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8143B1 - 스프레이건조를 이용한 활물질 제조방법, 이를 통해 제조된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스프레이건조를 이용한 활물질 제조방법, 이를 통해 제조된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8143B1
KR102518143B1 KR1020160146360A KR20160146360A KR102518143B1 KR 102518143 B1 KR102518143 B1 KR 102518143B1 KR 1020160146360 A KR1020160146360 A KR 1020160146360A KR 20160146360 A KR20160146360 A KR 20160146360A KR 102518143 B1 KR102518143 B1 KR 102518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e material
carbon
nickel hydroxide
spray drying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6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9891A (ko
Inventor
양선혜
김익준
이경남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46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8143B1/ko
Publication of KR20180049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9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8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8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01G11/3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01G11/32Carbon-based
    • H01G11/34Carbon-based characterised by carbonisation or activation of 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20Graph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30Active carb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84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hybrid or EDL capacitors, or components thereof
    • H01G11/86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hybrid or EDL capacitors, or components thereof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레이건조를 이용한 활물질 제조방법, 이를 통해 제조된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에 있어서, α-니켈하이드록사이드와 탄소재를 혼합하여 α-니켈하이드록사이드/탄소재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α-니켈하이드록사이드/탄소재 복합체를 스프레이건조하여 균일한 입자 사이즈를 가지는 활물질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하이브리드 커패시터용 활물질인 α-니켈하이드록사이드와 전도성 증가를 위해 탄소재를 혼합한 복합체를 스프레이건조 방법을 통해 균일한 입도를 형성하며, 이를 활물질로 적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스프레이건조를 이용한 활물질 제조방법, 이를 통해 제조된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ctive material using a spray-dried, thereby the active material and energy storage device including the active material}
본 발명은 스프레이건조를 이용한 활물질 제조방법, 이를 통해 제조된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이브리드 커패시터용 활물질인 α-니켈하이드록사이드와 전도성 증가를 위해 탄소재를 혼합한 복합체를 스프레이건조 방법을 통해 균일한 입도를 형성하며, 이를 활물질로 적용한 스프레이건조를 이용한 활물질 제조방법, 이를 통해 제조된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산업발전 및 생활수준 향상에 맞춰 휴대 전자기기의 소형화와 장시간 연속 사용을 목표로 부품의 경량화와 저소비 전력화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소형이면서 고용량을 실현할 수 있는 고성능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최근에는 리튬 이온 전지(lithium ion battery), 전기이중층 커패시터(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EDLC), 슈퍼 커패시터(super capacitor) 또는 하이브리드 커패시터(hybrid capacitor)와 같은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를 전기자동차, 전지전력 저장시스템 등 대용량 전력저장전지와 휴대전화, 캠코더, 노트북 등의 휴대전자기기 등과 같은 소형의 고성능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리튬 이온 전지의 경우 높은 에너지밀도를 나타냄에도 불구하고 낮은 출력특성과 1000회 정도의 충방전 횟수로 인해 무선충전 효율이 감소하고, 2~3년 사용 후에는 교체하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전기이중층 커패시터는 높은 출력과 많은 충방전 횟수로 인해 높은 무선충전 효율과 10년 이상의 장기신뢰성을 지니나, 낮은 에너지밀도로 인해 1회 충전시 사용할 수 있는 용량이 작아 상업적 가치가 떨어진다. 따라서 높은 무선충전 효율 및 장기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전기이중층 커패시터와 이차전지와의 장점을 겸비한 하이브리드 커패시터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하이브리드 커패시터는 전기이중층 커패시터의 출력특성과 이차전지의 에너지 특성을 겸비한 융합형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이며, 전기이중층 커패시터의 장점과 이차전지의 장점을 모두 가지고 있어 최근 커패시터 시장에서는 최근에 이러한 커패시터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하이브리드 커패시터는 주로 활물질로 루테늄옥사이드(RuO2), 망가니즈옥사이드(MnO2), 니켈옥사이드(Ni(OH)2), 틴옥사이드(SnO2), 몰리브데넘옥사이드(Mo2N), 티타늄니트라이드(TiN), 바나듐옥사이드(V2O5), 페라이트(MnFe2O4), 탄탈럼옥사이드(Ta2O5) 등과 같은 전이금속산화물(transition metal oxide)을 많이 사용한다. 그 중 니켈옥사이드는 3152F/g의 높은 이론용량, 안정적인 전기화학 반응, 우수한 속도 성능, 알칼리성 전해질에서의 구조적 안정성으로 인하여 많이 활용되어지고 있다.
종래의 니켈옥사이드를 합성하는 방법으로는 주로 침전법(precipitation), 전해석출법(electrodeposition), 졸-겔기법(sol-gel technique) 등을 이용하였는데, 이러한 방법들을 이용하여 니켈옥사이드를 합성하게 되면 마이크론 사이즈의 입자가 불균일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입도 범위가 넓어지거나 또는 나노 사이즈의 응집된 나노구조체가 형성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불균일한 입도 및 응집된 나노 구조체의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서 셀이 비용량 및 낮은 출력특성을 나타낸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 제10-0856286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 제10-0833041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 제10-0571267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이브리드 커패시터용 활물질인 α-니켈하이드록사이드와 전도성 증가를 위해 탄소재를 혼합한 복합체를 스프레이건조 방법을 통해 균일한 입도를 형성하며, 이를 활물질로 적용한 스프레이건조를 이용한 활물질 제조방법, 이를 통해 제조된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α-니켈하이드록사이드와 탄소재를 혼합하여 α-니켈하이드록사이드/탄소재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α-니켈하이드록사이드/탄소재 복합체를 스프레이건조하여 균일한 입자 사이즈를 가지는 활물질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건조를 이용한 활물질 제조방법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α-니켈하이드록사이드는, 니켈클로라이드하이드레이트 수용액(nickel chloride hydrate solution)을 용매에 분산시킨 후 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NH4OH)를 pH 9가 될때까지 교반시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탄소재는, 활성탄(activated carbon), 그라파이트(graphite), 그래핀(graphene), 그래핀옥사이드(graphene oxide, GO), 환원된 그래핀옥사이드(reduced graphene oxide, RGO),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 탄소섬유(carbon fiber), 전도성폴리머(conducting polymer), 에어로겔(aerogel)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프레이건조는 150 내지 200℃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은, 균일한 입자 사이즈를 가지는 α-니켈하이드록사이드/탄소재 복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건조를 통해 제조된 활물질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α-니켈하이드록사이드/탄소재 복합체는, α-니켈하이드록사이드/그래핀옥사이드 복합체(α-Ni(OH)2/GO)이거나, 상기 탄소재는, 활성탄(activated carbon), 그라파이트(graphite), 그래핀(graphene), 그래핀옥사이드(graphene oxide, GO), 환원된 그래핀옥사이드(reduced graphene oxide, RGO),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 탄소섬유(carbon fiber), 전도성폴리머(conducting polymer), 에어로겔(aerogel)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은 또한, α-니켈하이드록사이드/탄소재 복합체를 양극활물질로 포함하는 양극과; 환원된 그래핀옥사이드(reduced graphene oxide, RGO)를 음극활물질로 포함하는 음극과;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이 침지되는 전해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하이브리드 커패시터용 활물질인 α-니켈하이드록사이드와 전도성 증가를 위해 탄소재를 혼합한 복합체를 스프레이건조 방법을 통해 균일한 입도를 형성하며, 이를 활물질로 적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이건조를 이용한 활물질 제조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2는 비교예 및 실시예의 임피던스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3은 비교예 및 실시예의 인가 전류 밀도에 따른 출력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이건조를 이용한 활물질 제조방법, 이를 통해 제조된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활물질은 균일한 입자 사이즈를 가지는 α-니켈하이드록사이드/탄소재 복합체, 더 바람직하게는 균일한 입자 사이즈를 가지는 α-니켈하이드록사이드/그래핀옥사이드 복합체(α-Ni(OH)2/GO)이다. 또한 본 발명의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는, α-니켈하이드록사이드/탄소재 복합체를 양극활물질로 포함하는 양극과, 환원된 그래핀옥사이드(reduced graphene oxide, RGO)를 음극활물질로 포함하는 음극과, 양극 및 음극이 침지되는 전해액을 포함한다.
이러한 활물질의 제조방법으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α-니켈하이드록사이드와 탄소재를 혼합하여 α-니켈하이드록사이드/탄소재 복합체를 제조한다(S1).
하이브리드 커패시터에 사용되는 활물질은 다양하나 그 중 높은 이론용량, 안정적인 전기화학 반응, 우수한 속도 성능, 알칼리성 전해질에서의 구조적 안정성을 보이는 α-니켈하이드록사이드(α-Ni(OH)2)와 탄소재를 혼합하여 α-니켈하이드록사이드/탄소재 복합체를 제조한다. 여기서 α-니켈하이드록사이드는 니켈클로라이드하이드레이트 수용액(nickel chloride hydrate solution)을 용매에 분산시킨 후 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NH4OH)를 pH 9가 될때까지 교반시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재의 경우 α-니켈하이드록사이드로부터 부족한 전도성을 개선하기 위해 관능기를 가지고 있는 탄소재를 혼합하여 전도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혼합된다. 이러한 탄소재는 활성탄(activated carbon), 그라파이트(graphite), 그래핀(graphene), 그래핀옥사이드(graphene oxide, GO), 환원된 그래핀옥사이드(reduced graphene oxide, RGO),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 탄소섬유(carbon fiber), 전도성폴리머(conducting polymer), 에어로겔(aerogel)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합체를 스프레이건조한다(S2).
S1 단계에서 제조된 α-니켈하이드록사이드/탄소재 복합체를 스프레이건조(spray drying)하여 균일한 입자 사이즈를 가지는 활물질을 얻는다. 종래의 경우 활물질을 얻기 위해 침전법(precipitation), 전해석출법(electrodeposition), 졸-겔기법(sol-gel technique) 등을 이용하였는데, 이러한 방법들을 이용할 경우 마이크론 사이즈의 입자가 불균일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입도 범위가 넓어지거나 또는 나노 사이즈의 응집된 나노구조체가 형성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합체가 나노 사이즈로 균일한 입자 크기를 얻기 위해 스프레이건조 방법을 적용한다. 본 발명과 같이 복합체가 균일한 나노 사이즈의 입자로 이루어질 경우 이를 활물질로 적용한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는 안정적인 전기화학 반응을을 구현하는 고용량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스프레이건조는 스프레이건조 장비에 복합체를 넣은 후 150 내지 200℃에서 분사시켜 균일한 입자의 복합체를 얻을 수 있다. 스프레이건조 온도가 150℃ 미만일 경우 복합체의 균일한 분사가 용이하지 못하며, 200℃를 초과할 경우 복합체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비교예> : 전극 제조
1) 활물질 제조
먼저 α-니켈하이드록사이드(α-Ni(OH)2)의 합성방법으로, 니켈클로라이드하이드레이트 수용액(nickel chloride hydrate solution) 20g과 증류수 150ml를 반응기에 넣고 300rpm으로 2시간 동안 교반한다. 그 다음 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NH4OH) 용액을 한 방울씩 반응기 내에 떨어뜨려 반응기 내 용액의 pH가 9가 될 때까지 교반한다. 반응기 내의 용액 pH가 9가 되면, 담금질(quenching) 시키면서 12시간 동안 300rpm으로 교반한다. 교반이 끝나고 나면 이를 증류수로 여러 번 세척한 뒤 80℃ 진공오븐에 건조한다.
2) 양극 제조
α-Ni(OH)2를 양극활물질로 사용하였으며, 슬러리 전극의 조성은 활물질 : 도전재 : 바인더 = 89 : 6 : 5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바인더는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cellulose, CMC) 0.3g을 탈이온수(deionized water) 9.7ml에 녹인 후, 도전재인 카본블랙(carbon black)과 CoO를 각각 0.6g씩 넣어 초음파 처리를 하였다. 초음파 처리가 끝난 후 양극활물질을 16.91g 추가하여 혼합기(thinky mixer)로 20분간 처리한 뒤, 활물질, 도전재 및 바인더의 분산을 돕기 위하여 초음파처리기(ultrasonication) 또는 균질기(homogenizer)를 이용하여 10분간 처리하였다. 마지막으로 스티렌부타디엔고무(styrene butadiene rubber, SBR)를 넣어 슬러리의 점도를 1000 내지 1500mPa·S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슬러리를 1mmT의 두께를 가진 니켈폼(Ni foam)에 넣어 딥코팅을 한 다음, 100℃의 진공오븐에 전극을 건조시켰다. 전극의 건조가 끝난 후, 80℃의 핫롤프레스(hot roll press)를 이용하여 전극의 두께가 500㎛가 되도록 압착시켰다.
3) 음극 제조
환원된 그래핀옥사이드(reduced graphene oxide, RGO)를 음극활물질로 사용하였으며, 슬러리 전극의 조성물은 활물질 : 도전재 : 바인더 = 82 : 8 : 10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바인더는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0.3g을 탈이온수 9.7ml에 녹인 용액과 미리 연신시켜놓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0.5g에 도전재인 카본블랙을 1.6g씩 넣어 초음파 처리를 하였다. 초음파 처리가 끝난 후 활물질을 16.4g 추가하여 혼합기로 20분간 처리한 뒤, 활물질, 도전재 및 바인더의 분산을 돕기 위하여 초음파처리기 또는 균질기를 이용하여 10분간 처리하였다. 마지막으로 SBR을 넣어 슬러리의 점도를 1000 내지 1500mPa·S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슬러리를 1.8mmT 두께를 가진 니켈폼에 넣어 딥코팅을 한 다음 100℃의 진공오븐에 전극을 건조시켰다. 전극의 건조가 끝난 후, 80℃의 핫롤프레스를 이용하여 전극의 두께가 900㎛가 되도록 압착시켰다.
<실시예 1> : 전극 제조
1) 활물질 제조
먼저 α-니켈하이드록사이드/그래핀옥사이드 복합체(α-Ni(OH)2/GO) 합성방법으로, DI water 500ml를 넣은 반응기에 나노 사이즈의 α-니켈하이드록사이드 18g과 그래핀옥사이드(graphene oxide) 2g을 넣고, 초음파처리기(ultrasonication)를 2시간 한 다음 균질기(homogenizer)를 20,000rpm에서 30분 동안 처리하여 분산 용액을 제조한다. 이를 스프레이건조(spray drying) 장비에 넣어 180℃의 온도에서 분산시킨 후 파우더 상태의 α-니켈하이드록사이드/그래핀옥사이드 복합체 샘플을 채취한다.
2) 양극 제조
α-Ni(OH)2/GO 복합체를 양극활물질로 사용하였으며, 슬러리 전극의 조성은 활물질 : 도전재 : 바인더 = 89 : 6 : 5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바인더는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cellulose, CMC) 0.3g을 탈이온수(deionized water) 9.7ml에 녹인 후, 도전재인 카본블랙(carbon black)과 CoO를 각각 0.6g씩 넣어 초음파 처리를 하였다. 초음파 처리가 끝난 후 양극활물질을 16.91g 추가하여 혼합기(thinky mixer)로 20분간 처리한 뒤, 활물질, 도전재 및 바인더의 분산을 돕기 위하여 초음파처리기(ultrasonication) 또는 균질기(homogenizer)를 이용하여 10분간 처리하였다. 마지막으로 스티렌부타디엔고무(styrene butadiene rubber, SBR)를 넣어 슬러리의 점도를 1000 내지 1500mPa·S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슬러리를 1mmT의 두께를 가진 니켈폼(Ni foam)에 넣어 딥코팅을 한 다음, 100℃의 진공오븐에 전극을 건조시켰다. 전극의 건조가 끝난 후, 80℃의 핫롤프레스(hot roll press)를 이용하여 전극의 두께가 500㎛가 되도록 압착시켰다.
3) 음극 제조
환원된 그래핀옥사이드(reduced graphene oxide, RGO)를 음극활물질로 사용하였으며, 슬러리 전극의 조성물은 활물질 : 도전재 : 바인더 = 82 : 8 : 10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바인더는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0.3g을 탈이온수 9.7ml에 녹인 용액과 미리 연신시켜놓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0.5g에 도전재인 카본블랙을 1.6g씩 넣어 초음파 처리를 하였다. 초음파 처리가 끝난 후 활물질을 16.4g 추가하여 혼합기로 20분간 처리한 뒤, 활물질, 도전재 및 바인더의 분산을 돕기 위하여 초음파처리기 또는 균질기를 이용하여 10분간 처리하였다. 마지막으로 SBR을 넣어 슬러리의 점도를 1000 내지 1500mPa·S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슬러리를 1.8mmT 두께를 가진 니켈폼에 넣어 딥코팅을 한 다음 100℃의 진공오븐에 전극을 건조시켰다. 전극의 건조가 끝난 후, 80℃의 핫롤프레스를 이용하여 전극의 두께가 900㎛가 되도록 압착시켰다.
<실시예 2> : 셀 제조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전극을 2.5×2.5cm2으로 재단하고, 셀룰로즈(cellulose) 계열 분리막으로 양극/분리막/음극 전극 순서로 겹쳐서 쌓은 후, 테프론 셀에 투입하고 진공 감압 또는 가압이 가능한 전해액 주입기에 6M의 수산화칼륨(KOH) 전해액을 함침하고 진공 실링(sealing)하여 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 충방전 용량 측정
하이브리드 커패시터의 충방전 용량은 충방전 시험기(MACCOR, 모델명 series 4000)에서 정전류법으로 충전과 방전을 행하였다. 구동전압은 0.8 내지 1.6V에서 인가전류밀도는 2mA/cm2의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하이브리드 커패시터의 충방전 용량은 5번째의 정전류 방전에서의 시간-전압 곡선에서 아래의 식 1에 의해 계산하였다.
<식 1>
C(정전용량, F) = dt·I/Dv
<실시예 4> : 임피던스 측정
하이브리드 커패시터 셀의 임피던스(impedance)의 경우, 충방전 테스트가 끝난 후 주파수 범위 1m 내지 1MHz, 진폭(amplitude) 10mV로 분석하였으며 이때 1kHz 저항을 측정하였다. 도 2는 실시예와 비교예의 셀 저항을 비교하기 위한 임피던스 결과이며, 이 그래프는 기울기가 클수록 접촉저항(contact resistance)이 작은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실시예에 비해 비교예의 기울기가 큰 것으로 보아 실시예는 비교예에 비해 접촉저항이 개선되는 결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실시예의 1kHz 저항값은 0.178Ω이고 비교예는 0.301Ω으로 실시예의 저항값이 더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그래프에서 높은 주파수 영역에서 반원 모양이 형성되는데, 반원의 직경이 커질수록 임피던스가 커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확인하면 비교예의 반원의 직경이 실시예 반원의 직경보다 큰 것을 알 수 있으며, 반원의 직경과 접촉저항을 조합했을 경우 비교예의 임피던스가 실시예의 임피던스보다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충방전시 전극 활물질과 합성되는 그래핀옥사이드의 탄소 성분이 추가되어 전도성 향상과 동시에 산화환원반응(redox reaction)에서 전하이동(electric charge transport) 특성이 개선되기 때문인 것으로 확인된다.
<실시예 5> : 율특성
하이브리드 커패시터 셀의 율특성(rate capability)의 경우 전류밀도 x mA/cm2(x = 1, 2, 3, 5, 7, 10, 20, 30), 구동전압은 0.8 내지 1.6V로 실시하여 용량 유지율(%)을 측정하였다. 도 3은 인가 전류밀도에 따른 충방전 용량을 나타낸 그래프로, 방전전류의 범위를 1, 3, 5, 7, 10, 20, 30mA/cm2로 인가하여 율특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비교예보다 실시예가 출력 특성이 우수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의 율특성이 인가 전류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이유는 불균일한 입도와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낮은 출력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여진다. 실시예의 경우 이러한 불균일성을 개선하기 위해 스프레이건조(spray drying) 공정과 전도성을 가지고 있는 그래핀옥사이드의 적용에 의하여 전도성 증가 및 균일한 입도로 인하여 전하이동 특성이 개선되어 전류에 따른 율특성이 개선되어 지는 것으로 보여진다.
종래에는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에 α-니켈하이드록사이드를 활물질로 사용하여도 마이크론 사이즈의 입자가 불균일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입도 범위가 넓어지거나 또는 나노 사이즈의 응집된 나노구조체가 형성되어 특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활물질인 α-니켈하이드록사이드와 함께 전도성 증가를 위해 탄소재를 혼합한 복합체를 사용하며, 복합체를 스프레이건조 방법을 통해 균일한 입도를 형성하기 때문에 이를 활물질로 적용한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는 그 특성이 증가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8)

  1. 스프레이건조를 이용한 활물질 제조방법에 있어서,
    α-니켈하이드록사이드와 탄소재를 혼합하여 α-니켈하이드록사이드/탄소재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α-니켈하이드록사이드/탄소재 복합체를 스프레이건조하여 균일한 입자 사이즈를 가지는 활물질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레이건조는 150 내지 200℃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건조를 이용한 활물질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α-니켈하이드록사이드는,
    니켈클로라이드하이드레이트 수용액(nickel chloride hydrate solution)을 용매에 분산시킨 후 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NH4OH)를 pH 9가 될때까지 교반시켜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건조를 이용한 활물질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재는,
    활성탄(activated carbon), 그라파이트(graphite), 그래핀(graphene), 그래핀옥사이드(graphene oxide, GO), 환원된 그래핀옥사이드(reduced graphene oxide, RGO),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 탄소섬유(carbon fiber), 전도성폴리머(conducting polymer), 에어로겔(aerogel)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건조를 이용한 활물질 제조방법.
  4. 삭제
  5.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제조되어 균일한 입자 사이즈를 가지는 α-니켈하이드록사이드/탄소재 복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건조를 통해 제조된 활물질.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α-니켈하이드록사이드/탄소재 복합체는, α-니켈하이드록사이드/그래핀옥사이드 복합체(α-Ni(OH)2/GO)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건조를 통해 제조된 활물질.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재는,
    활성탄(activated carbon), 그라파이트(graphite), 그래핀(graphene), 그래핀옥사이드(graphene oxide, GO), 환원된 그래핀옥사이드(reduced graphene oxide, RGO),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 탄소섬유(carbon fiber), 전도성폴리머(conducting polymer), 에어로겔(aerogel)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건조를 통해 제조된 활물질.
  8.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제조되어 α-니켈하이드록사이드/탄소재 복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물질을 양극활물질로 포함하는 양극과;
    환원된 그래핀옥사이드(reduced graphene oxide, RGO)를 음극활물질로 포함하는 음극과;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이 침지되는 전해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
KR1020160146360A 2016-11-04 2016-11-04 스프레이건조를 이용한 활물질 제조방법, 이를 통해 제조된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 KR102518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360A KR102518143B1 (ko) 2016-11-04 2016-11-04 스프레이건조를 이용한 활물질 제조방법, 이를 통해 제조된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360A KR102518143B1 (ko) 2016-11-04 2016-11-04 스프레이건조를 이용한 활물질 제조방법, 이를 통해 제조된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9891A KR20180049891A (ko) 2018-05-14
KR102518143B1 true KR102518143B1 (ko) 2023-04-05

Family

ID=62188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6360A KR102518143B1 (ko) 2016-11-04 2016-11-04 스프레이건조를 이용한 활물질 제조방법, 이를 통해 제조된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81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22789A (zh) * 2018-06-28 2018-11-30 陕西科技大学 一步溶剂热法合成的中空管状Ni(OH)2/rGO复合电极材料及其方法和应用
CN109950053B (zh) * 2019-02-25 2021-05-14 深圳清华大学研究院 碳基金属氧化物/氢氧化物复合材料、制备方法、电容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1267B1 (ko) 2004-11-29 2006-04-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0833041B1 (ko) 2005-05-03 2008-05-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성능을 향상시키는 비수성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 전지
KR100856286B1 (ko) 2005-12-19 2008-09-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난연성 비수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CN103050683B (zh) * 2012-12-28 2015-04-15 深圳市贝特瑞新能源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多相锰基固溶体复合正极材料及其制备方法
US10014126B2 (en) * 2014-02-28 2018-07-03 National Institute For Materials Science Lithium-ion supercapacitor using graphene-CNT composite electro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용발명 1: Zhongchun Li et al., "In-situ controllable growth of α -Ni(OH) 2 with different morphologies on reduced graphene oxide sheets and capacitive performance for supercapacitors", Colloid Polym Sci, 2016, 294: 페이지 681 내지 689, 1부.*
인용발명 2: 중국특허공개공보 103050683(2013.04.17.) 1부.*
인용발명 3: 국제공개공보 WO2015/129820(2015.09.03.)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9891A (ko) 2018-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o et al. Emerging CoMn-LDH@ MnO2 electrode materials assembled using nanosheets for flexible and foldable energy storage devices
Le et al. Sandwich-like NiCo layered double hydroxide/reduced graphene oxide nanocomposite cathodes for high energy density asymmetric supercapacitors
Omar et al. Binary composite of polyaniline/copper cobaltite for high performance asymmetric supercapacitor application
Li et al. Zinc-based energy storage with functionalized carbon nanotube/polyaniline nanocomposite cathodes
Han et al. Biopolymer-assisted synthesis of 3D interconnected Fe3O4@ carbon core@ shell as anode for asymmetric lithium ion capacitors
Hussain et al. Uniform growth of Zn-Mn-Co ternary oxide nanoneedles for high-performance energy-storage applications
Zhu et al. Nitrogen-doped porous carbons with nanofiber-like structure derived from poly (aniline-co-p-phenylenediamine) for supercapacitors
Iqbal et al. Capacitive and diffusive contribution in strontium phosphide-polyaniline based supercapattery
Peng et al. Low-cost and high energy density asymmetric supercapacitors based on polyaniline nanotubes and MoO 3 nanobelts
Feng et al. Facile synthesis of shape-controlled graphene–polyaniline composites for high performance supercapacitor electrode materials
Li et al. Hydrothermal synthesized of CoMoO 4 microspheres as excellent electrode material for supercapacitor
Zhang et al. Electrochemical investigation of MnO2 electrode material for supercapacitors
Chen et al. High-performance nickel-cobalt-boron material for an asymmetric supercapacitor with an ultrahigh energy density
Cao et al. Flower-like nickel–cobalt layered hydroxide nanostructures for super long-life asymmetrical supercapacitors
Zhang et al. Preparation of nanostructures NiO and their electrochemical capacitive behaviors
Wei et al. Fabrication of porous nanosheets assembled from NiCo2O4/NiO electrode for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application
Wu et al. A rough endoplasmic reticulum-like VSe 2/rGO anode for superior sodium-ion capacitors
Lian et al. Nb2O5 quantum dots coated with biomass carbon for ultra-stable lithium-ion supercapacitors
Zhou et al. RGO/MnO2/polypyrrole ternary film electrode for supercapacitor
Zhang et al. Constructing T-Nb2O5@ Carbon hollow core-shell nanostructures for high-rate hybrid supercapacitor
Zhang et al. Graphene oxide-confined synthesis of Li4Ti5O12 microspheres as high-performance anodes for lithium ion batteries
Lu et al. Fe 3 O 4/carbon nanotubes/polyaniline ternary composites with synergistic effects for high performance supercapacitors
Iqbal et al. Facile synthesis of strontium oxide/polyaniline/graphene composite for the high-performance supercapattery devices
Zhou et al. Iron oxide encapsulated in nitrogen-doped carbon as high energy anode material for asymmetric supercapacitors
Zhang et al. Preparation of MnO2 electrodes coated by Sb-doped SnO2 and their effect on electrochemical performance for supercapaci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