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682U - Protective Clothing against the falling of hood - Google Patents

Protective Clothing against the falling of ho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682U
KR20210000682U KR2020190003787U KR20190003787U KR20210000682U KR 20210000682 U KR20210000682 U KR 20210000682U KR 2020190003787 U KR2020190003787 U KR 2020190003787U KR 20190003787 U KR20190003787 U KR 20190003787U KR 20210000682 U KR20210000682 U KR 2021000068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protective clothing
wearer
protective
rea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78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학균
Original Assignee
엠텍에스티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텍에스티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텍에스티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900037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0682U/en
Publication of KR202100006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682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2Overalls, e.g. bodysuits or bib overal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20Hoo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2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working activi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머리를 덮는 후드를 구비한 방호복의 착용 중 후드가 안면으로 흘러내려 시야를 가리는 불편함을 해소한 방호복과 관련되며, 실시예로 상의 부분에 후드가 이어진 방호복에 있어서, 상기 후드의 후방 부분 중 착용자의 뒷통수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후방 부분을 상하 방향으로 탄성있게 수축시키는 주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의 흘러내림을 방지한 방호복을 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ve clothing that eliminates the inconvenience of obscuring the view by flowing down the hood while wearing a protective clothing having a hood covering the head.As an embodiment, in the protective clothing connected with a hood on the upper part, the rear of the hood A protective suit preventing the hood from flowing down, characterized in that a corrugated portion for elastically contracting the rear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wearer's back.

Description

후드의 흘러내림을 방지한 방호복{Protective Clothing against the falling of hood}Protective Clothing against the falling of hood

본 고안은 머리를 덮는 후드를 구비한 방호복의 착용 중 후드가 안면으로 흘러내려 시야를 가리는 불편함을 해소한 방호복과 관련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ve suit that eliminates the inconvenience of obscuring the view due to the hood flowing down to the face while wearing a protective suit with a hood covering the head.

방호복은 유해한 주변 환경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거나, 작업자가 입고 있는 옷에서 떨어지는 먼지나 떨어진 머리카락 등이 작업 환경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덧입는 특수복이다.Protective clothing is a special clothing that is worn to protect the worker from harmful surrounding environments or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working environment by dust or hair falling from the clothes worn by the worker.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방호복이 개발되어 있다. 그 중 하나로 유독물질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복은 상의와 하의가 일체로 이루어지며, 상의에는 사용자의 뒷목, 귀, 머리를 덮어 가리는 후드가 구비된다. Various types of protective clothing have been develop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As one of them, a protective clothing for protecting workers from toxic substances consists of a top and a bottom, and a hood is provided to cover the user's back neck, ears, and head.

나아가 후드의 선단부에는 고무줄을 넣어둠으로써, 후드의 가장자리가 조여지면서 후드가 안면 둘레에 밀착되게 하여, 유해물질이 후드와 피부의 틈으로 유입되지 않게 하고 있다.Furthermore, by putting a rubber band at the front end of the hood, the hood is tightly attached to the periphery of the face while the edge of the hood is tightened, so that harmful substances do not enter the gap between the hood and the skin.

한편 이러한 방호복은 일정 시간 사용된 후에 외부에 묻은 유해물질로 인하여 폐기하게 되는 것으로, 1회용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경제적인 관점에서 누구나 착용할 수 있는 하나의 사이즈로 다량 제작되어 공급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se protective clothing are discarded due to harmful substances buried outside after being us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are used for single use. Therefore, from an economical point of view, it is manufactured and supplied in large quantities in one size that anyone can wear.

체격이 작은 작업자가 누구나 착용할 수 있도록 넉넉한 사이즈로 제작된 방호복을 입는 경우에, 방호복의 팔부분과 다리부분 각각은 손목 주름부와 발목 주름부가 있어 흘러내림이 방지되지만, 후드부분은 그러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When a worker with a small body wears a protective suit made in a large size so that anyone can wear it, each of the arm and leg portions of the protective suit has wrinkles on the wrists and wrinkles on the ankles to prevent it from falling down, but the hood portion does not have the disadvantage. There is this.

특히 허리를 수시로 굽혀야 하는 작업 환경에서 방호복의 등 부분과 이어진 후드는 점차 움직이게 되어 제 위치를 벗어나게 되고, 조여진 후드의 선단부가 안면에서 흘러내려 이마를 지나 시야를 가리게 된다. 더구나 방호복의 특성상 통기가 어려워 땀이 나기 쉬운데, 얼굴 부분의 땀이 후드 내면을 얼굴 피부와 들러붙게 만들어 한 번 내려간 후드가 다시 원위치로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In particular, in a work environment where the waist needs to be bent frequently, the back part of the protective suit and the connected hood gradually move and move out of position, and the tip of the fastened hood flows down from the face, obscuring the view past the forehead. Moreover, due to the nature of the protective clothing, it is difficult to breathe and sweat is easy. However, the sweat on the face makes the inner surface of the hood stick to the skin of the face, preventing the hood from returning to its original position.

이를 해소하려면 별도의 옷핀으로 후드를 고정하여야 하는데, 이 과정 중 옷핀은 외부의 유해물질로 오염되기 쉽고, 작업자는 이러한 옷핀을 흔히 재사용하므로 작업자의 안전에도 문제가 생기게 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hood must be fixed with a separate clothespin. During this process, the clothespins are easily contaminated with external harmful substances, and workers often reuse these clothespins, so there is a problem in the safety of worker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43574호 (2008.06.27)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43574 (2008.06.27)

본 고안은 프리 사이즈로 제작된 방호복을 체격이 작은 작업자가 착용하더라도 후드가 흘러내려 작업자의 안면을 과도하게 가리게 되는 문제를 없도록 한 방호복을 제시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present a protective clothing that prevents the problem of excessively covering the operator's face because the hood flows down even if a worker with a small build wears a protective clothing manufactured in a free size.

그 외 본 고안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In addition, the detailed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early understood and understood by experts or researchers in this technical field through the detailed contents described below.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실시예로 상의 부분에 후드가 이어진 방호복에 있어서, 상기 후드의 후방 부분 중 착용자의 뒷통수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후방 부분을 상하 방향으로 탄성있게 수축시키는 주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의 흘러내림을 방지한 방호복을 제시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mbodiment in the protective clothing in which the hood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ar head of the wearer among the rear part of the hood, wrinkles that elastically contract the rear 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We propose a protective clothing that prevents the hood from flowing down, characterized in that a part is formed.

나아가 상기 주름부는 늘린 탄성부재를 상기 후방 부분의 내측부에 덧댄 상태에서 상기 후방 부분과 상기 탄성부재를 바느질하여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wrinkle portion may be formed by sewing the rear portion and the elastic member in a state where the stretched elastic member is attached to the inner portion of the rear portion.

또한 상기 바느질이 이루어진 부분에는 방호용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 protective coating may be formed on the portion where the stitching is made.

본 고안에 따르면 방호복에 달린 후드를 머리에 쓰고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후드가 흘러내리면서 시야를 가리는 문제점이 해소된다. 그에 따라 후드를 자꾸 올리는 불편함을 없애 착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되며, 후드를 올리느라 방호복을 자꾸 만지지 않게 되어 착용자의 안전이 더욱 향상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blem of obscuring the view as the hood flows down in performing the work while wearing the hood attached to the protective suit on the head is solved. Accordingly, the convenience of the wearer is improved by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of constantly raising the hood, and the safety of the wearer is further improved as the protective clothing is not constantly touched while raising the hood.

그 외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고안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Other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early grasped and understood by experts or researchers in this technical field during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or through the detailed contents described below.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호복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후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주름부를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의 주름부를 나타낸 배면 이미지.
도 5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이미지.
1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 protective clot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 use state of the hood of the embodiment of Figure 1;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forming a wrink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ure 1;
Figure 4 is a rear image showing the wrinkled portion of the ho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ure 1;
Figure 5 is an image showing a use state of the ho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ure 1;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후드의 흘러내림을 방지한 방호복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단, 도면들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통일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configuration, function and operation of the protective clothing that prevents the flow of the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reference numbers for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will be used unified.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이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제한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이 기술분야에 속하는 전문가의 견지에서 도면에 도시된 일부 또는 전부가 고안의 실시를 위하여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형상, 모양, 순서가 아니라고 해석될 수 있다면,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한정하지 아니한다.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 an embodi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ly interpreted through the accompanying drawings. If it can be construed that some or all of the drawings are not necessarily required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design from the perspective of experts belonging to this technical field, this does not limit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design described in the claims. No.

도 1에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호복의 개략적인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방호복(100)은 상의 부분(10)과 하의 부분(20)이 일체로 제작되어 있으며, 상의 부분(10)에는 작업자의 머리에 쓰는 후드(30)가 연결된다. 상의 부분(10)의 전면에는 지퍼(101)가 구비되어 있다.1 shows a schematic form of a protective clot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protective clothing 100 has an upper portion 10 and a lower portion 20 integrally manufactured, and the upper portion 10 is connected with a hood 30 for use on the worker's head. A zipper 101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upper portion 10.

도시하지 아니한 다른 실시예에서 방호복의 상의 부분과 하의 부분은 나뉠 수 있다. 즉 상의와 하의가 각기 독립적인 한 벌로 제시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not shown,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protective clothing may be divided. In other words, the top and bottom can be presented as independent suits.

후드(30)의 선단부(31)에는 그 가장자리를 따라 탄성 밴드가 구비될 수 있다. 이 탄성밴드는 후드가 개방된 부분을 조여주어 방호복(100)을 착용한 작업자의 얼굴이 최소로 노출되도록 하면서, 후드(30)의 선단부(31)와 얼굴 피부 사이에 들뜸을 최소화하여 유해물질 등이 빈틈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탄성밴드가 반드시 필수인 것은 아니다.The front end 31 of the hood 30 may be provided with an elastic band along its edge. This elastic band tightens the open portion of the hood so that the face of the worker wearing the protective clothing 100 is exposed to the minimum, while minimizing the lifting between the front end 31 of the hood 30 and the skin of the face, thereby preventing harmful substances, etc. It is to prevent it from entering this gap. These elastic bands are not necessarily essential.

후드(30)는 상의 부분(10)의 목둘레에서 이어지는데, 작업자의 머리를 감싸도록 하기 위하여 공지된 방식에 따라 몇몇의 천 조각을 잇는 재봉질로 제작하게 된다. 이때 후드(30)의 후방 부분(32) 즉 방호복 착용자의 뒷통수에 닿는 부분에는 해당 부위를 상하 방향으로 탄성 있게 수축시키는 주름부(33)가 형성된다.The hood 30 is connected at the neck circumference of the upper part 10, and is manufactured by sewing together several pieces of fabric according to a known method in order to wrap the worker's head. At this time, the rear portion 32 of the hood 30, that is, the portion that contacts the rear head of the wearer of the protective suit, has a wrinkle portion 33 that elastically contracts the corresponding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러한 주름부(33)는 후드(30)의 후방 부분(32)을 모아주는 기능을 함으로써, 착용자의 이마 부분을 덮는 후드(30)의 선단부(31)가 흘러내려 시야를 가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This wrinkled portion 33 serves to collect the rear portion 32 of the hood 30 so that the front end 31 of the hood 30 covering the forehead of the wearer does not flow down and obstruct the view.

방호복(100)을 입는 착용자를 표현한 도 2를 참고하면, 주름부(33)는 후드(30)의 후방 부분(32)에서 주름을 형성하며 후드 소재(천)를 당기는 것이고, 이 당김은 정수리 부분을 지나 후드의 선단부(31)까지 영향을 주게 된다. 후드(30)의 선단부(31)가 착용자의 이마 아래로 흘러내리려 할 때에 주름부(33)가 정수리 부분의 소재를 포함하여 뒤쪽으로 당김(도 2의 블록 화살표 참고)에 따라 후드(30)의 선단부가 흘러내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2 representing a wearer wearing a protective suit 100, the wrinkle portion 33 forms a wrinkle at the rear portion 32 of the hood 30 and pulls the hood material (cloth), and this pull is the crown portion It affects the front end 31 of the hood after passing. When the front end 31 of the hood 30 is about to flow down the wearer's forehead, the folds 33 are pulled backwards including the material of the crown (refer to the block arrow in FIG. 2) of the hood 30. The tip does not flow down.

특히 후드(30)의 선단부(31) 가장자리를 따라 장착된 탄성밴드는 후드의 개방부위를 좁히도록 작용하면서, 착용자의 이마 부위에 걸쳐진 후드 소재(후드의 선단부)를 얼굴 중앙으로 당기게 된다. 즉 이 탄성밴드는 후드 소재가 착용자의 시야를 가리는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오히려 후드가 흘러내리려는 것을 돕는다. 따라서 후드의 선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탄성밴드가 구비된 방호복에서 후드의 흘러내림에 따른 시야 차단의 문제가 더욱 자주 발생하게 된다.In particular, the elastic band mounted along the edge of the front end 31 of the hood 30 acts to narrow the open portion of the hood, and pulls the hood material (the front end of the hood) over the wearer's forehead toward the center of the face. In other words, this elastic band helps the hood to flow down by pulling the hood material in a direction that obscures the wearer's view. Therefore, in the protective clothing provided with an elastic band along the edge of the front end of the hood, the problem of blocking the view due to the flow of the hood occurs more ofte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호복은, 이와 같이 후드의 선단부 가장자리에 탄성밴드가 구비된 경우에도, 주름부가 형성됨으로써 이 탄성밴드에 의한 후드 흘러내림 현상을 현저하게 경감시키거나 완전히 해소할 수 있다.In the protective clot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an elastic band is provided at the edge of the front end of the hood, the corrugation is formed to significantly reduce or completely eliminate the hood flow down phenomenon caused by the elastic band.

도 3은 탄성 있는 주름부의 세부 구성과 관련된다. 3 is related to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elastic corrugated portion.

후드의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주름부(33)의 예시로, 늘린 탄성부재(302)를 후드(30)의 후방 부분(32)의 내측부에 덧댄 상태에서, 후방 부분의 후드 소재(301)와 늘린 탄성부재(302)를 함께 재봉질하여 주름부(33)를 형성할 수 있다. As an example of the corrugated portion 33 that allows elastic deform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hood, in the state that the stretched elastic member 302 is attached to the inner portion of the rear portion 32 of the hood 30, the hood material 301 of the rear portion ) And the stretched elastic member 302 may be sewn together to form a wrinkle portion 33.

여기서 탄성부재(302)는 탄성을 가지는 넓적한 띠 형태의 고무줄이나 고무밴드가 사용될 수 있다. 이를 길이 방향으로 길게 잡아 늘린 상태에서, 평탄하게 펼친 후드 소재(301)의 내측부에 대고, 탄성부재(302)와 후드 소재(301)를 함께 재봉질하여 연결한다. 이후 늘어났던 탄성부재(302)가 수축하면서 후드 소재(301)가 주름 잡히며 전술한 주름부(33)가 형성된다.Here, the elastic member 302 may be a rubber band or a rubber band in the form of a wide band having elasticity. In a state that is elongated in the lengthwise direction, the elastic member 302 and the hood material 301 are sewn together and connected to the inner portion of the hood material 301 that is flatly unfolded. Then, as the elastic member 302 that has been stretched is contracted, the hood material 301 is creased, and the above-described crease 33 is formed.

여기서 재봉질을 대체하여 탄성부재를 탄성 소재에 고정시키는 접착제나 양면 테이프가 사용될 수 있다. 또는 탄성부재를 생략하고 늘어나는 재질의 실로 후드 소재에 수 회 박음질하여 주름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Here, an adhesive or double-sided tape for fixing the elastic member to the elastic material may be used in place of sewing. Alternatively, the elastic member may be omitted and stitched to the hood material several times with a thread made of an elongated material to form a wrinkle.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바늘질이 이루어진 부분에는 방호용 코팅이 더 이루어질 수 있다. 바느질로 인한 구멍으로 유해 물질이 침입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폴리머계 코팅제를 덧칠하거나 분사하는 방식으로 방진처리를 할 수 있다. 여기서 폴리머계 코팅제로 이미 다수 공개된 방수 코팅제나 방호 코팅제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detail, a protective coating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needled portion. If there is a risk of harmful substances intruding through the holes due to sewing, the dustproof treatment can be performed by overcoating or spraying a polymer-based coating agent. Here, as a polymer-based coating agent, one of a number of previously disclosed waterproof coatings or protective coatings can be selected.

도 4는 주름부가 구비된 실제 방호복의 후드 뒷부분을 펼친 상태의 이미지이고, 도 5의 (a), (b)는 도 4의 방호복을 착용한 사용 상태의 이미지이다. 4 is an image of an unfolded state of the rear portion of the hood of an actual protective clothing provided with a wrinkled portion, and FIGS. 5A and 5B are images of a state of use wearing the protective clothing of FIG. 4.

도 4에서 주름부(33)의 상하 길이는 8cm 이고, 주름진 주름부(33)를 원래대로 평탄하게 펼치면 16cm로, 주름부(33)에 의하여 줄어드는 후드(30) 후방의 세로 길이는 8cm가 된다.In FIG. 4, the upper and lower lengths of the corrugated part 33 are 8cm, and when the corrugated corrugated part 33 is unfolded flatly, it is 16cm, and the vertical length of the rear of the hood 30 reduced by the corrugated part 33 is 8cm .

후드(30)의 전면부와 후면부가 겹쳐지게 하여 평평하게 펼친 상태에서 살펴보면, 수축된 주름부(33)의 세로 길이는 후드(30)의 전체 세로 길이에 비하여 대략 40% 정도가 된다. When viewed in a state where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of the hood 30 are overlapped and unfolded flat, the vertical length of the contracted corrugated portion 33 is approximately 40% of the total vertical length of the hood 30.

통상 큰 사이즈로 제작된 후드의 후방 부분이 20% 정도 주름부에 의해 줄어들게 됨으로써 후드의 사이즈를 줄이는 결과가 된다. 물론 두상이 큰 사람이 방호복을 착용하는 경우에는 주름부가 늘어면서 착용자의 두상 사이즈에 맞춰 후드 사이즈가 늘어나게 된다.Usually, the rear portion of the hood made of a large size is reduced by about 20% by the folds, resulting in a reduction in the size of the hood. Of course, when a person with a large head wears a protective clothing, the size of the hood increas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wearer's head as the wrinkles increase.

한편 주름부(33)는 착용자의 대략 뒷통수와 목덜미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름부(33)의 내측부와 착용자의 머리가 직접 닿기보다는, 주름부가 목덜미보다 살짝 위에 위치하도록 하여 주름부 내측부와 착용자의 뒷머리가 직접 닿는 면적을 가급적 줄일 수 있다. 그에 따라 착용자가 다양한 자세를 바꿔가며 작업하기에 더 편해진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wrinkle portion 33 is located approximately between the back of the wearer and the nape of the neck. Rather than direct contact between the inner part of the wrinkle part 33 and the wearer's head, the wrinkle part is positioned slightly above the nape of the neck, so that the area in which the inner part of the wrinkle part and the back of the wearer directly contact can be reduced as much as possible. Accordingly, it becomes more comfortable for the wearer to work by changing various postures.

실제 프리 사이즈로 제공되는 방호복을 착용하면, 후드 사이즈가 착용자의 머리 사이즈보다 훨씬 크므로 후드가 쉽게 흘러내리게 된다. 도 5를 참고하면, 주름부(33)가 여분의 후드 소재를 모아줌으로써 후드가 착용자의 두상에 밀착할 수 있게 된다.If you wear protective clothing that is actually provided in one size fits all, the hood size is much larger than the size of the wearer's head, so the hood flows down easily. Referring to FIG. 5, the hood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wearer's head by collecting the excess hood material by the folds 33.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주름부는 세로 방향뿐만 아니라 가로 방향으로도 탄성 있게 수축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변형으로 X 자 형태로 주름부를 형성하여,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 모두에서 수축이 발생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세로 방향에 더하여 가로 방향까지 수축하도록 주름부를 형성함으로써, 두상이 작은 착용자가 보다 정확히 후드를 쓸 수 있게 하며, 작업 도중에 후드가 흘러내리지 않게 된다. Although not shown, the corrugated portion can be elastically contracted not only in the vertical direction but also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another modification, the wrinkles may be formed in an X-shaped shape, so that contraction may occur in both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By forming the corrugated portion so as to contrac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addition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wearer with a small head can use the hood more accurately, and the hood does not flow down during work.

100 : 방호복
10 : 상의 부분 101 : 지퍼 20 : 하의 부분
30 : 후드
31 : 선단부 32 : 후방 부분 33 : 주름부
301 : 후드 소재 302 : 탄성부재
100: protective clothing
10: upper portion 101: zipper 20: lower portion
30: hood
31: tip portion 32: rear portion 33: wrinkle portion
301: hood material 302: elastic member

Claims (3)

상의 부분에 후드가 이어진 방호복에 있어서,
상기 후드의 후방 부분 중 착용자의 뒷통수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후방 부분을 상하 방향으로 탄성있게 수축시키는 주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의 흘러내림을 방지한 방호복.
In the protective clothing with a hood connected to the top,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wearer's back of the rear portion of the hood, a wrinkle portion is formed to elastically contract the rear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Protective clothing that prevents the hood from flowing down.
제1항에서,
상기 주름부는
늘린 탄성부재를 상기 후방 부분의 내측부에 덧댄 상태에서 상기 후방 부분과 상기 탄성부재를 바느질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의 흘러내림을 방지한 방호복.
In claim 1,
The creas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by sewing the rear portion and the elastic member in a state in which an elongated elastic member is attached to the inner portion of the rear portion
Protective clothing that prevents the hood from flowing down.
제2항에서,
상기 바느질이 이루어진 부분에는 방호용 코팅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의 흘러내림을 방지한 방호복.
In paragraph 2,
A protective coating is formed on the portion where the stitching is made.
Protective clothing that prevents the hood from flowing down.
KR2020190003787U 2019-09-16 2019-09-16 Protective Clothing against the falling of hood KR20210000682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787U KR20210000682U (en) 2019-09-16 2019-09-16 Protective Clothing against the falling of ho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787U KR20210000682U (en) 2019-09-16 2019-09-16 Protective Clothing against the falling of ho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682U true KR20210000682U (en) 2021-03-24

Family

ID=75232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787U KR20210000682U (en) 2019-09-16 2019-09-16 Protective Clothing against the falling of ho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0682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1689A (en) 2022-11-01 2024-05-08 윤학균 Hood guard for protective cloth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574B1 (en) 2007-10-15 2008-07-03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Dustproof cloth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574B1 (en) 2007-10-15 2008-07-03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Dustproof cloth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1689A (en) 2022-11-01 2024-05-08 윤학균 Hood guard for protective cloth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56388B1 (en) Mask
US5511246A (en) Low lint protective garment
KR200435516Y1 (en) Working clothes for user comfortability
CA2475902A1 (en) Versatile garment
US9643033B2 (en) Disposable safety garment with improved neck closure
US20150208787A1 (en) Hairdressing cape
KR102058424B1 (en) Turtle neck having mask
KR20210000682U (en) Protective Clothing against the falling of hood
KR101587228B1 (en) Multi-purpose protective clothing
US20200288804A1 (en) Shower cap with hood and headband
JPH08242942A (en) Cut cloth
KR200491983Y1 (en) A wasp defensing cloths
KR200455486Y1 (en) Protective clothing
JP3704680B2 (en) Waterproof clothing
DK2730193T3 (en) Hairdresser hood
JP3623444B2 (en) hood
KR20200026014A (en) Shirt
JP3189089U (en) Clothing
JP3242748U (en) mask with cape
JP3240091U (en) protective clothing
KR200476346Y1 (en) Functionality T-shirts
JP3535999B2 (en) Cleanroom wear
CN213154084U (en) Novel adjustable dustproof garment
KR102517280B1 (en) untact wear
CN214047678U (en) Protective clothing is used in training convenient to oversleeve is dismantl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