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3897B1 - 화재 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화재 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3897B1
KR102523897B1 KR1020220006424A KR20220006424A KR102523897B1 KR 102523897 B1 KR102523897 B1 KR 102523897B1 KR 1020220006424 A KR1020220006424 A KR 1020220006424A KR 20220006424 A KR20220006424 A KR 20220006424A KR 102523897 B1 KR102523897 B1 KR 102523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fire detector
detector
detection system
determin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6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자
Original Assignee
박인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자 filed Critical 박인자
Priority to KR1020220006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38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3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3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6Alarm destination chosen according to type of event, e.g. in case of fire phone the fire service, in case of medical emergency phone the ambulan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12Checking intermittent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 G08B29/14Checking intermittent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checking the detection circuits
    • G08B29/145Checking intermittent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checking the detection circuits of fire detection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감지를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는 화재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화재 발생을 감지하면 전기신호를 송신하는 제1화재 감지기(110), 상기 제1화재 감지기(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화재 감지기(110)로부터 전기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전기신호에 의한 전기적 특성이 제1기준범위에 해당하는지에 따라 화재여부를 판단하는 화재 판단부(200) 및 상기 화재 판단부(200)에서 화재가 판단되면, 화재발생을 알리는 알람부(3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재 감지 시스템{Fire protection system}
본 발명은 화재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1은 화재 감지기 및 그 화재 감지기를 포함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이며, 화재 감지기에 있어서, 불꽃을 감지할 수 있는 불꽃 감지부 및 연기를 감지할 수 있는 연기 감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불꽃 감지부는, 오실레이터로부터 출력된 펄스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펄스 신호의 하이 또는 로우 구간 중 하나의 구간을 다수의 펄스로 분할하여 출력하는 분할기를 포함하는 것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2는 IoT 기반 무선 수소화재 및 일반화재 겸용 불꽃 감지시스템이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직류를 출력하는 전원부(102)를 포함하는 하우징부(100)와,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기 설정된 제1파장영역의 파장을 선택적으로 투과하고, 기 설정된 제1파장영역 외의 파장은 차단하는 제1광학필터부(111)와, 제1광학필터부(111)의 후면에 설치되어 제1파장영역의 파장을 감지해 제1전기에너지를 생성한 후, 노이즈를 제거하고 증폭하여 증폭전압을 출력하며 화염을 감지하는 제1화염감지부(121)와, 하우징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기 설정된 제2파장영역의 포함되는 파장을 감지 여부에 대응해 제2전기에너지를 출력하거나 차단하며 화염을 감지하는 제2화염감지부(122)와, 제1화염감지부(121) 및 제2화염감지부(122)과 연결되어 제1화염감지부(121)에서 증폭전압이 인가되고 제2화염감지부(122)에서 제2전기에너지가 인가되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인가되는 제2전기에너지를 카운팅하고, 제1화염 감지부에서 인가되는 증폭전압의 최대값과 증폭전압의 최소값이 기 설정된 최대값과 최소값에 매칭되면 제1화재 연산값을 산출하고, 증폭전압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기울기와 매칭되면 제2화재연산값을 산출하고, 시간에 따라 산출되는 복수 개의 제1화재연산값을 가감 연산하여 제1화재가감값을 산출하고, 시간에 따라 산출되는 복수 개의 제2화재가감값을 가감 연산하여 제2화재가감값을 산출하여, 제1화재가감값이 제1화재기준값을 초과 또는 제2화재가감값이 제2화재기준값을 초과하면 화재신호를 출력하고, 통신망에 무선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제어부(130)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불꽃감지장치(10) 및 통신망을 통해 복수 개의 불꽃감지장치(10)와 연결되어, 불꽃감지장치(10)에서 송신하는 화재신호를 수신하는 단말장치(20)를 포함하는 것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3은, 화재 감지 시스템이고,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센서와, 연기를 감지하는 연감지센서와, 불꽃을 감지하기 위한 자외선 및 적외선 감지센서를 가지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회로와, 상기 증폭회로의 신호가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출력단과 연결되어 화재발생을 표시하는 화재표시부와, 상기 마이컴의 출력단과 연결되어 RS485를 이용한 유선통신과 RF를 이용한 무선통신으로 화재발송신호를 방재센터 및 이동 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통신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마이컴의 출력단과 연결되며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소방용 수신반을 조작하는 릴레이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4는, 양방향 통신 기능을 갖는 위험 구역내 설치용 화재 및 가스 감지 시스템이고, 제1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제1단자와 제2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제2단자를 구비한 제1 단자대 및 제1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제3단자와 제2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제4단자를 구비한 제2 단자대,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제3단자를 서로 연결하는 +선로 및 상기 제2단자와 상기 제4단자를 서로 연결하는 ?선로, 폐루프 형태로 이루어진 선로로서, 루프 형태의 일부는 재난 발생 위험성이 있는 위험구역내에 배치되고 루프형태의 나머지는 상기 위험구역 이외인 안전구역에 배치된 제1루프선로 및 상기 제1루프선로와 동일한 형태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루프선로, 상기 +선로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1루프선로에 연결된 제1연결선로 및 상기 -선로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2루프선로에 연결된 제2연결선로, 상기 제1연결선로 및 상기 제2연결선로에 설치되어, 상기 제1루프선로와 상기 제2루프선로의 단락이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제1연결선로 및 상기 제2연결선로를 각각 단선시키는 배리어, 상기 위험구역내에서 상기 제1루프선로와 상기 제2루프선로에 연결되며, 제1전압을 공급받아 동작하면서 주변환경을 감지하여 감지 정보를 생성하고, 또한, 제1전압을 복조하여 소정의 호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감지 정보를 제2전압을 변조하여 송신하는 감지기 및 제1전압에 상기 감지기를 지정하는 상기 호출 정보를 변조시켜 출력하면서 제2전압으로부터 상기 감지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감지 정보를 복조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단자대를 동시에 제어하고, 복조된 상기 감지 정보에 대응하여 화재 및 가스 감지 경보 처리를 수행하는 CPU를 포함하는 양방향 통신 기능을 갖는 것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KR 10-2021-0064621 A (공개일자 2021년06월03일) KR 10-2300744 B1 (등록일자 2021년09월06일) KR 10-2009-0082800 A (공개일자 2009년07월31일) KR 10-1399025 B1 (등록일자 2014년05월19일)
본 발명은 화재 감지를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는 화재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화재 감지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며, 화재 발생을 감지하면 전기신호를 송신하는 제1화재 감지기(110), 상기 제1화재 감지기(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화재 감지기(110)로부터 전기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전기신호에 의한 전기적 특성이 제1기준범위에 해당하는지에 따라 화재여부를 판단하는 화재 판단부(200) 및 상기 화재 판단부(200)에서 화재가 판단되면, 화재발생을 알리는 알람부(300)를 포함한다.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화재 감지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며, 화재 발생여부, 화재 감지기의 종류 및 오작동 종류에 따라 상기 제1화재 감지기에서 송신하는 전기신호에 따른 전기적 특성에 대한 이력이 저장되는 저장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화재 판단부(200)에서 사용되는 상기 제1기준범위는 상기 저장부(400)에 저장된 데이터 셋에 의해 학습된다.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화재 감지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저장부(400)에 저장되는 정보는 실시간으로 갱신된다.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화재 감지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화재 감지 시스템은 복수개이고, 상기 화재 감지 시스템에 포함되는 상기 제1화재 감지기(110)가 서로 동일할 경우, 각각의 화재 감지 시스템의 운용에 따라 생성되는 데이터 셋은 공유되어, 특정 화재 감지 시스템의 제1기준범위를 학습하는데 사용된다.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화재 감지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특정 화재 감지 시스템의 제1기준범위를 학습하는데 사용되는 데이터 셋은 상기 특정 화재 감지 시스템의 운용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 셋과, 다른 화재 감지 시스템으로부터 공유받은 데이터 셋을 포함하며, 상기 특정 화재 감지 시스템의 운용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 셋은, 소정 기준치 이상의 비율이다.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화재 감지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화재 판단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화재 감지기(110)와 같거나 다른 방식으로 화재 발생을 감지하며, 화재 발생을 감지하면 전기신호를 송신하는 제2화재 감지기(120)를 포함하고, 상기 화재 판단부(200)는, 상기 제2화재 감지기(120)로부터 전기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전기신호의 전기적 특성이 제2기준범위에 해당하는지에 따라 화재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제1화재 감지기(110) 및 상기 제2화재 감지기(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전기신호를 수신해 해당 전기신호가 상기 제1기준범위 또는 상기 제2기준범위에 해당하면, 화재가 발생했다고 판단한다.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화재 감지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제1화재 감지기(110) 및 상기 제2화재 감지기(120) 중 어느 하나에서만 전기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화재 판단부(200)에서 상기 전기신호를 수신해 화재가 발생했다고 판단하면, 상기 알람부(300)는 상기 제1화재 감지기(110) 및 상기 제2화재 감지기(120) 중 전기신호를 송신하지 않은 화재 감지기에 대한 점검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기지정된 연락처로 송신한다.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화재 감지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저장부(400)에는, 화재 발생여부, 화재 감지기의 종류 및 오작동 종류에 따라 상기 제2화재 감지기(120)에서 송신하는 전기신호 전기적 특성에 대한 이력이 저장되고, 상기 화재 판단부(200)에서 사용되는 상기 제2기준범위는 상기 저장부(400)에 저장된 데이터 셋에 의해 학습된다.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화재 감지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제1화재 감지기(110)와 같거나 다른 방식으로 화재 발생을 감지하며, 화재 발생을 감지하면 전기신호를 송신하는 제2화재 감지기(120) 및 상기 제1화재 감지기(110) 및 상기 제2화재 감지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상기 화재 판단부(200)와 연결하는 스위치(500)를 포함하고, 상기 화재 판단부(200)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제1화재 감지기(110)가 오작동했다고 판단되면, 상기 스위치(500)를 제어해 상기 제2화재 감지기(120)를 연결시킨다.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화재 감지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제1화재 감지기(110) 및 상기 제2화재 감지기(120) 각각은, 적외선 감지 방식, 영상처리 방식, 온도 감지 방식 및 연기 감지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구현된다.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화재 감지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화재 판단부(200)는, 상기 제1화재 감지기(110)에서 송신한 전기신호에 따른 전기적 특성이 상기 제1기준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저장부(400)에 저장된 정보를 참고해, 상기 제1화재 감지기(110)의 상태정보를 출력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재 감지 시스템은, 화재 판단부는 제1화재 감지기에서 송신되는 전기신호에 의한 전기적 특성이 제1기준범위일 때에만 화재가 발생했다고 판단하므로, 사용자가 보다 정확하게 화재발생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재 감지 시스템은, 제1기준범위가 학습되어, 화재 판단부에서 보다 정확하게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재 감지 시스템은, 제1화재 감지기 및 제2화재 감지기가 함께 동작해 상호 보완적으로 동작해, 본 발명에 의한 화재 감지 시스템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재 감지 시스템은, 제2화재 감지기가 제1화재 감지기의 보조 감지기로 동작하여, 제1화재 감지기가 고장나더라도 제2화재 감지기가 대신 동작해, 본 발명에 의한 화재 감지 시스템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재 감지 시스템은, 복수개의 화재 감지 시스템 각각의 운영 데이터 셋을 공유해 제1기준범위를 학습하는데 사용하므로, 상대적으로 빠른 시간에 정확한 제1기준범위를 학습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재 감지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화재 감지 시스템의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화재 감지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화재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화재 발생을 감지하면 전기신호를 송신하는 제1화재 감지기(110), 상기 제1화재 감지기(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화재 감지기(110)로부터 전기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전기신호에 의한 전기적 특성이 제1기준범위에 해당하는지에 따라 화재여부를 판단하는 화재 판단부(200) 및 상기 화재 판단부(200)에서 화재가 판단되면, 화재발생을 알리는 알람부(300)를 포함한다.
종래 화재 감지 시스템은, 특정 장소에 설치되어 해당 장소에서의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기, 화재 감지기에서 화재가 감지되면, 신호를 수신하는 화재 수신반 또는 중계기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화재 수신반 또는 중계기에서는 화재 감지기에 대기전압을 걸어주게 된다. 통상 대기전압을 24V라고 할 때, 화재 감지기에 설치되는 종단저항에 따라 감시전압은 일반적으로 22V로 떨어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화재 감지기가 화재를 감지하면, 화재 감지기에서 전기신호를 송신하게 되고, 전압은 4V로 저하되게 된다. 단, 화재 감지기에서 화재를 감지하지 않더라도, 쇼트 또는 단락과 같은 오작동에서도 전압이 강하되어, 경보를 내보내게 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은 실제 화재가 발생하지 않더라도 동작하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화재 발생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쇼트 또는 단락과 같은 화재 감지기의 오작동시 전압(전기적 특성)은 대체적으로 정해져있으며, 쇼트가 발생했을 때의 전압은 0V가 되고, 단락이 발생했을 때의 전압은 24V가 된다. 즉, 화재 감지기의 동작에 따라 측정되는 전기적 특성은 정상상태/화재감지상태/쇼트/단락 별로 서로 다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화재 감지기가 화재를 감지했을 때에만 동작하도록 하여, 사용자들이 화재 발생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 화재 판단부(200)는 제1화재 감지기(110)에서 송신한 전기신호에 의한 전기적 특성이 화재를 판단하는 전기적 특성의 범위인 제1기준범위 이내인지 여부에 따라, 화재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를 알람부(300)측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화재 판단부(200)는 화재 감지기측으로 걸리는 전압(또는 전기적 특성)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소자로 구현될 수 있으며, 화재 감지기측에는 종단저항이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제1기준범위는 통상 화재 감지기에서 화재가 감지되었을 때, 전기신호에 의한 전압값인 4V를 기준으로 크고 작게 소정 범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화재 감지기(110)는 화재로 인한 특정 조건이 되면 전기적 회로가 연결되어 전기신호를 송신하는 등의 수동 방식으로 구현되거나,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특정 조건이 되면 화재 판단부(200)로 전기신호를 송신하는 능동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알람부(300)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화재 발생을 주변에 알릴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알람부(300)는 청각적 수단, 촉각적 수단 및 시각적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주변에 화재가 발생한 것을 알릴 수 있으며,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사용하는 휴대전화에 메시지를 송신하여 제1화재 감지기(110)가 설치된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함을 알릴 수 있다.
(실시예 1-2) 본 발명은 화재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실시예 1-1에 있어서, 화재 발생여부, 화재 감지기의 종류 및 오작동 종류에 따라 상기 제1화재 감지기에서 송신하는 전기신호의 전기적 특성에 대한 이력이 저장되는 저장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화재 판단부(200)에서 사용되는 상기 제1기준범위는 상기 저장부(400)에 저장된 데이터 셋에 의해 학습된다.
앞서 설명한 제1기준범위는 본 발명에 의한 화재 감지 시스템이 설치된 위치, 환경, 화재감지기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화재 판단부(200)가 제1기준범위를 이용해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는 점에서 정확한 제1기준범위를 설정하는 것은 중요하며, 본 발명은 보다 정확한 제1기준범위를 결정하기 위해, 저장부(400)에 저장된 화재 감지기의 종류, 오작동 종류(단락 또는 쇼트)에 따라 제1화재 감지기에서 송신하는 전기신호에 의한 전기적 특성 이력을 이용해 제1기준범위를 학습시킨다.
(실시예 1-3) 본 발명은 화재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실시예 1-2에 있어서, 저장부(400)에 저장되는 정보는 실시간으로 갱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재 감지 시스템은, 제1화재 감지기(110)의 동작에 따른 데이터 셋이 저장부(400)에 실시간으로 저장되어 갱신될 수 있으며, 갱신되는 데이터 셋을 이용해 보다 정확한 제1기준범위를 학습할 수 있다.
(실시예 1-4) 본 발명은 화재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실시예 1-3에 있어서, 화재 감지 시스템은 복수개로, 각각의 시스템에 포함되는 제1화재 감지기(110)가 동일할 경우, 화재 감지 시스템의 운용에 따라 생성되는 데이터 셋은 서로 공유될 수 있다.
제1기준범위를 학습하기 위해서는 충분히 많은 데이터 셋이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셋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장기간 화재 감지 시스템이 운용되어야 하며, 장기간 화재 감지 시스템이 운용되는 동안에는 제1기준범위가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복수의 화재 감지 시스템 사이에 데이터 셋의 공유가 이루어져 제1기준범위의 학습에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1-5) 본 발명은 화재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실시예 1-4에 있어서, 하나의 화재 감지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셋의 양은, 다른 화재 감지 시스템에 사용되는 데이터 셋의 양 대비 소정 기준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화재 감지 시스템에서의 운용 데이터가 서로 공유되어 특정 화재 감지 시스템의 제1기준범위를 학습하는데 사용될 경우, 다른 화재 감지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운용 데이터 셋은 상대적으로 정확도가 낮을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특정 화재 감지 시스템의 제1기준범위를 학습하는데 사용되는 총 데이터 셋 중, 해당 화재 감지 시스템의 운용 데이터 셋의 양은, 소정 기준치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화재 감지 시스템의 제1기준범위를 학습하는데 필요한 총 데이터 셋의 양을 100이라고 했을 때, 해당 화재 감지 시스템의 운영 데이터 셋의 양은 50 이상일 수 있으며, 나머지 모자란 운영 데이터 셋의 양은 다른 화재 감지 시스템으로부터 공유 받을 수 있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화재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실시예 1-2에 있어서, 상기 화재 판단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화재 감지기(110)와 같거나 다른 방식으로 화재 발생을 감지하며, 화재 발생을 감지하면 전기신호를 송신하는 제2화재 감지기(120)를 포함하고, 상기 화재 판단부(200)는, 상기 제2화재 감지기(120)로부터 전기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전기신호의 전기적 특성이 제2기준범위에 해당하는지에 따라 화재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제1화재 감지기(110) 및 상기 제2화재 감지기(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전기신호를 수신해 해당 전기신호가 상기 제1기준범위 또는 상기 제2기준범위에 해당하면, 화재가 발생했다고 판단한다.
즉, 제2화재 감지기(120)는 제1화재 감지기(110)의 예비적인 역할을 한다. 제2화재 감지기(120)는 제1화재 감지기(110)와 다른 방식으로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데, 이는 제1화재 감지기(110)가 감지하지 못하는 특정한 화재 상황에 대해서, 제2화재 감지기(120)가 화재를 감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제1화재 감지기(110)와 제2화재 감지기(120)는 서로 상호 보완적인 관계일 수 있으며, 일예로 제1화재 감지기(110)는 연기 감지기이고, 제2화재 감지기(120)는 불꽃 감지기일 수 있다.
단, 본 발명은 제1화재 감지기(110)와 제2화재 감지기(120)의 화재 감지 방식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한정하지는 않으며, 제1화재 감지기(110)와 제2화재 감지기(120)가 서로 동일한 방식으로 화재를 감지할 수 있다. 이는 제1화재 감지기(110) 및 제2화재 감지기(120) 중 어느 하나가 고장나 동작하지 않을 경우, 다른 하나가 이를 보완하여 동작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실시예 2-2) 본 발명은 화재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제1화재 감지기(110) 및 상기 제2화재 감지기(120) 중 어느 하나에서만 전기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화재 판단부(200)에서 상기 전기신호를 수신해 화재가 발생했다고 판단하면, 상기 알람부(300)는 상기 제1화재 감지기(110) 및 상기 제2화재 감지기(120) 중 전기신호를 송신하지 않은 화재 감지기에 대한 점검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기지정된 연락처로 송신한다.
본 실시예는 정상동작하지 않는 화재 감지기에 대해서 유지/보수/점검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며, 제1화재 감지기(110) 및 제2화재 감지기(120)가 상호 보완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보여준다. 본 실시예에서 화재 감지기의 개수는 총 2개이지만, 본 발명은 상호 보완적으로 동작하는 화재 감지기의 개수를 2개로 한정하지 않고, 3개 이상인 실시예 또한 있을 수 있다.
(실시예 2-3) 본 발명은 화재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400)에는, 화재 발생여부, 화재 감지기의 종류 및 오작동 종류에 따라 상기 제2화재 감지기(120)에서 송신하는 전기신호 전기적 특성에 대한 이력이 저장되고, 상기 화재 판단부(200)에서 사용되는 상기 제2기준범위는 상기 저장부(400)에 저장된 데이터 셋에 의해 학습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화재 판단부(200)는 제1화재 감지기(110)의 제1기준범위와는 별개로 제2화재 감지기(120)의 제2기준범위를 통해 화재 발생여부를 판단하며, 이 역시 데이터 셋을 통해 학습될 수 있다.
(실시예 2-4) 본 발명은 화재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제1화재 감지기(110)와 같거나 다른 방식으로 화재 발생을 감지하며, 화재 발생을 감지하면 전기신호를 송신하는 제2화재 감지기(120) 및 상기 제1화재 감지기(110) 및 상기 제2화재 감지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상기 화재 판단부(200)와 연결하는 스위치(500)를 포함하고, 상기 화재 판단부(200)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제1화재 감지기(110)가 오작동했다고 판단되면, 상기 스위치(500)를 제어해 상기 제2화재 감지기(120)를 연결시킨다.
본 실시예는 제2화재 감지기(120)가 제1화재 감지기(110)의 예비 화재 감지기로 있으면서, 제1화재 감지기(110)가 고장났을 때, 제1화재 감지기(110)를 대체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1화재 감지기(110)와 화재 판단부(200)는 스위치(500)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가, 제1화재 감지기(110)가 고장났다고 판단되면, 화재 판단부(200)는 스위치(500)를 제어하여 제2화재 감지기(120)를 화재 판단부(200)에 연결시킨다. 제1화재 감지기(110) 및 제2화재 감지기(120)는 서로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두 개의 화재 감지기가 화재 판단부(200)에 연결되었다고 가정할 경우) 본 실시예는 한 번에 하나의 화재 감지기만을 운용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시스템이 단순해지면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화재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제1화재 감지기(110) 및 상기 제2화재 감지기(120) 각각은, 연기 감지 방식, 이온화식 감지 방식, 광전식 감지 방식, 정온식 감지 방식, 차동식 감지 방식 및 영상처리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제1화재 감지기(110) 및 제2화재 감지기(120) 중 어느 하나는 앞서 설명한 수동 방식으로 구현되고, 나머지 하나는 능동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한 연기 감지 방식, 이온화식 감지 방식, 광전식 감지 방식, 열 감지 방식, 정온식 감지 방식, 차동식 감지 방식 및 영상처리 방식 중 수동 방식은 이온화식, 광전식, 정온식, 차동식 방식으로, 화재가 발생했을 때의 환경에서 접점이 붙어 통전되는 방식이다. 이와 달리, 영상처리 방식은 화재가 발생했을 때의 이미지와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을 때의 이미지를 비교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능동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제1화재 감지기(110)와 제2화재 감지기(120)가 능동 및 수동 방식으로 혼용되어, 둘 중 어느 하나가 동작하지 않더라도 다른 하나가 동작하도록 유도하여, 특정 화재 감지기의 고장에 대비할 수 있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화재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제1화재 감지기(110) 및 상기 제2화재 감지기(120) 각각은, 연기 감지 방식, 이온화식 감지 방식, 광전식 감지 방식, 정온식 감지 방식, 차동식 감지 방식 및 영상처리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화재 감지기(110)는 화재로 인한 특정 조건이 되면 전기적 회로가 연결되어 전기신호를 송신하는 등의 수동 방식으로 구현되거나,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특정 조건이 되면 화재 판단부(200)로 전기신호를 송신하는 능동 방식으로 구현되어, 본 발명에 의한 화재 감지 시스템의 신뢰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상기한 다양한 화재 감지방식들 중, 연기 감지 방식, 이온화식 감지 방식, 광전식 감지 방식, 정온식 감지 방식, 차동식 감지 방식은 수동 방식이고, 영상처리 방식은 능동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일예로 제1화재 감지기(110)는 연기 감지 방식이 사용되고, 제2화재 감지기(120)는 영상처리 방식이 사용되어, 본 발명에 의한 화재 감지 시스템의 신뢰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화재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실시예 1-2에 있어서, 상기 화재 판단부(200)는, 상기 제1화재 감지기(110)에서 송신한 전기신호에 따른 전기적 특성이 상기 제1기준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저장부(400)에 저장된 정보를 참고해, 상기 제1화재 감지기(110)의 상태정보를 출력한다.
화재 판단부(200)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휴대전화나, 전광판, 청각적 수단 등을 통해 제1화재 감지기(110)의 상태정보, 보다 구체적으로는 오작동 종류에 대해서 출력하여,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제1화재 감지기(110)의 유지/보수/교환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저장부(400)에는 제1화재 감지기(110)의 오작동 종류 각각에 대한 전압값에 대한 정보 또한 저장되며, 오작동 종류를 판단하는 기준범위 또한 저장부(400)에 저장된 데이터 셋을 이용해 학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10 : 제1화재 감지기
120 : 제2화재 감지기
200 : 화재 판단부
300 : 알람부
400 : 저장부
500 : 스위치

Claims (11)

  1. 화재 발생을 감지하면 전기신호를 송신하는 제1화재 감지기(110);
    상기 제1화재 감지기(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화재 감지기(110)로부터 전기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전기신호에 의한 전기적 특성이 제1기준범위에 해당하는지에 따라 화재여부를 판단하는 화재 판단부(200);
    상기 화재 판단부(200)에서 화재가 판단되면, 화재발생을 알리는 알람부(300);
    화재 발생여부, 화재 감지기의 종류 및 오작동 종류에 따라 상기 제1화재 감지기에서 송신하는 전기신호에 따른 전기적 특성에 대한 이력이 저장되는 저장부(400); 및
    상기 제1화재 감지기(110) 및 제2화재 감지기(12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상기 화재 판단부(200)와 연결하는 스위치(500);를 포함하고,
    상기 화재 판단부(200)에서 사용되는 상기 제1기준범위는 저장부(400)에 저장된 화재 감지기의 종류, 오작동의 종류에 따라 제1화재 감지기(110)에서 송신하는 전기신호에 의한 전기적 특성 이력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부(400)에 저장된 데이터 셋에 의해 학습되며,
    상기 화재 판단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화재 감지기(110)와 같거나 다른 방식으로 화재 발생을 감지하며, 화재 발생을 감지하면 전기신호를 송신하는 제2화재 감지기(120);를 포함하고,
    상기 화재 판단부(200)는,
    상기 제2화재 감지기(120)로부터 전기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전기신호의 전기적 특성이 제2기준범위에 해당하는지에 따라 화재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제1화재 감지기(110) 및 상기 제2화재 감지기(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전기신호를 수신해 해당 전기신호가 상기 제1기준범위 또는 상기 제2기준범위에 해당하면, 화재가 발생했다고 판단하고,
    상기 제1화재 감지기(110) 및 상기 제2화재 감지기(120) 중 어느 하나에서만 전기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화재 판단부(200)에서 상기 전기신호를 수신해 화재가 발생했다고 판단하면, 상기 알람부(300)는 상기 제1화재 감지기(110) 및 상기 제2화재 감지기(120) 중 전기신호를 송신하지 않은 화재 감지기에 대한 점검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기지정된 연락처로 송신하고,
    상기 제1화재 감지기(110) 및 제2화재 감지기(120)는 서로 병렬로 연결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화재 판단부(200)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제1화재 감지기(110)가 오작동했다고 판단되면, 상기 스위치(500)를 제어해 상기 제2화재 감지기(120)를 연결시키는 화재 감지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400)에 저장되는 정보는 실시간으로 갱신되는 화재 감지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감지 시스템은 복수개이고, 상기 화재 감지 시스템에 포함되는 상기 제1화재 감지기(110)가 서로 동일할 경우, 각각의 화재 감지 시스템의 운용에 따라 생성되는 데이터 셋은 공유되어, 특정 화재 감지 시스템의 제1기준범위를 학습하는데 사용되는 화재 감지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화재 감지 시스템의 제1기준범위를 학습하는데 사용되는 데이터 셋은 상기 특정 화재 감지 시스템의 운용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 셋과, 다른 화재 감지 시스템으로부터 공유받은 데이터 셋을 포함하며, 상기 특정 화재 감지 시스템의 운용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 셋은, 소정 기준치 이상의 비율인 화재 감지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400)에는, 화재 발생여부, 화재 감지기의 종류 및 오작동 종류에 따라 상기 제2화재 감지기(120)에서 송신하는 전기신호 전기적 특성에 대한 이력이 저장되고,
    상기 화재 판단부(200)에서 사용되는 상기 제2기준범위는 상기 저장부(400)에 저장된 데이터 셋에 의해 학습되는 화재 감지 시스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화재 감지기(110) 및 상기 제2화재 감지기(120) 각각은, 적외선 감지 방식, 영상처리 방식, 온도 감지 방식 및 연기 감지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구현되는 화재 감지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판단부(200)는,
    상기 제1화재 감지기(110)에서 송신한 전기신호에 따른 전기적 특성이 상기 제1기준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저장부(400)에 저장된 정보를 참고해, 상기 제1화재 감지기(110)의 상태정보를 출력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KR1020220006424A 2022-01-17 2022-01-17 화재 감지 시스템 KR102523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424A KR102523897B1 (ko) 2022-01-17 2022-01-17 화재 감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424A KR102523897B1 (ko) 2022-01-17 2022-01-17 화재 감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3897B1 true KR102523897B1 (ko) 2023-04-19

Family

ID=86142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6424A KR102523897B1 (ko) 2022-01-17 2022-01-17 화재 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389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2800A (ko) 2008-01-28 2009-07-31 신진석 화재 감지 시스템
KR101399025B1 (ko) 2014-02-13 2014-05-30 비아이산업(주) 양방향 통신 기능을 갖는 위험 구역내 설치용 화재 및 가스 감지 시스템
KR20150047061A (ko) * 2013-10-23 2015-05-04 (주)케이엠에스 이중 경로 화재 경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중 경로 화재 감시 시스템
KR102221843B1 (ko) * 2020-08-31 2021-03-02 (주)해우이엔지 자가 점검 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기
KR20210064621A (ko) 2019-11-26 2021-06-03 주식회사엘디티 화재 감지기 및 그 화재 감지기를 포함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KR102283884B1 (ko) * 2020-08-21 2021-08-03 주식회사 데카엔지니어링 인공지능 기반 전기화재 예측 및 예지보전 시스템 및 방법
KR102300744B1 (ko) 2021-05-14 2021-09-10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IoT 기반 무선 수소화재 및 일반화재 겸용 불꽃 감지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2800A (ko) 2008-01-28 2009-07-31 신진석 화재 감지 시스템
KR20150047061A (ko) * 2013-10-23 2015-05-04 (주)케이엠에스 이중 경로 화재 경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중 경로 화재 감시 시스템
KR101399025B1 (ko) 2014-02-13 2014-05-30 비아이산업(주) 양방향 통신 기능을 갖는 위험 구역내 설치용 화재 및 가스 감지 시스템
KR20210064621A (ko) 2019-11-26 2021-06-03 주식회사엘디티 화재 감지기 및 그 화재 감지기를 포함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KR102283884B1 (ko) * 2020-08-21 2021-08-03 주식회사 데카엔지니어링 인공지능 기반 전기화재 예측 및 예지보전 시스템 및 방법
KR102221843B1 (ko) * 2020-08-31 2021-03-02 (주)해우이엔지 자가 점검 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기
KR102300744B1 (ko) 2021-05-14 2021-09-10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IoT 기반 무선 수소화재 및 일반화재 겸용 불꽃 감지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1371B1 (ko) 부가기능 확장형 화재감지기
JP3960351B2 (ja) 電力遮断システム
EP0308831B1 (en) System for processing a flame sensor output signal
WO1999063687A1 (en) System and method for antenna failure detection
KR101919074B1 (ko) 스마트 전기 화재 예방 시스템
KR102128676B1 (ko) 복합 센서 모듈
KR101784710B1 (ko) 화재 예방 감지 장치가 장착된 수배전반
KR101814330B1 (ko) 격리기와 루프백 타입 신호선로(Signaling Line)를 이용한 자동화재탐지시스템
KR102523897B1 (ko) 화재 감지 시스템
WO2014051456A1 (en) Environmental alert for computer systems
KR20090082800A (ko) 화재 감지 시스템
KR101527371B1 (ko) 아날로그 전류감응식 주소형 화재 감지시스템
KR20170138172A (ko) 학습기능을 이용한 전기 안전관리장치 및 그 방법
KR101214299B1 (ko) 오경보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r형 화재 경보 수신기 시스템 및 오경보 판정 방법
KR102045411B1 (ko) 전등기구에 적용 가능한 화재 감지 장치
KR102141736B1 (ko) 화재 감지기 및 그 화재 감지기를 구비한 화재 감지 시스템
EP0677829B1 (en) Fire alarm system
US6480109B1 (en) Alarm lockout apparatus
KR20110045111A (ko) 화재시 관리자에게 문자를 통보하는 무선 송신기
KR100682014B1 (ko) 바이메탈을 이용한 이상발열 조기 감지 시스템
US20130180422A1 (en) Blasting arrangement
EP0075385A2 (en) Self-checking failure controls
KR200240326Y1 (ko) 소방용 복합형 불꽃감지기
JP6646839B2 (ja) 自動火災報知システム
KR102368967B1 (ko) 과열과 아크 전류 차단을 이용한 화재 예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