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3824B1 - 콘크리트 저수조 담수패널 누수탐지시스템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저수조 담수패널 누수탐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3824B1
KR102523824B1 KR1020220109076A KR20220109076A KR102523824B1 KR 102523824 B1 KR102523824 B1 KR 102523824B1 KR 1020220109076 A KR1020220109076 A KR 1020220109076A KR 20220109076 A KR20220109076 A KR 20220109076A KR 102523824 B1 KR102523824 B1 KR 102523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anel
concrete
water tank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9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극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극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극동
Priority to KR1020220109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38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3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3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3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01M3/323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by monitor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containers
    • G01M3/3245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by monitor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containers using a level monitoring devi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저수조 담수패널 누수탐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저수조와 방수기능을 가진 담수패널 사이 내부에서 발생된 결로수 또는 누수로 인한 누출수가 결로수 주 배출관을 통하여 수위변동 누수탐지장치 내부로 유입되고, 배출수 양에 따라 수위가 사전설정 수위 범위 이상이 될 경우, 담수패널에 설치된 카메라통로 신축부재의 통로부 내부로 누수점검 카메라를 순회시켜 촬영된 영상을 통하여, 담수패널과 콘크리트 저수조 내부면의 이상 유무를 신속하게 확인하고 안전하게 유지보수 등을 진행할 수 있도록 고안된 콘크리트 저수조 담수패널 누수탐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저수조 담수패널 누수탐지시스템{Leak detection system for concrete water tank panel}
본 발명은 콘크리트 저수조 내부면에 설치된 방수기능을 가진 담수패널과 콘크리트 내부면에서 발생하는 결로수와 누수가, 실시간으로 배출되는 수량에 따라 사전설정된 수위범위 이상으로 배출수가 탐지되면, 즉시 누수 경보신호가 관리자에게 통신되고, 관리자는 담수패널에 설치된 카메라 통로부로 누수점검 카메라를 순회시켜 촬영된 영상을 통하여 누수여부와 위치를 확인하고,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저수조 내부면 담수패널 누수탐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수조는 식수 및 비상용수 등을 저장 및 공급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다양한 모양과 구조로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저수조의 일예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저수조가 있다.
상기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저수조는 시공이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콘크리트 특성상 시간이 지남에 따라 노후되어 콘크리트 표면의 박리, 파손, 크랙, 방수부 누수 등에 의해, 저장수가 누출되거나 외부의 오염물이 저수조 내부로 유입되어 저장수가 오염될 수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저수조 내부면에는 담수패널을 설치하고 있다,
하지만, 담수패널 외부에 결로수가 발생하거나, 담수패널의 접합부가 파손될 경우, 저장수 누수발생시 담수패널의 누수부위를 신속하게 특정하기가 매우 어렵고, 누수부위를 확인하기 위하여 저장수를 완전히 배출 후 누수부위를 육안으로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등 점검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저수조 수위가 만수 상태에서 담수패널의 누수부위 점검은 불가능하며, 또한 담수패널 누수로 인해 앙카볼트에 수분이 지속적으로 침투하게 되면, 콘크리트 내부의 철근 부식이 진행되어 크랙발생에 의해 앙카볼트의 결속력 약화되고, 담수패널은 콘크리트 저수조 내부면으로부터 이탈, 들뜸, 파손되며, 구조물의 수명 단축과 유지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저수조 담수패널 누수탐지시스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84955호(2011.11.12.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64495호(2012.07.04.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 저수조 내부면에 설치되는 방수기능을 가진 담수패널에서 발생하는 결로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에 수위변동탐지장치를 설치하여, 담수패널과 콘크리트 저수조 면에서 결로수와 누출수가 발생될 경우, 평상시 배출되는 배출량보다 많이 배출되어 수위변동탐지장치의 봉수 수위가 상승하게 되면, 와이파이 누출경보기가 작동되어 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누수 정보를 제공하고, 관리자는 즉시 제어부에서 콘크리트 저수조 내부면 담수패널에 설치된 카메라통로 신축부재의 통로부로 누수점검 카메라를 작동시켜, 누수 위치가 촬영된 영상을 통하여 신속한 점검과 유지보수 등 대응 절차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저수조 담수패널 누수탐지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콘크리트 저수조(10)가 노후되어 내부 표면이 훼손되고, 구조체 크랙과 방수층이 파손되어, 저장수 누수 또는 외부오염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저수조(10) 내부면에 프레임고정판(16)과 패널접합 프레임(17)을 고정하고 패널접합 프레임(17) 상면에 방수기능을 가진 담수패널(18)이 접합 설치되는 콘크리트 저수조(10);
상기 콘크리트 저수조(10) 내부 벽, 바닥 모서리에 인접한 담수패널(18)의 패널끝면(18a)과 카메라통로 신축부재(20) 날개부(20a)가 접합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구조로 상호간 연통되는 통로부(23)를 형성하여 담수패널(18)과 콘크리트 저수조(10)의 누수등 이상유무 위치 점검이 용이한 카메라통로 신축부재(20);
상기 카메라통로 신축부재(20)의 통로부(23)를 따라 담수패널(18)과 콘크리트 저수조(10) 내부면을 순회하면서 담수패널(18)과 콘크리트 저수조(10) 내부면의 이상유무를 촬영하는 누수점검 카메라(25);
상기 콘크리트 저수조(10) 외부에서, 상기 담수패널(18)과 콘크리트 저수조(10) 면에서 발생된 결로수를 배출하는 결로수 주 배출관(13)이 설치되어, 배출되는 결로수 양의 변동에 따라 담수패널(18)과 콘크리트 저수조(10) 내부면의 이상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수위변동 누수탐지장치(30);
상기 수위변동 누수탐지장치(30)의 감지 신호를 실시간으로 전달받아, 상기 누수점검 카메라(25)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40); 로 구성되어,
상기 수위변동 누수탐지장치(30)를 통해, 상기 제어부(40)에서 결로수 수위가 사전설정 수위범위 이상인 신호를 전달받은 경우, 상기 제어부(40)에서 누수점검 카메라(25)가 통로부(23)를 따라 순회 작동하며 누수 위치와 카메라 이동 거리가 일치되게 촬영된 영상을 통하여 담수패널(18)과 콘크리트 저수조(10) 내부면의 이상유무를 신속히 확인하고 유지보수 절차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출되는 결로수의 수위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누수로 인한 이상수위 발생시 이를 곧바로 확인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상수위 발생시 관리자는 담수패널에 접합된 카메라통로 신축부재(20) 내부로 누수점검 카메라(25)를 투입하여 이상유무를 신속히 확인하고 보수함으로써, 담수패널(18)과 콘크리트 저수조(10)의 안정성, 위생성, 유지관리성의 효과를 높인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저수조 담수패널과 카메라통로 신축부재 및 누수점검 카메라 설치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저수조 내부면에 패널접합 프레임과 누수점검 카메라 이송와이어 통로관 설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저수조 내부 평면 단면구조의 담수패널과 카메라통로 신축부재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누수점검 카메라 및 누수탐지시스템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저수조 내부면 담수패널 접합 방법에 관한 상세도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저수조 담수패널 누수탐지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저수조 담수패널 누수탐지시스템은 콘크리트 저수조(10) 내부면의 담수패널(18), 카메라통로 신축부재(20), 누수점검 카메라(25), 수위변동 누수탐지장치(30), 제어부(40)를 포함한다.
상기 콘크리트 저수조(10) 내부면은 방수기능을 가진 담수패널(18)이 내부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며, 식수 및 생활용수 등을 내부에 저장 공급하는 공간이다.
이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콘크리트 저수조(10)는 내부에 저장수를 유입 저장하기 위해, 외부로부터 원수를 공급받아 콘크리트 저수조(10)에 저장하고 각 수요처에 급수관(11)을 통하여 공급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콘크리트 저수조(10)는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정수장의 각종 탱크, 배수지, 건축물의 저수조 등으로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콘크리트 저수조(10)는 시공이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콘크리트 특성상 시간이 지남에 따라 노후로 인해 콘크리트 표면이 훼손되고, 구조체 크랙으로 방수층이 파손되어 저장수가 외부로 누출되거나, 외부로부터 오염원이 유입되어 저장수가 오염되는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저수조(10) 내부면에 방수기능을 가진 담수패널(18)을 설치하고 있으나, 담수패널(18)이 누수되거나 콘크리트 구조물이 누수가 발생될 경우 누수 부위를 찾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콘크리트 저수조(10) 내부면에 패널접합 프레임(17)을 설치하고 와이어 통로관(26)은 콘크리트 저수조(10) 내부면의 벽, 바닥 모서리와 인접하여 고정설치된 패널접합 프레임(17)의 프레임 끝면(17a)을 따라 접합하며, 와이어 통로관(26)을 감싸는 카메라통로 신축부재(20)의 날개부(20a)는 담수패널(18)의 패널 끝면(18a)과 접합하고 상호간 연통되는 구조로서 통로부(23)가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될 누수점검 카메라(25)의 이동통로를 형성 및 담수패널(18)의 인장, 수축 등의 변화에 대비하기 위해 구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통로부(23)는 콘크리트 저수조(10) 벽과 바닥의 모서리를 따라 설치되는 카메라통로 신축부재(20)에 형성되는 것이며, 다수의 담수패널(18) 상호간을 연결하도록 하면서, 콘크리트 저수조(10) 내벽 모서리가 비어있는 카메라 이동통로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카메라통로 신축부재(20)는 콘크리트 저수조(10) 내 벽, 바닥의 모서리를 따라 설치되어 카메라 통로로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카메라통로 신축부재(20)는 날개부(20a), 절곡부(20b)의 양단이 90도로 각각 절곡되는 부분, 절곡부(20b), 'L'자형 또는 ㄴ' 또는 'ㄱ'자로 절곡되는 판재, 곡면부(20c)로 이루어진 형태로 절곡되어, 누수점검 카메라(25) 이동과 신축작용(S) 역할을 동시에 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콘크리트 저수조(10) 내 담수패널(18)의 수축작용과 외부의 물리적인 충격에 의한 담수패널(18) 파손을 방지하고, 누수점검 카메라(25)의 진입구(21)와 진출구(22)가 형성하여 누수점검 카메라(25)가 카메라통로 신축부재(20) 내부로 진입, 진출 복귀 선회하며, 담수패널(18)과 콘크리트 저수조(10) 내부면의 이상유무 등을 촬영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한 상기 누수점검은 작동모터(24), 누수점검 카메라(25), 와이어 통로관(26), 이송용 와이어(27)로 이루어진다.
상기 작동모터(24)는 콘크리트 저수조(10) 외부에 설치되어, 후술될 이송용 와이어(27)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이다.
상기 와이어 통로관(26)은 카메라통로 신축부재(20) 일측 진입구(21)에서부터, 콘크리트 저수조(10) 내부면의 카메라통로 신축부재(20)의 통로부(23) 내부를 따라 진출구(22)로 이어지는 구조이며, 와이어 통로관(26) 외주연에는 길이 방향으로 절개부(26a)가 형성되어 있는 관체이다.
상기 이송용 와이어(27)는 와이어 통로관(26) 내에 길이 방향으로 내설되어 상기 작동모터 구동에 의해 폐회로 형태로 선회를 반복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와이어이다.
상기 누수점검 카메라(25)는 절개부(26a)를 통해 외주연의 카메라 노드(25a)가 이송용 와이어(27)와 연결 고정되어, 작동모터(24)를 통해 이송용 와이어(27)의 이동방향으로 카메라통로 신축부재(20) 통로부(23) 내부를 선회 이동하면서 담수패널(18)과 콘크리트 저수조(10) 내부면의 누수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 촬영장치이다.
상기 수위변동 누수탐지장치(30)는 콘크리트 저수조(10)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콘크리트 저수조(10) 내부면에 설치된 담수패널(18)과 콘크리트 저수조(10) 내부면의 결로수 또는 누수에 의한 누출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결로수 주 배출관(13)이 설치되며, 배출되는 누출수의 량에 따라 수위변동에 의해 결로수 또는 누수여부를 감지, 경보,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한 수위변동 누수탐지장치(30)는 내부에 봉수판(31), 와이파이 누출경보기(32), 결로수 배출관(33), 이상누수 배출관(34), 통합 배출관(35)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위변동 누수탐지장치(30)는 담수패널(18)과 콘크리트 저수조(10) 내부면에서 발생된 누수 및 결로수가 결로수 주 배출관(13)을 통하여 배출되고, 봉수판(31)은 수위변동 누수탐지장치(30) 내부 봉수 수위를 유지함으로써 외부에서의 벌레와 맨홀에서 발생되는 유해한 가스 등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하여 저장수의 오염방지와 상기 봉수판(31)은 수위변동 누수탐지장치(30)의 중간에 설치되고 좌, 우의 2개 구역으로 구획하되, 하단에서는 좌, 우 구역이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봉수를 유지하는 판이다.
상기 와이파이 누출경보기(32)의 경우, 수위탐지센서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수위변동 누수탐지장치(30)의 좌측 공간내에 직립설치되어, 담수패널(18)과 콘크리트 저수조(10)내부면에서 발생된 결로수 배출량이 평상시 결로수 수위보다 높은 사전설정 높이로 설치되어 실시간으로 수위를 탐지하고, 탐지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 와이파이 등을 이용하여 제어부(40)에 전달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성이다.
즉, 와이파이 누출경보기(32)는 실시간으로 항시 탐지작동을 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결로수 배출 수위에서는 탐지되지 않으며, 배출량이 증가하여 설정된 높이까지 수위가 상승하여 탐지될 경우 평상시의 신호와 사전설정된 다른 형태의 탐지 신호를 제어부(40)에 발송하는 형태로서, 설치 높이가 탐지 위치 지점이고, 이러한 탐지를 한 경우라면 누수로 인한 유입수 수위가 평상시보다 증가 되어 이상 유무를 확인해야 하는 시점이 되는 것이다.
상기 수위변동 누수탐지장치(30)의 외부에 2개의 관으로 분기되어 하단에는 결로수 배출관(33)이 설치되고, 상단에는 이상누출 배출관(34)이 설치되어 통합 배출관(35)과 서로 연결되며, 평소에는 결로수 만 배출될 경우 수위변동 누수탐지장치(30)의 와이파이 누출경보기(32)가 탐지하지 않고 결로수는 봉수를 유지하면서 결로수 배출관(33)과 연결된 통합 배출관(35)를 거쳐 외부 집수정(M)으로 배출되고, 수위변동 누수탐지장치(30)에 유입 수량이 이상 증가할 경우 결로수 배출관(33)의 수위보다 상승하게 되어 수위변동 누수탐지장치(30)의 와이파이 누출경보기(32)가 탐지되는 수위 범위 위치이고, 결로수 배출관(33)보다 상단에 이상누출배출관(34)으로 유입수가 넘어 통합 배출관(35)을 통하여 외부 집수정(M)으로 배출시키는 구조로 구성이 된다.
상기 제어부(40)는 수위변동 누수탐지장치(30)의 탐지 신호를 실시간으로 전달받아, 상기 누수점검 카메라(25)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관리사무실, 중앙관제시스템, 관리자 등 어느 하나가 제어부(40)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핸드폰 또는 PC상에서 확인 및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로써, 전술된 수위변동 누수탐지장치(30)를 통해, 상기 제어부(40)에서 누수로 인한 수위가 사전설정 수위 범위 이상인 신호를 전달받은 경우, 상기 제어부(40)에서 누수점검 카메라(25)를 통로부(23)를 따라 순회시키고, 누수점검 카메라(25)의 이동거리와 동일한 촬영된 영상을 확인하여, 담수패널(18)과 콘크리트 저수조(10) 내부면과 누수 지점을 찾아 신속한 유지보수 절차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콘크리트 저수조 담수패널 누수탐지시스템에서,
상기 콘크리트 저수조(10)는 내부면에 담수패널(18)을 설치하기 위하여 프레임 고정판(16), 패널접합 프레임(17)을 더 구비하고 있다. 이를 설명하면,
상기 프레임 고정판(16)을 콘크리트 저수조(10) 내부면에 앵카볼트(16a)로 횡과 종 방향에 일정한 간격을 띄워 독립적으로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 고정판(16);
상기 패널접합 프레임(17)은 프레임 고정판(16) 상면에 격자 형태로 설치되고 콘크리트 저수조(10) 내부면과 패널접합 프레임(17) 밑면이 일정한 간격 유지로 결로수 통로(19)가 형성하게 되며, 담수패널(18)과 콘크리트 저수조(10) 내부면에서 발생되는 결로수 또는 누출수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패널접합 프레임(17);
상기 콘크리트 저수조(10) 내면에 방수기능을 가진 담수패널(18)을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패널접합 프레임(17)의 상면에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담수패널(18); 이 더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패널접합 프레임(17)은 전술된 콘크리트 저수조(10)의 내면에 횡과 종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의 격자 형태로 설치되는 프레임으로서, 후술될 담수패널(18)을 고정하기 위한 프레임이다.
상기 프레임 고정판(16)은 전술된 패널접합 프레임(17) 후면에 다수개가 횡과 종방향의 일정한 간격으로 프레임 고정판(16)을 콘크리트 저수조(10) 내면에 앵카볼트(16a)로 고정하고, 패널접합 프레임(17)과 콘크리트 저수조(10) 내면과 일정한 공간이 확보되어 결로수 통로(19)가 형성하게 되며, 콘크리트 저수조(10) 내면과 담수패널(18)에서 발생되는 결로수 또는 누출수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콘크리트 저수조(10) 내부면에 고정되는 프레임 고정판이다.
상기 담수패널(18)은 콘크리트 저수조(10) 내면의 설치되어 저장수를 위생적이고 깨끗하게 유지하며, 누수 등으로부터 시설물을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하여 상기 패널접합 프레임(17)의 상면에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방수기능을 가진 담수패널(18)이다.
이러한 담수패널(18)은 콘크리트 저수조(10)의 내부면(좌, 우, 전, 후, 상, 하면) 전체에 다수개가 상호간 연속 연결되면서 설치되되, 콘크리트 저수조(10)의 모서리 부분 또는 신축이 필요한 부분에는 카메라통로 신축부재(20)에 의해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전술된 상기 프레임 고정판(16)이 앵카볼트(16a)로 결합되고, 앵카볼트(16a) 결합부위 주변(a), 상기 프레임 고정판(16)에 접촉된 패널접합 프레임(17)의 양측(b), 상기 콘크리트 저수조(10)면에 설치되는 담수패널(18)의 상호간의 접촉부위(c)는 각각 용접으로 접합되도록 하는데, 특히, 상기 콘크리트 저수조(10) 면에 다수개의 담수패널(18)이 상호간이 상기 패널접합 프레임(17) 상면에서 상호간 상, 하로 적층되도록 접촉한 후, 각 담수패널(18)의 패널끝면(18a)이 맞대거나 부분적으로 겹쳐지는 형태로 접합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콘크리트 저수조 11: 급수관
12: 드레인관 13: 결로수 주 배출관
14: 담수패널 집수정 15: 결로수 트랜치
16: 프레임 고정판 16a: 앵카볼트
17: 패널접합 프레임 17a: 프레임 끝면
18: 담수패널 18a: 패널 끝면
19: 결로수 통로 20: 카메라통로 신축부재
20a: 날개부 20b: 절곡부
20c: 곡면부 21: 진입구
22: 진출구 23: 통로부
24: 작동모터 25: 누수점검 카메라
25a: 카메라 노드 26: 와이어 통로관
26a: 절개부 27: 이송용 와이어
30: 수위변동 누수탐지장치 31: 봉수판
32: 와이파이 누출경보기 33: 결로수 배출관
34: 이상누수 배출관 35: 통합 배출관
40: 제어부
M: 외부 집수정 S: 신축작용
W: 용접접합

Claims (6)

  1. 콘크리트 저수조(10) 구조물이 노후로 인한 구조물 표면이 훼손되거나 크랙발생으로 방수층이 파손되어, 내부의 저장수 누수 또는 외부오염수가 유입되어 저장수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저수조(10) 내면에 방수기능을 가진 담수패널(18)을 접합 설치되는 콘크리트 저수조(10);
    상기 콘크리트 저수조(10) 내부면 벽, 바닥의 모서리를 따라 설치되며, 콘크리트 저수조(10) 내부 면으로 개방된 통로부(23)로 연통된 구조로 담수패널(18)과 접합하는 카메라통로 신축부재(20);
    상기 카메라통로 신축부재(20)의 통로부(23)를 따라 이동하면서, 담수패널(18)과 콘크리트 저수조(10) 내부면의 결로수와 누수 등 이상유무를 촬영하는 누수점검 카메라(25);
    상기 콘크리트 저수조(10) 외부에서, 상기 담수패널(18)과 콘크리트 저수조(10) 내부면의 결로수와 누출수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설치된 결로수 주 배출관(13)을 통하여 배출되는 결로수 또는 누출수 량에 따라 담수패널(18)과 콘크리트 저수조(10)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수위변동 누수탐지장치(30);
    상기 수위변동 누수탐지장치(30)의 감지 신호를 실시간으로 전달받아, 상기 누수점검 카메라(25)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40); 로 구성되어,
    상기 수위변동 누수탐지장치(30)를 통해, 상기 제어부(40)에서 결로수 수위가 사전설정 수위범위 이상의 신호를 전달받은 경우, 상기 제어부(40)에서 누수점검 카메라(25)를 통로부(23)를 따라 순회시키고, 누수지점과 누수점검 카메라(25)의 이동 거리가 일치하는 촬영된 영상을 통하여, 담수패널(18)과 콘크리트 저수조(10) 내부면의 누수 등 이상 유무를 신속히 확인하고 유지보수 절차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수위변동 누수탐지장치(30)는
    상기 담수패널(18)과 콘크리트 저수조(10) 면의 결로수 및 누출수가 수위변동 누수탐지장치(30) 내부로 유입되며, 내부를 좌, 우의 2개 구역으로 구획하되, 하단에서는 좌, 우 구역이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봉수판(31);
    상기 수위변동 누수탐지장치(30)의 좌측 공간내에 직립으로 설치되되, 담수패널(18)과 콘크리트 저수조(10) 내부면에서 배출되는 결로수 양이 평상시 결로수 수위보다 높은 사전설정 높이로 설치되어 실시간으로 수위를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제어부(40)에 전달하는 와이파이 누출경보기(32);
    상기 수위변동 누수탐지장치(30)의 외부 면에는 하단부에는 결로수 배출관(33), 상부에는 이상누수 배출관(34)으로 각각 분기되어 통합 배출관(35)와 연결 설치되되, 결로수 배출관(33)은 평상시 결로수를 결로수 배출관(33)을 통하여 외부 집수정(M)으로 배출시키고, 수위변동 누수탐지장치(30)는 와이파이 누출경보기(32)가 감지되는 봉수 수위가 사전설정 수위 범위 이상이 상승될 경우 누출수는 이상누수 배출관(34)과 통합 배출관(35)을 통하여 외부 집수정(M)으로 배출되는 통합 배출관(35) 구조이며,
    외주연에 길이 방향으로 절개부(26a)가 형성되어 있는 와이어 통로관(26);
    상기 와이어 통로관(26) 내에 길이 방향으로 내설되되, 작동모터(24)의 구동에 의해 폐회로 형태로 선회를 반복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이송용 와이어(27);
    상기 누수점검 카메라(25)는 절개부(26a)를 통해 외주연의 카메라 노드(25a)가 이송용 와이어(27)와 연결 고정되어, 작동모터(24)를 통해 이송용 와이어(27)의 이동 방향으로 수직, 수평으로 설치된 카메라통로 신축부재(20) 내부 통로부(23)를 따라 동반 이동되면서 담수패널(18)과 콘크리트 저수조(10) 내부면의 결로수와 누수등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저수조 담수패널 누수탐지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통로 신축부재(20)는
    상기 콘크리트 저수조(10) 내부 벽, 바닥면의 모서리에 설치된 카메라통로 신축부재(20)는 날개부(20a), 절곡부(20b), 곡면부(20c)로 이루어진 단면 형태로 제작되며, 날개부(20a)와 담수패널(18)의 패널 끝면(18a)과 상호간에 맞대기 또는 겹침 접합으로 담수패널(18) 내부면으로 개방된 구조의 통로부(23)가 형성되어, 담수패널(18)과 콘크리트 저수조(10) 사이 내부면에 이상누출 발생시 누수점검 카메라(25)를 신속히 투입하여 이상 유무 점검이 용이한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저수조 담수패널 누수탐지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통로 신축부재(20)는
    상기 콘크리트 저수조(10) 내부면의 담수패널(18)과 연결설치 되는 카메라통로 신축부재(20)는 누수점검 카메라(25)의 점검통로 역할과 담수패널(18)의 인장, 수축과 외부의 물리적인 충격을 흡수하는 신축작용(S) 역할을 동시에 하여, 상기 콘크리트 저수조(10) 내부면에 설치된 담수패널(18)의 파손을 방지하며, 콘크리트 저수조(10) 내 벽면 모서리에 수직으로 설치된 카메라통로 신축부재(20)의 좌측에는 누수점검 카메라(25)의 진입구(21)를 형성하고, 우측에는 누수점검 카메라(25)가 바닥면 모서리를 따라 수평으로 설치된 카메라통로 신축부재(20)의 통로부(23)를 선회한 후 진출구(22)로 복귀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저수조 담수패널 누수탐지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통로 신축부재(20)는
    양단부 날개부(20a)는 벽, 바닥의 담수패널(18) 패널 끝면(18a)과 상호간 접합되고,
    폭 방향을 향해 날개부(20a), 절곡부(20b), 곡면부(20c)로 이루어진 'L'자 형태의 단면 형태를 가지며 절곡부위 곡면부(20c)를 통해 신축작용(S)을 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담수패널(18)의 인장, 수축과 외부의 물리적인 충격에 의해 담수패널(18)이 변형과 파손을 방지하고, 카메라통로 신축부재(20)의 길이 방향으로 누수점검 카메라(25)의 통로부(23)가 개방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저수조 담수패널 누수탐지시스템.
  5. 삭제
  6. 삭제
KR1020220109076A 2022-08-30 2022-08-30 콘크리트 저수조 담수패널 누수탐지시스템 KR102523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076A KR102523824B1 (ko) 2022-08-30 2022-08-30 콘크리트 저수조 담수패널 누수탐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076A KR102523824B1 (ko) 2022-08-30 2022-08-30 콘크리트 저수조 담수패널 누수탐지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3824B1 true KR102523824B1 (ko) 2023-04-21

Family

ID=86098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9076A KR102523824B1 (ko) 2022-08-30 2022-08-30 콘크리트 저수조 담수패널 누수탐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382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1216A (ja) * 2001-06-25 2003-01-07 Hazama Gumi Ltd 廃棄物最終処分場、及び廃棄物最終処分場における漏水検知方法
KR101084955B1 (ko) 2010-02-05 2011-11-18 김정 콘크리트수조의 내부 물탱크 구조
KR101164495B1 (ko) 2012-03-06 2012-07-13 우영배 콘크리트 벽체 패널을 갖는 물탱크 제작 방법
KR101647088B1 (ko) * 2016-01-21 2016-08-09 (주)탑솔루션 결로수 자동 제거장치
KR101812719B1 (ko) * 2017-08-31 2017-12-27 성일기계공업 (주) 물탱크의 누수감지시스템
KR102061842B1 (ko) * 2019-10-18 2020-01-02 주식회사 문창 결로수의 배출 및 그 점검이 용이한 콘크리트 물탱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1216A (ja) * 2001-06-25 2003-01-07 Hazama Gumi Ltd 廃棄物最終処分場、及び廃棄物最終処分場における漏水検知方法
KR101084955B1 (ko) 2010-02-05 2011-11-18 김정 콘크리트수조의 내부 물탱크 구조
KR101164495B1 (ko) 2012-03-06 2012-07-13 우영배 콘크리트 벽체 패널을 갖는 물탱크 제작 방법
KR101647088B1 (ko) * 2016-01-21 2016-08-09 (주)탑솔루션 결로수 자동 제거장치
KR101812719B1 (ko) * 2017-08-31 2017-12-27 성일기계공업 (주) 물탱크의 누수감지시스템
KR102061842B1 (ko) * 2019-10-18 2020-01-02 주식회사 문창 결로수의 배출 및 그 점검이 용이한 콘크리트 물탱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37239A (en) Underground concrete vault structure for hazardous liquid storage tanks
WO1990008077A1 (en) Precast, prestressed concrete secondary containment vault
KR20120036722A (ko) 차수 장치
KR20200053079A (ko) 리프트형 홍수 방어벽
KR100931596B1 (ko) 교량의 신축이음 무용접 중앙배수장치
KR102523824B1 (ko) 콘크리트 저수조 담수패널 누수탐지시스템
KR101893097B1 (ko) 결로수 배출이 용이한 물탱크
ES2290206T3 (es) Deposito de almacenamiento para liquidos potencialmente contaminantes del agua.
JP2005035587A (ja) 貯留タンク
JP2018003343A (ja) 悪臭防止型排水設備
US865112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solating a section of fluid line
US6939081B1 (en) Fuel dispensing and containment assembly
KR102057018B1 (ko) 레독스 흐름 전지 모듈을 위한 컨테이너형 외함
CN216041827U (zh) 用于变形缝的防漏水结构
JP2008248693A (ja) 貯水タンク
JP4542421B2 (ja) 浸水防止装置
JP4711938B2 (ja) 屋内燃料タンクを備えたエンジン発電装置
US20030156902A1 (en) Fuel dispensing and containment assembly
KR100915392B1 (ko) 수방 대비 야외 수영장용 이동형 기계실
KR20130092531A (ko) 수저터널의 재난방재 설계 및 시공방법
CN219773105U (zh) 公共交通上盖建筑排污系统及建筑物
KR102239800B1 (ko) 차량의 무단 진입을 차단하기 위한 스마트 볼라드 시스템
CN217629696U (zh) 用于地下建筑的防洪装置
JP7290890B1 (ja) 浸水防止装置
KR200496626Y1 (ko) 이동형 탱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