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9951B1 - 자세 교정 기능을 갖는 차량용 시트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자세 교정 기능을 갖는 차량용 시트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9951B1
KR102519951B1 KR1020210082552A KR20210082552A KR102519951B1 KR 102519951 B1 KR102519951 B1 KR 102519951B1 KR 1020210082552 A KR1020210082552 A KR 1020210082552A KR 20210082552 A KR20210082552 A KR 20210082552A KR 102519951 B1 KR102519951 B1 KR 102519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backrest
adjustment value
control uni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2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0294A (ko
Inventor
최우진
Original Assignee
최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우진 filed Critical 최우진
Priority to KR1020210082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9951B1/ko
Publication of KR20230000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68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using sensors or detectors for adapting the seat or seat part, e.g. to the position of an occup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N2002/026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002/2815Adaptations for seat belts with additional belt accessories, e.g. a belt tension det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0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자세 교정기능을 갖는 차량용 시트 및 이의 제어 방법은 착석자의 등이 안착되는 좌측 등받이부 및 우측등받이부를 포함하는 등받이부, 상기 좌측 시트부에 가해지는 압력과 상기 우측 시트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각각 감지하는 가압 감지부, 상기 등받이부를 동작시키는 조절부, 상기 가압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압력에 기반하여 상기 조절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압 감지부가 감지한 좌측 등받이부의 압력과 우측 등받이부의 압력을 비교하여, 압력의 차이가 있는 경우, 상기 압력의 차이가 현재보다 낮아지도록 하는 조절값을 도출하고, 상기 조절값에 따라 상기 조절부에 의해 상기 좌측 등받이부의 돌출 높이와 상기 우측 등받이부의 돌출 높이를 각각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세 교정 기능을 갖는 차량용 시트 및 그 제어방법 {Vehicle seat with posture correction function and its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자세 교정 기능을 갖는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착석자가 착석한 차량용 시트의 시트 등받이 부분을 조절함으로써 착석자의 자세를 교정하고, 척추 측만 증상을 완화하거나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상 생활에서 차량은 필수적인 수단이며, 최근 들어서는 여행 등 레저 문화의 고도화나 도시 광역화에 따른 출퇴근 거리 증가 등의 사회적인 여건의 변화로 인해 상당 시간을 차량 내부에 앉아서 보내는 경우가 과거에 비해 크게 증가한 상황이다.
차량에 탑승 시, 착석자는 보통 차량용 시트에 앉아서 이동하게 되는데, 차량 내부 공간이 좁은데다, 특히 운전자의 경우는 주행 시에 운행에 집중해야 하는 상황인 바, 신체 움직임이 크게 제한된다.
또한, 운전자는 주행 중 핸들을 조작하게 되는데, 한 손으로 조작하는 경우가 반복되면 자세의 편측성으로 인해 몸의 자세가 기울어지게 되면서 척추에 압박을 가하게 된다.
나아가, 운전자는 핸들 뿐 아니라 차량의 공조기, 네비게이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등 다양한 주변장치를 조작하게 되는데, 상기 주변 장치들이 일반적으로 운전석과 보조석 가운데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운전자는 이를 조작하기 위해 몸을 기울일 수 밖에 없는데, 이런 경우 역시 자세의 편측성으로 인해 척추에 압박을 가하게 된다.
반복적 또는 장시간 운전이 계속되게 되면, 상기와 같은 자세의 기울어짐에 의한 척추 압박이 지속적으로 반복될 수 밖에 없게 되는데, 그 결과 운전자의 척추는 일측 방향으로 휘어지는 측만 현상이 진행되면서 통증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울어진 자세는 척추를 중심으로 척추 좌우의 등근육의 텐션의 차이를 유발시킴으로 통증 및 근육 긴장을 유발하여 요통, 골반통을 일으키며 허벅지 근육의 강직 및 목까지 아프게 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증상이 심해지면 척추측만증과 같은 퇴행성 변화까지 진행될 수 있는 심각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착석자의 올바른 자세를 유도하기 위해 여러 인체공학적 의자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종래 기술중에는 출원인의 발명도 포함되어 있다(선행기술문헌 문헌 2).
상기 종래 기술들은 주로 등받이를 좌우로 분리 형태의 의자나, 등받이를 상하로 분리하여 요추부와 등부위를 분리한 형태의 의자들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들은 등받이 부분의 형상이나 구조만 개량한 것으로, 운전자의 자세가 기울어지거나 비틀리는 경우, 좌우 등근육에 불균형하게 가해지는 텐션의 차이를 해소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들은 일반 실내용 의자로서, 착석자가 앉은 자세에서 척추 부분에 불편함을 느낄 때 언제든지 일어나서 자세를 바꿔 앉을 수 있거나, 자유롭게 움직여 기울어지거나 비틀린 자세를 바꿀 수 있는 환경에서는 자세 교정에 효과적이나, 상기 언급한 차량 환경에서는 움직임이 크게 제한되기 때문에 차량에 적용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착석자가 불편함을 느껴도 효과적으로 착석자의 자세를 교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특허출원번호 제10-2019-0128249호, "조절식 요추 지지장치를 갖는 의자 등받이" 문헌 2. 대한민국특허청, 특허출원번호 제10-2017-0143833호, " 자세 교정용 의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착석자가 차량용 시트에 착석하였을 때, 착석자의 자세가 일측으로 기울어짐을 감지하여 이를 최소화될 수 있도록 올바른 자세로 교정하고 이를 유지시킴으로써, 척추의 측만 증상을 완화시키거나 방지하고, 나아가 척추측만증 혹은 골반 회전 등과 같은 퇴행성 질환이 진행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자세 교정 기능을 갖는 차량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세 교정 기능을 갖는 차량용 시트는 착석자 등의 좌측 부분이 안착되는 좌측 등받이부와 우측 부분이 안착되는 우측 등받이부를 포함하는 시트 등받이부, 상기 좌측 등받이부에 가해지는 압력과 상기 우측 등받이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각각 감지하는 가압 감지부, 상기 좌측 등받이부와 상기 우측 등받이부 각각의 돌출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부 및 상기 가압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압력에 기반하여 상기 조절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압 감지부가 감지한 좌측 등받이부의 압력과 우측 등받이부의 압력을 비교하여, 압력의 차이가 있는 경우, 상기 압력의 차이가 현재보다 낮아지도록 하는 제1조절값을 도출하고, 상기 제1 조절값에 따라 상기 조절부에 의해 상기 좌측 등받이부의 돌출 높이와 상기 우측 등받이부의 돌출 높이를 각각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조절값에 의한 상기 시트 등받이부의 돌출 높이가 조절된 이후,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압 감지부가 감지한 좌측 등받이부의 압력과 우측 등받이부의 압력을 비교하여, 압력의 차이가 있는 경우, 상기 압력의 차이가 현재보다 낮아지도록 하는 제2조절값을 도출하고, 상기 제2조절값에 따라 상기 조절부에 의해 상기 좌측 등받이부의 돌출 높이와 상기 우측 등받이부의 돌출 높이를 각각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절부는 2개 이상이 구비되되, 상기 가압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등받이부 부분의 돌출 높이를 각각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 감지부는 차량의 변속장치가 주행모드이고 안전벨트가 착용된 상태인 경우에 상기 시트 등받이부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변속장치가 주차모드이고 안전벨트가 미착용된 상태인 경우에 상기 제1조절값을 상기 제2조절값으로 갱신하고, 상기 갱신된 제2조절값에 따라 상기 조절부가 상기 좌측 등받이부의 돌출 높이와 상기 우측 등받이부의 돌출 높이를 각각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압 감지부 중 일부에서 소정 시간동안 압력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착석자에게 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를 제어하는 방법은 착석자를 식별하는 단계, 제1조절값에 따라 상기 조절부가 상기 좌측 등받이부의 돌출높이와 상기 우측 등받이부의 돌출높이를 각각 조절하는 단계, 좌측 등받이부에 가해지는 압력과 우측 등받이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각각 감지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감지된 좌측 등받이부의 압력과 우측 등받이부의 압력을 비교하여, 압력의 차이가 있는 경우, 상기 압력의 차이가 현재보다 낮아지도록 하는 제2조절값을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조절값을 상기 제2조절값으로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자세 교정 기능을 갖는 차량용 시트는 운전자가 차량용 시트에 앉았을 때, 척추 좌우의 등부위에 가해지는 압력의 차이를 감지하여, 상기 압력의 차이가 감소될 수 있도록 시트 등받이부의 좌, 우측 등받이부의 돌출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착석자의 자세를 올바르게 교정하여, 차량 탑승에 의한 척추 및 골반 등의 통증을 감소시키거나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척추측만증이나 골반 회전 등과 같은 퇴행성 질환이 진행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착석자의 자세를 모니터링하여, 착석자가 차량에 탑승할 때마다 현재 상태에 최적화된 바른 자세로 교정할 수 있도록 하여, 착석자의 상태 변화에도 그에 맞는 적절한 자세로의 교정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현재 주행 중인지 여부를 감지하여, 주행 중이 아닌 경우에만 자세 교정을 위한 시트 등받이부를 동작시킴으로써, 운전자의 운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여 주행 중 운전자의 자세 교정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인체의 척추와 골반 부분을 정면에서 촬영한 X-ray 사진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식화한 구성도,
도 3은 차량 내부에 실제 설치되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 내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에 착석한 탑승자의 X-Ray 사진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착석자의 등의 각 위치에 따른 조절부의 조절 전과 조절부의 조절 후 상태의 단면을 각각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를 사용하기 전·후 상태의 착석자의 척추 상태를 정면에서 촬영한 X-ray 사진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제2 실시예의 구성을 도식화한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에 의한 자세 교정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자세 교정 기능을 갖는 차량용 시트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자세 교정 기능을 갖는 차량용 시트가 구현된 일 예를 특정한 실시예들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인체 골격의 중심이 되는 부분은 척추와 골반으로서, 척추는 경추, 흉추, 요추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척추의 하단에 골반뼈가 연결되게 된다.
도 1은 이러한 인체의 척추와 골반 부분을 정면에서 촬영한 X-ray 사진으로, 좌측 사진은 척추와 골반의 전체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이며, 우측 사진은 좌측의 A, B 부분을 각각 확대한 사진이다.
도 1의 A부분은 경추 2번(치상부, Dens)에 해당하고, B부분은 요추 5번(후방돌기뼈, spinous process)에 해당하는데, 도 1의 L1과 같이 A부터 B까지 척추가 굽어 있는 부분이 없이 직선으로 나타나는 것이 정상이다.
또한, L2는 골반을 구성하는 장골(엉덩뼈)의 상단 부분인 장골능선(iliac crest)을 연결한 선으로서, 좌우측 장골능선의 높이를 나타내는데, 도 1과 같이 L2가 L1과 직교하는 상태, 즉 좌우측 장골능선의 높이가 같아 L2가 지면과 이루는 각이 0도인 상태로 나타나는 것이 정상이다.
따라서, L1이 굽는 상태 또는 L2가 경사지는 상태가 되는 자세를 취할 경우, 척추나 골반 등에 무리가 오게 되어 통증이 유발되고, 심할 경우에는 척추측만증이나 골반 뒤틀림 등의 퇴행성 질환까지 진행될 수 있으므로, 일상 생활에서 올바른 자세를 지속적으로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건강을 유지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는,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 시 올바른 자세로 교정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100)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식화한 구성도이며, 도 3은 차량 내부에 실제 설치되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100) 내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3의 (a)는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이며 (b)는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100)는 크게 착석자가 등을 기대는 백시트와 착석자의 둔부가 안착되는 착석시트로 구성되며, 상기 백시트에는 시트 등받이부(110), 가압 감지부(120), 조절부(130)가 구비되며, 상기 백시트 내부 또는 외부에 별도로 구비될 수 있는 제어부(140)는 차량 내부 통신망(400)에 연결되어 시트 등받이부(11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시트 등받이부(110)는 가장 외측에 구비되며, 착석자의 등 부위가 안착되어 직접 접촉되는 부분으로, 착석자의 척추를 기준으로 등의 좌측 부분이 안착되는 좌측 등받이부(111)와 우측 부분이 안착되는 우측 등받이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시트 등받이부(110)의 내측에는 시트 등받이부(110)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여 측정하는 가압 감지부(120)가 구비된다.
상기 가압 감지부(120)는 상기 좌측 등받이부(111)와 우측 등받이부(112)의 내측에 각각 위치하므로 착석자가 상기 시트 등받이부(110)에 등을 기대어 앉을 경우, 상기 좌측 등받이부(111)와 우측 등받이부(112)에 가해지는 압력을 각각 감지하여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압 감지부(120)는 단위구역으로 구획된 평면 상에서 각 단위구역에 가해지는 압력을 각각 감지할 수 있는 평면 형태의 압력센서 또는 감압센서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절부(130)는 상기 좌, 우측 등받이부(111, 112) 각 부분이 착석자의 등 쪽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좌, 우측 등받이부(111, 112)의 각 부분의 돌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착석자가 상기 시트 등받이부(110)에 등을 기대어 좌측 등부분과 우측 등부분이 각각 좌, 우측 등받이부(111, 112) 안착될 때, 척추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상기 좌, 우측 등받이부(111, 112)에 접촉하게 되므로,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등 부위의 높이에 따라 상기 좌, 우측 등받이부(111, 112)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조절부(130)는 좌우 한 쌍, 2개 이상의 쌍으로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부(130)들은 상기 시트 등받이부(110)가 지표면과 이루는 각도와 동일하도록 평행하게 배열되거나, 소정 범위 내의 각도로 배열되도록 구성되어 착석자의 등 부위의 곡선에 따라 배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절부(130)는 돌출 구동이 가능한 구동원이면 가능한 바, 일반적인 구동원인 모터 등으로 구현이 가능하며, 신체가 안착되는 것을 고려하여 시트에 착석했을 때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는 air bladder (공기주머니) 등으로도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조절부(130)는 air bladder로 구성된다.
상기 air bladder로 조절부(130)를 구성하는 경우, air bladder에 공기가 주입되어 부피가 부풀면, air bladder가 위치한 해당 부분의 시트 등받이부(110) 부분이 돌출되고, 반대로 공기가 배출되어 부피가 줄어들면 상기 시트 등받이부(110) 부분이 가라앉는 방식으로 시트 등받이부(110)의 각 부분의 돌출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부(140)는 상기 가압 감지부(120)가 감지한 좌, 우측 등받이부(111, 112)의 압력값을 비교하여, 압력의 차이가 있는 경우, 상기 압력의 차이가 현재보다 낮아지도록 하는 조절값을 도출하고, 상기 조절값에 따라 상기 조절부(130)가 상기 좌, 우측 등받이부(111, 112)의 돌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별도의 모듈로 구성되어 별도의 배선을 통해 차량 내부 통신망(400)과 직접 연결되거나, 차량에 구비되어 있는 OBD 포트(On-Board Diagnostics)와 유선 또는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으로도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차량 내부 통신망(400) 은 차량의 각종 장치, 센서 및 ECU 등의 신호 및 데이터들이 전송되는 통신망으로, CAN, MOST, Ethernet 등 다양한 통신 규격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방식으로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CAN 통신은 차량 내에서 호스트 컴퓨터 없이 마이크로 콘트롤러나 장치들이 서로 통신하기 위해 설계된 표준 통신 규격으로, 이를 사용할 경우 상기 제어부(140)는 CAN 버스로부터 차량의 상태정보를 직접 추출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40)로부터 송출되는 데이터는 CAN 버스로 브로드 캐스팅되어 차량용 시트를 제어할 수 있다.
변속 장치(200)와 안전벨트(300)는 일반적으로 차량에 구비되는 변속 장치(200)와 안전벨트(30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변속 장치(200)와 안전 벨트는 상기 차량 내부 통신망(400)에 연결되어 차량 내부 통신망(400)으로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브로드캐스팅 (broadcasting)한다.
예를 들면, 변속장치의 경우 현재 상태가 주행 (D-Drive), 후진 (R-Reverse), 주차(P-Park), 중립 (N- Neutral) 모드 중 어느 상태인지에 대한 정보들을 차량 내부 통신망(400)으로 실시간으로 브로드 캐스팅하며, 안전 벨트의 경우 각 좌석의 안전벨트(300) 착용 여부에 대한 상태정보가 브로드캐스팅 된다.
차량 내부 통신망(400)에 연결된 ECU등 차량의 각 부분들은 상기 브로드캐스팅된 상태 정보들을 식별하여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고 처리하게 되며, 상기 제어부(140) 역시 차량 내부 통신망(40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정보들을 식별하여 수신함으로써 변속 장치(200)와 안전 벨트의 현재 상태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에 착석한 착석자의 X-Ray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는 착석자가 착석한 직후 조절부(130)가 작동하기 전 상태이며, (b)는 이후 조절부(130)가 작동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착석자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에 착석하면서 시트 등받이부에 등 부위를 안착시키게 되는데, 척추를 중심으로 좌측 등 부위는 좌측 등받이부(111), 우측 등 부위는 우측 시트부(112)에 안착된다.
이 때, 좌, 우측 등부위가 좌, 우측 등받이부(111, 112)에 각각 압력을 가하고, 상기 시트 등받이부 바로 안쪽에 위치한 가압 감지부(130)에서 각 부분에 가해진 각각의 압력을 감지하게 되는데, 상기 감지된 압력을 통해 착석자의 착석 자세나 척추 측만 증상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가압 감지부(120)는 단위구역으로 구획된 평면 상에서 각 단위구역에 가해지는 압력을 각각 감지할 수 있는데, 골반이나 허리선 등 기준으로부터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좌, 우측 한 쌍의 등부위가 가하는 압력을 비교하여, 감지된 압력에 차이가 있다면, 압력이 큰 쪽 방향으로 척추가 휘었거나 자세가 기울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감지된 부위의 척추부분이 일측으로 휘었어졌거나, 자세가 기울어진 상태라면 기울어진 방향의 등 부위가 시트 등받이부에 더 큰 압력을 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가 교정 없이 유지될 경우 점차 심해지는데, 이미 척추가 틀어진 경우에는 틀어짐 정도가 더욱 심해지거나, 틀어지지 않은 경우에도 척추의 틀어짐 증상이 발생하여, 척추 나아가 골반 및 목 부위에 까지 심한 통증을 유발하고, 척추측만증 등 퇴행성 질환으로 진행될 수 있다.
즉, 등 부위의 기울어짐은 척추 측만 증상의 원인이자 결과가 되므로, 결과적으로 등 부위의 기울어짐 상태를 완화시킨다면 자연스럽게 바른 자세로 교정이 가능하며, 척추 측만 현상을 완화시키거나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의 (a)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착석자의 착석 직후에는 가압 감지부(120)에 압력이 감지되기 전 상태로서, 각 조절부(130)들은 어떠한 구동도 하지 않은 상태로서, 도면 상에는 빨간색으로 표시된다.
착석자가 착석 후, 상기 시트 등받이부에 등을 기대게 되면 가압 감지부(120)는 착석자의 등의 각 부위가 상기 시트 등받이부에 가하는 압력의 크기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가압 감지부(120)가 감지한 좌측 등받이부(111)의 압력과 우측 등받이부(112)의 압력을 비교하여, 압력의 차이가 있는 경우, 상기 압력의 차이가 현재보다 낮아지도록 하는 조절값을 도출한다.
여기서, 비교되는 압력의 크기는 척추를 중심으로 같은 높이의 좌 우측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조절부(130)가 있는 위치의 좌우측 압력을 비교한다. 도 3의 (b)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각 높이 별로 (h1~h5) 같은 높이의 조절부(130)가 위치하는 부분의 압력을 각각 비교하게 되는데, 예를 들면 130a와 130a’의 부분의 압력을 비교하는 것이다.
조절값이 도출되는 기준이 되는 압력의 차이 임계값은 압력값이 큰 쪽을 기준으로 그 차이값이 10%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10% 이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착석자의 상태나 운전 습관 등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양 측 압력 차이가 10%이내인 경우에 해당 높이의 등 부위의 기울어짐이 없다고 판단한다.
제어부(140)는 양 측의 압력 차이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조절값을 도출하여 해당 위치의 등받이부 부분을 조절하는데, 압력이 높은 쪽의 등받이 부분을 돌출시키게 된다.
이는 압력이 높은 등 부분 방향으로 해당 부위의 척추가 휘었거나, 해당 부위의 등이 기울어진 채 등받이부에 기대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압력이 높은 쪽의 등 부분을 돌출시켜 밀어줌으로써, 해당 부위의 등근육을 이완시켜 척추의 휜 증상을 완화시키기거나, 해당 등 부위의 기울어진 상태를 교정하여 자세를 바로잡게 하기 위함이다.
도 4의 (b)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착석자의 척추가 위에서 아래로 내려오면서 h1 부분부터 h3 부분까지는 좌측으로 휘어져 있으며, h4부분부터 h5 부분까지는 우측으로 휘어져 있다.
이 경우, 척추가 휜 방향으로 휜 정도에 따라 해당 등부위가 기울어지게 되므로, h1 부분부터 h3 부분까지는 좌측 등받이부(111)에 우측 등받이부(112)보다 더 큰 압력이 가해지고, 반대로 h4 부분부터 h5 부분까지는 우측 등받이부(112)에 좌측 등받이부(111)보다 더 큰 압력이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h1 부분부터 h3 부분까지는 좌측 등받이부(111)에 위치한 조절부 (130a’, 130b’, 130c’)를 돌출시키고, 반대로 h4 부분부터 h5 부분은 우측 등받이부(112)에 위치한 조절부 (130d, 130e)를 돌출시키게 된다.
이는 상기 각 위치(h1~h5)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도 5에 보다 자세히 나타난다.
도 5의 (a)는 각 위치(h1~h5)에 따른 단면을 조절부(130) 조절 전과 조절부(130)의 조절 후 상태를 각각 도시한 것이고, 도 5의 (b)는 각 단면의 해당 높이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의 (b)를 보면,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착석자의 척추는 위에서 아래로 내려오면서 h1 부분부터 h3 부분까지는 좌측으로 휘어져 있으며, h4부분부터 h5 부분까지는 우측으로 휘어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h1에서 h3까지는 좌측으로 휘어진 각도가 점점 더 커지다가, h3을 지나면서 우측으로 휘어지기 시작하여 h4에서 h5까지는 우측으로 휘어지 각도가 점점 커지는 상태이다.
척추가 휘어지는 각도가 커질수록, 착석자가 착석 시 등 부위의 기울어짐이 심해지게 되는데, 이는 도 5의 (a)를 통해 설명한다.
도 5의 (a) 좌측 부분은 조절부(130)의 조절 전 상태인데, 척추가 좌측으로 휘어지는 각도가 더 커지는 구간인 h1~h3까지, 척추(v)를 중심으로 좌우로 뻗어나가면서 착석자의 등부분의 골격을 이루고 있는 갈비뼈(r)의 기울어지는 각도가 좌측(L)으로 점점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우측으로 휘어지는 각도가 더 커지는 구간인 h1~h3까지는 갈비뼈(r)의 기울어지는 각도가 우측(R)으로 점점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기울어진 각도가 커짐에 따라 기울어진 쪽의 등받이부는 더 큰 압력을 받게 되므로 더 많이 눌려져 들어가게 된다.
이 때, 제어부(140)는 각 부분의 조절부의 돌출높이를 제어하는 조절값을 산출하여 도 5의 (a)의 우측과 같이 더 큰 압력을 받아 눌려진 쪽 부분의 조절부(130)를 돌출시켜 (돌출된 조절부는 하단에 화살표로 돌출 방향이 표시되어 있으며, 이는 도 4의 (b)에서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각각 130a’, 130b’, 130c’, 130d, 130e에 해당함) 해당 부분의 착석자의 등 부분을 밀어줌으로써, 기울어짐이 없도록 하거나, 완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착석자의 척추가 휘어진 상태를 설명하였으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착석자의 척추가 휘어진 상태가 아니더라도, 한 손으로 핸들을 조작한다던지, 차량 내 장치 조작을 위해 착석자가 자세를 한 쪽으로 기울이는 상황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돌출 높이는 제어부(140)가 도출한 조절값에 의해 결정되는데, 압력이 큰 쪽의 현재 압력이 5% 증가되는 높이로 값이 도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상기 5% 이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착석자의 상태나 운전 습관 등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조절부(130)의 돌출에 의해 해당 등받이부가 돌출되면 돌출되는 쪽의 등부분이 등받이부에 가하는 압력이 증가하므로, 상기 증가하는 압력을 가압 감지부(120)가 감지하여 압력값이 돌출 전의 압력값보다 5% 높아지는 높이까지 조절부가 돌출되도록 조절값을 도출한다.
이렇게 압력이 높은 쪽의 등받이부(111 또는 112)의 해당 부분을 돌출시키면 처음에는 돌출된 쪽의 압력이 더 커지게 되므로, 최초에는 좌, 우측 등받이부의(111, 112)의 압력차이가 순간적으로 증가하나, 해당 등부분의 좌 우측 기울어짐이 시간이 지나면 완화되거나 없어지므로, 최종적으로는 좌, 우측 등받이부(111, 112)에 감지되는 압력의 차이가 없어지거나 감소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척추가 휘어진 착석자에게는 양 측 등근육을 이완시켜 측만 증상이 완화될 수 있도록 하거나, 착석자의 한 쪽으로 기울어진 자세가 교정되는 것이다.
다만, 상기와 같은 한 번의 등받이부 높이 조절 과정으로는 측만 증상의 완화나 자세 교정이 충분하게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에 상기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착석자에게 최적화된 바른 자세로 교정하고 이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를 통해 보다 설명하면, 상기 과정을 통해 해당 등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의 등받이부를 최초로 돌출시킨 이후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감지되는 해당 위치(h1~h5)의 좌우측 등받이부(112)의 압력차이가 바람직하게는 10% 이내가 될 때까지 같은 과정을 반복한다.
다만, 상기 과정에서 조절되는 조절부(130)의 돌출 높이는 매번 달라질 수 있는데, 이는 직전 과정에서의 돌출 높이 조절로 인해 현재 압력 차이가 감소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어부(140)가 도출하는 조절값도 상기 과정이 반복될 때마다 달라지는데, 직전과정에서 도출된 조절값을 제1 조절값이라고 한다면, 상기 제1조절값에 의해 등받이부(111 또는 112)의 해당 부분을 돌출 시킨 이후, 다시 상기 과정의 반복을 통해 좌우측 등받이부(111, 112)의 압력을 감지하여 비교한 후, 도출되는 조절값은 제1조절 값과는 다른 제2조절값이 도출될 것이다.
즉, 상기 제1조절값에 의해 등받이부(111 또는 112)가 조절된 이후, 착석자의 상태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서 좌우 등받이부(111, 112)의 압력에 발생한 변화를 감지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에 반복적으로 좌우 등받이부(111, 112)의 압력을 감지하여, 상기 변화를 적용한 제2조절값이 새롭게 도출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은 좌,우측 등받이부(111, 112)의 압력 차이가 임계값보다 작을때까지 반복되기 때문에, 최초 척추 측만 현상이 심했거나, 기울어진 자세가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착석자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에 착석하게 되면 등받이부의 돌출 높이 조절에 의해 척추 측만의 정도가 점차 완화되거나, 기울어진 자세가 점차 올바른 자세로 교정되고 이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효과는 도 6을 통해서 알 수 있는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를 사용하기 전 상태(좌측)와 사용한 후(우측)의 착석자의 척추 상태를 정면에서 촬영한 X-ray 사진이다.
도 6의 좌측 도면에서는 착석자의 척추 중 h3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휘어진 각도가 15°이나, 우측 도면에서 동일한 위치에서는 휘어진 각도가 7°로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등받이부(111, 112)의 해당부분을 돌출시켜 착석자의 등 부분의 기울어진 각도를 없애거나 감소시킨 결과, 자세가 교정되면서 척추 측만 현상이 크게 완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착석자의 자세가 일정 정도 이상으로 기울어진 상태라면 일측 등 부분 모두 또는 일부가 등받이부에 접촉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런 경우는 양 측 등 부분이 모두 등받이부에 접촉되는 경우보다 훨씬 큰 강도로 착석자의 척추 및 골반에 압박을 가하게 되는 경우이나, 일측 등부분이 등받이부에 접촉되지 않으므로 등받이부에 접촉되지 않는 부분의 가압 감지부(120)에서 압력을 감지할 수 없는 바, 등받이부의 돌출 높이 조절 동작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이런 경우에는 착석자에게 양 측 등을 모두 등받이부에 접촉시키는 자세를 취하도록 알림을 주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가압 감지부(120) 중 일부에서 소정 시간동안 압력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착석자에게 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알림이 발생되는 기준이 되는 압력이 감지되지 않는 부분의 범위는 전체 영역의 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수치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표시되는 알람은 차량 내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는 시각적 알람, 오디오 시스템을 통한 청각적 알람, 착석자가 착석한 차량용 시트에 진동을 가하는 방식 등 착석자가 알림을 감지할 수 있는 어떠한 방식으로든 제한을 두지 않는다.
한편, 운전자의 차량용 시트의 경우, 운전 중에 시트 등받이부(110)가 돌출되면, 운전 중에 예상치 못한 자세 변화가 일어나거나, 운전자의 운행에 집중을 방해하여 교통사고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는 차량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운전 중에 운전자의 자세를 모니터링하여 조절값을 도출한 후, 운전 중이 아닐 경우에만 상기 조절값에 따라 등받이부를 구동 시켜 운전자의 자세를 교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압감지부(120)는 차량의 변속 장치(200)가 주행모드이고 안전벨트(300)가 착용된 상태인 경우에 상기 시트 등받이부(110)의 압력을 감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140)는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 내부 통신망(400)에 연결되어 차량 내부 통신망(400)에 브로드캐스팅되는 차량의 각 부분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 중 변속 장치(200)의 상태 정보와 안전벨트(300)의 상태 정보를 인식하여 수신한다.
수신한 변속 장치(200)와 착석자의 안전벨트(300)의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현재 변속장치(200)의 상태가 주행 모드(Driving)이고, 안전 벨트가 착용된 상태라면 제어부(140)는 현재 상태가 운전 중인 상태로 파악하고, 가압 감지부(120)를 통해 운전자가 착석한 차량용 시트의 좌우 등받이부(111, 112)의 압력을 감지하고, 조절값을 도출한다.
여기서, 제어부(140)는 운전 중인 상태로 판단되는 동안에는 압력값을 모니터링하여 조절값을 도출하기만 하고, 등받이부(110)의 돌출높이 조절은 수행하지 않는다.
한편, 제어부(140)는 차량의 변속장치가 주차모드이고 안전벨트(300)가 미착용된 상태인 경우에 제1조절값을 제2조절값으로 갱신하고, 상기 갱신된 제2 조절값에 따라 상기 조절부(130)가 상기 좌,우측 등받이부(111, 112)의 돌출 높이를 각각 조절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140)는 차량 내부 통신망(400)으로부터 수신한 변속 장치(200)와 착석자의 안전벨트(300)의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현재 변속기의 상태가 주차모드(Parking)이고, 안전벨트(300)가 미착용된 상태라면 제어부(140)는 현재 상태를 운전 중이 아닌 상태로 판단하고, 도출된 조절값으로 조절부(130)를 통해 좌우측 등받이부(111, 112)의 돌출높이 조절을 수행한다.
여기서, 최종적으로 수행된 좌,우측 등받이부(111, 112)의 돌출높이 조절에 대한 조절값이 제1조절값이 되고, 상기 최종적으로 수행된 좌,우측 등받이부(111, 112)의 돌출높이 조절 이후, 운전자가 운전 시 감지한 좌,우측 등받이부(111, 112)의 압력값에 의해 새롭게 도출된 조절값이 제2조절값이 된다.
이를 통해 자세 교정 효과에 따라 운전자의 현재 상태가 변화하더라도 운전자의 현재상태에 최적화된 시트 등받이부(110)의 돌출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시트 등받이부(110)의 돌출높이 조절이 수행되는 시점은 운전자가 운전석에 착석하여 시동을 켠 후, 주행을 위하여 변속 장치(200)를 주행 모드로 변경하기 전까지 구간 중 어느 한 시점에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착석자에게 최적화된 상기 조절값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착석자를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착석자의 둔부가 안착되는 시트 착석부(160)에 압력 감지부(150)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압력 감지부(150)는 단위구역으로 구획된 평면 상에서 각 단위구역에 가해지는 압력을 각각 감지할 수 있는 평면 형태의 압력센서 또는 감압센서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압력 감지부(150)가 감지한 시트 착석부(160)의 압력을 기반으로 착석자를 식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압력 감지부(120)는 착석자가 시트 착석부(160)에 착석 시, 각 둔부가 닿는 부분별 압력 수치 및 압력 분포를 측정할 수 있는데, 착석자 별로 체중이 다른 데다, 골반과 척추의 상태 역시 각각 다르므로, 상기 측정된 수치들은 착석자 별로 다른 값이 측정된다.
제어부(140)는 상기 압력 감지부(150)가 측정한 수치들을 저장한 후, 착석자가 착석 후 차량을 동작시키면, 압력 감지부(150)가 측정한 현재 압력 수치 및 압력 분포와 상기 저장된 수치들을 비교하여 동일하거나 허용된 오차범위 내로 유사한 경우, 동일 착석자로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교 알고리즘은 상기 실시예 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후 주행을 시작하면 압력 감지부(150)는 다시 착석자의 압력 수치 및 압력 분포를 측정하고, 제어부(140)는 상기 수치들을 갱신하여 저장한 후, 차후 착석자의 탑승 시에는 갱신된 수치들로 착석자를 식별한다.
이를 통해, 착석자의 자세가 교정됨에 따라 측정되는 압력이 변화하더라도 착석자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보다 정확한 사용자 식별을 위해서, 상기 가압 감지부(120)가 감지한 착석자의 등부위의 압력 데이터와 상기 압력 감지부(150)가 감지한 착석자의 상기 압력 데이터를 조합하여, 양 압력 데이터가 모두 일치하는 경우에 동일한 착석자로 식별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100)의 제2 실시예의 구성을 도식화한 구성도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100)가 애프터 마켓의 서드 파티 제품으로 차량에 별도로 장착되는 경우에 해당한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별도의 모듈로 구성되므로 차량 내부 통신망(400)에 제어부(140)를 추가로 연결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반면 도 7의 제2실시예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가 순정 제품인 경우에 해당한다.
이 경우, 차량의 원래 부품 중 하나인 차량 제어 ECU가 제어부(140)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실시예처럼 제어부(140)를 별도 모듈로 구성할 필요가 없으며, 차량 내부 통신망(400)에 추가로 연결하는 과정 또한 필요 없게 된다.
또한, ECU와 조절부(130), 가압 감지부(120)는 차량 내부 통신망(400)을 통해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므로 별도로 배선을 연결하는 과정 또한 필요 없게 된다.
이 외의 제2 실시예의 다른 구성 및 동작은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에 의한 자세 교정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첫 번째 단계는 착석자를 식별하는 단계(S100)이다.
착석자가 차량에 탑승 후 차량 작동을 시작하면, 제어부(140)는 가압 감지부(120) 또는 압력 감지부(150)가 측정한 현재 압력 수치 및 압력 분포와 상기 저장된 수치들을 비교하여 착석자를 식별한다.
다음 단계는 제1조절값에 따라 상기 조절부(130)가 상기 좌측 등받이부(111)의 높이와 상기 우측 등받이부(112)의 돌출 높이를 각각 조절하는 단계(S200)이다.
착석자가 식별되면, 제어부(140)는 변속장치가 주차모드이고 차량 내부 통신망(400)가 미착용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조건에 해당되면 주행 중이 아니라고 판단하여 직전 차량 운행 시에 측정된 압력을 기반으로 도출된 제1조절값에 따라 조절부(130)를 통해 등받이부의 돌출 높이 조절을 수행한다.
다음 단계는 좌측 등받이부(111)에 가해지는 압력과 우측 등받이부(112)에 가해지는 압력을 각각 감지하는 단계(S300)이다.
제어부(140)는 변속장치가 주행모드이고 안전벨트(300)가 착용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조건에 해당되면 주행 중이라고 판단하고 가압 감지부(120)를 통해 착석자가 착석한 차량용 시트의 좌우 등받이부의 압력을 감지한다.
즉, 상기 제1조절값에 의해 등받이부가 조절된 이후에, 착석자의 상태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좌우 등받이부의 압력에 발생한 변화를 감지하는 것이 필요하므로, 본 단계에서 다시 좌우 등받이부의 압력을 감지하고 모니터링하는 것이다.
다음 단계는 상기 단계(S300)에서 감지된 좌측 등받이부(111)의 압력과 우측 등받이부(112)의 압력을 비교하여, 압력의 차이가 있는 경우, 상기 압력의 차이가 현재보다 낮아지도록 하는 제2조절값을 도출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S300)에서 다시 감지한 새로운 압력을 기반으로 압력의 차이를 다시 판단하고, 새롭게 제2조절값을 도출한다.
좌,우측 등받이부(111, 112)의 압력차이 비교 및 시트 설정값의 도출 알고리즘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다음 단계는 상기 제1조절값을 상기 제2조절값으로 갱신하는 단계(S500)이다.
제어부(140)는 변속장치가 주차모드이고 안전벨트(300)가 미착용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조건에 해당되면 주행 중이 아니라고 판단하여 상기 제1조절값을 새롭게 도출된 상기 제2조절값으로 갱신한다.
차후 다시 착석자가 탑승하여 차량을 다시 동작시키는 것으로 상기 첫 단계(S100)가 다시 시작될 때, 상기 제1조절값은 갱신된 제2조절값이 되는 것이며, 상기의 과정은 착석자의 좌,우측 등받이부(111, 112)의 압력차가 임계값 이하가 될 때까지 반복되어 수행된다.
이상 몇 가지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00 : 차량 시트
110 : 시트 등받이부
111 : 좌측 등받이부
112 : 우측 등받이부
120 : 가압 감지부
130 : 조절부
140 : 제어부
150 : 압력 감지부
160 : 시트 착석부
200 : 변속 장치
300 : 안전벨트
400 : 차량 내부 통신망

Claims (7)

  1.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착석자 등의 좌측 부분이 안착되는 좌측 등받이부와 우측 부분이 안착되는 우측 등받이부를 포함하는 시트 등받이부;
    상기 좌측 등받이부에 가해지는 압력과 상기 우측 등받이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각각 감지하는 가압 감지부;
    상기 좌측 등받이부와 상기 우측 등받이부 각각의 돌출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부; 및
    상기 가압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압력에 기반하여 상기 조절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압 감지부가 감지한 좌측 등받이부의 압력과 우측 등받이부의 압력을 비교하여, 압력의 차이가 있는 경우, 상기 압력의 차이가 현재보다 낮아지도록 하는 제1조절값을 도출하고, 상기 제1 조절값에 따라 상기 조절부에 의해 상기 좌측 등받이부의 돌출 높이와 상기 우측 등받이부의 돌출 높이를 각각 조절하도록 하며,
    상기 제1조절값에 의한 상기 시트 등받이부의 돌출 높이가 조절된 이후,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압 감지부가 감지한 좌측 등받이부의 압력과 우측 등받이부의 압력을 비교하여, 압력의 차이가 있는 경우, 상기 압력의 차이가 현재보다 낮아지도록 하는 제2조절값을 도출하고, 상기 제2조절값에 따라 상기 조절부에 의해 상기 좌측 등받이부의 돌출 높이와 상기 우측 등받이부의 돌출 높이를 각각 조절하도록 하며,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변속장치가 주차모드이고 안전벨트가 미착용된 상태인 경우에 상기 제1조절값을 상기 제2조절값으로 갱신하고, 상기 갱신된 제2조절값에 따라 상기 조절부가 상기 좌측 등받이부의 돌출 높이와 상기 우측 등받이부의 돌출 높이를 각각 조절하도록 하며,
    상기 제2조절값은 주행 중에 도출되며, 주행 이외의 상태에서 상기 변속장치가 주차모드이고 안전벨트가 미착용된 상태인 경우에 상기 좌측 등받이부의 돌출 높이와 상기 우측 등받이부의 돌출 높이가 상기 제2조절값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기능을 갖는 차량용 시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2개 이상이 구비되되, 상기 가압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등받이부 부분의 돌출 높이를 각각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기능을 갖는 차량용 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감지부는 차량의 변속장치가 주행모드이고 안전벨트가 착용된 상태인 경우에 상기 시트 등받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기능을 갖는 차량용 시트.
  5. 삭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압 감지부 중 일부에서 소정 시간동안 압력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착석자에게 알림을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기능을 갖는 차량용 시트.
  7. 청구항 1의 차량용 시트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착석자를 식별하는 단계(S100);
    제1조절값에 따라 상기 조절부가 상기 좌측 등받이부의 돌출높이와 상기 우측 등받이부의 돌출높이를 각각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단계(S200);
    좌측 등받이부에 가해지는 압력과 우측 등받이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각각 수신하는 단계(S300);
    상기 단계에서 수신된 좌측 등받이부의 압력과 우측 등받이부의 압력을 비교하여, 압력의 차이가 있는 경우, 상기 압력의 차이가 현재보다 낮아지도록 하는 제2조절값을 도출하는 단계(S400); 및
    상기 제1조절값을 상기 제2조절값으로 갱신하는 단계(S500);
    를 포함하되,
    상기 제1조절값을 상기 제2조절값으로 갱신하는 단계(S500)에서는 차량의 변속장치가 주차모드이고 안전벨트가 미착용된 상태인 경우에 상기 제1조절값을 상기 제2조절값으로 갱신하고, 상기 갱신된 제2조절값에 따라 상기 조절부가 상기 좌측 등받이부의 돌출 높이와 상기 우측 등받이부의 돌출 높이를 각각 조절하도록 하며,
    상기 제2조절값은 주행 중에 도출되며, 주행 이외의 상태에서 상기 변속장치가 주차모드이고 안전벨트가 미착용된 상태인 경우에 상기 좌측 등받이부의 돌출 높이와 상기 우측 등받이부의 돌출 높이가 상기 제2조절값으로 조절되는 자세 교정기능을 갖는 차량용 시트를 제어하는 방법.
KR1020210082552A 2021-06-24 2021-06-24 자세 교정 기능을 갖는 차량용 시트 및 그 제어방법 KR102519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552A KR102519951B1 (ko) 2021-06-24 2021-06-24 자세 교정 기능을 갖는 차량용 시트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552A KR102519951B1 (ko) 2021-06-24 2021-06-24 자세 교정 기능을 갖는 차량용 시트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294A KR20230000294A (ko) 2023-01-02
KR102519951B1 true KR102519951B1 (ko) 2023-04-10

Family

ID=84925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552A KR102519951B1 (ko) 2021-06-24 2021-06-24 자세 교정 기능을 갖는 차량용 시트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995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0774A (ja) * 2001-09-05 2003-03-11 Tachi S Co Ltd 車両用シートの着座姿勢判別方法、疲労判別方法、およびその姿勢/疲労警告装置
KR101616678B1 (ko) * 2015-12-07 2016-05-11 최우진 기능성 의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9941A (ko) * 2009-11-06 2011-05-13 이동인 자세교정의자 및 방석
EP2514304A1 (en) 2011-04-20 2012-10-24 Syngenta Participations AG Cucurbita plant resistant to potyvirus
US9240254B2 (en) 2011-09-27 2016-01-19 Revera,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characterizing a film by X-ray photoelectron and low-energy X-ray fluorescence spectroscopy
KR102009897B1 (ko) * 2017-08-01 2019-08-12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세 교정 기능을 갖춘 의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세 교정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0774A (ja) * 2001-09-05 2003-03-11 Tachi S Co Ltd 車両用シートの着座姿勢判別方法、疲労判別方法、およびその姿勢/疲労警告装置
KR101616678B1 (ko) * 2015-12-07 2016-05-11 최우진 기능성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294A (ko) 2023-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7235B2 (en) Adjustable seat assembly with driving modes
CN107662524B (zh) 可调节座椅组件
US6037731A (en) Method for adapting as a function of the driving situation and driving style, the side support of a person sitting in a vehicle seat, and a vehicle seat for this purpose
US10640010B2 (en) Adjustable seat assembly
US6873892B2 (en) Method for adapting body support of a passenger seated in a vehicle seat in terms of vehicle movements dynamics and corresponding vehicle seat
US20180118060A1 (en) Incrementally adjustable seat assembly
JP6076712B2 (ja) 補正装置
US11213140B2 (en) System for correcting passenger's posture in autonomous vehicle
US10882478B2 (en) Movement-based comfort adjustment
US20210380021A1 (en) Seat Adjustment and Sensing System
Izumiyama et al. The analysis of an individual difference in human skeletal alignment in seated posture and occupant behavior using HBMs
KR102519951B1 (ko) 자세 교정 기능을 갖는 차량용 시트 및 그 제어방법
KR102490303B1 (ko) 자세 교정 기능을 갖는 차량용 시트 및 그 제어방법
WO2019208764A1 (ja) Ecu装置、車両シート、着座者の下肢の長さ推定システム及び座高検出センサーの取付構造
Michida et al. A study of Drivers' fatigue mechanisms during long hour driving
JP2002315657A (ja) シート座席
JPH0910067A (ja) 車両のシート装置
JP3376773B2 (ja) 乗員姿勢調節装置
KR102054900B1 (ko) 차량 시트용 자세 제어 시스템
JP2019194063A (ja) 座高検出センサーの取付構造
US20220371477A1 (en) System for optimizing the positioning of a vehicle seat
CN114030401B (zh) 车辆的控制方法、控制装置和车辆
US20070130750A1 (en) Method of providing a seat back involving the use of a design manikin
JP2005125846A (ja) 疲労低減機能付き自動車用シート
CN117719399A (zh) 车载脊柱矫正座椅、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