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1520B1 - 펌프를 구비한 차량용 초저온 연료탱크 - Google Patents

펌프를 구비한 차량용 초저온 연료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1520B1
KR102521520B1 KR1020210090412A KR20210090412A KR102521520B1 KR 102521520 B1 KR102521520 B1 KR 102521520B1 KR 1020210090412 A KR1020210090412 A KR 1020210090412A KR 20210090412 A KR20210090412 A KR 20210090412A KR 102521520 B1 KR102521520 B1 KR 102521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pump
tank
fuel tank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0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9696A (ko
Inventor
변혜숙
Original Assignee
변혜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혜숙 filed Critical 변혜숙
Priority to KR1020210090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1520B1/ko
Publication of KR20230009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9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8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by vacuum spaces, e.g. Dewar flask
    • F17C3/085Cryost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2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 F17C13/025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having the pressure as the parame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2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 F17C13/026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having the temperature as the parame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9/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52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1Propulsion of the fluid
    • F17C2227/0128Propulsion of the fluid with pumps or compressors
    • F17C2227/0135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6Fluid distribution
    • F17C2265/066Fluid distribution for feeding engines for propul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65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the road
    • F17C2270/0168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the road by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펌프를 구비한 차량용 초저온 연료탱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엔진에 공급되는 초저온 연료가 저장되는 내부탱크 및 내부에 상기 내부탱크를 수용하되 상기 내부탱크와 진공으로 형성된 이격공간을 구비한 외부탱크을 포함하는 연료탱크; 상기 연료탱크에 저장된 초저온 연료를 일정 범위의 압력 및 시간당 토출량으로 토출 가능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탱크의 일단면과 수평하게 설치된 연료펌프 및 상기 연료탱크 내부의 초저온 연료의 출입 경로가 되는 배관을 집적화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배관집적부를 포함하는 펌프를 구비한 차량용 초저온 연료탱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펌프를 구비한 차량용 초저온 연료탱크 {Cryogenic fuel tank with a pump}
본 발명은 펌프를 구비한 차량용 초저온 연료탱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연료를 1,000kPa 이상의 압력으로 가압할 수 있는 연료펌프를 구비하여 연료 기화를 통한 탱크 내부 승압 과정이 필요하지 않고, 연료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펌프를 구비한 차량용 초저온 연료 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솔린이나 경유등과 같은 연료를 대체하여 액화 천연 가스(liquified natural gas: LNG) 등의 초저온 액체 연료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초저온 액체 연료를 사용하는 차량은 소음이 적고, 기관의 수명이 길며 연료비가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는 초저온 액체 연료 차량의 연료 공급을 위한 과정에서 초저온 액체 연료를 일정 압력(500kPa) 이상으로 가압하여 공급해야 하는데, 기존의 일반적인 LNG 탱크는 충전 직후 탱크 내의 압력이 일정 압력 이하로 떨어지면 연료 공급을 위해 위해 연료탱크 내부의 압력을 높일 펌프가 구비하여 연료탱크 내부 압력을 높이거나 연료 일부를 기화시켜 탱크 내부로 재주입하여 승압하는 방법을 적용하는데, 이러한 방법은 연료의 손실이 발생하거나, 단열이 약해지며 누설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연료 공급을 위한 승압 과정에서 승압을 위한 시간이 필요하여 연료 공급 응답성이 떨어지게 되고 압력이 안정 상태가 될 때까지 불안정한 연료 공급으로 인해 엔진 장치의 부조가 발생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비교적 승압 과정이 간단하며 연료 공급 구조가 단순하여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고, 단열과 누설 문제를 최소화하며, 연료 저장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형태의 차량용 초저온 연료탱크의 개발이 필요하다.
종래의 초저온 연료탱크에 대한 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2105883호 '기능 개선형 액화수소 연료탱크'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구조가 단순하며 배관 집적도가 높고, 이로 인해 연료펌프가 탱크 외부에 설치되어도 연료펌프로 연료가 공급되는 과정이 비교적 빠르게 진행되어, 생산 단가가 낮고, 단열 및 누설 문제를 최소화하며, 체적효율이 증가하여 연료 공급 및 저장 성능이 높아진 펌프를 구비한 차량용 초저온 연료 탱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펌프를 구비한 차량용 초저온 연료탱크는, 차량의 엔진에 공급되는 초저온 연료가 저장되는 내부탱크 및 내부에 상기 내부탱크를 수용하되 상기 내부탱크와 진공으로 형성된 이격공간을 구비한 외부탱크을 포함하는 연료탱크; 상기 연료탱크에 저장된 초저온 연료를 일정 범위의 압력 및 시간당 토출량으로 토출 가능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탱크의 일단면과 수평하게 설치된 연료펌프 및 상기 연료탱크 내부의 초저온 연료의 출입 경로가 되는 배관을 집적화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배관집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료펌프는, 터빈펌프, 원심펌프, 로터리펌프, 베인펌프, 솔레노이드펌프 중 선택적으로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연료탱크에 저장되는 액상과 가스상의 연료를 1000kPa 이상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120kg/h 이하의 용량으로 토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집적부는, 일단이 상기 내부탱크의 일단면을 관통하여 내부로 내재되며, 초저온 연료가 따라 이동하도록 형성된 제1 T피팅; 상기 제1 T피팅과 이웃한 위치에서 일단이 상기 내부탱크의 일단면을 관통하여 내부로 내재되며, 초저온 연료가 따라 이동하도록 형성된 제2 T피팅; 상기 연료탱크의 외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1 및 제2 T피팅이 관통하여 고정결합되며, 상기 연료펌프가 일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 T피팅을 통해 토출되는 연료를 펌프 및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분배하며, 상기 제2 T피팅을 통해 토출되는 초저온 연료를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분배하는 L형 플랜지; 일 단이 상기 L형 플랜지 측부에 연결고정되며, 십자 형태의 관으로 형성되는 제1 십자관; 일 단이 상기 L형 플랜지 측부에 연결고정되며, 십자 형태의 관으로 형성되는 제2 십자관 및 일 단이 상기 연료펌프와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제1 십자관의 일 단과 연결되며, 펌프에 의해 기설정된 압력으로 압축된 연료가 따라 토출되는 연료배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초저온 연료탱크는, 상기 연료탱크 내부 연료의 상태 측정 정보를 받아 펌프 내 연료의 관리 및 토출을 제어하고, 잔여 연료량을 측정하여 알리며, 가스 누출 알람을 제어하는 통합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합제어부는, 상기 제1 십자관과 연결되며, 상기 연료펌프를 거쳐 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의 온도와 압력을 측정하는 온도압력센서; 상기 제2 십자관과 연결되며, 상기 연료탱크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 및 상기 연료펌프, 상기 온도압력센서, 상기 압력계의 상태 측정 정보를 받아 펌프 내 연료의 관리 및 토출을 제어하고, 잔여 연료량을 측정하여 알리며, 가스 누출 알람을 제어하는 통합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초저온 연료탱크는, 상기 제2 십자관과 연결되며, 상기 내부탱크의 압력이 기 설정된 기준 이상일 경우 내부 연료를 방출시킬 수 있는 1차릴리프밸브; 상기 제2 T피팅의 일단과 연결되며, 상기 내부탱크의 압력이 기 설정된 기준 이상일 경우 내부 연료를 방출시킬 수 있는 2차릴리프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초저온 연료탱크는, 상기 연료탱크 내부의 연료가 엔진으로 공급되는 것을 조절 및 제어하는 엔진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엔진공급부는, 일 단이 상기 제1 십자관과 연결되며, 연료의 공급과 차단을 조절하는 제1 차단밸브; 상기 제1 차단밸브의 타 단과 연결되며 엔진으로의 과다 연료 공급을 막는 과류방지밸브 및 상기 과류방지밸브의 타 단에 연결되며 엔진까지 연결되는 엔진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초저온 연료탱크는, 상기 연료탱크 내부로 연료가 유입되게 하며, 연료의 역류를 방지하는 충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전부는, 상기 제1 T피팅과 연결되며, 상기 연료탱크 내부로 입력되는 연료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 상기 체크밸브의 타 단에 결합되는 충전관 및 상기 충전관의 타 단과 연결되며 상기 연료탱크 외측 방향으로 노출되어 연료 충전 노즐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충전리셉터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초저온 연료탱크는, 상기 연료탱크 내부 가스 상태 연료의 배출과 차단을 조절하는 가스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스배출부는, 일 단이 상기 제2 십자관의 일 단과 연결되며, 상기 연료탱크 내부의 가스 배출과 차단을 조절하는 제2 차단밸브; 상기 제2 차단밸브의 타 단과 연결되는 가스배출관 및 상기 가스배출관의 타 단과 연결되며 상기 연료탱크의 외측 방향으로 노출되어 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벤트리셉터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집적부는, 상기 L형 플랜지와 그에 의해 집적되어 설치된 상기 제1 T피팅, 상기 제2 T피팅 및 상기 연료펌프를 감싸되, 상기 제1 및 제2 T피팅과 연결된 부재 중 일부까지 감싸도록 형성되며, L형 플랜지에 의해 고정되어 연료가 상기 제1 및 제2 T피팅을 따라 펌프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외부열에 의한 연료의 기화를 방지하는 단열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케이스는, 스테인리스 소재가 적용되어 이중으로 형성되거나 유리섬유/현무암섬유 복합재(FRP)가 적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케이스는, 이중 구조로 형성되되, 이중 구조 사이 공간에 흡습재 및 단열재가 내재될 수 있도록 이격공간이 마련되며, 표면에 내외부 방향으로 복수의 미세 타공이 되어 단열케이스 내부 단열 및 결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료배출관은, 스테인리스 소재로 이중 관 형태로 형성되거나 유리섬유/현무암섬유 복합재(FRP)가 적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펌프를 구비한 차량용 초저온 연료탱크는, 배관 집적도를 높여 연료 공급 구조가 단순화 되어 연료탱크에서 연료펌프로의 연료 공급이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연료탱크의 승압 과정이 비교적 빠르고 간단하게 이루어지고, 추가적으로 단열이 가능한 구성을 설치하여, 외부 열에 의한 연료의 조기 기화로 연료가 누출되고 연료펌프의 성능이 떨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며, 엔진이 필요로 하는 연료 공급량으로 빠르게 대응하여 공급할 수 있어 안정적인 엔진 출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배관 집적을 통한 연료 공급 구조 단순화로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펌프를 구비한 차량용 초저온 연료탱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펌프를 구비한 차량용 초저온 연료탱크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연료탱크가 이중 구조로 형성된 것을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연료탱크를 제외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배관집적부의 후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후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배관집적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의 (a)는 도 6에 도시된 L형 플랜지의 사시도이고, 도 7의 (b)는 도 7의 (a)에 도시된 L형 플랜지를 폭 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의 (c)는 도 6의 (b)에 도시된 절단된 L형 플랜지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배관집적부에 단열케이스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은 도 8에 도시된 단열케이스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는 도 8에 도시된 단열케이스에 미세 천공이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와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예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펌프를 구비한 차량용 초저온 연료탱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펌프를 구비한 차량용 초저온 연료탱크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연료탱크가 이중 구조로 형성된 것을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연료탱크를 제외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배관집적부의 후면이 보이도록 바라본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배관집적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의 (a)는 도 6에 도시된 L형 플랜지의 사시도이고, 도 7의 (b)는 도 7의 (a)에 도시된 L형 플랜지를 폭 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의 (c)는 도 6의 (b)에 도시된 절단된 L형 플랜지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펌프를 구비한 차량용 초저온 연료탱크는 연료탱크(10), 연료펌프(20) 및 배관집적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연료탱크(10)는 차량의 엔진에 공급되는 초저온 연료가 저장되는 탱크로, 가스와 액체 상태의 연료가 혼합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따라서 가스나 액체가 누출되지 않는 밀폐된 형태로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연료탱크(10)는 초저온 연료가 외부 열에 의해 반응하여 상태가 쉽게 변하여 탱크 내부의 액체 연료가 과하게 기화되어 압력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열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연료탱크(10)의 단열 구조 형성을 위해, 일 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탱크(10)는 내부탱크(11), 외부탱크(12) 및 진공밸브(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내부탱크(11)는 초저온 연료가 직접적으로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여기서, 내부탱크(11)는 내부에 저장되는 초저온 연료의 기화나 팽창으로 인해 내부탱크(11)에 작용하는 압력을 고려하여 구형, 원통형 등 한정되지 않은 여러 형상이 적용되어 압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내부탱크(11)의 크기나 형상은 차량에 연료탱크(10)가 내재될 수 있는 공간의 크기나 형상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또한, 내부탱크(11)의 연결부나 틈을 메우는 방식은 용접과 같은 신뢰도 높은 방식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탱크(12)는 내부탱크(11)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되, 내부탱크(11)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이격 공간(S)을 형성한다.
여기서, 외부탱크(12)와 내부탱크(11)의 사이에 형성된 이격 공간(S)은 외부와 차단된 밀폐 상태로 형성되되 내부 기체가 제거된 진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연료탱크(10)는 진공으로 형성된 이격 공간(S)을 통해 내부탱크(11)에 저장된 초저온 연료가 외부 온도에 영향을 받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외부탱크(12)는 연료탱크(10)가 효율적으로 수납될 수 있도록 내부탱크(11)와 비슷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가장 효율적인 이격 공간(S) 크기를 가질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한정되는 사항은 아니다.
진공밸브(13)는 상기 이격 공간(S)의 공기를 제거하여 진공으로 만들 수 있도록 하는 밸브로, 외부탱크(12)를 관통하여 형성됨으로써 일 단이 외부탱크(12)의 외부에 위치하고, 타 단이 이격 공간(S)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연료펌프(20)는 후술할 배관집적부(30)의 구성에 의해 연료를 공급받고, 연료를 엔진으로 공급 시 일정 필요 압력만큼 승압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연료펌프(20)는 연료 공급 과정에서 배관집적부(30)의 구성이 외부 열에 노출되어 조기에 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연료탱크(10)에 부착되되 배관집적부(30)에 가까운 위치로 형성되어 연료가 연료펌프(20)로 공급되기 위해 이동하는 거리를 최대한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료펌프(20)는 연료탱크(10)에 부착되되, 부착되는 연료탱크(10) 일면의 크기 범위 내에 설치되며, 다른 구성 및 배관의 설치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가능한 소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연료펌프(20)는 외부탱크(12) 외측에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연료펌프(20)는 액상 및 가스상의 초저온 연료를 필요 시 연료를 직접 공급받아 1000kPa 이상의 압력 혹은 100~120Kg/h의 용량으로 토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연료 공급을 위한 연료탱크(10) 내부의 승압을 위한 과정 및 시간이 필요하지 않으며, 연료 공급 응답성 향상되어 연료 손실을 줄일 수 있고 불안정한 연료 공급으로 인해 엔진 장치의 부조를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와 같은 연료펌프(20)의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 연료펌프(20)는 터빈펌프, 원심펌프, 로터리펌프, 베인펌프, 솔레노이드펌프 등의 여러 펌프 형태 중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료펌프(20)는 연료펌프(20)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펌프케이싱(21)을 포함할 수 있다.
펌프케이싱(21)은 외부 열에 의해 연료펌프(20) 내부에서 펌핑되는 연료가 상태변화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열소재 및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유리섬유/현무암섬유 복합재(FRP)로 피복되거나 스테인레스 재질의 2중 구조로 형성되는 등 한정되지 않은 여러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관집적부(30)는 연료탱크(10) 내부의 초저온 연료를 토출하고 일정 대상으로 공급하는 배관을 집적화하여 구조를 단순화하고, 초저온 연료의 이동 거리를 최소화하여 외부 열에 의한 초저온 연료의 상태 변화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배관집적부(30)는 연료펌프(20)에 공급되는 초저온 연료가 최대한 빠르고 짧은 거리만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연료펌프(20)와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배관집적부(30)는 제1 T피팅(31), 제2 T피팅(32), L형 플랜지(33), 제1 십자관(34), 제2 십자관(35), 연료배출관(3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T피팅(31)은 길게 뻗은 장관의 일 단에서 양쪽으로 갈라지는 단관이 결합된 'T'자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1 T피팅(31)의 장관의 타 단이 연료탱크(10)를 관통하여 내부탱크(11)의 내부로 도달하도록 형성되되 내부탱크(11)의 중심 부근에 도달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 T피팅(31)은 후술할 L형 플랜지(33)에 고정 결합된다.
또한, 제1 T피팅(31)은 내부탱크(11) 내부로 도달하도록 형성되는 장관을 포함하여 여러 갈래로 뻗은 단이 존재할 수 있다.
제2 T피팅(32)은 길게 뻗은 장관의 일 단에서 양쪽으로 갈라지는 단관이 결합된 'T'자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1 T피팅(31)과 같이 장관의 타 단이 연료탱크(10)를 관통하여 내부탱크(11)의 내부 중심 부근에 도달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2 T피팅(32)은 배관의 집적을 위해 제1 T피팅(31)과 이웃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범위는 후술할 L형 플랜지(33)에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L형 플랜지(33) 넓이 내에서 이웃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 T피팅(31)은 내부탱크(11) 내부로 도달하도록 형성되는 장관을 포함하여 여러 갈래로 뻗은 단이 존재할 수 있다.
L형 플랜지(33)는 측면에서 바라봤을 때 'L'자 형태로 꺾인 판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L형 플랜지(33)는 연료펌프(20)가 일면에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제1 및 제2 T피팅(31, 32)과 제1 및 제2 십자관(34, 35)이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연료탱크(10) 배관의 구성을 집적화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T피팅(31, 32)을 따라 연료탱크(10)에서 토출되는 연료를 각각 하나 이상의 한정되지 않은 방향으로 분배할 수 있는 내부 배관이 설치된다.
이 때, 제1 T피팅(31)과 연결되는 내부 배관의 분배 방향 중 하나는 L형 플랜지(33)에 결합된 연료펌프(20) 방향으로 연결되어야 하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할 내부배관판(332)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L형 플랜지(33)는 연료탱크(10)에 접촉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연료탱크결합판(331) 및 내부에 배관이 형성되어 배관집적부(30)의 각 구성들과 연결되는 내부배관판(33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연료탱크결합판(331)은 연료탱크(10)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판으로, 볼팅 결합, 용접, 접착제 등 한정되지 않은 여러 방법이 하나 혹은 그 이상으로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연료탱크결합판(331)은 이웃한 한쌍의 관통결합홀(333)이 형성되고 제1 및 제2 T피팅(31, 32)의 장관이 상기 관통결합홀(333)에 관통하여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료탱크결합판(331)을 관통하는 제1 및 제2 T피팅(31, 32)의 장관은 연료탱크(10) 내부 방향으로 관통하여 연료탱크(1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 때, 제1 및 제2 T피팅(31, 32)이 연료탱크결합판(331)과 연료탱크(10)를 함께 관통하면서 연료가 누출될 수 있는 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료탱크결합판(331)은 연료탱크(10)와 최대한 밀착하여 단단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료탱크결합판(331)에 제1 및 제2 T피팅(31, 32)이 결합하여 고정되는 홀의 크기는 제 1 및 제2 T피팅(31, 32)의 단면 크기와 일치하여 틈이 생기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배관판(332)은 상면에 연료펌프(20)가 설치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초저온 연료가 이동 가능한 내부 배관이 형성될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내부배관판(332)의 내부에 제1 내부배관(33a) 및 제2 내부배관(33b)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부배관(33a)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T피팅(31)의 단관 일 단에 연결되고, 제1 T피팅(31)을 따라 토출된 연료가 연료펌프(20)로 공급될 수 있도록 연료펌프(20)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내부배관(33a)에 의해 별도의 배관 설치 없이 비교적 짧은 거리로 연료탱크(10)에서 연료펌프(20)로 연료를 전달할 수 있어, 배관의 집적도과 연료 공급 반응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 내부배관(33a)은 후술할 제1 십자관(34)과 연결될 수 있도록 제1 십자관(34)이 L형 플랜지(33)에 설치된 방향으로 관통하여 연결되어 최종적으로 3방향으로 관통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내부배관(33b)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T피팅(32)의 단관 일 단에 연결되고, 후술할 제2 십자관(35)과 연결될 수 있도록 제2 십자관(35)이 L형 플랜지(33)에 설치된 방향으로 관통하여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2 내부배관(33b)은 2방향으로 관통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간이 꺾이거나 직선으로 연결되는 등 한정되지 않은 여러 형상으로 형성 가능하다.
제1 십자관(34)은 십자 형태로 형성되어 4방향으로 뻗은 관으로, 일 단이 L형 플랜지(33) 측부에 연결고정된다.
여기서, 제1 십자관(34)이 L형 플랜지(33)에 고정이 되는 경우 L형 플랜지(33) 내부에 형성된 제1 내부배관(33a)과 연결되는데, 이 제1 내부배관(33a)은 제1 T피팅(31) 및 연료펌프(20)와 각각 동시에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2 십자관(35)은 십자 형태로 형성되어 4방향으로 뻗은 관으로, 일 단이 L형 플랜지(33) 측부에 연결고정된다.
여기서, 제2 십자관(35)이 L형 플랜지(33)에 고정이 되는 경우 L형 플랜지(33) 내부에 형성된 제2 내부배관(33b)과 연결되는데, 이 제2 내부배관(33b)은 제2 T피팅(32) 및 연료펌프(20)와 각각 동시에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연료배출관(36)은 일 단이 연료펌프(20)와 연결되고, 타 단은 제1 십자관(34)과 연결되어, 연료펌프(20)에 의해 가압된 연료가 따라 토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 때, 연료배출관(36)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외부 온도 변화에 취약할 수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해 유리섬유/현무암섬유 복합재(FRP)로 피복되거나 스테인레스 재질의 2중 구조로 형성되는 등 한정하지 않은 여러 단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펌프를 구비한 차량용 초저온 연료탱크는 통합제어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합제어부(40)는 연료탱크(10) 내부 연료의 상태 및 연료펌프(20)를 거쳐 토출되는 연료의 상태 정보를 측정하고 엔진이 요청하는 필요 연료량을 고려하여 연료펌프(20)의 연료 토출량을 제어한다.
또한, 통합제어부(40)는 연료탱크(10) 내부의 잔여 연료량 정보의 입출력을 제어하고, 연료의 누출을 감지하여 누출 알람을 제어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통합제어부(40)는 여러 센서들과 각각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통합제어부(40)는 센서들에 의해 측정된 상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데, 이는 차량의 계기판이나 별도로 설치된 상태 표시 디스플레이 등 한정되지 않은 여러 방식 또는 방법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통합제어부(40)는 온도압력센서(41), 압력계(42) 및 통합제어기(4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온도압력센서(41)는 제1 십자관(34)과 연결되어 연료펌프(20)에서 가압되어 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의 온도와 압력을 측정하여 후술할 통합제어기(43)로 측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온도압력센서(41)는 통합제어기(43)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압력계(42)는 제2 십자관(35)에 연결되어 연료탱크(10) 내부 압력을 측정하여 보여주며, 후술할 통합제어기(43)로 측정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압력계(42)는 통합제어기(43)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통합제어기(43)는 온도압력센서(41), 압력계(42) 등의 센서에서 연료 상태 정보를 공급받아 연결된 연료펌프(20)를 제어하여 연료펌프(20)에 의해서 토출되는 연료의 압력과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통합제어기(43)는 연료탱크(10) 내부에 삽입되는 연료레벨측정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잔여 연료 정보를 측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통합제어기(43)는 누출된 가스를 감지하여 가스 누출 알람이 운전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통합제어기(43)는 누출 가스를 감지하는 가스 감지 센서(미도시) 등 한정되지 않은 외부로 누출된 가스를 감지할 수 있는 여러 방법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펌프를 구비한 차량용 초저온 연료탱크는 1차릴리프밸브(91) 및 2차릴리프밸브(9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1차릴리프밸브(91)는 연료탱크(10)의 외부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장착될 수 있으며, 관을 통해 제2 십자관(35)과 연결된다.
여기서, 1차릴리프밸브(91)는 연료탱크(10) 내의 압력이 기설정된 기준 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 연료탱크(10) 내부의 연료를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는 통상적인 구조의 릴리프밸브(relief valve)이다.
2차릴리프밸브(92)는 제2 T피팅(32)과 연결된다.
이 때, 2차릴리프밸브(92)는 1차릴리프밸브(91)에 기설정된 기준 압력 이상으로 기준 압력이 설정되어 연료탱크(10) 내의 압력이 기준 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 연료탱크(10) 내부의 연료를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는 통상적인 구조의 릴리프밸브(relief valve)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펌프를 구비한 차량용 초저온 연료탱크는 엔진공급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엔진공급부(50)는 연료펌프(20)를 통해 일정 압력 및 양으로 토출되는 연료를 다 단계를 거쳐 차량의 엔진 방향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 때, 엔진공급부(50)는 제1 차단밸브(51), 과류방지밸브(52) 및 엔진공급관(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차단밸브(51)는 일 단이 제1 십자관(34)과 연결되며, 엔진으로 연료가 향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는 밸브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1 차단밸브(51)는 연료가 차량의 엔진으로 향하는 통로를 모두 통제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제1 차단밸브(51)는 게이트벨브, 볼밸브, 글로브밸브 등 한정되지 않은 여러 형태가 선택적으로 적용되어 연료의 흐름과 차단, 통과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1 차단밸브(51)는 밸브 조절 방식이 수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으며, 추가적인 기계적 구성을 포함하여 특정 상황에서 자동으로 기계장치에 의해 밸브가 제어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과류방지밸브(52)는 제1 차단밸브(51)와 연결되되, 제1 차단밸브(51)가 제1 십자관(34)과 연결된 단의 타 단에 연결된다.
여기서, 과류방지밸브(52) 연료펌프(20)에서 과도하게 토출되어 차량의 엔진으로 향하는 연료를 통제하여 엔진의 이상 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제1 차단밸브(51)는 연료가 차량의 엔진으로 향하는 모든 통로의 과류를 방지 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엔진공급관(53)은 과류방지밸브(52)와 연결되되, 과류방지밸브(52)가 제1 차단밸브(51)와 연결된 단의 타 단에 연결된다.
여기서, 엔진공급관(53)은 연료펌프(20)에서 토출되어 제1 차단밸브(51)와 과류방지밸브(52)를 순서대로 거친 연료를 엔진까지 도달 가능하도록 연결해준다.
이 때, 엔진공급관(53)은 연료의 내부 조기 기화와 그로 인한 결로 발생을 최소화 하기 위해 유리섬유/현무암섬유 복합재(FRP)를 이용한 피복 및 스테인레스 재질의 2중 구조 적용을 통해 연료 전달 과정 상의 단열 효과를 높일 수 있으나 한정되는 사항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펌프를 구비한 차량용 초저온 연료탱크는 충전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충전부(60)는 제1 T피팅(31)과 연결되어, 연결된 제1 T피팅(31)을 통해서 초저온 연료가 연료탱크(10) 내부로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게 하는 구성으로, 연료탱크(10)의 방향으로 향하는 연료의 역류를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연료 저장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충전부(60)는 충전리셉터클(61), 충전관(62) 및 체크밸브(63)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리셉터클(61)은 연료탱크(10)의 외측 방향으로 노출되어 연료를 공급하는 충전기의 노즐과 결합하여 연료를 공급받기 위한 입구역할을 한다.
여기서, 충전리셉터클(61)은 충전기 노즐과 결합 시 연료의 누출이 없도록 결합될 수 있도록 정해진 표준 규격을 준수하여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충전리셉터클(61)은 1차적으로 유입된 연료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관(62)은 충전리셉터클(61)과 연결되며, 충전리셉터클(61)을 통해 유입된 연료가 연료탱크(1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배관 형태로 형성된다.
이 때, 충전관(62)은 연료의 내부 조기 기화와 그로 인한 결로 발생을 최소화 하기 위해 유리섬유/현무암섬유 복합재(FRP)를 이용한 피복 및 스테인레스 재질의 2중 구조 적용을 통해 연료 전달 과정 상의 단열 효과를 높일 수 있으나 한정되는 사항은 아니다.
체크밸브(63)는 일 단이 충전관(62)과 연결되고 타 단이 제2 T피팅(32)과 연결된다.
여기서, 체크밸브(63)는 연료탱크(10) 내부 방향으로 유입되는 연료가 통과되면 반대 방향으로 역류하지 못하도록 하여 연료탱크(10) 내부에 연료가 안정적으로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체크밸브(63)는 연료탱크(10) 내부 방향으로 연료가 흐르도록 하는 모든 배관에 설치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펌프를 구비한 차량용 초저온 연료탱크는 가스배출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스배출부(70)는 연료탱크(10)로 연료 충전 시 연료탱크(10) 내부의 기화된 연료로 인해 높아진 압력을 낮추기 위해 기화된 연료를 방출할 수 있다.
이 때, 가스배출부(70)는 제2 차단밸브(71), 가스배출관(72) 및 벤트리셉터클(7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차단밸브(71)는 일 단이 제2 십자관(35)과 연결되며, 기화된 가스형태의 연료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는 밸브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2 차단밸브(71)는 기화된 연료가 외부로 향하는 통로를 모두 통제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제2 차단밸브(71)는 게이트벨브, 볼밸브, 글로브밸브 등 한정되지 않은 여러 형태가 선택적으로 적용되어 기화된 연료의 흐름과 차단, 통과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2 차단밸브(71)는 밸브 조절 방식이 수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으며, 추가적인 기계적 구성을 포함하여 특정 상황에서 자동으로 기계장치에 의해 밸브가 제어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스배출관(72)은 제2 차단밸브(71)와 연결되되, 제2 차단밸브(71)가 제2 십자관(35)과 연결되는 단의 반대 단과 연결된다.
또한, 가스배출관(72)은 연료탱크(10) 내부의 기화된 연료가 후술할 벤트리셉터클(73)에 도달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관 형태로 형성된다.
이 때, 가스배출관(72)은 외부 열로 인한 기화된 연료의 팽창을 최소화 하기 위해 유리섬유/현무암섬유 복합재(FRP)를 이용한 피복 및 스테인레스 재질의 2중 구조 적용을 통해 연료 전달 과정 상의 단열 효과를 높일 수 있으나 한정되는 사항은 아니다.
벤트리셉터클(73) 연료탱크(10)의 외측 방향으로 노출되어 기화된 연료를 회수할 수 있는 가스 회수 노즐과 결합하여 기화된 연료의 배출을 위한 출구 역할을 한다.
여기서, 벤트리셉터클(73)은 가스 회수 노즐과 결합 시 연료의 누출이 없도록 결합될 수 있도록 정해진 표준 규격을 준수하여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관집적부에 단열케이스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은 도 8에 도시된 단열케이스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열케이스에 미세 천공이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와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관집적부(30)는 단열케이스(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열케이스(80)는 배관집적부(30) 및 근접 배관 부재의 외부를 감싸 추가적으로 단열하여 연료의 이동 간에 외부 열에 의한 기화 및 팽창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단열케이스(80)는 L형 플랜지와 그에 집적되어 설치된 상기 제1 및 제2 T피팅(31, 32), 연료펌프(20) 및 상기 제1 및 제2 T피팅(31, 32)과 연결된 부재 중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케이스(80)는 확장단열케이스(80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확장단열케이스(80a)는 단열케이스(80)로부터 한정되지 않은 여러 방향으로 확장 또는 추가되어 배관집적부(30)에 연결된 제1 및 제2 십자관(34, 35)과 그에 연결된 배관 부재들을 추가로 감싸 단열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단열케이스(80) 및 확장단열케이스(80a)는 스테인리스 소재가 이중으로 형성되거나 유리섬유/현무암섬유 복합재(FRP)로 덮여 단열 효과를 높일 수 있으나 한정되는 사항은 아니다.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단열케이스(80) 및 확장단열케이스(80a)는 외부단열케이스(81) 및 내부단열케이스(82)를 포함하여 이중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외부단열케이스(81) 및 내부단열케이스(82) 사이 공간에 흡습재(83) 및 단열재(83)가 내재될 수 있도록 공간이 마련되며, 외부단열케이스(81) 및 내부단열케이스(82)의 표면에 복수의 미세천공(M)이 형성 되어 단열 효과를 유지하면서, 통풍을 통한 단열케이스(80) 내부의 결로를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단열케이스(80)의 이중구조로 인한 사이 공간에는 톱밥, 글라스울 등의 한정되지 않은 여러 단열재(83)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선택되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단열케이스(80)의 이중구조로 인한 사이 공간에는 실리카겔 등의 한정되지 않은 여러 흡습재(83)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선택되어 삽입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연료탱크
11: 내부탱크
12: 외부탱크
13: 진공밸브
20: 연료펌프
21: 펌프케이싱
30: 배관집적부
31: 제1 T피팅
32: 제2 T피팅
33: L형 플랜지
331: 연료탱크결합판
332: 내부배관판
333: 관통결합홀
33a: 제1 내부배관
33b: 제2 내부배관
34: 제1 십자관
35: 제2 십자관
36: 연료배출관
40: 통합제어부
41: 온도압력센서
42: 압력계
43: 통합제어기
50: 엔진공급부
51: 제1 차단밸브
52: 과류방지밸브
53: 엔진공급관
60: 충전부
61: 충전리셉터클
62: 충전관
63: 체크밸브
70: 가스배출부
71: 제2 차단밸브
72: 가스배출관
73: 벤트리셉터클
80: 단열케이스
80a: 확장단열케이스
81: 외부단열케이스
82: 내부단열케이스
83: 단열재/흡습재
91: 1차릴리프밸브
92: 2차릴리프밸브
M: 미세천공
S: 이격 공간

Claims (12)

  1. 차량의 엔진에 공급되는 초저온 연료가 저장되는 내부탱크 및 내부에 상기 내부탱크를 수용하되 상기 내부탱크와 진공으로 형성된 이격공간을 구비한 외부탱크을 포함하는 연료탱크;
    상기 연료탱크에 저장된 초저온 연료를 일정 범위의 압력 및 시간당 토출량으로 토출 가능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탱크의 외면에 설치되는 연료펌프 및
    상기 연료탱크 내부의 초저온 연료의 출입 경로가 되는 배관을 집적화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배관집적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관집적부는,
    일단이 상기 내부탱크의 일단면을 관통하여 내부로 내재되며, 초저온 연료가 따라 이동하도록 형성된 제1 T피팅;
    상기 제1 T피팅과 이웃한 위치에서 일단이 상기 내부탱크의 일단면을 관통하여 내부로 내재되며, 초저온 연료가 따라 이동하도록 형성된 제2 T피팅;
    상기 연료탱크의 외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1 및 제2 T피팅이 관통하여 고정결합되며, 상기 연료펌프가 일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 T피팅을 통해 토출되는 연료를 펌프 및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분배하며, 상기 제2 T피팅을 통해 토출되는 초저온 연료를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분배하는 L형 플랜지;
    일 단이 상기 L형 플랜지 측부에 연결고정되며, 십자 형태의 관으로 형성되는 제1 십자관;
    일 단이 상기 L형 플랜지 측부에 연결고정되며, 십자 형태의 관으로 형성되는 제2 십자관 및
    일 단이 상기 연료펌프와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제1 십자관의 일 단과 연결되며, 펌프에 의해 기설정된 압력으로 압축된 연료가 따라 토출되는 연료배출관을 포함하는 펌프를 구비한 차량용 초저온 연료탱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펌프는,
    터빈펌프, 원심펌프, 로터리펌프, 베인펌프, 솔레노이드펌프 중 선택적으로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연료탱크에 저장되는 액상과 가스상의 연료를 1000kPa 이상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120kg/h 이하의 용량으로 토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를 구비한 차량용 초저온 연료탱크.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초저온 연료탱크는,
    상기 연료탱크 내부 연료의 상태 측정 정보를 받아 펌프 내 연료의 관리 및 토출을 제어하고, 잔여 연료량을 측정하여 알리며, 가스 누출 알람을 제어하는 통합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합제어부는,
    상기 제1 십자관과 연결되며, 상기 연료펌프를 거쳐 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의 온도와 압력을 측정하는 온도압력센서;
    상기 제2 십자관과 연결되며, 상기 연료탱크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 및
    상기 연료펌프, 상기 온도압력센서, 상기 압력계의 상태 측정 정보를 받아 펌프 내 연료의 관리 및 토출을 제어하고, 잔여 연료량을 측정하여 알리며, 가스 누출 알람을 제어하는 통합제어기를 포함하는 펌프를 구비한 차량용 초저온 연료탱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초저온 연료탱크는,
    상기 제2 십자관과 연결되며, 상기 내부탱크의 압력이 기 설정된 기준 이상일 경우 내부 연료를 방출시킬 수 있는 1차릴리프밸브;
    상기 제2 T피팅의 일단과 연결되며, 상기 내부탱크의 압력이 기 설정된 기준 이상일 경우 내부 연료를 방출시킬 수 있는 2차릴리프밸브를 더 포함하는 펌프를 구비한 차량용 초저온 연료탱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초저온 연료탱크는,
    상기 연료탱크 내부의 연료가 엔진으로 공급되는 것을 조절 및 제어하는 엔진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엔진공급부는,
    일 단이 상기 제1 십자관과 연결되며, 연료의 공급과 차단을 조절하는 제1 차단밸브;
    상기 제1 차단밸브의 타 단과 연결되며 엔진으로의 과다 연료 공급을 막는 과류방지밸브 및
    상기 과류방지밸브의 타 단에 연결되며 엔진까지 연결되는 엔진공급관을 포함하는 펌프를 구비한 차량용 초저온 연료탱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초저온 연료탱크는,
    상기 연료탱크 내부로 연료가 유입되게 하며, 연료의 역류를 방지하는 충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전부는,
    상기 제1 T피팅과 연결되며, 상기 연료탱크 내부로 입력되는 연료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
    상기 체크밸브의 타 단에 결합되는 충전관 및
    상기 충전관의 타 단과 연결되며 상기 연료탱크 외측 방향으로 노출되어 연료 충전 노즐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충전리셉터클을 포함하는 펌프를 구비한 차량용 초저온 연료탱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초저온 연료탱크는,
    상기 연료탱크 내부 가스 상태 연료의 배출과 차단을 조절하는 가스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스배출부는,
    일 단이 상기 제2 십자관의 일 단과 연결되며, 상기 연료탱크 내부의 가스 배출과 차단을 조절하는 제2 차단밸브;
    상기 제2 차단밸브의 타 단과 연결되는 가스배출관 및
    상기 가스배출관의 타 단과 연결되며 상기 연료탱크의 외측 방향으로 노출되어 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벤트리셉터클을 포함하는 펌프를 구비한 차량용 초저온 연료탱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집적부는,
    상기 L형 플랜지와 그에 의해 집적되어 설치된 상기 제1 T피팅, 상기 제2 T피팅 및 상기 연료펌프를 감싸되, 상기 제1 및 제2 T피팅과 연결된 부재 중 일부까지 감싸도록 형성되며, L형 플랜지에 의해 고정되어 연료가 상기 제1 및 제2 T피팅을 따라 펌프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외부열에 의한 연료의 기화를 방지하는 단열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펌프를 구비한 차량용 초저온 연료탱크.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케이스는,
    스테인리스 소재가 적용되어 이중으로 형성되거나 유리섬유/현무암섬유 복합재(FRP)가 적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를 구비한 차량용 초저온 연료탱크.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케이스는,
    이중 구조로 형성되되, 이중 구조 사이 공간에 흡습재 및 단열재가 내재될 수 있도록 이격공간이 마련되며, 표면에 내외부 방향으로 복수의 미세 타공이 되어 단열케이스 내부 단열 및 결로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형성되는 펌프를 구비한 차량용 초저온 연료탱크.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배출관은,
    스테인리스 소재로 이중 관 형태로 형성되거나 유리섬유/현무암섬유 복합재(FRP)가 적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를 구비한 차량용 초저온 연료탱크.
KR1020210090412A 2021-07-09 2021-07-09 펌프를 구비한 차량용 초저온 연료탱크 KR102521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0412A KR102521520B1 (ko) 2021-07-09 2021-07-09 펌프를 구비한 차량용 초저온 연료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0412A KR102521520B1 (ko) 2021-07-09 2021-07-09 펌프를 구비한 차량용 초저온 연료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9696A KR20230009696A (ko) 2023-01-17
KR102521520B1 true KR102521520B1 (ko) 2023-04-12

Family

ID=85111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0412A KR102521520B1 (ko) 2021-07-09 2021-07-09 펌프를 구비한 차량용 초저온 연료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152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030B1 (ko) * 2008-09-25 2014-02-11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Lng 차량의 연료장치
US20160017835A1 (en) * 2012-11-23 2016-01-21 Westport Power Inc.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A Gaseous Fuel Into The Air Intake System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212318180U (zh) * 2020-06-15 2021-01-08 英嘉动力科技无锡有限公司 一种新型lng车载气瓶总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030B1 (ko) * 2008-09-25 2014-02-11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Lng 차량의 연료장치
US20160017835A1 (en) * 2012-11-23 2016-01-21 Westport Power Inc.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A Gaseous Fuel Into The Air Intake System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212318180U (zh) * 2020-06-15 2021-01-08 英嘉动力科技无锡有限公司 一种新型lng车载气瓶总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9696A (ko) 2023-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43358C (zh) 低温液体存储罐及重新填充该存储罐的方法
CA2224749C (en) Cryogenic fluid system and method of pumping cryogenic fluid
US8650887B2 (en) Storage tank for a cryogenic fluid with a partitioned cryogen space
US7036322B2 (en) Storage tank for cryogenic liquids
US9829156B2 (en) Integrated cryogenic fluid delivery device with vaporizer having a conformal geometry
US8403000B2 (en) Assembly and system for tank filling, withdrawal and pressure management of a cryogenic liquid
CN113574308B (zh) 海上船舶中的燃料箱装置和从液态氢燃料箱装置中释放氢气的方法
KR101113153B1 (ko) 저장 탱크 조립체
JPH10176796A (ja) Lngの貯蔵タンク
US6250290B1 (en) Cooled LPG fuel rail
US9581295B2 (en) Economizer biasing valve for cryogenic fluids
KR102521520B1 (ko) 펌프를 구비한 차량용 초저온 연료탱크
US11118736B2 (en) Space conserving integrated cryogenic fluid delivery system
JP2023539765A (ja) 圧力容器、圧力容器システム、および燃料レールを備えた自動車
JPH07247929A (ja) 燃料送出しシステム
WO2005070103A2 (en) Pressure control device for cryogenic liquid vessel
KR101120007B1 (ko) 누설 가스연료 감지 및 포집 기능을 갖춘 압축천연가스 차량용 레귤레이터
JPH06241398A (ja) ガス充填設備
JP2007009982A (ja) 液化ガスのガス供給設備
US3527379A (en) Systems and tanks therefor for storing products in the liquid phase that are normally in the gas phase
JP5415863B2 (ja) 水素の貯蔵供給ステーション
US2316495A (en) Liquefied gas dispensing system
RU21641U1 (ru) Бак криогенный топливный двигате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работающего на сжиженном природном газе
KR20090052050A (ko) Lng 차량의 연료장치
RU2315192C2 (ru)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мывочной системы для инжекторов на жидком топливе в газовых турбина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