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8104B1 - 스프파우치 정렬장치 - Google Patents

스프파우치 정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8104B1
KR102518104B1 KR1020220120325A KR20220120325A KR102518104B1 KR 102518104 B1 KR102518104 B1 KR 102518104B1 KR 1020220120325 A KR1020220120325 A KR 1020220120325A KR 20220120325 A KR20220120325 A KR 20220120325A KR 102518104 B1 KR102518104 B1 KR 102518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p
pouch
drum unit
soup pouch
ar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0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석
김종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제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제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제산업
Priority to KR1020220120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81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8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8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56Orientating, i.e. changing the attitude of, articles, e.g. of non-uniform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65G47/30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during transit by a series of conveyors
    • B65G47/32Applications of transfe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38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Abstract

스프파우치 정렬장치가 제공된다. 스프파우치 정렬장치는, 베이스, 회전중심축이 중력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되어 베이스 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양 측부가 개방되어 있는 고리 형상의 드럼부, 드럼부의 일 측부를 통해 드럼부 내부의 저점 측으로 스프파우치를 공급하는 스프파우치 공급부, 드럼부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공급된 스프파우치를 밀어 드럼부의 회전방향으로 상승시키는 복수의 걸림턱, 드럼부 내부의 저점과 정점 사이에 위치하며, 드럼부의 내주면을 따라 굴절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드럼부의 내주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드럼부와의 사이에 한 번에 일정 개수의 스프파우치만 통과되는 스프파우치 정렬통로를 형성하는 원호형 가이드부, 및 스프파우치 정렬통로를 통과한 후 원호형 가이드부의 상단에서 낙하되는 스프파우치를 드럼부의 타 측부를 통해 배출하는 스프파우치 배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프파우치 정렬장치{Arrangement device for soup pouch}
본 발명은 식품 포장공정 시 사용 가능한 스프파우치 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량 공급되는 스프파우치를 포장이 쉽게 개별 정렬하여 배출시키는 스프파우치 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포장공정에 있어서, 파우치(pouch)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파우치는 제품 전체를 밀봉하는 용도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둘 이상의 개별 포장된 내용물을 갖는 제품인 경우 제품 내 각 내용물을 개별 포장하는 용도로도 사용된다.
파우치는 포장재를 실링하는 방식으로 빠르고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대량생산에 적합하다. 그러한 이점을 이용하여 종래 내용물을 파우치에 넣어 빠르게 포장하는 방식이 자주 사용되었다(예, 대한민국실용신안 20-0408133등).
그러나 둘 이상의 개별 포장된 내용물이 하나의 제품에 들어있는 다중포장 제품의 경우에는, 각 제품마다 내용물의 수를 맞추어야 하므로 내용물이 담긴 파우치를 필요한 개수로 분류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컨베이어로는 이러한 분류가 불가능하고 사람이 직접 분류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비효율적이었다. 예를 들어, 컵라면 제조설비 등에 있어서는 용기 내 스프 파우치가 일정개수로 들어가야 하는데, 인력으로 이러한 작업을 했기 때문에 공정 능률이 저하되고 불량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여기서, 스프 파우치는 일반적인 액상 스프, 분말 스프, 건더기뿐 아니라 레토르트를 포장하는 파우치도 포함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8133호, (2006. 02. 07)
본 발명의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량 공급되는 스프파우치 일례로, 레토르트를 포장이 쉽게 개별 정렬하여 배출시키는 스프파우치 정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스프파우치 정렬장치는, 베이스; 회전중심축이 중력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양 측부가 개방되어 있는 고리 형상의 드럼부, 상기 드럼부의 일 측부를 통해 상기 드럼부 내부의 저점 측으로 스프파우치를 공급하는 스프파우치 공급부, 상기 드럼부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공급된 스프파우치를 밀어 상기 드럼부의 회전방향으로 상승시키는 복수의 걸림턱; 상기 드럼부 내부의 저점과 정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드럼부의 내주면을 따라 굴절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드럼부의 내주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드럼부와의 사이에 한 번에 일정 개수의 스프파우치만 통과되는 스프파우치 정렬통로를 형성하는 원호형 가이드부 및 상기 스프파우치 정렬통로를 통과한 후 상기 원호형 가이드부의 상단에서 낙하되는 스프파우치를 상기 드럼부의 타 측부를 통해 배출하는 스프파우치 배출부를 포함하고 일단부가 베이스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원호형 가이드부에 연결된 연결바 및 상기 연결바와 상기 원호형 가이드부의 연결점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바 또는 상기 원호형 가이드부에 형성된 유동장공을 더 포함하여, 상기 원호형 가이드부가 상기 유동장공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상기 스프파우치 정렬통로의 폭을 조절한다.
상기 원호형 가이드부의 전단에서 상기 걸림턱에 밀려 상승되는 복수의 스프파우치 중 일부를 상기 걸림턱에서 탈락시켜 상기 스프파우치 정렬통로로 유입되는 스프파우치의 개수를 조정하는 스프파우치 탈락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상기 원호형 가이드부는, 일 측에 상기 연결바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상기 유동장공이 형성된 연장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호형 가이드부는, 상기 걸림턱과 교차 배치되며 외측에 상기 드럼부의 내주면과 대향되는 원호 형상의 가이드면이 형성된 원호형 가이드판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의 말단에 상기 가이드면을 수용 가능하게 만입된 만입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베이스와 상기 드럼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드럼부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복수의 구동롤러, 및 복수의 상기 구동롤러에 체인 또는 벨트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롤러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구동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부는 양 측부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고리형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고리형 측벽과 구름 접촉하는 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파우치 공급부는, 배출단이 상기 드럼부 내부의 저점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공급슈트로 형성되고, 상기 스프파우치 배출부는, 유입단이 상기 드럼부 내부의 정점 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된 배출슈트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급슈트의 유입단으로 스프파우치 더미를 연속 공급하는 스프파우치 공급 컨베이어, 및 상기 배출슈트의 배출단에서 배출되는 일정개수의 스프파우치를 일정 간격으로 외부로 이송하는 스프파우치 배출 컨베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파우치로 포장된 내용물을 갖는 포장물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인스턴트 라면처럼, 용기 내 액상 또는 분말 타입의 스프를 내장한 스프파우치가 정량 포장되어 있는 물품의 포장공정의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프파우치 더미를 고속으로 자동 분류하여 용기마다 필요한 개수로 일정하게 공급하므로 불량률을 줄이고 더 신속한 제품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종래 같은 작업을 수행하던 인력을 대체할 수 있어 인건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프파우치 정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프파우치 정렬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스프파우치 정렬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스프파우치 정렬장치의 드럼부의 내부구조와 동작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스프파우치 정렬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내용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들에 한정될 필요 없이 본 발명은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뒷받침하여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의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시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스프파우치 정렬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프파우치 정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스프파우치 정렬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스프파우치 정렬장치의 평면도이다(구조 설명을 위해 도 2 및 도 3에서 스프파우치 공급부와 배출부는 생략되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스프파우치 정렬장치(1)는 드럼부(200)와 드럼부(200) 내부에 배치된 원호형 가이드부(300)를 포함한다. 원호형 가이드부(300)는 드럼부(200)의 내주면을 따라 구부러져 있고 드럼부(200)를 향해 근접되어 있다.
원호형 가이드부(300)에 의해 드럼부(200) 내측에는 드럼부(200)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된 통로(스프파우치 정렬통로-도 2의 301참조)가 형성된다. 통로의 폭을 이용하여 한번에 정량의 스프파우치만 통과시킬 수 있고, 드럼부(200)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턱(210)으로 스프파우치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스프파우치는 일반적인 액상스프, 분말스프, 건더기스프 뿐 아니라 레토르트를 포장하는 파우치도 포함한다.
따라서 도 2와 같이 드럼부(200)가 회전하며 스프파우치들을 스프파우치 정렬통로(301)로 통과시켜 일정개수로 분배하고 정렬시킬 수 있다. 드럼부(200)는 연속적 회전하고 분배된 스프파우치는 통로의 끝인 원호형 가이드부(300) 상단에서 회전속도에 맞추어 자유낙하 하기 때문에(도 4참조) 공정도 매우 신속하게 진행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스프파우치 정렬장치(1)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스프파우치 정렬장치(1)는 베이스(100), 회전중심축(도 1의 B참조)이 중력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되어 베이스(100) 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양 측부가 개방되어 있는 고리형상의 드럼부(200), 드럼부(200)의 일 측부를 통해 드럼부(200) 내부의 저점 측으로 스프파우치(A)를 공급하는 스프파우치 공급부(도 1의 500참조), 드럼부(20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공급된 스프파우치를 밀어 드럼부(200)의 회전방향으로 상승시키는 복수의 걸림턱(210), 드럼부(200) 내부의 저점과 정점 사이에 위치하며 드럼부(200)의 내주면을 따라 굴절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드럼부(200)의 내주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드럼부(200)와의 사이에 한 번에 일정 개수의 스프파우치만 통과되는 스프파우치 정렬통로(301)를 형성하는 원호형 가이드부(300) 및 스프파우치 정렬통로(301)를 통과한 후 원호형 가이드부(300)의 상단에서 낙하되는 스프파우치를 드럼부(200)의 타 측부를 통해 배출하는 스프파우치 배출부(도 1의 600참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프파우치 정렬장치(1)는, 원호형 가이드부(300)의 전단에서 걸림턱(210)에 밀려 상승되는 복수의 스프파우치 중 일부를 걸림턱(210)에서 탈락시켜 스프파우치 정렬통로(301)로 유입되는 스프파우치의 개수를 조정하는 스프파우치 탈락판(도 2의 400참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단부가 베이스(100)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원호형 가이드부(300)에 연결된 연결바(330), 및 연결바(330)와 원호형 가이드부(300)의 연결점에 배치되고 연결바(330) 또는 원호형 가이드부(300)에 형성된 유동장공(320a)을 더 포함하여 원호형 가이드부(300)가 유동장공(320a)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스프파우치 정렬통로(301)의 폭이 조절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베이스(100)는 상판이 있는 테이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베이스(100) 위에 드럼부(200)를 배치하는 데 유리하다. 베이스(100)는 상판 아래 내부공간 있을 수 있으며 내부공간 안에 구동모터(도 2의 120참조)등을 설치할 수 있다.
그러나 베이스(100)는 이와 다른 형상으로도 변형이 가능하므로 이로써 한정될 필요는 없다. 베이스(100)는 드럼부(200)등 다른 구성을 그 위에 배치하고 지지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여러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드럼부(200)는 베이스(100) 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드럼부(200)는 회전중심축(B)이 중력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되어 축이 누워있는 형태로 설치된다. 드럼부(200)의 회전중심축(B)은 드럼부(200) 중앙의 회전중심을 관통하는 가상의 축일 수 있다.
드럼부(200)의 양 측부는 스프파우치의 입출을 위해 개방된다. 이로 인해 드럼부(200)는 일종의 고리와 같은 형태로 형성된다. 드럼부(200)는 양 측부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고리형 측벽(220)을 포함하고 고리형 측벽(220) 안쪽으로 스프파우치를 인입 할 수 있다. 드럼부(200)는 고리형 측벽(220)이 형성되지 않은 측부의 나머지 부분이 개방될 수 있다.
드럼부(200)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걸림턱(210)이 형성된다. 걸림턱(210)은 드럼부(200) 내주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드럼부(200)안으로 투입된 스프파우치와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도 2와 같이 드럼부(200)가 회전하면 걸림턱(210)이 함께 회전하므로 걸림턱(210)은 공급된 스프파우치를 밀어 드럼부(200)의 회전방향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도 4참조).
드럼부(200)는 구동롤러(110)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드럼부(200)의 구동구조는 드럼부(200)의 외측에 배치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구동롤러(110)는 베이스(100)와 드럼부(200) 사이에 배치되고 드럼부(20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회전한다. 구동롤러(110)는 베이스(100) 위의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구동롤러(110)의 외면은 회전력의 인가가 용이하도록 마찰이 큰 고무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드럼부(200) 외면과 구동롤러(110) 표면에 서로 치합되는 톱니구조 등을 형성하여 회전력을 전달할 수도 있다. 구동롤러(110)는 드럼부(200)가 빠지지 않게 드럼부(200) 양 옆으로 돌출된 돌출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구동롤러(110)는 구동모터(120)에 연결되어 구동된다. 구동모터(120)는 복수의 구동롤러(110)에 체인(130) 또는 벨트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인가할 수 있다. 도면 상에 체인(130)이 예시되어 있지만, 가능한 경우 벨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다양한 동력전달기구를 이용하여 구동모터(120)와 구동롤러(110)를 연결할 수 있다.
체인(130)으로 연결됨으로써 복수의 구동롤러(110)는 회전방향이 일치된다. 체인(130)은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베이스(100) 일 측에 슬릿(100a)을 형성하여 베이스(100)의 하부로 통과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베이스(100) 상부의 구동롤러(110)와 하부의 구동모터(120)를 연결할 수 있다. 구동롤러(110)는 슬릿(100a)측으로 확장된 확장축(111)을 가질 수 있고 확장축(111) 말단에 기어(11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구동모터(120)에도 기어(121)가 형성되어 기어들이 체인(130)으로 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100)에는 드럼부(200)의 회전을 안정시키는 가이드롤러(14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가이드롤러(140)는 베이스(100)에 고정되어 드럼부(200)의 측부를 가압할 수 있다. 가이드롤러(140)는 도 1과 같이 베이스(100)에 고정되어 드럼부(200)의 고리형 측벽(220)과 구름 접촉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롤러(140)는 축이 드럼부(200)의 회전중심축(B)과 수직하게 배열되므로 베이스(100)에서 수직하게 돌출된 수직판(141)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구동롤러(110)와 가이드롤러(140)가 드럼부(200)의 외주면과 측부의 고리형 측벽(200)을 들러싸는 형태로 지지하므로 드럼부(200)의 배치와 회전은 모두 크게 안정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스프파우치 공급부(500)는 드럼부(200)의 일 측부로 스프파우치를 공급할 수 있다. 스프파우치 공급부(500)는 드럼부(200)의 일 측부를 통해 드럼부(200) 내부의 저점(높이가 가장 낮은 지점)측으로 스프파우치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스프파우치 공급부(500)는, 배출단(하단)이 드럼부(200) 내부의 저점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공급슈트(chute)(510)로 형성될 수 있다.
스프파우치 배출부(600)는 드럼부(200)의 타 측부로 스프파우치를 배출할 수 있다. 스프파우치 배출부(600)는 스프파우치 정렬통로(도 2의 301참조)를 통과한 후 원호형 가이드부(300)의 상단에서 낙하되는 스프파우치를 드럼부(200) 밖으로 배출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스프파우치 배출부(600)는, 유입단(상단)이 드럼부(200) 내부의 정점(높이가 가장 높은 지점) 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된 배출슈트(610)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는 구조 설명을 위해 스프파우치 공급부(500)와 스프파우치 배출부(600)가 드럼부(200)에서 이격된 상태로 도시되었으나 작동 시 스프파우치 공급부(500)와 스프파우치 배출부(600)는 각각에 지시된 지시선(일점쇄선)을 따라 드럼부(200)에 밀접하게 배치된다(도 5참조). 특히 스프파우치 배출부(600)의 상단은 드럼부(200)의 내측으로 완전히 인입되어 낙하하는 스프파우치를 받기 쉽게 배치될 수 있다. 스프파우치 공급 및 배출동작은 후술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원호형 가이드부(300)는 드럼부(200)의 내주면을 따라 굴절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원호형 가이드부(300)는 드럼부(200)의 내주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드럼부(200)와의 사이에 한 번에 일정 개수의 스프파우치만 통과되는 스프파우치 정렬통로(301)를 형성할 수 있다. 원호형 가이드부(300)는 전술한 드럼부(200)의 저점과 정점 사이에 위치한다.
스프파우치 정렬통로(301)는 원호형 가이드부(300)와 드럼부(200)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좁은 공간으로, 스프파우치가 이동하는 통로로 작용한다(도 4참조). 스프파우치 자체가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스프파우치가 여러 개 중첩되면 두께는 늘어난다. 따라서 스프파우치 정렬통로(301)의 폭을 넘는 두께로 스프파우치들이 중첩된 경우에는 스프파우치 정렬통로(301)를 통과할 수 없다. 이로 인해 스프파우치 정렬통로(301)로는 한 번에 특정 개수의 스프파우치만이 통과된다.
원호형 가이드부(300)의 길이는 필요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드럼부(200)의 저점과 정점 사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원호 형상으로 연장된 형태의 원호형 가이드부(300)를 형성할 수 있다. 원호형 가이드부(300)의 상단은 대략 드럼부(200)의 정점 부근에 배치되고 하단은 대략 드럼부(200) 외주면의 접선이 중력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점보다는 아래에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원호형 가이드부(300)는 말단에 원호 형상의 가이드면(310a)이 형성된 판상의 구조물로 형성할 수 있다. 원호형 가이드부(300)는 외측에 드럼부(200)의 내주면과 대향되는 원호 형상의 가이드면(도 2 확대도의 310a참조)이 형성된 원호형 가이드판(310)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원호형 가이드판(310)은 드럼부(200)의 걸림턱(210)과 교차 배치될 수 있다.
원호형 가이드부(300)가 원호형 가이드판(310)으로 형성되는 경우, 원호형 가이드판(310)은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원호형 가이드판(310)은 말단(즉, 가이드면)으로 스프파우치를 누르는 효과를 발생시켜 스프파우치의 개수를 정확하게 조절하고 스프파우치의 이동도 안정시킬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원호형 가이드판(310)은 복수 개가 드럼부(200)의 고리형 측벽(2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중첩된 개수는 필요에 따라 늘릴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걸림턱(210)의 말단에는 원호형 가이드판(310)의 가이드면(310a)을 수용 가능하게 만입된 만입홈(210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드럼부(200)의 내주면에서 돌출된 걸림턱(210)은 말단의 만입홈(210a)으로 원호형 가이드판(310)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걸림턱(210)과 원호형 가이드판(310)이 서로 교차되어 있고, 이들의 말단이 부분적으로 맞물려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스프파우치는 스프파우치 정렬통로(301)를 통과하는 동안 외부로 빠져올 수 없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원호형 가이드부(300)는 연결바(330)에 연결되어 지지된다. 이때 연결바(330)와 원호형 가이드부(300)의 연결점에 유동장공(320a)을 형성하고 유동장공(320a)을 따라 원호형 가이드부(300)를 움직일 수 있다. 연결바(330)는 일단부가 베이스(100)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원호형 가이드부(300)에 연결되며, 연결바(330)와 원호형 가이드부(300)의 연결점(도 2의 확대도의 결합봉(331)이 위치하는 지점일 수 있다)에 유동장공(320a)을 배치할 수 있다.
연결바(330)는 원호형 가이드부(300)에 연결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므로, 도시된 형태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베이스(100)위의 적절한 공간에 연결바(330)를 고정하고 연결바(330)와 원호형 가이드부(300)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바(330)는 단일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둘 이상의 부재를 결합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연결바(330)가 둘 이상의 부재로 형성되는 경우 부재의 결합구조(예, 장공과 나사)를 이용하면 연결바(330)의 높이를 바꿀 수도 있다.
원호형 가이드부(300)는 연결바(33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유동장공(320a)이 형성된 연장판(32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연장판(320)을 이용하여 전술한 유동장공(320a)을 원호형 가이드부(300)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원호형 가이드부(300)는 원호형 가이드판(310)과 연장판(320)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것처럼 연장판(320)은 원호형 가이드판(310)으로부터 드럼부(200)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원호형 가이드판(310)과 연장판(32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필요한 경우 서로 따로 제작하여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양한 방식으로 원호형 가이드판(310)에 연장판(320)이 결합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유동장공(320a)은 연장판(320)의 내부에 형성된다. 유동장공(320a)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다른 형태로 배열을 바꿀 수도 있다. 연결바(330)에는 유동장공(320a)을 관통하는 결합봉(331)이 형성되어 있어 유동장공(320a)을 결합봉(331)에 끼우는 방식으로 원호형 가이드부(300)와 연결바(330)를 연결할 수 있다.
연장판(320)은 원호형 가이드판(310)에서 복수 개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각각에 유동장공(320a)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바(330)는 복수의 유동장공(320a)과 각각 결합하는 복수의 결합봉(331)을 가지고 있어 결합 시 위치는 안정될 수 있다. 결합봉(331)에는 유동장공(320a)의 폭보다 큰 나사(332)를 결합하고 나사(332)를 연장판(320)의 양 쪽에서 조여 유동장공(320a)의 일 지점에 결합봉(331)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동장공(320a)이 형성되면 원호형 가이드부(300)는 유동장공(320a)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다. 유동장공(320a)을 따라 원호형 가이드부(300)가 이동되면 드럼부(200)와 원호형 가이드부(300)의 간격이 바뀌므로 원호형 가이드부(300)가 유동장공(320a)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스프파우치 정렬통로(301)의 폭(즉 원호형 가이드부와 드럼부 내주면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스프파우치 정렬통로(301)의 폭을 변경하면 스프파우치 정렬통로(301)로 한 번에 통과 가능한 스프파우치의 개수도 바꿀 수 있다. 따라서 스프파우치를 한 개씩 정렬시키고 싶은 경우, 또는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정렬시키고 싶은 경우 등에 대응하여, 스프파우치 정렬통로(301)의 폭을 조정하고 본 발명을 목적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스프파우치 정렬동작은 후술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동장공(320a)이 원호형 가이드부(300)에 배치되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유동장공은 연결바(330)에 배치될 수도 있다. 유동장공(320a)은 연결바(330)와 원호형 가이드부(300)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것이므로 연결바(330)에 유동장공을 형성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 연결바(330)의 구조는 유동장공을 배치하기 유리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원호형 가이드부(300)의 전단에는 스프파우치 정렬통로(301)로 유입되는 스프파우치의 개수를 조정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와 같이 원호형 가이드부(300)의 전단에 스프파우치 탈락판(400)을 배치할 수 있다. 스프파우치 탈락판(400)은 원호형 가이드부(300)의 전단에서 걸림턱(210)에 밀려 상승되는 복수의 스프파우치 중 일부를 걸림턱(210)에서 탈락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스프파우치 탈락판(400)으로 스프파우치 정렬통로(301)로 유입되는 스프파우치의 개수를 조정할 수 있다.
스프파우치 탈락판(400)은 연결바(33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연결바(330)로부터 원호형 가이드부(300)의 하단 측으로 확장된 스프파우치 탈락판(40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스프파우치 탈락판(400)은 고정축(410)에 의해 연결바(33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스프파우치 탈락판(400)에는 고정축(410)과 결합하는 통체(420)가 형성될 수 있다. 통체(420)는 스프파우치 탈락판(400)의 말단에 고정되어 고정축(410)과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체(420) 내부에는 고정축(410)과 통체(420) 사이를 연결하는 탄성체(예, 토션스프링)를 배치하여 탈락판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스프파우치 정렬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할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스프파우치 정렬장치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스프파우치 정렬장치의 드럼부의 내부구조와 동작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스프파우치 정렬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스프파우치의 정렬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는 전술한 드럼부(200)의 내부가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구동모터(도 2의 120참조)가 가동되어 구동롤러(110)가 회전하면, 드럼부(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된다. 회전방향은 예시적이므로 필요한 경우 반대방향으로 드럼부(200)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다만 회전방향이 바뀌면, 원호형 가이드부(300와 스프파우치 탈락판(400)의 위치도 회전중심의 반대편으로 바뀔 수 있다.
드럼부(200)가 회전하면 드럼부(200)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턱(210)은 드럼부(200)와 함께 회전된다. 반면 연결바(330)에 의해 베이스(도 1의 100참조)에 지지되어 있는 원호형 가이드부(300) 및 스프파우치 탈락판(400)은 고정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이들이 드럼부(200)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스프파우치(A)와 접촉하여 스프파우치(A)를 정렬시킨다.
스프파우치(A)는 드럼부(200)의 저점으로부터 정점 방향으로 상승하며 이동된다. 전술한 것처럼 스프파우치 공급부(도 1의 500참조)가 드럼부(200) 내부의 저점 측으로 스프파우치(A)를 공급하므로, 드럼부(200)의 하부에 스프파우치(A)들이 적재된다. 드럼부(200)는 회전을 통해 적재된 스프파우치(A)를 드럼부(200) 상부 측으로 상승시킨다.
드럼부(200)는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턱(210)으로 스프파우치(A)를 밀어올릴 수 있다. 즉 걸림턱(210)이 스프파우치(A)의 일 측에 걸려 스프파우치(A)를 상승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걸림턱(210)은 드럼부(200) 내주면에 다수 형성되어 있으므로 드럼부(200) 회전 시 스프파우치(A)들과 용이하게 접촉된다. 걸림턱(210)은 일정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고 일정한 크기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턱(210) 사이에 안착 가능한 스프파우치(A)의 개수는 실질적으로 제한되어 있다.
그러나 스프파우치(A)가 연속적으로 공급되고 드럼부(200)의 회전속도가 증가하면 공정속도도 증가하면서 걸림턱(210) 사이에 과량의 스프파우치(A)가 유입될 수 있다. 스프파우치 탈락판(400)은 걸림턱(210)에 밀려 상승되는 복수의 스프파우치(A) 외측에서 이들과 접촉하면서 정량을 넘는 스프파우치(A)를 걸림턱(210)에서 탈락시킨다.
스프파우치 탈락판(400)은 과도하게 적재된 스프파우치(A)를 긁어서 낙하시키는 일종의 스크래퍼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스프파우치 정렬통로(301)로는 한 번에 일정한 개수의 스프파우치(A)만 통과된다. 스프파우치 정렬통로(301)를 통과할 수 있는 스프파우치(A)은 개수는 스프파우치 정렬통로(301)의 폭으로 조절할 수 있고, 전술한 것처럼 유동장공(320a)으로 원호형 가이드부(300)를 움직이면 스프파우치 정렬통로(301)의 폭은 변경되므로, 스프파우치 정렬통로(301)로 통과되는 스프파우치(A)의 개수는 원호형 가이드부(30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맞춤형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형 가이드부(300)와 드럼부(200) 사이의 간격을 인접시켜 스프파우치 정렬통로(301)로 한 번에 하나의 스프파우치(A)만 통과되도록 할 수 있다(이때, 통과의 기준은 스프파우치 정렬통로의 단면(폭방향 단면)일 수 있다. 도면에는, 스프파우치 정렬통로의 단면을 통해 한 번에 하나의 스프파우치만 통과되는 예가 도시되었다).
걸림턱(210)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파우치(A)는 스프파우치 정렬통로(301)를 통과한 후 원호형 가이드부(300) 상단에서 일정 개수씩 일정 간격으로 낙하된다. 예를 들어 도시된 것처럼 원호형 가이드부(300) 상단에서 스프파우치(A)가 한 개씩 분리되어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반복적으로 낙하될 수 있다.
따라서 낙하지점의 하부에서 떨어지는 스프파우치(A)를 그대로 받기만 하면 스프파우치(A)들을 개수 및 간격이 조정된 상태로 자동 배출할 수 있다. 전술한 스프파우치 배출부(도 1의 600참조)를 이용하여 그와 같이 정렬된 스프파우치(A)를 손쉽게 배출할 수 있다.
드럼부(200)의 회전속도와 스프파우치(A)의 공급속도를 조절하면 이러한 공정의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드럼부(200)의 회전 한계 내에서 적정 회전수를 유지하면서 공급된 스프파우치(A) 더미를 신속하게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를 들면, 분당 120~140개의 스프파우치(A)를 정렬시켜 자동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에는 스프파우치 정렬장치(1)의 사용상태가 예시되어 있다. 전술한 것처럼 스프파우치 공급부(500)와 스프파우치 배출부(600)를 드럼부(200) 양 측부에 밀접하게 배치하고 연속적으로 스프파우치(A)를 정렬시켜 배출할 수 있다. 도면에는 생략되었지만, 스프파우치 공급부(500)와 스프파우치 배출부(600)는 베이스(100)에 지지대(미도시)를 설치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가능한 경우 주변의 다른 구조물에 지지하여 위치를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것처럼 스프파우치 공급부(500)는 배출단이 드럼부(200) 내부의 저점 측으로 하향 경사진 공급슈트(510)로 형성되고, 스프파우치 배출부(600)는 유입단이 드럼부(200) 내부의 정점 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된 배출슈트(610)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경사를 이용해 낙하시키는 구조이므로 상술한 고속공정에 매우 유리하다. 스프파우치 배출부(600)의 유입단(상단)은 낙하하는 스프파우치(A)를 쉽게 받을 수 있도록 드럼부(200)의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례에서 스프파우치 정렬장치(1)는 공급슈트(510)의 유입단으로 스프파우치(A) 더미를 연속 공급하는 스프파우치 공급 컨베이어(700)와, 배출슈트(610)의 배출단에서 배출되는 일정개수의 스프파우치(A)를 일정 간격으로 외부로 이송하는 스프파우치 배출 컨베이어(8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고속 공정이 가능하도록 연속적으로 스프파우치(A)를 수송하는 컨베이어장치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스프파우치 공급 컨베이어(700)에는 스프파우치(A) 더미가 무작위적으로 쌓여 있을 수 있지만, 이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드럼부(200) 내부에서 자동 정렬되므로, 스프파우치 배출 컨베이어(800)로 배출되는 스프파우치(A)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개수와 간격이 일정하게 바뀌게 된다.
따라서 스프파우치 배출 컨베이어(800)를 후속공정(예, 용기 내 스프파우치를 인입하는 공정 등)과 연결하면 용기 내 일정 개수의 스프파우치(A)일례로, 액상스프, 분말스프, 건더기스프 뿐만 아니라 레토르트를 포장하는 파우치를 투입하기 매우 편리하며 해당 공정을 포함하는 후속공정 전체의 속도도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프파우치 정렬장치(1)를 이용하여 식품제조 또는 포장과 관련된 공정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스프파우치 정렬장치
100: 베이스 100a: 슬릿
110: 구동롤러 111: 확장축
112, 121: 기어 120: 구동모터
130: 체인 140: 가이드롤러
141: 수직판 200: 드럼부
210: 걸림턱 210a: 만입홈
220: 고리형 측벽 300: 원호형 가이드부
301: 스프파우치 정렬통로 310: 원호형 가이드판
310a: 가이드면 320: 연장판
320a: 유동장공 330: 연결바
331: 결합봉 332: 나사
400: 스프파우치 탈락판 410: 고정축
420: 통체 500: 스프파우치 공급부
510: 공급슈트 600: 스프파우치 배출부
610: 배출슈트 700: 스프파우치 공급 컨베이어
800: 스프파우치 배출 컨베이어
A: 스프파우치

Claims (10)

  1. 베이스(100);
    회전중심축이 중력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100) 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양 측부가 개방되어 있는 고리 형상의 드럼부(200);
    상기 드럼부(200)의 일 측부를 통해 상기 드럼부(200) 내부의 저점 측으로 스프파우치를 공급하는 스프파우치 공급부(500);
    상기 드럼부(20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공급된 스프파우치를 밀어 상기 드럼부(200)의 회전방향으로 상승시키는 복수의 걸림턱(210);
    상기 드럼부(200) 내부의 저점과 정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드럼부(200)의 내주면을 따라 굴절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드럼부(200)의 내주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드럼부(200)와의 사이에 한 번에 일정 개수의 스프파우치만 통과되는 스프파우치 정렬통로(301)를 형성하는 원호형 가이드부(300); 및
    상기 스프파우치 정렬통로(301)를 통과한 후 상기 원호형 가이드부(300)의 상단에서 낙하되는 스프파우치를 상기 드럼부(200)의 타 측부를 통해 배출하는 스프파우치 배출부(600)를 포함하고,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100)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원호형 가이드부(300)에 연결된 연결바(330), 및 상기 연결바(330)와 상기 원호형 가이드부(300)의 연결점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바(330) 또는 상기 원호형 가이드부(300)에 형성된 유동장공(320a)을 더 포함하여,
    상기 원호형 가이드부(300)가 상기 유동장공(320a)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상기 스프파우치 정렬통로(301)의 폭이 조절되는 스프파우치 정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호형 가이드부(300)의 전단에서 상기 걸림턱(210)에 밀려 상승되는 복수의 스프파우치 중 일부를 상기 걸림턱(210)에서 탈락시켜, 상기 스프파우치 정렬통로(301)로 유입되는 스프파우치의 개수를 조정하는 스프파우치 탈락판(400)을 더 포함하는 스프파우치 정렬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호형 가이드부(300)는, 일 측에 상기 연결바(33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상기 유동장공(320a)이 형성된 연장판(320)을 포함하는 스프파우치 정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호형 가이드부(300)는, 상기 걸림턱(210)과 교차 배치되며 외측에 상기 드럼부(200)의 내주면과 대향되는 원호 형상의 가이드면(310a)이 형성된 원호형 가이드판(310)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스프파우치 정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210)의 말단에 상기 가이드면(310a)을 수용 가능하게 만입된 만입홈(210a)이 형성되어 있는 스프파우치 정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0)와 상기 드럼부(200)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드럼부(20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복수의 구동롤러(110), 및 복수의 상기 구동롤러(110)에 체인 또는 벨트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롤러(110)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구동모터(120)를 더 포함하는 스프파우치 정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부(200)는 양 측부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고리형 측벽(220)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100)에 고정되어 상기 고리형 측벽(220)과 구름 접촉하는 가이드롤러(140)를 더 포함하는 스프파우치 정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파우치 공급부(500)는 배출단이 상기 드럼부(200) 내부의 저점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공급슈트(510)로 형성되고,
    상기 스프파우치 배출부(600)는 유입단이 상기 드럼부(200) 내부의 정점 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된 배출슈트(610)로 형성된 스프파우치 정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슈트(510)의 유입단으로 스프파우치 더미를 연속 공급하는 스프파우치 공급 컨베이어(700), 및
    상기 배출슈트(610)의 배출단에서 배출되는 일정개수의 스프파우치를 일정 간격으로 외부로 이송하는 스프파우치 배출 컨베이어(800)를 더 포함하는 스프파우치 정렬장치.
KR1020220120325A 2022-09-22 2022-09-22 스프파우치 정렬장치 KR102518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0325A KR102518104B1 (ko) 2022-09-22 2022-09-22 스프파우치 정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0325A KR102518104B1 (ko) 2022-09-22 2022-09-22 스프파우치 정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8104B1 true KR102518104B1 (ko) 2023-04-05

Family

ID=85884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0325A KR102518104B1 (ko) 2022-09-22 2022-09-22 스프파우치 정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810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3635A (en) * 1983-09-15 1986-04-22 Polygram B.V. Arrangement for aligning and supplying flat prismatic articles
JPH02115317U (ko) * 1989-03-03 1990-09-14
KR200408133Y1 (ko) 2005-11-18 2006-02-07 주식회사 태평양 파우치 포장기의 배출장치
JP2022078682A (ja) * 2020-11-13 2022-05-25 中洲電機株式会社 振分装置および分包振分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3635A (en) * 1983-09-15 1986-04-22 Polygram B.V. Arrangement for aligning and supplying flat prismatic articles
JPH02115317U (ko) * 1989-03-03 1990-09-14
KR200408133Y1 (ko) 2005-11-18 2006-02-07 주식회사 태평양 파우치 포장기의 배출장치
JP2022078682A (ja) * 2020-11-13 2022-05-25 中洲電機株式会社 振分装置および分包振分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5247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handling pills
US7861845B1 (en) Roller sorter system
US4205743A (en) Conveyor feeder for candy eggs
CN103625686B (zh) 糖果包装机的供料输送设备的装载盘
US3705475A (en) Packaging machine and method
US4630725A (en) Apparatus for arranging articles in a predetermined manner and method of making same
CN103342327A (zh) 颗粒香辣酱称量灌装生产线
KR101816911B1 (ko) 가래떡 공급장치
KR102518104B1 (ko) 스프파우치 정렬장치
CN104703881A (zh) 用于片剂或胶囊的分配单元
CN103625682B (zh) 糖果包装机的供料输送设备
US9828122B2 (en) Container filling apparatus
US5353850A (en) Apparatus for distributedly filling particulate or granular material into containers
US2008011013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acking pills in blister cavities
RU2236997C2 (ru) Конвейер для блистерных упаковок или стопок блистерных упаковок, имеющий приемные гнезда изменяемой высоты
CN216189406U (zh) 一种防拱定量均匀铺料机
US4789055A (en) Apparatus for arranging articles in a predetermined manner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1216534B1 (ko) 정제검사기용 정제 공급장치
US11998951B2 (en) Slack separation apparatus and method
US2850161A (en) Thumb tack sorting apparatus
US2634893A (en) Apparatus for filling cans
CN208843236U (zh) 输送装置及具有该装置的清洗设备
US2815845A (en) Unscrambler for empty cans
US5634547A (en) Apparatus for automated sorting of plastic utensils
CN110901990B (zh) 一种包装机的送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