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7564B1 - 사용의 편리성을 가지는 습윤밴드접착기 - Google Patents

사용의 편리성을 가지는 습윤밴드접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7564B1
KR102517564B1 KR1020220053889A KR20220053889A KR102517564B1 KR 102517564 B1 KR102517564 B1 KR 102517564B1 KR 1020220053889 A KR1020220053889 A KR 1020220053889A KR 20220053889 A KR20220053889 A KR 20220053889A KR 102517564 B1 KR102517564 B1 KR 102517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band
release paper
wound
w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3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다현
Original Assignee
한다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다현 filed Critical 한다현
Priority to KR1020220053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7564B1/ko
Priority to PCT/KR2022/007378 priority patent/WO202321085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72Packaging of dressings
    • A61F13/00076Packaging of adhesive dressings
    • A61F13/0008Packaging of adhesive dressings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the removal of the packaging and release li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0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59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liner covering the skin adhering layer
    • A61F13/0266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liner covering the skin adhering layer especially adapted for wound covering/occlusive dress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dhesive Tapes (AREA)
  • Dermatology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의 편리성을 가지는 습윤밴드접착기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습윤밴드에서 이형지를 탈락시키는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도, 제1 및 제2권취롤의 상호 회전을 통해 자동으로 이형지가 습윤밴드에서 탈락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상처부위의 길이에 맞춰 습윤밴드의 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함께 습윤밴드에서 이형지의 탈락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른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처부위에 부착시켜 상처에 대한 치유가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습윤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습윤밴드의 일단에는 점착부가 구성되고, 상기 점착부가 외부에 노출됨을 방지하도록 하는 이형지를 포함하며; 상기 습윤밴드와 상기 습윤밴드의 점착부에 부착된 이형지를 수납시켜 상처부위에 맞춰 습윤밴드를 부착시키되, 상기 습윤밴드가 상처부위에 부착이 이루어짐과 함께 상기 습윤밴드에서 이형지가 자동으로 탈락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용의 편리성을 가지는 습윤밴드접착기{Moist Pad Device for Easy Separation}
본 발명은 사용의 편리성을 가지는 습윤밴드접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습윤밴드에서 이형지를 탈락시키는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도, 제1 및 제2권취롤의 상호 회전을 통해 자동으로 이형지가 습윤밴드에서 탈락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상처부위의 길이에 맞춰 습윤밴드의 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함께 습윤밴드에서 이형지의 탈락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른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습윤밴드접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 및 창상 치료에 있어서 사용되는 재료는 상피화(epithelization)에 의한 창상치유(wound healing)의 기간을 줄이고, 교체시 출혈이나 통증으로 인한 불편이 없어야 하며 상피화 후의 반흔 형성을 최소화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2차 감염율(secondary infection rate)이 낮고 제조 및 저장이 용이하여 쉽게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토대로 창상 치유를 촉진하기 위하여 창상에 습윤 창상 치유(moist wound healing)를 적용하여 다양한 생물학적 드레싱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상피 재생을 돕는 효과가 있다.
피부의 상처를 치료하기 위하여 다양한 밴드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밴드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하나는 상처가 발생된 피부에 치료용 연고를 도포한 후 2차 세균 감염을 막기 위해 상처 부위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밴드이고, 다른 하나는 상처 부위의 세포가 공기와 접촉된 후 건조되어 상처 주위로 치유 세포들의 이동이 원활하지 못하여 세포의 발현이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져 흉터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분을 다량 포함하고 있는 다공성 유기물을 상처 부위에 부착하여 수분이 서서히 방출되도록 하면서 괴사 조직을 방지하는 밴드이다.
현재 피부에 발생된 성처(wound)를 치유하기 위한 드레싱(dressing)방법으로 거즈를 이용한 건식 드레싱(drydressing)과 친수성 고분자(hydrophilic polymer)를 이용한 습윤 드레시(wet-dressing)방법 그리고, 전기장을 이용한 치료법 등이 있다.
상기 건식 드레싱 방법은 피부에 발생된 상처부위를 소독 한 후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2차 감염을 방지하여 상처를 덧나지 않도록 하여 상처를 아물게 하는 것이다.
습윤 드레싱 방법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상처부위를 차단하여 2차 감염을 예방하는 기능을 기본으로, 상처에서 발생된 진물(exudate)을 친수성 고분자가 흡수하고 빠른 수분 증발을 억제하여 상처부위를 습윤한 분위기로 만들어 줌으로써, 상처표면이 건조해져 발생되는 딱지(scab)를 억제하고, 그로인해 치유세포와 치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이온들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상처 치유를 돕고, 흉터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전기장을 이용한 상처 치료방법은 상처부위에 음극(cathode)을 위치시키고 정상부위에 양극(anode)을 위치시켜서 발생되는 전위차로 세포와 이온들을 이동시키고, 전기 자극으로 세포의 신진대사를 증가시켜 회복속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이다.
그러나, 종래의 습윤 드레싱 밴드를 이용한 상처 치료방법의 경우 상처부위를 습윤한 환경으로 유지함으로써 흉터를 억제할 수 있다는 장점은 가지고 있지만, 상처에서 발생된 유해 세균에 의해 상처 주변이 오염될 우려가 있고, 이로 인해 상처가 조속히 회복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습윤밴드를 부착한 경우에 상처에서 유해 세균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자주 상처 부위로부터 습윤밴드를 이탈시켜서 상처 부위의 세균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경우가 비번히 발생한다.
이렇게 습윤밴드를 부착한 상태에서 상처부위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습윤밴드를 상처부위로부터 이탈시키는 경우에는 호전되고 있던 상처 부위가 훼손되거나 주위의 세균에 의해 감염되어 오히려 치료 시기를 늦추는 결과를 초래한다.
특히, 종래의 습윤밴드는 일정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처의 크기에 맞춰 상기 습윤밴드를 사용할 수 없음으로써, 습윤밴드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 제10-2361381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습윤밴드에서 이형지를 탈락시키는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도, 제1 및 제2권취롤의 상호 회전을 통해 자동으로 이형지가 습윤밴드에서 탈락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상처부위의 길이에 맞춰 습윤밴드의 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함께 습윤밴드에서 이형지의 탈락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른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습윤밴드접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처부위에 부착시켜 상처에 대한 치유가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습윤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습윤밴드의 일단에는 점착부가 구성되고, 상기 점착부가 외부에 노출됨을 방지하도록 하는 이형지를 포함하며; 상기 습윤밴드와 상기 습윤밴드의 점착부에 부착된 이형지를 수납시켜 상처부위에 맞춰 습윤밴드를 부착시키되, 상기 습윤밴드가 상처부위에 부착이 이루어짐과 함께 상기 습윤밴드에서 이형지가 자동으로 탈락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습윤밴드접착기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습윤밴드와 이형지가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구성되고, 상기 이형지가 부착된 습윤밴드와 상기 습윤밴드가 상처부위에 부착되는 과정에서 탈락된 이형지가 감겨지도록 지지하는 롤부; 및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구성되고, 상기 롤부에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권취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케이스는,내측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일단에 습윤밴드가 노출되도록 지지하여 상처부위에 습윤밴드가 부착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도록 하는 통공이 형성되며, 일정높이로 세워져 습윤밴드와 이형지의 이송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롤, 및 일측에 일정높이로 세워져 권취부가 제자리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고정축을 포함하는 제1케이스; 및 상기 제1케이스의 일단에 구성되어 내부가 밀폐되도록 구성되는 제2케이스;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롤부는, 이형지가 부착된 습윤밴드가 감겨진 밴드롤; 및 상기 밴드롤의 일측에 구성되되, 상기 밴드롤에 감겨진 습윤밴드가 상처부위에 부착이 이루어진 후 탈락된 이형지가 감겨지도록 지지하는 이형지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권취부는, 이형지가 부착된 습윤밴드가 감겨진 롤부의 밴드롤이 안착되는 제1권취롤; 및 상기 제1권취롤의 일단에 밀착되게 구성되고, 이형지가 감겨지는 롤부의 이형지롤이 안착되되, 상기 제1권취롤과의 밀착으로 상호 회전에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제2권취롤;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권취롤은 상단에 밴드롤이 안착되도록 지지하는 제1안착판과, 상기 제1안착판의 상단 중앙에 일정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밴드롤이 삽입되도록 지지하는 제1삽입축; 및 하단 중앙에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제1케이스에 구성되는 복수의 고정축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제자리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제1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권취롤은 상단에 이형지롤이 안착되도록 지지하는 제2안착판과, 상기 제2안착판의 상단 중앙에 일정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이형지롤이 삽입되도록 지지하는 제2삽입축; 및 하단 중앙에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제1케이스에 구성되는 복수의 고정축 중 다른 하나에 삽입되어 제자리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제2삽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안착판의 외주연에는 기어치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안착판이 치형 결합되도록 하여 상호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습윤밴드접착기는, 습윤밴드와 롤부 및 권취부를 모듈로 구성하고; 케이스에 상기 모듈을 장착시키며; 상기 케이스의 일단에는 상기 모듈을 선택적으로 일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지지하는 인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습윤밴드는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상처부분에 습윤밴드가 부착된 후 쉽게 절취되도록 지지하는 절취선;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절취선의 모양은, 모서리 부분이 라운딩처리되고; 상기 절취선의 모양은, 사각형, 원형, 마름모형 또는 타원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습윤밴드에서 이형지를 탈락시키는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도, 제1 및 제2권취롤의 상호 회전을 통해 자동으로 이형지가 습윤밴드에서 탈락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상처부위의 길이에 맞춰 습윤밴드의 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함께 습윤밴드에서 이형지의 탈락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른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습윤밴드접착기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습윤밴드접착기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습윤밴드접착기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례를 보인 습윤밴드의 실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한 습윤밴드접착기의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은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습윤밴드접착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와, 습윤밴드(20)와, 롤부(30), 및 권취부(4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0)는 제1 및 제2케이스(110)(12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케이스(10)는 제1 및 제2케이스(110)(120)가 상호 양분되게 구성되어, 상호 계합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110)(120)에는 내측에 일정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내측에 습유밴드(20)와, 롤부(30) 및 권취부(40)가 구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110)(120)의 일단에는 습윤밴드(20)의 일측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지지하여, 습윤밴드(20)가 상처부위에 접착될 수 있도록 하는 통공(112)(12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110)(120)의 통공(112)(122) 일측에는 습윤벤드(20)를 절단시킬 수 있도록 절단부재가 형성된다.
상기 절단부재는 상기 통공(112)(122)의 일측을 날카롭게 형성하여 습윤밴드(20)의 절단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절단부재는 별도의 절단날을 부착시키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공(112)(122)에는 절단부재를 별도로 구성하지 않고, 습윤밴드(20)를 가절취부를 형성하여 용이하게 절취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습윤밴드(20)를 강제 절취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결국, 상기 통공(112)(122)은 습윤밴드(20)를 용이하게 절취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조, 구성 또는 형상이면 어느 것이든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케이스(110)의 내측에는 일정높이로 세워져 습윤밴드(20)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롤(11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케이스(110)의 내측에는 권취부(40)가 제자리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고정축(116)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축(116)은 상기 제1케이스(110)의 내측에 일정높이 세워져 권취부(40)가 제자리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이 경우, 상기 고정축(116)은 상기 권취부(40)의 구성갯수에 맞춰 형성된다.
상기 습윤밴드(20)는 상처부위에 부착되어, 상처의 치유가 원활해지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습윤밴드(20)의 일단에는 상처부위에 점착될 수 있도록 점착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습윤밴드(20)의 점착부에는 점착부에 이물질의 임의 흡착이 이루어짐을 방지시키도록 하는 이형지(22)가 구성된다.
상기 이형지(22)는 상기 습윤밴드(20)의 점착부에 점착되고, 권취부(40)의 권취상태에 따라 상기 습윤밴드(20)에서 이탈됨으로써, 상기 습윤밴드(20)의 점착부가 상처부위에 점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롤부(30)는 습윤배드(20)와 이형지(22)가 함께 감겨진 밴드롤(32), 및 습윤밴드(20)가 이탈된 이형지(22)가 감겨지는 이형지롤(34)이 구성된다.
상기 밴드롤(32)은 습윤밴드(20)와, 상기 습윤밴드(20)의 점착부에 점착된 이형지(22)가 함께 감겨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이형지롤(34)은 상기 밴드롤(32)에 감겨진 습윤밴드(20)에서 이탈되는 이형지(22)가 감겨지도록 지지한다.
권취부(40)는 상기 롤부(30)에 구성되어 상처부위에 습윤밴드(20)가 용이하게 부착되면, 상기 습윤밴드(20)에서 이형지(22)가 용이하게 제거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권취부(40)는 밴드롤(32)이 결합되어 상기 밴드롤(32)을 회전 시키도록 하는 제1권취롤(42)과 상기 제1권취롤(42)의 일단에 구성되고 이형지롤(34)이 결합되어 상기 제1권취롤(42)과의 상호 회전을 통해 상기 이형지롤(34)을 회전시키도록 하는 제2권취롤(44)로 구성된다.
상기 제1권취롤(42)은 상단에 습윤밴드(20)와 이형지(22)가 권취된 밴드롤(32)이 안착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제1권취롤(42)은 제1안착판(422)과, 제1삽입축(424), 및 제1삽입홈(426)을 포함한다.
상기 제1안착판(422)은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상단에 밴드롤(32)이 안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안착판(422)의 외주연에는 기어치형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권취롤(42)의 일측에 구성되는 제2권취롤(44)과 기어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권취롤(42)(44)이 상호 맞물림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및 제2권취롤(42)(44)이 상호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조 또는 형상이면 어느 것이든 채택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제1 및 제2권취롤(42)(44)은 마찰방식, 벨트풀리방식, 또는 체인스프로킷방식 등이 구성될 수 있다.
제1삽입축(424)은 상기 제1안착판(422)의 상단 중앙에 일정높이로 세워져 밴드롤(32)이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안착판(422)에 밴드롤(32)이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삽입축(424)에 밴드롤(32)이 억지끼워 맞춤으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1안착판(422)과 밴드롤(32)이 동반 회전하게 된다.
제1삽입홈(426)은 상기 제1삽입축(424)과 대응되는 방향 즉, 제1안착판(422)의 하단 중앙에서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제1케이스(110)에 구성되는 복수의 고정축(116)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삽입홈(426)은 제1케이스(110)의 고정축(116)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시켜, 상기 고정축(116)을 중심으로 제1권취롤(42)이 제자리 회전하도록 지지한다.
상기 제2권취롤(44)은 상단에 이형지(22)가 권취되는 이형지롤(34)이 안착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제2권취롤(44)은 제2안착판(442)과, 제2삽입축(444), 및 제2삽입홈(446)을 포함한다.
상기 제2안착판(442)은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상단에 이형지롤(34)이 안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안착판(442)의 외주연에는 기어치형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권취롤(42)과 기어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권취롤(42)(44)이 상호 맞물림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및 제2권취롤(42)(44)이 상호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조 또는 형상이면 어느 것이든 채택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제1 및 제2권취롤(42)(44)은 마찰방식, 벨트풀리방식, 또는 체인스프로킷방식 등이 구성될 수 있다.
제2삽입축(444)은 상기 제2안착판(442)의 상단 중앙에 일정높이로 세워져 이형지롤(34)이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2안착판(442)에 이형지롤(34)이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삽입축(444)에 이형지롤(34)이 억지끼워 맞춤으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2안착판(442)과 이형지롤(34)이 동반 회전하게 된다.
제2삽입홈(446)은 상기 제2삽입축(444)과 대응되는 방향 즉, 제2안착판(442)의 하단 중앙에서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제1케이스(110)에 구성되는 복수의 고정축(116) 중 다른 하나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삽입홈(446)은 제1케이스(110)의 고정축(116)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시켜, 상기 고정축(116)을 중심으로 제2권취롤(44)이 제자리 회전하도록 지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습윤밴드접착기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롤부(30)의 밴드롤(32)에는 습윤밴드(20)와 상기 습윤밴드(20)의 일단에 구성된 점착부에 부착된 이형지(22)가 일체화된 상태로 권취되어 있고, 또한, 상기 롤부(30)의 이형지롤(34)에는 상기 습윤밴드(20)에서 연장된 이형지(22)의 일단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경우, 상기 습윤밴드(20)와 이형지(22)가 권취된 밴드롤(32) 및 이형지(22)의 일단이 고정된 이형지롤(34)은 하나의 세트로 판매되도록 하여 사용의 용이성을 가지도록 한다.
그리고, 케이스(10)의 제1케이스(110)에 구성된 복수의 고정축(116) 중 어느 하나에 권취부(40)의 제1권취롤(42)이 삽입된 상태이고, 다른 하나의 고정축(116)에 제2권취롤(44)이 삽입된 상태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케이스(110)의 복수의 고정축(116) 각각에 구성된 제1 및 제2권취롤(42)(44)은 외주연에 치형이 형성되어 상호 치형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권취롤(42)(44)이 치형결합에 따른 상호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1권취롤(42)에는 밴드롤(32)을 안착시키고, 제2권취롤(44)에는 이형지롤(34)을 안착시킨다.
또한, 상기 제1케이스(110) 내에 밴드롤(32) 및 이형지롤(34)의 안착이 이루어지면, 상기 밴드롤(32)과 이형지롤(34) 사이에 구성되는 습윤밴드(20)와 이형지(22)가 제1케이스(110)의 통공(112)에 위치되고, 상기 통공(112)에서부터 이형지롤(34)까지 이형지(22)만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밴드롤(32)에서 이형지롤(34) 사이로 구성된 습윤밴드(20)와 이형지(22)는 제1케이스(110)에 구성되는 다수의 가이드롤(114)에 의해 어느 부분이 쳐지지않고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습윤밴드(20)가 상처부위에 원활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또한, 상기 제1케이스(110)에 습윤밴드(20)의 장착이 완료되면, 상기 제1케이스(110)의 일단에 제2케이스(120)를 안착시켜, 밀폐된 케이스(10)가 완성된다.
이러한 케이스(10)는 도 3과 같이, 상처부위에 케이스(10)의 통공(112)(122)에 위치한 습윤밴드(20)를 밀착시킨 후 일방향으로 밀면, 상기 습윤밴드(20)의 점착부가 상처부위에 점착되면서 상기 습윤밴드(20)가 권취된 밴드롤(32)과 상기 밴드롤(32)이 삽입된 제1권취롤(42)이 함께 회전을 하게 되고, 이때, 상기 제1권취롤(42)의 일측에 치형 결합된 제2권취롤(44)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처부위에 습윤밴드(20)의 부착으로 제1권취롤(42)이 강제 회전을 하게 되고, 이와 더불어 상기 제1권취롤(42)의 일측에 결합된 제2권취롤(44)이 반대방향으로 강제 회전을 하게 되어, 상기 제2권취롤(44)에 구성된 이형지롤(34)이 회전함으로써, 습윤밴드(20)에 부착된 이형지(22)가 자동으로 탈락이 이루어지게 된다.
결국, 사용자가 습윤밴드(20)에서 이형지(22)를 탈락시키는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도, 제1 및 제2권취롤(42)(44)의 상호 회전을 통해 자동으로 이형지(22)가 습윤밴드(20)에서 탈락이 이루어져 사용의 편의성을 가지도록 한다.
또한, 습윤밴드(20)가 밴드롤(32)에 감겨진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상처부위의 길이에 맞춰 연속적인 부착이 이루어짐에 따라 습윤밴드(20)의 낭비를 방지시킨다.
또한, 습윤밴드(20)에서 이형지(22)를 사용자가 직접 탈락시키지 않고 자동으로 탈락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에 의한 습윤밴드(20)의 오염을 방지시켜 안전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습윤밴드접착기에는, 상기 케이스(10)의 통공(112)(122)을 개폐시키도록 구성하는 마개(70)를 포함한다.
상기 마개(70)는 상기 케이스(10)의 통공(112)(122)을 개폐시키도록 구성되어,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상기 통공(112)(122)으로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시켜 습윤밴드(20)의 오염이 방지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마개(70)는 케이스(10)에 착탈되게 구성되거나, 또는 일측이 힌지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10)에서 마개(70)가 회동됨에 따라 통공(112)(122)을 개폐시키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례를 살펴보면, 습윤밴드(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처부분에 부착되는 습윤밴드의 모양에 따라 쉽게 절취될 수 있도록 절취선(24)이 형성된다.
상기 절취선(24)은 습윤밴드(20)에 일정 폭에 따라 형성됨에 따라 쉽게 습윤밴드(20)의 절취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절취선(24)의 간격 길이는 1 ~ 3(㎝)이다.
또한, 상기 습윤밴드(20)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형지(22)에서 쉽게 탈락되지 않도록 모서리부분이 라운딩처리된 형상임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습윤밴드(20)는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된다.
또는, 상기 습윤밴드(20)는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름모형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마름모의 모서리부분은 라운딩 처리된 형상이다.
또한, 상기 습윤밴드(20)는 도 4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습윤밴드(20)는 일정간격으로 절취선이 형성됨과 함께 다각형 또는 다양한 모양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의 습윤밴드접착기는, 습윤밴드(20)와, 롤부(30), 및 권취부(40)가 모듈(50)로 구성되어, 케이스(10)에 구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의 일단에는 상기 모듈(50)을 케이스(10)의 외부로 인출시키거나 또는 케이스(10)의 내부에 인입시킬 수 있도록 선택적 조절이 가능한 인출부(60)를 포함한다.
상기 인출부(60)는 평상시에 모듈(50)을 케이스(10)의 내부에 인입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습윤밴드(20)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 상기 케이스(10)에서 상기 모듈(5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습윤밴드(20)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상기 인출부(60)는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는 볼펜을 생각하면 쉽게 알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습윤밴드접착기에는 사용을 하지 않을 경우에 케이스(10)의 일단을 마감시켜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케이스(10)의 내부로 침투됨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는 마개(또는 커버)가 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사용의 편리성을 가지는 습윤밴드접착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케이스 110: 제1케이스
112: 통공 114: 가이드롤
116: 고정축 120: 제2케이스
122: 통공 20: 습윤밴드
22: 이형지 30: 롤부
32: 밴드롤 34: 이형지롤
40: 권취부 42: 제1권취롤
422: 제1안착판 424: 제1삽입축
426: 제1삽입홈 44: 제2권취롤
442: 제2안착판 444: 제2삽입축
446: 제2삽입홈

Claims (9)

  1. 상처부위에 부착시켜 상처에 대한 치유가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습윤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습윤밴드의 일단에는 점착부가 구성되고, 상기 점착부가 외부에 노출됨을 방지하도록 하는 이형지를 포함하며;
    상기 습윤밴드와 상기 습윤밴드의 점착부에 부착된 이형지를 수납시켜 상처부위에 맞춰 습윤밴드를 부착시키되, 상기 습윤밴드가 상처부위에 부착이 이루어짐과 함께 상기 습윤밴드에서 이형지가 자동으로 탈락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내측에 상기 습윤밴드와 이형지가 수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구성되고, 상기 이형지가 부착된 습윤밴드와 상기 습윤밴드가 상처부위에 부착되는 과정에서 탈락된 이형지가 감겨지도록 지지하는 롤부; 및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구성되고, 상기 롤부에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권취부;
    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내측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일단에 습윤밴드가 노출되도록 지지하여 상처부위에 습윤밴드가 부착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도록 하는 통공이 형성되며, 일정높이로 세워져 습윤밴드와 이형지의 이송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롤, 및 일측에 일정높이로 세워져 상기 권취부가 제자리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고정축을 포함하는 제1케이스; 및
    상기 제1케이스의 일단에 구성되어 내부가 밀폐되도록 구성되는 제2케이스;
    로 구성되며,
    상기 습윤밴드와 롤부 및 권취부를 모듈로 구성하고, 상기 케이스에 상기 모듈을 장착시키되, 상기 케이스의 일단에는 선택적으로 상기 모듈의 일단이 외부로 인출되거나 인입되도록 하는 인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윤밴드접착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부는,
    이형지가 부착된 습윤밴드가 감겨진 밴드롤; 및
    상기 밴드롤의 일측에 구성되되, 상기 밴드롤에 감겨진 습윤밴드가 상처부위에 부착이 이루어진 후 탈락된 이형지가 감겨지도록 지지하는 이형지롤;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의 편리성을 가지는 습윤밴드접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는,
    이형지가 부착된 습윤밴드가 감겨진 롤부의 밴드롤이 안착되는 제1권취롤; 및
    상기 제1권취롤의 일단에 밀착되게 구성되고, 이형지가 감겨지는 롤부의 이형지롤이 안착되되, 상기 제1권취롤과의 밀착으로 상호 회전에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제2권취롤;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의 편리성을 가지는 습윤밴드접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권취롤은 상단에 밴드롤이 안착되도록 지지하는 제1안착판과, 상기 제1안착판의 상단 중앙에 일정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밴드롤이 삽입되도록 지지하는 제1삽입축; 및 하단 중앙에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제1케이스에 구성되는 복수의 고정축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제자리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제1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권취롤은 상단에 이형지롤이 안착되도록 지지하는 제2안착판과, 상기 제2안착판의 상단 중앙에 일정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이형지롤이 삽입되도록 지지하는 제2삽입축; 및 하단 중앙에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제1케이스에 구성되는 복수의 고정축 중 다른 하나에 삽입되어 제자리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제2삽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안착판의 외주연에는 기어치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안착판이 치형 결합되도록 하여 상호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의 편리성을 가지는 습윤밴드접착기.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윤밴드는 일정 간격으로 연속해서 형성되되, 습윤밴드의 모양에 따라 절취되어 상처부분에 부착되도록 하는 절취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윤밴드접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습윤밴드의 모양은, 사각형 또는 사각형의 모서리 부분이 라운딩처리되거나, 원형, 마름모형 또는 타원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윤밴드접착기.
KR1020220053889A 2022-04-30 2022-04-30 사용의 편리성을 가지는 습윤밴드접착기 KR102517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3889A KR102517564B1 (ko) 2022-04-30 2022-04-30 사용의 편리성을 가지는 습윤밴드접착기
PCT/KR2022/007378 WO2023210858A1 (ko) 2022-04-30 2022-05-24 사용의 편리성을 가지는 습윤밴드접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3889A KR102517564B1 (ko) 2022-04-30 2022-04-30 사용의 편리성을 가지는 습윤밴드접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7564B1 true KR102517564B1 (ko) 2023-04-04

Family

ID=85928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3889A KR102517564B1 (ko) 2022-04-30 2022-04-30 사용의 편리성을 가지는 습윤밴드접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17564B1 (ko)
WO (1) WO2023210858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6253A (ko) * 2004-12-13 2006-06-16 에버레이드 주식회사 반창고 세트
KR100883884B1 (ko) * 2007-11-15 2009-02-17 (주) 모아랩 의료용 점착밴드 인출기
KR20090092516A (ko) * 2008-02-27 2009-09-01 이동수 의료용 접착테이프 디스펜서
KR20150000568U (ko) * 2013-07-26 2015-02-04 전호진 롤형태의 일회용밴드
KR20170116737A (ko) * 2016-04-12 2017-10-20 주식회사 주빅 마이크로니들 부착을 위한 롤러형 어플리케이터
KR102361381B1 (ko) 2021-04-09 2022-02-14 주식회사 액트엠 습윤 밴드 제조용 프레스 장치 및 습윤 밴드 제조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6253A (ko) * 2004-12-13 2006-06-16 에버레이드 주식회사 반창고 세트
KR100883884B1 (ko) * 2007-11-15 2009-02-17 (주) 모아랩 의료용 점착밴드 인출기
KR20090092516A (ko) * 2008-02-27 2009-09-01 이동수 의료용 접착테이프 디스펜서
KR20150000568U (ko) * 2013-07-26 2015-02-04 전호진 롤형태의 일회용밴드
KR20170116737A (ko) * 2016-04-12 2017-10-20 주식회사 주빅 마이크로니들 부착을 위한 롤러형 어플리케이터
KR102361381B1 (ko) 2021-04-09 2022-02-14 주식회사 액트엠 습윤 밴드 제조용 프레스 장치 및 습윤 밴드 제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10858A1 (ko) 2023-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81990B2 (en) Self-adaptive and optionally also otherwise adaptable wound dressing
EP241385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wound protection and exudate management
AU2007212488B2 (en) Surgical wound dressing
ES2241591T3 (es) Vendaje para heridas.
US5244457A (en) Vented wound dressing
US20230390119A1 (en) Bandage
KR102517564B1 (ko) 사용의 편리성을 가지는 습윤밴드접착기
EP2583645A1 (en) Skin lesion protector
CN113712735A (zh) 一种便携式创面管理敷料
JPH07308339A (ja) 無菌創傷用パッキング
CN113950311A (zh) 允许在使用中评估伤口流体的新型吸收性伤口敷料构造
CN215537776U (zh) 一种急诊用中药封包
CN211433709U (zh) 一种儿科急诊伤口包扎固定装置
CN211659025U (zh) 一种淋巴液吸收贴
US20140378929A1 (en) Hydrophilic dressing
CN210228732U (zh) 一种脂肪液化伤口愈合功能敷料
KR20050033413A (ko) 상처 드레싱재
TWM585595U (zh) 紗布改良結構
PL67880Y1 (pl) Opatrunek do larwoterapi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