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4114B1 - 소형생물 역세필터장치 - Google Patents

소형생물 역세필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4114B1
KR102524114B1 KR1020220174419A KR20220174419A KR102524114B1 KR 102524114 B1 KR102524114 B1 KR 102524114B1 KR 1020220174419 A KR1020220174419 A KR 1020220174419A KR 20220174419 A KR20220174419 A KR 20220174419A KR 102524114 B1 KR102524114 B1 KR 102524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luid
backwash
treated water
bas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4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Priority to KR1020220174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41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4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4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29/643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생물 역세필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측면에 내외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개구홈(11)이 형성된 캡하우징(10)과; 캡하우징(10)의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하우징(20)과; 개구홈(11)을 감싸도록 캡하우징(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소형생물을 걸러 원수를 처리수로 여과하기 위한 스크린부(30)와; 베이스하우징(20)에 형성된 것으로서 처리수를 배수하는 처리수배수관(R) 및 역세유체를 공급하는 역세유체공급관(S)과 연결되는 연결부(40)와; 캡하우징(10)과 베이스하우징(20)의 내측에서 연결부(40)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스크린부(30)에 의하여 처리된 처리수를 상기 처리수배수관(R)으로 안내하거나, 역세유체공급관(S)을 통하여 공급되는 역세유체를 상기 스크린부(30)로 분사하는 역세파트(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형생물 역세필터장치{Back washable Filter}
본 발명은 원수내의 소형생물을 거르기 위한 필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형생물을 여과하는 도중에 스크린에 부착된 소형생물을 자동으로 세척 제거함으로써 수처리 작업을 멈추지 않아도 되는, 소형생물 역세필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물, 저수지, 댐등으로부터 유입된 원수를 수처하기 위하여, 원수내에 포함된 소형생물, 예를 들면 깔다구, 실지렁이등과 같은 소형생물을 걸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수처리장에는 유입되는 원수내 소형생물을 거르기 위한 필터장치를 운영하고 있다.
한편, 필터장치를 장시간동안 운영하게 되면 필터에 소형생물이 지속적으로 부착되면서 여과효율이 서서히 저하되고, 이에 따라 적절한 시점이 되면 필터에 부착된 소형생물을 제거하거나 필터 장치를 교체하여야 한다.
그런데, 필터장치에서 소형생물을 제거하거나 교체하고자 할 때, 수처리 작업을 일시적으로 중단하여야 하였으며, 이에 따라 수처리 효율이 저하되고 많은 유지비용이 발생되었다.
이에 따라, 필터장치를 운영하면서 소형생물이 과도하게 부착되었을 때 스스로 제거함으로써 연속적인 수처리 작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원수내 소형생물을 여과하는 도중에 스크린에 소형생물이 과도하게 부착될 때, 수처리 작업을 중단하지 않고 소형생물을 자동으로 세척 제거할 수 있는, 소형생물 역세필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형생물 역세필터장치는, 측면에 내외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개구홈(11)이 형성된 캡하우징(10); 상기 캡하우징(10)의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하우징(20); 상기 개구홈(11)을 감싸도록 캡하우징(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소형생물을 걸러 원수를 처리수로 여과하기 위한 스크린부(30); 상기 베이스하우징(20)에 형성된 것으로서 처리수를 배수하는 처리수배수관(R) 및 역세유체를 공급하는 역세유체공급관(S)과 연결되는 연결부(40); 및 상기 캡하우징(10)과 베이스하우징(20)의 내측에서 상기 연결부(40)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스크린부(30)에 의하여 처리된 처리수를 상기 처리수배수관(R)으로 안내하거나, 상기 역세유체공급관(S)을 통하여 공급되는 역세유체를 상기 스크린부(30)로 분사하는 역세파트(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40)는, 상기 베이스하우징(20)의 바닥 중앙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내측지지관(41)과, 상기 베이스하우징(20)의 외측으로 돌출된 것으로서 상기 내측지지관(41)과 연통되는 외측지지관(42)과, 상기 외측지지관(42)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역세유체공급관(S)과 연결되는 서브연결관(43)과, 상기 외측지지관(42)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처리수배수관(R)과 연결되는 플랜지(44)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역세파트(50)는, 상기 캡하우징(10)과 베이스하우징(20)의 내측에서 상기 연결부(40)의 내측지지관(41)에 회전 가능하게 끼어지는 컬럼관(51)과, 상기 컬럼관(51)의 단부에서 연결되어 양측 수평 방향으로 개구된 수평티관(52)과, 상기 수평티관(52)의 양단 각각에 연결되는 제1,2수평연장관(53)(53')과, 상기 제1,2수평연장관(53)(53') 각각의 단부에 연결되어 양측 수직 방향으로 개구되는 제1,2수직티관(54)(54')과, 상기 제1,2수직티관(54)(54') 각각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단부가 밀폐된 제1,2수직연장관(55)(55')와, 상기 제1,2수직연장관(55)(55')에 측면에 형성되어 물이나 에어와 같은 역세유체를 분사하는 다수의 제1,2분사노즐(56)(56')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2분사노즐(56)(56')의 역세유체 분사방향은. 상기 제1,2수평연장관(53)(53')을 기준으로 수평 5~20°범위로 비스듬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측지지관(41)과 컬럼관(51) 사이에 형성된 것으로서 회전시 마찰력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유체베어링부(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체베어링부(60)는, 상기 내측지지관(41)에 끼어진 컬럼관(51)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유체홀(61)과, 상기 유체홀(61)에 대응되는 내측지지관(41)의 내주면에 몰입되게 형성되는 림홈(62)과, 상기 외측지지관(42)으로 돌출된 컬럼관(51)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내측지지관(41)의 단부에 거치되는 이탈방지링(63)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체홀(61)에 있어서 상기 컬럼관(51) 내주면측의 유체홀 입구(61a)의 내직경(D1)은 상기 림홈(62)에 대향된 유체홀 출구(61b)의 내직경(D2)보다 크고, 상기 유체홀 입구(61a)에서 출구(61b) 까지 점차로 작아지는 구조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생물 역세필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역세필터장치의 II-II' 선을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역세필터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역세파트가 연결부를 매개로 하여 베이스하우징에 결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2의 역세파트와 연결부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2의 VI-VI 선을 따른 단면도로서 제1,2분사노즐의 분사방향이 제1,2수평연장관에서 비스듬하게 형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6의 제1,2분사노즐에 의하여 컬럼관이 원활이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유체베어링부가 채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7의 유체베어링부를 발췌하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7의 유체베어링부가 컬럼관에 형성된 유체나선홈을 포함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도 1의 소형생물 역세필터장치가 펌프에 연동하여 원수를 처리수로 처리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도 1의 소형생물 역세필터장치가 중력에 의하여 원수를 처리수로 처리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소형생물 역세필터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상부" 나 "상"이라고 기재된 것은 접촉하여 바로 위에 있는 것뿐만 아니라 비접촉으로 위에 있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 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생물 역세필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역세필터장치의 II-II' 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역세필터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또, 도 4는 도 3의 역세파트가 연결부를 매개로 하여 베이스하우징에 결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역세파트와 연결부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2의 VI-VI 선을 따른 단면도로서 제1,2분사노즐의 분사방향이 제1,2수평연장관에서 비스듬하게 형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형생물 역세필터장치(100)는, 측면에 내외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개구홈(11)이 형성된 캡하우징(10)과; 캡하우징(10)의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하우징(20)과; 개구홈(11)을 감싸도록 캡하우징(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소형생물을 걸러 원수를 처리수로 여과하기 위한 스크린부(30)와; 베이스하우징(20)에 형성된 것으로서 처리수를 배수하는 처리수배수관(R) 및 역세유체를 공급하는 역세유체공급관(S)과 연결되는 연결부(40)와; 캡하우징(10)과 베이스하우징(20)의 내측에서 연결부(40)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스크린부(30)에 의하여 처리된 처리수를 처리수배수관(R)으로 안내하거나, 역세유체공급관(S)을 통하여 공급되는 역세유체를 스크린부(30)로 분사하는 역세파트(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캡하우징(1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단이 폐쇄된 원통캡 형태를 가지며 측면에 다수의 개구홈(11)이 형성된 하우징몸체(12)와, 하우징몸체(12)의 입구측에 단차지게 형성된 결합단(13)을 포함한다.
베이스하우징(20)은 캡하우징(10)의 결합단(1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캡하우징(10)에 결합되었을 때 역세파트(50)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캡하우징(10)과 베이스하우징(20)의 조립체는 전체적으로 구체 형태를 이루며, 400~900mm 범위의 직경 및 700~1340mm 범위의 높이를 가지는 크기를 가진다.
스크린부(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홈(11)을 덮도록 캡하우징(10)에 결합되어 원수에 포함된 깔다구, 실지렁이등과 같은 소형생물을 거른다. 이러한 스크린부(30)는, 개구홈(11)을 덮어서 원수내의 소형생물을 거르기 위한 메쉬망 필터(31)와, 메쉬망 필터(31)가 개구홈(11)을 덮도록 캡하우징(10)에 결합시키는 결합테두리(32)를 포함한다.
메쉬망 필터(31)는 내부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와이어가 메쉬형태로 직조됨으로써 구현되며, 여과입도는 0.5~3mm, 바람직하게는 1.5mm 의 크기를 가진다.
연결부(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하우징(20)의 바닥 중앙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내측지지관(41)과, 베이스하우징(20)의 외측으로 돌출된 것으로서 내측지지관(41)과 연통되는 외측지지관(42)과, 외측지지관(42)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역세유체공급관(S)과 연결되는 서브연결관(43)과, 외측지지관(42)의 단부에 형성되어 처리수배수관(R)과 연결되는 플랜지(44)를 포함한다.
서브연결관(43)에는 메쉬망 필터(31)에 부착된 소형생물을 역세척하기 위한 역세유체, 예를 들면 물이나 에어를 공급하는 역세유체공급관(S)이 연결된다.
플랜지(44)는, 스크린부(30)에 의하여 소형생물이 여과된 처리수가 배수되는 처리수배수관(R)과 연결된다.
역세파트(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하우징(10)과 베이스하우징(20)의 내측에서 내측지지관(41)에 회전 가능하게 끼어지는 컬럼관(51)과, 컬럼관(51)의 단부에서 연결되어 양측 수평 방향으로 개구된 수평티관(52)과, 수평티관(52)의 양단 각각에 연결되는 제1,2수평연장관(53)(53')과, 제1,2수평연장관(53)(53') 각각의 단부에 연결되어 양측 수직 방향으로 개구되는 제1,2수직티관(54)(54')과, 제1,2수직티관(54)(54') 각각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단부가 밀폐된 제1,2수직연장관(55)(55')와, 제1,2수직연장관(55)(55')에 측면에 형성되어 물이나 에어와 같은 역세유체를 분사하는 다수의 제1,2분사노즐(56)(56')을 포함한다.
제1,2수평연장관(53)(53')은 수평티관(52)에 의하여 컬럼관(51)의 상단에 양측으로 연장되게 연결된다.
제1,2수직연장관(55)(55')은 제1,2수직티관(54)(54')에 의하여 제1,2분기관(53)(53')의 단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게 연결된다.
제1,2분사노즐(56)(56')은 소형생물의 역세척을 위하여 역세유체를 메쉬망 필터(31)로 분사함과 동시에, 입체적 원통형태의 메쉬망 필터(31) 전체를 역세척하기 위하여 원주 방향으로 따라 이동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제1,2분사노즐(56)(56')의 역세유체 분사방향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수평연장관(53)(53')을 기준으로 5~20°, 바람직하게는 10°로 비스듬하게 형성된다. 제1,2분사노즐(56)(56')에서 분사되는 역세유체 분사방향이 제1,2수평연장관(53)(53')을 기준으로 수평 방향에서 비스듬하게 형성됨으로서, 분사되는 역세유체는 메쉬망 필터(31)에 부착된 소형생물에 충격을 주어 메쉬망 필터(31)로부터 분리되도록 역세척함과 동시에, 제1,2수직연장관(55)(55')이 컬럼관(51)을 축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동력으로 작동한다. 이에 따라, 입체적인 원통형태를 가지는 메쉬망 필터(31)에 부착된 소형생물을 모두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2분사노즐(56)(56')에서의 역세유체 분사방향이 제1,2수평연장관(53)(53')을 기준으로 5°이하일 경우, 회전을 위한 충분한 동력으로 작용하지 못하게 되어 제1,2수직연장관(55)(55')은 컬럼관(51)을 축으로 회전되지 못하게 되고, 20°이상일 경우 역세유체가 스크린부(30) 측으로 충분히 향하지 못하게 되어 메쉬망 필터(31)에 부착된 소형생물을 효과적으로 역세척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역세파트(50)에 의하여, 역세유체공급관(S)으로 물이나 에어와 같은 역세유체가 공급되면 역세유체는 연결부(40)를 통하여 컬럼관(51)으로 유입되고, 이후 수평티관(52) 및 제1,2수평연장관(53)(53')으로 분기되고, 이후 제1,2수직티관(54)(54') 및 제1,2수직연장관(55)(55')을 경유한 후 제1,2분사노즐(56)(56')로 분사된다. 이때 제1,2분사노즐(56)(56')의 역세유체 분사방향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수평연장관(53)(53')을 기준으로 5~20° 만큼 비스듬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역세파트(50)가 회전되면서 역세유체를 입체적으로 분사하고, 이에 따라 원통 형태의 입체적인 메쉬망 필터(31)에 부착된 소형생물을 모두 제거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제1,2분사노즐에 의하여 컬럼관이 원활히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유체베어링부가 채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유체베어링부를 발췌하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도7의 유체베어링부가 컬럼관에 형성된 유체나선홈을 포함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캡하우징(10)과 베이스하우징(20)의 조립체는, 400~900mm 범위의 직경 및 700~1340mm 범위의 높이를 가지며, 이에 따라 컬럼관(51) 역시 최소한 500mm 이상이 높이 및 50~100mm 내외의 직경을 가진다. 이러한 컬럼관(51)이 내측지지관(41)에 끼어져 역세파트(50) 전체를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하여, 컬럼관(51)과 내측지지관(41) 사이에는 회전시 마찰력이 최소화되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내측지지관(41)과 컬럼관(51) 사이에 회전시 마찰력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유체베어링부(60)가 형성된다.
유체베어링부(60)는, 내측지지관(41)에 끼어진 컬럼관(51)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유체홀(61)과, 유체홀(61)에 대응되는 내측지지관(41)의 내주면에 몰입되게 형성되는 림홈(62)과, 외측지지관(42)으로 돌출된 컬럼관(51)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내측지지관(41)의 단부에 거치되는 이탈방지링(63)을 포함한다.
유체홀(61)은 컬럼관(51)을 경유하는 역세유체를 림홈(62)으로 안내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이때 역세유체가 림홈(62)으로 강하게 유입되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컬럼관(51) 내주면측의 유체홀 입구(61a)의 내직경(D1)은 림홈(62)에 대향된 유체홀 출구(61b)의 내직경(D2)보다 크고, 유체홀 입구(61a)에서 출구(61b) 까지 점차로 작아지는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컬럼관(51)을 경유하는 역세유체는 유체홀 입구(61a)에서 출구(61b)로 이동하는 동안에 유체압이 증가된 후 림몸(62)으로 유입된다.
림홈(62)은 유체홀출구(61b)를 감싸도록 내측지지관(41)의 내주면에 링 형태가 되게 형성된다. 이때 림홈(62)의 수직폭(D3)은 유체홀(61)의 출구(61b) 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유체홀 출구(61b)를 통하여 유입된 높은 압력의 역세유체는 큰 수직폭(D3)을 가지는 림홈(62)을 채움으로써, 컬럼관(51)과 내측지지관(41)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킨다.
한편, 내측지지관(41)에 끼어진 컬럼관(51)의 내주면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스듬한 방향으로 다수의 유체나선홈(64), 본 실시예에서는 2 개의 유체나선홈(64)이 형성된다. 유체나선홈(64)은 외측지지관(42)을 통하여 역세유체가 유입될 때 역세유체의 일부를 내측지지관(41)과 컬럼관(51) 사이로 안내하여 마찰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유체막을 형성한다.
또한 유체나선홈(64)은 컬럼관(51)의 외주면에 비스듬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외측지지관(42)을 통하여 유입되는 역세유체의 압력은 유체나선홈(64)을 경유하면서 컬럼관(51)을 회전시키는 동력으로 작용하고, 이에 따라 컬럼관(51)은 좀더 원활이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 유체베어링부(60)는 컬럼관(51)과 내측지지관(41)을 가공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원수나 역세유체에 의하여 부식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0은 도 1의 소형생물 역세필터장치가 펌프에 연동하여 원수를 처리수로 처리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의 소형생물 역세필터장치가 중력에 의하여 원수를 처리수로 처리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소형생물 역세필터장치(100)를 강물, 저수지, 댐등의 저류조의 원수에 잠기게 한 상태에서, 연결부(40)와 연결된 처리수배구관(R)에 펌프(P)를 연결하여 작동시키면, 역세파트(50)의 제1,2분사노즐(56)(56')을 통하여 흡입압이 형성된다. 그러면 캡하우징(10)과 베이스하우징(20) 외측의 원수는 스크린부(30)를 통하여 유입되면서 원수내의 소형생물이 걸러지게 되고, 결국 소형생물이 걸러진 처리수가 역세파트(50)를 경유한 후 처리수배수관(R)을 통하여 배수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소형생물 역세필터장치(100)를 원수가 저장된 저류조 탱크에 잠기게 한 상태에서, 연결부(40)와 연결된 처리수배구관(R)을 저류조탱크의 하부측으로 연장되게 연결하면, 처리수배수관(R)에 수용된 유체의 무게에 의하여 역세파트(50)의 제1,2분사노즐(56)(56')을 통하여 흡입압이 형성된다. 그러면 캡하우징(10)과 베이스하우징(20) 외측의 원수는 스크린부(30)를 통하여 유입되면서 원수내의 소형생물이 걸러지게 되고, 결국 소형생물이 걸러진 처리수가 역세파트(50)를 경유한 후 처리수배수관(R)을 통하여 배수된다.
그리고 스크린부(30)에 부착된 소형생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연결부(40)과 연결된 역세유체공급관(S)으로 물이나 에어와 같은 역세유체를 공급한다. 그러면 역세유체는 연결부(40)에 연결된 역세파트(50)를 경유한 후 제1,2분사노즐(56)(56')을 통하여 강하게 분사되고. 역세유체는 메쉬망 필터(31)에 부착된 소형생물에 충격을 주어 메쉬망 필터(31)로부터 분리되도록 역세척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형생물 역세필터장치는, 스크린부(30)로 감싸여진 캡하우징(10) 및 베이스하우징(20) 조립체와, 캡하우징(10) 및 베이스하우징(20) 내측공간에서 스크린부(30)를 통과하면서 소형생물이 걸러진 처리수를 처리수배수관(R)으로 안내하거나, 스크린부(30)에 부착된 소형생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스크린부(30)로 역세유체를 분사하는 역세파트(50)를 포함함으로써, 원수로부터 소형생물이 걸러진 처리수를 생성함과 동시에, 스크린부(30)로 세척유체를 분사함으로써 스크린부(30)에 부착된 소형생물을 세척 제거할 수 있음으로써, 연속적인 수처리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역세파트(50)가 역세유체를 분사할 때 유체압에 의하여 역세파트(50)가 자동으로 회전하면서 스크린부(30)로 역세유체를 분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원통형태의 입체적 형태를 가지는 메쉬망 필터(31)에 부착된 소형생물을 모두 세척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R ... 처리수배수관 S ... 역세유체공급관
10 ... 캡하우징 11 ... 개구홈
12 ... 하우징몸체 13 ... 결합단
20 ... 베이스하우징 30 ... 스크린부
31 ... 메쉬망 필터 32 ... 결합테두리
40 ... 연결부 41 ... 내측지지관
42 .... 외측지지관 43 ... 서브연결관
44 ... 플랜지 50 ... 역세파트
51 ... 컬럼관 52 ... 수평티관
53, 53' ... 제1,2수평연장관 54, 54' ... 제1,2수직티관
55, 55' ... 제1,2수직연장관 56, 56' ... 제1,2분사노즐
60 ... 유체베어링부 61 ... 유체홀
61a ... 유체홀 입구 61b ... 유체홀 출구
62 ... 림홈 63 ... 이탈방지링
64 ... 유체나선홈

Claims (6)

  1. 측면에 내외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개구홈(11)이 형성된 캡하우징(10);
    상기 캡하우징(10)의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하우징(20);
    상기 개구홈(11)을 감싸도록 상기 캡하우징(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소형생물을 걸러 원수를 처리수로 여과하기 위한 스크린부(30);
    상기 베이스하우징(20)에 형성된 것으로서 처리수를 배수하는 처리수배수관(R) 및 역세유체를 공급하는 역세유체공급관(S)과 연결되는 연결부(40); 및
    상기 캡하우징(10)과 베이스하우징(20)의 내측에서 상기 연결부(40)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스크린부(30)에 의하여 처리된 처리수를 상기 처리수배수관(R)으로 안내하거나, 상기 역세유체공급관(S)을 통하여 공급되는 역세유체를 상기 스크린부(30)로 분사하는 역세파트(50);를 포함하고,
    상기 역세파트(50)는, 상기 캡하우징(10)과 베이스하우징(20)의 내측에서 상기 연결부(40)의 내측지지관(41)에 회전 가능하게 끼어지는 컬럼관(51)과, 상기 컬럼관(51)의 단부에서 연결되어 양측 수평 방향으로 개구된 수평티관(52)과, 상기 수평티관(52)의 양단 각각에 연결되는 제1,2수평연장관(53)(53')과, 상기 제1,2수평연장관(53)(53') 각각의 단부에 연결되어 양측 수직 방향으로 개구되는 제1,2수직티관(54)(54')과, 상기 제1,2수직티관(54)(54') 각각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단부가 밀폐된 제1,2수직연장관(55)(55')와, 상기 제1,2수직연장관(55)(55')에 측면에 형성되어 물이나 에어와 같은 역세유체를 분사하는 다수의 제1,2분사노즐(56)(56')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지지관(41)과 컬럼관(51) 사이에 형성된 것으로서 회전시 마찰력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유체베어링부(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체베어링부(60)는, 상기 내측지지관(41)에 끼어진 컬럼관(51)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유체홀(61)과, 상기 유체홀(61)에 대응되는 내측지지관(41)의 내주면에 몰입되게 형성되는 림홈(62)과, 상기 연결부(40)의 외측지지관(42)으로 돌출된 컬럼관(51)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내측지지관(41)의 단부에 거치되는 이탈방지링(6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생물 역세필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40)는,
    상기 베이스하우징(20)의 바닥 중앙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내측지지관(41)과,
    상기 베이스하우징(20)의 외측으로 돌출된 것으로서 상기 내측지지관(41)과 연통되는 외측지지관(42)과,
    상기 외측지지관(42)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역세유체공급관(S)과 연결되는 서브연결관(43)과,
    상기 외측지지관(42)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처리수배수관(R)과 연결되는 플랜지(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생물 역세필터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분사노즐(56)(56')의 역세유체 분사방향은. 상기 제1,2수평연장관(53)(53')을 기준으로 수평 5~20°범위로 비스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생물 역세필터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홀(61)에 있어서 상기 컬럼관(51) 내주면측의 유체홀 입구(61a)의 내직경(D1)은 상기 림홈(62)에 대향된 유체홀 출구(61b)의 내직경(D2)보다 크고,
    상기 유체홀 입구(61a)에서 출구(61b) 까지 점차로 작아지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생물 역세필터장치.
KR1020220174419A 2022-12-14 2022-12-14 소형생물 역세필터장치 KR102524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4419A KR102524114B1 (ko) 2022-12-14 2022-12-14 소형생물 역세필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4419A KR102524114B1 (ko) 2022-12-14 2022-12-14 소형생물 역세필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4114B1 true KR102524114B1 (ko) 2023-04-21

Family

ID=86098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4419A KR102524114B1 (ko) 2022-12-14 2022-12-14 소형생물 역세필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411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8091A (ko) * 2019-01-14 2020-07-22 (주)중앙플랜트 수평형 습식 스크러버용 클린 필터의 자동세척장치
KR20200090249A (ko) * 2017-12-05 2020-07-28 하이댁 프로세스 테크놀로지 게엠바하 필터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0249A (ko) * 2017-12-05 2020-07-28 하이댁 프로세스 테크놀로지 게엠바하 필터 장치
KR20200088091A (ko) * 2019-01-14 2020-07-22 (주)중앙플랜트 수평형 습식 스크러버용 클린 필터의 자동세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4776B1 (ko) 가압시스템을 갖춘 선박 평형수 필터장치
CN107899298A (zh) 一种防堵塞的污水处理装置
KR102524114B1 (ko) 소형생물 역세필터장치
US4941971A (en) Apparatus for mounting in an aqueous system, a cartridge filter for filtering the system and in place cleaning the filter
CN207822630U (zh) 一种防堵塞的污水处理装置
CN204395596U (zh) 半浸没式纤维转盘过滤器喷射冲洗装置
CN111871212A (zh) 一种自清洗智能膜池装置
KR102070679B1 (ko) 필터 세정구조를 갖는 정수시스템
CN214075305U (zh) 一种水动力自清洁水过滤装置
CN102671458A (zh) 一种集水槽的过滤装置
CN206366239U (zh) 具有自清洁功能的泵前过滤器
KR101693204B1 (ko) 다분할 셀 여과조에 연결된 다공성 인발구를 구비한 침전조
CN211111480U (zh) 一种养殖圈舍污水快速处理装置
CN210786411U (zh) 一种带反冲洗装置的微滤机及微滤沉淀一体机
CN107989010B (zh) 一种乏燃料贮存水池移动式撇沫装置
CN106698556B (zh) 一种在线切换反冲水处理装置
CN105536333A (zh) 循环滤层过滤机
TWI737399B (zh) 過濾結構及其應用
CN206342964U (zh) 一种外进内出式深度处理滤布滤池
JPH07233800A (ja) 取水ポンプの吸込口に設けるストレーナー装置
CN214936528U (zh) 一种喷水织机内部水循环供给装置
CN215462501U (zh) 一种回转式精密过滤器
CN217449147U (zh) 一种旋转式反冲洗过滤水箱
KR101022339B1 (ko) 수처리용 여과기
CN215822502U (zh) 一种自清洗泵前过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