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0091B1 - 복합소호식 초고압 차단기의 소호부 - Google Patents

복합소호식 초고압 차단기의 소호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0091B1
KR102520091B1 KR1020160030488A KR20160030488A KR102520091B1 KR 102520091 B1 KR102520091 B1 KR 102520091B1 KR 1020160030488 A KR1020160030488 A KR 1020160030488A KR 20160030488 A KR20160030488 A KR 20160030488A KR 102520091 B1 KR102520091 B1 KR 102520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losure
cooling tube
arc
discharge hol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0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6838A (ko
Inventor
박지용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160030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0091B1/ko
Publication of KR20170106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6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70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7015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characterised by flow directing elements associated with contacts
    • H01H33/7023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characterised by flow directing elements associated with contacts characterised by an insulating tubular gas flow enhancing nozzle
    • H01H33/703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characterised by flow directing elements associated with contacts characterised by an insulating tubular gas flow enhancing nozzle having special gas flow directing elements, e.g. grooves, extens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70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80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from a pressure source being controlled by a valve
    • H01H33/82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from a pressure source being controlled by a valve the fluid being air or g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70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88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produced or increased by movement of pistons or other pressure-producing parts
    • H01H33/90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produced or increased by movement of pistons or other pressure-producing parts this movement being effected by or in conjunction with the contact-operating mechanism
    • H01H33/91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produced or increased by movement of pistons or other pressure-producing parts this movement being effected by or in conjunction with the contact-operating mechanism the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air or g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70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88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produced or increased by movement of pistons or other pressure-producing parts
    • H01H33/90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produced or increased by movement of pistons or other pressure-producing parts this movement being effected by or in conjunction with the contact-operating mechanism
    • H01H2033/907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produced or increased by movement of pistons or other pressure-producing parts this movement being effected by or in conjunction with the contact-operating mechanism using tandem pistons, e.g. several compression volumes being modified in conjunction or sequential

Landscapes

  • Circuit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소호식 초고압 차단기의 소호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각통 내의 냉가스와 열가스의 체류시간을 증대시켜 혼합효율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복합소호식 초고압 차단기의 소호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소호식 초고압 차단기의 소호부는 종단부에 고정부 냉각통이 구비되는 고정부 외함; 상기 고정부 외함에 소정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위치하고, 종단부에 가동부 냉각통이 구비되는 가동부 외함; 상기 고정부 외함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 아크접점; 상기 고정부 외함 및 가동부 외함의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 로드; 상기 실린더 로드의 외부에 설치되어 압축실과 팽창실을 형성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 로드의 종단부에 설치되는 가동 아크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 냉각통에 형성되는 제1배출홀, 상기 고정부 외함에 형성되는 제2배출홀, 상기 가동부 냉각통에 형성되는 제3,제4 배출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합소호식 초고압 차단기의 소호부{Extinguishing Unit of High Voltage Gas Circuit Breaker using PASB(Puffer-Assisted Self-Blast)}
본 발명은 복합소호식 초고압 차단기의 소호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각통 내의 냉가스와 열가스의 체류시간을 증대시켜 혼합효율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복합소호식 초고압 차단기의 소호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 차단기(Gas Circuit Breaker) 혹은 가스절연개폐장치(Gas Insulated Switchgear)는 전기계통의 전원측과 부하측간의 회로 사이에 설치되어 회로상에 지락이나 단락 등 이상전류가 발생하였을 때 전류를 안전하게 차단하여 전력계통 및 부하기기를 보호하는 전기기기로서 주로 초고압(High Voltage)용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가스 차단기는 정상상태에서는 정격전류와 정격전압을 운전할 수 있는 통전성능과 절연성능이 유지되어야 하며, 이상상태에서는 사고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차단성능을 확보해야 한다.
가스 차단기는 차단부(소호부)의 구성과 차단방식에 따라 크게 퍼퍼(Puffer) 방식과 복합소호PASB(Puffer-Assisted Self-Blast) 방식으로 나누어진다. 퍼퍼 방식은 압축된 열가스에 의해 아크를 소호하는 방식으로 압축실이 구비되며, 복합 소호 차단방식은 기존의 퍼퍼 방식과 열팽창 방식을 혼합한 차단방식으로 압축실과 팽창실이 구비된다.
도 1에 종래기술에 따른 복합소호식 초고압 가스 차단기의 가동부와 고정부가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가스차단기의 소호부는 도면상 우측의 고정부와 도면상 좌측의 가동부로 구성된다. 여기서, 고정부는 고정부 외함(1), 고정 주접점(2), 고정 아크접점(3), 냉각실(4) 등으로 구성되고, 가동부는 가동부 외함(5), 실린더 로드(5a), 실린더(5b), 주노즐(6), 보조노즐(7), 가동 아크접점(8), 가동 주접점(9)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고정부 외함(1)과 가동부 외함(5)은 각각 고정부 및 가동부를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계통에 사고전류가 발생하는 경우 가동부는 구동부(미도시)의 동력을 받아 실린더 로드(5a)가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주접점 및 아크접점이 분리되어 차단이 일어난다. 도 2에 종래기술에 따른 복합소호식 초고압 가스 차단기의 차단작용이 나타나 있다. 차단 시 아크접점에서 발생하는 아크가 열가스로 전환되어 유동로를 통해 냉각실로 유입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가스차단기의 사고전류 차단 시 가동 아크접점(8)과 고정 아크접점(4) 사이에서 아크가 발생한다. 아크접점 사이에 아크가 발생하면 아크 에너지에 의해 노즐 용삭을 수반하고, 노즐 부근의 높은 정체압력으로 인해 열가스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 아크에 의해 가열된 열가스는 압축실(B)을 거쳐 팽창실(A)로 들어가 팽창실의 압력을 상승시키게 된다. 전류 영점시에는 팽창실(A)의 가스가 분사되어 아크를 소호하게 된다. 이때, 고온/고압으로 전환된 열가스는 보조노즐(7)과 주노즐(6)사이의 유로를 통해 고정부의 냉각실(4)로 흘러가서 냉각되며, 일부는 가동부 내부로 흐른다. 냉각실로 이동한 열가스는 냉각실의 냉가스와 혼합되면서 온도가 압력이 감소하면서 배출홀(4a, 5c)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그런데, 이때, 고온, 고압의 가스가 차단기를 둘러싸고 있는 탱크(미도시) 쪽으로 직접 유출되는 경우에는 대지간 지락(grounding)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의 냉각실(4) 종단부 영역(D), 가동부 외함(5)의 종단부 영역(C)은 열가스가 도달하지 못하고 냉가스만 존재하는 소위 사체적(Dead Volume)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냉각통 내의 냉가스와 열가스의 체류시간을 증대시켜 혼합효율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복합소호식 초고압 차단기의 소호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소호식 초고압 차단기의 소호부는 종단부에 고정부 냉각통이 구비되는 고정부 외함; 상기 고정부 외함에 소정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위치하고, 종단부에 가동부 냉각통이 구비되는 가동부 외함; 상기 고정부 외함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 아크접점; 상기 고정부 외함 및 가동부 외함의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 로드; 상기 실린더 로드의 외부에 설치되어 압축실과 팽창실을 형성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 로드의 종단부에 설치되는 가동 아크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 냉각통에 형성되는 제1배출홀, 상기 고정부 외함에 형성되는 제2배출홀, 상기 가동부 냉각통에 형성되는 제3,제4 배출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 외함 또는 상기 고정부 냉각통의 내부에 설치되어 차단시 발생하는 아크를 상기 고정부 냉각통의 후단부로 모이도록 안내하는 열가스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배출홀은 상기 고정부 냉각통의 최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배출홀은 상기 고정부 외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배출홀은 상기 가동부 냉각통의 최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4배출홀은 상기 가동부 냉각통의 최내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제2,제3,제4 배출홀에는 각각 메쉬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쉬망은 홀 크기가 조절됨으로써 가스 배출량이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 냉각통의 축 중심부에는 상기 열가스 가이드를 빠져나온 열가스가 외곽으로 분산될 수 있도록 경사면을 갖는 가스 분산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소호식 초고압 차단기의 소호부에 의하면 고정부 및 가동부에 복수 개의 배출홀이 형성되어 차단시 열가스와 냉가스의 혼합이 원활하게 일어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와의 공기 흐름이 증가하여 냉각통 내부에서 열가스가 흐르는 유동 경로가 증가하여 열가스와 냉가스의 혼합시간이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냉각통 내부의 사체적(Dead Volume)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급격한 열가스의 유출을 통한 대지와의 절연 파괴 현상이 감소한다. 한편, 배출홀에 배치되는 메쉬망의 메쉬 사이즈를 조절하여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복합소호식 초고압 가스 차단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복합소호식 초고압 가스 차단기의 차단작용이 나타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소호식 초고압 차단기의 소호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소호식 초고압 차단기의 소호부의 작용도로서 열팽창실로 열가스가 유입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소호식 초고압 차단기의 소호부의 작용도로서 열팽창실 내에서 열가스가 냉가스와 혼합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소호식 초고압 차단기의 소호부의 작용도로서 열팽창실의 열가스가 극간의 아크 영역으로 분사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소호식 초고압 차단기의 소호부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복합소호식 초고압 차단기의 소호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소호식 초고압 차단기의 소호부는 종단부에 고정부 냉각통(11)이 구비되는 고정부 외함(10); 상기 고정부 외함(10)에 소정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위치하고, 종단부에 가동부 냉각통(31)이 구비되는 가동부 외함(30); 상기 고정부 외함(10)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 아크접점(21); 상기 고정부 외함(10) 및 가동부 외함(30)의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 로드(41); 상기 실린더 로드(41)의 외부에 설치되어 압축실(A)과 팽창실(A)을 형성하는 실린더(42); 상기 실린더 로드(41)의 종단부에 설치되는 가동 아크접점(43);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 냉각통(11)에 형성되는 제1배출홀(12), 상기 고정부 외함(10)에 형성되는 제2배출홀(13), 상기 가동부 냉각통(30)에 형성되는 제3,제4 배출홀(32,33)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소호식 초고압 차단기는 크게 도면상 좌측에 설치되는 가동부와 도면상 우측에 설치되는 고정부로 구성될 수 있다.
가동부는 주노즐(44), 보조노즐(45), 가동 주접점(46), 가동 아크접점(43), 실린더(42), 실린더 로드(41)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동부 외함(30)은 원통형의 외함으로 형성된다. 가동부 외함(30)은 가동부의 외형을 구성하고 내부의 구성요소들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실린더 로드(41)가 가동부 외함(30)의 축중심을 따라 설치된다. 실린더 로드(41)는 가동로드(47)에 연결되어 구동부(미도시)의 동력에 의해 전,후진 운동을 하게 된다.
실린더(42)가 실린더 로드(41)에 결합되어 가동부 외함(30)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실린더(42)의 선단에는 엔드 플레이트(42a)가 구비 또는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중앙부에는 미들 플레이트(42b)가 구비 또는 형성된다. 미들 플레이트(42b)에는 홀이 형성되어 가스가 흐를 수 있다. 엔드 플레이트(42a)와 미들 플레이트(42b) 사이의 공간은 압축실(B)을 이루고, 미들 플레이트(42b) 하부의 공간은 팽창실(A)을 이룬다.
실린더(42)의 엔드 플레이트(42a)의 외측에 가동 주접점(46)이 결합된다. 가동 주접점(46)은 고정 주접점(22)에 접촉되는 경우 주전류를 통전하게 된다.
실린더(42)의 엔드 플레이트(42a) 및 가동 주접점(46)의 내주면에 주노즐(44)이 결합된다. 주노즐(44)은 차단시 발생하는 아크의 유동 경로를 만들어주게 된다. 아크는 실린더(42)의 내부에 형성되는 팽창실(A)에서 분사되는 소호 가스와 함께 주노즐(44)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동 경로를 따라 확산되어 고정부 외함(30)의 종단부에 형성된 고정부 냉각통(11)에서 냉각된다.
실린더(42) 내부에는 팽창실(A)로부터 주노즐(44)의 목에 이르는 유동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보조노즐(45)이 마련될 수 있다. 보조노즐(45)은 가동 아크접점(43)의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가동 아크접점(43)은 실린더 로드(41)의 종단부에 결합된다. 가동 아크접점(43)은 통전시 고정 아크접점(21)에 연결되어 전류를 통전시키다가, 차단시 주접점보다 나중에 분리되면서 아크를 발생시키게 된다.
가동부 냉각통(31)에는 제3배출홀(32) 및 제4배출홀(33)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3배출홀(32)은 상기 가동부 냉각통(31)의 최외측(도면상 좌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4배출홀(33)은 상기 가동부 냉각통(31)의 최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배출홀(32)은 가동부 냉각통(31)의 종단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열가스가 최대한 멀리까지 이동하여 냉가스와 혼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3배출홀(32)와 제4배출홀(33)이 충분한 간격을 형성하도록 하여 가동부 냉각통(31) 전체에서 혼합이 잘 일어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가동부 측에 배출홀이 2개로 형성되어 외기와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가스의 배출을 돕는 동시에 가동부 냉각통(31)에서의 가스의 혼합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공기는 외부로부터 제3배출홀(32)을 통해 가동부 냉각통(31) 내부로 들어가고, 다시 제4배출홀(33)을 통해 외부로 흘러나올 수 있으므로 가동부 냉각통(31) 내부의 공기 흐름이 원활해진다(물론, 이의 역방향도 가능하다).
고정부 외함(10)은 실린더 형태로 형성된다. 고정부 외함(10)의 선단에는 고정 주접점(22)이 구비된다.
고정부 외함(10)의 내부에는 중심축을 따라 고정 아크접점(21)이 마련된다. 차단시 고정 아크접점(21) 주변으로 열가스가 흘러가게 된다.
고정부 외함(10)의 종단부에는 고정부 냉각통(11)이 마련된다. 고정부 냉각통(11)은 고정부 외함(10)의 외측에 연통하여 마련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고정부 냉각통(11)은 고정부 외함(1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고정부 냉각통(11)에서는 차단시 발생하는 열가스가 냉가스와 혼합된다.
고정부 냉각통(11)의 내부에는 열가스 가이드(25)가 마련될 수 있다. 열가스 가이드(25)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열가스 가이드(25)는 입구측이 넓고, 출구측이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열가스 가이드(25)는 차단시 발생하는 고온,고압의 열가스를 고정부 냉각통(11)의 후단부까지 흐르도록 하여 냉가스와의 혼합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열가스 가이드(25)에는 측면부에 복수 개의 가스홀(26)이 마련될 수 있다.
고정부 냉각통(11)의 축 중심부에는 상기 열가스 가이드(25)를 빠져나온 열가스가 외곽으로 분산될 수 있도록 경사면(15)을 갖는 가스 분산부(1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가스 분산부(14)는 원뿔형으로 형성되어 경사면(15)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차단시 발생하는 열가스는 고정부 외함(10) 및 열가스 가이드(25)를 거쳐 고정부 냉각통(11)의 후단부에 이르게 되는데 이때 고정부 냉각통(11)의 축 중심부에 형성되는 가스 분산부(14)로 인해 열가스는 외곽으로 퍼지면서 냉가스와의 혼합이 잘 일어나게 된다.
고정부 냉각통(11)에는 제1배출홀(12)이 형성되고, 고정부 외함(10)에는 제2배출홀(13)이 형성된다. 열가스는 제1배출홀(12) 및 제2배출홀(13)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여기서, 제1배출홀(12)은 상기 고정부 냉각통(11)의 최외측(도면상 우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배출홀(13)은 상기 고정부 외함(1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배출홀(12)은 고정부 냉각통(11)의 최외곽에 위치하도록 하여 열가스가 최대한 멀리까지 이동하여 냉가스와 혼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배출홀(12)와 제2배출홀(13)이 충분한 간격을 형성하도록 하여 고정부 냉각통(11) 전체에서 혼합이 잘 일어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고정부 측에 배출홀이 2개로 형성되어 외기와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가스의 배출을 돕는 동시에 고정부 냉각통(11)에서의 가스의 혼합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공기는 외부로부터 제1배출홀(12)을 통해 고정부 냉각통(11) 내부로 들어가고, 다시 제2배출홀(13)을 통해 외부로 흘러나올 수 있으므로 고정부 냉각통(11) 내부의 공기 흐름이 원활해진다(물론, 이의 역방향도 가능하다).
상기 제1,제2,제3,제4 배출홀(12,13,32,33)에는 각각 메쉬망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쉬망의 홀 크기가 변경됨에 따라 열가스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즉, 고정부에서 제1배출홀(12)과 제2배출홀(13)의 메쉬망의 홀 사이즈를 조절하여 배출되는 가스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가동부에서 제3배출홀(32)과 제4배출홀(33)의 메쉬망의 홀 사이즈를 조절하여 배출되는 가스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소호식 초고압 차단기의 차단시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차단 초기 상태로서 열팽창실로 열가스가 유입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차단 과정 중의 상태로서 열팽창실 내에서 열가스가 냉가스와 혼합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차단 후기 상태로서 열팽창실의 열가스가 극간의 아크 영역으로 분사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단시 가동 아크접점(43)과 고정 아크접점(21)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아크에 의해 주노즐(44)의 용삭을 수반하고, 주노즐(44)과 보조노즐(45) 사이의 높은 정체압력으로 인하여 열가스는 압축실(A)을 거쳐 팽창실(A)로 들어가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열가스는 팽창실(A) 내에서 기존의 냉가스와 혼합되며 팽창실(A)의 내부 압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전류 영점시에는 팽창실(A)에서 압축되어진 고압 가스가 주노즐(44)과 보조노즐(45) 사이의 유로를 통해 아크가 있는 영역으로 분사된다. 팽창실(54)에서 분사된 가스는 고온,고압의 열가스로 전환된다. 이 열가스는 보조노즐(45)과 주노즐(44) 사이의 유로를 거쳐 확산되면서 열가스 가이드(25)를 통해 고정부 냉각통(11)의 후단부까지 흘러서는 제1배출홀(12) 및 제2배출홀(1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즉, 사체적이 감소하게 된다. 이때, 가스배출홀이 제1배출홀(12) 및 제2배출홀(13)의 2개로 구성되어 외기는 제1배출홀(12)로 들어와 제2배출홀(13)로 나가는 공기흐름을 만들 수 있으므로 가스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종래 하나의 배출홀만 구성되는 경우 급격한 아크가스의 배출로 인해 발생할 수 있었던 지락이 분산 배출을 통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소호식 초고압 차단기의 소호부에 의하면 고정부 및 가동부에 복수 개의 배출홀이 형성되어 차단시 열가스와 냉가스의 혼합이 원활하게 일어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와의 공기 흐름이 증가하여 냉각통 내부에서 열가스가 흐르는 유동 경로가 증가하여 열가스와 냉가스의 혼합시간이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냉각통 내부의 사체적(Dead Volume)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급격한 열가스의 유출을 통한 대지와의 절연 파괴 현상이 감소한다. 한편, 배출홀에 배치되는 메쉬망의 메쉬 사이즈를 조절하여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실시예들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고정부 외함 11 고정부 냉각통
12 제1배출홀 13 제2배출홀
14 가스 분산부 15 경사면
21 고정 아크접점 22 고정 주접점
25 열가스 가이드 26 가스홀
30 가동부 외함 31 가동부 냉각통
32 제3배출홀 33 제4배출홀
41 실린더 로드 42 실린더
42a 엔드 플레이트 42b 미들 플레이트
43 가동 아크접점 44 주노즐
45 보조노즐 46 가동 주접점

Claims (7)

  1. 종단부에 고정부 냉각통이 구비되는 고정부 외함;
    상기 고정부 외함에 소정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위치하고, 종단부에 가동부 냉각통이 구비되는 가동부 외함;
    상기 고정부 외함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 아크접점;
    상기 고정부 외함 및 가동부 외함의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 로드;
    상기 실린더 로드의 외부에 설치되어 압축실과 팽창실을 형성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 로드의 종단부에 설치되는 가동 아크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 냉각통에 형성되는 제1배출홀, 상기 고정부 외함에 형성되는 제2배출홀, 상기 가동부 냉각통에 형성되는 제3,제4 배출홀이 마련되고,
    상기 제1배출홀은 상기 고정부 냉각통의 최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배출홀은 상기 고정부 외함에 형성되고,
    상기 제3배출홀은 상기 가동부 냉각통의 최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4배출홀은 상기 가동부 냉각통의 최내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호식 초고압 차단기의 소호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외함 또는 상기 고정부 냉각통의 내부에 설치되어 차단시 발생하는 아크를 상기 고정부 냉각통의 후단부로 모이도록 안내하는 열가스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복합소호식 초고압 차단기의 소호부.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제3,제4 배출홀에는 각각 메쉬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호식 초고압 차단기의 소호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망은 홀 크기가 조절됨으로써 가스 배출량이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호식 초고압 차단기의 소호부.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냉각통의 축 중심부에는 상기 열가스 가이드를 빠져나온 열가스가 외곽으로 분산될 수 있도록 경사면을 갖는 가스 분산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호식 초고압 차단기의 소호부.
KR1020160030488A 2016-03-14 2016-03-14 복합소호식 초고압 차단기의 소호부 KR102520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488A KR102520091B1 (ko) 2016-03-14 2016-03-14 복합소호식 초고압 차단기의 소호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488A KR102520091B1 (ko) 2016-03-14 2016-03-14 복합소호식 초고압 차단기의 소호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838A KR20170106838A (ko) 2017-09-22
KR102520091B1 true KR102520091B1 (ko) 2023-04-10

Family

ID=60034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0488A KR102520091B1 (ko) 2016-03-14 2016-03-14 복합소호식 초고압 차단기의 소호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00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928U (ko) 2019-02-25 2020-09-02 엘에스일렉트릭(주) 가스 절연 차단기
CN110112033A (zh) * 2019-05-08 2019-08-09 沈阳工业大学 一种带有辅助活塞的弧触头及使用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656B1 (ko) * 2010-12-31 2012-07-0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가스 절연 차단기의 소호부
KR101508442B1 (ko) * 2013-11-18 2015-04-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차단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2942A (ko) * 2006-12-29 2008-07-0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기중차단기의 소호장치
KR200478813Y1 (ko) * 2011-05-27 2015-11-1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가스절연 개폐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656B1 (ko) * 2010-12-31 2012-07-0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가스 절연 차단기의 소호부
KR101508442B1 (ko) * 2013-11-18 2015-04-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차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838A (ko) 2017-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0770B1 (ko) 전기 차단 장치 그리고 전기 차단 장치의 소멸 가스 냉각 방법
JP6667370B2 (ja) ガス遮断器
KR20140132929A (ko) 차단성능이 향상되는 복합 소호형 가스 차단기
JP6818604B2 (ja) ガス遮断器
KR102520091B1 (ko) 복합소호식 초고압 차단기의 소호부
JP2012069348A (ja) ガス遮断器
KR101697584B1 (ko) 초고압 차단기의 노즐 구조
KR101605142B1 (ko) 가스절연 차단기
KR101501636B1 (ko) 체크밸브를 가지는 복합소호방식 가스 차단기
KR101524800B1 (ko) 가스 차단기의 자동이동식 유동가이드
KR102525553B1 (ko) 초고압 차단기
WO2018066119A1 (ja) ガス遮断器
KR101400589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JP2018113189A (ja) ガス遮断器
KR101697583B1 (ko) 초고압 가스 차단기
KR20130131166A (ko) 가스절연 차단기의 방열 장치
CN109196615B (zh) 电气电路断路器装置
KR101890682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복합 소호식 가스 차단기
JP6564331B2 (ja) ガス遮断器
KR101508442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차단기
KR102466213B1 (ko) 가스절연 차단기
US20210074496A1 (en) Gas Circuit Breaker
KR20220144959A (ko) 유량 조절기가 구비된 가스 절연 차단기
KR101531644B1 (ko) 자기장 차폐 노즐을 가지는 가스 차단기
KR20220052169A (ko) 가스 차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