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6799B1 - 에어컨용 분배관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에어컨용 분배관 검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16799B1 KR102516799B1 KR1020200117686A KR20200117686A KR102516799B1 KR 102516799 B1 KR102516799 B1 KR 102516799B1 KR 1020200117686 A KR1020200117686 A KR 1020200117686A KR 20200117686 A KR20200117686 A KR 20200117686A KR 102516799 B1 KR102516799 B1 KR 1025167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capillary
- air
- pipes
- pressur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98 cool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2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 G01M3/2807—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pipes
- G01M3/2815—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pipes using pressure measur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7—Capillary tub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F25B41/42—Arrangements for diverging or converging flows, e.g. branch lines or jun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컨용 분배관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냉매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체 유입구가 형성된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에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유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유로가 형성되고, 단부에 상기 냉매유로를 통과한 냉매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마련된 다수의 캐필러리 파이프를 구비한 분배관이 세팅되는 세팅부와, 상기 커넥터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 유입구를 통해 소정 압력의 에어를 주입하는 공기 주입부와, 상기 캐필러리 파이프들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 주입부에서 주입된 에어에 대한 상기 분배관 내부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는 센싱부와, 상기 센싱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분배관 내부의 압력 변화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상기 분배관의 막힘 여부 또는 누설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용 분배관 검사장치는 검사대상 분배관에 고압의 에어를 주입한 다음, 압력 변화를 측정하여 해당 분배관의 막힘 또는 누설 여부를 검사할 수 있으므로 비전문가라도 보다 손쉽게 검사를 수행할 수 있고, 분배관의 막힘 검사 및 누설 검사를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어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며, 검사 신뢰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용 분배관 검사장치는 검사대상 분배관에 고압의 에어를 주입한 다음, 압력 변화를 측정하여 해당 분배관의 막힘 또는 누설 여부를 검사할 수 있으므로 비전문가라도 보다 손쉽게 검사를 수행할 수 있고, 분배관의 막힘 검사 및 누설 검사를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어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며, 검사 신뢰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에어컨용 분배관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검사대상 분배관에 고압의 에어를 주입한 다음, 압력 변화를 측정하여 해당 분배관의 막힘 또는 누설 여부를 검사할 수 있는 에어컨용 분배관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냉동공조장비 또는 냉각수 등을 포함한 순환기 계통에 설치되어 유체 순환경로를 확보하는 소구경의 분배관은, 주를 이루는 커넥터와 이러한 커넥터에 다수의 캐필러리 파이프가 용접을 통해 단일몸체를 이룬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분배관은, 가결합된 커넥터와 캐필러리 파이프의 접합부에 화염을 분사시켜 예열시킨 다음, 이 예열된 접합부에 선형의 가용물을 접단시켜 제작되게 된다.
분배관의 품질 검사는 캐필러피 파이부의 접합부에 대해 누설 검사와, 내부 막힘 검사가 포함된다. 종래의 누설 검사는 분배관을 가압상태에서 물속에 담가 기포 발생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파이프의 접합부 누설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막힘 검사는 캐필러리 파이프에 에어를 불어 넣고 끝단부를 융단 천에 공기가 나오도록 하며, 융단 천 털의 움직임을 육안 관찰하여 파이프의 막힘 여부를 판정한다.
이때, 누설 검사의 경우, 분배관을 물속에 담가 시행하므로 검사 이후, 분배관 내에 잔류하는 물을 제거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막힘 검사의 경우, 분배관에 에어를 공급한 다음 배출되는 에어의 상태를 융단 천을 이용하여 육안으로 검사해야 하므로 번거럽고, 검사 결과에 대한 신뢰성이 다소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검사대상 분배관에 고압의 에어를 주입한 다음, 압력 변화를 측정하여 해당 분배관의 막힘 또는 누설 여부를 검사할 수 있는 에어컨용 분배관 검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용 분배관 검사장치는 냉매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체 유입구가 형성된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에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유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유로가 형성되고, 단부에 상기 냉매유로를 통과한 냉매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마련된 다수의 캐필러리 파이프를 구비한 분배관이 세팅되는 세팅부와, 상기 커넥터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 유입구를 통해 소정 압력의 에어를 주입하는 공기 주입부와, 상기 캐필러리 파이프들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 주입부에서 주입된 에어에 대한 상기 분배관 내부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는 센싱부와, 상기 센싱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분배관 내부의 압력 변화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상기 분배관의 막힘 여부 또는 누설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부를 구비한다.
상기 센싱부는 상기 배출구에 연통되도록 상기 캐필러리 파이프들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며, 내부에 배기유로가 형성된 다수의 배기관과, 상기 캐필러리 파이프들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거나 상기 캐필러리 파이프의 냉매유로를 통과하는 에어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배기관들에 각각 설치된 다수의 압력센서와, 상기 배기유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생가 배기관들에 각각 설치된 다수의 개폐밸브를 구비한다.
상기 판별부는 상기 유체 유입구로 소정 압력을 갖는 에어가 주입되도록 상기 공기 주입부를 작동시키고, 상기 커넥터로 에어가 주입되는 상태에서, 상기 캐필러리 파이프들 중 상기 냉매유로를 통과하는 에어의 압력이 기설정된 기준압력 이하인 캐필러리 파이프를 막힘이 발생된 파이프로 판별하고, 상기 캐필러리 파이프의 막힘 발생 여부 판별이 완료되면, 상기 배기관들의 배기유로가 폐쇄되도록 상기 개폐밸브들을 작동시키고, 상기 공기 주입부의 작동을 정지시킨 다음, 상기 캐필러리 파이프들 중 내부 압력이 감소하는 캐필러리 파이프를 누설이 발생된 파이프로 판별한다.
상기 판별부는 작업자가 누설 검사 모드 또는 막힘 검사 모드 중 어느 한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형성된 선택모듈과, 상기 선택모듈에서 선택된 검사 모드에 따라 상기 공기 주입부 및 센싱부를 제어하고, 상기 압력센서들에서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분배관의 상기 분배관의 막힘 여부 또는 누설 여부를 분석하는 검사모듈을 구비한다.
상기 검사모듈은 상기 선택모듈에서 상기 막힘 검사 모드가 선택될 경우, 상기 유체 유입구로 소정 압력을 갖는 에어가 주입되도록 상기 공기 주입부를 작동시키고, 상기 커넥터로 에어가 주입되는 상태에서, 상기 캐필러리 파이프들 중 상기 냉매유로를 통과하는 에어의 압력이 기설정된 기준압력에 이하인 캐필러리 파이프를 막힘이 발생된 파이프로 판별하고, 상기 선택모듈에서 상기 누설 검사 모드가 선택될 경우, 상기 유체 유입구로 소정 압력을 갖는 에어가 기설정된 주입시간동안 주입되도록 상기 공기 주입부를 작동시키며, 해당 주입시간이 경과한 다음, 상기 배기관들의 배기유로가 폐쇄되도록 상기 개폐밸브들을 작동시키고, 상기 공기 주입부의 작동을 정지시킨 후, 상기 캐필러리 파이프들 중 내부 압력이 감소하는 캐필러리 파이프를 누설이 발생된 파이프로 판별한다.
상기 세팅부는 일측면에 다수의 배기관이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측면에 대향되게 설치되며, 상기 캐필러리 파이프들의 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배기관들에 각각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배기관들에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관통구가 형성된 파이프 지지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관통구는 삽입되는 상기 캐필러리 파이프의 단부를 상기 배기관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측면에 인접될수록 내경이 감소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이프 지지부재는 상기 관통구에 대한 상기 캐필러리 파이프의 삽입방향을 따라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측면에 인접되거나 멀어지도록 이동가능하게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세팅부는 상기 캐필러리 파이프의 단부와 상기 배기관의 연결이 완료되면, 상기 캐필러리 파이프가 상기 파이프 지지부재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 지지부재를 상기 베이스부재에 인접되게 이동시킬 수 있게 상기 파이프 지지부재에 설치되는 액츄에이터를 더 구비한다.
상기 캐필러리 파이프는 다단으로 만곡되게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 지지부재는 상기 캐필러리 파이프들의 단부가 기설정된 설정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도록 상기 관통구들이 해당 설정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세팅부는 단부가 상기 관통구에 삽입된 상기 캐필러리 파이프들을 상호 구속시킬 수 있도록 외주면이 상호 밀착되게 상기 캐필러리 파이프들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속 타이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용 분배관 검사장치는 검사대상 분배관에 고압의 에어를 주입한 다음, 압력 변화를 측정하여 해당 분배관의 막힘 또는 누설 여부를 검사할 수 있으므로 비전문가라도 보다 손쉽게 검사를 수행할 수 있고, 분배관의 막힘 검사 및 누설 검사를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어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며, 검사 신뢰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용 분배관 검사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에어컨용 분배관 검사장치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에어컨용 분배관 검사장치에 대한 블럭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컨용 분배관 검사장치에 대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에어컨용 분배관 검사장치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에어컨용 분배관 검사장치에 대한 블럭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컨용 분배관 검사장치에 대한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용 분배관 검사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다른 에어컨용 분배관 검사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검사대상 분배관(10)이 세팅되는 세팅부(200)와, 상기 세팅부(200)에 세팅된 분배관(10)으로 소정 압력의 에어를 주입하는 공기 주입부(300)와, 상기 공기 주입부(300)에서 주입된 에어에 대한 상기 분배관(10) 내부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는 센싱부(400)와, 상기 센싱부(400)에서 제공되는 분배관(10) 내부의 압력 변화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상기 분배관(10)의 막힘 여부 또는 누설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부(500)를 구비한다.
여기서, 분배관(10)은 에어컨과 같은 공조기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냉매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체 유입구가 형성된 커넥터(11)와, 상기 커넥터(11)에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유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유로가 형성되고, 단부에 상기 냉매유로를 통과한 냉매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마련된 다수의 캐필러리 파이프(12)를 구비한다. 여기서, 캐필러리 파이프(12)들은 배출구가 하방을 향하도록 다단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팅부(200)는 프레임(210)과, 상기 프레임(210)에 설치되며, 상면에 후술되는 센싱부(400)의 배기관(401)들이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베이스 부재(220)와, 상기 베이스 부재(220)의 상부에 설치되며, 캐필러리 파이프(12)들의 단부가 삽입되어 배기관(401)들에 각각 연결될 수 있도록 배기관(401)들에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관통구(231)가 형성된 파이프 지지부재(230)를 구비한다.
프레임(210)은 다수의 지지로드(211)에 의해 공장의 바닥면 또는 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길이 이격되게 지지된다. 프레임(210)의 상면 후방에는 다수의 알림램프(511) 등이 설치될 수 있도록 수납블럭(212)이 마련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220)는 프레임(210)의 전방부에 설치되며, 좌우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상기 베이스 부재(220)는 상면에 다수의 배기관(401)이 설치되는데,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 부재(220)는 소정의 강도를 갖는 금속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이스 부재(220)는 하부에, 후술되는 세팅부(200)의 액츄에이터(240)가 설치될 수 있도록 복수의 지지브라켓(22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브라켓(221)은 상기 액츄에이터(24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공간이 마련되며, 복수개가 좌우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파이프 지지부재(230)는 베이스부재의 전후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고, 좌우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게 형성된다. 또한, 파이프 지지부재(230)는 캐필러리 파이프(12)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다수의 관통구(231)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해당 관통구(231)들은 배기관(401)들에 대향되되, 상기 캐필러리 파이프(12)들의 단부가 기설정된 설정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도록 해당 설정방향 즉, 좌우방향으로 따라 등간격을 이루며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관통구(231)는 삽입되는 상기 캐필러리 파이프(12)의 단부를 상기 배기관(401)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220)의 일측면에 인접될수록 내경이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파이프 지지부재(230)는 상기 관통구(231)에 대한 상기 캐필러리 파이프(12)의 삽입방향 즉, 상하방향을 따라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면에 인접되거나 멀어지도록 이동가능하게 상기 베이스 부재(220)에 설치된다. 이때, 파이프 지지부재(230)는 전후측 가장자리에 상기 베이스 부재(220)에 대한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복수의 가이드판넬(23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판넬(232)은 파이프 지지부재(230)의 전후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베이스 부재(220)의 전후면에 각각 간섭될 수 있도록 파이프 지지부재(230)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해당 가이드판넬(232)들은 베이스 부재(220)에 간섭되어 파이프 지지부재(230)가 상기 베이스 부재(2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지지브라켓(221)들에 대향되는 위치의 가이드판넬(232)에는 해당 지지브라켓(221)에 설치된 액츄에이터(240)에 연결될 수 있도록 각각 연결부재(23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234)는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하단부는 지지브라켓(221)의 설치공간으로 인입되도록 전후방향으로 만곡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파이프 지지부재(230)의 좌우단부에는 각각 가이드봉(23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봉(233)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단부는 베이스 부재(220)로부터 좌측 및 우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프레임(210)에 고정되며, 상단부는 상기 파이프 지지부재(230)에 관통되어 파이프 지지부재(23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해당 가이드봉(233)에 의해 상기 파이프 지지부재(230)는 이동시 베이스 부재(220)의 좌우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세팅부(200)는 상기 캐필러리 파이프(12)의 단부와 상기 배기관(401)의 연결이 완료되면, 상기 캐필러리 파이프(12)가 상기 파이프 지지부재(23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 지지부재(230)를 상기 베이스부재에 인접되게 이동시킬 수 있게 상기 파이프 지지부재(230)에 설치되는 액츄에이터(240)와, 단부가 상기 관통구(231)에 삽입된 상기 캐필러리 파이프(12)들을 상호 구속시킬 수 있도록 외주면이 상호 밀착되게 상기 캐필러리 파이프(12)들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된 다수의 구속 타이(250)를 더 구비한다.
액츄에이터(240)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유압 또는 전기에 의해 상하방향 길이가 신축되는 구동수단이 적용된다. 상기 액츄에이터(240)는 상하단이 각각 프레임(210)과, 파이프 지지부재(230)에 설치되어 해당 파이프 지지부재(230)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240)는 베이스 부재(220)에 마련된 지지브라켓(221)에 설치되어 해당 지지브라켓(221)으로 인입된 연결부재(234)에 상단부가 고정될 수도 있다. 해당 액츄에이터(240)는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파이프 지지부재(230)를 베이스 부재(220)로 인접되거나 멀어지게 이동시킨다.
구속 타이(250)는 다수의 캐필러리 파이프(12)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해당 캐필러리 파이프(12)를 밀착하여 구속시킨다. 해당 구속 타이(250)는 파이프 또는 전선을 상호 구속시키 위해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케이블 타이가 적용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다수의 구속 타이(250)가 분배관(10)에 설치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분배관(10)의 크기에 따라 1개의 구속 타이(250)가 설치될 수도 있다.
먼저, 작업자는 분배관(10)의 캐필러리 파이프(12)들에 구속 타이(250)들을 세팅한다. 이때, 구속 타이(250)들은 다소 느슨하게 캐필러리 파이프(12)들에 감는다. 다음, 캐필러리 파이프(12)들의 단부를 파이프 지지부재(230)의 관통구(231)에 각각 삽입한다. 이때, 관통구(231)에 의해 상기 캐필러리 파이프(12)들은 배기관(401)으로 가이드되어 보다 용이하게 배기관(401)에 연결된다. 또한, 관통구(231)들이 기설정된 설정방향인 좌우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으므로 캐필러리 파이프(12)들을 관통구(231)들에 삽입시 캐필러리 파이프(12)들의 단부가 설정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다음, 작업자는 구속 타이(250)들을 보다 강하게 캐필리러 파이프들에 감아 캐필러리 파이프(12)들을 밀착시킨다. 구속 타이(250) 및 파이프 지지부재(230)의 관통구(231)들에 의해 캐필러리 파이프(12)들은 단부가 선형으로 배열되며, 부피가 감소하되, 상호 구속되어 구조적으로 보다 견고하게 외형을 유지할 수 있다. 구속 타이(250)들을 이용한 캐필러리 파이프(12)의 구속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액츄에이터(240)들을 작동시켜 파이프 지지부재(230)를 베이스 부재(220)에 인접되게 이동시킨다. 이때, 관통구(231)에 삽입된 캐필러리 파이프(12) 외주면과 관통구(231) 내벽면 사이 공간이 확장되어 누설 검사 및막힘검사가 완료된 다음, 보다 용이하게 배기관(401)으로부터 캐필러리 파이프(12)를 분리시킬 수 있다.
공기 주입부(300)는 세팅부(200)에 세팅된 분배관(10)의 커넥터(11)의 유체 유입구에 연결되는 연결노즐(301)과, 상기 연결노즐(301)에 연결된 공급관(302)과, 상기 공급관(302)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노즐(301)로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콤프레셔(미도시)와, 상기 공급관(302)에 설치되어 해당 공급관(302)의 내부유로를 개폐하는 작동밸브(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연결노즐(301)은 단부가 커넥터(11)의 유체 유입구에 인입되어 커넥터(11)에 결합된다. 연결노즐(301)의 단부에는 유체 유입구로 에어를 분사하기 위해 분사공(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공급관(302)은 일단이 연결노즐(301)에 연결되고, 타단은 콤프레셔에 연결된다. 이때, 공급관(302)은 작업자가 용이하게 구부려서 연결노즐(301)을 커넥터(11)에 연결할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콤프레셔는 공급관(302)을 통해 고압의 에어를 연결노즐(301)에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콤프레셔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콤프레셔에서 공급된 에어의 압력을 기설정된 압력으로 감암하여 공급관(302)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레귤레이터(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작동밸브는 공급관(302)에 설치되며, 원거리에서도 해당 작동밸브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 밸브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작동밸브는 판별부(500)에 의해 제어된다.
센싱부(400)는 상기 배출구에 연통되도록 상기 캐필러리 파이프(12)들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며, 내부에 배기유로가 형성된 다수의 배기관(401)과, 상기 캐필러리 파이프(12)들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거나 상기 캐필러리 파이프(12)의 냉매유로를 통과하는 에어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배기관(401)들에 각각 설치된 다수의 압력센서(402)와, 상기 배기유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생가 배기관(401)들에 각각 설치된 다수의 개폐밸브(403)를 구비한다.
배기관(401)은 일단이 베이스 부재(220)에 설치되며, 타단은 프레임(210)의 수납블럭(212)에 설치된다. 이때, 배기관(401)은 내부에 배기유로가 형성되고, 일단에는 배기유로에 연통되는 연통구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배기유로를 통과한 에어가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배기구(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기관(401)은 연통구가 상방으로 향하도록 베이스 부재(220)에 설치되는데, 다수개가 파이프 지지부재(230)의 관통구(231)에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배기관(401)은 일단부가 관통구(231)로 삽입될 수 있도록 베이스 부재(220) 상면에 대해 상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기관(401)은 캐필러리 파이프(12)에 억지끼움될 수 있도록 캐필러리 파이프(12)의 배출구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압력센서(402)는 상기 연통구에 인접된 배기관(401)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캐필러리 파이프(12)들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거나 상기 캐필러리 파이프(12)의 냉매유로를 통과하는 에어의 압력을 측정한다. 여기서, 상기 압력센서(402)는 배관을 통과하는 유체 또는 배관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센싱수단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해당 압력센서(402)는 측정된 측정 정보를 판별부(500)에 제공한다.
개폐밸브(403)는 압력센서(402)에 대해 배기관(401)의 타단부 측으로 이격된 위치의 배기관(401)에 설치되어 배기관(401)의 배기유로를 개폐한다. 상기 개폐밸브(403)는 원거리에서도 제어가 가능하도록 솔레노이드 밸브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밸브(403)는 판별부(500)에 의해 제어된다.
판별부(500)는 상기 센싱부(400)에서 제공되는 상기 분배관(10) 내부의 압력 변화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상기 분배관(10)의 막힘 여부 또는 누설 여부를 판별한다.
먼저, 판별부(500)는 유체 유입구로 소정 압력을 갖는 에어가 주입되도록 공기 주입부(300)의 콤프레셔를 작동시킨다. 이때, 판별부(500)는 배기관(401)들의 배기유로가 개방되도록 개폐밸브(403)들을 작동시킨다. 콤프레셔에서 공급된 에어는 레귤레이터를 통해 기설정된 압력으로 감압되어 연결노즐(301)을 통해 커넥터(11)의 유체 유입구로 주입된다. 여기서, 판별부(500)는 커넥터(11)로 에어가 주입되는 상태에서, 캐필러리 파이프(12)들 중 냉매유로를 통과하는 에어의 압력이 기설정된 기준압력 이하인 캐필러리 파이프(12)를 막힘이 발생된 파이프로 판별한다.
다음, 판별부(500)는 캐필러리 파이프(12)의 막힘 발생 여부 판별이 완료되면, 배기관(401)들의 배기유로가 폐쇄되도록 상기 개폐밸브(403)들을 작동시킨다. 그리고, 개폐밸브(403)에 의해 배기관(401)이 폐쇄된 다음, 공기 주입부(30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이때, 판별부(500)는 분배관(10) 내부로 에어가 주입되거나 분배관(10)으로부터 에어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공급관(302)이 폐쇄되도록 작동밸브를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판별부(500)는 압력센서(402)들에서 제공되는 측정정보를 토대로 캐필러리 파이프(12)들 중 내부 압력이 소정의 시간동안 감소하는 캐필러리 파이프(12)를 누설이 발생된 파이프로 판별한다.
한편, 판별부(500)는 캐필러리 파이프(12)에 대한 판별정보 또는 압력센서(402)들에서 제공되는 측정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5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10)는 프레임(210)의 수납블럭(212)의 전면에 설치되며, 좌우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의 알림램프(511)와, 상기 알림램프(511)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수납블럭(212) 전면에 설치되어 압력센서(402)들의 측정정보를 각각 표시하는 다수의 표시부재(미도시)를 구비한다.
알림램프(511)는 판별부(500)에 의해 작동하여 경고등을 발생시킨다. 판별부(500)는 캐필러리 파이프(12)에 막힘이나 누설 결함이 발생된 것으로 판별되며, 알림램프(511)를 작동시켜 경고등을 표시한다. 여기서, 알림램프(511)들 및 파이프 지지부재(230)의 관통구(231)들은 좌우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순번이 부여되며, 판별부(500)는 결함 발생이 판별된 캐필러리 파이프(12)가 삽입된 관통구(231)과 동일 순번의 알림램프(511)를 작동시킨다. 일예로, 관통구(231)들 중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첫번째 관통구(231)에 삽입된 캐필러리 파이프(12)에 결함이 발생되면, 판별부(500)는 알림램프(511)들 중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첫번째 알림램프(511)를 작동시킨다.
표시부재는 압력센서(402)에서 측정된 압력 값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창을 구비한다. 해당 표시부재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다수개가 프레임(210)의 수납블럭(212) 전면에 좌우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열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510)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판별정보 및 압력센서(402)들에서 제공되는 측정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가능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용 분배관 검사장치(100)는 검사대상 분배관(10)에 고압의 에어를 주입한 다음, 압력 변화를 측정하여 해당 분배관(10)의 막힘 또는 누설 여부를 검사할 수 있으므로 비전문가라도 보다 손쉽게 검사를 수행할 수 있고, 분배관(10)의 막힘 검사 및 누설 검사를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어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며, 검사 신뢰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판별부(60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판별부(600)는 작업자가 누설 검사 모드 또는 막힘 검사 모드 중 어느 한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형성된 선택모듈(601)과, 상기 선택모듈(601)에서 선택된 검사 모드에 따라 상기 공기 주입부(300) 및 센싱부(400)를 제어하고, 상기 압력센서(402)들에서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분배관(10)의 막힘 여부 또는 누설 여부를 분석하는 검사모듈(602)을 구비한다.
상기 선택모듈(601)은 작업자가 누설 검사 모드 또는 막힘 검사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다수의 선택버튼(미도시)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선택모듈(601)은 작업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베이스 부재(220)에 인접된 프레임(21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검사모듈(602)은 상기 선택모듈(601)에서 상기 막힘 검사 모드가 선택될 경우, 상기 유체 유입구로 소정 압력을 갖는 에어가 주입되도록 상기 공기 주입부(300)의 콤프레셔를 작동시킨다. 이때, 검사모듈(602)은 배기관(401)들의 배기유로가 개방되도록 개폐밸브(403)들을 작동시킨다. 콤프레셔에서 공급된 에어는 레귤레이터를 통해 기설정된 압력으로 감압되어 연결노즐(301)을 통해 커넥터(11)의 유체 유입구로 주입된다. 여기서, 검사모듈(602)은 커넥터(11)로 에어가 주입되는 상태에서, 캐필러리 파이프(12)들 중 냉매유로를 통과하는 에어의 압력이 기설정된 기준압력 이하인 캐필러리 파이프(12)를 막힘이 발생된 파이프로 판별한다. 검사모듈(602)은 해당 판별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510)의 알림램프(511)를 작동시킨다.
한편, 검사모듈(602)은 선택모듈(601)에서 상기 누설 검사 모드가 선택될 경우, 상기 유체 유입구로 소정 압력을 갖는 에어가 기설정된 주입시간동안 주입되도록 상기 공기 주입부(300)의 콤프레셔를 작동시킨다. 해당 주입시간이 경과한 다음, 상기 검사모듈(602)은 상기 배기관(401)들의 배기유로가 폐쇄되도록 상기 개폐밸브(403)들을 작동시키고, 상기 공기 주입부(300)의 작동을 정지시킨 후, 상기 캐필러리 파이프(12)들 중 내부 압력이 감소하는 캐필러리 파이프(12)를 누설이 발생된 파이프로 판별한다. 검사모듈(602)은 해당 판별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510)의 알림램프(511)를 작동시킨다.
상술된 바와 같이 판별부(600)는 선택모듈(601)에서 선택된 검사 모드에 따라 누설검사 또는 막힘검사를 상호 독립적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에어컨용 분배관 검사장치 200: 세팅부
210: 프레임 211: 지지로드
212: 수납블럭 220: 베이스 부재
221: 지지브라켓 230: 파이프 지지부재
231: 관통구 232: 가이드판넬
233: 가이드봉 240: 액츄에이터
250: 구속 타이 300: 공기 주입부
301: 연결노즐 302: 공급관
400: 센싱부 401: 배기관
402: 압력센서 403: 개폐밸브
500: 판별부 510: 디스플레이부
210: 프레임 211: 지지로드
212: 수납블럭 220: 베이스 부재
221: 지지브라켓 230: 파이프 지지부재
231: 관통구 232: 가이드판넬
233: 가이드봉 240: 액츄에이터
250: 구속 타이 300: 공기 주입부
301: 연결노즐 302: 공급관
400: 센싱부 401: 배기관
402: 압력센서 403: 개폐밸브
500: 판별부 510: 디스플레이부
Claims (9)
- 냉매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체 유입구가 형성된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에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유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유로가 형성되고, 단부에 상기 냉매유로를 통과한 냉매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마련된 다수의 캐필러리 파이프를 구비한 분배관이 세팅되는 세팅부;
상기 커넥터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 유입구를 통해 소정 압력의 에어를 주입하는 공기 주입부;
상기 캐필러리 파이프들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 주입부에서 주입된 에어에 대한 상기 분배관 내부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분배관 내부의 압력 변화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상기 분배관의 막힘 여부 또는 누설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부;를 구비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배출구에 연통되도록 상기 캐필러리 파이프들의 단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세팅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배기유로가 형성된 다수의 배기관;
상기 캐필러리 파이프들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거나 상기 캐필러리 파이프의 냉매유로를 통과하는 에어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배기관들에 각각 설치된 다수의 압력센서; 및
상기 배기유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배기관들에 각각 설치된 다수의 개폐밸브;를 구비하는,
상기 세팅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일측면에 다수의 배기관이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베이스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측면에 대향되게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캐필러리 파이프들의 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배기관들에 각각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배기관들에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관통구가 형성된 파이프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파이프 지지부재는 상기 관통구에 대한 상기 캐필러리 파이프의 삽입방향을 따라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측면에 인접되거나 멀어지도록 이동가능하게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관통구는 삽입되는 상기 캐필러리 파이프의 단부를 상기 배기관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측면에 인접될수록 내경이 감소하게 형성되고,
상기 세팅부는 상기 파이프 지지부재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캐필러리 파이프의 단부와 상기 배기관의 연결이 완료되면, 상기 캐필러리 파이프가 상기 파이프 지지부재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 지지부재를 상기 베이스부재에 인접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액츄에이터;를 더 구비하는,
에어컨용 분배관 검사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상기 유체 유입구로 소정 압력을 갖는 에어가 주입되도록 상기 공기 주입부를 작동시키고, 상기 커넥터로 에어가 주입되는 상태에서, 상기 캐필러리 파이프들 중 상기 냉매유로를 통과하는 에어의 압력이 기설정된 기준압력 이하인 캐필러리 파이프를 막힘이 발생된 파이프로 판별하고,
상기 캐필러리 파이프의 막힘 발생 여부 판별이 완료되면, 상기 배기관들의 배기유로가 폐쇄되도록 상기 개폐밸브들을 작동시키고, 상기 공기 주입부의 작동을 정지시킨 다음, 상기 캐필러리 파이프들 중 내부 압력이 감소하는 캐필러리 파이프를 누설이 발생된 파이프로 판별하는,
에어컨용 분배관 검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작업자가 누설 검사 모드 또는 막힘 검사 모드 중 어느 한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형성된 선택모듈; 및
상기 선택모듈에서 선택된 검사 모드에 따라 상기 공기 주입부 및 센싱부를 제어하고, 상기 압력센서들에서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분배관의 상기 분배관의 막힘 여부 또는 누설 여부를 분석하는 검사모듈;을 구비하는,
에어컨용 분배관 검사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모듈은
상기 선택모듈에서 상기 막힘 검사 모드가 선택될 경우, 상기 유체 유입구로 소정 압력을 갖는 에어가 주입되도록 상기 공기 주입부를 작동시키고, 상기 커넥터로 에어가 주입되는 상태에서, 상기 캐필러리 파이프들 중 상기 냉매유로를 통과하는 에어의 압력이 기설정된 기준압력에 이하인 캐필러리 파이프를 막힘이 발생된 파이프로 판별하고,
상기 선택모듈에서 상기 누설 검사 모드가 선택될 경우, 상기 유체 유입구로 소정 압력을 갖는 에어가 기설정된 주입시간동안 주입되도록 상기 공기 주입부를 작동시키며, 해당 주입시간이 경과한 다음, 상기 배기관들의 배기유로가 폐쇄되도록 상기 개폐밸브들을 작동시키고, 상기 공기 주입부의 작동을 정지시킨 후, 상기 캐필러리 파이프들 중 내부 압력이 감소하는 캐필러리 파이프를 누설이 발생된 파이프로 판별하는,
에어컨용 분배관 검사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필러리 파이프는 다단으로 만곡되게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 지지부재는 상기 캐필러리 파이프들의 단부가 기설정된 설정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도록 상기 관통구들이 해당 설정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세팅부는 단부가 상기 관통구에 삽입된 상기 캐필러리 파이프들을 상호 구속시킬 수 있도록 외주면이 상호 밀착되게 상기 캐필러리 파이프들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속 타이;를 더 구비하는,
에어컨용 분배관 검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17686A KR102516799B1 (ko) | 2020-09-14 | 2020-09-14 | 에어컨용 분배관 검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17686A KR102516799B1 (ko) | 2020-09-14 | 2020-09-14 | 에어컨용 분배관 검사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35664A KR20220035664A (ko) | 2022-03-22 |
KR102516799B1 true KR102516799B1 (ko) | 2023-03-31 |
Family
ID=80991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17686A KR102516799B1 (ko) | 2020-09-14 | 2020-09-14 | 에어컨용 분배관 검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16799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9144060A (ja) * | 2018-02-20 | 2019-08-29 | 三菱重工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 チューブリーク検知装置及びチューブリーク検知方法 |
KR102095271B1 (ko) * | 2019-10-01 | 2020-03-31 | 조성민 | 금형 냉각라인의 압력 측정 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03866B1 (ko) * | 2009-10-29 | 2012-01-12 |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 복수기 튜브의 누설감지기 |
KR101821803B1 (ko) | 2016-07-28 | 2018-01-24 | 원종문 | 산업용 내시경 및 이를 이용한 배관 검사방법 |
-
2020
- 2020-09-14 KR KR1020200117686A patent/KR10251679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9144060A (ja) * | 2018-02-20 | 2019-08-29 | 三菱重工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 チューブリーク検知装置及びチューブリーク検知方法 |
KR102095271B1 (ko) * | 2019-10-01 | 2020-03-31 | 조성민 | 금형 냉각라인의 압력 측정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35664A (ko) | 2022-03-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074492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detection of leaks | |
JP6143714B2 (ja) | 試験装置及び恒温装置 | |
KR102516799B1 (ko) | 에어컨용 분배관 검사장치 | |
KR20120002097A (ko) | 워터파이프 누수 시험장치 | |
JP2007327849A (ja) | 洩れ検査方法及び洩れ検査装置 | |
KR100918193B1 (ko) | 냉매 누설 시험 장치 | |
KR100529251B1 (ko) | 튜브의 누설시험 장비 및 이를 이용한 튜브의 누설시험 방법 | |
KR20080003255A (ko) | 매설관로의 누설 시험장치 및 방법 | |
KR100694872B1 (ko) | 파이프 누설 검사장치 | |
KR101003110B1 (ko) | 가스 샘플링 장치 | |
KR100783433B1 (ko) | 에어컨의 냉매 누설 검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102034451B1 (ko) | 고압 부품의 내구성능 시험장치 및 그 시험방법 | |
KR102516705B1 (ko) | 배관 누설검사장치 | |
KR102302946B1 (ko) | 압축 장치 | |
KR102347810B1 (ko) | 기체 누설부위 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체 누설부위 탐지 시스템 | |
CN112113727A (zh) | 阀检测设备和阀检测方法 | |
CN113280984A (zh) | 铜管检漏系统 | |
KR101724443B1 (ko) | 멀티 케이블 트랜시트 리크 테스트 장치 | |
KR200212534Y1 (ko) | 냉온수기용 동관 및 모세관의 누설 감지 장치 | |
KR20060135319A (ko) | 스텝밸브의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 |
CN219935216U (zh) | 一种进水阀密封性测试装置 | |
KR101420313B1 (ko) | 관 조립품의 접합부 검사방법 | |
CN110987410B (zh) | 一种气流检测装置 | |
KR20140062843A (ko) | 데크하우스 덕트 누설 시험방법 | |
KR101335699B1 (ko) | 엘엔지운반선 화물창의 가스누설검사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