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5794B1 - 낚시용 인조미끼 - Google Patents

낚시용 인조미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5794B1
KR102515794B1 KR1020200108032A KR20200108032A KR102515794B1 KR 102515794 B1 KR102515794 B1 KR 102515794B1 KR 1020200108032 A KR1020200108032 A KR 1020200108032A KR 20200108032 A KR20200108032 A KR 20200108032A KR 102515794 B1 KR102515794 B1 KR 102515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fishing
core
bait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8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6908A (ko
Inventor
장치식
이동연
Original Assignee
장치식
이동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치식, 이동연 filed Critical 장치식
Priority to KR1020200108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5794B1/ko
Publication of KR20220026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6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 A01K85/018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with scent dispers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 A01K85/015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with light emiss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1847Hollow bod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류를 향(香)으로 유인하는 어류 유인제 및 광(光)으로 유인하는 발광제를 구비하는 낚시용 인조 미끼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소정의 수납공간을 구비한 본체; 및 상기 수납공간에 배치되고 어류 유인용 유인제가 담긴 담체; 를 포함하는 낚시용 미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낚시용 인조미끼{an artificial bait for fishing}
본 발명은 낚시용 인조 미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어류를 향(香)으로 유인하는 어류 유인제 및 광(光)으로 유인하는 발광제를 구비하는 낚시용 인조 미끼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바다 낚시 또는 민물 낚시에서는 낚시 바늘에 작은 물고기, 지렁이, 곤충 등과 같이, 어류가 먹이로 삼는 미끼를 매달아서 수중으로 투입하게 된다.
낚시 대상이 되는 어류는 수중에서 미끼의 존재를 시각 또는 후각으로 인식하여 물거나 삼키게 된다. 이때 어류가 미끼의 존재를 인식하지 못하거나, 또는 위험한 먹이감으로 인식한다면 낚시의 성공 확률은 낮아지게 된다.
한편, 낚시 미끼로 사용되는 작은 물고기, 지렁이, 곤충 등은 값이 비쌀 뿐만 아니라 취급도 곤란하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예를 들어 민물 낚시에 많이 쓰이는 지렁이의 경우에, 형상이나 취급 감각이 초보자들에게는 혐오스럽게 느껴질 수도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회피하기 위하여 소위 루어(lure) 낚시가 행해진다. 루어 낚시는 가짜 미끼(lure)를 이용하여 고기를 낚는 방법이다. 루어란 털/플라스틱/나무/금속 등으로 만든 인공 미끼이며, 이를 어떻게 살아 있는 미끼처럼 보이게 하느냐에 따라서 낚시의 성공률이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루어와 같은 가짜 미끼를 이용할 경우에, 가짜 미끼 자체에는 어류를 유인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어류가 가짜 미끼의 존재를 인식하게 하는 것이 쉽지 않으며, 또한 어류가 가짜 미끼를 물거나 삼키게 하는 것도 용이하지 않다.
이에 선행등록특허 10-1593814호는 어류 유인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낚시용 미끼를 제공하는 것으로, 향(香) 및 광(光)을 이용하여 어류를 유인할 수 있는 낚시용 미끼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낚시 사용자의 사용편의에 어려움이 있어 개선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10-1593814호
본 발명은 선행특허를 보다 개량한 것으로, 유인제와 발광제를 구비한 담체를 코어-쉘 구조로 형성하여 본체 내부에 삽입함으로써, 손쉽게 어류를 유인할 수 있는 낚시용 미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소정의 수납공간을 구비한 본체; 및 상기 수납공간에 배치되고 어류 유인용 유인제가 담긴 담체; 를 포함하는 낚시용 미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다양한 형태의 물고기 형상, 새우 형상, 지렁이 등의 곤충 형상 중 어느 하나의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납 공간은 상기 본체 내부에 형성되는 소정 길이를 갖는 중공관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공관 형태는 양끝단이 모두 개방되거나 양끝단 중 일단부가 개방되는 형태이며, 상기 담체가 삽입되는 개방된 단부와 연결되는 개구부의 직경이 상기 중공관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공관에 삽입되는 담체는 단면이 원 또는 타원인 구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류 유인용 유인제는 새우, 어류, 곤충의 건조 분말 또는 농축액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담체는 코어-쉘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미끼는 유인제와 발광제를 구비한 담체를 코어-쉘 구조로 형성하여 본체 내부에 삽입함으로써, 어류를 유인함에 있어 광 및 향을 이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낚시대와 연결된 다수의 고리 또는 낚시 바늘들이 낚시용 미끼 내부에 삽입되어 코어-쉘 구조의 담체를 찌르게 되면 상기 담체에 유출공을 형성하여, 터트려진 유출공을 통해 상기 담체 내의 어류 유인용 유인제가 중공관 내로 누출되어 유동하게 되고, 이어 유인제가 물과 섞여서 배출되고, 그에 의해 유인제의 향이 낚시용 믹끼의 본체 주변으로 퍼지게 되어 어류를 유인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미끼는 낚시 전문가들 뿐만 아니라 초보자들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외관이 물고기 형태의 낚시용 미끼를 도시한 정면도 이고,
도 2는 도 1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담체로서 농축액공(50)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외관이 새우 형태의 낚시용 미끼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외관이 지렁이 형태의 낚시용 미끼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미끼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외관이 물고기 형태의 낚시용 미끼(100)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담체로서 농축액공(50)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미끼(100)는, 내부에 소정의 수납공간(30)을 구비한 본체(20)와, 상기 수납공간(30)에 삽입되고 어류 유인용 유인제가 담긴 담체(50)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20)는 물고기 형태로서 머리 형상부(10)와 꼬리 형상부(12)를 구비하고, 상기 머리 형상부(10)에는 아가미와 연결되어 상기 어류 유인용 유인제가 담긴 담체가 삽입되는 개구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11)는 머리 형상부(10)에 배치된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꼬리 형상부(12)에도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부(11)의 직경은 적어도 상기 담체(50)가 삽입될 수 있는 이상의 크기이다.
또한, 상기 수납 공간(30)은 상기 담체(50)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중공을 갖는 중공부로서, 상기 본체(20) 내부에 형성되고 소정 길이를 갖는 중공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납공간(30)으로서 중공부는 본체의 머리 형상부(10) 또는 꼬리 형상부(12)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개구부(11)와 연결되어 상기 담체(50)가 삽입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중공관 형태이므로 양끝단이 모두 개방되거나 양끝단 중 일단부가 개방되는 형태이며, 상기 담체가 삽입되는 개방된 단부와 연결되는 개구부(11)의 직경이 전체 중공관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개구부(11)를 통해 삽입된 담체(50)가 삽입시에는 용이하게 하고, 삽입된 이후에는 담체(50) 소재의 탄성 또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본체(20)의 탄성을 이용하여 상기 담체(50)가 본체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을 방지하여 삽입된 위치에 그대로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중공관에 삽입되는 담체(50)는 단면이 원 또는 타원인 구형태가 상기 중공관에 삽입에 용이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직사각형태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담체(50)는 내부 코어(51)와 상기 코어를 둘러싸는 외부 쉘(52)의 코어-쉘 타입의 캡슐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코어(51)는 어류 유인용 유인제로서 새우, 어류, 곤충의 건조 분말 또는 농축액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코어(51)를 둘러싸는 친유성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물질로 스프레이 분사 방식 또는 딥 코팅 방식 등으로 코팅하여 피막층(쉘)(52)을 형성하여, 상기 고분자 물질은 낚시용 미끼 소재이므로 생분해성 소재가 바람직하다.
가령, 상기 코어(51)가 가운데 있고 상기 코어(51) 물질을 캡슐화하기 위해 상기 코어물질이 농축액인 경우에는 유화제로 유화시키고 상기 코어물질이 건조 분말인 경우에는 유화제와 물을 혼합하고 유화시켜 미셀(micell)을 형성한다. 이때, 유화제는 생체 적합성 소재이면 무방하므로, 가령 식품 유화제로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트윈 20, 트윈 60, 트윈 80, 스판 60, 스판 80 등을 사용될 수 있고, 통상의 유화 방법을 이용하여 유화할 수 있다. 이어, 유화된 코어(51) 물질에 쉘을 형성하는 친유성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물질로 혼합한 후 배합하여 쉘(52)을 형성하여 캡슐화한다. 가령, 유화된 코어 물질(51)과 고분자 물질로서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혼합물을 45~70℃, 1000~3500 rpm, pH 4~12에서 1~5분 시간 동안 호모믹서 또는 호모게나이저를 이용하여 뱅합하여 캡슐화할 수 있다. 이때, 고분자 물질로서 사이크로덱스트린은 고리 모양의 내부가 소수성이고, 외부가 친유성(소수성)을 나타내는 물질이므로 중공부내에서 잘 분산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다른 방식으로는 상기 코어(51)와 상기 코어를 둘러싸는 양이온성 고분자 소재로 피막층(쉘)(52)을 형성하며, 상기 피막층을 형성하는 양이온성 고분자 소재로, 디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A), 뷰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잔탄검(Xanthan gum), 알긴산나트륨(Sodium alginate), 한천(Agar)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어(51)를 둘러싸는 외부 쉘(52)을 형성하는 고분자 물질은 낚시 바늘에 의해 찔릴 때 유출공을 형성할 수 있도록 파열될 수 있어야 한다.
즉, 내부 코어(51)는 어류를 유인할 수 있는 향(香)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재료로서, 가령, 새우, 어류, 곤충등의 건조 분말 또는 농축액등이 외부 쉘(52)에 담길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쉘(52)이 파열되면, 상기 외부 쉘(52)의 내부에 담긴 어류 유인제가 수납 공간인 중공관(30) 안에 분산되고, 결과적으로 개구부(11)를 통해 수중으로 퍼져 나가게 된다.
또한, 상기 외부 쉘(52)의 외주면을 따라 발광성 폴리머로 스프레이 분사 또는 딥 코딩 방식 등으로 코팅층을 형성하여 제2 외부 쉘로서 발광층(53)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발광성 폴리머는 생체 친화성 고분자 수지에 소정의 인광성 난료를 첨가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인광성 안료로는 ZnS:Cu, 황화아연 및 다른 화합물과의 혼합물, 다중 활성화된 황화아연, 희토류 활성화된 알칼리토금속 알루미네이드 옥사이드, 스트론튬 알루미네이트 옥사이드 안료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이처럼 발광성 폴리머를 이용한 코팅층을 통해 발생된 광은 본체(20)가 빛을 투과시키므로 본체(20)를 통해 외부로 발광하게 된다. 따라서 어류는 미끼의 본체(20)로부터 발생되는 광에 의해 미끼를 인식할 수 있으며, 먹이로 착각하여 미끼를 물게 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본체(20)는 낚시용 미끼이므로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이 바람직하며, 젤라틴, 옥수수 전분 등의 PLA, 생분해성 천연 수지, 생분해성 합성 수지와 같은 적절한 재료를 이용하여 물고기 형상을 몰드(mold) 성형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20)는 내부에 삽입되는 담체(50)의 발광층(53을 통해 발생된 빛을 외부로 발광하게 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빛을 투과시키는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빛을 투과할 수 있는 생체 적합성 고분자 물질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낚시대와 연결된 다수의 고리 또는 낚시 바늘들이 개구부(11)를 통해 삽입되어 수납공간인 중공부(30)의 담체(50)를 찌르게 되면 제1 외부 쉘(52)와 제2 외부 쉘인 발광층(53)에 유출공을 형성하여, 터트려진 유출공을 통해 상기 담체(50) 내의 어류 유인용 유인제가 중공관 내로 누출되어 유동하게 된다. 이어, 어류 유인용 유인제가 중공관의 개방 단부를 통해 낚시용 미끼의 외부로 유출되어 수중에서 물고기를 유인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어류 유인용 유인제가 유출되는 개구부(11)는, 머리 형상부 또는 꼬리 형상부에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직경이 0.3 mm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이는, 미끼가 수중으로 들어가면 상기 개구부(11)를 통하여 물이 수납 공간인 중공부(30) 안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어류 유인제는 물과 혼합됨과 동시에 외부로 배출되어 유인제의 향(香)이 미끼의 주변으로 퍼져나갈 수 있다. 따라서 상당히 멀리있는 어류도 어류 유인제의 향에 의하여 미끼를 인식할 수 있으며, 미끼에 반응을 보일 수 있다.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미끼는 사용자가 낚시할 때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는 미끼를 수중에 투입하기 전에 낚시줄과 연결된 낚시 바늘 또는 고리를 상기 미끼의 담체(50)에 연결하면서 낚시 바늘을 통해 상기 담체(50)에 소정의 유출공을 형성하여 상기 유출공을 통해 내부 코어의 농축액 또는 농축 분말이 흘러나오게 된다. 이어, 중공관(30)에 분말 또는 액상의 유인제가 채워지게 되고, 본체(20)가 수중에 투입될 때 물이 개구부(11)를 통해 상기 중공관(30) 안으로 유입됨으로써 유인제가 물과 섞여서 배출되고, 그에 의해 유인제의 향이 본체(20) 주변으로 퍼지게 된다. 따라서 본체(20)로부터 거리를 두고 있는 어류도 미끼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담체(50)에 유출공이 형성될 뿐 전체의 구형태가 파괴되는 것은 아니므로 발광제 코팅층(53)을 통해 발생된 광이 투명한 본체(20)를 통해서 본체(201) 외부로 투과될 수 있으며, 따라서 어류를 유인할 수 있다.
또한, 중공관(30)의 단부는 물고기 형상 본체(20)의 머리 형상부(10)의 눈 부분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눈 부분은 예를 들어 물고기 머리 형상부(10)의 일부를 절개한 구멍으로서 개구부(11)를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머리 형상부(10)의 눈 부분을 통해서 외부로 조사되어 빛나게 되며, 이는 수중에서 낚시 대상이 되는 물고기가 미끼를 인식하는데 효과적이다.
또한, 물고기 머리 형상부(10)의 다른 단부에는 꼬리 형상부(1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꼬리 형상부(1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중의 물결에 따라서 흔들릴 수 있는 연성 재료로 형성됨으로써, 미끼가 마치 살아 있는 효과를 나타내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낚시 바늘이 상기 담체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20))에는 낚시 바늘(미도시)이 매달릴 수 있다. 따라서 낚시의 대상이 되는 어류가 상기 본체(20)를 물거나 삼키면, 그에 따라서 낚시 바늘(미도시)은 어류의 입에 걸리게 된다.
또한, 본체(20)는 도 1에서 물고기 형상을 나타낸 것을 도시하였으나, 그외 새우 형상 등의 어류 형상이나 낚시 미끼로 주로 사용되는 지렁이, 곤충 등의 형상이 바람직하며, 상기 물고기 형상, 새우 형상, 지렁이 등의 미끼 형상은 낚시 대상이 되는 어류가 물거나 삼키기에 적절한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0)는 다양한 형태의 물고기 형상, 새우 형상(100a), 지렁이(100b) 등의 곤충 형상 중 어느 하나의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내부에 담체(50a, 50b)를 삽입하는 구조로서 도 1 내지 도 3ㅇ의 실시예와 동일한 형태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상기 본체는 어류의 먹이가 되는 생물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는 작은 물고기(20), 새우(20a), 지렁이(20b), 곤충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20)의 색깔도 그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20)는 지렁이와 같은 적색을 가지도록, 상기 본체(20)를 형성하는 재료에 착색제를 혼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100a, 100b: 낚시용 미끼
10: 머리 형상부
12: 꼬리 형상부
20, 20a, 20b: 본체(물고기 형상, 새우 형상, 지렁이 형상)
30: 중공부
50: 담체
51: 농축액 코어
52: 쉘
53: 발광층

Claims (7)

  1. 내부에 소정의 수납공간을 구비한 본체; 및
    상기 수납공간에 배치되고 어류 유인용 유인제가 담긴 담체; 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 공간은 상기 본체 내부에 형성되는 소정 길이를 갖는 중공관 형태이고,
    상기 중공관 형태는 양끝단이 모두 개방되거나 양끝단 중 일단부가 개방되는 형태이며, 상기 담체가 삽입되는 개방된 단부와 연결되는 개구부의 직경이 상기 중공관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담체는 내부 코어와 상기 코어를 둘러싸는 제1 외부 쉘의 코어-쉘 구조를 갖고,
    상기 제1 외부 쉘의 외주면을 따라 발광성 폴리머로 스프레이 분사 또는 딥코팅 방식으로 코팅층을 형성하여 제2 외부 쉘로서 발광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미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다양한 형태의 물고기 형상, 새우 형상, 지렁이 등의 곤충 형상 중 어느 하나의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미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관에 삽입되는 담체는 단면이 원 또는 타원인 구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미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류 유인용 유인제는 새우, 어류, 곤충의 건조 분말 또는 농축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미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를 둘러싸는 친유성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물질로 스프레이 분사 방식 또는 딥 코팅 방식으로 코팅하여 상기 제1 외부 쉘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미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물질이 농축액인 경우에는 유화제로 유화시키고 상기 코어물질이 건조 분말인 경우에는 유화제로와 물을 혼합하고 유화시켜 미셀을 형성하고,
    유화된 코어 물질에 상기 제1 외부 쉘을 형성하는 친유성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물질로 혼합한 후 배합하여 상기 제1 외부 쉘을 형성하며,
    상기 유화제는 트윈 20, 트윈 60, 트윈 80, 스판 60, 스판 80 중의 어느 하나가 사용되고,
    상기 고분자 물질은 사이클로덱스트린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미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를 둘러싸는 양이온성 고분자 소재로 피막층을 형성하여 상기 제1 외부 쉘을 형성하고,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 소재는 디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A), 뷰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잔탄검(Xanthan gum), 알긴산나트륨(Sodium alginate), 한천(Agar) 중의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미끼.
KR1020200108032A 2020-08-26 2020-08-26 낚시용 인조미끼 KR102515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032A KR102515794B1 (ko) 2020-08-26 2020-08-26 낚시용 인조미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032A KR102515794B1 (ko) 2020-08-26 2020-08-26 낚시용 인조미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6908A KR20220026908A (ko) 2022-03-07
KR102515794B1 true KR102515794B1 (ko) 2023-03-30

Family

ID=80817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8032A KR102515794B1 (ko) 2020-08-26 2020-08-26 낚시용 인조미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579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4584B2 (ja) 1994-03-11 2000-02-28 株式会社高岳製作所 蓄熱槽の水温計測装置
KR102158732B1 (ko) 2019-03-25 2020-09-22 이광희 낚시용 미끼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1438A (en) * 1980-02-25 1981-09-24 Toru Morita Bait for fishing
JP3014584U (ja) * 1994-10-14 1995-08-15 潤 森本 発泡剤による拡散効果を利用した魚釣用乾燥固形集魚剤
KR100389256B1 (ko) * 2001-04-02 2003-06-27 노영무 낚시용 떡밥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03553U (ko) * 2007-10-12 2009-04-16 윤민욱 낚시용 떡밥
KR101593814B1 (ko) 2014-08-05 2016-02-12 장치식 낚시용 미끼
KR20170073868A (ko) * 2015-12-21 2017-06-29 테그 주식회사 낚시용 인조미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4584B2 (ja) 1994-03-11 2000-02-28 株式会社高岳製作所 蓄熱槽の水温計測装置
KR102158732B1 (ko) 2019-03-25 2020-09-22 이광희 낚시용 미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6908A (ko) 202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50180C (en) Disposable, buoyant scented lure
US5170579A (en) Artificial fish lure
US4953319A (en) Multi-attractant fish bait
US5893232A (en) Natural bait holding fishing lure
US6922937B1 (en) Baitfish lure
US20090126256A1 (en) Modular fishing lure system
US11019811B2 (en) Fishing lure
KR102018065B1 (ko) 유인물질을 이용한 낚시용 인공미끼
US3758976A (en) Fish hook and lure assembly
US7131233B1 (en) Scented fishing lure
KR200488163Y1 (ko) 발광 루어
US20190364864A1 (en) Electroreceptor six senses fishing attractor
KR200487601Y1 (ko) 갈치 낚시채비
US5444935A (en) Fishing lure with jet-stream hole and dried bait plugs for insertion therein
KR102515794B1 (ko) 낚시용 인조미끼
US20190269114A1 (en) Fish Attractant Dispensing Fishing Lure
US7114286B2 (en) System for reducing the number of predator fish
KR20180002179U (ko) 루어낚시용 인조미끼
KR101593814B1 (ko) 낚시용 미끼
KR102425566B1 (ko) 낚시용 인조미끼
US4903430A (en) Fish bait
EP3769613A1 (en) Fishing lure
US2055841A (en) Artificial bait
KR20190130244A (ko) 생미끼 삽입형 루어
GB2310349A (en) Fishing bait caps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