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0966B1 - 화재 경보음에 연동되는 대피로 방향표시등 - Google Patents

화재 경보음에 연동되는 대피로 방향표시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0966B1
KR102520966B1 KR1020220178990A KR20220178990A KR102520966B1 KR 102520966 B1 KR102520966 B1 KR 102520966B1 KR 1020220178990 A KR1020220178990 A KR 1020220178990A KR 20220178990 A KR20220178990 A KR 20220178990A KR 102520966 B1 KR102520966 B1 KR 102520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ire alarm
alarm sound
light
ind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8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식
Original Assignee
빌트조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빌트조명(주) filed Critical 빌트조명(주)
Priority to KR1020220178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09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2019/225Fire evacuation route indicat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경보음에 연동되는 대피로 방향표시등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방향조절이 되는 방향표시발광부와 각도조절이 되는 레이저모듈과 신속설치부를 구비하여 임의의 위치에 간편히 설치하여 인접한 비상구까지의 대피로를 공간을 가로질러 직접 가리키도록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화재 경보음이 울리면 제어모듈부가 소리를 인식하여 방향표시발광부와 레이저모듈울 즉각 작동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화재 등의 위급 상황 발생시 신속 정확한 대피를 유도할 수 있는 대피로 방향표시등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표시등본체(1)와; 표시등본체에 설치되어 대피로 진행 방향을 표시하게 발광되는 방향표시발광부(2)와; 임의의 지점에 간편하게 체결되어 상기 표시등본체(1)가 회전되도록 하는 신속설치부(3)와; 상기 표시등본체에 체결되어 임의의 대피 지점 방향으로 자유롭게 방향을 조절하여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모듈(4)과; 화재 경보음을 인식하여 상기 방향표시발광부와 레이저모듈을 작동시키는 제어모듈부(5);을 포함하는 화재 경보음에 연동되는 대피로 방향표시등을 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재 경보음에 연동되는 대피로 방향표시등{escape route direction indicator interlocking with fire alarm sound}
본 발명은 화재 경보음에 연동되는 대피로 방향표시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 등의 위급 상황 발생시를 대비하여 사전에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대피로를 향하게 방향표시발광부의 방향과 레이저모듈의 각도를 조절하여 설치한 후 화재발생시 화재 경보기의 경보음을 인식하여 연동되어 작동되도록 구성한 방향표시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연기 또는 열을 감지하는 센서가 이를 감지 후 화재경보기가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황을 인식한 사람에 의해 수동 작동되는 스위치가 구비되어 화재 경보기를 작동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이와 같은 화재 경보기가 울리게 되면 건물 내에 있는 사람들은 자신이 알고 있는 대피로를 통해 출구로 내려가거나 옥상 또는 안전한 곳으로 스스로 대피하게 된다.
또한 건물 내 근무자가 아니라 하더라도 건물 복도나 계단 등에 설치된 비상구 표시등을 따라 대피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비상구 표시등은 벽을 따라 단순하게 방향만을 가리키고 있어서 실제 화재가 발생하여 연기 등이 자욱할 경우 잘 보이지 않아 건물 내 근무자라 하더라도 당황하여 벽면을 따라 이웃하게 설치된 비상구 표시등을 찾지 못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복도의 벽면을 따라 설치된 비상구 표시등은 비상구 계단이 복수이거나 건물 구조가 복잡할 경우 건물 입주자라고 하더라도 자신이 근무하는 곳이 아니라면 내부 구조를 정확히 알 수 없기에 당황하게 만들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화재로 인한 짙은 연기가 실내에 가득찬 상황이거나 밤에 정전이 일어날 경우 벽면에 설치된 대피경로 표시등의 광도가 낮아 식별이 어렵고, 인체가 유독 연기를 흡입하게 되면 분별력이 더 떨어지게 되어 대피방향을 따라 이동하다가 순간적으로 방향감각을 잃어버려 대피경로를 정확히 분간하기 어려울 수 있어서, 대피자는 순간 당황하여 여러 방향으로 이리저리 이동하거나 최적의 비상구를 찾지 못해 신속한 대피 시간을 놓쳐 인명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자신이 근무하는 사무실이나 복도 벽면등에 설치된 대피경로 표시등이 가장 가까운 비상구 위치까지 3차원 공간을 통해 직접 알려 줄 수 있다면 화재 등의 비상 상황에서 당황하지 않고 해당 안내를 따라 신속하고 정확하게 비상구를 찾아 탈출할 수 있는데, 아직까지 이와 같이 직접 대피로를 안내해 주는 대피로 방향표시등이 제공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059612(2011.08.19.)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950237(2010.03.23.)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184204(2000.03.21.)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303073(2003.01.21.)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방향조절이 되는 방향표시발광부와 각도조절이 되는 레이저모듈과 신속설치부를 구비하여 임의의 위치에 간편히 설치하여 인접한 비상구까지의 대피로를 공간을 가로질러 직접 가리키도록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화재 경보음이 울리면 제어모듈부가 소리를 인식하여 방향표시발광부와 레이저모듈울 즉각 작동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화재 등의 위급 상황 발생시 신속 정확한 대피를 유도할 수 있는 대피로 방향표시등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표시등본체와;
표시등본체에 설치되어 대피로 진행 방향을 표시하게 발광되는 방향표시발광부와;
임의의 지점에 간편하게 체결되어 상기 표시등본체가 회전되도록 하는 신속설치부와;
상기 표시등본체에 체결되어 임의의 대피 지점 방향으로 자유롭게 방향을 조절하여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모듈과;
화재 경보음을 인식하여 상기 방향표시발광부와 레이저모듈을 작동시키는 제어모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경보음에 연동되는 대피로 방향표시등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표시등본체는 방향표시발광부가 설치되어 지지되도록 구성되되,
방향표시발광부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게 형성되어 대피로 진행 방향을 표시하게 구성된 전방부와;
신속설치부와 힌지 결합하는 힌지홈이 형성되어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 후방부와;
전방부와 후방부 사이에 형성되어 레이저모듈과 체결되는 볼헤드 체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표시등본체는 전방부가 후방부 보다 돌출되도록 돌출부가 형성되어 단차진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볼헤드 체결부는 전방부의 후방 돌출부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하나 이상의 레이저모듈이 자유회전하여 위치 조절시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방향표시발광부와 표시등본체의 전방부는 화살표 형상, 정삼각형 형상, 직각 삼각형 형상 중 어느 하나의 방향표시 형상을 가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방향표시발광부는 방향표시 형상을 가지는 광투과케이스와;
광투과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광원을 제공하는 발광 모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광투과케이스가 붉은색 광투과케이스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발광 모듈이 붉은색 광원을 발광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신속설치부는 일측면에 돌출된 신속 설치와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단자와;
상면에 돌출된 표시등본체의 방향전환을 위한 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레이저모듈은 일측으로 돌출된 구조의 볼헤드가 구비되어 표시등본체에 설치된 볼헤드 체결부에 삽입되게 2개가 구비되어 각각 임의의 각도와 방향으로 조절되도록 구성하되, 레이저가 조사되는 전단부에는 교체형 패턴렌즈가 설치되어 설치된 패턴렌즈의 패턴 기호에 따라 레이저 모양이 조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제어모듈부는
화재 경보음을 전기 주파수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의 전기 주파수를 증폭하는 소리 증폭부와;
외부에서 공급된 DC 전원을 충전회로부(54)와 일반전원단자에 공급하는 DC전원부와;
인가된 DC전원으로 축전지를 충전시키는 충전회로부와;
비상전원단자와 연결된 축전지와;
일반전원단자 또는 비상전원단자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방향표시발광부 및 레이저모듈에 전원을 인가하는 스위치와;
상기 소리증폭부를 거친 소리를 비교하여 설정된 강도 이상의 화재경보음 주파수 대역일 경우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메인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메인제어부는
증폭된 주파수 대역이 화재경보음의 주파수 대역인지를 비교하는 주파수 대역비교부와;
주파수대역 비교부를 통과한 주파수의 강도가 설정 강도 이상인지를 비교하는 소리강도비교부와;
DC전원부 및 축전지와 연결되어 전원 인가 여부를 비교하는 전원비교부와;
소리강도비교부의 출력 신호가 있을 경우 전원비교부의 출력 신호에 따라 외부전원이 인가상태이면 일반전원 단자와 연결하고, 외부전원이 차단된 상태이면 비상전원단자와 연결하라는 신호를 출력하는 설정제어부와;
설정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선택된 전원단자와 연결되도록 스위치를 구동시키는 구동신호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방향조절이 되는 방향표시발광부와 각도조절이 되는 레이저모듈과 신속설치부를 구비하여 임의의 위치에 간편히 설치하여 인접한 비상구까지의 대피로를 공간을 가로질러 직접 가리키도록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 경보음이 울리면 제어모듈부가 소리를 인식하여 방향표시발광부와 레이저모듈울 즉각 작동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화재 등의 위급 상황 발생시 신속 정확한 대피를 유도할 수 있는 대피로 방향표시등을 제공할 수 있어서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패턴렌즈를 교체함으로써 표시하고자 하는 표시를 표현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DC전원이 인가되는 곳이면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DC전원이 화재시 차단되어도 자체적으로 충전된 축전지 전원을 이용하여 항시 작동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효과를 가진 유용한 발명으로 산업상 그 이용이 크게 기대되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방향표시등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방향표시등의 분해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방향표시등의 방향표시발광부의 회전 작동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방향표시등의 레이저모듈의 회전 작동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방향표시등이 임의의 위치에 간편하게 설치되는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모듈에 장치되는 패턴렌즈의 패턴기호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부의 상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방향표시등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방향표시등의 분해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방향표시등의 방향표시발광부의 회전 작동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방향표시등의 레이저모듈의 회전 작동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방향표시등이 임의의 위치에 간편하게 설치되는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모듈에 장치되는 패턴렌즈의 패턴기호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부의 상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표시등본체(1)와, 방향표시발광부(2)와, 신속설치부(3)와, 레이저모듈(4)과, 제어모듈부(5);로 구성된다.
표시등본체(1)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되어 일측면 즉, 외측면에 방향표시발광부(2)가 설치되어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주로 위치가 벽면, 출입문 또는 임의의 설치 면쪽에 위치하게 된다.
표시등본체(1)는 방향표시발광부(2)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게 형성되어 대피로 진행 방향을 표시하게 구성된 전방부(11)와; 신속설치부(3)와 힌지 결합하는 힌지홈(12a)이 형성되어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 후방부(12)와; 전방부(11)와 후방부(12) 사이에 형성되어 레이저모듈과 체결되는 볼헤드 체결부(13)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표시등본체(1)는 전방부가 후방부 보다 돌출되도록 돌출부(14)가 형성되어 단차진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볼헤드 체결부(13)는 전방부의 후방 돌출부(14)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하나 이상의 레이저모듈이 자유회전하여 위치 조절시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구성된다.
물론 돌출부(14)가 형성되지 않아도 레이저모듈이 임의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지만 설치위치에 따라 아래쪽에 위치한 공간을 통해 레이저 조사시 임의의 방향과 각도로 조절시 전방부가 벽면이나 출입문 등에 걸릴 수 있기 때문에 전방부가 높게 단차진 구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방부(12)의 힌지홈(12a)은 후방부를 관통하거나 일정 깊이로 홈이 형성되어도 충분하다. 그 이유는 신속설치부(3)의 힌지(32)와 억지끼움형식으로 삽입되기만 하면 충분하기 때문이다. 힌지와 힌지홈 간의 결합을 통한 회전은 자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최초 설치시 또는 설정 변경이 필요할때만 사용하기 때문에 부가적인 힌지구조가 없어도 충분히 회전되면서 지지력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또한 표시등본체(1)의 전방부(11)는 방향표시발광부(2)와 동일한 형상으로 화살표 형상, 정삼각형 형상, 직각 삼각형 형상 중 어느 하나의 방향표시 형상을 가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상하면 구조적으로 안전하여 파손의 위험이 적고, 미관상 일체감을 주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등본체(1)는 후방부(12)의 힌지홈(12a)을 회전반경으로 해서 평면상의 회전을 통해 전방부(11)가 일측 방향 또는 타측 방향에 위치한 비상구를 가리키게 설정하게 된다.
방향표시발광부(2)는 상기 표시등본체에 설치되어 대피로 진행 방향을 표시하게 발광되는 구성으로 방향표시 형상을 가지는 광투과케이스(21)와; 광투과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광원을 제공하는 발광 모듈(22);로 구성된다.
발광 모듈(22)은 형광등, 전구 또는 LED를 광원으로 할 수 있는데 밝은 조도를 제공하면서 관리측면의 내구성 측면에서 LED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발광구조는 일반적인 회로 구성이고, 이러한 구성이 본 발명을 특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생략한다.
다만, 상기 광투과케이스(21)가 붉은색 광투과케이스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발광 모듈(22)이 붉은색 광원을 발광하도록 구성된다. 그 이유는 적어도 어느 하나는 붉은색으로 구성하여 평소 또는 화재시 시인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방향표시발광부(2)는 표시등본체(1)의 전방부(11)와 동일한 형상으로 화살표 형상, 정삼각형 형상, 직각 삼각형 형상 중 어느 하나의 방향표시 형상을 가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상하면 구조적으로 안전하여 파손의 위험이 적고, 미관상 일체감을 주기 때문이다.
신속설치부(3)는 임의의 지점에 간편하게 체결되어 상기 표시등본체(1)가 회전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신속설치부(3)는 일측면에 돌출된 신속 설치와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단자(31)와; 상면에 돌출된 표시등본체의 방향전환을 위한 힌지(32);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단자는 DC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교류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구성없이 손쉽게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한다.
특히 네모난 단자모양으로 구성하면 설치시 견고한 끼움방식을 제공하여 신속한 설치시 유격을 방지하면서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USB단자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물론 네모난 케이스에 일반적인 잭타입 전원단자가 설치되어도 된다. 다만, 네모만 돌출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전원단자(31)와 대응하는 벽체 또는 출입문 등에는 이와 반대형상을 가지는 DC단자 구조가 설치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는 손쉽게 수공구나 전동공구를 이용하여 형성하여 홈을 파고 상용 DC전원소켓을 설치 할 수 있어서 신속한 임의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힌지(32)는 돌출된 원기둥으로 구성되어 억지끼움형식으로 표시등본체(1)를 구성하는 후방부(12)의 힌지홈(12a)에 삽입하면 충분하다. 그 이유는 자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최초 설치시 또는 설정 변경이 필요할때만 사용하기 때문에 부가적인 힌지구조가 없어도 충분히 회전되면서 지지력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레이저모듈(4)은 상기 표시등본체에 체결되어 임의의 대피 지점 방향으로 자유롭게 방향을 조절하여 레이저를 조사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레이저모듈은 일측으로 돌출된 구조의 볼헤드(41)가 구비되어 표시등본체(1)에 설치된 볼헤드 체결부(13)에 삽입되어 임의의 각도와 방향으로 조절되게 설치된다.
이때 볼헤드가 삽입된 상태는 어느정도 가압된 상태로 체결되어 마찰력을 가지면 된다. 물론 별도의 가압수단을 가지면 자유롭헤 회전시키고 클랜프등으로 가압 고정하여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하지만 마찰력을 가지게 끼움형식으로 체결되면 별도의 고정수단이 없어도 레이저모듈의 무게를 충분히 지탱하면서 설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어서 간편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
특히 2개의 레이저모듈이 구비되어 각각 임의의 각도와 방향으로 조절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2개로 구성하면 대피로를 안내시 한 개는 중간을 한 개는 종착지인 비상구를 분할하여 안내할 수도 있고, 2개가 동시에 같은 방향 같은 각도로 설치되어 강력한 대피로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본 발명은 이외에도 2개의 레이저모듈의 조작을 다양하게 조작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레이저모듈(4)이 돌출된 구조의 볼헤드(41)가 표시등본체(1)에 설치됨으로써 레이저가 공간을 가로질러 3차원적으로 비상구를 가리키게 설정될 수 있다. 이로인해 표시등본체(1)에 의한 전방부가 가리키는 방향을 참조하여 대피자가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레이저모듈(4)은 레이저가 외부로 조사되는 전단부에는 교체형 패턴렌즈(42)가 설치되어 설치된 패턴렌즈의 패턴 기호에 따라 레이저 모양이 조사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첨부된 바와 같은 다양한 패턴렌즈를 교체하여 설치하면 레이저가 조사시 어떤 기호, 문자, 문양 등의 정보가 함께 대피자에게 전달되어 인식됨으로써 안전한 대피를 도모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이저는 연기가 짙은 화재 상황에서도 충분한 세기를 가지는 구성을 가져 레이저가 시각적으로 보일 수 있는 것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출력전력 5mv, 파장 650nm, 작동전압 3~5v, 작동온도 +10 ~ +40℃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레이저모듈이 이와 같은 특정 규격 수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식별력이 레이저가 조사될 수 있는 레이저모듈이라면 어떤 것이라도 상관없다.
제어모듈부(5)는 화재 경보음을 인식하여 상기 방향표시발광부와 레이저모듈을 작동시키는 구성이다. 특히 본 발명은 외부 제어를 통해 전원과 작동이 제어되는 수동적 종속적 방향표시등이 아닌 자율적으로 작동되어 대피자에게 대피로를 안내해주는 방향표시등이기 때문에 제어모듈부의 제어구성과 제어흐름이 아주 중요하다.
제어모듈부(5)는 표시등본체(1)의 일지점 또는 방향표시발광부(2) 내부일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제어모듈부의 설치위치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장치된 상태에서 신속설치부(3)의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단자(31)와 연결되어 평상시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게 회로가 연결되고, 또한 방향표시발광부(2)를 구성하는 발광 모듈(22) 및 레이저모듈(4)과 전원이 인가되게 구성됨은 물론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면상에서는 이와 같은 전원인가선의 연결이 생략되어 있으나 당연히 유선회로가 연결 구성됨은 당연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제어모듈부(5)의 구성은 마이크로폰(51), 소리 증폭부(52), DC전원부(53), 충전회로부(54), 축전지(55), 스위치(56), 메인제어부(57)로 구성된다.
마이크로폰(51)은 건물에 설치되어 온도와 연기를 인식하는 센서에 의해 작동되는 화재 경보기가 화재경보음을 울리면 이를 전기 주파수로 변환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변환과정을 거침으로써 본 발명의 제어모듈부(5)의 작동이 시작되게 된다.
다만, 모든 소리가 화재와 관련된 소리가 아닐 수 있기 때문에 이하 구성을 통해 입력되는 소리를 분별하여 방향표시발광부(2)와 레이저모듈(4)이 작동하게 된다. 또한 정상적인 화재라도 화재상황이 종료되어 화재경보음이 울리지 않으면 본 발명의 이하 구성들 때문에 방향표시발광부(2)와 레이저모듈(4)의 작동이 종료되게 된다.
소리 증폭부(52)는 마이크로폰의 전기 주파수를 증폭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소리 증폭을 거침으로써 이후 비교기 구성들이 원활하게 신호를 분석하게 된다.
DC전원부(53)는 외부에서 공급된 DC 전원을 충전회로부(54)와 일반전원단자(53a)에 공급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은 이로인해 정상적으로 전원이 인가되는 상황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외부 DC전원을 이용하여 방향표시발광부(2)와 레이저모듈(4)이 작동할 수 있는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화재로 인해 건물 내부의 전원이 차단될 경우를 대비하여 DC전원부(53)는 항시 충전회로부(54)를 통해 축전지를 충전시켜 놓게 된다.
충전회로부(54)는 인가된 DC전원으로 축전지를 충전시키는 구성이고, 축전지(55)는 이로인해 충전되면서 일편이 비상전원단자(55a)와 연결되어 비상시 스위치가 작동하면 방향표시발광부(2)와 레이저모듈(4)에 전원을 공급하여 작동되도록 한다.
스위치(56)는 일반전원단자 또는 비상전원단자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방향표시발광부(2) 및 레이저모듈(4)에 전원을 인가하는 구성이다.
메인제어부(57)는 상기 소리증폭부를 거친 소리를 비교하여 설정된 강도 이상의 화재경보음 주파수 대역일 경우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가장 중요한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메인제어부(57)는 증폭된 주파수 대역이 화재경보음의 주파수 대역인지를 비교하는 주파수 대역비교부(57a)와; 주파수대역 비교부를 통과한 주파수의 강도가 설정 강도 이상인지를 비교하는 소리강도비교부(57b)와; DC전원부 및 축전지와 연결되어 전원 인가 여부를 비교하는 전원비교부(57c)와; 소리강도비교부의 출력 신호가 있을 경우 전원비교부의 출력 신호에 따라 외부전원이 인가상태이면 일반전원 단자와 연결하고, 외부전원이 차단된 상태이면 비상전원단자와 연결하라는 신호를 출력하는 설정제어부(57d)와; 설정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선택된 전원단자와 연결되도록 스위치(56)를 구동시키는 구동신호출력부(57e);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스위치(56)가 접점되게 되면 방향표시발광부(2)와 레이저모듈(4)이 작동하면서 발광 및 레이저 조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방향표시발광부(2)와 레이저모듈(4) 외에 부저와 같은 구성을 더 포함하여 일반 대피자 또는 시각 장애를 가진 대피자를 위한 경보음이 울리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제어모듈부(5)가 화재경보음이 울리면 이것이 정상적인 경보음 대역인지를 판단하여 비교하고, 그 강도가 일반적인 소리 강도가 아닌 70dB인지를 판단하여 이와 같이 소리 정보가 실제 화재상황이 맞다고 판단되면 방향표시발광부(2)와 레이저모듈(4)에 공급가능한 전원을 선택하여 스위치가 연결되어 작동되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향표시등이 자율적으로 작동되면 대피자는 안전하게 방향표시발광부(2)이 가리키는 방향과 레이저모듈(4)이 공간을 가로질러 가리키는 비상구까지 신속하게 이동하여 대피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표시등본체 (2) : 방향표시발광부
(3) : 신속설치부 (4) : 레이저모듈
(5) : 제어모듈부 (11) : 전방부
(12) : 후방부 (12a) : 힌지홈
(13) : 볼헤드 체결부 (14) : 돌출부
(21) : 광투과케이스 (22) : 발광 모듈
(31) : 돌출형 전원단자 (32) : 힌지
(41) : 볼헤드 (42) : 패턴렌즈
(51) : 마이크로폰 (52) : 소리 증폭부
(53a) : 일반전원단자 (53) : DC전원부
(54) : 충전회로부 (55a) : 비상전원단자
(55) : 축전지 (56) : 스위치
(57) : 메인제어부 (57a) : 주파수 대역비교부
(57b) : 소리강도비교부 (57c) : 전원비교부
(57d) : 설정제어부 (57e) : 구동신호출력부

Claims (10)

  1. 표시등본체(1)와; 표시등본체에 설치되어 대피로 진행 방향을 표시하게 발광되는 방향표시발광부(2)와; 임의의 지점에 간편하게 체결되어 상기 표시등본체(1)가 회전되도록 하는 신속설치부(3)와; 상기 표시등본체에 체결되어 임의의 대피 지점 방향으로 자유롭게 방향을 조절하여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모듈(4)과; 화재 경보음을 인식하여 상기 방향표시발광부와 레이저모듈을 작동시키는 제어모듈부(5);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등본체(1)는 방향표시발광부(2)가 설치되어 지지되도록 구성되되,
    방향표시발광부(2)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게 형성되어 대피로 진행 방향을 표시하게 구성된 전방부(11)와;
    신속설치부(3)와 힌지 결합하는 힌지홈(12a)이 형성되어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 후방부(12)와;
    전방부(11)와 후방부(12) 사이에 형성되어 레이저모듈과 체결되는 볼헤드 체결부(1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경보음에 연동되는 대피로 방향표시등.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등본체(1)는 전방부가 후방부 보다 돌출되도록 돌출부(14)가 형성되어 단차진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볼헤드 체결부(13)는 전방부의 후방 돌출부(14)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하나 이상의 레이저모듈(4)이 자유회전하여 위치 조절시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경보음에 연동되는 대피로 방향표시등.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향표시발광부(2)와 표시등본체(1)의 전방부(11)는 화살표 형상, 정삼각형 형상, 직각 삼각형 형상 중 어느 하나의 방향표시 형상을 가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경보음에 연동되는 대피로 방향표시등.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향표시발광부(2)는 방향표시 형상을 가지는 광투과케이스(21)와;
    광투과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광원을 제공하는 발광 모듈(2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경보음에 연동되는 대피로 방향표시등.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케이스(21)가 붉은색 광투과케이스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발광 모듈(22)이 붉은색 광원을 발광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경보음에 연동되는 대피로 방향표시등.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속설치부(3)는 일측면에 돌출된 신속 설치와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단자(31)와;
    상면에 돌출된 표시등본체의 방향전환을 위한 힌지(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경보음에 연동되는 대피로 방향표시등.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모듈(4)은 일측으로 돌출된 구조의 볼헤드(41)가 구비되어 표시등본체(1)에 설치된 볼헤드 체결부(13)에 삽입되게 2개가 구비되어 각각 임의의 각도와 방향으로 조절되도록 구성하되,
    레이저가 조사되는 전단부에는 교체형 패턴렌즈(42)가 설치되어 설치된 패턴렌즈의 패턴 기호에 따라 레이저 모양이 조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경보음에 연동되는 대피로 방향표시등.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부(5)는
    화재 경보음을 전기 주파수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51)과;
    상기 마이크로폰의 전기 주파수를 증폭하는 소리 증폭부(52)와;
    외부에서 공급된 DC 전원을 충전회로부(54)와 일반전원단자(53a)에 공급하는 DC전원부(53)와;
    인가된 DC전원으로 축전지를 충전시키는 충전회로부(54)와;
    비상전원단자(55a)와 연결된 축전지(55)와;
    일반전원단자 또는 비상전원단자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방향표시발광부(2) 및 레이저모듈(4)에 전원을 인가하는 스위치(56)와;
    상기 소리증폭부를 거친 소리를 비교하여 설정된 강도 이상의 화재경보음 주파수 대역일 경우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메인제어부(5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경보음에 연동되는 대피로 방향표시등.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부(57)는
    증폭된 주파수 대역이 화재경보음의 주파수 대역인지를 비교하는 주파수 대역비교부(57a)와;
    주파수대역 비교부를 통과한 주파수의 강도가 설정 강도 이상인지를 비교하는 소리강도비교부(57b)와;
    DC전원부 및 축전지와 연결되어 전원 인가 여부를 비교하는 전원비교부(57c)와;
    소리강도비교부의 출력 신호가 있을 경우 전원비교부의 출력 신호에 따라 외부전원이 인가상태이면 일반전원 단자와 연결하고, 외부전원이 차단된 상태이면 비상전원단자와 연결하라는 신호를 출력하는 설정제어부(57d)와;
    설정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선택된 전원단자와 연결되도록 스위치를 구동시키는 구동신호출력부(57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경보음에 연동되는 대피로 방향표시등.
KR1020220178990A 2022-12-20 2022-12-20 화재 경보음에 연동되는 대피로 방향표시등 KR102520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8990A KR102520966B1 (ko) 2022-12-20 2022-12-20 화재 경보음에 연동되는 대피로 방향표시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8990A KR102520966B1 (ko) 2022-12-20 2022-12-20 화재 경보음에 연동되는 대피로 방향표시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0966B1 true KR102520966B1 (ko) 2023-04-12

Family

ID=85984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8990A KR102520966B1 (ko) 2022-12-20 2022-12-20 화재 경보음에 연동되는 대피로 방향표시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0966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4204Y1 (ko) 1999-12-21 2000-06-01 신화전자주식회사 화재발신기 표시등
KR200303073Y1 (ko) 2002-10-24 2003-02-06 이계선 비상구 표시등
KR200322116Y1 (ko) * 2003-04-21 2003-08-02 손재설 레이저를 이용하는 비상용 조명등 박스
KR100950237B1 (ko) 2009-09-09 2010-03-31 (주)다산기업 소방용 표시등
KR101059612B1 (ko) 2009-02-12 2011-08-25 (주)엘티아이 저전력 무선 감지센서를 이용하는 led 비상구 표시등을 구비한 화재 비상표시 유도 시스템
KR101208298B1 (ko) * 2011-08-16 2012-12-05 이성 화재시 안내 시스템
KR20130109349A (ko) * 2012-03-27 2013-10-08 주식회사 건국이엔아이 복합형 피난 유도장치
KR20160077632A (ko) * 2014-12-24 2016-07-04 박인철 방향표시 가변이 가능한 케이블 트레이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4204Y1 (ko) 1999-12-21 2000-06-01 신화전자주식회사 화재발신기 표시등
KR200303073Y1 (ko) 2002-10-24 2003-02-06 이계선 비상구 표시등
KR200322116Y1 (ko) * 2003-04-21 2003-08-02 손재설 레이저를 이용하는 비상용 조명등 박스
KR101059612B1 (ko) 2009-02-12 2011-08-25 (주)엘티아이 저전력 무선 감지센서를 이용하는 led 비상구 표시등을 구비한 화재 비상표시 유도 시스템
KR100950237B1 (ko) 2009-09-09 2010-03-31 (주)다산기업 소방용 표시등
KR101208298B1 (ko) * 2011-08-16 2012-12-05 이성 화재시 안내 시스템
KR20130109349A (ko) * 2012-03-27 2013-10-08 주식회사 건국이엔아이 복합형 피난 유도장치
KR20160077632A (ko) * 2014-12-24 2016-07-04 박인철 방향표시 가변이 가능한 케이블 트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7187B2 (ja) 光誘導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US9576459B2 (en) Evacuation guidance notification device and system
US20120175494A1 (en) Occupancy sensor and controllable photosensor
US20120092183A1 (en) Emergency Lighting System with Projected Directional Indication
KR20170079124A (ko) IoT 기반의 단독형 소방 감지기
US6864799B2 (en) Emergency lighting device for firefighters
US20160353542A1 (en) Lighted door knob with lighted keyhole and lighted door frame and including motion detector and music or sounds
KR102520966B1 (ko) 화재 경보음에 연동되는 대피로 방향표시등
KR101407929B1 (ko) 비상구 유도등
KR101960868B1 (ko) 식별이 용이한 광원부를 갖는 랙크식 창고용 피난 안내 장치
KR101896540B1 (ko) 화재안전 엘이디조명 시스템
JP2013185360A (ja) 照明付ドアセット
KR200320784Y1 (ko) 움직이는 대피로유도표시 생성 레이저유도등
US20230194066A1 (en) Lighting system
JP6868290B2 (ja) 多機能ledランプ、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照明範囲監視・警報システム
JP2021180138A (ja) 照明角度調節型口金、およびそれが組み込まれたカメラ付き直管型ledランプ
KR20210082580A (ko) 레이저피난유도장치 및 방법
KR101875106B1 (ko) 휴대용 비상 조명 장치
KR100971376B1 (ko) 비상조명등
KR101783826B1 (ko) 피난 유도등 및 그의 제어 시스템
KR101807261B1 (ko) 경고 표시 기능을 갖는 소방 감지기 및 이를 구비한 소방 방재 시스템
KR20170010346A (ko) 대피안내 겸용 조명장치
CN210667648U (zh) 一种投射逃生路线的应急灯组件
WO2022043650A1 (en) Safety device, door, fire safety systems, and method of indicating the status of a door, and improving fire safety
KR101888467B1 (ko)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