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5518B1 - 금형 회전 장치 - Google Patents

금형 회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5518B1
KR102515518B1 KR1020220134363A KR20220134363A KR102515518B1 KR 102515518 B1 KR102515518 B1 KR 102515518B1 KR 1020220134363 A KR1020220134363 A KR 1020220134363A KR 20220134363 A KR20220134363 A KR 20220134363A KR 102515518 B1 KR102515518 B1 KR 102515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moving
work
mold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4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창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진
Priority to KR1020220134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55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B21D37/12Particular guiding equipment, e.g. pliers;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or cooperation of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2Die constructions enabling assembly of the die parts in different 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082Dust eliminating means; Mould or press ram clea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 회전 장치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지면 상에 위치되는 베이스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베이스부와 평행하도록 베이스부의 상측에 위치되는 회전 베이스부; 베이스부와 회전 베이스부를 연결하고, 회전 베이스부를 베이스부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회전 베이스부 상에서 상호 간에 마주하면서 이격되어 위치되고, 그 사이에는 하형 금형이 위치되어 연결되며, 하형 금형을 회전시키는 한 쌍의 회전부를 포함하되, 한 쌍의 회전부는 하형 금형의 상면을 회전 베이스부와 평행하거나 회전 베이스부와 직교하도록 위치시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금형 회전 장치{Apparatus for rotating mold}
본 발명은 금형 회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금형의 캐비티를 용이하게 작업자와 마주하도록 금형을 회전시킬 수 있는 금형 회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레스 금형은 레버, 나사, 수압, 유압 등에 의해 발생되는 힘을 이용하여 성형 대상물을 가압함으로써 일정한 모양의 제품을 성형하는 장치이다. 또한, 프레스 금형은 성형대상물을 수용하거나 지지하는 하형 금형 및 하형 금형의 상측에 위치되어 하형 금형과 맞물릴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형 금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형 금형이 성형대상물을 가압하도록 하형 금형과 맞물릴 때, 성형대상물은 성형하고자 하는 제품을 성형된다. 이러한 프레스 금형은 제품의 형상, 설계 특성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성된다.
한편, 하형 금형에는 성형대상물을 수용하기 위한 캐비티(cavity)가 형성되고, 캐비티는 하형 금형의 상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캐비티는 상측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되어, 작업장의 이물질 등이 캐비티에 유입되어 축적될 수 있다. 이물질은 캐비티에 축적되어, 제품의 성형 시에 제품 불량을 유발할 수 있다. 이물질로 인한 제품 불량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형 금형의 캐비티에 대한 확인 및 청소가 이루어져야 한다. 여기서, 작업자는 하형 금형의 상면 상에 위치되어야 하는 데, 캐비티에 대한 확인 및 청소에 따른 상당한 시간을 필요로 하고, 하형 금형의 상면에서 작업 도중에 안전 사고의 위험 가운데 노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하형 금형이 고온인 경우에, 작업자는 화상의 위험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금형 회전 장치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가열된 상태의 금형, 특히 금형의 캐비티 부분을 안전하면서도 용이하게 확인하고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금형 회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금형 회전 장치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금형의 오염으로 인한 제품의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금형 회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금형 회전 장치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금형의 관리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금형 회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금형 회전 장치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 회전 장치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지면 상에 위치되는 베이스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베이스부와 평행하도록 베이스부의 상측에 위치되는 회전 베이스부; 베이스부와 회전 베이스부를 연결하고, 회전 베이스부를 베이스부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회전 베이스부 상에서 상호 간에 마주하면서 이격되어 위치되고, 그 사이에는 하형 금형이 위치되어 연결되며, 하형 금형을 회전시키는 한 쌍의 회전부를 포함하되, 한 쌍의 회전부는 하형 금형의 상면을 회전 베이스부와 평행하거나 회전 베이스부와 직교하도록 위치시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회전부는, 각각 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되, 회전 베이스부와 직교하도록 위치되고, 상호 간에 마주하면서 이격된 한 쌍의 회전 고정체; 각각 원형 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되, 회전 고정체의 상단 부분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상호 간에 동일 직선 상에 위치되는 한 쌍의 회전 몸체; 및 각각 회전 고정체로부터 이격되고 회전 고정체와 평행하도록 회전 베이스부에 위치되며, 회전 몸체에 연결되어 회전 몸체를 회전시킬 수 있는 한 쌍의 회전 구동체를 포함하되, 하형 금형은 한 쌍의 회전 고정체들 사이에 위치되며, 회전 몸체의 제 1 종단 부분은 하형 금형에 연결되고, 회전 몸체의 제 1 종단 부분의 반대편인 제 2 종단 부분은 회전 구동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하형 금형의 상면이 회전 베이스부와 평행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구동 회전체는 회전 몸체를 제 1 방향으로 회전시켜 하형 금형의 상면을 회전 베이스부와 직교하도록 위치시키고, 하형 금형의 상면이 회전 베이스부와 직교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구동 회전체는 회전 몸체를 제 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회전시켜 하형 금형의 상면을 회전 베이스부와 평행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 구동체는, 실린더 형태로 이루어지되, 회전 고정체로부터 이격되고 회전 고정체와 평행하도록 회전 베이스부에 위치되고, 상단이 회전 몸체의 상측에 위치되거나 회전 몸체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작동되는 구동 몸체; 및 회전 몸체의 제 2 종단 부분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고 구동 몸체의 상단 부분에 힌지 연결되는 구동 연결체를 포함하되, 구동 몸체는 구동 연결체를 이동시켜 회전 몸체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 몸체의 상단이 회전 몸체의 하측에 위치될 때, 하형 금형의 상면은 회전 베이스부와 평행하도록 위치되고, 구동 몸체의 상단이 회전 몸체의 상측에 위치될 때, 하형 금형의 상면은 회전 베이스부와 직교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이동부는, 베이스부의 중앙 부분을 관통하여 고정되고, 회전 베이스부의 하면에 연결되며, 회전 베이스부를 베이스부에 대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 몸체; 및 각각 원형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베이스부와 직교하면서 회전 베이스부를 관통하도록 위치되고, 회전 베이스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어 위치되는 복수 개의 이동 가이드를 포함하되, 회전 베이스부는 이동 몸체에 의해 이동 가이드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금형 회전 장치 및 작업자 단말기는 네트워크를 통해 운영 서버에 연결되고, 작업자 단말기는 작업 데이터를 입력받아 운영 서버에 전송하고, 운영 서버는 전송받은 작업 데이터를 금형 회전 장치에 전송하며, 금형 회전 장치는 작업 데이터에 대응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 단말기는, 작업자 단말기의 일면에 위치되고 작업 데이터에 대한 작업 항목 및 작업 항목에 대응되는 응답값을 입력할 수 있는 처리 영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형태의 디스플레이부; 및 작업자 단말기의 일면에서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이격되고 작업자 단말기의 제 1 종단 부분에 위치되는 카메라 또는 센서 형태의 디텍터부를 포함하고, 금형 회전 장치는, 내부에는 양 종단면이 개방되고 작업자 단말기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작업자 단말기가 삽입될 수 있는 하우징 공간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하우징 공간에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개구가 형성되며, 하우징 공간의 바닥면에는 작업자 단말기에 대응하도록 오목하게 배치 공간이 형성되고, 양측면의 각각에 일 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복수 개의 무빙 가이드를 포함하는 작업 하우징; 및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작업 개구 및 처리 개구가 형성되며, 양측에 일 방향을 따라 위치되고 래크 기어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무빙 가이드와 맞물릴 수 있는 한 쌍의 무빙 보조체를 포함하는 작업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무빙 가이드는, 작업 하우징의 측면에 위치되는 모터 형태의 무빙 동력체; 및 하우징 공간에서 무빙 동력체에 대응하도록 위치되어 무빙 동력체에 연결되고 무빙 동력체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며 무빙 보조체와 맞물릴 수 있는 피니언 기어 형태의 무빙 전달체를 포함하고, 작업 플레이트가 하우징 공간에 삽입되어 위치되어, 무빙 보조체와 무빙 가이드의 무빙 전달체는 맞물리며, 작업자 단말기는 하우징 공간에 위치되고 배치 공간에 삽입되며, 디스플레이부 및 디텍터부는 디스플레이 개구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작업 플레이트의 하측에 위치되며, 무빙 가이드의 무빙 동력체가 무빙 전달체를 회전시킬 때, 무빙 보조체는 이동되어 작업 플레이트는 하우징 공간에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작업 플레이트의 하면의 제 1 종단 부분에는 디텍터 마크가 형성되고, 작업 플레이트가 디스플레이 개구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하우징 공간에 위치된 작업자 단말기의 상측에 위치되어, 디텍터 마크가 디텍터부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디텍터부에 의해 검출될 때, 디스플레이부는 디텍터 마크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작업 항목들 및 작업 항목들의 각각에 대응되는 처리 영역을 디스플레이하고, 작업 플레이트의 작업 개구 및 처리 개구는 각각 디스플레이부의 제 1 종단 부분에 디스플레이된 하나의 작업 항목 및 하나의 작업 항목에 대응되는 처리 영역에 대응하도록 위치되며, 작업자가 처리 개구를 통해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처리 영역을 터치할 때, 디스플레이부는 터치된 처리 영역에 대응하도록 터치 마크를 디스플레이하며, 작업자 단말기는 동작 신호를 생성하여 작업 하우징에 전송하고, 무빙 동력체는 무빙 전달체를 회전시키고, 무빙 보조체는 디스플레이부의 제 1 종단 부분의 반대편인 제 2 종단 부분을 향하도록 이동되고, 작업 개구 및 처리 개구는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다른 작업 항목 및 다른 작업 항목에 대응되는 처리 영역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작업 플레이트의 일부는 하우징 공간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작업 하우징은, 하우징 공간에서 무빙 가이드 및 하우징 공간의 제 1 종단면 근처에 위치되고 하우징 공간의 내측면에 힌지 연결되는 직사각 판 형상의 서브 스토퍼를 더 포함하되, 서브 스토퍼의 제 1 종단 부분은 하우징 공간의 제 1 종단면과 마주하도록 위치된 무빙 전달체에 인접하도록 하우징 공간의 내측면에 힌지 연결되고, 서브 스토퍼의 제 1 종단 부분의 반대편인 제 2 종단은 배치 공간에 접촉되거나 배치 공간으로부터 이격되며, 서브 스토퍼의 제 1 종단 부분의 하면에는 고무로 제조된 스토퍼 돌기가 형성되며, 작업 플레이트가 하우징 공간에 위치되고 작업자 단말기가 하우징 공간에 위치되지 않을 때, 서브 스토퍼의 제 2 종단은 배치 공간에 접촉되고 서브 스토퍼의 제 1 종단 부분보다 하측에 위치되며, 작업자 단말기가 하우징 공간의 제 2 종단면을 통해 하우징 공간에 점점 삽입될 때, 서브 스토퍼는 작업자 단말기에 접촉되어 회동되고, 서브 스토퍼의 제 2 종단은 배치 공간으로부터 점점 이격되며, 작업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작업 하우징의 디스플레이 개구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때, 서브 스토퍼의 스토퍼 돌기는 작업자 단말기의 제 1 종단 부분의 일면에 위치되고, 서브 스토퍼의 제 2 종단이 서브 스토퍼의 제 1 종단보다 상측에 위치되어, 서브 스토퍼가 작업 플레이트의 제 1 종단면과 마주하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금형 회전 장치는 하기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1) 가열된 상태의 금형, 특히 금형의 캐비티 부분이 안전하면서도 용이하게 확인되고 청소될 수 있도록 한다.
(2) 금형의 오염으로 인한 제품의 불량이 감소될 수 있도록 한다.
(3) 금형의 관리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 회전 장치가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 회전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 회전 장치에서 금형의 회전이 이루어진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 회전 장치의 작동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 회전 장치에 연결되는 작업자 단말기에 적용되는 작업 하우징 및 작업 플레이트를 분리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 회전 장치에 연결되는 작업자 단말기에 작업 하우징 및 작업 플레이트를 적용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 회전 장치에 연결되는 작업자 단말기에 적용된 작업 하우징 및 작업 플레이트의 동작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로 표현되는 구성요소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요소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 회전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 회전 장치에서 금형의 회전이 이루어진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 회전 장치의 작동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 회전 장치(100)는 베이스부(101), 회전 베이스부(102), 이동부(103) 및 회전부(104)를 포함하되, 지면 상에 설치되고 하형 금형(10)과 결합되어 하형 금형(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하형 금형(10)의 상면에는 복수 개의 캐비티(11)가 형성될 수 있고, 금형 회전 장치(100)는 캐비티(11)를 지면의 반대편을 향하도록 위치시키거나 지면에 위치된 작업자와 마주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베이스부(101)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지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회전 베이스부(102)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베이스부(101)와 평행하도록 베이스부(101)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동부(103)는 베이스부(101)와 회전 베이스부(102)를 연결하고, 회전 베이스부(102)를 베이스부(101)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이동부(103)는 이동 몸체(131) 및 이동 가이드(1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몸체(131)는 베이스부(101)의 중앙 부분을 관통하여 고정되고, 회전 베이스부(102)의 하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몸체(131)는 회전 베이스부(102)를 베이스부(101)에 대하여 이동시킬 수 있어, 베이스부(101)에 근접하도록 이동될 수 있거나, 베이스부(101)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이동 가이드(133)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각각 원형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이동 가이드(133)는 베이스부(101) 상에서 베이스부(101)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이동 가이드(133)의 각각은 베이스부(101)와 직교하면서 회전 베이스부(102)를 관통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회전 베이스부(102)는 이동 가이드(133)를 따라 이동하여 베이스부(101)에 근접하도록 이동될 수 있거나 베이스부(101)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즉, 이동 가이드(133)는 회전 베이스부(102)의 이동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회전부(104)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회전 베이스부(102) 상에서 상호 간에 마주하면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회전부(104)들 사이에 하형 금형(10)이 위치될 수 있고, 하형 금형(10)은 회전부(104)들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부(104)들은 하형 금형(10)을 회전시킬 수 있되, 예를 들어, 캐비티(11)들이 형성된 하형 금형(10)의 상면은 회전 베이스부(102)의 상면의 반대편을 향하도록 위치되어 하형 금형(10)의 상면을 회전 베이스부(101)와 평행하도록 위치시킬 수 있거나, 회전 베이스부(102)의 상면과 직교하도록 위치되어 하형 금형(10)의 상면을 회전 베이스부(101)와 직교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부(104)는 회전 고정체(141), 회전 몸체(142) 및 회전 구동체(14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고정체(141)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각각 기둥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 고정체(141)들은 상호 간에 마주하면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고, 각각 회전 베이스부(102)와 직교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회전 고정체(141)들은 이동부(103)의 이동 가이드(133)들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회전 몸체(142)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각각 원형 기둥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 몸체(142)들은 각각 회전 고정체(141)의 상단 부분을 관통하여 상호 간에 동일 직선 상에 위치될 수 있고, 회전 베이스부(102)와 평행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몸체(142)의 각각은 회전 몸체(142)의 길이방향을 따른 축(즉, 회전 베이스부(102)와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고, 회전 몸체(142)의 제 1 종단 부분은 회전 고정체(141)들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회전 구동체(143)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각각 회전 고정체(141)에 대응하도록 회전 베이스부(102)에 위치되고, 회전 몸체(142), 특히 회전 몸체(142)의 제 1 종단 부분의 반대편인 제 2 종단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회전 구동체(143)가 회전 몸체(142)를 회전시킴으로써, 회전 몸체(142)는 하형 금형(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회전 구동체(143)는 회전 베이스부(102) 상에서 회전 고정체(141)로부터 이격되어 회전 고정체(141)와 평행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회전 구동체(143)는 구동 몸체(143a) 및 구동 연결체(143b)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몸체(143a)는 각각 실린더(예를 들어, 유압 실린더 등)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동 몸체(143a)는 회전 베이스부(102) 상에서 회전 고정체(141)로부터 이격되어 회전 고정체(141)와 평행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구동 몸체(143a)의 상단은 회전 몸체(142)의 제 2 종단 부분에 인접하도록 위치되어, 회전 몸체(142)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거나, 회전 몸체(142)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구동 연결체(143b)는 회전 몸체(142)의 제 2 종단 부분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고, 구동 몸체(143a)의 상단 부분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연결체(143b)의 제 1 종단 부분은 회전 몸체(142)의 제 2 종단 부분의 외주면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구동 연결체(143b)의 제 1 종단 부분의 반대편인 제 2 종단 부분은 구동 몸체(143a)의 상단 부분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몸체(143a)의 상단이 회전 몸체(142)의 하측에 위치될 때, 구동 연결체(143b)의 제 2 종단 부분은 회전 몸체(142)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하형 금형(10)의 상면이 회전 베이스부(102)의 상면의 반대편을 향하도록 위치되어, 하형 금형(10)의 상면은 회전 베이스부(101)와 평행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도 1 및 도 3(a) 참조). 하형 금형(10)의 캐비티(11)는 상측을 향하도록 위치되어, 하형 금형(10)은 성형 작업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구동 몸체(143a)의 상단이 회전 몸체(142)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이동될 때, 구동 연결체(143b)는 제 1 방향(도 3(a)의 화살표 참조)으로 회동되어 구동 연결체(143b)의 제 2 종단 부분을 회전 몸체(142)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몸체(142)는 제 1 방향으로 회전되어 하형 금형(10)을 회전시킬 수 있고, 하형 금형(10)의 상면은 회전 베이스부(101)와 직교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도 1 및 도 3(b) 참조). 또한, 작업자는 지면 상에 위치된 상태로 하형 금형(10)의 캐비티(11)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구동 몸체(143a)의 상단이 회전 몸체(142)의 상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구동 몸체(143a)의 상단이 회전 몸체(142)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이동될 때, 구동 연결체(143b)는 제 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회동되어 구동 연결체(143b)의 제 2 종단 부분을 회전 몸체(142)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몸체(142)는 제 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회전되어 하형 금형(10)을 회전시킬 수 있고, 하형 금형(10)의 상면은 회전 베이스부(101)와 평행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하형 금형(10)을 이용한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금형 회전 장치(100)는 회전 베이스부(102)에 설치된 회전부(104)의 회전 고정체(141)들 사이에 하형 금형(10)을 위치시키고, 회전 고정체(141)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위치된 회전 몸체(142)를 하형 금형(10)에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구동체(143)가 회전 몸체(142)를 회전시킴으로써, 하형 금형(10)은 회전 몸체(142)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어, 상면이 회전 베이스부(102)와 평행하도록 위치되거나, 회전 베이스부(102)와 직교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하형 금형(10)의 상면이 회전 베이스부(102)와 평행하도록 위치될 때, 하형 금형(10)의 캐비티(11)는 작업에 이용가능하도록 위치될 수 있는 반면에, 하형 금형(10)의 상면이 회전 베이스부(102)와 직교하도록 위치될 때, 하형 금형(10)의 캐비티(11)는 지면에 위치된 작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확인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금형 회전 장치(100)는 하형 금형(10)의 캐비티(11)를 지면에 위치된 작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확인하고 청소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금형 회전 장치(100)는 가열된 상태의 하형 금형(10)을 안전하게 확인하고 청소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하형 금형(10)은 용이하면서 안전하게 청소되어, 오염으로 인한 제품의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금형 회전 장치(100)는 하형 금형(10)을 회전시킴으로써 작업자가 하형 금형(10)의 상면에 직접 위치되는 경우를 방지하고, 하형 금형(10)의 상면에 위치되기 위하여 하형 금형(10)을 냉각시키기 위한 비용 및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금형 회전 장치(100)는 하형 금형(10)의 관리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금형 회전 장치(100)의 작업자는 작업자 단말기(40)를 이용하여 운영 서버(미도시 됨)에 접속하여 운영 서버와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운영 서버는 작업자 단말기(40)에서 구동된 웹 브라우저를 통해 웹 페이지를 표시하고 웹 페이지에서 로그인을 한 후 운영 서버에 접속하도록 하거나, 작업자 단말기(40)에 운영 서버에 접속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구동될 수도 있다.
작업자 단말기(4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기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탑(Desktop), 랩탑(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 단말기(40)는 각각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기,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태블릿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 개의 단말기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작업자 단말기(40)는 작업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고 금형 회전 장치(100)에 전송되도록 운영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작업 데이터는 금형 회전 장치(100)에서 회전부(104)의 작동을 위한 데이터를 의미하고, 금형 회전 장치(100)의 회전부(104)는 작업 데이터에 따라 작동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 회전 장치에 연결되는 작업자 단말기에 적용되는 작업 하우징 및 작업 플레이트를 분리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 회전 장치에 연결되는 작업자 단말기에 작업 하우징 및 작업 플레이트를 적용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 회전 장치에 연결되는 작업자 단말기에 적용된 작업 하우징 및 작업 플레이트의 동작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 단말기(40)는 작업 하우징(401) 및 작업 플레이트(402)와 결합되고, 작업 하우징(401) 및 작업 플레이트(402)를 이용하여, 작업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작업자 단말기(40)는 스마트폰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작업자 단말기(40)의 일면에 위치되고 작업 데이터에 대한 작업 항목(a) 및 작업 항목(a)에 대응되는 수치를 입력할 수 있는 처리 영역(b)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형태의 디스플레이부(41) 및 작업자 단말기(40)의 일면에서 디스플레이부(41)로부터 이격되고 작업자 단말기(40)의 제 1 종단 부분에 위치되는 카메라 또는 센서 형태의 디텍터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작업 항목은 "작업용 회전 속도", "작업용 회전 유지 시간", "복원용 회전 속도", "작업용 회전 시 알람 주기"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처리 영역은 작업 항목에 따른 처리 단계를 나타내는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값을 입력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처리 영역은 3개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5개, 7개, 9개 등과 같이 3개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작업 하우징(401)은 작업자 단말기(4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작업자 단말기(40)를 분리가능하도록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 하우징(401)에는 하우징 공간(410), 디스플레이 개구(401a) 및 배치 공간(401b)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공간(410)은 작업 하우징(401)의 내부에서 작업자 단말기(4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 종단면이 개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개구(401a)는 작업 하우징(401)의 상면에 형성되어 하우징 공간(410)에 연결될 수 있다. 작업자 단말기(40)가 하우징 공간(410)에 위치될 때, 작업자 단말기(40)의 디스플레이부(41) 및 디텍터부(42)는 디스플레이 개구(401a)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배치 공간(401b)은 하우징 공간(410)의 바닥면에 작업자 단말기(40)에 대응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개구(401a)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작업자 단말기(40)는 하우징 공간(410)에 위치되어 배치 공간(401b)에 삽입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41) 및 디텍터부(42)는 디스플레이 개구(401a)에 대응하도록 위치되어 디스플레이 개구(401a)를 통해 확인될 수 있다.
또한, 작업 하우징(401)은 무빙 가이드(411) 및 서브 스토퍼(413)를 포함할 수 있다.
무빙 가이드(411)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작업 하우징(401)의 양측면의 각각에 일 방향(A)을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작업자 단말기(40)가 하우징 공간(410)에 위치된 상태에서, 무빙 가이드(411)는 작업자 단말기(40)의 상측에 위치되고 하우징 공간(41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무빙 가이드(411)는 무빙 동력체(411a) 및 무빙 전달체(411b)를 포함할 수 있다.
무빙 동력체(411a)는 모터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작업 하우징(401)의 외부 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무빙 전달체(411b)는 피니언(pinion) 기어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하우징 공간(410)의 내부 측면에서 무빙 동력체(411a)에 대응하도록 위치되어 무빙 동력체(411a)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무빙 전달체(411b)는 무빙 동력체(411a)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서브 스토퍼(413)는 직사각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하우징 공간(410)에서 하우징 공간(410)의 제 1 종단면 및 무빙 가이드(411)의 근처에 위치되고, 하우징 공간(410)의 내측면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서브 스토퍼(413)의 제 1 종단 부분은 하우징 공간(410)의 제 1 종단면과 마주하도록 위치된 무빙 전달체(411b)에 인접하도록 하우징 공간(410)의 내측면에 힌지 연결될 수 있고, 서브 스토퍼(413)의 제 1 종단 부분의 반대편인 제 2 종단은 배치 공간(401b)에 접촉되거나 배치 공간(401b)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한편, 작업자 단말기(40)는 서브 스토퍼(413)로 인해 하우징 공간(410)의 제 1 종단면의 반대편인 제 2 종단면을 통해 하우징 공간(410)에 삽입되거나 하우징 공간(4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서브 스토퍼(413)의 제 1 종단 부분의 하면에는 스토퍼 돌기(413a)가 형성될 수 있고, 스토퍼 돌기(413a)는 고무 등과 같은 탄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작업자 단말기(40)가 하우징 공간(410)에 위치되지 않을 때, 서브 스토퍼(413)는 기울어져, 서브 스토퍼(413)의 제 2 종단은 배치 공간(401b)에 접촉되고, 서브 스토퍼(413)의 제 1 종단 부분보다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도 5(a) 참조).
한편, 작업자 단말기(40)가 하우징 공간(410)의 제 2 종단면(도 5의 하우징 공간(410)에서 좌측 부분)을 통해 하우징 공간(410)에 점점 삽입될 때, 서브 스토퍼(413)는 작업자 단말기(40)에 접촉되어 회동되고, 서브 스토퍼(413)의 제 2 종단은 배치 공간(401b)으로부터 점점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 단말기(40)의 디스플레이부(41)가 작업 하우징(401)의 디스플레이 개구(401a)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때, 서브 스토퍼(413)의 스토퍼 돌기(413a)는 작업자 단말기(40)의 제 1 종단 부분의 일면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서브 스토퍼(413)는 기울어져, 서브 스토퍼(413)의 제 2 종단은 스토퍼 돌기(413a)에 의해 서브 스토퍼(413)의 제 1 종단보다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도 5(b) 참조). 또한, 서브 스토퍼(413)는 작업 플레이트(402)의 제 1 종단면과 마주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작업 플레이트(402)는 디스플레이 개구(401a)에 대응되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작업 플레이트(402)는 하우징 공간(410)에 삽입되어 무빙 가이드(411)와 맞물릴 수 있고, 무빙 가이드(411)에 의해 이동가능하다. 작업 플레이트(402)에는 작업 개구(402a) 및 처리 개구(402b)가 형성될 수 있다.
작업 개구(402a)는 작업 데이터를 위하여 작업자 단말기(40)의 디스플레이부(41)에 디스플레이되는 하나의 작업 항목(a)에 대응되는 크기로 작업 플레이트(402)에 형성될 수 있다.
처리 개구(402b)는 작업 데이터의 입력을 위하여 작업자 단말기(40)의 디스플레이부(41)에 디스플레이되는 처리 영역(b)에 대응되는 크기로 작업 플레이트(402)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처리 개구(402b)는 작업 개구(402a)와 조합하여 일 방향(A)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동일 직선을 형성하도록 작업 플레이트(402)에 위치될 수 있고, 처리 영역(b)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작업 플레이트(402)의 하면의 제 1 종단 부분(도 4의 작업 플레이트(402)에서 상단 부분 참조)에는 디텍터 마크(42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디텍터 마크(420)는 QR 코드, 바 코드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작업 플레이트(402)가 하우징 공간(410)에 수용된 상태에서, 디텍터 마크(420)는 하우징 공간(410)에 수용된 작업자 단말기(40)의 디텍터부(42)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디텍터부(42)는 디텍터 마크(420)를 검출하여, 디스플레이부(41)는 디텍터 마크(420)에 대응되는 작업 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복수 개의 작업 항목(a)들 및 작업 항목(a)들의 각각에 대응되는 처리 영역(b)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41)의 제 1 종단 부분에 디스플레이되는 하나의 작업 항목(a) 및 하나의 작업 항목(a)에 대응되는 처리 영역(b)은 각각 작업 개구(402a) 및 처리 개구(402b)를 통해 확인될 수 있다.
또한, 작업 플레이트(402)는 무빙 보조체(421)를 포함할 수 있다.
무빙 보조체(421)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작업 플레이트(402)의 양측에서 일 방향(A)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무빙 보조체(421)는 래크(rack) 기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작업 플레이트(402)가 하우징 공간(410)에 삽입될 때, 무빙 보조체(421)는 무빙 가이드(411)의 무빙 전달체(411b)의 상측에 위치되고 무빙 전달체(411b)와 맞물릴 수 있다. 여기서, 무빙 보조체(421)와 무빙 전달체(411b)는 래크 기어와 피니언 기어의 결합 방식으로 맞물릴 수 있다. 무빙 동력체(411a)가 무빙 전달체(411b)를 회전시킬 때, 무빙 전달체(411b)는 무빙 보조체(421)를 이동시켜 작업 플레이트(402)를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작업자 단말기(40)의 디스플레이부(41)가 작업 하우징(401)의 디스플레이 개구(401a)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서브 스토퍼(413)의 제 2 종단이 스토퍼 돌기(413a)에 의해 서브 스토퍼(413)의 제 1 종단보다 상측에 위치되도록, 서브 스토퍼(413)는 기울어질 수 있다. 여기서, 작업 플레이트(402)는 하우징 공간(410)에 위치되고 작업자 단말기(40)의 상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서브 스토퍼(413)에 의해 하우징 공간(410)의 제 1 종단면을 향하는 이동을 제한받을 수 있다. 즉, 작업자 단말기(40)가 작업 하우징(401)의 하우징 공간(410)에 수용된 상태에서, 작업 플레이트(402)는 하우징 공간(410)의 제 1 종단면을 통과할 수 없고, 하우징 공간(410)의 제 2 종단면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작업 하우징(401) 및 작업 플레이트(402)는 작업자 단말기(40)에 적용되어 다음과 같이 동작될 수 있다.
우선, 작업 플레이트(402)가 하우징 공간(410)에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작업 플레이트(402)가 디스플레이 개구(401a)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고, 작업 플레이트(402)의 무빙 보조체(421)는 무빙 가이드(411)의 무빙 전달체(411b)와 맞물릴 수 있다(도 5(a) 및 도 5(b) 참조).
이어서, 작업자 단말기(40)는 작업 하우징(401)의 하우징 공간(410)에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도 5(b) 참조). 여기서, 작업자 단말기(40)는 배치 공간(401b)에 삽입되어 작업 플레이트(402)의 하측에 위치되고, 서브 스토퍼(413)는 기울어져, 서브 스토퍼(413)의 제 2 종단은 서브 스토퍼(413)의 제 1 종단보다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 단말기(40)의 디스플레이부(41) 및 디텍터부(42)는 디스플레이 개구(401a)에 대응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 플레이트(402)의 디텍터 마크(420)는 작업자 단말기(40)의 디텍터부(42)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디텍터부(42)는 디텍터 마크(420)를 검출하고, 디스플레이부(41)는 디텍터 마크(420)에 대응되는 작업 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복수 개의 작업 항목(a)들 및 작업 항목(a)들의 각각에 대응되는 처리 영역(b)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작업 플레이트(402)의 작업 개구(402a) 및 처리 개구(402b)는 각각 디스플레이부(41)의 제 1 종단 부분(도 6의 상측 부분)에 디스플레이된 하나의 작업 항목(a) 및 하나의 작업 항목(a)에 대응되는 처리 영역(b)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도 6(a) 참조). 여기서, 작업자 단말기(40)는 작업 개구(402a)에 대응되는 작업 항목(a)을 음성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작업 개구(402a) 및 처리 개구(402b)를 통해 확인하고 입력해야 할 작업 항목(a) 및 처리 영역(b)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처리 개구(402b)를 통해 디스플레이부(41)에 디스플레이된 처리 영역(b)을 터치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41)는 터치된 처리 영역(b)에 대응하도록 터치 마크(c)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터치 마크(c)가 디스플레이된 처리 영역(b)에 대응하는 응답값이 작업 항목(a)에 대하여 작업자 단말기(40)에 입력될 수 있다. 작업자 단말기(40)는 동작 신호를 생성하여 작업 하우징(401)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작업 하우징(401)에서 무빙 가이드(411)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무빙 가이드(411)의 무빙 동력체(411a)는 무빙 전달체(411b)를 회전시켜, 무빙 전달체(411b)는 무빙 보조체(421)를 디스플레이부(41)의 제 1 종단 부분의 반대편인 제 2 종단 부분(도 6의 하측 부분)을 향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디텍터 마크(420)는 디텍터부(42)로부터 멀어지도록 무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작업 플레이트(402)의 작업 개구(402a) 및 처리 개구(402b)는 디스플레이부(41)에서 디스플레이된 다른 작업 항목(a) 및 다른 작업 항목(a)에 따른 처리 영역(b)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고, 작업 플레이트(402)의 일부는 하우징 공간(410)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도 6(b) 참조).
상기와 같이 작업자는 처리 개구(402b)를 통해 디스플레이부(41)에 디스플레이된 작업 항목(a)들에 대한 처리 영역(b)을 선택적으로 하나씩 터치하여 작업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플레이트(402)가 무빙 가이드(411)에 의해 계속해서 이동되어, 작업자는 디스플레이부(41)에 디스플레이된 작업 항목(a)들 중 마지막 작업 항목(a)에 대한 처리 영역(b)을 터치할 수 있다. 작업자가 마지막 작업 항목(a)에 대한 처리 영역(b)을 선택하도록 디스플레이부(41)를 터치할 때, 작업자 단말기(40)는 작업 항목(a)들 및 작업 항목(a)들에 대응되고 선택된 처리 영역(b)에 대응하는 응답값을 포함하는 작업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41)는 작업 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다른 내용의 복수 개의 작업 항목(a)들 및 작업 항목(a)들의 각각에 대응되는 처리 영역(b)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 단말기(40)는 복원 신호를 생성하여 작업 하우징(401)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작업 하우징(401)에서 무빙 가이드(411)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무빙 가이드(411)의 무빙 동력체(411a)는 무빙 전달체(411b)를 회전시켜, 무빙 전달체(411b)는 무빙 보조체(421)를 디스플레이부(41)의 제 1 종단 부분(도 6의 상측 부분)을 향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디텍터 마크(420)는 디텍터부(42)에 근접하도록 이동될 수 있다. 디텍터 마크(420)가 디텍터부(42)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디텍터부(42)가 디텍터 마크(420)를 검출할 때, 작업자 단말기(40)는 정지 신호를 생성하여 작업 하우징(401)에 전송하고, 무빙 가이드(411)는 정지될 수 있다. 또한, 작업 플레이트(402)는 서브 스토퍼(413)에 의해 하우징 공간(410)의 제 1 종단면을 통과하도록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작업 플레이트(402)의 작업 개구(402a) 및 처리 개구(402b)는 다시금 디스플레이부(41)의 제 1 종단 부분에 디스플레이된 하나의 작업 항목(a) 및 하나의 작업 항목(a)에 대응되는 처리 영역(b)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도 6(a) 참조). 즉, 작업 하우징(401) 및 작업 플레이트(402)는 다른 내용의 복수 개의 작업 항목(a)들 및 작업 항목(a)들의 각각에 대응되는 처리 영역(b)을 확인하면서 작업 데이터를 입력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금형 회전 장치(100)는 작업자 단말기(40)에 작업 하우징(401) 및 작업 플레이트(402)를 적용한 상태에서, 작업자 단말기(40)를 통해 작업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작업자 단말기(40)의 디스플레이부(41)에 디스플레이되는 작업 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작업 항목(a)들 및 작업 항목(a)들에 대응되는 처리 영역(b)은 하나의 작업 항목(a)에 대하여 작업 플레이트(402)에 의해 물리적으로 식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작업자 단말기(40)의 디스플레이부(41)에 디스플레이되는 작업 항목(a)에 대하여 처리 영역(b)에 대응되는 응답값이 보다 정확하게 입력될 수 있어, 작업자는 보다 용이하면서도 정확하게 작업 단말기(40)에 작업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금형 회전 장치
101: 베이스부
102: 회전 베이스부
103: 이동부
104: 회전부

Claims (10)

  1.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지면 상에 위치되는 베이스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베이스부와 평행하도록 베이스부의 상측에 위치되는 회전 베이스부;
    베이스부와 회전 베이스부를 연결하고, 회전 베이스부를 베이스부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회전 베이스부 상에서 상호 간에 마주하면서 이격되어 위치되고, 그 사이에는 하형 금형이 위치되어 연결되며, 하형 금형을 회전시키는 한 쌍의 회전부를 포함하되,
    한 쌍의 회전부는 하형 금형의 상면을 회전 베이스부와 평행하거나 회전 베이스부와 직교하도록 위치시켜 고정시키며,
    금형 회전 장치 및 작업자 단말기는 네트워크를 통해 운영 서버에 연결되고,
    작업자 단말기는 작업 데이터를 입력받아 운영 서버에 전송하고, 운영 서버는 전송받은 작업 데이터를 금형 회전 장치에 전송하며, 금형 회전 장치는 작업 데이터에 대응하도록 작동하며,
    작업자 단말기는,
    작업자 단말기의 일면에 위치되고 작업 데이터에 대한 작업 항목 및 작업 항목에 대응되는 응답값을 입력할 수 있는 처리 영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형태의 디스플레이부; 및
    작업자 단말기의 일면에서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이격되고 작업자 단말기의 제 1 종단 부분에 위치되는 카메라 또는 센서 형태의 디텍터부를 포함하고,
    금형 회전 장치는,
    내부에는 양 종단면이 개방되고 작업자 단말기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작업자 단말기가 삽입될 수 있는 하우징 공간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하우징 공간에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개구가 형성되며, 하우징 공간의 바닥면에는 작업자 단말기에 대응하도록 오목하게 배치 공간이 형성되고, 양측면의 각각에 일 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복수 개의 무빙 가이드를 포함하는 작업 하우징; 및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작업 개구 및 처리 개구가 형성되며, 양측에 일 방향을 따라 위치되고 래크 기어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무빙 가이드와 맞물릴 수 있는 한 쌍의 무빙 보조체를 포함하는 작업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무빙 가이드는,
    작업 하우징의 측면에 위치되는 모터 형태의 무빙 동력체; 및
    하우징 공간에서 무빙 동력체에 대응하도록 위치되어 무빙 동력체에 연결되고 무빙 동력체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며 무빙 보조체와 맞물릴 수 있는 피니언 기어 형태의 무빙 전달체를 포함하고,
    작업 플레이트가 하우징 공간에 삽입되어 위치되어, 무빙 보조체와 무빙 가이드의 무빙 전달체는 맞물리며,
    작업자 단말기는 하우징 공간에 위치되고 배치 공간에 삽입되며, 디스플레이부 및 디텍터부는 디스플레이 개구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작업 플레이트의 하측에 위치되며,
    무빙 가이드의 무빙 동력체가 무빙 전달체를 회전시킬 때, 무빙 보조체는 이동되어 작업 플레이트는 하우징 공간에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회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회전부는,
    각각 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되, 회전 베이스부와 직교하도록 위치되고, 상호 간에 마주하면서 이격된 한 쌍의 회전 고정체;
    각각 원형 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되, 회전 고정체의 상단 부분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상호 간에 동일 직선 상에 위치되는 한 쌍의 회전 몸체; 및
    각각 회전 고정체로부터 이격되고 회전 고정체와 평행하도록 회전 베이스부에 위치되며, 회전 몸체에 연결되어 회전 몸체를 회전시킬 수 있는 한 쌍의 회전 구동체를 포함하되,
    하형 금형은 한 쌍의 회전 고정체들 사이에 위치되며, 회전 몸체의 제 1 종단 부분은 하형 금형에 연결되고, 회전 몸체의 제 1 종단 부분의 반대편인 제 2 종단 부분은 회전 구동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회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하형 금형의 상면이 회전 베이스부와 평행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구동 회전체는 회전 몸체를 제 1 방향으로 회전시켜 하형 금형의 상면을 회전 베이스부와 직교하도록 위치시키고,
    하형 금형의 상면이 회전 베이스부와 직교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구동 회전체는 회전 몸체를 제 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회전시켜 하형 금형의 상면을 회전 베이스부와 평행하도록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회전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회전 구동체는,
    실린더 형태로 이루어지되, 회전 고정체로부터 이격되고 회전 고정체와 평행하도록 회전 베이스부에 위치되고, 상단이 회전 몸체의 상측에 위치되거나 회전 몸체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작동되는 구동 몸체; 및
    회전 몸체의 제 2 종단 부분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고 구동 몸체의 상단 부분에 힌지 연결되는 구동 연결체를 포함하되,
    구동 몸체는 구동 연결체를 이동시켜 회전 몸체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회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구동 몸체의 상단이 회전 몸체의 하측에 위치될 때, 하형 금형의 상면은 회전 베이스부와 평행하도록 위치되고,
    구동 몸체의 상단이 회전 몸체의 상측에 위치될 때, 하형 금형의 상면은 회전 베이스부와 직교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회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이동부는,
    베이스부의 중앙 부분을 관통하여 고정되고, 회전 베이스부의 하면에 연결되며, 회전 베이스부를 베이스부에 대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 몸체; 및
    각각 원형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베이스부와 직교하면서 회전 베이스부를 관통하도록 위치되고, 회전 베이스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어 위치되는 복수 개의 이동 가이드를 포함하되,
    회전 베이스부는 이동 몸체에 의해 이동 가이드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회전 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작업 플레이트의 하면의 제 1 종단 부분에는 디텍터 마크가 형성되고,
    작업 플레이트가 디스플레이 개구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하우징 공간에 위치된 작업자 단말기의 상측에 위치되어, 디텍터 마크가 디텍터부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디텍터부에 의해 검출될 때, 디스플레이부는 디텍터 마크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작업 항목들 및 작업 항목들의 각각에 대응되는 처리 영역을 디스플레이하고, 작업 플레이트의 작업 개구 및 처리 개구는 각각 디스플레이부의 제 1 종단 부분에 디스플레이된 하나의 작업 항목 및 하나의 작업 항목에 대응되는 처리 영역에 대응하도록 위치되며,
    작업자가 처리 개구를 통해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처리 영역을 터치할 때, 디스플레이부는 터치된 처리 영역에 대응하도록 터치 마크를 디스플레이하며, 작업자 단말기는 동작 신호를 생성하여 작업 하우징에 전송하고, 무빙 동력체는 무빙 전달체를 회전시키고, 무빙 보조체는 디스플레이부의 제 1 종단 부분의 반대편인 제 2 종단 부분을 향하도록 이동되고, 작업 개구 및 처리 개구는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다른 작업 항목 및 다른 작업 항목에 대응되는 처리 영역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작업 플레이트의 일부는 하우징 공간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회전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작업 하우징은,
    하우징 공간에서 무빙 가이드 및 하우징 공간의 제 1 종단면 근처에 위치되고 하우징 공간의 내측면에 힌지 연결되는 직사각 판 형상의 서브 스토퍼를 더 포함하되,
    서브 스토퍼의 제 1 종단 부분은 하우징 공간의 제 1 종단면과 마주하도록 위치된 무빙 전달체에 인접하도록 하우징 공간의 내측면에 힌지 연결되고, 서브 스토퍼의 제 1 종단 부분의 반대편인 제 2 종단은 배치 공간에 접촉되거나 배치 공간으로부터 이격되며, 서브 스토퍼의 제 1 종단 부분의 하면에는 고무로 제조된 스토퍼 돌기가 형성되며,
    작업 플레이트가 하우징 공간에 위치되고 작업자 단말기가 하우징 공간에 위치되지 않을 때, 서브 스토퍼의 제 2 종단은 배치 공간에 접촉되고 서브 스토퍼의 제 1 종단 부분보다 하측에 위치되며,
    작업자 단말기가 하우징 공간의 제 2 종단면을 통해 하우징 공간에 점점 삽입될 때, 서브 스토퍼는 작업자 단말기에 접촉되어 회동되고, 서브 스토퍼의 제 2 종단은 배치 공간으로부터 점점 이격되며,
    작업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작업 하우징의 디스플레이 개구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때, 서브 스토퍼의 스토퍼 돌기는 작업자 단말기의 제 1 종단 부분의 일면에 위치되고, 서브 스토퍼의 제 2 종단이 서브 스토퍼의 제 1 종단보다 상측에 위치되어, 서브 스토퍼가 작업 플레이트의 제 1 종단면과 마주하도록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회전 장치.
KR1020220134363A 2022-10-18 2022-10-18 금형 회전 장치 KR102515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363A KR102515518B1 (ko) 2022-10-18 2022-10-18 금형 회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363A KR102515518B1 (ko) 2022-10-18 2022-10-18 금형 회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5518B1 true KR102515518B1 (ko) 2023-03-29

Family

ID=85800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4363A KR102515518B1 (ko) 2022-10-18 2022-10-18 금형 회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55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27521A (zh) * 2023-08-11 2023-09-12 辽宁华天航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钛合金薄壁零件用热成型模具及成型方法
CN117680558A (zh) * 2024-02-04 2024-03-12 烟台安信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异形钢框冲压模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9698B1 (ko) * 1990-11-05 2000-10-16 가부시기가이샤산죠세이기세이사구쇼 성형기에 있어서 금형장치
KR20130005595U (ko) * 2012-03-16 2013-09-25 박제현 멀티 사출금형의 회전코어 고정구조
KR20210031007A (ko) * 2019-08-26 2021-03-19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고무 성형용 프레스 장치
KR102440058B1 (ko) * 2021-11-16 2022-09-02 김한민 비대면 출입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9698B1 (ko) * 1990-11-05 2000-10-16 가부시기가이샤산죠세이기세이사구쇼 성형기에 있어서 금형장치
KR20130005595U (ko) * 2012-03-16 2013-09-25 박제현 멀티 사출금형의 회전코어 고정구조
KR20210031007A (ko) * 2019-08-26 2021-03-19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고무 성형용 프레스 장치
KR102440058B1 (ko) * 2021-11-16 2022-09-02 김한민 비대면 출입 관리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27521A (zh) * 2023-08-11 2023-09-12 辽宁华天航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钛合金薄壁零件用热成型模具及成型方法
CN117680558A (zh) * 2024-02-04 2024-03-12 烟台安信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异形钢框冲压模具
CN117680558B (zh) * 2024-02-04 2024-04-09 烟台安信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异形钢框冲压模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5518B1 (ko) 금형 회전 장치
CN2745099Y (zh) 具有滑动防偏倾设计的电子设备
US852131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access and control of process control instruments
KR20150119790A (ko) 스크라이브 헤드 및 스크라이브 장치
US9462713B2 (en) Transmission device applied to pivot shaft mechanism
WO2005036899A3 (en) Controlling the use of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N103455173A (zh) 滚轮鼠标
CN111183005A (zh) 机器人设备
NO20005170D0 (no) Portabel radiokommunikasjonsinnretning, slik som en portabel telefon
US7052195B2 (en) Foldable input apparatus
CA2776135C (en) Battery retention system
KR101005014B1 (ko) 서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회전하는 두 유닛을 구비하는휴대장치에 사용되는 개폐장치
CN105291098A (zh) 回转双臂机器人
US10379206B2 (en) Portable ultrasound machine
KR20100078216A (ko) 피딩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용 키패드의 원단 펀칭기
US7654741B2 (en) Rotatable supporting module and gantry apparatus having same
CN205148327U (zh) 回转双臂机器人
US20130081527A1 (en) Punching device
KR102497506B1 (ko) 생분해성 필름 제조용 원료 처리 장치
EP3656706B1 (en) Conveyor width adjustment
US20130027351A1 (en) Optical navigation modules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KR100849284B1 (ko) 이축 회전 폴더 타입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힌지 장치
US20120293927A1 (en) Sliding module for electronic device
CN111405088B (zh) 终端设备
CN201673820U (zh) 按键及键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