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7280B1 - untact wear - Google Patents

untact we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7280B1
KR102517280B1 KR1020200140323A KR20200140323A KR102517280B1 KR 102517280 B1 KR102517280 B1 KR 102517280B1 KR 1020200140323 A KR1020200140323 A KR 1020200140323A KR 20200140323 A KR20200140323 A KR 20200140323A KR 102517280 B1 KR102517280 B1 KR 102517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fabric
sleeve extension
sewn
u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03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55832A (en
Inventor
박용관
Original Assignee
박용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관 filed Critical 박용관
Priority to KR1020200140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7280B1/en
Publication of KR20220055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58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2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1D13/1153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with a hoo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0Sleeves; Armho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00Overgarments
    • A41D3/005Overgarments with pullove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4Soft caps; Hoods
    • A42B1/048Detachable hoo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8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metals; with metal-generat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on texti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20H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얼굴과 손의 외부 접촉을 최소화하여 바이러스나 세균에 의한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언택트 웨어(untact wear)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언택트 웨어는 상의를 구성하는 소매에 연장된 소매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소매 연장부와 상기 소매는 접힘부를 경계로 나뉘어져 상기 소매 연장부는 상기 접힘부를 기준으로 펴지거나 상기 소매 쪽으로 접혀지고, 상기 소매 연장부는 상기 소매에 연결된 제1 원단 및 상기 제1 원단에 봉제된 제2 원단을 포함하여, 상기 소매 연장부가 펴질 때 상기 제1 원단 및 상기 제2 원단 사이의 공간에 손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lothing, and more particularly, to untact wear capable of preventing infection by viruses or bacteria by minimizing external contact between the face and hands. To this end, the untact w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leeve extension that extends to a sleeve constituting a top, and the sleeve extension and the sleeve are divided by a fold portion, so that the sleeve extension portion is unfolded based on the fold portion or the sleeve extension portion is The sleeve is folded toward the sleeve, and the sleeve extension includes a first fabric connected to the sleeve and a second fabric sewn to the first fabric, so that when the sleeve extension is unfolded, a space between the first fabric and the second fabric is formed.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 is accepted.

Description

언택트 웨어{untact wear}Untact wear {untact wear}

본 발명은 의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얼굴과 손의 외부 접촉을 최소화하여 바이러스나 세균에 의한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언택트 웨어(untact wear)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lothing, and more particularly, to untact wear capable of preventing infection by viruses or bacteria by minimizing external contact between the face and hands.

코로나 19로 인해 비대면 및 비접촉 방식이 모든 일상에 적용되면서 마스크 착용은 필수가 되었다. 그러나 마스크 착용은 여전히 불편하고 번거로우며 특히 손의 경우 비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Due to Corona 19, wearing a mask has become essential as non-face-to-face and non-contact methods are applied to all daily life. However, wearing a mask is still inconvenient and cumbersome, and it is very difficult to maintain a non-contact state, especially for hands.

한국등록특허 제10-1740995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4099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마스크를 쓰고 벗는 동작 없이 마스크를 사용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a mask without putting on and taking off the mask.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특별한 도구 없이 손의 비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 user to maintain a non-contact state of the hand without a special tool.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언택트 웨어는 상의를 구성하는 소매에 연장된 소매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소매 연장부와 상기 소매는 접힘부를 경계로 나뉘어져 상기 소매 연장부는 상기 접힘부를 기준으로 펴지거나 상기 소매 쪽으로 접혀지고, 상기 소매 연장부는 상기 소매에 연결된 제1 원단 및 상기 제1 원단에 봉제된 제2 원단을 포함하여, 상기 소매 연장부가 펴질 때 상기 제1 원단 및 상기 제2 원단 사이의 공간에 손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o this end, the untact w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leeve extension that extends to a sleeve constituting a top, and the sleeve extension and the sleeve are divided by a fold portion, so that the sleeve extension portion is unfolded based on the fold portion or the sleeve extension portion is The sleeve is folded toward the sleeve, and the sleeve extension includes a first fabric connected to the sleeve and a second fabric sewn to the first fabric, so that when the sleeve extension is unfolded, a space between the first fabric and the second fabric is formed.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 is accepted.

여기서, 상기 제1 원단과 상기 제2 원단이 겹쳐져 양 모서리가 봉제되고 양 모서리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두 개의 봉제선이 상기 소매 연장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소매 연장부의 상단 부분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first fabric and the second fabric are overlapped and both edges are sewn, and two seam lines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eeve extension at a position spaced a certain distance from both edges, but are not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leeve extension. characterized in that it does not

이에 따라 상기 소매 연장부의 상단 부분에 상기 봉제선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 만들어진 개구에 엄지 손가락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l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umb is exposed through the opening made when the seam line is not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leeve extension part.

그리고 상기 제2 원단에는 항균을 위한 금속재질의 원사가 봉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second fabric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yarn of the metal material for antibacterial is sewn.

또한, 상기 상의의 목 부분에 머리에 씌어지는 모자부 및 상기 모자부에 연결되어 얼굴의 코와 입을 가리는 마스크부로 구성된 가림부가 봉제되어 있고, 상기 마스크부의 안감에는 항균을 위한 금속재질의 원사가 봉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 covering portion consisting of a hat portion worn on the head and a mask portion connected to the hat portion to cover the nose and mouth of the face is sewn to the neck portion of the top, and a metallic yarn for antibacterial is sewn to the lining of the mask portion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또한, 상기 상의의 목 부분에 얼굴의 코와 입을 가리는 마스크부가 봉제되어, 상기 마스크부의 상단에는 귀에 거는 귀 걸이가 연결되며, 상기 마스크부의 안감에는 항균을 위한 금속재질의 원사가 봉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 mask part covering the nose and mouth of the face is sewn to the neck of the top, an ear hook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mask part, and a metal yarn for antibacterial is sewn to the lining of the mask part. to b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언택트 웨어를 입으면 사용자는 얼굴의 코와 입을 가릴 수 있고 동시에 손의 비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wearing the untact w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cover the nose and mouth of the face and at the same time maintain a non-contact state of the hand.

본 발명에 따르면, 상의 소매에 연장된 소매 연장부는 평상 시 소매 쪽으로 접혀 있다가 손 접촉이 필요할 때 소매 연장부를 펴서 소매 연장부 안쪽에 손을 넣어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패션 스타일을 유지하면서 쉽고 빠르게 외부 접촉에 따른 손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leeve extension extended to the sleeve of the upper garment is usually folded toward the sleeve, but when a hand contact is required, the sleeve extension can be unfolded and used by putting a hand inside the sleeve extension, so that it can be used easily and quickly while maintaining a fashion styl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hands according to.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소매 연장부를 구성하는 제1 원단과 제2 원단을 양 모서리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소매 연장부의 길이 방향으로 일부 봉제함으로써 봉제선 사이에 엄지 손가락을 노출할 수 있는 개구를 만드는 한편 제1 원단과 제2 원단의 양단이 지지되도록 하여 소매 연장부를 소매 쪽으로 접을 때 제2 원단의 펄럭거림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artially sewing the first fabric and the second fabric constituting the sleeve exten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eeve extension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both corner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thumb can be exposed is made between the seams. 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fabrics are supported so that fluttering of the second fabric can be minimized when the sleeve extension is folded toward the sleev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택트 웨어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언택트 웨어의 가림부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언택트 웨어의 소매 연장부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언택트 웨어의 소매 연장부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언택트 웨어의 소매 연장부에 손을 넣어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언택트 웨어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untact we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the covering part of the untact w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of the sleeve extension of the untact w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of a sleeve extension of the untact w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and is put into the sleeve extension part of the untact w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used.
6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untact we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operational effects will be clear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택트 웨어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언택트 웨어의 가림부의 정면을 나타낸 것이다. 1 shows an appearance of untact we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shows a front view of a covering part of untact w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언택트 웨어는 상의(10), 상의(10)의 목 부분에 연결된 가림부(20), 상의(10)의 소매(12)에 연결된 소매 연장부(30) 등을 포함한다. 1 and 2, the untact w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p 10, a cover 20 connected to the neck of the top 10, and a sleeve extension connected to the sleeve 12 of the top 10. section 30 and the like.

가림부(20)는 머리에 씌어지는 모자부(21) 및 모자부(21)에 연결되어 얼굴의 코와 입을 가리는 마스크부(23)로 구성되어 있다. 가림부(20)는 상의(10)에 일체로 봉제되거나,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상의(10)에 연결될 수 있다. The covering part 20 is composed of a hat part 21 that is covered on the head and a mask part 23 connected to the hat part 21 to cover the nose and mouth of the face. The covering part 20 may be integrally sewn to the top 10 or connected to the top 10 in a detachable structure.

모자부(21)와 마스크부(23) 사이에는 눈이 노출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어 있다. 모자부(21)를 구성하는 모자챙에는 모자챙의 전단을 접을 수 있도록 탈착 수단(21a, 21b)이 설치되어 있다. A space in which eyes can be exposed is provided between the cap part 21 and the mask part 23 . Detachable means 21a, 21b are installed on the brim constituting the hat portion 21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hat brim can be folded.

탈착 수단(21a, 21b)은 벨크로테이프나 썬 그립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탈착 수단(21a, 21b)이 벨크로테이프인 경우, 제1 탈착수단(21a)은 갈고리 면이 될 수 있고, 제2 탈착수단(21b)은 걸림 고리 면이 될 수 있다. 또한, 탈착 수단(21a, 21b)이 썬 그립이면, 제1 탈착수단(21a)은 썬 그립의 수 단추이거나 제2 탈착수단(21b)은 썬 그립의 암 단추가 될 수 있다. Detachable means (21a, 21b) may include a Velcro tape or a sun grip. When the detachable means 21a and 21b are Velcro tapes, the first detachable means 21a may be a hook surface, and the second detachable means 21b may be a hook surface. In addition, if the detachable means 21a, 21b is a sun grip, the first detachable means 21a may be a male button of the sun grip or the second detachable means 21b may be a female button of the sun grip.

마스크부(23)의 내측에는 안감(25)이 봉제되어 있으며 안감(25)에는 항균을 위한 금속재질의 원사(25a)가 봉제되어 있다. 항균을 위한 금속재질의 원사로 구리 원사가 사용될 수 있다. 구리 원사(25a)는 안감(25) 상에서 일정 간격으로 스트립 형태로 봉제되어 있다. Inside the mask part 23, a lining 25 is sewn, and a metal yarn 25a for antibacterial is sewn to the lining 25. Copper yarn may be used as a metallic yarn for antibacterial. Copper yarns 25a are sewn in the form of strips on the lining 25 at regular interval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언택트 웨어의 소매 연장부의 측면을 나타내고, 도 4는 소매 연장부의 정면을 나타내고, 도 5는 소매 연장부에 손을 넣어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Figure 3 shows the side of the sleeve extension of the untact w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the front of the sleeve extension, and Figure 5 shows a state in which a hand is put into the sleeve extension and used.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소매 연장부(30)는 상의(10)의 소매(12)에 연장되어 있으며, 소매 연장(30)부와 소매(12)는 접힘부(14)를 경계로 나뉘어져 소매 연장부(30)는 접힘부(14)를 기준으로 펴지거나 소매(12) 쪽으로 접혀진다. 3 to 5, the sleeve extension part 30 extends to the sleeve 12 of the top 10, and the sleeve extension part 30 and the sleeve 12 are separated by the folded part 14 as a boundary. Divided, the sleeve extension portion 30 is unfolded based on the folded portion 14 or folded toward the sleeve 12 .

소매 연장부(30)는 소매(12)에 연결된 제1 원단(31) 및 제1 원단(31)에 봉제된 제2 원단(32)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원단(31)은 상의(10)를 제작한 원단으로 구성되며, 제2 원단(32)은 상의(10)를 제작한 원단과 다르거나 상의 원단과 같으나 색상이 다를 수 있다. The sleeve extension 30 is composed of a first fabric 31 connected to the sleeve 12 and a second fabric 32 sewn to the first fabric 31 . The first fabric 31 is composed of a fabric from which the top 10 is made, and the second fabric 32 may be different from the fabric from which the top 10 is made, or may be the same as the fabric of the top, but may have a different color.

소매(12)에는 두 개의 단추(13)가 구비되어 있고 소매 연장부(30)에는 두 개의 단추(13)에 대응하여 두 개의 단추 구멍(33)이 형성되어 있다. The sleeve 12 is provided with two buttons 13, and two button holes 33 corresponding to the two buttons 13 are formed in the sleeve extension part 30.

소매 연장부(30)를 접힘부(14)를 기준으로 접은 후에 소매 연장부(30)의 단추 구멍(33)에 소매(12)의 단추(13)를 넣어 소매 연장부(30)를 소매(12)에 고정시킬 수 있다. After folding the sleeve extension part 30 based on the folded part 14, insert the button 13 of the sleeve 12 into the button hole 33 of the sleeve extension part 30 to close the sleeve extension part 30 ( 12) can be fixed.

이후 두 개의 단추(13)를 풀어 소매 연장부(30)를 펴면 제1 원단(31) 및 제2 원단(32) 사이에 있는 공간으로 손을 넣어 사용할 수 있다. Then, when the sleeve extension part 30 is opened by unfastening the two buttons 13, it is possible to insert a hand into the space between the first fabric 31 and the second fabric 32.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소매 연장부(30)를 소매(12)에 고정시킬 때 단추를 사용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벨크로테이프나 썬 그립 등과 같이 다양한 착탈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utton is used to fix the sleeve extension part 30 to the sleeve 12,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detachable means such as Velcro tape or a sun grip may be used.

제1 원단(31)과 제2 원단(32)이 겹쳐져 양 모서리가 봉제되고 양 모서리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두 개의 봉제선(34)이 소매 연장부(3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소매 연장부(30)의 상단 부분에는 봉제선(34)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The first fabric 31 and the second fabric 32 are overlapped and both edges are sewn, and two seam lines 34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eeve extension part 30 at a position spaced a certain distance from both edges. At this time, the seam line 34 is not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leeve extension part 30 .

즉, 소매 연장부(30)의 상단 부분에 봉제선(34)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 제1 원단(31)과 제2 원단(32) 사이에 개구(35)가 형성되고, 제1 원단(31) 및 제2 원단(32) 사이에 있는 공간으로 손을 넣을 때 개구(35)를 통해 엄지 손가락(40)이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소매 연장부(30)에 손을 넣을 때 개구(35)를 통해 엄지 손가락을 빼거나 엄지 손가락도 함께 넣어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at is, since the seam line 34 is not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leeve extension part 30, an opening 35 is formed between the first fabric 31 and the second fabric 32, and the first fabric 31 And the thumb 40 can be exposed through the opening 35 when a hand is put into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fabric 32 . Of course,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when putting a hand into the sleeve extension part 30, the thumb can be removed through the opening 35 or the thumb can be inserted together.

두 개의 봉제선(34)은 손이 들어가는 공간을 설정하는 한편 제1 원단(31)과 제2 원단(32)의 양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소매 연장부(30)를 소매(12) 쪽으로 접을 때 제2 원단(32)의 펄럭거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 two seams 34 set a space for hands to enter and serve to support both ends of the first fabric 31 and the second fabric 32, thereby folding the sleeve extension 30 toward the sleeve 12. It is possible to minimize fluttering of the second fabric 32 at the time.

제2 원단(32)에는 항균을 위한 금속재질의 원사(32a)가 봉제되어 있다. 항균을 위한 금속재질의 원사로 구리 원사가 사용될 수 있다. 구리 원사(32a)는 제2 원단(32) 상에서 일정 간격으로 스트립 형태로 봉제되어 있다. A metallic yarn 32a for antibacterial is sewn to the second fabric 32 . Copper yarn may be used as a metallic yarn for antibacterial. The copper yarns 32a are sewn in the form of strips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econd fabric 32 .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언택트 웨어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6 shows an appearance of untact we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언택트 웨어는 도 1에 도시된 언택트 웨어와 유사하나 상의(10)의 목 부분이 가림부(20) 대신 마스크부(60)가 연결되어 있다는 점이 다르다. Referring to FIG. 6 , the untact we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the untact wear shown in FIG. 1 , but the neck portion of the top 10 is connected to the mask portion 60 instead of the cover portion 20 . It is different in that it has been

마스크부(60)는 상의(10)에 일체로 봉제되거나,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상의(10)에 연결될 수 있다. The mask unit 60 may be integrally sewn to the upper garment 10 or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garment 10 in a detachable structure.

마스크부(60)는 얼굴의 코와 입을 가리는 부분으로, 마스크부(60)의 상단에는 귀에 걸 수 있는 귀 걸이(61)가 연결되어 있다. 상의(10)를 착용하고 마스크부(60)를 코까지 올릴 때 귀 걸이(61)를 귀에 걸어 마스크부(60)가 내려가지 않게 할 수 있다. The mask part 60 is a part that covers the nose and mouth of the face, and an ear hook 61 that can be hung on the ear is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mask part 60. When the top 10 is worn and the mask part 60 is raised up to the nose, the ear hook 61 can be hung on the ear to prevent the mask part 60 from going down.

두 개의 귀 걸이(61)는 마스크부(60)의 원단과 동일한 소재로 구성되거나 별도의 탄성력 있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귀 걸이(61)는 길이 조정을 할 수 없는 일반 귀 걸이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길이 조정이 가능한 귀 걸이로 구성될 수 있다. The two ear hooks 61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abric of the mask unit 60 or made of a separate elastic material. The ear hanger 61 shown in FIG. 6 is not limited to a general ear hanger whose length cannot be adjusted, but may be configured as an ear hanger whose length can be adjusted.

마스크부(60)의 안감(62)에는 항균을 위한 금속재질의 원사가 봉제되어 있다. 항균을 위한 금속재질의 원사로 구리 원사가 사용될 수 있다. 구리 원사(62a)는 안감(62) 상에서 일정 간격으로 스트립 형태로 봉제되어 있다. The lining 62 of the mask unit 60 is sewn with yarn made of metal for antibacterial purposes. Copper yarn may be used as a metallic yarn for antibacterial. Copper yarns 62a are sewn in the form of strips on the lining 62 at regular intervals.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que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상의 12: 소매
13: 단추 14: 접힘부
20: 가림부 21: 모자부
23: 마스크부 25: 안감
30: 소매 연장부 31: 제1 원단
32: 제2 원단 33: 단추 구멍
34: 봉제선 35: 개구
40: 손(엄지손가락) 60: 마스크부
61: 귀 걸이 62: 안감
10: Top 12: Sleeve
13: button 14: folding part
20: cover part 21: hat part
23: mask part 25: lining
30: sleeve extension 31: first fabric
32: second fabric 33: button hole
34: seam 35: opening
40: hand (thumb) 60: mask part
61: ear hook 62: lining

Claims (6)

상의를 구성하는 소매에 연장된 소매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소매 연장부와 상기 소매는 접힘부를 경계로 나뉘어져 상기 소매 연장부는 상기 접힘부를 기준으로 펴지거나 상기 소매 쪽으로 접혀지고,
상기 소매 연장부는 상기 소매에 연결된 제1 원단 및 상기 제1 원단에 봉제된 제2 원단을 포함하여,
상기 소매 연장부가 펴질 때 상기 제1 원단 및 상기 제2 원단 사이의 공간에 손이 수용되며,
상기 제1 원단과 상기 제2 원단이 겹쳐져 양 모서리가 봉제되고 양 모서리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두 개의 봉제선이 상기 소매 연장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소매 연장부의 상단 부분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택트 웨어.
Including a sleeve extension extending to the sleeve constituting the top,
The sleeve extension portion and the sleeve are divided by a folded portion so that the sleeve extension portion is unfolded based on the folded portion or folded toward the sleeve;
The sleeve extension part includes a first fabric connected to the sleeve and a second fabric sewn to the first fabric,
When the sleeve extension is unfolded, the hand is accommod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abrics,
The first fabric and the second fabric are overlapped and both edges are sewn, and two seam lines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eeve extensio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both edges, but not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leeve extension. Featured untact wear.
삭제delete 제1항에서,
상기 소매 연장부의 상단 부분에 상기 봉제선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 만들어진 개구에 엄지 손가락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택트 웨어.
In paragraph 1,
Untact wear, characterized in that the thumb is exposed through the opening formed when the seam line is not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leeve extension.
제1항에서,
상기 제2 원단에는 항균을 위한 금속재질의 원사가 봉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택트 웨어.
In paragraph 1,
Untact wea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fabric is sewn with a metal yarn for antibacterial.
제1항에서,
상기 상의의 목 부분에 머리에 씌어지는 모자부 및 상기 모자부에 연결되어 얼굴의 코와 입을 가리는 마스크부로 구성된 가림부가 봉제되어 있고,
상기 마스크부의 안감에는 항균을 위한 금속재질의 원사가 봉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택트 웨어.
In paragraph 1,
A covering portion consisting of a hat portion worn on the head and a mask portion connected to the hat portion to cover the nose and mouth of the face is sewn to the neck portion of the top,
Untact wear, characterized in that the lining of the mask portion is sewn with a metal yarn for antibac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의의 목 부분에 얼굴의 코와 입을 가리는 마스크부가 봉제되어,
상기 마스크부의 상단에는 귀에 거는 귀 걸이가 연결되며,
상기 마스크부의 안감에는 항균을 위한 금속재질의 원사가 봉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택트 웨어.
According to claim 1,
A mask portion covering the nose and mouth of the face is sewn to the neck of the top,
An ear hook to be worn on the ear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mask part,
Untact wear, characterized in that the lining of the mask portion is sewn with a metal yarn for antibacterial.
KR1020200140323A 2020-10-27 2020-10-27 untact wear KR1025172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323A KR102517280B1 (en) 2020-10-27 2020-10-27 untact we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323A KR102517280B1 (en) 2020-10-27 2020-10-27 untact wea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832A KR20220055832A (en) 2022-05-04
KR102517280B1 true KR102517280B1 (en) 2023-04-03

Family

ID=81584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0323A KR102517280B1 (en) 2020-10-27 2020-10-27 untact we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7280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218655A (en) * 2018-06-20 2019-12-26 惠子 吉川 Garmen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0995B1 (en) 2016-04-06 2017-05-29 김장원 Functional Clothes With Detachable Mas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218655A (en) * 2018-06-20 2019-12-26 惠子 吉川 Gar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832A (en) 2022-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5535A (en) Hat sunguard device
US3258781A (en) Rain cape
US20060143796A1 (en) Hooded scarf
US6425138B1 (en) Hood with shoulder support
US4651347A (en) Protective shield for outer garments
KR102058424B1 (en) Turtle neck having mask
US5864887A (en) Protective cover from cosmetic dirt
JPS6350441B2 (en)
US2420916A (en) Protector shield for neckline, shoulders, and hair
US3968521A (en) Combined head and neck wear
US3378853A (en) Convertible sweater construction
US1980394A (en) Hunting coat
KR102517280B1 (en) untact wear
US2056998A (en) Apron
TWI646918B (en) Handbag
JP3215364U (en) Carrying clothes
JP2022172917A (en) mask and nose cover
US1551059A (en) Sweater
JP3704680B2 (en) Waterproof clothing
KR20210000682U (en) Protective Clothing against the falling of hood
JP3139307U (en) Stall
US2036609A (en) Invisible hood for garments
CN211532877U (en) Scarf with cap
KR200490996Y1 (en) Collar fixer
JP5891568B2 (en) Hairdressing cross with collar gu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