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1880B1 - 분기배관 - Google Patents
분기배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21880B1 KR102521880B1 KR1020220070506A KR20220070506A KR102521880B1 KR 102521880 B1 KR102521880 B1 KR 102521880B1 KR 1020220070506 A KR1020220070506 A KR 1020220070506A KR 20220070506 A KR20220070506 A KR 20220070506A KR 102521880 B1 KR102521880 B1 KR 1025218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discharge passage
- cap
- branch pipe
- couple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1018 Cast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69 thermo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16 thermosoftening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4—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in which sealing rings are compressed by axially-movable members
- F16L21/045—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in which sealing rings are compressed by axially-movable members the members passing through the sealing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공급유로가 형성되는 몸체와, 몸체의 반경방향 일측에 결합되어 배출유로를 형성하는 배출유로 형성부와, 몸체의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에 결합되고, 삽입되는 배관과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분기배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주 배관과 노즐 또는 분기관을 연결하는 분기배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변계 온도 변화에 의해 배관이 수축 또는 팽창하여도 배관들을 안정적으로 체결 가능한 분기배관에 관한 것이다.
상수도, 농업용수 공급 등 용수의 공급을 위한 관로로서 종래에는 강관이나 주철관이 많이 이용되어왔으나, 강관 및 주철관의 경우 오래 사용할 경우 내벽에 스케일이 심하게 발생되어, 관경이 좁아지고 스케일이 떨어져 나와 수돗물에 섞여 나오는 등의 오염문제가 있기 때문에, 최근 폴리에틸렌 재질의 PE관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PE관이란 석유화학 원료인 나프타(Naphtha)에서 추출한 열가소성 플라스틱인 폴리에틸렌(Polyethylene)으로 가공한 합성수지관으로, 특히 고밀도폴리에틸렌(HDPE)을 원재료로 생산되는 파이프를 줄여서 PE관이라 한다.
합성수지관 중에서 흔히 알고 있는 PVC관(경질폴리염화비닐관)의 경우, 경도는 좋지만 깨어지는 성질을 지니고 있는반면 PE관은 연성관이기 때문에 깨어지지 않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PE관은, 평균수명이 50년 이상이며(타 관종은 15년 ~30년), 가벼운 무게, 취급용이성, 친환경성, 내화학성, 내염분성, 높은 통수능력, 낮은 유지보수비용, 내마모성, 내 부식성, 높은 가격경쟁력 등으로 인하여 그 사용이 점차 늘고 있다. PE관은 상수도용, 공업용, 농업용 등으로 펌프를 가압해 물을 이송하는 데는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특히, 도서지역이나, 해안가에선 염분에 강해 PE관을 매우 선호하게 된다.
그러나 PE관은 위와 같은 수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온도변화로 인한 열팽창 및 수축이 많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PE관의 팽창 및 수축에 의해 배관 연결부에서 누수 및 결합 이탈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동절기 도로 결빙을 막기 위하여 도로변에 설치하는 염수 분사용 배관이나, 농지나 비닐하우스 등에 농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농업용 관로 등은 위에서 설명한 다양한 장점들 때문에 PE관을 주로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염수분사용 배관이나 농업용 관로 등은 대부분 외부로 노출 설치하기 때문에, 하절기와 동절기에 관이 보다 큰 수축과 팽창을 하게되고, 이러한 큰 수축과 팽창 과정에서 염수분사용 배관 또는 농업용 관과 노즐을 연결하는 분기배관의 결합이 해제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분기배관을 빈번히 교체하여야 했던 것이다.
따라서, 가변되는 주변계 온도에 대응하여 PE관의 수축과 팽창을 반복해도 결합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분기배관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관이 수축/팽창 하는 과정에서 결합이 느슨해지거나 배관이 이탈하는 문제를 최소화 가능한 분기배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분기배관은,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공급유로가 형성되는 몸체(100); 상기 몸체(100)의 반경방향 일측에 결합되어 배출유로를 형성하는 배출유로 형성부(200); 및 상기 몸체(100)의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에 결합되고, 삽입되는 배관과 체결되는 체결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부(300)는 상기 공급유로로 삽입되는 배관과 상기 몸체(100) 사이의 공간을 실링하는 실링수단(310); 상기 실링수단(310)을 압박해 설계된 위치에 정렬하는 정렬수단(320); 테이퍼 형상을 가지고, 반경방향 일측에 개방구(331)가 형성되어 외부에서 힘이 인가되면 직경이 가변되며 배관을 압박하는 조임수단(330); 상기 몸체(100)에 결합되고, 결합 과정에서 상기 체결수단(330)을 압박하는 캡(3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링수단(310)은 서로 밀착되는 두 개의 실링부재(311)가 모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100)는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실링수단(310)과 정렬수단(320)이 끼워지는 단차홈(110); 상기 정렬수단(320)은 상기 단차홈(110)에 끼워지는 정렬몸체(321)와, 정렬몸체(321) 외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몸체(100)의 단부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걸림립(3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100)의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 외면에 제1 나사산(120)이 형성되고, 상기 캡(340) 내면에 상기 제1 나사산(120)에 대응되는 제2 나사산(34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100)는 상기 제1 나사산(120)이 시작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 립(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100)의 반경방향 타측에 결합되는 배관 고정수단(4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관 고정수단(400)은 상기 몸체(100)에 결합되고, 중앙에 개방홈(411)이 형성되는 사각기둥 형상의 고정수단 몸체(410); 상기 고정수단 몸체(410)의 절곡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볼트결합부(420); 상기 볼트결합부(420)에 천공되는 볼트결합공(430);을 포함하고, 상기 볼트결합부(420)의 두께(T1)는 상기 고정수단 몸체(410)의 평균 두께(T2)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100)는 외면에 원주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몸체 보강립(10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유로 형성부(200)는 상기 몸체(100)에 결합되는 배출유로 형성 몸체(210); 상기 배출유로 형성 몸체(210) 단부에 형성되는 배출관 결합부(220); 상기 배출유로 형성 몸체(210)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배출유로 보강립(2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출유로 형성 몸체(210)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개의 배출유로 보강립(230) 중 상기 몸체 보강립(101)과 어긋난 각도로 배치된 배출유로 보강립(230)은 몸체 보강립(101)과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340)은 배관 삽입공이 형성되는 캡 몸체(342); 상기 캡 몸체(342)의 외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캡 보강 립(3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 몸체(342)는 상기 몸체(100)가 위치되는 내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길어지는 테이퍼 구조의 외측 몸체(342-1); 일정한 직경을 가지고 상기 몸체(100)와 결합되는 내측 몸체(342-2); 상기 외측 몸체(342-1)와 상기 내측 몸체(342-2)를 연결하고 외측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연결몸체(34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 보강 립(343)은 상기 외측 몸체(342-1) 상에 형성되는 제1 캡 보강립(343-1)과, 상기 내측 몸체(342-2) 상에 형성되는 제2 캡 보강립(343-2)과, 상기 연결몸체(342-3) 상에 형성되는 제3 캡 보강립(343-3);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캡 보강립(343-2)의 높이가 캡 보강립(343)의 평균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100)의 길이는 몸체 내부에 형성된 공급유로 직경의 4.5배 내지 7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100)의 길이는 상기 배출유로 형성부(200) 직경의 6배 내지 9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공급유로가 형성되는 몸체(100); 상기 몸체(100)의 반경방향 일측에 결합되어 배출유로를 형성하는 배출유로 형성부(200); 및 상기 몸체(100)의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에 결합되고, 삽입되는 배관과 체결되는 체결부(300); 상기 몸체(100)의 반경방향 타측에 결합되는 배관 고정수단(400);을 포함하고, 상기 배관 고정수단(400)은 상기 몸체(100)에 결합되고, 중앙에 개방홈(411)이 형성되는 사각기둥 형상의 고정수단 몸체(410); 상기 고정수단 몸체(410)의 절곡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볼트결합부(420); 상기 볼트결합부(420)에 천공되는 볼트결합공(430);을 포함하고, 상기 볼트결합부(420)의 두께(T1)는 상기 고정수단 몸체(410)의 평균 두께(T2)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공급유로가 형성되는 몸체(100); 상기 몸체(100)의 반경방향 일측에 결합되어 배출유로를 형성하는 배출유로 형성부(200); 및 상기 몸체(100)의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에 결합되고, 삽입되는 배관과 체결되는 체결부(300); 상기 몸체(100)의 반경방향 타측에 결합되는 배관 고정수단(400);을 포함하고, 상기 배관 고정수단(400)은 상기 몸체(100)에 결합되고, 중앙에 개방홈(411)이 형성되는 사각기둥 형상의 고정수단 몸체(410); 상기 고정수단 몸체(410)의 절곡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볼트결합부(420); 상기 볼트결합부(420)에 천공되는 볼트결합공(430);을 포함하고, 상기 볼트결합부(420)의 두께(T1)는 상기 고정수단 몸체(410)의 평균 두께(T2)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분기배관은 몸체 길이가 길게 형성되므로, 배관이 수축 하여도 배관과의 결합이 쉽게 해제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실링수단이 두 개 이상의 실링부재가 모여 이루어지므로, 한층 높은 실링능력을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보강립을 통해 힘이 집중되는 부위를 보강하였으므로, 한층 높은 내구성을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일정한 위치에 고정 가능한 구조를 가지므로 결합된 배관이 수축/팽창 시에도 설계된 위치에서 이탈하지 않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분기배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분기배관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분기배관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분기배관의 체결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분기배관의 조임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분기배관의 캡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분기배관의 배출유로 형성부를 나타낸 평면도 및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인 분기배관의 배관 고정수단을 나타낸 저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분기배관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분기배관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분기배관의 체결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분기배관의 조임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분기배관의 캡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분기배관의 배출유로 형성부를 나타낸 평면도 및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인 분기배관의 배관 고정수단을 나타낸 저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기배관(1000)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분기배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분기배관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분기배관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분기배관의 체결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분기배관의 조임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인 분기배관의 캡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분기배관의 배출유로 형성부를 나타낸 평면도 및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인 분기배관의 배관 고정수단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분기배관(1000)은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공급유로가 형성되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반경방향 일측에 결합되어 배출유로를 형성하는 배출유로 형성부(200)와, 상기 몸체(100)의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에 결합되고, 삽입되는 배관과 체결되는 한 쌍의 체결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몸체(100)에 유체 공급을 위한 배관이 삽입되면, 상기 체결부(300)가 삽입된 배관을 압박하여 체결하고, 체결된 배관에서 공급되는 유체는 상기 배출유로 형성부(200)에 결합된 배관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몸체(100)는 체결된 배관이 빠지지 않는 충분한 길이를 가지는 것을 권장하고, 일 실시예로는 적합한 길이는 몸체(100) 내부에 형성된 공급유로 직경의 4.5배 내지 7배이거나, 배출유로 형성부(200) 직경의 6배 내지 9배일 수 있다.
상기 체결부(300)는 상기 공급유로로 삽입되는 배관과 상기 몸체(100) 사이의 공간을 실링하는 실링수단(310)과, 상기 실링수단(310)을 압박해 설계된 위치에 정렬하는 정렬수단(320)과, 테이퍼 형상을 가지고, 반경방향 일측에 개방구(331)가 형성되어 외부에서 힘이 인가되면 직경이 가변되며 배관을 압박하는 조임수단(330)과, 상기 몸체(100)에 결합되고, 결합 과정에서 상기 체결수단(330)을 압박하는 캡(3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캡(340)과 몸체(100)의 결합이 약해질수록 조임수단(330)의 직경이 길어지고, 캡(340)과 몸체(100)의 결합이 강하게 이루어질수록 조임수단(330)의 직경이 작아지므로, 캡(340)과 몸체(100)의 결합을 약하게한 상태에서 배관을 삽입후 캡(340)과 몸체(100)의 결합을 강하게 하면 배관이 체결수단(330)에 의해 압박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캡(340)과 몸체(100) 결합 과정에서 조임수단(330)이 배관을 압박하기 위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 외면에 제1 나사산(120)이 형성되고, 캡(340) 내면에 제1 나사산(120)에 대응되는 제2 나사산(341)이 형성되어 캡(340)과 몸체(100)가 서로 나사결합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조임수단(3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방향 일측에 개방구(331)가 형성되어 외부에서 인가되는 힘에 대응하여 직경이 좁아질 수 있는 구조를 가져야 한다.
다시한번 설명하면, 상기 캡(340)에 천공된 캡 천공홀(344)의 경우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가지므로, 상기 조임수단(330)이 캡 천공홀(344)에 끼워진 상태에서 몸체(100)와 캡(340)이 나사결합되면, 캡(340)이 조임수단(330)을 압박하는 힘에 의해 조임수단(330)의 직경이 줄어들며 배관을 압박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삽입된 배관과 상기 몸체(100) 내면 사이에 틈이 발생 시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유체가 설계된 유로를 통해 이동하지 못하고 틈으로 누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몸체(100)의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 내면에 단차홈(110)을 형성하고, 단차홈(110)에 실링수단(310)을 위치시켜, 유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실링수단(310)은 정렬수단(320)에 의해 압박되어 설계된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정렬수단(320)은 상기 단차홈(110)에 끼워지는 정렬몸체(321)와, 정렬몸체(321) 외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몸체(110)의 단부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걸림립(322)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캡(340)이 몸체(100)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조임수단(330)이 걸림립(322)을 밀면, 걸림립(322)이 실링수단(310)을 압박 고정하게된다.
아울러, 상기 실링수단(31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밀착 배치되는 두 개의 실링부재(311)가 모여 이루어질 수 있고, 이렇게 두 개의 실링부재(311)를 사용할 경우 보다 높은 실링능력을 가질 수 있어 체결된 배관이 수축하더라도 몸체(100)와 체결된 배관 사이의 틈을 안정적으로 실링 가능함은 물론이다.
실링부재(311)는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을 권장하고, 링형상을 가지는 것을 권장하나, 이 외에도 다양한 재질과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는 두 개의 실링부재(311)가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두 개의 실링부재(311)를 사용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실링부재의 뒤틀림 문제를 최소화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두 개의 실링부재(311)가 중앙부만 밀착되고 하측과 상측부분은 서로 이격배치되도록, 평평한 형상을 가지는 실링부재(311)의 내측면 상측과 하측모서리는 모따기 되는 것이 권장된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캡(340)은 배관 삽입공이 형성되는 캡 몸체(342)와, 상기 캡 몸체(342)의 외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캡 보강 립(343)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캡 보강 립(343)은 캡 몸체(342)의 원주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캡 몸체(342)의 경우 내측에 위치된 조임수단을(330)을 통해 몸체(100)로 삽입된 배관을 압박해야 하는 부위로, 배관이 팽창될 때에도 파손되지 않고 견딜 수 있어야 하므로 외면에 둘레방향으로 목수개의 캡 보강 립(343)을 형성하여 높은 내구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복수개의 캡 보강 립(343)을 원주방향으로 이격 형성하여, 캡(340)을 회전시켜 몸체(100)와 나사결합하는데 사용되는 공구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캡(340)을 회전시키는데 사용되는 체결공구는 캡 보강 립(343) 사이에 형성된 틈에 끼워지는 2개의 끼움립이 캡 몸체(342)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 배치된 렌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러한 립의 개수는 보다 많을 수 있으므로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캡 몸체(342)는 상기 몸체(100)가 위치되는 내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길어지는 테이퍼 구조의 외측 몸체(342-1)와, 일정한 직경을 가지고 상기 몸체(100)와 결합되는 내측 몸체(342-2)와, 상기 외측 몸체(342-1)와 상기 내측 몸체(342-2)를 연결하고 외측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연결몸체(34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캡 몸체(342)의 외측이 평평한 구조를 가질 경우 체결공구를 캡 보강 립(343) 사이에 끼워넣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므로, 캡 몸체(342)의 외경이 외측 몸체(342-1), 연결몸체(342-3), 내측 몸체(342-2)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확장되게 형성하여, 체결공구의 끼움립이 캡 보강 립(343) 사이에 형성된 틈에 쉽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캡 보강 립(343)은 상기 외측 몸체(342-1) 상에 형성되는 제1 캡 보강립(343-1)과, 상기 내측 몸체(342-2) 상에 형성되는 제2 캡 보강립(343-2)과, 상기 연결몸체(342-3) 상에 형성되는 제3 캡 보강립(343-3)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캡 보강립(343-2)의 높이가 캡 보강립(343)의 평균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권장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 캡 보강립(343-1)과 상기 제3 캡 보강립(343-3)의 경우 체결공구의 끼움립이 삽입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낮은 높이를 형성하여도 충분하지만, 상기 제2 캡 보강립(343-2)의 경우 체결공구 끼움립에서 인가되는 힘을 전달받는 부위이므로, 제2 캡 보강립(343-2)을 높이를 제1 캡 보강립(343-1) 및 제3 캡 보강립(343-3)보다 높게 형성하여 회전력 전달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몸체(100)는 외면에 원주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몸체 보강립(101)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몸체(100)가 충분한 내구성을 가지지 못한다면 동절기에 주변계 온도가 올라가며 몸체(100)에 체결된 배관이 팽창하는 힘에의해 파괴될 수 있으므로, 몸체(100) 외주면에 보강립(101)을 형성하여 충분한 내구성을 가질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배출유로 형성부(200)는 상기 몸체(100)에 결합되는 배출유로 형성 몸체(210)와, 상기 배출유로 형성 몸체(210) 단부에 형성되는 배출관 결합부(220)와, 상기 배출유로 형성 몸체(210)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배출유로 보강립(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몸체(100)에 체결된 배관이 수축/팽창 하는 과정에서 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힘이 인가될 경우, 배출유로 형성부(200)가 몸체(100)와 수직방향으로 결합된 관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몸체(100)와 배출유로 형성부(200)의 결합부에 힘이 집중되고, 이러한 힘의 집중은 결합부 파손을 유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유로 형성 몸체(210) 가장자리에 몸체(100)와의 결합을 공고히 하기 위한 배출유로 보강립(230)을 형성하여, 결합된 배관이 수축 또는 팽창하며 몸체(100)와 배출유로 형성부(200) 결합부에 힘이 인가되더라도 파손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 준 것이다.
이때, 상기 배출유로 보강립(230)은 상기 배출유로 형성 몸체(210)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고,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배출유로 보강립(230) 중 상기 몸체 보강립(101)과 어긋난 각도로 배치된 배출유로 보강립(230)은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 보강립(101)과 교차 배치되어 길이방향으로 인가되는 힘에 대해 보다 높은 내구성을 가지도록 하는 것을 권장한다.
도 2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분기배관(1000)은 상기 몸체(100) 반경방향 타측에 형성되는 배관 고정수단(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몸체(100)에 결합된 배관이 수축 팽창 과정에서 길이가 가변될 경우 본 발명인 분기배관(1000)이 움직이는 문제가 발생하고, 이러한 분기배관(1000)의 움직임은 상기 몸체(100)와 배출유로 형성부(200)의 결합부 파손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체결부(300)를 통한 몸체(100)와 배관의 결합을 약하게 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몸체(100)가 상기 배관 고정수단(400)을 통해 분기배관(1000)이 수용되는 함에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배관 고정수단(400)은 상기 몸체(100)에 결합되고, 중앙에 개방홈(411)이 형성되는 사각기둥 형상의 고정수단 몸체(410)와, 상기 고정수단 몸체(410)의 절곡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볼트결합부(420)와, 상기 볼트결합부(420)에 천공되는 볼트결합공(43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볼트결합부(420)의 두께(T1)는 상기 고정수단 몸체(410)의 평균 두께(T2)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외력에 대한 높은 내구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권장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몸체 101 : 몸체 보강립
110 : 단차홈 120 : 제1 나사산
130 : 스토퍼 립
200 : 배출유로 형성부 210 : 배출유로 형성 몸체
220 : 배출관 결합부 230 : 배출유로 보강립
300 : 체결부 310 : 실링수단
311 : 실링부재 320 : 정렬수단
321 : 정렬몸체 322 : 걸림립
330 : 조임수단 331 : 개방구
340 : 캡 341 : 제2 나사산
342 : 캡 몸체 342-1 : 외측 몸체
342-2 : 내측 몸체 342-3 : 연결몸체
343 : 캡 보강 립 343-1 : 제1 캡 보강립
343-2 : 제2 캡 보강립 343-3 : 제3 캡 보강립
400 : 배관 고정수단 410 : 고정수단 몸체
411 : 개방홈 420 : 볼트결합부
430 : 볼트결합공
110 : 단차홈 120 : 제1 나사산
130 : 스토퍼 립
200 : 배출유로 형성부 210 : 배출유로 형성 몸체
220 : 배출관 결합부 230 : 배출유로 보강립
300 : 체결부 310 : 실링수단
311 : 실링부재 320 : 정렬수단
321 : 정렬몸체 322 : 걸림립
330 : 조임수단 331 : 개방구
340 : 캡 341 : 제2 나사산
342 : 캡 몸체 342-1 : 외측 몸체
342-2 : 내측 몸체 342-3 : 연결몸체
343 : 캡 보강 립 343-1 : 제1 캡 보강립
343-2 : 제2 캡 보강립 343-3 : 제3 캡 보강립
400 : 배관 고정수단 410 : 고정수단 몸체
411 : 개방홈 420 : 볼트결합부
430 : 볼트결합공
Claims (12)
-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공급유로가 형성되는 몸체(100);
상기 몸체(100)의 반경방향 일측에 결합되어 배출유로를 형성하는 배출유로 형성부(200);
상기 몸체(100)의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에 결합되고, 삽입되는 배관과 체결되는 체결부(300); 및
상기 몸체(100)의 반경방향 타측에 결합되는 배관 고정수단(400);을 포함하고,
상기 배관 고정수단(400)은 상기 몸체(100)에 결합되고, 중앙에 개방홈(411)이 형성되는 사각기둥 형상의 고정수단 몸체(410);
상기 고정수단 몸체(410)의 절곡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볼트결합부(420);
상기 볼트결합부(420)에 천공되는 볼트결합공(430);을 포함하고,
상기 볼트결합부(420)의 두께(T1)는 상기 고정수단 몸체(410)의 평균 두께(T2)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배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300)는 상기 공급유로로 삽입되는 배관과 상기 몸체(100) 사이의 공간을 실링하는 실링수단(310);
상기 실링수단(310)을 압박해 설계된 위치에 정렬하는 정렬수단(320);
테이퍼 형상을 가지고, 반경방향 일측에 개방구(331)가 형성되어 외부에서 힘이 인가되면 직경이 가변되며 배관을 압박하는 조임수단(330);
상기 몸체(100)에 결합되고, 결합 과정에서 상기 조임수단(330)을 압박하는 캡(340);을 포함하는, 분기배관.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수단(310)은 서로 밀착되는 두 개의 실링부재(311)가 모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배관.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실링수단(310)과 정렬수단(320)이 끼워지는 단차홈(110);
상기 정렬수단(320)은 상기 단차홈(110)에 끼워지는 정렬몸체(321)와, 정렬몸체(321) 외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몸체(100)의 단부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걸림립(322);을 포함하는, 분기배관.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 외면에 제1 나사산(120)이 형성되고, 상기 캡(340) 내면에 상기 제1 나사산(120)에 대응되는 제2 나사산(34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배관.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상기 제1 나사산(120)이 시작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 립(130);을 포함하는, 분기배관.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외면에 원주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몸체 보강립(101);을 포함하는, 분기배관.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로 형성부(200)는 상기 몸체(100)에 결합되는 배출유로 형성 몸체(210);
상기 배출유로 형성 몸체(210) 단부에 형성되는 배출관 결합부(220);
상기 배출유로 형성 몸체(210)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배출유로 보강립(230);을 포함하는, 분기배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길이는 몸체 내부에 형성된 공급유로 직경의 4.5배 내지 7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배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길이는 상기 배출유로 형성부(200) 직경의 6배 내지 9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배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70506A KR102521880B1 (ko) | 2022-06-10 | 2022-06-10 | 분기배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70506A KR102521880B1 (ko) | 2022-06-10 | 2022-06-10 | 분기배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21880B1 true KR102521880B1 (ko) | 2023-04-14 |
Family
ID=85946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70506A KR102521880B1 (ko) | 2022-06-10 | 2022-06-10 | 분기배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21880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01504A (ko) | 2005-06-29 | 2007-01-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연결 배관 및 이를 포함하는 배기 장치 |
KR20100000114U (ko) * | 2008-06-26 | 2010-01-06 | (주)장안엔지니어링 | 배관 연결구 |
KR20100134425A (ko) | 2009-06-15 | 2010-12-23 | 이윤철 | 배관 분기용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기 배관 연결방법 |
JP2013542378A (ja) * | 2011-09-02 | 2013-11-21 | ウォーター−テイ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 ワンタッチ式配管連結装置 |
KR102143892B1 (ko) * | 2020-04-02 | 2020-08-12 | 이상복 | T형 분기연결관 |
-
2022
- 2022-06-10 KR KR1020220070506A patent/KR10252188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01504A (ko) | 2005-06-29 | 2007-01-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연결 배관 및 이를 포함하는 배기 장치 |
KR20100000114U (ko) * | 2008-06-26 | 2010-01-06 | (주)장안엔지니어링 | 배관 연결구 |
KR20100134425A (ko) | 2009-06-15 | 2010-12-23 | 이윤철 | 배관 분기용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기 배관 연결방법 |
JP2013542378A (ja) * | 2011-09-02 | 2013-11-21 | ウォーター−テイ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 ワンタッチ式配管連結装置 |
KR102143892B1 (ko) * | 2020-04-02 | 2020-08-12 | 이상복 | T형 분기연결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988695A (en) | Pipe gasket with embedded ring | |
AU594903B2 (en) | Joint secured against sliding | |
US3633947A (en) | Coupling | |
US6592153B1 (en) | High temperature end fitting | |
US20060267343A1 (en) | Pipe coupling | |
IE862251L (en) | Plastic pipe¹¹smooth inner wall | |
IL153222A (en) | Internal gasket for pipe connector | |
US2670976A (en) | Flexible joint and sealing element therefor | |
MXPA01008902A (es) | Empaque de baja fuerza de insercion de doble proposito. | |
KR102521880B1 (ko) | 분기배관 | |
EP0796407A1 (en) | Pipe assembly | |
KR19980025273A (ko) | 피이 폴리에틸렌 새들 편수관 | |
US4699404A (en) | Flexible PVC coupling--"Flexfix" | |
EA031159B1 (ru) | Трубное соединение | |
US689624A (en) | Pipe-joint. | |
KR200484502Y1 (ko) | 수도관 수밀구조 | |
US831224A (en) | Tapping device. | |
US8201851B2 (en) | Tank adapter | |
KR100627322B1 (ko) |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 |
KR102507004B1 (ko) | 주름관과 일반배관을 매개하는 이종관 연결 조립체 | |
US7497485B2 (en) | Band device of joining pipe for preventing from leakage | |
EP1049897A1 (en) | A pipe joint, especially for plastic pipes | |
KR100864054B1 (ko) | 기밀용 패킹수단을 구비하는 뉴틸리티식 차수벽관용 관로 연결장치 | |
KR200306028Y1 (ko) | 파이프 연결 소켓 | |
KR100689054B1 (ko) | 맨홀과 관의 결합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