정나사 수용부(3626)는 조정나사(364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조정나사 수용부(3626)는 프레임 수용부(3624)와 연통된다.
조정나사(3640)는 조정나사 수용부(3626)에 삽입된다. 조정나사(3640)는 제1 체결프레임(3220)의 연결부(3222)를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조정나사(3640)가 연결부(3222)를 가압하면, 제1 체결프레임(3220)과 보조차양막(3144)이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제2 체결프레임이 제1 체결프레임에 결합되는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6a 내지 도 26d는 제2 체결프레임이 제1 체결프레임에 결합되는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a를 참조하면, 제1 체결프레임(3220)의 제1 체결부(3224)는 일부분이 내부로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부(3224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체결부(3224)의 오목부(3224a)와 마주보는 제2 체결프레임(3240)의 제2 체결부(3242)는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3242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6a에 따른 돌출부(3242a)가 오목부(3224a)에 수용되면 제2 체결프레임(3240)이 제1 체결프레임(322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제2 체결프레임(3240)이 제1 체결프레임(3220)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도 26b를 참조하면, 제1 체결프레임(3220)과 제2 체결프레임(3240)은 제1 영구자석(3224b) 및 제2 영구자석(3242b)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영구자석(3224b)은 제1 체결프레임(3220)에 수용되며, 제2 영구자석(3242b)은 제2 체결프레임(3240)에 수용될 수 있다.
제1 영구자석(3224b)과 제2 영구자석(3242b)은 서로 반대되는 극이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26b에 따른 제1 영구자석(3224b)과 제2 영구자석(3242b)이 마주보도록 근접하면, 제2 체결프레임(3240)이 제1 체결프레임(3220)에 강한 고정력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26c를 참조하면, 제1 체결프레임(3220)은 일면으로부터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된 복수의 돌기수용홈(3224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돌기수용홈(3224c)은 제1 체결프레임(3220)의 폭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다.
제2 체결프레임(3240)은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복수의 돌기(3242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돌기(3242c)는 제2 체결프레임(3240)의 폭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다. 복수의 돌기(3242c)는 복수의 돌기수용홈(3224c)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도 26c에 따른 복수의 돌기(3242c)가 복수의 돌기수용홈(3224c)에 수용되면, 제2 체결프레임(3240)이 제1 체결프레임(322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26d를 참조하면, 제1 체결프레임(3220)은 일면으로부터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된 복수의 돌기수용홈(3224d)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돌기수용홈(3224d)은 제1 체결프레임(3220)의 폭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다. 또한, 복수의 돌기수용홈(3224d)과 이격 배치되는 자석(3224e)이 마련된다.
제2 체결프레임(3240)은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복수의 돌기(3242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돌기(3242d)는 제2 체결프레임(3220)의 폭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다. 복수의 돌기(3242d)는 복수의 돌기수용홈(3224d)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제2 체결프레임(3240)의 재질은 자석에 달라붙을 수 있는 철제로 구성된다.
도 26d에 따른 복수의 돌기(3242d)가 복수의 돌기수용홈(3224d)에 수용되면, 제2 체결프레임(3240)이 제1 체결프레임(322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철제로 구성된 제2 체결프레임(3240)은 제1 체결프레임(3220)에 결합되어 자석(3224e)에 근접한다. 따라서, 제2 체결프레임(3240)은 제1 체결프레임(3240)에 강한 고정력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차양모듈(200, 2200, 3200)은 전동 모터(150)를 통해 차양막(140)이 제1 방향(D1)으로 펼쳐지거나 제2 방향(D2)으로 접히는 구조의 제1 차양모듈(100, 2100, 3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만 설명되었다. 하지만, 제2 차양모듈(200, 2200, 3200)은 제1 차양모듈(100, 2100, 3100)에만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한정되지 않는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차양모듈(200, 2200, 3200)은 출입문이나 창문의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식 차양 장치에도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0, 2000, 3000. 차양 장치
100, 2100, 3100. 제1 차양모듈
200, 2200, 3200. 제2 차양모듈
300. 결합부재
2230, 2500, 3290, 3400, 3500, 3600. 체결부재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전방커버(240); 및
    상기 전방커버(240)의 일단에 마련되어 차양 장치의 차양막(140)에 탈부착 가능한 체결부재(2230); 를 포함함에 있어서,
    상기 전방커버(240)는 길이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체결부재(2230)는, 상기 차양막(140)의 일측과 타측에 결합되는 제1 블록(2410)과,
    상기 전방커버(240)의 일측과 타측에 결합되는 제2 블록(2420)과,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을 연결시키는 결합블록(2430) 및
    상기 제1 블록(2410) 및 상기 제2 블록(2420)이 상기 결합블록(243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이탈 방지 블록(2440)을 포함하며,
    상기 이탈 방지 블록(2440)은,
    상기 결합블록(2430)의 상면과 하면, 상기 제1 블록(2410)의 일부분 및 상기 제2 블록(2420)의 일부분을 커버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1 블록(2410)은 제1 돌기(2414)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블록(2420)은 제2 돌기(2424)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블록(2430)에는 제1 돌기 수용홈(2432)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돌기(2414)와 제2 돌기(2424)가 상기 제1 돌기 수용홈(2432)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보조 차양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200120818A 2020-09-18 2020-09-18 차양 장치 KR102524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818A KR102524824B1 (ko) 2020-09-18 2020-09-18 차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818A KR102524824B1 (ko) 2020-09-18 2020-09-18 차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7856A KR20220037856A (ko) 2022-03-25
KR102524824B1 true KR102524824B1 (ko) 2023-04-24

Family

ID=80935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0818A KR102524824B1 (ko) 2020-09-18 2020-09-18 차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4824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8336Y2 (ko) * 1985-02-06 1991-08-13
JPH0338337Y2 (ko) * 1985-02-18 1991-08-13
JPH0161330U (ko) * 1987-10-07 1989-04-19
JPH07102865A (ja) * 1993-10-04 1995-04-18 Misawa Homes Co Ltd ロールスクリーン構造
KR101358269B1 (ko) * 2007-09-17 2014-02-05 다이요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시트 정착 구조
KR101340926B1 (ko) * 2010-10-15 2013-12-17 곽민철 어닝을 이용한 조립식 간이 부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7856A (ko) 2022-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14190B (zh) 可捲式顯示裝置
KR101141516B1 (ko) 다목적용 차양 장치
US20080190468A1 (en) Umbrella featuring a vertically deployable sun shade
US8136282B2 (en) Display means
US20090140541A1 (en) Automatic deploying car cover system for a car equipped with an automatic opening/closing trunk
MX2012002399A (es) Aparato de barrera para soportar un anuncio flexible.
KR102524824B1 (ko) 차양 장치
US5371982A (en) Portable area security enclosure kit
KR101184852B1 (ko) 더블암 구조의 접이식 차양막 어닝 장치
KR20220037868A (ko) 어닝
US20170279944A1 (en) Mobile device shade
KR101764501B1 (ko) 가변형 차량 안전 삼각대
KR101568300B1 (ko) 차량 차양용 롤 블라인드의 고정장치
US11788298B2 (en) Retractable awning assemblies and methods for packaging the same
KR101979798B1 (ko) 차량 측면 보호장치
NL1004026C2 (nl) Schermconstructie.
CN209497488U (zh) 终端设备
KR20180020837A (ko) 스쿠터용 접이식 차양막
KR200405125Y1 (ko) 차량용 롤 스크린 장치
KR102623490B1 (ko) 모니터 차광장치
CN209719795U (zh) 自行车反光镜
CN102266160A (zh) 组合式摄影包
KR101638111B1 (ko) 롤 블라인드
CN113216822B (zh) 一种基于绿色环保技术的建筑幕墙用遮阳装置
CN210370131U (zh) 一种侧拉帐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