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1001B1 - 원예용 결속기 - Google Patents

원예용 결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1001B1
KR102521001B1 KR1020200173229A KR20200173229A KR102521001B1 KR 102521001 B1 KR102521001 B1 KR 102521001B1 KR 1020200173229 A KR1020200173229 A KR 1020200173229A KR 20200173229 A KR20200173229 A KR 20200173229A KR 102521001 B1 KR102521001 B1 KR 102521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body frame
head
swing lever
c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3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3213A (ko
Inventor
서해영
Original Assignee
서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해영 filed Critical 서해영
Priority to KR1020200173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1001B1/ko
Publication of KR20220083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3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8Fixing of plants to supports, e.g. by means of 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2Hand-held or table apparatus
    • B65H35/0026Hand-held or table apparatus for deliver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73Details
    • B65H35/0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cutting devices
    • B65H35/008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cutting devices using movable cut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3Details of cutting means
    • B65H2301/51532Blade cutter, e.g. single blade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 B65H2701/377Adhesive tap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예용 결속기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하부면에 부착되고 일단에 테이프통을 구비한 테이프가이드와, 상기 본체프레임의 단부에 내장되고 전원을 공급받는 결착열선유닛과, 상기 본체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에 손잡이가 형성되는 암과, 상기 암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결착열선유닛과 맞닿으면서 상기 테이프가이드를 통해 공급되는 테이프를 포착하여 인출하는 헤드를 포함하는 원예용 결속기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상기 암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케이스; 상기 헤드케이스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부에 캠이 형성되는 후크레버; 상기 후크레버의 상측에 역회전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캠에 연동되어 승강 가능한 커터가 구비되는 커팅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후크레버의 역방향 회전으로 상기 캠에 연동된 상기 커터가 하강하면서 상기 헤드와 결착열선유닛 사이에 인입된 테이프를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예용 결속기{Binding machine for gardening}
본 발명은 원예작물이나 농작물이 올바르게 성장하도록 줄기와 가지를 지주 및 유인 줄에 묶어주는 원예용 결속기에 관한 것으로, 테이프를 포착, 인출하고 양단을 열융착하는 방식으로 테이프를 결착한 후 절단할 수 있는 원예용 결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이ㆍ포도ㆍ메론ㆍ토마토 등의 원예작물이나 덩굴성 농작물은 어린 묘목에서 점차 성장하면서 가지와 열매의 무게 또는 비바람에 의해 줄기나 가지가 꺾이고, 심지어 줄기가 땅바닥에 주저앉는 것을 방지하고자 적당한 간격으로 지주를 세우고, 여기에 유인 줄을 설치한 다음 지주 및 유인 줄에 작물의 줄기나 가지를 묶어서 고정시켜 주고 있다.
즉, 줄기와 가지가 가늘고 길게 뻗어 성장하는 원예작물이나 덩굴성 농작물을 그대로 방치할 경우 가지와 열매의 무게 또는 비바람에 의해 줄기와 가지가 꺾이고, 땅바닥에 주저앉아 올바르게 성장하지 못하므로 줄기와 가지를 지주 및 유인 줄에 묶어서 작물이 곧게 성장하도록 고정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고정을 위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원예용 결속기는 작업자가 테이프가이드와 핸들을 파지한 상태에서 핸들을 가압하여 암(arm)을 1회 조이면 테이프통에서 테이프가이드를 통해 나온 테이프의 선단이 암에 설치된 헤드의 후크레버와 가압레버에 포착되고, 이 상태에서 테이프가이드와 암을 벌리면 후크레버와 가압레버에 테이프가 포착된 상태로 견인되어 인출되며, 작업자는 테이프를 작물의 가지와 지주 또는 유인줄에 걸어서 감고, 테이프가이드와 핸들을 이전보다 강한 힘으로 가압하여 암을 조이면 작물의 가지와 지주 또는 유인줄에 감긴 테이프의 양단이 스탬플러의 철침에 의해 결속됨과 동시에 핸들프레임에 설치된 커터날에 의해 절단되는 구성인데, 테이프 양단을 결착시키는 구성이 스탬플러를 이용하기 때문에 스탬플러 방식에서 사용되는 철침으로 인하여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한 원예용 결속기가 특허문헌 2에 제시되었다.
이 발명은 철침을 공급하는 스탬플러를 대신하여 테이퍼를 사용하여 철침없이 열로서 합성수지 재질의 테이프를 일부 용융시켜 양단의 테이프를 상호 결착시킬 수 있어 특허문헌 1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들의 경우 모두 테이프를 결착한 후 테이프를 절단하는 커터가 스탬플러와 같이 핸들프레임에 고정된 구조였다.
그래서 작업자가 암을 가압하여 누르는 힘으로 테이프를 절단해야 했기 때문에 테이프 절단이 불완전하게 이루어지는 경우가 발생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7950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27960호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예용 결속기에서 헤드의 내부에 커터를 설치하고, 테이프 절단작업을 테이프 포착과 인출작업에 연동시켜 커터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승강하도록 함으로써 테이프 절단이 원활하고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원예용 결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원예용 결속기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하부면에 부착되고 일단에 테이프통을 구비한 테이프가이드와, 상기 본체프레임의 단부에 내장되고 전원을 공급받는 결착열선유닛과, 상기 본체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에 손잡이가 형성되는 암과, 상기 암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결착열선유닛과 맞닿으면서 상기 테이프가이드를 통해 공급되는 테이프를 포착하여 인출하는 헤드를 포함하는 원예용 결속기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상기 암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케이스; 상기 헤드케이스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부에 캠이 형성되는 후크레버; 상기 후크레버의 상측에 역회전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캠에 연동되어 승강 가능한 커터가 구비되는 커팅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후크레버의 역방향 회전으로 상기 캠에 연동된 상기 커터가 하강하면서 상기 헤드와 결착열선유닛 사이에 인입된 테이프를 절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팅수단은, 상기 헤드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후크레버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스윙레버와, 상기 스윙레버의 회전 중심에 장착되어 역회전방향으로 탄성회전력을 가지게 하는 제2토션스프링과, 상기 스윙레버의 일단에 결합되어 승강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에 부착되는 커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후크레버의 역방향 회전으로 상기 캠이 상기 스윙레버의 타단을 밀면 상기 스윙레버가 정방향 회전하고, 상기 스윙레버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승강부재 및 커터가 하강하면서 테이프를 절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윙레버와 승강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상기 승강부재에 연결장공이 형성된 연결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스윙레버의 일단에는 연결핀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장공에 상기 연결핀이 삽입, 거치될 수 있다.
또 상기 커터에는 세로로 커터장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승강부재에는 세로로 절개된 형상의 승강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에 비해 헤드의 구조가 훨씬 간단하하므로 제조가 용이하고, 비용이 절감되며, 고장이 거의 없다.
그리고 커팅수단이 후크레버와 연동되게 함으로써 커터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승강하도록 함으로써 테이프 절단이 원활하고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원예용 결속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부분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헤드의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헤드의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사시도
도 6a 내지 6d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면을 참조한 설명은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원예용 결속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예용 결속기는 원예작물이나 농작물이 올바르게 성장하도록 줄기와 가지를 지주 또는 유인줄에 묶어 결속시킬 수 있는 장치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본체프레임(100), 테이프가이드(200), 결착열선유닛(300), 암(400)과, 헤드(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상기 본체프레임(100), 테이프가이드(200), 결착열선유닛(300) 및 암(4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부분사시도를 나타낸다.
상기 본체프레임(100)은 본 발명의 본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중공의 빔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프레임(100)은 일부는 상면이 개방되어 단면이 '┗┛'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나머지 부분은 밀폐되어 단면이 '□'인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전단부에는 결착열선유닛(300)이 탈착 가능하게 수납될 수 있는 홀더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홀더홈(110)의 전방에는 테이프 절단이 수행되는 공간인 커팅홈(120)이 형성되도록 격벽(130)이 이격되어 수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격벽(130)의 중앙에는 후술하는 후크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상의 격벽슬릿(131)이 형성된다.
또 상기 홀더홈(110)의 후방,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상부면에는 수직으로 상향 돌출된 스토퍼핀(140)가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핀(140)의 후방에는 상기 스토퍼핀(140)보다 더 높이 돌출된 밀핀(150)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하부면에 상기 테이프가이드(200)가 부착된다.
상기 테이프가이드(200)도 내부가 빈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단에 테이프릴이 수납되는 테이프통(21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테이프가이드(200)의 전단부에는 가이드벽(220)이 수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벽(220)과 격벽(130) 사이가 서로 이격되므로 테이프릴에서 풀어진 테이프(T)가 상기 테이프가이드(200)를 따라 안내되면서, 상기 가이드벽(220)과 격벽(130) 사이로 자유롭게 인출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가이드벽(220)에도 상기 격벽슬릿(131)과 대응되는 형상의 가이드벽슬릿(221)이 형성되어 상기 후크(522c)가 통과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결착열선유닛(300)은 장방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홀더홈(110)에 수납, 구비된다.
상기 결착열선유닛(300)은 회로에 소정의 저항이 구비되고, 전원공급장치(미도시)에서 일정한 전류가 공급되면 열을 발생시키는 열선(310)이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열선(310)에서 발생하는 열이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테이프(T)의 일부를 용융시키고 용융된 부분에서 발생하는 합성수지의 결착력으로 테이프를 상호 결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결착열선유닛(300)은 상기 홀더홈(110)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서, 상기 홀더홈(110)에 형성되는 양극과 음극의 전원소켓(미도시)에 상기 결착열선유닛(300)의 전극이 대응되도록 장착함으로써 전원공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만일, 상기 결착열선유닛(300)에 구비된 열선(310)이 과열로 끊어진 경우에는 휴즈를 교체하듯이 상기 결착열선유닛(300)을 상기 홀더홈(110)으로부터 분리하여 새것으로 교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암(400)은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중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암은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프레임(100)에 회동핀(410)으로 결합되어 마치 가위와 같이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암(400)의 일단에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420)가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420)는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4개의 손가락이 안착될 수 있도록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참고로, 상기 회동핀(410)에는 복원토션스프링(미도시)이 장착되어 상기 암(400)이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회전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420)를 잡고 힘을 가해 상기 암을 조이면 상기 암(400)이 오므려지게 되고,조이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복원토션스프링에 의해 상기 암(400)이 벌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도 4, 5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해당하는 상기 헤드(50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헤드의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헤드의 내부를 다른방향에서 바라본 단면사시도이다.
상기 헤드(500)는 헤드케이스(510)와 포착인출수단(5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한 것은 커팅수단(53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헤드케이스(510)는 내부에 상기 포착인출수단(520)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이고, 상기 암(400)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헤드케이스(510)는 전판(511) 및 후판(512), 상판(513) 및 하판(514), 양 측판(515)으로 이루어져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하판(514)에는 상기 밀핀(150)이 통과할 수 있는 핀홀(514b)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핀(140)가 통과할 수 있는 스토퍼홀(514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판(511)에는 세로로 절개되어 장홈 형상을 가지는 노출슬릿(511a)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후크레버(522)의 후크(522c)가 노출되면서 승강을 안내한다.
상기 포착인출수단(520)은 상기 헤드케이스(5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테이프가이드(200)를 통해 공급되는 테이프(T)를 포착한 상태로 잡아당겨 견인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크게 작동블럭(521)과, 후크레버(522)와, 제1토션스프링(523)과, 포착부재(524) 및 클린처(5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작동블럭(521)은 대략 사다리꼴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단에 경사진 형상의 푸싱경사면(52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블럭(521)은 상기 헤드케이스(510) 내부의 후측면에 압축스프링(521d)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또 상기 작동블럭(521)의 측면에는 걸림턱(521b)이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걸림턱(521b)에도 걸림경사면(521c)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경사면(521c)은 상기 푸싱경사면(521a)과 반대로 경사져 있다.
상기 헤드케이스(510)의 내부 중앙에는 후크레버(52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후크레버(5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복수개의 굴곡이 형성된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후크레버(522)의 후방에는 돌출된 걸림돌기(522a)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521b)에 걸릴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 걸림돌기(522a)의 일측면은 상기 걸림턱(521b)의 일측면과 걸릴 수 있고, 상기 걸림돌기(522a)의 타측면에는 상기 걸림경사면(521c)과 대응되는 경사를 가지는 돌기경사면(522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크레버(522)의 전방에는 갈고리 형상의 후크(522c)가 형성된다. 상기 후크(522c)는 끝이 뾰족한 첨부가 형성되어 테이프(T)를 관통하거나 뚫어서 포착할 수 있다.
또 상기 후크레버(522)의 상부에는 둥근 삼각형상으로 돌출된 캠(522d)이 형성되고 반대편 하부는 상기 스토퍼핀(140)와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후크레버(522)의 회전중심은 상기 밀핀(150)과 스토퍼핀(140) 사이에 위치하게 하여 상기 밀핀(150)에 의해 상기 후크레버(522)에 걸리는 토크방향과 상기 스토퍼핀(140)에 의해 걸리는 토크방향이 반대가 된다.
상기 후크레버(522)의 회전중심에는 제1토션스프링(523)이 장착되어 상기 후크레버(522)가 정회전방향으로 탄성회전력을 가지게 한다. 여기서, 정회전방향은 상기 후크(522c)의 첨부가 향하는 방향, 다시 말해서, 상기 후크(522c)가 테이프(T)를 포착하기 위해 회전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걸림돌기(522a)가 상기 걸림턱(521b)에 걸린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제1토션스프링(523)의 탄성회전력에 의해 상기 후크레버(522)가 정회전방향으로 신속하게 회전하면서 상기 후크(522c)가 테이프(T)를 강하게 포착할 수 있다.
상기 헤드케이스(510)의 내부 전측에는 중앙에 포착홀(524a)이 형성된 포착부재(524)가 결합된다.
상기 포착부재(524)는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바람직한 것은 후술하는 커터(534)의 승강을 안내할 수 있도록 내부에 채널(524b)이 형성된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평판부재()의 양단을 두번 절곡하여 양측에 'ㄷ'형상의 채널(524b)이 형성되고 중앙에 상기 포착홀(524a)이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포착홀(524a)은 상기 후크레버(522)가 회전할 때 상기 후크(522c)의 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후크레버(522)의 회전중심으로부터 회전반경 상에 형성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헤드케이스(510)의 전방 하부면, 또 다르게 상기 스토퍼홀(514a)에 인접하게 클린처(525)가 구비된다.
상기 클린처(525)는 상기 결착열선유닛(300)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암(400)을 가압할 때 상기 결착열선유닛(300)에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헤드케이스(510) 내부에는 테이프(T)를 절단하는 커팅수단(53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커팅수단(530)은 상기 후크레버(522)와 연동되어 자동으로 승강하면서 테이프를 절단하여 결속작업을 마무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팅수단(530)은 스윙레버(531), 제2토션스프링(532), 승강부재(533), 커터(5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스윙레버(531)는 상기 헤드케이스(510)의 내부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스윙레버(531)의 회전중심은 고정되고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시소처럼 스윙(swing)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스윙레버(531)의 회전중심에는 제2토션스프링(532)이 장착되어 상기 스윙레버(531)가 역회전방향으로 탄성회전력을 가지게 한다. 즉, 상기 후크레버(522)와 반대방향으로 탄성회전력을 가지도록 장착된다.
이것은 후술하는 상기 승강부재(533)가 하강하는 방향으로 탄성회전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커터(534)에 절단력을 제공한다.
상기 스윙레버(531)의 일단은 상기 후크레버(522)의 캠(522d)과 접촉할 수 있고, 타단에는 상기 승강부재(533)가 결합된다.
상기 승강부재(533)는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수직으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중앙에 세로로 절개되어 상기 후크레버(522)의 후크(522c)가 자유롭게 통과하면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승강슬릿(533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윙레버(531)의 스윙에 의해 상기 승강부재(533)는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이때, 상기 스윙레버(531)와 승강부재(533)를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상기 스윙레버(531)에 연결핀(531a)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핀(531a)에 연결장공(535a)이 형성된 연결부재(535)가 거치된다.
즉, 상기 연결장공(535a)에 연결핀(531a)이 삽입된 상태로 상기 연결장공(535a)을 따라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535)에 상기 승강부재(533)가 결합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533)에는 상기 커터(534)가 결합된다.
상기 커터(534)는 하단에 칼날이 형성되고, 중앙에 세로로 장공형상의 커터장공(534a)이 형성되어 상기 후크(522c)가 통과하면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한다.
상기 커터(534)는 상기 승강부재(533)에 부착될 수도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승강부재(533)에 돌출된 거치핀(533b)에 거는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크레버(522)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스윙레버(531)가 스윙되고, 이로 인해 상기 승강부재(533)가 승강하므로 상기 커터에 의한 테이프 절단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a 내지 도 6c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고자 한다. 여기서, 도 6a는 테이프를 포착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6b는 테이프를 인출하는 상태를 나타내며, 도 6c는 테이프를 결착하고 절단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6d는 작업을 종료한 상태를 나타낸다.
먼저, 도 6a를 함께 참조하여 테이프(T)를 포착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작업자는 상기 손잡이(420)와 본체프레임(100)을 잡고 상기 손잡이(420)를 약한 힘으로 가압하여 상기 암(400)을 살짝 조이면, 상기 헤드(500)가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단부와 인접하게 된다.
상기 헤드(500)가 더 근접하면 상기 밀핀(150)이 상기 핀홀(514b)을 통해 상기 헤드케이스(510)의 내부로 인입되고, 인입된 상기 밀핀(150)이 상기 작동블럭(521)의 푸싱경사면(521a)을 밀게 된다.
상기 밀핀(150)에 의해 밀린 상기 작동블럭(521)은 상기 압축스프링(521d)이 압축되면서 하강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걸림턱(521b)에 걸려 있던 상기 걸림돌기(522a)가 이탈하면서 걸림이 해제된다.
걸림이 해제되면 상기 후크레버(522)는 상기 제1토크스프링()의 탄성회전력에 의해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후크(522c)도 회전하여 첨부가 상기 포착홀(524a)로 인입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벽(220)과 격벽(130) 사이로 일부가 노출된 테이프(T)는 상기 포착홀(524a)의 전방을 덮고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후크(522c)의 첨부는 테이프(T)를 관통하여 상기 포착홀(524a) 내부로 인입되어 테이프(T)가 상기 후크(522c)에 걸린 상태가 된다. 따라서, 테이프(T)의 포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후크레버(522)의 회전으로 상기 캠(522d)에 걸려 있던 상기 스윙레버(531)의 구속이 해제되면서 상기 스윙레버(531)는 상기 스윙레버(531)와 반대로 역방향 회전하게 된다.
이어, 상기 스윙레버(531)의 회전으로 상기 승강부재(533)는 상승하게 되고 더불어 상기 커터(534)도 상승한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도 6b를 참조하여 테이프(T)를 인출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후크(522c)에 의해 테이프(T)가 포착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420)에 가하고 있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복원토션스프링에 의해 상기 암(400)이 다시 벌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후크(522c)에 포착된 테이프(T)는 상기 테이프가이드(200)로부터 연속적으로 인출된다.
이때, 상기 걸림턱(521b)의 걸림경사면(521c)과 상기 걸림돌기(522a)의 돌기경사면(522b)이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압축스프링(521d)의 팽창력으로 인해 상기 걸림경사면(521c)이 상기 돌기경사면(522b)을 탄성지지하게 되므로 상기 후크레버(522)는 역방향 회전하지 않고 포착, 인출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포착상태에서 작업자는 인출된 테이프(T)를 줄기나 가지와 지주나 유인줄을 향해 밀어 테이프(T)로 둘러싸도록 하여 결착 및 절단준비를 한다.
다음으로 도 6c를 참조하여 테이프(T)를 결착하고 절단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인출된 테이프(T)에 줄기나 가지와 지주, 유인줄이 내입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암(400)을 강한 힘으로 조이면, 포개어진 두겹의 테이프(T)가 상기 헤드(500)와 본체프레임(100) 사이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결착열선유닛(300)과 클린처(525) 사이에 위치한 테이프(T)는 상기 클린처(525)에 의해 가압되는 동시에 상기 열선(310)에 의해 열융착되면서 상호 결착된다.
또 강한 힘으로 조이게 되므로 상기 스토퍼핀(140)이 상기 후크레버(522)를 밀게 되어 상기 후크레버(522)가 역방향 회전하도록 토크를 가한다.
우선, 상기 후크레버(522)가 역방향 회전하면 테이프(T)를 포착하고 있던 상기 후크(522c)가 역방향 회전하여 포착상태를 해제한다.
그리고 접촉한 상태로 있던 상기 걸림경사면(521c)이 상기 돌기경사면(522b)에 의해 밀리면서 상기 작동블럭(521)이 압축되므로 상기 돌기경사면(522b)이 상기 걸림경사면(521c)을 넘어가 처음과 같이 상기 걸림돌기(522a)가 상기 걸림턱(521b)에 걸린 상태가 된다.
동시에 상기 후크레버(522)의 캠(522d)이 상기 스윙레버(531)를 밀어 다시 정방향 회전시키게 되므로 상기 승강부재(533)와 커터(534)가 하강하면서 상기 커터(534)가 테이프(T)를 절단한다.
이때, 테이프(T)는 상기 격벽(130)과 커팅홈(120) 및 결착열선유닛(300)의 상측을 통과하는 상태이므로 상기 포착부재(524)의 하단이 상기 커팅홈(120)의 내부로 삽입되며서 상기 커터(534)가 정확하게 테이프(T)를 절단한다.
상기 포착부재(524)는 상기 커팅홈(120)에 맞춤 삽입되므로 정확하게 안내되면서 하강할 수 있고, 상기 커터(534)도 상기 포착부재(524)의 채널에 의해 정확하게 안내되면서 절단을 수행할 수 있다.
결착 및 절단이 끝나고 작업자가 상기 암(400)을 조이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암(400)이 벌어지면서 결속작업이 완료된다. 그리고 도 6d와 같이 다음 결속작업을 다시 수행할 수 있는 최초의 상태가 된다.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본체프레임
110 : 홀더홈 120 : 커팅홈
130 : 격벽 131 : 격벽슬릿
140 : 스토퍼핀 150 : 밀핀
200 : 테이프가이드 210 : 테이프통
220 : 가이드벽 221 : 가이드벽슬릿
300 : 결착열선유닛 310 : 열선
400 : 암
410 : 회동핀 420 : 손잡이
500 : 헤드
510 : 헤드케이스
511 : 전판 511a : 노출슬릿
512 : 후판 513 : 상판
514 : 하판 514a : 스토퍼홀
514b : 핀홀 515 : 측판
520 : 포착인출수단
521 : 작동블럭 521a : 푸싱경사면
521b : 걸림턱 521c : 걸림경사면
521d : 압축스프링 522 : 후크레버
522a : 걸림돌기 522b : 돌기경사면
522c : 후크 522d : 캠
523 : 제1토션스프링 524 : 포착부재
524a : 포착홀 524b : 채널
525 : 클린처
530 : 커팅수단
531 : 스윙레버 531a : 연결핀
532 : 토션스프링 533 : 승강부재
533a : 승강슬릿 533b : 거치핀
534 : 커터 534a : 커터장공
535 : 연결부재 535a : 연결장공
T : 테이프

Claims (4)

  1.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하부면에 부착되고 일단에 테이프통을 구비한 테이프가이드와, 상기 본체프레임의 단부에 내장되고 전원을 공급받는 결착열선유닛과, 상기 본체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에 손잡이가 형성되는 암과, 상기 암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결착열선유닛과 맞닿으면서 상기 테이프가이드를 통해 공급되는 테이프를 포착하여 인출하는 헤드를 포함하는 원예용 결속기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상기 암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케이스;
    상기 헤드케이스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부에 캠이 형성되는 후크레버;
    상기 헤드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후크레버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스윙레버와, 상기 스윙레버의 회전 중심에 장착되어 역회전방향으로 탄성회전력을 가지게 하는 제2토션스프링과, 상기 스윙레버의 일단에 결합되어 승강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에 부착되는 커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커팅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후크레버의 역방향 회전으로 상기 캠이 상기 스윙레버의 타단을 밀면 상기 스윙레버가 정방향 회전하고, 상기 스윙레버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승강부재 및 커터가 하강하면서 테이프를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용 결속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레버와 승강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상기 승강부재에 연결장공이 형성된 연결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스윙레버의 일단에는 연결핀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장공에 상기 연결핀이 삽입,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용 결속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에는 세로로 커터장공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승강부재에는 세로로 절개된 형상의 승강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용 결속기.
KR1020200173229A 2020-12-11 2020-12-11 원예용 결속기 KR102521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229A KR102521001B1 (ko) 2020-12-11 2020-12-11 원예용 결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229A KR102521001B1 (ko) 2020-12-11 2020-12-11 원예용 결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3213A KR20220083213A (ko) 2022-06-20
KR102521001B1 true KR102521001B1 (ko) 2023-04-12

Family

ID=82257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3229A KR102521001B1 (ko) 2020-12-11 2020-12-11 원예용 결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100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960B1 (ko) * 2010-09-28 2011-04-13 서해영 원예용 결속기
KR101102888B1 (ko) * 2011-06-03 2012-01-10 서해영 원예용 결속기 헤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500B1 (ko) 2007-03-05 2007-11-28 조남선 원예용 결속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960B1 (ko) * 2010-09-28 2011-04-13 서해영 원예용 결속기
KR101102888B1 (ko) * 2011-06-03 2012-01-10 서해영 원예용 결속기 헤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3213A (ko) 202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30033B2 (ja) 園芸用結束機
ES2767094T3 (es) Atadora para jardinería
KR102366358B1 (ko) 원예용 결속기
CN107517774B (zh) 园艺用捆扎机
US20170359971A1 (en) Binding machine for gardening
RU2419279C1 (ru) Обвяз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ого пресса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крупных тюков
KR102521001B1 (ko) 원예용 결속기
DK149788B (da) Vaerktoej til fastgoerelse af en langstrakt genstand paa et underlag
US6009646A (en) Apparatus for tying and binding bales of compressed materials
JP3467684B2 (ja) 園芸用結束機
KR20220087287A (ko) 원예용 결속기
KR101102888B1 (ko) 원예용 결속기 헤드
KR101347856B1 (ko) 원예용 결속기
KR100990852B1 (ko) 원예용 결속기 헤드
JP4957918B2 (ja) 園芸用結束機
CN111409890A (zh) 捆扎机及其使用方法
CN109123741B (zh) 一种烤烟快速编烟装置及编烟方法
KR102299513B1 (ko) 원예용 결속기
KR20220146960A (ko) 원예용 결속기
KR101098388B1 (ko) 원예용 결속기의 테이프가이드
CN211642695U (zh) 捆扎机
US20230276745A1 (en) Thermally bonding type horticultural bind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220087292A (ko) 전동 원예용 결속기
JPS59152110A (ja) 自動結束装置
JP2003020005A (ja) 園芸用結束機のテープガイ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