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1771B1 - 무두볼트를 이용한 앵커길이 조정가능한 교량받침 - Google Patents

무두볼트를 이용한 앵커길이 조정가능한 교량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1771B1
KR102521771B1 KR1020220043117A KR20220043117A KR102521771B1 KR 102521771 B1 KR102521771 B1 KR 102521771B1 KR 1020220043117 A KR1020220043117 A KR 1020220043117A KR 20220043117 A KR20220043117 A KR 20220043117A KR 102521771 B1 KR102521771 B1 KR 102521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anchor
length
main
head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3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7896A (ko
Inventor
강태호
Original Assignee
(주) 윤호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윤호이엔지 filed Critical (주) 윤호이엔지
Priority to KR1020220043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1771B1/ko
Publication of KR20220077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7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1Elastomeric bea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4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with specially-shaped head or shaft in order to fix the bolt on or in an obj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두볼트를 이용한 앵커길이 조정가능한 교량받침에 관한 것으로서 교각의 내측 최상단에 매립되어 있는 주철근 상단에서 교량받침 하면까지의 수직거리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어 상기 교각의 수직방향으로 매립되는 메인 앵커볼트(110); 볼트머리가 없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메인 앵커볼트(110)의 하단에 형성된 볼트홀을 따라 결합되는 무두볼트(130); 및 상기 무두볼트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다수의 길이조정 앵커플레이트(12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두볼트를 이용한 앵커길이 조정가능한 교량받침{Headless bolt using bridge bearings}
본 발명은 무두볼트를 이용한 앵커길이 조정가능한 교량받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교량받침 설치 작업 중 교각부의 주철근과 앵커의 간섭이 발생될 경우 이를 간편히 해소하여 시공자에게 쉽고 빠른 대처를 유도하여 교량받침을 정밀하면서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는 무두볼트를 이용한 앵커길이 조정가능한 교량받침에 관한 것이다.
교량받침은 교량 상부에 작용하는 외력을 하부구조물에 전달하는 구조체이다. 그 중 교량받침용 앵커는 받침과 하부구조물을 이어주는 중요한 연결재로 지진하중과 같은 큰하중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많은 안전율을 포함하여 설계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교량받침의 앵커의 길이에 대한 기준이 계속 강화되고 있으며, 현재는 교각구조물의 최상단 주철근의 상면에 도달하도록 기준이 정립되어 있다.
한편, 교각구조물 시공시 철근 배근의 시공오차 및 철근의 겹침 이음 등으로 인해 받침 설치 중에 앵커와 교각의 최상단 철근이 간섭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설계와 현재 시공된 철근 배근 상태에서는 시공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는 신설교량 뿐만 아니라 교체공사에서 더욱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교각의 주철근 절단 또는 앵커의 절단, 공장 입고후 재가공하여 시공할 수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구조적 안정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경제성 및 시간적 측면에서도 매우 불리하다고 판단된다.
이에 따라, 교각의 주철근 훼손이나 교량받침의 재입고 및 재가공 없이 신속하게 교각에 앵커를 설치할 수 있는 앵커볼트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72046호, 2015년 11월 25일)
본 발명의 목적은 교량받침 설치 작업 중 교각부의 주철근과 앵커의 간섭이 발생될 경우 이를 간편히 해소하여 시공자에게 쉽고 빠른 대처를 유도하며, 교량받침을 정밀하면서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는 무두볼트를 이용한 앵커길이 조정가능한 교량받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두볼트를 이용한 앵커길이 조정가능한 교량받침은 교각의 내측 최상단에 매립되어 있는 주철근 상단에서 교량받침 하면까지의 수직거리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어 상기 교각의 수직방향으로 매립되는 메인 앵커볼트(110); 볼트머리가 없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메인 앵커볼트(110)의 하단에 형성된 볼트홀을 따라 결합되는 무두볼트(130); 및 상기 무두볼트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다수의 길이조정 앵커플레이트(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길이조정이 가능한 교량받침 앵커소켓은 메인 앵커볼트와 길이조정 앵커플레이트가 결합되면서 결합되는 높이를 교각의 내측 최상단에 매립되어 있는 주철근 상단에서 교량받침 하면까지의 수직거리에 따라 가변적으로 조정하여 교량받침과 하부구조물을 연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교량받침으로부터 하부구조물로 안정적인 하중전달을 유도할 수 있으며, 빠른 시공과 더불어 안전한 시공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정이 가능한 교량받침 앵커소켓이 교각의 상단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앵커볼트의 상단에 길이조정 앵커플레이트가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결합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앵커볼트의 하단에 길이조정 앵커플레이트가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결합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정 앵커플레이트와 메인 앵커볼트의 둘레면 형상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정 앵커플레이트의 외주형상이 다각형으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정 앵커플레이트와 메인 앵커볼트의 연결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정이 가능한 교량받침 앵커소켓이 교각의 상단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정 앵커 플레이트가 메인 앵커볼트의 상단에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결합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정 플레이트가 메인 앵커볼트의 하단에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결합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정 앵커플레이트와 메인 앵커볼트의 둘레면 형상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받침과 하부구조물을 이어주는 앵커소켓(10)은 메인 앵커볼트(110) 및 길이조정 앵커플레이트(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메인 앵커볼트(110)는 대략적으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교각(P)의 내측 최상단에 매립되어 있는 주철근(S)의 상단에서 교량받침(B) 하면까지의 수직거리(H)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어 교각(P)에 수직방향으로 매립된다. 이때, 메인 앵커볼트(110)는 하단이 교각(P)의 내측 최상단에 매립되어 있는 주철근(S)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거나(도 1의 좌측 구조), 상단이 교량받침(B)의 하면에 위치하도록 배치(도 1의 우측 구조)되어 연결볼트(CB)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메인 앵커볼트(110)는 하단이 교각의 최상단에 매립되어 있는 주철근(S)의 상단에 배치되는 경우에, 도 2와 같이 상단에 교량받침(B)과 길이조정 앵커플레이트(120)와 함께 결합될 수 있는 연결홀(111)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인발저항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단차 형성되는 인발저항부(112)가 형성된다. 연결홀(111)에는 연결볼트(CB)와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메인 앵커볼트(110)는 상단이 교량받침(B)과 인접하여 배치될 때에는, 도 3과 같이 양방향으로 제1 연결홀(115) 및 제2 연결홀(116)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하단에는 인발저항 플레이트(117)를 더 구비하며, 그 사이에 길이조정 앵커플레이트(12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홀(115) 및 제2 연결홀(116) 각각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각각에 연결볼트(CB)를 통해 결합된다.
길이조정 앵커플레이트(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적층되어 메인 앵커볼트(110)의 축방향을 따라 메인 앵커볼트(110)의 상단 또는 하단에 결합되어 메인 앵커볼트(110)와 결합되어 전체길이를 가변적으로 조정하여 앵커소켓(10)의 상단 및 하단이 교각(P)의 최상단에 매립되어 있는 주철근(S)의 상면과 교량받침(B)과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길이조정 앵커플레이트(120)는 메인 앵커볼트(110)의 상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결합되면서 전체적인 앵커소켓(10)의 높이를 조정하여 최상단에 위치하는 길이조정 앵커플레이트(120)가 교량받침(B)의 하면에 맞닿도록 배치되고, 메인 앵커볼트(110)의 하단이 주철근(S)의 상면에 접촉하면서 교량받침(B)과 주철근(S)이 이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길이조정 앵커플레이트(120)는 메인 앵커볼트(110)의 하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결합되면서 메인 앵커볼트(110)의 상단이 교량받침(B)의 하면에 맞닿도록 배치되도록 유도하고, 제일 하단에 위치하는 길이조정 앵커플레이트(120)의 하면이 주철근(S)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하여 교량받침(B)과 주철근(S)이 이어지도록 할 수 있다.
길이조정 앵커플레이트(120)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메인 앵커볼트(110)의 외주형상에 대응되도록 원형으로 형성되어 중앙에 고정홀(121)이 형성된다. 그리고, 형성된 고정홀(121)을 중심으로 적층되는 길이조정 앵커플레이트(120)의 안정적인 적층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일측면에 연결홈(122)이, 타측면에 연결돌출구(123)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홈(122) 및 돌출구(123)는 적층되면서 서로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메인 앵커볼트(110)는 결합홈(113) 또는 결합돌출구(114)가 형성되어 연결홈(121) 또는 연결돌출구(122)와 서로 결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돌출홈(122) 및 돌출구(123)는 둘레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돌출홈(122) 및 돌출구(123)는 도 4 (a)와 같이 삼각형 형상으로 돌출형성되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헛돌지 않고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길이조정 앵커플레이트(120)는 도 5와 같이, 외주형상이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길이조정 앵커플레이트(120)는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제1 길이조정 앵커플레이트(120a)는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삼각형 형상의 연결홈(122) 또는 연결돌출구(123)가 형성된다. 제2 길이조정 앵커플레이트(120b)는 마름모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삼각형 형상의 연결홈(121) 또는 연결돌출구(122)가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사각형 구조와 마름모 구조가 서로 적층결합될 때에 엇갈린 방향으로 결합되어 대략적으로 8각의 별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인발저항성과 부착강도를 증대시켜 교량받침이 결합된 교각에 안정적인 시공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1 길이조정 앵커플레이트(120a)와 제1 길이조정 앵커플레이트(120b)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124)이 형성될 수 있다. 홀을 통하여 제1 길이조정 앵커플레이트(120a)와 제2 길이조정 앵커플레이트(120b)가 적층될 때에, 홀(124)을 통하여 콘크리트가 주입될 수 있어 제1 길이조정 앵커플레이트(120a)와 제2 길이조정 앵커플레이트(120b) 사이에 공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로 구비되는 길이조정 앵커플레이트(120)는 반드시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필요가 없으며,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높이방향을 따라 더욱 정교한 길이 조정을 통해 안정적인 연결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연결홈(122) 또는 연결돌출구(123)가 형성되는 면을 따라 아크릴 수지 계열의 시아노아크릴레이트가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시아노아크릴레이트는 서로 적층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주입하게 되는 경우, 콘크리트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에 반응하면서 서로 맞닿아 있는 연결홈(122) 또는 연결돌출구(123) 견고한 결합상태가 되도록 유도할 수 있어 길이조정 앵커플레이트(120)의 결합상태가 더욱 안정적으로 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앵커와 메인 앵커볼트의 연결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길이조정이 가능한 교량받침 앵커소켓은 길이 조절앵커를 무두볼트를 이용하여 앵커소켓의 전체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 메인 앵커볼트(110) 및 길이조정 앵커플레이트(120)의 구조 및 특징은 전술한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무두볼트(130)와 길이조정 앵커플레이트(120)의 연결 특징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무두볼트(130)는 볼트머리가 없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이다. 무두볼트(130)는 메인 앵커볼트(110)의 하단에 형성된 볼트홀을 따라 결합된다. 이때, 무두볼트(130)는 다수의 길이조정 앵커플레이트(120)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 (a)와 같이 5개의 길이조정 앵커플레이트(120)가 연결된 상태로 시공이 준비될 수 있다. 길이조정 앵커플레이트(120)가 5개 결합된 상태에 있을 때, 무두볼트(130)가 메인 앵커볼트(110)에 체결되는 않는 깊이(L1)으로 형성된다. 이때, 길이조정 앵커플레이트(120)가 주철근과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 도 6 (b)와 같이 메인 앵커볼트(110)에 무두볼트(130)를 더욱 깊숙히 결합하게 되면 메인 앵커볼트(110)에 체결되는 않는 깊이(L1)가 도 6 (a)의 상태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짧아지면서 무두볼트(130)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는 길이조정 앵커플레이트(120)가 적어도 하나 이상이 탈락되면서 전체적인 앵커소켓(10)의 길이를 조정하면서 앵컷소켓(10)의 상하단이 교량받침과 하부구조물을 이어줄 수 있다.
그리고, 도 6 (b)와 같이 전체적인 길이조정이 가능한 교량받침 앵커소켓의 길이가 완료되며, 도 6 (c)와 같이 교량받침을 다시 교각의 상부에 안착시킨 후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길이조정이 가능한 교량받침 앵커소켓이 교량받침을 교각 상단에 연결할 때에, 앵커소켓(10)의 전체길이를 손쉽게 조정할 수 있어 주철근과 간섭을 간단하게 피하면서 앵컷소켓(10)의 상하단이 교량받침과 하부구조물을 이어줄 수 있다.
종래에는 앵커볼트의 길이가 주철근과 간섭되는 경우, 앵커볼트를 현장에서 절단작업을 하거나, 공장으로 반송하여 다시 제작한 후에 현장에 재 입고하여 시공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렇게 작업을 할 경우, 공기가 지연될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공사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에 의한 메인 앵커볼트(110)의 길이(L)는 주철근(S)의 상단에서 교량받침(B) 하면까지의 수직거리(H)에 비해서 짧게 형성되고, 길이조정 앵커플레이트(120)를 통해 메인 앵커볼트(110)의 상단 또는 하단에 결합되어 현장 주철근 상황에 따라 가변적으로 조정하면서 결합시킬 수 있다.
만약, 메인 앵커볼트(110)의 길이를 설계값을 기준으로 절단하여 준비하게 되면, 현장에서 설계값과 차이가 발생하는 시공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현장에서 앵커볼트의 길이를 조정하거나 다시 제작을 해야하므로 공사기간의 증가와 더불어 공사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메인 앵커볼트(110)의 길이를 짧게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을 현장 현황에 따라 길이조정 앵커플레이트(120)를 가변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길이조정이 가능한 교량받침 앵커소켓(10)는 메인 앵커볼트(110)와 길이조정 앵커플레이트(120)의 결합되는 길이를 교각의 최상단에 매립되어 있는 주철근 상단에서 교량받침 하면까지의 수직거리에 따라 가변적으로 조정하여 교량받침과 하부구조물을 이어줄 수 있다. 이를 통해, 교량받침으로부터 하부구조물로 안정적인 하중전달을 유도할 수 있으며, 빠른 시공과 더불어 안전한 시공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10 : 메인 앵커볼트 111 : 연결홀
112 : 인발저항부 113 : 결합홈
114 : 결합돌출구 115 : 제1 연결홀
116 : 제2 연결홀 117 : 인발저항 플레이트
120 : 길이조정 앵커플레이트 121 : 고정홀
122 : 연결홈 123 : 연결돌출구

Claims (1)

  1. 무두볼트를 이용한 앵커길이 조정가능한 교량받침에 있어서,
    교각의 내측 최상단에 매립되어 있는 주철근 상단에서 교량받침 하면까지의 수직거리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어 상기 교각의 수직방향으로 매립되는 메인 앵커볼트(110);
    볼트머리가 없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메인 앵커볼트(110)의 하단에 형성된 볼트홀을 따라 결합되는 무두볼트(130); 및
    상기 무두볼트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다수의 길이조정 앵커플레이트(120);를 포함하며,
    상기 길이조정 앵커플레이트(120)는,
    상기 메인 앵커볼트(110)에 상기 무두볼트(130)의 깊이 조정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무두볼트(130)에서 탈락되면서 주철근의 현황에 따라 길이를 조정하면서 상기 길이조정 앵커플레이트의 하단이 상기 주철근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하며,
    상기 길이조정 앵커플레이트(120)는,
    일측면에 연결홈이 형성되고, 타측면에 연결 돌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홈과 상기 연결 돌출구는
    외주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적층 결합될 때에 헛돌림이 방지되고,
    상기 연결홈과 상기 연결 돌출구에는 아크릴 수지가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두볼트를 이용한 앵커길이 조정가능한 교량받침.
KR1020220043117A 2020-12-02 2022-04-06 무두볼트를 이용한 앵커길이 조정가능한 교량받침 KR102521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117A KR102521771B1 (ko) 2020-12-02 2022-04-06 무두볼트를 이용한 앵커길이 조정가능한 교량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244A KR102402750B1 (ko) 2020-12-02 2020-12-02 길이조정이 가능한 교량받침 앵커소켓
KR1020220043117A KR102521771B1 (ko) 2020-12-02 2022-04-06 무두볼트를 이용한 앵커길이 조정가능한 교량받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6244A Division KR102402750B1 (ko) 2020-12-02 2020-12-02 길이조정이 가능한 교량받침 앵커소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896A KR20220077896A (ko) 2022-06-09
KR102521771B1 true KR102521771B1 (ko) 2023-04-13

Family

ID=8179672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6244A KR102402750B1 (ko) 2020-12-02 2020-12-02 길이조정이 가능한 교량받침 앵커소켓
KR1020220043117A KR102521771B1 (ko) 2020-12-02 2022-04-06 무두볼트를 이용한 앵커길이 조정가능한 교량받침
KR1020220063120A KR20220077900A (ko) 2020-12-02 2022-05-23 앵커길이 조정이 가능한 교량받침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6244A KR102402750B1 (ko) 2020-12-02 2020-12-02 길이조정이 가능한 교량받침 앵커소켓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3120A KR20220077900A (ko) 2020-12-02 2022-05-23 앵커길이 조정이 가능한 교량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40275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6951B1 (ko) * 2019-11-29 2020-10-16 이경한 앵커조절이 용이한 교량받침 및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9214A (ko) * 2013-12-13 2015-06-23 주식회사 태인이앤씨 조립형 교량받침 보호장치
KR101572046B1 (ko) 2015-06-05 2015-11-25 주식회사 두드림테크 교량받침구조
KR102280308B1 (ko) * 2018-06-26 2021-07-22 (주)인송건설 교량 인상용 받침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6951B1 (ko) * 2019-11-29 2020-10-16 이경한 앵커조절이 용이한 교량받침 및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2750B1 (ko) 2022-05-27
KR20220077896A (ko) 2022-06-09
KR20220077900A (ko) 2022-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97001B2 (en) Concrete anchor
US8240096B2 (en) Bracket structure for increasing load-carrying capacity of concrete structure and enabling easy construction
JP7130029B2 (ja) 風力発電機用支持構造物
US11788274B2 (en) Compression and tension reinforced wall
AU2020266483B2 (en) Ductile prefabricated shear panel
US8578664B2 (en) Roof to post adjustable hold down device
JP2008255627A (ja) 木質部材の接合金具アセンブリ
US10113327B2 (en) Section of concrete
JP6150883B2 (ja) 大型機械の基礎アンカー
EP3307963A1 (en) Securing assembly
KR102521771B1 (ko) 무두볼트를 이용한 앵커길이 조정가능한 교량받침
US9157251B2 (en) Replaceable ductile fuse
KR102151069B1 (ko) 볼트체결에 의한 분리형 앵커복합체를 구비한 교량받침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274080B1 (ko) 콘크리트 구속부를 갖는 앵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구조물 지지장치
KR20100084494A (ko)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
US11499331B2 (en) Ductile anchor attachment (DAA) mechanism
JP7457557B2 (ja) 木質軸部材の接合構造
US20200217062A1 (en) Tension load transfer device
KR102376813B1 (ko) 기계설비용 베이스플레이트 앵커지지력 보강재
JP2024006503A (ja) 土台補強金具
WO2017102925A1 (en) Method for constructing a mast of concrete intended for a windmill
KR20170089241A (ko) 스페이서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탈형 데크
RU2222674C2 (ru) Панель с крепежно-опорными элементами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ее уровня
CN113653309A (zh) 操作架与立柱的连接结构及其施工方法
JP2005232724A (ja) 建物の基礎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