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7404B1 - 음식물처리기 - Google Patents

음식물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7404B1
KR102517404B1 KR1020210155664A KR20210155664A KR102517404B1 KR 102517404 B1 KR102517404 B1 KR 102517404B1 KR 1020210155664 A KR1020210155664 A KR 1020210155664A KR 20210155664 A KR20210155664 A KR 20210155664A KR 102517404 B1 KR102517404 B1 KR 102517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shing
strainer
pulverized
shape
soli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5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따뜻한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따뜻한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따뜻한꿈
Priority to KR1020210155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74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쇄부에 분쇄가 이루어지는 분쇄부 케이스와, 고형분이 외부로 배출되는 전방 커버가 가압판에 의해 격리되며, 분쇄부에 의해 고형분이 가압판으로 이송될 때에만 가압판이 개방되어 고형분을 전방 커버로 이송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분쇄부 케이스 내부에서 발생된 수분이 전방 커버로 유입되어 수분에 의해 악취, 벌레 및 세균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분쇄대상물 및 수분이 유입되는 호퍼의 내부에 자성체가 설치됨으로써, 센서들에 의해 쇠붙이들의 유입이 감지될 경우 분쇄부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음식물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식물처리기{Food waste disposal}
본 발명은 음식물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로는 배수구에 설치되어 설거지 및 식품 세척 등에 의해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부피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시 발생되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며, 수분이 제거된 고형분만을 모을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수분이 포함된 음식물 쓰레기에 의해 악취, 벌레 및 세균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가정 또는 음식점의 주방에는 싱크대의 배수관에 거름망이 구비됨으로써 설거지 및 식품 세척 등에 의해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들에 의해 배수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거름망에는 음식물 쓰레기들이 쌓이게 되어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쌓인 음식물 쓰레기들로 인하여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들은 장시간 방치되면 악취가 발생하게 될 뿐만 아니라, 벌레 및 세균 등이 번식되어 주변환경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므로 가정이나 음식점의 주방에서는 음식물 쓰레기가 쌓인 거름망을 배수관으로부터 인출하여 거름망에 쌓인 음식물 쓰레기를 음식물 쓰레기통으로 버려 폐기하게 되는데,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들은 다량의 수분을 포함하여 부피도 크고, 무겁기 때문에 폐기처리에 많은 비용이 들게 될 뿐만 아니라 비위생적인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내등록특허 제10-1847093호(발명의 명칭 : 싱크대용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이하 ’종래기술‘이라 함)가 개발되었다.
도 1은 종래기술이 적용되는 싱크대용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종래기술(100)은 싱크대의 배수구에 설치되어 분쇄대상물을 모아 하방으로 유입하는 호퍼(110)와, 호퍼(110)로부터 유입된 분쇄대상물을 분쇄하는 미세분쇄수단(120)과, 미세분쇄수단(120)의 하부에 설치되어 분쇄된 분쇄대상물을 배출하는 강제배출수단(130)으로 이루어진다.
호퍼(110)는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싱크대의 배수구에 결합되어 분쇄대상물을 모아주게 된다.
미쇄분쇄수단(120)은 호퍼(110)의 하부에 설치되며, 하우징(121)과, 한 쌍의 스크류(122), 망체(123), 하우징커버(124)로 이루어진다.
하우징(121)은 전면이 개구되고 후면이 폐쇄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면에 개구부(1211)가 형성되어 호퍼(110)의 하단부와 연결된다.
또한 하우징(121)의 하부면에는 수분배출구(미도시)가 형성된다.
수분배출구는 하우징(121)의 하부면 후방에 위치하며, 스크류(122)들에 의해 분쇄된 분쇄대상물의 수분이 배출된다.
스크류(122)들은 하우징(121)의 내부에 수평으로 서로 맞물려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외주면에 형성된 헬리컬 형상의 톱니들이 서로 맞물려 회전하게 되면 호퍼(110)로부터 유입되는 분쇄대상물을 분쇄한다.
망체(123)는 스크류(122)들의 외측에 설치되며, 하부면에 타공면이 형성되어 스크류(122)들에 의해 분쇄된 분쇄대상물의 수분이 수분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하우징커버(124)는 전면이 폐쇄되고 후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하우징(121)의 전방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하우징커버(124)의 하부면에는 스크류(122)들에 의해 분쇄된 분쇄대상물의 고형분들이 배출되는 고형분 배출구(1241)가 형성된다.
강제배출수단(130)은 하우징(121)의 수분배출구와 연통되는 직하부에 형성된다.
강제배출수단(130)의 내부에는 전방으로 회전 추진력을 가하는 임펠러(131)가 설치되며, 모터부(132)로부터 회전력을 받아 회전된다.
이러한 강제배출수단(130)은 수분배출구를 통해 유입되는 분쇄대상물의 수분이 임펠러(131)를 통해 배수관으로 강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100)은 호퍼(110)를 통해 유입되는 분쇄대상물을 미쇄분쇄수단(120)을 통해 분쇄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질량 및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100)은 분쇄 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 및 고형분을 분리함으로써 수분이 제거된 고형분만을 수집하기 위한 수단이 없기 때문에 고형분을 모으는 과정에서 고형분 내부에 수분이 포함되며, 고형분에 포함된 수분에 의해 악취, 벌레 및 세균이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분쇄부에 분쇄가 이루어지는 분쇄부 케이스와, 고형분이 외부로 배출되는 전방 커버가 가압판에 의해 격리되며, 분쇄부에 의해 고형분이 가압판으로 이송될 때에만 가압판이 개방되어 고형분을 전방 커버로 이송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분쇄부 케이스 내부에서 발생된 수분이 전방 커버로 유입되어 수분에 의해 악취, 벌레 및 세균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처리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분쇄대상물 및 수분이 유입되는 호퍼의 내부에 자성체가 설치됨으로써, 센서들에 의해 쇠붙이들의 유입이 감지될 경우 분쇄부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음식물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내부로 유입되는 분쇄대상물을 분쇄하여 고형분과 수분으로 분리시켜 배출하는 음식물처리기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에 분쇄대상물이 유입되는 유입부와, 일측에 고형분이 배출되는 고형분배출구, 하부에 수분이 배출되는 수분배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유입부에 설치되는 호퍼;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호퍼를 통해 유입된 분쇄대상물을 분쇄하는 분쇄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전면이 개구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면이 상기 호퍼와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분쇄부가 설치되는 분쇄부 케이스; 후면이 개구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분쇄부 케이스의 전방에 설치되어 내부 공간이 상기 분쇄부 케이스와 연통되며, 하면에 상기 분쇄부에 의해 분쇄된 배출대상물의 고형분이 외부로 배출되는 고형분배출구가 형성되는 전방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분쇄부는 분쇄대상물을 분쇄하며, 분쇄된 분쇄대상물을 전방으로 이송하는 분쇄수단들; 상기 분쇄수단들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분쇄수단들에 의해 분쇄된 분쇄대상물의 수분이 배출되는 거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커버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방 커버의 후단부와 결합되며, 전면에 중공 원통 형상의 고형분 배출부들이 전방으로 돌출되는 격벽;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방 커버의 전면과 상기 격벽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판들; 양단부가 각각 상기 전방 커버의 전면과 상기 가압판의 후면에 연결되며, 압축된 상태로 설치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가압판을 후방으로 가압하는 스프링들;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방 커버의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전방축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쇄수단들 각각은 전단부가 상기 전방 커버와 연결되는 전방축; 전방을 향할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스크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방축에 결합되되, 조립 시, 상기 격벽의 후방에 배치되는 배출스크류; 헬리컬 기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방축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분쇄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분쇄수단들은 폭 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분쇄기어들이 서로 치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가압판들은 중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공에 상기 전방축들 중 하나가 관통되도록 설치되어 전방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스프링에 의해 후방으로 가압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들에 의해 후방으로 가압되어 상기 격벽의 고형분 배출부들을 폐쇄하되, 상기 분쇄부로부터 이송된 고형분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될 때, 상기 스프링들이 압축되어 상기 고형분 배출부들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고, 상기 전방축은 전단부가 상기 고형분 배출부들 및 상기 가압판들을 관통하여, 상기 전방축 삽입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상기 배출스쿠류를 통과한 고형분들로 운동에너지를 발생시켜 고형분들의 상기 고형분 배출부들로의 이동을 유도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거름부는 한 쌍의 중공 반원통이 폭 방향으로 연결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분쇄기어들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분쇄기어들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하부 거름망; 한 쌍의 중공 반원통이 폭 방향으로 연결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분쇄기어들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분쇄기어들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하부 거름망과 결합되는 상부 거름망;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폭 방향으로 연결되며 내부 공간이 서로 연통되는 한 쌍의 거름망 삽입부들과, 상기 거름망 삽입부들의 전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중공 원통 형상의 거름망 결합부들을 포함하는 거름망 커버; 상기 거름망 커버의 거름망 결합부들과 각각 결합되며, 설치 시, 내부에 상기 배출스크류들이 각각 배치되는 전방 거름망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분쇄부에 분쇄가 이루어지는 분쇄부 케이스와, 고형분이 외부로 배출되는 전방 커버가 가압판에 의해 격리되며, 분쇄부에 의해 고형분이 가압판으로 이송될 때에만 가압판이 개방되어 고형분을 전방 커버로 이송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분쇄부 케이스 내부에서 발생된 수분이 전방 커버로 유입되어 수분에 의해 악취, 벌레 및 세균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분쇄대상물 및 수분이 유입되는 호퍼의 내부에 자성체가 설치됨으로써, 센서들에 의해 쇠붙이들의 유입이 감지될 경우 분쇄부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이 적용되는 파이프 클램핑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음식물처리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분쇄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수분배출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음식물처리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음식물처리기(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와, 케이스(2)의 상부에 설치되며 싱크대(8)의 배수구에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 등(이하 ’분쇄대상물‘이라 함)이 케이스(2)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호퍼(3)와, 호퍼(3)를 통해 유입된 분쇄대상물을 분쇄하는 분쇄부(4)와, 프로펠러(52)를 통해 케이스(2) 내부의 수분을 배수관(9)으로 배출하는 수분배출부(5)와, 분쇄부(4) 및 수분배출부(5)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6)로 이루어진다.
도 4는 도 2의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케이스(2)는 내부에 분쇄부(4)가 설치되는 분쇄부 케이스(21)와, 분쇄부 케이스(21)의 전방에 설치되는 전방 커버(22)와, 분쇄부 케이스(21)의 하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수분배출부(5)가 설치되는 수분배출부 케이스(23)와, 분쇄부 케이스(21)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면 커버(24)로 이루어진다.
분쇄부 케이스(21)는 전후면이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면에는 호퍼(3)와 결합되어 분쇄대상물이 유입되는 유입부(211)가 형성된다.
또한 분쇄부 케이스(21)의 하부면에는 호퍼(3)로부터 유입된 수분을 수분배출부 케이스(23)로 전달하는 수분전달부(212)가 형성된다.
또한 분쇄부 케이스(21)의 양측면에는 추가로 복수개의 연결부(213)들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213)들은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식기세척기, 정수기 등의 배수관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연결부(213)들이 분쇄부 케이스(21)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연결부(213)들의 형성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전방 커버(22)는 전면이 폐쇄되되, 후면이 개방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후단부가 분쇄부 케이스(21)의 전단부와 결합된다.
또한 전방 커버(22)의 전면에는 후술되는 분쇄부(4)의 제1, 제2 전방축(411), (421)의 전단부가 삽입되는 중공 원통 형상의 전방축 삽입부(221)들이 후방으로 돌출된다.
이때 전방축 삽입부(221)들은 폭 방향으로 이격되게 돌출됨으로써 설치 시, 제1 전방축(411)과 제2 전방축(421)이 폭 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도록 한다.
또한 전방 커버(22)의 하부면에는 분쇄부(4)에 의해 분쇄된 분쇄대상물의 고형분이 배출되는 중공 원통 형상의 고형분배출구(222)가 형성된다.
또한 전방 커버(22)의 후단부에는 격벽(223)이 설치된다.
격벽(223)은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제2 전방 거름망(434), (435)의 전단부가 삽입되는 중공 원통 형상의 고형분 배출부(2231)들이 전방으로 돌출된다. 이때 고형분 배출부(2231)들은 폭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며, 전방축 삽입부(221)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전방축 삽입부(221)들에 삽입된 전방축(411), (421)들이 관통된다.
또한 고형분 배출부(2231)들은 중공 내부로 제1, 제2 전방 거름망(434), (435)의 전단부가 각각 삽입된다.
이러한 격벽(223)은 설치 시, 전방 커버(22)의 개구된 후면을 폐쇄하여 전방 커버(22)의 내부공간과 분쇄부 케이스(21)의 내부공간을 분할함으로써 분쇄부 케이스(21) 내부에서 분쇄대상물이 분쇄될 때 발생되는 수분이 전방 커버(2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전방 커버(22)의 내부에는 스프링(224)들 및 가압판(225)들이 설치된다.
가압판(225)들은 중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방축(411), (421)들 각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스프링(224)들은 전방축 삽입부(221)와 가압판(225)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설치 시, 압축된 상태로 설치되어 가압판(225)을 후방으로 가압한다.
이러한 가압판(225)은 평시에는 스프링(224)에 의해 후방으로 가압되어 고형분 배출부(2231)의 전단부를 밀폐하되, 고형분 배출부(2231)를 통해 고형분이 유입되는 고형분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될 때, 고형분 배출부(2231)의 전단부와 이격되어 고형분 배출부(2231)의 전단부가 개방된다.
이때 고형분은 고형분 배출부(2231)의 전단부와 가압판(225)이 이격될 때, 이격된 공간을 통해 전방 커버(22)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가압판(25)은 고형분이 유입될 때에만 개방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분쇄대상물을 분쇄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수분이 전방 커버(2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수분이 고형분과 함께 전방 커버(22)로 유입되어 악취 및 벌레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분배출부 케이스(23)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부가 분쇄부 케이스(21)의 수분전달부(212)와 연통되어 분쇄부 케이스(21)로 유입된 수분을 전달받는다.
또한 수분배출부 케이스(23)는 타단부가 도 2의 배수관(9)과 연결되며, 내부에 유입된 수분이 수분배출부(5)에 의해 배수관(9)으로 배출된다.
또한 수분배출부 케이스(23)의 후단부에는 후술되는 프로펠러 구동축(51)이 관통되는 구동축 관통부(231)가 형성된다.
후방 커버(24)는 사각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분쇄부 케이스(21)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분쇄부 케이스(21)의 개방된 후면을 폐쇄한다.
또한 후방 커버(24)의 후면에는 제1 구동모터(61)가 설치된다.
이때 제1 구동모터(61)는 모터축이 후술되는 제1 분쇄기어(413)와 연결되어 제1 분쇄기어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또한 후방 커버(24)의 하면에는 수분배출부 케이스(23)의 후방까지 하향 돌출되는 하향 돌출판(241)이 연결된다.
하향 돌출판(241)은 후방 커버(24)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며, 수분배출부 케이스(23)의 후방에 배치된다. 또한 하향 돌출판(241)의 후면에는 수분배출부(5)에 동력을 제공하는 제2 구동모터(62)가 설치된다. 이때 제2 구동모터(62)는 모터축이 수분배출부(5)와 연결되어 수분배출부(5)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또한 후방 커버(24)의 전면에는 후술되는 후방축(424)이 삽입되는 중공 원통 형상의 후방축 삽입부(242) 및 제1 구동모터(61)의 모터축이 관통되는 모터축 관통공(243)이 형성된다.
이때 후방축 삽입부(242 후술되는 분쇄부(4)의 제2 분쇄수단(42)의 직하부에 형성되고, 모터축 관통공(243)은 후술되는 분쇄부(4)의 제1 분쇄수단(41)의 직하부에 형성된다.
호퍼(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음식물 조리 시 또는 설거지 시에 발생하는 분쇄대상물을 모아준다.
이러한 호퍼(3)는 싱크대(8)의 배수구에 설치되며, 하단부가 분쇄부 케이스(21)의 유입부(211)와 결합됨으로써 내부에 모인 분쇄대상물을 분쇄부 케이스(21)로 배출한다.
또한 호퍼(3)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되, 내부에 자성을 띈 자성체가 설치됨으로써 케이스(2)의 내부로 숟가락과 젓가락 등의 쇠붙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분쇄부(4)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호퍼(3)에는 센서(미도시)들이 설치됨으로써 호퍼(3)의 내부로 음식물 쓰레기 등의 분쇄대상물이 내부로 유입될 때, 센서들에 의해 분쇄대상물의 유입이 감지되며,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분쇄부(4)가 동작되어 분쇄대상물이 분쇄된다.
이때 센서들은 공지된 다양한 센서들이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도 2의 분쇄부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분해사시도이다.
분쇄부(4)는 제1 분쇄수단(41)과, 제2 분쇄수단(42), 거름부(43)로 이루어진다.
제1 분쇄수단(41)은 제1 전방축(411)과, 제1 배출스크류(412)와, 제1 분쇄기어(413)로 이루어진다.
제1 전방축(411)은 전단부가 전방 커버(22)에 형성된 전방축 삽입부(221)들 중 하나에 삽입된다.
또한 제1 전방축(411)에는 스프링(224)과 가압판(225)이 전방에 설치되며, 가압판(225)의 후방에 제1 배출스크류(412)가 설치된다.
이때 스프링(224)과 가압판(225)은 설치 시, 격벽(223)을 기준으로 전방에 배치되도록 제1 전방축(411)에 설치되며, 제1 배출스크류(412)는 격벽(223)을 기준으로 후방에 배치되도록 제1 전방축(411)에 설치된다.
또한 제1 전방축(411)은 후단부가 제1 분쇄기어(413)와 결합된다.
제1 배출스크류(412)는 전방을 향할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스크류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전방축(411)과 결합된다.
이때 제1 배출스크류(412)는 후술되는 제1 전방 거름망(434)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러한 제1 배출스크류(412)는 분쇄기어(413), (423)들에 의해 분쇄된 분쇄대상물의 고형분을 전방 커버(22)로 이송시키며, 이송 과정에서 고형분에 포함된 수분이 제1 전방 거름망(434)을 통해 배출된다.
제1 분쇄기어(413)는 기어 이빨이 경사지게 형성된 헬리컬 기어(Helical gear)이며, 설치 시, 제2 분쇄기어(423)와 기어 이빨이 치합되며, 분쇄부 케이스(21)의 유입부(211) 하부에 배치된다.
또한 제1 분쇄기어(413)는 전단부가 제1 전방축(411)의 후단부와 결합되며, 후단부가 제1 구동모터(61)의 모터축과 결합됨으로써 제1 구동모터(61)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제2 분쇄수단(42)은 제1 분쇄수단(41)과 폭 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제1 전방축(411)과, 제1 배출스크류(412), 제1 분쇄기어(413)와 동일한 형상 및 구조를 갖는 제2 전방축(421)과 제2 배출스크류(422), 제2 분쇄기어(423)로 이루어지되, 후방축(424)을 더 포함한다.
제2 전방축(421)은 제1 전방축(411)과 폭 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전단부가 전방 커버(22)에 형성된 전방축 삽입부(221)들 중 하나에 삽입된다.
또한 제2 전방축(421)은 스프링(224)과 가압판(225)이 전방에 설치되며, 가압판(225)의 후방에 제2 배출스크류(422)가 설치된다.
이때 스프링(224)과 가압판(225)은 설치 시, 격벽(223)을 기준으로 전방에 배치되도록 제2 전방축(421)에 설치되며, 제2 배출스크류(422)는 격벽(223)을 기준으로 후방에 배치되도록 제2 전방축(421)에 설치된다.
또한 제2 전방축(421)은 후단부가 제2 분쇄기어(423)와 결합된다.
제2 배출스크류(422)는 전방을 향할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스크류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전방축(421)과 결합된다.
이때 제2 배출스크류(422)는 후술되는 제2 전방 거름망(435)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러한 제2 배출스크류(422)는 분쇄기어(413), (423)들에 의해 분쇄된 분쇄대상물의 고형분을 전방 커버(22)로 이송시키며, 이송 과정에서 고형분에 포함된 수분이 제2 전방 거름망(435)을 통해 배출된다.
제2 분쇄기어(423)는 기어 이빨이 경사지게 형성된 헬리컬 기어(Helical gear)이며, 설치 시, 제1 분쇄기어(413)와 기어 이빨이 치합된다.
또한 제2 분쇄기어(413)는 전단부가 제2 전방축(421)의 후단부와 결합되며, 후단부가 후방축(424)과 결합된다.
후방축(424)은 전단부가 제2 분쇄기어(413)와 결합되며, 후단부가 후방 커버(24)에 형성된 후방축 삽입부(242)에 삽입된다.
이러한 제2 분쇄수단(42)은 제2 분쇄기어(423)의 기어 이빨이 제1 분쇄기어(413)와 치합되기 때문에 제1 분쇄기어(413)가 제1 구동모터(61)에 의해 회전될 때,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1 분쇄수단(41) 및 제2 분쇄수단(42)은 제1 구동모터(61)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며, 회전 시, 제1 분쇄기어(413)와 제2 분쇄기어(423) 사이로 유입된 분쇄대상물을 분쇄한다.
또한 제1 분쇄수단(41) 및 제2 분쇄수단(42)은 제1 분쇄기어(413)와 제2 분쇄기어(423)가 헬리컬 기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분쇄된 분쇄대상물이 기어 이빨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된다.
또한 제1 분쇄수단(41) 및 제2 분쇄수단(42)은 분쇄기어(413), (423)들에 의해 분쇄된 분쇄대상물을 배출스크류(412), (422)들을 통해 전방 커버(22)로 이송하며, 이송 과정 중에서 분쇄대상물의 수분이 거름부(4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수분이 제거된 고형분만 전방 커버(22)로 배출되도록 한다.
거름부(43)는 제1 분쇄수단(41) 및 제2 분쇄수단(42)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분쇄대상물의 분쇄 및 이송 과정에서 발생된 수분만 배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거름부(43)는 하부 거름망(431), 상부 거름망(432), 거름망 커버(433), 제1 전방 거름망(434), 제2 전방 거름망(435)으로 이루어진다.
하부 거름망(431)은 한 쌍의 중공 반원통들이 폭 방향으로 연결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수분배출공(미도시)들이 형성된다.
이때 하부 거름망(431)은 내경이 분쇄기어(413), (423)들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외경이 거름망 커버(433)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하부 거름망(431)의 양측단부에는 삽입판(4311)들이 각각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하부 거름망(431)은 분쇄기어(413), (423)들의 하부에 설치되며, 중공들 내부에 분쇄기어(413), (423)들이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하부 거름망(431)은 설치 시, 삽입판(4311)들이 상부 거름망(432)에 형성된 걸림고리(4322)들에 각각 삽입되어 상부 거름망(432)과 결합되며, 전단부가 거름망 커버(433)의 내부로 삽입된다.
상부 거름망(432)은 내부에 분쇄기어(413), (423)들이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중공 반원통이 연결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으로부터 내주면까지 관통 형성되는 복수개의 수분배출공(미도시)들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 거름망(432)은 내경이 분쇄기어(413), (423)들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외경이 거름망 커버(433)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 거름망(432)은 분쇄기어(413), (423)들의 상부에 설치되며, 중공들 내부에 분쇄기어(413), (423)들이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부 거름망(432)은 상부면에 분쇄대상물 유입공(4321)이 형성된다.
분쇄대상물 유입공(4341)은 설치 시, 분쇄부 케이스(21)의 유입부(211)의 직하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유입부(211)를 통해 유입된 분쇄대상물이 분쇄수단(41), (42)들로 향하도록 한다.
또한 상부 거름망(432)의 양측단부에는 하부 거름망(431)의 양측단부에 형성된 삽입판(4311)들과 대응되는 형상의 걸림고리(4322)들이 외측으로 각각 돌출된다.
이러한 상부 거름망(432)은 분쇄기어(413), (423)들의 상부에 설치되며, 중공들 내부에 분쇄기어(413), (423)들이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부 거름망(432)은 설치 시, 하부 거름망(431)의 삽입판(4311)들이 걸림고리(4322)들에 각각 삽입되어 하부 거름망(431)과 결합되며, 전단부가 거름망 커버(433)의 내부로 삽입된다.
거름망 커버(433)는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거름망 삽입부(4331a), (4331b)들과, 거름망 삽입부(4331a), (4331b)들의 전단부에 연결되는 경사부(4332a), (4332b)들과, 경사부(4332a), (4332b)들의 전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중공 원통 형상의 거름망 결합부(4333a), (4333b)들로 이루어진다.
거름망 삽입부(4331a), (4331b)들은 각각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연결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거름망 삽입부(4331a), (4331b)들은 내경이 하부 거름망(431) 및 상부 거름망(43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설치 시, 하부 거름망(431) 및 상부 거름망(432)이 내부로 삽입된다.
경사부(4332a), (4332b)들은 전방을 향할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거름망 삽입부(4331a), (4331b)들의 전단부에 각각 연결된다.
거름망 결합부(4333a), (4333b)들은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경사부(4332a), (4332b)들의 전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다.
이때 거름망 결합부(4333a), (4333b)들은 외경이 제1 전방 거름망(434) 및 제2 전방 거름망(435)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기 때문에 설치 시, 제1 전방 거름망(434) 및 제2 전방 거름망(435)의 내부로 각각 삽입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거름망 커버(433)는 설치 시, 거름망 삽입부(4331a), (4331b)들 내부로 하부 거름망(431) 및 상부 거름망(432)이 삽입되며, 삽입된 하부 거름망(431) 및 상부 거름망(432)의 외주면을 감싸줌으로써 하부 거름망(431) 및 상부 거름망(432)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거름망 커버(433)는 거름망 결합부(4333a), (4333b)들을 통해 제1 전방 거름망(434) 및 제2 전방 거름망(435)과 결합됨으로써 제1 전방 거름망(434) 및 제2 전방 거름망(435)이 제1 배출스크류(412)와 제2 배출스크류(422)의 외측에 각각 설치되도록 한다.
제1 전방 거름망(434) 및 제2 전방 거름망(435)은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외주면으로부터 내주면까지 관통 형성되는 복수개의 수분배출공(미도시)들이 형성된다.
이때 제1 전방 거름망(434) 및 제2 전방 거름망(435)은 내경의 크기가 제1, 제2 배출스크류(412), (422)들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설치 시, 내부에 배출스크류(412), (422)들이 각각 배치된다.
또한 제1 전방 거름망(434) 및 제2 전방 거름망(435)은 후단부가 거름망 커버(433)의 거름망 결합부(4333a), (4333b)들과 각각 결합된다.
이러한 제1 전방 거름망(434) 및 제2 전방 거름망(435)은 분쇄기어(413), (423)들에 의해 분쇄된 분쇄대상물이 배출스크류(412), (422)들을 따라 전방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분쇄대상물 내부에 포함된 수분을 배출함으로써 수분이 배수관(9)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며, 수분이 제거된 고형분이 전방 커버(2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거름부(43)는 분쇄수단(41), (42)들에 의해 분쇄대상물이 분쇄 및 이송될 때, 분쇄대상물이 분쇄수단(41), (42)들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분쇄수단(41), (42)들에 의해 분쇄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여 분쇄대상물 내부의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수분이 제거된 고형분만을 별도로 배출하여 수분에 의해 벌레 및 세균 등이 번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도 3의 수분배출부의 단면도이다.
수분배출부(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분배출부 케이스(23)의 내부에 설치되며, 후술되는 제2 구동모터(62)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프로펠러 구동축(51)과, 프로펠러 구동축(51)의 단부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프로펠러(52)와, 수분배출부 케이스(23)의 단부에 설치되어 수분배출부 케이스(23)의 단부를 개폐하는 개폐문(53)으로 이루어진다.
프로펠러 구동축(51)은 수분배출부 케이스(23)의 구동축 관통부(231)에 삽입 설치되며, 후단부가 제2 구동모터(62)와 결합된다.
이러한 프로펠러 구동축(51)은 제2 구동모터(62)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프로펠러(52)는 프로펠러 구동축(51)의 전단부에 설치되며, 정방향으로 회전 시, 전방으로 추진력을 가하여 수분배출부 케이스(23) 내의 수분을 배수관(9)으로 배출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수분배출부(5)는 케이스(2) 내부로 분쇄대상물 및 수분이 유입될 경우에는 프로펠러(52)에 의해 추진력을 가하여 수분배출부 케이스(23) 내의 수분을 배수관(9)으로 배출한다.
구동부(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 커버(24)의 후면에 설치되며 모터축이 제1 분쇄기어(413)와 연결되는 제1 구동모터(61)와, 후면 커버(24)의 하향 돌출판(241)에 설치되며 모터축이 프로펠러 구동축(51)과 연결되는 제2 구동모터(6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동부(6)는 제1 구동모터(61)에 의해 제1 분쇄기어(413)를 회전시킴으로써 제1 분쇄기어(413)와 결합 및 치합되도록 구성된 제1 분쇄수단(41) 및 제2 분쇄수단(42)이 회전되도록 한다.
또한 구동부(6)는 제2 구동모터(62)에 의해 수분배출부(5)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분쇄부(4)로부터 수분이 발생될 때, 수분배출부(5)에 의해 수분이 배수관(9)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도 8은 도 2의 단면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음식물처리기(1)는 작업자가 가동시켰을 때, 또는 호퍼(3)에 설치된 센서(미도시)에 의해 분쇄대상물의 유입이 감지될 때, 제1 구동모터(61)가 작동되어 분쇄부(4)가 작동된다.
이때 분쇄대상물은 호퍼(3)를 통해 분쇄 케이스(21)의 내부로 유입되면, 분쇄기어(413), (423)들에 의해 분쇄되며, 배출스크류(412), (422)들을 따라 전방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수분이 배출된다.
또한 분쇄대상물의 고형분은 전방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전방 커버(22) 내부에 설치된 가압판(225)을 전방으로 가압하며, 가압된 가압판(225)이 전방으로 이동될 때, 가압판(225)과 격벽(223)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분쇄대상물 내부의 수분은 거름부(43)에 형성된 수분배출공들에 의해 수분배출부 케이스(23)로 이동되며 배수관(9)으로 배출된다.
이러한 음식물처리기(1)는 분쇄대상물의 분쇄가 이루어지는 분쇄부 케이스(21)와, 고형분이 배출되는 전방 커버(22)가 가압판(225)에 의해 분리되며, 분쇄대상물이 분쇄가 완료될 때에만 가압판(225)이 개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전방 커버(22)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분에 의해 악취, 벌레 및 세균 등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 : 음식물처리기 2 : 케이스
21 : 분쇄부 케이스 22 : 전방 커버
23 : 수분배출부 케이스 24 : 후면 커버
3 : 호퍼 4 : 분쇄부
41 : 제1 분쇄수단 42 : 제2 분쇄수단
43 : 거름부 5 : 수분배출부
51 : 프로펠러 구동축 52 : 프로펠러
53 : 개폐문 6 : 구동부
61 : 제1 구동모터 62 : 제2 구동모터

Claims (4)

  1. 내부로 유입되는 분쇄대상물을 분쇄하여 고형분과 수분으로 분리시켜 배출하는 음식물처리기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에 분쇄대상물이 유입되는 유입부와, 일측에 고형분이 배출되는 고형분배출구, 하부에 수분이 배출되는 수분배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유입부에 설치되는 호퍼;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호퍼를 통해 유입된 분쇄대상물을 분쇄하는 분쇄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전면이 개구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면이 상기 호퍼와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분쇄부가 설치되는 분쇄부 케이스;
    후면이 개구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분쇄부 케이스의 전방에 설치되어 내부 공간이 상기 분쇄부 케이스와 연통되며, 하면에 상기 분쇄부에 의해 분쇄된 배출대상물의 고형분이 외부로 배출되는 고형분배출구가 형성되는 전방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분쇄부는
    분쇄대상물을 분쇄하며, 분쇄된 분쇄대상물을 전방으로 이송하는 분쇄수단들;
    상기 분쇄수단들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분쇄수단들에 의해 분쇄된 분쇄대상물의 수분이 배출되는 거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커버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방 커버의 후단부와 결합되며, 전면에 중공 원통 형상의 고형분 배출부들이 전방으로 돌출되는 격벽;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방 커버의 전면과 상기 격벽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판들;
    양단부가 각각 상기 전방 커버의 전면과 상기 가압판의 후면에 연결되며, 압축된 상태로 설치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가압판을 후방으로 가압하는 스프링들;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방 커버의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전방축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쇄수단들 각각은
    전단부가 상기 전방 커버와 연결되는 전방축;
    전방을 향할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스크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방축에 결합되되, 조립 시, 상기 격벽의 후방에 배치되는 배출스크류;
    헬리컬 기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방축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분쇄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분쇄수단들은 폭 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분쇄기어들이 서로 치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가압판들은
    중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공에 상기 전방축들 중 하나가 관통되도록 설치되어 전방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스프링에 의해 후방으로 가압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들에 의해 후방으로 가압되어 상기 격벽의 상기 고형분 배출부들을 폐쇄하되, 상기 분쇄부로부터 이송된 고형분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될 때, 상기 스프링들이 압축되어 상기 고형분 배출부들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고,
    상기 전방축은
    전단부가 상기 고형분 배출부들 및 상기 가압판들을 관통하여, 상기 전방축 삽입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상기 배출스크류를 통과한 고형분들로 운동에너지를 발생시켜 고형분들의 상기 고형분 배출부들로의 이동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부는
    한 쌍의 중공 반원통이 폭 방향으로 연결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분쇄기어들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분쇄기어들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하부 거름망;
    한 쌍의 중공 반원통이 폭 방향으로 연결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분쇄기어들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분쇄기어들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하부 거름망과 결합되는 상부 거름망;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폭 방향으로 연결되며 내부 공간이 서로 연통되는 한 쌍의 거름망 삽입부들과, 상기 거름망 삽입부들의 전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중공 원통 형상의 거름망 결합부들을 포함하는 거름망 커버;
    상기 거름망 커버의 거름망 결합부들과 각각 결합되며, 설치 시, 내부에 상기 배출스크류들이 각각 배치되는 전방 거름망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KR1020210155664A 2021-11-12 2021-11-12 음식물처리기 KR102517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664A KR102517404B1 (ko) 2021-11-12 2021-11-12 음식물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664A KR102517404B1 (ko) 2021-11-12 2021-11-12 음식물처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7404B1 true KR102517404B1 (ko) 2023-04-03

Family

ID=85936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5664A KR102517404B1 (ko) 2021-11-12 2021-11-12 음식물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740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9869Y1 (ko) * 2004-11-11 2005-03-24 박현수 싱크대 내부에 설치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60020458A (ko) * 2004-08-31 2006-03-06 단지넷 주식회사 싱크대에 적합한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장치
KR101847093B1 (ko) * 2017-01-03 2018-05-28 김용구 싱크대용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
KR20190123076A (ko) * 2018-04-23 2019-10-31 아인텍(주)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074758B1 (ko) * 2019-11-29 2020-03-02 김용구 음식물처리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0458A (ko) * 2004-08-31 2006-03-06 단지넷 주식회사 싱크대에 적합한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장치
KR200379869Y1 (ko) * 2004-11-11 2005-03-24 박현수 싱크대 내부에 설치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847093B1 (ko) * 2017-01-03 2018-05-28 김용구 싱크대용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
KR20190123076A (ko) * 2018-04-23 2019-10-31 아인텍(주)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074758B1 (ko) * 2019-11-29 2020-03-02 김용구 음식물처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5061134A1 (en) Food-trash processing unit for kitchen
KR20150129281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940903B1 (ko) 개수대용 음식물쓰레기 분쇄기
KR101835559B1 (ko) 미생물 처리기
KR102074758B1 (ko) 음식물처리기
KR101583279B1 (ko) 분쇄 및 교반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어셈블리
KR102517404B1 (ko) 음식물처리기
KR101112491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32619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847093B1 (ko) 싱크대용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
KR10168012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200383227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388481B1 (ko)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821554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79764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JPH0910617A (ja) 生ゴミ処理装置
KR200341886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50473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KR101345231B1 (ko) 회수용 음식물처리기
KR101473197B1 (ko) 음식물 처리장치
CN220634706U (zh) 一种厨房垃圾处理设备
KR10223778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2561575B1 (ko)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0320324Y1 (ko)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108755867B (zh) 厨房垃圾处理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