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5724B1 - 한외여과용 멤브레인 홀더 - Google Patents

한외여과용 멤브레인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5724B1
KR102515724B1 KR1020220087706A KR20220087706A KR102515724B1 KR 102515724 B1 KR102515724 B1 KR 102515724B1 KR 1020220087706 A KR1020220087706 A KR 1020220087706A KR 20220087706 A KR20220087706 A KR 20220087706A KR 102515724 B1 KR102515724 B1 KR 102515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base plate
fluid inlet
raw material
fil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7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이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이에스
Priority to KR1020220087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57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18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145Ultra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8Flat membrane modules
    • B01D63/082Flat membrane modules comprising a stack of flat membranes
    • B01D63/0822Plate-and-fram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02Specific tightening or locking mechanisms
    • B01D2313/025Specific membrane 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외여과에 사용되는 멤브레인을 안전하게 고정시키는 한외여과용 멤브레인 홀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외여과용 멤브레인 홀더는 멤브레인(M)의 전면에 압착되며 외부에서 유입된 원료를 멤브레인으로 이송한 뒤 상기 멤브레인에서 여과된 여과액과 여과되지 못한 원료를 구분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베이스플레이트(100)와, 상기 멤브레인의 후면에 압착되어 멤브레인 내의 원료 및 여과액이 멤브레인의 후면을 통해 이탈되는 것을 막아주는 푸시플레이트(20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부 중앙과 하부 중앙에 고정되어 상기 푸시플레이트를 수평으로 관통하는 중앙관통볼트(300)와, 상기 중앙관통볼트에 끼워져 푸시플레이트에 압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싱(400)과, 상기 부싱에 압착되도록 중앙관통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푸시플레이트에 대하여 멤브레인으로의 압착력을 제공하는 제1조임너트(500)와, 상기 멤브레인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부에 끼워져 푸시플레이트를 수평으로 관통하는 한 쌍의 가이드봉(600)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하부 양측 체결되어 상기 푸시플레이트를 수평으로 관통하는 한 쌍의 하부관통볼트(700)와, 상기 가이드봉의 단부에 체결되고 하부관통볼트의 단부가 관통하는 서포트브라켓(700)과, 상기 하부관통볼트의 단부에 체결되어 서포트브라켓를 압박하는 제2조임너트(8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한외여과용 멤브레인 홀더{Membrane Holder for ultrafiltration}
본 발명은 한외여과에 사용되는 멤브레인을 안전하게 고정시키는 한외여과용 멤브레인 홀더에 관한 것이다.
멤브레인(Membrane)이란, 기체, 액체, 고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특정한 성분만을 분리해 낼 수 있는 필터로서, 혼합물을 멤브레인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분자 상태의 물질을 분리시키는 원리이다.
수처리 분야에서의 멤브레인은 구조에 따라 다공막, 미세다공막 및 균질막으로 분류되고, 용도에 따라 정밀여과막, 한외여과막, 역삼투막, 기체분리막, 투과증발막 등으로 구분된다.
이중, 한외여과(Ultrafiltration)는 액체 중에 용해되거나 분산된 물질을 입자 크기나 분자량 크기별로 분리할 수 있는 공정으로 압력차를 추진력으로 하며 미세여과와 역삼투의 중간 영역의 입자를 분리한다.
한외여과에 사용되는 멤브레인은 대략 10 내지 500Å범위의 세공 크기를 가지며 입자의 크기가 1nm 내지 0.1μm 정도인 당류, 단백질, 생체물질, 고분자 물질의 분리에 주로 사용된다.
한외여과용 멤브레인은 미세여과와 기본원리는 동일하나, 미세여과의 막구조는 대칭형(symmetric)의 세공구조인데 반하여 한외여과막용 멤브레인은 비대칭형(asymmetric)구조의 치밀한 층구조로 되어있어 미세여과보다 더 작은 입자를 분리해 낼 수 있고, 대상물질이 분자량이 큰 물질이므로 용액내의 삼투압은 무시할 수 있어서 낮은 압력으로 운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한외여과용 멤브레인은 단독으로는 사용되기 어렵고 분리공정에 이용할 수 있도록 복수의 멤브레인들을 고정시켜 사용하여야 하는데, 최근 멤브레인의 슬림화 추세로 인해서 멤브레인 장착 및 취급시에 막손상이 발생할 위험이 증가되고 있어 그 개선이 요구된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988838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멤브레인을 손상됨 없이 안전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한외여과용 멤브레인 홀더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외여과용 멤브레인 홀더는 멤브레인의 전면에 압착되며 외부에서 유입된 원료를 멤브레인으로 이송한 뒤 상기 멤브레인에서 여과된 여과액과 여과되지 못한 원료를 구분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멤브레인의 후면에 압착되어 멤브레인 내의 원료 및 여과액이 멤브레인의 후면을 통해 이탈되는 것을 막아주는 푸시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부 중앙과 하부 중앙에 고정되어 상기 푸시플레이트를 수평으로 관통하는 중앙관통볼트와, 상기 중앙관통볼트에 끼워져 푸시플레이트에 압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싱과, 상기 부싱에 압착되도록 중앙관통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푸시플레이트에 대하여 멤브레인으로의 압착력을 제공하는 제1조임너트와, 상기 멤브레인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부에 끼워져 푸시플레이트를 수평으로 관통하는 한 쌍의 가이드봉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하부 양측 체결되어 상기 푸시플레이트를 수평으로 관통하는 한 쌍의 하부관통볼트와, 상기 가이드봉의 단부에 체결되고 하부관통볼트의 단부가 관통하는 서포트브라켓과, 상기 하부관통볼트의 단부에 체결되어 서포트브라켓를 압박하는 제2조임너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멤브레인의 하부에 형성된 복수의 하부유체출입공과, 상기 멤브레인의 상부에 형성된 복수의 상부유체출입공과, 상기 하부유체출입공 중 일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원료유입구와, 하부유체출입공 중 원료유입구와 연통되지 않은 나머지 하부유체출입공과 연통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부 타측에 형성된 비여과액 제1배출구와, 상부유체출입공 중 일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여과액배출구와, 상부유체출입공 중 여과액배출구와 연통되지 않은 나머지 상부유체출입공과 연통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 타측에 형성된 비여과액 제2배출구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원료유입구를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 내부로 유입된 원료를 수용하는 제1수용부와, 상기 하부유체출입공으로 제1수용부내의 원료를 배출시키는 원료배출유로와, 상기 하부유체출입공과 연통되는 비여과액 제1유입공과, 상기 비여과액 제1유입공을 통해 유입되는 비여과액이 저장되며 상기 비여과액 제1배출구와 연통되는 제2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는 상부유체출입공과 연통되는 여과액유입유로와, 상기 여과액유입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여과액이 저장되며 상기 여과액 배출구와 연통되는 제3수용부와, 상기 상부유체출입공과 연통되는 비여과액 제2유입공과, 상기 비여과액 제2유입공을 통해 유입되는 비여과액이 저장되며 상기 비여과액 제2배출구와 연통되는 제4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한외여과용 멤브레인 홀더는 멤브레인의 전면에 베이스플레이트와 푸시플레이트가 제1조임볼트와 제2조임볼트를 통해 압착되므로 멤브레인 장착 및 취급시에 멤브레인의 막손상 없이 안전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외여과용 멤브레인 홀더가 적용된 한외여과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한외여과용 멤브레인 홀더의 사용상태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한외여과용 멤브레인 홀더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4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컨대,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아울러, "포함한다" 또는 "구비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외여과용 멤브레인 홀더가 적용된 한외여과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한외여과용 멤브레인 홀더의 사용상태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한외여과용 멤브레인 홀더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한외여과용 멤브레인 홀더는 한외여과에 사용되는 멤브레인(M)을 안전하게 고정시키는 장치로서, 베이스플레이트(100)와 푸시플레이트(200)와 중앙관통볼트(300)와 부싱(400)과 제1조임너트(500)와 가이드봉(600)과 하부관통볼트(700)와 서포트브라켓(800)과 제2조임너트(90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는 멤브레인(M)의 전면에 압착되며, 외부에서 유입된 원료(Feed)를 멤브레인(M)으로 이송한 뒤, 상기 멤브레인(M)에서 여과된 여과액(Retentate)과 여과되지 못한 원료(Permeate)를 구분하여 외부로 배출시킨다.
그리고, 상기 푸시플레이트(200)는 상기 멤브레인(M)의 후면에 압착되어 멤브레인(M) 내의 원료 및 여과액이 멤브레인(M)의 후면을 통해 이탈되는 것을 막아준다.
상기 중앙관통볼트(300)는 전단과 후단에 각각 나사부(310,320)가 형성된 무두볼트로서, 베이스플레이트(100) 상부 중앙과 하부 중앙에 각각 전단이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 상부 중앙과 하부 중앙에는 각각 중앙관통볼트(300)의 전단의 나사부(310)에 체결되는 제1나사홈(110)이 형성된다.
상기 중앙관통볼트(300)는 푸시플레이트(200)를 수평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푸시플레이트(200)의 상부 중앙과 하부 중앙에는 볼트관통공(210)이 형성된다.
상기 부싱(400)은 중앙관통볼트(300)에 끼워져 푸시플레이트(200)에 압착된다. 상기 부싱(400)은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조임너트(500)는 부싱(400)에 압착되도록 중앙관통볼트(300)의 후단에 체결되어 상기 푸시플레이트(200)에 대하여 멤브레인(M)으로의 압착력을 제공한다.
상기 가이드봉(600)은 멤브레인(M)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하부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봉(600)의 후단에는 나사부(610)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하부에는 가이드봉(600)의 전단이 끼워지는 가이드봉 끼움홈(120)이 형성되며, 푸시플레이트(200)의 하부에는 가이드봉이 통과하는 가이드봉 관통공(220)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봉(600)은 푸시플레이트(200)가 좌우로 유동되지 않고 멤브레인(M)을 향해 원활하게 전후 이동되도록 돕는다.
한편, 상기 멤브레인(M)의 하부에는 가이드봉(600)에 유동없이 정확한 위치에 안착되기 위한 가이드봉 안착홈(M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관통볼트(700)는 전단이 베이스플레이트(100) 하부 양측에 체결되어 상기 푸시플레이트(200)를 수평으로 관통한다.
상기 하부관통볼트(700)의 전단과 후단에는 각각 나사부(710,720)가 형성되고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하부에는 상기 하부관통볼트(700)의 전단의 나사부(710)에 체결되는 제3나사홈(125)이 형성된다.
상기 서포트브라켓(800)은 가이드봉(600)의 후단의 나사부(620)에 체결된다. 상기 가이드봉(600)의 후단의 나사부(620)가 체결되는 제2나사홈(810)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서포트브라켓(800)에는 중앙관통볼트(300)와 하부관통볼트(700)가 통과하는 중앙관통볼트 관통공(820)과 하부관통볼트 관통공(83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조임너트(900)는 상기 하부관통볼트(700)의 후단의 나사부(720)에 체결된다.
따라서, 제2조임너트(900)를 조여주면 제2조임너트(900)가 서포트브라켓(800)의 후단을 압박하여 서포트브라켓(800)과 베이스플레이트(100)가 견고하게 결합되며, 상기 서포트브라켓(800)과 베이스플레이트(100) 사이에는 일정한 거리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그 결과, 상기 제1조임너트(500)와 제2조임너트(900)만 풀어주는 단순한 동작만으로 멤브레인(M)의 설치 및 교체를 쉽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와 푸시플레이트(200)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멤브레인(M)을 손상됨 없이 안정되게 밀착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멤브레인(M)의 하부에는 복수의 하부유체출입공(H1)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복수의 상부유체출입공(H2)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하부 일측에는 원료유입구(130)가 형성된다. 상기 원료유입구(130)는 하부유체출입공(H1) 중 일부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부유체출입공(H1)과 상부유체출입공(H2)은 수평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하부에는 원료유입구(130)를 통해 베이스플레이트(100) 내부로 유입된 원료를 수용하는 제1수용부(131)와, 상기 하부유체출입공(H1)으로 제1수용부(131)내의 원료를 배출시키는 원료배출유로(13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원료 저장조(1)로부터 상기 원료유입구(130)를 통해 제1수용부(131)로 유입되는 원료는 원료배출유로(132)를 거쳐 하부유체출입공(H1)을 통해 멤브레인(M)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하부 타측에는 비여과액 제1배출구(140)가 형성된다. 상기 비여과액 제1배출구(140)는 하부유체출입공(H1) 중 원료유입구(130)와 연통되지 않은 나머지 하부유체출입공(H1)과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하부에는 상기 하부유체출입공(H1)과 연통되는 비여과액 제1유입공(141)과, 상기 비여과액 제1유입공(141)을 통해 유입되는 비여과액이 저장되며 상기 비여과액 제1배출구(140)와 연통되는 제2수용부(14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멤브레인(M)으로부터 여과되지 않은 비여과액은 하부유체출입공(H1)을 통해 비여과액 제1유입공(141)으로 유입되며 제2수용부(142)를 거쳐 비여과액 제1배출구(140)로 배출된다.
상기 비여과액 제1배출구(140)로 배출된 비여과액은 생산물 저장조(2)로 이송된다.
한편, 상기 원료유입구(130)와 연통되는 하부유체출입공(H1)과 비여과액 제1배출구(140)와 연통되는 하부유체출입공(H1)은 교호로 반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부 일측에는 여과액배출구(150)가 형성된다. 상기 여과액배출구(150)는 상부유체출입공(H2) 중 일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부에는 상부유체출입공(H2)과 연통되는 여과액유입유로(151)와, 상기 여과액유입유로(151)를 통해 유입되는 여과액이 저장되며 상기 여과액배출구(150)와 연통되는 제3수용부(15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멤브레인(M)에서 필터링된 여과액은 상부유체출입공(H2)을 통해 여과액유입유로(151)로 유입되며 제3수용부(152)를 거쳐 여과액배출구(150)로 배출된다.
상기 여과액배출구(150)로 배출된 여과액은 원료 저장조(1)로 이송되며 재여과를 위하여 순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부 타측에는 비여과액 제2배출구(160)가 형성된다. 상기 비여과액 제2배출구(160)는 상부유체출입공(H2) 중 여과액배출구(150)와 연통되지 않은 나머지 상부유체출입공(H2)과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부에는 상부유체출입공(H2)과 연통되는 비여과액 제2유입공(161)과, 상기 비여과액 제2유입공(161)을 통해 유입되는 비여과액이 저장되며 상기 비여과액 제2배출구(160)와 연통되는 제4수용부(16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멤브레인(M)에서 여과되지 않은 비여과액은 상부유체출입공(H2)을 통해 비여과액 제2유입공(161)으로 유입되며 제4수용부(162)를 거쳐 비여과액 제2배출구(160)로 배출된다.
상기 비여과액 제2배출구(160)로 배출된 비여과액은 생산물 저장조(2)로 이송된다.
한편, 상기 여과액배출구(150)와 연통되는 상부유체출입공(H2)과 비여과액 제2배출구(160)와 연통되는 상부유체출입공(H2)은 교호로 반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100...베이스플레이트 130...원료유입구
131...제1수용부 132...원료배출유로
140...비여과액 제1배출구 141...비여과액 제1유입공
142...제2수용부 150...여과액배출구
151...여과액유입유로 152...제3수용부
160...비여과액 제2배출구 161...비여과액 제2유입공
162...제4수용부 200...푸시플레이트
300...중앙관통볼트 400...부싱
500...제1조임너트 600...가이드봉
700...하부관통볼트 800...서포트브라켓
900...제2조임너트 M...멤브레인트
H1...하부유체출입공 H2...상부유체출입공

Claims (3)

  1. 멤브레인의 전면에 압착되며, 외부에서 유입된 원료를 멤브레인으로 이송한 뒤, 상기 멤브레인에서 여과된 여과액과 여과되지 못한 원료를 구분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멤브레인의 후면에 압착되어 멤브레인 내의 원료 및 여과액이 멤브레인의 후면을 통해 이탈되는 것을 막아주는 푸시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부 중앙과 하부 중앙에 고정되어 상기 푸시플레이트를 수평으로 관통하는 중앙관통볼트;
    상기 중앙관통볼트에 끼워져 푸시플레이트에 압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싱;
    상기 부싱에 압착되도록 중앙관통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푸시플레이트에 대하여 멤브레인으로의 압착력을 제공하는 제1조임너트;
    상기 멤브레인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부에 끼워져 푸시플레이트를 수평으로 관통하는 한 쌍의 가이드봉;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하부 양측 체결되어 상기 푸시플레이트를 수평으로 관통하는 한 쌍의 하부관통볼트;
    상기 가이드봉의 단부에 체결되고 하부관통볼트의 단부가 관통하는 서포트브라켓;
    상기 하부관통볼트의 단부에 체결되어 서포트브라켓를 압박하는 제2조임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멤브레인의 하부에 형성된 복수의 하부유체출입공;
    상기 멤브레인의 상부에 형성된 복수의 상부유체출입공;
    상기 하부유체출입공 중 일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원료유입구;
    상기 하부유체출입공 중 원료유입구와 연통되지 않은 나머지 하부유체출입공과 연통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부 타측에 형성된 비여과액 제1배출구;
    상기 상부유체출입공 중 일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여과액배출구;
    상기 상부유체출입공 중 여과액배출구와 연통되지 않은 나머지 상부유체출입공과 연통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 타측에 형성된 비여과액 제2배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원료유입구를 통해 베이스플레이트 내부로 유입된 원료를 수용하는 제1수용부와, 상기 하부유체출입공으로 제1수용부내의 원료를 배출시키는 원료배출유로와, 상기 하부유체출입공과 연통되는 비여과액 제1유입공과, 상기 비여과액 제1유입공을 통해 유입되는 비여과액이 저장되며 상기 비여과액 제1배출구와 연통되는 제2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는 상부유체출입공과 연통되는 여과액유입유로와, 상기 여과액유입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여과액이 저장되며 상기 여과액배출구와 연통되는 제3수용부와, 상기 상부유체출입공과 연통되는 비여과액 제2유입공과, 상기 비여과액 제2유입공을 통해 유입되는 비여과액이 저장되며 상기 비여과액 제2배출구와 연통되는 제4수용부가 형성되는, 한외여과용 멤브레인 홀더.
  2. 삭제
  3. 삭제
KR1020220087706A 2022-07-15 2022-07-15 한외여과용 멤브레인 홀더 KR102515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706A KR102515724B1 (ko) 2022-07-15 2022-07-15 한외여과용 멤브레인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706A KR102515724B1 (ko) 2022-07-15 2022-07-15 한외여과용 멤브레인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5724B1 true KR102515724B1 (ko) 2023-03-30

Family

ID=85986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7706A KR102515724B1 (ko) 2022-07-15 2022-07-15 한외여과용 멤브레인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572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838B1 (ko) 2008-06-24 2010-10-20 주식회사 디엠퓨어텍 수처리용 막 모듈 및 이 막 모듈이 적용된 여과장치
KR20180089491A (ko) * 2015-12-17 2018-08-08 에스엠에스 그룹 게엠베하 압출기 및 튜브 압출기 또는 금속 압출 프레스
KR101961340B1 (ko) * 2017-12-18 2019-03-25 (주)씨엔에스 한외여과시스템에 사용되는 모듈호환 통합형 홀더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838B1 (ko) 2008-06-24 2010-10-20 주식회사 디엠퓨어텍 수처리용 막 모듈 및 이 막 모듈이 적용된 여과장치
KR20180089491A (ko) * 2015-12-17 2018-08-08 에스엠에스 그룹 게엠베하 압출기 및 튜브 압출기 또는 금속 압출 프레스
KR101961340B1 (ko) * 2017-12-18 2019-03-25 (주)씨엔에스 한외여과시스템에 사용되는 모듈호환 통합형 홀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0988B2 (en) Cross-flow filter cassette
US4624784A (en) Apparatus including a flow path formed by membrane compression
US5762789A (en) Disposable membrane module with low-dead volume
EP2092974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membrane separation applying concentration polarization
Aptel et al. Categories of membrane operations
US10935474B1 (en) Membrane filter device
US20160346739A1 (en) Filtration apparatus
JP2009213984A (ja) 濾過用分離膜モジュール及び該分離膜モジュールを用いた濾過装置
JPH11156165A (ja) 分離装置及び分離膜モジュール
KR102515724B1 (ko) 한외여과용 멤브레인 홀더
JP2013237016A (ja) 孔拡散型あるいは流導分別型膜分離装置と該分離装置を利用した方法
JP6422032B2 (ja) 流動分別型の濃縮用孔拡散膜分離モジュール
KR20020012026A (ko) 내마모성 구 삽입식 와류를 이용한 판틀형 분리막 모듈시스템
JPH0768137A (ja) 分離膜モジュール
EP1359993B1 (en) Hollow fiber membrane cassette
JP2005501168A (ja) 油脱水機
JP2004524140A5 (ko)
US11572291B2 (en) Membrane filter apparatus for liquid mixtures
US20040045890A1 (en) Hollow fiber membrane cassette
US11904280B2 (en) Filtration system and method for filtering water
AU2002236864A1 (en) Hollow fiber membrane cassette
KR101961340B1 (ko) 한외여과시스템에 사용되는 모듈호환 통합형 홀더장치
JP2002011332A (ja) 内圧式のクロスフロー濾過方法および濾過装置
US20230264988A1 (en) Apparatus for membrane filtration and for removal of micropollutants from liquids by means of a reactive substance
KR20090037092A (ko) 부직포를 이용한 고효율 여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