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5883B1 - 식품가공기의 진공장치 - Google Patents

식품가공기의 진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5883B1
KR102515883B1 KR1020210008442A KR20210008442A KR102515883B1 KR 102515883 B1 KR102515883 B1 KR 102515883B1 KR 1020210008442 A KR1020210008442 A KR 1020210008442A KR 20210008442 A KR20210008442 A KR 20210008442A KR 102515883 B1 KR102515883 B1 KR 102515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cover
container
cover part
food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8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5740A (ko
Inventor
김종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to KR1020210008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5883B1/ko
Priority to PCT/KR2021/019645 priority patent/WO2022158733A1/ko
Publication of KR20220105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5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22Mixing, whipping or cut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5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Manipulator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식품가공기의 진공장치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일 측이 개방되고, 가공대상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마련된 용기; 및 상기 용기의 개방된 영역을 폐쇄하기 위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용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커버부 및 상기 제2 커버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커버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커버부 및 상기 제2 커버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에 진공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식품가공기의 진공장치{VACUUM DEVICE FOR A FOOD PROCESSOR}
본 발명은 식품가공기의 진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진공 흡입력을 용기로 전달하는 커버의 분리 및 세척이 용이하며, 진공유지효율이 향상되고, 소음 전달의 차단 효율이 향상되며,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식품가공기의 진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식품가공기, 예를 들어, 블렌더는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가공(예를 들어 블렌딩 및 크러싱)하기 위한 전자 기기로서, 작동되는 동안에 블렌더 본체 내에 배치되는 모터로부터 본체 상측에 장착된 용기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공부재, 예를 들어, 블레이드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가공 부재를 회전시켜 용기 내의 음식물을 가공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에 의한 음식물의 가공 효율을 높이기 위한 식품가공기로, 진공 블렌더가 개발되어 왔다.
진공 블렌더는, 본체 내에 배치되는 진공펌프로 용기의 수용공간을 감압하여, 진공 상태의 용기의 수용공간에서 음식물이 가공되도록 한다.
상기 진공 블렌더는, 음식물의 산화 현상 및 거품 발생 현상을 방지하여 분쇄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진공 블렌더는, 용기를 폐쇄하는 커버를 세척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거나 일반 사용자가 세척하기가 매우 어려웠고, 용기의 진공 유지 효율이 열악하며, 가공부재의 회전에 의한 소음 발생이 심하고, 상기 커버를 통해 진공 형성을 위한 흡기관 또는 진공펌프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악취가 발생하거나 진공형성효율이 열악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식품가공기, 예를 들어, 진공 블렌더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용기를 폐쇄하는 커버의 세척이 용이하고, 용기의 진공유지효율이 향상되며, 소음 전달의 차단 효율이 향상되고, 이물질이 커버를 통해 흡기관 또는 진공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식품가공기의 진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어도 일 측이 개방되고, 가공대상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마련된 용기; 및 상기 용기의 개방된 영역을 폐쇄하기 위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용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커버부 및 상기 제2 커버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커버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커버부 및 상기 제2 커버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에 진공공간이 형성되는, 식품가공기의 진공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공 흡입력을 용기로 전달하는 커버의 분리 및 세척이 용이하며, 진공유지효율이 향상되고, 소음 전달의 차단 효율이 향상되며,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가공기의 진공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에서 AA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커버부 및 제2 커버부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를 각각 나타낸 것으로, 도 3(a) 및 도 4는 사시도를, 도 3(b)는 이들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2에서 용기의 상부와 커버의 결합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2에서 “A” 부의 확대도를, 도 7은 도 2에서 “B”부의 확대도를, 도 8은 도 2에서 “C”부의 확대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하부를,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상부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가공기의 진공장치에서 진공 흡입력이 제공되는 경우의 공기의 흐름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가공기의 진공장치에서 진공이 해제되는 경우의 공기의 흐름을 각각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내용을 더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는 상기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 또는 '아래'에 바로 위치하거나 또는 그들 요소들 사이에 추가적인 요소가 개재될 수 있다는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 또는 '하부' 라는 용어는 관찰자의 시점에서 설정된 상대적인 개념으로, 관찰자의 시점이 달라지면, '상부' 가 '하부'를 의미할 수도 있고, '하부'가 '상부'를 의미할 수도 있다.
복수의 도면들 상에서 동일 부호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기술되는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가공기의 진공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에서 AA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식품가공기의 진공장치(1)는, 본체(300), 용기(200), 및 커버(100)를 포함한다.
본체(300)는 용기(200)가 안착되는 곳으로, 가공부재(400)를 회전하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320), 구동모터(320)의 회전력을 가공부재(400)로 전달하는 구동축(321), 및 진공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진공펌프(310)가 설치될 수 있다. 구동모터(320) 및 진공펌프(310)는 공지의 제품이 적용될 수 있다.
본체의 적어도 일 측면에 작동제어부(350)가 마련될 수 있다. 작동제어부(350)는, 구동모터(320) 및/또는 진공펌프(3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입력신호를 식품가공기의 구동장치(1)에 전달할 수 있다.
용기(200)는 적어도 일 측이 개방되고, 가공대상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용기(200)는 내부에 가공부재(400)가 마련될 수 있다. 가공부재(400)는, 구동모터(320)에서 발생된 구동력이 전달되어 회동함으로써 상기 수용 공간 내로 투입된 가공대상, 예를 들어, 음식물을 가공할 수 있다. 상기 가공은, 분쇄, 믹싱 등의 작동을 포함한다.
커버(100)는 용기(200)의 개방된 영역을 폐쇄하기 위해 용기(200)의 개방된 영역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커버(100)는, 용기(200)의 상기 수용 공간에 진공을 안정적으로 형성하면서도, 커버(100)의 분리 및 세척이 용이하며, 진공유지효율이 향상되고, 소음 전달의 차단 효율이 향상되며,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형태가 제공되는 것으로,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커버(100)는, 제1 커버부(110) 및 제2 커버부(120)를 포함하며, 제1 커버부(110)와 제2 커버부(120)는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200)에 제2 커버부(12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커버부(120)에 제1 커버부(11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커버부(110) 및 제2 커버부(1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커버(100)에 진공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진공공간은 후술하는 흡기홈(도 4의 112)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진공 흡입력을 제공하기 위한 관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진공 흡입력을 높이는 데에 주안점을 둔 결과, 커버에 형성된 상기 진공 흡입력을 제공하기 위한 관이 오염되는 경우 이를 세척하는 등 유지 관리가 가능하지 않았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제1 커버부(110) 및 제2 커버부(120)를 분리하여 상기 진공공간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고, 후술하는 제1 진공유지밸브(115), 이물질트랩부재(500)를 용이하게 세척하거나 교체할 수 있게 됨으로써 식품가공기의 사용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커버부(110) 및 제2 커버부(120)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를 각각 나타낸 것으로, 도 3(a) 및 도 4는 사시도를, 도 3(b)는 이들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들어 제1 커버부(110) 및 제2 커버부(120)를 설명한다.
제1 커버부(110)는, 제1 베이스(119), 제1 리브(118), 및 진공패킹(111)을 포함한다.
제1 베이스(119)는, 제1 커버부(110)의 상면을 구성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진공해제부(116)의 적어도 일부가 제1 베이스(119) 상면에 노출된다.
제1 베이스(119)는, 용기(200)의 측면에 부착된 손잡이부(210)의 수직 상방의 위치에서 용기(200)의 중앙부를 향해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제1 베이스 슬림부(119a) 및 제1 베이스 슬림부(119a)의 일 말단으로부터 면적이 확장되도록 연장되는 제1 베이스 확장부(119b)를 포함한다. 이때, 제1 베이스 슬림부(119a)는 제1 베이스 확장부(119b)의 일 말단으로부터 면적이 좁아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베이스(119)는 돋보기(magnifier)와 유사한 형태로, 제1 베이스 슬림부(119a)는 돋보기의 대에 대응되는 형태를, 제1 베이스 확장부(119b)는 돋보기의 렌즈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제1 베이스 슬림부(119a)의 타 말단부 또는 제1 베이스 확장부(119b)에는, 제1 베이스 슬림부(119a) 또는 제1 베이스 확장부(119b)에서 연장되는 체결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부(113)는, 제1 베이스 슬림부(119a) 또는 제1 베이스 확장부(119b)에서 수직방향 또는 소정 경사를 갖고 연장될 수 있다.
체결부(113)에는 체결돌기(113a)가 형성되어, 제1 커버부(110)와 제2 커버부(1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체결돌기(113a)가 후술하는 제2 커버부(120)의 제2 리브(121)에 마련된 체결홈(117)에 구속되어 제1 커버부(110)와 제2 커버부(120)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커버부(110)와 제2 커버부(120)는 마그네틱부재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일 실시예로, 체결부(113)에 상기 마그네틱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커버부(110)와 제2 커버부(120)는 힌지(150)에 의해 회동하는 형태로 착탈될 수 있다. 이때, 힌지(150)는 용기(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용기(200)의 측면에 마련된 손잡이부(210)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힌지(150)는 용기(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용기(200)의 측면에 마련된 손잡이부(210)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손잡이부(210)의 수직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커버부(110)와 제2 커버부(120)는 레일부재에 의해 슬라이딩 되는 형태로 착탈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커버부(110)와 제2 커버부(120)가 견고하게 결합되는 경우, 후술하는 진공패킹(111)이 진공패킹 안착부(123)를 가압하게 됨으로써, 진공 흡입력의 제공 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가공부재(400)의 회전에 의한 소음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베이스(119)는 제1 베이스 슬림부(119a) 또는 제1 베이스 확장부(118b)의 적어도 일 측면으로 돌출된 파지부(114)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1 커버부(110)를 제2 커버부(12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제1 리브(118)는, 제1 베이스(119)로부터 제2 커버부(120)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예를 들어, 수직방향 또는 소정 경사를 갖고 연장될 수 있다.
제1 리브(118)는, 용기(200)의 측면에 부착된 손잡이부(210)의 수직 상방의 위치에서 용기(200)의 중앙부를 향해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제1 리브 슬림부(118a) 및 제1 리브 슬림부(118a)의 일 말단으로부터 면적이 확장되도록 연장되는 제1 리브 확장부(118b)를 포함한다. 제1 리브(118)는 제1 베이스(119)와 같이 돋보기와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제1 리브 슬림부(118a)의 형태는 제1 베이스 슬림부(119a)에 대응되고, 제1 리브 확장부(118b)의 형태는 제1 베이스 확장부(119b)의 형태에 대응될 수 있다.
진공패킹(111)은, 상기 진공공간을 폐쇄하여 진공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제1 리브(118)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공패킹(111)은, 제1 리브(118)를 둘러싸는 형태로 제1 리브(118)의 내측면 및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진공패킹(111)은, 용기(200)의 측면에 부착된 손잡이부(210)의 수직 상방의 위치에서 용기(200)의 중앙부를 향해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진공패킹 슬림부(111a) 및 진공패킹 슬림부(111a)의 일 말단으로부터 면적이 확장되도록 연장되는 진공패킹 확장부(111b)를 포함할 수 있다. 진공패킹(111)은 제1 리브(118)과 같이 돋보기와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진공패킹 슬림부(111a)는 제1 리브 슬림부(118a)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진공패킹 확장부(111b)는 제1 리브 확장부(118b)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커버부(110) 및 제2 커버부(1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진공패킹 슬림부(111a)에 의해 정의된 공간에 후술하는 제2 커버부(120)에 마련된 흡기구(122)가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진공패킹(111)은 하면에 소정 면적을 갖되, 내측면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흡기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커버부(110)와 제2 커버부(1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진공패킹(111)과 후술하는 진공패킹 안착부(123) 사이에서, 흡기홈(112)에 의해 형성된 진공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즉, 흡기홈(112)은, 후술하는 제2 커버부(120)에 마련된 흡기구(122)로 제공되는 진공 흡입력을 용기(200)의 수용 공간으로 전달하기 위한 진공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며, 예를 들어, 진공패킹 슬림부(111a)를 포함하여 진공패킹(111)에 의해 정의되는 전(全)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진공패킹 확장부(111b)에 의해 정의된 공간에 공기개폐부(600)가 마련될 수 있다. 공기개폐부(600)는, 후술하는 흡기관(212)을 통해 흡기구(122)로 제공되는 진공 흡입력을 용기(200)로 전달하거나 진공을 해제하기 위한 것으로, 전술한 진공해제부(116) 및 제1 진공유지밸브(115)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진공유지밸브(115)는 진공해제부(116)가 가압되는 경우 용기(200) 내에 형성된 진공이 해제되도록 한다.
일 예로, 진공해제부(116) 및 제1 진공유지밸브(115)는 체크밸브 형태로,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는 경우 개방되어 용기(200) 내에 형성된 진공이 해제될 수 있다.
제2 커버부(120)는, 용기(200)의 개방 영역을 직접 폐쇄하기 위한 것으로, 용기(200)와 제2 커버부(120) 사이에 뚜껑패킹(140)이 적용되어, 용기(200)의 수용 공간에 형성된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가공부재(400)의 회동에 의한 소음이 외부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커버부(120)는, 진공패킹 안착부(123), 제2 리브(121), 흡기구(122), 이물질트랩부재(500), 및 제3 리브(125)를 포함한다.
진공패킹 안착부(123)는, 제1 커버부(110)와 제2 커버부(1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진공패킹(111)이 안착되는 곳으로, 진공패킹(111)의 하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소정 면적의 평평한 면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술한 돋보기와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리브(121)는, 진공패킹 안착부(123)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제1 커버부(110)와 제2 커버부(1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리브(118)가 제2 리브(121)에 의해 정의된 공간에 수용된다.
제2 리브(121)는, 상면에 제1 베이스 안착부(124)가 마련되어, 제1 커버부(110) 및 제2 커버부(120)의 결합 상태에서 제1 커버부(110)의 제1 베이스(119)가 제1 베이스 안착부(124)에 안착될 수 있다.
제2 리브(121)는, 용기(200)의 측면에 부착된 손잡이부(210)의 수직 상방의 위치에서 용기(200)의 중앙부를 향해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제2 리브 슬림부(121a) 및 제2 리브 슬림부(121a)의 일 말단으로부터 면적이 확장되도록 연장되는 제2 리브 확장부(121b)를 포함한다. 제2 리브(121)는 돋보기와 유사한 형태로, 전술한 제1 리브(118)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흡기구(122)는, 진공펌프(310)로부터 발생된 진공 흡입력을 커버(100)로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도2 및 도 5를 들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진공패킹 안착부(123)를 하향 관통하여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수직방향, 소정 경사를 갖거나, 또는 굴곡진 형태로 진공패킹 안착부(123)를 하향 관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기구(122)는 손잡이부(210)의 수직상방에 배치되고, 제1 커버부(110)와 제2 커버부(1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진공패킹 안착부(123)에 안착되는 진공패킹 슬림부(111a)의 적어도 일부가 용기(200)의 측면에 마련된 손잡이부(210)의 수직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효율적인 공간 활용으로 컴팩트한 진공 블렌더의 구조를 달성하는 동시에, 공기 유로를 단순화시킴으로써 진공 생성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리브 슬림부(121a)의 말단부에는, 제1 커버부(110) 및 제2 커버부(1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 커버부(110)의 체결부(113)에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홈(117)이 마련되어, 체결돌기(113a)가 체결홈(117)에 구속되도록 할 수 있다.
이물질트랩부재(500)는, 진공 흡입력을 제공하기 위한 관이나 용기 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물질트랩부재(500)는, 내부에 형성된 유체 유입홀(미도시)을 통해 유입된 유체 중 액체에 의해 가동 부재(미도시)의 유동으로 배기 유로를 폐쇄할 수 있다.
제3 리브(125)는 제2 리브 확장부(121b)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에서, 진공패킹 안착부(123)로부터 제1 커버부(110)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3 리브(125)에 의해 정의된 공간에 이물질트랩부재(50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커버부(110) 및 제2 커버부(1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 커버부(110)의 공기개폐부(600)가 제3 리브(125)에 의해 정의된 공간에 마련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공기개폐부(600)가 상기 공간에 수용되거나 배치될 수 있다.
도 2, 도 5,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용기(200)의 측면에 손잡이부(210)가 마련된다.
손잡이부(210)는, 흡기관(212), 제1 차단밸브(220), 및 제2 진공유지밸브(211)가 포함된다.
흡기관(212)은, 진공펌프(310)로부터 발생된 진공 흡입력을 커버(100)로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손잡이부(21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즉, 흡기관(212)은 손잡이부(210)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된다.
제1 차단밸브(220)는, 흡기관(212) 및 흡기구(122) 사이에 마련될 수 있고, 진공 흡입력에 의해 개폐가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차단밸브(220)는, 스프링(221)에 의한 개폐구동이 적용되어, 진공 흡입력이 제공되면 스프링(221)의 탄성에 의해 흡기구(122)를 개방하여 진공 흡입력을 커버(100)로 제공하고, 진공 흡입력이 해제되면 스프링(221)의 복원력에 의해 흡기구(122)를 폐쇄할 수 있다.
제2 진공유지밸브(211)는, 용기(200) 내의 진공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손잡이부(21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진공유지밸브(211)는, 진공 흡입력이 용기에 제공된 후 용기(200)의 내압과 손잡이부 내부의 기압차에 의해 개폐가 제어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용기(200)의 수용 공간에서 진공상태가 형성된 후 커버(100)에 마련된 제1 진공유지밸브(115) 및 손잡이부(210)에 마련된 제2 진공유지밸브(211)에 의해 진공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진공상태유지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2, 도 8,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용기(200)와 본체(300)의 결합에 의해 개폐가 제어되는 제2 차단밸브(230)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용기(200)가 본체(3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2 차단밸브(230)가 개방되고, 용기(200)가 본체(300)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2 차단밸브(230)가 폐쇄되도록 함으로써, 용기(200)를 본체(300)에서 분리하여도 용기(200)의 수용 공간에서 진공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음식물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차단밸브(230)는, 손잡이부(210)의 하측 말단에서 흡기관(212)의 타 말단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차단밸브(230)는, 본체(300)의 측면에 배치된 손잡이부(2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차단밸브(230)는, 용기(2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200)가 본체(300)에서 정위치에 안착되는 경우, 손잡이부(210)의 하부 또는 용기의 하부에 마련된 장착버튼(213)이 장착돌기(330)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제2 차단밸브(230)가 개방되고, 용기(200)가 본체(300)에서 분리되거나 정위치에 안착되지 않게 되어 장착돌기(330)에 의한 장착버튼(213)의 가압이 해제되는 경우 제2 차단밸브(230)가 폐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200)가 본체(300)에 정위치에 안착되는 경우, 본체(300)의 용기인식센서(340)가 용기(200)를 인식하여 구동모터(320) 및 진공펌프(310)가 작동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제어부(미도시)에 신호를 전달한다. 즉, 본 발명은, 본체(300)에 용기(200)가 정위치에 안착되지 않는 상태에서 구동모터(320)가 회전하거나 진공펌프(310)가 작동하여, 기어 등 내부 구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300)의 용기센서(340)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300)의 용기센서(340)는 리드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체(300)의 용기센서(340)는 전술한 구조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센서구조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가공기의 진공장치에서 진공 흡입력이 제공되는 경우의 공기의 흐름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가공기의 진공장치에서 진공이 해제되는 경우의 공기의 흐름을 각각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진공 흡입력이 제공되는 경우, 용기(200)의 수용 공간 내의 공기가 이물질트랩부재(500)와 제3 리브(125) 사이의 공간을 따라 배출된 후, 진공패킹(111)과 진공패킹 안착부(123) 사이에 형성된 흡기홈(112)을 통과하여 제2 커버부(120)에 마련된 흡기구(122)로 배출되고, 이어서 개방된 제1 차단밸브(220)를 통과한 후 흡기관(212)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진공해제부(116)가 가압 되는 경우, 제1 진공유지밸브(115)가 개방되어 공기가 공기개폐부(600)를 통해 용기(200)의 수용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200)의 개방 영역을 폐쇄하고 용기(200)의 수용 공간에 진공 흡입력을 제공하기 위한 커버(100)가, 제1 커버부(110) 및 제2 커버부(120)로 구성되고, 제1 커버부(110) 및 제2 커버부(1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진공공간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커버(100)의 세척 및 유지, 보수 관리가 용이하게 되어, 식품가공기의 진공장치(1)의 사용수명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200)의 수용 공간에 진공을 형성시킨 후, 제1 진공유지밸브(115) 및 제2 진공유지밸브(211)에 의해 진공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진공상태유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커버부(110) 및 제2 커버부(120)의 결합상태에서, 제1 커버부(110)의 진공패킹(111)이 제2 커버부(120)의 진공패킹 안착부(123)에 가압되어 안착됨으로써, 진공 흡입력의 제공 효율이 향상되는 동시에, 가공부재(400)의 회전에 의한 소음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차단밸브(220) 및 제2 차단밸브(230)가 적용되어, 진공을 제공하기 위한 흡기관(212)이나 진공펌프(310)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제1, 제2 차단밸브(220, 230)는 스프링(221, 231)의 탄성력과 복원력을 이용함으로써 간단한 부재를 사용하면서도 진공 흡입력의 제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은 이해를 돕기 위해 각각의 구성요소를 주체로 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각 구성요소의 두께, 길이, 개수 등은 도면 작성의 진행상, 실제와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각 구성요소의 재질이나 형상, 치수 등은 한 예로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효과에서 실질적으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1: 식품가공기의 진공장치
100: 커버
110: 제1 커버부
111: 진공패킹
111a: 진공패킹 슬림부
111b: 진공패킹 확장부
112: 흡기홈
113: 체결부
113a: 체결돌기
114: 파지부
115: 제1 진공유지밸브
116: 진공해제부
117: 체결홈
118: 제1 리브
118a: 제1 리브 슬림부
118b: 제1 리브 확장부
119: 제1 베이스
119a 제1 베이스 슬림부
119b: 제1 베이스 확장부
120: 제2 커버부
121: 제2 리브
121a: 제2 리브 슬림부
121b: 제2 리브 확장부
122: 흡기구
123: 진공패킹 안착부
124: 제1 베이스 안착부
125: 제3 리브
140: 커버패킹
150: 힌지
200: 용기
210: 손잡이부
211: 제2 진공유지밸브
212: 흡기관
213: 장착버튼
220: 제1 차단밸브
221: 스프링
230: 제2 차단밸브
231: 스프링
300: 본체
310: 진공펌프
320: 구동모터
321: 구동축
330: 장착돌기
340: 용기인식센서
350: 작동제어부
400: 가공부재
500: 이물질트랩부재
600: 공기개폐부

Claims (19)

  1. 적어도 일 측이 개방되고, 가공대상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마련된 용기; 및
    상기 용기의 개방된 영역을 폐쇄하기 위한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용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커버부 및 상기 제2 커버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커버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커버부 및 상기 제2 커버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에 진공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진공공간을 폐쇄하여 진공을 유지하기 위한 진공패킹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커버부는, 상기 진공패킹 및 상기 진공패킹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제1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버부는, 상기 진공패킹이 안착되는 진공패킹 안착부 및 상기 진공패킹 안착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제2 리브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커버부 및 상기 제2 커버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리브가 상기 제2 리브의 내측에 수용되는, 식품가공기의 진공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부는, 진공펌프로부터 발생된 진공 흡입력을 상기 커버로 제공하기 위한 흡기구가 마련되고,
    상기 제1 커버부는, 상기 진공공간을 폐쇄하여 진공을 유지하기 위한 진공패킹을 포함하되,
    상기 진공패킹은, 상기 제1 커버부 및 상기 제2 커버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흡기구를 둘러싸되 소정 길이로 연장된 진공패킹 슬림부 및 상기 진공패킹 슬림부의 일 말단으로부터 면적이 확장되도록 연장되는 진공패킹 확장부를 포함하는, 식품가공기의 진공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진공패킹 슬림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용기의 측면에 마련된 손잡이부의 수직상방에 배치되는, 식품가공기의 진공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는 상기 손잡이부의 수직상방에 배치되는, 식품가공기의 진공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진공패킹 확장부에 의해 정의된 공간에 공기개폐부가 마련되되,
    상기 공기개폐부는, 상기 흡기구로 제공되는 진공 흡입력을 상기 용기로 전달하는, 식품가공기의 진공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공기개폐부는,
    상기 제1 커버부의 상면에 적어도 일부가 노출된 진공해제부; 및
    상기 진공해제부가 가압 되는 경우 상기 용기 내에 형성된 진공이 해제되도록 하는 제1 진공유지밸브;
    를 포함하는, 식품가공기의 진공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진공패킹은, 상기 흡기구로 제공되는 진공 흡입력을 상기 공기개폐부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진공패킹의 내측면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흡기홈이 마련되되,
    상기 흡기홈은 상기 진공패킹에 의해 정의되는 전(全)영역에 형성된, 식품가공기의 진공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부는 상면을 구성하는 제1 베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베이스는 상기 용기의 손잡이부의 수직 상방의 위치에서 상기 용기의 중앙부를 향해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제1 베이스 슬림부 및 상기 제1 베이스 슬림부의 일 말단으로부터 면적이 확장되도록 연장되는 제1 베이스 확장부를 포함하는, 식품가공기의 진공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부는, 상기 제1 베이스 슬림부 또는 상기 제1 베이스 확장부의 타 말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버부는, 상기 제1 커버부 및 상기 제2 커버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체결부에 형성된 체결돌기가 구속되기 위한 체결홈이 마련된, 식품가공기의 진공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부는, 상기 제1 베이스 슬림부 또는 상기 제1 베이스 확장부의 적어도 일 측면으로 돌출된 파지부가 마련된, 식품가공기의 진공장치.
  13.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부는,
    상기 용기 내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이물질트랩부재; 및
    상기 이물질트랩부재와 상기 제2 리브 사이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제3 리브;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커버부 및 상기 제2 커버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공기개폐부는 상기 제3 리브에 의해 정의된 공간에 마련되는, 식품가공기의 진공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부 및 상기 제2 커버부는 힌지로 결합되되, 상기 힌지는 상기 용기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용기의 측면에 마련된 손잡이부와 마주보는 위치 또는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 식품가공기의 진공장치.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측면에 손잡이부가 마련되되,
    상기 손잡이부는, 진공펌프로부터 발생된 진공 흡입력을 상기 커버로 제공하기 위한 흡기관이 내부에 설치된, 식품가공기의 진공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부는, 상기 진공펌프로부터 상기 흡기관으로 제공된 진공 흡입력을 상기 흡기관의 일 말단을 통해 상기 커버로 제공하기 위한 흡기구가 마련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흡기관 및 상기 흡기구 사이에 위치하되, 진공 흡입력에 의해 개폐가 제어되는 제1 차단밸브가 마련된, 식품가공기의 진공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단밸브는, 진공 흡입력이 제공되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기 흡기구를 개방하여 진공 흡입력을 상기 커버로 제공하는, 식품가공기의 진공장치.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흡기관의 타 말단과 연결되어, 상기 용기와 본체의 결합에 의해 개폐가 제어되는 제2 차단밸브가 마련된, 식품가공기의 진공장치.
  19.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 내부에는, 상기 진공 흡입력이 상기 용기에 제공된 후 상기 용기의 내압과 손잡이부 내부의 기압차에 의해 개폐가 제어되는 제2 진공유지밸브가 마련된, 식품가공기의 진공장치.
KR1020210008442A 2021-01-21 2021-01-21 식품가공기의 진공장치 KR102515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442A KR102515883B1 (ko) 2021-01-21 2021-01-21 식품가공기의 진공장치
PCT/KR2021/019645 WO2022158733A1 (ko) 2021-01-21 2021-12-22 식품가공기의 진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442A KR102515883B1 (ko) 2021-01-21 2021-01-21 식품가공기의 진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740A KR20220105740A (ko) 2022-07-28
KR102515883B1 true KR102515883B1 (ko) 2023-03-31

Family

ID=82549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8442A KR102515883B1 (ko) 2021-01-21 2021-01-21 식품가공기의 진공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15883B1 (ko)
WO (1) WO2022158733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53314A (ja) * 2008-12-26 2010-07-08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照明器具
KR101821786B1 (ko) * 2016-08-29 2018-01-25 (주)포에스텍 진공 믹서기
KR102275784B1 (ko) * 2020-03-12 2021-07-12 (주)포에스텍 진공블렌더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6018A (ko) * 2012-12-12 2014-06-20 이복규 용기 본체와 덮개로 구성된 식품진공보관용기
KR102094018B1 (ko) * 2017-12-15 2020-03-30 안중근 진공텀블러 및 이를 구비한 믹서기
KR102096518B1 (ko) * 2017-08-18 2020-04-02 씨티엠(주) 역류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 믹서기용 저장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53314A (ja) * 2008-12-26 2010-07-08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照明器具
KR101821786B1 (ko) * 2016-08-29 2018-01-25 (주)포에스텍 진공 믹서기
KR102275784B1 (ko) * 2020-03-12 2021-07-12 (주)포에스텍 진공블렌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740A (ko) 2022-07-28
WO2022158733A1 (ko) 2022-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329673B (zh) 真空食品处理系统
KR101804162B1 (ko) 블렌더
TWI798273B (zh) 吸乳器、乳汁收集容器、乳房護罩以及用於致動吸出人類母乳之吸乳器的方法
AU2005226867B2 (en) Container lid
RU276832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с наружной очисткой сопла
CN213129232U (zh) 用于食物处理系统的储集器组件及食物处理系统
CN211459906U (zh) 异物捕获装置及利用其的料理机
EP2637530B1 (en) A food steamer
JP2004058057A (ja) 流体流量の変動に適したサイクロンセパレータ
KR102374738B1 (ko) 블렌더
KR102515883B1 (ko) 식품가공기의 진공장치
CN112739242B (zh) 具有防振密封的搅拌器系统
JP2022547867A (ja) ストロー蓋アセンブリ
US5161559A (en) Cleaning device for contact lenses
KR101873900B1 (ko) 블렌더
CN111839219B (zh) 水箱及饮水设备
JP2021529090A (ja) 液体濾過システム
KR102257104B1 (ko) 조리기
CN114144097B (zh) 食物处理器
CN112638217A (zh) 具有防振密封的搅拌器系统
CN215937056U (zh) 一种液体加热装置的液体容器及液体加热装置
CN214317840U (zh) 一种食品加工机
KR102083574B1 (ko) 음료분배장치
JP4092318B2 (ja) 逆流防止型ハンディポンプ
EP2573437B1 (en) Air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