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8918B1 - 산업차량의 틸팅 장치 - Google Patents

산업차량의 틸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8918B1
KR102518918B1 KR1020180044773A KR20180044773A KR102518918B1 KR 102518918 B1 KR102518918 B1 KR 102518918B1 KR 1020180044773 A KR1020180044773 A KR 1020180044773A KR 20180044773 A KR20180044773 A KR 20180044773A KR 102518918 B1 KR102518918 B1 KR 102518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ing
hood
cabin
hydraulic
tilting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1454A (ko
Inventor
배성호
Original Assignee
두산산업차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산업차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산업차량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4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8918B1/ko
Publication of KR20190121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1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8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8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B66F9/22Hydraulic devices o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13Details concerning the chassis
    • B66F9/07527Covers for, e.g. engine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9Details of operating station, e.g. seats, levers, operator platforms, cabin suspen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산업차량의 틸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산업차량의 운전자가 탑승하는 캐빈 또는 구동장비가 설치되는 기계실을 커버하는 후드를 선택적으로 틸팅 가능한 산업차량의 틸팅 장치는, 상기 캐빈을 틸팅 가능한 캐빈 틸팅 실린더와, 상기 후드를 틸팅 가능한 후드 틸팅 실린더와, 운전자에 조작에 따라 상기 캐빈 틸팅 실린더 또는 상기 후드 틸팅 실린더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틸팅 대상 선택밸브, 그리고 상기 틸팅 대상 선택밸브로 작동유를 공급하는 작동유 공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산업차량의 틸팅 장치{APPARATUS FOR TILTING DEVICE OF INDUSTRIAL VEHICL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산업차량의 틸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업차량의 캐빈 또는 후드를 선택적으로 틸팅 시킬 수 있는 사업차량의 틸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차량은 하물을 운반, 적재 등에 활용된다. 일예로, 산업차량은 전방에 포크를 구비한 지게차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산업차량에는 운전자가 탑승하는 캐빈과 이러한 산업차량이 구동될 수 있도록 다양한 구동장치가 설치된 기계실 그리고 기계실을 개폐 가능한 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산업차량은 기계실 내부에 설치된 구동장치의 부품 교환 등의 정비를 위해 후드 및 캐빈의 틸팅시 수동으로 조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작업자는 후드를 개방시킨 후, 기계실 내부에 설치된 구동장치들의 유지 보수를 위한 작업을 수행하여야 했다. 이러한 경우, 후드의 개폐에 따라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는, 복잡한 유압라인을 포함하는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여 캐빈을 틸팅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작업자가 조작으로 용이하게 캐빈 또는 후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산업차량의 틸팅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산업차량의 운전자가 탑승하는 캐빈 또는 구동장비가 설치되는 기계실을 커버하는 후드를 선택적으로 틸팅 가능한 산업차량의 틸팅 장치는, 상기 캐빈을 틸팅 가능한 캐빈 틸팅 실린더와, 상기 후드를 틸팅 가능한 후드 틸팅 실린더와, 운전자에 조작에 따라 상기 캐빈 틸팅 실린더 또는 상기 후드 틸팅 실린더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틸팅 대상 선택밸브, 그리고 상기 틸팅 대상 선택밸브로 작동유를 공급하는 작동유 공급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작동유 공급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압력을 갖는 작동유를 토출하는 펌프, 그리고 상기 캐빈 틸팅 실린더 또는 상기 후드 틸팅 실린더의 신축 방향에 따라 상기 펌프에서 제공되는 작동유를 상기 틸팅 대상 선택밸브로 공급하는 유압 공급 선택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틸팅 대상 선택밸브는 상기 작동유 공급부에서 공급된 작동유를 상기 캐빈 틸팅 실린더로 공급하는 제1 틸팅 영역, 그리고 상기 제1 틸팅 영역과 구획되어 상기 작동유 공급부에서 공급된 작동유를 상기 후드 틸팅 실린더로 공급하는 제2 틸팅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산업차량의 틸팅 장치는 상기 틸팅 대상 선택밸브와 상기 캐빈 틸팅 실린더의 일측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캐빈 틸팅 실린더가 신장되도록 상기 제1 틸팅 영역을 통과한 작동유의 공급을 안내하는 제1 캐빈 유압라인과, 상기 틸팅 대상 선택밸브와 상기 후드 틸팅 실린더의 일측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후드 틸팅 실린더가 신장되도록 상기 제2 틸팅 영역을 통과한 작동유의 공급을 안내하는 제1 후드 유압라인과, 상기 작동유 공급부와 상기 후드 틸팅 실린더의 타측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후드 틸팅 실린더가 수축되도록 작동유의 공급을 안내하는 제2 후드 유압라인, 그리고 일단부가 상기 캐빈 틸팅 실린더의 타측과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후드 유압라인에 연결되어 상기 캐빈 틸팅 실린더가 수축되도록 상기 작동유 공급부에 공급된 작동유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 캐빈 유압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압 공급 선택밸브는 상기 캐빈 틸팅 실린더 또는 상기 후드 틸팅 실린더가 신장되도록 상기 틸팅 대상 선택밸브로 상기 펌프로부터 작동유를 공급하는 신장영역, 그리고 상기 신장영역과 구획되며 상기 상기 캐빈 틸팅 실린더 또는 상기 후드 틸팅 실린더가 수축되도록 상기 틸팅 대상 선택밸브로 상기 펌프로부터 작동유를 공급하는 수축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산업차량의 틸팅 장치는 작업자의 피로도를 죽이며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캐빈 또는 후드를 선택적으로 틸팅 및 원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의 틸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5는 캐빈 및 후드의 틸팅 또는 복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의 틸팅 장치(101)를 설명한다.
산업차량(10)은 운전자가 탑승하여 산업차량(10)을 운전하는 캐빈(20)과 이러한 산업차량(10)이 구동되도록 이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되는 구동장비가 수납된 기계실 그리고 이러한 기계실을 개폐 가능하게 커버하는 후드(30)를 포함한다.
산업차량의 틸팅 장치(101)는 캐빈(20) 또는 후드(30)가 산업차량(10)의 바디로부터 특정각도로 틸팅 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산업차량(10) 하부의 바디로부터 캐빈(20)과 후드(30)는 일단이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캐빈(20)과 후드(30)의 각각 타단이 산업차량(10) 하부의 바디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다.
이러한 틸팅 방향은 산업차량(10)을 정면으로 바라본 상태에서 우측, 좌측, 전방, 또는 후방 중 어느 특정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틸팅 방향은 최초의 산업차량(10)의 출하시 캐빈(20)과 후드(30) 가각이 산업차량(10) 하부의 바디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방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산업차량의 틸팅 장치(10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빈 틸팅 실린더(100)와 후드 틸팅 실린더(200)와 틸팅 대상 선택밸브(300) 그리고 작동유 공급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빈 틸팅 실린더(100)는 캐빈(20)이 틸팅 가능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캐빈 틸팅 실린더(100)는 캐빈(20)이 산업차량(10)의 바디로부터 어느 특정방향으로 틸팅 가능하도록 동력을 제공한다. 또한, 캐빈 틸팅 실린더(100)는 틸팅된 캐빈(20)이 다시 원상복귀 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한다. 즉, 캐빈 틸팅 실린더(100)는 산업차량(10)의 바디와 캐빈(20) 사이에 설치되어 신장과 수축을 통해 캐빈(20)의 틸팅 또는 틸팅된 캐빈(20)의 원상복귀를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후드 틸팅 실린더(200)는 후드(30)가 틸팅 가능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후드 틸팅 실린더(200)는 후드(30)가 산업차량(10)의 바디로부터 어느 특정방향으로 틸팅 가능하도록 동력을 제공한다. 또한, 후드 틸팅 실린더(200)는 틸팅된 후드(30)가 다시 원상복귀 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한다. 즉, 후드 틸팅 실린더(200)는 산업차량(10)의 바디와 후드(30) 사이에 설치되어 신장과 수축을 통해 후드(30)의 틸팅 또는 틸팅된 후드(30)의 원상복귀를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틸팅 대상 선택밸브(300)는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캐빈 틸팅 실린더(100) 또는 후드 틸팅 실린더(200)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킨다. 틸팅 대상 선택밸브(300)는 캐빈(20) 또는 후드(30) 중 틸팅될 대상을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틸팅 대상 선택밸브(300)는 운전자가 선택한 틸팅 대상이 캐빈(20)인지 또는 후드(30)인지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작되어 틸팅 대상으로 선택된 캐빈(20) 또는 후드(30)의 틸팅을 위해 캐빈 틸팅 실린더(100) 또는 후드 틸팅 실린더(200)가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틸팅 대상 선택밸브(300)는 틸팅이 완료되어 복귀가 필요한 캐빈(20) 또는 후드(30)를 선택하여 이에 해당되는 캐빈 틸팅 실린더(100) 또는 후드 틸팅 실린더(200)의 동작을 선택할 수 있다. 즉, 틸팅 대상 선택밸브(300)는 캐빈(20) 또는 후드(30) 중 어느 하나로 작동유가 공급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작동유 공급부(400)는 틸팅 대상 선택밸브(300)로 작동유를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작동유 공급부(400)는 틸팅 대상 선택밸브(300)를 통해, 틸팅동작이 선택된 실린더의 구동을 위해 작동유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작동유 공급부(400)는 틸팅 대상 선택밸브(300)에 의해 선택된 대상에 공급하는 작동유의 공급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작동유 공급부(400)는 틸팅 대상 선택밸브(300)에 의해 선택된 캐빈 틸팅 실린더(100) 또는 후드 틸팅 실린더(200)의 신장 또는 수축 방향을 선택하여 작동유의 공급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작업자는 캐빈(20) 또는 후드(30)의 틸팅이 필요한 경우 이를 위한 큰 힘을 들이지 않고 효과적으로 캐빈(20) 또는 후드(30)를 틸팅 시켜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의 틸팅 장치(10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600)는 작동유 공급부(400)의 동작 및 작동유의 공급방향 결정 그리고 틸팅 대상 선택밸브(300)의 절환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작부(600)는 산업차량(10)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필요에 따라 캐빈(20) 또는 후드(30)의 틸팅 또는 틸팅된 캐빈(20) 또는 후드(30)의 복귀가 필요한 경우 조작될 수 있다.
조작부(600)는 작업자에 의해 조작되고, 작동유 공급부(400)로 전기적 신호 또는 유압을 이용한 파일럿 신호를 보내 작동유 공급부(400)를 동작시켜 현재 작업자의 조작부(600) 조작 선택이 캐빈(20) 또는 후드(30)가 틸팅이 동작이 필요한지 복귀 동작이 필요한지 판단한다.
그리고, 조작부(600)는 틸팅 대상 선택밸브(300)에 전기적 신호 또는 유압을 이용한 파일럿 신호를 보내 현재 작업자가 선택한 작업이 캐빈(20)을 동작시키는 것인 것 후드(30)를 동작시키는 것인지에 따라 틸팅 대상 선택밸브(300)를 절환시킨다.
이에 따라, 조작부(600)에 의해 선택된 대상으로 작동유 공급부(400)가 작동유 공급방향을 결정하여 선택된 대상의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의 틸팅 장치(101)의 작동유 공급부(400)는 모터(410)와 펌프(420) 그리고 유압 공급 선택밸브(430)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410)는 공급된 전력에 의해 회전한다. 구체적으로, 모터(410)는 조작부(600)의 신호로부터 동작될 수 있다.
펌프(420)는 모터(410)에 의해 동작되며, 탱크에 저유된 오일에 압력을 형성하여 압력을 갖는 작동유를 토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펌프(420)의 동작으로 작동유는 일정한 압력 이상을 갖고 펌프(420)로부터 토출되며, 캐빈 틸팅 실린더(100) 또는 후드 틸팅 실린더(200)의 동작을 위해 공급될 수 있다.
유압 공급 선택밸브(430)는 캐빈 틸팅 실린더(100) 또는 후드 틸팅 실린더(200)의 신장 및 수축 방향에 따라 작동유의 공급방향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압 공급 선택밸브(430)는 펌프(420)와 틸팅 대상 선택밸브(300) 사이에 배치되어, 틸팅 대상 선택밸브(300)로 공급되는 작동유의 공급방향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즉, 유압 공급 선택밸브(430)의 절환에 따라 틸팅 대상 선택밸브(300)에 의해 선택된 캐빈 틸팅 실린더(100) 또는 후드 틸팅 실린더(200)의 신장 또는 수축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유압 공급 선택밸브(430)는 조작부(600)의 입력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절환되어 캐빈 틸팅 실린더(100) 또는 후드 틸팅 실린더(200)로 공급되는 작동유의 공급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유압 공급 선택밸브(430)의 절환에 따라 펌프(420)로부터 토출된 작동유는 틸팅 대상 선택밸브(300)에 의해 선택된 캐빈 틸팅 실린더(100) 또는 후드 틸팅 실린더(200)이 신장 또는 수축 되도록 작동유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유압 공급 선택밸브(430)는 틸팅 대상 선택밸브(300)에 의해 선택된 이동 대상(캐빈 또는 후드)의 이동 방향을 캐빈 틸팅 실린더(100) 또는 후드 틸팅 실린더(200)로 공급되는 작동유의 방향을 선택적으로 공급함으로써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팅 대상 선택밸브(300)는 제1 틸팅 영역(310)과 제2 틸팅 영역(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틸팅 영역(310)은 틸팅 대상 선택밸브(300)의 바디 일측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일 수 있다. 제1 틸팅 영역(310)은 작동유 공급부(400)에서 공급된 작동유가 캐빈 틸팅 실린더(100)로 공급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즉, 조작부(600)에 의해 작업자가 틸팅 대상을 캐빈(20)으로 선택한 경우, 틸팅 대상 선택밸브(300)는 제1 틸팅 영역(310)으로 절환되어 작동유 공급부(400)를 통해 공급된 작동유가 캐빈 틸팅 실린더(100)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틸팅 영역(320)은 틸팅 대상 선택밸브(300)의 바디 타측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일 수 있다. 또한, 제2 틸팅 영역(320)은 제1 틸팅 영역(310)과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틸팅 영역(320)은 작동유 공급부(400)에서 공급된 작동유가 후드 틸팅 실린더(200)로 공급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즉, 조작부(600)에 의해 작업자가 틸팅 대상을 후드(30)로 선택한 경우, 틸팅 대상 선택밸브(300)는 제2 틸팅 영역(320)으로 절환되어 작동유 공급부(400)를 통해 공급된 작동유가 후드 틸팅 실린더(200)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작동유 공급부(400)를 통해 공급된 작동유가 제1 틸팅 영역(310)으로 공급되어 캐빈 틸팅 실린더(100)로 안내되는 경우, 제1 틸팅 영역(310)은 캐빈 틸팅 실린더(100)와 연통될 수 있다. 이때, 제2 틸팅 영역(320)은 작동유 공급부(400)와 단락되어, 작동유 공급부(400)를 통해 공급된 작동유는 후드 틸팅 실린더(200)로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작동유 공급부(400)를 통해 공급된 작동유가 제2 틸팅 영역(320)으로 공급되어 후드 틸팅 실린더(200)로 안내되는 경우, 제2 틸팅 영역(320)은 후드 틸팅 실린더(200)와 연통될 수 있다. 이때, 제1 틸팅 영역(310)은 작동유 공급부(400)와 단락되어, 작동유 공급부(400)를 통해 공급된 작동유는 캐빈 틸팅 실린더(100)로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팅 대상 선택밸브(300)는 선택 절환되어 작동유 공급부(400)에서 공급된 작동유를 캐빈 틸팅 실린더(100) 또는 후드 틸팅 실린더(20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의 틸팅 장치(101)는 제1 캐빈 유압라인(510)과 제1 후드 유압라인(530)과 제2 후드 유압라인(540) 그리고 제2 캐빈 유압라인(5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캐빈 유압라인(510)은 틸팅 대상 선택밸브(300)와 캐빈 틸팅 실린더(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캐빈 유압라인(510)은 캐빈 틸팅 실린더(100)가 신장되도록 제1 틸팅 영역(310)을 통과한 작동유의 공급을 안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캐빈 유압라인(510)은 일단부가 틸팅 대상 선택밸브(300)와 연결되고 타단부가 캐빈 틸팅 실린더(100)의 일측과 연결된다. 즉, 제1 틸팅 영역(310)으로 공급된 작동유는 제1 캐빈 유압라인(510)을 통해 캐빈 틸팅 실린더(100)로 공급되어 캐빈 틸팅 실린더(100)가 신장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즉, 제1 캐빈 유압라인(510)은 제1 틸팅 영역(310)으로 틸팅 대상 선택밸브(300)가 절환시, 작동유 공급부(400)로부터 공급된 유압이 캐빈 틸팅 실린더(100)로 연통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제1 후드 유압라인(530)은 틸팅 대상 선택밸브(300)와 후드 틸팅 실린더(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후드 유압라인(530)은 후드 틸팅 실린더(200)가 신장되도록 제2 틸팅 영역(320)을 통과한 작동유의 공급을 안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후드 유압라인(530)은 일단부가 틸팅 대상 선택밸브(300)와 연결되고 타단부가 후드 틸팅 실린더(200)의 일측과 연결된다. 즉, 제2 틸팅 영역(320)으로 공급된 작동유는 제1 후드 유압라인(530)을 통해 후드 틸팅 실린더(200)로 공급되어 후드 틸팅 실린더(200)가 신장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즉, 제1 후드 유압라인(530)은 제2 틸팅 영역(320)으로 틸팅 대상 선택밸브(300)가 절환시, 작동유 공급부(400)로부터 공급된 유압이 후드 틸팅 실린더(200)로 연통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제2 후드 유압라인(540)은 틸팅 대상 선택밸브(300)와 후드 틸팅 실린더(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후드 유압라인(540)은 후드 틸팅 실린더(200)가 수축되도록 작동유 공급부(400)로부터 공급된 작동유를 안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후드 유압라인(540)은 일단부가 후드 틸팅 실린더(200)의 타측과 연결되고 타단부가 작동유 공급부(40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작동유 공급부(400)에서 공급된 작동유가 제2 후드 유압라인(540)을 통해 후드 틸팅 실린더(200)로 공급되면, 후드 틸팅 실린더(200)는 수축되며 후드(30)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틸팅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캐빈 유압라인(520)은 캐빈 틸팅 실린더(100)와 작동유 공급부(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캐빈 유압라인(520)은 캐빈 틸팅 실린더(100)가 수축되도록 작동유 공급부(400)로부터 공급된 작동유를 안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캐빈 유압라인(520)은 일단부가 캐빈 틸팅 실린더(100)의 타측과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2 후드 유압라인(540)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작동유 공급부(400)에서 공급된 작동유가 제2 캐빈 유압라인(520)을 통해 캐빈 틸팅 실린더(100)로 공급되면, 캐빈 틸팅 실린더(100)는 수축되며 캐빈(20)이 원래위치로 복귀하는 방향으로 틸팅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작동유 공급부(400)를 통해 제2 후드 유압라인(540)의 타단부로 유입된 작동유는 틸팅 대상 선택밸브(300)의 절환위치가 제1 틸팅 영역(310)인지 또는 제2 틸팅 영역(320)인지에 따라, 캐빈 틸팅 실린더(100)가 수축되도록 작동유를 전달하기 위해 제2 캐빈 유압라인(520)으로 안내될 수 있다. 또는, 작동유 공급부(400)를 통해 제2 후드 유압라인(540)의 타단부로 유입된 작동유는 후드 틸팅 실린더(200)가 수축되도록 작동유를 전달하기 위해 제2 후드 유압라인(540)의 일단부를 향해 안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의 틸팅 장치(101)는 간략한 유압라인들을 통해 캐빈(20), 후드(30)의 틸팅 또는 틸팅된 상태의 캐빈(20), 후드(3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공급 선택밸브(430)는 신장영역(431)과 수축영역(432)을 포함할 수 있다.
신장영역(431)은 유압 공급 선택밸브(430) 바디 일측에 형성된 공간일 수 있다. 또한, 신장영역(431)은 펌프(420)로부터 토출된 작동유를 틸팅 대상 선택밸브(300)로 공급을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신장영역(431)을 통과한 작동유는 틸팅 대상 선택밸브(300)에 의해 선택된 캐빈 틸팅 실린더(100) 또는 후드 틸팅 실린더(200)가 신장되도록 할 수 있다.
수축영역(432)은 유압 공급 선택밸브(430) 바디 타측에 형성된 공간일 수 있다. 수축영역(432)은 신장영역(431)과 구획된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축영역(432)은 펌프(420)로부터 토출된 작동유를 틸팅 대상 선택밸브(300)로 공급을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수축영역(432)을 통과한 작동유는 틸팅 대상 선택밸브(300)에 의해 선택된 캐빈 틸팅 실린더(100) 또는 후드 틸팅 실린더(200)가 수축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압 공급 선택밸브(430)의 신장영역(431) 또는 수축영역(432)으로의 선택적 절환은 조작부(60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의 틸팅 장치(101)의 유압 공급 선택밸브(430)는 캐빈 틸팅 실린더(100) 또는 후드 틸팅 실린더(200)의 신장 또는 수축에 따라 이들로 공급되는 작동유의 공급방향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의 틸팅 장치(101)의 작동유 공급부(400)는 제1 역류 방지밸브(710)와 제2 역류 방지밸브(720)와 제1 유압라인(910)과 제2 유압라인(810)과 제3 유압라인(840)과 제4 유압라인(820)과 제5 유압라인(830)과 제6 유압라인(930)과 제7 유압라인(920) 그리고 릴리프 밸브(9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역류 방지밸브(710)는 유압 공급 선택밸브(430)와 틸팅 대상 선택밸브(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역류 방지밸브(710)는 유압 공급 선택밸브(430)를 통과하는 작동유의 압력에 의해 개방되어 틸팅 대상 선택밸브(300)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역류 방지밸브(710)를 통과한 작동유는 틸팅 대상 선택밸브(300)의 절환에 따라 제1 틸팅 영역(310) 또는 제2 틸팅 영역(32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즉, 제1 역류 방지밸브(710)는 유압 공급 선택밸브(430)로부터 작동유가 틸팅 대상 선택밸브(300)를 향한 일방향으로 공급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일예로, 제1 역류 방지밸브(710)는 파일럿 조작 체크밸브일 수 있다.
제2 역류 방지밸브(720)는 유압 공급 선택밸브(430)와 후드 틸팅 실린더(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역류 방지밸브(720)는 유압 공급 선택밸브(430)를 통과하는 작동유의 압력에 의해 개방되어 캐빈 틸팅 실린더(100) 또는 후드 틸팅 실린더(200)가 수축되도록 작동유를 공급할 수 있다. 즉, 제2 역류 방지밸브(720)를 통과한 작동유는 제2 후드 유압라인(540)의 타단부와 연결되어 캐빈 틸팅 실린더(100) 또는 후드 틸팅 실린더(200)를 향한 일방향으로 작동유가 공급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일예로, 제2 역류 방지밸브(720)는 파일럿 조작 체크밸브일 수 있다.
제1 유압라인(910)은 펌프(420)와 유압 공급 선택밸브(4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유압라인(910)은 펌프(420)로부터 토출된 압력을 갖는 작동유가 유압 공급 선택밸브(430)로 공급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제2 유압라인(810)은 유압 공급 선택밸브(430)와 제1 역류 방지밸브(7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유압라인(810)은 신장영역(431)을 통과한 작동유가 제1 역류 방지밸브(710)를 통과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제3 유압라인(840)은 유압 공급 선택밸브(430)와 제2 역류 방지밸브(7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유압라인(840)은 수축영역(432)을 통과한 작동유가 제2 역류 방지밸브(720)를 통과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제4 유압라인(820)은 일단부가 제1 역류 방지밸브(710)와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3 유압라인(840)과 연결될 수 있다. 제4 유압라인(820)은 제1 역류 방지밸브(710)에 제3 유압라인(840)의 작동유의 압력을 파일럿 압력으로 작용시키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5 유압라인(830)은 일단부가 제2 유압라인(810)과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2 역류 방지밸브(720)와 연결될 수 있다. 제5 유압라인(830)은 제2 역류 방지밸브(720)에 제2 유압라인(810)의 작동유의 압력을 파일럿 압력으로 작용시키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6 유압라인(930)은 제1 유압라인(910)으로부터 분기되어 작동유가 탱크로 공급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릴리프 밸브(940)는 제6 유압라인(930) 상에 배치되어 일정 압력 이상일 때 제6 유압라인(930)을 개방시켜 펌프(420)에서 생성된 작동유의 일부가 탱크로 배출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릴리프 밸브(940)는 펌프(420)로부터 토출되어 제1 유압라인(910)을 통과하는 작동유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제7 유압라인(920)은 유압 공급 선택밸브(430)와 탱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7 유압라인(920)은 유압 공급 선택밸브(430)를 통과한 작동유가 다시 유압 공급 선택밸브(430)를 통과 후 탱크로 드레인 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의 틸팅 장치(101)의 작동과정에 대해 서술한다.
작업자에 의해 조작된 조작부(600)가 캐빈(20)을 산업차량의 바디부로부터 타단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틸팅 시키기 위해 조작된 경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 공급 선택밸브(430)는 신장영역(431)으로 절환된다. 또한, 틸팅 대상 선택밸브(300)는 제1 틸팅 영역(310)으로 절환된다. 그리고, 모터(410) 및 펌프(420)도 동작된다.
펌프(420)로부터 토출된 작동유는 제1 유압라인(910)을 통해 신장영역(431)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신장영역(431)을 통과한 작동유는 제2 유압라인(810)을 통해 제1 역류 방지밸브(710)로 공급된다.
제1 역류 방지밸브(710)는 제2 유압라인(810)을 통과한 작동유의 압력에 의해 개방된다. 이렇게 작동유 공급부(400)에서 공급된 작동유는 틸팅 대상 선택밸브(300)의 제1 틸팅 영역(310)으로 공급되어, 제1 캐빈 유압라인(510)을 통해 캐빈 틸팅 실린더(100)가 신장되도록 한다.
캐빈 틸팅 실린더(100)의 신장에 따라 일단이 산업차량(10) 하부의 바디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캐빈(20)은 타단이 산업차량(10) 하부의 바디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다.
이때, 제2 유압라인(810)을 통과하는 작동유의 일부는 제5 유압라인(830)으로 공급되어 제2 역류 방지밸브(720)의 파일럿 압력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역류 방지밸브(720)가 개방되어 캐빈 틸팅 실린더(100)의 신장에 따라 제2 캐빈 유압라인(520)을 통해 토출되는 작동유가 제3 유압라인(840)을 통해 제7 유압라인(920)으로 유입되어 탱크로 드레인 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는, 작업자에 의해 조작된 조작부(600)가 후드(30)를 산업차량의 바디부로부터 타단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틸팅 시키기 위해 조작된 경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 공급 선택밸브(430)는 신장영역(431)으로 절환된다. 또한, 틸팅 대상 선택밸브(300)는 제2 틸팅 영역(320)으로 절환된다. 그리고, 모터(410) 및 펌프(420)도 동작된다.
펌프(420)로부터 토출된 작동유는 제1 유압라인(910)을 통해 신장영역(431)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신장영역(431)을 통과한 작동유는 제2 유압라인(810)을 통해 제1 역류 방지밸브(710)로 공급된다.
제1 역류 방지밸브(710)는 제2 유압라인(810)을 통과한 작동유의 압력에 의해 개방된다. 이렇게 작동유 공급부(400)에서 공급된 작동유는 틸팅 대상 선택밸브(300)의 제2 틸팅 영역(320)으로 공급되어, 제1 후드 유압라인(530)을 통해 후드 틸팅 실린더(200)가 신장되도록 한다.
후드 틸팅 실린더(200)의 신장에 따라 일단이 산업차량(10) 하부의 바디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후드(30)는 타단이 산업차량(10) 하부의 바디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다. 이러한 후드(30)는 틸팅 방향이 캐빈(20)과 동일한 방향이 아닐 수 도 있다.
이때, 제2 유압라인(810)을 통과하는 작동유의 일부는 제5 유압라인(830)으로 공급되어 제2 역류 방지밸브(720)의 파일럿 압력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역류 방지밸브(720)가 개방되어 후드 틸팅 실린더(200)의 신장에 따라 제2 후드 유압라인(540)을 통해 토출되는 작동유가 제3 유압라인(840)을 통해 제7 유압라인(920)으로 유입되어 탱크로 드레인 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는, 작업자에 의해 조작된 조작부(600)가 틸팅이 완료된 캐빈(20)을 산업차량의 바디부로부터 타단이 가까워 지는 방향으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기 되도록 조작된 경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 공급 선택밸브(430)는 수축영역(432)으로 절환된다. 또한, 틸팅 대상 선택밸브(300)는 제1 틸팅 영역(310)으로 절환된다.
펌프(420)로부터 토출된 작동유는 제1 유압라인(910)을 통해 수축영역(432)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수축영역(432)을 통과한 작동유는 제3 유압라인(840)을 통해 제2 역류 방지밸브(720)로 공급된다.
제2 역류 방지밸브(720)는 제3 유압라인(840)을 통과한 작동유의 압력에 의해 개방된다. 이렇게 작동유 공급부(400)에서 공급된 작동유는 제2 캐빈 유압라인(520)을 통해 캐빈 틸팅 실린더(100)가 수축되는 방향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제2 캐빈 유압라인(520)을 통해 공급된 작동유는 캐빈 틸팅 실린더(100)를 수축시켜 일단이 산업차량(10) 하부의 바디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캐빈(20)의 타단이 산업차량(10) 하부의 바디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때, 제3 유압라인(840)을 통과하는 작동유의 일부는 제4 유압라인(820)으로 공급되어 제1 역류 방지밸브(710)의 파일럿 압력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역류 방지밸브(710)가 개방되어 캐빈 틸팅 실린더(100)의 수축에 따라 제1 캐빈 유압라인(510)을 통해 토출되는 작동유가 제2 유압라인(810)을 통해 제7 유압라인(920)으로 유입되어 탱크로 드레인 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는, 작업자에 의해 조작된 조작부(600)가 틸팅이 완료된 후드(30)를 산업차량의 바디부로부터 타단이 가까워 지는 방향으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기 되도록 조작된 경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 공급 선택밸브(430)는 수축영역(432)으로 절환된다. 또한, 틸팅 대상 선택밸브(300)는 제2 틸팅 영역(320)으로 절환된다.
펌프(420)로부터 토출된 작동유는 제1 유압라인(910)을 통해 수축영역(432)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수축영역(432)을 통과한 작동유는 제3 유압라인(840)을 통해 제2 역류 방지밸브(720)로 공급된다.
제2 역류 방지밸브(720)는 제3 유압라인(840)을 통과한 작동유의 압력에 의해 개방된다. 이렇게 작동유 공급부(400)에서 공급된 작동유는 제2 후드 유압라인(540)을 통해 후드 틸팅 실린더(200)가 수축되는 방향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제2 후드 유압라인(540)을 통해 공급된 작동유는 후드 틸팅 실린더(200)를 수축시켜 일단이 산업차량(10) 하부의 바디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후드(30)의 타단이 산업차량(10) 하부의 바디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때, 제3 유압라인(840)을 통과하는 작동유의 일부는 제4 유압라인(820)으로 공급되어 제1 역류 방지밸브(710)의 파일럿 압력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역류 방지밸브(710)가 개방되어 후드 틸팅 실린더(200)의 수축에 따라 제1 후드 유압라인(530)을 통해 토출되는 작동유가 제2 유압라인(810)을 통해 제7 유압라인(920)으로 유입되어 탱크로 드레인 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의 틸팅 장치(101)는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캐빈(20) 또는 후드(30)를 틸팅 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산업차량 20: 캐빈
30: 후드 101: 산업차량의 틸팅 장치
100: 캐빈 틸팅 실린더 200: 후드 틸팅 실린더
300: 틸팅 대상 선택밸브 310: 제1 틸팅 영역
320: 제2 틸팅 영역 400: 작동유 공급부
410: 모터 420: 펌프
430: 유압 공급 선택밸브 431: 신장영역
432: 수축영역 510: 제1 캐빈 유압라인
520: 제2 캐빈 유압라인 530: 제1 후드 유압라인
540: 제2 후드 유압라인 600: 조작부

Claims (5)

  1. 산업차량의 운전자가 탑승하는 캐빈 또는 구동장비가 설치되는 기계실을 커버하는 후드를 선택적으로 틸팅 가능한 산업차량의 틸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캐빈을 틸팅 가능한 캐빈 틸팅 실린더;
    상기 후드를 틸팅 가능한 후드 틸팅 실린더;
    운전자에 조작에 따라 상기 캐빈 틸팅 실린더 또는 상기 후드 틸팅 실린더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틸팅 대상 선택밸브; 및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압력을 갖는 작동유를 토출하는 펌프와, 상기 캐빈 틸팅 실린더 또는 상기 후드 틸팅 실린더가 신장되도록 상기 틸팅 대상 선택밸브로 상기 펌프로부터 작동유를 공급하는 신장영역 및 상기 신장영역과 구획되며 상기 캐빈 틸팅 실린더 또는 상기 후드 틸팅 실린더가 수축되도록 상기 틸팅 대상 선택밸브로 상기 펌프로부터 작동유를 공급하는 수축영역을 포함하는 유압 공급 선택밸브와, 상기 유압 공급 선택밸브와 상기 틸팅 대상 선택밸브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압 공급 선택밸브로부터 작동유가 상기 틸팅 대상 선택밸브를 향한 일방향으로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제1 역류 방지밸브와, 상기 유압 공급 선택밸브와 상기 후드 틸팅 실린더 사이에 배치되어 작동유가 상기 캐빈 틸팅 실린더 또는 상기 후드 틸팅 실린더가 수축되도록 일방향으로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제2 역류 방지밸브와, 상기 제2 역류 방지밸브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공급되는 작동유의 일부를 분기시켜 상기 제1 역류 방지밸브의 파일럿 압력으로 활용하여 상기 캐빈 틸팅 실린더의 수축 또는 상기 후드 틸팅 실린더의 수축시 상기 캐빈 틸팅 실린더 또는 상기 후드 틸팅 실린더로부터 토출된 작동유가 탱크로 드레인 되도록 하는 제4 유압라인, 그리고 상기 제1 역류 방지밸브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공급되는 작동유의 일부를 분기시켜 상기 제2 역류 방지밸브의 파일럿 압력으로 활용하여 상기 캐빈 틸팅 실린더의 신장 또는 상기 후드 틸팅 실린더의 신장시 상기 캐빈 틸팅 실린더 또는 상기 후드 틸팅 실린더로부터 토출된 작동유가 탱크로 드레인 되도록 하는 제5 유압라인을 포함하는 작동유 공급부
    를 포함하는 산업차량의 틸팅 장치.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틸팅 대상 선택밸브는,
    상기 작동유 공급부에서 공급된 작동유를 상기 캐빈 틸팅 실린더로 공급하는 제1 틸팅 영역; 및
    상기 제1 틸팅 영역과 구획되어 상기 작동유 공급부에서 공급된 작동유를 상기 후드 틸팅 실린더로 공급하는 제2 틸팅 영역
    을 포함하는 산업차량의 틸팅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틸팅 대상 선택밸브와 상기 캐빈 틸팅 실린더의 일측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캐빈 틸팅 실린더가 신장되도록 상기 제1 틸팅 영역을 통과한 작동유의 공급을 안내하는 제1 캐빈 유압라인;
    상기 틸팅 대상 선택밸브와 상기 후드 틸팅 실린더의 일측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후드 틸팅 실린더가 신장되도록 상기 제2 틸팅 영역을 통과한 작동유의 공급을 안내하는 제1 후드 유압라인;
    상기 작동유 공급부와 상기 후드 틸팅 실린더의 타측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후드 틸팅 실린더가 수축되도록 작동유의 공급을 안내하는 제2 후드 유압라인; 및
    일단부가 상기 캐빈 틸팅 실린더의 타측과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후드 유압라인에 연결되어, 상기 캐빈 틸팅 실린더가 수축되도록 상기 작동유 공급부에 공급된 작동유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 캐빈 유압라인
    을 더 포함하는 산업차량의 틸팅 장치.
  5. 삭제
KR1020180044773A 2018-04-18 2018-04-18 산업차량의 틸팅 장치 KR102518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773A KR102518918B1 (ko) 2018-04-18 2018-04-18 산업차량의 틸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773A KR102518918B1 (ko) 2018-04-18 2018-04-18 산업차량의 틸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454A KR20190121454A (ko) 2019-10-28
KR102518918B1 true KR102518918B1 (ko) 2023-04-06

Family

ID=68422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773A KR102518918B1 (ko) 2018-04-18 2018-04-18 산업차량의 틸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8918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1494A (ja) * 1997-12-11 1999-06-29 Toyota Autom Loom Works Ltd 産業車両のシリンダ制御装置
JP2004352466A (ja) * 2003-05-30 2004-12-16 Mitsubishi Heavy Ind Ltd 自走式産業機械の機械制御装置、及び、それの機械制御方法
KR101098685B1 (ko) * 2004-11-12 2011-12-23 두산산업차량 주식회사 지게차의 유압 실린더 작동 제한 장치
KR102359489B1 (ko) * 2015-12-23 2022-02-07 두산산업차량 주식회사 지게차의 캐빈 및 후드 틸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454A (ko) 2019-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83428A (en) Fluid control system for power shovel
US9309648B2 (en) Steering device for wheel loader
CN107683359B (zh) 工程机械的液压系统
CN106837902B (zh) 液压驱动装置
WO2021039284A1 (ja) 建設機械の油圧システム
US9657461B2 (en) Hydraulic circuit for construction machine and control device for same
JP2017115992A (ja) 作業機の油圧システム
WO2021039282A1 (ja) 建設機械の油圧システム
JP6163138B2 (ja) 建設機械の油圧駆動装置
WO2021039285A1 (ja) 建設機械の油圧システム
JP6840756B2 (ja) ショベル、ショベル用コントロールバルブ
KR102518918B1 (ko) 산업차량의 틸팅 장치
KR20060061373A (ko) 유압 제어 및 체적 균등화를 갖는 조정 시스템
US11078645B2 (en) Slewing-type working machine
JP6856065B2 (ja) 油圧システム
KR20080060512A (ko) 지게차의 유압시스템
KR102074092B1 (ko) 펌프 장치
JP4271105B2 (ja) 産業機械用制御回路
KR101412103B1 (ko) 클램쉘 버켓
WO2021066029A1 (ja) 建設機械
EP3683452A1 (en) Fluid pressure control device
US11440583B2 (en) Hydraulic drive device for industrial vehicle
JPS58193906A (ja) 作業機械の油圧回路
WO2020100236A1 (ja) 流体制御装置
CN108779786B (zh) 作业车辆以及液压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