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4035B1 -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4035B1
KR102524035B1 KR1020210030723A KR20210030723A KR102524035B1 KR 102524035 B1 KR102524035 B1 KR 102524035B1 KR 1020210030723 A KR1020210030723 A KR 1020210030723A KR 20210030723 A KR20210030723 A KR 20210030723A KR 102524035 B1 KR102524035 B1 KR 102524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ressing
unit
movement limiting
fixed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0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6449A (ko
Inventor
지은주
Original Assignee
지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은주 filed Critical 지은주
Priority to KR1020210030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4035B1/ko
Publication of KR20220126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6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4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4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6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latching members pushed radially by spring-lik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1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ring provided with teeth or fi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Abstract

연결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연결장치는, 파이프가 삽입되는 수용부와, 수용부에 삽입된 파이프를 가압하는 가압부와, 수용부에 연결되며 가압부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결 장치{CONNECIING DEVICE}
본 발명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조작으로 설치 및 분해가 가능하고,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스, 배관 등의 파이프를 연결하는데 적용하는 연결장치는, 파이프 등의 길이를 연장하거나, 연결장치를 통하는 유체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장치에 해당한다.
다만, 종래의 연결장치는 파이프 등을 조립하기 위한 방식이 복잡하고, 누수 등의 우려가 있고, 파이프와의 결합 및 결합 해제 시 상당한 힘이 필요하여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7-0002668호(2017.07.26 공개, 발명의 명칭: 파이프 연결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간단하고 쉬운 조작으로 파이프 등을 연결할 수 있는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는, 파이프가 삽입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된 파이프를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며, 상기 가압부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파이프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수용바디부; 및 상기 수용바디부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의 삽입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가압부가 상기 파이프에 접할 수 있게 수용되는 가압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수용부에 장착되며,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파이프가압부; 및 상기 파이프가압부에 접하여, 상기 파이프가압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압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파이프가압부는, 상기 수용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수용부에 삽입된 상기 파이프에 접하는 파이프가압부재; 및 상기 파이프가압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가압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파이프가압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압가이드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가압부를 상기 파이프 측으로 안내하는 가압가이드안내부; 및 상기 가압가이드안내부와 연결되며 상기 수용부에 결합되는 가압가이드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용부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이동에 따라 상기 가압부에 접하는 고정연결부; 및 상기 고정연결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연결부는, 복수 개의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제한부는, 복수 개의 상기 고정연결부재를 연결하여, 상기 고정연결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제한부는, 복수 개의 상기 고정연결부재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이동제한부; 및 복수 개의 상기 고정연결부재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제1이동제한부와 맞물리는 제2이동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제한부는, 상기 제1이동제한부 또는 상기 제2이동제한부 중 어느 하나를 이동시켜 상기 제1이동제한부와 상기 제2이동제한부의 맞물린 상태를 해제하는 이동제한해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는, 간단한 조작으로 파이프 등에 안정적으로 연결되며, 파이프에 용이하게 탈부착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연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B'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연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1)는, 수용부(100), 가압부(200) 및 고정부(300)를 포함하여, 수용부(100)에 수용된 파이프(10)에 안정적으로 결합되고, 수용된 파이프(10)와 제3파이프(미도시)를 연통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장치(1)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수용부(100)에 파이프(10)가 수용되고 끼움 결합 등으로 결합되는 하나의 제3파이프와 연결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수용부(100) 및 파이프(10) 개수, 형상 등은 사용 목적, 파이프(10)의 개수 및 형상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수용부(100)에는 파이프(10)가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수용부(100)는 수용바디부(110) 및 가압수용부(130)를 포함한다.
수용바디부(110)는 파이프(10)가 삽입되는 공간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수용바디부(110)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수용공간부(111)가 관통 형성되어 일측으로부터 파이프(10)가 수용공간부(111)에 삽입되고, 타측에 연결된 제3파이프와 수용된 파이프(10)를 연통시킨다.
가압수용부(130)는 수용바디부(110)의 외주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파이프(10)가 삽입되는 수용공간부(111)와는 연통홀부(113)를 통하여 연결되어, 가압수용부(130)에 수용된 가압부(200)가 연통홀부(113)를 통해 수용공간부(111)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파이프(10)에 접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수용부(100)는 제3파이프결합부(150)를 더 포함한다. 제3파이프결합부(150)는 제3파이프 및 수용바디부(110)와 연결되며 중공이 형성되어 수용공간부(111)에 수용된 파이프(10)와 제3파이프가 연통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3파이프결합부(150)는 수용결합부(151), 제3파이프결합부재(153) 및 가압지지부(155)를 포함한다.
수용결합부(151)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고 수용공간부(111)에 끼움 결합 또는 나사 결합 등의 방식으로 결합된다.
제3파이프결합부재(153)는 제3파이프가 끼움 결합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어 제3파이프가 제3파이프결합부재(153) 및 수용결합부(151)를 통하여 수용공간부(111)에 수용된 파이프(10)에 연통되도록 한다.
가압지지부(155)는 수용결합부(151) 또는 제3파이프결합부재(153)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로써, 가압지지부(155)는 수용바디부(110)와의 사이에 가압부(200)의 일부, 즉 후술할 가압가이드결합부(233)가 위치하여, 수용바디부(110)가 수용공간부(111)에 삽입될 때, 가압가이드결합부(233)가 가압지지부(155)에 의하여 수용바디부(110)에 고정되게 한다.
가압부(200)는 수용부(100)의 수용공간부(111)에 삽입된 파이프(10)를 가압하여, 수용공간부(111)에 삽입된 파이프(10)가 수용공간부(111)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부(200)는 파이프가압부(210) 및 가압가이드부(230)를 포함한다.
파이프가압부(210)는 수용부(100)에 장착되며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파이프가압부(210)는 파이프가압부재(211) 및 가압탄성부(213)를 포함한다.
파이프가압부재(211)는 수용부(100)에 형성되는 가압수용부(130)에 수용부(100)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수용부(100)에 삽입된 파이프에 접한다. 본 실시예에서 파이프가압부재(211)는 가압수용부(13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수용공간부(111) 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연통홀부(113)를 통하여 파이프(10)에 접한다.
가압탄성부(213)는 파이프가압부재(211)를 탄성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탄성부(213)는 파이프가압부재(211)와 함께 가압수용부(130)에 수용되며 양 단부가 각각 가압수용부(130)와 파이프가압부재(211)에 접하고 탄성 압축되어 파이프가압부재(211)를 일측으로 가압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파이프가압부(210)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수용부(10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 개의 가압수용부(130)에 수용된다. 특히, 파이프가압부(210)는 파이프(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는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 배치되어 파이프(10)가 수용공간부(111)에 편심되지 않게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가압가이드부(230)는 파이프가압부(210)에 접하여, 파이프가압부(210)의 이동을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가이드부(230)는 가압가이드안내부(231) 및 가압가이드결합부(233)를 포함한다.
가압가이드안내부(231)는 경사면(232)이 형성되어, 파이프가압부(210)를 수용부에 수용된 파이프 측으로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경사면(232)는 파이프(10)가 삽입되는 방향의 역 방향으로 가면서 파이프(10)측으로 가까워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경사면(232)의 형상에 의하여, 가압가이드안내부(231)는 가압탄성부(213)가 파이프가압부재(211)를 가압하면, 파이프가압부재(211)가 경사면(232)을 따라 이동이 안내되어 파이프(10)를 더욱 가압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가이드안내부(231)는 가압수용부(130) 또는 파이프가압부(210)에 대응하여 복수 개 형성되며, 각각의 가압가이드안내부(231)는 파이프가압부(210), 특히 파이프가압부재(211)를 각각 지지하게 된다.
가압가이드결합부(233)는 가압가이드안내부(231)와 연결되며 수용부(100)에 결합되어 가압가이드안내부(231)를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가이드결합부(233)는 대략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복수 개의 가압가이드안내부(231)의 단부가 연결되고, 수용부(100)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가이드결합부(233)는 가압가이드안내부(231)와 일체로서 형성되어, 부품의 개수 및 조립 공정 수를 줄이고 내구성 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파이프가압부(210)와 가압가이드부(230)는 하나의 모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경사면(232)이 형성되는 가압가이드부(230)가 파이프가압부재(211) 및 가압탄성부(213)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파이프가압부(210)와 가압가이드부(230)가 조립된 상태로 가압수용부(130)에 수용될 수 있다.
파이프가압부(210)와 가압가이드부(230)가 모듈로 형성되면, 복수 개의 파이프가압부재(212), 가압탄성부(213) 등을 조립하는 조립 공정 및 시간을 줄이고,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고정부(300)는 수용부(100)에 연결되며 가압부(200)를 파이프(10) 측으로 가압하여 고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300)는 고정연결부(310) 및 이동제한부(330)를 포함한다.
고정연결부(310)는 수용부(1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동에 따라 가압부(200), 특히 가압가이드안내부(231)의 외측면에 접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연결부(310)는 복수 개의 고정연결부재(311)를 포함하며, 각 고정연결부재(311)는 수용부(1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연결부재(311)는 한 쌍이 구비되어 수용부(100)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각각의 일 단부가 고정연결핀부(313) 등에 의하여 수용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5는 도 3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B'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6을 참고하면, 이동제한부(330)는 고정연결부(310)의 이동을 제한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제한부(330)는 복수 개 고정연결부재(311)의 타단부를 연결하여, 고정연결부재(311)가 의 가압가이드부(230) 및 파이프가압부(210)를 가압한 상태에서 이동을 제한하여 가압부(200)가 파이프(1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제한부(330)는 제1이동제한부(331) 및 제2이동제한부(333)를 포함한다.
제1이동제한부(331)는 복수 개의 고정연결부재(311)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2이동제한부(333)에 맞물린다. 제2이동제한부(333)는 복수 개의 고정연결부재(311)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며, 제1이동제한부(331)와 맞물린다.
본 실시예에서 제1이동제한부(331)는 일 면에 일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돌기가 복수 개 형성되어 제2이동제한부(333)에 삽입되는 일 방향으로 이동하여 맞물려 결합되지만, 해당 결합이 해제되지 않는 이상 타 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되게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제한부(330)는 이동제한해제부(335)를 더 포함한다. 이동제한해제부(335)는 제1이동제한부(331) 또는 제2이동제한부(333) 중 어느 하나를 이동시켜 제1이동제한부(331)와 제2이동제한부(333)가 맞물린 상태를 선택적으로 해제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제한해제부(335)는 스토퍼(336), 탄성부재(337) 및 누름부(338)를 포함한다. 스토퍼(336)는 고정연결부재(311)에 결합되되 고정연결부재(311)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제2이동제한부(333)가 해당 공간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탄성부재(337)는 고정연결부재(311)와 제2이동제한부(333) 사이에 구비되고, 제2이동제한부(333)를 탄성 가압하여 제2이동제한부(333)가 제1이동제한부(331)와 맞물린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누름부(338)는 제2이동제한부(333)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누름부(338)를 가압하면 제2이동제한부(333)가 밀려나면서 제1이동제한부(331)와의 결합이 해제되고, 가압을 해제하면 다시 제2이동제한부(333)가 제1이동제한부(331) 측으로 이동되면서 결합이 유지되게 한다.
고정부(300)의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 이외에도, 가압부(200)를 파이프(10) 측으로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는 기술 사상 안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고정부(300)는 슬라이드부와 버튼부를 포함하여, 슬라이드부가 이동된 후에 버튼부를 누르면, 가압부(200)를 가압, 고정하는 힘이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버튼부를 가압하는 간단한 동작으로 작동되되, 오작동을 방지하는 기능이 추가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300)는 가압부(200)를 비롯한 수용부(100)를 둘러싼 벨트부와, 벨트부의 길이를 조절하여 잠금 정도를 조절하는 잠금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잠금조절부는 회전에 따라 벨트부의 길이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구비되어, 약한 회전력이 입력되어도, 강한 힘으로 벨트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1)의 작동원리 및 그 효과를 설명한다.
제1이동제한부(331)와 제2이동제한부(333)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에서 파이프(10)를 수용바디부(110)의 수용공간부(111)에 진입시키면, 수용공간부(111)로 돌출되어 있는 파이프가압부재(211)가 파이프(10)에 접하여 밀려나게 된다. 다만, 파이프가압부재(211)는 가압탄성부(213)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어 파이프(10) 측으로 소정의 힘으로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파이프(10)의 수용공간부(111) 진입이 완료되면, 제1이동제한부(331)와 제2이동제한부(333)를 결합하여, 고정연결부재(311)가 가압가이드부(230) 및 파이프가압부재(211)를 가압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제1이동제한부(331)가 제2이동제한부(333)에 진입되는 정도를 증가시키면 고정연결부재(311)가 가압가이드부(230) 및 파이프가압부(210)를 매개로 파이프(10)를 더욱 강한 압력으로 가압하여, 가압부(200)가 파이프(10)를 고정하는 힘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파이프(10)와의 결합을 해제하려고 할 때에는, 사용자가 누름부(338)를 가압하는 간단한 동작으로 가능하다. 사용자가 누름부(338)를 가압하면, 탄성부재(337)에 의하여 지지되는 제2이동제한부(333)가 밀려나면서 제2이동제한부(333)와 제1이동제한부(331)의 결합이 해제된다.
제1이동제한부(331)와 제2이동제한부(333)와의 결합이 해제되면, 고정연결부(310)가 가압부(200)를 가압하는 힘이 해제되어, 파이프(10)에 결합된 연결장치(1)를 파이프(10)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1)는, 간단한 조작으로 파이프 등에 안정적으로 연결되며, 파이프에 용이하게 탈부착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연결장치 10: 파이프
100: 수용부 110: 수용바디부
111: 수용공간부 113: 연통홀부
130: 가압수용부 150: 제3파이프결합부
151: 수용결합부 153: 제3파이프결합부재
155: 가압지지부
200: 가압부 210: 파이프가압부
211: 파이프가압부재 213: 가압탄성부
230: 가압가이드부 231: 가압가이드안내부
232: 경사면 233: 가압가이드결합부
300: 고정부 310: 고정연결부
311: 고정연결부재 313: 고정연결핀부
330: 이동제한부 331: 제1이동제한부
333: 제2이동제한부 335: 이동제한해제부
336: 스토퍼 337: 탄성부재
338: 누름부

Claims (10)

  1. 파이프가 삽입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된 파이프를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며, 상기 가압부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수용부에 장착되며,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파이프가압부; 및
    상기 파이프가압부에 접하여, 상기 파이프가압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압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가이드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가압부를 상기 파이프 측으로 안내하는 가압가이드안내부; 및
    상기 가압가이드안내부와 연결되며 상기 수용부에 결합되는 가압가이드결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파이프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수용바디부; 및
    상기 수용바디부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의 삽입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가압부가 상기 파이프에 접할 수 있게 수용되는 가압수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가압부는,
    상기 수용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수용부에 삽입된 상기 파이프에 접하는 파이프가압부재; 및
    상기 파이프가압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가압탄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가압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6. 삭제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용부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이동에 따라 상기 가압부에 접하는 고정연결부; 및
    상기 고정연결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연결부는, 복수 개의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제한부는, 복수 개의 상기 고정연결부재를 연결하여, 상기 고정연결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제한부는,
    복수 개의 상기 고정연결부재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이동제한부; 및
    복수 개의 상기 고정연결부재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제1이동제한부와 맞물리는 제2이동제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제한부는,
    상기 제1이동제한부 또는 상기 제2이동제한부 중 어느 하나를 이동시켜 상기 제1이동제한부와 상기 제2이동제한부의 맞물린 상태를 해제하는 이동제한해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KR1020210030723A 2021-03-09 2021-03-09 연결 장치 KR102524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723A KR102524035B1 (ko) 2021-03-09 2021-03-09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723A KR102524035B1 (ko) 2021-03-09 2021-03-09 연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6449A KR20220126449A (ko) 2022-09-16
KR102524035B1 true KR102524035B1 (ko) 2023-04-19

Family

ID=83445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0723A KR102524035B1 (ko) 2021-03-09 2021-03-09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403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65544A (ja) * 2017-03-28 2018-10-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ユニット
KR102205580B1 (ko) * 2016-04-21 2021-01-21 바이오 퓨어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조작 확인용 커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424B1 (ko) * 2002-08-29 2009-10-16 한라공조주식회사 파이프 체결장치
KR102383330B1 (ko) * 2016-11-02 2022-04-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퀵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5580B1 (ko) * 2016-04-21 2021-01-21 바이오 퓨어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조작 확인용 커버
JP2018165544A (ja) * 2017-03-28 2018-10-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6449A (ko) 2022-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33468B2 (en) Universal optical fiber connectors and basic plugs thereof
JP4488529B2 (ja) ロック装置
EP1906492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elf-locking by snap-fastening
US20100322564A1 (en) Optical ferrule assembly
CN103083786A (zh) 用于流体驱替和加压装置的致动机构
WO1997013095A1 (en) Quick connect coupling with concentric configuration
JPH05115311A (ja) 着脱可能な雌雄型バツクル
KR102536620B1 (ko) 볼잠금 연결체
KR102524035B1 (ko) 연결 장치
KR20180047945A (ko) 퀵 커넥터
US20200036133A1 (en) Ball lock type connector with unwanted-removal prevention mechanism
US4216982A (en) Speed slip-on hose coupler
JP3758805B2 (ja) マルチファイバコネクタプラグ
US9822914B2 (en) Pipe connecting connector
EP0803748B1 (en) Multifibre connector plug
US3709528A (en) Hose coupling
US5499926A (en) Lever-operated connector assembly
US6692287B2 (en) Connector
CN102232677A (zh) 具有铰接链节的手链
CN216493882U (zh) 快拆结构和腕戴设备
JP5090940B2 (ja) ワンタッチカプラ
JP2011000317A (ja) 連結具
US7036996B1 (en) Optical fiber coupling assembly
KR102485867B1 (ko) 퀵 커플러
CN218719547U (zh) 用于管路的拆装便捷的接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