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7929B1 - 부력 구조가 개선된 수륙양용버스 - Google Patents

부력 구조가 개선된 수륙양용버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7929B1
KR102517929B1 KR1020220158290A KR20220158290A KR102517929B1 KR 102517929 B1 KR102517929 B1 KR 102517929B1 KR 1020220158290 A KR1020220158290 A KR 1020220158290A KR 20220158290 A KR20220158290 A KR 20220158290A KR 102517929 B1 KR102517929 B1 KR 102517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uoyancy
main chassis
amphibious
impro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8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암
Original Assignee
(주)지엠아이그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엠아이그룹 filed Critical (주)지엠아이그룹
Priority to KR1020220158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79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61Amphibious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or of a particula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3Parts or details of the vehicle structure; vehicle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F3/0038Flotation, updrift or stabili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B60K15/067Mounting of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07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predominantly of special steel or specially treated steel, e.g. stainless steel or locally surface hardened st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08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predominantly of light alloys, e.g. extru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1/00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 B62D31/02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for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omnib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2Amphibious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력 구조가 개선된 수륙양용버스에 관한 것으로, 외관을 구성하는 외관부가 알루미늄 합금 재료로 구성되고, 승객이 탑승하여 위치하는 알루미늄 합금 재료의 상부 데크(111)를 포함하는 상부 본체부(110); 및 상기 상부 본체부(110)의 하부에 구성되는 알루미늄 합금 재료의 하부 본체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본체부(120)는 상기 하부 본체부(120)의 내측에 포함되는 스틸 또는 스테인리스강 재료의 메인 샤시(140); 및 상기 메인 샤시(140)의 양측에 배치되는 부력 공간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부력 구조가 개선된 수륙양용버스{AMPHIBIOUS BUS WITH IMPROVED BUOYANCY STRUCTURE}
본 발명은 수륙양용버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력 구조의 개선을 통해 구조적으로 견고성과 안정성이 향상된 수륙양용버스에 관한 것이다.
수륙양용차량은 육상과 해상 모두 운행이 가능한 차량을 의미하는데, 육상과 해상 간 이동 시 운송수단을 변경하거나 옮겨타는 불편함을 없애고 육상에서 해상을 거쳐서 다시 육상으로 이동하는 경우 효율적인 운송을 위한 개념으로 출발하였다.
초기 수륙양용차량은 군사 목적으로 개발되었고, 육상보다는 해상 주행을 위주로 설계되어 승객의 승차감과 안정성보다는 다량의 인력을 이송하는 수송편의성 중심으로 기술이 발전하였지만, 이후 관광, 레저, 스포츠 및 인명구조 등의 용도로 그 활용성을 넓히고 있으며, 최근에는 일부 관광지를 중심으로 단순 관광 및 레저 목적을 넘어 대중 교통 수단의 일부로 사용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서울과 같이 도시 한 가운데 큰 강이 위치하여 강북과 강남을 오가는 교통량이 많거나 부산과 같이 해안에 위치한 도시에서는 미래의 운송수단으로 각광을 받고 있으며, 이러한 활용 범위의 확대를 위해서는 승객의 승차감과 해상에서의 운항 안정성이 반드시 확보되어야 한다.
또한 육상 주행 차량의 경우 외형의 결정은 해당 차량의 목적과 공기역학에 따라 결정되는데, 일반적으로 버스형태의 육상 주행 차량의 경우 앞 타이어와 뒷 타이어 사이의 공간은 승객들의 짐을 실기 위해 짐칸으로 사용되고, 짐칸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공기역학적으로 측면과 바닥면에 큰 공간이 존재하는 경우, 난류 및 와류 등을 발생시켜 차량의 공기저항계수(Drag coefficient)를 나쁘게 만드므로 별도의 공간을 만들지 않고 막는 폐쇄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승객을 수송하기 위한 목적의 수륙양용차량의 일반적인 구조는 박스형태에 하단부에 4개의 바퀴를 구성하여 버스와 유사한 구조에 해상 운항을 위해 후면에 프로펠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버스와 유사한 구조로 인하여 육상 운행에 적합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앞 타이어와 뒷 타이어 사이의 공간 또한 짐칸으로 사용하거나 수륙양용차량의 무게 중심을 낮추고자 무게추 역할을 하는 킬박스(Kill Box)를 구성하거나 부력재로 구성하여 수륙양용차량의 부력을 높이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폐쇄 구조를 가지고 있는 상황이다.
승객의 승차감과 운항 안정성 확보는 육상보다는 해상에서 보다 중요하게 작용하는데, 특히 해상의 경우 많은 흔들림을 수반하고 이러한 해상의 흔들림은 수륙양용차량의 주행을 원인으로 하는 것에 더하여 물결과 파도 그리고 조류에 의해 발생하고 크게 종동요(Pitching), 횡동요(Rolling), 선수동요(Yawing)로 구분한다.
수륙양용차량 또한 일반 선박과 같이 횡방향보다 종방향으로 긴 구조를 가지지만 그 비율이 선박에 비하면 짧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횡방향 흐들림인 횡동요(Rolling)가 가장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고, 특히 수륙양용차량의 횡동요는 멀미의 중요한 원인으로 승객들이 횡동요로 인한 멀미 등을 이유로 수륙양용차량 이용을 꺼려하여 수륙양용차량의 저변화에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특허문헌: 등록특허공보 제10-1318889호(2013.10.16)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부력 구조가 개선된 수륙양용버스는 알루미늄 합금 재료의 본체부에 볼트 결합에 의해 스틸 또는 스테인리스강 재료의 메인 샤시를 고정하는 구조를 통해,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인 구조의 수륙양용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력 구조가 개선된 수륙양용버스는 부력 공간부의 구조적인 특징을 통해 복원력을 보다 향상시키고, 부력 공간부의 내측에 연료통을 배치하는 구조를 통해 보다 효율적인 공간 활용과 안정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력 구조가 개선된 수륙양용버스는, 수륙양용버스의 외관을 구성하는 외관부가 알루미늄 합금 재료로 구성되는 수륙양용버스로서, 승객이 탑승하여 위치하는 알루미늄 합금 재료의 상부 데크(111)를 포함하는 상부 본체부(110); 및 상기 상부 본체부(110)의 하부에 구성되는 알루미늄 합금 재료의 하부 본체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본체부(120)는 상기 하부 본체부(120)의 내측에 포함되는 스틸 또는 스테인리스강 재료의 메인 샤시(140); 및 상기 메인 샤시(140)의 양측에 배치되는 부력 공간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본체부(120)는 상기 메인 샤시(140)의 표면에 접하는 메인 샤시 고정부(12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 샤시(140)와 상기 메인 샤시 고정부(125)를 고정하는 제1 볼트 결합부(14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 샤시(140) 상기 메인 샤시(140)의 내측에 상기 볼트 결합부(141)를 보호하는 볼트 보호부(14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력 공간부(130)의 내측에 배치되는 연료통(150); 상기 연료통(150)과 접속되는 브라켓(135); 및 상기 메인 샤시(140) 및 상기 메인 샤시 고정부(125)를 관통하여 상기 브라켓(135)을 고정하는 제2 볼트 결합부(13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력 공간부(130)는 박스(Box)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 샤시(140)의 양측에서 상기 수륙양용버스의 종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박스 형태의 바닥면(132)은 상기 수륙양용버스의 하부 방향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상승하는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력 공간부(130)의 바닥면(132)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상기 수륙양용버스의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륙양용버스의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빌지 킬(Bilge Keel: 138);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력 공간부(130)의 내측에 각각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부력 공간부(130)의 내부를 지지하는 다수의 부력 공간 지지부(139);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력 공간 지지부(139)는 상기 부력 공간부(130)의 종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부력 공간부(130)의 내측에서 상기 부력 공간부(130)를 구성하는 내측면을 지지하는 패널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부력 공간 지지부(139)의 중심부에는 상기 연료통(150)이 관통되도록 배치되기 위한 관통홀(H)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력 구조가 개선된 수륙양용버스는 알루미늄 합금 재료의 본체부에 볼트 결합에 의해 스틸 또는 스테인리스강 재료의 메인 샤시를 고정하는 구조를 통해, 보다 견고하고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력 구조가 개선된 수륙양용버스는 부력 공간부의 구조적인 특징을 통해 복원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부력 공간부의 내측에 연료통, 요소수 탱크, DPF 장치 또는 기관 장치를 배치하는 구조를 통해 보다 효율적인 공간 활용과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부력 구조가 개선된 수륙양용버스는 부력 공간부의 바닥면의 경사 구조와 빌지 킬(Bilge Keel) 구조물을 통해 복원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력 구조가 개선된 수륙양용버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력 구조가 개선된 수륙양용버스의 제1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력 구조가 개선된 수륙양용버스의 제2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부력 구조가 개선된 수륙양용버스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부력 구조가 개선된 수륙양용버스의 부력 공간부, 연료통 및 빌지 킬(Bilge Keel)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부력 구조가 개선된 수륙양용버스의 샤프트 수밀 베어링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만,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력 구조가 개선된 수륙양용버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력 구조가 개선된 수륙양용버스의 제1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력 구조가 개선된 수륙양용버스의 제2 측단면도이다.
이후부터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력 구조가 개선된 수륙양용버스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력 구조가 개선된 수륙양용버스(100)는 상부 본체부(110)와 하부 본체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륙양용버스(100)의 외관을 구성하는 외관부는 알루미늄 합금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며, 승객이 탑승하여 위치하는 상부 데크(111)를 포함하는 상기 상부 본체부(110)는 알루미늄 합금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상부 본체부(110)의 하부에 구성되는 상기 하부 본체부(120)도 알루미늄 합금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하부 본체부(120)는 상기 하부 본체부(120)의 내측에 스틸 또는 스테인리스강 재료의 메인 샤시(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 본체부(120)에는 메인 샤시 고정부(125)가 형성되어, 제1 볼트 결합부(141)에 의해 상기 메인 샤시(140)에 상기 메인 샤시 고정부(125)가 고정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 볼트 결합부(141)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제1 볼트 결합부(141)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메인 샤시(140)의 내측에 볼트 보호부(145)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 샤시(140)의 양측에는 부력 공간부(130)가 배치된다.
상기 부력 공간부(130)는 수륙양용버스(100)에 부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박스(Box)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 샤시(140)의 양측에서 상기 수륙양용버스의 길이 방향인 종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부력 공간부(130)의 내측에는 연료통(150)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연료통(150)의 배치 및 고정을 위하여 브라켓(135) 및 제2 볼트 결합부(131)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35)은 상기 연료통(150)과 접속되어 상기 연료통(150)을 고정하고, 상기 제2 볼트 결합부(131)는 상기 메인 샤시(140) 및 상기 메인 샤시 고정부(125)를 관통하여 상기 브라켓(135)을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볼트 결합부(131)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연료통(150)을 상기 부력 공간부(130)의 내측에 배치함으로써, 수륙양용버스(100)의 보다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부력 공간부(130)에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상기 부력 공간부(130)의 내측에 수용된 연료통(150)의 부력을 통해 보다 안전성을 향상시킨 수륙양용버스(10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료통(150) 이외에도 요소수 탱크, PDF 장치 또는 기관 장치 등이 상기 부력 공간부(13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부력 구조가 개선된 수륙양용버스의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부력 구조가 개선된 수륙양용버스의 부력 공간부, 연료통 및 빌지 킬(Bilge Keel)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부력 구조가 개선된 수륙양용버스의 샤프트 수밀 베어링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후부터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부력 구조가 개선된 수륙양용버스의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부력 구조가 개선된 수륙양용버스(100)도 상부 본체부(110)와 하부 본체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부 본체부(120)의 내측에는 스틸 또는 스테인리스강 재료의 메인 샤시(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메인 샤시(140)의 양측에는 알루미늄 합금 재료의 부력 공간부(130)가 배치되고, 상기 부력 공간부(130)의 내측에는 연료통(15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료통(150)의 배치 및 고정을 위하여 브라켓(135) 및 제2 볼트 결합부(131)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브라켓(135)은 상기 연료통(150)과 접속되고, 상기 제2 볼트 결합부(131)는 상기 메인 샤시(140) 및 상기 메인 샤시 고정부(125)를 관통하여 상기 브라켓(135)을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볼트 결합부(131)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료통(150) 이외에도 요소수 탱크, PDF 장치 또는 기관 장치 등이 상기 부력 공간부(13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력 공간부(130)는 상기 메인 샤시(140)의 양측에서 상기 수륙양용버스(100)의 길이 방향인 종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박스 형태의 바닥면(132)은 상기 수륙양용버스(100)의 하부 방향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상승하는 경사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부력 공간부(130)의 바닥면(132)에 경사가 형성됨으로써, 수륙양용버스(100)의 수상 운행 시에 보다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력 공간부(130)의 바닥면(132)에는 빌지 킬(Bilge Keel: 138)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빌지 킬(138)은 상기 수륙양용버스(100)의 종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부력 공간부(130)의 바닥면(132)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상기 수륙양용버스(100)의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상기 빌지 킬(138)의 구조를 통해 상기 수륙양용버스(100)의 복원력을 더욱 향상시켜 횡동요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력 공간부(130)의 내측에는 다수의 부력 공간 지지부(139)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부력 공간 지지부(139)는 상기 부력 공간부(130)의 내부를 지지하여 상기 부력 공간 지지부(139)의 형태를 유지하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상기 연료통(150)을 보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부력 공간 지지부(139)는 상기 부력 공간부(130)의 종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부력 공간 지지부(139)가 상기 부력 공간부(130)의 내측에서 상기 부력 공간부(130)를 구성하는 내측면을 지지하는 패널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부력 공간 지지부(139)의 중심부에는 상기 연료통(150)이 관통되도록 배치되기 위한 관통홀(H)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료통(150)은 상기 부력 공간부(130)의 내측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상기 부력 공간 지지부(139)의 관통홀 내에 배치되어,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샤프트에는 수밀 베어링(160)을 연결함으로써, 모터로부터의 구동력을 바퀴 또는 스크류에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모터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수밀 베어링(160)을 1개 또는 2개 사용하여 내부 리데나를 역으로 바꾸어 설치하여 내외부로부터 물침수 및 기름유출을 차단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수밀 베어링(160)을 2개 사용하는 경우 리데나를 상호 반대로 설치되고, 상기 수밀 베어링(160)을 1개 사용하는 경우 리데나를 추가로 반대방향으로 설치하여 침수 또는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력 구조가 개선된 수륙양용버스는 알루미늄 합금 재료의 본체부에 볼트 결합에 의해 스틸 또는 스테인리스강 재료의 메인 샤시를 고정하는 구조를 통해, 보다 견고하고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력 구조가 개선된 수륙양용버스는 부력 공간부의 구조적인 특징을 통해 복원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부력 공간부의 내측에 연료통을 배치하는 구조를 통해 보다 효율적인 공간 활용과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부력 구조가 개선된 수륙양용버스는 부력 공간부의 바닥면의 경사 구조와 빌지 킬(Bilge Keel) 구조물을 통해 복원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수륙양용버스
110: 상부 본체부
111: 상부 데크
120: 하부 본체부
125: 메인 샤시 고정부
130: 부력 공간부
131: 제2 볼트 결합부
132: 바닥면
135: 브라켓
138: 빌지 킬(Bilge Keel)
139: 부력 공간 지지부
140: 메인 샤시
141: 제1 볼트 결합부
145: 볼트 보호부
150: 연료통
160: 수밀 베어링

Claims (8)

  1. 수륙양용버스의 외관을 구성하는 외관부가 알루미늄 합금 재료로 구성되는 수륙양용버스에 있어서,
    승객이 탑승하여 위치하는 알루미늄 합금 재료의 상부 데크(111)를 포함하는 상부 본체부(110); 및
    상기 상부 본체부(110)의 하부에 구성되는 알루미늄 합금 재료의 하부 본체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본체부(120)는,
    상기 하부 본체부(120)의 내측에 포함되는 스틸 또는 스테인리스강 재료의 메인 샤시(140);
    상기 메인 샤시(140)의 양측에 배치되는 부력 공간부(130);
    상기 하부 본체부(120)에 포함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메인 샤시(140)의 표면에 접하는 메인 샤시 고정부(125); 및
    상기 메인 샤시(140)와 상기 메인 샤시 고정부(125)를 고정하는 제1 볼트 결합부(14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구조가 개선된 수륙양용버스.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샤시(140)는
    상기 메인 샤시(140)의 내측에 상기 볼트 결합부(141)를 보호하는 볼트 보호부(145);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구조가 개선된 수륙양용버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부력 공간부(130)의 내측에 배치되는 연료통(150);
    상기 연료통(150)과 접속되는 브라켓(135); 및
    상기 메인 샤시(140) 및 상기 메인 샤시 고정부(125)를 관통하여 상기 브라켓(135)을 고정하는 제2 볼트 결합부(131);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구조가 개선된 수륙양용버스.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부력 공간부(130)는,
    박스(Box)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 샤시(140)의 양측에서 상기 수륙양용버스의 종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박스 형태의 바닥면(132)은 상기 수륙양용버스의 하부 방향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상승하는 경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구조가 개선된 수륙양용버스.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부력 공간부(130)의 바닥면(132)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상기 수륙양용버스의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륙양용버스의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빌지 킬(Bilge Keel: 138);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구조가 개선된 수륙양용버스.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부력 공간부(130)의 내측에 각각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부력 공간부(130)의 내부를 지지하는 다수의 부력 공간 지지부(139);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구조가 개선된 수륙양용버스.
KR1020220158290A 2022-11-23 2022-11-23 부력 구조가 개선된 수륙양용버스 KR102517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8290A KR102517929B1 (ko) 2022-11-23 2022-11-23 부력 구조가 개선된 수륙양용버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8290A KR102517929B1 (ko) 2022-11-23 2022-11-23 부력 구조가 개선된 수륙양용버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7929B1 true KR102517929B1 (ko) 2023-04-05

Family

ID=85884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8290A KR102517929B1 (ko) 2022-11-23 2022-11-23 부력 구조가 개선된 수륙양용버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792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2915A (ko) * 2011-04-04 2012-10-12 주식회사 소두머니씨앤티 부력체 및 이를 포함한 수륙 양용 이동체
KR101314332B1 (ko) * 2012-08-24 2013-10-02 아쿠아관광코리아 주식회사 수륙양용선의 선체 구조
KR101318889B1 (ko) 2012-08-29 2013-10-16 아쿠아관광코리아 주식회사 수륙양용선의 선체 구조
KR102097335B1 (ko) * 2018-10-24 2020-04-06 (주)지엠아이그룹 수상에서의 안정적 운행이 가능한 수륙양용버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2915A (ko) * 2011-04-04 2012-10-12 주식회사 소두머니씨앤티 부력체 및 이를 포함한 수륙 양용 이동체
KR101314332B1 (ko) * 2012-08-24 2013-10-02 아쿠아관광코리아 주식회사 수륙양용선의 선체 구조
KR101318889B1 (ko) 2012-08-29 2013-10-16 아쿠아관광코리아 주식회사 수륙양용선의 선체 구조
KR102097335B1 (ko) * 2018-10-24 2020-04-06 (주)지엠아이그룹 수상에서의 안정적 운행이 가능한 수륙양용버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2052B1 (en) Amphibious vehicle
US7934963B1 (en) Amphibious vehicle
RU2297922C2 (ru) Автомобиль-амфибия
US8777680B2 (en) Snowmobile conversion kit for amphibious service
RU191368U1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KR102301859B1 (ko) 빌지킬 구조를 구비한 수륙양용차량
CN101844603A (zh) 旋转浮体船
KR102517929B1 (ko) 부력 구조가 개선된 수륙양용버스
US3091208A (en) Pontoon-carrying camper
US8939805B2 (en) Air-propelled watercraft having an inflatable hull
KR101911056B1 (ko) 수륙 양용차
WO2002009958A9 (en) A displacement hull amphibious vehicle using a front wheel drive system
JP2002211223A (ja) 水陸両用自動車
EP2532538B1 (en) Tracked recreational snow vehicle being converted to a personal watercraft by a conversion kit
KR101314332B1 (ko) 수륙양용선의 선체 구조
CN201685978U (zh) 旋转浮体船
CN104709437A (zh) 内河和库区重型汽车滚装船
CN108032694A (zh) 一种多功能三栖侦察船
JP2013099988A (ja) 輸送用船舶
KR20120116070A (ko) 수륙양용 수단을 구비하는 교통수단
KR101318889B1 (ko) 수륙양용선의 선체 구조
WO2021148825A1 (en) Hybrid utility boat - aquacab
US6502523B1 (en) Road-towed heavy ferry
RU2260515C1 (ru) Амфибия
US6055924A (en) Foil assisted marine tow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0001785;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230515

Effective date: 2023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