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6598B1 - 차량 공조기용 필터 - Google Patents

차량 공조기용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6598B1
KR102516598B1 KR1020200090056A KR20200090056A KR102516598B1 KR 102516598 B1 KR102516598 B1 KR 102516598B1 KR 1020200090056 A KR1020200090056 A KR 1020200090056A KR 20200090056 A KR20200090056 A KR 20200090056A KR 102516598 B1 KR102516598 B1 KR 102516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unit
air conditioner
vehicle air
power ge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1320A (ko
Inventor
오창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에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에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에어
Priority to KR1020200090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6598B1/ko
Publication of KR20220011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1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6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6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08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 B60H3/0633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with provisions for regenerating or cleaning the filte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2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provided with antibacterial or antifung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01D46/0086Filter conditio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45Means for power supply or devices using electrical power in filters or filter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8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 H02N2/186Vibration harvesters
    • H02N2/188Vibration harvesters adapted for resonant operation
    • H10N30/1071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내부 순환공기 또는 외부공기를 유입하는 유입구와, 유입구에 설치되어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내측으로 순환공기 또는 외부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블로어모터와, 유입된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 및 여과된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증발기로 구성되는 차량 공조기에 사용하기 위한 차량 공조기용 필터로서, 필터장착부와 필터본체로 이루어지고, 필터본체는 외곽 프레임부와 필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필터장착부에 자외선 광원이 설치되고, 상기 필터부는 산화티타늄이 코팅되거나 도포되어, 상기 자외선 광원에 의해 산화티타늄이 촉매작용을 하여 필터부에 부착된 오염물을 분해하거나 또는 세균류 등을 살균하게 된다.

Description

차량 공조기용 필터{Air conditioner filter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차량 공조기용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필터에 광촉매를 설치하여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유기화합물, 무기화합물 및 세균류 등을 처리할 수 있는 차량 공조기용 필터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차량 내부의 온도조절을 위한 공기조절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용 공기조절장치는 내부의 온도조절을 위해 에어콘 또는 히터로서 기능을 한다. 초기 차량용 공기조절장치는 그 가격이 비싸 고급 승용차 위주로 창작되었으나, 점차로 차량용 공기조절장치의 가격이 내려가고 또한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고급 승용차 뿐만 아니라 보편적인 승용차, 버스 및 화물차량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또는 회사등 건축물에서 사용되는 공기조절장치, 즉 에어콘의 경우, 실내의 공기오염을 염려하는 현재의 사회적 추세에 따라 공기조절장치에 사용되는 필터의 선능을 향상시켜 공기정화기능까지 할 수 있도록 하지만, 차량용 공기조절장치의 경우에는, 차량 실내의 공기에 대한 염려가 일반 건물의 실내의 공기에 비해 낮고 또한 수시로 창문 개방을 통해 환기를 할 수 있다는 점과, 그리고 고기능 필터의 사용에 따른 가격 상승 등을 이유로 단순하게 먼지 류 등만을 여과할 수 있는 필터를 사용하고 있다.
한편, 화석연료 사용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주변국의 환경오염 및 계절적 요인에 의해 미세먼지의 문제가 대두되어 이에 대한 대응이 시급해졌다. 이와 같은 대처방안으로, 상기에서 설명하였듯이 건축물의 실내에 사용하는 공기조절장치의 경우에는 고기능성의 필터를 사용하고 있지만, 차량의 공기조절장치의 경우에는 미세먼지에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일부 차량의 사용자들은 실내공기의 정화를 위해 별도의 차량용 공기정화장치를 구입해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2020년 1월부터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가 유행하여 심각한 세계적 문제가 되고 있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미말로도 전염이 되지만, 최근에는 공기중을 통해서도 전염이 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오고 있다. 이와 같은 비말과 공기중 전파를 방지하기 위하여 마스크를 착용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가정의 실내 및 승용차의 실내에서 마스크를 벗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바이러스의 필터링 기능이 없는 필터를 사용하는 공기조화장치를 가동하게 되면, 만일 무증상 감염자가 있다면 무증상 감염자로부터의 코로나 바이러스가 공기조화장치를 통해 실내로 광범위하게 전파되어 다른 사람들에게 코로나 바이러스의 전파 위험성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공기조화장치의 경우에는 필터링 기능이 매우 우수한 필터를 채용해 바이러스 전파의 문제를 일부 해결할 수 있으나, 차량에 사용되는 공기조화장치의 필터는 사람의 손이 닿기 어려운 장소에 설치되고 또한 그 크기도 작으며, 비용적인 문제로 적극적으로 바이러스 전파 문제에 대응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지금 현재 사용하고 있는 차량 공기조화장치용 필터의 교체는, 필터의 장착 시점을 기준으로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사람에 따라 공기조화장치를 많이 가동하거나 또는 상대적으로 적게 가동할 수 있기 때문에 일정 시간이 지난 후 필터의 상태가 다를 수 있다. 즉, 통상적인 시점을 기준으로, 교체시기가 너무 늦거나 너무 빠를 수 있게 된다는 문제점, 즉 정확한 필터 교체시기를 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미세한 바이러스를 필터링할 수 있고, 교체시기를 정확히 알 수 있는 차량 공기조화장치용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바이러스의 같은 아주 미세한 세균류를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세먼지도 처리할 수 있는 차량 공기조화장치용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공기조화장치용 필터의 정확한 교체주기를 알려줄 수 있는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부 순환공기 또는 외부공기를 유입하는 유입구와, 유입구에 설치되어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내측으로 순환공기 또는 외부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블로어모터와, 유입된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 및 여과된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증발기로 구성되는 차량 공조기에 사용하기 위한 차량 공조기용 필터로서, 필터장착부와 필터본체로 이루어지고, 필터본체는 외곽 프레임부와 필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필터장착부에 자외선 광원이 설치되고, 상기 필터부는 산화티타늄이 코팅되거나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기용 필터에서, 상기 필터부에는 상기 블로우모터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자외선 광원에 공급하기 위한 발전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기용 필터에서, 상기 발전장치는 발전부와 발전부의 일단에 설치되는 날개로 구성되고, 상기 발전부는 필름형 압전소자이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공기에 의해 진동하도록(펄럭이도록) 구성되어, 상기 날개부는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공기에 의해 진동하게 되고, 이 진동에 의해 필름형 압전소자에 진동이 전달되어 압전소자가 발전을 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기용 필터에서, 상기 외곽 프레임부에는 상기 발전부에 의해 생성된 전기를 필터장착부의 자외선 광원에 전달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기용 필터에서, 상기 필터장착부에는 상기 전원공급단자로부터 전기를 수용하기 위한 전원수용단자와, 상기 전원수용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필터부의 발전부에 의해 공급되는 교류를 직류로 정류하기 위한 정류기와, 상기 정류로부터의 직류를 저장하기 위한 용량과, 상기 용량에 연결되어 상기 자외선 광원에 공급되는 전기를 제어하는 전기제어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기용 필터에서, 상기 전원수용단자에 연결되는, 타이머를 구비한 제어부가 더 설치되어, 상기 발전부에 의해 생성되는 전류를 감지하여 상기 필터부의 총 사용시간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기용 필터에서, 상기 제어부에 통신부가 더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가 감지한 필터부의 총 사용시간이 설정한 값을 초과하게 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차량내부의 경고장치로 전송하여 경고신호를 발생시켜 필터의 교체 필요를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기용 필터에서, 상기 제어부에 별도의 전원장치가 더 연결되고, 상기 별도의 전원장치는 수은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기용 필터에서, 상기 자외선 광원은 자외선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기용 필터에서,
상기 필터장착부에 상기 자외선 광원에 공급하기 위한 발전장치가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발전장치는 블로어모터로부터의 공기에 의해 회전하는 날개와, 날개에 연결되어 날개의 회전에 따라 전기를 생성하는 초소형 모터로 구성되는 바람개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기용 필터는 산화티타늄으로 코팅 또는 도포되고 독립적인 발전장치와 광원을 구비하여, 광원으로부터 광에 의한 산화티타늄의 촉매작용을 통해 필터에 의해 여과된 유해물을 분해하고 또한 세균류 등을 살균할 수 있어서, 전염력이 강한 세균 또는 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필터의 사용시간을 정확히 계산하여 필터교체 시기를 정확히 알 수 있게 됨으로써 필터의 효율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차량 공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종래 차량 공조기용 필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기용 필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기용 필터의 필터부의 발전장치를 이용한 발전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기용 필터의 필터장착부에 설치되는 회로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통상적인 차량용 공기조화장치(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에어콘을 적용하는 것이다.
차량의 내부 순환공기 또는 외부공기를 유입하는 유입구(1)와, 유입구에 설치되어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내측으로 순환공기 또는 외부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블로어모터(2), 유입된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3), 및 여과된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증발기(4)로 이루어진다. 상기 증발기를 통과하여 냉각된 공기가 토출구(4)를 통해 차량 실내로 유입되게 된다. 블로어모터(2)의 경우에는 모터와 팬으로 구성된다.
종래 필터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3)과 필터부(3b)로 이루어진다. 필터부는 통상적으로 부직포로 제조되어 먼지 등을 여과할 수 있을 뿐 미세먼지나 바이러스 등과 같은 초미세 입자들을 여과할 수 없었다.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필터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기용 필터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기용 필터(1000)의 구성을 살펴보면, 필터장착부(100)와 필터본체(200)로 이루어진다. 필터장착부와 필터본체는 분리,결합이 되도록 형성되어, 필터본체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필터장착부는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의 공기통로부에 형성되는 차량 공조기용 필터 설치부에 분리,결합이 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필터본체를 교체할 경우, 차량 공조기용 필터 설치부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기용 필터를 떼어낸 다음, 필터장착부와 필터본체를 서로 분리한 다음 새로운 필터본체를 필터장착부에 고정한 다음 차량 공조기용 필터를 필터 설치부에 창작하면 된다.
필터본체(200)는 외곽 프레임부(210)와 필터부(220)로 이루어진다. 필터부(220)는 부직포와 같은 유연한 재료로 구성되기 때문에 이를 견고히 고정하는 역할을 외곽 프레임부가 한다. 따라서, 외곽 프레임부는 플라스틱과 같은 고형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부(220)는 통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재질로 구성이 되지만 그 외면에는 산화티타늄(TiO2)로 코팅이 되거나 또는 산화티타늄이 도포된다. 산화티타늄은 광촉매로 기능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는데, 태양광 등과 같은 자외선 광원에 의해 공기나 물에 존재할 수 있는 각종 오염물질을 분해해서 무기물로 변환시키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화석연료에 의해 발생하는 미세먼지, 즉 질화물과 유기물들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산화티타늄은 99.9%의 순수 무기물바인더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빛을 받아도 자신은 변하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일본 동경도립 산업기술연구소와 일본 동경도립 식품기술센터의 공동 연구를 통해 산화티타늄은 황색포도당구균, 대장균, 살모넬라균, 녹농균 등을 아주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다는 것을 발표했으며, 다수의 여러 기관을 통해 산화티타늄의 살균 작용이 입증되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필터부(220)를 산화티타늄으로 도포하거나 또는 코팅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기용 필터는 밀폐된 어두운 공간에 설치되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자외선을 공급할 수 없다. 따라서, 별도의 자외선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발전장치(230)를 필터부에 설치한다. 상기 발전장치(230)는 발전부(231)와, 발전부의 일단에 고정설치되는 날개부(232)로 이루어진다.
상기 발전장치(230)의 발전부(231)는 물리적 변화에 따라 전기를 생성할 수 있는 압전소자이다. 더 정확히는 유연하게 구성되는 필름형 압전소자이다. 그리고 날개부(232)는 발전부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부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에 부딪혀 진동하게, 즉 펄럭이게 구성되며, 이러한 진동(펄럭임)으로 압전소자에 진동을 전달하여 전기를 발전하게 한다.
이와 같은 구성과 동작을 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를 통과한 공기흐름이 발전부(231)에 연결된 날개부(232)에 부딪히게 되어, 날개부는 진동, 즉 펄럭이게 된다. 이와 같은 날개부의 진동(압력)이 압전소자인 발전부(231)에 전달되어 발전부가 전기를 생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생성된 전기는 프레임부(220)에 설치된 전원공급단자(211)를 통해 필터 장착부에 있는 전기제어부로 전달되게 된다.
도 5는 필터장착부에 설치되는 전기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필터장착부(100)는 상기 필터부의 전원공급단자(211)로부터 전기를 공급받기 위한 전원수용단자(110)와, 전원수용단자에 연결되어 필터부의 발전부(231)에 의해 공급되는 교류전기를 직류로 정류하기 위한 정류기(120)와, 정류기를 통과한 직류를 저장하기 위한 용량(슈퍼컨덕터)(130)과, 용량으로부터 전기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전기제어부(140)와 그리고 전기제어부에 연결되는 자외선 광원(170)으로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발전부에 의해 발전되는 전기가 불규칙적이고 또한 소량일 수 있기 때문에 용량, 통상적인 슈퍼컨덕터에 일차적으로 저장한 다음 전기제어부(140)의 제어하에서 광원에 공급되게 된다. 광원에 전원이 공급되게 되면, 광원으로부터 자외선 광에 의해 필터부에 도포 또는 코팅된 산화티타늄이 반응을 하게 되어 오염물의 분해 및 살균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자외선 광원은 전기 소모가 적은 자외선 LE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차량용 공조기는 사용자의 패턴에 따라 많이 또는 적게 사용되기 때문에 정확한 교체주기를 파악하기 힘들다. 현재, 필터의 교체는 일정한 주기를 정해두고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많이 사용한 경우에는 늦을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가 적게 사용한 경우에는 이를 수 있다. 이에, 본원에서는 필터의 정확한 교체주기를 알려주도록 구성된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필터장착부에 타이머를 구비한 제어부(150)를 설치하고 이를 전원수용단자(110)에 연결한다. 그러면, 필터부의 활성에 의해 전기가 생성되면 이를 감지하고, 타이머를 통해 총 전기생성시간을 카운터한다. 총 전기생성시간은 결국 필터의 사용시간과 동일하기 때문에, 총 전기생성시간이 정해진 수치에 도달하게 되면, 제어부(150)에 연결된 통신부(180)를 통해 차량에 설치된 경고장치로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경고장치를 확인한 다음 필터의 교체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타이머의 가동을 위해 별도의 전원장치(160)가 설치되어 제어부(150)에 연결되게 된다. 타이머의 가동에는 큰 전류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통상적인 소형전자장치에 사용되는 수은전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소형의 수은전지만으로도 타이머를 몇 년에 걸쳐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수은전지의 전류량이 떨어지면 제어부가 이를 감지해 경고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통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를 사용하는 일이 없이, 필터의 발전부에 의해 생성된 전기적 신호를 통신부를 통해 차량의 내부에 별도로 설치될 수 있는 감지장치로 전송하여 필터의 교체시기를 확인할 수도 있다. 센서에서 감지한 신호를 통신장치를 통해 전송하고, 이를 확인하는 방법은 잘 공지된 방식이기 때문에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외에도, 필터부에 설치되는 발전장치(230)는 필터부에 고정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큰 손상이 없다면 발전장치의 수명은 아주 길어질 수 있다. 따라서, 자원낭비와 비용절감을 위해 발전장치를 필터부에 붙이고 뗄 수 있도록 착탈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발전장치를 착탈식으로 구성하는 방법은 많은 공지의 방식이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에서는 필터부에 설치되는 발전장치를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발전장치를 필터장착부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방식의 압전소자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초소형 발전기와 이 발전기를 구동하기 위한 바람개비 형태의 날개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발전장치는 필터장착부의 후면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블로어모터에 의해 필터부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날개부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날개부에 설치된 초소형 발전기에 의해 발전이 이루어져 전기가 공급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Claims (11)

  1. 내부 순환공기 또는 외부공기를 유입하는 유입구와, 유입구에 설치되어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내측으로 순환공기 또는 외부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블로어모터와, 유입된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 및 여과된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증발기로 구성되는 차량 공조기에 사용하기 위한 차량 공조기용 필터로서, 필터장착부와 필터본체로 이루어지고, 필터본체는 외곽 프레임부와 필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필터장착부에 자외선 광원이 설치되고, 상기 필터부는 산화티타늄이 코팅되거나 도포되며,
    상기 필터부에는 상기 블로어모터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자외선 광원에 공급하기 위한 발전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필터장착부에는 전원공급단자로부터 전기를 수용하기 위한 전원수용단자와, 상기 전원수용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필터부의 발전부에 의해 공급되는 교류를 직류로 정류하기 위한 정류기와, 상기 정류로부터의 직류를 저장하기 위한 용량과, 상기 용량에 연결되어 상기 자외선 광원에 공급되는 전기를 제어하는 전기제어부가 설치되며,
    상기 전원수용단자에 연결되는, 타이머를 구비한 제어부가 더 설치되어, 상기 발전부에 의해 생성되는 전류를 감지하여 상기 필터부의 총 사용시간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기용 필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장치는 발전부와 발전부의 일단에 설치되는 날개로 구성되고, 상기 발전부는 필름형 압전소자이고, 상기 날개는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공기에 의해 진동하도록(펄럭이도록) 구성되어, 상기 날개는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공기에 의해 진동하게 되고, 이 진동에 의해 필름형 압전소자에 진동이 전달되어 압전소자가 발전을 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기용 필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 프레임부에 상기 발전부에 의해 생성된 전기를 필터장착부의 자외선 광원에 전달하기 위한 상기 전원공급단자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기용 필터.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통신부가 더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가 감지한 필터부의 총 사용시간이 설정한 값을 초과하게 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차량내부의 경고장치로 전송하여 경고신호를 발생시켜 필터의 교체 필요를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기용 필터.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광원은 자외선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기용 필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장착부에 상기 자외선 광원에 공급하기 위한 발전장치가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발전장치는 블로어모터로부터의 공기에 의해 회전하는 날개와, 날개에 연결되어 날개의 회전에 따라 전기를 생성하는 초소형 모터로 구성되는 바람개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기용 필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장치를 착탈식으로 상기 필터부에 장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기용 필터.
KR1020200090056A 2020-07-21 2020-07-21 차량 공조기용 필터 KR102516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056A KR102516598B1 (ko) 2020-07-21 2020-07-21 차량 공조기용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056A KR102516598B1 (ko) 2020-07-21 2020-07-21 차량 공조기용 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320A KR20220011320A (ko) 2022-01-28
KR102516598B1 true KR102516598B1 (ko) 2023-03-31

Family

ID=80051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056A KR102516598B1 (ko) 2020-07-21 2020-07-21 차량 공조기용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659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86791A1 (fr) * 2002-04-12 2003-10-23 Valeo Climatisation Dispositif de purification de l'air de l'habitacle d'un vehicule
US20100164231A1 (en) * 2008-12-31 2010-07-01 Kuei-Sheng Tsou Aerodynamic Vibration Power-Generation Device
US20150260424A1 (en) * 2010-11-19 2015-09-17 Google Inc. Hvac filter monitor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86791A1 (fr) * 2002-04-12 2003-10-23 Valeo Climatisation Dispositif de purification de l'air de l'habitacle d'un vehicule
US20100164231A1 (en) * 2008-12-31 2010-07-01 Kuei-Sheng Tsou Aerodynamic Vibration Power-Generation Device
US20150260424A1 (en) * 2010-11-19 2015-09-17 Google Inc. Hvac filter monito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320A (ko) 2022-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2459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ultraviolet air treatment device for return air duct applications
KR200397471Y1 (ko) 전기집진필터와 유브이씨램프를 이용한 공기조화기
KR102516598B1 (ko) 차량 공조기용 필터
CN108019842B (zh) 一种空气净化器自动调节装置
KR20120124273A (ko) 공기 정화 시스템
CN100400975C (zh) 离子发生装置和空气调节装置
CN110268201B (zh) 空气净化器
CN104864511A (zh) 一种除湿机及其控制方法
CN104534633A (zh) 用于空气净化器的控制系统
CN103953978A (zh) 一种用于安装在客车逃生天窗内的车用空气净化器
CN212815439U (zh) 一种具有空气净化功能的床体结构
KR20170068913A (ko) 공기청정기 및 이의 전원 제어 방법
JP6423596B2 (ja) 空調システム及び送風機
WO2022257475A1 (zh) 用于智能家居系统的杀菌控制方法及智能家居系统
CN203687229U (zh) 一种多用途空气净化器
CN115560418A (zh) 一种智能化无动力新风净化装置及其系统
WO2022075131A1 (ja) 空気調和機及び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WO2021098530A1 (zh) 智能空调系统
CN201847953U (zh) 一种可拆装式光触媒模组
CN210191106U (zh) 车载空气净化器
CN104819512B (zh) 一种多用途空气净化器
CN110966683A (zh) 空调室内机及具有其的空调系统
CN214492484U (zh) 一种可以实现多种功能的顶置净化模块
CN218197836U (zh) 智能车载净味除菌器、智能车载净味除菌系统
CN205807746U (zh) 一种多功能空气净化加湿器控制电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