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8706B1 - Blocker of power distribution line - Google Patents
Blocker of power distribution l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18706B1 KR102518706B1 KR1020220026370A KR20220026370A KR102518706B1 KR 102518706 B1 KR102518706 B1 KR 102518706B1 KR 1020220026370 A KR1020220026370 A KR 1020220026370A KR 20220026370 A KR20220026370 A KR 20220026370A KR 102518706 B1 KR102518706 B1 KR 1025187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ing
- jump
- terminal block
- unit
- distribution lin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abstract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61 inert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16 mitig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26—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e.g. for disconnecting a section on which a short-circuit, earth fault, or arc discharge has occure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 H01H35/24—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fluid pressure, by fluid pressure waves, or by change of fluid flow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4—Arrangements or devices for damping mechanical oscillations of lines, e.g. for reducing production of soun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전선로의 구간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변전소와 수용가를 연결하는 배전선로에 포함된 배전선에 설치되어 이상이 발생될 경우 전기적 연결상태를 차단할 수 있고, 발생된 이상상태가 해소될 때까지 차단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상상태가 해소되어 차단상태가 해제되는 경우에 별도의 구동장치 없이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배전선로의 구간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tion blocking device of a distribution line, and more particularly, is installed in a distribution line included in a distribution line connecting a substation and a customer, and can block the electrical connection state when an abnormality occurs, and the abnormal state that occur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tion blocking device of a distribution line capable of maintaining a cut-off state until is resolved, and maintaining a connected state without a separate driving device when the cut-off state is released due to the resolution of an abnormal state.
배전선로는 변전소에서 직접 수용가에 전력을 분배하는 선로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변전소에서 다수의 수용가에 전력을 분배하여 공급하므로, 배전선로는 다수의 배전선으로 이루어진다.Distribution lines refer to lines that distribute power directly from substations to consumers. In general, since one substation distributes and supplies power to a plurality of consumers, a distribution lin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distribution lines.
이러한 배전선에는 기온 변화에 따른 팽창 및 수축에 따라 변동되는 장력이 항시 가해지고 있고, 강한 바람이나 타 물체와의 충돌 등에 의해 급격한 장력의 변동에 의한 충격이 가해지기도 한다. 이러한 충격이 강하게 작용되면 배전선이 단선되는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Tension that fluctuates according to expansion and contraction due to temperature change is always applied to the distribution line, and shock due to rapid change in tension is sometimes applied due to strong wind or collision with other objects. When such an impact is strong, an accident in which a distribution line is disconnected may occur.
종래에는 배전선로에 고장이 발생된 경우, 현장의 작업자와 변전소 관리자가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정보를 서로 교환하며 변전소에 설치된 다수의 차단 장치를 일일이 동작시키는 방법으로 고장지점을 찾는 방법이 일반적이었다.Conventionally, when a failure occurs in a distribution line, a method of finding a failure point by a method in which a field worker and a substation manager exchange information using a communication means and operate a plurality of blocking devices installed in the substation one by one has been common.
이러한 방법에는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므로 복구작업이 지연됨에 따라 수용가의 정전시간 또한 길어지는 단점이 있었다.Since this method takes a lot of time and manpower, the recovery work is delayed, so the customer's outage time is also long.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특허문헌 1(KR10-0956712 B1)에는 모터의 작동에 따라 작동접속부재에 의해 전력의 차단 및 연결이 조절되도록 구성된 자동개폐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나, 옥외에 설치되는 조건에서 수분의 침투 등에 의해 손상될 가능성이 높았다.Patent Document 1 (KR10-0956712 B1), which was devised to solve these disadvantages, discloses an automatic switchgear configured to control power cutoff and connection by an operating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a motor, but under conditions installed outdoors There was a high possibility of damage due to penetration of moisture.
또한, 특허문헌 2(KR10-1713311 B1)에는 커넥터의 분리가 압축된 불활성가스의 압력에 의한 힘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간 배전선로 차단 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나, 가스봄베가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있어, 가스가 누출되는 경우, 커넥터의 연결부위에서 스파크 등이 발생되었을 때 화재 또는 폭발이 유발될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In addition, Patent Document 2 (KR10-1713311 B1) discloses a section distribution line blocking device in which the connector is disconnected by the force of the pressure of the compressed inert gas, but the gas cylinder is installed in the housing, so that the gas cylinder is installed in the housing. In the case of leakag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a fire or explosion may be caused when a spark or the like is generated at the connection part of the connector.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배전선로 차단장치가 개발되었으며, 종래기술에 따른 차단장치는, 배전선로에 포함된 배전선에 작용되는 장력변화에 따른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와, 배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한 쌍의 점프선과 연결되어 배전선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차단부와, 배전선 및 차단부의 작동여부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완충부는 배전선의 단부에 각각의 일단부가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연결된 와이어의 타단부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완충수단과, 한 쌍의 완충수단을 커버하고, 양측에 와이어가 통과하는 통공이 각각 형성되며, 하측이 개방된 용기 형상을 갖는 덮개와, 통공의 가장자리부분에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수단을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distribution line blocking device has been developed, and a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cludes a buffer unit for mitigating an impact caused by a change in tension acting on a distribution line included in a distribution line, and a on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istribution line. A blocking unit connected to the pair of jump wires to block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distribution line,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whether the distribution line and the blocking unit operate, and the buffer unit is the other end of the wire connected to the end of the distribution line so that each end is electrically insulated. A pair of buffering means connected to each, and covering the pair of buffering mean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wire passes is formed on both sides, and a cover having a container shape with the lower side open, and a lid coupled to the edge of the through hole. Includes a pair of support means.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05640호(2021년 09월 29일 공고, 발명의 명칭 : 구간 배전선로 차단장치)에 개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305640 (Announcement on September 29, 2021, title of invention: section distribution line blocking device).
종래기술에 따른 차단장치는, 연결상태를 유지하는 기술구성이 커넥터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커넥터의 연결이 이루어진 후에 장기간 경과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크링의 탄성력이 저하되면 차단작동이 이루어진 후에 다시 연결상태로 전환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the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since the technical configuration for maintaining the connection state is made by the elastic force acting in the direction of pressing the connector, if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that provides the elastic force decreases after a long period of time after the connector is connect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switch back to the connected state after the blocking operation is performed.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is.
본 발명은 변전소와 수용가를 연결하는 배전선로에 포함된 배전선에 설치되어 이상이 발생될 경우 전기적 연결상태를 차단할 수 있고, 발생된 이상상태가 해소될 때까지 차단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상상태가 해소되어 차단상태가 해제되는 경우에 별도의 구동장치 없이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배전선로의 구간 차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distribution line included in a distribution line connecting a substation and a customer, and when an abnormality occurs, the electrical connection state can be cut off, and the cutoff state can be maintained until the generated abnormal state is resolv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ction blocking device of a distribution line capable of maintaining a connected state without a separate driving device when the blocking state is released.
본 발명은, 점프선로에 포함된 점프선에 작용되는 장력변화에 따른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 상기 점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한 쌍의 점프선과 연결되어 상기 점프선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차단부; 상기 점프선 및 상기 차단부의 작동여부를 조절하는 제어부; 상기 차단부에 의해 결합된 상기 점프선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는 결합유지부; 및 상기 점프선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작동이 개시되면 상기 차단부의 연결작동을 상기 결합유지부의 잠금작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연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 buffer unit for alleviating the impact according to the change in tension applied to the jump line included in the jump line; a blocking unit that is connected to a pair of jump line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jump lines to block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jump lines; a control unit controlling whether the jump line and the blocking unit operate; a coupling holding unit for maintaining a coupled state of the jump wire coupled by the blocking unit; and an interlocking unit that converts the connection operation of the blocking unit into a locking operation of the coupling holding unit and transmits the connection operation when the connection operation for connecting the jump line is started.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차단부는, 상기 점프선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제1단자블록에 설치되고, 상기 제1단자블록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2단자블록에 출몰되는 로드가 연결되어 작동유체의 공급 방향에 따라 상기 로드가 출몰되면서 상기 제1단자블록과 상기 제2단자블록을 연결 또는 분리시키는 차단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lock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first terminal block installed at the connection part of the jump line, and a rod protruding and retracted in the second terminal block disposed opposite to the first terminal block is connected to supply the working flui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locking cylinder for connecting or separating the first terminal block and the second terminal block as the rod protrudes and retracts according to the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차단실린더는 상기 제1단자블록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지지대에 설치되고, 상기 로드는 상기 제2단자블록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지지대에 연결되고, 상기 차단실린더 내부로 상기 로드가 삽입되도록 상기 차단실린더의 일단에는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제1유로가 연결되고, 상기 차단실린더로부터 상기 로드가 돌출되도록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제2유로가 상기 제1지지대에 구비되는 연동해제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locking cylin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first support extending from the first terminal block, the rod is connected to a second support extending from the second terminal block, and the rod enters the blocking cylinder. A first flow path for supplying a working fluid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hut-off cylinder to be inserted, and a second flow path for supplying a working fluid so that the rod protrudes from the shut-off cylinder is connected to the interlock release part provided in the first support. characterized by being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결합유지부는, 상기 제2지지대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크부재; 상기 제1지지대에 구비되고, 상기 후크부재와 걸림결합되어 상기 제1단자블록과 상기 제2단자블록이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걸림후크; 및 상기 걸림후크가 상기 제1지지대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upling hold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ok member is installed to be able to protrude from the second support; a hook provided on the first support and engaged with the hook member to keep the first terminal block and the second terminal block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n elastic member providing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catching hook maintains a protruding state outside the first support.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의 구간 차단장치는, 작동의 신뢰성 및 옥외 환경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배전선로의 급격한 장력변화에 따른 충격에 의한 배전선로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작동유체의 공급여부에 따라 제1단자블록과 제2단자블록의 연결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는 차단부가 구비되고, 작동유체의 공급 방향을 전환시켜 결합유지부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킨 후에 차단부의 차단작동을 해제시키는 연동부 및 연동해제부가 구비되므로 작동유체의 공급 방향을 전환시키는 간단한 작동에 의해 제1단자블록과 제2단자블록의 연결상태를 연결 또는 차단시킬 수 있고, 차단부에 제공되는 작동유체의 공급이 중단되어도 제1연결블록과 제2연결블록이 분리되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section blocking device of the distribution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reliability of operation and durability against the outdoor environment, can minimize damage to the distribution line due to shock caused by a sudden change in tension of the distribution line, and whether or not the supply of working fluid Accordingly, a blocking unit capable of releas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first terminal block and the second terminal block is provided, and an interlocking unit that releases the blocking operation of the blocking unit after releasing the locked state of the coupling holding unit by changing the supply direction of the working fluid. and an interlocking release unit, the connection state of the first terminal block and the second terminal block can be connected or disconnected by a simple operation of changing the supply direction of the working fluid, even if the supply of the working fluid provided to the blocking unit is stopped. There is an advantage in preventing a malfunction in which the first connection block and the second connection block are separ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구간 차단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구간 차단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구간 차단장치의 완충수단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구간 차단장치의 완충수단이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구간 차단장치의 차단부, 결합유지부 및 연동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구간 차단장치의 차단부, 결합유지부 및 연동부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구간 차단장치의 연동해제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ction blocking device of a distribution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ction blocking device of a distribution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a buffer means of a section blocking device of a distribution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a buffer means of a section blocking device of a distribution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blocking unit, a coupling holding unit, and an interlocking unit of a section blocking device of a distribution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blocking unit, a coupling holding unit, and an interlocking unit of a section blocking device of a distribution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lock release unit of a section blocking device of a distribution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의 구간 차단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section blocking device of a distribution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lines or the size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operator.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will have to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구간 차단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구간 차단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구간 차단장치의 완충수단이 도시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tion blocking device of a distribution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tion blocking device of a distribution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drawing showing a buffer means of a section blocking device of a distribution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구간 차단장치의 완충수단이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구간 차단장치의 차단부, 결합유지부 및 연동부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구간 차단장치의 차단부, 결합유지부 및 연동부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구간 차단장치의 연동해제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4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a buffering means of a section blocking device of a distribution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blocking unit of the section blocking device of a distribution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oupling holding unit and an interlocking unit, and FIG. 6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a blocking unit, a coupling holding unit, and an interlocking unit of a section blocking device of a distribution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interlocking release unit of a section blocking device of a distribution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구간 차장치는, 전주에 구비된 암(71)에 설치될 수 있고, 완충부(10), 차단부(30), 제어부(50), 결합유지부(36), 연동부(37) 및 연동해제부(38)를 포함한다.1 to 7, the section difference device of a distribution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on an
본 실시예의 완충부(10)는 배전선(81, 82)에 작용되는 장력변화에 따른 충격을 완화하고, 차단부(30)는 배전선(81, 82)에 이상 발생시 배전선(81, 82)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며, 제어부(50)는 차단부(30)의 작동여부를 조절하고 관리자 또는 현장의 작업자에게 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hock absorber 10 of this embodiment alleviates the shock caused by the change in tension applied to the
완충부(10)에는 덮개(11), 한 쌍의 지지수단(13) 및 한 쌍의 완충수단(15, 15a)이 포함된다.The buffer unit 10 includes a
덮개(11)에는 전주(70)의 암(71)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111)가 형성되고, 고정부(111)에는 체결공(112)이 형성되며, 체결공(112)에는 체결부재(72)가 체결되어 덮개(11)가 암(71)에 고정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A
덮개(11)는 하측이 개방된 용기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그 양측에는 통공(113, 하나는 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며, 통공(133) 주변에는 체결공(114)이 형성된다.The
덮개(11)의 양측으로는 한 쌍의 지지수단(13)에 의해 연결된 한 쌍의 와이어(141, 142)의 일부가 각각 돌출되고, 와이어(141, 142)의 단부에는 배전선(81, 82)의 단부가 각각 연결된다. 와이어(141, 142) 및 배전선(81, 82) 사이에는 애자(143, 144)가 각각 설치되어, 와이어(141, 142) 및 배전선(81, 82)은 전기적으로 절연된다.On both sides of the
배전선(81, 82)에는 접속구(145, 146)가 각각 설치되며, 접속구(145, 146)에는 점프선(321, 322)의 단부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결합된다.
완충수단(15, 15a)은 덮개(11)에 의해 커버되는 형상으로 덮개(11) 내부에 고정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와이어(141, 142)는 덮개(11)의 양측에 형성된 통공(113, 하나는 도시되지 않음)을 통과하여 완충수단(15, 15a)에 연결된다.The buffering means (15, 15a) is installed to be fixedly supported inside the cover (11) in a shape covered by the cover (11). The
덮개(11)의 개방된 하측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차단부(30)에 포함된 하우징(31)이 결합되고, 한 쌍의 완충수단(15, 15a) 중 하나의 완충수단(15)은, 본체부(158)의 일측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스프링부재(162)와, 일단이 스프링부재(162)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이 와이어(141, 142)의 일단에 결합되어, 와이어(141, 142)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구형의 볼부재(164)와, 본체부(158)의 타측에 결합되어 볼부재(164)로부터의 충격을 완충시키고 스토퍼 기능을 하는 완충스토퍼부재(420)를 포함한다.The
여기서, 본체부(158)의 일측에는 와이어(141)가 통과하는 통과홀(159)이 형성되어 있고, 스프링부재(162)는 제1 고정편(161)을 통해 본체부(158)에 결합되고 제2 고정편(163)을 통해 스프링부재(162)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들 결합은 볼트방식이나 용접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a
와이어(141)의 일단은 와이어용 연결구(141a)를 볼부재(164)와 연결될 수 있고, 볼부재(164)는 내구성을 위해 금속재질로 제조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One end of the
본 실시예의 와이어(141)에 일측방향의 인장력(F)이 작용된다. 이때 인장력(F)은 스프링부재(162)의 탄성력보다 더 크므로 스프링부재(162)와 와이어(141)의 일단 사이에 결합된 볼부재(164)가 도면상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스프링부재(162)는 인장되고, 최대의 인장력(F)이 가해지면 볼부재(164)는 완충스토퍼부재(420)에 접촉되어 충격이 완충되고 스토퍼 기능에 의해 더 이상 진행하지 않고 완충스토퍼부재(420)를 누른 채로 유지될 수 있다.A tensile force F in one direction is applied to the
반대로, 와이어(141)에 작용되던 인장력(F)이 해제되면 인장되었던 스프링부재(16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볼부재(164)는 원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Conversely, when the tensile force F applied to the
또한, 본 실시예는, 차단부(30)에 의해 분리된 점프선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는 결합유지부(36)와, 점프선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작동이 개시되면 차단부(30)의 연결작동을 결합유지부(36)의 잠금작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연동부(37)를 포함하므로 차단작업이 종료된 후에 차단부(30)를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점프선의 연결을 진행하면 연동부(37)의 작동에 의해 점프선의 연결상태를 유지시키게 되므로 차단부(30)에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별도의 작동이 해제되어도 점프선이 연결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when the
본 실시예의 차단부(30)는, 점프선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제1단자블록(32)에 설치되고, 제1단자블록(32)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2단자블록(34)에 출몰되는 로드가 연결되어 작동유체의 공급 방향에 따라 로드가 출몰되면서 제1단자블록(32)과 제2단자블록(34)을 연결 또는 분리시키는 차단실린더(35)를 포함한다.The blocking
따라서 작동유체의 공급 방향에 따라 로드가 차단실린더(35)로부터 돌출되면 제1단자블록(32)과 제2단자블록(34)이 분리되어 점프선이 서로 분리되고, 작동유체의 공급방향이 전환되어 로드가 차단실린더(35) 내부로 삽입되면 제1단자블록(32)과 제2단자블록(34)이 밀착되면서 점프선이 연결된 상태로 전환된다.Therefore, when the rod protrudes from the blocking
본 실시예의 차단실린더(35)는 제1단자블록(32)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지지대(32a)에 설치되고, 로드는 제2단자블록(34)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지지대(34a)에 연결되고, 차단실린더(35) 내부로 로드가 삽입되도록 차단실린더(35)의 일단에는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제1유로(35a)가 연결되고, 차단실린더(35)로부터 로드가 돌출되도록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제2유로(35b)가 제1지지대(32a)에 구비되는 연동해제부(38)에 연결된다.The blocking
따라서 제1유로(35a)를 통해 작동유체가 차단실린더(35)의 일단 측으로 공급되면 로드가 차단실린더(35) 내부로 삽입되고, 제2유로(35b)를 통해 작동유체가 연동해제부(38)를 지나 차단실린더(35)의 타단으로 공급되면 로드가 차단실린더(35)로부터 돌출되면서 제1지지대(32a)와 제2지지대(34a)를 분리시키므로 제1단자블록(32)과 제2단자블록(34)이 분리되면서 점프선이 분리되어 전기적인 차단이 이루어지게 된다.Therefore, when the working fluid is supplied to one end of the blocking
본 실시예의 결합유지부(36)는, 제2지지대(34a)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크부재(36a)와, 제1지지대(32a)에 구비되고, 후크부재(36a)와 걸림결합되어 제1단자블록(32)과 제2단자블록(34)이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걸림후크(36b)와, 걸림후크(36b)가 제1지지대(32a)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36c)를 포함한다.The
후크부재(36a)는 제1지지대(32a)의 양단부가 상측으로 굴곡되어 이루어지는 지지턱부를 통해 측 방향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연동부(37)의 곡선연장부(37a)의 외측 단부에 후크부재(36a)가 구비되므로 제1단자블록(32)이 하강하여 제2단자블록(34)에 밀착되면 제1단자블록(32)이 곡선연장부(37a)를 가압하여 지지턱부 외측으로 곡선연장부(37a)를 돌출시키게 된다.The
이때, 돌출연장부의 외측 단부에 형성되는 후크부재(36a)는 곡선 모양의 돌출연장부에 의해 상측으로 회저되면서 제1단자블록(32) 상측으로 돌출된 걸림후크(36b)와 걸림결합되어 제1단자블록(32)과 제2단자블록(34)이 밀착된 결합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At this time, the
본 실시예의 연동부(37)는, 지지턱부에 형성되는 홀부를 따라 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측 방향으로 굴곡되게 형성되는 곡선연장부(37a)와, 지지턱부에 구비되는 지지축(37c)과, 지지축(37c)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곡선연장부(37a)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홀부(37b)를 포함한다.The interlocking
따라서 제1단자블록(32)이 하강하여 제2단자블록(34)과 밀착되면 제1단자블록(32)이 곡선연장부(37a)의 내측 단부를 가압하면서 곡선연장부(37a)를 지지턱부 외측으로 돌출시키게 되고, 이때, 지지축(37c)이 슬라이딩홀부(37b)를 따라 이동되면서 곡선연장부(37a)를 상측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므로 상측 방향으로 회전되는 곡선연장부(37a)의 외측 단부에 구비되는 후크부재(36a)는 제1단자블록(32)의 상면 측으로 회전되어 걸림후크(36b)와 걸림결합을 이루게 된다.Therefore, when the first
상기한 바와 같이 차단실린더(35)의 구동에 의해 제1단자블록(32)와 제2단자블록(34)이 밀착되면 곡선연장부(37a)가 제1단자블록(32)에 의해 가압되면서 지지턱부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상측으로 회전되므로 후크부재(36a)와 걸림후크(36b)의 걸림결합이 이루어지고, 차단실린더(35)에 제공되던 작동유체의 가압력이 해제되어도 후크부재(36a)와 걸림후크(36b)의 걸림결합에 의해 제1단자블록(32)과 제2단자블록(34)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점프선 및 배전선의 전기적 연결이 유지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또한, 본 실시예는, 차단부(30)의 작동에 의해 점프선의 차단작동이 개시되기 전에 결합유지부(36)의 해제작동을 먼저 진행시킨 후에 차단부(30)의 차단작동을 진행시키는 연동해제부(38)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before the jump line blocking operation is started by the operation of the blocking
본 실시예의 연동해제부(38)는, 걸림후크(36b)가 제1단자블록(32)으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지지대(32a)의 작동공간 상면에 형성되고, 제2유로(35b)가 연결되는 해제홀부(38a)와, 작동공간부의 하부 측면에 형성되는 우회홀부(38b)와, 우회홀부(38b)로부터 차단실린더(35)의 타단까지 연결되는 우회유로(38c)를 포함한다.The interlocking
따라서 제2유로(35b)를 통해 작동유체가 공급되면서 차단작동이 개시되면 제2유로(35b)를 따라 공급되는 작동유체는 해제홀부(38a)를 통해 작동공간부 상부로 유입되면서 걸림후크(36b)를 작동공간부 내측 방향으로 후퇴시키게 되고, 이후에 걸림후크(36b)의 하강운동이 완료되면 우회홀부(38b)가 개방되면서 작동유체가 우회유로(38c)를 따라 차단실린더(35)의 타단 측으로 공급되면서 로드가 차단실린더(35)로부터 돌출되어 제1단자블록(32)과 제2단자블록(34)을 분리시키는 차단작동을 진행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blocking operation is started while the working fluid is supplied through th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작동유체의 공급에 의해 후크부재(36a)와 걸림후크(36b)의 걸림결합이 먼저 해제된 후에 차단실린더(35)로부터 로드가 돌출되면서 제1단자블록(32)과 제2단자블록(34)의 분리작동이 이루어지므로 기술구성들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면서 차단작동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이로써, 변전소와 수용가를 연결하는 배전선로에 포함된 배전선에 설치되어 이상이 발생될 경우 전기적 연결상태를 차단할 수 있고, 발생된 이상상태가 해소될 때까지 차단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상상태가 해소되어 차단상태가 해제되는 경우에 별도의 구동장치 없이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배전선로의 구간 차단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it is installed in the distribution line included in the distribution line connecting the substation and the consumer, and when an abnormality occurs, the electrical connection state can be cut off, and the cutoff state can be maintained until the abnormal state is resolved, and the abnormal state is resolv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ction blocking device of a distribution line capable of maintaining a connected state without a separate driving device when the blocking state is releas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therefrom. will understand
또한, 배전선로의 구간 차단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배전선로의 구간 차단장치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차단장치를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section blocking device of the distribution line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e bloc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other products other than the section blocking device of the distribution line.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below.
10 : 완충부 30 : 차단부
32 : 제1단자블록 34 : 제2단자블록
35 : 차단실린더 36 : 결합유지부
37 : 연동부 38 : 연동해제부
50 : 제어부 10: buffer part 30: blocking part
32: first terminal block 34: second terminal block
35: blocking cylinder 36: coupling holding unit
37: interlocking unit 38: interlocking unit
50: control unit
Claims (4)
상기 점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한 쌍의 점프선과 연결되어 상기 점프선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차단부;
상기 점프선 및 상기 차단부의 작동여부를 조절하는 제어부;
상기 차단부에 의해 결합된 상기 점프선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는 결합유지부; 및
상기 점프선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작동이 개시되면 상기 차단부의 연결작동을 상기 결합유지부의 잠금작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연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는, 상기 점프선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제1단자블록에 설치되고, 상기 제1단자블록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2단자블록에 출몰되는 로드가 연결되어 작동유체의 공급 방향에 따라 상기 로드가 출몰되면서 상기 제1단자블록과 상기 제2단자블록을 연결 또는 분리시키는 차단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프선로의 구간 차단장치.
A shock absorber for alleviating the shock caused by the change in tension applied to the jump line included in the jump line;
a blocking unit that is connected to a pair of jump line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jump lines to block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jump lines;
a control unit controlling whether the jump line and the blocking unit operate;
a coupling holding unit for maintaining a coupled state of the jump wire coupled by the blocking unit; and
And an interlocking unit that converts the connection operation of the blocking unit into a locking operation of the engagement holding unit when a connection operation for connecting the jump line is started,
The blocking part is installed in the first terminal block installed at the connection part of the jump wire, and a rod protruding from the second terminal block disposed opposite to the first terminal block is connected to the rod according to the supply direction of the working fluid. Section blocking device of a jump li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locking cylinder for connecting or separating the first terminal block and the second terminal block while appearing and retracting.
상기 차단실린더는 상기 제1단자블록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지지대에 설치되고, 상기 로드는 상기 제2단자블록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지지대에 연결되고,
상기 차단실린더 내부로 상기 로드가 삽입되도록 상기 차단실린더의 일단에는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제1유로가 연결되고,
상기 차단실린더로부터 상기 로드가 돌출되도록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제2유로가 상기 제1지지대에 구비되는 연동해제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프선로의 구간 차단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locking cylinder is installed on a first supporter extending from the first terminal block, and the rod is connected to a second supporter extending from the second terminal block;
A first flow path for supplying a working fluid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locking cylinder so that the rod is inserted into the blocking cylinder,
The section blocking device of the jump l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flow path for supplying the working fluid so that the rod protrudes from the blocking cylinder is connected to the interlock release part provided in the first support.
상기 제2지지대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크부재;
상기 제1지지대에 구비되고, 상기 후크부재와 걸림결합되어 상기 제1단자블록과 상기 제2단자블록이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걸림후크; 및
상기 걸림후크가 상기 제1지지대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프선로의 구간 차단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upling holding unit,
a hook member protruding from the second support;
a hook provided on the first support and engaged with the hook member to keep the first terminal block and the second terminal block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Section blocking device of a jump li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lastic member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maintain the state in which the locking hook protrudes outward from the first suppor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26370A KR102518706B1 (en) | 2022-02-28 | 2022-02-28 | Blocker of power distribution li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26370A KR102518706B1 (en) | 2022-02-28 | 2022-02-28 | Blocker of power distribution lin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18706B1 true KR102518706B1 (en) | 2023-04-06 |
Family
ID=85918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26370A KR102518706B1 (en) | 2022-02-28 | 2022-02-28 | Blocker of power distribution li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18706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43372B1 (en) * | 2018-09-07 | 2019-04-17 | 주식회사 무영씨엠건축사사무소 | Circuit breaker for fault section of distribution line |
KR101990525B1 (en) * | 2018-12-17 | 2019-06-18 | 주식회사 천아엔지니어링 | Fault Line Automatic Open and Close Controlling Device of Distribution Line |
KR102075124B1 (en) * | 2019-09-06 | 2020-02-07 | 주식회사 종합전기기술사사무소 | Switch disposal action indicator for power distribution |
KR102299869B1 (en) * | 2020-12-22 | 2021-09-08 | 주식회사 태화엔지니어링 | Grounding facility for power distribution poles |
KR102305640B1 (en) * | 2021-03-30 | 2021-09-29 | (주)대진방재 | Circuit breaker for section of distribution line |
-
2022
- 2022-02-28 KR KR1020220026370A patent/KR10251870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43372B1 (en) * | 2018-09-07 | 2019-04-17 | 주식회사 무영씨엠건축사사무소 | Circuit breaker for fault section of distribution line |
KR101990525B1 (en) * | 2018-12-17 | 2019-06-18 | 주식회사 천아엔지니어링 | Fault Line Automatic Open and Close Controlling Device of Distribution Line |
KR102075124B1 (en) * | 2019-09-06 | 2020-02-07 | 주식회사 종합전기기술사사무소 | Switch disposal action indicator for power distribution |
KR102299869B1 (en) * | 2020-12-22 | 2021-09-08 | 주식회사 태화엔지니어링 | Grounding facility for power distribution poles |
KR102305640B1 (en) * | 2021-03-30 | 2021-09-29 | (주)대진방재 | Circuit breaker for section of distribution lin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153881B2 (en) | Flexible tunnel for a connection terminal and terminal comprising one such tunnel | |
JP5418715B1 (en) | Switch | |
KR102518706B1 (en) | Blocker of power distribution line | |
KR101787359B1 (en) | Assistance Apparatus For Aerial Distribution Line | |
EP1942512B1 (en) | Safety switch mounting | |
CA2956403A1 (en) | High-current plug with clip lock | |
CN101346790A (en) | Command device with switching element monitoring | |
KR101640712B1 (en) | Vaccum circuit braker | |
EP2013891B1 (en) |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shunting a circuit breaker | |
KR102072330B1 (en) | Load break switch with disconnect switch | |
CN109119299B (en) | Leakage protector | |
KR20190000956U (en) | conneting unit for clamp and insulator | |
JP4854600B2 (en) | Grounding tool | |
CN101042961A (en) | Electrical component with special contact tip structure | |
US9303789B2 (en) | Disconnect device for suspended lines | |
JPH053713B2 (en) | ||
WO2011015232A1 (en) | A switching device | |
EP3279917B1 (en) | Linkage-based off-stop apparatus and methods for circuit breakers | |
KR200339332Y1 (en) | Holder ring device for a Cut-out-switch | |
CN117095993B (en) | Circuit breaker for robot | |
CN205028835U (en) | A static contact component for perpendicular telescopic isolator of single -column | |
US2657372A (en) | Clamp retainer | |
KR102088935B1 (en) | conical spring instant contact type circuit breaker | |
CN215299169U (en) | Rotary maintaining type leakage protector | |
KR102697064B1 (en) | Device for transform contact and circuit breaker us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