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9920B1 - 가변 선단부 구조를 갖는 카테터 - Google Patents

가변 선단부 구조를 갖는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9920B1
KR102519920B1 KR1020200185571A KR20200185571A KR102519920B1 KR 102519920 B1 KR102519920 B1 KR 102519920B1 KR 1020200185571 A KR1020200185571 A KR 1020200185571A KR 20200185571 A KR20200185571 A KR 20200185571A KR 102519920 B1 KR102519920 B1 KR 102519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atheter
insertion passage
photographing unit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5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4393A (ko
Inventor
전한용
권성일
김천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디케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디케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디케어텍
Priority to KR1020200185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9920B1/ko
Priority to PCT/KR2021/020098 priority patent/WO2022146002A1/ko
Priority to CN202180088051.2A priority patent/CN116744831A/zh
Priority to US18/270,149 priority patent/US20240057849A1/en
Publication of KR20220094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4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74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openable, closable, expandable or deform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25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power management
    • A61B1/00027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power management characterised by power supp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51Flexible endoscopes with controlled bending of insertion part
    • A61B1/0055Constructional details of insertion parts, e.g. vertebral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internal passag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B1/018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internal passages or accessories therefor for receiving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5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characterised by the image sensor, e.g. camera, being in the distal end po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8Strength or flexibility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82Catheter tip comprising a to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61M2025/0024Expandable catheters or she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8Strength or flexibility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 A61M2025/0081Soft t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82Catheter tip comprising a tool
    • A61M2025/0096Catheter tip comprising a tool being laterally outward extensions or tools, e.g. hooks or fib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 선단부 구조를 갖는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선단부 구조를 갖는 카테터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삽입 통로(111)를 갖는 튜브(110)로서, 선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해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제1 절개 슬릿(112)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튜브(110),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절개 슬릿 사이(112)의 상기 튜브(110)의 상측에 놓여져서 상기 삽입 통로(111)의 선단에서 상기 삽입 통로(111)와 일렬로 정렬되는 촬영부(120), 상기 촬영부(120)와 상기 튜브(110)의 선단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구성된 유연성 재질의 선단부(130) 및 상기 삽입 통로(111)에 삽입되는 도구(140)를 포함하며, 상기 선단부(130)의 선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하여 기설정된 길이 떨어진 위치에는 상기 선단부(13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절개 슬릿(131)이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변 선단부 구조를 갖는 카테터{Cathether With Transformable Head Structure}
본 발명은 가변 선단부 구조를 갖는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구의 진입이 가능하도록 선단부의 형태를 변형 가능한 가변 선단부 구조를 갖는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많은 의료 시술이 적은 절개, 합병증 감소, 짧은 회복 시간 등의 이점을 이유로 최소침습접근법(minimally invasive approach)으로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최소침습 시술은 작은 절개를 통해 인체 내로 삽입될 수 있고, 인체 내의 부위를 관찰하여 조직의 치료를 위한 약물 또는 수술 등 처치를 위한 도구를 해당 부위로 운반할 수 있는 발전된 의료 장치를 필요로 한다.
카테터는 이러한 시술에 이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장치 중 하나이며, 관 모양의 기구 형태로서 일반적으로 체강 또는 내강이 있는 장기 내로 삽입하기 위한 튜브 형의 장치를 의미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카테터(1)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카테터(1)는 카테터 튜브(10), 카메라(20), 광섬유(30), 통로(40)를 포함한다.
카테터 튜브(10)는 중공 형태의 관으로 내부에 다른 개체를 포함하여 감쌀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카테터 튜브(10)는 카메라(20)와 통로(40)가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선단부에 배치된 카메라(20)를 통해 체내 진입 시 내부를 이미지/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고, 체내 진입 후 타겟 부위를 보면서 속이 빈 관 형태인 통로(40)를 통해 약물 또는 도구를 넣어 각종 치료 또는 시술을 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카테터(1)는 카메라(20)와 통로(40)가 카테터 튜브(10) 내에 나란히 배치되므로, 카테터 튜브(10)의 직경은 카메라(20)와 통로(40)를 모두 포함하는 크기로 결정된다. 향상된 화질과 더 다양한 도구를 사용 가능하기 위해서는 카메라(20)와 통로(40)가 클수록 좋지만, 카테터가 진입하는 인체 구조의 특성에 따라 카테터 튜브(10)의 직경은 일정 크기 이하로 제한될 수 밖에 없다.
종래의 카테터 구조에서는 직경이 제한된 카테터 튜브(10)의 공간을 카메라(20)와 통로(40)가 공유하기 때문에, 카메라(20)의 화질과 사용 가능한 도구의 크기 사이에는 트레이드-오프(trade-off)가 존재하고 양 성능을 함께 향상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에 의해 한국공개특허 10-2020-0097367호가 개발되어 사용되어 왔다.
가변 선단부 구조를 갖는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카메라(60)를 지지하는 지지부(61)와 후단이 경사면 구조로 형성되고, 이의 후방에 위치하는 통로(70)의 선단 역시 경사면 구조로 형성되며, 지지부(61)와 통로(70)의 외측을 감싸는 유연성 재질의 카테터 튜브(50))를 포함한다. 카테터 삽입 시에는 지지부와 통로가 서로 수평방향을 이루고(도 2a), 카테터가 삽입된 후 통로(70)가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외력이 인가되면 지지부(61)가 상측으로 밀려 올려가면서 카메라(60)를 통해 시술/처치 부위를 관찰하면서 통로(70)를 통해 삽입되는 도구를 이용하여 시술/처치 부위를 시술/처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삽입 시에는 최소한의 직경을 가지면서 삽입될 수 있어서 최소한의 흉터로 시술/처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달성된다.
하지만, 상기 구조의 경우 통로(70)가 지지부(61)를 밀어 올리는 과정에서, 지지부(61)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60)의 촬영 방향이 도구의 진행 방향과 평행하지 않고 엇갈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통로(70)가 지지부(61)를 밀어 올리는 경우, 유연성 재질의 카테터 튜브(50)의 직경이 증가하면서 직경이 감소하는 방향으로의 복원력이 지지부(61)에 가해지게 되고 카메라(60)와 연결되는 와이어에도 복원력이 가해지기 때문이다(도 3 및 4 참조).
카메라의 촬영 방향이 도구의 진행 방향과 평행하지 않고 엇갈리는 경우, 도구에 의해 시술/처치가 수행되는 시술/처치 부위를 제대로 관찰하기 어렵기 때문에, 최소침습접근법이 가능하면서도 상기의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는 카테터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20-0097367호(2020.08.19) 미국공개특허문헌 제2020/0249512호(2010.09.30) 미국공개특허문헌 제2002/0096177호(2002.07.25) 일본공개특허문헌 제2008-519653호(2008.06.12) 미국공개특허문헌 제2010/0280316호(2010.11.04)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신체 내부에 삽입될 때에 직경이 최소화되고, 삽입 후에는 선단부의 형태 변형을 통해 단면을 확장시킴으로써, 향상된 화질 및 도구의 진입이 가능한 가변 선단부 구조를 갖는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튜브에 신호선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기 때문에, 선단부의 복원력이 신호선에 인가되는 현상이 최소화되며, 따라서 도구가 삽입되더라도 촬영부의 촬영 방향이 삽입 통로의 선단이 향하는 방향과 평행하게 되는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선단부에 제2 절개 슬릿이 형성되기 때문에, 선단부의 복원력이 촬영부와 신호선에 인가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어서, 도구가 삽입되더라도 촬영부와 촬영 방향이 삽입 통로의 선단이 향하는 방향과 평행하게 되는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삽입 통로(111)를 갖는 튜브(110)로서, 선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해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제1 절개 슬릿(112)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튜브(110),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절개 슬릿 사이(112)의 상기 튜브(110)의 상측에 놓여져서 상기 삽입 통로(111)의 선단에서 상기 삽입 통로(111)와 일렬로 정렬되는 촬영부(120), 상기 촬영부(120)와 상기 튜브(110)의 선단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구성된 유연성 재질의 선단부(130) 및 상기 삽입 통로에 삽입되는 도구(140)를 포함하며, 상기 선단부(130)의 선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하여 기설정된 길이 떨어진 위치에는 상기 선단부(13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절개 슬릿(131)이 형성되는, 카테터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튜브(110)에 2개의 제1 절개 슬릿(112a, 112b)이 형성되고, 상기 2개의 제1 절개 슬릿(112a, 112b)은 상기 튜브(110)의 횡단면 상 중심축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 이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절개 슬릿(131)이 상기 선단부(130)의 선단으로부터 떨어진 거리는 상기 촬영부(120)의 길이에 비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절개 슬릿(131)이 상기 선단부(130)의 선단으로부터 떨어진 거리는 상기 촬영부(120)의 길이와 일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120)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튜브(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촬영부(120)의 동작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신호선(121)을 더 포함하며, 상기 촬영부(120)가 놓여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절개 슬릿(112) 사이의 상기 튜브(110) 상측에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함몰 형성된 가이드 홈(11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120)가 놓여진 상기 튜브(110)의 부분과 상기 촬영부(12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촬영부(120)를 지지하는 지지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삽입 통로(111)와 상기 촬영부(120)는 수평 방향으로 서로 동일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삽입 통로(111)로 도구(140)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촬영부(120)가 상기 도구(140)에 의해 상기 수평 방향과 수직하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촬영부(120)와 상기 삽입 통로(111)가 상기 튜브(110)의 직경 방향으로 서로 병렬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삽입 통로(111)로 도구(140)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촬영부(120)와 상기 삽입 통로(111)가 상기 튜브(110)의 직경 방향으로 서로 병렬 배치되되, 상기 촬영부(110)가 향하는 방향과, 상기 삽입 통로(111)의 선단이 향하는 방향이 서로 평행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신체 내부에 삽입될 때에 직경이 최소화되고, 삽입 후에는 선단부의 형태 변형을 통해 단면을 확장시킴으로써, 향상된 화질 및 도구의 진입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신체 내부에 삽입될 때에 직경을 최소화하여 좁은 통로(예를 들어, 척추 경막외 공간, 요관, 중이강 등)의 진입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카테터의 직경과 유사한 크기의 촬영부를 내부에 배치할 수 있어서, 이미지/영상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동시에 카테터의 직경과 유사한 크기의 삽입 통로를 배치하여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도구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신경외과, 이비인후과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한 의료용 카테터의 성능을 궁극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튜브에 신호선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기 때문에, 선단부의 복원력이 신호선에 인가되는 현상이 최소화되며, 따라서 도구가 삽입되더라도 촬영부의 촬영 방향이 삽입 통로의 선단이 향하는 방향과 평행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선단부에 제2 절개 슬릿이 형성되기 때문에, 선단부의 복원력이 촬영부와 신호선에 인가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어서, 도구가 삽입되더라도 촬영부와 촬영 방향이 삽입 통로의 선단이 향하는 방향과 평행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카테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가변 선단부 구조를 갖는 카테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4는 종래의 카테터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선단부 구조를 갖는 카테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선단부 구조를 갖는 카테터의 작동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7은 카테터의 통로를 통해 도구가 삽입된 직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도구가 카테터 전방을 향해 더 삽입되어 촬영부가 들어올려지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구가 카테터 전방을 향해 더 삽입되어 촬영부가 완전히 들어올려진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촬영부와 튜브가 선단부에 의해 둘러쌓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9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 및 15는 선단이 굽어진 도구가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에 삽입되기 이전과, 이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내지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100)는 튜브(110), 촬영부(120), 선단부(130), 도구(140) 및 지지부(150)를 포함한다.
튜브(110)는 원통형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그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는 삽입 통로(111)를 갖는다. 삽입 통로(111)는 튜브(110)의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 관통 형성되며, 상기 삽입 통로(111)을 통해 후술하는 도구(140)가 삽입된다.
튜브(110)에는 그 선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해 소정 길이만큼 절개되는 제1 절개 슬릿(112)이 형성된다. 도 11에서는 제1 절개 슬릿(112)이 2개(112a, 112b)인 것으로 도시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1 절개 슬릿이 2개 이상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2개의 제1 절개 슬릿(112a, 112b)은 튜브(110)의 횡단면 상 중심축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 이격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절개 슬릿(112a, 112b) 사이에 형성된 튜브(110)의 부분 상측에 촬영부(120)가 놓여질 수 있다.
촬영부(120)는 튜브(110)의 선단에 구비되어 촬영부(120)의 선단이 향하는 방향의 위치를 촬영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카메라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촬영부(120)는 제1 절개 슬릿(112a, 112b) 사이에 형성된 튜브(110)의 부분 상측에 놓여질 수 있으며, 삽입 통로(111)와 수평 방향으로 동일선상으로 일렬 정렬된다. 이후, 도구(140)가 삽입 통로(111)에 삽입되어 전진하는 경우, 촬영부(120)는 삽입 통로(111)와 병렬 배치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촬영부(120) 후단에는 신호선(1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신호선(121)은 촬영부(120)와 연결되어 촬영부(120)의 동작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촬영부(120)에 의해 촬영된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 라인의 역할도 함께 수행하여, 신호선(121)과 연결되어 있는 PCB 기판(미도시)과 상호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다. PCB 기판(미도시)은 촬영부(120)로부터 전송된 영상 신호를 소정의 방법으로 처리하여 별도의 출력 포트를 통해 출력부(미도시)에 전송함으로써 시술자가 육안으로 촬영부(12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호선(121)은 일 예로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는 구성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그 횡단면이 사각형, 더욱 구체적으로는 횡단면이 직사각형인 구성일 수 있다.
튜브(110)의 상측에는 상기 신호선(121)이 놓여져 가이드될 수 있는 가이드 홈(113)이 더 형성된다.
가이드 홈(113)은 촬영부(120)가 놓여지는 튜브(110)의 부분, 구체적으로 제1 절개 슬릿(112a, 112b) 사이의 튜브(110)의 부분에서, 튜브(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된다.
가이드 홈(113)의 횡단면의 형상은 신호선(121)의 횡단면의 형상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가이드 홈(113)의 폭은 신호선(121)의 폭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것이다.
가이드 홈(113)이 형성됨에 따라, 신호선(121)은 가이드 홈(113)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이동이 가능하다.
도구(140)가 삽입 통로(111)로 삽입되어 촬영부(120)와 도구(140)가 카테터(100)의 선단에서 서로 병렬 배치되는 경우, 선단부(130)의 복원력이 촬영부(120)와 더불어 신호선(121)에도 가해진다.
촬영부(120)는 튜브(110) 외측에 배치되므로, 촬영부(120)와 연결되는 신호선(121) 역시 튜브(110) 외측에 배치된다. 이 때, 튜브(110)에 가이드 홈(113) 구성이 부재한 종래의 카테터(2)의 경우 선단부(130)의 복원력이 신호선(121)에 인가됨에 따라 신호선(121)에 연결되어 있는 촬영부(120)가 향하는 방향(즉, 촬영부가 촬영하는 방향)이 삽입 통로(111)의 선단이 향하는 방향과 엇갈리게 된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를 경우, 튜브(110)의 상측에 가이드 홈(113)이 형성되고, 신호선(121)이 가이드 홈(113)에 삽입되기 때문에 후술하는 선단부(130)의 복원력이 신호선(121)에 가해지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따라서 촬영부(120)가 향하는 방향이 삽입 통로(111)의 선단이 향하는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따라서, 촬영부(120)가 삽입 통로(111)를 통해 삽입되는 도구(140)를 정확히 촬영하면서 시술/처치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선단부(130)는 촬영부(120)와 튜브(110)의 선단 외측을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부(130)가 촬영부(120)와 튜브(110) 선단의 외측 전체를 감싸는 구조이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선단부(130)가 촬영부(120)와 튜브(110) 선단의 외측 전체를 감싸면서, 튜브(110)의 전체 길이의 외측을 둘러쌀 수도 있다.
선단부(130)는 유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여기서 유연성 재질이란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그 형상이 변화하며, 인가된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복원력을 통해 원래 형상으로 복귀하려는 성질을 갖는 재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선단부(130)가 유연성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도구(140)가 삽입 통로(111)로 삽입되었을 때, 촬영부(120)가 튜브(110)에 대한 상대 이동(relative movement)이 가능하다.
도 7 내지 10을 참조하여,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구(140)가 삽입 통로(111)로 삽입되기 이전, 촬영부(120)와 삽입 통로(111)는 서로 수평 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면서 일렬 정렬된다(도 7).
도구(140)가 삽입 통로(111)로 삽입되면, 촬영부(120)가 놓여져있는 튜브(110)의 부분을 밀어올리게 된다(도 8). 이 때, 튜브(110)와 촬영부(120)를 감싸고 있는 선단부(130)는 유연성 재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촬영부(120)가 밀어올려짐에 따라 그 형상이 변화한다.
도구(140)를 전방을 향하여 더 삽입하는 경우, 촬영부(120)가 놓여져 있는 튜브(110)의 부분이 완전히 밀어올려지면서, 촬영부(120)와 도구(140)가 병렬 배치되는 형태가 된다(도 9). 이 때, 선단부(130)는 최대 팽창된 상태이다(도 10).
한편, 도 10의 상태에 이르게 되면, 선단부(130)가 최대 팽창된 상태이며, 선단부(130)의 복원력 역시 최대가 된다. 선단부(130)의 복원력은 다양한 방향으로 선단부(130) 내측에 위치하는 촬영부(120)와 신호선(121)에 인가될 수 있다.
즉, 튜브(110)의 폭 방향뿐만 아니라, 폭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를 가지며 기울어진 대각 방향으로도 복원력이 인가되는 것이다.
이 경우, 촬영부(120)는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통로(111)의 방향과 평행한 방향이 아닌 엇갈린 방향을 향하게 된다. 이는, 삽입 통로(111)를 통해 삽입되는 도구(140)를 촬영하지 못하는 문제를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선단부(130)에 제2 절개 슬릿(131)이 형성되어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였다.
제2 절개 슬릿(131)은 선단부(130)의 선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하여 기설정된 거리 떨어진 위치에 선단부(130)의 폭 방향으로 절개되는 구성이다.
제2 절개 슬릿(131)이 선단부(130)의 선단으로부터 떨어진 거리는 촬영부(120)의 길이와 비례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촬영부(120)의 길이와 일치할 수 있다.
제2 절개 슬릿(131)이 선단부(130)에 형성됨에 따라, 선단부(130)의 복원력이 대각 방향으로 인가되는 문제가 최소화될 수 있으며, 따라서 촬영부(120)와 도구(140)가 병렬 배치되더라도 촬영부(120)가 향하는 방향과 도구(140)가 향하는 방향이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즉, 촬영부(120)는 도구(140)에 의해 시술/처치가 이루어지는 부분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구(140)는 튜브(110)의 삽입 통로(111)에 삽입되어, 시술/처치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도구(140)는 일 예로, 겸자, 니들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그 형태는 일직선 형태일 수 있으나, 소정 각도 굽어진 형태일 수도 있다(도 14 및 15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시술/처치를 직접 수행하는 도구(140)가 아닌 시술/처치를 수행하는 기구를 견인할 수 있는 직선 또는 굽어진 중공의 몸체가 삽입될 수도 있다. 중공의 몸체가 삽입되고 나면, 시술/처치를 수행하는 도구(140)가 몸체의 중공으로 삽입된다.
지지부(150)는 촬영부(120)가 놓여진 튜브(110)의 부분과 촬영부(120) 사이에 형성되어 촬영부(12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촬영부(120)를 튜브(110)에 고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촬영부(120)가 튜브(110)에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지지부(150) 구성 없이 촬영부(120)가 튜브(110) 상측에 바로 놓여지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100)의 사용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카테터(100)를 삽입하고자 하는 부위에 절개창을 형성한다.
다음, 절개창을 통과하도록 카테터(100)를 삽입한다. 이 때에는, 촬영부(120)와 삽입 통로(111)가 일렬 정렬된 상태이므로, 카테터(100)의 직경이 최소화된 상태이다. 따라서, 최소의 절개로도 카테터(100)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 촬영부(120)를 통해 시술/처치 대상이 되는 위치를 특정하고, 해당 위치까지 카테터(100)를 전진시킨다.
시술/처치 대상이 되는 위치까지 카테터(100)가 접근된 경우, 카테터(100)의 후단의 삽입 통로(111)를 통해 도구(140)를 삽입한다. 시술/처치 부위가 부비동인 경우, 선단이 굽어진 도구가 삽입될 수 있다.
도구(140)가 삽입되어 촬영부(120) 근처에 이르는 경우, 도구(140)가 삽입됨에 따라 촬영부(120)가 튜브(110)의 직경 방향을 향해 들어올려지게 된다. 이 때, 촬영부(120)와 튜브(110)를 감싸고 있는 선단부(130) 역시 팽창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100)의 경우, 선단부(130)에 제2 절개 슬릿(131)이 형성됨에 따라 선단부(130)의 복원력이 촬영부(120)와 신호선(121)에 인가되더라도 촬영부(120)의 촬영 방향이 삽입 통로(111)의 선단이 향하는 방향과 평행하게 된다. 따라서, 촬영부(120)에 의해 시술/처치 부위가 정확히 촬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100)의 경우, 튜브(110)에 신호선(121)이 가이드될 수 있는 함몰 형성된 가이드 홈(113)이 구비되어, 선단부(130)의 복원력이 신호선(121)에 인가되는 현상이 최소화된다. 즉, 선단부(130)의 복원력이 촬영부(120)와 신호선(121)에 인가되더라도 촬영부(120)의 촬영 방향이 삽입 통로(111)의 선단이 향하는 방향과 평행하게 된다. 따라서, 촬영부(120)에 의해 시술/처치 부위가 정확히 촬영될 수 있다.
도구(140)에 의한 시술/처치가 완료되면 도구(140)는 다시 삽입 통로(111)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고, 촬영부(120)는 다시 삽입 통로(111)와 일렬로 정렬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절개창을 통해 카테터(100)가 외부로 배출되고, 시술/처치가 완료된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카테터
110: 튜브
111: 삽입 통로
112; 112a, 112b: 제1 절개 슬릿
113: 가이드 홈
120: 촬영부
121: 신호선
130: 선단부
131: 제2 절개 슬릿
140: 도구
150: 지지부

Claims (8)

  1.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삽입 통로(111)를 갖는 튜브(110)로서, 선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해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제1 절개 슬릿(112)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튜브(110);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절개 슬릿 사이(112)의 상기 튜브(110)의 상측에 놓여져서 상기 삽입 통로(111)의 선단에서 상기 삽입 통로(111)와 일렬로 정렬되는 촬영부(120);
    상기 촬영부(120)와 상기 튜브(110)의 선단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구성된 유연성 재질의 선단부(130); 및 상기 삽입 통로(111)에 삽입되는 도구(140);를 포함하며,
    상기 선단부(130)의 선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하여 기설정된 길이 떨어진 위치에는 상기 선단부(13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절개 슬릿(131)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절개 슬릿(131)이 상기 선단부(130)의 선단으로부터 떨어진 거리는 상기 촬영부(120)의 길이에 비례하는, 카테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110)에 2개의 제1 절개 슬릿(112a, 112b)이 형성되고,
    상기 2개의 제1 절개 슬릿(112a, 112b)은 상기 튜브(110)의 횡단면 상 중심축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 이격된,
    카테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개 슬릿(131)이 상기 선단부(130)의 선단으로부터 떨어진 거리는 상기 촬영부(120)의 길이와 일치하거나 상기 촬영부(120)의 길이보다 긴,
    카테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120)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튜브(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촬영부(120)의 동작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신호선(121)을 더 포함하며,
    상기 촬영부(120)가 놓여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절개 슬릿(112) 사이의 상기 튜브(110) 상측에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함몰 형성된 가이드 홈(113)이 더 형성된,
    카테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120)가 놓여진 상기 튜브(110)의 부분과 상기 촬영부(12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촬영부(120)를 지지하는 지지부(150)를 더 포함하는,
    카테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통로(111)와 상기 촬영부(120)는 수평 방향으로 서로 동일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삽입 통로(111)로 도구(140)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촬영부(120)가 상기 도구(140)에 의해 상기 수평 방향과 수직하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촬영부(120)와 상기 삽입 통로(111)가 상기 튜브(110)의 직경 방향으로 서로 병렬 배치되는,
    카테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통로(111)로 도구(140)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촬영부(120)와 상기 삽입 통로(111)가 상기 튜브(110)의 직경 방향으로 서로 병렬 배치되되, 상기 촬영부(110)가 향하는 방향과, 상기 삽입 통로(111)의 선단이 향하는 방향이 서로 평행하게 되는,
    카테터.
KR1020200185571A 2020-12-29 2020-12-29 가변 선단부 구조를 갖는 카테터 KR102519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571A KR102519920B1 (ko) 2020-12-29 2020-12-29 가변 선단부 구조를 갖는 카테터
PCT/KR2021/020098 WO2022146002A1 (ko) 2020-12-29 2021-12-29 가변 선단부 구조를 갖는 카테터
CN202180088051.2A CN116744831A (zh) 2020-12-29 2021-12-29 具有可变前端部结构的导管
US18/270,149 US20240057849A1 (en) 2020-12-29 2021-12-29 Catheter having variable front end part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571A KR102519920B1 (ko) 2020-12-29 2020-12-29 가변 선단부 구조를 갖는 카테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4393A KR20220094393A (ko) 2022-07-06
KR102519920B1 true KR102519920B1 (ko) 2023-04-10

Family

ID=82260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5571A KR102519920B1 (ko) 2020-12-29 2020-12-29 가변 선단부 구조를 갖는 카테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40057849A1 (ko)
KR (1) KR102519920B1 (ko)
CN (1) CN116744831A (ko)
WO (1) WO2022146002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14565A (ja) * 2003-03-05 2006-05-11 インフラレド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ィッド 組織分析または処置のためのマルチファイバーカテーテルプローブ装置
JP2018023840A (ja) * 2011-09-13 2018-02-15 ジョン・ピー・ピゴット 拡張可能切開部分を有する血管内カテーテル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96388A2 (en) * 2000-06-09 2001-12-20 Corixa Corporatio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herapy and diagnosis of colon cancer
KR100423934B1 (ko) 2001-06-18 2004-03-22 비비엠코리아(주) 강관말뚝의 머리부 보강구조
US7794473B2 (en) 2004-11-12 2010-09-14 C.R. Bard, Inc. Filter delivery system
US8864675B2 (en) 2007-06-28 2014-10-21 W. L. Gore & Associates, Inc. Catheter
KR20190012946A (ko) * 2017-07-31 2019-02-11 주식회사 지에스엠티 타석 제거용 카테터
CN111505862A (zh) 2019-01-31 2020-08-0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液晶显示屏和终端
KR102235059B1 (ko) 2019-02-07 2021-04-0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가변 선단부 구조를 갖는 카테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14565A (ja) * 2003-03-05 2006-05-11 インフラレド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ィッド 組織分析または処置のためのマルチファイバーカテーテルプローブ装置
JP2018023840A (ja) * 2011-09-13 2018-02-15 ジョン・ピー・ピゴット 拡張可能切開部分を有する血管内カテーテ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46002A1 (ko) 2022-07-07
KR20220094393A (ko) 2022-07-06
CN116744831A (zh) 2023-09-12
US20240057849A1 (en) 2024-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29956A1 (en) Imaging apparatu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them
US10869658B2 (en) Devices for introducing multiple instruments and methods of use
US8016748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coronary sinus access
US8162939B2 (en) Medical treatment device
US5690117A (en) Ultrasonic-fiberoptic imaging ventricular catheter
EP3773134B1 (en) Steerable ultrasound attachment for endoscope
US10918264B2 (en) Surgery system
KR102203127B1 (ko) 수술 장치
US10993740B2 (en) Surgery system and endoscope
KR102519920B1 (ko) 가변 선단부 구조를 갖는 카테터
JP6018295B2 (ja) 医療器具案内装置
KR102235059B1 (ko) 가변 선단부 구조를 갖는 카테터
US10575870B2 (en) Surgical instrument system
CN109069125A (zh) 具有声波可视化能力的系统
KR101451975B1 (ko) 레이저 조사 장치와 레이저 조사 방법
WO2019146331A1 (ja) 超音波内視鏡及び超音波内視鏡の製造方法
JP2012061162A (ja) 内視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