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6417B1 - Qr코드 이용 정보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Qr코드 이용 정보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6417B1
KR102516417B1 KR1020220034871A KR20220034871A KR102516417B1 KR 102516417 B1 KR102516417 B1 KR 102516417B1 KR 1020220034871 A KR1020220034871 A KR 1020220034871A KR 20220034871 A KR20220034871 A KR 20220034871A KR 102516417 B1 KR102516417 B1 KR 102516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de
providing server
url
information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4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서현
김대현
Original Assignee
이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서현 filed Critical 이서현
Priority to KR1020220034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64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6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6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06Q50/30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6Details of the software used for the vending mach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53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providing data content
    • H04M1/275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providing data content by optical scan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QR코드 이용 정보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링크형 QR코드와 정보제공 서버를 연동하여 정보가 변경되더라도 인쇄물 등의 폐기나 수정 없이 변경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QR코드 이용 정보제공시스템은, 정보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전달 정보를 업로드하고 이를 코드화시켜 등록하는 운영자 단말;
상기 코드화된 등록 정보로 URL 정보를 자동 생성하여 이를 링크형 QR코드로 제작하고, 상기 링크형 QR코드로 접속한 사용자 단말에 전달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 서버; 및
상기 링크형 QR코드를 스캔하고 해당 URL 정보의 주소로 접속하여 정보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전달 정보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QR코드 이용 정보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QR Code Use Information Providing Pystem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QR코드 이용 정보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링크형 QR코드와 정보제공 서버를 연동하여 정보가 변경되더라도 인쇄물 등의 폐기나 수정 없이 변경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QR코드(QR code, Quick Response code)는 컴퓨터가 만든 흑백 격자무늬 패턴 코드로, 정보를 나타내는 매트릭스 형식의 이차원 코드이다.
일반 바코드는 단방향 즉, 1차원으로 숫자나 문자 정보가 저장 가능한데 QR코드는 종횡으로 2차원 형태를 가져서 더 많은 정보를 가질 수 있으며, 사진, 동영상, 지도, 명함 등 다양한 정보를 더 편리하게 담아낼 수 있다.
버전 1부터 버전 40까지 다양한 버전을 지원하고 버전마다 최대로 포함할 수 있는 정보와 크기가 다르다. QR코드에는 데이터의 표현과 읽기를 수월하게 하고자 콰이어트 존, 위치 검출 패턴 (분리자 포함), 타이밍 패턴, 정렬 패턴, 포맷 정보, 버전 정보, 데이터 영역 (에러 정정 코드 영역 포함) 등의 영역이 나뉘어 있다.
QR코드는 숫자 최대 7089자, 영문자와 한글은 최대 4296자, 8비트 바이트 최대 2953바이트, 한자 1817자를 담을 수 있다.
즉, 기존의 1차원 바코드가 20자 내외의 숫자 정보만 저장할 수 있는 반면 QR코드는 숫자 최대 7,089자, 문자 최대 4,296자, 이진(8비트) 최대 2,953바이트, 한자 최대 1,817자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일반 바코드보다 인식 속도와 인식률, 복원력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또 기존 바코드를 읽을 수 있는 전용단말기는 상품 판매자만 소유할 수 있어 소비자들이 바코드를 이용하여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불가능했지만, QR코드의 경우 스마트폰만 있으면 소비자들이 직접 상품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즉,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무료로 제공되는 QR코드 스캔(인식)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설치한 후, 스마트폰으로 광고판, 홍보지, 포스터, 잡지, 인터넷 등에 게재된 QR코드를 스캔(인식)하기만 하면 각종 정보를 손쉽게 얻을 수 있다.
이를 좀 더 설명하면 종래에는 스마트폰의 QR코드 스캔(인식) 애플리케이션으로 QR코드를 스캔(scan)하고, 스마트폰의 제어부에서 스캔된 QR코드에 근거하여 URL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URL 정보의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정보를 손쉽게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QR코드를 이용하여 소비자(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바, 종래에는 소비자(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정보가 변경될 때마다 기존 인쇄물(QR코드, 판촉물, 배너) 및 그래픽 디자인(홍보 디자인)을 폐기하거나 새롭게 제작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번호 제10-2013-0055794호(공개일자 2013년05월29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정보제공 서버에 링크형 QR코드를 코드화시키고 링크형 QR코드와 정보제공 서버를 연동하여 정보가 변경되더라도, 링크형 QR코드를 지속적(영구적)으로 사용하면서도 인쇄물 등의 폐기나 수정 없이 변경된 정보를 소비자(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QR코드 이용 정보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QR코드 이용 정보제공시스템은, 정보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전달 정보를 업로드하고 이를 코드화시켜 등록하는 운영자 단말;
상기 코드화된 등록 정보로 URL 정보를 자동 생성하여 이를 링크형 QR코드로 제작하고, 상기 링크형 QR코드로 접속한 사용자 단말에 전달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 서버; 및
상기 링크형 QR코드를 스캔하고 해당 URL 정보의 주소로 접속하여 정보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전달 정보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링크형 QR코드는 정보제공 서버에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무인매장의 무인결제기에 표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해당 URL 정보의 주소로 접속시 사용자가 성인임을 입증할 수 있는 자료를 전송하고, 상기 정보제공 서버는 사용자가 성인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자신이 스캔한 링크형 QR코드에 근거하여 URL 정보를 생성하고 해당 URL 정보의 주소로 직접 접속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자신이 스캔한 링크형 QR코드로 정보제공 서버의 웹페이지에 접속하며, 상기 정보제공 서버에서 링크형 QR코드에 근거하여 URL 정보를 생성하고 해당 URL 정보의 주소로 사용자 단말을 접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달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운영자 단말에서 정보제공 서버에 변경 전달 정보를 업로드하고 코드화시켜 갱신 등록하며, 상기 정보제공 서버에서 코드화된 갱신 등록 정보로 바뀐 URL 정보를 자동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QR코드 이용 정보제공방법은, (A) 운영자 단말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전달 정보를 업로드하고 이를 코드화시켜 등록하는 단계;
(B) 상기 정보제공 서버에서 등록된 코드 정보로 URL 정보를 자동 생성하고, URL 정보를 포함하는 링크형 QR코드를 제작하는 단계;
(C) 사용자 단말에서 링크형 QR코드를 스캔하고, 스캔한 링크형 QR코드로 정보제공 서버의 웹페이지에 접속하는 단계;
(D) 상기 정보제공 서버에서 링크형 QR코드에 근거하여 URL 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URL 주소로 사용자 단말을 접속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URL 주소를 통해 URL 해당 코드에 관련된 전달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F) 상기 전달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운영자 단말에서 정보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변경 전달 정보를 업로드하는 단계;
(G) 상기 정보제공 서버에서 코드화된 갱신 등록 정보로 바뀐 URL 정보를 자동 생성하는 단계;
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 두산에 의하면, 정보제공 서버에 사용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를 코드화시켜 정보를 저장하고 그 정보를 다양한 분야에 응용할 수 있어 인력, 제작비용 등 다양한 방면으로 손실을 막을 수 있고, 정보가 변경되어도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링크형 QR코드는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홍보물(판촉물, 온라인 홍보 디자인)의 폐기나 수정 없이 기존 홍보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만큼 비용에 대한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보제공 서버에 정보를 저장하고 운영자, 관리자, 사용자 등에게 실시간으로 변경된 정보를 제공하여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QR코드 이용 정보제공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QR코드 이용 정보제공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QR코드 이용 정보제공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복수의 전자기기인 운영자 단말(200)과 사용자 단말(400), 정보제공 서버(100)와 유무선 네트워크(30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낸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사용자 단말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운영자 단말(200)은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상기 운영자 단말(200)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게임 콘솔(game console),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 VR(virtual reality) 디바이스, AR(augmented reality) 디바이스 등이 있다.
일례로 도 1에서 운영자 단말(200)은 컴퓨터이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운영자 단말(200)은 실질적으로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300)를 통해 다른 사용자 단말(400) 및/또는 서버(100)와 통신할 수 있는 다양한 물리적인 컴퓨터 시스템들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운영자 단말(200)은 정보제공 서버(100)가 운영하는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웹페이지를 운영하고 관리하며 특히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새로운 상품(서비스 포함) 정보나 갱신된 상품(서비스 포함) 정보 및/또는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를 업로드하고 각 정보를 코드화시켜서 등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 각각은, 예를 들어, 카메라와 같은 스캔 모듈(scan module)을 가지는 스마트폰, 태블릿(tablet) PC, 스마트 패드(smart pad), 또는 UMPC(ultra-mobile personal computer)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400)은 스캔 모듈에 의해 예를 들어 인쇄물(504)이나 무인결제기(502)에 표시된 QR코드를 인식(scan)하고 스캔된 QR코드에 근거하여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URL 정보의 웹페이지(정보제공 서버(100)에 등록된)로 직접 접속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400)은 스캔 모듈에 의해 예를 들어 인쇄물(504)이나 무인결제기(502)에 표시된 QR코드를 인식(scan)하고 정보제공 서버(100)가 운영하는 웹페이지로 접속할 수 있다. 이때 정보제공 서버는 QR코드에 근거하여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URL 정보의 웹페이지(정보제공 서버(100)에 등록된)로 사용자 단말(400)이 접속할 수 있도록 연결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30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인터넷, 방송망, 위성망 등)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30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30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정보제공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400)과 네트워크(300)를 통해 통신하여 정보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제공 서버(100)는 QR코드에 근거하여 네트워크(300)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400)로 새로운 상품(서비스 포함) 정보나 갱신된 상품(서비스 포함) 정보 및/또는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이하 전달 정보로 통칭)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전달 정보를 운영자 단말(200)과 네트워크(300)를 통해 정보제공 서버(100)에 업로드하고 이 전달 정보를 코드화시켜 등록시킨다.
이때 상기 정보제공 서버(100)는 전달 정보를 상품 DB(122)에, 등록된 코드 정보를 코드 DB(124)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또한, 상기 정보제공 서버(100)는 자동생성 모듈(110)을 구비하여 이 등록된 코드 정보로 URL 정보를 자동 생성하고, 이 URL 정보를 URL DB(126)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또한, 상기 정보제공 서버(100)는 자동 생성된 URL 정보에 대해 QR코드를 제작시 링크형 QR코드를 제작하고, 이 QR코드 정보를 QR코드 DB(128)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상기 정보제공 서버(100)는 링크형 QR코드에 등록된 코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QR코드(500)를 사용자 단말(400)에서 인식하여 정보제공 서버(100)에서 자동 생성된 URL 정보의 주소로 직접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정보제공 서버(100)가 사용자 단말(400)에서 스캔한 QR코드(500)에 포함된 URL 정보를 인식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URL 정보는 카페 주소이거나 블로그 주소일 수도 있다.
이로 인해 전달 정보가 변경되어 등록 코드 정보가 갱신되더라도 기존 사용하고 있는 QR코드는 동일하므로 변경된 전달 정보를 인식하여 사용자에게 변경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한다.
즉, 운영자가 전달 정보를 정보제공 서버(100)에 저장하고, 정보제공 서버(100)에서 자동 링크를 생성하여 QR코드에 정보제공 서버(100)가 제공하는 링크를 연결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400)에서 QR코드(500)를 스캔하는 방식이므로, 운영자가 웹페이지 주소를 카페, 블로그, SNS 등으로 언제든지 아무 부담없이 링크 변경할 수 있고 정보제공 서버(100)에서 변경된 링크에 따라 사용자 단말(400)을 접속시켜 QR코드 변경없이 기존 배포된 인쇄물을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정보제공 서버(100)에 등록된 정보를 네트워크(300)와 무인 매장의 무인결제기(키오스크)(502) 통해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에 있어, 정보제공 서버(100)의 변경된 정보에 대해 무인결제기(키오스크)(502)의 QR코드(500)를 사용자 단말(400)에서 자동 인식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보제공 서버(100)에 등록된 정보를 QR코드(500), 무인결제기(키오스크)(502)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할 경우, 정보의 내용이 변경되어도 실시간으로 변경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정보제공시스템을 신분증 정보와 연계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정보의 제공이 성인에게만 제한되는 경우 정보의 제공시 성인임을 입증할 수 있는 자료를 요청할 수도 있다.
일례로 성인용품점의 무인결제기인 경우 사용자가 자신의 신분증을 스캔하여 무인결제기의 링크형 QR코드의 URL 주소로 접속시 스캔한 신분증 이미지를 전송하여 정보제공 서버(100)에서 신분증 이미지로 성인임을 판단한 경우에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사용자가 자신의 전자 여권, 전자 주민등록증, 전자 운전면허증과 같은 공인신분증 전자정보를 사용자 단말(400)에 저장하는 경우 무인결제기의 링크형 QR코드의 URL 주소로 접속시 공인신분증 전자정보를 전송하여 정보제공 서버(100)에서 공인신분증 전자정보로 성인임을 판단한 경우에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QR코드 이용 정보제공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QR코드 이용 정보제공방법은, 먼저, 운영자 단말(200)에서 네트워크(300)를 통해 정보제공 서버(100)에 접속하여 새로운 상품(서비스 포함) 정보나 갱신된 상품(서비스 포함) 정보 및/또는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이하 전달 정보로 통칭)를 업로드하고 이 정보를 코드화시켜 등록한다(S202).
이때 상기 정보제공 서버(100)는 전달 정보를 상품 DB(122)에, 등록된 코드 정보를 코드 DB(124)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상기 정보제공 서버(100)의 자동생성 모듈(110)은 이 등록된 코드 정보로 URL 정보를 자동 생성하고(S204), 이 정보를 URL DB(126)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계속하여 상기 정보제공 서버(100)는 상기 URL 정보를 포함하는 링크형 QR코드를 제작하고(S206), 이 정보를 QR코드(128)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다음 상기 정보제공 서버(100)에서 상기 링크형 QR코드(500)를 배포하여 예를 들어 인쇄물(504)이나 무인결제기(502) 등에 표기한다(S208).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인쇄물(504)이나 무인결제기(502)의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해 알고자 하는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400)을 통해 인쇄물이나 무인결제기의 링크형 QR코드(500)를 스캔(인식)한다(S210).
상기 사용자 단말(400)은 스캔한 링크형 QR코드(500)로 네트워크(300)를 통해 정보제공 서버(100)의 웹페이지에 접속한다(S212).
상기 정보제공 서버(100)에서 링크형 QR코드(500)에 근거하여 URL 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URL 주소로 사용자 단말(400)을 접속한다(S214).
상기 S212 단계와 S214 단계 대신에 사용자 단말(400)에서 자신이 스캔한 링크형 QR코드에 근거하여 URL 정보를 생성하고 해당 URL 주소로 직접 접속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이와 같이 링크형 QR코드에 연계된 URL 주소를 통해 URL 해당 코드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게 된다(S216).
한편, 해당 상품이나 서비스에 관련된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S218), 운영자 단말(200)에서 네트워크(300)를 통해 정보제공 서버(100)에 접속하여 변경 정보(이하 전달 정보로 통칭)를 업로드하고 이 변경 정보를 코드화시켜 갱신 등록한다(S220).
이때 상기 정보제공 서버(100)는 변경 정보를 상품 DB(122)에, 갱신 등록된 코드 정보를 코드 DB(124)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상기 정보제공 서버(100)의 자동생성 모듈(110)은 이 갱신 등록된 코드 정보로 바뀐 URL 정보를 자동 생성하고(S222), 이 바뀐 정보를 URL DB(126)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이와 같이 해서 링크형 QR코드는 변경되지 않아서 사용자 단말(400)로 링크형 QR코드를 스캔하면 바뀐 URL 정보의 주소로 접속하여 변경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QR코드를 활용하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모든 분야에서 관리할 수 있고, 특히 홍보, 판매매장, 인쇄물제작소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할 수 있으며, 무인매장(비대면, 키오스크)에 활용하면 더 우수하게 매장을 관리할 수 있다.
100: 정보제공 서버 110: 자동생성모듈
122: 상품 DB 124: 코드 DB
126: URL DB 128: QR코드 DB
200: 운영자 단말 300: 네트워크
400: 사용자 단말 500: 링크형 QR코드
502: 인쇄물 504: 무인결제시(키오스크)

Claims (7)

  1. 정보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전달 정보를 업로드하고 이를 코드화시켜 등록하는 운영자 단말;
    상기 코드화된 등록 정보로 URL 정보를 자동 생성하여 이를 링크형 QR코드로 제작하고, 상기 링크형 QR코드로 접속한 사용자 단말에 전달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 서버; 및
    상기 링크형 QR코드를 스캔하고 해당 URL 정보의 주소로 접속하여 정보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전달 정보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 을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자신이 스캔한 링크형 QR코드로 정보제공 서버의 웹페이지에 접속하며, 상기 정보제공 서버에서 링크형 QR코드에 근거하여 URL 정보를 생성하고 해당 URL 정보의 주소로 사용자 단말을 접속시키고,
    상기 전달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운영자 단말에서 정보제공 서버에 변경 전달 정보를 업로드하고 코드화시켜 갱신 등록하며, 상기 정보제공 서버에서 코드화된 갱신 등록 정보로 바뀐 URL 정보를 자동 생성하고, 변경 전달 정보를 상품 DB에, 갱신 등록된 코드 정보를 코드 DB에, 바뀐 URL 정보를 URL DB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코드 이용 정보제공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형 QR코드는 정보제공 서버에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무인매장의 무인결제기에 표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코드 이용 정보제공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해당 URL 정보의 주소로 접속시 사용자가 성인임을 입증할 수 있는 자료를 전송하고, 상기 정보제공 서버는 사용자가 성인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코드 이용 정보제공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A) 운영자 단말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전달 정보를 업로드하고 이를 코드화시켜 등록하는 단계;
    (B) 상기 정보제공 서버에서 등록된 코드 정보로 URL 정보를 자동 생성하고, URL 정보를 포함하는 링크형 QR코드를 제작하는 단계;
    (C) 사용자 단말에서 링크형 QR코드를 스캔하고, 스캔한 링크형 QR코드로 정보제공 서버의 웹페이지에 접속하는 단계;
    (D) 상기 정보제공 서버에서 링크형 QR코드에 근거하여 URL 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URL 주소로 사용자 단말을 접속시키는 단계;
    (E)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URL 주소를 통해 URL 해당 코드에 관련된 전달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F) 상기 전달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운영자 단말에서 정보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변경 전달 정보를 업로드하고, 상기 정보제공 서버에서 변경 전달 정보를 상품 DB에, 갱신 등록된 코드 정보를 코드 DB에 저장하는 단계; 및
    (G) 상기 정보제공 서버에서 코드화된 갱신 등록 정보로 바뀐 URL 정보를 자동 생성하고, 바뀐 URL 정보를 URL DB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QR코드 이용 정보제공방법.
  7. 삭제
KR1020220034871A 2022-03-21 2022-03-21 Qr코드 이용 정보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16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4871A KR102516417B1 (ko) 2022-03-21 2022-03-21 Qr코드 이용 정보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4871A KR102516417B1 (ko) 2022-03-21 2022-03-21 Qr코드 이용 정보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6417B1 true KR102516417B1 (ko) 2023-03-30

Family

ID=85985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4871A KR102516417B1 (ko) 2022-03-21 2022-03-21 Qr코드 이용 정보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641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5794A (ko) 2011-11-21 2013-05-29 주식회사 케이티 Qr 코드 정보의 공유를 위한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qr 코드 정보의 공유 방법
KR101510613B1 (ko) * 2014-11-21 2015-04-08 황태환 Qr 코드를 이용한 물품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22078A (ko) * 2019-04-17 2020-10-27 김일영 상품 관리 시스템 및 이와 연동하는 상품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
KR102326974B1 (ko) * 2021-02-10 2021-11-16 이승호 모바일로 상품 선택 및 결제가 가능한 키오스크 타입의 밴딩머신 플랫폼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5794A (ko) 2011-11-21 2013-05-29 주식회사 케이티 Qr 코드 정보의 공유를 위한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qr 코드 정보의 공유 방법
KR101510613B1 (ko) * 2014-11-21 2015-04-08 황태환 Qr 코드를 이용한 물품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22078A (ko) * 2019-04-17 2020-10-27 김일영 상품 관리 시스템 및 이와 연동하는 상품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
KR102326974B1 (ko) * 2021-02-10 2021-11-16 이승호 모바일로 상품 선택 및 결제가 가능한 키오스크 타입의 밴딩머신 플랫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2244B2 (en) Information push method, server, user terminal and system
US7613443B2 (en) Contents and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ystem for using a code, user terminal, communication agency platform, operating agency platform, on-line relation member module, and the method from the same
US20130043302A1 (en) Social media platforms
CN1905701B (zh) 一种面向移动终端设备的网络信息发布方法和系统
KR101160367B1 (ko) 모바일 티켓팅
KR101272232B1 (ko) 큐알 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시스템
WO2021114837A1 (zh) 识别图形码的方法及装置
US20140056526A1 (en) Codeless qr code
KR20130055794A (ko) Qr 코드 정보의 공유를 위한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qr 코드 정보의 공유 방법
JP2006301919A (ja) 通信サーバ及びコード生成サーバ
CN106203231B (zh) 一种支持主动读码打印的凭证云打印系统
KR102229673B1 (ko) 맞춤형 손수건 주문 및 앨범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160140595A1 (en) Method for processing electronic coupons
US11049140B2 (en) Product package and associated system for improving user-product engagement
KR101498699B1 (ko)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로 이루어지는 정보인식시스템 및 정보인식방법
JP2001273441A (ja) 広告方法及び広告サービス装置
JP2009271675A (ja) リアルタイムデータ表示・発信装置
KR102516417B1 (ko) Qr코드 이용 정보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7172023A (ja) クーポン印刷方法
KR100371895B1 (ko) 코드 이미지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정보 서비스 방법 및 그장치
JP2014142690A (ja) 管理サーバ及び移動証明システム
CN112364676A (zh) 图像码的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787662A (zh) 控制移动终端显示的装置及方法
KR20040014744A (ko) 패턴을 이용한 유알엘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및이를 이용한 정보자원에 접근하는 방법
US11709907B1 (en) Offline to online conversion link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