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7648B1 - 발향 장치 - Google Patents

발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7648B1
KR102517648B1 KR1020220144512A KR20220144512A KR102517648B1 KR 102517648 B1 KR102517648 B1 KR 102517648B1 KR 1020220144512 A KR1020220144512 A KR 1020220144512A KR 20220144512 A KR20220144512 A KR 20220144512A KR 102517648 B1 KR102517648 B1 KR 102517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artridge
plate
fixing plate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4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훈
신호철
박연학
Original Assignee
이상훈
신호철
박연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훈, 신호철, 박연학 filed Critical 이상훈
Priority to KR1020220144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76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648B1/ko
Priority to PCT/KR2023/016033 priority patent/WO2024096379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f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5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emanating multiple odou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3Replaceable cartridges, ref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5Supporting means, e.g. stands, hooks, holes for han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공간을 포함하며, 상면에 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의 소정 높이에서, 상기 토출구의 관통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되,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 상면에 설치되되, 내부에 발향 원료가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카트리지; 및 상기 회전판의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판에 장착된 상기 카트리지를 개방할 수 있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향 장치{FRAGRANCE PROVIDING DEVICES}
본 발명은 발향 장치에 관한 것이다.
후각은 정신 건강에 가장 중요한 감각으로써, 후각은 인간 감정의 컨트롤 타워인 대뇌의 편도체와 행복한 기억을 떠올리는 해마에 직접 영향을 준다. 또한, 불안과 스트레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우울증, 불면 증상의 해소와 치매 예방에 매우 중요한 감각이다.
메타버스 시대에 들어섰지만, 시각, 청각, 촉각 등 다른 감각에 비해 디지털 향 기술(digital scent technology)은 상대적으로 개발이 더딘 상태이다.
1960년 Smell-O-Vision이라는 향 분사 기술로 'Sent of Mystery'라는 후각 영화가 상영된 이후 60년이나 지났지만 현재까지 후각 영화의 상업화는 어려운 실정이다. 후각 영화가 상업화되지 못한 가장 큰 이유로는, 공간 속으로 발향되는 향 제거의 어려움과 여러 향이 섞여 원치 않는 냄새가 나게 되는 잔향 처리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A향이 분사된 후 완전히 잔향이 제거된 후 B향이 분사되어야 하나 극장의 큰 공간에서 향 배기 시스템을 완벽히 가동하기엔 기술적 한계가 있어서 현재까지 답보 상태에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07474호(2022.01.18)
본 발명은, 휴대가 용이하고, 필요에 따라 향이 발향되도록 하되, 코에 가까이 대고 소량의 향을 바로 흡입하는 형태로써, 주변 공간으로 향이 퍼져 생길 수 있는 잔향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발향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각 카트리지마다 다른 향을 발향 할 수 있는 복수의 카트리지를 포함하여, 다양한 향이나 냄새를 제공할 수 있는, 발향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음악이나 미술 작품 감상 시에, 노래 가사나 음악 분위기나 작품에 따라 알맞은 향이 공급되도록 하여, 음악 감상 또는 작품 감상에 몰입감과 흥미를 높일 수 있는, 발향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여러 가지 냄새나 향을 발향하는 카트리지를 포함하여, 영화 장면 등 상황에 맞는 향을 맡을 수 있으며, 장치를 코에 대고 냄새를 흡입함으로써 향이 퍼지거나 잔향이 남는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는, 발향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회사나 출근길 등 일상 생활 중에 심신의 안정이 필요한 경우, 코에 대고 아로마 향 등 카트리지에서 발향하는 향을 맡을 수 있는 것으로써, 향이 퍼지지 않음으로써 공공장소나 주변에 사람들이 많은 장소에서도 개인적으로 사용 가능한, 발향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공간을 포함하며, 상면에 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의 소정 높이에서, 상기 토출구의 관통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되,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 상면에 설치되되, 내부에 발향 원료가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카트리지; 및 상기 회전판의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판에 장착된 상기 카트리지를 개방할 수 있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향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는, 내부에 발향 원료가 수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를 개방 또는 차폐하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는, 제1 배출구가 형성되는 제1 고정판; 상기 제1 고정판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1 배출구와 상하로 동일선상에 제2 배출구가 형성되는 제2 고정판; 및 상기 제1 고정판과 상기 제2 고정판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제1 고정판 상면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 배출구 및 상기 제2 배출구와 연통되거나 엇갈리도록 개폐구가 형성되는 이동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이동판의 둘레 일 측에서 설치되는 소정 길이의 가이드바; 상기 가이드바의 단부에 설치되어 외측으로 돌출된 개폐 버튼; 및 상기 이동판의 둘레 타 측에서 상기 가이드바와 대칭인 지점에 설치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정판은, 상면 테두리의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리브와, 상기 리브의 일 지점에 형성되는 가이드홀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판은 상기 제1 고정판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고정판 상면에서 상기 리브 내측 영역에 배치되되, 상기 이동판이 상기 제1 고정판의 리브 내측 영역에 배치될 때, 상기 이동판의 일 측 둘레에 설치된 가이드바는 상기 가이드홀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이동판의 타 측 둘레에 설치된 상기 탄성부의 단부는 상기 리브 내측벽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판이 회전하여, 카트리지의 상기 개폐 버튼이 상기 작동부와 마주보는 상태가 되면, 상기 작동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개폐 버튼이 가압되고, 상기 개폐 버튼이 가압됨에 따라 상기 개폐 버튼과 연결된 상기 이동판이 타 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이동판의 개폐구가 상기 제1 배출구 및 상기 제2 배출구와 상하로 동일 선상에 위치되어 연통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부는, 상기 회전판의 일 측에 설치되되, 상기 카트리지의 높이 이상의 길이로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되, 열 팽창률이 서로 다른 2개의 금속이 서로 부착된 상태에서, 열이 가해지면 열팽창계수가 작은 쪽의 금속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되며, 휘어진 상태일 때 상단이 상기 개폐 버튼 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바이메탈; 상기 바이메탈의 상단에 설치되되, 상기 바이메탈에 열이 가해져 휘어진 상태가 되었을 때, 상기 개폐 버튼을 가압할 수 있는 높이에 설치되는 가압돌부; 및 상기 바이메탈에 열을 가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메탈이 열이 가해져서 상기 바이메탈이 휘어짐에 따라 상기 가압 돌부가 돌출되면서 상기 개폐 버튼을 가압하면, 상기 개폐 버튼이 가압됨에 따라 상기 개폐 버튼과 연결된 상기 이동판이 타 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이동판의 개폐구가 상기 제1 배출구 및 상기 제2 배출구와 상하로 동일 선상에 위치되어 연통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판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발향 원료가 수용되는 복수의 카트리지가 장착되고, 상기 회전판에 설치된 복수의 카트리지 중 개폐 버튼이 상기 작동부와 마주보도록 위치된 카트리지에 수용된 발향 원료의 향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는, 각각의 상기 카트리지 외주면에, 각 카트리지에 해당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코드로 이루어지는 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카트리지와 마주보는 면에 설치되어 상기 인식부에 입력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리더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판 및 상기 작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모듈은, 외부기기나 사용자단말기와 통신하여, 외부 신호에 따라서, 복수의 카트리지 중 개방되는 하나의 카트리지와 카트리지의 개방 시간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틀징으로 하는 발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가 용이하고, 필요에 따라 향이 발향되도록 하되, 코에 가까이 대고 소량의 향을 바로 흡입하는 형태로써, 주변 공간으로 향이 퍼져 생길 수 있는 잔향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각 카트리지마다 다른 향을 발향할 수 있는 복수의 카트리지를 포함하여, 다양한 향이나 냄새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음악이나 미술 작품 감상 시에, 노래 가사나 음악 분위기나 작품에 따라 알맞은 향이 공급되도록 하여, 음악 감상 또는 작품 감상에 몰입감과 흥미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여러 가지 냄새나 향을 발향하는 카트리지를 포함하여, 영화 장면 등 상황에 맞는 향을 맡을 수 있으며, 장치를 코에 대고 냄새를 흡입함으로써 향이 퍼지거나 잔향이 남는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회사나 출근길 등 일상 생활 중에 심신의 안정이 필요한 경우, 코에 대고 아로마 향 등 카트리지에서 발향하는 향을 맡을 수 있는 것으로써, 향이 퍼지지 않음으로써 공공장소나 주변에 사람들이 많은 장소에서도 개인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향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향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의 커버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식부를 더 포함하는 발향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부를 더 포함하는 발향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에 따른 촬영부의 센싱영역을 통해 작동 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발향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부 및 향제거부를 더 포함하는 발향 장치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향 장치(1)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향 장치(1)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3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30)의 커버(32)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30)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향 장치(1)는 하우징(10), 회전판(20), 카트리지(30), 작동부(40) 및 제어모듈(5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발향 장치(1)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룰 수 있다. 하우징(10) 내부에는 카트리지(30)가 장착될 수 있으며, 휴대가 용이한 크기 및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하우징(10)은 원기둥,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에는 내부공간(11), 토출구(12) 및 받침대(13)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0)은 내부가 비어있는 내부공간(11)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내부가 비어있는 내부공간(11)을 포함하는 소정 길이의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내부공간(11)에 카트리지(30)가 위치될 수 있다.
토출구(12)는 하우징(1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2)는 하우징(10) 내부에 위치된 카트리지(30) 내에서 발향하는 향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는 소정 크기의 구멍일 수 있다. 토출구(12)는 하우징(10)의 상면에 형성되되, 하우징(10) 상면의 중심점과 어긋난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토출구(12)는 하우징(10)의 상면에서 일 측으로 치우쳐진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토출구(12)는, 후술할 회전판(20)이 회전되어 작동부(40)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작동부(40)에 의해 개방되는 카트리지(30)의 제2 배출구(3221)와 상하 방향을 따라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하우징(1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받침대(13)는 하우징(10) 내부의 소정 높이에서, 하우징(10)의 상면과 평행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받침대(13)는 토출구(12)의 관통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하우징(10) 내부의 소정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받침대(13)는 하우징(10)의 내부공간(11)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의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하우징(10) 내부의 소정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
받침대(13)의 상면에는 회전판(20)과 작동부(40)가 설치될 수 있다. 받침대(13)의 하측에는 제어모듈(50)이 설치될 수 있다.
회전판(20)은 하우징(10) 내부의 소정 높이에서, 토출구(12)의 관통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되,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판(20)은 받침대(13) 상면에 설치되되,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회전판(20)은 받침대(13)보다 직경이 작은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받침대(13)의 중심점과 회전판(20)의 중심점이 일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판(20)이 회전할 수 있다.
회전판(20) 상면에는 하나 이상의 카트리지(30)가 장착되어, 회전판(20)이 회전됨에 따라 카트리지(30)도 함께 회전되어, 작동부(40)와 마주보는 카트리지(30)가 바뀔 수 있다.
회전판(20)에는 복수의 장착부(21)가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21)는 회전판(20)의 상면에서 링 형태로 복수개가 돌출 형성되어, 장착부(21)의 내측에는 카트리지(30) 하단이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도록 카트리지(30) 하부의 직경 크기 및 형태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21)에 카트리지(30)의 하부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카트리지(30)가 회전판(20)에 체결 고정됨으로써, 회전판(20)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판(20) 상면의 장착부(21)에 장착된 카트리지(30)도 회전될 수 있다.
카트리지(30)는 회전판(20) 상면에 설치되되, 내부에 발향 원료가 수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카트리지(30)가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30) 각각에는 서로 다른 발향 원료가 수용되어, 각각의 카트리지(30)에서 발향하는 향은 서로 다른 향일 수 있다. 다만, 복수의 카트리지(30)에 서로 다른 발향 원료가 수용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발향 원료가 수용될 수도 있다.
카트리지(30)는 본체(31) 및 커버(32)를 포함한다.
본체(31)에는 내부에 발향 원료가 수용될 수 있다. 즉, 본체(31)는 내부에 발향 원료가 수용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본체(31)는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에 발향 원료가 수용될 수 있다. 본체(31)의 개방된 상면은 커버(32)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본체(31)는 장착부(21)에 장착될 수 있는 크기 및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32)는 본체(31)의 상부에 설치되어 본체(31)를 개방 또는 차폐할 수 있다. 커버(32)의 배출구(3211, 3221)는 차폐된 상태에서, 작동부(40)에 의해 배출구(3211, 3221)가 개방되는 본체(31)의 발향 원료의 향이 배출될 수 있다.
커버(32)는 제1 고정판(321), 제2 고정판(322), 이동판(323), 가이드바(324), 개폐 버튼(325) 및 탄성부(326)를 포함한다. 제1 고정판(321), 제2 고정판(322) 및 이동판(323)은 원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판(321)은 본체(31)의 개방된 상부를 차폐할 수 있도록, 본체(31)의 상부에 체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고정판(321)은 본체(31)의 상단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나사산 방식으로 체결되는 구조일 수 있다.
제1 고정판(321)에는 제1 배출구(3211), 리브(3212) 및 가이드홀(321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배출구(3211)는 제1 고정판(321)의 중심점에 형성되는 홀이다. 제1 배출구(3211)를 통해 본체(31) 내부의 발향 원료의 향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리브(3212)는 제1 고정판(321)의 상면에서, 제1 고정판(321)의 테두리의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홀(3213)은 리브(3212)의 일 지점에 형성되는 홀 또는 홈일 수 있다. 가이드홀(3213)에는 가이드바(324)가 관통되거나 안착될 수 있다.
제2 고정판(322)은 제1 고정판(32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고정판(322)은 제1 고정판(321)의 리브(3212) 상면에 안착되도록 위치되며, 제1 고정판(321)과 고정될 수 있다.
제2 고정판(322)은 제1 고정판(321)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며, 제2 고정판(322)의 중심점에는 제2 배출구(3221)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배출구(3221)는 제1 배출구(3211)와 상하로 동일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제1 고정판(321)과 제2 고정판(322)이 상하로 배치된 상태에서, 제1 배출구(3211)와 제2 배출구(3221)는 상하로 서로 동일 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동판(323)은 제1 고정판(321)과 제2 고정판(322) 사이에 배치되되, 제1 고정판(321) 상면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고정판(321)의 상면과 이동판(323)의 하면이 밀착되고, 이동판(323)의 상면과 제2 고정판(322)의 하면이 밀착되도록, 제1 고정판(321), 이동판(323) 및 제2 고정판(322)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고정판(321)과 제2 고정판(322)은 서로 고정되고, 제1 고정판(321)과 제2 고정판(322) 사이의 이동판(323)은 제1 고정판(321) 상면에서 리브(3212) 영역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이동판(323)은 제1 고정판(321)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제1 고정판(321) 상면에서 리브(3212) 내측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동판(323)은 제1 고정판(321)의 리브(3212) 내측 영역에서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동판(323)이 제1 고정판(321) 상면에 배치될 때, 작동부(40)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되기 전의 이동판(323)의 초기 위치는, 이동판(323)의 중심점과 제1 고정판(321)의 중심점이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는 상태이다.
이동판(323)의 중심점에는 개폐구(323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동판(323)이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개폐구(3231)는 제1 배출구(3211) 및 제2 배출구(3221)와 상하로 동일선상에 위치되면, 제1 배출구(3211), 개폐구(3231), 제2 배출구(3221)가 연통되어 본체(31) 내부의 원료의 향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동판(323)의 개폐구(3231)가 제1 배출구(3211) 및 제2 배출구(3221)와 상하로 엇갈리게 위치되면, 제1 배출구(3211) 및 제2 배출구(3221)의 연통을 차단하여, 본체(31) 내부의 원료의 향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가이드바(324)는 이동판(323)의 둘레 일 측에서 설치되는 소정 길이의 바 일 수 있다. 가이드바(324)의 일 단은 이동판(323)의 둘레 일 지점에 고정되고, 타 단은 제1 고정판(321)의 가이드홈을 통해 제1 고정판(321) 둘레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개폐 버튼(325)은 가이드바(324)의 단부에 설치되어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개폐 버튼(325)은 가이드홈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리브(3212)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개폐 버튼(325)은 리브(3212)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탄성부(326)는 이동판(323)의 둘레 타 측에서 가이드바(324)와 대칭인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탄성부(326)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도 6을 참조하면, 이동판(323)이 제1 고정판(321)의 리브(3212) 내측 영역에 배치될 때, 이동판(323)의 일 측 둘레에 설치된 가이드바(324)는 가이드홀(3213)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고, 이동판(323)의 타 측 둘레에 설치된 상기 탄성부(326)의 단부는 리브(3212) 내측벽과 접촉될 수 있다.
개폐 버튼(325)이 가압 되면, 개폐 버튼(325)이 가압됨에 따라 가이드바(324)를 통해 개폐 버튼(325)과 연결된 이동판(323)이 타 측으로 이동된다. 이동판(323)이 타 측으로 이동되면서, 타 측의 탄성부(326)가 압축된다. 개폐 버튼(325)의 내측면이 리브(3212)의 외주면과 접촉되면서 개폐 버튼(325)의 가압이 중단될 수 있다.
이동판(323)이 타 측으로 이동되어, 이동판(323)의 개폐구(3231)가 제1 배출구(3211) 및 제2 배출구(3221)와 상하로 동일 선상에 위치되어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본체(31) 내부의 발향 원료의 향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회전판(20)에 발향 원료가 수용되는 복수의 카트리지(30)가 장착된 상태에서, 복수의 카트리지(30) 중 개폐 버튼(325)이 작동부(40)와 마주보도록 위치된 카트리지(30)의 배출구(3211, 3221)가 작동부(40)에 의해 개방되어, 발향 원료의 향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즉, 개폐 버튼(325)이 작동부(40)의 가압 버튼과 마주보도록 회전된 상태의 카트리지(30)의 향이 발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판(20)에는 하나 이상의 카트리지(30)가 장착될 수 있다. 각각의 카트리지(30)는 회전판(20)에 형성된 장착부(21) 각각에 장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20)에는 제1 카트리지(30a) 및 제2 카트리지(30b) 2개가 장착될 수 있다. 이 때, 작동부(40)와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1 카트리지(30a)는 작동부(40)의 가압돌부(43)에 의해 개폐 버튼(325)이 가압될 수도 있다.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카트리지(30a), 제2 카트리지(30b), 제3 카트리지(30c) 및 제4 카트리지(30d) 4개가 장착될 수 있다. 이 때, 작동부(40)와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4 카트리지(30d)는 작동부(40)의 가압돌부(43)에 의해 개폐 버튼(325)이 가압될 수 있다.
작동부(40)는 회전판(20)의 일 측에 설치되어, 회전판(20)에 장착된 카트리지(30)를 개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동부(40)는, 작동부(40)와 마주보도록 배치된 카트리지(30)의 개폐 버튼(325)을 가압하여, 카트리지(30)의 배출구(3211, 3221)가 개방되도록 하여 본체(31) 내부의 발향 원료의 향이 외부로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작동부(40)는 프레임(41), 바이메탈(42), 가압돌부(43) 및 가열부(44)를 포함한다.
프레임(41)은 회전판(20)의 일 측에 설치되되, 카트리지(30)의 높이 이상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바이메탈(42)은 프레임(41) 내부에 설치되되, 열 팽창률이 서로 다른 2개의 금속이 서로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바이메탈(42)은 열이 가해지면 열팽창계수가 작은 쪽의 금속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이메탈(42)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바이메탈(42)일 수 있다. 바이메탈(42)이 휘어진 상태일 때, 상단이 개폐 버튼(325) 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가압돌부(43)는 바이메탈(42)의 상단에 설치되되, 바이메탈(42)에 열이 가해져 휘어진 상태가 되었을 때, 개폐 버튼(325)을 가압할 수 있는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가압돌부(43)는 개폐 버튼(325)과 마주보는 방향에서, 바이메탈(42)에 열이 가해짐에 따라 바이메탈(42)이 휘어지면서 가압돌부(43)가 개폐 버튼(325)과 접촉되며 개폐 버튼(325)을 가압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가열부(44)는 바이메탈(42)에 열을 가할 수 있다. 일 예로, 가열부(44)는 받침대(13)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발열할 수 있다. 가열부(44)의 단부는 바이메탈(42)과 연결되어, 바이메탈(42)로 열을 전달할 수 있다.
바이메탈(42)에 열이 가해져서 바이메탈(42)이 휘어짐에 따라 가압돌부(43)가 돌출되면서 개폐 버튼(325)을 가압하면, 개폐 버튼(325)이 가압됨에 따라 개폐 버튼(325)과 연결된 이동판(323)이 타 측으로 이동되면서, 이동판(323)의 개폐구(3231)가 제1 배출구(3211) 및 제2 배출구(3221)와 상하로 동일 선상에 위치되어 연통될 수 있다.
이때, 회전판(20)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발향 원료가 수용되는 복수의 카트리지(30)가 장착된 상태에서, 회전판(20)에 설치된 복수의 카트리지(30) 중 개폐 버튼(325)이 작동부(40)와 마주보도록 위치된 카트리지(30)에 수용된 발향 원료의 향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즉, 개폐 버튼(325)이 작동부(40)의 가압 버튼과 마주보도록 위치된 카트리지(30)의 향이 발향될 수 있다.
제어모듈(50)은 회전판(20)의 회전과 작동부(4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판(20)이 회전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미도시)를 제어하여, 회전판(20)의 회전 각도, 회전 시점, 회전 방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작동부(40)의 가열부(44)에 전류를 가하여 가열부(44)가 발열되도록 함에 따라 작동부(4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50)은, 외부기기나 사용자단말기와 통신하여, 외부 신호에 따라서, 복수의 카트리지(30) 중 개방되는 카트리지(30)가 작동부(40)와 마주보도록 회전판(20)을 회전시키고, 작동부(40)를 통해 개폐 버튼(325)을 누르는 시간을 조절하여 카트리지(30)의 개방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영화 시청 시, 일정 시점에는 제1 카트리지(30a)가 작동부(40)와 마주보도록 회전판(20)이 회전되고, 작동부(40)에 의해 제1 카트리지(30a)의 제1 배출구(3211), 개폐구(3231), 제2 배출구(3221)가 연통되어 제1 카트리지(30a)의 발향 원료의 향이 토출될 수 있다. 이후, 기 설정된 시점에 제3 카트리지(30c)가 작동부(40)와 마주보도록 회전판(20)이 회전되고, 작동부(40)에 의해 제3 카트리지(30c)의 제1 배출구(3211), 개폐구(3231), 제2 배출구(3221)가 연통되어 제3 카트리지(30c)의 발향 원료의 향이 토출될 수 있다.
이처럼 복수의 카트리지(30)들의 개방 시점 및 개방 시간 등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식부(33)를 더 포함하는 발향 장치(1)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향 장치(1)는 인식부(33) 및 리더기(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트리지(30)는, 각각의 카트리지(30) 외주면에, 각 카트리지(30)에 해당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코드로 이루어지는 인식부(33)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인식부(33)는 QR코드나 바코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작동부(40)는, 카트리지(30)와 마주보는 면에 설치되어 인식부(33)에 입력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리더기(45)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41)의 일 측면에 설치되되, 카트리지(30)를 바라보는 면에 설치되어, 마주보도록 위치된 카트리지(30)의 인식부(33)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카트리지(30)에 형성되는 인식부(33)와 프레임(41)에 설치되는 리더기(45)의 높이는 동일 선상에 위치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됨에 따라 리더기(45)가 인식부(33)를 감지하고 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30) 각각에는 서로 다른 코드가 부여된 인식부(33)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리더기(45)는 인식부(33)를 통해 복수의 카트리지(30)를 구별하여 작동부(40)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부(70)를 더 포함하는 발향 장치(1)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 따른 촬영부(70)의 센싱영역(A)을 통해 작동 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발향 장치(1)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향 장치(1)는 촬영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70)는 하우징(10)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촬영부(70)는 하우징(10)의 상면에서 토출구(12)와 인접한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촬영부(70)는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제어모듈(50)은 촬영부(70)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바탕으로 센싱영역(A)내에 콧구멍이 위치되는지를 감지하여, 작동부(4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a와 같이, 촬영부(70)에서 촬영된 이미지 내에서 센싱영역(A)을 벗어나도록 2개의 원형 형상(즉, 양쪽 콧구멍 형상)이 나타나는 경우, 제어 모듈은 사용자가 발향 장치(1) 사용을 위해 토출구(12)를 사용자의 코와 인접하게 위치시킨 것으로 판단하여, 작동부(40)가 작동시켜, 작동부(40)에 의해 카트리지(30)가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배출구가 개방되는 카트리지(30)는 작동부(40)와 마주보도록 위치된 카트리지(30)의 배출구가 개방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발향 장치(1)의 사용 중단을 위해 코에서 점차 멀어짐에 따라, 거리감에 의해서, 도 9b와 같이, 센싱영역(A) 내로 점차 2개의 원형 형상(즉, 양쪽 콧구멍)이 나타나게 된다. 다만, 도 9b와 같이 센싱영역(A)을 벗어나도록 2개의 원형 형상이 나타나는 경우는 도 9a와 같이, 작동부(40)가 계속해서 작동되어 카트리지(30)의 배출구가 개방된 상태로써 카트리지(30)의 향이 발향되는 상태일 수 있다.
도 9c와 같이, 사용자가 발향 장치(1)의 사용 중단을 위해 발향 장치(1)가 코에서 완전히 멀어지면, 콧구멍과 촬영부(70)의 거리감에 의해서, 센싱영역(A) 내로 2개의 원형 형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제어모듈(50)의 제어에 의해 작동부(40)의 작동이 중단되어, 이동판(323)의 개폐구(3231)가 제1 배출구(3211) 및 제2 배출구(3221)와 엇갈리도록 위치되어 카트리지(30)의 향 배출이 중단될 수 있다. 또한, 촬영부(70)에 2개의 원형 형상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에도 작동부(40)는 작동되지 않아, 향이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자동으로 향 배출 및 배출 중단을 제어할 수 있어, 영화관에서 4D 영화 상영 시에도 후각을 이용한 영화 감상이 용이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부(80) 및 향 제거부(90)를 더 포함하는 발향 장치(1)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향 장치(1)는 착용부(80) 및 향 제거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착용부(80)는 영화 감상시 자동으로 하우징(10)을 코와 소정 거리 이내로 인접시키거나 코에서부터 소정 거리 밖으로 이격시켜, 자동으로 후각을 이용한 영화 감상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착용부(80)는 넥거치부(81), 제1 회동바(82), 제2 회동바(83) 및 회전축(84)을 포함할 수 있다.
넥거치부(81)는 사용자의 어깨와 목 부분에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넥거치부(81)는, 'U'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회동바(82)는 넥거치부(81)의 양 단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회동바(82)는 넥거치부(81)의 양 단 각각에서 귀 아래 높이까지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회동바(82)는 어깨에서 귀 아래 높이 까지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성인용, 어린이용으로 구분되어 성인 사이즈와 어린이 사이즈에 맞춰 제작될 수 있다.
제2 회동바(83)는 제1 회동바(82) 각각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되, 제1 회동바(82)의 상단에서 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회동바(83)는 귀 부분에서부터 얼굴 전방까지 돌출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회동바(82)와 제2 회동바(83)는 서보모터(미도시됨) 등의 구동부 구성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며, 제어모듈(50)의 제어에 따라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제1 회동바(82)는 넥거치부(81)와 연결된 부분이 회전됨에 따라, 얼굴의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제1 회동바(82)가 회전될 수 있다. 즉, 넥거치부(81)와 제1 회동바(82)가 수평에 가까운 각도에서부터 직교하는 각도 내에서 제1 회동바(82)가 회전될 수 있다. 제1 회동바(82)가 넥거치부(81)와 수평에 가까운 각도로 회전됨에 따라 하우징(10)이 얼굴과 멀어질 수 있다. 즉, 향의 발향을 중단해야하는 시점에 제1 회동바(82)가 넥거치부(81)와 수평에 가까운 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
제2 회동바(83)는 제1 회동바(82)와 연결된 단부가 회전됨에 따라, 하우징(10)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회전축(84)은 제2 회동바(83) 각각의 내측에 설치되되,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양 측의 회전축(84) 사이에는 하우징(10)이 배치되되, 하우징(10)의 양 측면이 양 측의 회전축(84)과 고정될 수 있다. 회전축(84)은 서보모터(미도시됨) 등의 구동부 구성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며, 제어모듈(50)의 제어에 따라 회전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회전축(84)이 회전됨에 따라 회전축(84)의 단부에 연결된 하우징(10)이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0)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향 제거부(90)는 후각을 이용한 영화 상영 시에, 직전에 발향되었던 향을 보다 빠르고 깔끔하게 제거하여, 잔향에 의해 향이 섞이는 문제 등을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향 제거부(90)는 송풍장치(91) 및 흡입장치(92)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장치(91)는 바람을 공급하여, 사용자의 얼굴 주변에 남아있는 향을 흩날려서, 얼굴 주변의 잔향을 없앨 수 있다. 이때, 송풍장치(91)는 착용부(80)에 설치될 수 있다.
흡입장치(92)는 바람을 흡입하고, 흡입장치(92) 내부에서 소량의 알코올이 분사되도록 하여, 향을 발산하는 향 입자들이 알코올 미세기포들과 섞여 휘발되도록 하여, 잔향을 빠르게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알코올 향이 강하지 않도록 소량의 알코올 미세기포들이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모듈(50)은, 제1 회동바(82)의 회전 각도 또는 도 8 및 도 9에서 상술한 촬영부(70)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통해 사용자의 코와 하우징(10)이 멀어지는지 가까워지는지에 따라, 사용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이 중단되면 송풍장치(91)나 흡입장치(92)를 기 설정된 시점동안 작동시켜, 사용자 얼굴 주변의 잔향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발향 장치
10: 하우징 11: 내부공간
12: 토출구 13: 받침대
20: 회전판 21: 장착부
30: 카트리지 30a: 제1 카트리지
30b: 제2 카트리지 30c: 제3 카트리지
30d: 제4 카트리지 31: 본체
32: 커버 321: 제1 고정판
3211: 제1 배출구 3212: 리브
3213: 가이드홀 322: 제2 고정판
3221: 제2 배출구 323: 이동판
3231: 개폐구 324: 가이드바
325: 개폐 버튼 326: 탄성부
33: 인식부 40: 작동부
41: 프레임 42: 바이메탈
43: 가압돌부 44: 가열부
45: 리더기 50: 제어모듈
70: 촬영부 A: 센싱영역
80: 착용부 81: 넥거치부
82: 제1 회동바 83: 제2 회동바
84: 회전축 90: 향 제거부
91: 송풍장치 92: 흡입장치

Claims (10)

  1. 내부공간을 포함하며, 상면에 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의 소정 높이에서, 상기 토출구의 관통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되,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 상면에 설치되되, 내부에 발향 원료가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카트리지; 및
    상기 회전판의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판에 장착된 상기 카트리지를 개방할 수 있는 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회전판의 일 측에 설치되되, 상기 카트리지의 높이 이상의 길이로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되, 열 팽창률이 서로 다른 2개의 금속이 서로 부착된 상태에서, 열이 가해지면 열팽창계수가 작은 쪽의 금속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되며, 휘어진 상태일 때 상단이 상기 카트리지의 개폐 버튼 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바이메탈;
    상기 바이메탈의 상단에 설치되되, 상기 바이메탈에 열이 가해져 휘어진 상태가 되었을 때, 상기 개폐 버튼을 가압할 수 있는 높이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 버튼을 가압하여 상기 카트리지를 개방할 수 있는 가압돌부; 및
    상기 바이메탈에 열을 가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향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내부에 발향 원료가 수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를 개방 또는 차폐하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는,
    제1 배출구가 형성되는 제1 고정판;
    상기 제1 고정판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1 배출구와 상하로 동일선상에 제2 배출구가 형성되는 제2 고정판; 및
    상기 제1 고정판과 상기 제2 고정판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제1 고정판 상면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 배출구 및 상기 제2 배출구와 연통되거나 엇갈리도록 개폐구가 형성되는 이동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향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이동판의 둘레 일 측에서 설치되는 소정 길이의 가이드바;
    상기 가이드바의 단부에 설치되어 외측으로 돌출된 개폐 버튼; 및
    상기 이동판의 둘레 타 측에서 상기 가이드바와 대칭인 지점에 설치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향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판은,
    상면 테두리의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리브와, 상기 리브의 일 지점에 형성되는 가이드홀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판은 상기 제1 고정판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고정판 상면에서 상기 리브 내측 영역에 배치되되,
    상기 이동판이 상기 제1 고정판의 리브 내측 영역에 배치될 때, 상기 이동판의 일 측 둘레에 설치된 가이드바는 상기 가이드홀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이동판의 타 측 둘레에 설치된 상기 탄성부의 단부는 상기 리브 내측벽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향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이 회전하여, 카트리지의 상기 개폐 버튼이 상기 작동부와 마주보는 상태가 되면,
    상기 작동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개폐 버튼이 가압되고, 상기 개폐 버튼이 가압됨에 따라 상기 개폐 버튼과 연결된 상기 이동판이 타 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이동판의 개폐구가 상기 제1 배출구 및 상기 제2 배출구와 상하로 동일 선상에 위치되어 연통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향 장치.
  6. 삭제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바이메탈이 열이 가해져서 상기 바이메탈이 휘어짐에 따라 상기 가압 돌부가 돌출되면서 상기 개폐 버튼을 가압하면,
    상기 개폐 버튼이 가압됨에 따라 상기 개폐 버튼과 연결된 상기 이동판이 타 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이동판의 개폐구가 상기 제1 배출구 및 상기 제2 배출구와 상하로 동일 선상에 위치되어 연통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향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발향 원료가 수용되는 복수의 카트리지가 장착되고,
    상기 회전판에 설치된 복수의 카트리지 중 개폐 버튼이 상기 작동부와 마주보도록 위치된 카트리지에 수용된 발향 원료의 향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향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각각의 상기 카트리지 외주면에, 각 카트리지에 해당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코드로 이루어지는 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카트리지와 마주보는 면에 설치되어 상기 인식부에 입력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리더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향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 및 상기 작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모듈은,
    외부기기나 사용자단말기와 통신하여, 외부 신호에 따라서, 복수의 카트리지 중 개방되는 하나의 카트리지와 카트리지의 개방 시간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틀징으로 하는 발향 장치.
KR1020220144512A 2022-11-02 2022-11-02 발향 장치 KR102517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4512A KR102517648B1 (ko) 2022-11-02 2022-11-02 발향 장치
PCT/KR2023/016033 WO2024096379A2 (ko) 2022-11-02 2023-10-17 발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4512A KR102517648B1 (ko) 2022-11-02 2022-11-02 발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7648B1 true KR102517648B1 (ko) 2023-04-04

Family

ID=85929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4512A KR102517648B1 (ko) 2022-11-02 2022-11-02 발향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17648B1 (ko)
WO (1) WO2024096379A2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8215A (ko) * 2003-07-14 2005-01-21 고정원 향수 자동 분사장치
JP2010167168A (ja) * 2009-01-26 2010-08-05 Koichi Nakayama 空気清浄マイナスイオン香り発生器
US20120205460A1 (en) * 2011-01-05 2012-08-16 John Franks Scent delivery method and apparatus using an existing air moving device
KR20180041859A (ko) * 2016-10-17 2018-04-25 강나영 아로마 발향기
JP2019028471A (ja) * 2015-11-18 2019-02-21 ソニー株式会社 回転切替装置
KR102152329B1 (ko) * 2018-10-17 2020-09-04 (주)우리일렉 아로마 디퓨저가 구비되는 가습기
KR20220007474A (ko) 2020-07-10 2022-01-18 주식회사 더웨이 휴대용 아로마 발향장치 및 마스크
CN216659527U (zh) * 2022-01-27 2022-06-03 重庆豪然汽车零部件(集团)有限公司 一种多通道香氛发生装置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8215A (ko) * 2003-07-14 2005-01-21 고정원 향수 자동 분사장치
JP2010167168A (ja) * 2009-01-26 2010-08-05 Koichi Nakayama 空気清浄マイナスイオン香り発生器
US20120205460A1 (en) * 2011-01-05 2012-08-16 John Franks Scent delivery method and apparatus using an existing air moving device
JP2019028471A (ja) * 2015-11-18 2019-02-21 ソニー株式会社 回転切替装置
KR20180041859A (ko) * 2016-10-17 2018-04-25 강나영 아로마 발향기
KR102152329B1 (ko) * 2018-10-17 2020-09-04 (주)우리일렉 아로마 디퓨저가 구비되는 가습기
KR20220007474A (ko) 2020-07-10 2022-01-18 주식회사 더웨이 휴대용 아로마 발향장치 및 마스크
CN216659527U (zh) * 2022-01-27 2022-06-03 重庆豪然汽车零部件(集团)有限公司 一种多通道香氛发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96379A2 (ko) 2024-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3024B1 (en) Odor dispensing device and odor dispensing cartridge
US4301095A (en) Air freshener dispenser
JP4918049B2 (ja) スプレー装置
KR102162487B1 (ko) 방향물질 배출장치
US8272916B2 (en) Bubble generating assembly that produces vertical bubbles
US10596293B2 (en) Scent air purifier capable of replacing case thereof
JP5411707B2 (ja) 拡散装置
JP2009213911A (ja) フレグランス拡散装置
US20070166575A1 (en) Fluid fuel cartridge with an integrated content module
KR102517648B1 (ko) 발향 장치
KR20220030154A (ko) 에어로졸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US4645353A (en) Scent clock alarm device
DE50111344D1 (de) Inhalationsvorrichtung
US9889220B1 (en) Air freshener enhancer with improved air flow and with height adjustable stand
US20190275188A1 (en) Electrical plug-incorporated aerosol perfume dispenser
US6568604B1 (en) Dispensing means
CN110486862B (zh) 可替换外壳的香氛空气净化器
CN209933576U (zh) 一种香薰装置
GB0001038D0 (en) Fragrance dispensing device
JP2014166249A (ja) 揮散装置
KR101725924B1 (ko) 휴대 및 재충전이 가능한 카드 타입의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디퓨저 어셈블리
US20180085485A1 (en) Electrical Aroma-Dispensing Device
JP2014230709A (ja) 揮散装置
KR200337480Y1 (ko) 전기 발향기
US20240131541A1 (en) Fragrance-releas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