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1497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1497B1
KR102521497B1 KR1020160000545A KR20160000545A KR102521497B1 KR 102521497 B1 KR102521497 B1 KR 102521497B1 KR 1020160000545 A KR1020160000545 A KR 1020160000545A KR 20160000545 A KR20160000545 A KR 20160000545A KR 102521497 B1 KR102521497 B1 KR 102521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main
discharge port
closing member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0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9550A (ko
Inventor
신문선
천성현
김권진
김종활
서형준
윤연섭
이원희
정창우
최강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5/280,389 priority Critical patent/US10578319B2/en
Priority to CN201610874029.1A priority patent/CN106560661B/zh
Publication of KR20170039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9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78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24F2130/30Artificial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0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와, 본체 내에 배치되는 송풍팬과, 송풍팬에서 토출된 공기가 토출되는 메인 토출구와 메인 토출구 주위에 마련되는 복수의 미세 토출구들을 포함하는 토출 패널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며 메인 토출구를 폐쇄하는 개폐부재와, 개폐부재의 배면에 배치되어 후방측으로 광을 조사하는 조명장치를 포함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개폐부재의 이동에 따라 조명장치에 의해 밝혀지는 영역이 변경되므로, 사용자가 공기조화기의 동작 상태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동작 상태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갖춘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동사이클을 통해 냉기 또는 온기를 발생시키고 이를 실내 공간에 공급하여 실내 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근래 이러한 공기조화기 중에는 일반적인 메인 토출구 및 메인 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 메인 토출구 주위에 마련되어 개폐부재에 의해 메인 토출구가 폐쇄되었을 때 공기를 토출하는 미세 토출구들을 포함한 공기조화기가 제시되었다.
따라서, 공기조화기는 메인 토출구를 개방하여 공기가 메인 토출구를 통해 빠른 속도로 토출되도록 제 1 모드와, 개폐부재를 통해 메인 토출구를 폐쇄하여 공기가 미세 토출구들을 통해 초저속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제 2 모드로 동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공기조화기가 제 2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메인 토출구가 개폐부재에 의해 폐쇄되어 있는 상태이며, 공기가 매우 느린 속도로 미세 토출구들을 통해 토출되므로, 시각 및 피부 감각으로 공기조화기의 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사용자가 동작 상태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장치를 갖춘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에서 토출된 공기가 토출되는 메인 토출구와 상기 메인 토출구 주위에 마련되는 복수의 미세 토출구들을 포함하는 토출 패널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메인 토출구를 폐쇄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의 배면에 배치되어 후방측으로 광을 조사하는 조명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토출구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재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장치는 원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개폐부의 후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는 그 후면에 원환 형상으로 오목하게 마련된 안착홈을 포함하며, 상기 조명장치는 원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안착홈에 수용되는 광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명장치는 광이 통과할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형성되며 원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을 덮는 투명창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광원은 기판과, 상기 기판에 배치된 발광 다이오드와, 원환 형상으로 형성된 도광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기판의 양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광부재는 호 형상으로 연장된 복수의 도광부와, 상기 복수의 도광부들 사이에 마련되어 양면에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이 각각 설치된 상기 기판이 각각 설치되는 홈을 형성하는 복수의 설치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광부재는 그 전면에 프리즘 형상으로 마련되어 광을 후방측으로 반사하는 반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개폐부의 후면 중앙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된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그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이동부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 가이드부는 후방측으로 진행하며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직경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토출구와 상기 메인 토출구 주변에 마련되는 미세 토출구들이 마련된 토출 패널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메인 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의 배면에 설치된 조명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장치는 상기 개폐부재가 전방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토출 패널의 상기 메인 토출구 인접부가 밝혀지도록 하며, 상기 개폐부재가 후방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미세 토출구들을 통해 상기 토출 패널이 전체적으로 밝혀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메인 토출구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재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 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장치는 원환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메인 토출구 내측에 배치되는 이송 가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개폐부의 후방 중앙측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이송 가이드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 가이드는 후방측으로 진행하며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직경을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개폐부재의 이동에 따라 조명장치에 의해 조명되는 영역이 변경되므로, 공기조화기의 동작 모드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개폐부재의 설치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개폐부재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조명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기판 및 발광 다이오드의 설치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공기조화기가 제 1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공기조화기가 제 2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공기조화기가 제 1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공기조화기가 제 2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공기조화기는 냉동사이클을 통해 실내 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로, 본 실시예에서는 냉방에 사 사용되는 공기조화기를 일례로 설명한다.
공기조화기에 사용되는 냉동사이클은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공기에 의해 냉각되며 응축되도록 하는 응축기와,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감압 팽창시키는 팽창밸브와, 팽창 밸브에서 팽창된 냉기가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증발하도록 하는 증발기로 이루어진다.
공기조화기는 실외 공간에 배치되는 실외기와, 실내 공간에 배치되는 실내기를 포함한다. 실외기는 상술한 압축기, 응축기 및 팽창밸브와 함께 실외 공기가 응축기를 통과하는 냉매와 열교환하도록 하는 실외 송풍팬을 포함하며, 실내기는 상술한 증발기와 함께 실내 공기가 증발기를 통과하는 냉매와 열교환하도록 하는 실내 송풍팬을 포함한다.
공기조화기는 증발기에 의해 열을 빼앗긴 저온의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여 실내 공간을 냉각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 내부 후방측에 배치되어 본체(10) 내로 흡입된 공기와 열교환하여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11)와, 회전하며 공기를 흡입 및 토출하여 공기가 본체(10) 내로 흡입되었다가 다시 본체(10)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송풍팬(12)과, 송풍팬(12)을 동작시키는 구동모터(13)를 포함한다.
본체(10)는 그 후면에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0a)가 마련되며, 전면에 메인 토출구(18a)를 형성하는 토출 패널(18)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서 토출 패널(18)은 대략 상하로 긴 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10)의 전면 상부를 형성하며, 세 개의 메인 토출구(18a)가 상하로 마련된다. 또한, 토출 패널(18)에는 메인 토출구(18a)들에 비해 매우 작은 크기로 형성된 미세 토출구(미도시)들이 메인 토출구(18a)들 주위에 전체적으로 고르게 마련된다.
메인 토출구(18a)들은 원형으로 각각 형성되며, 각 메인 토출구(18a)에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메인 토출구(18a)를 개폐하는 개폐부재(15)가 각각 배치된다. 또한, 본체(10) 내부에는 도면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개폐부재(15)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 시키기 위한 이송유닛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송유닛은 후술할 토출 안내 프레임(17)에 설치된 이송 가이드(17b) 내에 배치된다.
증발기(11)는 상하로 길게 연장되며, 송풍팬(12)은 세 개의 송풍팬(12)이 상하로 배치되어 증발기(11)의 상부, 중간부 및 하부에 각각 대응한다. 본 실시예에서 송풍팬(12)은 후방측에 마련된 증발기(11)측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전방측으로 경사지게 토출하는 사류팬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체(10)는 내부에 증발기(11)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송풍팬(12)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흡입 안내 프레임(16)과, 흡입 안내 프레임(16)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송풍팬(12)에서 토출된 공기를 안내하는 토출 안내 프레임(17)을 포함한다.
흡입 안내 프레임(16)은 송풍팬(12)이 배치되어 증발기(11)측으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흡입유로(16a)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흡입 안내 프레임(16)은 세 송풍팬(12)과 대응하도록 상하로 마련된 세 개의 흡입유로(16a)를 포함한다.
토출 안내 프레임(17)은 그 전면은 토출 패널(18)의 후면과 이격되어 메인 토출구(18a)가 폐쇄된 상태에서 송풍팬(12)에서 토출된 공기를 미세 토출구들로 안내하는 유로를 형성한다.
토출 안내 프레임(17)은 원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송풍팬(12)에서 토출된 공기를 안내하는 토출 그릴(17a)을 포함한다. 토출 안내 프레임(17)에는 토출 그릴(17a)의 중앙측 전면에 개폐부재(15)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이송유닛(미도시)이 내부에 포함된 이송 가이드(17b)가 배치되며, 토출 그릴(17a)의 중앙측 후면에는 상술한 구동모터(13)가 설치된다. 즉, 이송 가이드(17b)가 메인 토출구(18a) 내측에 배치되어 개폐부재(15)의 이동을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송 가이드(17b)는 후방측으로 진행하며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대략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이송 가이드(17b)의 측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이송 가이드(17b) 외면은 광의 반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백색 또는 금속성 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토출 안내 프레임(17)의 전면에는 대략 원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토출 그릴(17a)을 통과한 공기를 안내하는 토출 가이드(14)들이 설치된다.
토출 가이드(14)는 전방측에 마련된 메인 토출구(18a)와 연결되어 메인 토출구(18a)로 공기를 안내하는 제 1 개구(14a)와, 공기를 반경 방향 외측으로 안내하는 제 2 개구(14b)를 포함한다. 제 1 개구(14a)는 메인 토출구(18a)와 함께 개폐부재(15)에 의해 개폐된다.
따라서 메인 토출구(18a) 및 제 1 개구(14a)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송풍팬(12)에서 토출된 공기가 제 1 개구(14a) 및 메인 토출구(18a)를 통해 토출되며, 메인 토출구(18a) 및 제 1 개구(14a)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송풍팬(12)에서 토출된 공기가 제 2 개구(14b)를 통해 토출 패널(18)과 토출 안내 프레임(17) 사이의 유로로 전달된다.
개폐부재(15)는 메인 토출구(18a)와 대응하도록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메인 토출구(18a)를 개폐하는 개폐부(15a)와, 개폐부(15a)의 후면 중앙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이송 가이드(17b)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15b)를 포함한다.
따라서 개폐부재(15)가 이송유닛에 의해 전방측으로 이동하여 메인 토출구(18a)가 개방된 상태(제 1모드)에서는 송풍팬에서 토출된 공기가 토출 가이드의 제 1 개구(14a) 및 메인 토출구(18a)를 통해 고속으로 토출된다.
또한 개폐부재(15)가 이송유닛에 의해 후방측으로 이동하여 메인 토출구(18a)가 폐쇄된 상태(제 2모드)에서는 송풍팬(12)에서 토출된 공기가 토출 가이드(14)의 제 2 개구(14b)를 통해 토출 패널(18)과 토출 안내 프레임(17) 사이의 유로로 전달되었다가 토출 패널(18)에 마련된 미세 토출구들을 통해 저속으로 토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부재(15)의 개폐부(15a) 후면에 배치되는 조명장치(19)를 포함한다.
조명장치(19)는 원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개폐부(15a)의 후면에 설치되며, 개폐부(15a)의 후면에는 조명장치(19)가 안착 설치되는 안착홈(15c)이 원환 형상으로 오목하게 마련된다.
조명장치(19)는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과, 투명재질로 형성되며 안착홈(15c)을 덮어 안착홈(15c) 내에 설치된 광원을 보호하는 투명창(193)을 포함한다.
광원은 광을 발생시키는 발광체(191)를 포함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발광체(191)는 기판(191a)과, 기판(191a)에 설치된 발광 다이오드(191b)와, 투명 재질로 형성되되 원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발광 다이오드(191b)에서 발생한 광을 안내하는 도광부재(19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발광 다이오드(191b)는 기판(191a)의 양면에 각각 설치되어 양측방으로 광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광부재(192)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광을 안내하는 두 개의 도광부(192b)와, 두 도광부(192b)의 양단 사이에 마련되며 양면에 발광 다이오드(191b)가 각각 설치된 기판(191a)이 각각 설치되는 홈을 형성하는 두 개의 설치부(192a)를 포함한다. 이때, 발광 다이오드(191b)들은 도광부(192b)들의 끝단측과 대향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발광 다이오드(191b)들에서 발생한 광은 도광부(192b)들의 끝단측을 통해 입사되어 호 형상의 도광부(192b)들을 따라 이동하므로, 원환 형상으로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이 된다.
또한 도광부재(192)의 전면에는 프리즘 형태의 반사부(192c)가 마련되어, 도광부재(192) 내로 입사된 광을 보다 효율적으로 후방측으로 반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도광부(192b) 및 두 개의 설치부(192a)가 마련되어 있으나, 이는 일례를 보인 것으로, 필요에 따라서는 도광부(192b) 및 설치부(192a)가 세 개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조명장치(19)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개폐부재(15)의 후면에 배치하면, 개폐부재(15)의 위치에 따라 조명장치에 의해 밝혀지는 영역이 변경된다.
도 7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부재(15)가 전방측으로 이동하여 메인 토출구(18a)가 개방된 상태, 즉, 공기조화기가 제 1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상태에서 조명장치(19)에서 광이 후방측으로 조사되면, 조명장치(19)에서 조사된 광의 대부분은 본체(10) 내측을 향해 조사되고, 광의 외곽측 일부만이 메인 토출구(18a)와 인접한 토출 패널(18)의 일부 영역만을 밝힌다. 즉, 메인 토출구(18a)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고 있는 상태라는 것을 사용자가 알 수 있다.
또한 도 8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부재(15)가 후방측으로 이동하여 메인 토출구(18a) 및 제 1 개구(14a)가 폐쇄된 상태, 즉, 공기조화기가 제 2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상태에서 조명장치(19)에서 광이 후방측으로 조사되면, 조명장치(19)에서 조사된 광 중 내측으로 조사되는 광들이 경사면으로 형성된 이송 가이드(17b)의 측면에 의해 반사되어 토출 가이드(14)에 마련된 제 2 개구(14b)를 통해 토출 패널(18)과 토출 안내 프레임(17) 사이의 공간으로 전달되고, 다시 토출 안내 프레임(17)의 전면에 의해 반사되어 미세 토출구들을 통해 본체(10)의 전방측으로 전달된다. 즉, 공기조화기가 제 2 모드로 동작할 경우에는 토출 패널(18)이 전체적으로 밝아져 토출 패널(18)에 전체적으로 마련된 미세 토출구들을 통해 공기가 토출되고 있는 상태라는 것을 사용자가 쉽게 알 수 있다.
즉, 공기조화기가 제 1 모드와 제 2 모드 중 어느 모드로 동작하는 지를 광이 비춰지는 영역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광원은 기판(191a), 발광 다이오드(191b) 및 도광부재(192)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원환 형상으로 형성된 다양한 종류의 선형 광원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191b)에서 발생한 광을 원환 형상의 도광부재(192)를 통해 안내하여 조명장치(19)가 원환 형상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방측으로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들이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본체 11: 증발기
12: 송풍팬 13: 구동모터
14: 토출 가이드 15: 개폐부재
16: 흡입 안내 프레임 17: 토출 안내 프레임
18: 토출 패널 19: 조명장치

Claims (12)

  1.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에서 토출된 공기가 토출되는 메인 토출구와 상기 메인 토출구 주위에 마련되는 복수의 미세 토출구들을 포함하는 토출 패널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메인 토출구를 폐쇄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의 배면에 배치되어 후방측으로 광을 조사하는 조명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토출구가 폐쇄되면 상기 송풍팬에서 토출된 상기 공기가 상기 메인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의 토출이 차단되고, 상기 복수의 미세 토출구들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고,
    상기 메인 토출구가 폐쇄되면 상기 조명장치로부터 조사된 상기 광은 상기 메인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의 조사가 차단되고, 상기 복수의 미세 토출구들을 통해 외부로 조사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토출구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재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 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장치는 원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개폐부의 후면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그 후면에 원환 형상으로 오목하게 마련된 안착홈을 포함하며,
    상기 조명장치는 원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안착홈에 수용되는 광원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는 광이 통과할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형성되며 원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을 덮는 투명창을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기판과, 상기 기판에 배치된 발광 다이오드와, 원환 형상으로 형성된 도광부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기판의 양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재는 호 형상으로 연장된 복수의 도광부와, 상기 복수의 도광부들 사이에 마련되어 양면에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이 각각 설치된 상기 기판이 각각 설치되는 홈을 형성하는 복수의 설치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재는 그 전면에 프리즘 형상으로 마련되어 광을 후방측으로 반사하는 반사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개폐부의 후면 중앙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된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그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이동부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 가이드부는 후방측으로 진행하며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직경을 갖는 공기조화기.
  10. 적어도 하나의 메인 토출구와 상기 메인 토출구 주변에 마련되는 미세 토출구들이 마련된 토출 패널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메인 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의 배면에 설치된 조명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장치는 상기 개폐부재가 전방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토출 패널의 상기 메인 토출구 인접부가 밝혀지도록 하며, 상기 개폐부재가 후방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미세 토출구들을 통해 상기 토출 패널이 전체적으로 밝혀지도록 하고,
    상기 메인 토출구가 폐쇄되면 공기가 상기 메인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의 토출이 차단되고, 상기 미세 토출구들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고,
    상기 메인 토출구가 폐쇄되면 상기 조명장치로부터의 광은 상기 메인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의 조사가 차단되고, 상기 미세 토출구들을 통해 외부로 조사되는 공기조화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토출구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재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 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장치는 원환 형상으로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토출구 내측에 배치되는 이송 가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개폐부의 후방 중앙측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이송 가이드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 가이드는 후방측으로 진행하며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직경을 갖는 공기조화기.
KR1020160000545A 2015-10-01 2016-01-04 공기조화기 KR102521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280,389 US10578319B2 (en) 2015-10-01 2016-09-29 Air conditioner
CN201610874029.1A CN106560661B (zh) 2015-10-01 2016-09-30 空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38299 2015-10-01
KR1020150138299 2015-10-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550A KR20170039550A (ko) 2017-04-11
KR102521497B1 true KR102521497B1 (ko) 2023-04-14

Family

ID=58580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0545A KR102521497B1 (ko) 2015-10-01 2016-01-04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14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2318A1 (zh) * 2019-10-30 2021-05-06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
KR102471132B1 (ko) * 2020-07-10 2022-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6995A (ja) * 2002-11-27 2004-06-24 Fujitsu General Ltd 温水暖房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5910A (ko) * 2008-11-18 2010-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팅유닛 및 이를 갖는 공기조화기
KR20140037985A (ko) * 2012-09-12 2014-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33690B1 (ko) * 2013-01-04 2019-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6995A (ja) * 2002-11-27 2004-06-24 Fujitsu General Ltd 温水暖房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550A (ko) 2017-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8319B2 (en) Air conditioner
KR102384842B1 (ko) 공기조화기
KR102530178B1 (ko) 공기조화기
EP1857757A2 (en) Refrigerator
KR102033689B1 (ko) 공기조화기
KR20170085909A (ko) 공기조화기
KR20180032439A (ko) 공기조화기
KR101861665B1 (ko) 냉장고
KR102521497B1 (ko) 공기조화기
EP2813768B1 (en) Air conditioner with illumination
JP6355359B2 (ja) 冷蔵庫
WO2016132537A1 (ja) 冷蔵庫
US10508804B2 (en) Stage lighting fixture thermal system capable of dynamically adjusting air flow delivery
KR20140092956A (ko) 공기조화기
KR20110019075A (ko) 냉장고
JP2001349666A (ja) 冷蔵庫
JP2011019634A (ja) ショーケース
KR100294670B1 (ko) 냉난방겸용공기조화기
KR100294673B1 (ko) 냉난방겸용공기조화기
KR101780397B1 (ko) 자외선 엘이디가 구비된 냉장고
KR20100005528A (ko) 공기조화기
KR20070093298A (ko) 냉장고의 기계실 커버
KR20080001250A (ko) 냉장고의 조명장치
KR101821810B1 (ko) 자외선 엘이디가 구비된 냉장고
KR20000034222A (ko)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