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3588B1 - 비상탈출 유도기능을 갖는 공기조화장치 - Google Patents

비상탈출 유도기능을 갖는 공기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3588B1
KR102523588B1 KR1020210054978A KR20210054978A KR102523588B1 KR 102523588 B1 KR102523588 B1 KR 102523588B1 KR 1020210054978 A KR1020210054978 A KR 1020210054978A KR 20210054978 A KR20210054978 A KR 20210054978A KR 102523588 B1 KR102523588 B1 KR 102523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air
escape
outside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4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8361A (ko
Inventor
전용철
서순영
이상무
장영준
김선준
홍정락
이영미
전영재
Original Assignee
남양노비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양노비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남양노비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4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3588B1/ko
Publication of KR20220148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8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3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3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10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storing energy
    • F03D9/11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storing energy storing electrical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guiding along a path, e.g. evacuation path lighting stri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탈출 유도기능을 갖는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실내공간에 배치되며 흡기구 및 배기구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흡기구를 통해 외기를 흡기한 후 배기구로 내보내는 팬과; 상기 팬에 의해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통과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며, 정전 시 동작하여, 장치 주변을 밝혀주는 인지조명 엘이디등과 출입구의 방향을 가이드 하는 빛을 조사하는 탈출유도기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비상탈출 유도기능을 갖는 공기조화장치는, 평상시에는 공기조화의 기본 역할을 수행하며, 비상 상황 발생 시 자동으로 동작하여 건물 외부로의 대피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신속한 비상 탈출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비상탈출 유도기능을 갖는 공기조화장치{Air conditioning device with emergency escape induction function}
본 발명은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조화의 기본 기능을 제공함과 동시에, 화재나 정전 시 자동으로 엘이디 비상라이트가 켜져 인지조명 역할을 하고, 레이저빔이 비상탈출구의 방향을 알려줌으로써, 인명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비상탈출 유도기능을 갖는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기청정기는, 공기 중에 섞여 있는 먼지 등의 오염물질을 걸러 내는 장치로서, 보통, 필터가 내장되어 있는 케이스와, 케이스 내에 설치되며 외부의 오염 공기를 흡기하여 필터를 통과시킨 후 배기하는 팬의 기본 구조를 갖는다.
최근 중국발 황사나 미세먼지 등에 의한 환경 문제가 더욱 심각해짐에 따라, 일반 가정에서부터, 극장이나 대형 전시장 또는 지하철 플랫폼이나 빌딩 로비 등의 여러 공공건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정화 방식과 성능을 갖는 공기청정기가 설치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공기청정기 중, 공공건물에 설치되는 대형 공기청정기는, 보다 효과적인 운용을 위해, 사람들의 동선을 고려하여 배치되기 마련이다. 이를테면, 사람들이 많이 모이거나 왕래가 많은 공간에 주로 설치되고, 사람이 거의 가지 않는, 말하자면, 구석자리 등에는 설치되지 않는 것이다.
한편, 공공건물의 실내에는, 화재 발생 시, 열이나 연기 또는 화염을 감지하는 화재감지기가 설치된다. 화재감지기에도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화재를 감지하여 거주자의 신속한 탈출을 유도한다. 그런데, 종래 화재감지기는, 대개, 실내의 높고 구석진 자리에 위치하고 있어, 화재의 감지에 시간이 걸리고, 또한 유지 관리가 쉽지 않아 본연의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이유로, 근래에는 공기청정기에 화재감지기를 적용한 타입의 장비가 개발되어 있다. 화재감지기는 공기청정기가 계속적으로 빨아들이고 있는 공기를 분석하므로 보다 빠른 화재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8454호를 통해, 화재경보 기능을 갖는 은폼 공기청정기가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공기청정기는, DC FAN이 동작하여 외부 공기가 흡입되면, 이 흡입된 공기는 헤파필터, 포르말린필터, 카본필터, 라듐항균필터, 염화프리필터 등으로 이루어진 일체형 필터인 다단의 망필터를 거쳐 1차 정화되고, 이 후 순도 99.9%의 순은으로 제작된 그물망 형태의 은폼을 거쳐 최종 정화된 공기가 DC FAN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제어부와 연결되면서 고압을 발생시키는 고압 발생부와 연결된 플라즈마 방식의 음이온 발생 및 먼지 집진부에 의해 음이온을 방출함과 더불어 먼지를 집진하고, 제어부와 연결되는 솔레노이드와 연결된 아로마 캡슐에 의해 아로마향이 방출되며, 연기 감지센서와 열 감지센서가 화재로 인해 발생된 연기나 열을 감지하게 되면, 제어부가 연기 감지센서와 열 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된 연기나 열 감지신호를 인식하고,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이를 화재로 판단하여 화재경보 발생기를 통해 화재경보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화재감지기 내장 공기청정기는, 화재감지기를, 단지, 공기청정기에 설치한 것일 뿐, 정전 시 사람들의 긴급 탈출을 돕는 조명 역할을 한다거나, 거주자의 탈출 방향을 유도하는 안내 도구로서의 실질적인 기능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단점을 갖는다. 즉, 정전 시, 주변을 밝혀 주거나 탈출구의 방향을 인도하여 직접적으로 알려줌으로써 신속한 탈출을 유도 하는 등의 기능이 없는 것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화재가 발생하면 정전(停電)이 뒤따르며 유독가스가 급격히 퍼지므로, 거주자는 암흑의 상태에서 크게 당황하여 서로 엉키며 탈출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 종전의 화재감지기가 장착된 공기청정기는 단순히 화재 경보음만 발생할 뿐, 긴급한 인지조명이나 효과적인 비상탈출을 유도할 수 없었다.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8454호 (화재경보 기능을 갖는 은폼 공기청정기)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공기조화의 기본 역할을 수행하며, 비상 상황 발생 시 자동으로 동작하여 알람 경보음을 제공함은 물론, 엘이디 비상라이트가 동작하여 인지 조명 역할을 해주고, 레이저빔이 비상탈출구의 방향을 유도해 줌으로써 인명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비상탈출 유도기능을 갖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비상탈출 유도기능을 갖는 공기조화장치는, 실내공간에 배치되며 흡기구 및 배기구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흡기구를 통해 외기를 흡기한 후 배기구로 내보내는 팬과; 상기 팬에 의해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통과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며, 정전 시 동작하여, 출입구의 방향을 가이드 하는 빛을 조사하는 탈출유도기가 포함되고, 상기 탈출유도기는; 하우징에 결합 고정되는 케이스와, 케이스에 내장되고 정전(停電)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과,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하여, 출입구의 방향을 가이드 하는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빔출력부를 구비하며, 상기 탈출유도기에는;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부와, 제어부에 의해 동작하며, 화재 발생 시 비상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가 더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탈출유도기를 설치하기 위한 장착구가 형성되어 있고, 탈출유도기의 케이스는, 장착구에 장착된 상태로 일부는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 노출되고, 다른 일부는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화재감지부는;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어 하우징 외부의 공기를 감지하는 제1감지기와, 하우징 내부로 노출되어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감지하는 제2감지기를 갖는다.
또한, 상기 탈출유도기에는, 하우징의 외부로 빛을 밝히는 조명수단이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전원은, 케이스에 내장되는 충전형 배터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팬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의 운동에너지를 받아 작동하여 전력을 생산하고, 생산되는 전력을 배터리로 공급하는 풍력발전부가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빔출력부는; 탈출유도기의 케이스에 지지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연장단부를 통해 레이저 빔을 출력하는 연장튜브와, 상기 연장단부에 장착된 상태로 방위 조절 가능하며, 연장튜브로부터 출력된 레이저 빔을 통과시키는 방향지시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방향조절캡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하우징 외부의 공기를 흡기하는 외기포집팬과, 외기포집팬에 의해 포집된 공기를 제2감지기로 유도하는 유도관이 더 설치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비상탈출 유도기능을 갖는 공기조화장치는, 평상시에는 공기조화의 기본 역할을 수행하며, 비상 상황 발생 시 자동으로 동작하여, 화재 알림 기능을 하면서 인지조명 역할을 하는 동시에, 건물 외부로의 대피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신속한 비상 탈출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 유도기능을 갖는 공기조화장치의 외부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탈출유도기를 별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탈출유도기에 적용할 수 있는 광출력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에 설치될 수 있는 탈출유도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탈출유도기의 변형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한 탈출유도기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한 탈출유도기가 적용된 공기조화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7의 탈출유도기가 장착된 공기조화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에 외기도입전달기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비상탈출 유도기능을 갖는 공기조화장치는, 평상시에는 일반적인 공기조화장치의 역할을 하며, 비상 시, 가령, 정전(停電)이나 화재 시 비상탈출 유도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공기조화장치는, 실내공간에 배치되며 흡기구 및 배기구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흡기구를 통해 외기를 흡기한 후 배기구로 내보내는 팬과; 상기 팬에 의해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통과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며, 정전 시 동작하여, 출입구의 방향을 가이드 하는 빛을 조사하는 탈출유도기의 기본 구성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 유도기능을 갖는 공기조화장치(10)의 외부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탈출유도기(30)를 별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도 2의 탈출유도기에 적용할 수 있는 광출력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 보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탈출유도기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0)는, 하우징(11), 팬(도 7의 19), 필터(도 7의 17), 다수의 탈출유도기(30)를 포함한다.
공기조화장치(10)는 실내공간(100)에 배치되어, 평상시 실내 공기를 정화처리하며, 비상시(화재에 의한 정전이나, 일반 정전 시)에는, 출입구(101)를 향하는 유도화살표(103)를 출력한다. 유도화살표(103)는 후술할 빔출력부(36)으로부터 조사된 레이저빔이 광착면에 투사된 도형이다.
유도화살표(103)는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화살표의 모양을 취할 수 있으며, 실내의 바닥이나 벽면 또는 천장에 투사 가능하다. 유도화살표(103)는 출입구(101)의 위치를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유도화살표(103)가 지시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출입구(101)가 나오게 된다. 가령, 화재에 의한 정전 시, 급박한 암흑의 상태에서, 바닥이나 벽면 또는 천장에 투사된 유도화살표(103)를 따라 이동하여 신속한 탈출이 가능한 것이다. 유도화살표(103)의 칼라는 다양할 수 있으며 가령 적색이나 녹색광 일 수 있다.
하우징(11)과 팬(19)과 필터(17) 자체는 일반적인 공기청정기의 구성과 같으며, 그 사이즈나 작동 방식은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하우징(11)의 하측부에는 흡기구(13)가, 상측부에는 배기구(15)가 위치한다. 상기 팬(19)이 작동하면 하우징(11) 외부의 공기가 흡기구(13)를 통해 하우징(11)의 내부로 유입한 후 필터(17)를 통과하여 필터링 된 후 배기구(15)를 통해 배출된다.
특히 하우징(11)에는 다수의 장착구(11a)가 마련되어 있다. 장착구(11a)는 탈출유도기(30)가 설치되는 구멍으로서, 하우징(11)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통로이다. 또한 장착구(11a)의 주변에는 고정탭(11b)이 마련되어 있다. 고정탭(11b)은 탈출유도기(30)를 장착구(11a)에 고정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탈출유도기(30)를 장착구(11a)에 끼우면 고정탭(11b)이 탈출유도기(30)의 좌우측면에 접하고, 이 상태에서 고정나사(12)를 죄어, 고정탭(11b)에 탈출유도기(3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장착구(11a)에 대한 탈출유도기(30)의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한 것이다. 장착구(11a)의 위치나 개수는 실시예에 따라 당연히 달라질 수 있다.
한편, 탈출유도기(30)는, 케이스(31), 화재감지부(34), 제어부(32), 전원, 빔출력부(36), 스피커(37), 조명수단(38), 온오프스위치(33a), 점검스위치(33b)를 포함한다. 탈출유도기(30)의 기본 기능은, 화재 및 정전 시, 경보음이나 멘트를 출력하고, 위에 언급한 유도화살표(103)를 조사하며, 조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케이스(31)는 대략 박스의 형태를 취하며 장착구(11a)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나사(12)를 통해 고정탭(11b)에 결합 지지된다. 도면부호 31a는 고정나사(12)가 결합하는 나사구멍이다.
화재감지부(34)는, 화재 발생 시, 주변의 열이나 유독가스 또는 화염을 감지하고 감지한 정보를 제어부(32)로 전달한다. 특히 화재감지부(34)에는 제1감지기(34a)와 제2감지기(34b)가 포함된다. 제1,2감지기(34a,34b)는 동일한 역할을 하는 것이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감지기(34a)는 하우징(11)의 외부에, 제2감지기(34b)는 하우징(11)의 내부공간(11c) 영역에 위치한다. 제1감지기(34a)는 하우징(11) 외부의 공기를 감지하고, 제2감지기(34b)는 하우징(11) 내부의 공기를 감지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어부(32)는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전달받아 동작하며, 케이스(31)에 내장된 상태로, 빔출력부(36), 스피커(37), 조명수단(38)의 작동을 컨트롤한다. 즉, 정전(停電)시 빔출력부(36)와 스피커(37)와 조명수단(38)을 작동시키는 것이다.
전원은, 탈출유도기(30)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배터리(35) 일 수 있다. 배터리(35)의 전력은 빔출력부(36), 스피커(37), 조명수단(38)의 구동을 위해 사용된다. 배터리(35)는 충전형 배터리로서, 리튬이온 배터리나 리튬폴리머 배터리가 포함될 수 있다.
온오프스위치(33a)는 탈출유도기(30) 자체를 온오프 시키는 스위치이다. 온오프스위치(33a)를 통해 탈출유도기(30)를 오프(off) 시키면 탈출유도기(30)의 작동이 정지되고, 온(on) 시키면 탈출유도기(30)가 정상 작동한다.
점검스위치(33b)는 탈출유도기(30)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는 버튼형 스위치이다. 점검스위치(33b)를 통해, 빔출력부(36), 스피커(37), 조명수단(38)의 정상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스피커(37)는 제어부(32)에 의해 동작하여, 각종 음향이나 경보 멘트를 출력한다. 이를테면 사이렌소리를 출력하거나, 미리 녹음되어 있는 대피 안내 멘트를 출력하는 것이다.
또한 조명수단(38)은 하우징(11)의 주변에 빛을 비추는 엘이디램프이다. 정전에 의해 실내가 캄캄해져 아무것도 보이지 않을 때 조명수단(38)이 비상 조명의 역할을 한다.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공기청정기는 사람들이 자주 모이거나 왕래가 빈번한 장소에 설치되므로, 조명수단(38)은, 어두운 실내에서의 이동 경로를 비추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조명수단(38)의 적용 개수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빔출력부(36)는, 제어부(32)에 의해 작동하여, 출입구(101)의 방향을 가이드 하는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것이다. 빔출력부(36)에서 조사된 레이저빔은 실내의 바닥면이나 벽면 또는 천장면에 유도화살표(103)로 표시된다. 유도화살표(103)가 가리키는 방향에는 출입구(101)가 위치한다. 정전 시, 유도화살표(103)가 가리키는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 신속한 탈출이 가능하다.
빔출력부(36)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한 빔출력부(36)는, 광발생기(36b)가 내장된 연장튜브(36a), 캡홀더(37k), 방향조절캡(36c)을 포함한다. 광발생기(36b)는 배터리(35)로부터 인가된 전력을 받아 동작하여 레이저빔을 출력한다. 광발생기(36b) 자체는 일반적인 것이므로 그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연장튜브(36a)는 플렉시블한 가요성 튜브로서, 후단부가 케이스(31)에 고정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연장단부에 캡홀더(36k)를 갖는다. 연장튜브(36a)가 플렉시블한 성질을 가지므로 캡홀더(36k)의 3차원적 위치 조절이 가능하다. 즉, 빔출력부(36)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 빔의 조사 방향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캡홀더(36k)는 연장튜브(36a)의 연장단부에 고정되는 부재로서, 빔출구(36n)와 끼움홈(36m)을 갖는다. 빔출구(36n)는 연장튜브(36a)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빔을 통과시키는 구멍이다. 필요에 따라 빔출구(36n)에 렌즈를 추가할 수도 있다.
끼움홈(36m)은, 캡홀더(36k)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링형 홈으로서, 방향조절캡(36c) 내주면의 걸림돌기(도 3의 36d)를 수용 지지한다. 끼움홈(36m)은 걸림돌기(36d)를 수용하며 방향조절캡(36c)이 화살표 a방향이나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방향조절캡(36c)은 캡홀더(36k)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부재로서,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캡홀더(36k)에 결합한 상태로 방위조절이 가능하다. 말하자면, 화살표 a방향이나 그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한 것이다.
방향조절캡(36c)의 내주면에는 걸림돌기(36d)가 설치된다. 걸림돌기(36d)는 방향조절캡(36c)의 원주방향을 따라 한바퀴 돌아 양단부가 만나 이루어진 링형 돌출부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끼움홈(36m)에 끼워진다.
또한 방향조절캡(36c)에는 화살표 모양의 방향지시구멍(36e)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방향지시구멍(36e)은 빔출구(36n)를 통과한 레이저 빔을 통과시키는 구멍이다. 방향지시구멍(36e)이 화살표 모양이므로, 실내 바닥이나 벽면 또는 천장의, 말하자면, 광착면(光到面)에는 화살표 모양의 유도화살표(103)가 표시된다.
빔출력부(36)는 도 3에 도시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도 3의 빔출력부(36)는, 회전형써포터(36f), 연장튜브(36a), 캡홀더(36k), 방향조절캡(36c)으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회전형써포터(36f)는 케이스(31)에 지지되며 화살표 c방향 및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부재로서, 상부 중앙에 장착홈(36g)을 갖는다. 장착홈(36g)은 연장튜브(36a)의 후단부를 수용하는 홈이다.
연장튜브(36a)는 광발생기(36b)를 수용하는 직선형 튜브로서 후단부가, 장착홈(36g)에 수용된 상태로 지지핀(36h)으로 연결된다. 연장튜브(36a)가 지지핀(36h)을 회전축으로 삼아 회전 가능함은 물론이다. 연장튜브(36a)의 연장단부에는 캡홀더(36k)가 고정되고, 캡홀더(36k)에는 방향조절캡(36c)이 끼워진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탈출유도기(30)의 변형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6은 도 5의 탈출유도기가 장착된 공기조화장치(1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탈출유도기(30)에 외부전원(41)이 접속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외부전원(41)은 팬(19)을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으로서, 실내의 벽면에 매립되어 있는 220V의 전원일 수 있다. 외부전원(41)과 탈출유도기(30)를 연결하는 전력선(41a)은 하우징(11)의 내부공간에 적절히 배선된다.
외부전원(41)의 전력의 일부는 배터리(35)로 공급되어 배터리(35)가 항상 만충전 상태가 되도록 한다. 또한 전력의 다른 일부는 제어부(32)로 전달되어, 빔출력부(36)와 스피커(37)와 조명수단(38)을 구동하는데 이용된다.
특히, 제어부(32)는, 정전 등의 원인으로, 외부전원(41)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차단될 경우, 비상모드로 전환되며, 배터리(35)의 전력을 이용해 탈출유도기(30)를 구동한다.
한편, 도 6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탈출유도기(30)에서의 제1감지기(34a)는 하우징(11)의 외부에, 제2감지기(34b)는 내부공간(11c)의 영역에 위치한다. 제1,2감지기(34a,34b)는 항상 동시에 동작하며 하우징(11) 내외부의 공기를 감지하고 감지 정보를 제어부로 실시간 전달한다.
도 7은 도 4에 도시한 탈출유도기(30)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8은 도 7의 탈출유도기가 적용된 공기조화장치(1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1)의 내부공간(11c)에 풍력발전부(39)가 더 설치되어 있다. 풍력발전부(39)는 지지브라켓(39b)에 의해 팬(19)의 상부에 설치되며, 팬(19)에 의해 상향 유동하는 공기의 운동에너지를 받아 전력을 생산한다.
풍력발전부(39)에서 생산된 전력은, 전력선(39a)을 통해 배터리(35)로 전달된다. 배터리(35)는 팬(19)이 동작되는 동안 전력을 공급받아 항상 만충전 상태로 유지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에 외기도입전달기(50)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외기도입전달기(50)는, 하우징(11) 외부의 공기를 흡기하고, 흡기된 공기를 제2감지기(34b)로 전달하여 보다 능동적 감지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1감지기(34a)에, 단지 접하고 있는 공기를 수동적으로 감지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하우징에서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공기를 당겨 감지를 수행하는 것이다.
하우징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공기를 샘플링 할 수 있는 것은, 팬(19)의 작동에 의해, 실내공간(100) 내부의 공기가 어차피 공기조화장치(10)로 모여들고, 외기도입전달기(50)는, 흡기구(13)를 향해 모여드는 공기의 일부를 취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팬(19)의 흡기력을 이용해 공기조화장치(10)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공기를 당겨 와 감지할 수 있으므로, 그만큼 화재 사실을 초기에 발견할 수 있다. 화염이 커지기 전, 즉, 정전(停電)되기 전에 경보를 발생하고 사람들을 대피시킨다면 인명사고를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외기도입전달기(50)는, 외기도입관(53), 외기포집팬(51), 배터리(52), 유도관(54), 디퓨져(54a)로 구성된다.
외기포집팬(51)은, 모터(51a)와 팬로터(51b)로 구성되며, 하우징(11)외부의 공기를 당겨 유도관(54)으로 올려 보내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역할을 할 수 있는 한 외기포집팬(51)의 구조나 펌핑용량은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외기도입관(53)은 벤투리형 튜브로서, 일단부는 팬로터(51b)의 케이싱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하우징(11) 외부로 개방된다. 따라서 모터(51a)에 의해 팬로터(51b)가 작동하면, 하우징(11) 외부의 공기가 외기도입관(53)으로 빨려 들어가 유도관(54)으로 넘어가게 된다.
배터리(52)는 충전형 배터리로서 풍력발전부(39)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된다. 풍력발전부(39)가 작동하는 한 배터리(52)는 항상 만충전 상태로 모터(51a)를 구동한다.
유도관(54)는 외기포집팬(51)에 의해 포집된 공기를 제2감지기(34b)로 유도하는 호스로서 상단부에 디퓨저(54a)를 갖는다. 디퓨져(54a)는 유도관(54)을 따라 상향 유동한 공기의 유속을 낮추며 확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공기의 유속이 낮아지며 확산되므로, 공기와 탈출유도기(30)의 충돌에 의한 소음이나 진동이 없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공기조화장치 11:하우징 11a:장착구
11b:고정탭 11c:내부공간 12:고정나사
13:흡기구 15:배기구 17:필터
19:팬 30:탈출유도기 31:케이스
31a:나사구멍 32:제어부 33a:온오프스위치
33b:점검스위치 34:화재감지부 34a:제1감지기
34b:제2감지기 35:배터리 36:빔출력부
36a:연장튜브 36b:광발생기 36c:방향조절캡
36d:걸림돌기 36e:방향지시구멍 36f:회전형써포터
36g:장착홈 36h:지지핀 36k:캡홀더
36m:끼움홈 36n:빔출구 37:스피커
38:조명수단 39:풍력발전부 39a:전력선
39b:지지브라켓 41:외부전원 41a:전력선
50:외기도입전달기 51:외기도입팬 51a:모터
51b:팬로터 52:배터리 53:외기도입관
54:유도관 54a:디퓨져 100:실내공간
101:출입구 103:유도화살표

Claims (9)

  1. 실내공간에 배치되며 흡기구 및 배기구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흡기구를 통해 외기를 흡기한 후 배기구로 내보내는 팬과;
    상기 팬에 의해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통과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며, 정전 시 동작하여, 출입구의 방향을 가이드 하는 빛을 조사하는 탈출유도기가 포함되고,
    상기 탈출유도기는;
    하우징에 결합 고정되는 케이스와,
    케이스에 내장되고 정전(停電)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과,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하여, 출입구의 방향을 가이드 하는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빔출력부를 구비하며,
    상기 탈출유도기에는;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부와,
    제어부에 의해 동작하며, 화재 발생 시 비상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가 더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탈출유도기를 설치하기 위한 장착구가 형성되어 있고,
    탈출유도기의 케이스는, 장착구에 장착된 상태로 일부는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 노출되고, 다른 일부는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화재감지부는;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어 하우징 외부의 공기를 감지하는 제1감지기와,
    하우징 내부로 노출되어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감지하는 제2감지기를 갖는,
    비상탈출 유도기능을 갖는 공기조화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출유도기에는,
    하우징의 외부로 빛을 밝히는 조명수단이 더 포함되는,
    비상탈출 유도기능을 갖는 공기조화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은, 케이스에 내장되는 충전형 배터리를 포함하는,
    비상탈출 유도기능을 갖는 공기조화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팬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의 운동에너지를 받아 작동하여 전력을 생산하고, 생산되는 전력을 배터리로 공급하는 풍력발전부가 설치된,
    비상탈출 유도기능을 갖는 공기조화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출력부는;
    탈출유도기의 케이스에 지지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연장단부를 통해 레이저 빔을 출력하는 연장튜브와,
    상기 연장단부에 장착된 상태로 방위 조절 가능하며, 연장튜브로부터 출력된 레이저 빔을 통과시키는 방향지시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방향조절캡를 구비하는,
    비상탈출 유도기능을 갖는 공기조화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하우징 외부의 공기를 흡기하는 외기포집팬과,
    외기포집팬에 의해 포집된 공기를 제2감지기로 유도하는 유도관이 더 설치된,
    비상탈출 유도기능을 갖는 공기조화장치.
KR1020210054978A 2021-04-28 2021-04-28 비상탈출 유도기능을 갖는 공기조화장치 KR102523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978A KR102523588B1 (ko) 2021-04-28 2021-04-28 비상탈출 유도기능을 갖는 공기조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978A KR102523588B1 (ko) 2021-04-28 2021-04-28 비상탈출 유도기능을 갖는 공기조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8361A KR20220148361A (ko) 2022-11-07
KR102523588B1 true KR102523588B1 (ko) 2023-05-09

Family

ID=84043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978A KR102523588B1 (ko) 2021-04-28 2021-04-28 비상탈출 유도기능을 갖는 공기조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35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8302B1 (ko) * 2022-12-22 2023-08-21 인천광역시 지능형 다목적 대피 유도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대피 유도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798B1 (ko) * 2010-09-07 2011-05-27 케이알텍 주식회사 고속철도 차량용 공기정화장치
KR101765210B1 (ko) * 2016-11-24 2017-08-04 김명식 회절 광학 소자와 나노 기술이 적용된 연무 감지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8454Y1 (ko) 2005-04-19 2005-06-29 주식회사 우주엘텍 화재경보 기능을 갖는 은폼 공기청정기
WO2008150098A2 (en) * 2007-06-04 2008-12-11 Young Ryong Kim Air conditioner having fire extinguishing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798B1 (ko) * 2010-09-07 2011-05-27 케이알텍 주식회사 고속철도 차량용 공기정화장치
KR101765210B1 (ko) * 2016-11-24 2017-08-04 김명식 회절 광학 소자와 나노 기술이 적용된 연무 감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8361A (ko) 202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85735B2 (ja) 空気清浄機
US6503141B2 (en) Carbon monoxide venting system
US7510470B2 (en) Safe rooms and other such spaces and air processing systems for such safe rooms and spaces
KR102243305B1 (ko) 가정용 에어 샤워기
KR102000707B1 (ko) 교실용 공기정화장치
KR102523588B1 (ko) 비상탈출 유도기능을 갖는 공기조화장치
CN102844624A (zh) 超级集成安全与空气净化系统
KR102100221B1 (ko) 천장형 공기청정기
WO2021237197A1 (en) Systems and apparatuses for improving air quality
CN109859434A (zh) 一种地铁车站通风排烟优化控制系统及方法
WO2022160834A1 (zh) 立式空调器室内机
KR101361449B1 (ko) 연기감지센서가 설치된 배기팬
JP4599906B2 (ja) 空気清浄機システム
JP2006010184A (ja) 空気清浄機及び空気清浄システム並びに建物構造
KR102031650B1 (ko) 전열교환기 무선 연동으로 오염표시 기능을 갖는 환기시스템
JP2009276059A (ja) 空気清浄機
JP2006105408A (ja) 空気清浄化システム
KR102147799B1 (ko) 천장 매립형 공기청정기
KR102478868B1 (ko) 정풍량 전동댐퍼 및 이를 구비하는 중앙집중식 고효율 정정압 환기 시스템
CN106016479A (zh) 一种地下室用空气净化装置
JP2001012777A (ja) 空気清浄機
JP2006250396A (ja) 空気清浄機能付喫煙室
JP4617739B2 (ja) 空気清浄機
KR102324886B1 (ko) 실내공간 화재 발생에 의한 유독가스 및 화재연기 배연 구조를 갖는 환기장치 및 제어방법
KR100657828B1 (ko) 환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