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2830B1 - 시험편과 일체화된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을 가진 인장시험용 고무 시험편 - Google Patents

시험편과 일체화된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을 가진 인장시험용 고무 시험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2830B1
KR102522830B1 KR1020210135736A KR20210135736A KR102522830B1 KR 102522830 B1 KR102522830 B1 KR 102522830B1 KR 1020210135736 A KR1020210135736 A KR 1020210135736A KR 20210135736 A KR20210135736 A KR 20210135736A KR 102522830 B1 KR102522830 B1 KR 102522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piece
protruding
scale
rubber
elong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5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수
우창수
Original Assignee
박용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수 filed Critical 박용수
Priority to KR1020210135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28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2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2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286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involving mechanical work, e.g. chopping, disintegrating, compacting, homogeni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01N3/06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or recording means
    • G01N3/062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or recording means with mechanical indicating or record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01N3/06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or recording means
    • G01N3/068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or recording means with optical indicating or record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16Tensile or compressive
    • G01N2203/0017Tensi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26Specifications of the specimen
    • G01N2203/0298Manufacturing or preparing specime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Length-Measur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Means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험편과 일체화된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을 가진 인장시험용 고무 시험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은 돌출선 또는 돌출점으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에 따른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을 가진 인장시험용 고무 시험편은 인장시험에서 고무 시험편이 크게 신장되어도 신장 측정용 눈금의 폭이 잘 늘어나지 않아 신장의 측정오차를 크게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시험편과 일체화된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을 가진 인장시험용 고무 시험편{RUBBER TEST PIECE FOR TENSILE TEST WITH PROTRUTION SCALE FOR ELONGATION MEASUREMENT INTEGRATED WITH THE TEST PIECE}
본 발명은 시험편과 일체화된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을 가진 인장시험용 고무 시험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황고무의 인장시험에서 고무 시험편을 크게 신장하여도 신장 측정용 눈금의 폭이 인장방향으로 잘 늘어나지 않는, 시험편과 일체화된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을 가진 인장시험용 고무 시험편에 관한 것이다.
가황고무의 인장시험은 가황고무 파단 시의 최대 응력, 파단 시의 신장율, 특정 신장율에서의 응력 등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국가표준(KS M 6518 가황고무 물리시험방법)에 시험편의 형상이나 치수 등이 규정되어 있다.
국가표준에 의하면 가황고무의 인장시험용 고무 시험편은 아령형과 고리형으로 나누어지며, 일반적으로 아령형 고무 시험편이 많이 사용된다.
아령형 고무 시험편에는 파단 시의 신장율이나 특정 신장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고무 시험편의 표면에 신장 측정용 눈금이 표시되어진다.
도 1, 도 2는 각각 종래기술에 의한 신장 측정용 눈금을 가진 아령형 고무 시험편의 정면 및 측면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아령형 고무 시험편은 인장시험기의 상·하 그립에 고정되는 한 쌍의 그립 고정부(10)와, 고무 시험편의 인장 시 신장이 일어나는 중앙의 평행부(20)로 이루어지고, 평행부(20)의 일면 상·하에 신장 측정용 눈금(30)이 인위적으로 표시된다.
또한, 국가표준에서는 평행부(20)의 너비(21), 길이(22), 두께(23) 및 신장 측정용 눈금 거리(31: 신장 측정용 눈금 사이의 거리)에 따라 아령형 시험편을 1호형, 2호형, 3호형으로 구분하고 있다.
아래 [표 1]은 국가표준에서 규정하고 있는 아령형 시험편의 주요 부분에 대한 치수를 나타내고 있다.
형별 주요 부분의 치수(mm)
평행 부분의 너비 평행 부분의 길이 평행부분의 두께 눈금거리
1호형 10 40 3 이하 40
2호형 10 20 3 이하 20
3호형 5 20 3 이하 20
일반적으로 아령형 고무 시험편의 신장 측정용 눈금은 고무 시험편의 바탕색과 명암 차이가 큰 색으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보강성 카본블랙이 배합되어 흑색을 나타내는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시험편에는 은백색 잉크 볼펜을 사용하여 신장 측정용 눈금을 선(線)으로 표시한다.
신장 측정용 눈금의 폭(선폭: 線幅)은 국가표준에서 규정하고 있지 않으며, 은백색 잉크 볼펜 등에 의해 표시되는 선(線)의 굵기에 따라 정해지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0.1~0.3mm의 눈금 폭(선폭: 線幅)을 가진다.
아령형 고무 시험편의 신장율은 신장 측정용 눈금 거리를 기준으로 고무 시험편의 늘어난 길이가 신장 측정용 눈금 거리의 몇 배인지를 퍼센티지로 나타낸 것으로, 아령형 시험편의 인장강도 및 신장율은 각각 아래의 [식 1], [식 2]에 의해 산정된다.
[식 1]
Figure 112021117098812-pat00001
여기에서
Tb : 인장강도(MPa)
Fb : 최대하중(N)
A : 시험편 단면적(㎟)
[식 2]
Figure 112021117098812-pat00002
여기에서
Eb : 신장률(%)
L0 ; 눈금 거리(mm)
L1 : 늘어난 눈금 사이 길이(mm)
고무 시험편의 인장시험은 신장을 측정하는 방식에 따라 접촉식과 비접촉식으로 나누어진다.
접촉식은 신장 측정용 눈금을 고무 시험편에 표시하지 않고, 고무 시험편의 신장 측정용 눈금에 해당하는 위치에 한 쌍의 집게 부재를 고정하여, 시험편이 신장할 때 이동하는 집게 부재 사이의 거리를 전기신호로 변환시켜 신장을 측정하는 방식이다.
비접촉식은 고무 시험편에 고무 시험편의 바탕색과 명암 차이가 큰 색으로 신장 측정용 눈금을 선(線)으로 표시한 후, 산업용 비젼 카메라(Vision Camera)등을 이용하여 신장 측정용 눈금 사이의 늘어난 길이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접촉식에 비해 기계적 구조가 덜 복잡하고 화상처리 및 영상 이해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보급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고무재료는 잘 늘어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아령형 고무 시험편을 인장시키면 고무 시험편의 평행부가 늘어나면서 도 4와 같이 신장 측정용 눈금의 폭(선폭: 線幅)도 인장방향으로 늘어남과 동시에 신장 측정용 눈금의 색이 옅어져 신장 측정용 눈금과 고무 시험편의 바탕색과의 명암 차이가 작아짐으로써, 비접촉식의 경우, 산업용 비젼 카메라 (Vision Camera)가 신장 측정용 눈금을 잘 인식하지 못해 고무 시험편의 신장 측정에 오류를 일으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신장률이 크거나 신장이 불규칙한 고무재료의 경우에 더 크게 부각된다,
한편, 고무 시험편의 압축 응력과 압축 변형률이 이축(biaxial) 인장시험으로 얻은 이축 응력과 이축 변형률로부터 구해질 수 있어, 이축 인장시험도 고무 부품의 하중-변형 특성을 예측하기 위해 많이 활용되고 있다.
도 5는 종래기술에 의한 신장 측정용 눈금을 가진 이축 인장시험용 고무 시험편의 형상을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6은 종래기술에 의한 신장 측정용 눈금을 가진 이축 인장시험용 고무 시험편이 그립에 체결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종래기술에 의한 신장 측정용 눈금을 가진 이축 인장시험용 고무 시험편은 시험편의 가장자리에 16개의 그립이 체결될 수 있도록 그립 고정부가 방사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고무 시험편의 상단에 고무 시험편의 바탕색과 명암 차이가 큰 색으로 신장 측정용 눈금이 볼펜 등에 의해 선(線)으로 표시되어지며, 산업용 비젼 카메라(Vision Camera)에 의해 상기 신장 측정용 눈금 사이의 늘어난 길이가 비접촉식으로 측정되고 있으나, 종래기술에 의한 신장 측정용 눈금을 가진 이축 인장시험용 고무 시험편 역시 신장과 함께 신장 측정용 눈금의 폭(선폭: 線幅)이 인장방향으로 늘어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57697호(2004. 11. 9.)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99886호(2005. 6. 28.)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26982호(2007. 6. 4.)
본 발명은 볼펜 등에 의해 선(線)으로 표시되어지는 신장 측정용 눈금을 가진 종래기술에 의한 인장시험용 고무 시험편이 안고 있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황고무의 인장시험에서 고무 시험편을 크게 신장하여도 신장 측정용 눈금의 폭이 인장방향으로 잘 늘어나지 않는 시험편 일체형의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을 가진 인장시험용 고무 시험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험편과 일체화된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을 가진 인장시험용 고무 시험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장시험용 고무의 가황단계에서부터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을 형성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장시험용 고무의 가황단계에서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을 형성시키도록 기능할 수 있는 돌출형상이 음각된 금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신장 측정용 눈금을 가지는 인장시험용 고무 시험편에 있어서, 신장 측정용 눈금이 고무 시험편과 일체화된 돌출눈금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을 가진 인장시험용 고무 시험편을 제공한다.
여기서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은 돌출선 또는 돌출점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여기서 돌출선은 폭 0.1~0.3mm, 길이 5~15mm, 높이 0.8~1.0mm의 크기로 이루어진다.
또한, 여기서 돌출점은 직경 1.0~1.5mm, 높이 1.5~2.0mm의 크기로 이루어진다.
또한, 여기서 인장시험용 고무 시험편은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이 일체화된 가황고무 시트로부터 채취된다.
또한, 본 발명은 미가황 배합고무 시트를 돌출선 또는 돌출점이 음각된 금형에 넣고 프레스가황하여 가황된 고무 시트에 돌출선 또는 돌출점을 일체화하는 단계; 상기 돌출선 또는 돌출점이 일체화된 가황고무 시트로부터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을 가진 인장시험용 고무 시험편을 프레스형 뜰칼로 채취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을 가진 인장시험용 고무 시험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미가황 배합고무 시트를 돌출선 또는 돌출점이 음각된 금형에 넣고 프레스가황하여 가황된 고무 시트에 돌출선 또는 돌출점을 일체화시키는 인장시험용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의 형성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장시험용 고무 시험편의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을 형성시키도록 기능할 수 있는 돌출형상이 음각된 금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을 가진 인장시험용 고무 시험편은 크게 신장되어도 신장 측정용 눈금의 폭이 인장방향으로 잘 늘어나지 않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을 가진 인장시험용 고무 시험편은 산업용 비젼 카메라(Vision Camera)를 이용하는 비접촉식 인장시험에서, 고무 시험편이 크게 신장되어도 신장 측정용 눈금의 폭이 인장방향으로 잘 늘어나지 않음으로써 신장 측정용 눈금과 고무 시험편의 바탕색과의 명암 차이가 발생하지 않아 신장의 측정오차를 크게 줄이는 효과를 가진다.
도 1, 도 2는 각각 종래기술에 의한 신장 측정용 눈금을 가진 아령형 인장시험용 고무 시험편의 정면 및 측면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의한 신장 측정용 눈금을 가진 아령형 인장시험용 고무 시험편이 신장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4는 종래기술에 의한 신장 측정용 눈금을 가진 아령형 인장시험용 고무 시험편이 크게 신장되었을 때의 신장 측정용 눈금의 폭(선폭: 線幅)이 인장방향으로 크게 늘어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종래기술에 의한 신장 측정용 눈금을 가진 이축 인장시험용 고무 시험편의 형상을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6은 종래기술에 의한 신장 측정용 눈금을 가진 이축 인장시험용 고무 시험편이 그립에 체결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 도 8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을 가진 아령형 인장시험용 고무 시험편의 정면 및 측면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9, 도 10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을 가진 아령형 인장시험용 고무 시험편의 정면 및 측면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1, 도 12는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을 가진 이축 인장시험용 고무 시험편의 정면 및 측면을 니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을 가진 아령형 인장시험용 고무 시험편이 신장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을 가진 아령형 인장시험용 고무 시험편이 크게 신장되었을 때에도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의 폭이 인장방향으로 별로 늘어나지 않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선이 일체화된 가황고무 시트의 모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선이 일체화된 가황고무 시트로부터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을 가진 인장시험용 고무 시험편을 채취하는 프레스형 뜰칼의 모식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돌출선이 일체화된 가황고무 시트로부터 도 16의 프레스형 뜰칼에 의해 다수매의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을 가진 인장시험용 고무 시험편이 채취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일반론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7, 도 8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을 가진 아령형 고무 시험편의 정면 및 측면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을 가진 아령형 고무 시험편은 고무 시험편에 일체화된 돌출선(41)을 신장 측정용 눈금으로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을 가진 아령형 고무 시험편의 돌출선(41)은 0.1~0.3mm의 폭(41a), 5~10mm의 길이(41b), 0.8~1.0mm의 높이(41c)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선(41)의 폭(41a)이 0.1mm보다 작으면 돌출선(41)을 시험편에 형성하기 어렵고, 0.3mm보다 크면 돌출선(41)이 인장시험의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선(41)의 길이(41b)는 국가표준에 의한 각 호별 아령형 고무 시험편의 평행부(20)의 너비(21)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아령형 1호 및 2호 고무 시험편은 각각 10mm, 아령형 3호 고무 시험편은 5mm로 설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선(41)의 높이(41c)는 돌출선(41)을 시험편에 형성하기 쉽고, 돌출선(41)이 인장시험의 결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의 값(0.8~1.0mm)으로 설정된다.
도 9, 도 10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을 가진 아령형 인장시험용 고무 시험편의 정면 및 측면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을 가진 아령형 고무 시험편은 고무 시험편에 일체화된 돌출점(42)을 신장 측정용 눈금으로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을 가진 아령형 고무 시험편의 돌출점(42)은 1.0~1.5mm의 직경(42a), 1.5~2.0mm의 높이(42b)를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돌출점(42)의 직경(42a)이 1.0mm보다 작으면 돌출점(42)을 시험편에 형성하기 어렵고, 1.5mm보다 크면 돌출점(42)이 인장시험의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돌출점(42)의 높이(42b)는 돌출점(42)을 시험편에 형성하기 쉽고, 돌출점(42)이 인장시험의 결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의 값(1.5~2.0mm)으로 설정된다.
도 11, 도 12는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을 가진 이축 인장시험용 고무 시험편의 정면 및 측면을 니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축 인장시험용 고무 시험편도 고무 시험편에 일체화된 돌출선(43)을 신장 측정용 눈금으로 가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을 가진 이축 인장시험용 고무 시험편의 돌출선(43)은 0.1~0.3mm의 폭(43a), 15~20mm의 길이(43b), 0.8~1.0mm의 높이(43c)를 가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돌출선(43)의 폭(43a)이 0.1mm보다 작으면 돌출선(43)을 시험편에 형성하기 어렵고, 0.3mm보다 크면 돌출선(43)이 인장시험의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돌출선(43)의 길이(43b)는 돌출선(43)을 시험편에 형성하기 쉽고, 돌출선(43)이 이축 인장시험의 결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의 값(15~20mm)으로 설정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돌출선(43)의 높이(43c)는 돌출선(43)을 시험편에 형성하기 쉽고, 돌출선(43)이 이축 인장시험의 결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범위의 값(0.8~1.0mm)으로 설정된다.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으로서 돌출선과 돌출점을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인장시험용 고무 시험편의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으로 기능할 수 있는 돌출형상이라면 어떤 것이든 이용가능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을 가진 아령형 인장시험용 고무 시험편이 신장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을 가진 아령형 인장시험용 고무 시험편이 크게 신장되었을 때에도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의 폭이 인장방향으로 별로 늘어나지 않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4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을 가진 아령형 인장시험용 고무 시험편은 시험편이 크게 신장되어도 인장방향으로 눈금의 폭이 별로 늘어나지 않아, 볼펜 등에 의해 선(線)으로 표시되어지는 도 4의 종래기술에 의한 신장 측정용 눈금이 인장방향으로 크게 늘어나는 것과 대조된다. 이러한 결과는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으로 돌출선을 가진 시험편이나 돌출점을 가진 시험편 간에 별 차이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을 가진 인장시험용 고무 시험편은 시험대상 고무의 미가황 배합고무 시트를 돌출선 또는 돌출점이 음각된 금형에 넣고 프레스가황하여, 가황된 고무 시트에 돌출선 또는 돌출점을 일체화하는 단계; 상기 돌출선 또는 돌출점이 일체화된 가황고무 시트로부터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을 가진 인장시험용 고무 시험편을 프레스형 뜰칼로 채취하는 단계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선이 일체화된 가황고무 시트의 모식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선이 일체화된 가황고무 시트로부터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을 가진 인장시험용 고무 시험편을 채취하는 프레스형 뜰칼의 모식도이며, 도 17은 도 15의 돌출선이 일체화된 가황고무 시트로부터 도 16의 프레스형 뜰칼에 의해 다수매의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을 가진 인장시험용 고무 시험편이 채취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을 가진 인장시험용 고무 시험편은 인장시험에 제공되기 전에 돌출눈금의 상면(上面)이 시험편의 바탕색과 명암 차이가 큰 색으로 도포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을 첨언해둔다.
10 : 그립 고정부
20 : 평행부
21 : 너비 22 : 길이 23 : 두께
30 : 신장 측정용 눈금
31 : 신장 측정용 눈금 거리
40 :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
41 : 돌출선
41a : 폭 41b : 길이 41c : 높이
42 : 돌출점
42a : 직경 42b : 높이
43 : 돌출선
43a : 폭 43b : 길이 43c : 높이

Claims (8)

  1. 신장 측정용 눈금을 가지는 인장시험용 고무 시험편에 있어서,
    고무 시험편을 크게 신장하여도 신장 측정용 눈금의 폭이 인장방향으로 잘 늘어나지 않도록 고무 시험편에 신장 측정용 눈금을 돌출눈금의 형태로 일체화시킨,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을 가진 인장시험용 고무 시험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이 돌출선 또는 돌출점으로 이루어지는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을 가진 인장시험용 고무 시험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선이 폭 0.1~0.3mm, 길이 5~15mm, 높이 0.8~1.0mm인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을 가진 인장시험용 고무 시험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점이 직경 1.0~1.5mm, 높이 1.5~2.0mm인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을 가진 인장시험용 고무 시험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시험용 고무 시험편이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이 일체화된 가황고무 시트로부터 채취된 것인,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을 가진 인장시험용 고무 시험편.
  6. 제1항의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을 가진 인장시험용 고무 시험편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고무 인장시험방법.
  7. 삭제
  8. 삭제
KR1020210135736A 2021-10-13 2021-10-13 시험편과 일체화된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을 가진 인장시험용 고무 시험편 KR102522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5736A KR102522830B1 (ko) 2021-10-13 2021-10-13 시험편과 일체화된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을 가진 인장시험용 고무 시험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5736A KR102522830B1 (ko) 2021-10-13 2021-10-13 시험편과 일체화된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을 가진 인장시험용 고무 시험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2830B1 true KR102522830B1 (ko) 2023-04-17

Family

ID=86128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5736A KR102522830B1 (ko) 2021-10-13 2021-10-13 시험편과 일체화된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을 가진 인장시험용 고무 시험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283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537A (ja) * 1983-06-20 1985-01-09 Sumitomo Chem Co Ltd ゴム・プラスチック用引張試験機
JP2002214097A (ja) * 2001-01-17 2002-07-31 Sumitomo Chem Co Ltd ゴム・プラスチックの引張試験方法
KR100457697B1 (ko) 2003-12-10 2004-11-20 한국기계연구원 고무시편 및 그 체결용 지그
KR100499886B1 (ko) 2002-11-06 2005-07-05 한국기계연구원 고무시편용 이축 인장시험기
KR100726982B1 (ko) 2005-03-08 2007-06-14 대경테크 주식회사 인장시험기용 신장계 측정장치
KR20080015132A (ko) * 2008-01-07 2008-02-18 오충원 치과용 인상재 평가 방법 및 이를 위한 표준화된시편제작용 몰드
JP2010014641A (ja) * 2008-07-07 2010-01-21 Bridgestone Corp ゴムの引張試験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試験片
JP2019164047A (ja) * 2018-03-20 2019-09-2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ム性能評価方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537A (ja) * 1983-06-20 1985-01-09 Sumitomo Chem Co Ltd ゴム・プラスチック用引張試験機
JP2002214097A (ja) * 2001-01-17 2002-07-31 Sumitomo Chem Co Ltd ゴム・プラスチックの引張試験方法
KR100499886B1 (ko) 2002-11-06 2005-07-05 한국기계연구원 고무시편용 이축 인장시험기
KR100457697B1 (ko) 2003-12-10 2004-11-20 한국기계연구원 고무시편 및 그 체결용 지그
KR100726982B1 (ko) 2005-03-08 2007-06-14 대경테크 주식회사 인장시험기용 신장계 측정장치
KR20080015132A (ko) * 2008-01-07 2008-02-18 오충원 치과용 인상재 평가 방법 및 이를 위한 표준화된시편제작용 몰드
JP2010014641A (ja) * 2008-07-07 2010-01-21 Bridgestone Corp ゴムの引張試験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試験片
JP2019164047A (ja) * 2018-03-20 2019-09-2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ム性能評価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araba-Abbes et al. A new ‘Tailor-made’methodology for the mechanical behaviour analysis of rubber-like materials: II. Application to the hyperelastic behaviour characterization of a carbon-black filled natural rubber vulcanizate
CN106706422B (zh) 路面材料拉伸、压缩、劈裂回弹模量同步测试方法及装置
CN107655756B (zh) 一种基于散斑打印的纸弹性模量测试方法
RU2539095C1 (ru) Неразрушающее исследование гибких композитных изделий
JP6669290B1 (ja) 応力−ひずみ関係推定方法
CN113466045A (zh) 一种预测镁合金构件疲劳极限的方法
KR102522830B1 (ko) 시험편과 일체화된 신장 측정용 돌출눈금을 가진 인장시험용 고무 시험편
CN101692028A (zh) 金属板料大变形流动应力曲线的测定方法
Javorik et al. The specimen optimization for the equibiaxial test of elastomers
ALEKSANDROVIû et al. Variation of normal anisotropy ratio “r” during plastic forming [J]
CN101984333B (zh) 载重车辆翻新轮胎胎体剩余寿命预报方法
Benevides et al. Mechanical behavior of the alumina-filled silicone rubber under pure shear at finite strain
CN107815031A (zh) 一种含有溴化丁基橡胶天然橡胶的气密层的配方工艺
CN105180886B (zh) 一种测量冷轧薄钢板应变分布的方法
CN109870355A (zh) 金属板试样单轴拉伸断后伸长率自动测量方法
CN201800034U (zh) 板材试样标距刻划器
Mott et al. Strains in an inflated rubber sheet
CN106885500A (zh) 一种基于卡具的钢卷尺测量装置及测量方法
CN109870354B (zh) 金属圆棒试样单轴拉伸断后伸长率自动测量方法
CL2023001802A1 (es) Proceso para obtener pintura desde nanomateriales de carbono, productos y uso en el monitoreo de (...)
JP2006192443A (ja) 角筒絞り加工方法
CN113790977B (zh) 金属板材极限弯曲断裂应变测量方法
Maláč Initial tensile behaviour of elastomers
CN105136572B (zh) 一种蛋壳材料参数无损测试装置的测试方法
CN110146378B (zh) 一种水泥基材料单轴拉伸测定装置及测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