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3621B1 - 다중 패널 ue에 대한 빔 표시 - Google Patents

다중 패널 ue에 대한 빔 표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3621B1
KR102523621B1 KR1020207031973A KR20207031973A KR102523621B1 KR 102523621 B1 KR102523621 B1 KR 102523621B1 KR 1020207031973 A KR1020207031973 A KR 1020207031973A KR 20207031973 A KR20207031973 A KR 20207031973A KR 102523621 B1 KR102523621 B1 KR 102523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reference signal
panel
user device
re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1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0866A (ko
Inventor
미하이 에네스쿠
사미 하콜라
라르스 달스가드
요르마 카이코넨
티모 코스켈라
주하 카르얄라넨
Original Assignee
노키아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filed Critical 노키아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Priority to KR1020237012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6064A/ko
Publication of KR20200140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0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3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3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the mobile station comprising multiple antennas, e.g. to provide uplink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beams, i.e. beam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17Feedback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04B7/04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taking physical layer constraints into account
    • H04B7/0469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taking physical layer constraints into account taking special antenna structures, e.g. cross polarized antennas into accou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1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subgroups of transmit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74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subgroups of receive antennas
    • H04B7/0877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subgroups of receive antennas switching off a diversity branch, e.g. to save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3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power saving com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dependent on the time of the day, e.g. according to expected transmission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04W52/02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switching on or off only a part of the equipment circuit b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5Power headroom repor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7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down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layers above the physical layer, e.g. RRC or MAC-CE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2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physical layer, e.g. DCI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다중 빔 다운링크 채널 제어 프로시져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어떤 상태가 사용되어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것 및/또는 수신기 패널의 비활성화를 나타내는 것에 의해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전력 절감을 허용한다. 이것은,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행해지는 측정 및 그들 측정을 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패널을 나타내는 패널 태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한 송신 구성 표시 테이블의 사용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달성된다. 최적의 다운링크 및 업링크 빔 선택을 결정하는 것은, 사용자 디바이스 측정 및 보고를 참조하여 달성된다.

Description

다중 패널 UE에 대한 빔 표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교시는 일반적으로 물리적 계층(physical layer; PHY), 매체 액세스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등등을 포함하는 무선 표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물리적 계층 설계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교시는, 상이한 종류의 빔포밍 성능을 가진 사용자 기기를 지원하는 빔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높은 캐리어 주파수에서, 예를 들면, 6 GHz 초과의 캐리어 주파수에서,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는 종종 다수의 송신 및 수신 안테나 패널을 가지며 수신 및 송신 둘 모두에 대해 전방향성 패턴(omni pattern)보다 좁은 RF 빔을 사용하여 동작한다. 한 예로서, UE는 네 개의 교차 편파 안테나 패널(cross-polarized antenna panel)을 갖출 수 있다. 패널의 수와는 대조적으로, UE에서 이용 가능한 제한된 수의 트랜스시버 유닛(transceiver unit; TXRU)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UE는 네 개의 교차 편파(x-pol) 안테나 패널을 갖는 동안 단지 두 개의 TXRU만을 가질 수 있다. 그 사례(instance)에서, 한 번에 단지 하나의 x-pol 패널 또는 두 개의 일차원 패널만이 사용 중일 수 있다(예를 들면, 패널당 편파 차원당 하나의 TXRU). "패널 내" 에서 TX 또는 RX 빔을 변경하는 것은 수십 내지 100 나노초 이내에 수행될 수 있지만, 그러나, 패널 사이에서 빔을 스위칭하는 것, 예를 들면, 동작 패널을 변경하는 것은 (대략) 100 마이크로초 내지 수 밀리초(패널이 동작 가능할 때까지 패널을 스위치 온하는 트리거로부터의 시간)를 필요로 할 수 있다. 활성 안테나 패널을 스위칭할 때 다시 동작하는 UE에 대해 지연(예를 들면, 2 마이크로초 지연)이 가정될 수 있다(예를 들면, 시스템 또는 UE가 가정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음).
공통 준병치(Quasi-colocation; QCL) 및 송신 구성 표시(Transmit Configuration Indication; TCI) 프레임워크는, 주기적, 반지속적 및 비주기적 CSI-RS, 및 NR에서의 NR-PDCCH 및 NR-PDSCH와 같은, 상이한 다운링크 물리적 신호 및 채널에 대한 "송신 빔"을 정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사례에서, UE는, 특정한 다운링크 신호에 대한 상이한 QCL 파라미터(지연 확산, 평균 지연, 도플러 확산, 도플러 시프트, 공간 RX, 등등)의 관점에서 소스 RS(들)로서 작용하는 하나의 또는 두 개의 RS와 각각의 행/상태가 관련되는 TCI 테이블로 구성될 수 있다. 특정한 소스 RS에 대해 공간적 RX QCL 파라미터가 구성되는 사례에서, UE는, 구성된/스케줄링된/트리거된 물리적 신호 또는 물리적 채널을 수신할 때, 소스 RS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것과 동일한 RX 빔이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가정할 수 있다.
설명 및/또는 도면에서 발견될 수 있는 소정의 약어는 본원에서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AMF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
BWP Bandwidth part(대역폭 부분)
CA Carrier Aggregation(캐리어 애그리게이션)
CC Component carrier(컴포넌트 캐리어)
CCE Control channel element(제어 채널 엘리먼트)
CE Control Element(제어 엘리먼트)
CORESET Control Resource Set(제어 리소스 세트)
CRI CSI-RS Resource Indicator(리소스 표시자)
CSI-RS Channel State Information Resource Set(채널 상태 정보 리소스 세트)
CSS Common search space(공통 검색 공간)
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다운링크 제어 정보)
DL Downlink(다운링크)
DMRS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복조 기준 신호)
gNB 5G Enhanced Node B (Base station)(5G 향상된 노드 B(기지국))
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
LTE long term evolution(롱 텀 에볼루션)
MAC Medium access control(매체 액세스 제어)
MEC multi-access edge computing(다중 액세스 에지 컴퓨팅)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이동성 관리 엔티티)
MPR maximum power reduction(최대 전력 감소)
NCE network control element(네트워크 제어 엘리먼트)
NR New radio(뉴 라디오)
NR-PDCCH New radio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뉴 라디오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N/W Network(네트워크)
PBCH Physical Broadcast Channel(물리적 브로드캐스트 채널)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
PHR power headroom(전력 헤드룸)
PL pathloss(경로 손실)
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
QCL Quasi Co-Location(준병치)
RE Resource Element(리소스 엘리먼트)
RF Radio Frequency(무선 주파수)
RRC Radio Resource Control(무선 리소스 제어)
RS Reference Signal(기준 신호)
RSRP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기준 신호 수신 전력)
SCS Subcarrier spacing(서브캐리어 간격)
SRS sounding reference signal(사운딩 기준 신호)
SS Synchronization Signal(동기화 신호)
SSB Synchronization signal block(동기화 신호 블록)
SSBRI SSB Resource Indicator(SSB 리소스 표시자)
TCI 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ion(송신 구성 표시)
TRP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송신-수신 지점)
TRS Tracking Reference Signal(추적 기준 신호)
TXRU Transceiver Unit(트랜스시버 유닛)
UE User Equipment(사용자 기기)
UL Uplink(업링크)
UPF User Plane Function(사용자 평면 기능)
5G Fif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5 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
다음의 개요는 예를 포함하며 예시적인 것이 되도록 의도되는 것에 불과하다. 개요는 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양태에 따르면, 예시적인 방법은,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특정한 빔 관리 소스 기준 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할 특정한 패널 태그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빔 보고를 기지국으로 제공하는 것; 사용자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송신 구성 표시 테이블의 구성 - 구성은 적어도 하나의 빔 보고에 기초하며, 송신 구성 표시 테이블은 사용자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수신기 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측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기준 신호와 관련되는 상태를 포함함 - 을 수신하는 것; 및 사용자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제어 리소스 세트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특정한 소스 기준 신호를 활성화할 때, 적어도 하나의 특정한 소스 기준 신호와 동일한 패널 태그를 공유하는 송신 구성 표시 상태만이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 빔 표시를 위해 사용되어야 한다는 것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예시적인 장치는, 장치로부터, 특정한 빔 관리 소스 기준 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할 특정한 패널 태그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빔 보고를 기지국으로 제공하기 위한 수단; 장치에 의해, 기지국으로부터, 장치에 대한 송신 구성 표시 테이블의 구성 - 구성은 적어도 하나의 빔 보고에 기초하며, 송신 구성 표시 테이블은 장치의 하나 이상의 수신기 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측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기준 신호와 관련되는 하나 이상의 송신 구성 표시 상태를 포함함 - 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제어 리소스 세트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특정한 소스 기준 신호를 활성화할 때, 적어도 하나의 특정한 소스 기준 신호와 동일한 패널 태그를 공유하는 송신 구성 표시 상태만이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 빔 표시를 위해 사용되어야 한다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예시적인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일시적 메모리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비일시적 메모리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함께, 장치로 하여금: 특정한 빔 관리 소스 기준 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할 특정한 패널 태그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빔 보고를 기지국으로 제공하게 하도록; 기지국으로부터, 장치에 대한 송신 구성 표시 테이블의 구성 - 구성은 적어도 하나의 빔 보고에 기초하며, 송신 구성 표시 테이블은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 패널을 사용하여 측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기준 신호와 관련되는 상태를 포함함 - 을 수신하게 하도록; 그리고 송신 구성 표시 테이블 내의 제어 리소스 세트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특정한 소스 기준 신호를 활성화할 때, 적어도 하나의 특정한 소스 기준 신호와 동일한 패널 태그를 공유하는 송신 구성 표시 상태만이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 빔 표시를 위해 사용되어야 한다는 것을 결정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예시적인 장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머신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프로그램을 유형적으로 구체화하는, 머신에 의해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프로그램 스토리지 디바이스를 포함하되, 동작은: 특정한 빔 관리 소스 기준 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할 특정한 패널 태그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빔 보고를 기지국으로 제공하는 것; 기지국으로부터, 장치에 대한 송신 구성 표시 테이블의 구성 - 구성은 적어도 하나의 빔 보고에 기초하며, 송신 구성 표시 테이블은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 패널을 사용하여 측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기준 신호와 관련되는 상태를 포함함 - 을 수신하는 것; 및 송신 구성 표시 테이블 내의 제어 리소스 세트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특정한 소스 기준 신호를 활성화할 때, 적어도 하나의 특정한 소스 기준 신호와 동일한 패널 태그를 공유하는 송신 구성 표시 상태만이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 빔 표시를 위해 사용되어야 한다는 것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전술한 양태 및 다른 양태는, 하기의 첨부의 도면과 연계하여 판독될 때 다음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Detailed Description)에서 더욱 명백하게 만들어지는데, 첨부의 도면에서:
도 1은, 예시적인 실시형태가 실시될 수 있는 하나의 가능하고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UE에 대해 구성되는 TCI 테이블의 예시적인 예시를 도시한다;
도 3은 소정의 TCI 상태(들)에 대한 관련화(만)을 나타내는 두 개의 예시적인 CORESET 구성의 예시적인 예시를 도시한다;
도 4는 PDSCH에 대한 TX 빔이 PDCCH에 대한 것과 동일한 예시적인 예시를 도시한다;
도 5는 PDSCH에 대한 TX 빔이 DCI에서 TCI 인덱스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예시적인 예시를 도시한다;
도 6은 PDSCH에 대한 TX 빔이 최신 슬롯에서 가장 낮은 CORESET-ID의 PDCCH TX 빔에 대응하는 예시적인 예시를 도시한다;
도 7은 UE에 대해 구성되는 TCI 테이블의 예시적인 예시를 도시한다;
도 8은 UE에 대해 구성되는 TCI 테이블의 예시적인 예시를 도시한다;
도 9는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을 도시한다;
도 10은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을 도시한다;
도 11은 사용자의 존재 하에서의 UE 빔의 예시적인 예시를 도시한다;
도 12는 DL RS 빔 및 UE 빔의 예시적인 예시를 도시한다;
도 13a는 방출 요건(emission requirement)을 충족시키는 데 필요한 MPR을 고려하는 측정된 RSRP PHR의 예시적인 예시를 도시한다;
도 13b는 방출 요건을 충족하는 데 필요한 MPR을 고려하는 측정된 PHR의 예시적인 예시를 도시한다; 그리고
도 14는, 빔이 공간적으로 중첩되고 있는 DL RS 빔 및 UE 빔의 예시적인 예시를 도시한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다중 빔 다운링크 채널 제어 프로시져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이 도면은 예시적인 실시형태가 실시될 수 있는 하나의 가능하고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에서, 사용자 기기(UE)(110)는 무선 네트워크(100)와 무선 통신한다. UE(110)는 무선 네트워크(100)에 액세스할 수 있는 무선, 통상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이다. UE(110)는, 하나 이상의 버스(127)를 통해 인터커넥트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20), 하나 이상의 메모리(125), 및 하나 이상의 트랜스시버(130)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트랜스시버(130)의 각각은 수신기(Rx)(132) 및 송신기(Tx)(133)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버스(127)는 어드레스, 데이터 또는 제어 버스일 수 있고, 마더보드 또는 집적 회로 상의 일련의 라인, 광섬유 또는 다른 광 통신 기기, 및 등등과 같은 임의의 상호 접속 메커니즘(interconnection mechanism)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트랜스시버(130)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128)에 연결된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125)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123)를 포함한다. UE(110)는, 다수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는 부분(140-1 및/또는 140-2)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하는 보고 모듈(140)을 포함한다. 보고 모듈(140)은, 예컨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20)의 일부로서 구현되고 있는 보고 모듈(140-1)로서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보고 모듈(140-1)은 또한 집적 회로로서 또는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와 같은 다른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보고 모듈(140)은,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123)로서 구현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되는 보고 모듈(140-2)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메모리(125)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123)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20)와 함께, UE(110)로 하여금, 본원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동작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UE(110)는 무선 링크(111)를 통해 gNB(170)와 통신한다.
gNB(NR/5G 노드 B 그러나 어쩌면 진화된 노드B)(170)는, UE(110)와 같은 무선 디바이스에 의한 무선 네트워크(100)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예를 들면, LTE의 경우, 롱 텀 에볼루션, 또는 NR의 경우, 뉴 라디오)이다. gNB(170)는 하나 이상의 버스(157)를 통해 인터커넥트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52), 하나 이상의 메모리(155),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N/W I/F(들))(161), 및 하나 이상의 트랜스시버(160)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트랜스시버(160)의 각각은 수신기(Rx)(162) 및 송신기(Tx)(163)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트랜스시버(160)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158)에 연결된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155)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153)를 포함한다. gNB(170)는, 다수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는 부분(150-1 및/또는 150-2)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모듈(150)을 포함한다. 시그널링 모듈(150)은, 예컨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52)의 일부로서 구현되고 있는 시그널링 모듈(150-1)로서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시그널링 모듈(150-1)은 또한 집적 회로로서 또는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와 같은 다른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시그널링 모듈(150)은,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153)로 구현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52)에 의해 실행되는 시그널링 모듈(150-2)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메모리(155)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153)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52)와 함께, gNB(170)로 하여금 본원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동작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61)는 예컨대 링크(176 및 131)를 경유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한다. 두 개 이상의 gNB(170)는, 예를 들면, 링크(176)를 사용하여 통신한다. 링크(176)는 유선 또는 무선 또는 둘 모두일 수 있고, 예를 들면, X2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버스(157)는 어드레스, 데이터 또는 제어 버스일 수 있고, 마더보드 또는 집적 회로 상의 일련의 라인, 광섬유 또는 다른 광 통신 기기, 무선 채널, 및 등등과 같은 임의의 상호 접속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트랜스시버(160)는 원격 무선 헤드(remote radio head; RRH)(195)로서 구현될 수 있는데, gNB(170)의 다른 엘리먼트는 물리적으로 RRH와는 상이한 위치에 있고, 하나 이상의 버스(157)는, gNB(170)의 다른 엘리먼트를 RRH(195)에 연결하기 위한 광섬유 케이블로서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원에서의 설명은 "셀"이 기능을 수행한다는 것을 나타내지만, 그러나 셀을 형성하는 gNB(170)가 기능을 수행할 것이다는 것을 분명히 알고 있어야 한다는 것을 유의한다. 셀은 gNB(170)의 일부를 구성한다. 즉, gNB(170)당 다수의 셀이 있을 수 있다. 각각의 셀은 하나의 또는 다수의 송신 및 수신 지점(TRP)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100)는,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UPF(User Plane Function; 사용자 평면 기능) 기능성(functionality)을 포함할 수 있는, 그리고 전화 네트워크 및/또는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예를 들면, 인터넷)와 같은 추가적인 네트워크와의 연결성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제어 엘리먼트(network control element; NCE)(190)를 포함할 수 있다. gNB(170)는 링크(131)를 통해 NCE(190)에 커플링된다. 링크(131)는, 예를 들면, S1 인터페이스로서 구현될 수 있다. NCE(190)는 하나 이상의 버스(185)를 통해 인터커넥트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75), 하나 이상의 메모리(171), 및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N/W I/F(들))(180)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171)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173)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171)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173)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75)와 함께, NCE(190)로 하여금,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무선 네트워크(100)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리소스 및 네트워크 기능성을 단일의 소프트웨어 기반의 관리 엔티티인 가상 네트워크로 결합하는 프로세스인 네트워크 가상화를 구현할 수 있다. 네트워크 가상화는, 리소스 가상화와 종종 결합되는 플랫폼 가상화를 수반한다. 네트워크 가상화는, 많은 네트워크, 또는 네트워크의 일부를 가상 단위로 결합하는 외부 또는 단일의 시스템 상의 소프트웨어 컨테이너에 네트워크와 유사한 기능성을 제공하는 내부 중 어느 하나로 분류된다. 네트워크 가상화로부터 유래하는 가상화된 엔티티는, 프로세서(152 또는 175) 및 메모리(155 및 171)와 같은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어떤 레벨에서 여전히 구현되고, 또한 그러한 가상화된 엔티티는 기술적인 효과를 생성한다는 것을 유의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125, 155, 및 171)는 로컬 기술 환경에 적절한 임의의 타입의 것일 수 있으며, 반도체 기반의 메모리 디바이스, 플래시 메모리, 자기 메모리 디바이스 및 시스템, 광학 메모리 디바이스 및 시스템, 고정식 메모리 및 착탈식 메모리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데이터 저장 기술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125, 155, 및 171)는 저장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프로세서(120, 152, 및 175)는 로컬 기술 환경에 적절한 임의의 타입의 것일 수 있으며, 비제한적인 예로서, 범용 컴퓨터, 특수 목적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및 다중 코어 프로세서 아키텍쳐에 기초한 프로세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 152, 및 175)는, UE(110), gNB(170), NCE(190), 및 본원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다른 기능을 제어하는 것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 기기(110)의 다양한 실시형태는, 셀룰러 전화 예컨대 스마트폰, 태블릿, 무선 통신 성능을 갖는 개인 휴대형 정보 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 통신 성능을 갖는 휴대용 컴퓨터, 무선 통신 성능을 갖는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이미지 캡쳐 디바이스, 무선 통신 성능을 갖는 게이밍 디바이스, 무선 통신 성능을 갖는 음악 저장 및 재생 어플라이언스(appliance), 무선 인터넷 액세스 및 브라우징을 허용하는 인터넷 어플라이언스, 무선 통신 성능을 갖는 태블릿뿐만 아니라, 그러한 기능의 조합을 통합하는 휴대용 유닛 또는 단말을 포함할 수 있지만, 그러나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원에서의 실시형태는 소프트웨어(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됨), 하드웨어(예를 들면, 주문형 집적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형태의 한 예에서, 소프트웨어(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 로직, 명령어 세트)는 다양한 종래의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중 임의의 것 상에서 유지된다. 이 문서의 맥락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예를 들면, 도 1에 설명되고 묘사되는 컴퓨터의 하나의 예를 갖는 컴퓨터와 같은 명령어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 의한 또는 이들과 관련한 사용을 위한 명령어를 포함, 저장, 통신, 전파 또는 운반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 또는 수단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또는, 컴퓨터와 같은 명령어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 의한 또는 이들과 관련한 사용을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거나 또는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 또는 수단일 수 있는 다른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LTE 네트워크에서의 현재의 아키텍쳐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완전히 분산되고 코어 네트워크에서 완전히 중앙 집중화된다. 낮은 레이턴시는 콘텐츠를 무선부(radio)에 가깝게 가져오는 것을 필요로 하는데, 이것은 로컬 브레이크 아웃(local break out) 및 다중 액세스 에지 컴퓨팅(multi-access edge computing; MEC)으로 이어진다. 5G는 에지 클라우드 및 로컬 클라우드 아키텍쳐를 사용할 수 있다. 에지 컴퓨팅은, 무선 센서 네트워크, 모바일 데이터 획득, 모바일 서명 분석, 로컬 클라우드/포그(fog) 컴퓨팅 및 그리드/메쉬 컴퓨팅으로서 또한 분류 가능한 협업 분산 피어 투 피어 애드 혹 네트워킹 및 프로세싱, 듀 컴퓨팅(dew computing), 모바일 에지 컴퓨팅, 클라우드릿(cloudlet), 분산형 데이터 스토리지 및 검색, 자율 자동 복구 네트워크(autonomic self-healing network), 원격 클라우드 서비스 및 증강 현실과 같은 광범위한 기술을 포괄한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무선 통신에서, 에지 클라우드를 사용하는 것은, 노드 동작이, 무선부를 포함하는 원격 무선 헤드 또는 기지국에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되는 서버, 호스트 또는 노드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실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노드 동작은 복수의 서버, 노드 또는 호스트 사이에서 분산될 것이다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5G에서의 코어 네트워크 동작과 기지국 동작 사이의 작업의 분배는 LTE의 것과는 상이할 수 있거나 또는 심지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 어쩌면 사용될 몇몇 다른 기술 향상은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Software-Defined Networking; SDN), 빅 데이터(Big Data), 및 올 IP(all-IP)인데, 이들은 네트워크가 구성 및 관리되는 방식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실행을 위한 하나의 적합한 그러나 비제한적인 기술적 맥락을 도입하면,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이제 더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UE(110)에 대해 구성되는 예시적인 TCI 테이블(200)을 예시한다. 테이블(200)은 TCI 인덱스 210, 소스 RS 세트(220), 소스 RS 인덱스(230) 및 QCL 타입(240)에 대한 열(column)을 포함한다.
NR-PDCCH에 대한 송신 빔을 결정하기 위해, 각각의 CORESET는 하나의 또는 다수의 TCI 상태에 관련될 수 있다. CORESET가 하나보다 더 많은 TCI 상태와 관련되는 사례에서, MAC-CE 레벨 활성화 시그널링은, CORESET마다 한 번에 다수의 TCI 상태 중 어떤 것이 활성화되는지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검색 공간 세트는, 모니터링 주기성과 같은 PDCCH 모니터링 관련 시간 도메인 파라미터를 정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검색 공간 파라미터는, 특정한 CORESET로부터 NR-PDCCH를 검출하려고 시도할 때에 관한 정보를 UE(1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CORESET는, NR-PDCCH가 송신될 수 있는 물리적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를 정의한다. CORESET에 관련되는 검색 공간 세트 관련 파라미터는 시간 도메인 모니터링 패턴을 정의할 수 있는데, 이 시간 도메인 모니터링 패턴으로부터, UE(110)는 특정한(예를 들면, 소정의) CORESET를 모니터링 할 때를 결정할 수 있다. 그 다음, UE는 CORESET의 관련된(활성) TCI 상태로부터 자신의 RX 빔을 어떻게 설정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PDCCH 빔 표시와 관련하여, 예를 들면, UE(110)는 구성된 대역폭 부분(BWP) 내에서 최대 3 개의 CORESET 및 합쳐서 10 개의 검색 공간 세트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UE(110)에 대해 구성되는 예시적인 TCI 테이블(200)을 제공하는데, 여기서, QCL 타입(240) A는 도플러 확산, 도플러 시프트, 지연 확산, 평균 지연을 의미하고(예를 들면, 이들에 대응하고), QCL 타입(240) D는 공간 RX를 의미한다(예를 들면, 그에 대응한다). 따라서, TCI 인덱스(210) 0이 특정한 물리적 신호 또는 채널에 대한 소스 RS 세트(들)(220)를 결정할 때, UE(110)는, (대응하는 소스 RS 인덱스(230)에 기초하여) SS/PBCH 블록 #n을 수신하기 위한 자신의 RX 빔을 설정할 수 있다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TCI 인덱스(210) 1이 특정한 물리적 신호 또는 채널에 대한 소스 RS 세트(들)(220)를 결정할 때, UE(110)는, (대응하는 소스 RS 인덱스(230)에 기초하여) (RS 세트 #B의) CSI-RS #c를 수신하기 위한 자신의 RX 빔을 설정할 수 있다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도 3은, UE(110)가 하나의 또는 다수의 TCI 상태 관련화(즉, 구성된 TCI 상태(340))를 갖는 두 개의 CORESET(320, 330)로 구성된 사례(300)를 예시한다. CORESET #0(320)의 경우, MAC-CE 시그널링(310)은 한 번에 하나의 TCI 상태를 활성화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구성된 TCI 상태(340) 0은 활성이고(350)(예), 한편 나머지 구성된 TCI 상태(340)(1 및 5)는 활성이 아니다(활성(350), 아니오)). CORESET #1(330)의 경우, 구성된 TCI 상태(M-1)는 활성이다. M-1은 테이블 사이즈를 변수(M)로서 정의하는 TCI 상태 인덱스이다.
PDSCH 빔 표시를 위해, 도 4, 5, 및 6과 관련하여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세 가지 구현 옵션이 이용 가능하다.
도 4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이, PDSCH 빔 표시를 위한 디폴트 모드(400)가 도시된다. 슬롯(410)은 송신되는 PDCCH(430), 송신되는 PDSCH(440) 및 PDSCH(450)에 대한 시간 도메인 리소스 할당을 수신할 수 있다. PDCCH(430)(특히, PDCCH에서 송신되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 DCI))는 PDSCH(440)에 대한 리소스 할당을 제공한다. 하나의 컴포넌트는 PDSCH(450)에 대한 시간 도메인 리소스 할당인데, 여기서 PDCCH(430)는 PDSCH(440) 할당이 시작되는 시작 슬롯 인덱스(및 슬롯 내의 심볼 인덱스)를 제공한다. 시작 슬롯은 PDCCH(430)로부터 카운팅된다. 예를 들면, 슬롯 할당은, PDSCH(440)가 슬롯 n + 2에서 시작될 것이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는데, 여기서 PDCCH(430)(슬롯 할당을 제공함)는 슬롯 n, 여기서는 410에서 송신된다.
PDSCH 빔 표시 방법은 DCI의 수신과 대응하는 PDSCH 사이의 상위 계층 파라미터(예를 들면, TCI-PresentInDCI) 및 오프셋(Threshold-Sched-Offset 46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TCI-PresentInDCI는 CORESET마다 구성될 수 있다. PDSCH(440)를 스케줄링하는 CORESET에 대해 TCI-PresentInDCI가 'Disabled(디스에이블됨)'로 설정되거나 또는 PDSCH(440)가 DCI 포맷 1_0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경우, PDSCH(440)에 대한 TX 빔(420)은 PDCCH(430)에 대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DCI 포맷 1_0은, 예를 들면, PDSCH(440)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컴팩트(compact) 또는 폴백(fallback)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 포맷이다. 1_1 포맷으로부터 발견될 수 있는 포맷 1_0에는 TCI 상태 인덱스 필드가 존재하지 않는다.
도 5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이, (PDCCH(430)에 대한 TX 빔(420)과는) 상이한 TX 빔(510)(예를 들면, 더 좁고, 상이한 TRP, 등등)을 PDSCH(440)에 대해 허용할 수 있는 동적 모드(500)가 도시된다. 슬롯(410)은 송신되는 PDCCH(430), 송신되는 PDSCH(440) 및 PDSCH(450)에 대한 시간 도메인 리소스 할당을 수신할 수 있다.
TCI-PresentinDCI가 'Enabled(인에이블됨)'로 설정되고 DCI 수신과 대응하는 PDSCH(440) 사이의 시간 오프셋이 임계치(Threshold-Sched-Offset(460)) 이상일 수 있는 경우, PDSCH(440)에 대한 TX 빔(510)은 DCI에서 TCI 인덱스에 의해 나타내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임계치(460)는 숫자 1 및 2 슬롯(410)(예를 들면, 120 kHz SCS)을 포함할 수 있다. PDCCH(430)와 PDSCH(440) 사이의 시간에 대한 임계치(460)가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임계치(460)가 2 개의 슬롯(410)이다는 것을 가정한다. PDSCH(440)가 PDCCH(430) 이후 유입하는 1 개의 슬롯(410)인 경우, 디폴트 TX 빔(420)이 PDSCH(440)에 대해 적용된다. PDSCH(440)가 PDCCH(430) 이후 유입하는 3 개의 슬롯(410)(임계치(460)보다 더 큼)인 경우, PDCCH(430) DCI에서 TCI 인덱스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송신 빔(510)이 PDSCH(440)에 대해 적용된다.
도 6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하나의 CORESET를 갖는 폴백 모드(600) 및 PDSCH(440)가 PDCCH(430)를 따르는 경우, 디폴트 모드가 나타내어진다. 슬롯(410)은 송신되는 PDCCH(430), 송신되는 PDSCH(440) 및 PDSCH(450)에 대한 시간 도메인 리소스 할당을 수신할 수 있다.
TCI-PresentinDCI가 'Enabled'/'Disabled'로 설정되고 DCI의 수신과 대응하는 PDSCH(440) 사이의 시간 오프셋이 임계치(Threshold-Sched-Offset(460))보다 더 작은 경우, PDSCH(440)에 대한 TX 빔(610)은, UE(110)에 대해 하나 이상의 CORESET가 구성되는 최신 슬롯(410)에서 가장 낮은 CORESET-ID의 PDCCH TX 빔(420)에 대응할 수 있다.
제어 파라미터(Threshold-Sched-Offset(460))는 미리 결정된 파라미터일 수 있고, 예를 들면, Threshold-Sched-Offset(460)은, 120 kHz SCS를 가정하여, 하나의 또는 두 개의 슬롯(410)일 수 있다. 그러한 사례에서, PDSCH(440)에 대한 동적 빔 표시를 위한 임계치는 약 125-250 마이크로초 근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PDSCH(440)가 PDCCH(430)보다 하나의 또는 두 개의 슬롯(410) 더 늦게 뒤따라 스케줄링되는 경우, PDSCH(440)는 PDCCH(430)와는 상이한 송신 빔(610)을 사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
도 7은 UE(110)에 대해 구성되는 예시적인 TCI 테이블(700)을 제공한다. 테이블(700)은 TCI 인덱스(210), 소스 RS 세트(220), 소스 RS 인덱스/패널 인덱스(710) 및 QCL 타입(240)에 대한 열을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예에서, gNB(170)는 UE(110)에 대한 TCI 테이블(700)을 구성할 수 있는데, 여기서, TCI 상태는, 상이한 UE(110) RX 패널에 의해 측정되는 소스 RS(소스 RS 인덱스/패널 인덱스(710))에 관련될 수 있다. 태그는, 일반적으로, UE(110)가 동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신 공간 필터의 세트를 의미할 수 있다. UE(110)는, 동시에 수신할 수 있는(또는 기꺼이 동시에 수신하려고 하는) 소정의 태그를 사용하여 소정의 송신 빔 상에서 빔 보고를 "책정("earmark")할 수 있다. UE(110)는 한 번에 하나의 패널만을 사용할 수 있고 모든 패널에 걸쳐 측정을 수행할 때 하나의 패널로부터 다른 패널로 스위칭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태그는 하나의 패널을 참조할 것이다. UE(110)는 한 번에 두 개의 패널을 사용할 수 있고 패널 둘 모두에 대해 동일한 태그를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태그는 UE(110)가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것을 참조할 것이다. UE(110)는 패널마다 태그를 보고할지 또는 패널 그룹마다 태그를 보고할지(UE(110)가 한 번에 다수의 패널을 사용할 수 있을 수 있는 경우)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태그는, 빔 스위치가 어떠한 추가적인 지연도 필요로 하지 않는 RX 빔의 세트로서 정의될 수 있다(예를 들면, OFDM 변조에서 OFDM(CP)의 사이클릭 프리픽스 내에서 핸들링될 수 있다. CP는 채널 지연 확산을 고려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소정의 송신 빔을 수신하기 위해 UE(110)가 어떤 패널을 사용할지를 아는 gNB(170)를 구축하기 위해, UE(110)는, 소정의 빔 관리(beam management; BM) 소스 RS를 측정하기 위해 어떤 패널이 사용되는지를 나타내는 빔 보고를 패널 태그와 함께 gNB(17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빔 관리는 빔 표시, 다운링크 및 업링크 신호 및 채널에 대한 빔 보고, 등등에 대해 사용되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할 수 있다. 모든 패널을 사용하여 동시에 수신할 수 있는 UE(110)에 의해 태그는 생략될 수 있다. CORESET에 대한 특정한 소스 RS를 활성화할 때, UE(110)는, CORESET에 대한 활성화된 소스 RS와 동일한 태그를 공유하는 TCI 상태만이 CORESET의 PDCCH(430)에서 DCI에 의해 제공되는 PDSCH(440) 빔 표시를 위해, 그리고, 예를 들면, 반영구적 CSI-RS 빔 표시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UE(110)는, 소스 RS가 동일한 태그를 공유하지 않는 TCI 상태를 비활성화할 수 있고, UE(110)는, 소스 RS가 동일한 태그를 공유하지 않는 경우, 반영구적 리소스를 (그러한 반영구적 리소스가 존재하는 경우) 비활성화할 수 있다. 보고된 태그(들)에 기초한 이 암시적인 UE(110) 거동은 구성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UE(110) 거동은, 거동을 사용하기 위한 gNB(170)로부터의 구성 없이 암시적일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UE(110) 거동은 gNB(170)로부터의 제1 구성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도 7은, 제안된 패널 태그가 QCL 타입(240) A 및 D에 대한 TCI 인덱스(210) 1(도 7에서 예시로서, (세트 #B의) TRS #b/패널 #n, 및 (세트 #B의) CSI-RS #c/패널 #m으로서 각각 도시됨)에 대응하는 패널 인덱스(710)에서 제공될 수 있는 구성된 TCI 테이블(700)의 예를 예시한다.
패널 태그는, 예를 들면, 모든 TCI 상태로 구성되거나 또는 QCL 타입(240) D가 구성된 TCI 상태로만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TCI 상태(QCL 타입(240) D를 가짐)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는 패널 태그/인덱스를 가질 수 있다(예를 들면, 동일한 태그는, UE(110)가 동일한 수신 패널(태그)을 사용하여 동일한 태그를 갖는 TCI 상태에 의해 정의되는 송신 빔을 수신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음). TCI 상태에 대한 상이한 태그는, UE(110)가 TCI 상태에 의해 정의되는 송신 빔을 수신하기 위해 상이한 패널을 가질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UE(110)가 CSI-ReportConfig로 구성되는 경우, 상위 계층 파라미터(ReportQuantity)는 'CRI/RSRP'또는 'SSBRI/RSRP'로 설정될 수 있다.
상위 계층 파라미터 그룹 기반의 빔 보고가 'OFF(오프)'로 설정되어 UE(110)가 구성되는 경우, UE(110)는 64 개보다 더 많은 [CSI-RS 및/또는 SSB] 리소스에 대한 측정치를 업데이트할 필요가 없을 수 있고, UE(110)는 단일의 nrofReportedRS(보고된 RS의 수, 구성되는 상위 계층)에서 각각의 보고 설정 및 대응하는 Rx-panel-tag(Rx 패널 태그)에 대한 상이한 [CRI 또는 SSBRI(SSB 리소스 표시자)]를 보고할 수 있다.
상위 계층 파라미터 그룹 기반의 빔 보고가 'ON'으로 설정되어 UE(110)가 구성되는 경우, UE(110)는 64 개보다 더 많은 [CSI-RS 및/또는 SSB] 리소스에 대한 측정치를 업데이트할 필요가 없을 수 있고, UE(110)는 단일의 보고 사례(single reporting instance)에서 각각의 보고 설정 및 대응하는 수신기 패널 태그(Rx-panel-tag)에 대한 두 개의 상이한 리소스 [CRI 또는 SSBRI]를 보고할 수 있는데, 여기서 [CSI-RS 및/또는 SSB] 리소스는 단일의 공간 도메인 수신 필터, 또는 다수의 동시적 공간 도메인 수신 필터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UE(110)에 의해 동시에 수신될 수 있다. UE(110)는, 단일의 보고 사례에서, 리소스가 동시에 수신될 수 있는 각각의 보고 설정 및 대응하는 RX-panel-tag에 대한 다수의 리소스를 보고할 수 있는데, 다수의 리소스는, CRI(CSI-RS 리소스 표시자)를 사용하여 인덱싱되는 CSI-RS 리소스 및 SSBRI(SSB 리소스 표시자)를 사용하여 인덱싱되는 SSB 리소스 둘 모두일 수 있다.
x.y.z 빔 관리 및 UE(110) 전력 절약과 같은 NR의 피쳐와 관련하여 예시적인 실시형태가 제공될 수 있다. UE(110)는 그룹 기반의 빔 보고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여기서, UE(110)는, 빔 보고 내에서, UE(110)가 구성된 빔 관리 RS(SSB 또는 CSI-RS)를 어떤 RX 패널에 대해 측정하였는지를 나타낸다. 수신된 빔 보고에 기초하여, UE(110)가 성능을 희생시키지 않고도 한 번에 최소 수의 패널을 가지고 동작할 수 있도록, gNB(170)는 TCI 구성 및 활성화된 TCI 상태의 세트를 최적화할 수 있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명시된 빔 표시 및 보고 기능성은, 예를 들면, 본원의 상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한된 빔포밍 성능을 갖는 UE(110)를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한된 빔포밍 성능 UE(110)는, 안테나 패널보다 더 적은 TXRU를 가질 수 있는 UE(110), 또는 전력 절약 이유로 활성 TXRU 및 패널의 서브세트와 함께 동작할 수 있는 UE(110)를 포함할 수 있다. gNB(170)는 각각의 빔 보고(빔 관리 측정을 위한 구성된 SSB 또는 CSI-RS 리소스에 대한 빔 측정)마다의 UE(110)의 수신 패널을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gNB(170)는, 항상 UE(110)가 대안적 패널을 활성화할/대안적 패널로 스위칭할 필요가 있다는 최악의 경우의 가정에 기초하여 동작할 것을 요구받을 수 있다. 논의되는 바와 같이, 이 활성화는 수 밀리초가 걸릴 수 있고, 항상 그것을 고려하는 것은 빔 스위치 프로시져를 지연시키는데, 통신에서의 방해 또는 사용자 스루풋을 잠재적으로 낮출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추가적으로, UE(110) 관점에서, UE(110)는 TCI 테이블(즉, 700)에서 구성되는 임의의 소스 RS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모든 패널을 활성화하게 하는 것을 필요로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UE(110)는 성능을 희생하지 않으면서 전력 절약을 위해 패널을 스위치 오프할 낮은 가능성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제한된 빔포밍 성능을 갖는 UE(110)를 지원하는 빔 표시 및 보고 기능성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MAC-CE 시그널링이 TCI 상태를 활성화하기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PDCCH(430) 및 PDSCH(440)에 대해, 그리고 MAC-CE 커맨드(또는 커맨드를 전달하는 PDSCH(440)로 전송되는 HARQ-ACK)와 커맨드가 유효한 상태에 있는 시간 사이의 가정된 레이턴시가, 적어도, 패널을 스위치 온하기 위한 UE(110)에서의 리드 시간만큼 긴 경우, TCI 프레임워크는 UE(110)에게 어떤 레벨의 전력 절약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레이턴시가 길게 되는 것으로 합의되는 경우, 예를 들면, 수 마이크로초 내지 수십 마이크로초인 것으로 합의되는 경우, PDCCH(430), PDSCH(440)(예를 들면, 표시될 수 있는 소스 RS의 세트), 반영구적 CSI-RS 및 PUCCH에 대한 동적 빔 스위치가 가능하지 않을 수 있고 따라서 심지어 중간 속도를 갖는 이동성에 대한 지원이 지원되지 않을 수 있다는 위험이 존재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예를 들면, 6 GHz 미만 동작에 비교될 때 UE(110)가 6 GHz를 초과하는 매우 넓은 대역폭에서 활성 TXRU 및 패널의 전력 소비를 보상할 효율적인 전력 절약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다운링크 빔 표시를 위한 공간적 QCL 의미(QCL 타입(240) D)에서의 이용 가능한 소스 RS는, 활성 CORESET의 활성화된 소스 RS로부터 공간 QCL 감지에서 상속될 수 있는 소스 RS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공간 QCL 마스크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다운링크 빔 표시를 위한 공간적 QCL 의미(QCL 타입(240) D)에서의 이용 가능한 소스 RS는, 활성 CORESET의 활성화된 소스 RS와 동일한 태그를 가지고 보고되는 것일 수 있는데, 여기서 태그는 특정한 UE(110) 패널에 대응한다. 예를 들면, 스위칭 지연 없이 동시에, 태그는 빔 스위치가 어떠한 추가적인 지연도 필요로 하지 않는 RX 빔의 세트로서 정의될 수 있다. 활성 CORESET의 활성 소스 RS는 이용 가능한 TCI 상태의 세트를 결정할 수 있다. 다수의 활성 CORESET가 있을 수 있고 따라서 CORESET의 각각의 소스 RS 하에서의 이용 가능한 소스 RS는, 소스 RS의 서로소 세트, RS의 부분적으로 중첩하는 세트 또는 RS의 동일한 세트일 수 있다.
도 8은 UE(110)에 대해 구성되는 예시적인 TCI 테이블(800)을 제공한다. 테이블(800)은 TCI 인덱스(210), 소스 RS 세트(220), 소스 RS 인덱스(230), QCL 타입(240), TCI 마스크 #1(810) 및 TCI 마스크 #2(820)에 대한 열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gNB(170)는 UE(110)에 대한 TCI 테이블(800) 및, 또한, (PDCCH(430)의) PDSCH(440) 스케줄링을 위해 어떤 TCI 인덱스(210)가 적용될 수 있는지를 UE(110)에게 나타내는 대응하는 마스크(예를 들면, TCI 마스크 #1(810) 및 TCI 마스크 #2(820))를 구성할 수 있다. TCI 테이블(800)은 RRC 레벨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gNB(170)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TCI 마스크(810 또는 820)는 특정한 UE(110) 패널 태그/인덱스에 관련되는 특정한 TCI 상태를 "활성화"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TCI 마스킹 프로세스가 적용되는 경우, TCI 테이블(800) 내의 다른 TCI 상태는 UE(110)에 의해 비활성화되는 것으로 가정될 수 있다. UE(110)는, 활성인 것으로 설정될 수 있는 도 8에서 예시되는 바와 같은 다수의 마스크(810 및 820)로 구성될 수 있다. TCI 인덱스(210)의 주어진 마스크 서브세트의 경우, UE(110)가 그들 TCI 신호를 사용하여 스케줄링되지 않을 것이다는 것을 가정할 수 있도록(그러므로, 예를 들면, 전력 절약 목적을 위해, UE(110)가 특정한 옵션을 선택하는 사례에서, UE(110)가 대응(참조) 신호의 수신에 필요한 그들 안테나 패널 또는 다른 하드웨어를 비활성화하도록) 하나 이상의 마스크는 '비활성'(=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네트워크(100)는, MAC-CE 또는 RRC 시그널링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선택된 TCI 마스크(들)(810 및/또는 820)를 활성화/비활성화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활성화는, 주어진 마스크(810 또는 820)에 관련되는 TCI 인덱스(210)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PDCCH(430) 스케줄링에 기초하여, 암시적으로 행해질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 양태에서, UE(110)는, UE(110)가 동시에 활성화할 수 있을 수 있는 패널의 서브세트를 나타낼 수 있고, 예를 들면, UE(110)가 패널 #1, 2, 3, 4를 갖는 사례에서, 그것은 활성 패널의 조합, 예를 들면, 1, 2 또는 3, 및 4 또는 임의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이 시그널링은 패널 태그에 추가적인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대안적인 예에서, UE(110)가 측정을 위해 패널의 동일한 서브세트를 항상 활성화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UE(110)는 패널의 서브세트, 예를 들면, 동일한 패널 태그 하의 2 개의 패널을 나타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UE(110)는 (예를 들면, 특정한 배열에서) 빔 보고를 그룹화하는 방법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게다가, UE(110)는, 예를 들면, UE(110)가 수신할 준비가 되어 있을 수 있는 정보를, 구성된 TCI 인덱스(210) 상에서 마스크(예를 들면, TCI 마스크 #1(810) 및 TCI 마스크 #2(820))의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UE(110)가 예상할(예를 들면,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가능한 TCI 인덱스(210)의 세트는, 예를 들면, DCI에 나타내어질 수 있다. TCI 마스크(810 또는 820)는 수신 공간 필터의 UE(110) 선택 그루핑에 기초할 수 있는데, 여기서 공간 필터는 하나의 패널 또는 다수의 패널, 예를 들면, 두 개의 패널일 수 있다.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대한 예시적인 종속 실시형태에서, 그룹화된 빔 보고에 기초하여, gNB(170)는 하나의 태그로부터 다른 태그로의 TCI 적용 가능 TCI 상태의 변경의 준비를 위한, 또는 빔 표시를 위한 이용 가능한 소스 RS/TCI 상태를 정의하는 태그의 세트의 업데이트의 준비를 위한 트리거링 신호를 UE(110)로 송신할 수 있다.
트리거링 신호는, 소정의 시간 이후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UE(110) 패널을 스위치 온하는 방향을 제공할 수 있다. 이것은 MAC-CE 활성화 커맨드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고 두 가지 적용 지연(application delay)이 정의될 수 있다. 하나의 적용 지연은, 활성화된 소스 RS가 현재 활성화 상태인 소스 RS의 세트에 속하는 경우에 정의될 수 있다. 이 적용 지연은 더 짧을 수 있다. 다른 적용 지연은, 활성화된 소스 RS가 현재 활성화 상태인 소스 RS의 세트에 속하지 않는 경우 정의될 수 있다. 이 적용 지연은, 활성화된 소스 RS가 현재 활성화 상태인 소스 RS의 세트에 속하는 경우의 적용 지연보다 더 길 수 있다. 이 적용 지연은, 다수의 패널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는 UE(110)에 대해 사용될 수 있지만, 그러나 전력 절약 목적을 위해, 가능한 경우 패널 중 일부를 스위치 오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도 9는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을 예시하는 예시적인 흐름도(900)이다.
블록(910)에서, UE(110)는 특정한 BM 소스 RS를 측정하기 위해 어떤 패널이 사용되는지를 패널 태그를 사용하여 나타내는 빔 보고를 gNB(170)로 제공할 수 있다. 모든 패널을 사용하여 동시에 수신할 수 있는 UE(110)에 의해 태그는 생략될 수 있다.
블록(920)에서, UE(110)는, 예를 들면 gNB(170)에 의해, 상태가 상이한 UE(110) RX 패널에 의해 측정되는 소스 RS에 관련될 수 있는 UE(110)에 대한 TCI 테이블, 예컨대, 본원의 상기에서 도 7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테이블(700)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블록(930)에서, CORESET에 대한 소정의 소스 RS를 활성화할 때, UE(110)는, CORESET에 대한 활성화된 소스 RS와 동일한 태그를 공유하는 TCI 상태만이 CORESET의 PDCCH에서 DCI에 의해 제공되는 PDSCH 빔 표시를 위해, 그리고, 예를 들면, 반영구적 CSI-RS 빔 표시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블록(940)에서, UE(110)는 소스 RS가 동일한 태그를 공유하고 있지 않은 TCI 상태를 비활성화할 수 있고, UE(110)는 소스 RS가 동일한 태그를 공유하지 않는 경우 반영구적 리소스를 (만약 그러한 것이 존재하면) 비활성화할 수 있다.
도 10은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을 예시하는 예시적인 흐름도(1000)이다.
블록(1010)에서, UE(110)는, 예를 들면, gNB(170)에 의해, (PDCCH의) PDSCH 스케줄링을 위해 어떤 TCI 인덱스가 적용될 수 있는지를 대응하는 마스크가 UE(110)에게 나타내는 UE(110)에 대한 TCI 테이블, 예컨대 도 8에서 예시되는 테이블(800)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UE(110)는 활성인 것으로 설정될 수 있는 다수의 마스크로 구성될 수 있다.
블록(1020)에서, UE(110)는 TCI 인덱스의 주어진 마스크 서브세트를 '비활성'(= 0)으로 설정하기 위한 시그널링을 수신할 수 있으며, 어쩌면, 그 결과, UE(110)는, 그들 TCI 신호를 사용하여 스케줄링되지 않을 것이다는 것을 가정할 수 있다.
블록(1030)에서, UE(110)는, 예를 들면, 전력 절약 목적을 위해, 그렇게 선택하는 경우, 대응하는 (기준) 신호의 수신에 필요한 그들 안테나 패널 또는 다른 하드웨어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블록(1040)에서, UE(110)는, MAC-CE 또는 RRC 시그널링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네트워크(100)로부터, 선택된 TCI 마스크(들)를 활성화/비활성화하기 위한 명령어를 수신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활성화는 주어진 마스크에 관련되는 TCI 인덱스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PDCCH 스케줄링에 기초하여 암시적으로 행해질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UE(110) 패널 기반의 빔 보고에 기초한 UE(110) 패널 인식 활성 TCI 상태 결정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제공한다.
도 11은 사용자(1110)의 존재 하에서의 UE(110) 빔의 예시적인 예시(1100)를 도시한다.
도 1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등가 등방성 방사 전력(Equivalent Isotropically Radiated Power; EIRP)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는 안전 방출 한계(1120)에 의해 허용되는 최대 방사 전력이 있다. (사용자 1110에 대한) 안전 EIRP 레벨은 사용자(1110)에 대한 UE(110) 위치, UE(110) 빔(1130) 방향 및 사이드 로브 레벨 및 사용자(1110) 근접도의 함수이다. UE(110) 빔(1130)은 (사용자(1110)의 존재 하에서) 모든 방향으로 방사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gNB(170)와 UE(110) 사이의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gNB(170)에서의 실현 가능한 송신 빔 및 UE(110)와 gNB(170) 사이의 업링크 송신을 위한 UE(110)에서의 실현 가능한 송신 빔을 결정하기 위해 별개의 빔 보고가 고려될 수 있는데, 여기서 결정은 gNB(170)에서의 송신 빔 및 수신 빔에 대응하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에 기초한다. 그것은, UE(110)가 수신 빔으로부터 송신 빔을 결정할 수 있다는 것을 가정하고 있다. 다운링크 빔 쌍 링크가 gNB(170)에서의 송신 빔과 UE(110)에서의 수신 빔으로 구성되고, 업링크 빔 쌍 링크가 UE(110)에서의 송신 빔 및 gNB(170)에서의 수신 빔으로 구성되는 실현 가능한 "다운링크 빔 쌍 링크" 및 실현 가능한 "업링크 빔 쌍 링크"를 결정하기 위한 별개의 빔 보고에 대한 이유는, UE(110) 송신기가 빔 포밍을 사용할 때 UE(110)에서의 방출 안전성에 관련되는 가능한 이슈 때문이다.
도 11에서 예시되는 바와 같은 기본적인 문제는, 소정의 UE(110) 빔이 사용자(1110)의 머리/신체를 향해 지향되어, 상기 방출 한계를 초과할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것은, 다운링크 및 업링크에 대해 동일한 빔 쌍 링크가 항상 이용 가능하지 않을 있다는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몇몇 다운링크 빔 쌍 링크는 매우 강한 연결을 제공할 수 있지만, 업링크에 대해 동일한 빔 쌍 링크를 사용하는 것은, 업링크에서 빔 쌍 링크의 방향으로의 방출 제한에 기인하여 UE(110)가 자신의 송신 전력을 제한하도록 강제될 수 있기 때문에, 강한 연결을 제공할 수 없을 수 있다.
도 12는 DL RS 빔(1220) 및 UE(110) RX 빔(1230)의 세트의 예시적인 예시(1200)를 도시한다.
도 12에서 예시되는 바와 같이, DL RS 빔(1220)의 세트로 표현되는 (예를 들면, TRP #1(1210-1) 및 TRP #2(1210-2)로부터의) 소정의 gNB(170) TX 빔은, gNB(170) TX 및 대응하는 UE(110) RX 빔(1230) 사이의 차단기(blocker)로서 인체(1110)를 가질 수 있다. 전파 조건에 따라, 이들 빔은 (예를 들면, 심지어 3 dB의 신체 손실을 가정하는 경우에도) 양호한 관측된 RSRP 및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낮은 경로 손실(PL) 추정치를 여전히 가질 수 있다. UE(110)가 추가적인 최대 전력 감소(maximum power reduction; MPR)인 P-MPR을 요구하는 것에 기인하여, 방출 관련 요건(예를 들면, 전자기 에너지 흡수 요건)을 충족하기 위해, 주어진 UL 리소스 할당을 위한 실제 달성 가능한 PL은, DL RSRP에 기초하여 추정될 수 있는 레벨과 비교하여 감소될 것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방출 요건을 충족하는 데 필요한 MPR을 각각 고려하는 측정된 RSRP 및 PHR의 예시적인 예시를 도시한다.
그러므로, (본원의 전술한 도 12에 관한 논의에 후속하는) 도 13a에서 예시되는 바와 같이, RS 세트 A 및 F의 측정된 RSRP는, 심지어 인체 손실(예를 들면, 3 내지 5 dB)을 고려하는 경우에도 최상(F > A)이 될 것이고, 한편 다른 RS 세트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RSRP는, 최적이 아닌 빔 정렬(예를 들면, RS 방향으로의 빔 이득)에 기인하여 더 낮을 것이다.
그러나, 도 13b에서 예시되는 바와 같이, (RSRP에 기초하는) PL 추정 및 UE(110) 둘 모두를 고려하는 전력 헤드룸(power headroom; PHR)이 구성된 최대 출력 전력(P-MPR의 효과를 포함함)을 결정하였고, 빔의 우수성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RS 세트 A 및 F에 대해, 전자기 에너지 흡수 요건(방출 제한)을 준수하기 위해 최대 송신 전력을 상당히 제한할 것을(P-MPR을 적용할 것을) UE(110)가 요구받을 수 있다는 것을 가정하면, RS 세트 E는 UL 관점에서 최상일 것이다.
도 14는 DL RS 빔(1420) 및 UE RX 빔(1430)의 세트의 예시적인 예시(1400)를 도시하는데, 여기서 RX 빔(1430)은 공간적으로 중첩된다. 예를 들면, RS 빔은 다수의 RX 빔(1430)에서 청취될(heard) 수 있다.
도 14는, 동일한 DL RS가 다수의 UE(110) RX 빔(1430)을 통해 청취될 수 있고, 어쩌면 상이한 RSRP 및 PHR 값 쌍을 초래할 수 있는 예시적인 시나리오를 예시한다.
소정의 의미에서, 이것은 '비가역적' 차단기에 의해 동적인 방식으로 도입되는 상호성의 문제로 간주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입되는 상호성 문제는 송신 및 수신 빔 대응성(UE(110)가 자신의 RX 빔 1430으로부터 TX 빔을 결정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함)과는 별개이고, (이제 UE(110) TX 빔이 DL RS로부터 여전히 결정될 수 있다는 점에서) UE(110)에서의 비 빔 대응성(non-beam-correspondence)과는 별개인데, 최상의 가능한 UE(110) TX 빔이 최상의 DL TX 빔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RX 빔(1430)에 대응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UE(110)가 수신(RX) 빔으로부터 송신(TX) 빔을 결정할 수 없기 위해 필요로 될 적절한 UL 송신(TX) 빔(및 업링크 빔 쌍 링크)을 결정하기 위한 한 가지 가능한 방식은, UE(110)가 상이한 TX 빔을 시도할 수 있는 다수의 업링크 사운딩 기준 신호(SRS) 리소스로 UE(110)를 구성하는 것일 것이고 SRS 송신으로부터의 측정에 기초한 gNB(170)는 최상의 SRS 리소스를 따라서 UL에서 사용될 최상의 TX 빔을 결정할 것이다. 그러나 시스템 동작 관점에서, 빔 관리를 위한 SRS의 사용은 상당한 오버헤드로 간주된다. 따라서, gNB(170) 및 UE(110) 둘 모두에서 DL 및 UL 방향 둘 모두에 대한 빔 관리 관련 동작은 DL RS에만 기초하여 수행되어야 한다는 것이 고려된다(따라서 UE(110)에게 빔 대응성 성능을 역시 가질 것을 요구함).
추가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다운링크 및 업링크 빔 쌍 링크를 개별적으로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UE(110)는, 실현 가능한 다운링크 빔 쌍 링크를 결정하는 데 어떤 다운링크 RS가 양호한지를 그리고 실현 가능한 업링크 빔 쌍 링크를 결정하는 데 어떤 다운링크 RS가 양호한지를 개별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빔 보고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실현 가능한 다운링크 빔 쌍 링크를 결정하는 데 어떤 다운링크 RS가 양호한지를 결정하기 위해, UE(110)는 구성된 SS/PBCH 및/또는 CSI-RS 리소스에 대해 계산되는 정상적인 L1-RSRP 보고를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실현 가능한 업링크 빔 쌍 링크를 결정하는 데 어떤 다운링크 RS가 양호한지를 결정하기 위해, UE(110)는, 업링크 빔 쌍 링크 결정 관점에서 최상인 구성된 SS/PBCH 및/또는 CSI-RS 리소스에 대한 L1-RSRP 보고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UE(110)는, 예를 들면, 측정을 위한 각각 구성된 다운링크 RS에 대한 전력 헤드룸의 UE(110)의 계산에 기초할 수 있는(여기서 전력 헤드룸은, UL에서 송신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전력 외에 UE(110)가 사용할 송신 전력이 얼마나 많이 남아 있는지를 나타내고, 전력 헤드룸 계산은, 다른 전력 감소 중에서도, 규제된 방출 제한에 기인하는 송신 전력에서의 감소를 또한 고려할 것으로 예상됨) 실현 가능한 업링크 빔 쌍 링크를 결정하는 데 어떤 다운링크 RS가 양호한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UE(110)는, 기준 송신 대역폭 및 대역폭 단위에 대한 목표 송신 전력과 같은 파라미터로(및/또는 몇몇 사례에서, 이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UE(110)는, 이들에 기초하여, 전력 헤드룸을 계산할 수 있다.
UE(110)는 DL RS마다의 가상 전력 헤드룸을 조건으로 하여 DL RS의 순위를 매길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최상의 것은 계산되는 가장 높은 전력 헤드룸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전력 헤드룸 의미에서 보고된 최상의 RSRP 값을 측정하기 위해 어떤 UE(110) 안테나 패널이 사용되었는지를 gNB(170)에게 나타내기 위해, UE(110)는 전력 헤드룸 계산을 사용하여 순위가 매겨지는 최상의 RSRP 값과 함께, UE(110)의 RX 패널 인덱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것은, UE(110)에서의 전력을 절약하기 위해 UE(110)가 한 번에 최소 수의 패널을 사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DL 및 UL 둘 모두에 대한 빔 표시를 최적화하도록 gNB(170)를 도울 수 있다.
다운링크 및 업링크에 대한 가능한 상이한 빔 쌍 링크를 결정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UE(110)가 계산된 L1-RSRP 값에 기초하여 최상의 DL RS와 관련되는 UL TX 빔 상에서 송신할 수 없는 경우, UE(110)는, 사용될 수 없는 UL 빔(예를 들면, DL RS가 양호한 L1-RSRP 값을 가지며 따라서 양호한 다운링크 빔 쌍 링크임)의 존재를 gNB(170)에게 나타낼 수 있다. 이것은, 충분한 높은 TX 전력을 허용하는 방향으로의 UL 송신을 위한 더 많은 기회를 UE(110)에게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UL 리소스를 UE(110)에게 할당하도록 gNB(170)를 트리거할 수 있다. 리소스 할당은 UE(110)가 가능한 TX 빔을 결정할 소스 RS로서 다운링크 RS를 포함할 수 있고, 유사하게, gNB(170)는 각각의 UL 리소스 상에서의 수신을 위한 자신의 RX 빔을 결정할 수 있다.
하기에서 나타나는 청구범위의 범위, 해석, 또는 적용을 어떤 식으로든 제한하지 않으면서, 본원에서 개시되는 예시적인 실시형태 중 하나 이상의 기술적 효과는, 어떤 패널 UE(110)가 한 번에 활성이 될 것을 요구받을 수 있는지의 관점에서, gNB(170)에 대한 제어된 수단이, UE(110)에서의 전력 절약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 다른 기술적 효과는, 한 번에 얼마나 많은 패널이 활성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필요로 하는지를 알지 못하는 기능성, 예를 들면, 순수한(pure) Rel15 선행 기능성과 비교하여 UE(110) 전력 소비가 향상될 수 있도록 gNB(170)가 송신 빔 선택을 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른 기술적 효과는, 예를 들면, 한 번에 활성인 UE(110) 패널의 최소 수를 요구하는 TCI 상태를 활성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에 의해, gNB(170)가 UE(110)의 패널의 사용을 최적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특정한 빔 관리 소스 기준 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할 특정한 패널 태그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빔 보고를 기지국으로 제공하는 것; 사용자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송신 구성 표시 테이블의 구성 - 구성은 적어도 하나의 빔 보고에 기초하며, 송신 구성 표시 테이블은 사용자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수신기 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측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기준 신호와 관련되는 상태를 포함함 - 을 수신하는 것; 및 사용자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제어 리소스 세트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특정한 소스 기준 신호를 활성화할 때, 적어도 하나의 특정한 소스 기준 신호와 동일한 패널 태그를 공유하는 송신 구성 표시 상태만이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 빔 표시를 위해 사용되어야 한다는 것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특정한 소스 기준 신호가 동일한 패널 태그를 공유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 구성 표시 상태를 비활성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각각의 패널 태그는, 사용자 디바이스가 동시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공간 필터의 세트의 표시를 포함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사용자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특정한 패널 태그를 생략하는 것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사용자 디바이스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수신기 패널 모두와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사용자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반영구적 리소스가 동일한 패널 태그를 공유하지 않는다는 것을 결정하는 것; 및 사용자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반영구적 리소스를 비활성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위 계층 파라미터 그룹 기반의 빔 보고가 오프로 설정되어 사용자 디바이스가 구성된다는 것을 결정하는 것; 및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단일의 보고 사례에서 미리 결정된 수의 리소스에 대한 측정치를 업데이트하는 것만을 사용자 디바이스가 요구받는 구성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위 계층 파라미터 그룹 기반의 빔 보고가 온으로 설정되어 사용자 디바이스가 구성된다는 것을 결정하는 것; 및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미리 결정된 수의 리소스에 대한 측정치를 업데이트하는 것만을 사용자 디바이스가 요구받는 구성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사용자 디바이스는 단일의 보고 사례에서 각각의 보고 설정 및 대응하는 수신기 패널 태그에 대한 두 개의 상이한 리소스를 보고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사용자 디바이스는, 단일의 공간 도메인 수신 필터, 또는 다수의 동시적 공간 도메인 수신 필터: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리소스를 동시에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사용자 디바이스는, 사용자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수신기 패널 중 어떤 수신기 패널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구성된 빔 관리 기준 신호를 측정하였는지를 나타내는 그룹 기반의 빔 보고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송신 구성 표시 테이블의 구성을 수신하는 것;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송신 구성 표시 마스크 -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송신 구성 표시 마스크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 스케줄링에 적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송신 구성 표시 인덱스를 나타냄 - 의 구성을 수신하는 것; 및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기준 신호의 수신에 필요한 사용자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안테나 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패널을 비활성화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송신 구성 표시 마스크를 비활성화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스케줄링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특정한 송신 구성 표시 마스크의 활성화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되, 이 결정은 적어도 하나의 특정한 송신 구성 표시 마스크에 관련되는 특정한 송신 구성 표시 인덱스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사용자 디바이스가 동시에 활성화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 패널의 서브세트를 나타내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예에 따르면, 예시적인 장치는: 장치로부터, 특정한 빔 관리 소스 기준 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할 특정한 패널 태그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빔 보고를 기지국으로 제공하기 위한 수단; 장치에 의해, 기지국으로부터, 장치에 대한 송신 구성 표시 테이블의 구성 - 구성은 적어도 하나의 빔 보고에 기초하며, 송신 구성 표시 테이블은 장치의 하나 이상의 수신기 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측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기준 신호와 관련되는 하나 이상의 송신 구성 표시 상태를 포함함 - 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제어 리소스 세트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특정한 소스 기준 신호를 활성화할 때, 적어도 하나의 특정한 소스 기준 신호와 동일한 패널 태그를 공유하는 송신 구성 표시 상태만이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 빔 표시를 위해 사용되어야 한다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특정한 소스 기준 신호가 동일한 패널 태그를 공유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 구성 표시 상태를 비활성화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각각의 패널 태그는, 장치가 동시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공간 필터의 세트의 표시를 포함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특정한 패널 태그를 생략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되, 장치는 장치의 하나 이상의 수신기 패널 모두와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반영구적 리소스가 동일한 패널 태그를 공유하지 않는다는 것을 결정하는 수단; 및 적어도 하나의 반영구적 리소스를 비활성화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송신 구성 표시 테이블의 구성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송신 구성 표시 마스크 -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송신 구성 표시 마스크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 스케줄링에 적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송신 구성 표시 인덱스를 나타냄 - 의 구성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기준 신호의 수신에 필요한 장치의 하나 이상의 안테나 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패널을 비활성화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에서 한 실시형태가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송신 구성 표시 마스크를 비활성화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스케줄링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특정한 송신 구성 표시 마스크의 활성화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되, 이 결정은 적어도 하나의 특정한 송신 구성 표시 마스크에 관련되는 특정한 송신 구성 표시 인덱스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장치가 동시에 활성화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 패널의 서브세트를 나타내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일시적 메모리를 포함하는 장치에서 제공될 수 있는데, 적어도 하나의 비일시적 메모리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함께, 장치로 하여금: 송신 구성 표시 테이블의 구성을 수신하게 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송신 구성 표시 마스크 -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송신 구성 표시 마스크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 스케줄링에 적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송신 구성 표시 인덱스를 나타냄 - 의 구성을 수신하게 하도록;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기준 신호의 수신에 필요한 장치의 하나 이상의 안테나 패널의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패널을 비활성화하게 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송신 구성 표시 마스크를 비활성화하는 신호를 수신하게 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장치가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스케줄링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특정한 송신 구성 표시 마스크의 활성화를 결정하게 하되, 이 결정은 적어도 하나의 특정한 송신 구성 표시 마스크에 관련되는 특정한 송신 구성 표시 인덱스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장치가 동시에 활성화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 패널의 서브세트를 나타내게 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머신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프로그램을 유형적으로 구체화하는, 머신에 의해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프로그램 스토리지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장치에서 제공될 수 있는데, 동작은: 송신 구성 표시 테이블의 구성을 수신하는 것;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송신 구성 표시 마스크 -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송신 구성 표시 마스크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 스케줄링에 적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송신 구성 표시 인덱스를 나타냄 - 의 구성을 수신하는 것; 및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기준 신호의 수신에 필요한 장치의 하나 이상의 안테나 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패널을 비활성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송신 구성 표시 마스크를 비활성화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스케줄링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특정한 송신 구성 표시 마스크의 활성화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되, 이 결정은 적어도 하나의 특정한 송신 구성 표시 마스크에 관련되는 특정한 송신 구성 표시 인덱스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장치가 동시에 활성화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 패널의 서브세트를 나타내는 것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일시적 메모리를 포함하는 장치에서 제공될 수 있는데, 적어도 하나의 비일시적 메모리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함께, 장치로 하여금: 특정한 빔 관리 소스 기준 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할 특정한 패널 태그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빔 보고를 기지국에 제공하게 하도록; 기지국으로부터, 장치에 대한 송신 구성 표시 테이블의 구성 - 구성은 적어도 하나의 빔 보고에 기초하며, 송신 구성 표시 테이블은 장치의 하나 이상의 수신기 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측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기준 신호와 관련되는 상태를 포함함 - 을 수신하게 하도록; 그리고 제어 리소스 세트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특정한 소스 기준 신호를 활성화할 때, 적어도 하나의 특정한 소스 기준 신호와 동일한 패널 태그를 공유하는 송신 구성 표시 상태만이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 빔 표시를 위해 사용되어야 한다는 것을 결정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한 소스 기준 신호가 동일한 패널 태그를 공유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 구성 표시 상태를 비활성화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각각의 패널 태그는, 장치가 동시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공간 필터의 세트의 표시를 포함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장치는: 특정한 패널 태그를 생략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데, 장치는 장치의 하나 이상의 수신기 패널 모두와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반영구적 리소스가 동일한 패널 태그를 공유하지 않는다는 것을 결정하도록;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반영구적 리소스를 비활성화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머신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프로그램을 유형적으로 구체화하는, 머신에 의해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프로그램 스토리지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장치에서 제공될 수 있는데, 동작은: 특정한 빔 관리 소스 기준 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할 특정한 패널 태그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빔 보고를 기지국으로 제공하는 것; 기지국으로부터, 장치에 대한 송신 구성 표시 테이블의 구성 - 구성은 적어도 하나의 빔 보고에 기초하며, 송신 구성 표시 테이블은 장치의 하나 이상의 수신기 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측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기준 신호와 관련되는 상태를 포함함 - 을 수신하는 것; 및 제어 리소스 세트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특정한 소스 기준 신호를 활성화할 때, 적어도 하나의 특정한 소스 기준 신호와 동일한 패널 태그를 공유하는 송신 구성 표시 상태만이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 빔 표시를 위해 사용되어야 한다는 것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특정한 소스 기준 신호가 동일한 패널 태그를 공유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 구성 표시 상태를 비활성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각각의 패널 태그는, 장치가 동시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공간 필터의 세트의 표시를 포함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특정한 패널 태그를 생략하는 것을 포함하되, 장치는 장치의 하나 이상의 수신기 패널 모두와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반영구적 리소스가 동일한 패널 태그를 공유하지 않는다는 것을 결정하는 것; 및 적어도 하나의 반영구적 리소스를 비활성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빔 보고를 위한 구성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데, 여기서 구성은, 다운링크 빔 선택 및 업링크 빔 선택을 위한 별개의 보고를 제공하기 위한 표시; 또는 업링크 빔 선택을 위한 보고를 제공하기 위한 표시: 중 하나를 포함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구성은 업링크 빔 선택을 위한 보고를 제공하기 위한 표시를 포함하고,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것;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각각에 대한 기준 신호 수신 전력 값을 계산하는 것;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각각에 대한 각각의 기준 신호 수신 전력 값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업링크 빔 선택을 위한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 중 하나 이상을 결정하는 것; 및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 중 결정된 하나 이상을 보고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결정은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각각에 대한 전력 헤드룸 값을 계산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각각에 대한 전력 헤드룸 값을 계산하는 것은, 적어도 하나의 규제된 방출 한계에 기초하여 각각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송신 전력이 감소되는 값, 기준 송신 대역폭, 및/또는 대역폭 단위에 대한 목표 송신 전력 값: 중 하나 이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결정은 각각의 전력 헤드룸 값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순위화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순위화는 가장 높은 각각의 전력 헤드룸 값을 갖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로부터 가장 낮은 각각의 전력 헤드룸 값을 갖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로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순위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보고는 순위화에 따른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 중 결정된 하나 이상을 보고하는 것을 포함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보고는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 중 결정된 하나 이상의 각각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사용자 디바이스 패널의 표시를 포함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각각의 사용자 디바이스 패널의 표시는 패널 식별자를 포함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각각의 사용자 디바이스 패널의 표시는 패널 인덱스를 포함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방출 한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업링크 빔이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되, 보고는 사용될 수 없는 결정된 하나 이상의 업링크 빔의 표시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사용될 수 없는 결정된 하나 이상의 업링크 빔의 표시에 응답하여, 복수의 업링크 리소스를 포함하는 할당을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다른 예에 따르면, 예시적인 장치는: 빔 보고를 위한 구성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구성은, 다운링크 빔 선택 및 업링크 빔 선택을 위한 별개의 보고를 제공하기 위한 표시; 또는 업링크 빔 선택을 위한 보고를 제공하기 위한 표시: 중 하나를 포함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구성은 업링크 빔 선택을 위한 보고를 제공하기 위한 표시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각각에 대한 기준 신호 수신 전력 값을 계산하기 위한 수단;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각각에 대한 각각의 기준 신호 수신 전력 값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업링크 빔 선택을 위한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 중 하나 이상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 중 결정된 하나 이상을 보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결정은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각각에 대한 전력 헤드룸 값을 계산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각각에 대한 전력 헤드룸 값을 계산하는 것은, 적어도 하나의 규제된 방출 한계에 기초하여 각각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송신 전력이 감소되는 값, 기준 송신 대역폭, 및/또는 대역폭 단위에 대한 목표 송신 전력 값: 중 하나 이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결정은 각각의 전력 헤드룸 값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순위화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순위화는 가장 높은 각각의 전력 헤드룸 값을 갖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로부터 가장 낮은 각각의 전력 헤드룸 값을 갖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로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순위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보고는 순위화에 따른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 중 결정된 하나 이상을 보고하는 것을 포함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보고는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 중 결정된 하나 이상의 각각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사용자 디바이스 패널의 표시를 포함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각각의 사용자 디바이스 패널의 표시는 패널 식별자를 포함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각각의 사용자 디바이스 패널의 표시는 패널 인덱스를 포함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방출 한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업링크 빔이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되, 보고는 사용될 수 없는 결정된 하나 이상의 업링크 빔의 표시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사용될 수 없는 결정된 하나 이상의 업링크 빔의 표시에 응답하여, 복수의 업링크 리소스를 포함하는 할당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일시적 메모리를 포함하는 장치에서 제공될 수 있는데, 적어도 하나의 비일시적 메모리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함께, 장치로 하여금: 빔 보고를 위한 구성을 수신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구성은, 다운링크 빔 선택 및 업링크 빔 선택을 위한 별개의 보고를 제공하기 위한 표시; 또는 업링크 빔 선택을 위한 보고를 제공하기 위한 표시: 중 하나를 포함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구성은 업링크 빔 선택을 위한 보고를 제공하기 위한 표시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수신하도록;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각각에 대한 기준 신호 수신 전력 값을 계산하도록;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각각에 대한 각각의 기준 신호 수신 전력 값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업링크 빔 선택을 위한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 중 하나 이상을 결정하도록; 그리고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 중 결정된 하나 이상을 보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결정은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각각에 대한 전력 헤드룸 값을 계산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각각에 대한 전력 헤드룸 값을 계산하는 것은, 적어도 하나의 규제된 방출 한계에 기초하여 각각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송신 전력이 감소되는 값, 기준 송신 대역폭, 및/또는 대역폭 단위에 대한 목표 송신 전력 값: 중 하나 이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결정은 각각의 전력 헤드룸 값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순위화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순위화는 가장 높은 각각의 전력 헤드룸 값을 갖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로부터 가장 낮은 각각의 전력 헤드룸 값을 갖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로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순위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보고는 순위화에 따른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 중 결정된 하나 이상을 보고하는 것을 포함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보고는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 중 결정된 하나 이상의 각각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사용자 디바이스 패널의 표시를 포함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각각의 사용자 디바이스 패널의 표시는 패널 식별자를 포함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각각의 사용자 디바이스 패널의 표시는 패널 인덱스를 포함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방출 한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업링크 빔이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을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되, 보고는 사용될 수 없는 결정된 하나 이상의 업링크 빔의 표시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사용될 수 없는 결정된 하나 이상의 업링크 빔의 표시에 응답하여, 복수의 업링크 리소스를 포함하는 할당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머신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프로그램을 유형적으로 구체화하는, 머신에 의해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프로그램 스토리지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장치에서 제공될 수 있는데, 동작은: 빔 보고를 위한 구성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구성은, 다운링크 빔 선택 및 업링크 빔 선택을 위한 별개의 보고를 제공하기 위한 표시; 또는 업링크 빔 선택을 위한 보고를 제공하기 위한 표시: 중 하나를 포함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구성은 업링크 빔 선택을 위한 보고를 제공하기 위한 표시를 포함하고,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것;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각각에 대한 기준 신호 수신 전력 값을 계산하는 것;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각각에 대한 각각의 기준 신호 수신 전력 값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업링크 빔 선택을 위한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 중 하나 이상을 결정하는 것; 및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 중 결정된 하나 이상을 보고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결정은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각각에 대한 전력 헤드룸 값을 계산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각각에 대한 전력 헤드룸 값을 계산하는 것은, 적어도 하나의 규제된 방출 한계에 기초하여 각각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송신 전력이 감소되는 값, 기준 송신 대역폭, 및/또는 대역폭 단위에 대한 목표 송신 전력 값: 중 하나 이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결정은 각각의 전력 헤드룸 값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순위화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순위화는 가장 높은 각각의 전력 헤드룸 값을 갖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로부터 가장 낮은 각각의 전력 헤드룸 값을 갖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로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순위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보고는 순위화에 따른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 중 결정된 하나 이상을 보고하는 것을 포함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보고는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 중 결정된 하나 이상의 각각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사용자 디바이스 패널의 표시를 포함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각각의 사용자 디바이스 패널의 표시는 패널 식별자를 포함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각각의 사용자 디바이스 패널의 표시는 패널 인덱스를 포함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동작은: 적어도 하나의 방출 한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업링크 빔이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되, 보고는 사용될 수 없는 결정된 하나 이상의 업링크 빔의 표시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동작은: 사용될 수 없는 결정된 하나 이상의 업링크 빔의 표시에 응답하여, 복수의 업링크 리소스를 포함하는 할당을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원에서의 실시형태는 소프트웨어(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됨), 하드웨어(예를 들면, 주문형 집적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소프트웨어(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 로직, 명령어 세트)는 다양한 종래의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중 임의의 것 상에서 유지된다. 이 문서의 맥락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예를 들면, 도 1에 설명되고 묘사되는 컴퓨터의 하나의 예를 갖는 컴퓨터와 같은 명령어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 의한 또는 이들과 관련한 사용을 위한 명령어를 포함, 저장, 통신, 전파 또는 운반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 또는 수단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와 같은 명령어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 의한 또는 이들과 관련한 사용을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고, 저장하고, 및/또는 운반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 또는 수단일 수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예를 들면, 메모리(125, 155, 171) 또는 다른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전파 신호를 포함하지 않는다.
소망되는 경우, 본원에서 논의되는 상이한 기능은 상이한 순서로 및/또는 서로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더구나, 소망되는 경우, 상기에서 설명된 기능 중 하나 이상은 옵션 사항일 수 있거나 또는 결합될 수 있다.
비록 다양한 양태가 상기에서 설명되지만, 다른 양태는, 상기에서 설명되는 조합만을 전적으로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된 실시형태로부터의 피쳐의 다른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지만, 이들 설명은 제한적인 의미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 본원에서 또한 유의한다. 오히려,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이루어질 수 있는 여러 가지 변형예 및 수정예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가 독립 청구항에서 설명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오로지, 청구범위에서 명시적으로 설명되는 조합만이 아니라, 설명된 실시형태 및/또는 종속 청구항으로부터의 피쳐의, 독립 청구항의 피쳐와의 다른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지만, 이들 설명은 제한적인 의미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 본원에서 또한 유의한다. 오히려, 첨부의 청구범위에서 정의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이루어질 수 있는 여러 가지 변형예 및 수정예가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실시형태는, 하드웨어 또는 특수 목적 회로, 소프트웨어, 로직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몇몇 양태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고, 한편 다른 양태는, 컨트롤러,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가 블록도, 플로우차트로서, 또는 몇몇 다른 도해적 표현을 사용하여 예시 및 설명될 수 있지만, 본원에서 설명되는 이들 블록, 장치, 시스템, 기법 또는 방법은, 비제한적인 예로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특수 목적 회로 또는 논리, 범용 하드웨어 또는 컨트롤러 또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이들의 몇몇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잘 이해된다.
실시형태는 집적 회로 모듈과 같은 다양한 컴포넌트에서 실시될 수 있다. 집적 회로의 설계는, 대체로, 고도로 자동화된 프로세스이다. 논리 레벨 설계를 반도체 기판 상에 에칭 및 형성될 준비가 된 반도체 회로 설계로 변환하기 위한 복잡하고 강력한 소프트웨어 툴이 이용 가능하다.
단어 "예시적인"은, "예, 사례, 또는 예시로서 기능하는"을 의미하기 위해 본원에서 사용된다. 본원에서 "예시"로서 설명되는 임의의 실시형태는 반드시 다른 실시형태보다 바람직하거나 또는 유리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설명되는 모든 실시형태는,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기술 분야의 숙련된 자가, 본 발명을 만들거나 또는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공되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이다.
전술한 설명은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한 본 발명자에 의해 현재 고려되는 최상의 방법 및 장치의 완전하고 정보를 주는 설명을 예 및 비제한적인 예를 통해 제공하였다. 그러나, 첨부의 도면 및 첨부된 청구범위와 연계하여 판독할 때, 전술한 설명의 견지에서 다양한 수정예 및 적응예가 관련 기술 분야에서 숙련되는 자에게 명백하게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교시의 모든 그러한 그리고 유사한 수정예는 여전히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할 것이다.
용어 "연결되는", "커플링되는" 또는 이들의 임의의 변형어는, 두 개 이상의 엘리먼트 사이의, 직접적이거나 또는 간접적인 것 중 어느 하나의, 임의의 연결 또는 커플링을 의미하고, 함께 "연결되는" 또는 "커플링되는" 두 엘리먼트 사이의 엘리먼트 하나 이상의 중간 엘리먼트의 존재를 포괄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엘리먼트 사이의 커플링 또는 연결은 물리적일 수 있거나, 논리적일 수 있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본원에서 활용되는 바와 같이, 두 개의 엘리먼트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 케이블 및/또는 인쇄된 전기적 연결부의 사용에 의해, 뿐만 아니라, 전자기 에너지, 예컨대, 여러 가지 비제한적이고 비배타적인 예로서, 무선 주파수 영역, 마이크로파 영역 및 광학적(시각적이고 비시각적인 것 둘 모두) 영역에서 파장을 갖는 전자기 에너지의 사용에 의해 함께 "연결되는" 또는 "커플링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더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피쳐 중 일부는 다른 피쳐의 대응하는 사용 없이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만큼, 전술한 설명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원리를 단지 예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Claims (89)

  1. 방법으로서,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특정한 빔 관리 소스 기준 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패널을 패널 태그를 사용하여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빔 보고를 기지국으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송신 구성 표시 테이블의 구성 - 상기 송신 구성 표시 테이블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수신기 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측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기준 신호와 관련되는 하나 이상의 송신 구성 표시 상태를 포함함 - 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제어 리소스 세트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소스 기준 신호를 활성화할 때, 활성화된 소스 기준 신호와 동일한 패널 태그를 공유하는 송신 구성 표시 상태만이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 빔 표시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된 소스 기준 신호가 상기 동일한 패널 태그를 공유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 구성 표시 상태를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패널 태그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동시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공간 필터의 세트의 표시를 포함하는,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반영구적 리소스가 상기 동일한 패널 태그를 공유하지 않는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영구적 리소스를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위 계층 파라미터 그룹 기반의 빔 보고가 오프로 설정되어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구성된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단일의 보고 사례에서 미리 결정된 수의 리소스에 대한 측정치를 업데이트하는 것만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요구받는 구성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위 계층 파라미터 그룹 기반의 빔 보고가 온으로 설정되어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구성된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미리 결정된 수의 리소스에 대한 측정치를 업데이트하는 것만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요구받는 구성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단일의 보고 사례에서 각각의 보고 설정 및 대응하는 수신기 패널 태그에 대한 두 개의 상이한 리소스를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단일의 공간 도메인 수신 필터, 또는
    다수의 동시적 공간 도메인 수신 필터
    중 적어도 하나와 동시에 리소스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하나 이상의 수신기 패널 중 어떤 수신기 패널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구성된 빔 관리 기준 신호를 측정하였는지를 나타내는 그룹 기반의 빔 보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일시적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일시적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특정한 빔 관리 소스 기준 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패널을 패널 태그를 사용하여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빔 보고를 기지국으로 제공하게 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장치에 대한 송신 구성 표시 테이블의 구성 - 상기 송신 구성 표시 테이블은 상기 장치의 하나 이상의 수신기 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측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기준 신호와 관련되는 상태를 포함함 - 을 수신하게 하고,
    제어 리소스 세트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소스 기준 신호를 활성화할 때, 활성화된 소스 기준 신호와 동일한 패널 태그를 공유하는 송신 구성 표시 상태만이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 빔 표시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결정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일시적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활성화된 소스 기준 신호가 상기 동일한 패널 태그를 공유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 구성 표시 상태를 비활성화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각각의 패널 태그는, 상기 장치가 동시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공간 필터의 세트의 표시를 포함하는,
    장치.
  14. 삭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일시적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반영구적 리소스가 상기 동일한 패널 태그를 공유하지 않는다는 것을 결정하게 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영구적 리소스를 비활성화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일시적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위 계층 파라미터 그룹 기반의 빔 보고가 오프로 설정되어 상기 장치가 구성된다는 것을 결정하게 하고,
    상기 장치가 단일의 보고 사례에서 미리 결정된 수의 리소스에 대한 측정치를 업데이트하는 것만을 요구받는 구성을 수신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일시적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위 계층 파라미터 그룹 기반의 빔 보고가 온으로 설정되어 상기 장치가 구성된다는 것을 결정하게 하고,
    상기 장치가 미리 결정된 수의 리소스에 대한 측정치를 업데이트하는 것만을 요구받는 구성을 수신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보고를 제공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일시적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단일의 보고 사례에서 각각의 보고 설정 및 대응하는 수신기 패널 태그에 대한 두 개의 상이한 리소스를 보고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일시적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단일의 공간 도메인 수신 필터, 또는
    다수의 동시적 공간 도메인 수신 필터
    중 적어도 하나와 동시에 리소스를 수신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0. 제11항 내지 제13항 및 제15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보고를 제공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일시적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장치가, 상기 하나 이상의 수신기 패널 중 어떤 수신기 패널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구성된 빔 관리 기준 신호를 측정하였는지를 나타내는 그룹 기반의 빔 보고를 제공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1.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머신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프로그램을 유형적으로 구체화하는, 상기 머신에 의해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프로그램 스토리지 디바이스로서, 상기 동작은:
    특정한 빔 관리 소스 기준 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패널을 패널 태그를 사용하여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빔 보고를 기지국으로 제공하는 것;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머신에 대한 송신 구성 표시 테이블의 구성 - 상기 송신 구성 표시 테이블은 상기 머신의 하나 이상의 수신기 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측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기준 신호와 관련되는 상태를 포함함 - 을 수신하는 것; 및
    제어 리소스 세트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소스 기준 신호를 활성화할 때, 활성화된 소스 기준 신호와 동일한 패널 태그를 공유하는 송신 구성 표시 상태만이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 빔 표시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프로그램 스토리지 디바이스.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은:
    상기 활성화된 소스 기준 신호가 상기 동일한 패널 태그를 공유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 구성 표시 상태를 비활성화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 프로그램 스토리지 디바이스.
  23. 제21항에 있어서,
    각각의 패널 태그는, 상기 머신이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공간 필터의 세트의 표시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프로그램 스토리지 디바이스.
  24. 삭제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은:
    적어도 하나의 반영구적 리소스가 상기 동일한 패널 태그를 공유하지 않는다는 것을 결정하는 것;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영구적 리소스를 비활성화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 프로그램 스토리지 디바이스.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은:
    상위 계층 파라미터 그룹 기반의 빔 보고가 오프로 설정되어 상기 머신이 구성된다는 것을 결정하는 것; 및
    단일의 보고 사례에서 미리 결정된 수의 리소스에 대한 측정치를 업데이트하는 것만을 상기 머신이 요구받는 구성을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 프로그램 스토리지 디바이스.
  2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은:
    상위 계층 파라미터 그룹 기반의 빔 보고가 온으로 설정되어 상기 머신이 구성된다는 것을 결정하는 것; 및
    미리 결정된 수의 리소스에 대한 측정치를 업데이트하는 것만을 상기 머신이 요구받는 구성을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 프로그램 스토리지 디바이스.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것은 단일의 보고 사례에서 각각의 보고 설정 및 대응하는 수신기 패널 태그에 대한 두 개의 상이한 리소스를 보고하는 것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프로그램 스토리지 디바이스.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은:
    단일의 공간 도메인 수신 필터, 또는
    다수의 동시적 공간 도메인 수신 필터
    중 적어도 하나와 동시에 리소스를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 프로그램 스토리지 디바이스.
  30. 제21항 내지 제23항 및 제25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것은, 상기 머신이, 상기 하나 이상의 수신기 패널 중 어떤 수신기 패널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구성된 빔 관리 기준 신호를 측정하였는지를 나타내는 그룹 기반의 빔 보고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프로그램 스토리지 디바이스.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57. 삭제
  58. 삭제
  59. 삭제
  60. 삭제
  61. 삭제
  62. 삭제
  63. 삭제
  64. 삭제
  65. 삭제
  66. 삭제
  67. 삭제
  68. 삭제
  69. 삭제
  70. 삭제
  71. 삭제
  72. 삭제
  73. 삭제
  74. 삭제
  75. 삭제
  76. 삭제
  77. 삭제
  78. 삭제
  79. 삭제
  80. 삭제
  81. 삭제
  82. 삭제
  83. 삭제
  84. 삭제
  85. 삭제
  86. 삭제
  87. 삭제
  88. 삭제
  89. 삭제
KR1020207031973A 2018-04-06 2019-04-05 다중 패널 ue에 대한 빔 표시 KR102523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12899A KR20230056064A (ko) 2018-04-06 2019-04-05 다중 패널 ue에 대한 빔 표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653824P 2018-04-06 2018-04-06
US62/653,824 2018-04-06
PCT/IB2019/052840 WO2019193581A2 (en) 2018-04-06 2019-04-05 Beam indication for multi-panel u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2899A Division KR20230056064A (ko) 2018-04-06 2019-04-05 다중 패널 ue에 대한 빔 표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866A KR20200140866A (ko) 2020-12-16
KR102523621B1 true KR102523621B1 (ko) 2023-04-21

Family

ID=6653036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1973A KR102523621B1 (ko) 2018-04-06 2019-04-05 다중 패널 ue에 대한 빔 표시
KR1020237012899A KR20230056064A (ko) 2018-04-06 2019-04-05 다중 패널 ue에 대한 빔 표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2899A KR20230056064A (ko) 2018-04-06 2019-04-05 다중 패널 ue에 대한 빔 표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271635B2 (ko)
KR (2) KR102523621B1 (ko)
CN (2) CN115133959A (ko)
PH (1) PH12020551559A1 (ko)
WO (1) WO201919358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22674A (zh) * 2017-02-07 2023-01-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相位噪声导频的配置、确定方法及装置
CN109151847B (zh) * 2017-06-16 2020-08-0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信道测量处理方法及装置
US11889534B2 (en) * 2018-05-10 2024-01-30 Ntt Docomo, Inc. Terminal, radio communication method, base station, and system to prevent deterioration of communication quality
US11895516B2 (en) * 2018-05-14 2024-02-06 Mediatek Inc. Spatial quasi-co-location for radio link monitoring in new radio mobile communications
US10972972B2 (en) * 2018-07-17 2021-04-06 FG Innovation Company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operating multiple antenna panels
CN114916004A (zh) * 2018-07-25 2022-08-1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传输配置方法及装置
CN110868231B (zh) * 2018-08-10 2021-08-13 华为技术有限公司 管理天线面板的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WO2020063457A1 (en) * 2018-09-27 2020-04-02 Inte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user equipment panel selection
WO2020090119A1 (ja) * 2018-11-02 2020-05-07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US11201662B2 (en) * 2018-11-02 2021-12-14 Apple Inc. Uplink transmit beam sweep
US11470489B2 (en) 2019-01-11 2022-10-11 Qualcomm Incorporated Synchronization signal block an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search space monitoring based on user equipment beamforming capability
US20220190902A1 (en) * 2019-02-14 2022-06-16 Apple Inc. Emission and Panel Aware Beam Selection
US11451992B2 (en) * 2019-04-12 2022-09-20 Qualcomm Incorporated Beam preference feedback for data transmissions
EP3966960A4 (en) * 2019-08-14 2022-06-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unication method, and user equipment and network equipment performing the communication method
CN114830557A (zh) * 2019-10-15 2022-07-29 株式会社Ntt都科摩 终端以及无线通信方法
CN112787696A (zh) 2019-11-07 2021-05-11 苹果公司 多trp传输的无线设备功率节省
CN117793957A (zh) 2019-11-07 2024-03-29 苹果公司 用于快速单dci和多dci模式切换的系统和方法
US11510212B2 (en) 2019-11-25 2022-1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 management for mobility
US11509383B2 (en) * 2019-12-23 2022-11-22 Qualcomm Incorporated Default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downlink beam determination with self-interference
WO2021147087A1 (en) * 2020-01-23 2021-07-29 Lenovo (Beijing)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eactivating user equipment panels
WO2021149017A1 (en) * 2020-01-23 2021-07-29 Lenovo (Singapore) Pt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an indication of downlink reference signals
US11856570B2 (en) * 2020-01-27 2023-12-26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mixed mode beam correspondence in upper millimeter wave bands
US11831383B2 (en) 2020-01-27 2023-11-28 Qualcomm Incorporated Beam failure recovery assistance in upper band millimeter wave wireless communications
US20210235299A1 (en) * 2020-01-29 2021-07-29 Qualcomm Incorporated Indication of single or dual receive beams in group-based report
EP4102883A4 (en) * 2020-02-04 2023-10-18 Ntt Docomo, Inc.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BASE STATION
EP4104298A4 (en) * 2020-02-11 2024-02-07 Qualcomm Inc TECHNIQUES FOR DETERMINING BEAM METRICS FOR MAXIMUM ALLOWABLE EXPOSURE RATIO
CN115280811A (zh) * 2020-03-06 2022-11-01 株式会社Ntt都科摩 终端、无线通信方法以及基站
US20210314931A1 (en) * 2020-04-06 2021-10-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reference signal-based beam management
WO2021229140A1 (en) * 2020-05-13 2021-11-18 Nokia Technologies Oy Improved beam management in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s
CN113923709B (zh) * 2020-07-09 2024-02-2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波束报告的发送、接收方法、装置及电子设备
WO2022012395A1 (en) * 2020-07-16 2022-01-20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Apparatus and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CN113993209A (zh) * 2020-07-27 2022-01-28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波束确定方法及设备
US20230232345A1 (en) * 2020-07-30 2023-07-20 Qualcomm Incorporated Differential power parameter reporting in multi-panel uplink transmission
WO2022031546A1 (en) * 2020-08-05 2022-02-10 Idac Holdings, Inc. Beam indication based on tci state group
US20230299824A1 (en) * 2020-08-07 2023-09-21 Nokia Technologies Oy Use of 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ion state subse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11751085B2 (en) 2020-08-07 2023-09-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cell downlink and uplink beam indication, measurement and reporting
US11937107B2 (en) * 2020-09-29 2024-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fast beam measurement and reporting
US11855722B2 (en) * 2020-10-08 2023-12-26 Qualcomm Incorporated Mapping between beams and antenna panels
US11728850B2 (en) * 2020-10-12 2023-08-15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indicating a panel identifier in reporting received beams
US11652531B2 (en) * 2020-10-12 2023-05-16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determining one or more antenna panels to use in receiving beams
WO2022141074A1 (zh) * 2020-12-29 2022-07-0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波束指示方法、波束指示装置及存储介质
CN116711238A (zh) * 2021-01-13 2023-09-05 捷开通讯(深圳)有限公司 一种用户设备的天线面板切换方法及通信设备
CN117200956A (zh) * 2021-01-14 2023-12-08 苹果公司 Pdsch、csi-rs、pucch和srs的默认波束
WO2022151224A1 (en) * 2021-01-14 2022-07-21 Zte Corporation Determining times for applying beam states for uplink transmissions
US20240107465A1 (en) * 2021-01-15 2024-03-28 Qualcomm Incorporated Multi-panel power headroom reporting
US20240106515A1 (en) * 2021-03-10 2024-03-28 Qualcomm Incorporated Decoupled uplink and downlink communications via reconfigurable intelligent surfaces
CN115173898A (zh) * 2021-04-02 2022-10-11 索尼集团公司 电子设备、通信方法、存储介质和计算机程序产品
US20220353131A1 (en) * 2021-04-29 2022-11-03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beam continuation for downlink beam failure recovery
EP4087154A3 (en) * 2021-05-03 2023-0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receiving/transmitting downlink sig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240137099A1 (en) * 2021-06-02 2024-04-25 Nokia Technologies Oy Facilitating multi-panel ue operation with different panel capabilities
CN115943684A (zh) * 2021-08-06 2023-04-0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功率余量报告的上报方法、装置、用户设备、基站及存储介质
CN117795887A (zh) * 2021-08-06 2024-03-29 诺基亚技术有限公司 装置、方法、以及计算机程序
KR20230024114A (ko) 2021-08-11 2023-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빔 스위핑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 및 이의 동작 방법
WO2023080416A1 (ko) * 2021-11-03 2023-05-11 삼성전자 주식회사 핸드 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CN116489803A (zh) * 2022-01-14 2023-07-25 索尼集团公司 用于无线通信的电子设备和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23192182A1 (en) * 2022-04-01 2023-10-0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Unified tci updates for mtrp including simultaneous bfr
WO2024007257A1 (en) * 2022-07-07 2024-01-11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predicting network node 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or states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8837B1 (ko) * 2011-09-29 2018-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빔 포밍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짧은 핸드오버 지연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927322B1 (ko) * 2012-02-11 2018-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채널상태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방법, 이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이들을 위한 장치
WO2014133650A1 (en) * 2013-03-01 2014-09-04 Intel IP Corporation Quasi co-location and pdsch resource element mapping signaling for network assisted interference mitigation
KR102085003B1 (ko) * 2013-04-30 2020-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빔포밍 시스템에서 최적의 송수신 빔 제공 방법 및 장치
EP3280068B1 (en) * 2015-04-17 2019-10-09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US10411785B2 (en) * 2015-07-31 2019-09-10 Intel Corporation Receive beam indication for 5G systems
WO2017049599A1 (en) * 2015-09-25 2017-03-30 Qualcomm Incorporated Csi reporting for beamformed csi-rs based fd-mimo
WO2017084235A1 (en) * 2015-11-16 2017-05-26 Intel IP Corporation Beamformed csi‐rs based measurement framework
US10700752B2 (en) * 2016-01-14 2020-06-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method, and apparatus of beam-tracking and beam feedback operation in a beam-forming based system
US11006429B2 (en) * 2016-05-04 2021-05-11 Apple Inc. Antenna panel switching and beam indication
CN107360625B (zh) * 2016-05-09 2023-04-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传输数据的方法及装置
US11245456B2 (en) * 2016-05-11 2022-02-08 Idac Holding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beamformed uplink transmission
WO2018062937A1 (ko) * 2016-09-29 2018-04-05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8060928A1 (en) * 2016-09-30 2018-04-05 Nokia Technologies Oy Determining, by an access node, association between refinement beam index (bi) and logical bi
US10383067B2 (en) * 2016-10-21 2019-08-13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headroom report for beam ope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8243430B (zh) * 2016-12-23 2020-09-1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波束管理信息的配置、处理方法、终端及基站
CN108366423B (zh) * 2017-01-26 2021-01-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配置资源指示方法及装置
US10735157B2 (en) * 2017-02-03 2020-08-04 Futurewei Technologies, Inc. UE-assisted SRS resource allocation
US10575307B2 (en) * 2017-02-24 2020-02-25 Qualcomm Incorporated Restricted set indication in multi-beam operation
CN108696889B (zh) * 2017-03-30 2021-09-10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波束测量和反馈的方法及使用所述方法的基站与用户设备
CN109392123A (zh) * 2017-08-10 2019-02-26 株式会社Ntt都科摩 波束选择方法、基站和用户设备
CN110999102B (zh) * 2017-08-10 2022-02-01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终端和通信方法
CN110167091B (zh) * 2018-02-11 2021-03-1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下行信道的接收方法、发送方法、终端和基站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719538*
3GPP R1-1800432*
3GPP R2-180396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075029B (zh) 2022-08-16
US20210119688A1 (en) 2021-04-22
KR20230056064A (ko) 2023-04-26
PH12020551559A1 (en) 2021-06-07
WO2019193581A3 (en) 2019-12-26
WO2019193581A2 (en) 2019-10-10
US20220149925A1 (en) 2022-05-12
CN112075029A (zh) 2020-12-11
KR20200140866A (ko) 2020-12-16
CN115133959A (zh) 2022-09-30
US11271635B2 (en) 202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3621B1 (ko) 다중 패널 ue에 대한 빔 표시
US11477838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for handling beam failure
US20210281296A1 (en) Beam Change
EP3861806B1 (en) Method for positioning reference design
CN110418412B (zh) 一种波束管理方法、中继收发节点、终端和基站
US10666400B2 (en) Enhancing monitoring of multiple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s in beam based system
US20190089420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of beam selection
US11985679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EP4228097A1 (en) Operating mode indication method, apparatus, and device
JP2021519551A (ja) 参照信号構成のための方法
JP2021514151A (ja) アンライセンス無線バンドシナリオのための一時的フローティングdlタイミングアプローチ
CN111866959B (zh) 波束失败上报的方法和装置
KR20230122143A (ko) 측위 측정 방법, 장치, 장비 및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US20240049207A1 (en) Beam Management in Multi-TRP Operation
US20220302972A1 (en) UE Operations for Beam Management in Multi-TRP Operation
WO2022077355A1 (en) Uplink transmission enhancements for multi-trp operation
CN111919472B (zh) 用于bwp的随机接入响应
CN111771338A (zh) 物理上行链路共享信道(pusch)跳频分配
WO2018172854A1 (en)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EP3944690A1 (en) User device and base st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