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7974B1 -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이벤트 개최 플랫폼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이벤트 개최 플랫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7974B1
KR102517974B1 KR1020210047080A KR20210047080A KR102517974B1 KR 102517974 B1 KR102517974 B1 KR 102517974B1 KR 1020210047080 A KR1020210047080 A KR 1020210047080A KR 20210047080 A KR20210047080 A KR 20210047080A KR 102517974 B1 KR102517974 B1 KR 102517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ent
information
market
store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7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1038A (ko
Inventor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이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훈 filed Critical 이상훈
Priority to KR1020210047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7974B1/ko
Publication of KR20220141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1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2Chance discounts or incenti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39Online discounts or incenti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통시장별 또는 전통시장에 입주한 상점별로 온라인 경품 이벤트를 개최하고, 전통시장별 또는 상점별 누적 구매 금액 정보에 따라 고객들이 경품 이벤트에 응모할 수 있도록 하여 고객들의 전통시장 방문을 유도하여 전통시장을 활성화하도록 하는 발명에 관한 것으로, 고객 단말기(100), 판매자 단말기(200), 시장 단말기(300), 이벤트 관리 서버(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이벤트 개최 플랫폼 시스템{An online event platform system that is offering premiums to customers for revitalization of traditional markets}
본 발명은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이벤트 개최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전통시장별 또는 전통시장에 입주한 상점별로 온라인 경품 이벤트를 개최하고, 전통시장별 또는 상점별 누적 구매 금액 정보에 따라 고객들이 경품 이벤트에 응모할 수 있도록 하여 고객들의 전통시장 방문을 유도하여 전통시장을 활성화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국에는 재래시장이라고 불리는 전통시장들이 운영되고 있고, 전통시장은 일반 소매점, 백화점과 다른 고유한 특징이 있어 각 지역을 대표하는 명물 및 관광지로서 기능하고 있다.
하지만, 인터넷 보급으로 인해 구매자가 온라인으로 상품 구매가 가능한 인터넷 쇼핑몰이 활성화되고, 고객 편의성과 마케팅 능력이 탁월한 대형 할인마트가 등장하면서, 전통시장은 점차 인터넷 쇼핑몰과 대형 할인마트에 밀려 경쟁력을 상실하고 있다.
특히, 인터넷 쇼핑몰과 대형 할인마트는 온라인 경품 이벤트를 정기적으로 개최하여 고객들의 구매를 유도하는 판매전략이 있으나, 전통시장은 온라인 경품 이벤트가 부재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또한, 인터넷 쇼핑몰과 대형 할인마트는 구매 고객별로 맴버십이나 마일리지를 제도를 통해 고객의 구매 정보를 관리하여 고객이 구매한 누적 구매 금액 정보에 따라 여러 가지 혜택을 제공하는데 비해, 전통시장은 고객의 구매 정보를 관리하여 혜택을 주는 방법이 부족하고 제한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통시장별 또는 전통시장에 입주한 상점별로 온라인 경품 이벤트를 개최하고, 전통시장별 또는 상점별 누적 구매 금액 정보에 따라 고객들이 경품 이벤트에 응모할 수 있도록 하여 고객들의 전통시장 방문을 유도하여 전통시장을 활성화하도록 하는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다음은 이와 관련한 종래의 선행기술들이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14959호 전통시장의 판매정보 통합 관리시스템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37092호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실시간 결제 카운팅 기반 이벤트 관리 시스템 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17625호 상권기반 가맹점 홍보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전통시장별 또는 전통시장에 입주한 상점별로 온라인 경품 이벤트를 개최하고, 전통시장별 또는 상점별 누적 구매 금액 정보에 따라 고객들이 경품 이벤트에 응모할 수 있도록 하여 고객들의 전통시장 방문을 유도하여 전통시장을 활성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이벤트 개최 플랫폼 시스템은,
상품 구매 시, 상품을 구매한 상점으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이용해 이벤트 응모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이벤트 응모 정보를 이벤트 관리 서버(400)로 제공하여 이벤트에 응모하고, 이벤트 결과 정보를 이벤트 관리 서버(400)로부터 제공받는 고객 단말기(100)와;
QR 코드가 설치된 상점의 판매자가 소지하고, 이벤트 관리 서버(400)로 상점 이벤트 개최 요청 정보를 제공하여 상점 이벤트 개최를 요청하는 판매자 단말기(200)와;
시장 관리자가 소지하고, 이벤트 관리 서버(400)로 시장 이벤트 개최 요청 정보를 제공하여 시장 이벤트 개최를 요청하는 시장 단말기(300)와;
상기 판매자 단말기(200)가 상점 이벤트 개최를 요청하면 해당 상점의 이벤트 처리를 수행하여 해당 상점의 상점 이벤트 결과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시장 단말기(300)가 시장 이벤트 개최를 요청하면 해당 시장의 이벤트 처리를 수행하여 해당 시장의 시장 이벤트 결과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점 이벤트 결과 정보 또는 시장 이벤트 결과 정보를 해당 이벤트에 응모한 고객 단말기(100)들로 제공하는 이벤트 관리 서버(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통시장별 또는 전통시장에 입주한 상점별로 온라인 경품 이벤트를 개최하고, 전통시장별 또는 상점별 누적 구매 금액 정보에 따라 고객들이 경품 이벤트에 응모할 수 있도록 하여 고객들의 전통시장 방문을 유도하여 전통시장을 활성화하여, 대형마트나 온라인 쇼핑몰에 대한 경쟁력을 강화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능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고객 단말기가 상점에서 획득하는 정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고객 단말기가 상점에서 획득한 정보를 상점별로 분류 저장하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고객 단말기가 상점에서 획득한 정보를 시장별로 분류 저장하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이벤트 개최 정보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이벤트 결과 정보 예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이벤트 개최 플랫폼 시스템(10, 이하 ‘본 발명’)은 전통시장별 또는 전통시장에 입주한 상점별로 온라인 경품 이벤트를 개최하고, 전통시장별 또는 상점별 누적 구매 금액 정보에 따라 고객들이 경품 이벤트에 응모할 수 있도록 하여 고객들의 전통시장 방문을 유도하여 전통시장을 활성화하여, 대형마트나 온라인 쇼핑몰에 대한 경쟁력을 강화시키는 발명으로서, 도 2와 같이, 다수의 고객 단말기(100), 다수의 판매자 단말기(200), 다수의 시장 단말기(300), 이벤트 관리 서버(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이벤트 개최 플랫폼 시스템은,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 구매 시, 상품을 구매한 상점으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이용해 이벤트 응모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이벤트 응모 정보를 이벤트 관리 서버(400)로 제공하여 이벤트에 응모하고, 이벤트 결과 정보를 이벤트 관리 서버(400)로부터 제공받는 고객 단말기(100)와;
QR 코드가 설치된 상점의 판매자가 소지하고, 이벤트 관리 서버(400)로 상점 이벤트 개최 요청 정보를 제공하여 상점 이벤트 개최를 요청하는 판매자 단말기(200)와;
시장 관리자가 소지하고, 이벤트 관리 서버(400)로 시장 이벤트 개최 요청 정보를 제공하여 시장 이벤트 개최를 요청하는 시장 단말기(300)와;
상기 판매자 단말기(200)가 상점 이벤트 개최를 요청하면 해당 상점의 이벤트 처리를 수행하여 해당 상점의 상점 이벤트 결과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시장 단말기(300)가 시장 이벤트 개최를 요청하면 해당 시장의 이벤트 처리를 수행하여 해당 시장의 시장 이벤트 결과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점 이벤트 결과 정보 또는 시장 이벤트 결과 정보를 해당 이벤트에 응모한 고객 단말기(100)들로 제공하는 이벤트 관리 서버(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객 단말기(100)는 전통시장을 이용하는 고객들이 각자 소지하는 단말기로, 상품 구매 시, 상품을 구매한 상점으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이용해 이벤트 응모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이벤트 응모 정보를 이벤트 관리 서버(400)로 제공하여 이벤트에 응모하고, 이벤트 결과 정보를 이벤트 관리 서버(400)로부터 제공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고객 단말기(100)가 상점으로부터 획득하는 정보는 QR 코드 정보와 구매 금액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QR 코드 정보는 상점 정보와 상점이 속해 있는 시장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응모 정보는 누적 금액 정보와 고객 단말기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객 단말기(100)에는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고객용 전용 앱(110)이 탑재되며, 상기 고객용 전용 앱(110)은 정보 획득부(111), 구매 금액 처리부(112), 이벤트 응모부(113), 당첨 처리부(114)를 포함하여 구성된 일종의 소프트웨어(application software)이다.
이때, 상기 고객 단말기(1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스마트 워치, 노트북, PDA와 같은 통신 기능을 갖는 전자기기 등일 수 있는데, 본 발명(10)에서는 전자기기 중에서도 가장 많이 보급되면서 휴대성, 편리성, 기능성이 우수하고 인터넷과 블루투스 같은 통신이 가능하고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를 보유하고 스피커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정보 획득부(111)는 상점에 설치된 QR 코드(Quick Response code)와 상점에서 발행한 영수증을 고객 단말기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해 촬영한 이미지로부터 상점 정보, 시장 정보, 구매 금액 정보를 추출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점에 설치된 QR 코드를 상품 구매 시마다 촬영한 QR 코드 이미지로부터 상점 정보와 상점이 속해 있는 시장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점 정보와 시장 정보를 제1 정보로 생성하여 구매 금액 저장부(112)로 제공하고, 상품 구매 시마다 상점이 발행한 구매 영수증을 촬영한 영수증 이미지로부터 상점 정보와 구매 금액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점 정보와 구매 금액 정보를 제2 정보로 생성하여 구매 금액 처리부(112)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고객이 전통시장에 입주한 어느 하나의 상점에서 상품을 구매하면서, 해당 상점에 설치된 QR 코드를 카메라를 이용해 촬영하여 생성된 QR 코드 이미지로부터 상점 정보와 해당 상점이 속해 있는 시장 정보를 추출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상품 구매 시, 상점에서 발행한 구매 영수증을 카메라를 이용해 촬영한 영수증 이미지로부터 구매 금액 정보를 추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점에 설치된 QR 코드에는 해당 상점의 상점 정보와 해당 상점이 속한 시장 정보가 들어있고, 상점이 발행한 영수증에는 해당 상점의 상점 정보와 구매 금액 정보가 들어있고, 특히, 상기 상점 정보는 해당 상점의 사업자 등록번호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정보 획득부(11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을 구매한 상점마다 설치된 QR 코드를 촬영한 QR 코드 이미지로부터 상점 정보와 상점이 속해 있는 시장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점 정보와 시장 정보를 제1 정보로 생성하여 구매 금액 저장부(112)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정보 획득부(11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객이 상품을 구매할 때마다 상점이 발행한 구매 영수증을 촬영한 영수증 이미지로부터 OCR 방식으로 상점 정보와 구매 금액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점 정보와 구매 금액 정보를 제2 정보로 생성하여 구매 금액 처리부(112)로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구매 금액 처리부(112)는 정보 획득부(111)가 제공하는 제1 정보와 제2 정보를 이용해 상점별 누적 구매 금액과 시장별 누적 구매 금액을 산출해 저장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매 금액 저장부(112)는 정보 획득부(111)가 제공한 제2 정보에서 구매 금액 정보와 상점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점 정보에 해당하는 상점의 현재 누적 구매 금액에 추출된 구매 금액이 합산되도록 하여 상점별 누적 구매 금액을 산출하고, 제2 정보에서 추출된 상점 정보와 동일한 상점 정보가 포함된 제1 정보에서 시장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시장 정보에 해당하는 시장의 현재 누적 구매 금액에 제2 정보에서 추출된 구매 금액이 합산되도록 하여 시장별 누적 구매 금액을 산출하여 각각 분류 저장 관리한다.
도 5를 예를 들면, 상기 정보 획득부(111)는 A 전통시장의 #A-01 상점에서 획득한 제1, 2정보를 구매 금액 저장부(112)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구매 금액 저장부(112)는 구매 금액 저장부(112)가 제공한 제2 정보에서 #A-01 상점에 대한 구매 금액 정보(예: 도 5의 10,000원)와 #A-01 상점이라는 상점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구매 금액 정보(예: 도 5의 10,000원)가 #A-01 상점의 현재 누적 금액(예: 도 5의 145,000원)에 합산되도록 하여 #A-01 상점의 새로운 누적 구매 금액(예: 도 5의 155,000원)을 산출하여 저장 관리한다.
또한, 제2 정보에서 추출된 #A-01 상점이라는 상점 정보와 동일한 상점 정보가 포함된 제1 정보에서 A 시장이라는 시장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A 시장의 현재 누적 구매 금액에 제2 정보에서 추출된 구매 금액이 합산되도록 하여 A 시장의 새로운 누적 구매 금액을 산출하여 저장 관리한다.
정보 획득부(111)가 제공하는 모든 제1, 2 정보에 대해 상기와 같은 방식을 적용해 도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점별, 시장별 누적 구매 금액을 산출해 저장 관리하게 된다.
상기 이벤트 응모부(113)는 이벤트 관리 서버(400)가 상점 이벤트 개최 정보 또는 시장 이벤트 개최 정보를 제공하면, 저장된 상점별 누적 구매 금액 또는 시장별 누적 구매 금액을 파악하여 상점 이벤트 또는 시장 이벤트에 응모할 수 있는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상점 이벤트 개최 요청 정보는 도 7과 같이, 이벤트를 개최하는 상점 정보와 이벤트 내용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내용 정보는 이벤트 기준금액 정보, 누적 구매 금액에 따른 경품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시장 이벤트 개최 요청 정보는 이벤트를 개최하는 시장 정보와 이벤트 내용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내용 정보는 이벤트 기준금액 정보, 누적 구매 금액에 따른 경품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이벤트 응모부(113)는 상점별로 파악한 누적 구매 금액이 상점 이벤트 개최 요청 정보에 들어있는 이벤트 기준금액 정보에 해당하는지를 이용하여 상점 이벤트에 응모할 수 있는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시장별로 파악한 누적 구매 금액이 시장 이벤트 개최 요청 정보에 들어있는 이벤트 기준금액 정보에 해당하는지를 이용하여 시장 이벤트에 응모할 수 있는 상태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이벤트 응모부(113)는 관리 서버가 제공한 상점 이벤트 개최 정보로부터 이벤트를 개최하는 상점 정보를 추출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7과 같이, 이벤트를 개최하는 상점이 #A-01 XX 식품점임을 파악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된 #A-01 XX 식품점의 누적 구매 금액이 155,000원임을 파악한다.
이때, 파악된 #A-01 XX 식품점의 누적 구매 금액이 상점 이벤트 개최 정보에 포함된 이벤트 기준금액 이상인지를 파악하게 되는데, #A-01 XX 식품점의 누적 구매 금액이 155,000원이고 이벤트 기준금액이 5만원이어서 #A-01 XX 식품점의 이벤트에 응모할 수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이벤트 응모부(113)는 관리 서버가 제공한 시장 이벤트 개최 정보로부터 이벤트를 개최하는 지장 정보를 추출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7과 같이, 이벤트를 개최하는 시장이 A 전통시장임을 파악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된 A 전통시장의 누적 구매 금액이 472,000원임을 파악한다.
이때, 파악된 A 전통시장의 누적 구매 금액이 시장 이벤트 개최 정보에 포함된 이벤트 기준금액 이상인지를 파악하게 되는데, A 전통시장의 누적 구매 금액이 472,000원이고 이벤트 기준금액이 30만원이어서 A 전통시장의 이벤트에 응모할 수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어서, 상기 이벤트 응모부(113)는 상점 이벤트 또는 시장 이벤트에 응모할 수 있는 상태로 판단되면, 상점 이벤트 응모 정보 또는 시장 이벤트 응모 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해 이벤트 관리 서버(400)로 제공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확인 여부에 따라 상점 이벤트 응모 정보 또는 시장 이벤트 응모 정보를 이벤트 관리 서버(400)로 제공하거나 제공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이벤트 응모부(113)는 상점 이벤트 또는 시장 이벤트에 응모할 수 있는 상태로 판단되면, 상점 이벤트 응모 정보 또는 시장 이벤트 응모 정보를 생성해 사용자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자동으로 이벤트 관리 서버(4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벤트 응모부(113)는 상점 이벤트 또는 시장 이벤트에 응모 가능함을 알리는 메시지와 해당 이벤트의 누적 구매 금액에 따른 경품 정보를 고객 단말기(100)의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확인하도록 한다.
만약, 사용자의 확인이 있으면(예 : 도 7의 이벤트 응모 버튼 터치) 상점 이벤트 응모 정보 또는 시장 이벤트 응모 정보를 이벤트 관리 서버(400)로 제공하고, 고객의 확인이 없으면 상점 이벤트 응모 정보 또는 시장 이벤트 응모 정보를 이벤트 관리 서버(400)로 제공하지 않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확인 여부에 따라 상점 이벤트 응모 정보 또는 시장 이벤트 응모 정보를 이벤트 관리 서버(400)로 제공하거나 제공하지 않도록 하는 것은 현재 상점 누적 구매 금액 또는 시장 누적 금액에 해당하는 경품이 사용자 맘에 들지 않는 경우, 다음번 이벤트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이벤트 응모 정보는 누적 금액 정보와 고객 단말기 정보를 포함하는데, 이벤트 응보 정보가 상점 이벤트 응모 정보인 경우, 이벤트를 개최하는 상점의 누적 구매 금액 정보와 이벤트에 응모하는 고객 단말기 정보(예 : 헨드폰 번호)를 포함하고, 이벤트 응보 정보가 시장 이벤트 응모 정보인 경우, 이벤트를 개최하는 시장의 누적 구매 금액 정보와 이벤트에 응모하는 고객 단말기 정보(예 : 헨드폰 번호)를 포함한다.
도 3, 8을 참조하면, 상기 당첨 처리부(114)는 이벤트 관리 서버(400)가 제공하는 이벤트 결과 정보를 이용해 당첨 여부, 당첨 내용을 고객 단말기(100)의 화면에 표시하고, 당첨된 이벤트에 관련된 상점(예 : #A-01 XX 식품점) 또는 시장(예 : A 전통시장)의 현재 누적 구매 금액이 리셋 되도록 저장된 상점별 누적 구매 금액 정보와 시장별 누적 구매 금액 정보를 갱신 처리하고, 당첨 내용을 저장 처리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당첨 처리부(114)는 #A-01 XX 식품점의 이벤트에 당첨되었고 당첨 경품은 치킨이란 당첨 내용을 화면에 표시하고, 해당 상점인 #A-01 XX 식품점의 현재 누적 구매 금액 155,000원을 0원으로 리셋 처리하는 것이다.
도 1, 2를 참조하면, 상기 판매자 단말기(200)는 전통시장에 입주한 상점의 판매자가 각각 소지하는 단말기이고, 상점에는 상점 정보와 해당 상점이 속한 시장 정보가 들어있는 QR 코드가 설치되어 고객 단말기(100)가 QR 코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판매자 단말기(200)는 이벤트 관리 서버(400)로 상점 이벤트 개최 요청 정보를 제공하여 상점 이벤트 개최를 요청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판매자 단말기(200)는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판매자용 전용 앱(210)이 탑재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판매자용 전용 앱(210)은 판매자가 이벤트 기준금액 정보, 누적 구매 금액에 따른 경품 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 내용을 입력하면, 입력된 이벤트 내용 정보와 상점 정보가 포함된 상점 이벤트 개최 요청 정보를 생성하고, 이벤트 관리 서버(400)로 생성된 상점 이벤트 개최 요청 정보를 제공하여 상점 이벤트 개최를 요청한다.
도 7의 상단 그림을 예로 설명하면, 판매자는 판매자용 전용 앱(210)을 통해 이벤트 기준금액 5만원, 누적 구매 금액에 따른 경품 정보 5~7만원 콜라, 7~10만원 아이스크림, 10~15만원 치킨으로 입력하면, 상기 판매자용 전용 앱(210)은 입력된 이벤트 내용 정보와 상점 정보(예 : #A-01 XX 식품점)가 포함된 상점 이벤트 개최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이벤트 관리 서버(400)로 제공한다.
도 1, 2를 참조하면, 상기 시장 단말기(300)는 전통시장의 시장 관리자가 소지하는 단말기로서, 상기 시장 단말기(300)는 이벤트 관리 서버(400)로 시장 이벤트 개최 요청 정보를 제공하여 시장 이벤트 개최를 요청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시장 단말기(300)는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시장용 전용 앱(310)이 탑재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시장용 전용 앱(310)은 시장 관리자가 이벤트 기준금액 정보, 누적 구매 금액에 따른 경품 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 내용을 입력하면, 입력된 이벤트 내용 정보와 시장 정보가 포함된 시장 이벤트 개최 요청 정보를 생성하고, 이벤트 관리 서버(400)로 생성된 시장 이벤트 개최 요청 정보를 제공하여 시장 이벤트 개최를 요청한다.
도 7의 하단 그림을 예로 설명하면, 시장 관리자는 시장용 전용 앱(310)을 통해 이벤트 기준금액 30만원, 누적 구매 금액에 따른 경품 정보 30~100만원 자전거, 100~200만원 에어컨, 200~300만원 냉장고를 입력하면, 상기 시장용 전용 앱(310)은 입력된 이벤트 내용 정보와 시장 정보(예 : A 전통시장)가 포함된 시장 이벤트 개최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이벤트 관리 서버(400)로 제공한다.
도 1, 2를 참조하면, 상기 이벤트 관리 서버(400)는 판매자 단말기(200)가 상점 이벤트 개최를 요청하면 해당 상점의 이벤트 처리를 수행하여 해당 상점의 상점 이벤트 결과 정보를 생성하고, 시장 단말기(300)가 시장 이벤트 개최를 요청하면 해당 시장의 이벤트 처리를 수행하여 해당 시장의 시장 이벤트 결과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점 이벤트 결과 정보 또는 시장 이벤트 결과 정보를 해당 이벤트에 응모한 고객 단말기(100)들로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벤트 관리 서버(400)는,
판매자 단말기(200)가 상점 이벤트 개최 요청 정보를 제공하면서 상점 이벤트 개최를 요청하면, 이벤트를 요청한 상점의 상점 정보와 이벤트 내용 정보를 포함하는 상점 이벤트 개최 정보를 고객 단말기(100)로 제공하고, 시장 단말기(300)가 시장 이벤트 개최 요청 정보를 제공하면서 시장 이벤트 개최를 요청하면, 이벤트를 요청한 시장의 시장 정보와 이벤트 내용 정보를 포함하는 시장 이벤트 개최 정보를 고객 단말기(100)로 제공하는 이벤트 정보 제공부(410)와,
상기 고객 단말기(100)들이 제공하는 상점 이벤트 응모 정보들을 이용해 이벤트 추첨을 수행하여 고객 단말기(100)별로 상점 이벤트 결과 정보를 생성하고, 고객 단말기(100)별로 생성한 상점 이벤트 결과 정보를 이벤트에 응모한 해당 고객 단말기(100)들로 제공하는 상점 이벤트 처리부(420)와,
상기 고객 단말기(100)들이 제공하는 시장 이벤트 응모 정보들을 이용해 이벤트 추첨을 수행하여 고객 단말기(100)별로 시장 이벤트 결과 정보를 생성하고, 고객 단말기(100)별로 생성한 시장 이벤트 결과 정보를 이벤트에 응모한 해당 고객 단말기(100)들로 제공하는 시장 이벤트 처리부(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벤트 정보 제공부(410)는 판매자 단말기(200)가 상점 이벤트 개최 요청 정보를 제공하면서 상점 이벤트 개최를 요청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벤트를 요청한 상점의 상점 정보와 이벤트 내용 정보를 포함하는 상점 이벤트 개최 정보를 고객 단말기(100)로 제공하여, 고객이 상점 이벤트에 응모하도록 유도한다.
또한, 상기 이벤트 정보 제공부(410)는 시장 단말기(300)가 시장 이벤트 개최 요청 정보를 제공하면서 시장 이벤트 개최를 요청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벤트를 요청한 시장의 시장 정보와 이벤트 내용 정보를 포함하는 시장 이벤트 개최 정보를 고객 단말기(100)로 제공하여, 고객이 시장 이벤트에 응모하도록 유도한다.
상기 상점 이벤트 처리부(420)는 상점 이벤트 응모 정보를 제공한 고객 단말기(100)들을 대상으로 추첨을 수행하고, 추첨 결과에 따라 고객 단말기(100)별로 상점 이벤트 결과 정보를 생성하고, 고객 단말기(100)별로 생성한 상점 이벤트 결과 정보를 이벤트에 응모한 해당 고객 단말기(100)들로 제공한다. 도8에는 상점 이벤트 결과 정보가 예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시장 이벤트 처리부(430)는 시장 이벤트 응모 정보를 제공한 고객 단말기(100)들을 대상으로 추첨을 수행하고, 추첨 결과에 따라 고객 단말기(100)별로 시장 이벤트 결과 정보를 생성하고, 고객 단말기(100)별로 생성한 시장 이벤트 결과 정보를 이벤트에 응모한 해당 고객 단말기(100)들로 제공한다. 도8에는 시장 이벤트 결과 정보가 예시되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이벤트 개최 플랫폼 시스템
100 : 고객 단말기
200 : 판매자 단말기
300 : 시장 단말기
400 : 이벤트 관리 서버

Claims (8)

  1.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이벤트 개최 플랫폼 시스템에 있어서,
    상품 구매 시, 상품을 구매한 상점으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이용해 이벤트 응모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이벤트 응모 정보를 이벤트 관리 서버(400)로 제공하여 이벤트에 응모하고, 이벤트 결과 정보를 이벤트 관리 서버(400)로부터 제공받는 고객 단말기(100)와;
    QR 코드가 설치된 상점의 판매자가 소지하고, 이벤트 관리 서버(400)로 상점 이벤트 개최 요청 정보를 제공하여 상점 이벤트 개최를 요청하는 판매자 단말기(200)와;
    시장 관리자가 소지하고, 이벤트 관리 서버(400)로 시장 이벤트 개최 요청 정보를 제공하여 시장 이벤트 개최를 요청하는 시장 단말기(300)와;
    상기 판매자 단말기(200)가 상점 이벤트 개최를 요청하면 해당 상점의 이벤트 처리를 수행하여 해당 상점의 상점 이벤트 결과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시장 단말기(300)가 시장 이벤트 개최를 요청하면 해당 시장의 이벤트 처리를 수행하여 해당 시장의 시장 이벤트 결과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점 이벤트 결과 정보 또는 시장 이벤트 결과 정보를 해당 이벤트에 응모한 고객 단말기(100)들로 제공하는 이벤트 관리 서버(400)를 포함하되,

    상기 고객 단말기(100)에는 고객용 전용 앱(110)이 탑재되고,
    상기 고객용 전용 앱(110)은,
    상점에 설치되고 상점 정보와 상점이 속해 있는 시장 정보를 포함하는 QR 코드를 상품 구매 시마다 촬영한 QR 코드 이미지로부터 상점 정보와 상점이 속해 있는 시장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점 정보와 시장 정보를 제1 정보로 생성하여 구매 금액 저장부(112)로 제공하고, 상품 구매 시마다 상점이 발행한 구매 영수증을 촬영한 영수증 이미지로부터 상점 정보와 구매 금액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점 정보와 구매 금액 정보를 제2 정보로 생성하여 구매 금액 처리부(112)로 제공하는 정보 획득부(111)와,
    상기 정보 획득부(111)가 제공하는 제1 정보와 제2 정보를 이용해 상점별 누적 구매 금액과 시장별 누적 구매 금액을 산출해 저장 관리하는 구매 금액 처리부(112)와,
    상기 이벤트 관리 서버(400)가 상점 이벤트 개최 정보 또는 시장 이벤트 개최 정보를 제공하면, 상점 이벤트 또는 시장 이벤트에 응모할 수 있는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응모할 수 있는 상태이면 상점 이벤트 응모 정보 또는 시장 이벤트 응모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점 이벤트 응모 정보 또는 시장 이벤트 응모 정보를 이벤트 관리 서버(400)로 제공하여 이벤트에 응모하는 이벤트 응모부(113)와,
    상기 이벤트 관리 서버(400)가 제공하는 이벤트 결과 정보를 이용해 당첨 여부, 당첨 내용을 화면에 표시하고, 이벤트에 당첨된 경우, 당첨된 이벤트에 관련된 상점 또는 시장의 현재 누적 구매 금액이 리셋 되도록 저장된 상점별 누적 구매 금액 정보와 시장별 누적 구매 금액 정보를 갱신 처리하고, 당첨 내용을 저장 처리하는 당첨 처리부(114)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응모 정보는 누적 금액 정보와 고객 단말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상점 이벤트 개최 요청 정보는 상점 정보와 이벤트 내용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시장 이벤트 개최 요청 정보는 시장 정보와 이벤트 내용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이벤트 개최 플랫폼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 금액 저장부(112)는,
    정보 획득부(111)가 제공한 제2 정보에서 구매 금액 정보와 상점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점 정보에 해당하는 상점의 현재 누적 구매 금액에 추출된 구매 금액이 합산되도록 하여 새로운 상점별 누적 구매 금액을 산출하고,
    제2 정보에서 추출된 상점 정보와 동일한 상점 정보가 포함된 제1 정보에서 시장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시장 정보에 해당하는 시장의 현재 누적 구매 금액에 제2 정보에서 추출된 구매 금액이 합산되도록 하여 새로운 시장별 누적 구매 금액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이벤트 개최 플랫폼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응모부(113)는,
    상점 이벤트 개최 정보로부터 이벤트를 개최하는 상점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점의 누적 구매 금액을 파악하고, 파악된 누적 구매 금액이 상점 이벤트 개최 정보에 포함된 이벤트 기준금액 이상이면 해당 상점의 이벤트에 응모할 수 있는 상태로 판단하여 상점 이벤트 응모 정보를 생성하고,
    시장 이벤트 개최 정보로부터 이벤트를 개최하는 시장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시장의 누적 구매 금액을 파악하고, 파악된 누적 구매 금액이 시장 이벤트 개최 정보에 포함된 이벤트 기준금액 이상이면 해당 시장의 이벤트에 응모할 수 있는 상태로 판단하여 시장 이벤트 응모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이벤트 개최 플랫폼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응모부(113)는,
    상점 이벤트 또는 시장 이벤트에 응모할 수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자동으로 상점 이벤트 응모 정보 또는 시장 이벤트 응모 정보를 이벤트 관리 서버(400)로 제공하거나,
    상점 이벤트 또는 시장 이벤트에 응모 가능함을 알리는 메시지와 해당 이벤트의 누적 구매 금액에 따른 경품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 후, 고객의 확인이 있으면 상점 이벤트 응모 정보 또는 시장 이벤트 응모 정보를 이벤트 관리 서버(400)로 제공하고, 고객의 확인이 없으면 상점 이벤트 응모 정보 또는 시장 이벤트 응모 정보를 이벤트 관리 서버(400)로 제공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이벤트 개최 플랫폼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 단말기(200)에는 판매자용 전용 앱(210)이 탑재되고,
    상기 판매자용 전용 앱(210)은,
    판매자가 이벤트 기준금액 정보, 누적 구매 금액에 따른 경품 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 내용을 입력하면, 입력된 이벤트 내용 정보와 상점 정보가 포함된 상점 이벤트 개최 요청 정보를 생성하고, 이벤트 관리 서버(400)로 생성된 상점 이벤트 개최 요청 정보를 제공하여 상점 이벤트 개최를 요청하고,
    상기 시장 단말기(300)에는 시장용 전용 앱(310)이 탑재되고,
    상기 시장용 전용 앱(310)은,
    시장 관리자가 이벤트 기준금액 정보, 누적 구매 금액에 따른 경품 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 내용을 입력하면, 입력된 이벤트 내용 정보와 시장 정보가 포함된 시장 이벤트 개최 요청 정보를 생성하고, 이벤트 관리 서버(400)로 생성된 시장 이벤트 개최 요청 정보를 제공하여 시장 이벤트 개최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이벤트 개최 플랫폼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관리 서버(400)는,
    판매자 단말기(200)가 상점 이벤트 개최 요청 정보를 제공하면서 상점 이벤트 개최를 요청하면, 이벤트를 요청한 상점의 상점 정보와 이벤트 내용 정보를 포함하는 상점 이벤트 개최 정보를 고객 단말기(100)로 제공하고, 시장 단말기(300)가 시장 이벤트 개최 요청 정보를 제공하면서 시장 이벤트 개최를 요청하면, 이벤트를 요청한 시장의 시장 정보와 이벤트 내용 정보를 포함하는 시장 이벤트 개최 정보를 고객 단말기(100)로 제공하는 이벤트 정보 제공부(410)와,
    상점 이벤트 응모 정보를 제공한 고객 단말기(100)들을 대상으로 추첨을 수행하고, 추첨 결과에 따라 고객 단말기(100)별로 상점 이벤트 결과 정보를 생성하고, 고객 단말기(100)별로 생성한 상점 이벤트 결과 정보를 이벤트에 응모한 해당 고객 단말기(100)들로 제공하는 상점 이벤트 처리부(420)와,
    시장 이벤트 응모 정보를 제공한 고객 단말기(100)들을 대상으로 추첨을 수행하고, 추첨 결과에 따라 고객 단말기(100)별로 시장 이벤트 결과 정보를 생성하고, 고객 단말기(100)별로 생성한 시장 이벤트 결과 정보를 이벤트에 응모한 해당 고객 단말기(100)들로 제공하는 시장 이벤트 처리부(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이벤트 개최 플랫폼 시스템.
KR1020210047080A 2021-04-12 2021-04-12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이벤트 개최 플랫폼 시스템 KR102517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080A KR102517974B1 (ko) 2021-04-12 2021-04-12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이벤트 개최 플랫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080A KR102517974B1 (ko) 2021-04-12 2021-04-12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이벤트 개최 플랫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1038A KR20220141038A (ko) 2022-10-19
KR102517974B1 true KR102517974B1 (ko) 2023-04-03

Family

ID=83804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7080A KR102517974B1 (ko) 2021-04-12 2021-04-12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이벤트 개최 플랫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7974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4959A (ko) 2013-03-19 2014-09-30 주식회사 아이티굿 전통시장의 판매정보 통합 관리시스템
KR20140103886A (ko) * 2014-08-05 2014-08-27 김용원 모바일 영수증을 이용한 상품권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37092A (ko) 2019-05-29 2020-12-09 김종원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실시간 결제 카운팅 기반 이벤트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1038A (ko) 202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52647A (ko) 판촉포인트 교환 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04149A (ko) 수익 분배가 가능한 회원제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
WO2018193466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online and offline shopping platform
WO2014014272A2 (ko) 판매 활성화를 위한 구매 지원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82699B1 (ko) 온라인 판매 프로모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142226A (ko)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단골매장 관리서비스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US20160078461A1 (en) Apparatus for online market service and method thereof
JP7150968B1 (ja) 提供装置、提供方法及び提供プログラム
JP7121183B1 (ja) 提供装置、提供方法及び提供プログラム
JP2016181029A (ja) オンラインショッピングにおける即時値引き販売システム
KR20140114959A (ko) 전통시장의 판매정보 통합 관리시스템
KR102517974B1 (ko)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이벤트 개최 플랫폼 시스템
CN111435508B (zh) 资源发放终端信息处理方法及装置
KR101594589B1 (ko) 광고 연동 구매권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2508334A (ja) モバイルアプリを用いたリアルタイムランダム割引サービスの提供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0422157B1 (ko)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공동 구매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20160032291A (ko) 고객이 구매하여 제공하는 상품 관련 이미지 또는 영상 정보에 기초한 상품 판매 방법
KR102221705B1 (ko) 가맹점과 구매자 간에 합리적 보상을 지원하는 전자상거래시스템 및 방법
JP7273939B2 (ja) 情報処理方法及び端末
JP7432039B2 (ja) 情報処理方法及び端末
KR20060059503A (ko)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상품구매액이 전액 환급되는마일리지 제공 방법
JP7446022B1 (ja) マーケティング施策の実行方法
KR102475754B1 (ko) 모바일 앱을 이용한 실시간 랜덤 할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6456545B1 (ja) 割引率設定方法及びその割引率設定装置及び割引率設定システム等
KR20090044738A (ko) 화상 카메라 및 사용자제작 컨텐츠를 이용한 전자 상거래운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