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4323B1 -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nft를 공증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증 서버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nft를 공증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증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4323B1
KR102524323B1 KR1020210154296A KR20210154296A KR102524323B1 KR 102524323 B1 KR102524323 B1 KR 102524323B1 KR 1020210154296 A KR1020210154296 A KR 1020210154296A KR 20210154296 A KR20210154296 A KR 20210154296A KR 102524323 B1 KR102524323 B1 KR 102524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ft
notarization
notarized
blockchain network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4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은
현소선
조도형
국승훈
박병주
강희정
하정구
Original Assignee
한국조폐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조폐공사 filed Critical 한국조폐공사
Priority to KR1020210154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43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4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4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2Confirmation, e.g. check or permission by the legal debtor of pay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5Establishing or using transaction specific r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54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with non-centralised forwarding system, e.g. chain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NFT(Non-Fungible Token)를 공증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공증 요청자 단말로부터 NFT에 대한 공증을 요청하는 NFT 공증 요청 정보 - 상기 NFT 공증 요청 정보는 공증 요청자 정보 및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의 경로인 NFT 경로 정보를 포함함 - 가 획득되면, 공증 서버가, 상기 공증 요청자 정보를 이용하여 공증 요청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b) 상기 공증 요청자가 인증되면, 상기 공증 서버가, 상기 NFT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에 대한 NFT 등록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c) 상기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에 대한 상기 NFT 등록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공증 서버가, 상기 NFT 공증 요청 정보, 상기 NFT 등록 정보, 및 공증 서버 서명값을 포함하는 NFT 공증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을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공증 블록체인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마이닝 노드로 하여금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NFT 공증 블록을 생성하도록 하고, 상기 공증 블록체인 노드들의 분산 합의에 의해 상기 NFT 공증 블록을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 원장에 등록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증 서버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NFT를 공증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증 서버{METHOD FOR NOTARIZING NON-FUNGIBLE TOKEN BASED ON BLOCKCHAIN NETWORK AND NOTARIZATION SERV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NFT(Non-Fungible Token)를 공증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증 서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원장 기술을 이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NFT를 공증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증 서버에 관한 것이다.
NFT란 Non-Fungible Token의 약어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되는 디지털 정보라는 점에서는 비트코인 등의 암호화폐와 유사한 것인데, 'Non-Fungible', 즉 대체 불가능성이라는 특징이 NFT와 일반적인 암호화폐를 구분 짓는 가장 큰 특징이다.
즉, 비트코인과 같은 일반적인 암호화폐의 경우, 같은 양이라면 얼마든지 서로 교환될 수 있는 것으로서, 가령, A 유저가 소유하는 1 비트코인과 B 유저가 소유하는 1 비트코인은 동일하게 취급되어 같은 가치를 지니며, 개별 토큰 객체들이 각자를 구별하는 특징을 가지지 않는다.
반면에, NFT는 개별 토큰 객체별로 희소성과 고유성을 가지는 것으로서, 서로 간에 동일하게 취급될 수 없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해, NFT는, 자산의 희소성과 고유성이 중요한 분야에서 거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용도로 많이 쓰이고 있다. 하지만, 종래에는 객체에 대한 아무런 권한을 가지지 않은 자가 무단으로 NFT를 생성하여 판매함으로써 부당한 수익을 얻는 것을 막을 방법이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 방안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NFT를 공증함으로써 NFT 거래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NFT를 공증함으로써 NFT 거래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NFT 거래에 대한 신뢰성을 높임으로써 건전한 NFT 시장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NFT(Non-Fungible Token)를 공증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공증 요청자 단말로부터 NFT에 대한 공증을 요청하는 NFT 공증 요청 정보 - 상기 NFT 공증 요청 정보는 공증 요청자 정보 및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의 경로인 NFT 경로 정보를 포함함 - 가 획득되면, 공증 서버가, 상기 공증 요청자 정보를 이용하여 공증 요청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b) 상기 공증 요청자가 인증되면, 상기 공증 서버가, 상기 NFT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에 대한 NFT 등록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c) 상기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에 대한 상기 NFT 등록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공증 서버가, 상기 NFT 공증 요청 정보, 상기 NFT 등록 정보, 및 공증 서버 서명값을 포함하는 NFT 공증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을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공증 블록체인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마이닝 노드로 하여금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NFT 공증 블록을 생성하도록 하고, 상기 공증 블록체인 노드들의 분산 합의에 의해 상기 NFT 공증 블록을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 원장에 등록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례로서, (d) 상기 공증 서버는, 상기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 등록 정보가 상기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업데이트 되는지를 확인하며 상기 NFT 등록 정보에 대응되는 NFT 갱신 정보가 상기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되었음을 확인하면, 상기 NFT 갱신 정보를 포함하는 NFT 갱신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상기 NFT 갱신 트랜잭션을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상기 공증 블록체인 노드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이닝 노드로 하여금 상기 NFT 갱신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NFT 갱신 블록을 생성하도록 하고, 상기 공증 블록체인 노드들의 분산 합의에 의해 상기 NFT 갱신 블록을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 원장에 등록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례로서, (e)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 원장에 등록된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의 NFT 공증 트랜잭션 아이디 및 상기 NFT 등록 정보에 포함된 상기 NFT에 대응되는 자산 아이디가 맵핑되어 관리되는 상태에서, 검증 요청자 단말로부터 상기 자산 아이디를 포함하는 상기 NFT에 대한 NFT 검증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공증 서버가, 상기 NFT 검증 요청 정보에 포함된 상기 자산 아이디를 참조하여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 아이디를 확인하고,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 아이디를 이용하여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을 확인하며,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이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되었음이 확인되면, 상기 NFT에 대한 NFT 검증 결과 정보를 상기 검증 요청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NFT 검증 요청 정보는 상기 NFT에 대응되는 원본 파일의 위치를 나타내는 원본 파일 위치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공증 서버가, 상기 NFT 검증 요청 정보에 포함된 상기 원본 파일 위치 정보를 추가로 참조하여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 아이디를 확인하고,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 아이디를 이용하여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을 확인하며,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이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되었음이 확인되면, 상기 NFT에 대한 상기 NFT 검증 결과 정보를 상기 검증 요청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공증 서버가, 상기 공증 요청자 정보를 이용하여, 이메일 인증, 휴대 전화 인증, 아이핀 인증, 카드 인증, 공동인증서 인증, 계좌 인증, OTP 인증, 영상 통화 인증, 실명확인증표 사본 인증 및 생체 인증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공증 요청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은, 상기 NFT에 대한 가치를 평가한 정보인 NFT 가치 평가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은, 상기 NFT에 대한 공증 유효 기간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NFT 공증 요청 정보는 상기 NFT에 대응되는 저작권자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NFT 경로 정보는 상기 NFT를 발행하는 NFT 스마트 컨트랙트의 주소 정보 및 상기 NFT에 대응되는 자산 아이디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NFT(Non-Fungible Token)를 공증하는 공증 서버에 있어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기 위해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1) 공증 요청자 단말로부터 NFT에 대한 공증을 요청하는 NFT 공증 요청 정보 - 상기 NFT 공증 요청 정보는 공증 요청자 정보 및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의 경로인 NFT 경로 정보를 포함함 - 가 획득되면, 상기 공증 요청자 정보를 이용하여 공증 요청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프로세스, (2) 상기 공증 요청자가 인증되면, 상기 NFT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에 대한 NFT 등록 정보를 확인하는 프로세스 및 (3) 상기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에 대한 상기 NFT 등록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NFT 공증 요청 정보, 상기 NFT 등록 정보, 및 공증 서버 서명값을 포함하는 NFT 공증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을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공증 블록체인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마이닝 노드로 하여금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NFT 공증 블록을 생성하도록 하고, 상기 공증 블록체인 노드들의 분산 합의에 의해 상기 NFT 공증 블록을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 원장에 등록하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공증 서버이 개시된다.
일례로서, (4)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 등록 정보가 상기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업데이트 되는지를 확인하며 상기 NFT 등록 정보에 대응되는 NFT 갱신 정보가 상기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되었음을 확인하면, 상기 NFT 갱신 정보를 포함하는 NFT 갱신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상기 NFT 갱신 트랜잭션을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상기 공증 블록체인 노드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이닝 노드로 하여금 상기 NFT 갱신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NFT 갱신 블록을 생성하도록 하고, 상기 공증 블록체인 노드들의 분산 합의에 의해 상기 NFT 갱신 블록을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 원장에 등록하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증 서버가 개시된다.
일례로서, (5)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 원장에 등록된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의 NFT 공증 트랜잭션 아이디 및 상기 NFT 등록 정보에 포함된 상기 NFT에 대응되는 자산 아이디가 맵핑되어 관리되는 상태에서, 검증 요청자 단말로부터 상기 자산 아이디를 포함하는 상기 NFT에 대한 NFT 검증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NFT 검증 요청 정보에 포함된 상기 자산 아이디를 참조하여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 아이디를 확인하고,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 아이디를 이용하여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을 확인하며,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이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되었음이 확인되면, 상기 NFT에 대한 NFT 검증 결과 정보를 상기 검증 요청자 단말로 제공하는 프로세스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증 서버가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NFT 검증 요청 정보는 상기 NFT에 대응되는 원본 파일의 위치를 나타내는 원본 파일 위치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NFT 검증 요청 정보에 포함된 상기 원본 파일 위치 정보를 추가로 참조하여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 아이디를 확인하고,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 아이디를 이용하여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을 확인하며,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이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되었음이 확인되면, 상기 NFT에 대한 상기 NFT 검증 결과 정보를 상기 검증 요청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증 서버가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1) 프로세스에서, 상기 공증 요청자 정보를 이용하여, 이메일 인증, 휴대 전화 인증, 아이핀 인증, 카드 인증, 공동인증서 인증, 계좌 인증, OTP 인증, 영상 통화 인증, 실명확인증표 사본 인증 및 생체 인증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공증 요청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증 서버가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은, 상기 NFT에 대한 가치를 평가한 정보인 NFT 가치 평가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증 서버가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은, 상기 NFT에 대한 공증 유효 기간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증 서버가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NFT 공증 요청 정보는 상기 NFT에 대응되는 저작권자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증 서버가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NFT 경로 정보는 상기 NFT를 발행하는 NFT 스마트 컨트랙트의 주소 정보 및 상기 NFT에 대응되는 자산 아이디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증 서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NFT를 공증함으로써 NFT 거래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NFT를 공증함으로써 NFT 거래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NFT 거래에 대한 신뢰성을 높임으로써 건전한 NFT 시장이 형성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 이용되기 위하여 첨부된 아래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단지 일부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발명적 작업이 이루어짐 없이 이 도면들에 기초하여 다른 도면들이 얻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NFT를 공증하는 공증 서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NFT를 공증하는 공증 서버가 NFT를 공증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NFT를 공증하는 공증 서버가 공증된 NFT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NFT를 공증하는 공증 서버가 NFT를 검증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목적들, 기술적 해법들 및 장점들을 분명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들에 걸쳐, "포함하다"라는 단어 및 그것의 변형은 다른 기술적 특징들, 부가물들,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제외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장점들 및 특성들이 일부는 본 설명서로부터, 그리고 일부는 본 발명의 실시로부터 드러날 것이다. 아래의 예시 및 도면은 실례로서 제공되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더욱이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표시된 실시예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들을 망라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NFT를 공증하는 공증 서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증 서버(100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NFT를 공증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에 대응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NFT를 공증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공증 서버(1000)는 PC(Personal Computer), 모바일 컴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증 서버(1000)는 전형적으로 컴퓨팅 장치(예컨대,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 스토리지, 입력 장치 및 출력 장치, 기타 기존의 컴퓨팅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는 장치; 라우터, 스위치 등과 같은 전자 통신 장치; 네트워크 부착 스토리지(NAS) 및 스토리지 영역 네트워크(SAN)와 같은 전자 정보 스토리지 시스템)와 컴퓨터 소프트웨어(즉,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특정의 방식으로 기능하게 하는 인스트럭션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원하는 시스템 성능을 달성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서는 MPU(Micro Processing Unit) 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캐쉬 메모리(Cache Memory), 데이터 버스(Data Bus) 등의 하드웨어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는 운영체제, 특정 목적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컴퓨팅 장치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미디엄, 프로세서 및 메모리가 통합된 형태인 integrated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경우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미도시)는, 적어도 하나의 공증 블록체인 노드를 포함하며, 각각의 공증 블록체인 노드는 적어도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의 메모리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잇는데, 구체적으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록체인 노드로 하여금 특정의 방식으로 기능하도록 하기 위한 컴퓨터 소프트웨어로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잇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인스트럭션들은 도면에 도시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스들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서는 MPU(Micro Processing Unit) 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캐쉬 메모리(Cache Memory), 데이터 버스(Data Bus) 등의 하드웨어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는 운영체제, 특정 목적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컴퓨팅 장치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미디엄, 프로세서 및 메모리가 통합된 형태인 integrated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경우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공증 서버(1000)는,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공증 블록체인 노드들 중의 어느 하나의 노드에 대응되는 서버이거나, 해당 블록체인 노드를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미도시)는, 적어도 하나의 NFT 블록체인 노드를 포함하며, 각각의 NFT 블록체인 노드는 적어도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이때,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서로 다른 복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존재할 수 있다. 가령, A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디지털 이미지에 대한 NFT를 발행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이고, B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게임 아이템에 대한 NFT를 발행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일 수 있다.
참고로,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대한 설명과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공증 서버(1000),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의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NFT를 공증하는 방법에 대해 아래에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참고로, 디지털 자산은, 귀금속 등과 달리, 무한히 복제가 가능하며, 원본과 복사본의 구분이 불가능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디지털 자산에 대한 NFT가 생성되는 과정을 살펴봐도, 엄격한 기준에 따라 심사를 거쳐 생성되는 것이 아니라, 디지털 자산이 업로드되고 소정의 수수료(가령, 이더리움의 경우, 소정의 gas)가 지불되면 간단히 생성되므로, 특정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디지털 자산 원본에 대한 NFT가 발행되더라도, 특정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아닌 다른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복제된 디지털 자산에 대해서 디지털 자산 원본에 대한 소유권을 가지지 않은 타인에 의해 NFT가 발행됨으로써 어떤 NFT가 디지털 자산 원본에 대응되는 NFT인지 구분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자산 원본에 대한 NFT가 발행되면, 디지털 자산 원본에 대한 가치를 보존하기 위해 해당 NFT에 대해 아래에서 설명하는 프로세스를 통해 공증을 받아둠으로써 위와 같은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먼저,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임의의 자산에 대한 NFT가 발행된 후(S210), 공증 서버(1000)는, 공증 요청자 단말로부터 해당 NFT에 대한 공증을 요청하는 NFT 공증 요청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220).
이때, 공증 요청자 단말의 공증 요청자는, NFT를 소유하는 소유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공증 요청자는, NFT에 대한 가치를 보존하기 위해 공증을 요청하는 사람이나, NFT에 대한 권리를 가지는 권리자 또는 이의 대리인일 수 있다.
또한, 공증 요청자 단말로부터 획득되는 NFT 공증 요청 정보는, 공증 요청자 정보 및 NFT 경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공증 요청자 정보는, 공증 요청자가 누구인지를 인증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가령, 공증 요청자 정보는, 공증 요청자의 성명, 성별, 나이, 연락처 및 주소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증 요청자 정보는, 공증 요청자의 서명값 정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NFT 경로 정보는,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NFT의 경로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NFT를 발행하는 NFT 스마트 컨트랙트의 주소 정보 및 NFT에 대응되는 자산 아이디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공증 요청자는 공증 요청자 단말을 통해 웹 페이지나 앱(App)을 이용하여 공증 서버(1000)에 접속함으로써, 공증 서버(1000)에서 제공되는 공증 요청 양식에 따라 해당 정보들을 입력함으로써 공증 요청 정보를 공증 서버(10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서로 다른 복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존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NFT 경로 정보는, 복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 중 어떤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NFT가 발행되었는지를 나타내기 위한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NFT에 대응되는 자산 아이디는, NFT의 아이디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NFT에 대응되는 자산(가령, 디지털 저작물)의 아이디일 수 있다.
또한, 공증 요청자 단말로부터 획득되는 NFT 공증 요청 정보는, NFT에 대응되는 저작권자 정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증 요청자 단말로부터 획득되는 NFT 공증 요청 정보는, NFT를 통해 원본임이 증명되는 임의의 자산, 가령, 디지털 저작물을 창작한 저작권자와 공증 요청자 사이에 맺어진 계약에 관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증 서버(1000)는, 저작권자와 공증 요청자 사이에 맺어진 계약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공증 요청자가 공증을 요청하는 NFT가 정당한 거래에 따른 디지털 저작물 원본에 대해 발행된 정당한 NFT임을 확인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함으로써 공증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공증 서버(1000)는, 저작권자와 공증 요청자 사이의 계약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공증함으로써, 추후 NFT의 권리에 관한 분쟁이 발생하더라도, 책임 소재를 명확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상기 설명은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디지털 저작물 원본에 대한 계약의 주체가 저작권자와 공증 요청자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저작권자와 제1 구매자 사이에 디지털 저작물 원본에 대한 거래가 이루어지고, 제1 구매자와 공증 요청자 사이에 다시 디지털 저작물 원본에 대한 거래가 이루어진 경우, 공증 요청자 단말로부터 획득되는 NFT 공증 요청 정보는, (i) 저작권자와 제1 구매자 사이의 계약에 관한 정보 및 (ii) 제1 구매자와 공증 요청자 사이의 계약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처럼, NFT 공증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공증 서버(1000)는, 공증 요청자 정보를 이용하여 공증 요청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S230).
이때, 공증 서버(1000)는, 다양한 인증 방법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공증 요청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공증 서버(1000)는, 공증 요청자 정보를 이용하여, 이메일 인증, 휴대 전화 인증, 아이핀 인증, 카드 인증, 공동인증서 인증, 계좌 인증, OTP 인증, 영상 통화 인증, 실명확인증표 사본 인증 및 생체 인증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함으로써 공증 요청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공증 요청자에 대한 인증이 수행되면, 공증 서버(1000)는, NFT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NFT에 대한 NFT 등록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S240).
이와는 달리, 공증 서버(1000)는 회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공증 요청자가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공증 요청자를 인증할 수 있다. 이때, 공증 요청자(1000)는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공증 요청자를 인증하거나, 공증 요청자가 공증 서버(1000)에 로그인한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서 인증, 실명 인증 등을 이용하여 공증 요청자를 인증할 수도 있다.
그리고,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NFT에 대한 NFT 등록 정보가 확인되면, 공증 서버(1000)가, NFT 공증 요청 정보, NFT 등록 정보 및 공증 서버 서명값을 포함하는 NFT 공증 트랜잭션을 생성할 수 있다(S250).
이때, NFT 공증 트랜잭션은, NFT에 대한 가치를 평가한 정보인 NFT 가치 평가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NFT 가치 평가 정보는, NFT에 대해 설정된 가격에 대한 정보 및 NFT가 과거에 거래되었던 가격 중 적어도 일부가 이용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또한, NFT 공증 트랜잭션은, NFT에 대한 공증 유효 기간 정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다양한 공증 유효 기간 및 NFT 가치 평가 정보 중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도록 공증 수수료가 설정될 수 있으며, 공증 서버(1000)는, 공증 요청자로부터 다양한 공증 유효 기간 중 특정 공증 유효 기간에 대응되는 특정 공증 수수료가 획득되면, 특정 공증 유효 기간 정보를 포함하는 NFT 공증 트랜잭션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공증 서버(1000)는, NFT 공증 트랜잭션을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S260)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공증 블록체인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마이닝 노드로 하여금 NFT 공증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NFT 공증 블록을 생성하도록 하고, 공증 블록체인 노드들의 분산 합의에 의해 NFT 공증 블록을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 원장에 등록하도록 할 수 있다(S270).
또한, 공증 서버(1000)는,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 원장에 등록된 NFT 공증 트랜잭션에 대응되는 NFT 공증 인증서를 생성하여 공증 요청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공증 서버(1000)는,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공증의 대상이 되는 NFT에 대한 정보가 갱신되었는지 여부를 정기적/비정기적으로 조회하고, NFT에 대한 정보가 갱신된 것으로 확인되면, 갱신된 정보를 공증 내용에 추가함으로써 공증된 내용에 대한 신뢰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일례로, 도 3을 참조하면, 공증 서버(1000)는,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NFT 등록 정보가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업데이트 되는지를 확인하며, NFT 등록 정보에 대응되는 NFT 갱신 정보가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S310)되었음을 확인하면(S320), NFT 갱신 정보를 포함하는 NFT 갱신 트랜잭션을 생성할 수 있다(S330).
그리고, 공증 서버(1000)는, NFT 갱신 트랜잭션을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S340)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공증 블록체인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마이닝 노드로 하여금 NFT 갱신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NFT 갱신 블록을 생성하도록 하고, 공증 블록체인 노드들의 분산 합의에 의해 NFT 갱신 블록을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 원장에 등록하도록 할 수 있다(S350).
한편,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 원장에 등록된 NFT 공증 트랜잭션의 NFT 공증 트랜잭션 아이디 및 NFT 등록 정보에 포함된 NFT에 대응되는 자산 아이디가 맵핑되어 관리되는 상태에서, 검증 요청자 단말로부터 자산 아이디를 포함하는 NFT에 대한 NFT 검증 요청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일례로, 검증 요청자는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의 기 발행된 NFT를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 희망자일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 검증 요청자는 자신이 구매하고자 하는 NFT가 정상적이며 유효한 NFT인지를 검증하고자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공증 서버는, 검증 요청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NFT가 정상적이며 유효한 NFT라는 내용에 대해 공증이 수행되었다는 정보를 검증 요청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검증 요청자 단말로부터 자산 아이디를 포함하는 NFT에 대한 NFT 검증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S410), 공증 서버(1000)가, NFT 검증 요청 정보에 포함된 자산 아이디를 참조하여 NFT 공증 트랜잭션 아이디를 확인(S420)하고, NFT 공증 트랜잭션 아이디를 이용하여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NFT 공증 트랜잭션을 확인하며, NFT 공증 트랜잭션이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되었음이 확인되면(S430), NFT에 대한 NFT 검증 결과 정보를 검증 요청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S440).
이때, NFT 검증 요청 정보는 NFT에 대응되는 원본 파일의 위치를 나타내는 원본 파일 위치 정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가령, 공증 서버(1000)는, NFT 검증 요청 정보에 포함된 원본 파일 위치 정보를 추가로 참조하여 NFT 공증 트랜잭션 아이디를 확인하고, NFT 공증 트랜잭션 아이디를 이용하여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NFT 공증 트랜잭션을 확인하며, NFT 공증 트랜잭션이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되었음이 확인되면, NFT에 대한 NFT 검증 결과 정보를 검증 요청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검증 요청자 단말이 검증을 요청한 NFT에 대해서 아직 공증 프로세스가 진행 중인 경우, 공증 서버(1000)는, 해당 NFT에 대해서 공증이 진행 중임을 나타내는 NFT 검증 결과 정보를 검증 요청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검증 요청자 단말이 검증을 요청한 NFT에 대해서 공증이 완료되었으며, 공증 유효 기간이 아직 만료되지 않은 경우, 공증 서버(1000)는, 해당 NFT에 대해서 공증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NFT 검증 결과 정보를 검증 요청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검증 요청자 단말이 검증을 요청한 NFT에 대해서 공증이 완료되었으나, 공증 유효 기간이 만료된 경우, 공증 서버(1000)는, 해당 NFT에 대해서 공증 기간이 만료되었음을 나타내는 NFT 검증 결과 정보를 검증 요청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검증 요청자 단말이 검증을 요청한 NFT에 대해서 공증이 이루어졌던 적이 없던 경우, 공증 서버(1000)는, 해당 NFT는 공증이 수행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NFT 검증 결과 정보를 검증 요청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8)

  1.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NFT(Non-Fungible Token)를 공증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공증 요청자 단말로부터 NFT에 대한 공증을 요청하는 NFT 공증 요청 정보 - 상기 NFT 공증 요청 정보는 공증 요청자 정보 및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의 경로인 NFT 경로 정보를 포함함 - 가 획득되면, 공증 서버가, 상기 공증 요청자 정보를 이용하여 공증 요청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b) 상기 공증 요청자가 인증되면, 상기 공증 서버가, 상기 NFT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에 대한 NFT 등록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에 대한 상기 NFT 등록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공증 서버가, 상기 NFT 공증 요청 정보, 상기 NFT 등록 정보, 및 공증 서버 서명값을 포함하는 NFT 공증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을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공증 블록체인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마이닝 노드로 하여금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NFT 공증 블록을 생성하도록 하고, 상기 공증 블록체인 노드들의 분산 합의에 의해 상기 NFT 공증 블록을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 원장에 등록하도록 하는 단계; 및
    (d) 상기 공증 서버는, 상기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 등록 정보가 상기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업데이트 되는지를 확인하며 상기 NFT 등록 정보에 대응되는 NFT 갱신 정보가 상기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되었음을 확인하면, 상기 NFT 갱신 정보를 포함하는 NFT 갱신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상기 NFT 갱신 트랜잭션을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상기 공증 블록체인 노드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이닝 노드로 하여금 상기 NFT 갱신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NFT 갱신 블록을 생성하도록 하고, 상기 공증 블록체인 노드들의 분산 합의에 의해 상기 NFT 갱신 블록을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 원장에 등록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삭제
  3.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NFT(Non-Fungible Token)를 공증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공증 요청자 단말로부터 NFT에 대한 공증을 요청하는 NFT 공증 요청 정보 - 상기 NFT 공증 요청 정보는 공증 요청자 정보 및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의 경로인 NFT 경로 정보를 포함함 - 가 획득되면, 공증 서버가, 상기 공증 요청자 정보를 이용하여 공증 요청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b) 상기 공증 요청자가 인증되면, 상기 공증 서버가, 상기 NFT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에 대한 NFT 등록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에 대한 상기 NFT 등록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공증 서버가, 상기 NFT 공증 요청 정보, 상기 NFT 등록 정보, 및 공증 서버 서명값을 포함하는 NFT 공증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을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공증 블록체인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마이닝 노드로 하여금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NFT 공증 블록을 생성하도록 하고, 상기 공증 블록체인 노드들의 분산 합의에 의해 상기 NFT 공증 블록을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 원장에 등록하도록 하는 단계; 및
    (e)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 원장에 등록된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의 NFT 공증 트랜잭션 아이디 및 상기 NFT 등록 정보에 포함된 상기 NFT에 대응되는 자산 아이디가 맵핑되어 관리되는 상태에서, 검증 요청자 단말로부터 상기 자산 아이디를 포함하는 상기 NFT에 대한 NFT 검증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공증 서버가, 상기 NFT 검증 요청 정보에 포함된 상기 자산 아이디를 참조하여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 아이디를 확인하고,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 아이디를 이용하여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을 확인하며,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이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되었음이 확인되면, 상기 NFT에 대한 NFT 검증 결과 정보를 상기 검증 요청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NFT 검증 요청 정보는 상기 NFT에 대응되는 원본 파일의 위치를 나타내는 원본 파일 위치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공증 서버가, 상기 NFT 검증 요청 정보에 포함된 상기 원본 파일 위치 정보를 추가로 참조하여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 아이디를 확인하고,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 아이디를 이용하여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을 확인하며,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이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되었음이 확인되면, 상기 NFT에 대한 상기 NFT 검증 결과 정보를 상기 검증 요청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NFT(Non-Fungible Token)를 공증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공증 요청자 단말로부터 NFT에 대한 공증을 요청하는 NFT 공증 요청 정보 - 상기 NFT 공증 요청 정보는 공증 요청자 정보 및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의 경로인 NFT 경로 정보를 포함함 - 가 획득되면, 공증 서버가, 상기 공증 요청자 정보를 이용하여 공증 요청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b) 상기 공증 요청자가 인증되면, 상기 공증 서버가, 상기 NFT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에 대한 NFT 등록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c) 상기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에 대한 상기 NFT 등록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공증 서버가, 상기 NFT 공증 요청 정보, 상기 NFT 등록 정보, 및 공증 서버 서명값을 포함하는 NFT 공증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을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공증 블록체인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마이닝 노드로 하여금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NFT 공증 블록을 생성하도록 하고, 상기 공증 블록체인 노드들의 분산 합의에 의해 상기 NFT 공증 블록을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 원장에 등록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공증 서버가, 상기 공증 요청자 정보를 이용하여, 이메일 인증, 휴대 전화 인증, 아이핀 인증, 카드 인증, 공동인증서 인증, 계좌 인증, OTP 인증, 영상 통화 인증, 실명확인증표 사본 인증 및 생체 인증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공증 요청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NFT(Non-Fungible Token)를 공증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공증 요청자 단말로부터 NFT에 대한 공증을 요청하는 NFT 공증 요청 정보 - 상기 NFT 공증 요청 정보는 공증 요청자 정보 및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의 경로인 NFT 경로 정보를 포함함 - 가 획득되면, 공증 서버가, 상기 공증 요청자 정보를 이용하여 공증 요청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b) 상기 공증 요청자가 인증되면, 상기 공증 서버가, 상기 NFT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에 대한 NFT 등록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c) 상기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에 대한 상기 NFT 등록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공증 서버가, 상기 NFT 공증 요청 정보, 상기 NFT 등록 정보, 및 공증 서버 서명값을 포함하는 NFT 공증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을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공증 블록체인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마이닝 노드로 하여금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NFT 공증 블록을 생성하도록 하고, 상기 공증 블록체인 노드들의 분산 합의에 의해 상기 NFT 공증 블록을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 원장에 등록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은, 상기 NFT에 대한 가치를 평가한 정보인 NFT 가치 평가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NFT(Non-Fungible Token)를 공증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공증 요청자 단말로부터 NFT에 대한 공증을 요청하는 NFT 공증 요청 정보 - 상기 NFT 공증 요청 정보는 공증 요청자 정보 및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의 경로인 NFT 경로 정보를 포함함 - 가 획득되면, 공증 서버가, 상기 공증 요청자 정보를 이용하여 공증 요청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b) 상기 공증 요청자가 인증되면, 상기 공증 서버가, 상기 NFT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에 대한 NFT 등록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c) 상기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에 대한 상기 NFT 등록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공증 서버가, 상기 NFT 공증 요청 정보, 상기 NFT 등록 정보, 및 공증 서버 서명값을 포함하는 NFT 공증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을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공증 블록체인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마이닝 노드로 하여금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NFT 공증 블록을 생성하도록 하고, 상기 공증 블록체인 노드들의 분산 합의에 의해 상기 NFT 공증 블록을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 원장에 등록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은, 상기 NFT에 대한 공증 유효 기간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NFT(Non-Fungible Token)를 공증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공증 요청자 단말로부터 NFT에 대한 공증을 요청하는 NFT 공증 요청 정보 - 상기 NFT 공증 요청 정보는 공증 요청자 정보 및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의 경로인 NFT 경로 정보를 포함함 - 가 획득되면, 공증 서버가, 상기 공증 요청자 정보를 이용하여 공증 요청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b) 상기 공증 요청자가 인증되면, 상기 공증 서버가, 상기 NFT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에 대한 NFT 등록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c) 상기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에 대한 상기 NFT 등록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공증 서버가, 상기 NFT 공증 요청 정보, 상기 NFT 등록 정보, 및 공증 서버 서명값을 포함하는 NFT 공증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을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공증 블록체인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마이닝 노드로 하여금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NFT 공증 블록을 생성하도록 하고, 상기 공증 블록체인 노드들의 분산 합의에 의해 상기 NFT 공증 블록을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 원장에 등록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NFT 공증 요청 정보는 상기 NFT에 대응되는 저작권자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NFT(Non-Fungible Token)를 공증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공증 요청자 단말로부터 NFT에 대한 공증을 요청하는 NFT 공증 요청 정보 - 상기 NFT 공증 요청 정보는 공증 요청자 정보 및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의 경로인 NFT 경로 정보를 포함함 - 가 획득되면, 공증 서버가, 상기 공증 요청자 정보를 이용하여 공증 요청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b) 상기 공증 요청자가 인증되면, 상기 공증 서버가, 상기 NFT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에 대한 NFT 등록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c) 상기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에 대한 상기 NFT 등록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공증 서버가, 상기 NFT 공증 요청 정보, 상기 NFT 등록 정보, 및 공증 서버 서명값을 포함하는 NFT 공증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을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공증 블록체인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마이닝 노드로 하여금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NFT 공증 블록을 생성하도록 하고, 상기 공증 블록체인 노드들의 분산 합의에 의해 상기 NFT 공증 블록을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 원장에 등록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NFT 경로 정보는 상기 NFT를 발행하는 NFT 스마트 컨트랙트의 주소 정보 및 상기 NFT에 대응되는 자산 아이디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NFT(Non-Fungible Token)를 공증하는 공증 서버에 있어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기 위해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1) 공증 요청자 단말로부터 NFT에 대한 공증을 요청하는 NFT 공증 요청 정보 - 상기 NFT 공증 요청 정보는 공증 요청자 정보 및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의 경로인 NFT 경로 정보를 포함함 - 가 획득되면, 상기 공증 요청자 정보를 이용하여 공증 요청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프로세스, (2) 상기 공증 요청자가 인증되면, 상기 NFT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에 대한 NFT 등록 정보를 확인하는 프로세스, (3) 상기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에 대한 상기 NFT 등록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NFT 공증 요청 정보, 상기 NFT 등록 정보, 및 공증 서버 서명값을 포함하는 NFT 공증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을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공증 블록체인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마이닝 노드로 하여금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NFT 공증 블록을 생성하도록 하고, 상기 공증 블록체인 노드들의 분산 합의에 의해 상기 NFT 공증 블록을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 원장에 등록하도록 하는 프로세스 및 (4)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 등록 정보가 상기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업데이트 되는지를 확인하며 상기 NFT 등록 정보에 대응되는 NFT 갱신 정보가 상기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되었음을 확인하면, 상기 NFT 갱신 정보를 포함하는 NFT 갱신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상기 NFT 갱신 트랜잭션을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상기 공증 블록체인 노드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이닝 노드로 하여금 상기 NFT 갱신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NFT 갱신 블록을 생성하도록 하고, 상기 공증 블록체인 노드들의 분산 합의에 의해 상기 NFT 갱신 블록을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 원장에 등록하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하는 공증 서버.
  11. 삭제
  1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NFT(Non-Fungible Token)를 공증하는 공증 서버에 있어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기 위해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1) 공증 요청자 단말로부터 NFT에 대한 공증을 요청하는 NFT 공증 요청 정보 - 상기 NFT 공증 요청 정보는 공증 요청자 정보 및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의 경로인 NFT 경로 정보를 포함함 - 가 획득되면, 상기 공증 요청자 정보를 이용하여 공증 요청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프로세스, (2) 상기 공증 요청자가 인증되면, 상기 NFT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에 대한 NFT 등록 정보를 확인하는 프로세스, (3) 상기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에 대한 상기 NFT 등록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NFT 공증 요청 정보, 상기 NFT 등록 정보, 및 공증 서버 서명값을 포함하는 NFT 공증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을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공증 블록체인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마이닝 노드로 하여금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NFT 공증 블록을 생성하도록 하고, 상기 공증 블록체인 노드들의 분산 합의에 의해 상기 NFT 공증 블록을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 원장에 등록하도록 하는 프로세스 및 (5)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 원장에 등록된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의 NFT 공증 트랜잭션 아이디 및 상기 NFT 등록 정보에 포함된 상기 NFT에 대응되는 자산 아이디가 맵핑되어 관리되는 상태에서, 검증 요청자 단말로부터 상기 자산 아이디를 포함하는 상기 NFT에 대한 NFT 검증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NFT 검증 요청 정보에 포함된 상기 자산 아이디를 참조하여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 아이디를 확인하고,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 아이디를 이용하여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을 확인하며,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이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되었음이 확인되면, 상기 NFT에 대한 NFT 검증 결과 정보를 상기 검증 요청자 단말로 제공하는 프로세스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증 서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NFT 검증 요청 정보는 상기 NFT에 대응되는 원본 파일의 위치를 나타내는 원본 파일 위치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NFT 검증 요청 정보에 포함된 상기 원본 파일 위치 정보를 추가로 참조하여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 아이디를 확인하고,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 아이디를 이용하여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을 확인하며,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이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되었음이 확인되면, 상기 NFT에 대한 상기 NFT 검증 결과 정보를 상기 검증 요청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증 서버.
  14.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NFT(Non-Fungible Token)를 공증하는 공증 서버에 있어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기 위해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1) 공증 요청자 단말로부터 NFT에 대한 공증을 요청하는 NFT 공증 요청 정보 - 상기 NFT 공증 요청 정보는 공증 요청자 정보 및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의 경로인 NFT 경로 정보를 포함함 - 가 획득되면, 상기 공증 요청자 정보를 이용하여 공증 요청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프로세스, (2) 상기 공증 요청자가 인증되면, 상기 NFT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에 대한 NFT 등록 정보를 확인하는 프로세스 및 (3) 상기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에 대한 상기 NFT 등록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NFT 공증 요청 정보, 상기 NFT 등록 정보, 및 공증 서버 서명값을 포함하는 NFT 공증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을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공증 블록체인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마이닝 노드로 하여금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NFT 공증 블록을 생성하도록 하고, 상기 공증 블록체인 노드들의 분산 합의에 의해 상기 NFT 공증 블록을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 원장에 등록하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되,
    상기 (1) 프로세스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공증 요청자 정보를 이용하여, 이메일 인증, 휴대 전화 인증, 아이핀 인증, 카드 인증, 공동인증서 인증, 계좌 인증, OTP 인증, 영상 통화 인증, 실명확인증표 사본 인증 및 생체 인증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공증 요청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증 서버.
  15.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NFT(Non-Fungible Token)를 공증하는 공증 서버에 있어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기 위해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1) 공증 요청자 단말로부터 NFT에 대한 공증을 요청하는 NFT 공증 요청 정보 - 상기 NFT 공증 요청 정보는 공증 요청자 정보 및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의 경로인 NFT 경로 정보를 포함함 - 가 획득되면, 상기 공증 요청자 정보를 이용하여 공증 요청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프로세스, (2) 상기 공증 요청자가 인증되면, 상기 NFT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에 대한 NFT 등록 정보를 확인하는 프로세스 및 (3) 상기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에 대한 상기 NFT 등록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NFT 공증 요청 정보, 상기 NFT 등록 정보, 및 공증 서버 서명값을 포함하는 NFT 공증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을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공증 블록체인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마이닝 노드로 하여금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NFT 공증 블록을 생성하도록 하고, 상기 공증 블록체인 노드들의 분산 합의에 의해 상기 NFT 공증 블록을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 원장에 등록하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되,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은, 상기 NFT에 대한 가치를 평가한 정보인 NFT 가치 평가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증 서버.
  16.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NFT(Non-Fungible Token)를 공증하는 공증 서버에 있어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기 위해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1) 공증 요청자 단말로부터 NFT에 대한 공증을 요청하는 NFT 공증 요청 정보 - 상기 NFT 공증 요청 정보는 공증 요청자 정보 및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의 경로인 NFT 경로 정보를 포함함 - 가 획득되면, 상기 공증 요청자 정보를 이용하여 공증 요청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프로세스, (2) 상기 공증 요청자가 인증되면, 상기 NFT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에 대한 NFT 등록 정보를 확인하는 프로세스 및 (3) 상기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에 대한 상기 NFT 등록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NFT 공증 요청 정보, 상기 NFT 등록 정보, 및 공증 서버 서명값을 포함하는 NFT 공증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을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공증 블록체인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마이닝 노드로 하여금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NFT 공증 블록을 생성하도록 하고, 상기 공증 블록체인 노드들의 분산 합의에 의해 상기 NFT 공증 블록을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 원장에 등록하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되,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은, 상기 NFT에 대한 공증 유효 기간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증 서버.
  17.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NFT(Non-Fungible Token)를 공증하는 공증 서버에 있어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기 위해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1) 공증 요청자 단말로부터 NFT에 대한 공증을 요청하는 NFT 공증 요청 정보 - 상기 NFT 공증 요청 정보는 공증 요청자 정보 및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의 경로인 NFT 경로 정보를 포함함 - 가 획득되면, 상기 공증 요청자 정보를 이용하여 공증 요청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프로세스, (2) 상기 공증 요청자가 인증되면, 상기 NFT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에 대한 NFT 등록 정보를 확인하는 프로세스 및 (3) 상기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에 대한 상기 NFT 등록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NFT 공증 요청 정보, 상기 NFT 등록 정보, 및 공증 서버 서명값을 포함하는 NFT 공증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을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공증 블록체인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마이닝 노드로 하여금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NFT 공증 블록을 생성하도록 하고, 상기 공증 블록체인 노드들의 분산 합의에 의해 상기 NFT 공증 블록을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 원장에 등록하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되,
    상기 NFT 공증 요청 정보는 상기 NFT에 대응되는 저작권자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증 서버.
  18.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NFT(Non-Fungible Token)를 공증하는 공증 서버에 있어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기 위해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1) 공증 요청자 단말로부터 NFT에 대한 공증을 요청하는 NFT 공증 요청 정보 - 상기 NFT 공증 요청 정보는 공증 요청자 정보 및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의 경로인 NFT 경로 정보를 포함함 - 가 획득되면, 상기 공증 요청자 정보를 이용하여 공증 요청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프로세스, (2) 상기 공증 요청자가 인증되면, 상기 NFT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에 대한 NFT 등록 정보를 확인하는 프로세스 및 (3) 상기 NF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NFT에 대한 상기 NFT 등록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NFT 공증 요청 정보, 상기 NFT 등록 정보, 및 공증 서버 서명값을 포함하는 NFT 공증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을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공증 블록체인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마이닝 노드로 하여금 상기 NFT 공증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NFT 공증 블록을 생성하도록 하고, 상기 공증 블록체인 노드들의 분산 합의에 의해 상기 NFT 공증 블록을 상기 공증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 원장에 등록하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되,
    상기 NFT 경로 정보는 상기 NFT를 발행하는 NFT 스마트 컨트랙트의 주소 정보 및 상기 NFT에 대응되는 자산 아이디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증 서버.
KR1020210154296A 2021-11-10 2021-11-10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nft를 공증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증 서버 KR102524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296A KR102524323B1 (ko) 2021-11-10 2021-11-10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nft를 공증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증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296A KR102524323B1 (ko) 2021-11-10 2021-11-10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nft를 공증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증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4323B1 true KR102524323B1 (ko) 2023-04-21

Family

ID=86098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4296A KR102524323B1 (ko) 2021-11-10 2021-11-10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nft를 공증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증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432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3961A (ko) * 2018-08-27 2020-03-06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을 이용한 다이아몬드 거래이력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매체
KR20200048191A (ko) * 2018-10-29 2020-05-08 전재균 블록체인을 이용한 전자문서의 공증 방법, 그리고 시스템
KR20200145400A (ko) * 2019-06-21 2020-12-30 주식회사 아이서티 공증 플랫폼 서버 및 이의 디지털 저작물 공증 방법
KR102199567B1 (ko) * 2019-11-11 2021-01-07 주식회사 블루인덱스 블록체인 기반 예술품 거래 데이터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365689B1 (ko) * 2021-09-08 2022-02-23 (주)프렌즈게임즈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의 거래를 지원하기 위한 시간-컨텍스트 데이터 기반 NFT(Non-Fungible Token)의 발행 및 거래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서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3961A (ko) * 2018-08-27 2020-03-06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을 이용한 다이아몬드 거래이력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매체
KR20200048191A (ko) * 2018-10-29 2020-05-08 전재균 블록체인을 이용한 전자문서의 공증 방법, 그리고 시스템
KR20200145400A (ko) * 2019-06-21 2020-12-30 주식회사 아이서티 공증 플랫폼 서버 및 이의 디지털 저작물 공증 방법
KR102199567B1 (ko) * 2019-11-11 2021-01-07 주식회사 블루인덱스 블록체인 기반 예술품 거래 데이터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365689B1 (ko) * 2021-09-08 2022-02-23 (주)프렌즈게임즈 히스토리컬 타임 슬롯의 거래를 지원하기 위한 시간-컨텍스트 데이터 기반 NFT(Non-Fungible Token)의 발행 및 거래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73270B2 (ja) ブロックチェーンにおけるスマートコントラクトに基づくトランザクション活動の取扱注意データを保護するための方法及びデバイス
CN112749957A (zh) 基于区块链的资产权利管理系统及其方法
JP6355168B2 (ja) ブロックチェーン生成装置、ブロックチェーン生成方法、ブロックチェーン検証装置、ブロックチェーン検証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358658B2 (ja) ブロックチェーン生成装置、ブロックチェーン生成方法、ブロックチェーン検証装置、ブロックチェーン検証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WO2018158936A1 (ja) ブロックチェーン管理装置、ブロックチェーン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2550223A (ja) 分散データレコード
US20230004970A1 (en) Distributed Ledgers with Ledger Entries Containing Redactable Payloads
US2022039188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intenance of NFT Assets
Raman et al. The world of NFTs (non-fungible tokens): the future of blockchain and asset ownership
US2023008619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oken Content Unlocking, Biometric Authentication using Privacy-Protecting Tokens, Ownership-Based Limitations of Content Access, Policy-Based Time Capsule Technology, and Content Lock Mechanisms
WO2020015414A1 (zh) 一种基于区块链向作品发布者发放奖励的方法及装置
US2023010042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action Management in NFT-Directed Environments
CN113126996A (zh) 代码审核的方法、装置及系统
CN115131034A (zh) 一种基于区块链的权益数字藏品的核销方法及设备
CN111833059B (zh) 一种数据银行中的数据资产管理方法和数据银行系统
Corsi et al. TickEth, a ticketing system built on Ethereum
JP7393343B2 (ja) 制御方法、コンテンツ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23510320A (ja) 分散型台帳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コンテンツのセキュアなピアツーピア送信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2524323B1 (ko)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nft를 공증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증 서버
US20230283466A1 (en) Content protection system
KR20230109029A (ko)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nft를 공증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증 서버
KR102550994B1 (ko) 대체불가능 토큰(nft)을 이용한 한시적 디지털 콘텐츠 임대 방법 및 시스템
US202302897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validating users to access blockchain based applications
US20220393892A1 (en) Composite Cryptographic Systems with Variable Configuration Parameters and Memory Bound Functions
US11816649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tecting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n digital content using smart propert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