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8863B1 - Monitoring system recommending viewer mode - Google Patents

Monitoring system recommending viewer mo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8863B1
KR102518863B1 KR1020160096556A KR20160096556A KR102518863B1 KR 102518863 B1 KR102518863 B1 KR 102518863B1 KR 1020160096556 A KR1020160096556 A KR 1020160096556A KR 20160096556 A KR20160096556 A KR 20160096556A KR 102518863 B1 KR102518863 B1 KR 102518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view mode
original image
user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65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13196A (en
Inventor
정경전
Original Assignee
한화비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비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비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6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8863B1/en
Publication of KR20180013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31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8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88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의 자세에 따라 적합한 뷰 모드를 추천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카메라가 획득한 원본 영상 및 상기 카메라에 포함된 자이로 센서가 생성한 센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센서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자세를 구하고, 상기 카메라의 자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뷰 모드를 추천하는 뷰 모드 추천부; 상기 추천된 적어도 하나의 뷰 모드를 포함하는 목록을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상기 목록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뷰 모드를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수신된 뷰 모드에 따라 상기 원본 영상을 드워프하는 드워프부; 및 상기 드워프된 원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부를 포함함으로써 카메라가 설치된 자세에 대응되는 최적화된 뷰 모드가 제공되어 사용자가 시행착오 없이 관심 영역의 드워핑된 보정 영상을 관찰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nitoring system for recommending an appropriate view mode according to a posture of a camera, comprising: a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an original image acquired by a camera and a sensor signal generated by a gyro sensor included in the camera; a view mode recommendation unit for obtaining a posture of the camera according to the received sensor signal and recommending at least one view mode corresponding to the posture of the camera; a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a list including the at least one recommended view mode to a user and receiving a view mode selected by the user from the list; a dwarf unit that dwarfs the original image according to the received view mode; and a screen unit for displaying the dwarfed original image, so that an optimized view mode corresponding to the posture in which the camera is installed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observe the dwarfed corrected image of the region of interest without trial and error.

Description

뷰 모드를 추천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Monitoring system recommending viewer mode}Monitoring system recommending viewer mode

본 발명은 어안 렌즈를 사용해 촬영한 이미지를 보정하여 뷰 모드를 제시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가 설치된 위치에 따라서 최적의 뷰 모드를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어안 렌즈를 사용해 촬영한 이미지를 보정하여 출력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nitoring system for presenting a view mode by correcting an image captured using a fisheye lens, and more particularly, presenting an optimal view mode to a user according to a location where a camera is installed, and presenting a view mode captured using a fisheye lens. It relates to a monitoring system that corrects and outputs an image.

일반적으로 은행, 백화점, 일반 주택가를 비롯한 다양한 장소에서 감시 시스템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감시 시스템은 범죄 예방, 보안을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최근에는 실내의 애완동물 또는 어린 아이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기 위해서 사용되기도 한다. 그리고 이러한 감시 시스템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시스템은, 감시를 원하는 영역을 촬영할 수 있도록 적절한 위치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사용자는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모니터링 함으로써 감시할 수 있는 폐쇄회로 텔레비전(Closed Circuit Television: CCTV) 시스템이다.In general, surveillance systems are widely used in various places including banks, department stores, and general residential areas. Such a monitoring system may be used for crime prevention and security purposes, but recently it is also used to monitor indoor pets or children in real time. And, in the system most commonly used as such a surveillance system, a camera is installed at an appropriate location so that the area to be monitored can be filmed, and the user can monitor the video captured by the camera. Closed 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

그러나 일반적인 전방 카메라의 경우에는 화각의 범위가 제한되어 있어, 감시를 하려는 대상이 이동을 하여 화각을 벗어나면 감시 대상을 놓치기 쉽다. 카메라가 팬, 틸트, 줌(Pan, Tilt, Zoom: PTZ) 기능을 제공하더라도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명령을 내려야 하거나, 카메라가 자동으로 팬, 틸트, 줌 기능을 수행하더라도 감시 대상이 빠르게 이동한다면 카메라가 이를 놓칠 가능성이 매우 높다.However, in the case of a general front camera, the range of the angle of view is limited, so it is easy to miss the object to be monitored if the object to be monitored moves out of the angle of view. Even if the camera provides the Pan, Tilt, Zoom (PTZ) function, the user must manually issue a command, or the camera automatically performs the pan, tilt, and zoom function, but if the monitoring target moves quickly, the camera is very likely to miss it.

따라서 최근에는 어안 카메라를 이용하여 감시를 할 수 있는 감시 시스템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어안 카메라는 180° 정도의 넓은 화각을 가지는 어안 렌즈를 장착한 카메라이며, 심지어 180° 보다 훨씬 넓은 화각을 가지는 어안 렌즈도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이러한 어안 렌즈 두 개를 대향하도록 장착하여 카메라가 패닝 또는 틸팅할 필요 없이 전방위가 모두 촬영이 가능한 360°카메라도 소개되었다. 어안 렌즈를 이용하면, 카메라의 사각 지대를 감소시키고 감시 대상도 놓치지 않을 수 있어 감시 시스템에 매우 효과적이다.Therefore, recently, the use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monitoring using a fisheye camera is rapidly increasing. A fisheye camera is a camera equipped with a fisheye lens having a wide angle of view of about 180°, and there is even a fisheye lens having a much wider angle of view than 180°. And recently, a 360° camera has been introduced that can take pictures in all directions without the need for panning or tilting the camera by mounting these two fisheye lenses facing each other. Using a fisheye lens is very effective for a surveillance system as it reduces the blind spot of the camera and does not miss the subject to be monitored.

어안 렌즈와 관련된 기술이 발전됨에 따라, 어안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대하여도 사람들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어안 카메라로 촬영하여 획득한 어안 이미지의 원본 영상은, 넓은 화각을 가진다는 장점이 있지만, 사람의 시각 시스템에 최적화되지 않아 사용자가 모니터링하는 것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원본 영상을 사람의 시각 시스템에 최적화하기 위해 드워프(Dewarp)를 수행하여 보정 영상을 생성하는 것이 필요하다.As technology related to the fisheye lens develops, people's interest in a method of monitoring an image captured by a fisheye camera is also increasing. However, the original video of the fisheye image obtained by shooting with a fisheye camera has the advantage of having a wide angle of view, but has the disadvantage of being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monitor because it is not optimized for the human visual system.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generate a corrected image by performing dewarp to optimize the original image for the human visual system.

보정 영상은 특정 영역을 자세히 나타내므로,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를 상세히 관찰하는 데에 용이하다. 그리고 원본 영상은 넓은 화각을 가지므로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면 발생 위치를 파악하는 데에 용이하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원본 영상과 보정 영상을 함께 디스플레이 하는 경우가 많다.Since the corrected image shows a specific area in detail, it is easy to observe the event in detail when it occurs. In addition, since the original video has a wide angle of view, it is easy to determine the occurrence location when the event occurs. Therefore, in general, the original image and the corrected image are displayed together in many cases.

한편, 어안 카메라가 바라보고 있는 각도에 따라 사용자가 원본 영상으로부터 관심을 두는 영역의 위치는 달라지게 된다. 기존 모니터링 시스템에서는 상황에 알맞은 관심 영역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다양한 뷰 모드를 제공한다. 다만 사용자가 직접 카메라의 설치 방향에 대해 파악하고, 수많은 뷰 모드 중 원하는 뷰 모드를 직접 선택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Meanwhile, the position of the region that the user is interested in from the original image changes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of the fisheye camera. Existing monitoring systems provide various view modes to easily observe a region of interest suitable for a situation. However, it was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directly identify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camera and directly select the desired view mode among numerous view modes.

또한,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시하는 뷰 모드는 일반적으로 카메라가 천장에서 지면을 향해 설치된 경우, 벽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경우, 바닥에서 연직 상방을 향해 설치된 경우에 제한되었다. 따라서 임의의 각도로 설치된 카메라에 대해서는 적합한 뷰 모드를 제시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the view mode presented by the monitoring system is generally limited when the camera is installed from the ceiling toward the ground, when the camera is instal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a wall, and when the camera is installed toward a vertical upward direction from the floor.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suitable view mode cannot be presented for a camera installed at an arbitrary angle.

일본공개공보 제1997-202180호Japanese Unexamined Publication No. 1997-202180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카메라가 설치된 위치에 따라 사용자에게 최적의 뷰 모드와 보정된 영상을 추천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nitoring system that recommends an optimal view mode and a corrected image to a user according to a location where a camera is installed.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은, 카메라가 획득한 원본 영상 및 상기 카메라에 포함된 자이로 센서가 생성한 센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센서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자세를 구하고, 상기 카메라의 자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뷰 모드를 추천하는 뷰 모드 추천부; 상기 추천된 적어도 하나의 뷰 모드를 포함하는 목록을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상기 목록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뷰 모드를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수신된 뷰 모드에 따라 상기 원본 영상을 드워프하는 드워프부; 및 상기 드워프된 원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A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a receiver for receiving an original image obtained by a camera and a sensor signal generated by a gyro sensor included in the camera; a view mode recommendation unit for obtaining a posture of the camera according to the received sensor signal and recommending at least one view mode corresponding to the posture of the camera; a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a list including the at least one recommended view mode to a user and receiving a view mode selected by the user from the list; a dwarf unit that dwarfs the original image according to the received view mode; and a screen unit displaying the dwarfed original image.

상기 카메라는 어안 렌즈를 장착한 어안 카메라일 수 있다.The camera may be a fisheye camera equipped with a fisheye lens.

상기 화면부는, 상기 원본 영상을 더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원본 영상 위에 마우스 오버가 될 때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뷰 모드에 대응되는 폴리곤을 상기 원본 영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e screen unit may further display the original image, and display a polygon corresponding to a view mode selected by the user on the original image when a mouse is over the original image.

상기 화면부는 상기 폴리곤에 상기 원본 영상을 드워프한 방향으로 화살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e screen unit may display an arrow in a direction in which the original image is dwarfed on the polygon.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전체 뷰 모드 중 상기 추천된 적어도 하나의 뷰 모드를 제외한 뷰 모드의 목록을 비활성화된 상태로 더 표시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may further display a list of view modes other than the recommended at least one view mode among all view modes in a deactivated state.

상기 화면부는 상기 센서 신호에 대응되는 기울기를 더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보정 각도를 입력받아 상기 센서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뷰 모드 추천부로 전달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creen unit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unit for further displaying a slope corresponding to the sensor signal, receiving a correction angle from the user, converting the sensor signal into the sensor signal, and transmitting the converted angle to the view mode recommendation unit.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the following effects are provided.

카메라가 설치된 자세에 대응되는 최적화된 뷰 모드가 제공됨으로써 사용자가 시행착오 없이 관심 영역의 드워핑된 보정 영상을 관찰할 수 있다.By providing an optimized view mode corresponding to the posture in which the camera is installed, the user can observe the dewarped corrected image of the region of interest without trial and error.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본 영상을 촬영하는 어안 카메라에 사용되는 어안 렌즈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와 연결된 감시 카메라가 공간 내에서 천장에 설치된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와 연결된, 천장에 설치된 감시 카메라가 획득하여 모니터링 장치로 전달한 원본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의 화면부를 통해 도 3과 같이 설치된 카메라가 촬영한 원본 영상과 보정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원본 영상에 마우스 오버가 될 때 폴리곤과 드워핑 화살표가 더 표시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의 또 다른 뷰 모드를 선택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와 연결된 감시 카메라가 벽에 설치된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와 연결된, 벽에 설치된 감시 카메라가 획득하여 모니터링 장치로 전달한 원본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의 화면부를 통해 도 8과 같이 설치된 카메라가 촬영한 원본 영상과 보정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와 연결된 감시 카메라가 공간 내에서 임의의 각도로 설치된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와 연결된, 임의의 각도로 설치된 감시 카메라가 획득하여 모니터링 장치로 전달한 원본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의 화면부를 통해 도 10과 같이 설치된 카메라가 촬영한 원본 영상과 보정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뷰 모드 추천부에 의해 추천되지 않은 뷰 모드가 비활성화된 상태로 표시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입력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fisheye lens used in a fisheye camera that captures an original imag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 surveillance camera connected to a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ceiling in a space.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riginal image acquired by a monitoring camera installed on the ceiling connected to the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ransferred to the monitoring device.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original image captured by a camera installed as shown in FIG. 3 and a corrected image are displayed, and a user interface is displayed through the screen of th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polygons and dwarfing arrows being further displayed when the mouse is over the original image of FIG. 5 .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nother view mode of th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lected.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 surveillance camera connected to a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wall.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riginal image acquired by a wall-mounted monitoring camera connected to the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ransmitted to the monitoring device.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original image captured by a camera installed as shown in FIG. 8 and a corrected image are displayed and a user interface is displayed through the screen of th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 surveillance camera connected to a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an arbitrary angle in a space.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riginal image acquired by a surveillance camera installed at an arbitrary angle connected to the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ransferred to the monitoring device.
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original image captured by a camera installed as shown in FIG. 10 and a corrected image are displayed, and a user interface is displayed through the screen of th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view mode not recommended by a view mode recommendation unit is displayed in a deactivated state on the user interface of th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put unit included in the user interface of th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person who has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in a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other than the recited elements.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views and/or schematic views, which are ideal exemplary view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hape of the illustrative drawings may be modified due to manufacturing techniques and/or tolerances. In addition, in each drawing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may be shown somewhat enlarged or reduced in consideration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cited items.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as including different orientations of elements in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orientations shown in the drawings. Elements may also be oriented in other orientations, and thus spatially relative terms may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은, 특정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2), 카메라(2)가 획득한 영상을 수신해서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링 장치(1)를 포함한다. 카메라(2)와 모니터링 시스템은 서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카메라(2)가 영상 데이터 또는 신호를 발신하면 모니터링 장치(1)가 발신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A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mera 2 that acquires an image by photographing a specific area, and a monitoring device 1 that receives and displays the image obtained by the camera 2. The camera 2 and the monitoring system are wired or wirelessly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when the camera 2 transmits image data or a signal, the monitoring device 1 can receive the transmitted signal.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2)는 바람직하게는 어안 렌즈가 장착된 어안 카메라이며, 카메라(2)가 획득한 영상은 원본 영상(111a, 111b, 111c)이다. 여기서 원본 영상(111a, 111b, 111c)이란, 어안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어안 이미지의 영상을 말한다. 원본 영상(111a, 111b, 111c)은 모니터링 시스템(1)에서 디스플레이 되기 위해 인코딩, 디코딩 및 렌더링 등의 영상 처리는 수행될 수 있으나, 왜곡을 보정하는 드워프 작업은 수행되지 않는다.The camera 2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 fisheye camera equipped with a fisheye lens, and images acquired by the camera 2 are original images 111a, 111b, and 111c. Here, the original images 111a, 111b, and 111c refer to images of fisheye images photographed through a fisheye camera. The original images 111a, 111b, and 111c may be subjected to image processing such as encoding, decoding, and rendering in order to be displayed in the monitoring system 1, but a dwarf operation for correcting distortion is not performed.

카메라(2)는 센서(22)를 포함하고, 센서(22)로는 감시 카메라(2)의 자세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22)인 자이로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The camera 2 includes a sensor 22, and as the sensor 22, a gyro sensor or an acceleration sensor that is a sensor 22 capable of measuring the posture of the monitoring camera 2 may be used.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의 카메라(2)는 자이로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란, 회전 운동을 하는 물체의 방위 변화를 측정하는 센서(22)이다. 자이로 센서는 물체가 회전하면 발생하는 자이로 효과(Gyro Effect)를 사용하여 원점의 위치를 역으로 추정함으로써, 물체의 회전량을 구할 수 있다. 3축으로 직접 회전하는 기계식, 코리올리의 힘을 이용한 튜닝포크 방식의 MEMS식, 레이저의 도달 시간의 차이를 이용하는 광학식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소형 기기에는 크기가 가장 작은 MEMS식 자이로 센서가 장착된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자이로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The camera 2 of th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gyro sensor. The gyro sensor is a sensor 22 that measures a change in direction of an object performing a rotational motion. The gyro sensor can calculate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object by inversely estimating the position of the origin using a gyro effect that occurs when the object rotates. There are various types such as a mechanical type that directly rotates in 3 axes, a MEMS type using a tuning fork method using Coriolis force, and an optical type using the difference in arrival time of laser. In general, a small device that can be carried by a user is equipped with a MEMS type gyro sensor having the smallest size.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types of gyro sensors may be used.

또한 카메라(2)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는데, 가속도 센서는 다양한 축방향으로의 가속도를 출력할 수 있는 센서(22)로서, 상기 출력된 가속도를 2중 적분하면 직선 변위를 연산할 수 있다. 이러한 직선 변위는 알려진 회전축과 회전 반경으로부터 마찬가지로 회전각으로 변환될 수 있다. 또는, 3축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면 지구 중력 방향을 알 수 있고, 이로부터 현재 감시 카메라(2)가 향하는 방향을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mera 2 may include an acceleration sensor, which is a sensor 22 capable of outputting acceleration in various axial directions, and linear displacement can be calculated by doubly integrating the outputted acceleration. . This linear displacement can likewise be converted into a rotation angle from a known rotation axis and rotation radius. Alternatively, if the 3-axis acceleration sensor is used, the direction of the earth's gravity can be known, and from this, the current direction of the monitoring camera 2 can be identified.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1)는 카메라(2)가 획득한 영상을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원본(Original) 영상과 이를 드워프(Dewarp)한 보정 영상(115a, 115b, 115c, 117a, 117b, 117c), 사용자 인터페이스(12)를 함께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러한 모니터링 장치(1)는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C), 랩탑(Laptop) 등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한 장치일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데스크탑(Desktop), 비디오 월(Video Wall) 등 이동이 용이하지 않은 장치일 수도 있다.The monitor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nd displays an image acquired by the camera 2 . The monito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isplay original images, dewarped corrected images 115a, 115b, 115c, 117a, 117b, 117c, and the user interface 12 to the user. The monitoring device 1 may be a device that is easy to carry and move, such as a smartphone, tablet PC, or laptop, but is not limited thereto, such as a desktop, video wall, or the like. ) may be a device that is not easy to move.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1)는 카메라(2)로부터 영상과 센서(22)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3), 수신한 센서(22) 신호에 대응되는 뷰 모드를 추천하는 뷰 모드 추천부(14), 추천된 뷰 모드의 목록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2), 사용자가 선택한 뷰 모드에 따라 수신한 원본 영상(111a, 111b, 111c)을 드워프하는 드워프부(15), 수신한 원본 영상(111a, 111b, 111c)과 드워프부(15)에서 드워프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부(11)를 포함한다.As can be seen in FIG. 1, the monitor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iver 13 for receiving an image and a sensor 22 signal from a camera 2, and a sensor 22 signal received. A view mode recommendation unit 14 that recommends a corresponding view mode, a user interface 12 that displays a list of recommended view modes and receives a user's selection, and an original image 111a received according to the view mode selected by the user; It includes a dwarf unit 15 for dwarfing 111b and 111c, and a screen unit 11 for displaying the received original images 111a, 111b and 111c and the dwarfed images in the dwarf unit 15.

모니터링 시스템은 터치 기능을 제공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입력 수단이 별도로 마련된다.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입력 수단으로는 마우스, 키보드, 조이스틱, 리모콘 등이 있다. 만약 터치 기능을 제공한다면 화면부(11)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2)는 터치 센서(22)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22)는 화면부(11)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2)와 함께 일체로 장착되며, 화면부(11)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2)에서 발생되는 터치를 감지하여 터치가 발생된 영역의 좌표, 터치의 횟수 및 세기 등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결과를 드워프부(15)에 전달한다. 모니터링 시스템이 터치 기능을 제공하더라도, 화면부(11)가 터치 센서(22)를 포함하지 않는다면 별도의 터치 패드가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터치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미세 전류가 흐를 수 있는 팁이 장착된 스타일러스 펜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The monitoring system may not provide a touch function, and in this case, an input means is provided separately. In general, the most commonly used input means include a mouse, keyboard, joystick, remote control, and the like. If a touch function is provided, the screen unit 11 or the user interface 12 may include a touch sensor 22 . The touch sensor 22 is integrally mounted with the screen unit 11 or the user interface 12, detects a touch generated on the screen unit 11 or the user interface 12, and determines the coordinates of the area where the touch occurs, The number and intensity of touches are detected, and the detected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dwarf unit 15 . Even if the monitoring system provides a touch function, if the screen unit 11 does not include the touch sensor 22, a separate touch pad may be provided. Further, the touch may be performed using a fing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erformed using a stylus pen equipped with a tip through which a microcurrent may flow.

수신부(13)는 카메라(2)로부터 유무선으로 신호 및 데이터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수신부(13)는 카메라(2)로부터 수신되는 센서(22) 신호 및 데이터를 주파수 다운컨버팅 및 복조하여 뷰 모드 추천부(14)로 제공한다. 이러한 과정으로, 수신부(13)는 카메라(2)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센서(22)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receiving unit 13 receives signals and data from the camera 2 wired or wirelessly. For example, the receiving unit 13 frequency downconverts and demodulates the sensor 22 signal and data received from the camera 2 and provides the same to the view mode recommendation unit 14 . Through this process, the receiving unit 13 may receive image data from the camera 2 or receive a signal from the sensor 22 .

뷰 모드 추천부(14)는 수신부(13)로부터 센서(22) 신호를 입력받아 수신한 센서(22) 신호에 대응되는 뷰 모드를 추천한다. 본 발명에서 뷰 모드(viewer mode)란, 화면부(11)에 영상을 어떤 방식으로 배치하여 디스플레이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방식을 일컫는 말이다. 뷰 모드에 배치되는 영상은 원본 영상(111a, 111b, 111c)일 수도 있고, 원본 영상(111a, 111b, 111c)의 왜곡을 보정한 영상일 수도 있고, 원본 영상(111a, 111b, 111c)의 일부분을 잘라 왜곡을 보정한 영상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원본 영상(111a, 111b, 111c)의 하단에 원본 영상(111a)의 왜곡을 보정한 파노라마 영상을 가로로 길게 배치하는 뷰 모드를 가질 수 있고, 이는 도 5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한다. 원본 영상(111a, 111b, 111c)을 배치하고 동일한 영상에 대해서도 사용자가 관심을 두는 영역은 다를 수 있으므로 동일한 카메라(2) 설치 방향에 대해서도 복수의 뷰 모드를 구성할 수 있다.The view mode recommendation unit 14 receives the sensor 22 signal from the receiver 13 and recommends a view mod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ensor 22 signal. In the present invention, a viewer mode refers to a method of determining how to arrange and display images on the screen unit 11 . The images placed in the view mode may be the original images 111a, 111b, and 111c, may be distortion-corrected images of the original images 111a, 111b, and 111c, or a portion of the original images 111a, 111b, and 111c. It may be an image that has been cropped and corrected for distortion. For example,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view mode in which a distortion-corrected panoramic image of the original image 111a is horizontally arranged at the bottom of the original images 111a, 111b, and 111c, which is It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description of FIG. 5 . Since the original images 111a, 111b, and 111c are arranged and the user's interest in the same image may be different, a plurality of view modes may be configured for the sam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camera 2.

뷰 모드 추천부(14)가 추천하는 뷰 모드는 카메라(2)가 설치되어있는 자세에 따라서 달라진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은, 카메라(2)의 자세를 측정하는 센서(22)를 카메라(2)에 내장하고, 상기 센서(22)의 신호를 모니터링 장치(1)가 수신부(13)를 통해 수신함으로써 현재 카메라(2)의 자세에 적합한 뷰 모드를 추천할 수 있다. The view mode recommended by the view mode recommendation unit 14 varies depending on the posture in which the camera 2 is installed. In th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nsor 22 for measuring the posture of the camera 2 is built into the camera 2, and the monitoring device 1 receives a signal from the sensor 22 as a receiver. By receiving through (13), a view mode suitable for the current posture of the camera 2 can be recommended.

예를 들어, 카메라(2)가 천장에서 지면을 향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주변부 모두를 파노라마로 관찰하고자 함과 동시에 원본 영상(111a, 111b, 111c)이 어떻게 생겼는지도 모두 관심을 둘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관심을 만족시키기 위해 원본 영상(111a, 111b, 111c)과 드워프된 파노라마 영상을 모두 표시하는 뷰 모드를 추천할 수 있다. 또한, 긴 복도의 벽면에서 수평방향을 향해 광축을 형성하도록 카메라(2)가 설치된 경우, 복도가 관심 영역이 되므로 원본 영상(111a, 111b, 111c)의 수평선 영역을 드워프한 가로로 긴 영상과, 관심 영역 두 군데를 확대해 드워프한 정사각형 모양의 영상을 나란히 배치하는 뷰 모드가 있을 수 있다. 다만 본 예시는 본 발명의 뷰 모드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설명이며, 그밖에도 모니터링에 적합한 뷰 모드가 다수 존재할 수 있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when the camera 2 is installed from the ceiling to the ground, it is possible to observe the entire surrounding area as a panorama and at the same time pay attention to what the original images 111a, 111b, and 111c look like. To satisfy the user's interest, a view mode displaying both the original images 111a, 111b, and 111c and the dwarfed panoramic image may be recommended. In addition, when the camera 2 is installed so as to form an optical axis toward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wall of a long corridor, since the corridor becomes a region of interest, horizontally long images obtained by dwarfing the horizontal regions of the original images 111a, 111b, and 111c, There may be a view mode in which two areas of interest are enlarged and dwarfed square-shaped images are placed side by side. However, this example is for helping understanding of the view mod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 may be many other view modes suitable for monitoring. This is on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뷰 모드 추천부(14)가 뷰 모드를 추천하는 방식으로, 일정 각도 구간에 대해 제작사가 경험적으로 적합하다고 판단한 뷰 모드를 대응시켜 놓은 매핑 테이블을 사용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천장 및 벽에 카메라(2)가 설치된 경우 일반적으로 추천되는 뷰 모드의 목록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센서(22)가 천장 및 벽에 카메라(2)가 설치된 경우를 감지하면 상기 널리 알려진 뷰 모드의 목록을 추천하도록 매핑 테이블을 구성한다. 그리고 천장에서 지면을 향해 카메라(2)가 설치된 경우를 0°라고 가정했을 때, ±10°의 각도 구간에서는 천장에 카메라(2)가 설치된 경우의 뷰 모드와 유사한 뷰 모드를 추천하도록 매핑 테이블을 구성하는 것이다. 다만 본 예시는 본 발명의 뷰 모드 추천 방식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설명이며, 그밖에도 해석적인 방식으로 수신한 센서(22) 신호를 분석해 뷰 모드를 추천하는 등 뷰 모드를 추천하는 방식이 다수 존재할 수 있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As a method for the view mode recommendation unit 14 to recommend a view mode, a method of using a mapping table in which view modes determined empirically appropriate by the manufacturer for a certain angular section are mapped to each other. For example, when the camera 2 is installed on the ceiling or wall, since a list of generally recommended view modes is already well known, when the sensor 22 detects the camera 2 installed on the ceiling or wall, Construct a mapping table to recommend a list of known view modes. And assuming that the case where the camera 2 is installed from the ceiling to the ground is 0 °, in the angle range of ± 10 °, a mapping table is recommended to recommend a view mode similar to the view mode when the camera 2 is installed on the ceiling is to construct However, this example is for understanding the view mode recommend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 are many other methods for recommending a view mode, such as recommending a view mode by analyzing the signal of the sensor 22 received in an analytical manner. can This is on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천장에서 지면을 향해 카메라(2)가 설치된 경우를 0°라고 가정했을 때, ±45°로 카메라(2)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일반적인 천장이나 벽에 카메라(2)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의 중간지점에 해당한다. 따라서 어떠한 뷰 모드도 적합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천장 및 벽에 카메라(2)가 설치된 경우의 뷰 모드 중 택일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Assuming that the camera (2) is installed from the ceiling to the ground at 0°, when the camera (2) is installed at ±45°, the middle point when the camera (2) is installed on a normal ceiling or wall corresponds to Therefore, since any view mode may not be suitable, it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a warning message or select one of view modes when the camera 2 is installed on the ceiling or wall.

사용자 인터페이스(12)는 뷰 모드 추천부(14)가 추천한 적어도 하나의 뷰 모드의 목록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나열된 뷰 모드 중 원하는 뷰 모드를 선택 가능하도록 한다.The user interface 12 displays a list of at least one view mode recommended by the view mode recommendation unit 14 and allows the user to select a desired view mode from among the listed view modes.

사용자 인터페이스(12)는 추천된 뷰 모드의 목록을 각각의 명칭을 기입한 버튼으로 구성해서 표시할 수도 있고, 각 뷰 모드에 해당하는 아이콘으로 버튼을 구성해서 표시할 수도 있다. The user interface 12 may configure and display a list of recommended view modes with buttons having their respective names written therein, or may configure and display buttons with icons corresponding to each view mode.

사용자 인터페이스(12)에 표시된 뷰 모드의 버튼을 사용자가 터치 혹은 클릭함으로써 뷰 모드를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뷰 모드에 대한 정보는 신호화되어 드워프부(15)로 전달된다. A user may select a view mode by touching or clicking a view mode button displayed on the user interface 12 , and information on the selected view mode is signalized and transmitted to the dwarf unit 15 .

드워프부(15)는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12)에서 선택한 뷰 모드에 따라 원본 영상(111a, 111b, 111c)을 드워프한다. The dwarf unit 15 dwarfs the original images 111a, 111b, and 111c according to the view mode selected by the user on the user interface 12.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12)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뷰 모드에 대한 정보를 드워프부(15)가 수신한다. 또한 드워프 하기 위한 원본 영상(111a, 111b, 111c)을 수신부(13)로부터 수신한다. 각각의 뷰 모드는 드워핑 영역과 드워프 방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warf unit 15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view mode selected by the user in the user interface 12 . In addition, original images 111a, 111b, and 111c to be dwarfed are received from the receiver 13. Each view mode contains information about the dwarf area and the dwarf method.

드워프부(15)는 수신한 뷰 모드에 대한 정보에 따라 원본 영상(111a, 111b, 111c)을 드워프한다. 드워핑은 원본 영상(111a, 111b, 111c) 전체에 대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 원본 영상(111a, 111b, 111c) 중 선택된 뷰 모드의 드워핑 영역에 해당하는 영역에 대해서 이루어진다. 뷰 모드에 따라 드워핑 영역이 복수로 구성될 수도 있고, 드워프한 보정 영상(115a, 115b, 115c, 117a, 117b, 117c)의 복수 영역을 잘라서 디스플레이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dwarf unit 15 dwarfs the original images 111a, 111b, and 111c according to the received view mode information. Dwarfing is not performed on the entire original images 111a, 111b, and 111c, but o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dwarfed region of the selected view mode among the original images 111a, 111b, and 111c. Depending on the view mode, a plurality of dwarfed areas may be configured, or a plurality of areas of the dwarfed corrected images 115a, 115b, 115c, 117a, 117b, and 117c may be cropped and displayed.

각각의 뷰 모드가 포함하고 있는 드워핑 영역에 대한 정보는 미리 정해진 영역일 수도 있고, 움직임이 많은 영역을 인식하여 해당 영역을 관심 영역(ROI. Region Of Interest)으로 두어 드워핑 영역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드워핑 알고리즘은 미리 정해두되, 사용자가 후술할 화면부(11)에서 미리 정해진 영역에 대해 표시된 폴리곤(Polygon)(112a, 112b, 112c, 116a, 116b, 116c)을 드래그해서 선택하게 할 수도 있다.The information on the dwarfing area included in each view mode may be a predetermined area, or a dwarping area may be set by recognizing an area with a lot of movement and setting the corresponding area as a ROI (Region Of Interest). . In addition, the dwarfing algorithm may be pre-determined, but the user may drag and select the polygons 112a, 112b, 112c, 116a, 116b, 116c displayed for a predetermined area on the screen unit 11 to be described later. .

원본 영상(111a, 111b, 111c)을 드워프 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도 2에 대한 설명에서 어안 렌즈를 설명하면서 후술하고, 드워핑 영역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도 5에서 후술한다.A detailed method of dwarfing the original images 111a, 111b, and 111c will be described later while explaining the fisheye lens in the description of FIG. 2,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warfing area will be described in FIG. described later in

드워프부(15)는 수신한 뷰 모드에 따라 드워프한 보정 영상(115a, 115b, 115c, 117a, 117b, 117c)과 원본 영상(111a, 111b, 111c)을 배치, 구성하여 화면부(11)에 전달한다.The dwarf unit 15 arranges and configures the dwarfed corrected images 115a, 115b, 115c, 117a, 117b, and 117c and the original images 111a, 111b, and 111c according to the received view mode, and displays them on the screen unit 11. convey

화면부(11)는 뷰 모드 레이아웃에 맞게 드워프부(15)로부터 수신한 드워프된 보정 영상(115a, 115b, 115c, 117a, 117b, 117c)과 원본 영상(111a, 111b, 111c)을 배치한 내용을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드워핑 영역에 대응되는 폴리곤(Polygon)(112a, 112b, 112c, 116a, 116b, 116c)을 원본 영상(111a, 111b, 111c)에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드워프 방향을 따라 드워핑 화살표(113a, 113b, 113c)를 더 표시할 수 있다. 폴리곤(112a, 112b, 112c, 116a, 116b, 116c)과 드워핑 화살표(113a, 113b, 113c)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screen unit 11 arranges the dwarfed corrected images 115a, 115b, 115c, 117a, 117b, 117c and the original images 111a, 111b, 111c received from the dwarf unit 15 according to the view mode layout. display Polygons 112a, 112b, 112c, 116a, 116b, and 116c corresponding to the dewarping area are displayed on the original images 111a, 111b, and 111c. In addition, dwarf arrows 113a, 113b, and 113c may be further displayed along the dwarf direc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olygons 112a, 112b, 112c, 116a, 116b, and 116c and the dwarf arrows 113a, 113b, and 113c will be described later.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본 영상(111a, 111b, 111c)을 촬영하는 감시 카메라에 사용되는 어안 렌즈의 구조도이다.2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fisheye lens used in a monitoring camera that captures original images 111a, 111b, and 111c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감시 카메라(2)는 어안 카메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카메라는 최근에 소개된 360° 카메라일 수도 있다. 360° 카메라란, 어안 렌즈(20)를 복수로 장착하여 카메라가 직접 패닝 또는 틸팅할 필요 없이 전방위가 모두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를 말한다.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2)는 어안 렌즈(20)를 사용하여, 원본 영상(111a, 111b, 111c)이 왜곡되어 어느 정도 보정할 필요가 있다면 다양한 종류의 카메라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onitoring camera 2 is preferably a fisheye camera. Alternatively, the camera may be a recently introduced 360° camera. A 360° camera refers to a camera capable of shooting in all directions without the need for direct panning or tilting of the camera by mounting a plurality of fisheye lenses 20 .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the camera 2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fisheye lens 20, and if the original images 111a, 111b, and 111c are distorted and need to be corrected to some extent, various kinds of It could be a camera.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안 렌즈(20)는 다양한 렌즈 요소(20a~20h)들을 적게는 6매, 많게는 10매 이상 겹쳐서 제작함으로써, 180° 이상의 넓은 화각을 가진다. 이러한 다양한 렌즈 요소(20a~20h)는 볼록, 오목 렌즈를 포함하고, 구면, 비구면 렌즈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외부 렌즈 요소(20a)를 180°로 입사한 광선은 렌즈 요소(20a~20h)를 모두 투과한 후에 촬상 소자(21)에 조사된다. 그리고 촬상 소자(21)는 조사된 광선의 파장에 따라 각기 다른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영상에 대한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여기서 촬상 소자(21)는 일반적인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소자 또는 CCD(Charge-Coupled Device)소자 등의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어안 렌즈(2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어안 카메라(2)에 설치된다.As shown in FIG. 2 , the fisheye lens 20 has a wide angle of view of 180° or more by overlapping at least 6 and at most 10 or more of the various lens elements 20a to 20h. These various lens elements 20a to 20h include convex and concave lenses, and include spherical and aspherical lenses. As shown in FIG. 2 , a light ray incident at 180° through the outermost lens element 20a passes through all of the lens elements 20a to 20h before being irradiated to the imaging device 21 . The imaging device 21 converts image information into electrical signals by generating different signals according to the wavelengths of irradiated light rays. Here, as the imaging device 21, a camera device capable of capturing a subject such as a general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CMOS) device or a Charge-Coupled Device (CCD) device may be used. This fisheye lens 20 is installed in the fisheye camera 2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어안 렌즈(20)를 사용하여 생성되는 영상은 넓은 화각을 제공해 주는 대신에 광축으로부터 멀어지는 영상의 가장자리 영역으로 갈수록 굴절에 의한 왜곡이 심해진다. 따라서 렌즈 중심점 부근의 피사체는 극단적으로 크게 찍히고 주변의 피사체는 아주 작게 찍히는 현상이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왜곡된 형태의 영상을 그대로 사용해도 무방한 경우가 있지만 특정 분야에서는 왜곡된 영상을 보정해서 사용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도 많다. 이와 같이 어안 렌즈(20)에 의해 형성된 왜곡된 형태의 원본 영상(111a, 111b, 111c)을 보정하는 것을 보통 '왜곡 보정(Distortion Calibration)' 또는 '드워프(Dewarp)'라고 하며, 이러한 드워프는 어안 렌즈(20)에서 사용되는 투사 방식에 따라 어안 렌즈(20)의 초점 거리나 광중심 위치 등과 같은 파라미터(parameter)를 이용하여 적절한 수식을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An image generated using the fisheye lens 20, instead of providing a wide angle of view, becomes severely distorted by refraction toward the edge region of the image away from the optical axis. Therefore, the subject near the center point of the lens is photographed extremely large, and the subject in the vicinity is photographed very small. In some cases, it is okay to use such a distorted image as it is, but in many cases, it is necessary to correct and use the distorted image in a specific field. Correcting the distorted original images 111a, 111b, and 111c formed by the fisheye lens 20 in this way is usually referred to as 'Distortion Calibration' or 'Dewarp'. Depending on the projection method used in the lens 20, this is achieved through an appropriate formula using parameters such as the focal length of the fisheye lens 20 or the position of the optical center.

카메라의 직선 왜곡이 없는 매핑을 위한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원근법 투사(

Figure 112016073788464-pat00001
) 방법이다. 이는 일반 카메라로 촬영된 원근법 이미지 내의 지점의 위치를 찾아 매핑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어안 렌즈(20)를 위한 가장 단순한 매핑 함수로써 리니어-스케일드(linear-scaled) 투사(
Figure 112016073788464-pat00002
) 방법이 있다. 이는 어안 렌즈(20)를 통해 촬영된 원본 영상(111a, 111b, 111c) 내 지점의 방사위치를 찾는 방법이다. 왜곡된 원본 영상(111a, 111b, 111c)을 보정하기 위해 실제 원본 영상(111a, 111b, 111c)을 원근법 이미지처럼 변형하여 매핑하여야 한다. 따라서 위 원근법 매핑과 어안 매핑을 정의하는 2개의 연립방정식을 풀이하여
Figure 112016073788464-pat00003
Figure 112016073788464-pat00004
의 관계를 찾음으로써 왜곡된 원본 영상(111a, 111b, 111c)을 보정할 수 있다.The most common method for mapping without camera rectilinear distortion is perspective projection (
Figure 112016073788464-pat00001
) method. This is a method of finding and mapping the position of a point in a perspective image captured by a general camera. And as the simplest mapping function for the fisheye lens 20, a linear-scaled projection (
Figure 112016073788464-pat00002
) way. This is a method of finding radial positions of points in the original images 111a, 111b, and 111c photographed through the fisheye lens 20. In order to correct the distorted original images 111a, 111b, and 111c, the actual original images 111a, 111b, and 111c must be transformed and mapped like perspective images. Therefore, by solving the two simultaneous equations defining the above perspective mapping and fisheye mapping,
Figure 112016073788464-pat00003
and
Figure 112016073788464-pat00004
The distorted original images 111a, 111b, and 111c may be corrected by finding the relationship of .

이러한 원본 영상(111a, 111b, 111c)은 모니터링 장치(1)에 전송된 후 소프트웨어를 통해 상기의 방법으로 보정될 수도 있으나, 최근에는 원본 영상(111a, 111b, 111c)의 왜곡을 보정하는 칩(Chip)이 어안 카메라(2)의 내부에 장착되는 기술이 소개되었다. 상기 칩은 SoC(System on Chip)로서, 여러 개의 반도체 부품들이 하나의 시스템을 구성하고, 이러한 시스템이 하나의 칩에 집적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칩은 ISP(Image Signal Processing) 칩으로서, 영상 보정을 전용으로 수행하는 하드웨어 처리 방식의 칩일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원본 영상(111a, 111b, 111c)을 카메라(2) 자체적으로 드워프할 수 있게 되면, 카메라(2)로부터 영상을 전송받는 모니터링 장치(1)에 드워프를 위한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하나의 카메라(2)에서 여러 모니터링 장치(1)에 영상을 전송할 때에는, 모든 모니터링 장치(1)에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지 않아도 드워프가 가능하므로 보정 영상(115a, 115b, 115c, 117a, 117b, 117c)을 곧바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모니터링 장치(1)에서 소프트웨어를 통해 원본 영상(111a, 111b, 111c)을 보정 영상(115a, 115b, 115c, 117a, 117b, 117c)으로 드워프할 수도 있으나, 카메라(2)가 자체적으로 드워프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These original images 111a, 111b, and 111c may be corrected in the above method through software after being transmitted to the monitoring device 1, but recently, a chip for correcting distortion of the original images 111a, 111b, and 111c ( A technology in which a chip) is mounted inside the fisheye camera 2 has been introduced. The chip is a System on Chip (SoC), and several semiconductor components constitute a system, and the system may be integrated into a single chip. Alternatively, the chip may be an image signal processing (ISP) chip, and may be a hardware processing chip that exclusively performs image correction. As described above, if the original images 111a, 111b, and 111c can be dwarped by the camera 2 itself, there is no need to install software for dwarfing in the monitoring device 1 that receives images from the camera 2. Therefore, when transmitting images from one camera 2 to several monitoring devices 1, since dwarf is possible without installing software on all monitoring devices 1, the correction images 115a, 115b, 115c, 117a, 117b, 117c ) can be displayed immediate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nitoring device 1 may dwarf the original images 111a, 111b, and 111c into the corrected images 115a, 115b, 115c, 117a, 117b, and 117c through software, The camera 2 may also perform the dwarf operation on its own.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1)와 연결된 카메라(2)가 천장에 설치된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se where a camera 2 connected to the monitor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ceiling.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의 카메라(2)는 설치 공간의 천장에 지면을 바라보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 표시된 화살표가 상기 카메라(2)가 바라보는 방향이다. 카메라(2)는 화살표와 같은 방향으로 공간을 바라보고, 영상을 획득한다. 영상을 획득함과 동시에, 카메라(2)가 포함하고 있는 센서(22)가 카메라(2)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을 감지해 센서(22) 신호를 생성한다.As shown in FIG. 3 , the camera 2 of th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installation space to face the ground. An arrow shown in FIG. 3 is a direction the camera 2 is looking at. The camera 2 looks at the spac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arrow and acquires an image. At the same time as obtaining an image, the sensor 22 included in the camera 2 detects the direction the camera 2 is looking at and generates a sensor 22 signal.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1)와 연결된, 천장에 설치된 감시 카메라(2)가 획득하여 모니터링 장치(1)로 전달한 원본 영상(111a)을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showing an original image 111a acquired by a monitoring camera 2 installed on the ceiling connected to the monitor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ransmitted to the monitoring device 1.

도 4의 영상은 도 3의 카메라(2)가 획득한 영상을 나타낸 것이다. 일반적인 카메라(2)를 사용하는 경우 직사각형 모양의 영상을 얻을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어안 카메라(2)를 사용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어안 카메라(2)를 사용하는 경우 도 4와 같이 원형의 영역에 카메라(2) 스펙이 허용하는 화각 내의 피사체를 촬영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The image of FIG. 4 shows an image obtained by the camera 2 of FIG. 3 . Although a rectangular image can be obtained when using a general camera 2, it is assumed that a fisheye camera 2 is use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using the fisheye camera 2 , as shown in FIG. 4 , an image obtained by capturing a subject within an angle of view allowed by specifications of the camera 2 may be acquired in a circular area.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의 화면부(11)를 통해 도 3과같이 설치된 카메라(2)가 촬영한 원본 영상(111a)과 보정 영상(115a)이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12)가 디스플레이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5 shows an original image 111a and a corrected image 115a captured by the camera 2 installed as shown in FIG. 3 displayed on the screen unit 11 of th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user It is a diagram showing how the interface 12 is displayed.

카메라(2)는 획득한 원본 영상(111a)과 생성한 센서(22) 신호를 모니터링 시스템의 수신부(13)로 전달한다. 수신부(13)는 수신한 센서(22) 신호를 뷰 모드 추천부(14)로 전달하고, 뷰 모드 추천부(14)는 수신한 센서(22) 신호에 따라 적합한 뷰 모드를 추천한다.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현재 카메라(2)는 천장에 지면을 바라보고 설치되어 있으므로, 뷰 모드 추천부(14)는 상기 설치 자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뷰 모드의 목록을 추천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2)로 전달한다.The camera 2 transfers the acquired original image 111a and the generated sensor 22 signal to the receiver 13 of the monitoring system. The receiver 13 transfers the received sensor 22 signal to the view mode recommendation unit 14, and the view mode recommendation unit 14 recommends an appropriate view mode according to the received sensor 22 signal. As can be seen in FIG. 3 , since the camera 2 is currently installed on the ceiling facing the ground, the view mode recommendation unit 14 recommends a list of at least one view mode corresponding to the installation posture, and displays the user interface 12 ) is forwarded to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되는 내용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2)와 화면부(11)의 내용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 contents displayed to the user include contents of the user interface 12 and the screen unit 11 .

사용자 인터페이스(12)는 추천된 뷰 모드 아이콘(121a)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추천된 뷰 모드는 해당하는 뷰 모드의 명칭을 기입한 버튼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내용과 같이 아이콘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2)는 그 밖에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거나 영상 외에 확인해야 할 정보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12 includes a recommended view mode icon 121a. As described above, the recommended view mode may be composed of a button in which the name of the corresponding view mode is written, or may be composed of an icon as describ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ser interface 12 may further include other information that the user can select or to check other than the image.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2)의 뷰 모드 아이콘(121a) 중에서 원하는 뷰 모드에 해당하는 뷰 모드 아이콘(121a)을 선택한다. 선택은 마우스 등의 입력 수단을 입력하는 경우 클릭으로, 터치 센서(22)를 이용하는 경우 터치로 가능하다. The user selects a view mode icon 121a corresponding to a desired view mode from view mode icons 121a of the user interface 12 . Selection is possible by clicking when inputting an input means such as a mouse or by touching when using the touch sensor 22 .

사용자 인터페이스(12)는 사용자가 선택한 뷰 모드에 대한 정보를 드워프부(15)로 전달한다. 드워프부(15)는 수신부(13)로부터 원본 영상(111a)을 전달받아 상기 선택된 뷰 모드에 따라 영상을 드워프하고 배치한다.The user interface 12 transfers information about the view mode selected by the user to the dwarf unit 15 . The dwarf unit 15 receives the original image 111a from the receiver 13 and dwarfs and arranges the image according to the selected view mode.

드워프부(15)는 화면부(11)로 재배치한 영상과 원본 영상(111a)을 전달한다. 화면부(11)는 전달받은 영상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The dwarf unit 15 transfers the rearranged image and the original image 111a to the screen unit 11 . The screen unit 11 displays the received image to the user.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뷰 모드는 상단에 원본 영상(111a)을 디스플레이하고 하단에는 원본 영상(111a)을 드워프한 파노라마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모드이다. 따라서 화면부(11)의 상단에 원본 영상(111a)이, 하단에 드워프된 보정 영상(115a)이 디스플레이된다. 화면부(11)는 사용자가 뷰 모드를 선택하기 전이라 하더라도 추천된 뷰 모드 중 임의의 하나를 선택하여 원본 영상(111a)과 보정 영상(115a)을 출력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the view mode selected by the user is a mode in which an original image 111a is displayed on the top and a panoramic image obtained by dwarfing the original image 111a is displayed on the bottom. Accordingly, the original image 111a is displayed on the upper part of the screen unit 11 and the dwarfed corrected image 115a is displayed on the lower part. Even before the user selects a view mode, the screen unit 11 may output an original image 111a and a corrected image 115a by selecting one of the recommended view modes.

도 6은 도 5의 원본 영상에 마우스 오버가 될 때 폴리곤과 드워핑 화살표가 더 표시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6 is a view showing polygons and dwarfing arrows being further displayed when the mouse is over the original image of FIG. 5 .

화면부(11)에 디스플레이되는 원본 영상(111a)에 마우스 오버가 된 경우, 화면부(11)는 보정 영상(115a)에 대응되는 드워핑 영역을 나타내는 폴리곤(112a)을 원본 영상(111a)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폴리곤(112a)은, 원본 영상(111a)에서 드워프된 드워핑 영역을 둘러싸도록 단일폐곡선의 형태로 형성된다. 화면부(11)는 마우스 오버가 된 경우 폴리곤(112a)을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지만, 마우스 오버가 되지 않더라도 원본 영상(111a)에 폴리곤(112a)을 지속적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화면부(11)는 마우스 오버가 끝난 경우 폴리곤(112a)을 더 이상 원본 영상(111a)의 위에 디스플레이 하지 않을 수 있다.When a mouse is over the original image 111a displayed on the screen unit 11, the screen unit 11 displays a polygon 112a representing a dwarping area corresponding to the corrected image 115a on the original image 111a. can display The polygon 112a is formed in the form of a single closed curve to surround the dwarfed area in the original image 111a. The screen unit 11 may display the polygon 112a when the mouse is over, but may continuously display the polygon 112a on the original image 111a even if the mouse is not over. In addition, the screen unit 11 may no longer display the polygon 112a on top of the original image 111a when the mouse over is over.

여기서 드워핑 영역이란, 원본 영상(111a)에서 보정 영상(115a)과 대응되는 영역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드워프부(15)가 원본 영상(111a)을 드워프하여 보정 영상(115a)을 생성할 때, 하나의 원본 영상(111a)의 전체가 하나의 보정 영상(115a)으로 생성되지 않는다. 이는 원본 영상(111a)과 보정 영상(115a)의 화각이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드워프부(15)에서는 원본 영상(111a)의 일부 영역만이 보정 영상(115a)으로 생성되는데, 이러한 일부 영역을 드워핑 영역이라 한다.Here, the dewarping area is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corrected image 115a in the original image 111a. Specifically, when the dwarf unit 15 dwarfs the original image 111a to generate the corrected image 115a, the entirety of one original image 111a is not generated as one corrected image 115a. . This is because the angles of view of the original image 111a and the corrected image 115a are different. Accordingly, in the dwarf unit 15, only a partial area of the original image 111a is generated as the corrected image 115a, and this partial area is referred to as a dwarfing area.

화면부(11)가 원본 영상(111a)의 드워핑 영역에 해당하는 위치에 폴리곤(112a)을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는 원본 영상(111a) 중 어떤 영역이 드워프되어 보정 영상(115a)으로 출력되는지 알 수 있고, 다른 어떤 영역이 드워핑 영역에서 제외되었는지 알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드워핑 영역에서 제외된 영역의 정보도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By displaying the polygon 112a on the screen 11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warfed area of the original image 111a, the user knows which area of the original image 111a is dwarped and output as the corrected image 115a. and which other areas are excluded from the dwarfing area. Therefore, the user can also check the information of the area excluded from the dwarfing area through th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서는 원본 영상(111a) 중심의 일부 원형 영역만을 제외한 고리 모양의 영역에 폴리곤(112a)이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카메라(2)가 천장에 지면을 바라보고 설치된 상태이므로, 카메라(2) 주변부 전부가 관심 영역이 되므로 주변부 전체를 빙 둘러서 드워핑 영역으로 지정한 것이다. 원본 영상(111a)에서 폴리곤(112a)의 모양에 대응되는 영역이 드워핑 영역에 해당하므로, 폴리곤(112a)의 경계 내에 위치한 영상이 드워프부(15)에 의해 드워프 되어 원본 영상(111a)의 하방에 파노라마 영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고리 모양의 드워핑 영역을 파노라마 영상으로 드워프 하기 위해서는 시작점이 필요하므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선택한 뷰 모드에서는 원본 영상(111a)의 최상단 꼭지점에서 원본 영상(111a)의 중심을 향해 그은 직선을 드워프 시작 선으로 한다. 다만 드워프 시작 선은 도 5에서 도시한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뷰 모드에 따라 다른 위치에 위치할 수도 있다. In FIG. 6 , the polygon 112a is displayed in an annular area except for a partial circular area in the center of the original image 111a. Since the camera 2 is installed on the ceiling looking at the ground, the entire periphery of the camera 2 becomes a region of interest, so the entire periphery is designated as a dwarfing area. Since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olygon 112a in the original image 111a corresponds to the dwarping region, the image located within the boundary of the polygon 112a is dwarfed by the dwarf unit 15 to lower the original image 111a. is displayed as a panoramic image. Since a starting point is required to dwarf the annular dwarfed area into a panoramic image, in the view mode selecte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raight line is drawn from the top vertex of the original image 111a toward the center of the original image 111a. as the dwarf starting line. However, the dwarf start line is not limited to the position shown in FIG. 5 and may be located at another position according to the view mode.

화면부(11)는 원본 영상(111a)에 마우스 오버가 된 경우, 원본 영상(111a)이 드워프된 방향을 따라 드워핑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드워핑 화살표(113a)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파노라마 보정 영상(115a)이 시작되는 지점부터 드워프 된 방향인 시계방향을 향하도록 드워핑 화살표(113a)를 나타내었다. 도 5의 실시예에서는 드워핑 화살표(113a)를 직선형으로 도시하였으나, 드워핑 방향이 직선이 아닌 경우 드워핑 방향을 따라 곡선으로 도시할 수도 있다.When a mouse is over the original image 111a, the screen unit 11 may display a dwarfing arrow 113a in at least a part of the dwarfed area along the dwarfed direction of the original image 111a. In FIG. 6 , a dwarfing arrow 113a is shown pointing in a clockwise direction, which is a dwarfed direction from the starting point of the panorama correction image 115a. In the embodiment of FIG. 5 , the dwarfing arrow 113a is shown as a straight line, but if the dwarfing direction is not a straight line, it may be shown as a curve along the dwarping direc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의 또 다른 뷰 모드를 선택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nother view mode of th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lected.

도 7을 참조하면, 도 5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2)와 동일한 뷰 모드 아이콘(121a)이 표시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 인터페이스(12) 좌측의 화면부(11)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에서 차이가 있다. 이는 도 7이 도 5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2)에서 다른 뷰 모드를 선택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기 때문이다. Referring to FIG. 7 , it can be seen that the same view mode icon 121a as the user interface 12 of FIG. 5 is displayed.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unit 11 on the left side of the user interface 12. This is because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nother view mode is selected in the user interface 12 of FIG. 5 .

도 7의 실시예가 나타내고 있는 뷰 모드에서는 사분할된 화면부(11)의 제2 사분면에 원본 영상(111a)과 폴리곤(116a, 116b, 116c)이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나머지 사분면에 각 폴리곤(116a, 116b, 116c)에 대응되는, 드워프부(15)에 의해 드워프된 보정 영상(117a, 117b, 117c)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드워핑 영역은 다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대응되는 폴리곤(116a, 116b, 116c)과 보정 영상(117a, 117b, 117c) 역시 다수로 형성된다. In the view mode shown in the embodiment of FIG. 7 , an original image 111a and polygons 116a, 116b, and 116c are displayed in the second quadrant of the quadrant screen unit 11 . In the remaining quadrants, the corrected images 117a, 117b, and 117c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polygons 116a, 116b, and 116c and dwarped by the dwarf unit 15 are displayed. As can be seen in FIG. 6 , a plurality of dewarping regions may be formed, and in this case,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polygons 116a, 116b, and 116c and correction images 117a, 117b, and 117c are also formed.

다수의 폴리곤(116a, 116b, 116c) 및 보정 영상(117a, 117b, 117c)이 형성되는 경우, 폴리곤(116a, 116b, 116c) 경계의 색을 보정 영상(117a, 117b, 117c)의 색과 동일하게 하고, 폴리곤(116a, 116b, 116c) 별로 서로 다른 색의 경계를 배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어느 폴리곤(116a, 116b, 116c)이 어떤 보정 영상(117a, 117b, 117c)으로 나타나는지를 쉽게 확인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When a plurality of polygons 116a, 116b, and 116c and the corrected images 117a, 117b, and 117c are formed, the color of the boundary of the polygons 116a, 116b, and 116c is the same as that of the corrected images 117a, 117b, and 117c. and a boundary of a different color may be assigned to each of the polygons 116a, 116b, and 116c.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asily check which polygons 116a, 116b, and 116c appear as which corrected images 117a, 117b, and 117c.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 6과 도 7에서는 원본 영상(111a)과 하단 혹은 타 사분면에 보정 영상(115a, 117a, 117b, 117c)을 디스플레이 하는 뷰 모드를 도시하였는데, 그 외에도 오로지 보정 영상(115a)만을 디스플레이하고, 원본 영상(111a)과 드워핑 영역을 나타내는 폴리곤(112a, 116a, 116b, 116c) 및 드워핑 화살표(113a)는 별도로 사용자 인터페이스(114a)에 표시된 소스 뷰 모드(미도시)를 선택한 경우에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도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소스 뷰 모드는 다른 뷰 모드를 선택함으로써 벗어날 수도 있다. 또한 'x'등의 모양으로 형성된 종료 버튼이 형성되어 이를 선택하면 소스 뷰 모드가 종료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on/off' 등이 기재된 토글 버튼이 형성되어 이를 이용해 일시적으로 소스 뷰 모드를 켜고 끄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밖에도 일정 시간 동안만 원본 영상(111a)이 디스플레이 되었다가 사라지도록 하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 할 것이다.In FIGS. 6 and 7 showing the first embodiment, a view mode for displaying the original image 111a and the corrected images 115a, 117a, 117b, and 117c in the lower or other quadrants is shown. In addition, only the corrected image 115a ), and the original image 111a, the polygons 112a, 116a, 116b, and 116c representing the dwarping area, and the dwarping arrow 113a are separately displayed in the source view mode (not shown) on the user interface 114a. A method of displaying when selected may also exist. In this case, the source view mode may be escaped by selecting another view mode. In addition, an end button formed in the shape of an 'x' may be formed so that the source view mode may be terminated when this button is selected. In addition, a toggle button written with 'on/off' is formed and can be used to temporarily turn on and off the source view mode. In addition, various embodiments such as displaying the original image 111a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n disappearing may be possible.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1)와 연결된 감시 카메라(2)가 벽에 설치된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se where a monitoring camera 2 connected to the monitor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wall.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의 카메라(2)는 설치 공간의 벽면에 수평 방향을 바라보고 설치될 수 있다. 도 8에 표시된 화살표가 상기 카메라(2)가 바라보는 방향이다. 카메라(2)는 화살표와 같은 방향으로 공간을 바라보고, 영상을 획득한다. 영상을 획득함과 동시에, 카메라(2)가 포함하고 있는 센서(22)가 카메라(2)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을 감지해 센서(22) 신호를 생성한다.As shown in FIG. 8 , the camera 2 of th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on a wall surface of an installation space while look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n arrow shown in FIG. 8 is a direction the camera 2 is looking at. The camera 2 looks at the spac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arrow and acquires an image. At the same time as obtaining an image, the sensor 22 included in the camera 2 detects the direction the camera 2 is looking at and generates a sensor 22 signal.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과 연결된, 벽에 설치된 감시 카메라(2)가 획득하여 모니터링 장치(1)로 전달한 원본 영상(111b)을 나타낸 도면이다. 9 is a diagram showing an original image 111b acquired by a wall-mounted monitoring camera 2 connected to th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ransmitted to the monitoring device 1.

도 9의 영상은 도 8의 카메라(2)가 획득한 영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6 및도 7과 동일하게 어안 카메라(2)를 사용한 경우를 가정해서 영상을 구성한 모습이다. The image of FIG. 9 shows an image acquired by the camera 2 of FIG. 8 . As in FIGS. 6 and 7 , the image is configured assuming that the fisheye camera 2 is used.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의 화면부(11)를 통해 도 8과같이 설치된 카메라(2)가 촬영한 원본 영상(111b)과 보정 영상(115b)이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12)가 디스플레이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10 shows an original image 111b and a corrected image 115b captured by the camera 2 installed as shown in FIG. 8 displayed on the screen unit 11 of th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user It is a diagram showing how the interface 12 is displayed.

카메라(2)는 획득한 원본 영상(111b)과 생성한 센서(22) 신호를 모니터링 시스템의 수신부(13)로 전달한다. 수신부(13)는 수신한 센서(22) 신호를 뷰 모드 추천부(14)로 전달하고, 뷰 모드 추천부(14)는 수신한 센서(22) 신호에 따라 적합한 뷰 모드를 추천한다. 도 7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현재 카메라(2)는 벽면에 수평방향을 바라보고 설치되어 있으므로, 뷰 모드 추천부(14)는 상기 설치 자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뷰 모드의 목록을 추천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2)로 전달한다.The camera 2 transfers the acquired original image 111b and the generated sensor 22 signal to the receiver 13 of the monitoring system. The receiver 13 transfers the received sensor 22 signal to the view mode recommendation unit 14, and the view mode recommendation unit 14 recommends an appropriate view mode according to the received sensor 22 signal. As can be seen in FIG. 7 , since the camera 2 is currently installed on the wall facing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view mode recommendation unit 14 recommends a list of at least one view mode corresponding to the installation posture to provide a user interface ( 12) is forwarded.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되는 내용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2)와 화면부(11)의 내용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0 , contents displayed to the user include contents of the user interface 12 and the screen unit 11 .

사용자 인터페이스(12)는 추천된 뷰 모드 아이콘(121b)을 포함한다. 도 10의 경우 벽면에 카메라(2)가 설치된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므로, 도 5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2)가 포함하는 뷰 모드의 목록과 상이한 뷰 모드의 목록을 표시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2)의 뷰 모드 아이콘(121b) 중에서 원하는 뷰 모드에 해당하는 뷰 모드 아이콘(121b)을 선택한다. The user interface 12 includes a recommended view mode icon 121b. In the case of FIG. 10, since the case where the camera 2 is installed on the wall is described, a list of view modes different from the list of view modes included in the user interface 12 of FIG. 5 is displayed. The user selects a view mode icon 121b corresponding to a desired view mode from view mode icons 121b of the user interface 12 .

사용자 인터페이스(12)는 사용자가 선택한 뷰 모드에 대한 정보를 드워프부(15)로 전달한다. 드워프부(15)는 수신부(13)로부터 원본 영상(111b)을 전달받아 상기 선택된 뷰 모드에 따라 영상을 드워프하고 배치한다.The user interface 12 transfers information about the view mode selected by the user to the dwarf unit 15 . The dwarf unit 15 receives the original image 111b from the receiver 13 and dwarfs and arranges the image according to the selected view mode.

드워프부(15)는 화면부(11)로 재배치한 영상과 원본 영상(111b)을 전달한다. 화면부(11)는 전달받은 영상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The dwarf unit 15 transfers the rearranged image and the original image 111b to the screen unit 11 . The screen unit 11 displays the received image to the user.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뷰 모드는 상단에 원본 영상(111b)을 디스플레이하고 하단에는 원본 영상(111b)을 드워프한 파노라마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모드이다. 따라서 화면부(11)의 상단에 원본 영상(111b)이, 하단에 드워프된 보정 영상(115b)이 디스플레이된다. 카메라(2)가 수평 방향을 바라보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관심 영역이 가로로 펼쳐진 복도가 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관찰의 필요성이 떨어지는 천장과 바닥을 제외한 복도 영역을 드워핑 영역으로 해서 파노라마 영상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뷰 모드를 추천하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10 , the view mode selected by the user is a mode in which an original image 111b is displayed on the upper side and a panoramic image obtained by dwarfing the original image 111b is displayed on the lower side. Therefore, the original image 111b is displayed on the top of the screen unit 11 and the dwarfed corrected image 115b is displayed on the bottom. Since the camera 2 is installed so as to look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region of interest becomes a corridor that extends horizontally. Therefore, a view mode displaying a panoramic image with the corridor area excluding the ceiling and floor, which is relatively less necessary for observation, as a dwarf area is recommended.

도 10에서는 원본 영상(111b)에 마우스 오버가 됐을 때 나타나는 폴리곤(112b)이, 원본 영상(111b)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가로방향 양 단이 중심에 비해 두꺼운 형태로 형성되는 모습을 도시하였다. 따라서 폴리곤(112b)이 더 디스플레이된 화면부(11)의 원본 영상(111b)은 마치 야구공과 같은 모습을 하고 있음을 도 9에서 확인할 수 있다. 폴리곤(112b)의 형태가 상술한 바와 같은 형태를 하는 이유는 바로 위 문단에서 설명한 바 있다.In FIG. 10, the polygon 112b appearing when the mouse is over the original image 111b is exten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original image 111b, and both 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re formed in a thicker form than the center. Accordingly, it can be seen in FIG. 9 that the original image 111b of the screen unit 11, on which the polygon 112b is further displayed, has a baseball-like appearance. The reason for the shape of the polygon 112b as described above has been explained in the immediately above paragraph.

화면부(11)는 원본 영상(111b)에 마우스 오버가 된 경우, 원본 영상(111b)이 드워프된 방향을 따라 드워핑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드워핑 화살표(113b)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드워프를 시작한 방향인 왼쪽에서 드워프 된 방향인 오른쪽 방향으로 드워핑 화살표(113b)를 나타내었다. When a mouse is over the original image 111b, the screen unit 11 may display a dwarfing arrow 113b in at least a part of the dwarfed area along the dwarfed direction of the original image 111b. In FIG. 10 , a dwarfing arrow 113b is shown from the left, which is the direction in which dwarfing started, to the right, which is the dwarfed direction.

도 10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2)가 벽면에서 수평 방향을 바라보고 설치될 때 추천되는 뷰 모드와 화면부(11), 사용자 인터페이스(12)에 대해서 설명했다. 다만 이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이며 이 밖에도 다양한 뷰 모드와 드워핑 영역, 폴리곤(112b)의 형태, 드워핑 화살표(113b)의 형태, 뷰 모드 아이콘(121b)이 도입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10, the recommended view mode, screen unit 11, and user interface 12 when the camera 2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looking horizontally from a wall surface have been described.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to aid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various view modes, dwarping areas, shapes of polygons 112b, shapes of dwarping arrows 113b, and view mode icons 121b can be introduced.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1)와 연결된 감시 카메라(2)가 공간 내에서 임의의 각도로 설치된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 surveillance camera 2 connected to the monitor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an arbitrary angle in a space.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의 카메라(2)는 설치 공간의 벽면에 임의의 각도로 지면 방향을 바라보고 설치될 수 있다. 도 11에 표시된 화살표가 상기 카메라(2)가 바라보는 방향이다. 카메라(2)는 화살표와 같은 방향으로 공간을 바라보고, 영상을 획득한다. 영상을 획득함과 동시에, 카메라(2)가 포함하고 있는 센서(22)가 카메라(2)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을 감지해 센서(22) 신호를 생성한다.As shown in FIG. 11 , the camera 2 of th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installation space looking toward the ground at an arbitrary angle. An arrow shown in FIG. 11 is a direction the camera 2 looks at. The camera 2 looks at the spac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arrow and acquires an image. At the same time as obtaining an image, the sensor 22 included in the camera 2 detects the direction the camera 2 is looking at and generates a sensor 22 signal.

도 12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1)와 연결된, 임의의 각도로 설치된 감시 카메라(2)가 획득하여 모니터링 장치(1)로 전달한 원본 영상(111c)을 나타낸 도면이다. 12 is a diagram showing an original image 111c acquired by a monitoring camera 2 installed at an arbitrary angle connected to the monitor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ransferred to the monitoring device 1.

도 12의 영상은 도 10의 카메라(2)가 획득한 영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6과 동일하게 어안 카메라(2)를 사용한 경우를 가정해서 영상을 구성한 모습이다. The image of FIG. 12 shows an image acquired by the camera 2 of FIG. 10 . It is a state in which an image is configured assuming that the fisheye camera 2 is used in the same manner as in FIG. 6 .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의 화면부(11)를 통해 도 11과 같이 설치된 카메라(2)가 촬영한 원본 영상(111c)과 보정 영상(115c)이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12)가 디스플레이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 13 shows an original image 111c and a corrected image 115c captured by the camera 2 installed as shown in FIG. 11 displayed on the screen unit 11 of th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user It is a diagram showing how the interface 12 is displayed.

카메라(2)는 획득한 원본 영상(111c)과 생성한 센서(22) 신호를 모니터링 시스템의 수신부(13)로 전달한다. 수신부(13)는 수신한 센서(22) 신호를 뷰 모드 추천부(14)로 전달하고, 뷰 모드 추천부(14)는 수신한 센서(22) 신호에 따라 적합한 뷰 모드를 추천한다. 도 1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현재 카메라(2)는 벽면에 임의의 각도로 지면을 향하여 설치되어 있으므로, 뷰 모드 추천부(14)는 상기 설치 자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뷰 모드의 목록을 추천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2)로 전달한다.The camera 2 transmits the acquired original image 111c and the generated sensor 22 signal to the receiver 13 of the monitoring system. The receiver 13 transfers the received sensor 22 signal to the view mode recommendation unit 14, and the view mode recommendation unit 14 recommends an appropriate view mode according to the received sensor 22 signal. As can be seen in FIG. 11 , since the camera 2 is currently installed on a wall surface at an arbitrary angle toward the ground, the view mode recommendation unit 14 recommends a list of at least one view mode corresponding to the installation posture to provide a user forwarded to interface 12.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되는 내용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2)와 화면부(11)의 내용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3 , contents displayed to the user include contents of the user interface 12 and the screen unit 11 .

사용자 인터페이스(12)는 추천된 뷰 모드 아이콘(121c)을 포함한다. 도 13의 경우 임의의 각도로 카메라(2)가 설치된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므로, 도 5 및 도 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2)가 포함하는 뷰 모드의 목록과 상이한 뷰 모드의 목록을 표시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2)의 뷰 모드 아이콘(121c) 중에서 원하는 뷰 모드에 해당하는 뷰 모드 아이콘(121c)을 선택한다. The user interface 12 includes a recommended view mode icon 121c. 13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camera 2 is installed at an arbitrary angle, a list of view modes different from the list of view modes included in the user interface 12 of FIGS. 5 and 10 is displayed. The user selects a view mode icon 121c corresponding to a desired view mode from view mode icons 121c of the user interface 12 .

사용자 인터페이스(12)는 사용자가 선택한 뷰 모드에 대한 정보를 드워프부(15)로 전달한다. 드워프부(15)는 수신부(13)로부터 원본 영상(111c)을 전달받아 상기 선택된 뷰 모드에 따라 영상을 드워프하고 배치한다.The user interface 12 transfers information about the view mode selected by the user to the dwarf unit 15 . The dwarf unit 15 receives the original image 111c from the receiver 13 and dwarfs and arranges the image according to the selected view mode.

드워프부(15)는 화면부(11)로 재배치한 영상과 원본 영상(111c)을 전달한다. 화면부(11)는 전달받은 영상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The dwarf unit 15 transfers the rearranged image and the original image 111c to the screen unit 11 . The screen unit 11 displays the received image to the user.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뷰 모드는 상단에 원본 영상(111c)을 디스플레이하고 하단에는 원본 영상(111c)을 드워프한 파노라마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모드이다. 따라서 화면부(11)의 상단에 원본 영상(111c)이, 하단에 드워프된 보정 영상(115c)이 디스플레이된다. 카메라(2)가 지면을 임의의 각도로 바라보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관심 영역이 가로로 펼쳐진 복도가 되되, 도 10의 드워핑 영역에 비해서 다소 아래로 치우친 형태가 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관찰의 필요성이 떨어지는 천장과 바닥을 제외한 복도 영역을 드워핑 영역으로 해서 파노라마 영상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뷰 모드를 추천하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13 , the view mode selected by the user is a mode in which an original image 111c is displayed on the upper side and a panoramic image obtained by dwarfing the original image 111c is displayed on the lower side. Accordingly, the original image 111c is displayed on the top of the screen unit 11 and the corrected image 115c dwarfed on the bottom. Since the camera 2 is installed so as to look at the ground at an arbitrary angle, the region of interest becomes a corridor that extends horizontally, but is somewhat lower than the dwarf region of FIG. 10 . Therefore, a view mode displaying a panoramic image with the corridor area excluding the ceiling and floor, which is relatively less necessary for observation, as a dwarf area is recommended.

도 13에서는 원본 영상(111c)에 마우스 오버가 됐을 때 나타나는 폴리곤(112c)이, 원본 영상(111c)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가로방향 양 단이 중심에 비해 두꺼운 형태로 원본 영상(111c)의 하단에 치우쳐 형성되는 모습을 도시하였다. 따라서 폴리곤(112c)이 더 디스플레이된 화면부(11)의 원본 영상(111c)은 마치 야구공과 같은 모습을 하고 있음을 도 13에서 확인할 수 있다. 폴리곤(112c)의 형태가 상술한 바와 같은 형태를 하는 이유는 바로 위 문단에서 설명한 바 있다.In FIG. 13, the polygon 112c appearing when the mouse is over the original image 111c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original image 111c, and both 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re thicker than the center at the bottom of the original image 111c. It is shown that it is formed biased to . Accordingly, it can be confirmed in FIG. 13 that the original image 111c of the screen unit 11 on which the polygon 112c is further displayed has a baseball-like appearance. The reason for the shape of the polygon 112c as described above has been explained in the immediately above paragraph.

도 13에서는 도 11과 같은 형태로 카메라(2)가 설치된 경우의 드워핑 영역을 나타낸 것인데, 만약 카메라(2)가 지면을 향해 더 구부러지게 된다면 그 경우의 드워핑 영역은 오히려 도 6의 드워핑 영역과 유사한 고리 형태에 가까워 질 수 있다. 다만 정확히 도 6의 드워핑 영역과 일치하진 않고, 중심의 작은 원이 일정 방향으로 치우쳐 찌그러진 타원형을 이루게 될 것이다.FIG. 13 shows the dwarping area when the camera 2 is installed in the form shown in FIG. It can be approximated to a ring shape similar to a region. However, it does not exactly coincide with the dwarfing area of FIG. 6, and the small circle in the center will be biased in a certain direction to form a distorted ellipse.

화면부(11)는 원본 영상(111c)에 마우스 오버가 된 경우, 원본 영상(111c)이 드워프된 방향을 따라 드워핑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드워핑 화살표(113c)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13에서는 드워프를 시작한 방향인 왼쪽에서 드워프 된 방향인 오른쪽 방향으로 드워핑 화살표(113c)를 나타내었다. When a mouse is over the original image 111c, the screen unit 11 may display a dwarfing arrow 113c in at least a part of the dwarfed area along the dwarfed direction of the original image 111c. In FIG. 13 , a dwarfing arrow 113c is shown from the left, which is the direction in which dwarfing started, to the right, which is the dwarfed direction.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2)가 벽면에서 수평 방향을 바라보고 설치될 때 추천되는 뷰 모드와 화면부(11), 사용자 인터페이스(12)에 대해서 설명했다. 다만 이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이며 이 밖에도 다양한 뷰 모드와 드워핑 영역, 폴리곤(112c)의 형태, 드워핑 화살표(113c)의 형태, 뷰 모드 아이콘(121c)이 도입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13, the recommended view mode, screen unit 11, and user interface 12 when the camera 2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looking horizontally from a wall surface have been described.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to aid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various view modes, dwarping areas, polygons 112c, dwarping arrows 113c, and view mode icons 121c can be introduced.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32)에 뷰 모드 추천부(14)에 의해 추천되지 않은 뷰 모드가 비활성화된 상태로 표시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view modes not recommended by the view mode recommendation unit 14 are displayed in a deactivated state on the user interface 32 of th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를 참조하면, 밝은 색으로 표시된 활성화 뷰 모드 아이콘(321)과, 음영처리된 비활성화 뷰 모드 아이콘(322)이 병렬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14 , an active view mode icon 321 displayed in a bright color and an inactive view mode icon 322 shaded are disposed in parallel.

본 발명은 카메라(2)의 자세에 따라 뷰 모드 추천부(14)가 적합한 뷰 모드를 추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므로, 추천된 뷰 모드의 목록을 사용자 인터페이스(32)에 나열한다. 다만 추천된 뷰 모드만을 나열하는 방법 이외에도, 전체 뷰 모드의 목록을 나열하고 그 중 뷰 모드 추천부(14)가 추천한 뷰 모드를 밝은 색으로, 뷰 모드 추천부(14)가 추천하지 않은 뷰 모드를 음영처리해서 표시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여기서 뷰 모드 추천부(14)가 추천한 뷰 모드는 활성화 뷰 모드 아이콘(321)으로, 추천하지 않은 뷰 모드는 비활성화 뷰 모드 아이콘(322)으로 표시된다. 활성화 뷰 모드 아이콘(321)은 사용자가 클릭 혹은 터치를 통해 선택할 수 있는 상태로 제공되고, 비활성화 뷰 모드 아이콘(322)은 사용자가 선택할 수 없는 상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4에 도시한 제2 실시예에서는 활성화 뷰 모드 아이콘(321)을 음영이 없는 형태로, 비활성화 뷰 모드 아이콘(322)을 음영이 있는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그 밖에 두 종류의 뷰 모드 아이콘(321, 322)을 서로 구분 지을 수 있는 방법이라면 사용이 가능하다.Sinc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commend a view mode suitable for the view mode recommendation unit 14 according to the posture of the camera 2, a list of recommended view modes is listed in the user interface 32. However, in addition to the method of listing only the recommended view modes, a list of all view modes is listed, and among them, the view modes recommended by the view mode recommendation unit 14 are brightly colored, and views not recommended by the view mode recommendation unit 14 are displayed.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mode by shading it. Here, the view mode recommended by the view mode recommendation unit 14 is displayed as an activated view mode icon 321 , and a view mode that is not recommended is displayed as a deactivated view mode icon 322 . It is preferable that the active view mode icon 321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select it through a click or touch, and the inactive view mode icon 322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not select it, but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select it. It could be. In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14 , the active view mode icon 321 is shown in an unshaded form and the inactive view mode icon 322 is shown in a shaded form, but other two types of view mode icons 321 , 322) can be used as long as it can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2)에 포함된 입력부(4)를 도시한 도면이다.15 is a diagram showing the input unit 4 included in the user interface 12 of th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카메라(2)에 포함된 센서(22)에 의해 감지된 카메라(2)의 자세에 따라 추천받은 뷰 모드가 사용자의 마음에 들지 않는 경우를 대비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은 직접 사용자가 원하는 파라미터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2)에 입력부(4)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case the user does not like the view mode recommended according to the posture of the camera 2 detected by the sensor 22 included in the camera 2, th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put unit 4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user interface 12 through which a user may directly input desired parameters.

입력부(4)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센서(22)에 의해 측정된 카메라(2)의 기울기를 시각화하여 카메라 심볼(41)로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2)의 기울기를 각도로 표시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15, the input unit 4 can visualize the inclination of the camera 2 measured by the current sensor 22 and display it as a camera symbol 41, and the inclination of the camera 2 as an angle. can also be displayed as

또한 입력부(4)는 사용자가 원하는 파라미터를 직접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창(42, 43, 44)을 포함한다. 도 15의 제3 실시예의 입력부에서는 PTZ가 가능한 카메라(2)를 가정하여, 팬(Pan), 틸트(Tilt), 줌(Zoom)에 대한 파라미터를 임의의 값으로 사용자가 입력 가능하도록 구성하였으나,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파라미터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the input unit 4 includes input windows 42, 43, and 44 through which the user can directly input desired parameters. In the input unit of the third embodiment of FIG. 15, assuming a PTZ-capable camera 2, the parameters for Pan, Tilt, and Zoom are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input arbitrary values. Parameters that can be input by the user are not limited thereto.

입력부(4)는 사용자가 입력 창(42, 43, 44)에 입력한 값을 센서(22) 신호와 같이 변환하여 뷰 모드 추천부(14)로 전달하고, 뷰 모드 추천부(14)는 수신한 센서(22) 신호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값을 이용해 뷰 모드를 추천하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input unit 4 converts the values input by the user into the input windows 42, 43, and 44 into signals from the sensor 22 and transmits them to the view mode recommendation unit 14, which receives the A configuration for recommending a view mode using a value input by the user in the same manner as a signal of one sensor 22 may be further included.

사용자가 임의로 원하는 자세에 해당하는 값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모니터링 시스템이 비록 원하는 뷰 모드를 정확하게 추천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임의로 원하는 뷰 모드를 추천할 수 있도록 조작이 가능하다.By allowing the user to arbitrarily input a value corresponding to a desired posture, even if th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accurately recommend a desired view mode, it can be manipulated to recommend a desired view mode arbitrarily.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mentioned abov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will include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s long as they fall within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1 : 모니터링 장치 2 : 카메라
4 : 입력부 11 : 화면부
12, 32 : 사용자 인터페이스 13 : 수신부
14 : 뷰 모드 추천부 15 : 드워프부
22 : 센서 41 : 카메라 심볼
42, 43, 44 : 입력 창 111a, 111b, 111c : 원본 영상
112a, 112b, 112c, 116a, 116b, 116c : 폴리곤
113a, 113b, 113c : 드워핑 화살표
115a, 115b, 115c, 117a, 117b, 117c : 보정 영상
121a, 121b, 121c : 뷰 모드 아이콘
321 : 활성화 뷰 모드 아이콘 322 : 비활성화 뷰 모드 아이콘
1: monitoring device 2: camera
4: input unit 11: screen unit
12, 32: user interface 13: receiver
14: view mode recommendation part 15: dwarf part
22: sensor 41: camera symbol
42, 43, 44: input window 111a, 111b, 111c: original video
112a, 112b, 112c, 116a, 116b, 116c: polygon
113a, 113b, 113c: Dwarfing arrows
115a, 115b, 115c, 117a, 117b, 117c: correction image
121a, 121b, 121c: view mode icon
321: active view mode icon 322: inactive view mode icon

Claims (6)

카메라가 획득한 원본 영상 및 상기 카메라에 포함된 자이로 센서가 생성한 센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센서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자세를 구하고, 상기 카메라의 자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뷰 모드를 추천하는 뷰 모드 추천부;
상기 추천된 적어도 하나의 뷰 모드를 포함하는 목록을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상기 목록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뷰 모드를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뷰 모드에 따라 상기 원본 영상을 드워프하여 보정 영상을 생성하는 드워프부;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뷰 모드에 따른 영상 배치 방식에 따라 상기 원본 영상 및 상기 보정 영상을 배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화면부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a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an original image acquired by a camera and a sensor signal generated by a gyro sensor included in the camera;
a view mode recommendation unit for obtaining a posture of the camera according to the received sensor signal and recommending at least one view mode corresponding to the posture of the camera;
a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a list including the at least one recommended view mode to a user and receiving a view mode selected by the user from the list;
a dwarf unit generating a corrected image by dwarfing the original image according to a view mode selected by the user; and
and a screen unit for arranging and displaying the original image and the corrected image according to an image arrangement method according to a view mode selected by the us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어안 렌즈를 장착한 어안 카메라인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monitoring system of claim 1 , wherein the camera is a fisheye camera equipped with a fisheye len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부는, 상기 원본 영상을 더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원본 영상 위에 마우스 오버가 될 때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뷰 모드에 대응되는 폴리곤을 상기 원본 영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creen unit further displays the original image, and displays a polygon corresponding to a view mode selected by the user on the original image when a mouse is over the original imag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부는 상기 원본 영상을 드워프한 방향으로 상기 폴리곤에 화살표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The screen unit displays an arrow on the polygon in a direction in which the original image is dwarfe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전체 뷰 모드 중 상기 추천된 적어도 하나의 뷰 모드를 제외한 뷰 모드의 목록을 비활성화된 상태로 더 표시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user interface further displays a list of view modes other than the recommended at least one view mode among all view modes in a deactivated sta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센서 신호에 대응되는 기울기를 더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파라미터를 입력받아 상기 센서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뷰 모드 추천부로 전달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user interface,
and an input unit for further displaying a slope corresponding to the sensor signal, receiving a parameter input by the user, converting the sensor signal into the sensor signal, and transmitting the result to the view mode recommendation unit.
KR1020160096556A 2016-07-29 2016-07-29 Monitoring system recommending viewer mode KR1025188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556A KR102518863B1 (en) 2016-07-29 2016-07-29 Monitoring system recommending viewer m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556A KR102518863B1 (en) 2016-07-29 2016-07-29 Monitoring system recommending viewer mo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196A KR20180013196A (en) 2018-02-07
KR102518863B1 true KR102518863B1 (en) 2023-04-06

Family

ID=61204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6556A KR102518863B1 (en) 2016-07-29 2016-07-29 Monitoring system recommending viewer mod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886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2687A (en) 2019-12-26 2021-07-06 전미경 anti-lock latch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2057A (en) 2003-12-26 2005-07-14 D Link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segmented display of spatial image
KR101297294B1 (en) 2013-06-13 2013-08-14 이범수 Map gui system for camera control
JP2013236215A (en) 2012-05-08 2013-11-21 Panasonic Corp Display video forming apparatus and display video forming method
JP2014501046A (en) 2010-09-20 2014-01-16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Integrated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portable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2180A (en) 1996-01-29 1997-08-05 Niles Parts Co Ltd On-board camera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2057A (en) 2003-12-26 2005-07-14 D Link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segmented display of spatial image
JP2014501046A (en) 2010-09-20 2014-01-16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Integrated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portable terminal
JP2013236215A (en) 2012-05-08 2013-11-21 Panasonic Corp Display video forming apparatus and display video forming method
KR101297294B1 (en) 2013-06-13 2013-08-14 이범수 Map gui system for camera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196A (en) 2018-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36060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program thereof,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program, and imaging apparatus
JP6226538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9936112B2 (en) Monitoring camera
JP2013066121A (en) Imaging apparatus, monitoring camera and method for masking camera screen
JP2012160898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10791258B2 (en) Monitoring apparatus and system
KR101452342B1 (en) Surveillance Camera Unit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2474745B1 (en) The Apparatus And The System For Monitoring
KR102518863B1 (en) Monitoring system recommending viewer mode
CN109417599B (en) Portable terminal
JP2015171116A (en) Display device of camera
JP5955114B2 (en) Imag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ogram
KR20180111535A (en) Video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video display apparatus
KR102518855B1 (en) The Apparatus And The System For Monitoring
JP2018182712A (en) Monitor system and imaging direction control device
KR101294840B1 (en) Controlling system of cctv
KR2011007995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n object surveilance by setting a surveillance area
KR102634188B1 (en) System for monitoring image
JP6234506B2 (en) Computer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ogram
KR20150016450A (en) controlling system of CCTV
JP2011254302A (en) Camera with proximity detection means
JP2019062451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