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1118B1 - 공중화장실의 문틈의 손가락끼움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공중화장실의 문틈의 손가락끼움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1118B1
KR102521118B1 KR1020210103660A KR20210103660A KR102521118B1 KR 102521118 B1 KR102521118 B1 KR 102521118B1 KR 1020210103660 A KR1020210103660 A KR 1020210103660A KR 20210103660 A KR20210103660 A KR 20210103660A KR 102521118 B1 KR102521118 B1 KR 102521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finger insertion
finger
cylinder
insertion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3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1831A (ko
Inventor
윤장노
Original Assignee
윤장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장노 filed Critical 윤장노
Priority to KR1020210103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1118B1/ko
Publication of KR20230021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1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54Covers, e.g. for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06B7/367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by covering the gap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at the hinge sid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54Covers, e.g. for protection
    • E05D2011/0072Covers, e.g. for protection for the gap between hing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중화장실에서 전면판과 전면판과의 사이에는 문짝을 상하로 이격 장착되는 한 쌍의 힌지로 설치하되, 상기 상측힌지의 하단과 하측힌지의 상단과의 사이에 손가락끼움방지봉을 이탈되지 않도록 일체형으로 결합시켜 상측힌지와 하측힌지와의 사이에서 전면판과 문짝과의 사이로 손가락이 끼워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공중화장실용 힌지와 힌지 사이의 손가락끼움방지봉이다.
본 발명은, 상측힌지와 하측힌지와의 사이에서 전면판과 문짝과의 사이로 손가락이 끼워지는 것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특히 유아들의 손가락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측힌지와 하측힌지와의 사이에 결합되는 손가락끼움방지봉의 모양과 색상을 다양하게 하여 화장실의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손가락끼움방지봉을 둘이상으로 분할하여 용이하게 성형(제조) 및 설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중화장실의 문틈의 손가락끼움방지장치{A Finger Insert Privent Apparatus for Public Toilet}
본 발명은 공중화장실의 문틈의 손가락끼움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공중화로장실에서 전면판과 전면판과의 사이에는 문짝을 상하로 이격 장착되는 한 쌍의 힌지로 설치하되, 상기 상측힌지의 하단과 하측힌지의 상단과의 사이에 손가락끼움방지봉을 이탈되지 않도록 일체형으로 결합시켜상측힌지와 하측힌지와의 사이에서 전면판과 문짝과의 사이로 손가락이 끼워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공중화장실의 문틈의 손가락끼움방지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일반 실내의 방(룸) 및 공중화장실로(조립식화장실; 실내공중화장실, 야외공중화장실, 이동식야외화장실)의 출입구에는 출입문이 설치된다.
예컨대, 종래의 공중화장실(조립식화장실)로는, 국내의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1987-3523호(조립식화장실), 실용신안등록 제20-0293200호(공중화장실)을 비롯하여, 실용신안등록 제20-0193214호(조립식 화장실 칸막이), 실용신안등록 제20-0210583호(조립식 화장실 칸막이), 실용신안등록 제20-0352973호(조립식 화장실 칸막이), 특허등록제10-0647727호(문짝지지틀), 특허등록 제10-0647730호(상부러너), 특허등록 제10-0647732호(칸막이벽체 설치용 모서리연결구), 특허등록 제10-0396117호(조립식 수세식 간이 화장실), 특허등록 제10-0821934호(공중화장실용 사용상태표시장치 및 표시방법)등으로 조립된 각종 공중화장실이 알려져 있다.
이들 공중화장실의 구조를 첨부된 도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의 공중화장실(1)은, 전면판(2)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고정)되고, 전면판(2)의 내면 중앙에는 칸막이판(3)이 조립 설치(고정)되며, 전면판(2)과 전면판(2)과의 사이에는 일측에 손잡이(6)가 장착된 문짝(5)의 일면이 상하로 장착되는 힌지(10)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공중화장실(1)은 힌지(10)가 장착된 전면판(2)과 문짝(5)과의 사이에 틈이 발생하게 되고, 이와 같이 전면판(2)과 문짝(5)과의 사이로 발생한 문틈(7)으로 영유아들이 손가락을 무심코 집어넣어 손가락을 다치는 등 안전사고가 현상이 발생하고, 긴 옷자락이 하측에 설치된 힌지(10)에 걸려 찢어지는 현상도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된 공중화장실의 문틈의 손가락끼움방지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공중화장실에서 전면판과 전면판과의 사이에는 문짝을 상하로 이격 장착되는 한 쌍의 힌지로 설치하되, 상기 상측힌지의 하단과 하측힌지의 상단과의 사이에는 손가락끼움방지봉을 이탈되지 않도록 일체형으로 결합시켜 줌으로써, 상측힌지와 하측힌지의 사이에서 전면판(또는 문틀)과 문짝과의 사이로 손가락이 끼워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공중화장실의 문틈의 손가락 끼움 방지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측힌지와 하측힌지와의 사이에서 전면판과 문짝과의 사이로 손가락이 끼워지는 것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특히 유아들의 손가락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측힌지와 하측힌지와의 사이에 결합 되는 손가락끼움방지봉의 모양과 색상을 다양하게 하여 화장실의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손가락끼움방지봉을 둘 이상으로 분할하여 용이하게 성형(제조) 및 설치할 수 있도록 된 공중화장실의 문틈의 손가락끼움방지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는 전면판(2)과 전면판(2) 사이에 문짝(5)의 상측부와 하측부를 상측의 힌지(10)와 하측의 힌지(10)로 각각 장착한 공중화장실(1)에서, 상기 상측에 설치되는 힌지(10)의 하단과 하측에 설치되는 힌지(10)의 상단과의 사이에는 손가락끼움방지봉(23)(24)을 이탈되지 않도록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손가락끼움방지장치(20)로 형성하되;
상기 손가락끼움방지장치(20)는, 힌지(10)에서 상측실린더(11)의 내부 상측과 하측에는 상측결합공(21)과 하측결합공(22)을 형성하고, 상측에 설치되는 힌지(10)에서 하측실린더(12)의 하측결합공(22)과 하측에 설치되는 힌지(10)에서 상측실린더(11)의 상측결합공(21)과의 사이에는 손가락끼움방지봉(23)(24)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결합한 것과;
상기 손가락끼움방지봉(23)(24)은, 손가락끼움방지봉(23)(24)의 중간에 하나 이상의 중간지지구(30: 30-1, 30-2)를 개입시켜 설치하거나, 둘 이상으로 분할 형성된 손가락끼움방지봉(23)(24)과 손가락끼움방지봉(23)(24)끼리의 사이에 중간지지구(30: 3-1, 30-2)를 개입시켜 결합한 것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끼움방지장치(20)는,
힌지(10)에서 하측실린더(14)의 내부 하측에 형성되는 하측결합공(22)의 기의 길이(h1)가 상측실린더(11)의 하단경사면(11-1) 또는 하측실린더(12)의 상단경사면(12-1)이 이루는 경사면높이(h2)와 손가락끼움방지봉(24)의 상단에 형성된 상단결합봉(24-1)의 높이(h3)를 합한 것과 동일하거나 또는 더 큰 것,
즉, h1 ≥ h2 + h3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화장실의 문틈의 손가락끼움방지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중화장실의 문틈의 손가락끼움방지장치는,
공중화장실에서 전면판과 전면판과의 사이에는 문짝을 상하로 이격 장착되는 한 쌍의 힌로지 설치하되, 상기 상측힌지의 하단과 하측힌지의 상단과의 사이에 손가락끼움방지봉을 이탈되지 않도록 일체형으로 결합시켜 상측힌지와 하측힌지와의 사이에서 전면판과 문짝과의 사이로 손가락이 끼워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측힌지와 하측힌지와의 사이에서 전면판과 문짝과의 사이로 손가락이 끼워지는 것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특히 유아들의 손가락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측힌지와 하측힌지와의 사이에 결합 되는 손가락끼움방지봉의 모양과 색상을 다양하게 하여 화장실의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손가락끼움방지봉을 둘 이상으로 분할하여 줌으로써 용이하게 성형(제조) 및 설치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공중화장실의 문틈의 손가락끼움방지장치인 손가락끼움방지봉을 공중화장실의 문짝과 전면판과의 사이에서 힌지와 힌지 사이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각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중화장실의 문틈의 손가락끼움방지장치인 손가락끼움방지봉을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3, 도 4, 도 5a 및 5b는 본 발명에 따른 공중화장실의 문틈의 손가락끼움방지장치인 손가락끼움방지봉의 각기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6은 통상적인 공중화장실의 설치상태를 정면에서 본 예시도.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되면 도 1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공중화장실의 문틈의 손가락끼움방지장치(20)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끼움방지장치(20)를 공중화장실(1)의 문짝(5)과 전면판(2)과의 사이에서 상측의 힌지(10)와 하측의 힌지(10)와의 사이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각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끼움방지장치(20)의 손가락끼움방지봉(23)(24)을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끼움방지장치(20)의 각기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중화장실의 문틈의 손가락끼움방지장치(20)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끼움방지장치(20)의 구조를 보인 것이다.
상측실린더(11)의 내부 하측에는 작동봉(13)을 일체로 형성(고정)하였고, 하측실린더(12)의 내부 상측에는 작동공(14)을 형성하였으며, 상기 작동봉(13)을 작동공(14)에 삽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상측실린더(11)와 하측실린더(14)에는 장착공(15-1)(16-1)이 뚫어진 장착편(15)(16)을 각각 일체로 형성하여 문짝(5)과 전면판(2)의 서로 대향 하는 가장자리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힌지(10)의 구조는 이미 공지된 기술사상이므로 더욱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힌지(10)에서 상측실린더(11)의 내부 상측에는 상측결합공(21)을 형성하였고, 하측실린더(14)의 내부 하측에는 하측결합공(22)을 형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상측실린더(11)에 상측결합공(21)이 형성되고 하측실린더(14)에 하측결합공(22)이 형성된 한 쌍의 힌지(10)를 상하로 설치하였고, 상기 상측에 설치되는 힌지(10)에서 하측실린더(12)의 하측결합공(22)과 하측에 설치되는 힌지(10)에서 상측실린더(11)의 상측결합공(21)과의 사이에는 손가락끼움방지봉23)(24)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결합하였다.
상기에서 손가락끼움방지봉(23)은 굵기(지름)를 하측결합공(22) 및 상측결합공(21)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약간 작게 형성하여, 손가락끼움방지봉(23)을 하측결합공(22) 및 상측결합공(21)에 용이하게 삽탈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상기 손가락끼움방지봉(24)은 굵기(지름)를 상측실린더(11) 및 하측실린더(12)의 굵기(지름)와 동일하거나 약간 작게 형성하였고, 상기 손가락끼움방지봉(24)의 양단(상단과 하단)에는 결합단봉(24-1)을 하측결합공(22) 및 상측결합공(21)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약간 작게 각각 형성하여, 결합단봉(24-1)을 하측결합공(22) 및 상측결합공(21)에 용이하게 삽탈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하측실린더(12)에 형성된 하측결합공(22)의 높이(깊이: h1)는 상측실린더(11)의 하단경사면(11-1) 또는 하측실린더(12)의 상단경사면(12-1)이 이루는 경사면높이(h2)와 손가락끼움방지봉(24)의 상단에 형성된 상단결합단봉(24-1)의 높이(h3)를 합한 것과 동일하거나 또는 더 크게 형성하였다.
즉, h1 ≥ h2 + h3 이 되도록 형성하였다.
또한,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끼움방지봉(23)을 별도로 마련된 외부결합관(25)에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손가락끼움방지봉(23)을 외부결합관(25)에 삽입하여 설치할 때에는 외부결합관(25)에 삽입되는 손가락끼움방지봉(23)의 상단과 하단이 외부결합관(25)의 상단과 하단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상측과 하측에 설치되는 각 힌지(10)의 하측실린더(12)와 상측실린더(11)에 용이하게 결합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중화장실의 문틈의 손가락끼움방지장치(20)는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끼움방지봉(23)(24) 및 외부결합관(25)의 외면에는 유입차단돌편(27)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일체로 형성하여 손가락이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화장실의 문짝(5)을 열었을 때에 문짝(5)이 너무 넓게 회전하여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공중화장실의 문틈의 손가락끼움방지장치(20)는, 상기 손가락끼움방지봉(23)(24)과 외부결합관(25)의 색상을 다양하게 할 수 있고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손가락끼움방지봉(23)(24)과 외부결합관(25)의 색상 및 재질을 다양하게 함으로써 손가락의 끼움 방지기능을 가일층 증대시키면서 미관을 미려하게 장식하는 효과도 함께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손가락끼움방지봉(23)(24)의 길이가 너무 긴 경우에는 손가락끼움방지봉(23)(24)의 지지력이 약하고 휘어지는 현상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끼움방지봉(23)(24)을 2개 이상으로 분할하고 손가락끼움방지봉(23)(24)과 손가락끼움방지봉(23)(24)은 중간지지구(30:30-1)를 이용하여 결합하거나, 도 5b에 예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긴 손가락끼움방지봉(23)(24)의 중간에 중간지지구(30: 30-2)를 결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분할된 손가락끼움방지봉(23)(24)을 결합하는 중간지지구(30: 30-1)는, 기둥형으로 형성된 실린더(31)의 내부에서 상측과 하측에는 상측결합공(35)과 하측결합공(36)을 형성하였고, 상기 실린더(31)의 외면에는 장착공(33)이 뚫어진 장착편(32)을 일체로 형성하였다.
또, 길이가 긴 일체로 된 손가락끼움방지봉(23)(24)을 결합하는 중간지지구(30: 30-2)는, 기둥형으로 형성된 실린더(31)의 내부에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결합공(37)을 형성하였고, 상기 실린더(31)의 외면에는 장착공(33)이 뚫어진 장착편(32)을 일체로 형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공중화장실(1)의 문틈(7)에 설치되는 손가락끼움방지장치(20)의 작동관계(사용상태)를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끼움방지장치(20)는 도 1a 및 도 1b에 예시된 바와 같이, 공중화장실(1)에서 문짝(5)을 전면판(2)에 장착할 때에 고정되는 상측의 힌지(10)와 하측의 힌지(10) 사이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도 1a 및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끼움방지봉(23)(24)이 싱글형으로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측에 설치되는 힌지(10)의 하측결합공(22)과 하측에 설치되는 힌지(10)의 상측결합공(21)에 손가락끼움방지봉(23)의 상단과 하단을 끼워 결합시키거나 또는 손가락끼움방지봉(24)의 상/하단에 각각 형성된 상단결합단봉(24-1) 및 하단결합단봉(24-2)을 끼워 결합시켜 줌으로써 설치를 완료할 수 있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가락끼움방지봉(23)의 외측에 외부결합관(25)을 결합시킬 경우에는, 손가락끼움방지봉(23)의 외측에 외부결합관(25)을 먼저 끼운상태에서 손가락끼움방지봉(23)의 상단과 하단을 상측에 설치되는 힌지(10)의 하측결합공(22)과 하측에 설치되는 힌지(10)의 상측결합공(21)에 끼워 결합시켜 줌으로써 설치를 완료할 수 있다.
특히, 손가락끼움방지봉(23)(25)과 외부결합관(25)의 외면에 유입차단돌편(27)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1a 내지 도 3의 실시 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장착하되, 유입차단돌편(27)이 화장실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설치하여주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입차단돌편(27)이 화장실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설치하게 되면 화장실의 문짝(5)을 개방하더라도 문짝(5)과 전면판(2)과의 사이인 문틈(7)으로 손가락이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게 되고, 또한 문짝(5)이 과도하게 활짝 열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b, 도 5a 및 5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끼움방지봉(23)(24)이 2개 이상으로 분할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측에 설치되는 힌지(10)의 하측결합공(22)과 하측에 설치되는 힌지(10)의 상측결합공(21)에 중간지지구(30: 30-1, 30-2)를 등 간격으로 이격시켜 설치(고정)하되, 실린더(31)에 형성된 상측결합공(35)과 하측결합공(26) 또는 관통결합공(37)에 손가락끼움방지봉(23)의 상단과 하단을 끼워 결합시키거나 또는 손가락끼움방지봉(24)의 상/하단에 각각 형성된 결합단봉(24-1)을 끼워 결합시켜 줌으로써 설치를 완료할 수 있으며, 중간지지구(30: 30-1)의 장착편(32)은 도 1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문짝(5)에 장착하거나 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전면판(2)에 장착할 수 있다.
특히 분할된 손가락끼움방지봉(23)의 외측에 외부결합관(25)을 결합시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손가락끼움방지봉(23)(24)의 길이가 길 경우에는, 상측 힌지(10)와 하측 힌지(10)와의 사이에서 손가락끼움방지봉(23)(24)을 중간지지구(30)의 관통결합공(37)에 끼워(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중간지지구(30)의 장착편(32)은 도 1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문짝(5)에 장착하거나 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전면판(2)에 장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끼움방지장치는, 상측에 설치되는 힌지(10)의 하측결합공(22)과 하측에 설치되는 힌지(10)의 상측결합공(21)에 중간지지구(30)를 등 간격으로 이격시켜 설치(고정)하되, 실린더(31)에 형성된 상측결합공(35)과 하측결합공(26)에 손가락끼움방지봉(23)의 상단과 하단을 끼워 결합시키거나 또는 손가락끼움방지봉(24)의 상/하단에 각각 형성된 결하단봉(24-1)을 끼워 결합시켜 줌으로써 설치를 완료할 수 있으며, 특히 분할된 손가락끼움방지봉(23)의 외측에 외부결합관(25)을 결합시켜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끼움방지장치는, 손가락끼움방지장치(20)을 공중화장실(1)의 문짝(5)을 전면판(2)에 장착할 때에 고정되는 상측의 힌지(10)와 하측의 힌지(10)와의 사이에 설치하여 줌으로써, 문짝(5)과 전면판(2)과의 사이에 벌어지는 문틈(7)으로 영유아 및 어린아이들의 손가락이 유입되거나 손가락을 끼우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영유아 및 어린아이들이 문틈(7)에서 손가락을 다치는 현상을 완전하게 방지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에 대하여만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공중화장실 2: 전면판
3: 칸막이판 5: 문짝
10: 힌지 11: 상측실린더
12: 하측실린더 20: 손가락끼움방지장치
21: 상측결합공 22: 하측결합공
23. 24: 손가락끼움방지봉 25: 외부결합관
30: 중간지지구 31: 실린더
35: 상측결합공 36: 하측결합공
37: 관통결합공

Claims (13)

  1.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는 전면판(2)과 전면판(2) 사이에 문짝(5)의 상측부와 하측부를 상측의 힌지(10)와 하측의 힌지(10)로 각각 장착한 공중화장실(1)에서, 상기 상측에 설치되는 힌지(10)의 하단과 하측에 설치되는 힌지(10)의 상단과의 사이에는 손가락끼움방지봉(23)(24)을 이탈되지 않도록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손가락끼움방지장치(20)로 형성하되;
    상기 손가락끼움방지장치(20)는, 힌지(10)에서 상측실린더(11)의 내부 상측과 하측에는 상측결합공(21)과 하측결합공(22)을 형성하고, 상측에 설치되는 힌지(10)에서 하측실린더(12)의 하측결합공(22)과 하측에 설치되는 힌지(10)에서 상측실린더(11)의 상측결합공(21)과의 사이에는 손가락끼움방지봉(23)(24)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결합한 것과;
    상기 손가락끼움방지봉(23)(24)은, 손가락끼움방지봉(23)(24)의 중간에 하나 이상의 중간지지구(30: 30-1, 30-2)를 개입시켜 설치하거나, 둘 이상으로 분할 형성된 손가락끼움방지봉(23)(24)과 손가락끼움방지봉(23)(24)끼리의 사이에 중간지지구(30: 3-1, 30-2)를 개입시켜 결합한 것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끼움방지장치(20)는,
    힌지(10)에서 하측실린더(14)의 내부 하측에 형성되는 하측결합공(22)의 기의 길이(h1)가 상측실린더(11)의 하단경사면(11-1) 또는 하측실린더(12)의 상단경사면(12-1)이 이루는 경사면높이(h2)와 손가락끼움방지봉(24)의 상단에 형성된 상단결합봉(24-1)의 높이(h3)를 합한 것과 동일하거나 또는 더 큰 것,
    즉, h1 ≥ h2 + h3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화장실의 문틈의 손가락끼움방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분할된 손가락끼움방지봉(23)(24)에 결합 되는 중간지지구(30: 30-1)는;
    기둥형으로 형성된 실린더(31)의 내부에서 상측과 하측에는 상측결합공(35)과 하측결합공(36)을 형성한 것과;
    상기 실린더(31)의 외면에는 장착공(33)이 뚫어진 장착편(32)을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화장실의 문틈의 손가락끼움방지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손가락끼움방지봉(23)(24)의 중간에 결합 되는 중간지지구(30: 30-2)는;
    기둥형으로 형성된 실린더(31)의 내부에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결합공(37)을 형성한 것과;
    상기 실린더(31)의 외면에는 장착공(33)이 뚫어진 장착편(32)을 일체로 형성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화장실의 문틈의 손가락끼움방지장치.
KR1020210103660A 2021-08-06 2021-08-06 공중화장실의 문틈의 손가락끼움방지장치 KR102521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660A KR102521118B1 (ko) 2021-08-06 2021-08-06 공중화장실의 문틈의 손가락끼움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660A KR102521118B1 (ko) 2021-08-06 2021-08-06 공중화장실의 문틈의 손가락끼움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1831A KR20230021831A (ko) 2023-02-14
KR102521118B1 true KR102521118B1 (ko) 2023-04-11

Family

ID=85220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3660A KR102521118B1 (ko) 2021-08-06 2021-08-06 공중화장실의 문틈의 손가락끼움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111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9221A (ja) * 1998-12-17 2000-06-27 Itoki Crebio Corp 開閉扉のヒンジ装置
KR200345030Y1 (ko) * 2003-12-16 2004-03-18 최승수 안전도어 개폐장치
KR200424026Y1 (ko) * 2006-05-26 2006-08-14 정현종 기능성 경첩
KR101892246B1 (ko) * 2018-01-15 2018-08-28 표흥식 공중 화장실용 경첩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5404B1 (ko) * 2019-09-19 2022-03-16 이대성 공장조립에 의한 현장시공이 용이한 손끼임방지 및 폐쇄시 도어충격방지 안전도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9221A (ja) * 1998-12-17 2000-06-27 Itoki Crebio Corp 開閉扉のヒンジ装置
KR200345030Y1 (ko) * 2003-12-16 2004-03-18 최승수 안전도어 개폐장치
KR200424026Y1 (ko) * 2006-05-26 2006-08-14 정현종 기능성 경첩
KR101892246B1 (ko) * 2018-01-15 2018-08-28 표흥식 공중 화장실용 경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1831A (ko) 202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4589B2 (en) Aesthetic security doorway
KR101236750B1 (ko) 롤 스크린 장치가 내장되게 한 시스템 창호
KR102521118B1 (ko) 공중화장실의 문틈의 손가락끼움방지장치
KR20100000979U (ko) 확장 형 프레임 힌지
KR200497836Y1 (ko) 샤워 부스용 가변형 도어 프레임 조립체
JP6120719B2 (ja) トイレブースのパネル体取り付け構造
KR200464775Y1 (ko) 조립식화장실 구축용 다기능 칸막이 설치프레임
KR200418951Y1 (ko) 슬라이드 창호의 창틀 프레임 구조
KR102025185B1 (ko) 연동 도어 장착용 도어 수직 프레임
KR200410180Y1 (ko) 안전도어용 피벗힌지
JP6669555B2 (ja) 建具
KR200367887Y1 (ko) 장식판이 설치된 도어
KR101819537B1 (ko) 조립식 방범 창호
KR101801105B1 (ko) 가구의 도어 어셈블리
KR20230116546A (ko) 유리도어의 프레임 고정 시스템
JPS5918076Y2 (ja) 防虫網付き面格子
KR200163690Y1 (ko) 벽부착용옷장
KR200287819Y1 (ko) 조립식 화장실
JP5112653B2 (ja) 上吊式引き戸サッシにおける網戸支持構造
KR20110002779U (ko) 방화문의 상하부 틈새막이 장치
KR200172098Y1 (ko) 문틀의 조립구조
KR200213360Y1 (ko) 창틀용 골재
JP4452151B2 (ja) 枠装置
KR200331386Y1 (ko) 창틀프레임의 배수구 커버
KR200319615Y1 (ko) 미서기식 방충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