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9843B1 - 스마트 밴드, 복합 제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체 정전기 관리 시스템에서의 인체 정전기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밴드, 복합 제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체 정전기 관리 시스템에서의 인체 정전기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9843B1
KR102519843B1 KR1020190143257A KR20190143257A KR102519843B1 KR 102519843 B1 KR102519843 B1 KR 102519843B1 KR 1020190143257 A KR1020190143257 A KR 1020190143257A KR 20190143257 A KR20190143257 A KR 20190143257A KR 102519843 B1 KR102519843 B1 KR 102519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ic electricity
human body
smart band
valu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3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6599A (ko
Inventor
손교훈
김현석
신동범
이강복
조광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43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9843B1/ko
Publication of KR20210056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6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12Measuring electrostatic fields or voltage-potentia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FSTATIC ELECTRICITY; NATURALLY-OCCURRING ELECTRICITY
    • H05F3/00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Abstract

본 발명의 인체 정전기 관리 방법은, 다수의 스마트 밴드가, 사용자에게 대전된 인체 정전기를 측정하여 획득한 정전기 데이터를 복합 제전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복합 제전 장치가, 상기 다수의 스마트 밴드로부터 수신된 상기 정전기 데이터를 관제 장치로 송신하는 동시에, 상기 정전기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다수의 스마트 밴드 중에서 위험 지역에 위치한 일부 스마트 밴드들을 착용한 사용자에게 제전 활동을 유도하기 위한 경고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관제 장치가, 상기 복합 제전 장치를 경유하여 수신된 상기 정전기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다수의 스마트 밴드를 착용한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인체 정전기를 상시 모니터링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밴드, 복합 제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체 정전기 관리 시스템에서의 인체 정전기 관리 방법{SMART BAND DEVICE, ANTISTATIC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BODY ELECTROSTATIC IN BODY ELECTROSTATIC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인체 정전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대형 석유화학공장 등의 작업 공간에서 발생하는 가연성 가스나 분진은 그 작업 공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들의 인체 정전기를 만나면, 폭발 및 화재가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주유소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가스가 주유소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인체 정전기에 의해 폭발 및 화재가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인체 정전기에 의한 폭발 및 화재 위험을 줄이기 위해, 산업 현장에서는 작업자들이 작업 시작 전에 인체 정전기를 제거하고, 정전기를 방지하기 위한 제전복을 입고 작업을 한다. 하지만, 이러한 제전복은 인체 정전기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지는 못한다.
그리고, 주유소에서는 방전 장치가 구비되어, 이용자에게 주유 전에 인체 정전기를 제거하도록 안내하고 있다. 그러나, 이용자들은 인체에 대전되어 있는 정전기의 양을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이용자들이 방전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작업자 혹은 이용자들의 인체 정전기를 측정하여 모니터링하고, 위험한 양의 인체 정전기가 관찰되면 즉시 정전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시스템 개발이 요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체 정전기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위험 수준의 인체 정전기가 대전되었을 때, 그 인체 정전기를 제거하도록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그 이외의 목적과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인체 정전기 관리 시스템은, 다수의 스마트 밴드가, 사용자에게 대전된 인체 정전기를 측정하여 획득한 정전기 데이터를 복합 제전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복합 제전 장치가, 상기 다수의 스마트 밴드로부터 수신된 상기 정전기 데이터를 관제 장치로 송신하는 동시에, 상기 정전기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다수의 스마트 밴드 중에서 위험 지역에 위치한 일부 스마트 밴드들을 착용한 사용자에게 제전 활동을 유도하기 위한 경고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관제 장치가, 상기 복합 제전 장치를 경유하여 수신된 상기 정전기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다수의 스마트 밴드를 착용한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인체 정전기를 상시 모니터링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스마트 밴드는, 사용자의 특정 신체 부위에 착용되는 스마트 밴드로서, 사용자에게 대전된 인체 정전기를 측정하여 인체 정전기 값을 생성하는 정전기 측정부; 상기 정전기 측정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인체 정전기 값을 가공하여 정전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정전기 데이터를 무선 통신에 적합한 무선 신호로 변조하고, 변조된 무선 신호를 복합 제전 장치를 경유하여 관제 장치로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른 복합 제전 장치는, 다수의 스마트 밴드와 관제 장치 간의 통신 중계 역할을 수행하는 복합 제전 장치로서,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다수의 스마트 밴드로부터 각 사용자에게 대전된 인체 정전기를 측정하여 획득한 정전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 상기 정전기 데이터를 상기 관제 장치와 약속된 데이터 포맷으로 가공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데이터 포맷으로 가공된 정전기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에 적합한 유무선 신호로 변조하고, 변조된 유무선 신호를 상기 관제 장치로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사용자가 착용한 스마트 밴드는 각 사용자에게 대전된 인체 정전기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그 측정 결과를 복합 제전 장치를 경유하여 관제 장치로 송신함으로써, 관제 장치는 인체 정전기를 상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복합 제전 장치는 스마트 밴드와 관제 장치 간의 통신 중계기로 기능하는 동시에, 위험 수준의 인체 정전기가 대전된 사용자에게 제전 활동을 하도록 안내하고(또는 유도하고), 동시에 해당 사용자가 위험 수준의 인체 정전기를 제전할 수 있는 제전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산업현장에서 인체 정전기로 인한 폭발 및 화재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체 정전기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밴드의 전면 외형과 후면 외형을 각각 나타내는 도면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밴드의 내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 제전 장치의 내부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제 장치의 내부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밴드로부터 복합 제전 장치로 송신되는 정전기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 제전 장치로부터 관제 장치로 송신되는 정전기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제 장치로부터 복합 제전 장치로 송신되는 제어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 제전 장치로부터 스마트 밴드로 송신되는 제어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체 정전기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 는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체 정전기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체 정전기 관리 시스템(500)은 석유화학공장, 석탄가공공장, 주유소 등 각종 산업 현장에서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가연성 가스나 분진으로 인한 화재 및 폭발 사고의 원인이 되는 인체 정전기를 측정, 제전 및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인체 정전기의 측정, 제전 및 관리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체 정전기 관리 시스템(500)은 다수의 스마트 밴드(100: 100_1, 100_2, ... , 100_k), 복합 제전 장치(200) 및 관제 장치(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복합 제전 장치(200)는 중계기, 중계 제전 장치, 중계 장치, 기지국이라는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관제 장치(300)는 서버, 관제 서버 또는 관제 센터라는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다수의 스마트 밴드(100)와 복합 제전 장치(200)는 무선 통신망(150)을 통해 통신하고, 복합 제전 장치(200)와 관제 장치(300)는 유무선 통신망(250)을 통해 통신한다. 무선 통신은, 근거리 무선 통신(WiFi, LoRa, BLE 5.0 등), 무선 인터넷 통신, 이동 통신(3G, 4G, 5G 등)을 포함한다. 유선 통신은 이더넷을 포함한다.
스마트 밴드들(100) 각각은, 인체 정전기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획득한 인체 정전기 값(또는 정전기 데이터)을 복합 제전 장치(200)를 경유하여 관제 장치(300)로 전송하는 동시에, 측정된 인체 정전기 값이 사전 설정된 위험 기준치(임계치)에 도달하면(또는 초과하면), 사용자(또는 작업자)에게 위험 상황을 알린다. 사용자(또는 작업자)에게 위험 상황을 알리는 방법으로, 경고 안내 음성, 알람, 점멸, 진동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복합 제전 장치(200)는 다수의 스마트 밴드들(100)로부터 수신한 인체 정전기 값(또는 정전기 데이터)을 관제 장치(300)로 전송한다. 이러한 복합 제전 장치(200)는 다수의 스마트 밴드들(100)로부터 수집한 인체 정전기 값을 관제 장치(300)로 전송하므로, 중계기로 지칭될 수 있다.
동시에, 복합 제전 장치(200)는 위험 기준치(임계치)에 도달한 인체 정전기 값을 측정한 스마트 밴드가 자신(200)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일정 범위 내로 진입하면, 상기 일정 범위 내로 진입한 스마트 밴드에게 위험을 알리는 경고를 발생시켜서, 상기 스마트 밴드를 착용한 사용자가 자신의 인체에 대전된 정전기를 제전 하도록(제거하도록 또는 방전하도록) 유도한다.
관제 장치(300)는 복합 제전 장치(200)을 통해 다수의 스마트 밴드가 측정한 인체 정전기 값을 수집하고, 수집된 인체 정전기 값을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를 시각화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관제 장치(300)는 필요 시 자동 또는 수동으로 대피 명령을 포함하는 제어 데이터를 복합 제전 장치(200)를 경유하여 스마트 밴드로 송신한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밴드의 전면 외형과 후면 외형을 각각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밴드는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또는 작업자)의 손목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기기로 지칭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밴드의 전면에는 무선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10), 인체 정전기 값과 텍스트 들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화면(20), 내부 파라미터 설정, 명령 또는 동작 개시(전원 온)를 입력 받기 위한 버튼들(30A, 30B), 인체 정전기에 대한 위험 상황을 청각적인 정보 형태로 출력하는 스피커(40), 인체 정전기에 대한 위험 상황을 시각적인 정보 형태로 출력하는 LED(50)가 구비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스마트 밴드의 내부에는 인체 정전기에 대한 위험 상황을 촉각적인 정보 형태로 출력하는 진동 소자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밴드의 후면에는 사용자(또는 작업자)의 인체 정전기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자(또는 작업자)의 특정 신체 부위(예를 들면, 팔목)에 물리적으로 접촉되는 접촉 단자(60)가 구비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밴드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마트 밴드는 정전기 측정부(110), 프로세서(120), 경고부(130), GPS 모듈(140), 송수신기(150), 표시부(160) 및 메모리(170)를 포함한다.
정전기 측정부(110)는 도 3에 도시된 접촉 단자(60)를 통해 입력된 아날로그 형태의 정전기 전압을 된 디지털 형태의 인체 정전기 값(또는 인체 정전기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를 프로세서(120)로 전달한다.
이러한 정전기 측정부(110)는, 아날로그 형태의 정전기 전압을 된 디지털 형태의 인체 정전기 값으로 변환하기 위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 Converter)로 구현되거나, 이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스마트 밴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및 관리하는 것으로, 하나 이상의 범용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DSP들), 하드웨어 코어들, ASIC들(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FPGA들(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정전기 측정부(110)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형태의 인체 정전기 값을 복합 제전 장치(200)와 약속된 제1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정전기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송수신기(130)로 입력한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GPS 모듈(140)로부터 입력된 스마트 밴드의 현재 위치값과 스마트 밴드 식별 ID를 더 포함하도록 상기 정전기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정전기 측정부(110)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형태의 인체 정전기 값과 미리 설정된 위험 임계값을 비교하여 사용자(또는 작업자)에 대전된 인체 정전기의 위험 상태를 판단한다. 인체 정전기 값이 위험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경고부(130)를 제어하여 스마트 밴드를 착용한 사용자에게 위험 상황을 알린다.
경고부(130)는 프로세서(120)의 제어에 따라 해당 스마트 밴드를 착용한 사용자에게 위험 상황을 경고하는 구성으로,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 정전기에 대한 위험 상황을 청각적인 정보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40), 인체 정전기에 대한 위험 상황을 시각적인 정보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LED(50) 및 인체 정전기에 대한 위험 상황을 촉각적인 정보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진동 소자를 포함한다.
GPS 모듈(140)은 스마트 밴드의 현재 위치값을 프로세서(120)로 입력한다.
송수신기(150)는 프로세서(120)로부터 입력된 정전기 데이터를 무선 통신에 적합한 무선 신호로 변조하여 안테나(10)를 통해 복합 제전 장치(200)를 경유하여 관제 장치(300)로 송신한다. 또한, 송수신기(150)는 복합 제전 장치(200)를 경유하는 관제 장치(300)로부터의 제어 명령을 안테나(10) 또는 별도로 구비된 수신 전용 안테나(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수신하여 복조하고, 복조된 제어 명령을 프로세서(120)로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송수신기(150)는 신호를 변조, 복조, 필터, 증폭하기 위한 다수의 통신 부품들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160)는 인체 정전기 값과 텍스트 들을 표시하는 구성으로, 도 2 및 3에 도시된 표시화면(20)과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프로세서(120)의 제어에 따라 상기 표시화면(20)의 화면구성을 제어하는 화면 제어기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프로세서(120)의 처리 과정에서 필요한 연산 알고리즘, 인체 정전기 값과 비교되는 위험 임계값, 프로세서(120)가 처리 과정에서 발생한 중간 데이터 및 결과 데이터 등을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휘발성 메모리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 제전 장치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 제전 장치(200)는 송수신기(210), 프로세서(220), 경고부(230), 메모리(240) 및 제전부(250)를 포함한다.
송수신기(210)는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하며, 수신기는 제1 안테나(21)를 통해 스마트 밴드로부터 수신된 정전기 데이터들을 복조하고, 복조된 정전기 데이터를 프로세서(220)로 입력한다.
프로세서(220)는 스마트 밴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및 관리하는 것으로, 하나 이상의 범용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DSP들), 하드웨어 코어들, ASIC들(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FPGA들(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상기 송수신(210)로부터 입력된 상기 복조된 정전기 데이터를 관제 장치(300)와 약속된 제2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생성된 정전기 데이터를 상기 송수신기(210)로 입력한다. 상기 송수신기(210)의 송신기는 제2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된 정전기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에 적합한 유무선 신호로 변조하여 제2 안테나(22)를 통해 관제 장치(300)로 송신한다.
프로세서(210)는 상기 송수신기(210)로부터 입력된 복조된 정전기 데이터로부터 인체 정전기 값을 추출하고, 추출된 인체 정전기 값과 미리 설정된 위험 임계값을 비교하여 사용자(또는 작업자)에 대전된 인체 정전기의 위험 상태를 판단한다.
프로세서(210)는 상기 복조된 정전기 데이터로부터 위치값을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값을 분석하여, 해당 스마트 밴드가 자신(200)의 설치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일정 범위에 진입하였는지를 판단한다.
프로세서(210)는, 상기 추출된 인체 정전기 값이 위험 임계값을 초과하고, 상기 추출된 인체 정전기 값을 측정한 스마트 밴드가 상기 일정 범위 내로 진입함을 확인하면, 경고부(230)를 제어하여 해당 스마트 밴드를 착용한 사용자(또는 작업자)에게 위험 상황을 통보한다.
경고부(230)의 경고에 따라, 사용자(또는 작업자)는 자신의 신체에 대전된 정전기가 위험 수준에 도달했음을 인지하고, 복합 제전 장치(200)에 구비된 제전부(250)로 접근하여, 제전부(250)를 통해 자신의 신체에 대전된 정전기를 제거하는 제전 활동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복합 제전 장치(200)가 제전부(250)와 같은 제전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점에 특징이 있는 것이지, 제전부(250)의 상세 구조에 특징이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전부(25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제전부(250)는 사용자(또는 작업자)의 특정 신체 부위(예를 들면, 손바닥)과 접촉하는 접촉부(251), 상기 접촉부(251)과 접지(GND)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253)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접지(GND)는 지면 또는 접지 기능을 갖는 모든 종류의 수단을 포함한다.
경고부(230)는, 프로세서(220)의 제어에 따라, 경고 안내 음성, 알람 및 점멸 중 적어도 하나의 경고 이벤트를 발생한다. 경고부(230)는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에 대전된 정전기가 위험 수준에 도달했음을 인지하도록, 위험 상황을 청각적인 정보 형태(예를 들면, 경고 안내 음성, 알람 등)로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 수단과 위험 상황을 시각적인 정보 형태(발광 수단의 점멸)로 표출하는 표시 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240)는, 프로세서(220)의 처리 과정에서 필요한 연산 알고리즘, 인체 정전기 값과 비교되는 위험 임계값, 프로세서(220)가 처리 과정에서 생성한 중간 데이터 및 결과 데이터 등을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한다. 메모리(240)는 휘발성 메모리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제 장치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제 장치(300)는 송수신기(310), 프로세서(320), 표시부(330) 및 메모리(340)를 포함한다.
송수신기(310)는 안테나(30)를 통해 복합 제전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정전기 데이터들을 복조하고, 복조된 정전기 데이터를 프로세서(220)로 입력한다.
프로세서(320)는 스마트 밴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및 관리하는 것으로, 하나 이상의 범용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DSP들), 하드웨어 코어들, ASIC들(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FPGA들(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송수신기(310)로부터 입력된 정전기 데이터로부터 인체 정전기 값, 스마트 밴드의 위치값, 위험 인지 데이터 등을 추출하여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표시하도록 메모리(330) 및 표시부(340)를 각각 제어한다. 수집된 데이터는 위험 발생 분석(예: 위치, 시간, 빈도)에 사용된다.
프로세서(320)는 필요 시,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이를 복합 제전 장치(200)를 경유하여 스마트 밴드로 제어 명령(예: 경고, 위험 상태 알림, 대피 명령, 위험 상태 해제 등)을 송신하도록 송수신기(310)를 제어한다.
표시부(330)는, 프로세서(320)의 제어에 따라, 스마트 밴드를 착용한 사용자(또는 작업자)의 작업 현장을 지도 형태로 표시하거나, 작업 현장 내 위험 지역을 표시하거나, 스마트 밴드의 정전기 값을 표시하거나, 스마트 밴드의 위치값을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330)는, 프로세서(320)의 제어에 따라, 스마트 밴드의 위험 인지 및 해제 상태를 지도 상에 표시한다.
메모리(340)는 휘발성 메모리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메모리(340)는, 프로세서(320)에 의해 실행되는 다양한 연산 알고리즘, 작업 현장을 나타내는 지도 데이터, 스마트 밴드의 위치값, 스마트 밴드의 로그인/로그아웃 시간 등을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340)는 프로세서(320)에 의해 실행되는 알고리즘들의 실행 공간을 제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밴드로부터 복합 제전 장치로 송신되는 정전기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밴드들(100) 각각으로부터 복합 제전 장치(200)로 송신되는 정전기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은 헤더 영역과 페이로드 영역으로 구분된다.
헤더 영역은 크게 2개의 영역들로 나눌 수 있다. 헤더 영역의 제1 영역에는 프레임 길이 정보가 기록된다. 헤더 영역의 제2 영역에는 프레임 타입 정보가 기록된다.
페이로드 영역은 크게 3개의 영역들로 나눌 수 있다. 페이로드 영역의 제1 영역에는 스마트 밴드 ID가 기록된다. 페이로드 영역의 제2 영역에는 스마트 밴드의 위치값이 기록된다. 페이로드 영역의 제3 영역에는 측정된 인체 정전기 값이 기록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 제전 장치로부터 관제 장치로 송신되는 정전기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 제전 장치(200)로부터 관제 장치(300)로 송신되는 정전기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은 헤더 영역과 페이로드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헤더 영역은 크게 3개의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헤더 영역의 제1 영역에는 프레임 길이가 기록되고, 제2 영역에는 프레임 타입이 기록된다.
페이로드 영역은 크게 복합 제전 장치(200)와 관련된 데이터가 기록되는 영역과 다수의 스마트 밴드들(100)와 관련된 데이터들이 각각 기록되는 다수의 영역들로 나눌 수 있다.
복합 제전 장치(200)와 관련된 데이터가 기록되는 영역은 제1 내지 제3 영역으로 이루어진 3개의 영역들을 포함하며, 제1 영역에는 복합 제전 장치(200)의 ID(식별자)가 기록되고, 제2 영역에는 복합 제전 장치(200)의 위치값이 기록되며, 제3 영역에는 복합 제전 장치(200)와 통신 가능한 거리에 위치하는 스마트 밴드들(100)의 개수가 기록된다. 즉, 제3 영역에는 정전기 데이터를 송신한 스마트 밴드들(100)의 개수가 기록된다.
스마트 밴드들(100)와 관련된 데이터가 기록되는 다수의 영역 각각은 제1 내지 제5 영역으로 이루어진 5개의 영역들을 포함하며, 제1 영역에는 해당 스마트 밴드의 ID(스마트 밴드의 식별자)가 기록되며, 제2 영역에는 해당 스마트 밴드의 위치값이 기록되며, 제3 영역에는 해당 스마트 밴드가 측정한 인체 정전기값이 기록되며, 제4 영역에는 복합 제전 장치의 위치로부터 해당 스마트 밴드까지의 거리값이 기록되며, 제5 영역에는 해당 스마트밴드로부터 수신된 정전기 데이터의 수신 시각이 기록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제 장치로부터 복합 제전 장치로 송신되는 제어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제 장치(300)로부터 복합 제전 장치(200)로 송신되는 제어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은 헤더 영역과 페이로드 영역으로 나눌 수 있으며, 도 9에서는 페이로드 영역에 대한 데이터 포맷만이 도시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관제 장치(300)로부터 복합 제전 장치(200)로 송신되는 제어 데이터의 헤더 영역에는 도 7 및 8에 도시한 헤더 영역에 기록되는 정보와 유사하게 프레임 길이와 프레임 타입이 기록되는 2개의 영역을 포함한다.
제어 데이터의 페이로드 영역은 제1 내지 제4 영역으로 구분되는 4개의 영역을 포함하며, 제1 영역에 복합 제전 장치(200)의 ID가 기록되며, 제2 영역에는 제1 영역에 기록된 ID에 의해 식별되는 복합 제전 장치(200)에 대한 제어 명령 데이터가 기록되며, 제3 영역에는 스마트 밴드의 ID가 기록되며, 제4 영역에는 제3 영역에 기록된 ID에 의해 식별되는 스마트 밴드에 대한 제어 명령 데이터가 기록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 제전 장치로부터 스마트 밴드로 송신되는 제어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복합 제전 장치(200)로부터 하나의 스마트 밴드로 송신되는 제어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은 헤더 영역과 페이로드 영역으로 나눌 수 있으며, 도 10에서는 페이로드 영역만이 도시된다. 복합 제전 장치(200)로부터 하나의 스마트 밴드로 송신되는 제어 데이터의 헤더 영역에는 프레임 길이와 프레임 타입이 각각 기록되는 2개의 영역을 포함한다.
복합 제전 장치(200)로부터 하나의 스마트 밴드로 송신되는 제어 데이터의 페이로드 영역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영역으로 이루어진 2개의 영역을 포함하며, 제 1 영역에는 스마트 밴드의 ID가 기록되며, 제2 영역에는 제1 영역에 기록된 ID에 의해 식별되는 스마트 밴드에 대한 제어 명령 데이터가 기록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체 정전기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다수의 사용자(또는 작업자)가 스마트 밴드를 특정 신체 부위에 착용한 상태에서, 각 사용자가 버튼(도 2의 30A, 30B)을 누르면, 스마트 밴드가 동작을 개시한다.
단계 1110 에서, 다수의 스마트 밴드가 동작을 개시하면, 각 스마트 밴드가 접촉 단자(6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인체 정전기 전압을 측정하고, 측정된 아날로그 형태의 인체 정전기 전압을 디지털 형태의 인체 정전기 값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인체 정전기 값을 복합 제전 장치와 약속된 데이터 포맷으로 구성하여 이를 인체 정전기 데이터(이하, 정전기 데이터)로서 복합 제전 장치로 송신한다.
이어, 단계 1120에서, 상기 복합 제전 장치(200)가 상기 다수의 스마트 밴드(100)로부터 수신된 상기 정전기 데이터를 관제 장치로 송신한다.
동시에, 단계 1130에서, 상기 복합 제전 장치(200)가 각 스마트 밴드로부터 수신한 정전기 데이터를 분석하여, 위험 수준의 인체 정전기가 대전된 사용자가 제전활동을 하도록 경고 이벤트(경고 안내 음성, 알람, 진동, 점별 등)를 발생시킨다.
이어, 단계 1140에서, 상기 관제 장치(300)가 상기 복합 제전 장치(200)를 경유하여 수신된 각 스마트 밴드의 정전기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전기 데이터를 기반으로 스마트 밴드를 착용한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인체 정전기를 상시 모니터링 한다.
이하, 각 단계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1110
일 예에서, 스마트 밴드가 정전기 데이터를 복합 제전 장치(200)로 송신하는 과정은, 각 스마트 밴드가, 상기 측정된 인체 정전기에 대응하는 인체 정전기 값과 사전에 설정한 위험 임계값을 비교하는 과정과, 각 스마트 밴드가, 상기 인체 정전기 값과 상기 위험 임계값을 비교 분석한 결과에 따라 자체적으로 경고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경고 이벤트는 경고 안내음, 진동, 점멸, 알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스마트 밴드가 정전기 데이터를 복합 제전 장치로 송신하는 과정에서, 상기 정전기 데이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밴드의 ID, 각 스마트 밴드의 위치값, 각 스마트 밴드에서 측정한 상기 인체 정전기 값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계 1120
상기 복합 제전 장치(200)가 상기 다수의 스마트 밴드(100)로부터 수신된 상기 정전기 데이터를 관제 장치로 송신하는 과정은 각 스마트 밴드로부터 수신된 상기 정전기 데이터를 상기 관제 장치(300)와 약속된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획득한 정전기 데이터를 상기 관제 장치로 송신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포맷으로 변화여 획득한 정전기 데이터는 상기 복합 제전 장치(200)의 ID, 상기 복합 제전 장치(200)의 위치값, 상기 정전기 데이터를 송신한 스마트 밴드의 개수 및 각 스마트 밴드와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 스마트 밴드와 관련된 데이터는, 상기 스마트 밴드의 ID, 상기 스마트 밴드의 위치값, 상기 스마트 밴드에서 측정한 인체 정전기값, 복합 제전 장치의 위치로부터 상기 스마트 밴드의 현재 위치까지의 거리값 및 상기 스마트 밴드로부터 정전기 데이터를 수신한 수신 시각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계 1130
일 예에서, 상기 복합 제전 장치(200)가 위험 수준의 인체 정전기가 대전된 사용자가 제전활동을 하도록 경고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과정은, 각 스마트 밴드로부터 수신된 정전기 데이터로부터 인체 정전기 값을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인체 정전기 값과 상기 위험 임계값을 비교하는 과정, 상기 추출된 인체 정전기 값이 상기 위험 임계값 이상인 경우, 해당 스마트 밴드를 착용한 사용자가 상기 복합 제전 장치에 구비된 제전부(도 5의 250)를 이용하여 제전 활동을 수행하도록 상기 경고를 발생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전부(도 5의 250)는 상기 경고 이벤트에 응답하여 접근하는 사용자에게 대전된 인체 정전기를 제거하는 구성으로, 상기 사용자의 특정 신체 부위와 접촉하는 접촉부(도 5의 251) 및 상기 접촉부(251)과 접지(GND)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도 5의 253)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복합 제전 장치(200)가 위험 수준의 인체 정전기가 대전된 사용자가 제전활동을 하도록 경고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과정은, 각 스마트 밴드로부터 수신된 상기 정전기 데이터로부터 인체 정전기 값을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인체 정전기 값과 상기 위험 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추출된 인체 정전기 값이 상기 위험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제1 과정과, 각 스마트 밴드로부터 수신된 상기 정전기 데이터로부터 스마트 밴드의 현재 위치값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스마트 밴드의 현재 위치값을 분석하여, 위험 지역에 위치하는 지를 판단하는 제2 과정 및 다수의 스마트 밴드들(100) 중에서 상기 제1 과정의 조건 및 제2 과정의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스마트 밴드가 확인된 경우, 상기 경고를 발생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140
일 예에서, 관제 장치(300)가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인체 정전기를 상시 모니터링 하는 과정은 상기 정전기 데이터에 포함된 각 스마트 밴드의 인체 정전기 값, 스마트 밴드의 위치/거리 데이터 및 위험 인지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관제 장치(300)가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인체 정전기를 상시 모니터링 하는 과정은 수집한 정전기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력(예: 로그인/아웃)과 위험 발생 분석(예: 위치/시간/빈도)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관제 장치(300)가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인체 정전기를 상시 모니터링 하는 과정은 필요 시 제어명령을 이용하여 복합제전장치를 경유하여 작업자에게 제어 명령 데이터(예: 경고, 위험 상태, 대피 명령, 위험 해제 명령 등)을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관제 장치(300)가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인체 정전기를 상시 모니터링 하는 과정은 사용자(또는 작업자)의 작업 현장을 지도 형태로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관제 장치(300)가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인체 정전기를 상시 모니터링 하는 과정은 작업 현장 내 위험 지역을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관제 장치(300)가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인체 정전기를 상시 모니터링 하는 과정은 스마트 밴드의 시스템 로그인/로그아웃 시간을 저장 및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관제 장치(300)가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인체 정전기를 상시 모니터링 하는 과정은 각 스마트 밴드에서 측정한 인체 정전기 값을 저장 및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관제 장치(300)가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인체 정전기를 상시 모니터링 하는 과정은 각 스마트 밴드의 현재 위치, 각 스마트 밴드의 현재 위치로부터 위험 지역까지의 거리를 저장 및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위험 지역이 복합 제전 장치(200)를 중심으로 하는 일정 범위인 경우, 관제 장치(300)가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인체 정전기를 상시 모니터링 하는 과정은 각 스마트 밴드의 현재 위치로부터 복합 제전 장치(200)까지의 거리를 저장 및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관제 장치(300)가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인체 정전기를 상시 모니터링 하는 과정은 스마트 밴드의 위험 상황 알림 및 해제 상태를 저장 및 지도 상에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밴드는 인체 정전기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복합 제전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함과 동시에 사전 설정된 위험 임계치에 도달하거나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또는 작업자)에게 위험 상황을 알리는 경고 이벤트를 발생하고, 복합 제전 장치(200)는 스마트 밴드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관제장치로 전송함과 동시에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위험 기준에 도달한 스마트 밴드를 착용한 사용자(또는 작업자)에게 위험 상황을 경고하여 정전기를 제전활동을 수행하도록 제전부를 구비한다. 또한, 관제 장치는 스마트 밴드의 상태를 시각화하여 표시하고, 데이터를 분석하며 필요 시 제어명령을 전송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 밴드, 관제 장치 및 이들의 통신을 중계하는 복합 제전 장치를 포함하는 인체 정전기 관리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산업 현장 및 주유소 등과 같은 공간에서 인체 정전기로 인한 폭발 및 화재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을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을 위한 예시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다수의 스마트 밴드가, 사용자에게 대전된 인체 정전기를 측정하여 획득한 정전기 데이터를 복합 제전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복합 제전 장치가, 상기 다수의 스마트 밴드로부터 수신된 상기 정전기 데이터를 관제 장치로 송신하는 동시에, 상기 정전기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다수의 스마트 밴드 중에서 위험 지역에 위치한 일부 스마트 밴드들을 착용한 사용자에게 제전 활동을 유도하기 위한 경고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관제 장치가, 상기 복합 제전 장치를 경유하여 수신된 상기 정전기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다수의 스마트 밴드를 착용한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인체 정전기를 상시 모니터링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경고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단계는,
    각 스마트 밴드의 현재 위치값과 인체 정전기 값을 포함하는 상기 정전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스마트 밴드의 현재 위치값을 분석하여, 각 스마트 밴드가 상기 위험 지역에 위치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위치값의 분석에 따라 해당 스마트 밴드가 위험 지역에 위치하고, 상기 인체 정전기 값이 위험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해당 스마트 밴드를 착용한 사용자가 제전 활동을 수행하도록 상기 경고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체 정전기 관리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정전기 데이터를 복합 제전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는,
    각 스마트 밴드가, 상기 측정된 인체 정전기에 대응하는 인체 정전기 값과 위험 임계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각 스마트 밴드가, 상기 인체 정전기 값과 상기 위험 임계값을 비교 분석한 결과에 따라 자체적으로 경고를 발생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체 정전기 관리 방법.
  3. 제1항에서,
    상기 정전기 데이터를 복합 제전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특정 신체 부위와 접촉하는 접촉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형태의 정전기 전압을 디지털 형태의 인체 정전기 값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디지털 형태의 인체 정전기 값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상기 정전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체 정전기 관리 방법.
  4. 제1항에서,
    상기 정전기 데이터를 복합 제전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인체 정전기에 대응하는 인체 정전기 값을 상기 복합 제전 장치와 약속된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정전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인체 정전기 관리 방법.
  5. 제4항에서,
    상기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된 정전기 데이터는, 스마트 밴드의 ID, 각 스마트 밴드의 위치값, 각 스마트 밴드에서 측정한 상기 인체 정전기 값을 포함하는 것인 인체 정전기 관리 방법.
  6. 제1항에서,
    상기 경고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단계는,
    각 스마트 밴드로부터 수신된 상기 정전기 데이터로부터 인체 정전기 값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인체 정전기 값과 위험 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추출된 인체 정전기 값이 상기 위험 임계값 이상인 경우, 해당 스마트 밴드를 착용한 사용자가 상기 복합 제전 장치에 구비된 제전부에서 상기 제전 활동을 수행하도록 상기 경고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인체 정전기 관리 방법.
  7. 삭제
  8. 제1항에서,
    상기 경고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복합 제전 장치가 상기 다수의 스마트 밴드로부터 수신된 상기 정전기 데이터를 관제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는
    각 스마트 밴드로부터 수신된 상기 정전기 데이터를 상기 관제 장치와 약속된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변환된 정전기 데이터를 상기 관제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이고,
    상기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된 정전기 데이터는,
    상기 복합 제전 장치의 ID, 상기 복합 제전 장치의 위치값, 상기 정전기 데이터를 송신한 스마트 밴드의 개수 및 각 스마트 밴드와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인 인체 정전기 관리 방법.
  9. 제8항에서,
    상기 각 스마트 밴드와 관련된 데이터는,
    상기 스마트 밴드의 ID, 상기 스마트 밴드의 위치값, 상기 스마트 밴드에서 측정한 인체 정전기값, 복합 제전 장치의 위치로부터 상기 스마트 밴드의 현재 위치까지의 거리값 및 상기 스마트 밴드로부터 정전기 데이터를 수신한 수신 시각
    을 포함하는 것인 인체 정전기 관리 방법.
  10. 사용자의 특정 신체 부위에 착용되는 스마트 밴드로서,
    사용자에게 대전된 인체 정전기를 측정하여 인체 정전기 값을 생성하는 정전기 측정부;
    상기 스마트 밴드의 현재 위치값과 상기 인체 정전기 값을 포함도록 가공하여 정전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정전기 데이터를 무선 통신에 적합한 무선 신호로 변조하고, 변조된 무선 신호를 복합 제전 장치를 경유하여 관제 장치로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합 제전 장치로부터 상기 현재 위치값의 분석에 따라 해당 스마트 밴드가 위험 지역에 위치하고, 상기 인체 정전기 값이 위험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해당 스마트 밴드를 착용한 사용자가 제전 활동을 수행하도록 경고 이벤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스마트 밴드의 위치값 및 상기 인체 정전기 값을 포함하는 상기 정전기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송신기를 통해 상기 복합 제전 장치로 송신하는 스마트 밴드.
  11. 제10항에서,
    상기 정전기 측정부는,
    사용자의 특정 신체 부위에 접촉된 접촉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접촉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정전기 전압을 디지털 형태의 상기 인체 정전기 값으로 변환하는 것인 스마트 밴드.
  12. 삭제
  13. 제10항에서,
    알람, 점멸 및 진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경고 이벤트를 발생하는 경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체 정전기 값이 사전에 설정된 위험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복합 제전 장치에 구비된 제전부에서 제전 활동을 하도록 안내하기 위해, 상기 경고 이벤트를 발생하도록 상기 경고부를 제어하는 것인 스마트 밴드.
  14. 다수의 스마트 밴드와 관제 장치 간의 통신 중계 역할을 수행하는 복합 제전 장치로서,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다수의 스마트 밴드로부터 각 사용자에게 대전된 인체 정전기를 측정하여 획득한 정전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
    상기 정전기 데이터를 상기 관제 장치와 약속된 데이터 포맷으로 가공하는 프로세서;
    상기 데이터 포맷으로 가공된 정전기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에 적합한 유무선 신호로 변조하고, 변조된 유무선 신호를 상기 관제 장치로 송신하는 송신기;
    경고 안내 음성, 알람 및 점멸 중 적어도 하나의 경고 이벤트를 발생하는 경고부; 및
    상기 경고 이벤트에 응답하여 접근하는 사용자에게 대전된 인체 정전기를 제거하는 제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기를 통해 각 스마트 밴드의 현재 위치값과 인체 정전기 값을 포함하는 상기 정전기 데이터를 수신하고, 각 스마트 밴드의 현재 위치값을 분석하여, 각 스마트 밴드가 위험 지역에 위치하는 지를 판단한 후, 상기 현재 위치값의 분석에 따라 해당 스마트 밴드가 상기 위험 지역에 위치하고, 상기 인체 정전기 값이 위험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해당 스마트 밴드를 착용한 사용자가 제전 활동을 수행하도록 상기 경고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복합 제전 장치.
  15. 제14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합 제전 장치의 ID, 상기 복합 제전 장치의 위치값, 상기 정전기 데이터를 송신한 스마트 밴드의 개수 및 각 스마트 밴드와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가공된 정전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인 복합 제전 장치.
  16. 제15항에서,
    상기 각 스마트 밴드와 관련된 데이터는,
    상기 스마트 밴드의 ID, 상기 스마트 밴드의 위치값, 상기 스마트 밴드에서 측정한 인체 정전기값, 및 상기 복합 제전 장치의 위치로부터 상기 스마트 밴드의 현재 위치까지의 거리값을 포함하는 것인 복합 제전 장치.
  17. 삭제
  18. 삭제
  19. 제14항에서,
    상기 제전부는,
    상기 사용자의 특정 신체 부위와 접촉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과 접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것인 복합 제전 장치.
  20. 삭제
KR1020190143257A 2019-11-11 2019-11-11 스마트 밴드, 복합 제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체 정전기 관리 시스템에서의 인체 정전기 관리 방법 KR102519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257A KR102519843B1 (ko) 2019-11-11 2019-11-11 스마트 밴드, 복합 제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체 정전기 관리 시스템에서의 인체 정전기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257A KR102519843B1 (ko) 2019-11-11 2019-11-11 스마트 밴드, 복합 제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체 정전기 관리 시스템에서의 인체 정전기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599A KR20210056599A (ko) 2021-05-20
KR102519843B1 true KR102519843B1 (ko) 2023-04-11

Family

ID=76142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257A KR102519843B1 (ko) 2019-11-11 2019-11-11 스마트 밴드, 복합 제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체 정전기 관리 시스템에서의 인체 정전기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984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55735A (ja) * 2017-01-31 2018-10-04 サンコ テキスタイル イスレットメレリ サン ベ ティク エーエスSanko Tekstil Isletmeleri San. Ve Tic. A.S. 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並びにrf放射および静電気変動による人体への誘起電圧暴露を決定する方法
KR101943768B1 (ko) * 2017-12-13 2019-01-30 주식회사 네오스마트 대상자 맞춤형 대전방지 솔루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11312B1 (en) * 2006-01-24 2008-09-10 Research In Motion Limited Electrostatic discharge monitoring and manufacturing process control system
KR20190034798A (ko) * 2017-09-25 2019-04-03 (주)아드반텍 정전기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55735A (ja) * 2017-01-31 2018-10-04 サンコ テキスタイル イスレットメレリ サン ベ ティク エーエスSanko Tekstil Isletmeleri San. Ve Tic. A.S. 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並びにrf放射および静電気変動による人体への誘起電圧暴露を決定する方法
KR101943768B1 (ko) * 2017-12-13 2019-01-30 주식회사 네오스마트 대상자 맞춤형 대전방지 솔루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강철 외 3인, "정전기 모니터링 시스템 설계,"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2. no.11, pp. 2069-2076, 200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599A (ko) 2021-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4228B1 (ko) Iot기반 건설현장 실시간 위치추적 및 영상 안전관제 시스템
CN110249639B (zh) 监测和标测来自多个噪声监测设备的噪声数据的系统和方法
KR101485925B1 (ko) 현장작업자 안전감시시스템
RU2671765C1 (ru) Узел и способ указания в ответ на состояние
KR101695596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유해가스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48151B1 (ko)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676848B1 (ko) 스마트 안전 헬멧 및 방법, 이를 이용한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51119B1 (ko) 건설 현장 위험 알림 장치
KR20160002280A (ko) 스마트 마스크 및 그 제어 방법
CN103246256A (zh) 一种建筑施工现场生产安全监控系统及使用方法
KR20170018747A (ko) 스마트 헬멧 및 이를 이용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
KR101643263B1 (ko) 휴대용 비컨을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
CN111295166B (zh) 可替换消音器件检测
KR102488939B1 (ko) 건설현장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방법
CN104021648A (zh) 变电站现场佩戴安全帽智能监控预警系统
KR101995948B1 (ko) 산업현장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KR102140829B1 (ko) 스마트헬멧을 이용한 위험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5205967A (zh) 火警监控方法及火警监控系统
CN203232543U (zh) 一种建筑施工现场生产安全监控系统
CN105516659A (zh) 一种基于脸部情绪识别的智能安防系统及方法
KR20180060984A (ko) 실시간 작업자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N102739276A (zh) 一种消防员灭火救援定位指挥系统
KR102519843B1 (ko) 스마트 밴드, 복합 제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체 정전기 관리 시스템에서의 인체 정전기 관리 방법
CN214677782U (zh) 一种智能安全帽和矿工安全监测系统
KR102205608B1 (ko) 근로자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스마트 웨어러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